KR20190026432A -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6432A
KR20190026432A KR1020170113347A KR20170113347A KR20190026432A KR 20190026432 A KR20190026432 A KR 20190026432A KR 1020170113347 A KR1020170113347 A KR 1020170113347A KR 20170113347 A KR20170113347 A KR 20170113347A KR 20190026432 A KR20190026432 A KR 20190026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ate
slave device
calculating
data
time inte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0182B1 (ko
Inventor
곽근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3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182B1/ko
Priority to US16/631,622 priority patent/US11044036B2/en
Priority to PCT/KR2018/007604 priority patent/WO2019050142A1/ko
Publication of KR20190026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76Network utilisation, e.g. volume of load or congestion level
    • H04L43/0894Packet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3Protecting confidentiality, e.g. by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통신 모듈, 메모리, 및 상기 통신 모듈과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ID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디바이스 ID 및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제1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제1 데이터 전송률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1 데이터 전송률에 기초하여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획득된 제1 데이터 전송률은, 상기 제1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의해 산출된 제1 데이터 전송률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SLAVE DEVICE}
본 개시는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데이터 전송률을 변경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오늘 날의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많은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더 많은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개인 정보들까지 보유하게 되었고, 이에 따른 디바이스 보안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저가로 구현되는 디바이스의 경우 제작 과정에서 보안을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지 않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저가로 구현되는 디바이스는 개발 과정에서 사용된 시리얼 통신 단자가 그대로 노출된 채로 상품화되며, 해커는 잘 알려진 데이터 전송률(예를 들어, BPS)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시리얼 통신 단자를 통해 쉽게 디바이스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었다. 또한, 저가로 구현되는 디바이스의 경우 제작 과정에서 제품의 모델 마다 동일한 디바이스 ID 또는 패스워드가 부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해커가 시리얼 통신 단자를 통해 하나의 디바이스의 정보만 해킹하여도 동일 모델의 다른 디바이스들의 정보들까지도 모두 노출될 수 있어, 범죄에 악용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부 실시예는,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ID 및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을 획득하고, 획득된 데이터 전송률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ID 및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을 획득하고, 획득된 데이터 전송률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제 1 측면은 통신 모듈; 메모리; 및 상기 통신 모듈과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ID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디바이스 ID 및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제1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제1 데이터 전송률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1 데이터 전송률에 기초하여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획득된 제1 데이터 전송률은, 상기 제1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의해 산출된 제1 데이터 전송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2 측면은,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ID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디바이스 ID 및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제1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제1 데이터 전송률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제1 데이터 전송률에 기초하여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획득된 제1 데이터 전송률은, 상기 제1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의해 산출된 제1 데이터 전송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3 측면은,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ID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디바이스 ID 및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제1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제1 데이터 전송률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제1 데이터 전송률에 기초하여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마스터 디바이스가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획득된 제1 데이터 전송률은, 상기 제1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의해 산출된 제1 데이터 전송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서버(300)로부터 데이터 전송률을 수신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 및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블록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특히, 특허 청구 범위에서 사용된 “상기” 및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는 단계들의 순서를 명백하게 지정하는 기재가 없다면, 기재된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기재된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개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100)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 사이의 통신은 UART 단자를 이용한 직렬(serial) 통신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바이스(1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상태 정보(10)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정보(10)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소프트웨어의 버전 정보, 아이피 주소, 디바이스 ID, 패스워드(password), 부팅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웹 캠(web cam), 월 패드(wall pad), 도어벨(doorbell), 블루 레이 플레이어(Blu-Ray Player), 셋톱 박스 등의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소형 디바이스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 태플릿 PC,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 랩톱, 마이크로 서버, 전자책 단말기, 가전 기기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 모바일 컴퓨팅 장치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현재 시각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 및 현재 시각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 ID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모델명, 제품 일련번호(serial number), product key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BPS(Bits per second), Character transfer rate, Bit transfer rate, block transfer rat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 및 현재 시각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데이터 전송률을 변경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0)는 네트워크(400)로 연결된 서버(300)로부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을 획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네트워크(400)로 연결된 서버(300)에서 산출된,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40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및 이들의 상호 조합을 포함하며, 각 네트워크 구성 주체가 서로 원활하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이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무선 랜(Wi-Fi),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0)는 네트워크(400)로 연결된 서버(300)로부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기준에 관한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에 대응되는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현재의 데이터 전송률과 동일한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특정 종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모델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모든 종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범용적인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서버(3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기준에 관한 기준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 일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정보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해 필요한 입력 데이터의 종류 및 입력 데이터를 결정하는 기준,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한 함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된 값에 매핑된 데이터 전송률을 나타내는 테이블,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소정의 시간 간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해 필요한 입력 데이터에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입력 데이터를 결정하는 기준에는, 디바이스 ID에 대응되는 값에 대한 정보,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을 결정하는 기준에 관한 정보, 분할된 복수 개의 시간 구간들 각각에 대응되는 값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 산출을 위한 기준 정보를 공유하는 서버일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서버(300)로부터 데이터 전송률을 수신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210-2에서,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 및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제1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 산출을 위한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ID 및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제1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전원이 인가되어 있는 이상, 일정 시간 간격으로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을 결정하고, 결정된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전원이 인가된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을 결정하고, 결정된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단계 S210-4에서, 서버(3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 및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제1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서버(300)가 단계 S210-4에서 산출한 제1 데이터 전송률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가 단계 S210-2에서 산출한 제1 데이터 전송률과 동일할 수 있다.
서버(3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 산출을 위한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ID 및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제1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S210-2와 단계 S210-4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서버(300)는 디바이스(100)로부터의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 산출을 위한 기준이 되는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 S210-2와 단계 S210-4는 소정의 시간 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버(300)는 디바이스(100)로부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이 요청이 수신되고, 디바이스(100)로부터 디바이스 ID가 수신되는 경우에만,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 및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제1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슬레이브 디바이스(200) 및 서버(300)가 동시에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212에서, 디바이스(1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0)는 외부 디바이스 또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를 수신하거나, 디바이스(100)의 메모리로부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 S214에서, 디바이스(100)는 서버(300)에게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을 요청할 수 있다.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과 동일한 데이터 전송률일 수 있다.
단계 S216에서, 디바이스(100)는 획득된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를 서버(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218에서, 디바이스(100)는 서버(300)로부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에 기초하여 산출된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0)는 서버(300)에게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정보에는 사용자 ID, 패스 워드, 공인인증서 중 어느 하나 및 이들의 조합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이 되는 경우에만, 서버(300)로부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에 기초하여 산출된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수신할 수도 있다.
단계 S220에서, 디바이스(100)는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제1 데이터 전송률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현재 데이터 전송률과 동일한 제1 데이터 전송률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고 하는 것은, 디바이스(100)가 UART 포트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직렬(serial)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현재 데이터 전송률과 동일한 제1 데이터 전송률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소프트웨어의 버전 정보, 아이피 주소, 디바이스 ID, 패스워드(password), 부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오류를 수정(debugging)할 수 있다.
단계 S222-2에서,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 및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제2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제2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S222-2에서의 '현재 시각'은, 단계 S210-2의 '현재 시각'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간격 이후의 시각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에서, 소정의 시간 간격은 단계 S210-2의 '현재 시각'으로부터 제1 시간 구간의 끝점(end point)까지의 시간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시간 간격은 단계 S210-2의 '현재 시각'으로부터 제2 시간 구간의 시작점(starting point)까지의 시간 간격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에서, 소정의 시간 간격은, 단계 S210-2의 '현재 시각'으로부터,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이 제1 시간 구간에서 제2 시간 구간으로 변경되는 시각까지의 시간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단계 S222-4에서, 서버(3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 및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제2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제2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서버(300)가 단계 S222-4에서 산출한 제2 데이터 전송률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가 단계 S222-2에서 산출한 제2 데이터 전송률과 동일할 수 있다.
단계 S210-4에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서버(3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단계 S224에서, 디바이스(100)는 서버(300)에게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을 요청할 수 있다. 다만, 단계 S224는 생략될 수 있다. 서버(300)는 디바이스(100)로부터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제1 데이터 전송률이 산출되고 소정이 시간 간격 이후에 산출된 제2 데이터 전송률을 디바이스(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226에서, 디바이스(100)는 서버(300)로부터 산출된 제2 데이터 전송률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228에서, 디바이스(100)는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제2 데이터 전송률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10에서,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 및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제1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도 3의 단계 S310은 도 2에 도시된 단계 S210-2와 대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중복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S312에서, 디바이스(1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의 단계 S312은 도 2에 도시된 단계 S212와 대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중복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S314에서, 디바이스(100)는 서버(300)에게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하, '애플리케이션')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기준에 관한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현재의 데이터 전송률과 동일한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모델 별로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는 서버(300)에게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를 제공하고, 서버(300)에게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316에서, 디바이스(100)는 서버(300)로부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0)는 서버(300)에게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서버(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정보에는, 사용자 ID, 패스 워드, 공인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서버(300)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이 되는 경우에만 디바이스(100)에게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318에서, 디바이스(100)는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 및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제1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0)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데 필요한 입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데 필요한 입력 데이터에는, 사용자 로그인 정보 및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 및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제1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산출한 제1 데이터 전송률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가 단계 S310에서 산출한 제1 데이터 전송률과 동일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디바이스(100)는 산출된 제1 데이터 전송률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현재 데이터 전송률과 동일한 제1 데이터 전송률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고 하는 것은, 디바이스(100)가 UART 포트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직렬(serial)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현재 데이터 전송률과 동일한 제1 데이터 전송률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소프트웨어의 버전 정보, 아이피 주소, 디바이스 ID, 패스워드(password), 부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오류를 수정(debugging)할 수 있다.
단계 S322-2에서,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 ID 및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제2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제2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S322-2에서의 '현재 시각'은, 단계 310의 '현재 시각'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간격 이후의 시각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소정의 시간 간격은 단계 S310의 '현재 시각'으로부터 제1 시간 구간의 끝점(end point)까지의 시간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에서, 소정의 시간 간격은 단계 S310의 '현재 시각'으로부터 제2 시간 구간의 시작점(starting point)까지의 시간 간격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에서, 소정의 시간 간격은, 단계 S210-2의 '현재 시각'으로부터,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이 제1 시간 구간에서 제2 시간 구간으로 변경되는 시각까지의 시간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단계 S322-4에서, 디바이스(100)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 및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제2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제2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S322-2와 단계 S322-4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동시에 제2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단계 S324에서, 디바이스(100)는 산출된 제2 데이터 전송률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바이스(100)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기준에 관한 기준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3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외부 서버 또는 플랫폼(platform)으로부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할 수도 있다.
종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는 클록 수를 소정의 숫자로 나누어 결정된 데이터 전송률 등의 잘 알려진 데이터 전송률을 사용하여, 누구든지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데이터 전송률을 쉽게 예측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누구든지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데이터 전송률과 대응되는 데이터 전송률로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 및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슬레이브 디바이스(200)가 산출한 데이터 전송률은 잘 알려진 데이터 전송률이 아니기 때문에,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에 대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기준에 관한 기준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300)로부터 소정의 인증 요건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을 수신하거나,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게 함으로써,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에 대해 권한이 있는 사용자에게만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통신이 허용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일정 시간 간격 이후에 디바이스 ID 및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다시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한다.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일정 시간 간격으로 변경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에 대응되도록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률을 변경해야 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에 대한 보안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 및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기준에 관한 기준 정보는, 하루 24시간을 복수의 시간 구간들로 나누는 기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기준에 관한 기준 정보는, 하루 24시간을 10분씩 144개(24 * 60/10=144)의 시간 구간들로 나누는 것을 기준 정보로 포함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시각이 동일한 시간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시각에 기초하여 산출된 데이터 전송률이 동일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기준에 관한 기준 정보는, 하루 24시간을 10분씩의 복수의 시간 구간들(A, B, C, D)로 나누는 기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현재 시각(412)이 3시 14분인 경우, 제1 현재 시각(412)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은 B 시간 구간일 수 있다. 또한, 제2 현재 시각(414)이 3시 20분인 경우, 제2 현재 시각(414)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은 제1 현재 시각(412)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과 상이한 C 시간 구간일 수 있다. 또한, 제3 현재 시각(416)이 3시 24분인 경우, 제3 현재 시각(416)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은 제2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과 동일한 C 시간 구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시각이 제1 현재 시각(412)인 경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한 기준에 관한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 및 제1 현재 시각(412)에 대응되는 B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제1 현재 시각 및 제2 현재 시각은 서로 다른 시간 구간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제1 현재 시각에 산출한 데이터 전송률은 제2 현재 시각에 산출한 데이터 전송률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한 기준에 관한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 및 제1 현재 시각(412)에 대응되는 B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제1 현재 시각(412) 및 제2 현재 시각(414)은 서로 다른 시간 구간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제1 현재 시각(412)에 산출한 데이터 전송률은 제2 현재 시각(414)에 산출한 데이터 전송률과 상이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현재 시각(414)과 제3 현재 시각(416)은 동일한 시간 구간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제3 현재 시각(416)에 산출한 데이터 전송률은 제2 현재 시각(414)에 산출한 데이터 전송률과 동일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하루 24시간을 10분씩의 복수의 시간 구간들(A, B, C, D)로 나누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개시된 실시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기준에 관한 기준 정보는, 하루 24시간을 다양한 기준의 복수의 시간 구간들로 나누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기준에 관한 기준 정보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소정의 시간 간격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소정의 시간 간격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소정의 시간 간격은, 데이터 전송률이 산출된 현재 시각으로부터, 데이터 전송률이 산출된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의 끝점(end point)까지의 시간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현재 시각(412)인 3시 14분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 B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이 산출된 경우, 소정의 시간 간격은 제1 현재 시각(412)인 3시 14분으로부터 B 시간 구간의 끝점까지의 시간 간격(420)을 의미할 수 있다.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한 기준에 관한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 및 제1 현재 시각(412)인 3시 14분에 대응되는 B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현재 시각(412)인 3시 14분으로부터 시간 간격(420) 이후에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 및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C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에서,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소정의 시간 간격은, 데이터 전송률이 산출된 현재 시각으로부터,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이 변경되는 시작점(start point)까지의 시간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현재 시각(412)인 3시 14분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 B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이 산출된 경우, 소정의 시간 간격은, 제1 현재 시각(412)인 3시 14분으로부터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이 B 시간 구간에서 C 시간 구간으로 변경되는 시작점까지의 시간 간격(422)을 의미할 수 있다.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한 기준에 관한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 및 제1 현재 시각(412)인 3시 14분에 대응되는 B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현재 시각(412)인 3시 14분으로부터 시간 간격(422) 이후에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 및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C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에서,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소정의 시간 간격은, 데이터 전송률이 산출된 현재 시각으로부터,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이 다음 시간 구간으로 변경되는 최소 시각까지의 시간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현재 시각(414)인 3시 20분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 C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이 산출된 경우, 소정의 시간 간격은 제2 현재 시각(414)인 3시 20분으로부터,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이 C 시간 구간의 다음 시간 구간인 D 시간 구간으로 변경되는 최소 시각인 3시 30분 0초까지의 시간 간격(424)을 의미할 수 있다.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한 기준에 관한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 및 제2 현재 시각(414)인 3시 20분에 대응되는 C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현재 시각(414)인 3시 20분으로부터 시간 간격(424) 이후에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 및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D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 산출을 위한 기준이 되는 기준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예시가 도시된다.
도 5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하,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 전송률 산출을 위한 로그인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창(500a)을 제공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창(500a)은 사용자 ID 입력란(512), 패스워드 입력란(514), 및 로그인 버튼(516)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로그인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창(500a)을 통하여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로그인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창(500a)을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이 되는 경우에만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입력창(500b)을 제공할 수 있다.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입력창(500b)은 디바이스 ID 입력란(520), 복수 개의 디바이스 ID들을 포함하는 목록(522), 및 입력된 디바이스 ID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통신을 명령하는 연결(connect) 버튼(52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입력창(500b)은, 도 5a에 도시된 로그인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창(500a)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이 되는 경우 제공되는 창일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애플리케이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입력창(500b)을 통하여, 복수 개의 디바이스 ID들을 포함하는 목록(522)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 ID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 ID를 디바이스 ID 입력란(520)에 대한 입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 ID 입력란(520)에 대한 입력이 수신되고, 연결 버튼(524)에 대한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디바이스 ID 입력란(520)에 입력된 디바이스 ID인 'ID-0001A' 및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시리얼 넘버(S/N)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입력창(500c)을 제공할 수 있다.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입력창(500c)은 시리얼 넘버의 입력란(532), 시리얼 넘버의 입력란(532)에 입력된 값을 시리얼 넘버로 결정하는 Enter 버튼(534), 디바이스 ID 입력란(536), 및 디바이스 ID 입력란(536)에 입력된 디바이스 ID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통신을 명령하는 연결(connect) 버튼(538)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입력창(500c)은, 도 5a에 도시된 로그인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창(500a)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이 되는 경우 제공되는 창일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애플리케이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입력창(500c)을 통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시리얼 넘버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시리얼 넘버 입력란(532)에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시리얼 넘버에 대한 입력이 수신되고, Enter 버튼(534)에 대한 입력이 수신되면, 시리얼 넘버 입력란(532)에 입력된 'S1234567890*'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1234567890*'에 매핑된 디바이스 ID가 'ID-0001A'인 경우, 디바이스(100)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를 'ID-0001A'로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를 디바이스 ID 입력란(536)에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연결 버튼(538)에 대한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디바이스 ID 입력란(536)에 표시된 디바이스 ID 및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에 대응되는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프로세서(1300), 메모리(1700), 통신모듈(15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디바이스(10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6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디바이스(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디바이스(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도 6에 도시된 프로세서(1300), 메모리(1700), 통신 모듈(1500) 이외에 사용자 입력부(1100), 출력부(1200), 센싱부(1400), 및 A/V 입력부(16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0)는, 사용자가 디바이스(1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10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입력부(11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100)는,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에 대응되는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한 입력 데이터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1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정보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12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부(1200)는 디스플레이부(1210), 음향 출력부(1220), 및 진동 모터(12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0)는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10)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창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1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통신으로 획득된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10)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1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210)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1210)는 힌지(hinge)를 이용하여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220)는 통신부(150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220)는 디바이스(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220)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진동 모터(1230)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1230)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예컨대,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의 출력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1230)는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0)는, 통상적으로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0)는,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입력부(1100), 출력부(1200), 센싱부(1400), 통신 모듈(1500), A/V 입력부(160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를 획득한다. 프로세서(1300)는 획득된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 및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제1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제1 데이터 전송률을 획득한다. 프로세서(1300)는 획득된 제1 데이터 전송률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300)에 의해 획득된 제1 데이터 전송률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에 의해 산출된 제1 데이터 전송률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3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기준에 관한 기준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300)에게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제1 데이터 전송률에 대응되는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요청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0)는 서버(300)로부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수신하기 위해 획득된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를 서버(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0)는 서버(300)로부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제1 데이터 전송률과 동일한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3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기준에 관한 기준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300)로부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요청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0)는 서버(300)로부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0)는 수신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0)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수신된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0)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 및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제1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0)는 수신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기준에 관한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300)는 소정 시간 간격이 지난 후에,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 및 현재 시각에 기초한 제2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의 통신을 위한 제2 데이터 전송률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데이터 전송률은 제1 데이터 전송률과 상이할 수 있다.
센싱부(1400)는, 디바이스(100)의 상태 또는 디바이스(1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140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410),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420), 온/습도 센서(1430), 적외선 센서(1440), 자이로스코프 센서(1450), 위치 센서(예컨대, GPS)(1460), 기압 센서(1470), 근접 센서(1480),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14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신 모듈(1500)은, 디바이스(100)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 또는 디바이스(100)와 서버(300) 간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1500)은, 근거리 통신부(1510), 이동 통신부(1520), 방송 수신부(1530)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51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152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530)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디바이스(100)가 방송 수신부(15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통신 모듈 (1500)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전송률과 대응되는 데이터 전송률을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슬레이브 디바이스(200), 서버(300) 및 주변 기기와 송수신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6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610)와 마이크로폰(162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610)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제어부(130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161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70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50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610)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화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1700)는, 프로세서(13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및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고, 디바이스(100)로 입력되거나 디바이스(1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1710), 터치 스크린 모듈(1720), 알림 모듈(1730)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1710)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디바이스(1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근접 센서가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스와이프 등이 있을 수 있다.
알림 모듈(1730)은 디바이스(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알림 모듈(1730)은 디스플레이부(1210)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1220)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1230)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고 실행할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기록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 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을 포함하고,) 광학적 판독 매체, 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복수의 기록 매체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있을 수 있으며, 분산된 기록 매체들에 저장된 데이터, 예를 들면 프로그램 명령어 및 코드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Claims (19)

  1.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통신 모듈;
    메모리; 및
    상기 통신 모듈과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ID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디바이스 ID 및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제1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제1 데이터 전송률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1 데이터 전송률에 기초하여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획득된 제1 데이터 전송률은, 상기 제1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의해 산출된 제1 데이터 전송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인,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소정 시간 간격이 지난 후에,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과 상이한 제2 데이터 전송률을 획득하고, 상기 제2 데이터 전송률에 기초하여,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디바이스.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기준에 관한 기준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에게,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디바이스.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기준에 관한 기준 정보는,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 및 상기 서버에 의해 공유되는 것인, 디바이스.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정보는, 상기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에 관한 정보, 상기 데이터 전송률을 변경하는 시간 간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디바이스.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ID를 상기 서버에게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디바이스.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기준에 관한 기준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에게,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디바이스.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기준에 관한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것인, 디바이스.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디바이스.
  10. 디바이스가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ID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디바이스 ID 및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제1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제1 데이터 전송률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제1 데이터 전송률에 기초하여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획득된 제1 데이터 전송률은, 상기 제1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의해 산출된 제1 데이터 전송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인,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소정 시간 간격이 지난 후에,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과 상이한 제2 데이터 전송률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데이터 전송률에 기초하여,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기준에 관한 기준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에게,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기준에 관한 기준 정보는,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 및 상기 서버에 의해 공유되는 것인, 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정보는, 상기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에 관한 정보, 상기 데이터 전송률을 변경하는 시간 간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ID를 상기 서버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기준에 관한 기준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에게,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기준에 관한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것인, 방법.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정보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률을 산출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 10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70113347A 2017-09-05 2017-09-05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360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347A KR102360182B1 (ko) 2017-09-05 2017-09-05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US16/631,622 US11044036B2 (en) 2017-09-05 2018-07-05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slave device
PCT/KR2018/007604 WO2019050142A1 (ko) 2017-09-05 2018-07-05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347A KR102360182B1 (ko) 2017-09-05 2017-09-05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432A true KR20190026432A (ko) 2019-03-13
KR102360182B1 KR102360182B1 (ko) 2022-02-08

Family

ID=65634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347A KR102360182B1 (ko) 2017-09-05 2017-09-05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44036B2 (ko)
KR (1) KR102360182B1 (ko)
WO (1) WO20190501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390B1 (ko) * 2018-11-30 2020-06-11 주식회사 티에스시 식별자기반통신시스템
CN114449020B (zh) * 2020-10-19 2023-11-10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运行设备基于控制终端的运行方法、电子设备、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4526B1 (en) * 2001-07-31 2008-09-09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Internet service node incorporating a bandwidth measurement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for evaluating data transfers
US20110194568A1 (en) * 2010-02-08 2011-08-11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160188509A1 (en) * 2014-12-31 2016-06-30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Method for automatically matching electronic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0910B2 (en) 2004-08-30 2010-02-09 Lantronix, Inc. Secure communication port redirector
JP5877388B2 (ja) * 2010-12-20 2016-03-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端末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JP5372988B2 (ja) * 2011-03-22 2013-12-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ータ同期サーバ、システム、及びデータ転送帯域制御方法
US9591679B2 (en) 2012-09-17 2017-03-07 Blackberry Limited Initiation of inter-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5911601B2 (ja) 2012-11-28 2016-04-27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時刻同期方法
KR102064575B1 (ko) 2015-11-19 2020-02-11 한국전기연구원 디바이스 간의 시각 동기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4526B1 (en) * 2001-07-31 2008-09-09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Internet service node incorporating a bandwidth measurement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for evaluating data transfers
US20110194568A1 (en) * 2010-02-08 2011-08-11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160188509A1 (en) * 2014-12-31 2016-06-30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Method for automatically matching electronic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77301A1 (en) 2020-06-04
KR102360182B1 (ko) 2022-02-08
WO2019050142A1 (ko) 2019-03-14
US11044036B2 (en)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47070B (zh) 使用能唯一识别且未标记的位置的移动设备上的主动动作
JP6130968B2 (ja) スマート端末制御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20150106856A (ko) 디바이스 내의 폴더를 암호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1801743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virtual image through hmd device
KR102349454B1 (ko) 서비스의 이용 권한을 공유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US9930479B2 (en) Method,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for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KR20160083760A (ko) 홈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EP3016377B1 (en)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and display system
KR102306536B1 (ko) 위젯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8022026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ime zon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04090921A (zh) 多媒体文件播放方法、装置、终端及服务器
US10165404B2 (en) Method for triggering operation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3098449A (zh) 用户设备,服务器和操作条件设定系统
CN105654211A (zh) 信息推送方法及装置
KR20190026432A (ko)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319419B1 (ko) 디바이스들 간의 거리를 결정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N104050236A (zh) 网站内容更新提示方法、服务器和客户端
US101628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KR102317090B1 (ko) 스마트 키의 기능을 공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EP2876641B1 (en) Slide show-providing device and method
US9979492B2 (en) Method of shar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based on sound signal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10873847B2 (en) Method and host device for communicating among multiple devices
US9900489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device use information
KR20170074732A (ko)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서버
KR20150106803A (ko) 디바이스 내의 파일 시스템 구조를 암호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