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8265A -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osture monitoring - Google Patents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osture monito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8265A
KR20190018265A KR1020170103008A KR20170103008A KR20190018265A KR 20190018265 A KR20190018265 A KR 20190018265A KR 1020170103008 A KR1020170103008 A KR 1020170103008A KR 20170103008 A KR20170103008 A KR 20170103008A KR 20190018265 A KR20190018265 A KR 20190018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bending
degree
right directions
po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0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재중
이형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이드웨이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이드웨이,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이드웨이
Priority to KR1020170103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8265A/en
Publication of KR20190018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26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5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characterised by tactile indication, e.g. vibration or electrical stimu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osture monitoring device comprises: a first sensor sensing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ased on the midsagittal plane; a second sensor sensing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front and back directions based on the coronal plane; an analysis unit analyzing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waist based on the sensed values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nd a communication unit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sensed value of the first sensor, the sensed value of the second sensor, and analysis data of the analysis unit to a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urate posture of a user (U) is monitored by sensing all the degree of bending (bending angle) of a waist of the user (U) in the left, right, front, and back directions. The user (U) can perceive his/her posture and calibrate the posture in a correct posture by the posture monitoring device displaying the current posture as an image through the smart device or informing the wrong posture through alarm or vibration.

Description

자세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및 방법{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OSTURE MONITORING}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ture monito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세 교정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앞으로 굽힌 자세나 옆으로 틀어진 자세를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자세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a system and a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osture monitoring capable of simultaneously monitoring a bent posture or a side posture.

현대인의 불균형한 자세 습관은 질병과 통증을 유발한다. 등하교나 출근시의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거북목 증후근, 지하철 내 자세 불안정으로 인한 허리 통증, 장시간 의자에 앉아 컴퓨터를 봐야하는 회사원의 어깨 결림 등이 대표적인 예이며, 그밖에도 일자목, 안면비대칭, 척추측만증, 골반불균형, 휜다리, 족부불균형 등 다양한 질환이 발생하고 있다. 불균형한 자세는 불균형한 성장 발육과 같은 신체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집중력 저하 등의 정신적인 영향을 초래하기도 한다.The unbalanced posture habits of modern people cause illness and pain. Typical examples are turtle neck syndrome due to the use of smartphones during the commute to and from school, back pain caused by unstable posture in the subway, and shoulder stiffness of an office worker who has to sit on a chair for a long time. Scoliosis, pelvic imbalance, swinging, and foot imbalance. An unbalanced posture may cause not only physical effects such as unbalanced growth and development but also mental influences such as loss of concentration.

위와 같은 고통을 호소하는 많은 이들이 병원을 찾아 엑스레이 검사, 족저압 검사, 체형 분석 검사, 보행 검사, 체성분 검사, 운동기능 검사, 관절기능 검사 등을 통하여 자세 불균형에 기인한 것인지 확인한 뒤 양방 혹은 한방의 직간접적인 치료를 수행하게 된다. Many of the above-mentioned sufferers visited the hospital to find out whether they were caused by posture imbalance through x-ray examination, foot low pressure test, body composition test, gait test, body composition test, Direct or indirect treatment is performed.

하지만, 척추 교정 등의 치료가 진행된 이후에도 오랜 시간에 걸쳐 습관이 되어버린 자세나 걸음걸이는 쉽게 고쳐지지 않고, 그 결과 동일한 증상이 반복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However, even after the treatment such as chiropractic, the posture or the gait that has become habit for a long time is not easily fixed, and the same symptom is repeated as a result.

자세에 기인한 질환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체형 건강을 지키기 위한 자세 교정, 다시 말해, 바르게 앉기, 바르게 서기, 바르게 걷기가 습관화되어야 하지만, 스스로 자각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In order to solve the disease caused by the posture, it is necessary to correct the posture for keeping the body health, that is, to sit properly, to stand properly, to walk properly, but it is difficult to self-aware, We need means.

이를 감안하여 자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가 많이 개발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7856호(발명의 명칭: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는 방석에 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센싱하고,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자세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구성을 갖는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은 방석을 벗어나게 되면 사용자의 자세를 센싱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평소 걸어다닐 때의 사용자 자세는 전혀 모니터링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many devices for monitoring the posture have been develope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7-0017856 (entitled "A posture correcting device interlocked with a terminal") is equipped with a sensor on a cushion to sense a posture of a user and transmits information about a posture to a user . However, such a configuration has a problem that not only the user's posture can be sensed when the cushion gets out of the cushion, but also the user's posture can not be monitored at all when walking.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0353호(발명의 명칭: 자세교정을 위한 생체신호 측정장치)는 피검자의 스포츠 의복에 부착되는 근전도센서 및 관성센서를 통한 생체신호 측정을 통하여 피검자의 자세 교정에 활용하는 구성을 갖는다. 하지만, 사용자의 걸음 걸이와 같은 자세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어렵고, 구성이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생체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허리 굽힘 정도를 정확히 센싱하기에는 기술적 어려움이 존재한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7-0000353 (title of the invention: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is a device for measuring posture of an examinee through the measurement of a living body signal through an electromyographic sensor and an inertial sensor attached to the subject's sports clothes . However, it is difficult to monitor the attitude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gait in real time, the configuration is very complicated, and there is a technical difficulty in accurately sensing the degree of the user's waist bend using the bio-signal.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6774호(발명의 명칭: 자세 분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는 사용자의 자세 정보를 추출하고, 자세 정보를 분석하여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은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촬영부를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일상적인 자세를 분석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구성이 복잡하고 착용이 어렵기 때문에 실생활에 이용되기에는 부적합한 면이 없지 않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106774 (entitled "POSITION ANALYSIS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user's attitude information and analyzing attitude information to provide feedback. However, such a configuration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nalyze the user's daily posture because the imaging unit for acquiring an image for the user must be provided. 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difficult to wear, there is nothing unsuitable for real life use.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서는 24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자세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분석하여 피드백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구성이 단순하고 휴대성이 높아야 하며 사용자의 다양한 자세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사용자의 자세는 허리의 굽힘 정도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뒤틀림 정보까지 측정할 수 있어야 하지만, 현재까지는 사용자의 자세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하나의 장치로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이 개발되지 않고 있다.In order to calibrate the user's postur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monitor the user's posture for 24 hours, and analyze and feedback the user's posture. 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uld be simple, high in portability, and able to effectively measure various postures of the user. The user's posture should be able to measure not only the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back but also the distortion information. However, up to now, a means for measuring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posture by a single device has not been developed.

특허문헌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7856호 (2017.02.15. 공개)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7-0017856 (published Feb. 15, 2017) 특허문헌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0353호 (2017.01.02. 공개)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7-0000353 (published on Feb. 1, 2017) 특허문헌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6774호 (2015.09.22. 공개)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5-0106774 (published on September 22, 201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허리 굽힘 정도 및 뒤틀림 정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스마트 단말로 피드백을 제공하는 자세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ttitude monitor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to a smart terminal by measuring a degree of bending of a user and a degree of distortion of a user in real ti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장치는 시상면(Midsagittal Plane)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의 굽힘 정도를 센싱하는 제1 센서; 관상면(Coronal Plane)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의 굽힘 정도를 센싱하는 제2 센서; 상기 제1 센서 및 제2 센서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허리의 전·후·좌·우 방향의 굽힘 정도를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제1 센서의 센싱값, 상기 제2 센서의 센싱값 및 상기 분석부의 분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sture monitoring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sensor for sensing a degree of bending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based on a sidewall; A second sensor for sensing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n the basis of the coronal plane; An analyzer for analyzing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waist based on the sensed values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a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a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and analysis data of the analysis unit to the smart device.

그리고,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를 수용하며, 허리의 전·후·좌·우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플렉서블 바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flexible body portion accommodating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nd having elasticity in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waist.

또한, 상기 플렉서블 바디부는, 상기 좌·우 방향으로만 탄성을 갖고 상기 제1 센서를 수용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전·후 방향으로만 탄성을 갖고 상기 제2 센서를 수용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flexible body may include a first region having elasticity on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ccommodating the first sensor and a second region having elasticity onl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accommodating the second sensor can do.

그리고, 허리의 전·후·좌·우 방향의 굽힘 정도가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진동에 의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햅틱 반응부; 및 허리의 전·후 굽힘 및 좌·우 굽힘의 방향성을 판단하는 방향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haptic reaction unit for providing feedback by vibration when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waist continue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an a predetermined angle; And a direction sensor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ality of the front / rear bending and the left / right bending of the waist.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은, 자세 모니터링 장치 및 스마트 디바이스를 구성으로 하는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세 모니터링 장치는, 시상면(Midsagittal Plane)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의 굽힘 정도를 센싱하는 제1 센서; 관상면(Coronal Plane)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의 굽힘 정도를 센싱하는 제2 센서; 상기 제1 센서 및 제2 센서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허리의 전·후·좌·우 방향의 굽힘 정도를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제1 센서의 센싱값, 상기 제2 센서의 센싱값 및 상기 분석부의 분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부; 허리의 전·후·좌·우 방향의 굽힘 정도가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진동에 의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햅틱 반응부; 및 허리의 전·후 굽힘 및 좌·우 굽힘의 방향성을 판단하는 방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자세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전달된 상기 제1 센서의 센싱값, 상기 제2 센서의 센싱값 및 상기 분석부의 분석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전·후·좌·우 방향의 굽힘 정도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ttitude monitoring system including a posture monitoring device and a smart device, wherein the posture monitoring device includes a left / A first sensor for sensing a degree of bending in the right direction; A second sensor for sensing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n the basis of the coronal plane; An analyzer for analyzing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waist based on the sensed values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 communication unit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a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a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and analysis data of the analysis unit to the smart device; A haptic reaction unit for providing feedback by vibration when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waist lasts for a predetermined time longer than a predetermined angle; And a direction sensor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ality of the front and the back bending and the left and right bending of the waist, wherein the smart device comprises: a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transmitted from the attitude monitoring device; Value and analysis data of the analysis unit; And a touch screen for displaying the degrees of bending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방법은 시상면(Midsagittal Plane)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의 굽힘 정도를 센싱하는 제1 센서로부터 제1 센싱값을 수신하는 단계; 관상면(Coronal Plane)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의 굽힘 정도를 센싱하는 제2 센서로부터 제2 센싱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싱값 및 상기 제2 센싱값에 기초하여 사용자 허리의 전·후·좌·우 방향의 굽힘 정도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전·후·좌·우 방향의 굽힘 정도가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면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고 신호가 생성되면 진동에 의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sture monitoring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first sensed value from a first sensor that senses degrees of bending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based on a sidewall plane; Receiving a second sensed value from a second sensor sensing a degree of bending in a forward and a backward direction based on a coronal plane; Analyzing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user's waist based on the first sensing value and the second sensing value; Generating a warning signal when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continues for a predetermined time longer than a predetermined angle; And providing feedback by vibration when the warning signal is generated.

본 발명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허리 굽힘 정도(굽힘 각도) 및 뒤틀림 정도(뒤틀림 각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자세 교정에 이용할 수 있게 한다. According to the posture monitor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eedback is provided to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by measuring in real time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user (bending angle) and degree of warping (warping angle) Make it available for calibration.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장치의 기본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장치에 구비된 제1 센서 및 제2 센서의 구성, 배치 및 동작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장치에 구비된 제1 센서 및 제2 센서의 구성, 배치 및 동작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장치에 구비된 제1 센서 및 제2 센서의 구성, 배치 및 동작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A and 1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basic operation of the posture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ttitude monitoring apparatus and 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rrangement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provided in the posture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rrangement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provided in the attitude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rrangement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provided in the posture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of a posture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ttitude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장치(100)의 기본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장치(100)는 사용자(U)의 척추 방향을 따라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U)의 허리 영역에 척추 방향을 따라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장치(100)는 사용자(U)의 피부에 부착되기 위한 부착 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1A and 1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basic operation of the posture monito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A and 1B, the posture monito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ttached along the vertebra of the user U. FIG. Preferably in the waist region of the user U along the spinal direction. Therefore, the posture monito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taching means (not shown) for attaching to the skin of the user U.

부착 수단은 접착력을 갖는 부착 패드(pad)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착 패드는 사용자(U)의 피부에 장시간 부착되어도 피부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하이드로겔을 이용함으로써 5회 내지 10회 정도 반복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부착 패드는 교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예로, 부착 수단은 사용자(U)의 허리를 둘러싸는 밴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밴드 형태의 부착 수단은 적절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벨크로를 구비하여 사용자(U)의 허리 사이즈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The attachment means may comprise an attachment pad having an adhesive force. The attachment pad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affect the skin even if it is attached to the skin of the user U for a long time. For example, the attachment pad can be detachably attached by repeating 5 to 10 times by using a hydrogel. Preferably, the attachment pad is of a replaceable construction. As another example, the attachment means may be in the form of a band surrounding the waist of the user U. The band-shaped attaching means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ppropriate elasticity and is provided with a velcro and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waist size of the user U.

사용자(U)의 허리 영역에 부착된 자세 모니터링 장치(100)는 사용자(U)의 자세와 관련한 정보를 센싱하여 스마트 디바이스(200)로 전송하고, 사용자(U)는 스마트 디바이스(200)을 통해 전달되는 자세 관련 정보를 통해 스스로 자세를 바로잡을 수 있다. The posture monitoring apparatus 100 attached to the waist region of the user U sens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sture of the user U and transmits the sensed information to the smart device 200. The user U transmits the sensed information through the smart device 200 It is possible to correct posture by oneself through the posture related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사용자(U)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를 좌·우 방향(R1)으로 비틀거나, 전·후 방향(R2)으로 굽히거나 펴는 동작을 한다. 인체해부학적으로 인체의 면(planes of the human body)은 관상면(Coronal Plane), 시상면(Midsagittal Plane), 수평면(Transvers Plane), 대각선면(Oblique Plane)으로 나눌 수 있다. 관상면은 인체의 한쪽 측면에서 반대측 측면까지 수직으로 통과하여 앞뒤로 나누는 수직 평면을 의미하며, 더욱 구체적으로 귀-외이도와 견봉을 중심으로 인체를 앞뒤로 나누는 면을 의미하고, 시상면은 인체를 앞에서 뒤까지 수직으로 통과하는 면으로 인체를 좌우로 균등하게 나누는 면을 의미하며, 수평면은 지면과 평행하게 수평으로 통과하여 인체를 위아래로 나누는 면을 의미하고, 대각선면은 한쪽 어깨 끝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나누는 면을 의미한다.The user U operates to twist the waist in the left-right direction R1 or bend or straighten the wais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R2 as shown in Fig. 1B. Human anatomically, the planes of the human body can be divided into coronal planes, midsagittal planes, transverse planes, and oblique planes. The coronal plane refers to a vertical plane that passes vertically through one side of the human body to the opposite side and divides back and forth. More specifically, it refers to a plane dividing the human body back and forth around the ear-ear canal and the acromion, And the horizontal plane is a plane passing horizontally parallel to the ground to divide the human body up and down, and the diagonal plane is a plane dividing the diagonal direction from one shoulder end Surface.

도 1b의 R1 방향은 시상면을 기준으로 좌우로 굽히는 방향을 의미하고, R2 방향은 관상면을 기준으로 전후로 굽히거나 펴는 방향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R1 방향은 허리를 좌우로 뒤트는 방향이고, R2 방향은 허리를 앞뒤로 굽히거나 펴는 방향을 의미한다.The R1 direction in Fig. 1B means a direction bending to the left and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sagittal plane, and the R2 direction means a direction to bend or stretch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coronal plane. Likewise, the R1 direction is a direction in which the waist is twisted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R2 direction is a direction to bend or stretch the waist back and forth.

본 발명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장치(100)는 사용자(U)의 허리의 좌·우·전·후 방향의 굽힘 정도(굽힘각)를 모두 센싱하여 사용자(U)의 정확한 자세를 모니터링하고, 스마트 디바이스(200)를 통해 현재 자세를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거나, 잘못된 자세를 알람이나 진동을 통해 알림으로써, 사용자(U)가 본인의 자세를 자각하고 바른 자세로 교정할 수 있도록 한다.The posture monito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accurate posture of the user U by sensing the degree of bending (bending angle) in the left, right, front, and back directions of the waist of the user U, The current posture is displayed as an image through the display unit 200 or the user U notifies the wrong posture through an alarm or vibration so that the user U can recognize his / her posture and calibrate the posture with the correct postur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장치(100) 및 시스템(10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1 센서(111), 제2 센서(112), 분석부(120), 햅틱 반응부(130), 통신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1000)은 자세 모니터링 장치(100)와 스마트 디바이스(200)를 포함하며,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컨트롤러(210), 통신부(220), 터치 스크린(230) 및 저장부(240)를 포함한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osture monitoring apparatus 100 and the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the posture monito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ensor 111, a second sensor 112, an analysis unit 120, a haptic reaction unit 130, a communication unit 140, And a storage unit 150. The posture monitoring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sture monitoring apparatus 100 and a smart device 200. The smart device 200 includes a controller 210, a communication unit 220, a touch screen 230, And a storage unit 240.

제1 센서(111)는 도 1b의 R1 방향, 다시 말해 시상면(Midsagittal Plane)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의 굽힘 정도를 센싱하는 센서로,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는 물체의 인장, 압축, 비틀림 등에 의해 원래의 길이에 대해 늘어나거나 줄어들게 되면 전기적 저항이 변화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변형률이나 변형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사용자(U)가 도 1b의 R1 방향으로 허리를 비틀게 되면, 제1 센서(111)는 센서의 변형(길이 변형)에 따른 전기적 저항의 변화량을 감지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U)의 허리 비틀림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The first sensor 111 is a sensor for sensing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R1 in FIG. 1B, that is, the sidewall plane. The sensor may be a strain gauge or the like. A strain gauge is a sensor that measures strain or deformation by using the principle that the electrical resistance changes when the object is stretched or shrunk with respect to the original length due to tensile, compression, or twisting. When the user U twists his / her waist in the direction R1 in FIG. 1B, the first sensor 111 detects a change amount of the electrical resistance due to deformation (length deformation) of the sensor, Can be determined.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1 센서(111) 외에 자이로 센서(gyro sensor)나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와 같은 방향 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U)가 허리를 좌측으로 뒤틀었는지, 우측으로 뒤틀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posture monito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rection sensor such as a gyro sensor or an acceleration sensor in addition to the first sensor 111 so that the user U can move the waist to the left It can be judged whether it is warped or warped to the right.

제2 센서(112)는 도 1b의 R2 방향, 다시 말해 관상면(Coronal Plane)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의 굽힘 정도를 센싱하는 센서로, 제1 센서(111)와 마찬가지로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U)가 도 1b의 R2 방향으로 허리를 굽히게 되면, 제1 센서(111)는 센서의 변형(길이 변형)에 따른 전기적 저항의 변화량을 감지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U)의 허리 비틀림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The second sensor 112 is a sensor for sensing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R2 direction, that is, the coronal plane of FIG. 1B. Like the first sensor 111, the strain gauge ), Or the like. When the user U bends the waist in the R2 direction of FIG. 1B, the first sensor 111 detects a change amount of the electrical resistance due to the deformation (length deformation) of the sensor, Can be determined.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2 센서(112) 외에 자이로 센서(gyro sensor)나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와 같은 방향 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U)가 허리를 앞쪽으로 굽혔는지 뒤쪽으로 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posture monito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rection sensor such as a gyro sensor or an acceleration sensor in addition to the second sensor 112 so that the user U can move the waist forward It can be judged whether it is bent or extended backward.

제1 센서(111) 및 제2 센서(112)는 별개의 구성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자이로 센서나 가속도 센서는 제1 센서(111)와 통합된 복합 센서로 구현되거나, 제2 센서(112)와 통합된 복합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gyro sensor or the acceleration sensor may be implemented as a composite sensor integrated with the first sensor 111 or the second sensor 112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sensor, ) Can be implemented as a combined sensor.

제1 센서(111)와 제2 센서(112)의 구조 및 배치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12를 참조하면서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the first sensor 111 and the second sensor 11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분석부(120)는 제1 센서(111) 및 제2 센서(112)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허리의 전·후·좌·우 방향의 굽힘 정도를 분석한다. 분석부(120)는 제1 센서(111)의 센싱값 및 제2 센서(112)의 센싱값을 분석하고, 허리의 전·후·좌·우 방향의 굽힘 정도가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면 경고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140)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200)로 전송하거나, 햅틱 반응부(130)를 통해 진동을 울릴 수 있다. 이때,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경고 표시, 경고음, 햅틱 반응 등의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피드백을 제공하여 사용자(U)의 자세 교정을 유도한다.The analysis unit 120 analyzes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waist based on the sensed values of the first sensor 111 and the second sensor 112. The analysis unit 120 analyzes the sensed value of the first sensor 111 and the sensed value of the second sensor 112 and determines whether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front / back / left / right directions of the wais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angle A warning signal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mart device 200 via the communication unit 140 or may be vibrated through the haptic reaction unit 130. [ At this time, the smart device 200 provides visual, auditory, and tactile feedback such as a warning display, a warning sound, and a haptic response to induce the posture correction of the user U.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장치(100)는 타이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타이머(미도시)는 허리의 전·후·좌·우 방향의 굽힘 정도가 기준값(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갖는다.To this end, the posture monito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imer (not shown). The timer (not shown) has a function of determining whether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waist lasts for a preset time longer than a reference value (predetermined angle).

통신부(140)는 제1 센서(111)에서 센싱된 로우 데이터, 제2 센서(112)에서 센싱된 로우 데이터 및 분석부(120)의 분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스마트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통신부(140)를 통한 자세 모니터링 장치(100)와 스마트 디바이스(20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 공지된 다양한 통신 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40 ha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raw data sensed by the first sensor 111, the raw data sensed by the second sensor 112 and the analysis data of the analysis unit 120 to the smart device 200 Respectively.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posture monitoring device 100 and the smart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can be performed by various known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Wi-Fi and Bluetooth.

저장부(150)는 제1 센서(111)에서 센싱된 로우 데이터, 제2 센서(112)에서 센싱된 로우 데이터 및 분석부(120)의 분석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저장부(150)는 사용자(U)의 자세와 관련하여 정상 자세에 대한 기준값, 다시 말해, 허리의 전·후·좌·우 방향의 굽힘 정도(굽힘 각도)에 대한 적정값을 저장한다. 상기 기준값은 스마트 디바이스(20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U)는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터치 스크린(230)을 통해 정상 자세에 대한 기준값을 입력하고, 입력된 기준값은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통신부(220)를 통하여 자세 모니터링 장치(100)로 전달되어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50 has a function of storing raw data sensed by the first sensor 111, raw data sensed by the second sensor 112, and analysis data of the analysis unit 120.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50 stores a reference value for the normal posture in relation to the posture of the user U, that is, an appropriate value for the bending degree (bending angle) in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waist . The reference value may be set by the user via the smart device 200. [ That is, the user U inputs a reference value for the normal attitude through the touch screen 230 of the smart device 200, and the inputted reference value is transmitted to the posture monitoring device 100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20 of the smart device 200 And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본 발명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1 센서(111) 및 제2 센서(112)에 의하여 허리의 전·후·좌·우 방향의 굽힘 정도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U)의 자세를 명확히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허리의 굽힘 정도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의 뒤틀림 정도까지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굽은 자세에 의한 일자목 등의 자세 교정뿐만 아니라 척추측만곡이나 다리 휨과 같이 나쁜 자세에 기인한 다양한 증상에 대처할 수 있게 된다.The posture monito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waist by the first sensor 111 and the second sensor 112, Can be clearly determined.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judge not only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waist but also the degree of twist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t is possible to cope with various symptoms caused by a bad posture such as spinal tangles or leg bending, .

다시 도 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1000)에 대해 설명한다.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1000)은 자세 모니터링 장치(100)와 스마트 디바이스(200)로 구성된다.Referring again to FIG. 2, the attitude monitoring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posture monitoring system 1000 includes an attitude monitoring apparatus 100 and a smart device 200. [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모바일 단말(mobile terminal),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워치(smart watch)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데스크탑(desktop), 태블릿 PC(tablet PC), 노트북(laptop),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를 비롯하여 통신 기능을 갖춘 카메라, 캠코더, 전자사전, 스마트TV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어느 특정 형태나 방식의 디바이스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mart device 200 may be a wearable device such as a mobile terminal, a smart phone, a smart watch, a desktop, a tablet PC, a laptop, ),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camera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 camcorder, an electronic dictionary, a smart TV, and the like.

자세 모니터링 장치(100)의 구성 및 기능은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s of the posture monitoring apparatus 100 are described in detail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자세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1 센서(111) 및 제2 센서(112)로부터 센싱된 사용자(U)의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즉각적으로 사용자(U)에 피드백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햅틱 반응부(130)를 통해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U)로 하여금 자세 교정이 필요함을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이때, 햅틱 반응부(130)의 반응 패턴 및 강도는 사용자(U)의 자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posture monitoring apparatus 100 may immediately give feedback to the user U based on the attitude information of the user U sensed by the first sensor 111 and the second sensor 112. [ For example, vibration may be generated through the haptic reaction unit 130 so that the user U can recognize that the posture correction is necessary. At this time, the reaction pattern and intensity of the haptic reaction unit 130 may vary depending on the posture of the user U.

한편, 자세 모니터링 장치(100)에서 센싱된 센싱값 혹은 분석 데이터는 스마트 디바이스(210)로 전달되고, 사용자(U)는 스마트 디바이스(210)를 통하여 현재 자신의 자세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nsing value or analysis data sensed by the attitude monitoring apparatus 100 is transmitted to the smart device 210, and the user U can continuously monitor his or her posture through the smart device 210. [

스마트 디바이스(210)는 사용자(U)의 전·후·좌·우 방향의 굽힘 정도를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거나, 기준값 대비 현재의 굽힘 각도 등을 수치로 표시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230)를 구비한다.The smart device 210 includes a touch screen 230 for displaying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user U in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an image or for displaying the current bending angle or the like with respect to a reference value in numerical values.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디바이스(210)는 사용자(U)의 전·후·좌·우 방향의 굽힘 정도(굽힘 각도)가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알람을 울리기 위한 스피커(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스마트 디바이스(210)는 사용자(U)의 전·후·좌·우 방향의 굽힘 정도(굽힘 각도)가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진동을 울리기 위한 진동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진동부(미도시)는 자세 모니터링 장치(100)에 구비되는 햅틱 반응부(130)와 동일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one embodiment, the smart device 210 is a speaker (e.g., a speaker) for ringing an alarm when the degree of bending (bending angle) of the user U in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longer than a predetermined angle for a predetermined time Not shown). 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smart device 210 may include a smart device 210 for evacuating vibrations when the degree of bending (bending angle) of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user U continues for a predetermined time, (Not shown). The vibration unit (not shown) may be the same as the haptic reaction unit 130 provided in the posture monitoring apparatus 1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스마트 디바이스(210)의 저장부(240)는 자세 모니터링 장치(100)로부터 전달된 제1 센서(111)의 센싱값, 제2 센서(112)의 센싱값 및 분석부(120)의 분석값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210)의 저장부(240)는 터치 스크린(230)을 통해 사용자(U)로부터 입력된 설정값, 예를 들어, 바른 자세의 기준을 나타내는 기준값(바른 자세에서의 허리의 전·후·좌·우 방향의 굽힘 각도), 바르지 못한 자세의 지속 상태(기준값 이상의 굽힘 각도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시간설정값 등을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240 of the smart device 210 stores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111,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112, and the analysis value of the analysis unit 120, Can be stored. The storage unit 240 of the smart device 210 stores a set value input from the user U through the touch screen 230, for example, a reference value indicating a reference of a correct posture The bending angle in the rearward direction, the leftward and rightward directions), and the time setting value for determining the continuous state of the incorrect position (the state in which the bending angl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reference value lasts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본 발명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1000)는 사용자(U)의 허리의 좌·우·전·후 방향의 굽힘 정도를 모두 센싱하여 사용자(U)의 정확한 자세를 모니터링하고, 스마트 디바이스(200)를 통해 현재 자세를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거나, 잘못된 자세를 알람이나 진동을 통해 알림으로써, 사용자(U)가 본인의 자세를 자각하고 바른 자세로 교정할 수 있도록 한다.The posture monitoring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user U in the left, right, front, and back directions to monitor the accurate posture of the user U, The user can display the current posture through an image or notify the wrong posture through an alarm or vibration so that the user U can recognize his / her posture and calibrate it with the correct posture.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장치(100)에 구비된 제1 센서(111) 및 제2 센서(112)의 구성, 배치 및 동작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rrangement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first sensor 111 and the second sensor 112 provided in the posture monito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장치(100)는 탄성을 갖는 유연성의 플렉서블 바디부(110)를 포함한다. 도 3(a)는 플렉서블 바디부(110)의 정면 투시도이고, 도 3(b)는 플렉서블 바디부(110)의 측면 투시도이며, 제1 센서(111a) 및 제2 센서(112a)는 플렉서블 바디부(110) 내에 수용된다. 제1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바디부(110)는 허리의 전·후·좌·우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는 수지재로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플렉서블 바디부(110)는 시상면(Midsagittal Plane)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휘어질 수도 있고, 관상면(Coronal Plane)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휘어질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플렉서블 바디부(110)가 타원형 단면을 가지며, 척추 방향으로 기다란 3차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플렉서블 바디부(110)의 단면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3, the posture monito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exible flexible body 110 having elasticity. 3 (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flexible body part 110, and FIG. 3 (b)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flexible body part 110. The first sensor 111a and the second sensor 112a are flexible bodies (110).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lexible body part 110 can be embodied as a resin material that can be bent in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waist. In other words, the flexible body 110 may be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midsagittal plane, or be ben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oronal plane. In FIG. 3, the flexible body 110 has an elliptical cross-section and has an elongated three-dimensional shape in the spinal direction.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the flexible body 110 may have a polygonal cross-section.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가 좌·우 방향(R1 방향)으로 허리를 비틀면 제1 센서(111a)에 굽힘 및 변형(U)이 발생하게 되며, 제1 센서(111a)의 저항값(더욱 상세하게는 제1 센서(111a) 내에 구비된 전극의 저항값)이 변하게 되고, 제1 센서(111a)와 연결된 감지 회로(미도시)에 의하여 좌·우 방향의 비틀림을 감지한다. As shown in FIG. 4 (a), if the user U twists his or her wais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R1 direction), bending and deformation U will occur in the first sensor 111a, (More specifically, the resistance value of the electrode provided in the first sensor 111a) is changed, and a twis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detected by a sensing circuit (not shown) connected to the first sensor 111a Detection.

다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가 전·후 방향(R2 방향)으로 허리를 굽히면 제2 센서(112a)에 굽힘 및 변형(F)이 발생하게 되며, 제2 센서(112a)의 저항값(더욱 상세하게는 제2 센서(112a) 내에 구비된 전극의 저항값)이 변하게 되고, 제2 센서(112a)와 연결된 감지 회로(미도시)에 의하여 좌·우 방향의 비틀림을 감지한다. 4 (b), when the user U bends the wais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R2 direction), bending and deformation F occur in the second sensor 112a,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econd sensor 112a (more specifically, the resistance value of the electrode provided in the second sensor 112a) is changed by the sensing circuit (not shown) connected to the second sensor 112a, Detects twisting.

이때, 제1 센서(111a) 및 제2 센서(112a)의 저항값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 회로(미도시)는 하나의 회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고, 별개의 회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At this time, the sensing circuit (not shown) for sensing the change i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irst sensor 111a and the second sensor 112a may be implemented by one circuit or may be implemented by a separate circuit.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장치(100)에 구비된 제1 센서(111) 및 제2 센서(112)의 구성, 배치 및 동작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rrangement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first sensor 111 and the second sensor 112 provided in the posture monito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장치(100)는 탄성을 갖는 유연성의 플렉서블 바디부(110)를 포함하며, 플렉서블 바디부(110)는 제1 영역(110d) 및 제2 영역(110u)으로 구분된다. 도 5에서는 플렉서블 바디부(110)가 타원형 단면을 가지며, 척추 방향으로 기다란 3차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플렉서블 바디부(110)의 단면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제1 영역(110d)과 제2 영역(110u)이 서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5, the posture monito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exible body 110 having flexibility and a flexible body 110, 110d and a second region 110u. In FIG. 5, the flexible body 110 has an elliptical cross-section, and has an elongated three-dimensional shape in the spinal direction.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the flexible body 110 may have a polygonal cross-section. Alternatively, the first region 110d and the second region 110u may have different shapes.

도 5(a)는 플렉서블 바디부(110)의 정면 투시도이고, 도 5(b)는 플렉서블 바디부(110)의 측면 투시도이며, 제1 센서(111b)는 플렉서블 바디부(110)의 제1 영역(110d) 내에 수용되고, 제2 센서(112b)는 플렉서블 바디부(110)의 제2 영역(110u) 내에 수용된다. 5 (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flexible body part 110, and FIG. 5 (b)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flexible body part 110, and the first sensor 111b is a first perspective view of the flexible body part 110, And the second sensor 112b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region 110u of the flexible body portion 110. [

제3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바디부(110)의 제1 영역(110d)은 허리의 좌·우 방향으로만 휘어지는 수지재로 구현된다. 다시 말해, 플렉서블 바디부(110)의 제1 영역(110d)은 시상면(Midsagittal Plane)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만 휘어지며, 전·후 방향으로는 휘어지지 않도록 구현된다. 이와 같이 단방향으로만 휘어지는 수지재는 탄소재, 섬유재 등의 재료의 직조 방향을 일 방향으로 하여 제도하거나, 성질이 상이한 두 개의 재료를 서로 접합하여 수지재를 이중층으로 제조하거나, 간단하게는 폭과 너비의 길이 조절을 통해 단방향으로 휘어지는 수지재를 만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플렉서블 바디부(110)의 제1 영역(110d)의 좌·우 방향으로의 유연성이 전·후 방향으로의 유연성보다 클 수 있다. In the third embodiment, the first area 110d of the flexible body part 110 is embodied as a resin material which bends on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waist. In other words, the first region 110d of the flexible body 110 is bent on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sidewall plane, and is not ben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Such a resin material which bends only in one direction may be formed by arranging a material such as a carbon material or a fibrous material in one direction or by joining two materials having different properties to each other to manufacture a resin material as a double layer, By adjusting the width of the width, it is possible to make a resin which bends in one direction. In another embodiment, the flexibilit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first region 110d of the flexible body portion 110 may be greater than the flexibility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또한, 제3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바디부(110)의 제2 영역(110u)은 허리의 전·후 방향으로만 휘어지는 수지재로 구현된다. 다시 말해, 플렉서블 바디부(110)의 제2 영역(110u)은 관상면(Coronal Plane)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만 휘어지며, 좌·우 방향으로는 휘어지지 않도록 구현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플렉서블 바디부(110)의 제1 영역(110d)의 전·후 방향으로의 유연성이 좌·우 방향으로의 유연성보다 클 수 있다. Further, in the third embodiment, the second region 110u of the flexible body part 110 is embodied as a resin material which bends only in the front and back directions of the waist. In other words, the second area 110u of the flexible body part 110 is bent only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oronal plane, and is not b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another embodiment, the flexibility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first region 110d of the flexible body portion 110 may be greater than the flexibilit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가 좌·우 방향(R1 방향)으로 허리를 비틀면 플렉서블 바디부(110)의 제1 영역(110d)만이 좌·우 방향으로 휘어지므로, 제1 센서(111b)에만 굽힘 및 변형(U)이 발생하게 되며, 제1 센서(111b)의 저항값(더욱 상세하게는 제1 센서(111b) 내에 구비된 전극의 저항값)이 변하게 되고, 제1 센서(111b)와 연결된 감지 회로(미도시)에 의하여 좌·우 방향의 비틀림 정도를 감지한다. As shown in FIG. 6A, when the user U twists the wais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R1 direction), only the first region 110d of the flexible body portion 110 is b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irst sensor 111b (more specifically, the resistance value of the electrode provided in the first sensor 111b) is changed, and the bending and deformation U are generated only in the first sensor 111b, 1 sensor 111b by a sensing circuit (not shown) connected to the sensor 111b.

다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가 전·후 방향(R2 방향)으로 허리를 굽히면 플렉서블 바디부(110)의 제2 영역(110u)만이 전·후 방향으로 휘어지므로, 제2 센서(112b)에만 굽힘 및 변형(F)이 발생하게 되며, 제2 센서(112b)의 저항값(더욱 상세하게는 제2 센서(112b) 내에 구비된 전극의 저항값)이 변하게 되고, 제2 센서(112b)와 연결된 감지 회로(미도시)에 의하여 전·후 방향의 굽힘 정도를 감지한다. 6 (b), when the user U is ben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R2 direction), only the second region 110u of the flexible body portion 110 is ben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ending and deformation F occur only in the second sensor 112b and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econd sensor 112b (more specifically, the resistance value of the electrode provided in the second sensor 112b) is changed , And a sensing circuit (not shown) connected to the second sensor 112b detects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이때, 제1 센서(111b) 및 제2 센서(112b)의 저항값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 회로(미도시)는 하나의 회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고, 별개의 회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At this time, the sensing circuit (not shown) for sensing a change i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irst sensor 111b and the second sensor 112b may be realized by one circuit or may be implemented by a separate circuit.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장치(100)에 구비된 제1 센서(111) 및 제2 센서(112)의 구성, 배치 및 동작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7 and 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rrangement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first sensor 111 and the second sensor 112 provided in the posture monito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장치(100)는 탄성을 갖는 유연성의 플렉서블 바디부(110)를 포함한다. 도 7은 플렉서블 바디부(110)의 정면 투시도이며, 제1 센서(111c) 및 제2 센서(112c)는 플렉서블 바디부(110) 내에 수용된다. 도 7에서는 플렉서블 바디부(110)가 타원형 단면을 가지며, 척추 방향으로 기다란 3차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플렉서블 바디부(110)의 단면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posture monito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exible flexible body 110 having elasticity. 7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flexible body part 110. The first sensor 111c and the second sensor 112c are accommodated in the flexible body part 110. FIG. In FIG. 7, the flexible body 110 has an elliptical cross-section and has an elongated three-dimensional shape in the spinal direction.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the flexible body 110 may have a polygonal cross-section.

제3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바디부(110)는 허리의 전·후·좌·우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는 수지재로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플렉서블 바디부(110)는 시상면(Midsagittal Plane)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휘어질 수도 있고, 관상면(Coronal Plane)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휘어질 수도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flexible body part 110 can be embodied as a resin material that can be bent in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waist. In other words, the flexible body 110 may be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midsagittal plane, or be ben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oronal plane.

한편, 제3 실시예에서 제1 센서(111c) 및 제2 센서(112c)는 소정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단면이 십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제1 센서(111c) 내의 전극과 제2 센서(112c) 내의 전극은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third embodiment, the first sensor 111c and the second sensor 112c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re arranged in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so that the cross-section can take a cross shap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odes in the first sensor 111c and the electrodes in the second sensor 112c are not physically connected.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가 좌·우 방향(R1 방향)으로 허리를 비틀면 제1 센서(111c)에 굽힘 및 변형(U)이 발생하게 되며, 제1 센서(111c)의 저항값(더욱 상세하게는 제1 센서(111c) 내에 구비된 전극의 저항값)이 변하게 되고, 제1 센서(111c)와 연결된 감지 회로(미도시)에 의하여 좌·우 방향의 비틀림을 감지한다. As shown in FIG. 8 (a), if the user U twists his or her wais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R1 direction), bending and deformation U will occur in the first sensor 111c, and the first sensor 111c (More specifically, the resistance value of the electrode provided in the first sensor 111c) is changed, and a distor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detected by a sensing circuit (not shown) connected to the first sensor 111c Detection.

다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가 전·후 방향(R2 방향)으로 허리를 굽히면 제2 센서(112c)에 굽힘 및 변형(F)이 발생하게 되며, 제2 센서(112c)의 저항값(더욱 상세하게는 제2 센서(112c) 내에 구비된 전극의 저항값)이 변하게 되고, 제2 센서(112c)와 연결된 감지 회로(미도시)에 의하여 좌·우 방향의 비틀림을 감지한다. 8 (b), when the user U bends the wais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R2 direction), bending and deformation F occur in the second sensor 112c, (More specifically, the resistance value of the electrode provided in the second sensor 112c) of the second sensor 112c is changed by the sensing circuit (not shown) connected to the second sensor 112c, Detects twisting.

이때, 제1 센서(111c) 및 제2 센서(112c)의 저항값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 회로(미도시)는 하나의 회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고, 별개의 회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At this time, the sensing circuit (not shown) for sensing a change i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irst sensor 111c and the second sensor 112c may be realized as one circuit or as a separate circuit.

본 발명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같은 센서의 구조 및 배치를 통하여, 사용자(U)의 허리의 좌·우·전·후 방향의 굽힘 정도를 모두 센싱하여 사용자(U)의 정확한 자세를 모니터링하고, 스마트 디바이스(200)를 통해 현재 자세를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거나, 잘못된 자세를 알람이나 진동을 통해 알림으로써, 사용자(U)가 본인의 자세를 자각하고 바른 자세로 교정할 수 있도록 한다.The posture monito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left, right, front, and back directions of the waist of the user U through the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the sensors as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accurate posture of the user U and display the current posture through the smart device 200 as an image or notify the wrong posture through an alarm or vibration so that the user U is aware of his / As shown in Fig.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9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of a posture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시상면(Midsagittal Plane)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의 굽힘 정도를 센싱하는 제1 센서(111)로부터 좌·우 방향의 굽힘 정도와 관련한 제1 센싱값을 수신한다(S300). 다시, 관상면(Coronal Plane)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의 굽힘 정도를 센싱하는 제2 센서(112)로부터 전·후 방향의 굽힘 정도와 관련한 제2 센싱값을 수신한다(S310).First, a first sensing value related to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received from the first sensor 111 sensing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ference to the midsagittal plane (S300). In operation S310, a second sensing value related to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s received from the second sensor 112 sensing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n the basis of the coronal plane.

이후, 제1 센싱값 및 제2 센싱값에 기초하여 사용자 허리의 전·후·좌·우 방향의 굽힘 정도를 분석한다(S320). 구체적으로, 제1 센싱값 및 제2 센싱값에 기초하여, 허리가 전후로 어느 정도의 각도로 굽어져 있는지, 좌우로 어느 정도의 각도로 뒤틀려 있는지를 판단한다.Then, based on the first sensing value and the second sensing value,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user's waist is analyzed (S320). Specifically, based on the first sensing value and the second sensing valu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waist is curved at a certain ang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r at a certain ang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마지막으로, 전·후·좌·우 방향의 굽힘 정도(굽힘각, 뒤틀림각)가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면 경고 신호를 생성하고(S330), 경고 신호가 생성되면 진동에 의한 피드백을 제공한다(S340). Finally, when the degree of bending (bending angle, twist angle)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longer than a predetermined angle for a predetermined time (S330), a warning signal is generated Feedback is provided (S340).

본 발명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1 센서(111) 및 제2 센서(112)에 의하여 허리의 전·후·좌·우 방향의 굽힘 정도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U)의 자세를 명확히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허리의 굽힘 정도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의 뒤틀림 정도까지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굽은 자세에 의한 일자목 등의 자세 교정뿐만 아니라 척추측만곡이나 다리 휨과 같이 나쁜 자세에 기인한 다양한 증상에 대처할 수 있게 된다.The posture monito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waist by the first sensor 111 and the second sensor 112, Can be clearly determined.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judge not only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waist but also the degree of twist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t is possible to cope with various symptoms caused by a bad posture such as spinal tangles or leg bending, .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ly one embodiment. Furthermore,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illustrated in the embodiments can be combined and modified by other person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illustration, It can be seen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re therefore intended to be embraced therein.

100: 자세 모니터링 장치 111: 제1 센서
112: 제2 센서 120: 분석부
130: 햅틱 반응부 140: 통신부
150: 저장부 200: 스마트 디바이스
210: 컨트롤러 220: 통신부
230: 터치 스크린 240: 저장부
1000: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
100: attitude monitoring device 111: first sensor
112: second sensor 120:
130: haptic reaction unit 140: communication unit
150: storage unit 200: smart device
210: controller 220:
230: touch screen 240: storage unit
1000: posture monitoring system

Claims (6)

시상면(Midsagittal Plane)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의 굽힘 정도를 센싱하는 제1 센서;
관상면(Coronal Plane)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의 굽힘 정도를 센싱하는 제2 센서;
상기 제1 센서 및 제2 센서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허리의 전·후·좌·우 방향의 굽힘 정도를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제1 센서의 센싱값, 상기 제2 센서의 센싱값 및 상기 분석부의 분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자세 모니터링 장치.
A first sensor that senses a degree of b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ased on a sidewall plane (Midsagittal Plane);
A second sensor for sensing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n the basis of the coronal plane;
An analyzer for analyzing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waist based on the sensed values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nd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and the analysis data of the analysis unit to the smar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를 수용하며, 허리의 전·후·좌·우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플렉서블 바디부;를 더 포함하는 자세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lexible body portion that accommodates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nd has elasticity in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wais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바디부는,
상기 좌·우 방향으로만 탄성을 갖고 상기 제1 센서를 수용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전·후 방향으로만 탄성을 갖고 상기 제2 센서를 수용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자세 모니터링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lexible body unit may include:
A first region having elasticity on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ccommodating the first sensor, and a second region having elasticity only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accommodating the second sensor.
제1항에 있어서,
허리의 전·후·좌·우 방향의 굽힘 정도가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진동에 의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햅틱 반응부; 및
허리의 전·후 굽힘 및 좌·우 굽힘의 방향성을 판단하는 방향 센서;를 더 포함하는 자세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aptic reaction unit for providing feedback by vibration when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waist lasts for a predetermined time longer than a predetermined angle; And
And a direction sensor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ality of the front / rear bending and the left / right bending of the waist.
자세 모니터링 장치 및 스마트 디바이스를 구성으로 하는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세 모니터링 장치는,
시상면(Midsagittal Plane)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의 굽힘 정도를 센싱하는 제1 센서;
관상면(Coronal Plane)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의 굽힘 정도를 센싱하는 제2 센서;
상기 제1 센서 및 제2 센서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허리의 전·후·좌·우 방향의 굽힘 정도를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제1 센서의 센싱값, 상기 제2 센서의 센싱값 및 상기 분석부의 분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부;
허리의 전·후·좌·우 방향의 굽힘 정도가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진동에 의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햅틱 반응부; 및
허리의 전·후 굽힘 및 좌·우 굽힘의 방향성을 판단하는 방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자세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전달된 상기 제1 센서의 센싱값, 상기 제2 센서의 센싱값 및 상기 분석부의 분석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전·후·좌·우 방향의 굽힘 정도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
1. An attitude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n attitude monitoring device and a smart device,
The posture monitoring apparatus includes:
A first sensor that senses a degree of b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ased on a sidewall plane (Midsagittal Plane);
A second sensor for sensing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n the basis of the coronal plane;
An analyzer for analyzing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waist based on the sensed values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 communication unit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a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a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and analysis data of the analysis unit to the smart device;
A haptic reaction unit for providing feedback by vibration when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waist lasts for a predetermined time longer than a predetermined angle; And
And a direction sensor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ality of the front and rear bending and the left and right bending of the waist,
The smart device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a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and analysis data of the analysis unit transmitted from the attitude monitoring apparatus; And
And a touch screen for displaying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directions.
시상면(Midsagittal Plane)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의 굽힘 정도를 센싱하는 제1 센서로부터 제1 센싱값을 수신하는 단계;
관상면(Coronal Plane)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의 굽힘 정도를 센싱하는 제2 센서로부터 제2 센싱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싱값 및 상기 제2 센싱값에 기초하여 사용자 허리의 전·후·좌·우 방향의 굽힘 정도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전·후·좌·우 방향의 굽힘 정도가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면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고 신호가 생성되면 진동에 의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세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first sensed value from a first sensor that senses a degree of b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ased on a midsagittal plane;
Receiving a second sensed value from a second sensor sensing a degree of bending in a forward and a backward direction based on a coronal plane;
Analyzing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user's waist based on the first sensing value and the second sensing value;
Generating a warning signal when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continues for a predetermined time longer than a predetermined angle; And
And providing feedback by vibration when the warning signal is generated.
KR1020170103008A 2017-08-14 2017-08-14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osture monitoring KR2019001826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008A KR20190018265A (en) 2017-08-14 2017-08-14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osture monito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008A KR20190018265A (en) 2017-08-14 2017-08-14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osture monito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265A true KR20190018265A (en) 2019-02-22

Family

ID=65584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008A KR20190018265A (en) 2017-08-14 2017-08-14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osture monito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8265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8488A (en) * 2019-10-31 2020-04-17 浙江工业大学 Intelligent sedentary reminding method based on PSO-SVM
WO2020184864A1 (en) * 2019-03-13 2020-09-17 최홍희 Complex spine examination assisting device capable of correcting multiple postures
KR20230031088A (en) * 2021-08-26 2023-03-07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osture imbalance preventing and correction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6774A (en) 2014-03-12 2015-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Posture analysis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70000353A (en) 2015-06-22 2017-01-02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Detection Appratus of Bioelectric Signal for Correcting Position
KR20170017856A (en) 2016-11-23 2017-02-15 곽정오 Posture correction apparatus linked to terminal equip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6774A (en) 2014-03-12 2015-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Posture analysis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70000353A (en) 2015-06-22 2017-01-02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Detection Appratus of Bioelectric Signal for Correcting Position
KR20170017856A (en) 2016-11-23 2017-02-15 곽정오 Posture correction apparatus linked to terminal equip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4864A1 (en) * 2019-03-13 2020-09-17 최홍희 Complex spine examination assisting device capable of correcting multiple postures
CN111028488A (en) * 2019-10-31 2020-04-17 浙江工业大学 Intelligent sedentary reminding method based on PSO-SVM
KR20230031088A (en) * 2021-08-26 2023-03-07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osture imbalance preventing and correc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580B1 (en) Wearable posture correction equipment linking with smart apparatus
US9259169B2 (en) Visceral fat measurement device
KR101831968B1 (en) posture correction wearable earphone device
US20170215769A1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etecting the posture of the anatomy of a person
KR20190018265A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osture monitoring
KR20170047160A (en) Posture correction module linked to terminal equipment
KR20170050173A (en) On-Chair Posture Control System with Flexible Pressure Mapping Sensor and method at the same
US20190328321A1 (en) Sensitivity metering system for use in patient diagnosis field
KR101777391B1 (en) Method for vertebral joint range of motion measurements
JP6263571B2 (en) Seated cervical traction device and angle sensing method thereof
KR101105229B1 (en) Portable position correction system
KR102202619B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posture using stretchable and flexible resistor, method and system using thereof
KR100987092B1 (en) Intelligent spine curvature correct device
CN107242853A (en) Waist active risks are assessed and monitoring device
KR101712279B1 (en) Posture correction apparatus linked to terminal equipment
KR102176260B1 (en) Smart walk correcting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838485B1 (en) Apparatus for wearing pelvic angle and measur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220121755A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correcting posture of scoliosis,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KR20170017856A (en) Posture correction apparatus linked to terminal equipment
JPWO201404549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pressure distribution measurement system, and storage medium
KR20140102021A (en) Apparatus for measuring trunk alignment and trunk alignment-feedback system having the same
Kumar et al. Posturector-the posture corrector
KR102544231B1 (en) Dynamic spinal orthosis
Pinnelli et al. A wearable system for detecting lumbar hyperlordosis in ballet dancers: Design, development and feasibility assessment
US20240016414A1 (en) Posturographic evaluation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