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8102A -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8102A
KR20190018102A KR1020170102310A KR20170102310A KR20190018102A KR 20190018102 A KR20190018102 A KR 20190018102A KR 1020170102310 A KR1020170102310 A KR 1020170102310A KR 20170102310 A KR20170102310 A KR 20170102310A KR 20190018102 A KR20190018102 A KR 20190018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patient
medical
alarm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6354B1 (ko
Inventor
김민우
이창현
이소은
임한규
Original Assignee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02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354B1/ko
Publication of KR20190018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원에 입원한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환자 개개인에 대한 진료 스케줄에 따라 의사 또는 간호사의 이동 단말기로 알람신호를 출력하여 환자를 간호하거나 환자에게 제공되는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병원 정보, 의사 정보, 간호사 정보 및 의료 서비스 제공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와 입원환자 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DB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으로 의료 서비스 스케줄을 제공하는 의료관리서버; 및 상기 의료관리서버와 연계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입원환자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업데이트 정보를 입력하는 전산입력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에 근거하여 입원환자에 대한 의료제공 서비스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MEDICAL SERVICE USING PATIENT MANAGEMENT APPLICATION}
본 발명은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병원에 입원한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환자 개개인에 대한 진료 스케줄에 따라 의사 또는 간호사의 이동 단말기로 알람신호를 출력하여 환자를 간호하거나 환자에게 제공되는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과 요양원 등 입원치료를 담당하는 의료시설에는 본래의 목적인 의료 서비스를 보조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통신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의료시설에 사용되고 있는 정보통신 기술은 유선통신에서 무선통신 기술로 전향되고 있고, 또한 정보통신 기술이 무선에서 유비쿼터스로 진화함에 따라 의료를 지원하는 정보통신 기술도 유비쿼터스 환경으로 진화하고 있다.
하지만, 입원치료 환자에 대한 의료 서비스는 의사 또는 간호사 일인당 관리할 수 있는 환자의 수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입원치료 환자에 대하여 일일이 진료상태 및 호전 정도를 기억하고, 각각의 환자의 상황에 적합한 새로운 진료계획을 수립하거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한편, 개개인이 사용하는 개인 단말기의 성능은 일반 컴퓨터의 성능과 비교하여 결코 저하되지 않을 정도로 발전하였으며, 오히려 휴대하기에 간편하여 컴퓨터보다는 개인 단말기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에, 이러한 개인 단말기를 이용하여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개인 단말기를 이용하여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 중의 하나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9372호에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었다.
상기 기술은 병원 내에 설치되어 진료 관련 정보들을 저장 및 처리하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문진 정보로부터 진료과를 선정하고, 해당 진료과의 예약 가능한 시간 및 예약 가능한 의료진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스마트 병원 서비스서버와,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된 예약 가능한 시간 및 예약 가능한 의료진에 대한 추천 정보 중에서 특정 시간 및 특정 의료진을 선택함으로써 진료 예약을 신청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진료 예약 신청에 의해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진료 절차를 스케줄링하며, 상기 스케줄링에 따른 진료 관련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환자가 의료 서비스를 받기 위해 예약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원치료를 위해 입원한 환자에게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입원환자를 위한 의료 서비스는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6494호에 스마트폰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정보 활용방법이 개시되었다.
상기 기술은 스마트폰에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병원과 약국의 지리적 위치를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제공하여 사용자가 직접 병원과 약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진료과목별 병원의 검색이나 진료의 예약, 변경, 취소를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병원 진료 및 처방 정보 등을 스스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의료서비스의 활용에 따른 비용 및 시간적인 편의를 도모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위 기술 또한, 환자가 직접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것으로서, 간호사 또는 의사가 입원치료의 환자를 대상으로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에는 사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간호사 또는 의사가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9372호(2013. 09. 06. 공개)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6494호(2014. 02. 10. 공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의료 서비스 제공자인 간호가 또는 의사가 입원환자의 의료 서비스 스케줄에 따라 예약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의료 제공자의 근무 스케줄에 따라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병원 정보, 의사 정보, 간호사 정보 및 의료 서비스 제공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와 입원환자 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DB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으로 의료 서비스 스케줄을 제공하는 의료관리서버; 및 상기 의료관리서버와 연계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입원환자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업데이트 정보를 입력하는 전산입력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에 근거하여 입원환자에 대한 의료제공 서비스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성명, 전화번호, 직책 및 담당병동에 대한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사용자정보부; 입원환자의 성명, 나이, 성별, 병명, 입원병실 및 의료제공 스케줄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환자정보부; 알람신호음, 알람신호의 음량 및 알람신호 빈도수를 설정하는 알람신호부; 상기 사용자의 비번(off duty)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스케줄정보부; 및 상기 스케줄 정보부에 저장된 사용자 비번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결과 사용자가 비번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부와 상기 환자 정보부에 저장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알람신호부에 저장된 정보로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알람신호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알람신호에는 사용자 성명, 환자 성명, 입원병실 및 의료제공 스케줄을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스케줄 정보부에 저장된 사용자 비번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결과 사용자가 비번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알람신호출력부는 알람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의사, 간호사, 입원환자를 돌보는 의료 도우미, 간병인 및 보호자 단말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원환자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의료 서비스를 예약된 스케줄에 따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입원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를 소수의 인원이 부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의료 제공자가 비번인 경우에는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됨에 따라 충분한 휴식을 통해 더욱 높은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입원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적용된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초기 인터페이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입원환자의 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알람신호가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병원에 입원한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환자 개개인에 대한 진료 스케줄에 따라 의사 또는 간호사의 이동 단말기로 알람신호를 출력하여 환자를 간호하거나 환자에게 제공되는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은 의사 또는 간호사뿐만 아니라 입원환자를 돌보는 의료 도우미, 간병인 및 보호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을 전체 포함하여 사용자로 통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 의료관리서버(20), 전산입력 단말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기(10)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이 가능하고, 사용자 조작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설치가 가능한 휴대 기기로서,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EDA (Enterprise Digital Assistant),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igital Video Camer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ND(personal Navigation Device 또는 Portable Navigation Device), 휴대용 게임 콘솔(Handheld Game Console),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MID)) 및 e-북(e-Book) 중에서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00)에는 조작에 의해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100)이설치된다.
상기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100)은 통신망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전용 배포 서버, 예를 들면, 웹스토어나 웹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로드하여 설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삭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에 근거하여 입원환자에 대한 의료제공 서비스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상기 알람신호에 따라 사용자는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적용된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된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정보부(110), 환자정보부(120), 알람신호부(130), 스케줄정보부(140) 및 알람신호출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의사의 처방에 따라 별도로 설치된 병원 내의 약국에서 제조된 구강투여 약물이 봉투형태에 밀봉되어 간호사실로 배송되고, 간호사는 봉투에 표시된 입원환자정보에 따라 입원환자에게 구강투여 약물을 전달한다. 또한, 주사투여 약물은 의사의 처방에 따라 간호사실의 단말기를 통해 간호사에게 전달되면, 간호사는 이에 근거하여 해당 주사투여 약물을 제조하고 이를 입원환자에게 투여하게 된다.
이때, 간호사는 주기적으로 간호사실에 구비된 단말기를 통해 이를 확인하고 해당 입원환자에게 구강투여 약물을 전달하거나 주사투여 약물을 주사해야 하는 것이나, 간호사 1명이 여러 명의 입원환자를 돌보는 과정에서 일부 입원환자에 대하여 이러한 의료 서비스가 누락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상기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100)은 상기와 같이, 입원환자에 대한 의료 서비스의 누락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사, 간호사, 의료 도우미, 간병인 및 보호자)로 하여금 의료 서비스를 알람된 시간에 표시하여 적절한 시간에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사용자정보부(110)는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정보부(100)에는 상기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100)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성명, 전화번호, 직책 및 담당병동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 관리된다.
상기 환자정보부(120)는 입원환자의 정보를 저장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환자정보부(120)에는 입원환자의 성명, 나이, 성별, 병명, 입원병실 및 의료제공 스케줄정보 등이 저장 관리된다.
여기서, 상기 의료 제공 스케줄정보에는 입원환자에 대한 구강투여 및 주사투여에 대한 약물정보, 입원환자를 검사하기 위한 의료 검사 정보, 식사 정보 및 배뇨정보 등 입원환자의 상태에 대응하여 이를 돌보기 위한 전반적인 의료 서비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알람신호부(130)는 알람에 대한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것으로서, 알람신호음, 알람신호의 음량 및 알람신호 빈도수를 설정하고 설정된 정보가 저장 관리한다.
여기서, 상기 알람신호음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알람신호에 대한 음원을 선택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을 알람신호음으로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음원은 사용자 단말기(10)에 저장된 음원뿐만 아니라 통신망을 통해 음원을 제공하는 음원제공서버로부터 수신된 음원을 포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케줄정보부(140)는 상기 사용자의 비번(off duty)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근무중인 시간과 비번 시간이 정해져 있고, 비번은 다른 사용자와의 협의 또는 휴가 등에 의해서 가변되기 때문에 비번 중에는 입원환자에 대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상태에 있게 된다.
설계조건에 따라서, 상기 비번 정보는 병원의 지리적 위치와 사용자 단말기(10)의 지리적 위치에 근거하여 비번 정보가 갱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저장된 병원의 위치와 사용자 단말기(10)의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병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상으로 이격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를 소유한 사용자는 비번인 것으로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알람신호출력부(150)는 상기 사용자정보부(110), 환자정보부(120), 알람신호부(130) 및 스케줄정보부(140)에 근거하여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상기 스케줄 정보부(140)에 저장된 사용자 비번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결과 사용자가 비번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부(110)와 상기 환자 정보부(120)에 저장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알람신호부(140)에 저장된 정보로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알람신호출력부(150)는 상기 스케줄 정보부(140)에 저장된 사용자 비번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결과 사용자가 비번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알람신호출력부(150)는 알람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비번 여부는 위에서 설명한 병원의 지리적 위치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10)의 지리적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판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가 비번인 경우에는 알람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의료 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비번시 충분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의료관리서버(20, 도 1 참조)는 병원 정보, 의사 정보, 간호사 정보 및 의료 서비스 제공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와 입원환자 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DB(25)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에 설치된 상기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100)으로 의료 서비스 스케줄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의료관리서버(20)는 병원 내의 전체적인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의료정보서버에 포함되어 구성되거나 상기 의료정보서버와 연계한 별도의 독립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의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100)을 실행시키고 사용자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100)은 상기 의료관리서버(20)로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사용자 로그인 정보를 수신한 상기 의료관리서버(20)는 DB(25)에 저장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100)으로 전송하여, 전송된 정보로 상기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100)의 정보를 갱신하도록 한다.
또한, 설정된 주기에 따라 병원 정보, 의사 정보, 간호사 정보 및 의료 서비스 제공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와 입원환자 정보를 상기 DB(25)에서 검출하여 상기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100)으로 전송하고, 이를 갱신하도록 구성된다.
전산입력 단말기(30, 도 1 참조)는 상기 의료관리서버(20)와 연계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입원환자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업데이트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변경된 사용자 정보 또는 입원환자 정보를 수정 또는 삭제하여 상기 정보를 갱신하고, 갱신된 정보는 의료관리서버(20)에 전송되어 해당 정보가 업데이트 된다.
예를 들면, 간호사의 비번 정보, 입원환자의 퇴원정보, 입원환자에 대한 의료 제공 정보 등은 상기 전산입력 단말기(30)를 통해 의료관리서버(20)에 전송되고, 변경된 정보는 DB(25)에 저장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초기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초기 인터페이스에는 사용자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회원정보 아이콘(101), 입원환자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환자정보 아이콘(102), 알람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알람 아이콘(103), 기초적 의료 정보를 안내하기 위한 도우미 아이콘(104),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100)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설정 아이콘(105) 및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100)의 사용을 안내하기 위한 도움말 아이콘(106) 등이 표시되고, 상기 각각의 아이콘의 선택에 따라 해당되는 정보가 표시되거나 편집 가능한 인터페이스가 표시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입원환자의 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기본적으로 입원환자에 대한 정보의 편집은 전산입력 단말기(30)를 통해 의료관리서버(20)로 전송되게 된다.
또한,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100)을 이용하여 입원환자에 대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100)을 통해 수정된 환자의 정보는 의료관리서버(20)로 전송되어 환자정보가 갱신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알람신호가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이다.
알람신호는 상기 알람신호출력부(1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사용자정보부(110), 환자정보부(120), 알람신호부(130) 및 스케줄정보부(140)에 근거하여 출력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케줄 정보부(140)에 저장된 사용자 비번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결과 사용자가 비번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부(110)와 상기 환자 정보부(120)에 저장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알람신호부(140)에 저장된 정보로 알람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여기서, 알람신호에는 사용자 성명, 환자 성명, 입원병실 및 의료제공 스케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에서 "X" 표시가 선택되면 알람신호의 출력이 정지되고, 해당 입원환자에 대한 의료 서비스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의료관리서버(20)에 전송되며, 상기 의료관리서버(20)는 해당 입원환자의 의료 서비스 제공 내용을 저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원환자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의료 서비스를 예약된 스케줄에 따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입원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를 소수의 인원이 부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의료 제공자가 비번인 경우에는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됨에 따라 충분한 휴식을 통해 더욱 높은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입원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 사용자단말기 20: 의료관리서버
30: 전산입력 단말기
100: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
110: 사용자정보부 120: 환자정보부
130: 알람신호부 140: 스케줄정보부
150: 알람출력부

Claims (5)

  1.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100)이 설치되고, 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10);
    병원 정보, 의사 정보, 간호사 정보 및 의료 서비스 제공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와 입원환자 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DB(25)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100)으로 의료 서비스 스케줄을 제공하는 의료관리서버(20); 및
    상기 의료관리서버(20)와 연계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입원환자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업데이트 정보를 입력하는 전산입력 단말기(3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에 근거하여 입원환자에 대한 의료제공 서비스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100)은,
    상기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100)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성명, 전화번호, 직책 및 담당병동에 대한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사용자정보부(110);
    입원환자의 성명, 나이, 성별, 병명, 입원병실 및 의료제공 스케줄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환자정보부(120);
    알람신호음, 알람신호의 음량 및 알람신호 빈도수를 설정하는 알람신호부(130);
    상기 사용자의 비번(off duty)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스케줄정보부(140); 및
    상기 스케줄 정보부(140)에 저장된 사용자 비번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결과 사용자가 비번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부(110)와 상기 환자 정보부(120)에 저장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알람신호부(140)에 저장된 정보로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알람신호출력부(1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알람신호에는,
    사용자 성명, 환자 성명, 입원병실 및 의료제공 스케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정보부(140)에 저장된 사용자 비번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결과 사용자가 비번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알람신호출력부(150)는 알람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의사, 간호사, 입원환자를 돌보는 의료 도우미, 간병인 및 보호자 단말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70102310A 2017-08-11 2017-08-11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996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310A KR101996354B1 (ko) 2017-08-11 2017-08-11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310A KR101996354B1 (ko) 2017-08-11 2017-08-11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102A true KR20190018102A (ko) 2019-02-21
KR101996354B1 KR101996354B1 (ko) 2019-10-02

Family

ID=65585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310A KR101996354B1 (ko) 2017-08-11 2017-08-11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35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0176A1 (ko) * 2020-07-06 2022-01-13 주식회사 이노소니언 클라이언트 맞춤형 심폐소생술 시스템
KR102441662B1 (ko) 2022-01-20 2022-09-13 주식회사 비투엔 메타버스를 이용한 케어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132973A (ko) * 2021-03-24 2022-10-04 주식회사 에이치디정션 원내 안내 시스템 및 원내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26577B1 (ko) 2022-09-27 2023-04-27 주식회사 비투엔 환자 관리를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위험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102606020B1 (ko) * 2023-03-03 2023-11-29 국민건강보험공단 알람용 전자 디바이스 및 알람 시스템
CN117438018A (zh) * 2023-10-11 2024-01-23 北京远盟普惠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医疗数据分析系统和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082B1 (ko) 2021-02-08 2023-02-24 경남도립거창대학산학협력단 환자용 진료정보제공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580B1 (ko) * 2003-06-14 2005-12-22 이지케어텍(주) 온라인 상에서의 병원 업무 처리 방법
KR20070117166A (ko) * 2006-06-07 2007-12-12 이젠아이텍(주)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KR200459614Y1 (ko) * 2010-05-13 2012-04-04 주식회사 코넥트론 스마트폰을 이용한 환자관리 시스템
KR20130056615A (ko) * 2011-11-22 2013-05-3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근태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30099372A (ko) 2012-02-29 2013-09-06 (주)에프에스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16494A (ko) 2012-07-30 2014-02-10 김경수 스마트폰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정보 활용방법
JP2015125550A (ja) * 2013-12-26 2015-07-06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コ 医療業務システムおよび医療業務システムによる処理方法、医療業務システムの医療業務情報サー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580B1 (ko) * 2003-06-14 2005-12-22 이지케어텍(주) 온라인 상에서의 병원 업무 처리 방법
KR20070117166A (ko) * 2006-06-07 2007-12-12 이젠아이텍(주)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KR200459614Y1 (ko) * 2010-05-13 2012-04-04 주식회사 코넥트론 스마트폰을 이용한 환자관리 시스템
KR20130056615A (ko) * 2011-11-22 2013-05-3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근태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30099372A (ko) 2012-02-29 2013-09-06 (주)에프에스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16494A (ko) 2012-07-30 2014-02-10 김경수 스마트폰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정보 활용방법
JP2015125550A (ja) * 2013-12-26 2015-07-06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コ 医療業務システムおよび医療業務システムによる処理方法、医療業務システムの医療業務情報サーバ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0176A1 (ko) * 2020-07-06 2022-01-13 주식회사 이노소니언 클라이언트 맞춤형 심폐소생술 시스템
US11881120B2 (en) 2020-07-06 2024-01-23 Innosonian, Inc. Client-customiz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ystem
KR20220132973A (ko) * 2021-03-24 2022-10-04 주식회사 에이치디정션 원내 안내 시스템 및 원내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41662B1 (ko) 2022-01-20 2022-09-13 주식회사 비투엔 메타버스를 이용한 케어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526577B1 (ko) 2022-09-27 2023-04-27 주식회사 비투엔 환자 관리를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위험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102606020B1 (ko) * 2023-03-03 2023-11-29 국민건강보험공단 알람용 전자 디바이스 및 알람 시스템
CN117438018A (zh) * 2023-10-11 2024-01-23 北京远盟普惠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医疗数据分析系统和方法
CN117438018B (zh) * 2023-10-11 2024-04-19 北京远盟普惠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医疗数据分析系统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6354B1 (ko) 201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354B1 (ko)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11657911B2 (en) Metho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data access and workflow in a healthcare environment/facility
US8019622B2 (en) Home health point-of-care and administration system
US20160306930A1 (en) Medical data retrieval system
AU2018222989A1 (en) Mobile device access for medical devices
US20090259493A1 (en) Mobile health book
CN105830072A (zh) 将用户角色和用于呈现临床信息、音频、视频和通信控制的情境感知算法进行组合以安全地捕获护理员注意力、减少信息过载并且优化工作流和决策支持的独特方法
WO2008042614A2 (en) Role based internet access and individualized role based systems to view biometric information
US20130253951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tablet based healthcare communication
US10636194B1 (en) Perioperativ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140038152A1 (en) Medical visualization method and system
US20120303386A1 (en) System for managing and shar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US10950333B2 (en) Medication management
US200802558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clinical notifications
US20140278503A1 (en) System and methods for treatment and management of one or more subjects
KR101839850B1 (ko) 복약 일정 수정 방법 및 시스템
KR20130136891A (ko)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및 그의 서비스 방법
CA2579081A1 (en) Home health point-of-care and administration system
US752652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senting data and sending a message
Araújo et al. A health mobile application and architecture to support and automate in-home consultation
US20100332255A1 (en) Systems,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facilitating display of medical procedure data
KR101414781B1 (ko) 모바일 앱을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2269238A (ja) 介護支援方法及び介護支援システム
US201803495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reservations of operating room (or) blocks
Ooi et al. Wireless and wearable overview: stages of growth theory in medical technology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