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7623A - Large Display Mount - Google Patents

Large Display Mou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7623A
KR20190017623A KR1020180011273A KR20180011273A KR20190017623A KR 20190017623 A KR20190017623 A KR 20190017623A KR 1020180011273 A KR1020180011273 A KR 1020180011273A KR 20180011273 A KR20180011273 A KR 20180011273A KR 20190017623 A KR20190017623 A KR 20190017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rge display
frame
main frame
frame member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2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백수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인
Publication of KR20190017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62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rge display moun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pport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so that a large display can be moved; a main frame member vertically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with a predetermined height and width so as to stably support the large display; a mounting member installed in the main frame member with adjustable height so that the large display can be stably supported by the main frame member; and an elevating means installed in the main frame memb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large display mounted on the mounting member.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move a large display, a heavy object, and freely adjust the height of the large display. The lower portion of the elevating frame is formed to protrude obliquely forward so as to prevent leaning or sagging due to the weight of the large display. Also, the large display, a heavy object, can be easily adjusted by rotating a handle.

Description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Large Display Mount}A large display mount (Large Display Mount)

본 발명은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60~70인치 이상의 대형 모니터 또는 대형 TV, 전자칠판 등을 안정되게 장착하는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rge display stand,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rge display stand for stably mounting a large-sized monitor of 60-70 inches or larger or a large-sized TV,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는 그 차체만으로 지면이나 벽면에 설치할 수 없어서 통상 거치대를 이용하고 있다.Generally, a display device can not be installed on a floor or a wall with only its vehicle body, and therefore, a cradle is usually used.

상기 거치대는 크게 바닥면 또는 벽면에 지지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와 디스플레이장치를 연결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야각을 조절하게 하는 연결암과 상기 연결암을 디스플레이장치에 고정하는 브라켓으로 구성된다.The cradle includes a base which is largely supported on a floor surface or a wall surface, a connection arm for connecting the base and the display device to adjust the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device, and a bracket for fixing the connection arm to the display device.

이러한 거치대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설치 위치에 따라 그 구조가 결정되고 결정된 구조에 따라 각각의 작동 용도가 결정되게 된다.The structure of the cradl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respective operation uses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tructure.

예를 들어 스탠드 형태의 거치대는 베이스가 바닥면에 설치됨에 따라 연결암이 틸팅되게 하거나 연결암을 이용해 디스플레이장치를 회전시키는 등의 동작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자 시야각에 맞게 최적화시킬 수 있게 하고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tand type stand, since the base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the connection arm is tilted or the display device is rotated using the connection arm, so that the display device can be optimized to the user's viewing angle.

CRT 기반의 텔레비젼은 상당한 볼륨을 갖는 케이스타입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가정이나 사무실에 비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의 받침대를 이용하여 방바닥이나 거실 바닥 및 사무실 바닥을 이용하여야 한다.Since a CRT-based television is composed of a case type having a considerable volume, a floor or a living room floor or an office floor should be used by using a separate pedestal when it is desired to be housed in a home or an office.

이러한 박스 타입의 텔레비젼은 텔레비젼이 가지는 크기(체적)만큼의 공간이 있어야만 비치가 가능하다.Such a box-type television can be provided only by the space (volume) the television has.

그러나 기술의 발전으로 텔레비젼의 화면을 브라운관 타입에서 벗어나 LCD나 PDP와 같은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소자를 기반으로 하는 대화면의 평면 영상 구현이 가능한 타입으로 전환되면서 텔레비젼의 두께가 상당히 얇아져 소형은 물론 대형의 화면일 경우에도 박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However,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TV screen has been shifted from the CRT type to a type capable of realizing a flat screen image based on a flat panel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or a PDP,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TV is considerably thinn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thin shape.

이러한 박형타입의 텔레비젼은 별도의 거치대나 턴테이블 등과 같은 거치대를 사용하여 거치시킬 수 있음은 물론 기기를 벽면에 매달아 벽걸이형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Such a thin type television can be mounted by using a stand such as a separate stand or a turntable, and it is also possible to mount the apparatus on a wall by hanging it on a wall.

즉, LCD나 PDP타입의 평판형 텔레비젼 수상기를 벽에 걸어서 설치해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PDP TV 벽걸이 장치나 LCD TV 벽걸이 장치가 제안됨으로써 공간 활용성을 높이면서도 텔레비젼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사용자들의 편익향상에 기여하고 있다.That is, a PDP TV wall-hanging device or an LCD TV wall-hanging device that allows an LCD or a PDP type flat panel TV set to be installed on a wall can be used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a TV while enhancing space utilization, .

PDP TV, 전자칠판, 대형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를 벽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PDP TV를 벽면에 설치하기 위하여 벽면에 고정을 위한 브라켓을 장착하고 이 고정 브라켓에 디스플레이를 고정시키는 구조가 일반적이다.When a display such as a PDP TV, an electronic blackboard, or a large monitor is installed on a wall, a structure for fixing the display to the wall is provided with a bracket for fixing the wall to the PDP TV.

디스플레이를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 등의 기구물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제안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의 시청 각도를 상하 방향이나 좌우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치도 제안되고 있다.A bracket for fixing the display to the wall surface has been proposed in a wide variety of forms, and in some cases, a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in the up-down direction or the left-right direction has been proposed.

따라서 이와 같은 대화면 구현, 박형 디스플레이 기기의 구현, 거치 및 벽걸이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평면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 중에서 특히 전자칠판, 대형 디스플레이(LCD, OLED 등)의 경우 대화면 박형의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로 각광받고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an electronic blackboard, a large-sized display (LCD, OLED, etc.), among flat image display devices having various advantages such as realizing such a large screen, realizing a thin display device, And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large-sized image display device of a large screen.

전자칠판, 대형 디스플레이는 화질이 우수하며 대화면으로서 시인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일반 가정은 물론 공공장소, 전시회, 영상 광고 장치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Since the electronic blackboard and large-sized display have excellent image quality and excellent visibility as a large screen, they are widely used in public homes, public places, exhibitions and video advertising devices.

그러나 전자칠판, 대형 디스플레이는 그 크기가 커짐에 따라 디스플레이 자체의 중량이 무거워지게 되고, 이로 인해 대형 디스플레이의 설치 시 중량에 의해 디스플레이가 처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s the size of the electronic blackboard and the large display increases, the weight of the display itself becomes heavy. As a result, the display is sagged by the weight when the large display is installed.

또 전자칠판 등은 사용자가 펜 등을 사용하기 위하여 다가가게 되더라도 거치대의 바닥판이 돌출되어 있어 전자칠판을 사용함에 있어 전자칠판에 근접하여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 even if the user approaches the pen or the like to use the electronic board, the bottom plate of the bed is protruded, which makes it impossible to use the electronic board in close proximity to the electronic board.

또한 대형 디스플레이는 스탠드형으로 설치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의 중량이 100~200㎏을 가지므로, 대형 디스플레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large display is installed in a stand type, since the weight of the display is 100 to 200 kg, the height of the large display can not be adjusted.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디스플레이장치 거치대'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a 'display device holder' i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below.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대는 판 형태의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내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기 받침대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비된 한 쌍의 받침대기둥, 상기 받침대기둥 내부에 결합 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메인기둥, 상기 메인기둥에서 수직 상하로 유동 및 고정되도록 형성된 장착대로 구성된다.The display device stan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has a plate-shaped pedestal, a pair of pedestals arranged i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destal protruded from the inside of the pedestal in the vertical direction, A main column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ain column, and a mounting configured to vertically move up and down in the main column.

상기 메인기둥은 수직방향으로 일면이 개구된 개구홈과 상기 개구홈에 형성되어 상기 장착대가 유동 및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체결편을 구비한다.The main pillar includes an opening groove having one side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pieces formed in the opening groove so that the mounting block can flow and be coupled.

하기 특허문헌 2에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거치대'가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2 below discloses a " stand for flat panel display ".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용 거치대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에 고정되는 제1 고정 프레임,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치하고자 하는 벽면에 고정되는 제2 고정 프레임, 상기 제1 고정 프레임과 제2 고정 프레임을 연결하는 유니버셜 조인트 및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1 고정 프레임과 제2 고정 프레임에 볼 조인트를 통해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실린더를 포함한다.The stand for a flat panel display according to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2 includes a first fixed frame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 a second fixed frame fixed to a wall surface for mounting the flat display device, And a universal joint connecting the frame and at least one piston-cylinder to which the both ends are coupled through the ball joint to the first fixed frame and the second fixed frame, respectively.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43865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43865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5-008804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88043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형 디스플레이를 안정되게 설치되게 함은 물론 디스플레이의 중량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쏠림을 방지하는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rge display stand that can stably install a large display and prevent the display from being tilted by the weight of the displa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량물인 대형 디스플레이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가 대형 디스플레이와 근접하게 다가갈 수 있는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rge display stand capable of adjusting a large display as a heavy object to a desired height and allowing the user to approach the large display close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량물인 대형 디스플레이를 원하는 위치로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는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rge display stand capable of freely moving a heavy display, which is a heavy item, to a desired posi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는 대형 디스플레이가 이동 가능하도록 저면에 다수의 바퀴가 설치되는 받침부재; 소정 높이 및 폭으로 이루어져 대형 디스플레이가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상기 받침부재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메인프레임부재; 상기 대형 디스플레이가 상기 메인프레임부재에 의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부재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치부재; 상기 거치부재에 장착된 상기 대형 디스플레이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부재에 설치되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radle for a larg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supporti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so that a large display can be moved; A main frame member vertical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member so as to stably support the large display unit with a predetermined height and width; A mounting member having a height adjustable to the main frame member so that the large display can be stably supported by the main frame member; And elevating means provided on the main frame member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arge display mounted on the mounting member.

상기 받침부재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전면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호홈부; 상기 대형 디스플레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받침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supporting member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An arcuate groove portion formed in an arc shape on a front surface of the receiving plate; And a plurality of wheels mount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to move the large display.

상기 메인프레임부재는 상기 받침부재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 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고정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하며, 전선케이블이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보강프레임; 상기 승강수단의 승강 시 상기 승강수단이 안정되게 이동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승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frame member includes a lower frame coupled to the receiving member; A vertical frame vertically fix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frame; A reinforcement frame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vertical frame and installed to penetrate the cable; And an elevating frame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so that the elevating unit is stably moved when the elevating unit is elevated or lowered.

상기 승강프레임은 대형 디스플레이의 쏠림을 방지하도록 하부가 상부보다 돌출되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vating frame may include a lower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upper portion to prevent the large display from leaning.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메인프레임부재의 배면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 상기 고정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 상기 메인프레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크류; 상기 핸들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류가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회전력전달부; 상기 스크류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vating means includes a fixing bracket installed on a rear surface of the main frame member. A handle rotatably mounted on the fixing bracket; A screw rotatably and vertically installed on the main frame member; A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coupled to rotate the screw by rotation of the handle; And a lifting and lowering frame installed on the screw to be movable up and down.

상기 승강수단은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되도록 보강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으로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의 회전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riving motor installed on the reinforcing frame so as to be rotated by an applied power source; A screw vertically rotatably installed by a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And a lift frame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by rotation of the screw.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에 의하면, 중량물인 대형 디스플레이를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형 디스플레이의 높낮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고, 승강프레임의 하부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대형 디스플레이의 중량에 의한 쏠림 또는 처짐을 방지할 수 있고, 중량물인 대형 디스플레이를 핸들의 회전으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large display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freely move a large display as a heavy object, but also to freely adjust the height of a large display,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elevating frame is protruded forwar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play from sagging or sagging due to the weight of the display and to easily adjust the weight of the large display by rotating the handle.

본 발명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에 의하면, 받침부재의 전면에 일정 깊이의 원호홈부가 형성되어 대형 디스플레이인 전자칠판 등에 전자펜 등을 근접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펜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대형 디스플레이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ccording to the large stand for a larg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rc groov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ceiving member, so that an electronic pen or the like can be used in close proximity to an electronic board as a large display, So that the utilization of the large display can be enhanc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를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의 메인프레임부재를 도시한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의 메인프레임부재를 수직으로 도시한 정면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의 메인프레임부재를 수직으로 도시한 배면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의 승강수단을 도시한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를 도시한 배면 입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를 도시한 평면도.
1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holder for a large display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cradle for a large display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view of a large display stand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main frame member of a cradle for a large display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a main frame member of a large display stand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frame member of a large display stand vertically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lifting means of a cradle for a large display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ide view of a large display stand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large display stand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showing a holder for a large display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cradle for a large displa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는 대형 디스플레이(1)가 이동 가능하도록 저면에 다수의 바퀴(13)가 설치되는 받침부재(10), 소정 높이 및 폭으로 이루어져 대형 디스플레이(1)가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상기 받침부재(10)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메인프레임부재(20), 상기 대형 디스플레이(1)가 상기 메인프레임부재(20)에 의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부재(20)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치부재(30), 상기 거치부재(30)에 장착된 상기 대형 디스플레이(1)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부재(20)에 설치되는 승강수단(40)을 포함한다.A large display sta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member 10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13 mount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so that the large display 1 can be moved, A main frame member 20 vertical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member 10 so as to be stably supported by the main frame member 20 so that the large display 1 can be stably supported by the main frame member 20, A lifting means 40 installed on the main frame member 20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arge display 1 mounted on the mounting member 30;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는 84인치 이상의 대형 디스플레이(1)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킴은 물론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대형 디스플레이(1)인 전자칠판, 모니터, TV 등의 전자펜을 근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large display hol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large display 1 of 84 inches or more to be moved to a desired position and can be adjusted to a desired height, So that the electronic pen can be used in close proximity.

<제1 실시 예>&Lt; Embodiment 1 >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 거치대는 바닥면에 안정되게 놓일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받침부재(10), 상기 받침부재(10)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메인프레임부재(20), 상기 메인프레임부재(20)에 대형 디스플레이(1)를 거치하는 거치부재(30) 및 상기 거치부재(30)에 장착된 대형 디스플레이(1)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수단(40)으로 이루어진다.1 to 3, a large display stan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member 10 provided to be stably placed on a floor surface, (30) for mounting the large display (1) on the main frame member (20) and the height of the large display (1) mounted on the mounting member (30) And an elevating means (40).

상기 받침부재(10)는 바닥면에 놓일 수 있도록 일정 크기를 갖는 받침판(1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판(11)에는 사용자가 전자칠판인 대형 디스플레이(1)에 근접할 수 있도록 원호 형상의 원호홈부(12)가 형성된다.The support member 10 is formed of a support plate 11 having a predetermined size so as to be placed on a floor surface. The support plate 10 is provided with a circular arcuate arc The groove 12 is formed.

상기 받침판(11)의 저면에는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바퀴(13)가 설치된다. 상기 바퀴(13)는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형 디스플레이(1)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켜 둘 수 있도록 잠금장치(미도시)가 마련됨은 물론이다.A plurality of wheels 13 ar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late 11 so as to be moved to a desired posi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a locking device (not shown) is provided to allow the wheel 13 to move freely and to hold the large display 1 in a desired posi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의 메인프레임부재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의 메인프레임부재를 수직으로 도시한 정면 입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의 메인프레임부재를 수직으로 도시한 배면 입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의 승강수단을 도시한 입체도이다.FIG. 4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main frame member of a large display stand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frame member of a large display stand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frame member of a large display stand vertically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ront elevational view showing a preferred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lifting means of a cradle for a large display according to an example.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부재(2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받침부재(10)의 상면에 맞닿는 하부프레임(21), 상기 하부프레임(21)의 양측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수직프레임(22), 상기 수직프레임(22)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보강프레임(23) 및 상기 수직프레임(23)의 상면에 고정되는 상부프레임(24)으로 이루어진다.1 to 7, the main frame member 2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The main frame member 20 includes a lower frame 21 abut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member 10, A vertical frame 22 fixed vertically, a reinforcing frame 23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vertical frames 22 and an upper frame 24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23.

상기 보강프레임(23)에는 대형 디스플레이(1) 등에 연결되는 전원케이블(미도시)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다.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reinforcing frame 23 to accommodate a power cable (not shown) connected to the large display 1 and the like.

아울러 메인프레임부재(20)의 하부에는 전면에 설치되는 전면판(25)과 배면에 설치되는 배면판(26)이 마련된다. 상기 배면판(26)은 탈착이 용이하도록 자석(미도시)이 설치된다.In addition, a front plate 25 provided on the front side and a back plate 26 provided on the rear side are provided below the main frame member 20. The rear plate 26 is provided with a magnet (not shown) for easy detachment.

즉, 배면판(26)에는 자석이 고정되어 메인프레임부재(20)에 자력으로 부착되며, 필요 시 배면판(26)을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배면판(26)을 잡아당겨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magnets are fixed to the back plate 26 and are magnetically attached to the main frame member 20, and if necessary, the back plate 26 can be pulled out when it is desired to separate the back plate 26 .

상기 메인프레임부재(20)의 상부에는 거치부재(30)가 설치된다. 상기 거치부재(3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31)과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프레임(32)이 마련된다.A mounting member 3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member 20. The stationary member 3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The stationary member 30 is provided with an upper frame 31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lower frame 32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상기 상부프레임(31)과 하부프레임(32)의 양단에는 각각 측면프레임(33)이 고정되며, 상기 상부프레임(31)과 하부프레임(32)의 전면에는 대형 디스플레이(1)이 장착되는 수직프레임(34)이 설치된다.A side frame 33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upper frame 31 and the lower frame 32 and a vertical frame 30 on which a large display 1 is mounted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s of the upper frame 31 and the lower frame 32, (34).

상기 거치부재(30)는 승강수단(40)에 의해 높이 조절되도록 설치된다.The mounting member 30 is installed so as to be adjustable in height by the elevating means 40.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수단(40)은 상기 메인프레임부재(20)의 배면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41), 상기 고정브래킷(4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42), 상기 메인프레임부재(20)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크류(43), 상기 핸들(4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류(43)가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회전력전달부(44), 상기 스크류(43)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프레임(45)을 포함한다.4 to 7, the elevating means 40 includes a fixing bracket 41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frame member 20, a handle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xing bracket 41, A screw 43 that is rotatably and vertically installed on the main frame member 20, a torque transmission unit 44 that is coupled to rotate the screw 43 by rotation of the handle 42, And a lifting and lowering frame 45 mounted on the screw 43 to be movable up and down.

상기 메인프레임부재(20)의 배면에는 핸들(42)이 설치되도록 고정브래킷(41)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브래킷(41)에는 핸들(4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A fixing bracket 41 is installed on a rear surface of the main frame member 20 so that a handle 42 is installed and a handle 42 is rotatably mounted on the fixing bracket 41.

상기 메인프레임부재(20)의 상부 중앙에는 거치부재(30)를 승강시키는 스크류(43)가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스크류(43)는 핸들(42)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거치부재(30)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A screw 43 is vertically installed at an upper center of the main frame member 20 to vertically move the mounting member 30. The screw 43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handle 42 to move the mounting member 30 up or down.

이러한 스크류(43)는 100㎏ 이상의 중량을 갖는 대형 디스플레이(1)를 안정되게 승강시킬 수 있도록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crew 43 is preferably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so that the large-sized display 1 having a weight of 100 kg or more can be stably lifted and lowered.

상기 핸들(42)과 스크류(43)는 핸들(42)의 회전력이 스크류(43)로 전달되도록 회전력전달부(44)가 결합되며, 회전력전달부(44)는 핸들(42)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43)가 회전되도록 베벨기어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handle 42 and the screw 43 are connected to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44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handle 42 is transmitted to the screw 43.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44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handle 42 And a bevel gear or the like so that the screw 43 is rotated.

상기 스크류(43)에는 거치부재(30)가 고정되도록 승강프레임(45)이 결합된다.The lift frame 45 is coupled to the screw 43 so that the mounting member 30 is fixed.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8 is a side view of a large display sta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프레임(45)은 대형 디스플레이(1)가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하부가 상부보다 더 돌출되게 경사지게 형성된다.As shown in FIG. 8, the lifting frame 45 is formed such that the lower portion thereof is more inclined than the upper portion so that the large-sized display 1 is stably installed.

즉, 승강프레임(45)의 하부는 상부보다 3~10°정도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경사지게 형성된다.That is, the lower portion of the lifting frame 45 is protruded by 3 to 10 degrees from the upper portion, and more preferably is inclined by 5 degrees.

아울러 승강수단(40)은 수직프레임(22)의 내면에 안내프레임(46)이 고정되며, 상기 승강프레임(45)의 양 측면에는 안내프레임(46)을 따라 회전되는 안내롤러(47)가 설치된다.A guide frame 46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22 and guide rollers 47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ift frame 45 to rotate along the guide frame 46 do.

다음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1 to 8, a method of operating a cradle for a large display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는 82인치 이상의 크기를 갖는 대형 디스플레이(1)를 안정되게 거치되게 한다.As shown in Figs. 1 to 8, the large display st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bly mounts the large display 1 having a size of 82 inches or more.

이러한 대형 디스플레이(1)는 100㎏ 이상의 중량을 갖게 되므로, 대형 디스플레이(1)의 설치 위치 및 높낮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Since the large display 1 has a weight of 100 kg or more,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height of the large display 1 can be freely adjusted.

상기 대형 디스플레이(1)는 거치부재(30)의 수직프레임(34)에 볼트 등으로 고정하여 장착한다.The large display 1 is fixed to the vertical frame 34 of the mounting member 30 with bolts or the like.

상기 받침판(11)의 저면에는 다수의 바퀴(1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수직프레임(22)의 측면에는 이동 시 메인프레임부재(20)를 잡을 수 있는 손잡이(27)가 고정되어 있어 메인프레임부재(2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Since the plurality of wheels 13 ar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late 11, the user can move to a desired position and the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22 can hold the main frame member 20 The knob 27 is fixed and the main frame member 20 can be easily moved.

한편 받침판(11)에는 저면에 소정 깊이로 원호홈부(1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대형 디스플레이(1)인 전자칠판, 터치스크린 등을 전자펜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대형 디스플레이(1)에 근접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arc plate 12 is formed in the bottom plate 11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bottom surface, the user can easily access the large display 1 in order to operate the electronic whiteboard, touch screen, So that it can be used.

즉, 원호홈부(12)는 사용자가 대형 디스플레이(1)에 근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대형 디스플레이(1)에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That is, the arc groove portion 12 provides a space for accessing the large display 1 so that the user can use it close to the large display 1.

또한 메인프레임부재(20)의 수직프레임(22)에는 대형 디스플레이(1)의 하부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간격조절구(28)가 설치된다. 상기 간격조절구(28)는 대형 디스플레이(1)의 하부를 전방으로 밀어주도록 회전시킴에 따라 대형 디스플레이(1)가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The vertical frame 22 of the main frame member 20 is provided with an interval adjusting opening 28 for moving the lower portion of the large display 1 forward. The spacing adjuster 28 causes the large display 1 to move forward by rota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large display 1 forward.

상기 승강수단(40)은 대형 디스플레이(1)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핸들(42)을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력전달부(44)가 회전되면서 스크류(43)를 회전시키게 된다.The elevating means 40 adjusts the height of the large display 1. The user rotates the handle 42 to rotate the screw 43 while rotating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44.

이에 따라 스크류(43)에 결합된 승강ㅍ레임(45)은 상승되거나 하강하게 되며, 이에 대형 디스플레이(1)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lifting platform 45 coupled to the screw 43 is raised or lowered, and thus the height of the large display 1 can be controlled.

사용자는 핸들(42)을 이용하여 스크류(43)를 회전시킴에 따라 승강프레임(45)을 상승시켜 대형 디스플레이(1)의 높이를 상승시키거나 승강프레임(45)을 하강시켜 대형 디스플레이(1)의 높이를 하강시키게 된다.The user uses the handle 42 to rotate the screw 43 to raise the elevation frame 45 to raise the height of the large display 1 or lower the elevation frame 45 to move the large display 1, As shown in FIG.

이때 승강프레임(45)은 안내프레임(46)을 따라 안내롤러(47)가 회전되면서 승강되므로, 중량물이 대형 디스플레이(1)를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elevating frame 45 is lifted and lowered while the guide roller 47 is rotated along the guide frame 46, the heavy display can stably lift and lift the large display 1.

<제2 실시 예>&Lt; Embodiment 2 >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를 도시한 배면 입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제2 실시 예에 따른 거치대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명칭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G. 9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large display stand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lan view showing a large display stand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d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names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는 스크류(43)를 구동모터(51)에 의해 승강시키는 것이고, 제1 실시 예는 사용자가 핸들(42)을 회전시켜 승강시키는 것으로, 승강수단(40)은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되도록 보강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모터(51), 상기 구동모터(51)의 회전력으로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크류(43), 상기 스크류(43)의 회전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프레임(45)을 포함한다.9, the large display stan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screw 43 by the drive motor 51. In the first embodiment, The elevating means 40 includes a driving motor 51 mounted on the reinforcing frame so as to be rotated by an applied power source, a screw 43 vertically installed to be rotatable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51, And a lifting frame 45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43.

상기 구동모터(51)는 보강프레임(23)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51)는 안정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동모터(51)의 외측에 고정브래킷(52)이 설치된다.The driving motor 51 is installed in the reinforcing frame 23 and the fixing bracket 52 is installed outside the driving motor 51 so that the driving motor 51 is stably fixed.

아울러 메인프레임부재(20)의 일측에는 구동모터(51)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53)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51)에는 스크류(4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A switch 53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of the driving motor 51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frame member 20, and a screw 43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driving motor 51.

또한 메인프레임부재(20)의 측면 또는 배면에는 사용자에 따라 디스플레이(1)의 높이를 표시하는 카드삽입구(55)가 설치된다.A card insertion port 55 for indicating the height of the display 1 is provided on the side or back of the main frame member 20.

상기 카드삽입구(55)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이름을 표기한 카드 또는 명함 등을 꽂아 보관할 수 있도록 다수개가 설치된다.The card insertion port 55 is made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ards for storing a card or a business card bearing the name of the user.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재(10)는 받침판(11)의 원호부(12)를 비교적 곡률이 작은 원호로 형성한다. 이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 앞에서 이동 시 발이 원호홈부(12)에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As shown in Fig. 10, the receiving member 10 forms the circular arc portion 12 of the receiving plate 11 as a circular arc having a relatively small curvature. This is to prevent the foot from being caught by the arcuate groove 12 when the user moves in front of the display 1. [

즉, 상기 원호홈부(12)는 사용자의 발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매우 완만한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강의 또는 교육현장 등에서 사용 시 사용자의 발이 부딪히거나 충동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arc groove 12 has a very gentle curved shape to secure a space in which the user's feet can move. This makes it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 by preventing the user's foot from being hit or impulsive when used in a lecture or a training sit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는 스위치(53)를 조작함에 따라 구동모터(51)에 전원이 인가되고, 구동모터(51)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된다.In the cradle for large displa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ower is applied to the driving motor 51 as the switch 53 is operated, and the driving motor 51 is driven by the applied power.

상기 스크류(43)는 구동모터(51)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스크류(43)는 정역 회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스크류(43)에 결합된 승강프레임(45)을 설정된 높이만큼 승강시키게 된다.The screw 43 is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51 and the elevating frame 45 coupled to the screw 43 is raised or lowered by a predetermined height as the screw 43 is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한편 구동모터(51)는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설정된 높이만큼 제한적으로 승강되게 할 수 있다. 즉, 구동모터(51)는 스위치(53)의 1회 조작 시 3~5㎝의 높이로 승강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치(53)는 디스플레이(1)를 상승시키는 상승 스위치 또는 디스플레이(1)를 하강시키는 하강 스위치가 각각 설치되거나 하나의 스위치(53)를 정역 회전시킴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motor 51 can be limitedly raised and lowered by a height set by a controller (not shown). That is, the drive motor 51 can be raised and lowered to a height of 3 to 5 cm during one operation of the switch 53, and the switch 53 can be operated by a lift switch or display 1 for raising the display 1, Or one switch 53 can be raised or lower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witch 53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이는 사용자에 따라 디스플레이(1)를 사용하고자 하는 높이로 조절 시 사용자의 신체 높이에 맞게 적절한 높이로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사용자는 스위치(53)를 조작하여 승강프레임(43)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며, 디스플레이(1)의 높이가 높거나 낮은 경우 스위치(53)를 다시 조작하여 승강프레임(45)을 승강시켜 사용자의 신체 높이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is is for the us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display 1 to a desired height so that the height of the display 1 can be adjusted to a suitable height according to the user's body height. That is, the user operates the switch 53 to raise or lower the elevating frame 43. When the height of the display 1 is high or low, the user operates the switch 53 again to elevate the elevating frame 45, The body height of the body can be adjusted.

또한 카드삽입구(55)는 여러 사용자의 명함이나 이름표 등을 꽂아 보관하여 둠으로써 사용자의 신장에 맞게 디스플레이(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ard insertion slot 55 allows the height of the display 1 t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by inserting a card or a name tag of a plurality of users into the card slot.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받침부재 11: 받침판
12: 원호홈부 13: 바퀴
20: 메인프레임부재 21: 하부프레임
22: 수직프레임 23: 보강프레임
24: 상부프레임 25: 전면판
26: 배면판 27: 손잡이
28: 간격조절구
30: 거치부재 31: 상부프레임
32: 하부프레임 33: 측면프레임
34: 수직프레임
40: 승강수단 41: 고정브래킷
42: 핸들 43: 스크류
44: 회전력전달부 45: 승강프레임
46: 안내프레임 47: 안내롤러
51: 구동모터 52: 고정브래킷
53: 스위치 55: 카드삽입구
10: support member 11:
12: arc groove portion 13: wheel
20: main frame member 21: lower frame
22: vertical frame 23: reinforcing frame
24: upper frame 25: front plate
26: back plate 27: handle
28:
30: mounting member 31: upper frame
32: lower frame 33: side frame
34: Vertical frame
40: lifting means 41: fixing bracket
42: handle 43: screw
44: Torque transmission part 45: Lift frame
46: guide frame 47: guide roller
51: driving motor 52: fixing bracket
53: Switch 55:

Claims (6)

대형 디스플레이가 이동 가능하도록 저면에 다수의 바퀴가 설치되는 받침부재;
소정 높이 및 폭으로 이루어져 대형 디스플레이가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상기 받침부재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메인프레임부재;
상기 대형 디스플레이가 상기 메인프레임부재에 의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부재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치부재;
상기 거치부재에 장착된 상기 대형 디스플레이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부재에 설치되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
A support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mount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so that a large display can be moved;
A main frame member vertical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member so as to stably support the large display unit with a predetermined height and width;
A mounting member having a height adjustable to the main frame member so that the large display can be stably supported by the main frame member;
And elevating means installed on the main frame memb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large display mounted on the mount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전면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호홈부;
상기 대형 디스플레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받침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ing member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An arcuate groove portion formed in an arc shape on a front surface of the receiving plate;
And a plurality of wheels mount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so as to move the large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부재는 상기 받침부재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 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고정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하며, 전선케이블이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보강프레임;
상기 승강수단의 승강 시 상기 승강수단이 안정되게 이동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승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frame member includes a lower frame coupled to the receiving member;
A vertical frame vertically fix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frame;
A reinforcement frame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vertical frame and installed to penetrate the cable;
And a lifting frame moun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so that the lifting unit is stably moved when the lifting unit is lifted or lower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은 대형 디스플레이의 쏠림을 방지하도록 하부가 상부보다 돌출되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elevating frame includes a lower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upper portion to prevent the large display from lea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메인프레임부재의 배면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
상기 고정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
상기 메인프레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크류;
상기 핸들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류가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회전력전달부;
상기 스크류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vating means includes a fixing bracket installed on a rear surface of the main frame member.
A handle rotatably mounted on the fixing bracket;
A screw rotatably and vertically installed on the main frame member;
A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coupled to rotate the screw by rotation of the handle;
And a lifting frame mounted on the screw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되도록 보강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으로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의 회전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riving motor installed on the reinforcing frame so as to be rotated by an applied power source;
A screw vertically rotatably installed by a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And a lift frame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by rotation of the screw.
KR1020180011273A 2017-08-10 2018-01-30 Large Display Mount KR2019001762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01569 2017-08-10
KR1020170101569 2017-08-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623A true KR20190017623A (en) 2019-02-20

Family

ID=65562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273A KR20190017623A (en) 2017-08-10 2018-01-30 Large Display Mou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7623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869B1 (en) 2019-12-27 2020-04-23 김영대 Height variable TV stand
CN114001260A (en) * 2021-11-17 2022-02-01 苏州宝天智能科技有限公司 Multimedia monitoring device with three degrees of freedom
KR20230055813A (en) 2021-10-19 2023-04-26 주식회사 코뱃 Apparatus for mounting of electronic devices with variable shap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8043A (en) 2005-01-12 2005-09-01 최병기 Mounting device for the plat pannel display
KR200443865Y1 (en) 2008-09-26 2009-03-23 임채민 Support of display un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8043A (en) 2005-01-12 2005-09-01 최병기 Mounting device for the plat pannel display
KR200443865Y1 (en) 2008-09-26 2009-03-23 임채민 Support of display uni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869B1 (en) 2019-12-27 2020-04-23 김영대 Height variable TV stand
KR20230055813A (en) 2021-10-19 2023-04-26 주식회사 코뱃 Apparatus for mounting of electronic devices with variable shape
CN114001260A (en) * 2021-11-17 2022-02-01 苏州宝天智能科技有限公司 Multimedia monitoring device with three degrees of freedo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7623A (en) Large Display Mount
US7213792B2 (en) Height adjustable and pivotable monitor assembly
US20070252919A1 (en) Remotely controlled adjustable flat panel display support system
CN104537968A (en) Electronic welcome board, electronic white board and electronic rostrum
TW200607344A (en) Mount for image display apparatus
CN1937090A (en) Display device
WO2008049867A1 (en) A floor standing support for an lcd or plasma display
GB2475977A (en) Height and rotatably adjustable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JP2011017738A (en) Display support device
CN201127074Y (en) Electric bracket for panel TV
JP2006208834A (en) Display mounting device and article storage structure having same
US8123188B2 (en) Apparatus for concealing multimedia devices
US10619789B1 (en) Height-adjustable stand for a flat-screen television
WO2000073697A1 (en) Support arrangement for a display device
KR100872350B1 (en) Angle regulation structure of display panel
CN215060983U (en) Computer specialty information display device
JP2008220533A (en) Furniture with slide hold function for thin television
JP2005184506A (en) Television stand
JP3160260U (en) Multi display device
CN214230710U (en) Display stand convenient for multi-azimuth exhibition
EP1776900A1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guiding device
CN111166119A (en) Art picture display device
CN219843871U (en) Live broadcast device for exhibition hall
KR200355619Y1 (en) Display position control device
KR100808453B1 (en) A stand for tv moni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