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799A -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방법 - Google Patents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6799A
KR20190016799A KR1020170101205A KR20170101205A KR20190016799A KR 20190016799 A KR20190016799 A KR 20190016799A KR 1020170101205 A KR1020170101205 A KR 1020170101205A KR 20170101205 A KR20170101205 A KR 20170101205A KR 20190016799 A KR20190016799 A KR 20190016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etric information
user authentication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윤서
김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이
Priority to KR1020170101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6799A/ko
Publication of KR20190016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7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05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by remotely controlling device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방법은 원격지에 위치한 전자 장치로부터 사용자 인증에 관한 보안 레벨 변경 요청을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한 정보 및 상기 수신한 생체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안 레벨은 상기 원격지에 위치한 전자 장치를 통해 설정 가능하다.

Description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방법{Remote control method of user authentication level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본 발명은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사용자 인증장치의 보안레벨을 조정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시스템 보안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됨에 따라 사용자 인증에 대한 관심도 날로 증가하고 있다.
종래 사용자 인증을 위한 방법으로는 패스워드를 이용한 방식이 가장 널리 활용되었다. 패스워드 입력방식은 사용자로 하여금 사전에 등록된 숫자나 문자 또는 이들의 조합 등으로 구성된 패스워드를 입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패스워드 방식은 보안성이 높지 않아 개인 정보 유출 등과 같은 피해가 우려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보다 보안성이 높은 지문, 홍채 인식, 음성 인식과 같은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이 대두되었다.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은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생체정보와 새로 입력된 사용자의 생체정보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기기에 생체정보의 유사도를 높게 설정해 놓으면 보안 레벨은 높지만, 본인 거부율도 높아, 사용자 인증이 제대로 수행되기 힘든 반면, 상기 기기에 생체정보의 유사도를 낮게 설정해 놓으면 타인이라도 생체정보가 비슷한 경우 사용자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방식은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생체정보와 새로 입력된 사용자의 생체정보의 유사도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없는 제한이 있었다.
그리고 사용자가 인증이 요구되는 개인 단말기를 집에 두고 온 경우, 본인 이외의 다른 사람이 상기 개인 단말기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원격지에서 상기 개인 단말기의 보안 레벨을 조정하여 다른 사용자가 대신 상기 개인 단말기를 통해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 레벨 조정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단말기의 보안 레벨을 낮게 설정해 놓은 상태에서 단말기를 잃어버리거나 공공장소에 놓고 온 경우, 타인의 접근을 막기 위해 상기 단말기의 보안 레벨을 원격으로 높일 필요가 있다.
(KR) 한국등록특허 제10-062062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원격으로 사용자 인증에 관한 보안 레벨을 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원격지에 위치한 전자 장치를 통해 보안 레벨을 조정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방법은 원격지에 위치한 전자 장치로부터 사용자 인증에 관한 보안 레벨 변경 요청을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한 정보 및 상기 수신한 생체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보안 레벨은 상기 원격지에 위치한 전자 장치를 통해 설정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안 레벨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가 미리 인증된 전자 장치인지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인증된 전자 장치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방법은 보안관리서버가 원격지에 위치한 전자 장치로부터 사용자 인증에 관한 보안 레벨 변경 요청을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보안관리서버가 상기 전자 장치는 미리 인증된 전자 장치인지 검증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인증된 전자 장치인 경우, 상기 보안관리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에 보안 레벨 변경 인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보안 레벨 변경 인가 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갱신한 정보 및 상기 수신한 생체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안 레벨은 상기 원격지에 위치한 전자 장치를 통해 설정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정보는 기 저장된 생체정보와 상기 수신한 생체정보의 비교 유사도 및 상기 전자 장치에서 변경된 보안 레벨에 대응되는 기준 유사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방법은 비교 유사도 값이 기준 유사도 값 이상이면 인증을 수락하고, 비교 유사도 값이 기준 유사도 값 미만이면 인증을 거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정보는 기 저장된 타인의 생체정보, 원격지에 위치한 전자 장치로부터 설정된 타인 정보, 타인의 생체정보와 수신한 생체정보의 비교 유사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는 지문, 홍채, 음성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생체정보의 종류는 상기 원격지에 위치한 전자 장치로부터 보안 유형 변경 설정을 수신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 스토리지, 메모리, NIC, 및 BUS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스토리지는 상기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프로그램을 저장하되, 상기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프로그램은, 원격지에 위치한 전자 장치로부터 사용자 인증에 관한 보안 레벨 변경 요청을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요청에 따라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갱신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는 오퍼레이션 및 상기 갱신한 정보 및 상기 수신한 생체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오퍼레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보안 레벨은 상기 원격지에 위치한 전자 장치를 통해 설정 가능하다.
상술한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방법에 따르면, 단말기에 설정된 사용자 인증에 관한 보안 레벨을 원격지에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실수로 집에 휴대폰 등의 단말기를 두고 온 경우에도, 타인으로 하여금 자신의 단말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휴대폰의 보안 레벨이 낮게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폰을 실수로 잃어버리거나 공공장소에 두고 온 경우에 사용자가 원격으로 상기 휴대폰의 보안 레벨을 높임으로써 타인이 휴대폰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을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을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원격지 전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 레벨을 조정하는 프로그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원격지 전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 레벨을 조정하는 프로그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기 등록된 생체정보와 수신한 생체정보 간의 유사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안 레벨을 낮게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안 레벨을 높게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지문인식( Fingerpring Recognition)
사람의 손가락 지문의 패턴을 이용하여 신원을 확인하는 기술. 광학식, 반도체식 등 정지된 지문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와, 카드를 긁듯이 손가락을 긁어서 지문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를 이용
홍채인식(Iris Recognitioin )
안구 정면의 동공 가까이에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홍채에 있는 다양한 패턴을 이용하여 본인의 신원을 확인하는 기술
등록(Enrollment)
생체인식 정보를 생체인증/검증 또는 식별을 위하여 생체인식 시스템에 사용자의 ID와 함께 정의하는 과정
추출(Extraction)
생체 원시정보에서 생체인식 샘플을 얻어내는 과정
정합(Matching)
입력된 생체정보 샘플로부터 추출된 특징점과 생체 기준 정보 사이의 유사도를 측정하는 과정
정합점수 (Matching Score)
정합의 결과로 나온 유사도를 나타내는 값
기준값
기 저장된 사용자의 기준 생체 정보와 입력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간의 정보를 비교하여 정합/부정합을 결정하는 기준
기준 유사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설정한 보안 레벨에 대응되는 유사도
비교 유사도
입력된 생체정보 샘플로부터 추출된 특징점과 기 저장된 사용자의 기준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측정한 정합의 결과로 나온 유사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주체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복수의 컴퓨팅 장치가 결합된 서버,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범용적인 컴퓨팅 장치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장치에서 보안 레벨을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격지에 위치한 전자 장치에서도 보안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방법의 개념도이다.
원격지에 위치한 전자 장치(200)에는 원격으로 사용자 단말기(100)의 보안레벨을 변경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요청된 보안 레벨 변경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에 전송하여 보안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생체정보에 기반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을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방법을 수행하는 주체는 사용자 단말기(100)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방법은 우선 원격지에 위치한 전자 장치(200)로부터 사용자 인증에 관한 보안 레벨 변경 요청을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한다(S110). 보안 레벨이란, 사용자 인증을 필요로 하는 컨텐츠, 트랜젝션(Transaction) 별로 설정되는 보안의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레벨은 기 저장된 생체정보와 수신한 생체정보의 비교 유사도 값에 대응하는 수치와 동일하게 백분율(%)로 표시될 수 있거나, '저,중,고'와 같이 단계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보안 레벨은 사용자 인증을 필요로 하는 상황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보안 레벨을 조정하는 인터페이스는 원격지에 위치한 전자 장치(200)에 프로그램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휴대폰(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집에 두고 온 상황에서, 휴대폰에 저장된 파일이 필요한 경우, 집에 있는 가족에게 자신의 휴대폰의 잠금을 해제하여 파일을 전송 받을 수 있어야 한다. 휴대폰 잠금 해제시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휴대폰의 보안 레벨이 불필요하게 높게 설정되었다면 타인의 생체정보는 거부되어 휴대폰에 저장된 파일에 접근이 불가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원격으로 상기 휴대폰의 보안 레벨을 낮게 조정한다면, 타인의 생체정보는 수락될 수 있으므로 가족이 휴대폰에 저장된 파일에 대신 접근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가 사용자 인증에 관한 보안 레벨 변경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갱신한다(S120).
한편,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갱신하기 전에 원격지 전자 장치(200)가 미리 인증된 전자 장치인지 검증을 먼저 수행하고, 상기 원격지 전자 장치(200)가 인증된 전자 장치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S1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정보는 기 저장된 생체정보와 수신한 생체정보의 비교 유사도 및 원격지 전자 장치(200)에서 변경된 보안 레벨에 대응되는 기준 유사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저장된 생체정보란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자가 사전에 등록한 생체 정보일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 저장된 생체정보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ID와 같은 식별자와 함께 저장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신(S130)하고, 상기 갱신한 정보 및 상기 수신한 생체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140).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사용자 인증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에 구비된 센서 등을 통해 수신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는 홍채, 지문, 음성 정보, 얼굴 인식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홍채인식 기반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눈 영역을 촬영하는 홍채 촬영 장치가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눈 영역으로 가져가 홍채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홍채 이미지는 생체정보 특징을 추출하는 데이터로 활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방법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지의 전자 장치(200)는 보안관리서버(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 사용자 인증에 관한 보안 레벨 변경 요청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관리서버(300)는 원격지의 전자 장치(200)가 미리 인증된 전자 장치인지 검증한 다음, 사용자 단말기(100)에 보안레벨 변경 인가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보안 레벨 조정에 대한 해킹의 위험을 담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을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방법은 보안관리서버(300)가 원격지에 위치한 전자 장치(200)로부터 사용자 인증에 관한 보안 레벨 변경 요청을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한다(S310).
보안관리서버(300)는 상기 전자 장치(200)가 미리 인증된 전자 장치인지 검증한 후(S320), 사용자 단말기(100)에 보안 레벨 변경 인가 정보를 전송한다(S3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레벨 변경 인가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보안 레벨이 조정되기 위한 인가 코드를 포함하고, 원격지의 전자 장치(200)를 통해 수신한 조정된 보안 레벨 관련 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가 상기 보안 레벨 변경 인가 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갱신(S340)한 다음, 타인의 생체정보를 수신함으로써(S350)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350).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원격지 전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 레벨을 조정하는 프로그램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예컨대, 원격지에 위치한 PC에 설치된 보안레벨 원격 조정 프로그램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모니터(201)에 표시된 보안레벨 원격 조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보안레벨에 대응하는 생체정보의 유사도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안레벨 원격 조정 프로그램은 보안관리서버(300)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원격지 전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 레벨을 조정하는 프로그램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레벨 원격 조정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 본인의 생체정보 유사도를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기(100)의 보안 인증을 대신 수행해 줄 다른 사용자를 지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사용자의 생체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원격지에 있는 PC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해 줄 다른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다른 사용자의 보안 레벨에 대응하는 생체정보 유사도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갱신하는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기 저장된 타인의 생체정보, 원격지에 위치한 전자 장치(200)로부터 설정된 타인 정보 및 타인의 생체정보와 수신한 생체정보의 비교 유사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는 기 등록된 생체정보와 수신한 생체정보 간의 유사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안 레벨을 낮게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안 레벨을 높게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인증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지문이나 홍채와 같은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데 있어 해당 생체 정보의 특징점을 이용하게 되는데 특징점 기반의 생체 정보 인증의 유사도 분포는 도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를 가진다.
도 6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x축은 입력된 생체 정보 샘플로부터 추출된 특징점과 기 등록된 생체 기준 정보의 특징점과의 유사도를 점수화한 정합 점수를 의미한다. y축은 해당 유사도를 가지는 사용자들의 분포수를 의미한다.
이때, 제1 그래프(710)는 기 등록된 생체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생체 정보의 정합 점수의 분포를 나타내고 제2 그래프(720)는 기 등록된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 생체 정보의 정합 점수의 분포를 나타낸다.
또한, 기준값(730)은 입력된 샘플 정보가 기 등록된 생체 기준 정보와 정합인지 부정합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정합 점수를 의미한다.
특징점들 간의 유사도를 점수화한 정합 점수를 이용하여 정합 또는 부정합을 결정하는데 있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그래프(710)와 제2 그래프(720)가 겹치는 부분이 필연적으로 존재하는바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기준값(730)의 좌측에 해당하는 제1 영역(740)은 동일인임에도 불구하고 기 등록된 생체 기준 정보와 입력된 생체 정보의 유사도가 낮게 계산되어 본인이 아니라고 판단되는데 이를 본인 거부율(FRR : False Rejection Ratio)라고 한다.
반면, 기준값(730)의 우측에 해당하는 제2 영역(750)은 타인임에도 불구하고 기 등록된 생체 기준 정보와 입력된 생체 정보의 유사도가 기준값(730)보다 높게 계산되어 본인이라고 판단될 수 있는데 이를 타인 수략율(FAR : False Acceptance Ratio)라고 한다.
생체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의 경우 보안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인 수락율이 높게 나타나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그러나,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기준값(730)을 도 6에 도시된 그래프보다 우측에 위치하도록 하면 본인 거부율이 높아지게 되어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보안 정도에 따라 최적의 기준값(730)을 설정하는 것을 필요로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최적의 기준값(730)은 원격지의 전자장치(200)에 설치된 보안레벨 원격 조정 프로그램을 통해 보안 레벨을 조정 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 유사도 값은 기준값(730)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유사도를 낮게 설정하면 기준값(730)이 제1 영역(740)으로 조정되어 본인 거부율은 낮게 되고 타인 수락율은 높게 되어 보안 레벨을 낮게 할 수 있다.
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유사도를 높게 설정하면 기준값(730)이 제2 영역(750)으로 조정되어 본인 거부율은 높게 되고 타인 수락율은 낮게 되어 보안 레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비교 유사도 값은 제1 그래프(710)와 제2 그래프(720)의 정합 점수의 평균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만, 비교 유사도 값의 결정 방법은 평균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통계 방식으로 산출 될 수 있다.
보안 레벨을 낮게 설정하면 타인 수락율이 100%에 가까워지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원격으로 보안레벨을 낮게 설정함으로써 타인에 의하여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보안 레벨을 높게 설정하면 타인 수락율이 0%에 가까워지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원격으로 보안레벨을 높게 설정함으로써, 핸드폰을 잃어버린 경우일 때, 타인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안 레벨에 따라 사용자 인증에 이용하는 생체 정보를 달리하면 상황에 따라 최적의 보안성을 원격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장치(900)은 프로세서(910), 메모리(920), 스토리지(930), NIC(940) 및 BUS(950)을 포함한다. 다만, 도 1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는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9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가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스토리지(930)는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프로그램의 실행 파일 및 기타 리소스 파일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프로그램은 원격지에 위치한 전자 장치로부터 사용자 인증에 관한 보안 레벨 변경 요청을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요청에 따라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갱신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는 오퍼레이션 및 상기 갱신한 정보 및 상기 수신한 생체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오퍼레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증에 관한 보안 레벨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 오퍼레이션은 원격지 전자 장치에 설치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를 통해 변경된 보안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메모리(920)은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프로그램을 로딩한다. 메모리(920)에 로딩된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프로그램은 프로세서(910)에 의해 실행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IC, 940)에는 다른 컴퓨팅 장치가 연결될 수 있고, 버스(950)는 상술한 프로세서(910), 메모리(920) 및 스토리지(930) 등이 연결되어 데이터 이동 통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원격지에 위치한 전자 장치로부터 사용자 인증에 관한 보안 레벨 변경 요청을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한 정보 및 상기 수신한 생체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안 레벨은 상기 원격지에 위치한 전자 장치를 통해 설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레벨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가 미리 인증된 전자 장치인지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인증된 전자 장치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갱신하는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방법.
  3. 보안관리서버가 원격지에 위치한 전자 장치로부터 사용자 인증에 관한 보안 레벨 변경 요청을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보안관리서버가 상기 전자 장치는 미리 인증된 전자 장치인지 검증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인증된 전자 장치인 경우, 상기 보안관리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에 보안 레벨 변경 인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보안 레벨 변경 인가 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갱신한 정보 및 상기 수신한 생체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안 레벨은 상기 원격지에 위치한 전자 장치를 통해 설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방법.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정보는,
    기 저장된 생체정보와 상기 수신한 생체정보의 비교 유사도 및 상기 전자 장치에서 변경된 보안 레벨에 대응되는 기준 유사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유사도 값이 상기 기준 유사도 값 이상이면 인증을 수락하는 것인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유사도 값이 상기 기준 유사도 값 미만이면 인증을 거부하는 것인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방법.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정보는,
    기 저장된 타인의 생체정보;
    상기 원격지에 위치한 전자 장치로부터 설정된 타인 정보 및
    상기 타인의 생체정보와 상기 수신한 생체정보의 비교 유사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는 지문, 홍채, 음성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생체정보의 종류는 상기 원격지에 위치한 전자 장치로부터 보안 유형 변경 설정을 수신하여 결정되는 것인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방법.
  9. 프로세서, 스토리지, 메모리, NIC, 및 BUS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스토리지는 상기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프로그램을 저장하되,
    상기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프로그램은,
    원격지에 위치한 전자 장치로부터 사용자 인증에 관한 보안 레벨 변경 요청을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요청에 따라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갱신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는 오퍼레이션; 및
    상기 갱신한 정보 및 상기 수신한 생체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오퍼레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보안 레벨은 상기 원격지에 위치한 전자 장치를 통해 설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장치.
KR1020170101205A 2017-08-09 2017-08-09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방법 KR201900167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205A KR20190016799A (ko) 2017-08-09 2017-08-09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205A KR20190016799A (ko) 2017-08-09 2017-08-09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799A true KR20190016799A (ko) 2019-02-19

Family

ID=65528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205A KR20190016799A (ko) 2017-08-09 2017-08-09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679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627B1 (ko) 2000-12-30 2006-09-13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홍채인식시스템을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보안 및 통제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627B1 (ko) 2000-12-30 2006-09-13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홍채인식시스템을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보안 및 통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86870A1 (en) Step-Up Authentication
JP5560547B2 (ja) 生体認証装置
JP5228872B2 (ja) 生体認証装置、生体認証方法及び生体認証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US8930276B2 (en) Method of multiple algorithm processing of biometric data
US947950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ing the accuracy performance of authentication systems
CN107924436A (zh) 使用生物识别技术的电子装置接入控制
EP2339496A1 (en) System and method of biometric authentication using multiple kinds of templates
JP5710748B2 (ja) 生体認証システム
KR101430348B1 (ko) 인증 장치, 인증 장치의 제어 방법, 제어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US11716330B2 (en) Mobile enrollment using a known biometric
JP2007213126A (ja) 個人照合装置及び個人照合方法
KR20180041016A (ko)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JP3990907B2 (ja) 複合認証システム
US20150120543A1 (en) EyeWatch ATM and Wire Transfer Fraud Prevention System
JP5903257B2 (ja) 認証システム、登録装置、及び認証装置
KR20190014678A (ko) 사용자에 의한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조정 방법
US20150100493A1 (en) EyeWatch credit card fraud prevention system
KR20190016799A (ko) 생체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레벨 원격 조정 방법
JP2011118561A (ja) 個人認証装置及び個人認証方法
KR102450128B1 (ko) 개별 한계점을 이용한 생체 인식 지원 장치 및 그 방법
JP2005309565A (ja) Id判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