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1226A -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1226A
KR20190011226A KR1020180163569A KR20180163569A KR20190011226A KR 20190011226 A KR20190011226 A KR 20190011226A KR 1020180163569 A KR1020180163569 A KR 1020180163569A KR 20180163569 A KR20180163569 A KR 20180163569A KR 20190011226 A KR20190011226 A KR 20190011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mance
user terminal
server
information
reser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2159B1 (ko
Inventor
김덕수
Original Assignee
김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수 filed Critical 김덕수
Priority to KR1020180163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159B1/ko
Publication of KR20190011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공연장의 실황을 가상현실 형태로 구현하고, 관객이 현장이 아닌 가정 등에서 공연에 대한 예매부터 관람까지 전 과정을 온라인을 통해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연장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촬영된 공연영상을 개인이 소지한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통해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공연장에 방문하지 않고도 현장감 있는 공연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ERVICING PERFORMANCE SALE AND AUDIENCE BASED ON VIRTUAL REALITY}
본 발명은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연장의 실황을 가상현실 형태로 구현하고, 관객이 현장이 아닌 가정 등에서 공연에 대한 예매부터 관람까지 전 과정을 온라인을 통해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뮤지컬, 가요 콘서트 등 공연장에서 진행되는 공연은 관람자가 해당 공연 현장에 직접 방문하여 객석에서 관람하게 되나, 직접 현장을 방문하는 것은 장소, 시간 등의 여건이 만족하지 않아 참여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TV 생중계 또는 인터넷 방송 등을 통해 시청하는 시청자들이 상당수 있으나, 이러한 TV 시청 방식은 실제 현장에 참여한다는 느낌을 받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다.
한편, 전자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에 따라 TV, 모니터 등을 통한 평면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시청자가 직접 두부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한 형태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또는 헤드 마운티드 장치(Head Mounted Device; HMD)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는 거치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비하여 사용자가 신체에 직접 착용함에 따라, 이동성 및 접근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헤드 마운티드 장치의 가장 큰 장점은 가상현실(VR) 영상을 구현함에 따라 시청자가 느낄 수 있는 현장감이라 할 수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통해 재생되는 가상현실 영상은 일반 영상에 대비하여 볼 때 몰입 현장감과 몰입 실재감이 압도적으로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가상현실 영상의 시청시 가장 큰 만족요인으로는 현장에 있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가상현실 영상이 현장의 느낌을 그대로 시청자에서 전달할 수 있는 공연 콘텐츠에 최적화 됨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26163호(공고일자: 2017.04.12.)
본 발명은 공연장에 직접 참가하지 않고도 공연장의 객석에서 느낄수 있는 현장감을 가정 등에서 시청하는 관람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연 관람뿐만 아니라, 그 공연에 참가하기 위한 예매부터 관람까지의 전 절차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제공하는 데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연 관람시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함으로써 둘 이상의 단말기를 통해 동시에 시청하거나, 혹은 비인가 장치를 활용한 공연영상에 대한 불법복제 또는 배포 등의 악용시도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과제가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은, 공연장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 및 저장하고, 해당 공연에 대한 전자티켓이 발급된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제2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된 제1 사용자 단말기에 공연영상을 송출하는 미디어 서버와, 상기 미디어 서버와 연계하여 하나 이상의 공연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공연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웹 페이지상에 게시하며,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한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예매 요청에 따라 상기 전자티켓을 발급하는 예매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실시예로서,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방법은, 예매 서버 및 상기 예매 서버와 연계하여 공연장의 영상을 제공하는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예매 서버가 하나 이상의 공연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예매 서버가 상기 공연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웹 페이지상에 게시하는 단계와, 상기 예매 서버가 웹 페이지를 통한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예매 요청에 따라 상기 전자티켓을 발급하는 단계와,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예매 서버로부터 발급된 전자티켓에 대한 예매정보 - 상기 예매정보는 인증코드를 포함함 - 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예매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공연에 대한 전자티켓이 발급된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인증코드를 요청하여 장치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미디어 서버가 정상 인증된 제1 사용자 단말기에 공연영상을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연장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촬영된 공연영상을 개인이 소지한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통해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공연장에 방문하지 않고도 현장감 있는 공연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연영상을 송출하는 미디어 서버와 연계한 예매 서버를 통해 전자티켓을 발급받아 해당 시점에서 공연영상을 제공받음으로써 예매부터 관람까지 전 절차를 하나의 시스템을 통해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매 절차를 수행하며 공연영상을 재생하는 단말기와는 별도의 헤드 마운티드 장치의 장치 고유번호에 기초한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인증절차를 수행함으로써, 둘 이상의 단말기를 통한 동시청 및 비인가 장치를 이용한 공연영상의 악용시도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의 예매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의 미디어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방법을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간 수행하는 절차의 흐름을 시퀀스 도 형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단말기(Terminal Device)" 및 "서버(Server)"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될 수 있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단말기(Terminal Device)" 및 "서버(Server)"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서버 또는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각 기능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서비스 되는 공연은 음악 콘서트, 연극, 뮤지컬, 마당극 등 무대위에서 실연되는 콘텐츠들을 포괄하는 개념으로서,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한 가상현실 시청자만을 대상으로 하는 방식 뿐만 아니라, 콘텐츠들을 이미 진행하는 실연자들과 협약을 통해 따로 제작하여 서비스 하는 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비스 대상은 각 가정 등에서 컴퓨팅 장치 및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 뿐만 아니라, VR 체험관 등 전문 가상현실 업체와 협약하여 해당 업체에서 이용하는 사용자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해당 업체에 서비스 가능 IP 주소를 할당하여 접속자수를 파악하고 과금하는 정책, 또는 업체에서 미디어 서버에 저장된 이전 공연영상을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판매하는 정책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공연에 따른 예매 절차를 요청하여 전자티켓을 발급받으며, 공연 개시시 그 공연영상을 수신 및 재생하는 제1 사용자 단말기(100), 제1 사용자 단말기(200)와 연결되어 재생되는 공연영상을 가상현실 영상형태로 출력하는 제2 사용자 단말기(200), 미디어 서버와 연계하여 하나 이상의 공연정보를 등록하고, 공연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웹 페이지상에 게시하며, 웹 페이지를 통한 제1 사용자 단말기(100)의 예매 요청에 따라 전자티켓을 발급하는 예매 서버(300) 및, 공연장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 및 저장하고, 해당 공연에 대한 전자티켓이 발급된 제1 사용자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기(100)에 연결된 제2 사용자 단말기(200)의 정상여부를 인증하며, 인증완료된 제1 사용자 단말기(100)에 공연영상을 송출하는 미디어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기(100)는 온-라인을 통해 공연을 예매 및 시청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예매 서버(300) 및 미디어 서버(400)에 접속하여 예매부터 공연 시청까지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기(100)로는 통상의 개인 컴퓨팅 장치(PC),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장치, 태블릿 PC 등일 수 있으며, 정보통신망을 통해 예매 서버(300)에 접속하여 웹 페이지를 표시하고, 이를 통해 공연에 대한 전자티켓을 발급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가 탑재되고, 미디어 서버(400)에 접속하여 그로부터 송출되는 공연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비디오 플레이어가 탑재되는 어떠한 컴퓨팅 장치라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기(100)는 소정의 I/O포트가 탑재되며, 이를 통해 제2 사용자 단말기(200)와 연결되어 재생중인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기(200)는 제1 사용자 단말기(100)에 의해 재생되는 공연영상을 가상현실(VR)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사용자 단말기(200)로는 사용자가 두부에 직접 착용하여 가상현실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헤드 마운티드 장치 및 이에 종속된 스피커 또는 헤드셋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2 사용자 단말기(200)는 제조사에 의해 변경이 불가능한 장치에 대한 고유번호가 부여될 수 있고, 이러한 장치 고유번호는 회원등록시 회원정보에 포함되어 전자티켓을 예매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매 서버(300)는 온-라인상에 복수의 공연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가 게시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고, 공연 시청이 수행되도록 정보통신망을 통해 미디어 서버와 연계하여 해당 공연에 대한 예매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400)는 공연장에 설치되는 촬영장치(500)가 촬영한 공연장 영상을 수신하고, 이를 가상현실 형태의 공연영상으로 변환하여 실시간으로 제1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하거나, 또는 내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미디어 서버(400)는 예매 서버(300)로부터 예매 수행중인 공연에 대한 공연정보를 수신하여 서로 연계함으로써 촬영장치(500)로부터 제공되는 공연장 영상이 어느 공연에 해당하는지 판단 및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서버(400)는 예매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공연의 개시시점에 제1 사용자 단말기(100)에 전자티켓을 매개로 하여 서비스 여부 및 장치를 인증하여 공연영상을 송출할 수 있다.
전술한 예매 서버(300) 및 미디어 서버(400)는 다수의 제1 사용자 단말기(100)의 요청에 응답하여 예매 절차 및 공연영상 스트리밍이 지연없이 제공될 수 있도록 고성능의 프로세서 및 대용량 저장소를 탑재한 서버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가 예매 서버를 통해 전자티켓을 발급받으며, 미디어 서버를 통해 해당 시점에서 공연영상을 제공받아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통해 시청할 수 있음에 따라 예매부터 관람까지 전 절차를 하나의 시스템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은 공연영상을 실시간 방식 또는 비실시간 방식으로 송출할 수 있으며, 전자티켓은 그 송출방식에 따라, 구매비용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일예로서 비실시간 방식은 실시간 방식 대비 비용이 50% 이하로 저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에 포함되는 예매 서버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의 예매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매 서버(300)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 제공부(310), 관리자에 의해 입력에 따라 공연정보를 생성하는 공연정보 생성부(320), 공연정보에 대응하여 공연을 등록 및 리스트에 반영하고 제1 사용자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공연에 대한 예매 절차를 진행하여 전자티켓을 발급하는 예매절차 처리부(330), 미디어 서버(400)에 공연정보 및 전자티켓에 대응하여 공연영상을 해당 제1 사용자 단말기(100)로의 제공을 요청하는 미디어 서버 연계부(340) 및, 상기 공연정보 및 전자티켓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제1 DB(350)를 포함할 수 있다.
웹 페이지 제공부(310)는 공연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가 개시된 웹 페이지를 인터넷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웹 페이지는 제1 사용자 단말기(100)에 탑재된 웹 브라우저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그 웹 페이지 화면은 리스트에 포함된 공연에 대한 예매 절차를 진행할 수 있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웹 페이지 제공부(310)는 공연의 예매 관련 웹 페이지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회원 등록 또는 탈퇴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각종 절차를 진행할 수 있는 웹 페이지를 더 제공할 수 있다.
공연정보 생성부(320)는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각종 공연에 대한 내용을 입력받아 공연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예정된 다양한 공연들을 예매 서버(300)에 등록해야 하며, 시스템 관리자는 협약된 공연에 대한 내용을 입력하여 공연정보를 생성하고, 그 공연정보는 공연을 등록하는 데 이용되며, 웹 페이지의 리스트에 반영될 수 있다. 또한, 공연정보는 미디어 서버(400)에 제공되어 예매 서버(300)와 미디어 서버(400)간 연계절차에 이용될 수 있다.
예매절차 처리부(330)는 전술한 웹 페이지를 통해 소정의 공연에 대한 예매 요청이 수신되면, 이에 따른 공연 예매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예매절차 처리부(330)는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회원등록절차 또는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고, 서비스할 공연을 등록하며, 회원등록된 사용자의 제1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웹 페이지를 통한 등록된 공연에 대하여 예매 요청을 수신하면, 그 절차를 수행하여 전자티켓을 발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게 위해, 예매절차 처리부(330)는 사용자의 회원 등록, 로그인 또는 탈퇴 절차를 수행하고, 회원정보를 생성 또는 갱신하는 회원 관리부(331), 공연정보를 등록 및 리스트에 반영하는 공연 등록부(332) 및, 전자티켓을 발급하는 전자티켓 발급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회원 관리부(331)는 회원 등록 절차 또는 로그인 절차 수행시, 공연영상을 실제로 표시하는 사용자의 헤드 마운티드 장치의 장치 고유번호를 더 입력 받아 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전자티켓 및 예매정보에 반영함으로써, 미디어 서버(400)에 의한 공연영상 제공시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미디어 서버 연계부(340)는 등록된 공연정보를 정보통신망을 통해 미디어 서버(400)에 제공함으로써, 예매 서버(300)와 미디어 서버(400)간에 공연 관람 서비스를 위해 연계하여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미디어 서버 연계부(340)를 통해 미디어 서버(400)에 제공되는 정보로는 등록된 공연정보 및 발급된 전자티켓에 따른 예매 정보가 있다.
제1 DB(350)는 예매 서버(300)측 데이터 베이스로서, 회원정보, 공연정보 및 예매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DB(350)는 예매 관련 정보 이외에도 예매 서버(300)가 정상적으로 운용되도록 하는 각종 서버설정 등이 더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의 예매 서버는 온-라인 상에 공연정보에 대한 리스트가 게시된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공연에 대한 전자티켓을 발급하되, 그 예매정보를 미디어 서버에 제공함으로써 공연 개시시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공연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의 미디어 서버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의 미디어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400)는 공연장의 영상을 가상현실 형태의 공연영상으로 변환하는 인코딩부(410), 예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공연정보를 공연영상과 연계시키는 공연정보 연계부(420), 공연정보에 따라 연계된 공연영상을 저장 및 등록하는 콘텐츠 등록부(430). 예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예매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시점에 공연 제공을 요청하는 제1 사용자 단말기에 대하여 인증코드를 요청하고,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장치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장치 인증부(440), 정상 인증된 제1 사용자 단말기(100)에 공연영상을 송출하는 미디어 제공부(450) 및 상기 공연영상을 저장하는 제2 DB(46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코딩부(410)는 공연장에 설치된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정보통신망을 통해 전송받아 가상현실 형태의 공연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인코딩부는 전송된 영상에 대하여, 그에 등장하는 객체들에 대한 깊이(depth)값에 기초하여 헤드 마운티드 장치가 표시할 수 있는 입체감이 구현된 공연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인코딩부(410)는 시스템 관리자의 의도에 따라, 공연장에 대한 실시간 영상 뿐만 아니라, 소정의 비디오 포맷으로 인코딩된 영상파일을 가상현실 형태의 공연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공연정보 연계부(420)는 예매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공연정보를 수신하고, 콘텐츠 등록부(430)를 통해 생성한 공연영상과 연계하여 등록할 수 있다. 공연영상만으로는 해당 영상이 어느 공연과 관련된 것이며, 어느 시점에 공연영상의 송출을 시작해야 하는 지 등을 판단하기 위한 정보로서 미디어 서버(400)는 공연영상을 공연정보에 연계하여 서버 내 등록하고, 예매 서버와 미디어 서버(400)가 연계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콘텐츠 등록부(430)는 공연정보에 따라 변환된 공연영상을 서버 내 등록하고 제2 DB(460)에 저장할 수 있다. 공연영상은 그 공연별로 등록 및 관리될 수 있다. 콘텐츠 등록부(430)는 실시간 공연인 경우, 공연영상의 연계없이 정보만을 등록하여 해당 공연의 식별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고, 이미 공연영상이 저장된 경우 콘텐츠 등록부(430)는 공연정보에 기초하여 공연영상을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제2 DB(460)에 저장할 수 있다.
장치 인증부(440)는 공연영상을 요청하는 제1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기(100)는 발급된 전자티켓을 이용하여 미디어 서버(400)에 공연영상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고, 이때 미디어 서버(400)는 공연영상의 송출전 장치 인증절차를 수행하여 정상 인증된 경우에만 공연영상을 송출할 수 있다.
전자티켓은 인증코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매정보에는 그 전자티켓의 인증코드에 매칭되는 인증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장치 인증부(440)는 제2 DB(460)에 저장된 예매정보를 참조하여 인증코드를 추출하고, 제시된 전자티켓의 인증코드와의 매칭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인증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장치 인증부(440)는 그 인증결과를 미디어 제공부(450)에 알려주어 이후 공연영상을 제1 사용자 단말기(100)에 송출 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인증코드는 제1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장치 고유번호가 아닌, 이와 연결되어 공연영상을 표시하는 제2 사용자 단말기(200)에 대한 장치 고유번호에 기초한 코드일 수 있다.
미디어 제공부(450)는 전자티켓을 발급받은 제1 사용자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해당하는 공연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부(450)는 예매 서버로부터 공연종류 및 시간과, 예매자의 단말기 등의 예매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공연 시점이 도래하면 공연영상을 제1 사용자 단말기(100)에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제공부(450)는 제1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실시간 공연이 아닌 공연영상의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제2 DB(460)에 저장된 공연영상을 독출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100)에 송출하게 된다.
전술한 공연영상의 송출은 장치 인증부(440)에 의해 인증 완료된 제1 사용자 단말기(100)에만 제공될 수 있다.
제2 DB(460)는 미디어 서버(400)측 데이터 베이스로서, 공연정보 및 그에 매칭되는 생성된 공연영상과, 예매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예매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DB(460)는 전술한 정보 이외에도 미디어 서버(400)가 정상적으로 운용되도록 하는 각종 서버설정 등이 더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은 공연장의 촬영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공연정보에 연계하여 가상현실 형태의 공연영상으로 변환 및 저장하고, 예매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를 인증하여 공연영상을 송출함으로써, 예매에 따른 공연영상을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뿐만 아니라, 비인가 장치에 의한 악용시도를 차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한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각 단계에서의 실행의 주체는, 별도의 표기가 없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에 포함되는 예매 서버 및 미디어 서버와, 그 서버를 각각 이루는 구성부가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방법은, 예매 서버 및 상기 예매 서버와 연계하여 공연장의 영상을 제공하는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방법으로서, 예매 서버가 하나 이상의 공연정보를 등록하는 단계(S100), 예매 서버가 공연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웹 페이지상에 게시하는 단계(S110), 예매 서버가 웹 페이지를 통한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예매 요청에 따라 상기 전자티켓을 발급하는 단계(S120), 미디어 서버가 예매 서버로부터 발급된 전자티켓에 대한,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예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30), 미디어 서버가 예매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공연에 대한 전자티켓이 발급된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인증코드를 요청하여 장치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단계(S140), 미디어 서버가 정상 인증된 제1 사용자 단말기에 공연영상을 송출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S100 단계는 시스템 관리자가 예매 서버에 공연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함에 따라 예매 서버가 공연정보를 취득하여 서비스 대상으로서 등록하는 단계이다.
S110 단계는 예매 서버가 등록된 공연정보를 웹 페이지의 리스트에 반영하여 온-라인으로 배포하는 단계이다. 이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들은 자신의 제1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웹 페이지의 URL를 이용하여 예매 서버에 접속하고, 현재 예매중인 공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120 단계는 웹 페이지를 통해 공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공연을 선택함에 따라, 예매 서버가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예매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예매 절차에서는 공연선택 및 결제절차 등이 진행될 수 있다. 결제절차까지 완료되면 예매 서버는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전자티켓을 발급 및 전송하게 된다. 전자티켓은 암호화된 파일 형태일 수 있고, 공연명, 일자 등 텍스트 형태의 사용자의 확인을 위한 정보와, 미디어 서버의 URL이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제2 사용자 단말기, 즉 헤드 마운티드 장치의 고유번호에 대응하는 인증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S130 단계는 예매 서버가 S120 단계에서 발급된 전자티켓에 따른 예매정보를 미디어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이다. 미디어 서버는 그 예매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고, 예매정보에 포함된 공연시점이 도래 할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S140 단계는 공연시점이 도래함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기가 전자티켓에 포함된 URL를 통해 미디어 서버에 접속하고 미디어 서버에 공연영상을 요청하면, 미디어 서버가 그 전자티켓의 인증코드를 예매정보에 포함된 인증코드를 참조하여 비교함으로써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S150 단계는 S140 단계에서 정상적으로 인증이 완료되면 미디어 서버가 해당 공연장의 촬영에 따른 공연영상을 해당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송출하는 단계이다. 만약, 정상 사용자로 인증절차가 완료되지 않았다면, 미디어 서버는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소정의 에러 메시지를 송부할 수 있다.
이후,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미디어 서버로부터 송출되는 공연영상을 제1 사용자 단말기가 재생하고, 이에 연결되는 제2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현장감 있는 가상현실 기반 공연영상을 시청하게 된다.
전술한 단계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방법은 예매부터 공연관람까지의 전 절차를 하나의 시스템을 통해 제공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는 공연장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현장감 있는 공연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하는 활용 예를 통해,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간 수행하는 절차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방법을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간 수행하는 절차의 흐름을 시퀀스 도 형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PC 등의 제1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예매 서버(300)에 접속하고 회원으로 가입하여야 한다.
그 절차에 앞서 가상현실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제2 사용자 단말기(200)를 제1 사용자 단말기(100)에 연결하고, 장치 고유번호를 취득하여 하드웨어 등록(S200)단계를 수행해야 한다.
전술한 장치 고유번호 취득은 사용자가 직접 제2 사용자 단말기(200)에 인쇄된 시리얼 번호를 확인하거나, 또는 제1 사용자 단말기(100)의 장치관리자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제1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예매 서버(300)에 접속하고, 웹 페이지 상에서 계정명, 패스워드 등을 입력하여 회원등록 요청하면(S201), 예매 서버(300)가 그 회원정보에 기초하여 회원을 등록한다(S202).
이후, 예매 서버(300)는 회원 등록된 사용자의 제1 사용자 단말기(100)에 복수의 공연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가 게시된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리스트상에서 예매를 원하는 공연을 선택하여 예매를 요청하면(S211), 예매 서버(300)는 그 공연에 대한 예매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S212).
예매 절차가 완료되면, 예매 서버(300)는 공연에 대한 전자티켓을 발급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하고, 동시에 미디어 서버(400)에 예매정보를 전송하게 되며, 이에 따라, 미디어 서버(400)는 해당 공연의 개시시점까지 대기한다(S230).
이때, 일정시간을 지나 공연시점의 도래전에 예매 서버(300)는 제1 사용자 단말기(100)에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공연시점이 도래하면, 제1 사용자 단말기(100)는 전자티켓을 이용하여 미디어 서버(400)에 접속하며 공연영상의 제공을 요청한다(S240). 미디어 서버(400)는 이에 응답하여 전자티켓의 인증코드와 예매정보의 인증코드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한다(S250).
인증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미디어 서버(400)는 공연장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가상현실 기반 공연영상으로 변환하고 제1 사용자 단말기(100)에 송출한다(S251). 제1 사용자 단말기(100)는 공연영상을 재생하는 동시에, 연결된 제2 사용자 단말기(200)를 제어하여(S254), 공연영상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가상현실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하는 화면의 일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이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PC,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을 이용하여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예매 서버에 접속하면, 예매 서버가 제공하는 공연 리스트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 창(W100)을 확인할 수 있다.
웹 페이지 창(W100)은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에 의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가 URL 입력창(W101)에 예매 서버의 인터넷 주소를 입력하여 접속할 수 있다.
웹 페이지 창(W100)에는 다양한 공연관련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주요 공연정보 창(W102)과, 기타, 진행중인 공연관련 이벤트 정보 창(W103)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웹 페이지 창(W100)에는 현재 예매 진행중인 복수의 공연정보가 포함되는 리스트 창(W105)이 게시될 수 있다.
리스트 창(W105)은 예매 진행 중인 공연들의 일시, 제목 및 위치 등의 정보가 순차적으로 나열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공연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온-라인 상에서 예매 절차를 진행하여 전자티켓을 발급받을 수 있다.
이때, 전자티켓은 하나의 공연에 대하여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에만 할당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한 명의 사용자가 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공연을 시청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무단 공유 행위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만약, 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가 하나의 전자티켓을 이용하여 미디어 서버에 공연영상을 요청할 경우, 먼저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는 접속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전자티켓은 그 발급받는 사용자 단말기에 부여된 고유번호에 기초한 인증코드를 포함할 수 있고, 공연 시청시 미디어 서버가 그 인증코드에 의해 정상 사용자 여부 인증에 이용되게 된다. 이를 위해, 전자티켓 예매 전, 사용자 정보에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장치 고유번호가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원정보 등록 및 갱신화면을 예시한 것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매 서버는 사용자의 최초 회원 등록시, 또는 등록된 회원으로부터 회원정보의 갱신 요청시 회원정보 등록 창(W200)을 제공할 수 있다.
회원정보 등록 창(W210)은 회원정보를 확인 및 입력할 수 있는 회원정보 창(W21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원정보 등록 창(W210)은 사용자의 계정명, 패스워드, 이름, 결재정보 및 장치정보에 대한 입력란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각 입력란에 해당하는 정보를 입력하여 자신의 회원정보를 등록 또는 갱신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입력란 중 장치정보 란(W220)은 공연영상이 실제 출력되는 제2 사용자 단말기 즉, 현재 회원정보 등록 창(W210)이 표시되는 제1 사용자 단말기가 아닌,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헤드 마운티드 장치에 부여된 장치 고유번호를 입력하여야 하며, 이러한 장치 고유번호로는 헤드 마운티드 장치의 제조사가 설정한 시리얼 번호 또는 MAC 어드레스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 고유번호는 예매 서버의 전자티켓 발급시 암호화되어 인증코드로 변환되고, 전자티켓 및 예매정보에 포함되어 각각 사용자 단말기 및 미디어 서버에 전송된다.
이후, 공연 개시시, 사용자 단말기가 전자티켓을 이용하여 미디어 서버에 공연영상을 요청하면, 미디어 서버는 예매정보에 포함된 인증코드와 사용자 단말기의 전자티켓에 포함된 인증코드를 비교하여 정상 사용임을 인증하게 된다. 여기서, 인증코드는 전자티켓 발급시에 확정되는 것으로, 이후 설정된 헤드 마운티드 장치가 바뀌거나 타 장치가 이용되는 경우 공연영상의 시청이 불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0 : 제1 사용자 단말기 200 : 제2 사용자 단말기
300 : 예매 서버 310 : 웹 페이지 제공부
320 : 공연정보 생성부 330 : 예매절차 처리부
340 : 미디어 서버 연계부 350 : 제1 DB
400 : 미디어 서버 410 : 인코딩부
420 : 공연정보 연계부 430 : 콘텐츠 등록부
440 : 장치 인증부 450 : 미디어 제공부
460 : 제2 DB 500 : 촬영장치

Claims (1)

  1.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웹 브라우저 및 공연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미디어 재생기가 탑재되고, 전자티켓을 받급받아 저장하고, I/O포트가 탑재되는 제1 사용자 단말기;
    상기 I/O포트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고, 상기 미디어 재생기를 통해 재생되는 영상을 수신하여 VR 콘텐츠 형태로 표시하고, 시리얼 번호 또는 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고유번호가 부여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인 제2 사용자 단말기;
    공연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웹 페이지상에 게시하며,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한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예매 요청에 따라 상기 전자티켓을 발급하는 예매 서버; 및
    공연장에 설치되는 촬영장치가 촬영한 공연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 및 저장하고, 상기 예매 서버를 통해 전자티켓이 발급된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를 인증하고, 공연영상을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 송출방식으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송출하는 미디어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예매 서버는,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 제공부;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공연정보를 생성하는 공연정보 생성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유번호를 전송받아 상기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공연정보에 대응하여 공연을 등록 및 리스트에 반영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공연에 대한 예매 절차를 진행하여 상기 인증코드 및 상기 미디어 서버의 URL 정보를 포함하고, 송출방식에 따라 구매비용이 다르게 설정되는 전자티켓을 발급하는 예매절차 처리부; 및
    공연시점이 도래함에 따라, 상기 미디어 서버에 상기 공연정보 및 전자티켓에 대응하여 상기 공연영상을 해당 제1 사용자 단말기로의 제공을 요청하는 미디어 서버 연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공연장의 영상에 대하여, 등장하는 객체들에 대한 깊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표시할 수 있는 가상현실 형태의 공연영상으로 변환하는 인코딩부;
    상기 예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공연정보를 상기 공연영상과 연계시키는 공연정보 연계부;
    상기 공연정보에 따라 연계된 공연영상을 저장 및 등록하는 콘텐츠 등록부;
    상기 예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예매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시점에 공연 제공을 요청하는 제1 사용자 단말기에 대하여 인증코드를 요청하고, 상기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장치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장치 인증부; 및
    상기 인증코드에 의해 인증된 제1 사용자 단말기에 공연영상을 송출하는 미디어 제공부
    를 포함하는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
KR1020180163569A 2018-12-17 2018-12-17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042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569A KR102042159B1 (ko) 2018-12-17 2018-12-17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569A KR102042159B1 (ko) 2018-12-17 2018-12-17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757A Division KR20190004484A (ko) 2017-07-04 2017-07-04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226A true KR20190011226A (ko) 2019-02-01
KR102042159B1 KR102042159B1 (ko) 2019-11-07

Family

ID=65368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569A KR102042159B1 (ko) 2018-12-17 2018-12-17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1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927B1 (ko) * 2020-09-04 2021-12-17 주식회사 티킷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
WO2021256808A1 (ko) * 2020-06-16 2021-12-23 이근호 원격 관람 운영 시스템
KR20220125017A (ko) 2021-03-04 2022-09-14 이정열 대면 및 비대면 행사 공연을 위한 디지털 티켓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4205A (ko) 2022-09-28 2024-04-04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현실 기반 공연 실감 제공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3269A (ko) * 2006-02-06 2007-08-24 주식회사 케이티 가상현실을 이용한 iptv 영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46775A (ko) * 2006-11-23 2008-05-28 주식회사 케이티 Iptv 영화 예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00550A (ko) * 2007-02-22 2009-01-08 성필문 입체영상을 이용한 무대공연 컨텐츠의 가상현실 공연방법
KR101024841B1 (ko) * 2010-08-06 2011-03-31 (주)엔비웨어 무선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연관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40121973A (ko) * 2013-04-08 2014-10-17 고포디 테크놀로지 엘엘씨 입체경 인증을 이용한 콘텐츠 소비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150044488A (ko) * 2013-10-16 2015-04-2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비디오 씨쓰루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영상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시스템
KR101726163B1 (ko) 2015-12-22 2017-04-12 남효덕 라이브콘서트 온라인 공연 서비스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3269A (ko) * 2006-02-06 2007-08-24 주식회사 케이티 가상현실을 이용한 iptv 영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46775A (ko) * 2006-11-23 2008-05-28 주식회사 케이티 Iptv 영화 예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00550A (ko) * 2007-02-22 2009-01-08 성필문 입체영상을 이용한 무대공연 컨텐츠의 가상현실 공연방법
KR101024841B1 (ko) * 2010-08-06 2011-03-31 (주)엔비웨어 무선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연관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40121973A (ko) * 2013-04-08 2014-10-17 고포디 테크놀로지 엘엘씨 입체경 인증을 이용한 콘텐츠 소비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150044488A (ko) * 2013-10-16 2015-04-2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비디오 씨쓰루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영상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시스템
KR101726163B1 (ko) 2015-12-22 2017-04-12 남효덕 라이브콘서트 온라인 공연 서비스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6808A1 (ko) * 2020-06-16 2021-12-23 이근호 원격 관람 운영 시스템
KR102340927B1 (ko) * 2020-09-04 2021-12-17 주식회사 티킷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
KR20220125017A (ko) 2021-03-04 2022-09-14 이정열 대면 및 비대면 행사 공연을 위한 디지털 티켓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159B1 (ko) 2019-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5096B (zh) 用於多媒體管理、廣告、內容及服務系統之方法
KR102042159B1 (ko)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6293269B2 (ja) コンテンツ視聴確認装置及びその方法
US75160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purchase transactions utilizing a broadcast-based device
US20060271486A1 (en) Digital publication system and apparatus
US200500505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broadcast content and non-broadcast content
GB2522772A (en) Digital jukebox device with karaoke and/or photo booth features, and associated methods
US200500499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ctioning utilizing a broadcast-based device
JP7120966B2 (ja)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指示装置及びコンテンツ再生指示プログラム
US20090064249A1 (en) Distribution network and method
CN110390186B (zh) 提供内容串流服务并管理用户数据统计的方法及记录媒体
JP2008289043A (ja) コンテンツリスト提供方法、コンテンツ配信装置、配信管理装置、視聴情報管理装置およびそれらのプログラムならびにコンテンツ情報配信装置
US200500763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KR20190004484A (ko)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83269A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iptv 영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60739A (ko) 영상/상품 매칭 판매의 마케팅 활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000036395A (ko) 인터넷을 통하여 비디오를 대여하여 실시간으로 상영하는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영화 상영 프로세스 모듈
JP7165117B2 (ja) イベント用視聴ルーム募集システム、イベント管理システム、イベント管理用プログラム、及び、提供ルーム変更プログラム
KR102298666B1 (ko) 비대면 기반 영상/상품 매칭 판매의 마케터 활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10131034A (ko) 스크린 공유를 위한 스크린 중개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스크린 공유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27401B1 (ko) 사용자 인증에 의해 복수의 씨디 타이틀을 선택적으로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3101989A (ja) 仮想鑑賞方法、鑑賞サーバ装置、端末、プログラム
KR20140121973A (ko) 입체경 인증을 이용한 콘텐츠 소비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JP2023095697A (ja)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再生指示プログラム
JP2023095696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カラオケ再生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