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7622A - Apparatus for remote managing new renewable energy plan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mote managing new renewable energy pl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7622A
KR20180137622A KR1020170076374A KR20170076374A KR20180137622A KR 20180137622 A KR20180137622 A KR 20180137622A KR 1020170076374 A KR1020170076374 A KR 1020170076374A KR 20170076374 A KR20170076374 A KR 20170076374A KR 20180137622 A KR20180137622 A KR 20180137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newable energy
cloud server
iot cloud
lower node
energy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3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영만
김태규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와플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와플앱스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76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7622A/en
Publication of KR20180137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62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04L67/1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280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2Brokering proxy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remote management apparatus of a renewable energy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management apparatus of a renewable energy facility includes: a plurality of lower node devices which include at least one actuator operating the renewable energy facility and at least one sensor sensing the state of the renewable energy facility; an IoT cloud server which provides a service for monitoring by collecting data based on Internet of things (IoT) from the lower node devices sensing and operating the state of the renewable energy facility, and provides commands for the lower node devices after generating and receiving the commands corresponding to event occurrence conditions for controlling the renewable energy facility; and an internal network broker server which is installed in an internal network of the renewable energy facility to deliver data sensed from the lower node devices to the IoT cloud server, deliver an operation command provided from the IoT cloud server to the lower node devices, and provide for the lower node devices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event conditions regarding the sensed data inputted through an event manager copied from an event manager of the IoT cloud server. The remote management apparatus is able to remotely manage a renewable energy facility by using an event management function in a cloud server.

Description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원격 관리 장치{APPARATUS FOR REMOTE MANAGING NEW RENEWABLE ENERGY PLANT}[0001] APPARATUS FOR REMOTE MANAGING NEW RENEWABLE ENERGY PLANT [0002]

본 발명은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원격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각종 상태정보를 사물 인터넷 기반으로 실시간 수집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고, 클라우드 서버에서 이벤트 관리기능을 통해 신재생 에너지 설비를 원격 관리하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원격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management apparatus for a new and renewable energy faci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mote management apparatus for a new and renewable energy facility, in which various state information of a new and renewable energy facility is collected in real time on the basis of a thing Internet and stored in a cloud server, And a remote management apparatus for a renewable energy facility that remotely manages renewable energy facilities.

일반적으로, 신재생 에너지란 석탄, 석유, 원자력 및 천연가스가 아닌 태양에너지, 바이오매스, 풍력, 소수력, 연료전지, 석탄의 액화, 가스화, 해양에너지, 폐기물에너지 및 기타로 구분되고 있고, 이외에도 지열, 수소, 석탄에 의한 물질을 혼합한 유동성 연료를 의미한다. Generally, renewable energy is divided into solar energy, biomass, wind power, small hydro power, fuel cell, coal liquefaction, gasification, marine energy, waste energy and others, not coal, oil, nuclear and natural gas. , Hydrogen, and coal.

이러한 신재생 에너지를 생산하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인, ESS(Energy Storage System)의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및 태양광 발전설비, 소형 풍력 발전설비 등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언제 어디서든 인버터, PV(Photovoltaic), 계통 접속 장치 등과 같은 설비를 통해 생산된 기반별 전력 생산량 등을 모니터링하고 이상 상태의 유무를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으나, 신재생 에너지 설비들은 전국 각지에 설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주하여 모니터링이 어려운 실정이다. In order to operate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y, and small wind power generation facility of ESS (Energy Storage System), which is a new and renewable energy producing new and renewable energy, inverter, PV (Photovoltaic) It is necessary to monitor and manage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each base produced through the facilities such as the grid connection device and the like and to check whether there is an abnormal condition in real time. However,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facilities are installed not only in all parts of the country, This is a difficult situation.

사물지능통신은 국제적으로 다소 상이하게 정의되어 있지만, 전반적으로 M2M(Machine to Machine, ETSI), IoT(Internet of Things, ITU-T),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s, 3GPP) 등으로 용어가 정의되고 있다. 이러한, 사물지능통신에 대하여 방송통신위원회는 통신, 방송 및 인터넷 인프라를 인간 대 사물, 사물 대 사물 간 영역으로 확대 및 연계하여 사물을 통해 지능적으로 정보를 수집, 가공 및 처리하여 상호 전달하는 서비스로 정의하였다. Although the object intelligence communication is defined somewhat differently internationally, the terms are generally defined as M2M (Machine to Machine, ETSI), Internet of Things (ITU-T),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s, 3GPP) . About such intelligent communications The Korea Communications Standards Commission (KCC) is a service that intelligently collects, processes, processes and transmits information through telecommunication, broadcasting, and Internet infrastructures by expanding and linking the infrastructure between human vs. object and object to object Respectively.

협의의 의미로는, 기계 간 통신 및 사람이 작동하는 장치와 기계 간 통신을 의미하지만, 광의의 의미로는, 통신과 ICT 기술을 결합하여 원격지의 사물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인프라, 시스템, 단말기 등 제반 모든 솔루션(Solution)을 의미한다.The meaning of the negotiation mean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machine and the device and the machine in which the person operates. In broad terms, however, the infrastructure, the system, the terminal, and the like which can confirm the information of the remote place by combining the communication and the ICT technology It means all the solutions.

이러한, 사물지능통신의 주요 응용분야로 각광받고 있는 서비스로는 공장 자동화, 식물 자동화, 설비 제어 등이 있으며, 타산업과의 융합을 통한 신규 비즈니스 모델 창출이 가능하여, 세계적으로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 등과 함께 각국의 신성장 동력 육성을 위한 주요 정책으로 채택되고 있다. These services include plant automation, plant automation, facility control, and other services that have become a major application area for intelligent communications. They can create new business models through convergence with other industries, ), Smart Factory, etc., are being adopted as major policies for fostering new growth engines in each country.

즉, 세계 주요 정부와 글로벌 기업들은 공격적인 투자와 서비스 개발 인프라 구축을 서두르고 있으며, 특히, 사물지능통신 기술과 서비스를 그린IT, 텔레매틱스, 위치기반 서비스, 원격검침, 물류관리 분야로 확대 적용하고 있다.In other words, major governments and global corporations are rushing to build aggressive investment and service development infrastructure. In particular, they are applying the intelligent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services to green IT, telematics, location-based services, remote meter reading and logistics management.

또한, 컴퓨터 네트워크의 기술 발전에 따라, 각 단말의 독립적인 하드웨어 성능에 의존하던 기존의 컴퓨팅 환경은, 네트워크 상의 모든 컴퓨팅 자원을 활용하여 단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the computer network, the existing computing environment which relies on the independent hardware performance of each terminal can be classified into Cloud Computing (Cloud Computing), which provides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terminal by utilizing all the computing resources on the network, It is evolving into a form.

클라우드 서비스란, 인터넷과 같은 정보통신망을 통한 "컴퓨팅 자원의 온 디맨드 아웃소싱 서비스"라고 정의할 수 있다. 클라우드 환경에서, 서비스 제공자는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 센터(클라우드 센터)들을 가상화 기술로 통합하여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Cloud services can be defined as "on demand outsourcing services of computing resources" through information networks such as the Internet. In a cloud environment, service providers integrate data centers (cloud centers) distributed across multiple locations into virtualization technologies to provide the services users need.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08859호(2016.04.04. 공고, 클라우드 기반의 지능형 전력제어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BACKGROUND ART [0002]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608859 (published on Apr. 26, 2014, cloud-based intelligent power control system).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각종 상태정보를 사물 인터넷 기반으로 실시간 수집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고, 클라우드 서버에서 이벤트 관리기능을 통해 신재생 에너지 설비를 원격 관리할 수 있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원격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collection of state information of a new and renewable energy facility on the basis of objects Internet and storing the same on a cloud server, And to provide a remote management apparatus for a renewable energy facilit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원격 관리 장치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신재생 에너지 설비를 작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다수의 하위노드장치;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감지하고 작동시키는 다수의 하위노드장치로부터 사물 인터넷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제어를 위한 이벤트 발생 조건에 대응되는 명령을 생성하거나 입력받아 다수의 하위노드장치에 제공하는 IoT 클라우드 서버; 및 신재생 에너지 설비가 구축된 내부망에 설치되어 다수의 하위노드장치로부터의 감지데이터를 IoT 클라우드 서버에 전달하고, IoT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작동명령을 하위노드장치에 전달하며, IoT 클라우드 서버의 이벤트 관리자를 복제한 이벤트 관리자를 통해 입력된 감지데이터에 대해 이벤트 조건에 따른 제어명령을 하위노드장치에 제공하는 내부망 브로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remote management apparatus for a renewable energy facility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sensor for sensing a state of a renewable energy facility and a plurality of lower node apparatuses including at least one actuator for operating a renewable energy facility. ; Provides services to collect and monitor data on the Internet from a number of lower node devices that detect and operate the state of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facilities and provides commands corresponding to event occurrence conditions for controlling the renewable energy facilities An IoT cloud server for generating and / or receiving and providing to the plurality of lower node devices; And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facility, and transmits sensing data from a plurality of lower node devices to the IoT cloud server, transmits an operation command provided from the IoT cloud server to the lower node device, And an internal network broker server for providing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an event condition to the lower node device with respect to the sensed data inputted through the event manager which duplicates the event manager.

본 발명에서 IoT 클라우드 서버는 이벤트 조건이 변경되는 경우 내부망 브로커 서버의 복제된 이벤트 관리자를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cloud server updates the replicated event manager of the internal network broker server when the event condition is changed.

본 발명은 내부망 브로커 서버로부터 감지데이터를 입력받아 IoT 클라우드 서버에 전달하고, IoT 클라우드 서버에서 출력되는 작동명령을 내부망 브로커 서버로 전달하는 클라우드 브로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characterized by a cloud broker for receiving detection data from an internal network broker server and delivering the received detection data to the IoT cloud server and transmitting an operation command output from the IoT cloud server to the internal network broker server.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하위노드장치와 내부망 브로커 서버 간에 연결되어 센서에서 감지한 감지데이터 및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작동명령을 전달하는 게이트웨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gateway connected between the at least one lower node device and the internal network broker server to transmit sensing data sensed by the sensor and an operation command for operating the actuator.

본 발명에서 게이트웨이는 내부망 브로커 서버와 MQTT(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ateway communicates with an internal network broker server through an MQTT (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protocol.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원격 관리 장치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각종 상태정보를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실시간 수집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고, 클라우드 서버에서 이벤트 관리기능을 통해 신재생 에너지 설비를 원격 관리할 때 내부망에 이벤트 관리자 기능을 포함하는 브로커 서버를 설치하여 게이트웨이 장치와 실시간 고속 데이터 통신으로 신재생 에너지 설비에 대한 각종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원격 관리할 수 있다. A remote management apparatus for a new and renewable energy facility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various state information of a new and renewable energy facility on the basis of objects Internet in real time and stores it in a cloud server, , A broker server including an event manager function can be installed in the internal network to monitor and remotely manage various states of the renewable energy facility through the gateway device and real-time high-speed data commun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원격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원격 관리 장치를 이루는 이벤트 관리자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원격 관리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의 송수신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mote management apparatus for a renewable energy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vent manager constituting an apparatus for remotely managing a renewable energy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is a flowchart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emote management apparatus for a renewable energy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원격 관리 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 remote management apparatus for a renewable energy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원격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원격 관리 장치를 이루는 이벤트 관리자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emote management apparatus for a new and renewable energy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remotely managing a renewable energy facilit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원격 관리 장치는, 다수의 하위노드장치(110), IoT 클라우드 서버(300) 및 내부망 브로커 서버(200)를 비롯하여 게이트웨이(120) 및 클라우드 브로커(305)를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an apparatus for remotely managing a renewable energy facilit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lower node devices 110, an IOT cloud server 300, and an internal network broker server 200 And a gateway 120 and a cloud broker 305. [

다수의 하위노드장치(110)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11)와 신재생 에너지 설비를 작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112)를 포함한다. The plurality of lower node devices 110 include at least one sensor 111 for sensing the state of the renewable energy facility and at least one actuator 112 for operating the renewable energy facility.

하위노드장치(110)는 신재생 에너지를 생산하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인, ESS(Energy Storage System)의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및 태양광 발전설비, 소형 풍력 발전설비을 구성하는 인버터, PV(Photovoltaic), 계통 접속 장치 등과 같은 구성들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111)와 이들을 원격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11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The lower node device 110 includes a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a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y of an ESS (Energy Storage System), an inverter constituting a small wind power generation facility, a photovoltaic (PV) At least one sensor 111 for sensing the state of the components such as a system connection device, and at least one actuator 112 for operating them remotely.

IoT 클라우드 서버(300)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감지하고 작동시키는 다수의 하위노드장치(110)로부터 사물 인터넷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제어를 위한 이벤트 발생 조건에 대응되는 명령을 생성하거나 입력받아 다수의 하위노드장치(110)에 제공한다. The IoT cloud server 300 provides a service for collecting and monitoring data from a plurality of lower node devices 110 that detect and operate the state of a renewable energy facility based on the object Internet, And generates a command corresponding to an event generation condition for the plurality of lower node devices 110. [

또한, IoT 클라우드 서버(300)는 사용자(370)가 접속하여 이벤트 규칙(Rule)과 액추에이터 동작을 위한 제어명령을 등록할 수 있고, 수집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출력부(380)로 출력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IoT cloud server 300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user 370 to register control rules for event rules and actuator operations and output the status of the collected new and renewable energy equipment to the output unit 380 So that it can be monitored.

여기서 IoT 클라우드 서버(300)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조건에 따라 대응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관리하는 이벤트 관리자(310),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각종 장치들을 관리하는 장치 관리자(320), 신재생 에너지 설비를 관리하는 사용자(370)를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자(330), IoT 클라우드 서버(300)에 접속하는 사용자(370)의 보안을 관리하는 보안 관리자(340), IoT 클라우드 서버(300)를 통해 신재생 에너지 설비를 모니터링하고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자(350), 및 IoT 클라우드 서버(300)에 접속되는 클라이언트를 관리하는 클라이언트 관리자(360)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IoT cloud server 300 includes an event manager 310 for managing control commands for responding to conditions of events generated in the renewable energy facility, a device manager 320 for managing various devices of the renewable energy facility, A user manager 330 for managing a user 370 managing a renewable energy facility, a security manager 340 for managing the security of a user 370 accessing the IoT cloud server 300, an IoT cloud server 300, A service manager 350 that provides services to monitor and remotely control the renewable energy facility through the IoT cloud server 300, and a client manager 360 that manages clients connected to the IoT cloud server 300.

내부망 브로커 서버(200)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가 구축된 내부망에 설치되어 다수의 하위노드장치(110)로부터의 감지데이터를 IoT 클라우드 서버(300)에 전달하고, IoT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작동명령을 하위노드 장치에 전달하며, IoT 클라우드 서버(300)의 이벤트 관리자(310)를 복제한 이벤트 관리자(210)를 통해 입력된 감지데이터에 대해 이벤트 조건에 따른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하위노드장치(110)에 제공한다. The internal network broker server 200 is installed in an internal network in which a new and renewable energy facility is installed and transmits sensed data from a plurality of lower node devices 110 to the IoT cloud server 300, And transmits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an event condition to the sensed data input through the event manager 210 which replicates the event manager 310 of the IoT cloud server 300, To the node device (110).

이와 같이 내부망에 IoT 클라우드 서버(300)의 이벤트 관리자(310)를 복제하여 이벤트 기능을 수행하는 내부망 브로커 서버(200)를 통해 실시간 고속 데이터 통신으로 신재생 에너지 설비에 대한 각종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원격 관리할 수 있다.In this way, various states of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facility are monitored through real-time high-speed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internal network broker server 200 that duplicates the event manager 310 of the IOT cloud server 300 and performs the event function in the internal network Remote management is possible.

여기서 이벤트 관리자(310)는 입력되는 감지데이터로부터 트리거를 분석하는 트리거 분석기(311), 이벤트에 맞는 제어명령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 스케줄러(312), 감지데이터를 입력받아 수집하는 신호수집기(313), 이벤트에 맞는지 판단하여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제어조건엔진(314), 및 감지데이터를 이벤트로 판단하기 위한 규칙(rule) 등 이벤트에 맞는 액추에이터의 제어명령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소(315)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event manager 310 includes a trigger analyzer 311 for analyzing a trigger from input sensed data, a control scheduler 312 for executing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an event, a signal collector 313 for receiving and collecting sensed data, A control condition engine 314 for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by judging whether it is an event and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and a data storage 315 for storing control commands of an actuator corresponding to an event such as a rule for judging sensed data as an event .

이때 IoT 클라우드 서버(300)는 이벤트 조건이 변경되는 경우 내부망 브로커 서버(200)에 복제된 이벤트 관리자(210)를 업데이트 하여 IoT 클라우드 서버(300)의 이벤트 관리자(310)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At this time, when the event condition is changed, the IoT cloud server 300 updates the event manager 210 replicated to the internal network broker server 200 and can be maintained as the event manager 310 of the IoT cloud server 300 .

클라우드 브로커(305)는 내부망 브로커 서버(200)로부터 감지데이터를 입력받아 IoT 클라우드 서버(300)에 전달하고, IoT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출력되는 작동명령을 내부망 브로커 서버(200)로 전달한다. The cloud broker 305 receives sensing data from the internal network broker server 200 and transmits the sensing data to the IOT cloud server 300 and transmits the operation command output from the IoT cloud server 300 to the internal network broker server 200 do.

게이트웨이(120)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노드장치(110)와 내부망 브로커 서버(200) 간에 연결되어 센서(111)에서 감지한 감지데이터 및 액추에이터(112)를 작동시키는 작동명령을 전달한다. The gateway 120 is connected between at least one of the lower node devices 110 and the internal network broker server 200 and transmits sensing data sensed by the sensor 111 and an operation command for operating the actuator 112.

여기서 게이트웨이(120)는 내부망 브로커 서버(200)와 MQTT(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내부망 브로커 서버(200), 클라우드 브로커(305) 및 IoT 클라우드 서버(300) 간에도 MQTT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Here, the gateway 120 can communicate with the internal network broker server 200 through a 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MQTT) protocol. Also, it can communicate between the internal network broker server 200, the cloud broker 305, and the IOT cloud server 300 through the MQTT protocol.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제어를 위해 이벤트가 발생하여 조건에 맞는 제어명령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IoT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정의된 이벤트 관리자(310)까지 감지데이터가 도달해야 제어명령을 수행하게 되지만, 내부망 브로커 서버(200)에 IoT 클라우드 서버(300)의 이벤트 관리자(310)가 복제된 경우 내부망 브로커 서버(200)에서 복제된 이벤트 관리자(210)를 통해 IoT 클라우드 서버(300)의 이벤트 기능을 대체할 수 있어 신재생 에너지 설비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실시간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ontrol a new and renewable energy facility, in order to execute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a condition, the detection data must reach the event manager 310 defined in the IOT cloud server 300 When the event manager 310 of the IOT cloud server 300 is replicated to the internal network broker server 200, the internal network broker server 200 transmits the event to the IoT cloud server 300 through the event manager 210 replicated in the internal network broker server 200. [ It is possible to substitute the event function of the controller 300 for real-time control when an event occurs in the renewable energy facility.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원격 관리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의 송수신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emote management apparatus for a renewable energy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우드 브로커(305)가 내부망 브로커 서버(200)와 IoT 클라우드 서버(300) 간에 MQTT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하면서 메시지를 구독(subscribe) 한다. As shown in FIG. 3, the cloud broker 305 subscribes messages while communicating between the internal network broker server 200 and the IoT cloud server 300 through the MQTT protocol.

이때 사용자(370)가 IoT 클라우드 서버(300)에 접속하여 이벤트 규칙(Rule)을 등록하면, IoT 클라우드 서버(300)가 이를 클라우드 브로커(305)로 규칙 업데이트 메시지를 보내 내부망 브로커 서버(200)의 이벤트 관리자(210)에 업데이트 메시지를 발행(publish)하여 업데이트 하도록 한다. At this time, when the user 370 accesses the IoT cloud server 300 and registers an event rule, the IoT cloud server 300 sends a rule update message to the cloud broker 305 to send the rule update message to the internal network broker server 200, To update the update message to the event manager 210 of the mobile terminal.

또한, 내부망 브로커 서버(200)는 게이트웨이(120)로부터 발행되는 메시지를 구독(subscribe)하여, 센서(111)로부터 감지데이터가 입력된 게이트웨이(120)로부터 감지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메시지가 발행될 경우 이를 클라우드 브로커(305)로 전달하고, 클라우드 브로커(305)는 IoT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달하여 감지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internal network broker server 200 subscribes to a message issued from the gateway 120, and a message for transmitting the sensing data from the gateway 120 to which the sensing data is input is issued from the sensor 111 And transmits it to the cloud broker 305. The cloud broker 305 transfers the detected data to the IoT cloud server 300 to store the sensed data.

한편 내부망 브로커 서버(200)는 게이트웨이(120)로부터 발행된 감지데이터가 이벤트 조건에 맞는 경우 액추에이터(112)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명령을 발행하여 게이트웨이(120)로 전달함으로써 액추에이터(112)가 작동되도록 한다. 이후 내부망 브로커 서버(200)는 클라우드 브로커(305)에 감지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메시지를 발행하여 클라우드 브로커(305)가 IoT 클라우드 서버(300)로 감지데이터를 전달함으로써 IoT 클라우드 서버(305)가 감지결과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The internal network broker server 200 issues a control command to operate the actuator 112 and transmits the control command to the gateway 120 when the sensed data issued from the gateway 120 meets the event condition so that the actuator 112 operates . Then, the internal network broker server 200 issues a message for delivering the detection data to the cloud broker 305, and the cloud broker 305 delivers the detection data to the IoT cloud server 300 so that the IoT cloud server 305 So that the detection result can be stor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원격 관리 장치에 따르면,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각종 상태정보를 사물 인터넷 기반으로 실시간 수집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고, 클라우드 서버에서 이벤트 관리기능을 통해 신재생 에너지 설비를 원격 관리할 때 내부망에 이벤트 관리자 기능을 포함하는 브로커 서버를 설치하여 게이트웨이 장치와 실시간 고속 데이터 통신으로 신재생 에너지 설비에 대한 각종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원격 관리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emote management apparatus for a renewable energy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status information of a renewable energy facility can be collected in real time on the basis of a thing Internet and stored in a cloud server, Function can be used to remotely manage new and renewable energy facilities by installing a broker server that includes an event manager function in the internal network to monitor and remotely manage various statuses of renewable energy facilities through a gateway device and real time high speed data communication .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10 : 하위노드장치 111 : 센서
112 : 액추에이터 120 : 게이트웨이
200 : 내부망 브로커 서버 210 : 이벤트 관리자
300 : IoT 클라우드 서버 305 : 클라우드 브로커
310 : 이벤트 관리자 311 : 트리거 분석기
312 : 제어 스케줄러 313 : 신호수집기
314 : 제어 조건 엔진 315 : 데이터 저장소
320 : 장치 관리자 330 : 사용자 관리자
340 ; 보안 관리자 350 : 서비스 관리자
360 : 클라이언트 관리자 370 : 사용자
380 : 출력부
110: lower node device 111: sensor
112: actuator 120: gateway
200: Internal network broker server 210: Event manager
300: IoT cloud server 305: Cloud broker
310: Event Manager 311: Trigger Analyzer
312: control scheduler 313: signal collector
314: Control condition engine 315: Data store
320: Device Manager 330: User Manager
340; Security Manager 350: Service Manager
360: Client Manager 370: User
380: Output section

Claims (5)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를 작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다수의 하위노드장치;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감지하고 작동시키는 다수의 상기 하위노드장치로부터 사물 인터넷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제어를 위한 이벤트 발생 조건에 대응되는 명령을 생성하거나 입력받아 다수의 상기 하위노드장치에 제공하는 IoT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가 구축된 내부망에 설치되어 다수의 상기 하위노드장치로부터의 감지데이터를 상기 IoT 클라우드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IoT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작동명령을 상기 하위노드장치에 전달하며, 상기 IoT 클라우드 서버의 이벤트 관리자를 복제한 이벤트 관리자를 통해 입력된 감지데이터에 대해 이벤트 조건에 따른 제어명령을 상기 하위노드장치에 제공하는 내부망 브로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원격 관리 장치.
A plurality of lower node devices including at least one sensor for sensing the state of a renewable energy facility and at least one actuator for operating the renewable energy facility;
A service for collecting and monitoring data from a plurality of lower node devices that detect and operate the state of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equipment based on the object Internet and provides a service to respond to event occurrence conditions for controlling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equipment An IoT cloud server for generating or receiving an instruction to provide a plurality of lower node devices; And
Wherein the IoT cloud server is connected to the IoT cloud server, and the IoT cloud server receives the operation command from the IoT cloud server, And an internal network broker server for providing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an event condition to the lower node device with respect to the sensed data inputted through the event manager replicating the event manager of the IoT cloud server. Lt; / RTI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oT 클라우드 서버는 이벤트 조건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내부망 브로커 서버의 복제한 이벤트 관리자를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원격 관리 장치.
The remote management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IoT cloud server updates a duplicated event manager of the internal network broker server when an event condition is chang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망 브로커 서버로부터 상기 감지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IoT 클라우드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IoT 클라우드 서버에서 출력되는 작동명령을 상기 내부망 브로커 서버로 전달하는 클라우드 브로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원격 관리 장치.
The network brok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loud broker for receiving the sensing data from the internal network broker server and delivering the sensed data to the IoT cloud server and transmitting an operation command output from the IoT cloud server to the internal network broker server 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renewable energy facility.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하위노드장치와 상기 내부망 브로커 서버 간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감지데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상기 작동명령을 전달하는 게이트웨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원격 관리 장치.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gateway connected between at least one of the lower node devices and the internal network broker server to transmit the sensing data sensed by the sensor and the operation command for operating the actuator. Remote management of renewable energy faciliti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내부망 브로커 서버와 MQTT(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원격 관리 장치. The remote management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gateway communicates with the internal network broker server through a 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MQTT) protocol.
KR1020170076374A 2017-06-16 2017-06-16 Apparatus for remote managing new renewable energy plant KR2018013762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374A KR20180137622A (en) 2017-06-16 2017-06-16 Apparatus for remote managing new renewable energy p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374A KR20180137622A (en) 2017-06-16 2017-06-16 Apparatus for remote managing new renewable energy pl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622A true KR20180137622A (en) 2018-12-28

Family

ID=65008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374A KR20180137622A (en) 2017-06-16 2017-06-16 Apparatus for remote managing new renewable energy pl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762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625B1 (en) * 2021-07-16 2021-12-29 대아티아이 (주) LTE-R based Integrated Railway Inform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Clouding platfor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625B1 (en) * 2021-07-16 2021-12-29 대아티아이 (주) LTE-R based Integrated Railway Inform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Clouding platfor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83208B (en) Based on the remote real-time monitoring system of cloud computing
RU2583703C2 (en) Malicious attack detection and analysis
CN111062651A (en) Safe power utiliz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edge calculation and big data analysis
KR102248727B1 (en) Multi-protocol iot gateway for energy management
CN113708974A (en) Edge cloud network system based on self-adaptive networking and cooperation method
US20090157835A1 (en) Presence Enabled Instance Messaging for Distributed Energy Management Solutions
KR101509269B1 (en) Middleware device for ubiquitous system using distributed computing scheme
CN103973815A (en) Method for unified monitoring of storage environment across data centers
KR20220012935A (en) Cross-domain data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Adly Technology trade-offs for IIoT systems and applications from a developing country perspective: case of Egypt
Cejka et al. A framework for communication and provisioning in an intelligent secondary substation
KR20180137622A (en) Apparatus for remote managing new renewable energy plant
CN112486666A (en) Model-driven reference architecture method and platform
Lelli et al. The many faces of the integration of instruments and the grid
CN110855757A (en) Soft start equipm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cloud service
Patil et al. A Model Design of Green Communication for Smart Grid Systems
Saadi et al. On IEC 61850 communication networks in smart grids system: Methodology of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s analysis on an experimental platform
CN114567568A (en) Electric power Internet of things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edge calculation
Cornel-Cristian et al. Smart grid integration of IoT
Shapsough et al. Designing an edge layer for smart management of large-scale and distributed solar farms
Cejka et al. Integrating Smart Building Energy Data into Smart Grid Applications in the Intelligent Secondary Substations
Palanichamy et al. Fog computing for smart grid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Zhou et al. Design of geomagnetic data platform system for the internet of vehicle
CN109961376A (en) A kind of distributed energy storage apparatus management/control system and method
EP4319100A1 (en) Messaging protocol for configuring remote terminal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