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4659A -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 성능을 향상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 성능을 향상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4659A
KR20180134659A KR1020170072685A KR20170072685A KR20180134659A KR 20180134659 A KR20180134659 A KR 20180134659A KR 1020170072685 A KR1020170072685 A KR 1020170072685A KR 20170072685 A KR20170072685 A KR 20170072685A KR 20180134659 A KR20180134659 A KR 20180134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tellite
message
based reinforcement
reinforcement message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6065B1 (ko
Inventor
박병운
석효정
Original Assignee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72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065B1/ko
Publication of KR20180134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3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 G01S19/08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providing integrity information, e.g. health of satellites or quality of ephemeris dat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4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 G01S19/243Demodulation of navigation mess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2Determining position
    • G01S19/48Determining position by combining or switching between position solutions derived fro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and position solutions derived from a further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버를 통하여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하는 클라이언트 장치는 서버 장치로 메시지 요청을 전송하는 요청 전송부,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수신하거나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수신된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또는 상기 수신된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는, 상기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재구성하여 생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 성능을 향상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TO IMPROVE POSITION MEASUREMENT PERFORMANCE BY USING SATELLITE-BASED AUGMENTATION SYSTEM MESSAGE}
본 발명은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 성능을 향상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서버를 통하여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성기반보강 메시지에 포함된 위성 궤도, 시계 및 전리층 보강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측정하는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성기반보강시스템(satellite-based augmentation system, SBAS)은 위성항법 보강 정보를 정지궤도 위성으로부터 위성항법(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과 동일한 L1 주파수를 통해 송출된 신호를 이용하여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위성기반보강시스템을 위한 별도의 통신 채널이 불필요하고, 시스템의 구조가 기존의 위성항법 수신기와 동일하기 때문에, 위성기반보강시스템은 드론, 차량 등에 이용되는 저가형 위성 항법 수신기를 포함한 대다수의 수신기들에서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정확도 향상과 무결성 정보를 확보하기 위하여 위성기반보강시스템 보강 정보는 위성항법 신호인 L1 주파수로 전달되며, L1에서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의 대역폭이 약 250bps에 불과하므로 제공 되어야 하는 정보를 좁은 전송 대역에서 매우 효율적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위성기반보강시스템은 위성항법 오차성분 별로 분해하고, 이를 다시 스케쥴링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데, 모든 성분에 대한 정보가 모두 사용자에게 전달된 후에야 사용자는 향상된 성능의 측위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각 오차성분들 중 특히, 전리층 오차 보강 정보는 약 300초에 한번씩 전송되므로, 사용자는 초기화 후 최대 약 5분의 시간을 기다려야 향상된 성능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산악, 고층 빌딩 등이 보강정보를 송출하는 정지궤도 위성의 시야각을 가려 일부 정보를 연속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도 때에 따라서는 보강정보 적용을 재설정하여 초기화과정과 동일하게 5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측정 성능 향상을 위한 연속적인 보강정보 수신을 보장하고 초기 대기 시간을 단축시키는 방법 및 장치가 제안될 필요성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50712호, "DGNSS 수신기 다중접속 및 원시정보 중계시스템과 그 방법" 한국공개특허 제10-1419339호, "위성항법 보정시스템의 보정정보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한국공개특허 제10-1607082호, "차분 위성 항법의 서비스 영역 확장을 위한 전리층 지연오차 보상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위성기반보강 시스템의 위성으로부터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들을 순차적으로 수신한 후, 누적된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들을 재구성하여 통합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서버 장치로부터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들을 약 250kbps와 같은 저속에서 순차적으로 수신하거나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들을 통합하여 생성된 통합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단번에 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장치로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들을 순차적으로 전송하거나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들을 통합하여 생성된 통합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위성기반보강 시스템의 위성으로부터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들을 수신하고, 수신한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들을 재 방송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위치 측정의 초기화 여부에 따라 위치기반보강 메시지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하는 클라이언트 장치는 서버 장치로 메시지 요청을 전송하는 요청 전송부,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수신하거나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수신된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또는 상기 수신된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는, 상기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재구성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하는 클라이언트 장치는 상기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의 순차적인 전송과 관련된 제1 메시지 요청 및 상기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의 전송과 관련된 제2 메시지 요청 중 어느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하는 클라이언트 장치는 위성기반보강 시스템(satellite-based augmentation system, SBAS) 위성으로부터의 위치기반보강 메시지 수신과 관련된 장애가 발생할 경우, 상기 제1 메시지 요청 및 상기 제2 메시지 요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메시지 수신 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하는 클라이언트 장치는 위성기반보강 시스템(satellite-based augmentation system, SBAS) 위성으로부터의 위치기반보강 메시지 수신과 관련된 장애가 발생할 경우, 상기 서버 장치로 상기 메시지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하는 클라이언트 장치는 상기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위성항법 측정치에 적용하거나 상기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상기 위성항법 측정치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위치 측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버 장치는 위성기반보강 시스템(satellite-based augmentation system, SBAS) 위성으로부터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수신된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재구성하여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메시지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 및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상기 수신된 메시지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수신된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생성된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버 장치는 상기 위성기반보강 시스템(satellite-based augmentation system, SBAS) 위성으로부터 상기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상기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재 방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버 장치는 상기 위성기반보강 시스템(satellite-based augmentation system, SBAS) 위성으로부터 서로 다른 전송 주기로 상기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버 장치는 상기 수신된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수신된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누적한 후, 상기 누적된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누적된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재구성함으로써 상기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하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요청 전송부에서, 서버 장치로 메시지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메시지 수신부에서,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수신하거나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위치 정보 획득부에서, 상기 수신된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수신된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또는 상기 수신된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는, 상기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재구성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하는 클라이언트 장치는 상기 요청 전송부에서, 상기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의 순차적인 전송과 관련된 제1 메시지 요청 및 상기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의 전송과 관련된 제2 메시지 요청 중 어느 하나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은 메시지 수신부에서, 위성기반보강 시스템(satellite-based augmentation system, SBAS) 위성으로부터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메시지 생성부에서 상기 수신된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수신된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재구성하여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요청 수신부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메시지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메시지 전송부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상기 수신된 메시지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수신된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생성된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메시지 생성부에서, 상기 수신된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수신된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누적하는 단계, 및 상기 누적된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누적된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재구성함으로써 상기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장치는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이용한 위치 정보의 보강이 필요한 경우, 위성기반 메시지 서버 장치를 통하여 보강 메시지를 단번에 수신함으로써 약 300초 이상이었던 기존 위성기반 보강시스템의 위치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대기 시간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장치는 고층빌딩 등에 의하여 위성기반보강 시스템의 위성에 대한 시야각을 확보하지 못하여 위성으로부터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들을 직접적으로 수신하지 못할 경우에도, 서버 장치를 통하여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들을 수신함으로써, 메시지의 일시적인 미수신으로 인한 재초기화 과정 없이 연속적인 보강정보 적용을 통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장치는 서버 장치로부터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들을 순차적으로 수신하거나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들을 통합하여 생성된 통합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장치는 위성기반보강 메시지의 수신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장치는 서버 장치로부터 누적된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들을 한번에 수신하거나 누적된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들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장치는 서버 장치를 통하여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들을 수신함으로써 저가형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방법과 관련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과 관련된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 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하기에서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또는' 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논리합 'exclusive or' 이기보다는 포함적인 논리합 'inclusive or' 를 의미한다.
즉,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x가 a 또는 b를 이용한다' 라는 표현은 포함적인 자연 순열들(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예시한다. 이하 사용되는 '. 부', '.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통신부(11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드론(drone), 차량, 스마트폰(smart phone) 등에 탑재된 저가형 위성항법 수신기를 포함한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요청 전송부(112) 및 메시지 수신부(11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요청 전송부(112)는 서버 장치로 메시지 요청을 전송한다.
일례로, 요청 전송부(112)는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의 순차적인 전송과 관련된 제1 메시지 요청 및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의 일시적인 전송과 관련된 제2 메시지 요청 중 어느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요청 전송부(112)는 위성기반보강 시스템(satellite-based augmentation system, SBAS) 위성으로부터의 보강 메시지 수신과 관련된 장애가 발생한 경우, 서버 장치로 메시지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는 위성기반보강 시스템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위성기반보강 시스템 위성으로 송출하기 전 지상에 위치하는 관리국에서 생성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상 관리국에서 생성된 데이터는 위성기반보강 시스템 메시지에 대응하는, 위치 보강 데이터로서 지상의 관리국에서 생성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위성기반보강 시스템 위성으로부터의 위치기반보강 메시지 수신과 관련된 장애는 위성기반보강 시스템 위성의 시야각에서 벗어난 경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시야각은 클라이언트 장치(100)가 위성기반보강 시스템 위성으로부터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위성기반보강 시스템 위성이 빌딩 등에 의하여 가려진 경우, 클라이언트 장치는 서버 장치로 메시지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위성기반보강 시스템 위성은 정지 궤도 위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수신부(114)는 서버 장치로부터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수신하거나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메시지 수신부(114)는 서버 장치로부터 정지궤도 위성으로부터 송출된 메시지와 동일한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수신하거나, 제3 위성기반 보강 메시지를 단번에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메시지 수신부(114)는 서버 장치에 의하여 서로 다른 전송 주기로 수신된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수신하거나 서버 장치에 의하여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재구성하거나 누적하여 생성된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수신부(114)는 위성기반보강 시스템의 위성의 위치와 관계없이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는 SBAS(satellite-based augmentation system)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위성기반 보강 메시지가 처음 적용되는 시점에서는 보강메시지 서버로부터 위성기반 보강 메시지를 수신하고, 시스템이 메시지 수신을 위한 대기 시간 없이 메시지가 완전히 적용되어 위치 성능이 향상된 후에는 위성기반보강 시스템 위성으로부터 직접 위성기반 보강 메시지를 수신하여 위치 측정을 수행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100)가 드론인 경우,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항공기와 달리 전원이 인가된 후 짧은 비행준비 시간 내에 높은 성능의 측위 정보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전원이 처음 인가되면 위성기반 보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서버에게 전송하고, 약 5분 이상의 대기 시간 없이 단번에 위성궤도 및 시계, 전리층 오차 보강 정보를 수신하여 충분히 측위 성능이 향상 된 후에는 요청한 메시지의 전송을 중단하고, 정지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향상된 측위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도 있다.
일례로,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하는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기존 SBAS 수신기에서 수신한 위성기반보강 메시지와 메시지 서버를 통해 순차적으로 수신한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병렬적, 또는 결합하여 위성항법 측정치에 적용하거나,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위성항법 측정치에 한꺼번에 적용하여 초기 대기시간을 단축한 후 SBA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보강 메시지 또는 서버를 통해 수신한 제1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의 위치 정보를 향상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위치 정보 획득부(13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 획득부(132)는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위치 정보 획득부(132)는 제1 위성기반보강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의 위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 획득부(132)는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 획득부(132)는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위성항법 측정치에 적용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위치 측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례로,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위성항법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통하여 획득한 위성항법 측정치에 보강 메시지를 적용하여 측위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 획득부(132)는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위성항법 측정치에 적용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위치 정보 획득부(132)는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위치 측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10)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 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부(110)는 데이터 전송 시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데이터 수신 시 기저 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기저 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로 하향변환 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저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20)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집합(예: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제어부(1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련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클라이언트 장치(100)에 포함되는 것으로, ‘내부 저장소’또는 ‘내부 저장 장치’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20)는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0)는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에 포함된 오차별 보강정보와 무결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차성분들은 위성 궤도, 위성 시계 및 전리층 오차 보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메시지 수신 선택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수신 선택부(134)는 위성기반보강 시스템의 위성으로부터의 위치기반보강 메시지 수신과 관련된 장애가 발생할 경우, 제1 메시지 요청 및 제2 메시지 요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메시지 수신 선택부(134)는 위성기반보강 시스템의 위성으로부터 위치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제1 수신 방법과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하나만을 수신하는 제2 수신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수신 선택부(134)는 위성기반보강 시스템의 위성으로부터 위치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제1 수신 방법과 제2 수신 방법의 효율성을 비교한 후, 제1 메시지 요청 및 제2 메시지 요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메시지 수신 선택부(134)는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측위 성능을 향상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위성기반보강 메시지가 허용 가능한 시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제1 수신 방법을 선택하고, 허용 가능한 시간보다 오래된 보강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2 수신 방법을 선택하여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프로세서,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30)는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제어부(13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30)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클라이언트 장치(100)가 이하 도 3 및 도 4 등에 도시된 절차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 및 이하 설명에서,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의 두 메시지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다수의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수 혹은 복수의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들을 재구성하여 생성된 메시지를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로 지칭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예시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200)는 위성 통신부(210), 통신부(22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위성 통신부(210)는 메시지 수신부(212)를 포함한다.
일례로, 메시지 수신부(212)는 위성기반보강 시스템 위성으로부터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한다. 일례로, 메시지 수신부(212)는 위성기반보강 시스템 위성으로부터 서로 다른 전송 주기로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한다. 즉, 메시지 수신부(212)는 서로 다른 전송 주기로 위성기반보강 시스템 위성으로부터 송신되는 제1 위성기반 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 보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위성 통신부(210)는 위성기반보강 시스템 위성으로부터 L1 주파수를 이용하여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L1 주파수는 250bps에 상응하는 대역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40)는 메시지 생성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생성부(242)는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재구성하여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메시지 생성부(242)는 서로 다른 주기에서 전달되는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취합하여 재구성한 후,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생성부(242)는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 보강 메시지를 저장부(230)에 순차적으로 누적한 후,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재구성함으로써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220)는 요청 수신부(222) 및 메시지 전송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20)는 위성 통신부(210)과 서로 다른 통신 채널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요청 수신부(222)는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메시지 요청을 수신한다. 일례로 요청 수신부(222)는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제1 메시지 요청 및 제2 메시지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서버 장치(200)는 제1 메시지 요청을 수신할 경우,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장치(200)는 제2 메시지 요청을 수신할 경우,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전송부(224)는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요청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장치로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전송하거나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전송부(224)는 위성기반보강 시스템 위성으로부터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한 후, 클라이언트 장치로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재방송할 수 있다. 즉, 메시지 전송부(224)는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한 순서대로, 가공하거나 변형하지 아니하고 방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장치(200)는 저장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분해하여 전리층 오차 보강 정보를 비롯한 오차성분 별 메시지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서버 장치(20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230)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집합(예: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제어부(2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서버 장치(2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련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서버 장치(200)에 포함되는 것으로, ‘내부 저장소’또는 ‘내부 저장 장치’로 지칭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프로세서,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240)는 서버 장치(2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40)는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제어부(24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서버 장치(200)가 이하 도 5 및 도 6 등에 도시된 절차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방법과 관련된 흐름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방법이 서버 장치로부터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절차를 예시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단계(301)에서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서버 장치로 메시지 요청을 전송한다. 일례로, 클라이언트 장치는 위성기반보강 시스템 위성으로부터의 위치기반보강 메시지 수신과 관련된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서버 장치로 메시지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방법은 메시지 요청에 위성기반보강 메시지의 수신 방법을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단계(303)에서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서버 장치로부터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수신하거나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한다. 즉,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서버 장치로 전송한 위성기반보강 메시지의 수신 방법에 기초하여 서버 장치로부터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수신하거나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는 서버 장치에 의하여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재구성하여 생성될 수 있다.
단계(305)에서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또는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례로,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위성항법 측정치에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위성항법 측정치를 보강하고, 보강된 위성항법 측정치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위성항법 측정치에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적용하여 위성항법 측정치를 보강하고, 보강된 위성항법 측정치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방법과 관련된 흐름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방법이 두 가지 메시지 요청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서버 장치로 전송함에 따라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들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절차를 예시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단계(401)에서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메시지 요청과 제2 메시지 요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즉,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방법은 클라이언트 장치가 위성기반보강 시스템의 위성으로부터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시야각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의 순차적인 전송을 요청하는 제1 메시지 요청과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재구성하여 생성된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제2 메시지 요청 중 어느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403)에서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메시지 요청의 전송 여부를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메시지 요청의 전송할 경우, 단계(405)로 진행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메시지 요청을 전송하지 않을 경우, 단계(409)로 진행한다.
단계(405)에서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위성기반 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 보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수신한다. 즉,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메시지 요청에 따라 서버 장치로부터 제1 위성기반 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 보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위성기반 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 보강 메시지는 서버 장치에 의하여 데이터의 변형 없이 동일한 데이터로 재방송될 수 있다.
단계(407)에서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위성기반 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위성항법 측정치에 적용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의 위치 측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단계(409)에서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한다. 즉,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만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411)에서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위성항법 측정치에 적용하여 클라이언트의 위치 측정 성능을 향상한다. 즉,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만을 이용하여 위성항법 측정치를 보강한 후, 클라이언트 장치의 위치 측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과 관련된 흐름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이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메시지 요청을 수신하여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전송하는 절차를 예시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단계(501)에서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 보강 메시지를 수신한다. 즉,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서로 다른 전송 주기로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 보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503)에서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생성한다. 즉,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재구성하여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는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에서 위치 측정에 이용되는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단계(505)에서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은 메시지 요청의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 일례로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은 메시지 요청을 수신할 경우, 단계(507)로 진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은 메시지 요청의 수신하지 못할 경우, 해당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단계(507)에서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전송하거나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서로 다른 전송 주기로 수신된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일정한 시간 차이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과 관련된 흐름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은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메시지 요청을 수신한 후, 메시지 요청에 기초하여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전송하는 절차를 예시한다.
도 6을 참고하면, 단계(601)에서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서로 다른 전송 주기로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603)에서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재구성하여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605)에서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메시지 요청의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 일례에 따르면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메시지 요청 또는 제2 메시지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메시지 요청을 수신할 경우, 단계(607)로 진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메시지 요청을 수신하지 못할 경우, 제2 메시지 요청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609)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607)에서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한 스케쥴에 따라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609)에서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전송한다. 즉,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은 클라이언트 장치로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상술한 실시 예들이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실시 예들이 내포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클라이언트 장치 110: 통신부
112: 요청 전송부 114: 메시지 수신부
120: 저장부 130: 제어부
132: 위치 정보 획득부 134: 메시지 수신 선택부
200: 서버 장치 210: 위성통신부
212: 메시지 수신부 220: 통신부
222: 요청 수신부 224: 메시지 전송부
230: 저장부 240: 제어부
242: 메시지 생성부

Claims (13)

  1. 서버 장치로 메시지 요청을 전송하는 요청 전송부;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수신하거나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수신된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또는 상기 수신된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는, 상기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재구성하여 생성되는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전송부는,
    상기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의 순차적인 전송과 관련된 제1 메시지 요청 및 상기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의 전송과 관련된 제2 메시지 요청 중 어느 하나를 전송하는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위성기반보강 시스템(satellite-based augmentation system, SBAS) 위성으로부터의 위치기반보강 메시지 수신과 관련된 장애가 발생할 경우, 상기 제1 메시지 요청 및 상기 제2 메시지 요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메시지 수신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전송부는,
    위성기반보강 시스템(satellite-based augmentation system, SBAS) 위성으로부터의 위치기반보강 메시지 수신과 관련된 장애가 발생할 경우, 상기 서버 장치로 상기 메시지 요청을 전송하는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는,
    상기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위성항법 측정치에 적용하거나 상기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상기 위성항법 측정치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위치 측정 성능을 향상하는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6. 위성기반보강 시스템(satellite-based augmentation system, SBAS) 위성으로부터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수신된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재구성하여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메시지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 및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상기 수신된 메시지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수신된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생성된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위성기반보강 시스템(satellite-based augmentation system, SBAS) 위성으로부터 상기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상기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재 방송하는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버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수신부는,
    상기 위성기반보강 시스템(satellite-based augmentation system, SBAS) 위성으로부터 서로 다른 전송 주기로 상기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하는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버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수신된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수신된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누적한 후, 상기 누적된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누적된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재구성함으로써 상기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생성하는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버 장치.
  10. 요청 전송부에서, 서버 장치로 메시지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메시지 수신부에서,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수신하거나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위치 정보 획득부에서, 상기 수신된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수신된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또는 상기 수신된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는, 상기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재구성하여 생성되는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하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로 메시지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 전송부에서, 상기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의 순차적인 전송과 관련된 제1 메시지 요청 및 상기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의 전송과 관련된 제2 메시지 요청 중 어느 하나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하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방법.
  12. 메시지 수신부에서, 위성기반보강 시스템(satellite-based augmentation system, SBAS) 위성으로부터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메시지 생성부에서 상기 수신된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수신된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재구성하여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요청 수신부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메시지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메시지 전송부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상기 수신된 메시지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수신된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생성된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 생성부에서, 상기 수신된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수신된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누적하는 단계; 및
    상기 누적된 제1 위성기반보강 메시지 및 상기 누적된 제2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재구성함으로써 상기 제3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70072685A 2017-06-09 2017-06-09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 성능을 향상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06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685A KR102006065B1 (ko) 2017-06-09 2017-06-09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 성능을 향상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685A KR102006065B1 (ko) 2017-06-09 2017-06-09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 성능을 향상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659A true KR20180134659A (ko) 2018-12-19
KR102006065B1 KR102006065B1 (ko) 2019-07-31

Family

ID=65009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685A KR102006065B1 (ko) 2017-06-09 2017-06-09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 성능을 향상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0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066A (ko) * 2020-10-21 2022-04-29 덕산넵코어스 주식회사 Sbas 보강항법 초기 위치 결정 시간 단축을 위한 위성항법 운용 시스템
JP2022535882A (ja) * 2019-06-04 2022-08-10 チエンシュン スペイシャル インテリジェン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差分補正データメッセージの送受信方法、システム及び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147B1 (ko) * 2020-10-12 2021-06-07 정관묵 Gps 위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4841A (ja) * 1999-10-28 2001-05-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Gps受信機
KR20060111525A (ko) * 2003-10-23 2006-10-27 글로벌 로케이트, 인크. Sps 지원 시스템에서 정보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KR101150712B1 (ko) 2011-10-24 2012-06-08 한국해양연구원 Dgnss 수신기 다중접속 및 원시정보 중계시스템과 그 방법
JP2013044576A (ja) * 2011-08-22 2013-03-04 Furuno Electric Co Ltd 人工衛星ベースの受信機に対するsbas支援情報を持ったagpsサーバ
JP2014020814A (ja) * 2012-07-13 2014-02-03 Lighthouse Technology & Consulting Co Ltd 衛星測位システム及び測位補強信号生成方法
KR101419339B1 (ko) 2013-10-07 2014-07-16 주식회사 지평스페이스 위성항법 보정시스템의 보정정보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607082B1 (ko) 2015-03-05 2016-04-11 국방과학연구소 차분 위성 항법의 서비스 영역 확장을 위한 전리층 지연오차 보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4841A (ja) * 1999-10-28 2001-05-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Gps受信機
KR20060111525A (ko) * 2003-10-23 2006-10-27 글로벌 로케이트, 인크. Sps 지원 시스템에서 정보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JP2013044576A (ja) * 2011-08-22 2013-03-04 Furuno Electric Co Ltd 人工衛星ベースの受信機に対するsbas支援情報を持ったagpsサーバ
KR101150712B1 (ko) 2011-10-24 2012-06-08 한국해양연구원 Dgnss 수신기 다중접속 및 원시정보 중계시스템과 그 방법
JP2014020814A (ja) * 2012-07-13 2014-02-03 Lighthouse Technology & Consulting Co Ltd 衛星測位システム及び測位補強信号生成方法
KR101419339B1 (ko) 2013-10-07 2014-07-16 주식회사 지평스페이스 위성항법 보정시스템의 보정정보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607082B1 (ko) 2015-03-05 2016-04-11 국방과학연구소 차분 위성 항법의 서비스 영역 확장을 위한 전리층 지연오차 보상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35882A (ja) * 2019-06-04 2022-08-10 チエンシュン スペイシャル インテリジェン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差分補正データメッセージの送受信方法、システム及び装置
KR20220053066A (ko) * 2020-10-21 2022-04-29 덕산넵코어스 주식회사 Sbas 보강항법 초기 위치 결정 시간 단축을 위한 위성항법 운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065B1 (ko)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925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data with variable validity and quality
US7142157B2 (en) Determining position without use of broadcast ephemeris information
CN110488328B (zh) 低轨卫星导航增强平台的电文收发方法及系统
US6552680B1 (en) Method and system for minimizing storage and processing of ionospheric grid point correction information
CN102016619B (zh) 改进的星基增强系统接收器
KR102006065B1 (ko)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 성능을 향상하는 장치 및 방법
US20080191936A1 (en) Efficient ephemeris coding
JP2006523836A5 (ko)
JP2007518064A (ja) アシストspsシステムにおける情報配信方法及び装置
US8259011B2 (en) Long term compact satellite models
US20140375505A1 (en) Positioning Using DTV Broadcast Signaling
US201200500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augmentation corrections for gnss positioning
US8339314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virtual wide area GNSS reference network
JP6308406B1 (ja) 測位装置、測位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031730B1 (en) Method and system for minimizing storage and processing of ionospheric grid point correction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JP2007170900A (ja) 衛星測位システム、端末、電離層補正データの受信処理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Geng et al. Multi-GNSS real-time precise point positioning using BDS-3 global short-message communication to broadcast corrections
AU2011309118A1 (en)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and positioning signal receiver
JP6193290B2 (ja) 測位システム、および、測位方法
Favenza et al. A cloud-based approach to GNSS augmentation for navigation services
Chen et al. Virtual differential GPS based on SBAS signal
JP2004037212A (ja) ディファレンシャル測位装置
JP2021128098A (ja) 測位システム、人工衛星、受信機および測位情報提供方法
KR101967530B1 (ko) 이종채널을 통하여 수신된 위성기반보강 메시지들을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427459B1 (ko) Sbas 보강항법 초기 위치 결정 시간 단축을 위한 위성항법 운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