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471A - Apparatus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construction errors using 3d scanning with bim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construction errors using 3d scanning with bim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471A
KR20180131471A KR1020180061895A KR20180061895A KR20180131471A KR 20180131471 A KR20180131471 A KR 20180131471A KR 1020180061895 A KR1020180061895 A KR 1020180061895A KR 20180061895 A KR20180061895 A KR 20180061895A KR 20180131471 A KR20180131471 A KR 20180131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canning
bim
bim model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8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성호
김시로
박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메이드아이앤씨
광진종합건설(주)
위프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메이드아이앤씨, 광진종합건설(주), 위프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메이드아이앤씨
Publication of KR20180131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47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06F17/50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8Staff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Abstract

An apparatus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a construction error comprises: a 3D scanning data unit for receiving 3D scanning data of a structure photographed from 3D scanning in a construction step or a maintenance management step of a structure; a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reading unit for reading a BIM model of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3D scanning data from a database for storing BIM model data of the structure before construction; a view point matching unit for simultaneously reading the 3D scanning data and the BIM model data to match view points of the 3D scanning data and the BIM model data; an integrated data generation unit for integrating the 3D scanning data and the BIM model data on the basis of the matched view points to generate integrated data; and a construction error measurement unit for analyzing the integrated data to extract error data between the 3D scanning data and the BIM model data.

Description

3D 스캐닝과 BIM을 이용한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CONSTRUCTION ERRORS USING 3D SCANNING WITH BIM AND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grating a construction error using 3D scanning and BIM,

3D 스캐닝과 BIM을 이용한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n integrated construction error using 3D scanning and BIM are provided.

BIM은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약자로 3차원 정보 모델을 기반으로 구조물의 생애 주기에 걸쳐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통합하여 활용이 가능하도록 표현한 디지털 모형을 나타낸다. BIM stands for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t represents a digital model that integrates all the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out the life cycle of a structure based on a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model.

BIM의 근본적인 목적은 디자인 정보를 명확하게 하여 설계 의도와 프로그램을 빠른 시간 내에 이해하고 평가함으로써 신속한 의사결정을 유도하도록 하는 것이다. BIM은 현재 계획, 설계, 엔지니어링 시공, 유지관리 등의 전 분야에 걸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어 빠르게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The fundamental purpose of BIM is to clarify design information so that design intentions and programs can be understood and assessed quickly so that decisions can be made quickly. BIM is widely applied to all areas of planning, design, engineering construction, maintenance, etc., and is rapidly spreading.

이와 같은 BIM은 계획 단계에서 구축되는 것으로 실제 시공 단계에서는 다양한 변수들로 인해 시공 오차가 발생되거나 설계 변경으로 인해 구조물의 구조가 상이하게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현장의 구조물과 BIM과 비교를 통한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Since the BIM is constructed at the planning stage, construction errors may occur due to various variables at the actual construction stage, or the structure of the structure may be changed due to the design change. Therefore, the BIM is continuously compared with the structure of the site and BIM An update is required.

이러한 3D 스캐닝 데이터와 BIM과의 비교 업무는 해당 프로젝트를 담당하는 건설회사 측에서 주도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해당 건설회사에서 고용한 BIM 관련 업체의 경우 3D 스캔 관련 기술이 전무하고, 3D 스캔 관련 업체는 BIM 관련 기술이 전무하다. 이에 따라 건설회사 측에서 해당 업무를 직접 수행하고자 한다면, 단순히 스캔한 결과물을 열람할 경우에도 다수의 필요하지 않은 기능이 포함된 매우 고가의 소프트웨어를 구입해야만 열람이 가능하다. 또한 비용 절감을 위해 해외 사이트 등에서 구할 수 있는 기 개발된 무료 프로그램을 이용할 경우, 특정 파일 형식만을 지원하거나 특정 크기 또는 포인트 수 이상의 파일은 열람이 불가능하여 결과물의 활용 및 기술 보급, 확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The comparison of 3D scanning data with BIM is a part of the project that should be conducted by the construction company responsible for the project. However, BIM related companies employed by the construction company have no 3D scanning technology, and 3D scanning related companies have no BIM related technology. Accordingly, if the construction company wants to directly perform the task, it is only necessary to purchase very expensive software including a large number of unnecessary functions when browsing the scanned result. In addition, when using free programs that are available on overseas sites for cost reduction, it is difficult to support only specific file formats or to browse files with a certain size or number of points. It is reality that there is.

이와 같이 최근의 국내외 프로젝트에서 3D 스캐너를 활용한 3D 조사 결과와 BIM 모델과의 통합 검토 등 이와 관련된 다양한 요구사항이 대두되고 있으나 이를 지원해줄 수 있는 관련 기술이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Thus, in recent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ojects, there are various requirements related to the 3D inspection using the 3D scanner and the integration review of the BIM model. However, there are a lot of related technologies that can support this.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3D 스캐너의 결과물인 3D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와 BIM 모델을 활용하여 건축물에 대한 가상현실을 구현하고 건축물의 시공 및 유지 관리 단계에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 virtual reality for a building using 3D point cloud data and a BIM model, which are the result of a 3D scanner, and utilize the virtual reality i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stages of a building.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And can be used to achieve other tasks not specifically mentioned other than the above tasks.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는 구조물의 시공 단계 또는 유지 관리 단계에서 3D 스캐닝으로부터 촬영된 상기 구조물의 3D 스캐닝 데이터를 입력받는 3D 스캐닝 데이터부, 시공 전 구조물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모델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3D 스캐닝 데이터에 대응되는 구조물의 BIM 모델을 열람하는 BIM 열람부, 3D 스캐닝 데이터와 BIM 모델 데이터를 동시에 열람하여 3D 스캐닝 데이터와 BIM 모델 데이터의 뷰 포인트를 일치시키는 뷰 포인트 일치부, 일치시킨 뷰 포인트에 기초하여 3D 스캐닝 데이터와 BIM 모델 데이터를 통합하여 통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통합 데이터 생성부, 그리고 통합 데이터를 분석하여 3D 스캐닝 데이터와 BIM 모델 데이터간의 오차 데이터를 추출하는 시공 오차 측정부를 포함한다.The integrated construction error manag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3D scanning data unit that receives 3D scanning data of the structure photographed from 3D scanning in a construction step or a maintenance step of a structure, Information modeling) A BIM view that views the BIM model of th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3D scanning data from the database storing the model data. The 3D scanning data and the BIM model data are simultaneously browsed to match the view point of the 3D scanning data and the BIM model data And an integrated data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integrated data by integrating 3D scanning data and BIM model data based on the matching viewpoint, and analyzing the integrated data to obtain error data between the 3D scanning data and the BIM model data Including measurement error measurement part to extract .

뷰 포인트 일치부는, 3D 스캐닝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스캐닝 기준점을 추출하고, BIM 모델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BIM 기준점을 추출하여, 복수의 스캐닝 기준점의 중심과 상기 복수의 BIM 기준점의 중심을 하나의 원점에 배치하고, 하나의 상기 스캐닝 기준점과 대응되는 BIM 기준점간의 회전값을 도출하여 회전값을 BIM 모델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The viewpoint matching unit extracts a plurality of scanning reference points from the 3D scanning data, extracts a plurality of BIM reference points from the BIM model data, arranges the centers of the plurality of scanning reference points and the centers of the plurality of BIM reference points at one origin , The rotation value between one scanning reference point and the corresponding BIM reference point may be derived and the rotation value may be applied to the BIM model data.

시공 오차 측정부는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에 기초하여, 통합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영역의 정합도가 허용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영역의 좌표를 포함하는 오차 데이터를 자동 도출할 수 있다. If the matching degree of each area included in the integrated data is out of the tolerance range, the construction error measuring unit can automatically derive the error data including the coordinates of the corresponding area based on the set tolerance range.

시공 오차 측정부는 오차 데이터가 도출되면, 오차 데이터의 좌표를 포함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3D 스캐닝 데이터의 스캐닝 객체와 스캐닝 영역 정보 그리고 BIM 모델 데이터의 BIM 객체와 BIM 영역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When the error data is derived, the construction error measuring unit can extract the scanning object and the scanning area information of the 3D scann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area including the coordinates of the error data, and the BIM object and the BIM area information of the BIM model data.

시공 오차 측정부는, 스캐닝 객체와 스캐닝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BIM 객체와 BIM 영역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3D 스캐닝 데이터 기반의 BIM 모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onstruction error measuring unit may update the BIM object and the BIM area information based on the scanning object and the scanning area information to generate BIM model data based on the 3D scanning data.

통합 데이터 생성부는 사용자로부터 두 지점을 입력받으면, 두 지점의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여 통합 데이터에 표시하며, 대각에 위치하는 두 지점인 경우, 삼각형의 형태로 수직 및 수평의 거리를 산출하여 통합 데이터에 표시할 수 있다. When two points are received from the user, the integrated data generation unit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points and displays the combined data on the integrated data. In the case of two points located on the diagonal, the integrated data generation unit calculates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stances in the form of a triangle, Can be displayed.

3D 스캐닝 데이터, BIM 모델 데이터 그리고 통합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시각화하여 3차원 가상 공간에 표시하고, 3D 스캐닝 데이터, BIM 모델 데이터 그리고 통합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트리 위계 정보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의 속성 정보를 도킹 패널로 구성된 화면 영역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도킹 패널을 재배치하거나 숨기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한다. 3D scanning data, BIM model data, and integrated data are visualized and displayed in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and at least one tree-related information among 3D scanning data, BIM model data, and integrated data, And an interface unit that displays the docking panel in a screen area configured by the docking panel and relocates or hides the docking panel according to a user's input.

3D 스캐닝 데이터부는, 3D 스캐닝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기준점 데이터의 입력을 통해 위치 정보를 부여하고, 구조물의 실제 컬러를 맵핑할 수 있다. When the 3D scanning data is input, the 3D scanning data unit can assign the position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 of the reference point data and map the actual color of the structure.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의 시공 오차 통합 관리 방법은 구조물의 시공 단계 또는 유지 관리 단계에서 3D 스캐닝으로부터 촬영된 구조물의 3D 스캐닝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시공 전 구조물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모델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3D 스캐닝 데이터에 대응되는 구조물의 BIM 모델을 열람하는 단계, 3D 스캐닝 데이터와 BIM 모델 데이터를 동시에 열람하여 3D 스캐닝 데이터와 BIM 모델 데이터의 기준점을 설정하고 기준점에 기초하여 뷰 포인트를 일치시키는 단계, 일치시킨 상기 뷰 포인트에 기초하여 3D 스캐닝 데이터와 BIM 모델 데이터를 통합하여 통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통합 데이터를 분석하여 3D 스캐닝 데이터와 BIM 모델 데이터간의 오차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하고, 추출된 오차 데이터에 기초하여 3D 스캐닝 데이터 기반의 BIM 모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integrated error management method of a work error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3D scanning data of a structure photographed from 3D scanning at a construction step or a maintenance step of a structure,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Reading the BIM model of th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3D scanning data from the database storing the model data, setting the reference points of the 3D scanning data and the BIM model data by simultaneously viewing the 3D scanning data and the BIM model data And combining the 3D scanning data and the BIM model data based on the matched view point to generate integrated data, and analyzing the integrated data to generate 3D scanning data and BIM model data And extracts the error data , Based on the extracted error data includes the step of generating a BIM data model of the 3D scanned data base.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공 전 단계의 BIM 모델과 시공 단계 또는 유지관리 단계에서의 실제 구조물의 3D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와의 차이점을 자동으로 도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derive a difference between the BIM model at the pre-construction stage and the 3D point cloud data of the actual structure at the construction or maintenance stage.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공 오차 등의 시공 결과를 기존의 BIM 모델에 반영함으로써 시공 과정 중에서 현장에서 작성된 샵드로잉 또는 각종 설계 변경등으로 인한 변경사항이 누락되거나 정확하게 업데이트되지 않는 오류들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result such as a construction error is reflected in the existing BIM model, so that the changes due to the shop drawing or various design changes made on site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are omitted or not updated accurately Errors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제 구조물의 상황과 BIM 모델을 일치함에 따라 준공 후 유지 관리 등의 업무 진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연, 의사결정 오류 등을 방지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ituation of the actual structure is matched with the BIM model, it is possible to prevent delays and decision error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maintenance such as maintenance after completion, Time can be shortened.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의 시공 오차 통합 관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3D 스캐닝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과 스캐닝 데이터에 색상을 맵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3D 스캐닝 데이터와 BIM 모델의 뷰 포인트를 일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데이터에서 오차 데이터를 나타내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BIM 모델을 수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construction error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integrating a work error of a work error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llecting 3D scanning data of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ocess of mapping colors to scanning data.
FIGS.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atching the 3D scanning data and the view point of the BIM model.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presenting error data in integrated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odifying a BIM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terfa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providing data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the case of publicly known technologie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에서는 도 1을 이용하여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struction error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construction error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3D 스캐닝 데이터부(110), BIM 열람부(120), 뷰 포인트 일치부(130), 통합 데이터 생성부(140), 시공 오차 측정부(150) 그리고 인터페이스부(160)를 포함한다. 1, the construction error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includes a 3D scanning data unit 110, a BIM browsing unit 120, a viewpoint matching unit 130, an integrated data generating unit 140, Unit 150 and an interface unit 160.

먼저 3D 스캐닝 데이터부(110)는 구조물의 시공 단계 또는 유지 관리 단계에서 3D 스캐닝으로부터 촬영된 구조물의 3D 스캐닝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First, the 3D scanning data unit 110 receives the 3D scanning data of the structure photographed from the 3D scanning in the construction step or the maintenance step of the structure.

3D 스캐닝 데이터부(110)는 연동된 3D 스캐닝(미도시함) 또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함)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구조물의 3D 스캐닝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The 3D scanning data unit 110 may receive 3D scanning data of a structure through a network from an interlaced 3D scanning (not shown) or a database (not shown).

여기서, 유선 통신 네트워크, 근거리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 이들이 혼합된 네트워크 등 데이터를 전달하는 모든 형태의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ny type of communication network for communicating data, such as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a local or remot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mixed network thereof.

그리고 3D 스캐닝은 레이저 스캐너, 키넥트 센서, 뎁스 센서, 라이다 센서, 3D 스캐닝 카메라 등 촬영한 객체를 3D 스캐닝 데이터로 3D 공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장치 및 센서를 모두 포함한다.3D scanning includes both devices and sensors that can acquire 3D spatial information from 3D scanned data, such as laser scanners, Kinect sensors, depth sensors, Lidar sensors, and 3D scanning cameras.

다음으로 BIM 열람부(120)는 3D 스캐닝 데이터에 대응되는 시공 전 구조물의 BIM 모델 데이터를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열람할 수 있다. 여기서 BIM 모델 데이터는 시공 전에 구축된 데이터로 표준 파일 포맷인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s, *.ifc, *.ifcxml 등)의 BIM 모델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rvt 파일 포맷, *.pln 파일 포맷,  *.CATPart 파일 포맷으로 저장된 BIM 모델일 수 있다. Next, the BIM browsing unit 120 can browse the BIM model data of the pre-installation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3D scanning data from the interlocked database. Here, the BIM model data may be a BIM model of a standard file format IFC (Industry Foundation Classes, * .ifc, * .ifcxml, etc.) constructed before construction, but is not limited to .rvt file format, *. pln file format, or * .CATPart file format.

설명의 편의상 BIM 열람부(120)에서 열람하는 BIM 모델 데이터는 시공 전 구조물의 데이터로 지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현재 시점보다 이전 시점에 업데이트 된 BIM 모델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BIM model data read by the BIM browse unit 120 is designated by the data of the structure before the construc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pdated BIM model data may be displayed before the current time.

그리고 뷰 포인트 일치부(130)는 동일한 구조물의 3D 스캐닝 데이터와 BIM 모델 데이터를 동시에 열람하여 3D 스캐닝 데이터와 BIM 모델 데이터의 뷰 포인트를 일치시킨다. 뷰 포인트 일치부(130)는 각 3D 스캐닝 데이터와 BIM 모델 데이터의 기준점을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점에 기초하여 뷰 포인트를 일치시킬 수 있다. The viewpoint matching unit 130 simultaneously views the 3D scanning data and the BIM model data of the same structure to match the 3D scanning data and the viewpoints of the BIM model data. The viewpoint matching unit 130 can set the reference points of the 3D scanning data and the BIM model data and match the viewpoints based on the set reference points.

이때, 뷰 포인트 일치부(130)는 3D 스캐닝 데이터의 뷰 포인트를 기준으로 BIM 모델 데이터를 회전 변환하여 뷰 포인트를 일치시킬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황에 따라서 BIM 모델 데이터의 뷰 포인트를 기준으로 3D 스캐닝 데이터의 기준점을 회전 변환하여 뷰 포인트를 일치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viewpoint matching unit 130 can rotate the BIM model data based on the view point of the 3D scanning data to match the viewpoi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reference points of the 3D scanning data can be rotationally transformed to match the view points.

다음으로 통합 데이터 생성부 (140)는 일치시킨 뷰 포인트에 기초하여 3D 스캐닝 데이터와 BIM 모델 데이터를 통합하여 통합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통합 데이터는 3D 스캐닝 데이터와 BIM 모델 데이터를 결합한 것으로, 통합 데이터에서 각각 3D 스캐닝 데이터와 BIM 모델 데이터는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Next, the integrated data generation unit 140 integrates the 3D scanning data and the BIM model data based on the matched view point to generate integrated data. Here, the integrated data is a combination of the 3D scanning data and the BIM model data. In the integrated data, the 3D scanning data and the BIM model data can be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또한, 통합 데이터 생성부(140)는 3D 스캐닝 데이터와 BIM 모델 데이터를 통합하기 위해 정합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데이터 생성부(140)는 대용량 스캔데이터를 임의의 간격으로 줄여서 데이터를 가볍게 하는 기능, 점군 데이터를 박스형태로 선택하여 가시화 하거나 관리하는 기능, 점군데이터와 점군데이터를 활용한 스캔데이터 정합 기능, 스캐너 전용 타겟을 사용한 자동정합 기능, 점군데이터의 특성을 기반으로 자동정합 기능 그리고 최종 정합데이터를 통합하여 정제하는 작업등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data generation unit 140 may use a matching technique to integrate 3D scanning data and BIM model data. For example, the integrated data generating unit 140 may include a function of reducing data of a large-capacity scan data at an arbitrary interval, a function of selecting and displaying the point cloud data in a box form, a function of displaying and managing the point cloud data, Data matching function, automatic matching function using a scanner-dedicated target, automatic matching func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int cloud data, and refining the final matching data can be performed.

다음으로 시공 오차 측정부(150)는 통합 데이터를 분석하여 3D 스캐닝 데이터와 BIM 모델 데이터간의 오차 데이터를 추출한다. 시공 오차 측정부(150)는 통합 데이터의 각각의 영역마다 정합도를 판단하여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를 벗어난 정합도를 가지는 영역의 좌표를 포함하는 오차 데이터를 자동으로 도출할 수 있다.Next, the construction error measuring unit 150 analyzes the integrated data and extracts error data between the 3D scanning data and the BIM model data. The construction error measuring unit 150 may determine the matching degree for each area of the integrated data and automatically derive the error data including the coordinates of the area having the matching degree out of the set tolerance range.

또한, 시공 오차 측정부(150)는 오차 데이터에 기초하여 3D 스캐닝 데이터 기반의 BIM 모델을 업데이트 또는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error measuring unit 150 may update or generate the 3D scanning data based BIM model based on the error data.

이때, 시공 오차 측정부(150)는 스캐닝 데이터를 이용하여 2D 도면을 작성하는 기능, 스캐닝 데이터 상의 점과 점을 이어 메쉬를 생성하는 기능, 스캐닝 데이터 기반으로 3차원 배관, 철골, 구 등의 형상 모델링을 구현하는 기능, 카달로그 기준의 배관 컴포넌트를 자동 입력하는 기능, 3D 설계 모델에서 2D 도면을 제작하는 기능, 스캐닝 데이터 기반으로 배관을 자동으로 추출해서 모델을 생성하는 기능, 다양한 스캐닝 데이터 포멧을 불러 오거나 추출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struction error measuring unit 150 has a function of creating a 2D drawing using the scanning data, a function of generating a mesh following the points on the scanning data, a shape of a three-dimensional piping, a steel frame, The function of implementing modeling, the automatic input of pipeline components based on the catalog, the function of creating 2D drawings in 3D design model, the function of automatically extracting pipelines based on scanning data to create models, and various scanning data formats And the like can be performed.

다음으로 인터페이스부(160)는 3차원 가상 공간에 3D 스캐닝 데이터, BIM 모델 데이터 그리고 통합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시각화하고, 화면 영역을 도킹 패널로 구성하여 트리 위계 정보 또는 개체 속성 정보를 표시한다. Next, the interface unit 160 visualizes at least one of the 3D scanning data, the BIM model data, and the integrated data in the 3D virtual space, and displays the tree hierarchy information or the object attribute information by configuring the screen area as a docking panel.

그리고 인터페이스부(16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도킹 패널을 재배치하거나 숨길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60 may rearrange or hide the docking panel according to a user's input.

한편,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서버, 단말, 또는 이들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Meanwhile, the construction error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may be a server, a terminal, or a combination thereof.

단말은 각각 메모리(memory), 프로세서(processor)를 구비함으로써 연산 처리 능력을 갖춘 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폰, 스마트 기기, 태블릿(tablet) 등이 있다.A terminal collectively refers to a device having a memory and a processor and having an arithmetic processing capability. For example, a personal computer, a handheld comput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mobile phone, a smart device, a tablet, and the like.

서버는 복수개의 모듈(module)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그리고 메모리에 연결되어 있고 복수개의 모듈에 반응하며,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 또는 서비스 정보를 제어하는 액션(action)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통신 수단, 그리고 UI(user interface) 표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includes a memory storing a plurality of modules, a processor connected to the memory and responsive to the plurality of modules, for processing action information for controlling service information or servic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terminal, Means, and UI (user interface) display means.

메모리는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기타 비휘발성 고체 상태 메모리 장치(non-volatile solid-state memory device)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 등 다양한 종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A memory is a device for storing information and i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a magnetic disk storage device, a flash memory device, or other non-volatile solid-state memory device. Volatile memory, and the like.

통신 수단은 단말과 서비스 정보 또는 액션 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한다.The communication means transmits and receives service information or ac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to the terminal.

UI 표시 수단은 장치의 서비스 정보 또는 액션 정보를 실시간으로 출력한다. UI 표시 수단은 UI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출력하거나 표시하는 독립된 장치일 수도 있으며, 또는 장치의 일부분일 수도 있다.The UI display means outputs service information or ac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in real time. The UI display means may be an independent device that outputs or displays the UI directly or indirectly, or it may be a part of the device.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을 이용하여 3D 스캐닝과 BIM을 이용하는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의 시공 오차를 추출하고 3D 스캐닝 기반의 BIM 모델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extracting a construction error of a construction error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using 3D scanning and BIM and generating a 3D scanning-based BIM mode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to FIG.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의 시공 오차 통합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aging an integration error of a work error of a work error integration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구조물의 3D 스캐닝 데이터를 입력받는다(S210).As shown in FIG. 2, the construction error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receives 3D scanning data of the structure (S210).

여기서, 구조물의 3D 스캐닝 데이터는 시공 단계 또는 완공 후 유지 관리 단계에서 취득되는 것으로, 스캔 대상의 구조물의 내부 외부 등 다각도로 촬영한 3D 스캔 데이터를 나타낸다. Here, the 3D scanning data of the structure is obtained in the construction step or the post-completion maintenance step, and represents 3D scan data photographed in various angles, such as inside and outside of the structure to be scanned.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3D 스캐닝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과 스캐닝 데이터에 색상을 맵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S. 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llecting 3D scanning data of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ocess of mapping colors to scanning data.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캔 대상의 구조물에 대해서 복수의 각도로 3D 스캐닝을 통해 촬영된다. As shown in Fig. 3, the structure to be scanned is photographed through 3D scanning at a plurality of angles.

도 3의 (b)는 (a)의 내부 또는 외부에 표시된 어느 한 지점에서 3D 스캔닝을 통해 3D 스캔닝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FIG. 3 (b) shows how 3D scanning data is generated through 3D scanning at a point indicated inside or outside of (a).

이와 같은 광대역 스캔 작업 공정은 크게 작업계획의 수립, 현장조사, 3D스캐닝 데이터 후처리 단계로 이루어진다.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현장조사를 통해 획득한 3D 스캐닝 데이터를 단계별 후처리를 거치고, 기준점 데이터 입력을 통해 위치정보를 부여하며, 실제 컬러를 3D 스캐닝 데이터에 맵핑할 수 있다. Such a broadband scanning work process largely consists of work plan establishment, field survey, and 3D scanning data post-processing. The integration error management apparatus 100 can process the 3D scanning data obtained through the field survey step by step, perform positional data input through reference point data input, and map the actual color to the 3D scanning data.

도 4의 (a)는 3D 스캐닝 데이터로부터 도출된 3D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의 정합 과정과 이미지 매핑을 수행한 화면이고 도 4의 (b)는 정합 또는 색상을 매핑한 3차원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와 실제 현장 사진과의 비교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4A is a view showing the mapping process of the 3D point cloud data derived from the 3D scanning data and the image mapping, FIG. 4B is a view showing the 3D point cloud data obtained by mapping or color mapping, And FIG.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스캔 작업 공정을 통해 실제 현장 사진과 가장 근접하고 현실적인 3D 스캐닝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construction error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can acquire realistic 3D scanning data closest to actual scene photographs through a scanning operation process.

이때,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가 3D 스캐닝 데이터의 후처리, 위치 정보 부여 그리고 컬러를 매핑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상황에 따라서 연동되는 3D 스캐닝 또는 다른 기기로부터 후처리, 위치 정보 부여 그리고 컬러를 매핑하는 과정이 수행된 3D 스캐닝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In this case, it is described that the construction error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performs post-processing of 3D scanning data, location information assignment, and color mapping, but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3D scanning or post- And 3D scanning data in which the color mapping process is performed can be received.

다음으로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구조물의 BIM 모델을 열람한다(S220).Next, the construction error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reads the BIM model of the structure (S220).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BIM 모델을 입력받아 열람하거나 입력받은 3D 스캐닝 데이터의 구조물 ID, 위치 정보, 기본 정보, 관련 정보 등을 기준으로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BIM 모델을 검색하여 열람할 수 있다. The construction error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searches the BIM model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on the basis of the structure ID, location information, basic information, and related information of the 3D scanning data received or inputted by receiving the BIM model directly from the user, can do.

그리고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3D 스캐닝 데이터와 BIM 모델 데이터의 뷰 포인트를 일치시킨다(S230).Then, the construction error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coincides the view point of the 3D scanning data and the BIM model data (S230).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를 이용하여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가 3D 스캐닝 데이터와 BIM 모델 데이터의 뷰 포인트를 일치시키는 과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matching the 3D scanning data with the view point of the BIM model dat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IG.

도 5와 도 6은 3D 스캐닝 데이터와 BIM 모델의 뷰 포인트를 일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S.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atching the 3D scanning data and the view point of the BIM model.

도 5의 (a)는 3D 스캐닝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구조물 영상이고 (b)는 동일한 구조물의 BIM 모델 데이터를 나타낸다. 5 (a) is a structure image extracted from 3D scanning data, and FIG. 5 (b) shows BIM model data of the same structure.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기준점을 설정하고 각각의 기준점을 기초하여 뷰 포인트를 일치시킨다. As shown in Fig. 5, the work error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sets a reference point and coincides the view points based on the respective reference points.

보다 자세하게는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3D 스캐닝 데이터에서 복수의 스캐닝 기준점을 추출한다. 그리고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BIM 모델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BIM 기준점을 추출하는데, 추출되는 BIM 기준점은 스캐닝 기준점과 각 대응되는 지점이다. More specifically, the construction error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extracts a plurality of scanning reference points from the 3D scanning data. Then, the construction error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extracts a plurality of BIM reference points from the BIM model data, and the extracted BIM reference points correspond to the scanning reference points.

예를 들어, 도 6의 (a)와 같이 Dataset A에서 세개의 기준점이 추출되고 Dataset B에서 세개의 기준점이 추출되는 경우, Dataset A의 빨간색 기준점은 Dataset B의 빨간색 기준점에 대응되도록 추출된다. For example, when three reference points are extracted from Dataset A and three reference points are extracted from Dataset A as shown in FIG. 6A, the red reference point of Dataset A is extract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d reference point of Dataset B.

각 기준점이 추출되면,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Dataset A의 기준점들을 Dataset B의 기준점들과 맞추도록 최적의 회전 및 변형을 연산할 수 있다. When each reference point is extracted, the integrated error handling managing apparatus 100 can calculate optimal rotation and deformation to match the reference points of Dataset A with the dataset B reference points.

먼저,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Dataset A와 Dataset B의 추출된 기준점들의 중심을 찾는다.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각 기준점의 위치의 평균 수치를 연산하여 Dataset A와 Dataset B의 중심점을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Dataset A와 Dataset B의 중심을 각각 원점으로 가져와서 최적의 회전값을 연산하기 위해 행렬 R을 찾아 변형값 t를 구할 수 있다. First, the construction error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searches for the center of the extracted reference points of Dataset A and Dataset B. The integrated construction error managing apparatus 100 can calculate the center value of Dataset A and Dataset B by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of the position of each reference point. Then, the integrated construction error managing apparatus 100 can obtain the deformation value t by retrieving the matrix R to calculate the optimum rotation value by taking the centers of Dataset A and Dataset B as the origin respectively.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Dataset A와 Dataset B의 중심점을 원점으로 가져와서 중심을 일치시키면, 변형 요소가 제거되고 처리할 요소가 회전 결과에 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b), when the center of each Dataset A and Dataset B is brought to the origin and the centers are matched, it is confirmed that the deformation element is removed and the element to be processed remains in the rotation result.

그러면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최적의 회전값을 Dataset A에 적용함으로써, Dataset A와 Dataset B의 기준점을 일치시켜 최종적으로 뷰 포인트를 일치시킬 수 있다. Then, the construction error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can apply the optimum rotation value to Dataset A, thereby matching the dataset A and dataset B reference points, and ultimately matching the viewpoints.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3D 스캐닝 데이터와 BIM 모델 데이터의 뷰 포인트를 일치시킬 수 있다. Through such a process, the integrated construction error managing apparatus 100 can match the view points of the 3D scanning data and the BIM model data.

다음으로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뷰 포인트에 기초하여 3D 스캐닝 데이터와 BIM 모델 데이터를 통합하여 통합 데이터를 생성한다(S240).Next, the construction error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integrates the 3D scanning data and the BIM model data based on the view point to generate integrated data (S240).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뷰 포인트에 기초하여 3D 스캐닝 데이터와 BIM 모델 데이터를 3D 형상으로 통합할 수 있다. The construction error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can integrate the 3D scanning data and the BIM model data into a 3D shape based on the view point.

한편,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통합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별도로 BIM 모델 데이터들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struction error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may separately store information of BIM model data to generate integrated data.

예를 들어,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IFC 파일의 BIM 모델 데이터인 경우, 데이터 통합 처리를 위해 IFC 파일에서 파싱된 데이터를 모두 IFC 파서에 입력하고, IFC 파일에서 처리되는 IFC Data 는 IfcData DB에 입력하며, IfcData DB의 형상 정보를 기반으로 3D viewer에서 해당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IfcData DB는 객체 uid 및 기본 정보를 포함하는 트리구조, 객체의 형상 정보, 속성 퀄릭티, 머터리얼, 오너, 타입 정보등을 포함하는 ifc 분석 자료 구조, 파일 정도 및 행번호, 엔티티명, 데이터를 포함하는 ifc 파일 자료 구조로 나누어 저장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BIM model data of the IFC file, the construction error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inputs all the data parsed in the IFC file to the IFC parser for data integration processing, and the IFC data processed in the IFC file is expressed as IfcData DB, and the corresponding model can be created in the 3D viewer based on the shape information of the IfcData DB. At this time, the IfcData DB includes an ifc analysis data structure including a tree structure including an object uid and basic information, an object shape information, an attribute quality, a material, an owner, and type information, a file precision and row number, It can be divided into an ifc file data structure containing the data.

따라서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IFC 포멧의 BIM 모델과 3D 스캐닝 데이터로부터 도출되는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의 파싱과 3D 계산과 같은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Therefore, the integrated error handling management apparatus 100 can perform functions such as parsing of the point cloud data derived from the BIM model of the IFC format and 3D scanning data, and 3D calculation.

다음으로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3D 스캐닝 데이터와 BIM 모델 데이터간의 오차 데이터를 추출하여 3D 스캐닝 데이터 기반의 BIM 모델 데이터를 생성한다(S250).Next, the integrated construction error management apparatus 100 extracts error data between the 3D scanning data and the BIM model data to generate BIM model data based on the 3D scanning data (S250).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에 기초하여, 통합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영역의 정합도가 허용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영역의 좌표를 포함하는 오차 데이터를 자동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정합도는 3D 스캐닝 데이터와 BIM 모델 데이터간 일치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를 나타낸다. When the degree of matching of each area included in the integrated data is out of the tolerance range, the work error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can automatically derive the error data including the coordinates of the corresponding area based on the set tolerance range . Here, the matching degree represents an index indicating the degree of coincidence between the 3D scanning data and the BIM model data.

그리고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오차 데이터가 도출되면, 오차 데이터의 좌표를 포함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3D 스캐닝 데이터의 스캐닝 객체와 스캐닝 영역 정보 그리고 BIM 모델 데이터의 BIM 객체와 BIM 영역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오차 데이터의 좌표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영역만큼의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Then, when the error data is derived, the integration error management apparatus 100 extracts the scanning object and the scanning area information of the 3D scann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area including the coordinates of the error data, and the BIM object and the BIM area information of the BIM model data can do. At this time, the construction error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can select an area corresponding to a preset area centering on the coordinates of the error data.

다시 말해,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오차 데이터에서 나타내는 좌표보다 더 큰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construction error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can select an area larger than the coordinate indicated by the error data.

그리고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스캐닝 객체와 스캐닝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BIM 객체와 BIM 영역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3D 스캐닝 데이터 기반의 BIM 모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The workspace error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update the BIM object and the BIM area information based on the scanning object and the scanning area information to generate BIM model data based on the 3D scanning data.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이용하여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가 통합 데이터를 선택하고 오차 데이터를 도출하여 BIM 모델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integrated data and deriving the error data and updating the BIM model dat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데이터에서 오차 데이터를 나타내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BIM 모델을 수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representing error data in integrated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odifying a BIM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BIM 모델 데이터(a)와 3D 스캐닝 데이터(b)의 일치시킨 뷰 포인트에 기초하여 통합 데이터(c)를 생성하면,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통합 데이터(c)의 가 영역마다 정합도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각 정합도가 미리 설정된 오차 허용 범위를 벗어난 좌표를 포함하는 영역을 (d)와 같이 자동 도출하여 통합 데이터 또는 BIM 모델 데이터 또는 3D 스캐닝 데이터에 별도로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when the integrated error c managing apparatus 100 generates the integrated data c based on the view point of the BIM model data a and the 3D scanning data b, The management apparatus 100 can determine the degree of matching for each region of the integrated data (c).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integrated construction error managing apparatus 100 automatically derives an area including the coordinates whose degrees of matching are out of the error tolerance range as shown in (d), and separately displays the integrated data, the BIM model data, or the 3D scanning data .

한편, 도 8은 시공 단계에서 도면이 변경된 상황에서 본 발명의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를 통해 BIM 모델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Meanwhile, FIG. 8 shows a process of updating the BIM model data through the construction error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rawing is changed in the construction step.

도 8의 (a)는 변경된 설계 도면을 예시한 것으로 2D 도면으로 표시된 구조도 이며, 2단의 증충된 구형 형태의 돌출 부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동일한 구조물의 기존 BIM 모델 데이터는 도 8의 (b)와 같이 1단의 직선 돌출 부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FIG. 8A is a structural view illustrating a modified design drawing and is shown in a 2D drawing, and it can be seen that the protruding portion has a two-step deformed spherical shape.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the existing BIM model data of the same structure has a straight protruding portion of one stage as shown in FIG. 8 (b).

이에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a)의 정보를 수신하여 기존의 BIM 모델 데이터(b)와 통합 데이터를 생성하고, 오차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오차 데이터를 BIM 모델 데이터에 적용하여 도 8의 (c)와 같은 BIM 모델 데이터로 업데이트 또는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nstruction error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receives the information of (a), generates the existing BIM model data (b) and the integrated data, extracts the error data, and applies the extracted error data to the BIM model data 8 (c). ≪ / RTI >

도 8의 (d)는 상이한 시점에서의 업데이트된 BIM 모델 데이터로, (a)의 우측 도면에서 보여지는 구조 바닥의 레벨 차이로 구조 보와 구조 바닥 사이의 공백이 그대로 BIM 모델 데이터에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Fig. 8 (d) shows that the updated BIM model data at different points in time show that the gap between the structure beam and the structure bottom is shown in the BIM model data as it is due to the level difference of the structure bottom shown in the right drawing of (a) .

한편,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3차원 가상 공간을 생성하여 3D 스캐닝 데이터, BIM 모델 데이터 그리고 통합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시각화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 영역은 도킹 패널로 구분되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도킹 패널을 재배치하거나 숨겨진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struction error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can generate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to visualize at least one of 3D scanning data, BIM model data, and integrated data. At this time, the screen area provided to the user is divided into docking panels, so that the docking panel can be rearranged or a hidden screen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a user's input.

이하에서는 도 9와 도 10을 이용하여 이러한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interface unit of the integrated work error integra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9 and FIG.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terfa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providing data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의 (a)를 보면,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뷰어 기능의 최적화된 UI 컨셉을 차용하여 크게 메뉴 영역(610), 시각화 영역(230) 그리고 트리 및 속성 영역(620)으로 레이아웃을 구분하였다. 9 (a), the integrated error managing apparatus 100 of FIG. 9 borrows an optimized UI concept of a viewer function and largely carries out a layout in a menu area 610, a visualization area 230 and a tree and attribute area 620 Respectively.

그리고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변환 및 시각화에 필요한 기능들을 선별하여 독립된 함수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구성된 함수는 유기적으로 조합되고 함수간의 정보 전달이 용이한 인터페이스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The work error integra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select functions necessary for conversion and visualization and configure them as independent functions. At this time, the configured functions can organically combine and provide an interface method that facilitates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functions.

보다 자세하게는 도 9의 (a)의 (610)에는 메뉴를 제공하는 영역으로 3D 스캐닝 데이터 또는 BIM 모델 데이터 또는 통합 데이터를 열고, 시각화 영역(230)에 표시하고 시각화 영역(230)에 표시된 구조물에 대한 프로젝트 정보, 체계, 속성 값들을 트리 및 속성 영역(620)애 표시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3D scanning data, the BIM model data, or the integrated data is opened in the area (610) of FIG. 9A as a menu providing area, displayed in the visualization area 230 and displayed in the visualization area 230 The project information, the system, and the attribute values for the corresponding object in the tree and attribute area 620.

그리고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3D 스캐닝 데이터, BIM 모델 데이터 그리고 통합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각 모델의 시점 방향에 따라 3차원 데이터를 시각화할 수 있다. The work error management apparatus 100 can visualize three-dimensional data in at least one of 3D scanning data, BIM model data, and integrated data select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view direction of each model.

그리고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데이터의 모든 선 또는 정보를 표시하거나 객체 간의 확인이 유용하도록 투명화 설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투명화 설정은 육안으로 쉽게 객체 간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정합성 검토시에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9 (b), it is possible to display all lines or information of each data or to provide a transparency setting so that confirmation between objects is useful. Such a transparency setting can be usefully used for consistency checking so that objects can be visually checked easily with the naked eye.

그리고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객체 면을 선의 형태로 보여주는 와이어 프레임(Wireframe) 또는 객체의 면을 음영의 형태로 보여주는 쉐이드(shade) 모드의 뷰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The integrated work error managing apparatus 100 may provide a wireframe for displaying the object plane in a line form or a view mode for a shade mode for displaying the object plane in a shaded form.

이뿐 아니라,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두 지점을 입력받으면, 해당 지점 사이의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nstruction error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receives two points from the user, it can calcu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points.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도 10의 (a)와 같이 3D 데이터를 표시한 시각화 영역에서 측정하기 원하는 적어도 두 지점을 입력받으면, 도 10의 (b)와 같이, mm 단위로 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100)는 대각에 위치한 두 지점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경우, 삼각형 형태로 수직 및 수평의 거리를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다. 10 (a), when the at least two points desired to be measured are input in the visualization area in which the 3D data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10 (a), the construction error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provides a distance in units of mm can do. When the distance between two points located at diagonals is measured, the integrated error managing apparatus 100 can automatically calculate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stances in the form of a triangle.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여기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가 포함된다.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media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s, and ROMs,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the same program instructions. Here, the medium may be a transmission medium such as an optical or metal line, a wave guide, or the like, including a carrier wave for transmitting a signal designating a program command, a data structure,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 110: 3D 스캐닝 데이터부
120: BIM 열람부 130: 뷰 포인트 일치부
140: 통합 데이터 생성부 150: 시공 오차 측정부
100: Construction Error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10: 3D Scanning Data Section
120: BIM viewing unit 130: Viewpoint matching unit
140: Integrated data generation unit 150: Construction error measurement unit

Claims (10)

구조물의 시공 단계 또는 유지 관리 단계에서 3D 스캐닝으로부터 촬영된 상기 구조물의 3D 스캐닝 데이터를 입력받는 3D 스캐닝 데이터부,
시공 전 구조물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모델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3D 스캐닝 데이터에 대응되는 상기 구조물의 BIM 모델을 열람하는 BIM 열람부,
상기 3D 스캐닝 데이터와 상기 BIM 모델 데이터를 동시에 열람하여 상기 3D 스캐닝 데이터와 상기 BIM 모델 데이터의 뷰 포인트를 일치시키는 뷰 포인트 일치부,
일치시킨 상기 뷰 포인트에 기초하여 상기 3D 스캐닝 데이터와 상기 BIM 모델 데이터를 통합하여 통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통합 데이터 생성부, 그리고
상기 통합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3D 스캐닝 데이터와 상기 BIM 모델 데이터간의 오차 데이터를 추출하는 시공 오차 측정부
를 포함하는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
A 3D scanning data part for receiving 3D scanning data of the structure photographed from the 3D scanning in the construction step or the maintenance step of the structure,
A BIM viewing unit for reading a BIM model of th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3D scanning data from a database stor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model data of a structure before construction,
A view point unit for simultaneously viewing the 3D scanning data and the BIM model data to match the 3D scanning data with the view point of the BIM model data,
An integrated data generation unit for integrating the 3D scanning data and the BIM model data based on the matched view point to generate integrated data,
A construction error measuring unit for analyzing the integrated data and extracting error data between the 3D scanning data and the BIM model data;
The integrated error of the construction errors.
제1항에서,
상기 뷰 포인트 일치부는,
상기 3D 스캐닝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스캐닝 기준점을 추출하고, 상기 BIM 모델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BIM 기준점을 추출하여, 상기 복수의 스캐닝 기준점의 중심과 상기 복수의 BIM 기준점의 중심을 하나의 원점에 배치하고,
하나의 상기 스캐닝 기준점과 대응되는 상기 BIM 기준점간의 회전값을 도출하여 상기 회전값을 상기 BIM 모델 데이터에 적용하는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viewpoint matching unit includes:
Extracting a plurality of scanning reference points from the 3D scanning data, extracting a plurality of BIM reference points from the BIM model data, arranging the centers of the plurality of scanning reference points and the centers of the plurality of BIM reference points at one origin,
Deriving a rotation value between the BIM reference points corresponding to one scanning reference point and applying the rotation value to the BIM model data.
제2항에서,
상기 시공 오차 측정부는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통합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영역의 정합도가 상기 허용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영역의 좌표를 포함하는 오차 데이터를 자동 도출하는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struction error measuring unit
And automatically derives error data including the coordinates of the area when the degree of matching of each area included in the integrated data is out of the tolerance range based on the set tolerance range.
제3항에서,
상기 시공 오차 측정부는
상기 오차 데이터가 도출되면, 상기 오차 데이터의 좌표를 포함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3D 스캐닝 데이터의 스캐닝 객체와 스캐닝 영역 정보 그리고 BIM 모델 데이터의 BIM 객체와 BIM 영역 정보를 추출하는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struction error measuring unit
And extracting the scanning object and the scanning area information of the 3D scann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area including the coordinates of the error data, and the BIM object and the BIM area information of the BIM model data when the error data is derived.
제4항에서,
상기 시공 오차 측정부는,
상기 스캐닝 객체와 스캐닝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BIM 객체와 BIM 영역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상기 3D 스캐닝 데이터 기반의 BIM 모델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struction error measuring unit comprises:
Wherein the BIM object and the BIM area information are updated based on the scanning object and the scanning area information to generate the BIM model data based on the 3D scanning data.
제5항에서,
상기 통합 데이터 생성부는
사용자로부터 두 지점을 입력받으면, 상기 두 지점의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여 상기 통합 데이터에 표시하며, 대각에 위치하는 두 지점인 경우, 삼각형의 형태로 수직 및 수평의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통합 데이터에 표시하는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integrated data generation unit
When two points are received from the user,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points is calculated and displayed on the integrated data. In the case of two points located at diagonals,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stances are calculated in the form of a triangle, Integrated error control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제1항에서,
상기 3D 스캐닝 데이터, 상기 BIM 모델 데이터 그리고 상기 통합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시각화하여 3차원 가상 공간에 표시하고, 상기 3D 스캐닝 데이터, 상기 BIM 모델 데이터 그리고 상기 통합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트리 위계 정보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의 속성 정보를 도킹 패널로 구성된 화면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도킹 패널을 재배치하거나 숨기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Visualizing at least one of the 3D scanning data, the BIM model data, and the integrated data and displaying the 3D scanning data, the BIM model data, and the integrated data on at least one of the 3D scanning data, the BIM model data, Displays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object in a screen area composed of a docking panel,
And an interface unit for rearranging or hiding the docking panel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제1항에서,
3D 스캐닝 데이터부는,
상기 3D 스캐닝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기준점 데이터의 입력을 통해 위치 정보를 부여하고, 상기 구조물의 실제 컬러를 맵핑하는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3D scanning data section,
And receiving the 3D scanning data and inputting the reference point data, and assigning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mapping the actual color of the structure.
구조물의 시공 단계 또는 유지 관리 단계에서 3D 스캐닝으로부터 촬영된 상기 구조물의 3D 스캐닝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시공 전 구조물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모델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3D 스캐닝 데이터에 대응되는 상기 구조물의 BIM 모델을 열람하는 단계,
상기 3D 스캐닝 데이터와 상기 BIM 모델 데이터를 동시에 열람하여 상기 3D 스캐닝 데이터와 상기 BIM 모델 데이터의 기준점을 설정하고 상기 기준점에 기초하여 뷰 포인트를 일치시키는 단계,
일치시킨 상기 뷰 포인트에 기초하여 상기 3D 스캐닝 데이터와 상기 BIM 모델 데이터를 통합하여 통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통합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3D 스캐닝 데이터와 상기 BIM 모델 데이터간의 오차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오차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3D 스캐닝 데이터 기반의 BIM 모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의 시공 오차 통합 관리 방법.
Receiving 3D scanning data of the structure photographed from 3D scanning in a construction step or a maintenance step of the structure,
Reading a BIM model of th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3D scanning data from a database stor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model data of a structure before construction,
Reading the 3D scanning data and the BIM model data at the same time to set reference points of the 3D scanning data and the BIM model data and matching the view points based on the reference point,
Integrating the 3D scanning data and the BIM model data based on the matched view point to generate integrated data; and
Extracting error data between the 3D scanning data and the BIM model data by analyzing the integrated data, and generating BIM model data based on the 3D scanning data based on the extracted error data
And a method for managing integrated errors of a construction error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IM 모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통합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영역의 정합도가 상기 허용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영역의 좌표를 포함하는 상기 오차 데이터를 자동 도출하는 단계,
상기 오차 데이터의 좌표를 포함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3D 스캐닝 데이터의 스캐닝 객체와 스캐닝 영역 정보 그리고 BIM 모델 데이터의 BIM 객체와 BIM 영역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스캐닝 객체와 스캐닝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BIM 객체와 BIM 영역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상기 3D 스캐닝 데이터 기반의 BIM 모델 데이터를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의 시공 오차 통합 관리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tep of generating the BIM model data includes:
Automatically deriving the error data including the coordinates of the area when the degree of matching of each area included in the integrated data is out of the tolerance range based on the set tolerance range,
Extracting a scanning object and scanning area information of 3D scanning data corresponding to an area including the coordinates of the error data and a BIM object and BIM area information of BIM model data;
And generating the 3D scanning data based BIM model data by updating the BIM object and the BIM area information based on the scanning object and the scanning area information.
KR1020180061895A 2017-05-30 2018-05-30 Apparatus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construction errors using 3d scanning with bim and method thereof KR2018013147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897 2017-05-30
KR20170066897 2017-05-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471A true KR20180131471A (en) 2018-12-10

Family

ID=64670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895A KR20180131471A (en) 2017-05-30 2018-05-30 Apparatus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construction errors using 3d scanning with bim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1471A (en)

Cited B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278B1 (en) * 2019-05-02 2019-11-11 (주)디노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plant construction
KR102037332B1 (en) * 2019-05-02 2019-11-26 (주)디노 Method for verifying 3D design drawings and system therefor
KR102037331B1 (en) * 2019-05-02 2019-11-26 (주)디노 System for detailedly supporting plant construction and method for verifying space matching
KR102067542B1 (en) * 2019-04-25 2020-01-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mart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2085541B1 (en) 2019-07-31 2020-03-06 주식회사 이수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lant synthetically utilizing plan information based on laser scan
KR20200031438A (en) * 2018-09-14 2020-03-2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nd utilizing Virtual Reality in nuclear power plants
CN111627099A (en) * 2019-02-27 2020-09-04 上海捷规建筑工程咨询有限公司 Steel structure non-contact actual measurement method and system based on three-dimensional scanning technology
KR102156142B1 (en) * 2019-03-27 2020-09-15 한국원자력연구원 Remote cutting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CN111709074A (en) * 2020-06-04 2020-09-25 深圳广田集团股份有限公司 Construction method for intelligently controlling large-space special-shaped curved surface based on BIM technology
KR102169652B1 (en) * 2019-12-27 2020-10-2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s-built 3d model of a nuclear power plant
CN112102493A (en) * 2020-09-01 2020-12-18 南京梅森自动化科技有限公司 3D scanning reverse modeling method based on point cloud data
CN112182694A (en) * 2020-09-03 2021-01-05 长江三峡勘测研究院有限公司(武汉) Grouting engineering overall process dynamic analysis method based on BIM system
CN112182718A (en) * 2020-10-10 2021-01-05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Component design method and device based on BIM and 3D technology and storage medium
KR102214204B1 (en) * 2019-12-26 2021-02-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Column element generating system for generating 3-dimensional (3d) model of the building using 3d scanning, and method for the same
US10943038B1 (en) 2019-10-07 2021-03-09 Procore Technologies, Inc. Dynamic adjustment of cross-sectional views
KR20210026374A (en) * 2019-08-30 2021-03-10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Assessment system for risk of building
CN112487522A (en) * 2020-11-05 2021-03-12 深圳市华阳国际工程设计股份有限公司 BIM model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10950046B1 (en) 2019-10-07 2021-03-16 Procore Technologies, Inc. Generating two-dimensional views with gridline information
KR102238911B1 (en) * 2020-04-23 2021-04-16 비아이밀리그램㈜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extracting and analysing construction status of building
CN112907511A (en) * 2021-01-15 2021-06-04 广州市新誉工程咨询有限公司 Comprehensive pipe rack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nder BIM technology
KR20210071151A (en) * 2019-12-05 2021-06-1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utomated bim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of railway bridge
KR102268060B1 (en) * 2020-09-23 2021-06-22 심미영 Phantom model of teeth set, method of evaluating scanning precision of scanner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evaluating 3D printing precision using the same
KR102269474B1 (en) 2020-11-27 2021-06-25 주식회사 무브먼츠 Method for extracting 2d drawing data of pipelines to generate 3d design data
CN113177240A (en) * 2021-04-08 2021-07-27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Curtain wall construction method based on BIM and point cloud technology
WO2021157464A1 (en) * 2020-02-04 2021-08-12 株式会社トプコン Data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program
CN113252015A (en) * 2021-05-10 2021-08-13 中建三局集团华南有限公司 Actual measurement real-size robot device based on point cloud and AI processing
KR102293526B1 (en) * 2021-03-31 2021-08-26 유씨아이테크 주식회사 Facility maintenance system using 3D scanning equipment, and method thereof
KR102293525B1 (en) * 2021-03-31 2021-08-26 유씨아이테크 주식회사 3D scanning equipment for structure maintenance
KR20210114198A (en) * 2020-03-10 2021-09-23 김덕호 Construction Error Management System and Construction Error Management Method
CN113642851A (en) * 2021-07-20 2021-11-12 中国路桥工程有限责任公司 BIM-based highway bridg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KR102336069B1 (en) * 2020-10-29 2021-12-08 주식회사 에이디 Device and method for architectural design cooperation
KR102353827B1 (en) 2020-11-23 2022-01-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ing rule-based Scan-to-BIM mapping pipeline structure
KR20220067857A (en) * 2020-11-18 2022-05-2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utomated bim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of railway tunnel
WO2022149071A1 (en) * 2021-01-05 2022-07-14 Ron Zass Capturing and analysis of construction site images
KR20220101786A (en) * 2021-01-12 2022-07-19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Engineering data syncronization system of plant major facility change information and method for syncronizing the same
KR102432164B1 (en) * 2021-06-23 2022-08-12 김형찬 System for providing construction site checking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checking and augmented reality form based on three dimentional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US11501040B2 (en) 2019-10-07 2022-11-15 Procore Technologies, Inc. Dynamic dimensioning indicators
KR20220168028A (en) * 2021-06-15 2022-12-22 주식회사 대성이엔씨 Apparatus, server, and method for supporting construction supervision, and a recording medium having computer readable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KR20220169826A (en) * 2021-06-21 2022-12-28 정재헌 Server, method and program for designing, constructing and supervising buildings
KR20220169824A (en) * 2021-06-21 2022-12-28 정재헌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assisting supevision based on XR
KR20230045745A (en) 2021-09-28 2023-04-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Smart Precise Construction Managing System using LiDAR Drone
KR20230055453A (en) * 2021-10-18 2023-04-2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inspecting construction site safety based on augmented reality
KR20230056192A (en) * 2021-10-20 2023-04-27 주식회사 큐에스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3D model of object in virtual space
KR102527539B1 (en) * 2022-10-11 2023-05-03 주식회사 흥화 Steel structure prefab digital assembly system and method
KR102640618B1 (en) 2023-02-14 2024-02-27 (주)원빔그룹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verifying construction error based on 3d scanner
KR20240026539A (en) 2022-08-22 2024-02-29 강민구 BIM data format conversion method and device
KR20240031687A (en) 2022-09-01 2024-03-08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optimized construction mark for remodeling construction and record media recorded program for realizing the same

Cited B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438A (en) * 2018-09-14 2020-03-2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nd utilizing Virtual Reality in nuclear power plants
CN111627099B (en) * 2019-02-27 2024-01-26 上海捷规建筑工程咨询有限公司 Steel structure non-contact actual measurement real quantity method and system based on three-dimensional scanning technology
CN111627099A (en) * 2019-02-27 2020-09-04 上海捷规建筑工程咨询有限公司 Steel structure non-contact actual measurement method and system based on three-dimensional scanning technology
KR102156142B1 (en) * 2019-03-27 2020-09-15 한국원자력연구원 Remote cutting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67542B1 (en) * 2019-04-25 2020-01-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mart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2037332B1 (en) * 2019-05-02 2019-11-26 (주)디노 Method for verifying 3D design drawings and system therefor
KR102037331B1 (en) * 2019-05-02 2019-11-26 (주)디노 System for detailedly supporting plant construction and method for verifying space matching
KR102043278B1 (en) * 2019-05-02 2019-11-11 (주)디노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plant construction
KR102085541B1 (en) 2019-07-31 2020-03-06 주식회사 이수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lant synthetically utilizing plan information based on laser scan
KR20210026374A (en) * 2019-08-30 2021-03-10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Assessment system for risk of building
US11699265B2 (en) 2019-10-07 2023-07-11 Procore Technologies, Inc. Generating two-dimensional views with gridline information
US10950046B1 (en) 2019-10-07 2021-03-16 Procore Technologies, Inc. Generating two-dimensional views with gridline information
US11914935B2 (en) 2019-10-07 2024-02-27 Procore Technologies, Inc. Dynamic adjustment of cross-sectional views
US11361509B2 (en) 2019-10-07 2022-06-14 Procore Technologies, Inc. Generating two-dimensional views with gridline information
US10943038B1 (en) 2019-10-07 2021-03-09 Procore Technologies, Inc. Dynamic adjustment of cross-sectional views
US11409929B2 (en) 2019-10-07 2022-08-09 Procore Technologies, Inc. Dynamic adjustment of cross-sectional views
US11501040B2 (en) 2019-10-07 2022-11-15 Procore Technologies, Inc. Dynamic dimensioning indicators
US11836422B2 (en) 2019-10-07 2023-12-05 Procore Technologies, Inc. Dynamic dimensioning indicators
WO2021071957A1 (en) * 2019-10-07 2021-04-15 Procore Technologies, Inc. Generating two-dimensional views with gridline information
KR20210071151A (en) * 2019-12-05 2021-06-1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utomated bim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of railway bridge
KR102214204B1 (en) * 2019-12-26 2021-02-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Column element generating system for generating 3-dimensional (3d) model of the building using 3d scanning, and method for the same
KR102169652B1 (en) * 2019-12-27 2020-10-2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s-built 3d model of a nuclear power plant
WO2021157464A1 (en) * 2020-02-04 2021-08-12 株式会社トプコン Data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program
JP2021124867A (en) * 2020-02-04 2021-08-30 株式会社トプコン Data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method, management program
KR20210114198A (en) * 2020-03-10 2021-09-23 김덕호 Construction Error Management System and Construction Error Management Method
KR102238911B1 (en) * 2020-04-23 2021-04-16 비아이밀리그램㈜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extracting and analysing construction status of building
CN111709074A (en) * 2020-06-04 2020-09-25 深圳广田集团股份有限公司 Construction method for intelligently controlling large-space special-shaped curved surface based on BIM technology
CN112102493B (en) * 2020-09-01 2024-03-08 南京梅森自动化科技有限公司 3D scanning reverse modeling method based on point cloud data
CN112102493A (en) * 2020-09-01 2020-12-18 南京梅森自动化科技有限公司 3D scanning reverse modeling method based on point cloud data
CN112182694A (en) * 2020-09-03 2021-01-05 长江三峡勘测研究院有限公司(武汉) Grouting engineering overall process dynamic analysis method based on BIM system
WO2022065719A1 (en) * 2020-09-23 2022-03-31 주식회사 오디에스 Dentition phantom model, method for evaluating scanning precision of scanner by using same, and method for evaluating 3d printing precision by using same
KR102268060B1 (en) * 2020-09-23 2021-06-22 심미영 Phantom model of teeth set, method of evaluating scanning precision of scanner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evaluating 3D printing precision using the same
CN112182718B (en) * 2020-10-10 2021-06-15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Component design method and device based on BIM and 3D technology and storage medium
CN112182718A (en) * 2020-10-10 2021-01-05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Component design method and device based on BIM and 3D technology and storage medium
KR102336069B1 (en) * 2020-10-29 2021-12-08 주식회사 에이디 Device and method for architectural design cooperation
CN112487522B (en) * 2020-11-05 2024-05-07 深圳市华阳国际工程设计股份有限公司 BIM model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12487522A (en) * 2020-11-05 2021-03-12 深圳市华阳国际工程设计股份有限公司 BIM model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20220067857A (en) * 2020-11-18 2022-05-2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utomated bim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of railway tunnel
KR102353827B1 (en) 2020-11-23 2022-01-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ing rule-based Scan-to-BIM mapping pipeline structure
KR102269474B1 (en) 2020-11-27 2021-06-25 주식회사 무브먼츠 Method for extracting 2d drawing data of pipelines to generate 3d design data
WO2022149071A1 (en) * 2021-01-05 2022-07-14 Ron Zass Capturing and analysis of construction site images
KR20220101786A (en) * 2021-01-12 2022-07-19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Engineering data syncronization system of plant major facility change information and method for syncronizing the same
CN112907511A (en) * 2021-01-15 2021-06-04 广州市新誉工程咨询有限公司 Comprehensive pipe rack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nder BIM technology
CN112907511B (en) * 2021-01-15 2024-01-23 广州市新誉工程咨询有限公司 Comprehensive pipe gallery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nder BIM technology
KR102293526B1 (en) * 2021-03-31 2021-08-26 유씨아이테크 주식회사 Facility maintenance system using 3D scanning equipment, and method thereof
KR102293525B1 (en) * 2021-03-31 2021-08-26 유씨아이테크 주식회사 3D scanning equipment for structure maintenance
CN113177240A (en) * 2021-04-08 2021-07-27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Curtain wall construction method based on BIM and point cloud technology
CN113177240B (en) * 2021-04-08 2023-08-08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Curtain wall construction method based on BIM and point cloud technology
CN113252015A (en) * 2021-05-10 2021-08-13 中建三局集团华南有限公司 Actual measurement real-size robot device based on point cloud and AI processing
KR20220168028A (en) * 2021-06-15 2022-12-22 주식회사 대성이엔씨 Apparatus, server, and method for supporting construction supervision, and a recording medium having computer readable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KR20220169826A (en) * 2021-06-21 2022-12-28 정재헌 Server, method and program for designing, constructing and supervising buildings
KR20220169824A (en) * 2021-06-21 2022-12-28 정재헌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assisting supevision based on XR
KR102432164B1 (en) * 2021-06-23 2022-08-12 김형찬 System for providing construction site checking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checking and augmented reality form based on three dimentional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CN113642851A (en) * 2021-07-20 2021-11-12 中国路桥工程有限责任公司 BIM-based highway bridg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KR20230045745A (en) 2021-09-28 2023-04-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Smart Precise Construction Managing System using LiDAR Drone
KR20230055453A (en) * 2021-10-18 2023-04-2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inspecting construction site safety based on augmented reality
KR20230056192A (en) * 2021-10-20 2023-04-27 주식회사 큐에스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3D model of object in virtual space
KR20240026539A (en) 2022-08-22 2024-02-29 강민구 BIM data format conversion method and device
KR20240031687A (en) 2022-09-01 2024-03-08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optimized construction mark for remodeling construction and record media recorded program for realizing the same
KR102527539B1 (en) * 2022-10-11 2023-05-03 주식회사 흥화 Steel structure prefab digital assembly system and method
KR102640618B1 (en) 2023-02-14 2024-02-27 (주)원빔그룹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verifying construction error based on 3d scan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1471A (en) Apparatus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construction errors using 3d scanning with bim and method thereof
Son et al. Automated schedule updates using as-built data and a 4D building information model
US20190236844A1 (en) Augmented reality system
US10699484B2 (en) Mixed-reality and CAD architectural design environment
CN101038679B (en) Method, apparatus, for processing geometric data, member catalog system
Kim et al. Interactive modeler for construction equipment oper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KR102037331B1 (en) System for detailedly supporting plant construction and method for verifying space matching
Zollmann et al. Interactive 4D overview and detail visualization in augmented reality
CN102156769A (en) Multi-dimensional artifact assemblage for infrastructure and other assets with interface node mediators
CN109522381B (en) Building hidden facility safety detection method based on 3DGIS + BIM
KR102037332B1 (en) Method for verifying 3D design drawings and system therefor
Vincke et al. Immersive visualisation of construction site point cloud data, meshes and BIM models in a VR environment using a gaming engine
Corneli et al. Augmented reality and deep learning towards the management of secondary building assets
KR20190140759A (en) Vitual Construction Simulation Method
TWM565860U (en) Smart civil engineering information system
CN112016903A (en) Three-dimensional assembly operation instruction data management platform and work flow thereof
KR20100005846A (en) The method and service system for reviewing design of shipbuilding and offshore plant
Bruno et al. VERBUM--VIRTUAL ENHANCED REALITY FOR BUILDING MODELLING (VIRTUAL TECHNICAL TOUR IN DIGITAL TWINS FOR BUILDING CONSERVATION).
JP6719368B2 (en) Three-dimensional space visualization device, three-dimensional space visualization method and program
Assila et al. Integration of augmented, virtual and mixed reality with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 systematic review
Ren et al. Architecture in an age of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and practices for mobile intelligence BIM-based AR in the entire lifecycle
Fassi et al. Complex architecture in 3D: from survey to web
US202201217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ly comparing geo-spatially aligned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time
CN112907732A (en) Three-dimensional modeling based cooperative work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equipment
KR101237434B1 (en) Realistic 3D Architecture Modeling Method using Survey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