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8371A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8371A
KR20180128371A KR1020180144463A KR20180144463A KR20180128371A KR 20180128371 A KR20180128371 A KR 20180128371A KR 1020180144463 A KR1020180144463 A KR 1020180144463A KR 20180144463 A KR20180144463 A KR 20180144463A KR 20180128371 A KR20180128371 A KR 20180128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wireless power
short
charging
rang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4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00958B1 (en
Inventor
이우람
김준일
장규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4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958B1/en
Publication of KR20180128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3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9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02J5/00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7/025
    • H04B5/003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device, which comprises: a contactles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a contactles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or wireless charging with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through a contactles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to perform a wireless charging authentication; a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supplied power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using a resonator resonating at the same resonance frequency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s the wireless charging authentication is performed; a charging control unit for performing the wireless charging using power received by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and at least one switch for performing switching, which performs any one of connection of the contactles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and the contactles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connection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and the charging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required connection terminals is reduced and a circuit configuration can be simplified by performing connection using a small number of connection terminals, such as a pair of connection terminals in case of using a method that a part of components for the wireless charging is physically divided to be connected by connection terminals.

Description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0002]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무선 전력 전송을 제어하는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hrough a contactles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IT기술 발전과 함께 다양한 휴대용 전자제품의 출시 및 보급이 늘어남에 따라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력 제공을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과거에는 전력선을 이용하여 전력을 제공받는 기술이 주로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 기술 (wireless power transmission)의 개발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nd the increasing availability and spread of various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a variety of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to provide electric power for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In particular, in the past, a technique of receiving power using a power line has been mainly used, but in recent years,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y capable of supplying power wirelessly has been actively developed.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전기에너지를 전자기파, 전자기 유도 또는 전자기 공진 형태로 전달하는 기술로 전선과 같은 전력선이 없이도 무선으로 언제 어디서나 전력 공급이 가능한 기술이다. 이러한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전자기기 무선충전, 전기자동차 무선전원공급 및 무선충전, 원격지 무선전력공급, 유비퀴터스 무선센서 전원공급 등을 위한 핵심 기술로서 기존의 전선을 통한 전원 공급 및 충전 방식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로 주목 받고 있다.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transfers electric energy in the form of electromagnetic wave, electromagnetic induction or electromagnetic resonance. It is a technology that can supply electric power anytime and anywhere wirelessly without power line such as electric wire. This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y is a core technology for wireless charging of electronic devices, wireless power supply for electric vehicles, wireless charging, remote wireless power supply, ubiquitous wireless sensor power supply, etc., and replaces power supply and charging method through existing wires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technology that can be done.

상기한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이 무선 충전 장치에 이용되는 경우를 일 예를 들면, 무선 충전 장치는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와, 전력을 수신하여 배터리에 전력을 충전시키는 무선 전력 수신기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충전 대기 상태에서 로드의 변화 값이나 공진 주파수의 변화 값을 측정하여 소스 공진부 위에 물체가 놓여지는지를 감지한다. 그리고 물체가 감지되면 전력 송신기는 충전에 필요한 전력을 전송하여 물체에 전력을 공급하고, 무선 충전을 위한 물체인지 다른 금속성 물체인지를 물체와 ID 교환과 같은 인증 과정을 통해 확인한다. 인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소스 공진부에 놓여진 물체를 무선 충전 가능한 충전기 즉, 무선 전력 수신기로 판단하여 전력 전송을 협상한다.협상이 완료되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충전을 위한 무선 전력 공급을 시작하게 되고, 이후, 무선 전력 송신기는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의 완충 여부를 확인하여, 완충이 되면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로의 전력 전송을 중단한다. In a case wher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ique described above is used in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exampl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ay comprise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supplying pow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for charging the battery with power hav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measures the change value of the load or the change of the resonance frequency in the wireless charging waiting state and detects whether the object is placed on the source resonance part. Then, when an object is detected, the power transmitter transmits electric power required for charging to supply electric power to the object, and confirms whether the object for wireless charging is another metallic object through an authentication process such as object and ID exchange. When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determines the object placed in the source resonance part as a wireless rechargeable charger, i.e., a wireless power receiver, to negotiate the power transmission.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hen checks whether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s buffered and stops transmitting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when the buffer is full.

상기한 바와 같은 무선 전력 송신기와 무선 전력 수신기는 통신을 통해 무선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데, 통신방식은 인 밴드 통신 방식(In-band communication) 또는 아웃 오브 밴드 통신 방식(Out of band communication)이 이용될 수 있다. 인 밴드 통신 방식은무선 전력 송신기와 무선 전력 수신기 간에 전력 공급 주파수 대역 및 통신 주파수 대역을 동일한 주파수 대역으로 이용하여 무선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방식이고, 아웃 오브 밴드 통신 방식은 무선 전력 공급 장치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 간에 전력 공급 주파수 대역 및 통신 주파수 대역을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이용하여 무선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방식이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perfor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through communication, and the communication method uses an in-band communication method or an out-of-band communication method . The in-band communication scheme is a scheme for perform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using a power supply frequency band and a communication frequency band as the same frequency band between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Out-of- And the power supply frequency band and the communication frequency band are used as different frequency bands among the power receiving devices to perform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이러한 무선 충전 장치는 최근 휴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적용되면서 구성요소가 차지하는 크기를 적게 하고, 그 성능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구성과 회로 배치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Such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has been recently applied to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es, and various components and circuit arrangements have been used in order to reduce the size of components and increase the performance thereof.

예를 들면 무선 충전 장치는 충전 패드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배터리 충전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고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 충전을 위한 구성요소가 차지하는 크기를 적게 하고, 그 성능을 높이기 위해 무선 충전을 위한 일부 구성요소는 휴대용 단말기 내부에 배치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는 외부에서 연결 단자를 통해 연결되도록 하는 방식을 채용하기도 한다.For example, a wireless charging device is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charging pad to perform battery charging, and the portable terminal is configured to reduce the size of components for wireless charging, Some of the components for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disposed inside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remaining components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예컨대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가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0은 휴대용 단말기 본체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20은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 배터리 커버를 나타낸다. 무선 충전 장치가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경우, 본체(10) 내부에 무선 충전을 위한 일부 구성요소(미도시)가 포함되고, 외부 배터리 커버(20)에 무선 충전을 위한 나머지 구성요소(22)가 배치될 수 있으며, 참조번호 11 및 21과 같은 무선 충전 연결 단자를 통해 본체(10)에 위치한 무선 충전 장치 구성요소와 배터리 커버(20)에 위치한 무선 충전 장치 구성 요소가 서로 연결되어 무선 충전 장치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FIG. 1 shows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a wireless charging device is applied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ferring to FIG. 1, 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 main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reference numeral 20 denotes an external battery cover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some components (not shown) for wireless charging are included in the main body 10 and the remaining components 22 for wireless charging are connected to the external battery cover 20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omponent located at the body 10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omponent located at the battery cover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wireless charging connection terminals such as 11 and 21, .

그런데 휴대 단말기에는 무선 충전을 위한 구성 요소들 외에도 다른 기능을 위한 구성 요소들이 본체(10) 내부와 배터리 커버(20)에 분리하여 배치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비접촉 근거리 통신을 위한 구성요소들(26)을 본체(10) 내부와 외부 배터리 커버(20)의 일부 영역에 분리하여 배치하고, 참조 번호 15 및 25와 같은 비접촉 근거리 통신을 위한 연결 단자를 통해 비접촉 근거리 통신을 위한 구성 요소들이 동작하도록 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for wireless charging, components for other functions may be separately disposed in the main body 10 and the battery cover 20 in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the components 26 for noncontact local area communication are separately arranged in the main body 10 and in a part of the outer battery cover 20, and connection terminals for noncontact local communication such as 15 and 25 There may be cases where components for non-contact short-range communication are made to operate.

이와 같이 휴대 단말기에 무선 충전 수행 및 비접촉 근거리 통신 수행을 위한 연결 단자들(11, 21, 15, 25)이 각각 존재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 제조 시 연결 단자 수가 많이 필요하므로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where the connection terminals 11, 21, 15, and 25 for performing the wireless charging and performing the non-contac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exist respectively in the portable terminal, a large number of connection terminals are required in manufacturing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통신 구성 요소들과 비접촉 근거리 통신을 위한 구성요소들이 중복적으로 존재하게 되는 경우 복수개의 통신 구성요소들이 필요하여 비효율적이고 자원을 낭비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Also, when the communication components for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the components for the non-contac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exist in a redundant manner,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components are required, which may result in inefficient and wasted resource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충전 수행 및 비접촉 근거리 통신 수행을 위한 여러 개의 연결 단자들이 각각 필요한 경우 스위치를 사용하여 한 쌍의 연결 단자를 통해 무선 충전 수행 및 비접촉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that enable wireless charging and noncontact local communication through a pair of connection terminals using switches when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for performing wireless charging and performing non- Metho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접촉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무선 충전 수행을 위한 별도의 통신 모듈이 필요없는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tha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wireless charging by perform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for wireless charging using noncontact local area communication.

상기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장치에 있어서,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를 통해 무선 전력 송신기와 무선 충전을 위한 비접촉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무선 충전 인증을 수행하는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상기 무선 충전 인증이 수행됨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의 동일한 공진 주파수로 공진하는 공진기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공급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부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 제어부와, 상기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의 연결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부와 상기 충전 제어부의 연결 중 어느 하나의 연결을 수행하는 스위칭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including a contactles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wireless contactles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through a non-contact short- A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supply power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using a resonator resonating at the same resonance frequency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s the wireless charging authentication is performed; And at least one switch for performing a connection between the contactles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and the contactles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power-receiving unit and the charge control unit To do And a gong.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충전 방법에 있어서,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가 연결된 상태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로 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인증을 요청하는 과정과,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인증 응답이 수신되면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부와 수신된 무선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 제어부가 연결되도록 스위칭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전력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wireless charging method including the steps of transmi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requesting authentication in a state in which a contactless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non-contact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are connected, Performing a switching so that a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power and a charging control unit for performing charging using the received wireless pow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performing charging using wireless power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충전을 위한 일부 구성요소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내부에 배치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외부에서 연결 단자를 통해 연결되도록 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 충전을 위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비접촉 근거리 통신 수행을 위한 구성요소들도 한 쌍의 연결 단자를 이용하여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필요한 연결 단자 수를 줄일 수 있고 회로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mponent for wireless charging is disposed inside a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the remaining components are 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terminal outside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components for wireless charging The other components for performing noncontact local communication are connected by using a pair of connection terminals,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necessary connection terminals and simplify the circuit configur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비접촉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무선 충전 수행을 위한 별도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구현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for wireless charging using noncontact local area communication is performed,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wireless charging, thereby reducing the implementation cost.

도 1은 종래 기술에 무선 충전 장치가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에서 본체에 배치된 충전 제어부와 배터리 커버에 배치된 무선 전력 수신부가 연결된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본체에 배치된 제1 비접촉 근거리무선 통신부와 배터리 커버에 배치된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1 shows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a wireless charging device is applied in the prior art
2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 wireless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harge control unit disposed in a main body and a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disposed in a battery cov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rst non-contac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disposed in a main body and a first non-contac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disposed in a battery cov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observe that certain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본 발명은 무선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와 무선 전력을 수신하여 충전을 수행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간에 비접촉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전송 제어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고, 무선 전력 수신기 내부에 배치된 무선 충전을 위한 일부 구성 요소들과 외부에 배치된 무선 충전을 위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을 한 쌍의 연결 단자를 이용하여 연결되도록 하는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를 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은 NFC방식 외에 지그비(Zeegbe)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적외선 통신 등과 같이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도 이용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using a non-contac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between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supplying wireless pow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and performing charging, Disclosed is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some components for charging and remaining components for wireless charging disposed outside by using a pair of connection terminals. 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non-contac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non-contac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othe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ZigBee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etc. in addition to the NFC method.

또한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는 전자기기 무선충전, 전기자동차 무선전원공급 및 무선충전, 원격지 무선전력공급, 유비퀴터스 무선센서 전원공급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하고, 무선 전력을 수신하여 충전을 수행하는 장치라면 어떤 장치든지 적용될 수 있다. Further,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wireless charging of electronic devices, wireless power supply and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remote wireless power supply, ubiquitous wireless sensor power supply, etc., and performs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receives wireless power Any device that performs charging by itself can be applied.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무선 전력 전송 제어 장치가 본체와 배터리 커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와 충전 패드에 적용된 경우를 일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device is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main body and a battery cover, and a charging pad.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구성도이다.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무선 전력 수신기에 해당하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무선 전력 송신기에 해당하는 충전 패드(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rtable terminal 100 corresponding to a wireless power receiver and a charging pad 200 corresponding to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먼저 충전 패드(200)는 제2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222), 제2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224), 무선 전력 송신부(226), TX 공진부(228)를 포함한다.First, the charging pad 200 includes a second non-contac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222, a second non-contac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4,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226, and a TX resonance unit 228.

무선 전력 송신부(226)는 무선 전력 송신에 필요한 각종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2 비접촉 근거리무선 통신부(224)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하고,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제2 비접촉 근거리무선 통신부(224)를 통해 수신한다. 무선 전력 송신부(226)는 휴대용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근거로 TX 공진부(228)를 통해 송출할 공급 전력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공급 전력량이 TX 공진부(228)를 통해 송신되도록 한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226 generates various messages required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messages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through the second non-contac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4 and transmits a message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the second non- And receives it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4.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226 calculates the amount of power to be supplied through the TX resonance unit 228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outputs the calculated amount of power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TX resonance unit 228 do.

TX 공진부(228)는 공진 코일(coil)을 포함하며, 휴대용 단말기(100)의 TX 공진부(128)과 동일한 주파수로 공진하여 공급 전력을 휴대용 단말기(100) 측으로 송신한다. The TX resonance unit 228 includes a resonance coil and resonates at the same frequency as the TX resonance unit 128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transmit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side.

제2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224)는 제2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222)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와 비접촉 근거리 통신 예컨대 NFC 통신을 수행한다. 제2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224)는 휴대용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무선 전력 송신부(226)로 전달하고, 무선 전력 송신부(226)로부터 휴대 단말기(100)로 전달될 메시지를 송신한다.The second non-contac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4 performs non-contac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100 through the second non-contac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222, for example, NFC communication. The second non-contact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4 transmits a message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226 and transmits a message to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100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226. [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충전 패드(20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인 휴대용 단말기(100)를 설명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물리적으로 본체(110)에 해당하는 제1 영역과, 제1 영역과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제2 영역에 해당하는 배터리 커버(120)로 이루어진다.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a wireless power receiver that wirelessly receives power from the charging pad 200 and charges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physically connected to a main body 110, And a battery cover 120 corresponding to a second area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first area.

본체(110)에는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 충전 제어부(114), 배터리(116), 제1 스위치(111), 제1 단자(119)가 배치된다. 배터리 커버(120)에는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122), 무선 전력 수신부(126), RX 공진부(128), 제2 스위치(121), 제2 단자(129)가 배치된다. 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first non-contac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2, a charge control unit 114, a battery 116, a first switch 111 and a first terminal 119. The battery cover 120 is provided with a first non-contac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122, a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126, an RX resonance unit 128, a second switch 121 and a second terminal 129.

본체(110)에 배치된 무선 충전을 위한 제1 구성요소들(112, 114, 116, 111)과 배터리커버(120)에 배치된 무선 충전을 위한 제2 구성요소들(122, 126, 128, 121)은 제1 스위치(111) 및 제2 스위치(121)의 동작에 따라 제1 및 제2 단자(119, 229)를 통해 연결되어 동작한다. The first components 112, 114, 116 and 111 for wireless charging arranged in the main body 110 and the second components 122, 126, 128, 12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19, 229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 111 and the second switch 121,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와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122)가 제1 스위치(111)의 동작에 따라 제1 및 제2 단자(119, 229)를 통해 연결되어 동작한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부(126)와 충전 제어부(114)가 제2 스위치(121)의 동작에 따라 제1 및 제2 단자(119, 229)를 통해 연결되어 동작한다. 이때 초기 상태(또는 아이들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 스위치(111, 121)는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와 제1 비접촉 근거리무선 통신 안테나(122)가 연결되는 상태를 유지한다.Specifically, the first non-contac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2 and the first non-contac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122 are connected and opera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19 and 229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 111 .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126 and the charge control unit 11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19 and 229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witch 121. At this time, in the initial state (or the idle state),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111 and 121 maintain the state where the first non-contac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2 and the first non-contac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122 are connected.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110) 및 배터리 커버(120)에 각각 분리되어 배치된 구성 요소들을 각각 설명하면,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는 무선 충전 제어를 위한 통신을 위해 제1 스위치(111)를 제어하여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와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122)가 연결되도록 한다. 제1 스위치(111)는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무선 통신부(112)의 제어에 따라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가 제1 단자(119)와 연결되도록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1 스위치(111)는 제1 단자(119)를 구비하고, 일측이 상기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 및 상기 충전 제어부(114)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 단자(1119)와 연결되며, 상기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 및 상기 충전 제어부(114)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1 단자(119)를 연결하는 스위칭을 수행한다. The first non-contac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2 is connected to a first switch (not shown) for communication for wireless charging control, The first non-contac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2 and the first non-contac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1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switch 111 performs a switching operation so that the first non-contac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2 i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119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non-contact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2. The first switch 111 has a first terminal 119 and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non-contact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2 and the charging control unit 114,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1119 Contac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2 and the charge control unit 114 and the first terminal 119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non-contac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2. The non-contact short-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는 제1 단자(119) 및 제2 단자(129)의 접속에 따라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와 연결된다.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는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122)와 연결된 상태에서 충전 패드(200)와 비접촉 근거리 통신 예컨대 NFC 통신을 수행한다.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는 충전 패드(20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충전 제어부(114)로 전달하고, 충전 제어부(114)로부터 충전 패드(200)로 전달될 메시지를 송신한다.The first non-contac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2 is connected to the first non-contac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according to the connection of the first terminal 119 and the second terminal 129. The first non-contact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2 performs non-contact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NFC communication with the charging pad 20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non-contact short- The first non-contact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12 transmits a message received from the charging pad 200 to the charging control unit 114 and transmits a message to be transmitted from the charging control unit 114 to the charging pad 200. [

RX 공진부(128)는 공진 코일을 포함하여, 충전 패드(200)의 TX 공진부(228)와 동일한 주파수로 공진한다. 무선 전력 수신부(126)는 TX 공진부(228)를 통해 공급 전력이 수신되면 제2 스위치(121)를 제어하여 무선 전력 수신부(126)와 충전 제어부(114)가 연결되도록 한다. 제2 스위치(121)는 무선 전력 수신부(126)의 제어에 따라 무선 전력 수신부(126)가 제2 단자(129)와 연결되도록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The RX resonance unit 128 resonates at the same frequency as the TX resonance unit 228 of the charging pad 200 including the resonance coil.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126 controls the second switch 121 so that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126 and the charge control unit 114 are connected when the power is received through the TX resonance unit 228. [ The second switch 121 performs a switching operation so that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126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129 under the control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126.

이러한 제2 스위치(121)는 제1 단자(119)와 물리적으로 접속되는 제2 단자(129)를 구비하고, 일측이 상기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122)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부(126)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2 단자(129)와 연결되며, 무선 전력 수신부(126)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222) 및 무선 전력 수신부(126) 중 어느 하나와 제2 단자(129)를 연결하는 스위칭을 수행한다.The second switch 121 has a second terminal 129 phys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119 and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contactless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122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126 Contact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antenna 222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126 and the second terminal 129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126. The second terminal 129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129, 129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무선 전력 수신부(126)는 제2 단자(129) 및 제1 단자(119)의 접속에따라 충전 제어부(114)와 연결되며, 충전 제어부(114)와 연결되면, TX 공진부(228)를 통해 수신한 공급 전력을 충전 제어부(114)로 전달한다. 충전 제어부(114)는 공급 전력을 정류하여 배터리(116)에 충전되도록 한다.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126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control unit 114 according to the connection of the second terminal 129 and the first terminal 119. Whe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126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control unit 114, And transmits the received supply power to the charge control unit 114. [ The charge controller 114 rectifies the supplied power so that the battery 116 is charged.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는 무선 충전 제어를 위한 통신을위해 제1 스위치(111)를 제어하여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와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122)가 연결되도록 한다. 제1 스위치(111)는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무선 통신부(112)의 제어에 따라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가 제1 단자(119)와 연결되도록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The first non-contac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2 controls the first switch 111 for communication for wireless charging control so that the first non-contac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2 and the first non- do. The first switch 111 performs a switching operation so that the first non-contac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2 i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119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non-contact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2.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는 제1 단자(119) 및 제2 단자(129)의 접속에 따라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와 연결된다.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는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122)와 연결된 상태에서 충전 패드(200)와 비접촉 근거리 통신 예컨대NFC 통신을 수행한다.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는 충전 패드(20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충전 제어부(114)로 전달하고, 충전 제어부(114)로부터 충전 패드(200)로 전달될 메시지를 송신한다.The first non-contac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2 is connected to the first non-contac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according to the connection of the first terminal 119 and the second terminal 129. The first non-contact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2 performs non-contact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NFC communication with the charging pad 20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non-contact short- The first non-contact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12 transmits a message received from the charging pad 200 to the charging control unit 114 and transmits a message to be transmitted from the charging control unit 114 to the charging pad 200. [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동작에 따른 무선 충전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wireless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302 단계에서 무선 충전을 위해 충전 패드(200)로 휴대용 단말기(100)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인증을 요청한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와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122)가 연결된 상태인 초기(아이들) 상태에서, 충전을 위해 충전 패드(200)에 거치되면,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 및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122)를 통해 충전 패드(200)로 휴대용 단말기(100)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인증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 충전 패드(20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결과에 따른 인증 응답 메시지를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하며, 인증이 완료됨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부(226)와 TX 공진부(228)를 통해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3 is a flowchart of a wireless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in step 302, the portable terminal 100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the charging pad 200 for wireless charging, and requests authentication. At this tim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placed in the charging pad 200 for charging in the initial (idle) state in which the first non-contac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2 and the first non-contac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122 are connected,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the charging pad 200 through the first non-contac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2 and the first non-contac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122, and requests authentication. Accordingly, the charging pad 200 performs authentication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ransmits an authentication response message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result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Upon completion of the authentication, the wireless pad transmission unit 226 And the TX resonance unit 228, as shown in FIG.

휴대용 단말기(100)는 304단계에서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122)와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를 통해 충전 패드(200)로부터 인증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인증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306단계로 진행한다.The portable terminal 100 receives an authentication response message from the charging pad 200 through the first non-contact proximity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122 and the first non-contact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2 in step 304. When the authentication response message is receiv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06.

휴대용 단말기(100)는 306단계에서 본체(110)에 배치된 충전 제어부(114)와 배터리커버(120)에 배치된 무선 전력 수신부(126)가 연결되도록 제1 스위치(111) 및 제2 스위치(121)를 통해 스위칭을 수행한다.The portab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 111 and the second switch 112 so that the charging controller 114 disposed in the main body 110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126 disposed in the battery cover 120 are connected at step 306 Lt; RTI ID = 0.0 > 121). ≪ / RTI >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본체(110)에 배치된 충전 제어부(114)와 배터리커버(120)에 배치된 무선 전력 수신부(126)가 연결된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charge control unit 114 disposed in a main body 110 and a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126 disposed in a battery cover 120 are connected Fig.

도 4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를 통해 충전 제어부(114)와 제1 단자(119)가 연결되도록 제1 스위치(111)를 제어하고, 무선 전력 수신부(126)를 통해 무선 전력 수신부(126)와 제2 단자(129)가 연결되도록 제2 스위치(121)를 제어한다. 4, the portable terminal 100 controls the first switch 111 to connect the charge control unit 114 and the first terminal 119 through the first non-contac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2, And controls the second switch 121 so that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126 and the second terminal 129 are connected through the receiving unit 126.

이때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는 충전 제어부(114)와 제1 단자(119)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신호(1)를 제1 스위치(111)로 보낼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부(126)는 TX 공진부(228)에 의해 RX 공진부(128)가 공진됨에 따른 전류 또는 전압 변화에 따라 무선 전력 수신부(126)와 제2 단자(129)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신호(2)를 제2 스위치(121)로 전달할 수 있다.The first non-contac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2 may send the control signal 1 to the first switch 111 so that the charge control unit 114 and the first terminal 119 are connecte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126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126 and the second terminal 129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a change in current or voltage caused by resonance of the RX resonance unit 128 by the TX resonance unit 228 To the second switch (121).

상기한 바와 같이 충전 제어부(114)와 무선 전력 수신부(126)가 제1 단자(119) 및 제2 단자(129)를 통해 연결되어 충전 모드로 진입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308단계에서 무선 전력 수신부(126)를 통해 충전 패드(20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수신하여 배터리(116)에 충전을수행한다.When the charging control unit 114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126 are connected through the first terminal 119 and the second terminal 129 to enter the charging mode as described above, And receives power supplied from the charging pad 200 through the power receiving unit 126 to charge the battery 116.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는 310단계에서 충전이 완료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배터리(116) 충전이 완료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312단계에서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와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122)가 연결되도록 제1 스위치(111) 및 제2 스위치(121)를 통해 스위칭을 수행한다.In step 310, the portable terminal 100 determines whether charging is completed. If the charging of the battery 116 is completed, the portable terminal 100 transmits the first switch 111 and the second switch 112 so that the first non-contac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2 and the first non- 2 switch 121, as shown in FIG.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본체(110)에 배치된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와 배터리 커버(120)에 배치된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122)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5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s a first non-contac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2 disposed in the main body 110 and a second n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122 is connected.

도 5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를 통해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와 제1 단자(119)가 연결되도록 제1 스위치(111)를 제어하고, 무선 전력 수신부(126)를 통해 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122)와 제2 단자(129)가 연결되도록 제2 스위치(121)를 제어한다. 5, the portable terminal 100 controls the first switch 111 so that the first non-contac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2 and the first terminal 119 are connected through the first non-contact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2, And controls the second switch 121 so that one non-contac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122 and the second terminal 129 are connected through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126.

이때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는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와 제1 단자(119)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신호(3)를 제1 스위치(111)로 보낼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부(126)는 배터리(116) 충전이 완료됨에 따른 전류 또는 전압 변화에 따라 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122)와 제2 단자(129)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신호(4)를 제2 스위치(121)로 전달할 수 있다.The first non-contact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2 may send the control signal 3 to the first switch 111 so that the first non-contact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2 and the first terminal 119 are connecte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126 receives the control signal 4 for connecting one non-contac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122 and the second terminal 129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or voltage change due to the completion of the charging of the battery 116, To the second switch (121).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와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122)가 연결되어 충전 패드(200)와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면 514단계에서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와 제1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122)를 통해 충전 패드(200)로 무선 충전 완료 신호를 전송한다.When the first non-contac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2 and the first non-contac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122 are connected and the non-contac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harging pad 200 becomes possible as described above, Contact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12 and the first non-contac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122 to the charging pad 200. In this cas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무선 충전을 위한 일부 구성요소들이 물리적으로 구분되어 연결 단자를 통해 연결되도록 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소수, 예컨대 한 쌍의 연결 단자를 이용하여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필요한 연결 단자 수를 줄일 수 있고 회로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a method of physically dividing some components for wireless charging and connecting them through a connection terminal is used, a small number, for example, So that the number of necessary connection terminals can be reduced and the circuit configuration can be simplifi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비접촉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무선 충전 수행을 위한 별도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구현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for wireless charging using noncontact local area communication is performed,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 charging, .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상 위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NFC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를 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지그비(zeegbe)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적외선 통신 등과 같이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도 이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와 충전 패드를 일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하고, 무선 전력을 수신하여 충전을 수행하는 장치라면 어떤 장치든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같은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NFC communication method is used as the non-contac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ZFC, ZigBee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is also available. In addition, although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harging pad have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device can be applied as long as it performs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performs charging by receiving wireless power.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9)

전자 장치에 있어서,
스위치;
근거리 통신 안테나;
무선 전력 수신 안테나;
초기 상태 또는 아이들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가 무선 충전을 위해 무선 전력 송신기 상에 놓이고, 상기 스위치에 의해 상기 근거리 통신 안테나와 연결되면, 상기 근거리 통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에 상기 전자 장치의 인증 프로세스를 위한 인증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근거리 통신부; 및
상기 인증 프로세스 후, 상기 스위치에 의해 상기 근거리 통신 안테나와 상기 근거리 통신부의 연결이 해제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안테나와 연결되면 상기 수신된 무선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설정된 무선 충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In an electronic device,
switch;
Local area communication antenna;
A wireless power receiving antenna;
Wherein the electronic device is placed on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wireless charging in an initial state or an idle state and is connected to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antenna by the switch, A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 process; And
Wherein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antenna and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is released by the switch after the authentication process and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antenna, the wireless charging control unit configured to charge the battery of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received wireless power,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충전이 완료되고 상기 스위치에 의해 상기 근거리 통신 안테나와 상기 근거리 통신부가 연결되면, 상기 근거리 통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에 충전 완료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 charge completion signal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when the charging is completed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are connected by the switc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안테나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안테나는 상기 전자 장치의 하우징의 내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and the wireless power-receiving antenna ar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electronic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안테나는 상기 무선 충전 제어부와 상기 스위치의 복수의 연결 단자들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ing control unit through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of the swit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안테나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스위치의 복수의 연결 단자들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through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of the switch.
전자 장치에서 무선 충전 방법에 있어서,
초기 상태 또는 아이들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가 무선 충전을 위해 무선 전력 송신기 상에 놓이면, 근거리 통신 안테나와 근거리 통신부가 연결되도록 스위치를 제어하는 동작;
상기 근거리 통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에 상기 전자 장치의 인증 프로세스를 위한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상기 인증 프로세스 후, 상기 근거리 통신 안테나와 상기 근거리 통신부의 연결이 해제되고, 무선 전력 수신 안테나와 무선 충전 제어부가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동작;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무선 충전 제어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무선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충전이 완료되는지 판단하는 동작;
상기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근거리 통신 안테나와 상기 근거리 통신부가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동작; 및
상기 근거리 통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에 충전 완료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방법.
A wireless charging method in an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the switch such that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placed on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wireless charging in an initial state or an idle stat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antenna and a short range communication section are connected;
Transmitt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n authentication process of the electronic device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via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Controlling the switch so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antenna and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is released and the radio power reception antenna is connected to the radio charge control unit after the authentication process;
Receiving wireless power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via the wireless power receive antenna;
Performing charging of the battery of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received wireless power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controller;
Determining whether the charging is completed;
Controlling the switch to connect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when the charging is completed; And
And transmitting a charge completion signal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via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안테나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안테나는 상기 전자 장치의 하우징의 내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ntenna ar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electronic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안테나는 상기 무선 충전 제어부와 상기 스위치의 복수의 연결 단자들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ing control unit through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of the switch.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안테나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스위치의 복수의 연결 단자들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무선 충전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through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of the switch.
KR1020180144463A 2018-11-21 2018-11-2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KR1020009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463A KR102000958B1 (en) 2018-11-21 2018-11-2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463A KR102000958B1 (en) 2018-11-21 2018-11-2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888A Division KR101924341B1 (en) 2012-04-09 2012-04-0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371A true KR20180128371A (en) 2018-12-03
KR102000958B1 KR102000958B1 (en) 2019-10-01

Family

ID=64743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463A KR102000958B1 (en) 2018-11-21 2018-11-2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95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3578A1 (en) * 2019-01-23 2020-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on basis of authentica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9799A (en) * 2009-07-23 2011-02-10 Sony Corp Contactless power supplying communication apparatus, contactless power receiving communication device, power-supplying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power receiving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20110056334A (en) * 2008-09-23 2011-05-26 파우워매트 엘티디. Combined antenna and inductive power receiver
KR20110127243A (en) * 2009-03-08 2011-11-2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Wireless power transfer for chargeable devices
KR20120128544A (en) * 2011-05-17 2012-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KR20120136725A (en) * 2011-06-09 2012-12-20 (주) 씨아이디티 Device for sharing and selecting terminal of wireless power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in mobi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6334A (en) * 2008-09-23 2011-05-26 파우워매트 엘티디. Combined antenna and inductive power receiver
KR20110127243A (en) * 2009-03-08 2011-11-2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Wireless power transfer for chargeable devices
JP2011029799A (en) * 2009-07-23 2011-02-10 Sony Corp Contactless power supplying communication apparatus, contactless power receiving communication device, power-supplying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power receiving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20120128544A (en) * 2011-05-17 2012-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KR20120136725A (en) * 2011-06-09 2012-12-20 (주) 씨아이디티 Device for sharing and selecting terminal of wireless power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in mobi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3578A1 (en) * 2019-01-23 2020-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on basis of authent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0958B1 (en)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34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10211678B2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US107637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ireless charging power to a wireless power receiver
US10651671B2 (en) Wireless power charging system
KR10167273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and data transmission using mobile device
JP5637641B2 (en) Wireless power charging method and apparatus
JP6000131B2 (en)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KR102012972B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power
KR20130090703A (en) Wireless power charging method and apparatus
KR20140007775A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each thereof
US8912752B2 (e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tilizing antenna for power charging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having the same
KR10195725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O2017064968A1 (en) Power reception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power supply system
US20200119596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KR2014012989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power
KR10200095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KR20150028043A (en) Wireless power transfer method between devices using NFC
US10756562B2 (en)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program, and non contact power-supply system
KR101670118B1 (en) Battery package and electonic apparatus having thereof
KR20150030018A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