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5930A - Clip apparatas and method for based on contents in a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Clip apparatas and method for based on contents in a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5930A
KR20180125930A KR1020180141763A KR20180141763A KR20180125930A KR 20180125930 A KR20180125930 A KR 20180125930A KR 1020180141763 A KR1020180141763 A KR 1020180141763A KR 20180141763 A KR20180141763 A KR 20180141763A KR 20180125930 A KR20180125930 A KR 20180125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eb page
user
data
markup langu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7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54785B1 (en
Inventor
윤승현
이문상
구민수
남지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1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785B1/en
Publication of KR20180125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59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7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06F17/308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ip apparatus based on content inform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thereof. The clip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selecting specific content; analyzing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tent to classify the selected content; and storing the classified content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클립장치 및 방법{CLIP APPARATAS AND METHOD FOR BASED ON CONTENTS IN A PORTABLE TERMINAL}[0001] CLIP APPARATUS AND METHOD FOR BASED ON CONTENTS IN A PORTABLE TERMINAL [0002]

본 발명은 데이터 클립(clip)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특정 데이터를 클립하고, 클립된 데이터를 쉽게 공유 및 소비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클립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clip,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ip device and method based on content information of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clip specific data and easily share and consume the clipped data.

스마트 폰의 대중화로 모바일 환경에서 많은 데이터가 생성 및 소비되고 있다. 데이터의 종류 및 양이 늘어남에 따라 사용자가 생성한 특정 데이터를 임의의 시간이 지난 후에 본인 혹은 타인이 재소비하기 위해 저장하는 방법에 대한 필요가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시스템은 북마크와 유사한 개념을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사용자 계정에 저장하여 시간이 지난 후에 재소비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With the popularization of smart phones, much data is being generated and consumed in the mobile environment. As the type and quantity of data increases,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storing specific data generated by a user for reuse by a person or another person after a certain time. Conventional systems use URLs (Uniform Resource Locators) of relevant data in a user account by using a similar concept to bookmarks and provide them to be consumed after a long time.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의 종류가 URL로 표현 가능한 데이터에 국한되는 한계점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해당 URL이 웹 상에서 삭제되면 더 이상 정보를 살펴볼 수 없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ology has a problem that a limitation is imposed on the type of data that can be stored, which is limited to data that can be represented by a URL. In addition, if the URL is deleted on the Web,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nformation can not be viewed any more.

뿐만 아니라, 해당 URL 자체를 저장하는 형태이므로 페이지 내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구체적인 영역을 표현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RL itself is stored, it is difficult to express a specific area in which the user is interested in the page.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특정 데이터를 클립하고, 클립된 데이터를 쉽게 공유 및 소비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클립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eviously proposed method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ip device based on content information of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clip specific data and easily share and consume the clipped data,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웹 페이지 내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구체적인 영역을 지정하여 클립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클립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ip device and method based on content information of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specifying and clipping a specific area in which a user is interested in a web pag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의 종류가 URL로 표현 가능한 데이터에 한정되지 않아서, 해당 URL이 웹 상에서 삭제되어도 클립된 데이터를 소비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클립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ip that is based on content information of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consume clipped data even if the URL is deleted on the web,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데이터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클립방법은, 특정의 컨텐츠를 선택받는 과정;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의 관련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를 분류하는 과정; 및 상기 분류된 컨텐츠를 상기 분류에 따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lip method based on content data information of a portab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specific content; Analyzing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tent and classifying the selected content; And storing the classified content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데이터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클립장치는, 특정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결정부;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의 관련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를 분류하는 분류부; 및 상기 분류된 컨텐츠를 상기 분류에 따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lip device based on content data information of a portable terminal, the clip device comprising: a determination unit for selecting a specific content; A classifying unit for classifying the selected content by analyzing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tent;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classified content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클립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특정 데이터를 클립하고, 클립된 데이터를 쉽게 공유 및 소비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clip device and method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lip specific data and easily share and consume the clipped data, thereby maximizing convenience for the user.

도 1의(a) 및 도 1의(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태틱 데이터(static data)를 클립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의(a) 및 도 2의(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나믹 데이터(dynamic data)를 클립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의(a) 및 도 3의(b)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 바이너리 데이터(clip binary data)와 xml 데이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의(a) 내지 도 4의(d)는 본 발명에 따른 생성된 클립을 소비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의(a) 및 도 5의(b)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와 등록된 친구들로부터 클립된 데이터를 공유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데이터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클립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데이터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클립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1 (a) and 1 (b) illustrate an embodiment for clipping static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 and 2 (b) illustrate an embodiment for clipping dynamic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a) and 3 (b) illustrate one embodiment of clip binary data and xml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a) - 4 (d) illustrate an embodiment of consuming generated clip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a) and 5 (b) illustrate one embodiment of sharing clipped data from a user and registered budd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lip method based on content data inform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lip device based on content data inform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도 1의(a) 및 도 1의(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태틱 데이터(static data)를 클립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평소에 패션에 관심이 많은 사용자가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특정 웹 페이지를 검색하고 있던 중, 사진 속에 모델이 입고 있는 자켓과 블랙 선글라스가 사용자의 마음에 꼭 드는 최신 스타일의 아이템이라고 가정하자. 평소 자켓과 블랙 선글라스를 구매하고자 했던 사용자는 해당 아이템의 구매정보를 얻고자 웹 페이지에 개시된 정보를 살펴보게 된다. 웹 페이지에 해당 브랜드 이름과 웹 사이트 주소 등 아이템에 대한 정보가 개시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관련 아이템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패션에 관련된 웹 페이지가 아니어서 관심 아이템에 관한 정보가 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관심 아이템을 단순히 저장하고 싶은 경우 등에는 해당 웹 페이지를 저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저장된 데이터를 소비할 수도 있다. 1 (a) and 1 (b) are diagrams showing one embodiment of clipping static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se that a user who is usually interested in fashion accesses a web site and searches for a specific web page, and that the jacket and black sunglasses the model wears in the photograph are the latest style items that are in the user's mind. A user who would normally purchase a jacket and black sunglasses will look at the information on the web page to obtain purchase information for the item. If information about an item such as a brand name and a web site address is disclosed on a web page, the user can access the web site and obtain mor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related item. In addition, if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item of interest is not disclosed because the web page is not related to fashion, or if the user wants to simply store the item of interest, the web page may be stored so that the user may consume the stored data at a desired time.

본 발명에서는 해당 웹 사이트 주소 자체를 저장하는 형태가 아니라 웹 페이지 내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구체적인 영역을 지정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도 1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 속에 모델이 입고 있는 자켓과 블랙 선글라스에 대해서만, 관심이 있는 경우 해당 웹 페이지 전체를 저장하지 않고, 자켓과 블랙 선글라스가 가 잘 보이도록 구간을 지정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클립을 원하는 데이터를 발견하면, 클립 버튼을 누름으로 클립을 시작할 수 있다. 클립 버튼을 누르는 동작은 UI 아이콘(icon)을 선택하는 방법이나,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등과 같은 방법으로 클립을 시작할 수도 있다. 이후, 클립이 시작되면, 사용자는 클립하고자 하는 영역을 지정하여 관심있는 특정영역에 대한 클립을 수행할 수 있다. 세부적인 영역지정은 사용자가 입력도구 등을 이용하여 지정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입력도구 등을 이용하여 클립하고자 하는 영역을 드래그(drag)하여 실행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web site address itself is stored, but also a specific area in which the user is interested in the web page can be specified and stored. As shown in FIG. 1 (a), only the jacket and the black sunglasses worn by the model in the photograph are designated so that the jacket and the black sunglasses can be clearly seen without storing the whole web page if they are interested And stored. More specifically, if the user finds the desired data in the clip, the clip can be started by pressing the clip button.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clip button may be started by a method of selecting a UI icon or a method of gesture recognition using a sensor or the like. Then, when the clip starts, the user can designate an area to clip and perform clip for a specific area of interest. The detailed area designation can be specified by the user using an input tool or the like. Preferably, the region to be clipped can be dragged by using an input tool or the like.

클립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웹 페이지나 사진과 같은 스태틱 데이터(static data)일 경우, 사용자가 지정한 영역이 이미지 파일 형태로 캡처되어 클립 바이너리 데이터(clip binary data)형태로 저장된다. 또한, 해당 데이터에 대한 세부 정보를 가지는 파일은 클립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데이터 형태로 저장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립의 세부정보를 기술하는 파일은 xml 뿐만 아니라 owl 등 다른 언어를 이용하여 작성될 수도 있다. If the data to be clipped is static data such as a web page or a photograph, the area designated by the user is captured in the form of an image file and stored in the form of clip binary data. In addition, a file having detailed information on the data is stored in a clip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data format. Preferably, the file describing the details of the clip may be created using other languages such as owl as well as xml.

본 발명에서는 선택받은 컨텐츠의 관련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받은 컨텐츠가 자동으로 분류 및 저장된다. 도 1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특정영역이 선택되어 지면, 선택받을 당시의 관련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가 자동으로 분류 및 저장된다. 컨텐츠의 관련정보는 컨텐츠의 데이터 정보와 주변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컨텐츠의 데이터 정보는 제목, 원본 데이터 URL, 제작자, 생성날짜, 카테고리, 공개권한, 사용자 메모, 유효기간, GPS 정보, 데이터 요약, 클립이 수행된 애플리케이션 정보, 클립 바이너리 데이터 종류 및 썸네일 이미지 크기 및 표시위치와 같이 해당 데이터와 관련된 부가정보 중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ected content is automatically classified and stored based o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tent. As shown in FIG. 1 (b), when a specific area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ent is automatically classified and stored using related information at the time of selectio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contents can be divided into the data information of the contents and the peripheral information. First, the data information of the content includes the title, the original data URL, the author, the creation date, the category, the publishing right, the user memo, the validity period, the GPS information, the data summary, And a display position of the data.

상술한 컨텐츠의 관련정보 중에서, 사용자 메모를 제외하고는 사용자에 의하여 컨텐츠가 선택될 때, 휴대용 단말기에 자동입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컨텐츠를 검색하던 중, 클립하고 싶은 웹 페이지 전체나 일부, 특정의 사진 및 동영상 등을 발견했을 때, 영역을 지정하여 선택되면 휴대용 단말기에 컨텐츠 관련정보가 자동 저장된다, 예를 들면, 도 1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켓과 블랙 선그라스를 착용하고 있는 모델의 사진을 클립한 경우, 트랜드(TREND)라는 카테고리에 패션 루이비통(FASHION LOUIS VUIYYON)이라는 제목으로 기재되고, 원본 데이터 URL은 “http://WWW.louisvuitton.com”로 표시된다. 그 이외에 웹 페이지를 제작한 제작자와 해당 페이지를 생성한 날짜, 공개권한, 유효기간, 해당 클립이 수행된 지역의 GPS 정보, 데이터 요약, 클립이 수행된 애플리케이션 정보, 클립 바이너리 데이터 종류 및 썸네일 이미지 크기 및 표시위치 등의 관련정보가 자동으로 저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메모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경우에 입력되며, 또한 사용자는 관련정보 등이 마음에 들지 않는 경우,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만약 관련정보가 직접 입력된 경우에는 자동입력된 관련정보는 선택된 컨텐츠의 분류 및 저장시에 반영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에 의하여 직접 입력된 관련정보는 자동입력된 관련정보에 우선된다. Among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contents, when the contents are selected by the user except the user memo, the contents are automatically inpu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More specifically, when a user is searching for content, when he or she finds a whole or a part of a web page to be clipped, a specific photo, a moving image, or the like, the content related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region is designated and selected 1 (b), when a photograph of a model wearing a jacket and a black sunglasses is clipped, it is described as a fashion Louis Vuitton in a category of TREND, The original data URL is displayed as "http://WWW.louisvuitton.com". In addition to this, the author of the web page, the date of creation of the page, the right of disclosure, the validity period, the GPS information of the region where the clip was performed, the data summary, the applic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clip was performed, the clip binary data type and the thumbnail image size And the display position are automatically stor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emo is entered when the user directly inputs the memo, and the user can directly input the memo if the user does not like the related information or the like. If the related information is directly input, the automatically input related information is not reflected in the classification and storage of the selected contents. That is, the related information directly input by the user takes priority over the automatically input related information.

선택된 컨텐츠는 주변정보를 이용하여 분류 및 저장될 수도 있다. 선택된 컨텐츠의 관련정보 중 주변정보는 컨텐츠의 메타데이터(metadata) 정보, 텍스트(text)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정보는 속성정보라고도 하는데, 대량의 정보 가운데에서 찾고 있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찾아내서 이용하기 위해 일정한 규칙에 따라 컨텐츠에 대하여 부여되는 데이터이다. 메타데이터에는 컨텐츠의 위치와 내용, 작성자에 관한 정보, 권리 조건, 이용 조건, 이용 내력 등이 기록되어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자기가 원하는 특정 데이터(정보)를 검색엔진 등으로 쉽게 찾아낼 수 있다. 영화의 한 신에서 나오는 배우의 데이터를 추출하거나 축구 시합의 비디오에서 골인 장면만을 뽑아낼 수 있고, 또 자료들을 편집할 수 있는 것도 메타데이터의 기능이다. 이러한 메타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가 자동으로 분류 및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타데이터 정보에는 해당 파일의 사이즈나 크기도 기록되어 있어, 저장된 컨텐츠를 사이즈나 크기별로 분류할 수도 있다. The selected contents may be classified and stored using peripheral information. Among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tents, the peripheral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metadata information of the contents, text information, and information inputted by the user. Metadata information is also referred to as attribute information, and is data that is given to a content according to a certain rule in order to efficiently find and use the information found in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The metadata includes the location and content of the content, information on the creator, rights conditions, usage conditions, usage history,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user can easily find the specific data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using the metadata by a search engine or the like. It is also a function of metadata to be able to extract the actor's data from a god of the movie, extract only the goal-scene from the video of the soccer game, and edit the data. The contents can be automatically classified and stored using the metadata information. Also, the size and size of the corresponding file are recorded in the metadata information, and the stored contents can be classified by size and size.

데이터의 자동 분류 및 저장의 또 다른 예로 텍스트 정보를 이용하는 예를 들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영역을 지정하여, 선택할 당시에 웹 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는 주변 텍스트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예로 설명하면, 자켓과 블랙 선글라스를 착용하고 있는 모델의 사진 주변에, 자켓과 블랙 선글라스의 브랜드 이름, 제품의 모델명, 제품의 웹 사이트 주소 등을 이용하여, 선택된 사진은 가장 넓게는 패션에 관한 카테고리에 분류되고, 세부적으로는 브랜드의 이름별로 또는 제품의 웹 사이트 주소의 알파벳 순서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진이 등재되어 있는 웹 페이지 주변에 다음과 같은 텍스트가 기재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자겟의 정보로 “제품명 : 루이비통 제품, 모델명 : TH-002, 사이즈 : 44, 55, 66, 가격 : 800,000만원, 판매점 : 삼성백화점, 제품의 웹 사이트 주소 : http://WWW.louisvuitton.com ”이 기재되어 있고, 블랙 선글라스 정보로, “제품명 : 루이비통 제품, 모델명 : T-501, 가격 : 1,000,000만원, 판매점 : 삼성백화점, 제품의 웹 사이트 주소 : http://WWW.louisvuitton.com ”기재되어 있다고 하자. 사용자가 자켓과 블랙 선글라스를 착용하고 있는 사진 속 모델을 선택하면, 선택된 컨텐츠는 주변 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패션에 관한 카테고리에 분류된다. 세부적으로는 자켓에 관한 정보로 루이비통의 제품, 모델명으로 TH-002, 판매되고 있는 사이즈는 44, 55, 66이 있고, 가격은 800,000만원이며, 현재 삼성백화점에서 판매하고 있으며, 제품의 상세한 정보를 담고 있는 웹 사이트 주소는 http://WWW.louisvuitton.com이라는 정보가 자동 입력된다. 또한, 블랙 선글라스에 대한 정보로 루이비통의 제품으로 모델명은 T-501이고, 가격은 1,000,000만원이며, 현재 삼성백화점에서 판매하고 있으며, 웹 사이트 주소는 http://WWW.louisvuitton.com이라는 정보가 자동 입력된다. 따라서, 주변정보 중 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컨텐츠를 자동 분류 및 저장할 수 있다. Another example of automatic classification and storage of data is the use of text information. The user can designate a specific area and use the surrounding text information written on the web page at the time of selection. In other words, as described above, using the jacket and black sunglass brand name, product model name, product web site address, etc. around the photograph of the model wearing the jacket and the black sunglasses, It can be categorized into fashion categories, in detail by brand name or alphabetical order of the product's website address. For example, suppose that the following text appears around a web page containing a photograph: Jagget's information: "Product name: Louis Vuitton, model name: TH-002, size: 44, 55, 66, price: 800 million yuan, retailer: Samsung department store, website of product: http://WWW.louisvuitton.com" Quot ;, product name: Louis Vuitton product, model name: T-501, price: 1,000,000 won, retailer: Samsung department store, product web site address: http://WWW.louisvuitton.com Let's say. When a user selects a model in a photograph wearing a jacket and black sunglasses, the selected content is automatically classified into fashion-related categories using surrounding text information. Details of the jacket include information on Louis Vuitton's product, model name TH-002, sizes 44, 55 and 66, and the price is 800 million Yuan. The address of the website is automatically entered as http://WWW.louisvuitton.com. In addition, information about black sunglasses is Louis Vuitton's product name is T-501, price is 1,000 million Yuan, it is currently sold at Samsung department store, and website address is http://WWW.louisvuitton.com. . Accordingly, the selected content can be automatically classified and stored using the text information among the peripheral information.

주변정보를 이용하는 또 다른 예로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정보가 있다. 상술한 메타데이터 정보나 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입력된 정보가 사용자의 마음에 들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직접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텍스트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과도하게 발생하는 단어와, 빈도수가 낮은 단어들이 자동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진 속 모델의 자켓과 블랙 선글라스가 사용자에 마음에 들어 선택하였지만, 사진 주변의 텍스트 정보에는 제품과 전혀 관계없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거나, 과도하게 많은 단어들이 기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와 맞지 않게 전혀 다른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여행 중에 사진을 찍어 텍스트에 여행지, 교통정보, 관광명소 및 추천장소 등이 기재되어 있어 있다면, 사용자는 사진 속의 제품에 관심이 있어 패션 카테고리에 저장하고 싶었지만, 여행에 관한 카테고리에 저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동입력된 주변 텍스트의 내용을 삭제하고, 사용자는 직접 패션과 관련된 내용을 입력하여 분류 및 저장할 수도 있다. Another example of using peripheral information is information entered manually by the user. If the information automatically input using the above-described metadata information or text information does not appeal to the user, the user can directly input the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when text information is used, words that occur excessively and words that have a low frequency can be automatically input. For example, if the model's jacket and black sunglasses in the photo are chosen by the user, the text information around the photo may contain content that is completely unrelated to the product, or if too many words are listed, Because they can be classified into completely different categories. In other words, if you take a picture during a trip and the text includes travel, traffic, attractions and recommended places, the user is interested in the product in the photo and wants to store it in the fashion category, It is because. Accordingly, the contents of the automatically inputted surrounding text are deleted, and the user can directly input and classify contents related to the fashion.

도 2의(a) 및 도 2의(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나믹 데이터(dynamic data)를 클립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평소에 영화에 관심이 많은 사용자가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특정 웹 페이지를 검색하고 있던 중, 사용자가 가장 좋아하는 배우가 출연하는 개봉영화를 발견했다고 가정하자. 개봉영화의 예고편 영상 중, 특정영역을 저장하고 싶을 때, 사용자가 좋아하는 배우가 클로즈업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특정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선택할 당시를 기준시점으로 기준시점 전후 임의의 시간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클립 바이너리 데이터(clip binary data)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즉, 도 2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미리 특정시간을 12초로 지정한 경우, 선택할 당시를 기준시점으로 기준시점 전후 12초간이 저장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저장된 영상을 소비할 경우, 선택된 시점에서 12초 전부터 시작하여 선택된 시점의 12초 후까지 영상이 플레이된다.FIGS. 2 (a) and 2 (b) are diagrams showing one embodiment of clipping dynamic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se that a user who is usually interested in a movie is browsing a specific web page by accessing a web site and finds an opening movie in which a user's favorite actor appears. When the user desires to store a specific region in the trailer image of the opened movie, the user can save the close-up image of the favorite actor. More specifically, the user can set a specific time in advance and store data for a time region before and after the reference time point as a reference time point at the time of selection, in the form of clip binary data. That is, as shown in (a) of FIG. 2, when the user designates a specific time in advance as 12 seconds, 12 seconds before and after the reference time point is stored as the reference time point at the time of selection. Therefore, when the user consumes the stored image, the image is played 12 seconds before the selected point in time and 12 seconds after the selected point in time.

해당 영상에 대한 세부정보는 도 2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데이터에 대한 세부 정보를 가지는 파일은 클립 xml 데이터 형태로 저장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립의 세부정보를 기술하는 파일은 xml 뿐만 아니라 owl 등 다른 언어를 이용하여 작성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2B, detailed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image is stored in the form of a clip xml data file having detailed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data. Preferably, the file describing the details of the clip may be created using other languages such as owl as well as xml.

본 발명에서는 선택된 컨텐츠의 관련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된 컨텐츠가 자동으로 분류 및 저장된다. 도 2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특정영역의 영상이 지정되어 선택되면, 선택될 당시의 관련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가 자동으로 분류 및 저장된다. 컨텐츠의 관련정보는 컨텐츠의 데이터 정보와 주변정보로 구분 될 수 있다. 먼저, 컨텐츠의 데이터 정보는 제목, 원본 데이터 URL, 제작자, 생성날짜, 카테고리, 공개권한, 사용자 메모, 유효기간, GPS 정보, 데이터 요약, 클립이 수행된 애플리케이션 정보, 클립 바이너리 데이터 종류, 썸네일 이미지 크기 및 표시 위치와 같이 해당 데이터와 관련된 부가정보 중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컨텐츠의 관련정보 중에서, 사용자 메모를 제외하고는 사용자에 의하여 컨텐츠가 선택될 때, 휴대용 단말기에 자동 입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컨텐츠를 검색하던 중, 클립하고 싶은 웹 페이지 전체나 일부, 특정의 사진 및 동영상등을 발견했을 때, 영역을 지정하여 선택되면 휴대용 단말기에 컨텐츠 관련정보가 자동 저장된다. 예를 들면, 도 2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 중 컨텐츠를 검색하던 중, 평소 사용자가 좋아하는 배우가 출연하는 영화 예고편을 검색했다고 가정하자. 개봉영화의 예고편 영상 중, 사용자가 좋아하는 배우가 클로즈업된 영상을 선택하면, 영화라는 카테고리에 “MY BLUEBERRY NIGHTS”라는 제목으로 기재되고, GPS 위성으로부터 GPS 위치정보를 수신한 지역인 “서울시 강남구 신사동 가로수길”이라는 GPS 정보가 저장된다. 그 이외에 동영상을 제작한 제작자와 해당 동영상을 생성한 날짜, 공개권한, 유효기간, 데이터 요약, 클립이 수행된 애플리케이션 정보, 클립 바이너리 데이터 종류 및 썸네일 이미지 크기 및 표시위치 등의 관련정보가 자동으로 저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메모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경우에 입력되며, 또한 사용자는 관련정보 등이 마음에 들지 않는 경우,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만약 관련정보가 직접 입력된 경우에는 자동 입력된 관련정보는 선택된 컨텐츠의 분류 및 저장시에 반영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에 의하여 직접 입력된 관련정보는 자동 입력된 관련정보에 우선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ected content is automatically classified and stored based o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tent. As shown in FIG. 2B, when an image of a specific area is designated and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ent is automatically classified and stored using related information at the time of selectio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contents can be divided into the data information of the contents and the peripheral information. First, the data information of the content includes at least one of a title, a source data URL, a maker, a creation date, a category, a publishing right, a user comment, a validity period, GPS information, a data summary, And a display position of the data. Among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contents, when the contents are selected by the user except the user memo, the contents are automatically inpu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More specifically, when a user finds all or a part of a web page, a particular photo, a moving image or the like to be clipped while searching for the content, the content related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region is designated and selec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b), assume that a user searches for a movie trailer in which a user's favorite actor appears while searching for content on the move. If a user's favorite actor selects a close-up image of the trailer of the opened movie, the title "MY BLUEBERRY NIGHTS" is listed in the category of movie, and the area where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GPS satellite " &Quot; boulevard road " is stored. In addition, relevant information such as the date of creation of the video, the right of disclosure, the expiration date, the data summary, the application information on the clip, the type of clip binary data, and the thumbnail image size and display position are automatically stored do.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emo is entered when the user directly inputs the memo, and the user can directly input the memo if the user does not like the related information or the like. If the related information is directly input, the automatically input related information is not reflected in the classification and storage of the selected contents. That is, the related information directly input by the user takes priority over the automatically input related information.

선택된 컨텐츠는 주변정보를 이용하여 분류 및 저장될 수도 있다. 선택된 컨텐츠의 관련정보 중 주변정보는 컨텐츠의 메타데이터 정보, 텍스트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정보는 속성정보라고도 하는데, 대량의 정보 가운데에서 찾고 있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찾아내서 이용하기 위해 일정한 규칙에 따라 컨텐츠에 대하여 부여되는 데이터이다. 메타데이터에는 컨텐츠의 위치와 내용, 작성자에 관한 정보, 권리 조건, 이용 조건, 이용 내력 등이 기록되어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자기가 원하는 특정 데이터(정보)를 검색엔진 등으로 쉽게 찾아낼 수 있다. 영화의 한 신에서 나오는 배우의 데이터를 추출하거나 축구 시합의 비디오에서 골인 장면만을 뽑아낼 수 있고, 또 자료들을 편집할 수 있는 것도 메타데이터의 기능이다. 이러한 메타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가 자동으로 분류 및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타데이터 정보에는 해당 파일의 사이즈나 크기도 기록되어 있어, 저장된 컨텐츠를 사이즈나 크기별로 분류할 수도 있다. The selected contents may be classified and stored using peripheral information. Among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tents, the peripheral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metadata information of the contents, text information, and information inputted by the user. Metadata information is also referred to as attribute information, and is data that is given to a content according to a certain rule in order to efficiently find and use the information found in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The metadata includes the location and content of the content, information on the creator, rights conditions, usage conditions, usage history,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user can easily find the specific data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using the metadata by a search engine or the like. It is also a function of metadata to be able to extract the actor's data from a god of the movie, extract only the goal-scene from the video of the soccer game, and edit the data. The contents can be automatically classified and stored using the metadata information. Also, the size and size of the corresponding file are recorded in the metadata information, and the stored contents can be classified by size and size.

데이터의 자동분류 및 저장의 또 다른 예로 텍스트 정보를 이용하는 예를 들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영역을 지정하여, 선택할 당시에 웹 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는 주변 텍스트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예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좋아하는 영화배우가 클로즈업된 동영상을 선택하면, 동영상 주변에 영화제목, 영화사, 감독, 주연배우 및 조연배우의 이름, 상영시간, 상영 영화관, 영화가 소개된 웹 사이트 주소 등을 이용하여 분류 및 저장될 수 있다. 예들 들면, 동영상이 등재되어 있는 웹 페이지 주변에 다음과 같은 텍스트가 기재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제목 : 달콤한 인생, 감독 : 김지운, 장르 : 액션, 주연배우 : 이병헌, 조연배우 : 김뢰하, 상영시간 : 120분, 상영영화관 : CGV, 영화가 소개된 웹 사이트 주소 : http://WWW.A BITTERSWEETLIFE.com”. 평소 이병헌을 좋아하는 사용자가 예고편 동영상을 선택한 경우, 영화라는 가장 큰 카테고리에, 이병헌이라는 또 다른 작은 카테고리로 자동 입력된다. 세부사항으로 달콤한 인생이라는 제목, 김지운이라는 감독, 장르에는 액션, 상영시간은 120분, 상영관은 CGV, 관련 웹 사이트 주소는 http://WWW.A BITTERSWEETLIFE.com으로 자동 입력된다. 따라서, 주변정보 중 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컨텐츠를 자동 분류 및 저장할 수 있다. Another example of automatic classification and storage of data is the use of text information. The user can designate a specific area and use the surrounding text information written on the web page at the time of selection. In other words, as described above, when a user's favorite movie actor selects a close-up movie, a movie title, a movie director, a director, a name of a leading actor and supporting actor, a running time, a movie theater, And can be classified and stored using a web site address or the like. For example, suppose you have the following text around a web page that contains a video. "Title: Sweet Life, Director: Kim Jiwoon, Genre: Action, Starring actor: Lee Byung Hun, Assistant actress: Kim Dong Ha, Running time: 120 minutes, Screened movie theater: CGV, Website of the film was introduced at http: //WWW.A BITTERSWEETLIFE.com ". If a user who likes Lee Byung Hun usually selects a trailer video, it is automatically entered into the largest category of movies and another small category of Lee Byung Hun. Details include the title Sweet Life, director Kim Ji-woon, action for genre, 120 minutes for screening, CGV for theaters, and http: //WWW.A BITTERSWEETLIFE.com. Accordingly, the selected content can be automatically classified and stored using the text information among the peripheral information.

주변정보를 이용하는 또 다른 예로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정보가 있다. 상술한 메타데이터 정보나 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입력된 정보가 사용자의 마음에 들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직접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텍스트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과도하게 발생하는 단어와, 빈도수가 낮은 단어들이 자동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화 예고편에 등장한 주연배우가 마음에 들어 선택하였지만, 동영상 주변의 텍스트 정보에는 영화나 배우와 전혀 관계없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거나, 과도하게 많은 단어들이 기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와 맞지 않게 전혀 다른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음식점에서 촬영한 배우의 동영상이 기재되어 있는 경우, 음식점 상호, 관련음식 등이 기재되어 있다면, 사용자는 동영상 속의 배우에 관심이 있어 영화 카테고리에 저장하고 싶었지만, 음식에 관한 카테고리에 저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동 입력된 주변 텍스트의 내용을 삭제하고, 사용자는 직접 영화와 관련된 내용을 입력하여 선택한 동영상을 영화 카테고리로 분류 및 저장할 수도 있다. Another example of using peripheral information is information entered manually by the user. If the information automatically input using the above-described metadata information or text information does not appeal to the user, the user can directly input the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when text information is used, words that occur excessively and words that have a low frequency can be automatically input. For example, although the main actor who appeared in a movie trailer was chosen and liked, if the text information around the video contains conten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movie or the actor, or if an excessive number of words are described, Because they can be classified into entirely different categories. In other words, if the video of the actor filmed at the restaurant is described, the reciprocal of the restaurant, the related food, etc. are described, the user is interested in the actor in the movie and wants to store it in the movie category, It is because. Accordingly, the content of the automatically inputted surrounding text is deleted, and the user can directly input the contents related to the movie and sort and store the selected movie into the movie category.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개봉영화의 영상이 클립되는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동영상 뿐만 아니라 재생 중의 음원의 경우에도 선택된 시점을 기준시점으로 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기 설정된 임의의 시간이 저장됨은 물론이다. It is needless to say that an arbitrary time predetermined by the user is stored as the reference time point, not only in the moving picture but also in the case of the sound source during reproduction,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a) 및 도 3의(b)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 바이너리 데이터(clip binary data)와 xml 데이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a)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 바이너리 데이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3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후에 클립 바이너리 데이터가 저장되는 파일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하여 특정영역이 선택되어 클립이 수행되면, 클립된 컨텐츠는 클립 바이너리 데이터와 xml 데이터 형태로 저장된다. 이중 클립 바이너리 데이터는 확장자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의 종류를 파악할 수는 없다. 그러나, xml 테이터에는 해당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담겨져 있으므로, xml 데이터를 통해서 해당 데이터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3 (a) and 3 (b) are diagrams showing one embodiment of clip binary data and xml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 shows an embodiment of clip binary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a) of FIG. 3, a file in which clip binary data is stored after being selected is shown. More specifically, when a specific region is selected by a user and a clip is performed, the clipped contents are stored in the form of clip binary data and xml data. Since double clip binary data does not have an extension, the kind of data can not be grasped. However, since the xml data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data, the type of the data can be grasped through the xml data.

도 3의(b)는 xml 데이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3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데이터에 대한 세부 정보를 가지는 파일은 클립 xml 데이터 형태로 저장된다. 클립의 세부정보를 기술하는 파일은 xml 뿐만 아니라 owl 등 다른 언어를 이용하여 작성될 수도 있다. 세부 정보는 제목, 원본 데이터 URL, 제작자, 생성날짜, 카테고리, 공개권한, 사용자 메모, 유효기간, GPS 정보, 데이터 요약, 클립이 수행된 애플리케이션 정보, 클립 바이너리 데이터 종류, 썸네일 이미지 크기 및 표시 위치와 같이 해당 데이터와 관련된 부가정보 중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세부정보 중 일부의 값은 선택할 때 단말기에 의해 자동으로 입력되고, 사용자가 원할 경우 단말기에 의해 자동으로 입력된 값을 포함한 전체 정보에 대해 사용자가 수정하거나 상세히 입력할 수 있다.FIG. 3B is a diagram showing one embodiment of xml data. As shown in FIG. 3B, a file having detailed information on the data is stored in the form of clip xml data. The file describing the details of the clip may be written in other languages such as owl as well as xml. The detailed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a title, a source data URL, a creator, a creation date, a category, a publishing right, a user comment, a validity period, GPS information, a data summary, application information in which a clip is performed, a clip binary data type,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data. Preferably, the value of some of the detailed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input by the terminal when the user selects it, and the user can modify or input the entire information including the value automatically input by the terminal if the user desires.

도 4의(a) 내지 도 4의(d)는 본 발명에 따른 생성된 클립을 소비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각각의 클립된 컨텐츠는 바이너리 데이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자체만으로도 사용자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택되어 기 저장된 컨텐츠는 특정 기준에 따라 각각 저장되어 있는데, 도 4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클립된 컨텐츠가 이미지 파일 형태로 캡처되어 표시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제목과 클립된 시간 등과 같은 세부정보가 이미지 파일 형태와 함께 표시되어 있어, 사용자는 본인이 소비하기 원하는 특정의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도 4의(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특정의 데이터가 선택되면, 선택된 해당 데이터에 대한 세부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의(b)는 선택된 데이터(사진 등)를 소비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4의(c)는 선택된 데이터의 세부정보를 소비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4의(c)에는 선택된 데이터의 세부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즉, 클립된 사진 등의 제목과 분류기준(패션), 사진이 기재된 웹 사이트의 주소와 해당 브랜드의 역사 및 클립된 사진 등에 대한 코멘트 등이 표시되어 있다. 도 4의(d)는 클립된 데이터의 세부정보를 설명하는 xml 데이터 안에 클립의 원본 URL정보가 존재할 경우에 원본 웹 페이지로 접속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c)의 세부정보 중에서, 클립된 사진의 개재된 원본 URL정보가 존재할 경우, 해당 정보를 선택하는 경우 원본 사진이 개재된 웹 사이트로 접속이 가능함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s 4 (a) through 4 (d) illustrate an embodiment for consuming generated clip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Since each of the clipped contents has binary data, it alone provides enough information to the user. More specifically, the previously stored contents are respectively stored according to a specific criterion. As shown in FIG. 4 (a), each of the clipped contents is captured and displayed in the form of an image file. In addition,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the title and the clipped time ar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image file type so that the user can select specific data that he or she wants to consume. 4 (b) and 4 (c), when specific data is selected by the user, detailed information on the selected corresponding data can be confirmed. More specifically, FIG. 4B shows a case of consuming selected data (photographs and the like), and FIG. 4C shows a case of consuming detaile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data. Referring to FIG. 4C, detaile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data is displayed in FIG. 4C. In other words, the title of the clipped photograph, the classification standard (fashion), the address of the website on which the photograph is written, the history of the brand, and a comment on the clipped photograph are displayed. 4 (d)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original web page is accessed when the original URL information of the clip exists in the xml data describing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lipped data. As shown in FIG. 4 (d), if the original URL information of the clipped picture exists among the detailed information of FIG. 4 (c), when the information is selected, Connection is possible.

도 5의(a) 및 도 5의(b)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와 등록된 친구들로부터 클립된 데이터를 공유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주도 여행에 관한 클립된 데이터를 검색하면, 제주도 여행과 관련된 클립된 데이터가 제목별, 날짜별 등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이후, 기 등록된 친구들의 데이터를 소비하고 싶으면, 도 5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구의 클립된 데이터를 검색하고 관심이 있는 데이터를 선택하면, 선택한 데이터의 사진이나 동영상을 소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클립한 데이터를 자신의 단말기에 저장하고, 저장한 데이터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전송된 데이터는 서버에서 자동으로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터된 데이터는 다시 여러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각각의 단말기에서 전송받게 된다. 즉, 서버는 사용자와 등록된 친구들의 클립 중, 동일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클립들을 검색하여 제공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친구들이 클립한 제주도 여행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받고 싶으면, 해당 카테고리(제주도 여행)를 선택하면, 친구들의 제주도 여행에서 클립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소비할 수 있는 것이다. Figures 5 (a) and 5 (b) illustrate one embodiment of sharing clipped data from a user and registered buddi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a), when the user searches for clipped data related to travel to Jeju Island, the clipped data related to travel to Jeju Island is displayed by title, date, and the like. Then, if it is desired to consume the data of the pre-registered friends, as shown in FIG. 5 (b), if a user searches for clipped data of a friend and selects data of interest, have. More specifically, the user may store the clipped data in his / her terminal, and may transmit the stored data to the server at the user's selection. The data thus transmitted is automatically updated by the server, and the updated data is received from each terminal again by a request of a plurality of users. That is, the server searches for clips corresponding to the same category among the clips of the user and the registered friend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f the user wishes to receive the data related to the travel of the Jeju Island clipped by the friends, if the user selects the category (Jeju Island Travel), the data clipped by the friends traveling on the Jeju Island can be transmitted and consumed.

상술한 카테고리의 판단기준은 카테고리의 동일성 뿐만 아니라, 클립되어 보유하고 있는 부가정보 중, GPS 정보의 유사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클립된 데이터가 제주도 지역에서 저장되었다면, 부가정보 중에서, GPS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친구들이 저장한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주도 여행이라는 카테고리를 검색할 뿐만 아니라, GPS 정보 중에서 제주도에 관한 GPS 위치정보를 검색하여, 관련정보를 소비할 수도 있다. The above-described criteria for the categories may be not only the identities of the categories but also the similarity of the GPS information amo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held in the clip. More specifically, if the clipped data is stored in the Jeju Island area, the user can receive data stored by the friends using the GPS information from the additional information. That is, the user can search not only the category of travel to Jeju Island but also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about Jeju Island from the GPS information and consume related informa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데이터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클립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특정의 웹 사이트를 검색하던 중, 클립하여 저장하고 싶은 사진이나 동영상 또는 음원 등을 발견한 경우, 클립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게 되면, 클립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실행된다(601). 이후, 사용자가 클립을 원하는 특정영역을 지정하여 클립을 수행하게 된다. 즉, 사용자에 의하여 컨텐츠의 특정영역이 선택된다(602). 보다 구체적으로는 클립을 원하는 데이터를 발견하면, 클립 버튼을 누름으로 클립을 실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립 버튼을 누르는 행위는 UI icon을 선택하는 방법이나,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등과 같은 방법 등으로 사용자의 클립 의도를 전달할 수 있는 행위로 대체 사용이 가능하다. 세부적인 영역지정은 사용자가 입력도구를 이용하여 지정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입력도구를 이용하여 클립하고자 하는 영역을 드래그(drag)하여 실행할 수 있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lip method based on content data inform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if a user finds a picture, a moving image, a sound source, or the like to be clipped while searching for a specific web site, if an application providing the clip function is selected, (601). Thereafter, the user designates a specific area desired to clip and performs the clip. That is, a specific region of the content is selected by the user (602). More specifically, if data to be clipped is found, clipping can be performed by pressing the clip button. Preferably, the act of pressing the clip button can be used as a method of selecting a UI icon or transmitting a user's clip intention through a method such as a gesture recognition using a sensor or the like. The detailed area designation can be designated by the user using an input tool. Preferably, the area to be clipped can be dragged by using the input tool.

사용자가 클립을 원하는 특정영역을 지정하여 클립이 수행되었으면, 클립 바이너리 데이터와 xml 데이터가 생성된다(603). 보다 구체적으로 클립하려는 데이터가 웹 페이지나 사진 등과 같은 스태틱 데이터일 경우, 사용자가 지정한 영역이 이미지 파일 형태로 캡처되어 클립 바이너리 데이터로 저장된다. 데이터가 동영상이나 재생 중인 음원과 같은 다이나믹 데이터일 경우에는 특정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선택 당시를 기준시점으로 기준시점 전후 임의의 시간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클립 바이너리 데이터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데이터에 대한 세부정보를 가지는 파일을 클립 xml 데이터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립의 세부정보를 기술하는 파일은 xml 뿐 아니라 owl 등 다른 언어를 이용하여 작성될 수도 있다. When the clip is performed by designating a specific area desired by the user, clip binary data and xml data are generated (603). More specifically, when the data to be clipped is static data such as a web page or a photograph, the area designated by the user is captured as an image file and stored as clip binary data. When the data is dynamic data such as a moving image or a sound source being reproduced, a specific time may be set in advance, and data for a time zone before and after the reference time point may be stored as clip binary data. In addition, a file having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data can be stored as clip xml data. Preferably, the file describing the details of the clip may be created using other languages such as owl as well as xml.

이후, 선택받은 컨텐츠의 데이터 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할지 질의한다(604). 질의과정(604)에서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정보를 입력받으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 정보와 자동 입력된 데이터 정보 및 자동 입력된 주변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받은 컨텐츠를 분류한다(606). 컨텐츠 데이터 정보는 제목, 원본 데이터 URL, 제작자, 생성날짜, 카테고리, 공개권한, 사용자 메모, 유효기간, GPS 정보, 데이터 요약, 클립이 수행된 애플리케이션 정보, 클립 바이너리 데이터 종류 및 썸네일 이미지 크기 및 표시위치와 같이 해당 데이터와 관련된 부가정보 중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컨텐츠의 관련정보 중에서, 사용자 메모를 제외하고는 사용자에 의하여 컨텐츠가 선택될 때, 휴대용 단말기에 자동입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컨텐츠를 검색하던 중, 클립하고 싶은 웹 페이지 전체나 일부, 특정의 사진 및 동영상 등을 발견했을 때, 영역을 지정하여 선택되면 휴대용 단말기에 컨텐츠 관련정보가 자동 저장된다. 컨텐츠 데이터 정보 중 사용자 메모는 자동 입력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하여 직접 입력된다. 또한, 사용자는 컨텐츠 데이터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Then, the user inputs data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tent (604). In operation 604, when data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user, the selected content is classified using the data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he automatically input data information, and the automatically input peripheral information in operation 606. The content data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title, a source data URL, a producer, a creation date, a category, a publishing right, a user memo, an expiration date, GPS information, a data summary, application information in which a clip is performed, a clip binary data type and a thumbnail image size,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data. Among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contents, when the contents are selected by the user except the user memo, the contents are automatically inpu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More specifically, when a user finds all or a part of a web page, a particular photo, a moving image or the like to be clipped while searching for the content, the content related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region is designated and selected. Of the content data information, the user memo is not automatically input but directly input by the user. In addition, the user may directly input the content data information.

만약, 사용자에 의하여 컨텐츠 데이터 정보가 직접 입력된다면, 직접 입력된 컨텐츠 데이터 정보가 자동 저장된 데이터 정보에 우선된다. 만약 상술한 질의과정(604)에서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정보를 입력받지 못하면, 자동 입력된 데이터 정보 및 자동 입력된 주변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컨텐츠를 분류하게 된다(607). 주변정보로는 선택된 컨텐츠의 메타데이터 정보, 텍스트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f the content data information is directly input by the user, the directly input content data information takes priority over the automatically stored data information. If data information is not input from the user in the above-described inquiry process 604, the selected content is classified using the automatically input data information and the automatically input peripheral information (607). The peripheral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metadata information of selected contents, text information, and information inputted by a user.

선택된 컨텐츠가 분류되었으면, 분류된 컨텐츠를 저장하여 클립이 완료된다(608). 컨텐츠가 단말기에 저장되었으면, 휴대용 단말기는 클립 시 서버로 싱크하는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판단한다(608). 보다 구체적으로 매번 클립할 때마다 휴대용 단말기가 사용자에게 서버로 전송할지 질의를 통해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지만, 미리 설정된 값에 의해 서버로 자동 전송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클립 시 매번 자동으로 서버로 전송하게 하거나, 주기적으로 서버에 전송하게 하거나, 정해진 시간에 서버로 전송하게 하거나, 특정 조건이 만족될 때 서버로 전송하게 할 수 있다. 즉, 주기적으로 서버에 전송한다는 것은 클립된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1시간마다 서버로 전송하게 할 수 있고, 정해진 시간에 서버로 전송한다는 것은 매일 24시에 서버로 전송하게 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특정조건이 만족될 때 서버로 전송한다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WiFi)가 연결된 상태에서만 서버에 전송하게 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If the selected content is classified, the classified content is stored and the clip is completed (608). If the content is stored in the terminal,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function of sinking to the server is activated (608). More specifically, each time the clip is clipped,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through a query or a server to the user, but may be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serv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valu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transmit the data to the server every time it is clipped, periodically transmit the data to the server, transmit the data to the server at a predetermined time, or transmit the data to the server when certain conditions are satisfied. That is, the periodic transmission to the server means that the clipped data can be stored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every hour, and the transmission to the server at a predetermined time means that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at 24 hours every day. The transmission to the server when the specific condition is satisfied means that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only when the WiFi is connected.

앞선 판단과정(608)에서, 서버로 싱크하는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클립된 컨텐츠를 서버로 송신하면 모든 과정이 종료하게 된다. 만약, 판단과정(608)에서, 서버로 싱크하는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서버로 클립된 컨텐츠가 서버로 송신되지 않고, 바로 종료함은 물론이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608 that the function of sinking to the server is activated, all the processes are terminated when the clipped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608 that the function of sinking to the server is not activated,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content clipped to the server is not transmitted to the server but immediately terminat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데이터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클립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데이터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클립장치는 제어부(701), 결정부(702), 분류부(703), GPS 모듈(704), 통신모듈(705), 입력부(706), 표시부(707) 및 저장부(70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lip device based on content data inform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he clip device based on the content data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701, a determining unit 702, a classifying unit 703, a GPS module 704, An input unit 705, an input unit 706, a display unit 707, and a storage unit 708.

제어부(701)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는 결정부(702), 분류부(7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701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a determination unit 702 and a classification unit 703 may be included.

결정부(702)는 제어부(701) 내에 구비되어 컨텐츠를 클립하고, 데이터 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할지 질의한다. 예를 들면, 특정의 컨텐츠를 선택하고, 컨텐츠의 전체 또는 일부 영역을 선택하며, 선택받은 컨텐츠의 데이터 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할지 질의하며, 저장된 컨텐츠가 서버로 송신되도록 기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또한, 서버로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를 요청하고, 기 설정된 다른 휴대용 단말기로, 다른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휴대용 단말기와 동일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요청한다. The determination unit 702 is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701 to clip the content, and queries whether the user inputs data information. For example, the user selects a specific content, selects all or a part of the content, inquires whether the user inputs data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tent, and determines whether the stored content is set to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In addition, the server requests contents stored in the server, and requests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ame category as the portable terminal stored in another portable terminal with another predetermined portable terminal.

분류부(703)는 선택된 컨텐츠를 자동으로 분류한다. 예를 들면, 선택받은 컨텐츠의 관련정보를 분석하여, 선택받은 컨텐츠를 분류하고, 선택된 컨텐츠의 데이터 정보 및 주변정보를 분석한다. 또한, 데이터 정보를 입력받으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 정보, 자동 입력된 데이터 정보 및 컨텐츠의 주변정보를 분석하여 선택받은 컨텐츠를 분류하고, 데이터 정보를 입력받지 못하면, 자동 입력된 데이터 정보 및 컨텐츠의 주변정보를 분석하여 선택받은 컨텐츠를 분류한다. The classifying unit 703 automatically classifies the selected contents. For example,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tent is analyzed, the selected content is classified, and the data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tent are analyzed. In addition, upon receipt of the data information, the selected content is analyzed by analyzing the data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he automatically input data information, and the peripheral information of the content, and if the data information is not received, And analyzes the surrounding information to classify the selected content.

GPS 모듈(704)은 컨텐츠가 클립될 당시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카테고리의 부가정보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립된 데이터가 제주도 지역에서 저장되었다면, 부가정보 중에서, GPS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친구들이 저장한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주도 여행이라는 카테고리를 검색할 뿐만 아니라, GPS 정보 중에서 제주도에 관한 GPS 위치정보를 검색하여, 관련정보를 소비할 수도 있다. The GPS module 704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t the time the content is clipped, and can be used for the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category. For example, if the clipped data is stored in the Jeju Island area, the user can receive the data stored by the friends using the GPS information from the additional information. That is, the user can search not only the category of travel to Jeju Island but also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about Jeju Island from the GPS information and consume related information.

통신모듈(705)은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해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면, 저장된 컨텐츠를 서버로 송신되도록 기 설정되어 있다면, 기 설정된 형태에 따라, 컨텐츠를 서버로 송신하고, 컨텐츠가 저장될 때마다 컨텐츠를 서버로 전송하고, 기 설정된 시간마다 서버로 전송하며, 기 설정된 조건마다 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다른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동일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수신받고, 기 설정된 다른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와 동일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요청받고, 다른 휴대용 단말기로 동일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송신한다. The communication module 705 processes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via an antenna for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For example, if the stored contents are set to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the contents are transmitted to the serv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form, the contents are transmitted to the server each time contents are stored,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every predetermined time ,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every predetermined condition. Also, the portable terminal receives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ame category from another portable terminal, receives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ame category as the portable terminal from another predetermined portable terminal, and transmits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ame category to the other portable terminal.

입력부(706)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701)로 제공한다. 예를 들면, 클립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클립기능을 실행하는 명령을 입력받는다. The input unit 706 provides the control unit 701 with input data generated by the user's selection. For example, when an application providing the clip function is executed, a command for executing the clip function is input.

표시부(707)는 제어부(701)의 제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 정보, 메뉴 화면 및 스토리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707)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707 displays status information, a menu screen, and story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701.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707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저장부(708)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류된 컨텐츠를 저장하고, 선택된 컨텐츠가 음원이나 동영상 데이터인 경우, 데이터가 선택된 시점에서 전후 기 설정된 임의의 시간 동안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The storage unit 708 may include a program storage unit for storing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data generated during program execution. For example, the classified contents are stored, and when the selected contents are sound source or moving picture data, data f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and after the selected time is stored.

상술한 블록 구성에서, 제어부(701)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실제로 제품을 구현하는 경우에 단말기의 기능 모두를 제어부(701)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기능 중 일부만을 제어부(701)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the above-described block configuration, the controller 701 can perform an overall function of the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se are separately constructed and described in order to describe each function separately. Therefore, when the product is actually implemented, the control unit 701 may process all the functions of the terminal, or the control unit 701 may process only a part of the functions.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and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20)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에 있어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결합된(operatively coupled to)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안에서(within) 웹 페이지(webpage)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객체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웹 페이지를 보여주기(represent) 위한 이미지 파일 및 마크 업 언어 파일을 클리핑 데이터로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마크 업 언어 파일은,
상기 클리핑 데이터를 실행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에 의해 보여지는 상기 웹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1 정보, 상기 클리핑 데이터를 실행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클리핑 데이터와 관련하여 수신된 사용자 메모를 표시하기 위한 제2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메모를 수신하기 위해 이용되었던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identification information)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클리핑 데이터를 실행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정보,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에 의해 보여지는 상기 웹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메모와 함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안에서 표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메모가 수신되었던 상태로 복원된(restored) 상기 웹 페이지를 보여주는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더 설정되는 전자 장치.
In an electronic device,
A memory for storing instructions;
display; And
A processor operatively coupled to the memory and the display, the processor comprising: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a webpage within a user interface of an application stored in the electronic device via the display,
In response to receiving an input for an object provided by the user interface being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to obtain an image file and a markup language file as clipping data for representing the web page, Is set to execute the stored instructions,
The markup language file includes:
A first information for displaying the web page viewed by the image file in response to executing the clipping data, a second information for displaying the user note received in connection with the clipping data in response to executing the clipping data Second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that has been used to receive the user memo,
The processor comprising:
In response to receiving an input for executing the clipping data, associating the web page shown by the image file based on the first information, the second information, Wherein the user is further configured to execute the stored instructions to provide content showing the web page restored to the state in which the user memo was received by displaying within the interf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크 업 언어 파일은,
상기 웹 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대한 제3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3 정보에 더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메모가 수신되었던 상태로 복원된 상기 웹 페이지를 보여주는 상기 콘텐트와 함께 상기 URL을 나타내는 실행 가능한(executable) 객체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The markup language fil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ird information on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of the web page,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an e-mail server configured to execute the stored instructions to provide an executable object representing the URL with the content showing the web page restored to the state in which the user memo was received based further on the third information. Devi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행 가능한 객체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웹 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해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And responsive to receiving an input to the executable object, to execute the stored instructions to connect to the web pag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크 업 언어 파일은,
상기 웹 페이지의 타이틀에 대한 제4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The markup language file according to claim 1,
And fourth information about a title of the web pag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이미지 파일과 상기 마크 업 언어 파일을 다른 전자 장치와 공유하기 위한 객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1,
And an object for sharing the image file and the markup language file with another electronic devic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 파일과 상기 마크 업 언어 파일을 상기 다른 전자 장치와 공유하기 위한 상기 객체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마크 업 언어 파일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더 설정되는 전자 장치.
6. The apparatus of claim 5,
In response to receiving an input for the object to share the image file and the markup language file with the other electronic device, sending information about the image file and information about the markup language file to the other electronic device And to execute the stored instructions for transmission to the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객체에 대한 상기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 및 상기 마크 업 언어 파일과 함께 상기 콘텐트를 구성하기 위한 파일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The system of claim 1,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input for the object provided by the user interface being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to obtain a file for constructing the content with the image file and the markup language file An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execute stored instructions.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를 동작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안에서(within) 웹 페이지(webpage)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는 동작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객체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웹 페이지를 보여주기(represent) 위한 이미지 파일 및 마크 업 언어 파일을 클리핑 데이터로 획득하는 것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마크 업 언어 파일은,
상기 클리핑 데이터를 실행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에 의해 보여지는 상기 웹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1 정보, 상기 클리핑 데이터를 실행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클리핑 데이터와 관련하여 수신된 사용자 메모를 표시하기 위한 제2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메모를 수신하기 위해 이용되었던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identification information)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클리핑 데이터를 실행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정보,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에 의해 보여지는 상기 웹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메모와 함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안에서 표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메모가 수신되었던 상태로 복원된(restored) 상기 웹 페이지를 보여주는 콘텐트를 제공하는 것을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A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the display of at least a portion of a webpage within an application of an application stored in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a display of the electronic device;
In response to receiving an input for an object provided by the user interface being displayed via the display, controlling the obtaining of the image file and the markup language file as clipping data for representing the web page , ≪ / RTI >
The markup language file includes:
A first information for displaying the web page viewed by the image file in response to executing the clipping data, a second information for displaying the user note received in connection with the clipping data in response to executing the clipping data Second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that has been used to receive the user memo,
The method comprises:
In response to receiving an input for executing the clipping data, associating the web page shown by the image file based on the first information, the second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controlling to provide content showing the web page restored to the state in which the user memo was received by displaying in the interfac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마크 업 언어 파일은,
상기 웹 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대한 제3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메모가 수신되었던 상태로 복원된 상기 웹 페이지를 보여주는 상기 콘텐트를 제공하는 것을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제3 정보에 더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메모가 수신되었던 상태로 복원된 상기 웹 페이지를 보여주는 상기 콘텐트와 함께 상기 URL을 나타내는 실행 가능한(executable) 객체를 제공하는 것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third information on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of the web page,
And controlling the providing of the content showing the restored web page to the state in which the user memo was received,
And controlling to provide an executable object representing the URL with the content showing the web page restored to the state in which the user memo was received based further on the third information.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실행 가능한 객체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것을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Responsive to receiving an input to the executable object, controlling accessing the web pag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마크 업 언어 파일은,
상기 웹 페이지의 타이틀에 대한 제4 정보를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And fourth information about a title of the web pag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이미지 파일과 상기 마크 업 언어 파일을 다른 전자 장치와 공유하기 위한 객체를 제공하는 방법.
The system of claim 8,
And to share the image file and the markup language file with another electronic devic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파일과 상기 마크 업 언어 파일을 상기 다른 전자 장치와 공유하기 위한 상기 객체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마크 업 언어 파일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는 것을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In response to receiving an input for the object to share the image file and the markup language file with the other electronic device, sending information about the image file and information about the markup language file to the other electronic device Lt; RTI ID = 0.0 > a < / RTI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파일 및 상기 마크 업 언어 파일을 획득하는 것을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객체에 대한 상기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 및 상기 마크 업 언어 파일과 함께 상기 콘텐트를 구성하기 위한 파일을 획득하는 것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act of controlling obtaining the image file and the markup language file comprises: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input for the object provided by the user interface being displayed via the display, control to obtain a file for configuring the content with the image file and the markup language file Lt; / RTI >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들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들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안에서(within) 웹 페이지(webpage)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객체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웹 페이지를 보여주기(represent) 위한 이미지 파일 및 마크 업 언어 파일을 클리핑 데이터로 획득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고,
상기 마크 업 언어 파일은,
상기 클리핑 데이터를 실행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에 의해 보여지는 상기 웹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1 정보, 상기 클리핑 데이터를 실행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클리핑 데이터와 관련하여 수신된 사용자 메모를 표시하기 위한 제2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메모를 수신하기 위해 이용되었던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identification information)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들은,
상기 클리핑 데이터를 실행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정보,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에 의해 보여지는 상기 웹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메모와 함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안에서 표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메모가 수신되었던 상태로 복원된(restored) 상기 웹 페이지를 보여주는 콘텐트를 제공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해 더 실행되는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executable programs on a computer,
The programs,
Controlling the display of at least a portion of an application (within a user's web page)
In response to receiving an input for an object provided by the user interface, executing an image file and a markup language file for representing the web page with clipping data And,
The markup language file includes:
A first information for displaying the web page viewed by the image file in response to executing the clipping data, a second information for displaying the user note received in connection with the clipping data in response to executing the clipping data Second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that has been used to receive the user memo,
The programs,
In response to receiving an input for executing the clipping data, associating the web page shown by the image file based on the first information, the second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providing content to the web page showing the web page restored to the state in which the user memo was received by displaying in the interface.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마크 업 언어 파일은,
상기 웹 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대한 제3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들은,
상기 제3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복원된 웹 페이지와 함께 상기 URL을 나타내는 실행 가능한(executable) 객체를 제공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해 실행되는 기록매체.
16. The method of claim 15,
Further comprising third information on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of the web page,
The programs,
And providing an executable object representing the URL along with the restored web page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third information.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들은,
상기 실행 가능한 객체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해 더 실행되는 기록매체.
17.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of claim 16,
In response to receiving an input to the executable object, further controlling access to the web page.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마크 업 언어 파일은,
상기 웹 페이지의 타이틀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기록매체.
16. The method of claim 15,
Further comprising information on a title of the web page.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이미지 파일과 상기 마크 업 언어 파일을 다른 전자 장치와 공유하기 위한 객체를 제공하는 기록매체.
16. The system of claim 15,
And an object for sharing the image file and the markup language file with another electronic device.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들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객체에 대한 상기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 및 상기 마크 업 언어 파일과 함께 상기 콘텐트를 구성하기 위한 파일을 획득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해 실행되는 기록매체.
16. The system of claim 15,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input for the object provided by the user interface, obtaining a file for configuring the content with the image file and the markup language file.
KR1020180141763A 2018-11-16 2018-11-16 Clip apparatas and method for based on contents in a portable terminal KR1021547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763A KR102154785B1 (en) 2018-11-16 2018-11-16 Clip apparatas and method for based on contents in a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763A KR102154785B1 (en) 2018-11-16 2018-11-16 Clip apparatas and method for based on contents in a portable termina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643A Division KR20180030806A (en) 2018-03-14 2018-03-14 Clip apparatas and method for based on contents in a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930A true KR20180125930A (en) 2018-11-26
KR102154785B1 KR102154785B1 (en) 2020-09-10

Family

ID=64603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763A KR102154785B1 (en) 2018-11-16 2018-11-16 Clip apparatas and method for based on contents in a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78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2066A (en) * 1998-09-04 2000-03-21 Recruit Co Ltd Data base retrieval system on network equipped with scrap function by user
KR20090000204A (en) * 2007-01-31 2009-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s
KR20090089121A (en) * 2008-02-18 2009-08-2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User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ed information
US20100070501A1 (en) * 2008-01-15 2010-03-18 Walsh Paul J Enhancing and storing data for recall and use using user feedback
KR20100059553A (en) * 2008-11-26 2010-06-04 주식회사 티망고 Method and apparatus for posting and retrieving contents based on user particip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2066A (en) * 1998-09-04 2000-03-21 Recruit Co Ltd Data base retrieval system on network equipped with scrap function by user
KR20090000204A (en) * 2007-01-31 2009-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s
US20100070501A1 (en) * 2008-01-15 2010-03-18 Walsh Paul J Enhancing and storing data for recall and use using user feedback
KR20090089121A (en) * 2008-02-18 2009-08-2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User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ed information
KR20100059553A (en) * 2008-11-26 2010-06-04 주식회사 티망고 Method and apparatus for posting and retrieving contents based on user participa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양서민 외 1인."컨텐츠 제공자 지정 웹 클리핑 방식의 이동 인터넷 컨텐츠 변환".정보처리학회논문지B.2004.01.31.,제11B권,제1호,(제35면 내지 제44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4785B1 (en) 202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101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ipping and sharing content at a portable terminal
US2022006711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electronic content using video graphs
US11113230B2 (en) Media content playback with state prediction and caching
US9977835B2 (en) Queryless search based on context
US8510287B1 (en) Annotating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US9491525B2 (en) Interactive media display across devices
JP4769889B2 (en) PROGRAM SELECTION DEVICE AND PROGRAM SELECTION DEVICE CONTROL METHOD
US11520807B2 (en) Multi-application state navigation
US9699490B1 (en) Adaptive filtering to adjust automated selection of content using weightings based on contextual parameters of a browsing session
EP3142030A1 (en) Techniques and systems for supporting podcasting
EP2999228B1 (en) Mobile device, image reproducing device and server for providing relevant information about image captured by image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030047885A (e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and storing information for deferred browsing
KR20160075126A (en) Method of providing content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CN110476162B (en) Controlling displayed activity information using navigation mnemonics
CN112307315A (en) Intelligent service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KR102154785B1 (en) Clip apparatas and method for based on contents in a portable terminal
KR20180030806A (en) Clip apparatas and method for based on contents in a portable terminal
CN113553521A (en) Content searching method and device
CN113836324B (en)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electronic equipment and server
JP6549772B1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AND INFORMATION DISPLAY PROGRAM
JP5248376B2 (en) Information distribu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CN116756370A (en) Metho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searching
CN115114511A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mmending location-based digital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