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3319A -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noise between floors, and monitoring system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noise between floors, and monitoring syste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3319A
KR20180123319A KR1020170057366A KR20170057366A KR20180123319A KR 20180123319 A KR20180123319 A KR 20180123319A KR 1020170057366 A KR1020170057366 A KR 1020170057366A KR 20170057366 A KR20170057366 A KR 20170057366A KR 20180123319 A KR20180123319 A KR 20180123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type
interlayer
level
sign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3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현태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Priority to KR1020170057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3319A/en
Priority to CN201810418324.5A priority patent/CN108877834A/en
Publication of KR20180123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31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01H11/06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by electric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27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techniqu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G10L21/0216Noise filter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estimating noi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G10L21/0216Noise filter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estimating noise
    • G10L2021/02161Number of inputs available containing the signal or the noise to be suppressed
    • G10L2021/02166Microphone arrays; Beamfo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easuring an interlayer noise, capable of analyzing a noise direction and a noise type in accordance with the interlayer noise generated in a room using a plurality of microphones, and a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Noise feedback can be provided to each household by analyzing and monitoring a noise position, the noise direction, and the noise type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tion of the noise.

Description

층간소음 측정 장치 및 방법과 모니터링 시스템{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NOISE BETWEEN FLOORS, AND MONITORING SYSTEM THEREOF}[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NOISE BETWEEN FLOORS, AND MONITORING SYSTEM THEREOF [0002]

본 발명은 층간소음 측정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발생하는 층간소음에 따른 소음 방향 및 소음 종류를 분석하여 모니터링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n interlayer noise and a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analyzing and monitoring a noise direction and a noise type according to interlayer noise generated in a room using a plurality of microphones.

사회 발달에 따른 도시집중화와 인구과밀이 집중됨에 따라 빌라 및 아파트와 같이 여러 가구의 가족이 모여사는 다층구조의 건축물이 일반화되고 있다.Due to the concentration of urbanization and population overcrowding due to social development, multi-storied buildings in which families of several families such as villas and apartments are living are becoming common.

이러한, 다층구조의 건축물은 다수의 세대가 벽과 바닥을 사이에 두고 생활하는 공동주택의 특성상 층간소음으로 인한 민원이 발생하게 된다.Such a multi-storey building is complicated due to the noise of the floo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lti-family house living between the wall and the floor.

특히, 층간소음 중에서도 건축물의 바닥이나 벽체에 직접 충격이 가해짐으로써 발생하는 충격음의 경우에는 인접한 세대에 쉽게 전달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소음으로 인해 인접한 세대 구성원들의 정신적 및 육체적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이웃 간에 심각한 다툼을 초래하여 최근 들어서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In particular, among the interstory noises, in the case of an impact sound generated by direct impact on the floor or wall of a building, it is easily transmitted to adjacent households. Such noise has a negative influence on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the adjacent household members And has caused serious controversy among neighbors and has recently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조사에 따르면, 국민의 약 65%가 아파트 또는 공동주택(다층구조의 건축물)에 생활하며, 이 중 95% 이상의 거주자들이 인접한 세대에서 발생하는 층간소음으로 고통받은 경험이 있다고 한다.According to the survey, about 65% of the people live in apartments or multi-storey buildings, with over 95% of residents suffering from interstate noise from adjacent household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은 대부분의 건축물의 바닥에 층간소음을 완화시키기 위한 방진 소재 등을 적층하고, 공기층을 적절히 형성하는 완충재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었다.Most of the conventional techniques for solving such problems are for a cushioning material for appropriately forming an air layer by stacking a vibration proof material or the like for alleviating the interlayer noise on the floor of most buildings.

그러나, 층간소음을 완화시키는 완충재 만으로는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데 한계가 존재하였다. However, there is a limit to effectively block interlayer noise with a buffer material that mitigates interlayer noise.

이에 정부는 신축 주택에 대한 층간소음 차단성능 기준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층간소음 피해에 대한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등, 층간소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다만, 층간소음으로 인한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 실제 발생한 소음을 측정 및 기록하여 제출해야 하나 피해를 입증할 만한 명확한 근거를 마련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Therefore, the government not only strengthens the performance standards for interlayer noise isolation for newly built houses, but also strives to solve the interlayer noise problem by reinforcing the punishment rules for the noise damages between the floors. However, when a dispute arises due to interstory noise, it is necessary to measure and record the actually generated noise, but it is difficult to provide clear grounds for proving the damage.

특히, 고체 전달음이 주요 원인이 되는 층간소음의 특성상 가해 세대와 피해 세대는 수직적으로 직접 맞닿아 있는 세대가 아닐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뚜렷한 해결점 없이 층간소음 피해 세대와 상부 세대간에 불필요한 분쟁만 야기되는 상황이 발생하므로 층간소음 피해 발생 시(민원 발생 시), 층간소음 발생 세대를 도출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Especiall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layer noise, which is the main cause of the solid propagation noise, the generation and the victim generation may not b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vertically. In this case, unnecessary disputes between the generation and the generation of the floor noise are caused without a clear solution, so a method of deriving an interlayer noise generation is required when a floor noise is generated (in case of a civil complaint).

또한, 층간소음 발생 세대로부터 발생되는 소음 레벨(데시벨, dB)뿐만 아니라, 소음 종류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It is also important to understand the type of noise as well as the noise level (decibel, dB) generated from the generation of interlayer noise.

일반적으로 층간소음은 아이들이 뛰는 소리, 발자국 소리, 화장실 물소리, 가구 이동 소리, 악기 소리, 오디오 소리 및 TV 소리 등을 총칭하여 부르는 것이므로, 보다 정확한 소음 종류를 파악하여 피해를 명확하게 입증하는 것이 보다 중요하다. Generally, the interlayer noise is generally called children's beeping sound, footstep sound, toilet sound, furniture moving sound, musical instrument sound, audio sound and TV sound, so it is better to clearly identify the type of noise It is important.

따라서, 층간소음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확보하여 층간소음 유발 세대에게 적절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층간소음으로 인한 이웃 간의 분쟁 및 민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현실적이고도 활용도 높은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realistic and highly utilizable technology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disputes and complaints from neighbors due to interlayer noise by obtaining objective data on interlayer noise and taking proper measures for interlayer noise-induced generation.

한국등록특허 제10­1561849호(2015.10.14 등록), "방향성 층간소음 측정장치 및 층간소음 추적시스템"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561849 (registered Oct. 01, 2015), "Directional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Device and Interlayer Noise Tracking System" 한국등록특허 제10­1349268호(2013.12.30 등록),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이용한 음원 거리 측정 장치"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49268 (registered on Dec. 30, 2013), "Device for Measuring Source Distance Using Microphone Array"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44456호(2015.12.28 공개), "공동 주택의 층간소음 관리 장치 및 방법"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144456 (published Dec. 28, 2015), "

본 발명의 목적은 소음 발생에 따른 소음 위치 및 소음 방향과, 소음 종류를 분석하여 모니터링함으로써, 특성 세대별로 소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층간소음 측정 장치 및 방법과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 method and a monitoring system for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capable of providing noise feedback for each characteristic generation by analyzing and monitoring noise position, noise direction and noise kind according to noise generation.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2차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소음 방향 및 소음 위치를 파악하고, 소음을 유발하는 소음 종류를 분석하여 객관적인 자료를 확보할 수 있는 층간소음 측정 장치 및 방법과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ise reduction method and a noise reduction method capable of more accurately detecting a noise direction and a noise position by using a plurality of microphones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matrix form, Apparatus and method, and a monitoring system.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상 세대(위층 또는 옆집)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측정 세대(예를 들면, 우리집 또는 사용자집)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구분하여 측정함으로써, 소음 원인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여 각 세대별로 층간소음 정도를 수치화된 값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층간소음 측정 장치 및 방법과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ore accurately analyze the cause of noise by separately measuring the noise generated in the target generation (upstairs or next house) and the noise generated in the measurement generation (for example, home or user house) A method and a monitoring system for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capable of monitoring the degree of interlayer noise by a numerical valu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측정 세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 및 모니터링하여 대상 세대(아래층)에 미치는 영향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층간소음 측정 장치 및 방법과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method and monitoring system for measuring the noise generated in a measurement generation and capable of recognizing an influence on a target generation (lower layer) by a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장치는 기판 상에 배열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마이크 어레이(array), 상기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하여 소음에 대한 소음 방향을 분석하고, 레퍼런스 테이블(reference table)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소음 종류들 중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를 추정하는 소음 분석부 및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를 추정하는 데에 실패한 경우,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을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for measuring an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crophone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microphones arranged on a substrate, a microphone array for analyzing a noise direction of noise, a reference table A noise analyzer for estimating a noise type for the noise among the plurality of noise types previously stored in the noise analyzer, and a noise analyzer for estimating a noise kind for the noise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 request to acquire the data.

상기 마이크 어레이는 상기 기판 상에 2차원(Two­dimensional)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The microphone array may include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matrix form on the substrate.

상기 마이크 어레이는 상기 기판에 형성된 IC(Integrated Circuit) 회로와 연결되어 패치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The microphone array may be connected to an integrated circuit (IC) circuit formed on the substrate to form a patch-like structure.

상기 소음 분석부는 이벤트 감지기(Event detector) 또는 소음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레벨, 소음 종류 및 소음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 The noise analyzer may estimate a noise level, a noise type, and a noise direction of the noise whe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is exceeded by using an event detector or a sound level algorithm.

상기 소음 분석부는 상기 마이크 어레이에서 획득되는 신호 데이터에 의해 웨이크업(wake­up)되며, 상기 신호 데이터 및 상기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The noise analyzer may be wakened by signal data obtained from the microphone array, and the noise level for the noise may be measured using the signal data and the arrival time of the signal data.

상기 소음 분석부는 상기 신호 데이터에 하이 패스 필터(High Pass Filter) 및 로우 패스 필터(Low Pass Filte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적용하여 층간소음의 발생 대역인 63Hz 내지 1kHz 대역에서의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The noise analysis unit may apply at least one of a high pass filter and a low pass filter to the signal data to calculate a noise level for the noise in the band of 63 Hz to 1 kHz, Can be measured.

상기 소음 분석부는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 각각에 감지되는 상기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에 기반하여 신호의 도착시간 차이(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위치 및 소음 방향을 분석할 수 있다.The noise analyzer may analyze a noise location and a noise direction of the noise through a 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algorithm based on the arrival time of the signal data detect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have.

상기 소음 분석부는 상기 신호 데이터 및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레벨을 기반으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인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을 통해 패턴화된 상기 레퍼런스 테이블에서의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를 추정할 수 있다.The noise analysis unit may estimate a noise type for the noise in the reference table patterned through machine learning, which is a data mining technique based on the signal data and the noise level for the noise.

상기 레퍼런스 테이블은 머신 러닝을 이용하여 학습된 복수의 소음 종류들을 미리 저장하여 유지할 수 있다.The reference table may previously store and maintain a plurality of learned noise types using machine learning.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음 분석부에서 상기 소음 종류를 추정하는 데에 실패한 경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레벨 및 상기 신호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If the noise analysis unit fails to estimate the noise type,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the noise level and the signal data for the noise to the external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레벨 및 상기 신호 데이터를 기반으로 머신 러닝을 통해 분석된 신규 소음 종류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레퍼런스 테이블에 상기 신규 소음 종류의 유형에 따른 패턴을 변경하거나 추가 및 삭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noise level for the noise from the external server and the new noise type analyzed through machine learning based on the signal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You can control to change, add, and delete pattern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방향 및 소음 종류와 기 설정된 층간소음 범위를 비교하여 특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외부로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방향, 소음 종류 및 소음 레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compares the noise direction and the noise type for the noise with the predetermined range of the noise level of the predetermined layer and, if the noise level exceeds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ransmits at least one of the noise direction, noise type,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은 층간소음을 측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마이크 어레이(array) ­ 여기서, 상기 마이크 어레이는 기판 상에 배열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함 ­ 를 이용하여 소음에 대한 소음 방향을 분석하고, 레퍼런스 테이블(reference table)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소음 종류들 중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를 추정하는 층간소음 측정 장치 및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를 추정하는 데에 실패한 경우,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며, 층간소음 정도를 모니터링하는 외부 서버를 포함한다.An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crophone array for measuring interlayer noise, wherein the microphone array includes a plurality of microphones arranged on a substrate, An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device for estimating a noise type for the noise among a plurality of types of noise stored in advance in a reference table, and an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device for estimating a kind of noise for the noise, Analyzes the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noise, and includes an external server that monitors the interlayer noise level.

상기 층간소음 측정 장치는 상기 기판 상에 배열된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상기 마이크 어레이, 상기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방향을 분석하고, 상기 레퍼런스 테이블(reference table)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소음 종류들 중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를 추정하는 소음 분석부 및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를 추정하는 데에 실패한 경우,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을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apparatus for analyzing noise comprises: a microphone array including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arranged on the substrate; analyzing a noise direction of the noise using the microphone array; and a plurality of A noise analysis unit for estimating a noise type for the noise among the noise types of the noise and a request for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noise type for the noise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noise type for the noise fails to be estimated,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상기 외부 서버는 상기 층간소음 측정 장치로부터 상기 신호 데이터, 상기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 및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레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머신 러닝을 통해 신규 소음 종류를 분석할 수 있다.The external server receives at least one of the signal data, the arrival time of the signal data, and the noise level for the noise from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device, and analyzes the new noise kind through machine learning.

상기 외부 서버는 상기 층간소음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레벨, 소음 방향 및 소음 종류를 기반으로 각 세대별 층간소음 정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The external server may monitor the degree of interlaminar noise for each generation on the basis of the noise level, noise direction and noise type of the noise received from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device.

상기 외부 서버는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레벨, 소음 방향 및 소음 종류를 기반으로 소음을 발생시키는 특정 세대에 구비된 월패드(Wall­pad) 및 단말기로 소음 피드백을 전송할 수 있다.The external server may transmit noise feedback to a wall pad and a terminal provided in a specific generation that generates noise based on the noise level, the noise direction, and the noise type for the noi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방향 및 소음 종류를 분석하는 층간소음 측정 장치의 동작 방법은 층간소음을 측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마이크 어레이 ­ 여기서, 상기 마이크 어레이는 기판 상에 배열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함 ­ 를 이용하여 소음에 대한 소음 방향을 분석하는 단계, 레퍼런스 테이블(reference table)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소음 종류들 중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를 추정하는 데에 실패한 경우,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operating an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apparatus for analyzing a noise direction and a noise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crophone array for measuring interlayer noise, wherein the microphone array includes a plurality of microphones arrayed on a substrate Analyzing the noise direction of the noise by using a noise table, estimating a noise type for the noise among a plurality of noise types previously stored in a reference table, and estimating a noise type for the noise And transmitting a request to acquire information on the type of noise for the noise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if the communication fail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 방향 및 소음 종류를 분석하여 층간소음 정도를 모니터링하는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층간소음을 측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마이크 어레이 ­ 여기서, 상기 마이크 어레이는 기판 상에 배열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함 ­ 를 이용하여 소음에 대한 소음 방향을 분석하는 단계, 레퍼런스 테이블(reference table)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소음 종류들 중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operating an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system for monitoring the noise level and the type of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crophone array provided for measuring interlayer noise, wherein the microphone array is arranged on a substrate Analyzing a no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noise by using a plurality of microphones, estimating a noise type for the noise among a plurality of types of noise previously stored in a reference table, And analyzing information about the typ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 방향 및 소음 종류를 분석하여 층간소음 정도를 모니터링하는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방향 및 소음 종류에 기반하여 층간소음 정도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operation method of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system for monitoring the degree of noise between layers by analyzing the noise direction and the kind of noi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onitoring the degree of interlayer noise based on the noise direction and the kind of noise for the noise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목적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음 발생에 따른 소음 위치 및 소음 방향과, 소음 종류를 분석하여 모니터링함으로써, 특성 세대별로 소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noise feedback for each characteristic generation by analyzing and monitoring noise position, noise direction, and noise kind according to noise gener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2차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소음 방향 및 소음 위치를 파악하고, 소음을 유발하는 소음 종류를 분석하여 객관적인 자료를 확보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accurate noise direction and noise position can be grasped by using a plurality of microphones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matrix form, and objective data can be obtained by analyzing the kind of noise that causes noise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 세대(위층 또는 옆집)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측정 세대(예를 들면, 우리집 또는 사용자집)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구분하여 측정함으로써, 소음 원인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여 각 세대별로 층간소음 정도를 수치화된 값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ise caused in a target household (upstairs or next house) and noise generated in a measurement household (for example, house or user house) are separately measured to more accurately analyze the cause of noise So that the interlayer noise level can be monitored as a numerical value for each gener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 세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 및 모니터링하여 대상 세대(아래층)에 미치는 영향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ise generated in the measurement generation can be measured and monitored to allow the user to perceive the effect on the target generation (lower lay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분석부의 알고리즘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장치의 제품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의 적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층간소음을 모니터링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장치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S. 2A and 2B illustrate an example of an algorithm of the noise analysi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C illustrate an example of an apparatus for measuring an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llustrates a structure of an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show an example of monitoring interlayer noise.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member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시청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Also, terminologies used herein are terms used to properly represen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viewer, the intention of the operator, or the custom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장치는 2차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발생하는 층간소음에 따른 소음 방향 및 소음 종류를 분석한다.Referring to FIG. 1, the apparatus for measuring an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a noise direction and a noise type according to interlayer noise generated in a room using a plurality of microphones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matrix form.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장치(100)는 마이크 어레이(110), 소음 분석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The apparatus 100 for measuring an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crophone array 110, a noise analyzer 120, and a controller 130.

마이크 어레이(110)는 기판 상에 배열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한다.The microphone array 110 includes a plurality of microphones arranged on a substrate.

예를 들면, 마이크 어레이(110)는 기판 상에 2차원(Two­dimensional)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 어레이(110)는 다방향(multidirectional)의 2차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며,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icrophone array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microphones arranged on a substrate in a twodimensional matrix. The microphone array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microphones arranged in a multidirectional two-dimensional matrix and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상기 마이크로폰은 소음 측정을 위한 마이크로폰 센서일 수 있으며, 층간소음을 측정하기 위해 각 세대별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은 벽면 부착형 기판 상에 형성되어 설치될 수 있다. The microphone may be a microphone sensor for noise measurement and may be provided for each generation to measure interlayer noise. In addition, a plurality of microphones may be formed on the wall-mounted substrate.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 각각은 위치가 서로 상이하게 배열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소음원으로부터 발생한 소음이 각 마이크로폰으로 입사되는 시각은 소음원과의 거리에 차이가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 상이한 값을 획득하게 된다. 이에, 마이크로폰의 간격 및 각 마이크로폰에서의 소음 도착시간 차이로부터 소음의 입사 방향을 알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are arranged in different positions from each other, a time at which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same noise source is incident on each microphone is different from the case where there is no difference in distance from the noise source . Thus, the incidence direction of the noise can be determined from the gap between the microphones and the difference of the noise arrival times in the respective microphon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장치(100)는 6개의 마이크로폰을 2차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 및 설치함으로써, 1행 및 2행 사이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측방향에서 입사되는 하측 소음과 상측방향에서 입사되는 상측 소음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2열의 수직면을 기준으로 좌측방향에서 입사되는 좌측 소음과 우측방향에서 입사되는 우측 소음을 구분할 수 있으므로, 층간소음 측정 장치(100)를 기준으로 360도에서의 소음 방향 및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The apparatus 100 for measuring interlamina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and arranges six microphones in a two-dimensional matrix form so that a lower side noise incident on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ows,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the upper noise incident from the direction. In addition, since the left side noise incident from the left direction and the right side noise incident from the right direction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vertical plane of the two rows,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distinguish the direction and position of the noise at 360 degrees from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apparatus 100 .

실시예에 따라서, 마이크로폰은 소음의 입사방향을 보다 정확하게 획득하기 위해 6개보다 많은 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적용되는 규모 및 부피에 따라 적은 수를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microphone may use more than six numbers to more accurately acquire the direction of incidence of noise, and the number may be a few depending on the size and volume applied, so the number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마이크 어레이(110)는 기판에 형성된 IC(Integrated Circuit) 회로와 연결되어 패치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icrophone array 110 may be formed in a patch-like structure by being connected to an IC (Integrated Circuit) circuit formed on the substrate.

상기 IC 회로는 집적화 기술을 구사함으로써, 신호의 필터, 증폭, 디지털화 및 처리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기판 내에서 신호를 처리하는 집적화 및 다기능화 IC 센서(integrated circuit sensor)일 수도 있다.The IC circuit can process signal filtering, amplification, digitization and processing functions by using an integration technique. But may be an integrated and multi-functional integrated circuit sensor that processes signals in the substrat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상기 기판은 건축물 천장, 벽면 및 바닥에 탈부착 가능한 재질일 수 있으며, 기판의 종류, 형태 및 형상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ubstrate may be a detachable material on a ceiling, a wall surface and a floor of a building, and the type, shape and shape of the substrate are not limited.

소음 분석부(120)는 마이크 어레이(110)를 이용하여 소음에 대한 소음 방향을 분석하고, 레퍼런스 테이블(reference table)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소음 종류들 중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를 추정한다. The noise analyzer 120 analyzes the noise direction of the noise using the microphone array 110 and estimates the noise kind of noise among a plurality of types of noise previously stored in the reference table.

이하에서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소음 분석부(120)의 소음에 대한 소음 레벨, 소음 종류 및 소음 방향을 추정하는 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an algorithm for estimating a noise level, a kind of noise, and a noise direction for noise of the noise analysis unit 1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and 2B.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분석부의 알고리즘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S. 2A and 2B illustrate an example of an algorithm of the noise analysi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장치의 소음 분석부의 이벤트 감지기를 이용하여 소음에 대한 소음 레벨, 소음 종류 및 소음 방향을 추정하는 알고리즘의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장치의 소음 분석부의 소음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소음에 대한 소음 레벨, 소음 종류 및 소음 방향을 추정하는 알고리즘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FIG. 2A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algorithm for estimating a noise level, a noise type, and a noise direction of noise using an event detector of a noise analysis unit of an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algorithm for estimating a noise level, a noise type, and a noise direction of a noise using a noise level algorithm of the noise analysis unit of the apparatus for measuring an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반적으로 아파트 또는 공동주택(다층구조의 건축물)은 층간소음 외에 생활소음이 실시간으로 발생한다.Generally, in an apartment or a multi-story house (multi-storey building), living noise is generated in real time in addition to interlayer noi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장치가 모든 소음에 대해 소음 분석을 실행할 경우, 높은 계산량에 따른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소음 분석부(120)는 기 설정된 특정 임계값을 기준으로 초기 분석을 실행할 수 있다.When the noise analy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noise analysis on all the noises, an overload according to a high calculation amount may occur. Therefore, the noise analyzer 120 performs an initial analysis based on a predetermined threshold Can be executed.

보다 구체적으로, 소음 분석부(120)는 기 설정된 임계값(threshold)과 마이크 어레이(210)에서 획득되는 샘플링된(Sampling) 신호 데이터를 비교하여 층간소음 및 생활소음을 구분할 수 있다. 이후, 소음 분석부(120)는 층간소음으로 판단되는 경우, 소음 레벨, 소음 방향 및 소음 종류에 대한 분석을 실행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noise analysis unit 120 can classify the inter-layer noise and the living noise by comparing the predetermined threshold with the sampling signal data obtained in the microphone array 210. Thereafter, the noise analysis unit 120 can analyze the noise level, the noise direction, and the noise typ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oise is interlayer noise.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소음 분석부(120)는 이벤트 감지기(Event detector, 220) 또는 소음계 알고리즘(231)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포스트 알고리즘(231, 232, 233)을 수행하여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레벨, 소음 종류 및 소음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A and 2B, the noise analyzer 120 may use post algorithms 231, 232, and 233 when exceed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using an event detector 220 or a sound level algorithm 231 A noise level, a noise type, and a noise direction for the noise can be estimated.

예를 들어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장치는 기 설정된 특정 임계값과 마이크 어레이(210)에서 획득되는 신호 데이터를 비교하여 층간소음 및 생활소음을 구분하고, 이에 따라 소음 분석부(120)를 웨이크업(wake­up)하는 이벤트 감지기(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감지기(220)를 이용하는 경우, 전기적 신호만을 통해 음압을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A, the apparatus for measuring an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lassify inter-layer noise and life noise by compar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signal data obtained in the microphone array 210, And may further include an event detector 220 for waking up the noise analysis unit 120. [ When the event detector 220 is used, the sound pressure can be calculated through only the electrical signal.

보다 구체적으로, 이벤트 감지기(220)는 마이크 어레이(210)로부터 획득되어 샘플링된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고, 신호 데이터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소음 분석부(120)는 포스트 알고리즘(231, 232, 233)을 수행하여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레벨, 소음 종류 및 소음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event detector 220 receives the sampled signal data obtained from the microphone array 210, and if the signal data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the noise analysis unit 120 determines that the post algorithm 231, 232, and 233 to estimate the noise level, noise type, and noise direction for the noise.

실시예에 따라서, 마이크 어레이(210)의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 각각에서 감지된 신호 데이터는 앰프를 거쳐 증폭되어 샘플링될 수 있으며, 이벤트 감지기(220)는 샘플링된 신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ignal data sens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of the microphone array 210 may be amplified and sampled through the amplifier, and the event sensor 220 may receive the sampled signal data.

또 다른 예로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장치는 이벤트 감지기(220)가 없는 경우, 소음 레벨을 측정할 수 있는 소음계 알고리즘(231)을 이용하여 층간소음 및 생활소음을 구분하고, 소음 분석부(120)를 웨이크업(wake­up)할 수도 있다. 소음계 알고리즘(231)을 이용하는 경우, 동일한 음압에서의 주파수 별로 층간소음을 구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B, the apparatus for measuring an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und level meter 231 for measuring a sound level in the absence of the event detector 220, It is possible to classify the noise and to wake up the noise analysis unit 120. When the sound level meter algorithm 231 is used,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the interlayer noise for each frequency at the same sound pressure.

보다 구체적으로, 소음계 알고리즘(231)는 마이크 어레이(210)로부터 획득되어 샘플링된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여 실제 사람이 소음이라 느끼는 층간소음의 소리 데이터를 구분하며, 소음 분석부(120)는 포스트 알고리즘(231, 232, 233)을 수행하여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레벨, 소음 종류 및 소음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ound level meter algorithm 231 receives the sampled signal data obtained from the microphone array 210 to classify the sound data of the inter-layer noise that the real person feels as noise. The noise analyzer 120 analyzes the post- 231, 232, 233) to estimate the noise level, noise type, and noise direction for the noise.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장치(100)의 소음 분석부(120)는 마이크 어레이(110)에서 획득되는 신호 데이터에 의해 웨이크업(wake­up)되며, 신호 데이터 및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을 이용하여 소음에 대한 소음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1, the noise analysis unit 120 of the apparatus 100 for measuring an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ken up by signal data acquired by the microphone array 110, The noise level for noise can be measured using the arrival times of data and signal data.

실시예에 따라서, 소음 분석부(120)는 도 2a 및 도 2b에 전술한 바와 같이 선행되는 이벤트 감지기(220) 또는 소음계 알고리즘(23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noise analysis unit 120 may be performed by the event detector 220 or the sound level algorithm 231, which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in FIGS. 2A and 2B.

소음 분석부(120)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 각각에 감지되는 신호 데이터와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을 측정하며, 기 설정된 간격에 따른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으로부터 소음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소음 레벨은 소음 강도(magnitude) 즉, 데시벨(dB)을 의미한다. The noise analysis unit 120 measures the arrival time of the signal data and the signal data sens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and can measure the noise level from the arrival time of the signal data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interval. The noise level means the noise magnitude, i.e., decibel (dB).

예를 들면, 소음 분석부(120)는 신호 데이터에 하이 패스 필터(High Pass Filter) 및 로우 패스 필터(Low Pass Filte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적용하여 층간소음의 발생 대역인 63Hz 내지 1kHz 대역에서의 소음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noise analysis unit 120 may apply at least one of a high pass filter and a low pass filter to the signal data to calculate the noise level in the band of 63 Hz to 1 kHz, The noise level can be measured.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 각각에서 감지된 신호 데이터(소리 신호)는 앰프를 거쳐 소음 분석부(120)로 입력될 수 있으며, 소음 분석부(120)는 입력된 신호 데이터를 증폭하여 샘플링하고,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경하며, 각 주파수 별로 가중치를 누적하여 신호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후, 소음 분석부(120)는 획득되는 신호의 RMS(Root Mean Square)에 로우 패스 필터(Low Pass Filter)를 적용하여 노이즈 레벨의 변경에 따른 소음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signal data (sound signal) sens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can be input to the noise analysis unit 120 through the amplifier. The noise analysis unit 120 amplifies and samples the input signal data, Frequency domain, and the magnitude of the signal can be measured by accumulating the weights for each frequency. Thereafter, the noise analyzer 120 may measure a noise level due to the change of the noise level by applying a low pass filter to the root mean square (RMS) of the obtained signal.

일반적으로 건축물마다 고유 진동수 또는 진동 전달 특성의 차이에 의해서 법적 기준을 초과하는 층간소음을 유발하는 고유의 층간소음 유발 주파수가 존재한다. 이러한 층간소음 유발 주파수는 예를 들어, 상위층에서 충격음이 발생하는 경우, 층간소음의 측정에 의해 획득되거나, 공지된 건축물 특성 분석 기술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분석부(120), 이벤트 감지기 또는 소음계 알고리즘은 층간소음으로 간주하지 아니하는 생활소음을 차단하고, 실질적으로 층간소음을 유발하는 성분만을 필터링하여 통과시킬 수 있다.Generally, there is a unique interstory noise inducing frequency that causes the interlayer noise exceeding the legal standard due to the difference of natural frequency or vibration transmission characteristic for each building. Such an interlayer noise inducing frequency may be obtained by measuring the interlayer noise, for example, when an impact sound occurs in the upper layer, or may be obtained according to a known structure property analyzing technique. Accordingly, the noise analyzer 120, the event detector, or the sound level meter algorith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lock the living noise that is not regarded as the interlayer noise and filter only the component that substantially induces the interlayer noise .

실시예에 따라서, 소음 분석부(120)는 상호 상관 계수의 정확도를 보장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의 샘플을 샘플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호 상관(cross correlation)에 의해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으로 입사되는 신호 데이터의 도착시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너무 적은 개수의 샘플을 추출하면 그 정확성이 낮아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noise analysis unit 120 may sample a sample of sufficient length to ensure accuracy of the cross correlation coefficient. For example, difference in arrival time of signal data incident on a plurality of microphones due to cross correlation may occur, so that accuracy may be lowered if too few samples are extracted.

이에 따라서, 소음 분석부(120)는 샘플로 추출한 각 마이크로폰 별 디지털 소음 신호 간의 상호 상관 계수(cross correlation coefficient)를 획득하여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 및 소음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noise analyzer 120 can acquire the cros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digital noise signals of each microphone extracted as a sample, and measure the arrival time and the noise level of the signal data.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장치(100)의 소음 분석부(120)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 각각에 감지되는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에 기반하여 신호의 도착시간 차이(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알고리즘을 통해 소음의 위치와 소음 방향을 분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ise analysis unit 120 of the apparatus 100 for measuring an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a Time Difference of Arrival (SIR) based on the arrival time of signal data sensed by each of a plurality of microphones, , TDoA) algorithm to analyze the position and noise direction of the noise.

예를 들면, 소음 분석부(120)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에서 감지되는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에 기반하여 모든 측정 각도에서의 TDoA를 추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소음이 발생하는 방향을 분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noise analyzer 120 can estimate the TDoA at all measurement angles based on the arrival time of the signal data sensed by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thereby analyz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noise is generated.

실시예에 따라서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 사이의 간격(d)이 1cm 떨어져 있는 경우 1 샘플 간격의 차이로 측정이 가능하며, 4cm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경우 4 샘플 간격으로 측정이 가능하다. 즉, 소음 분석부(120)는 40kHz 샘플링 하는 경우, 최대 1cm의 해상도로 위치 및 방향의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f the distance d between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is 1 cm apart, it is possible to measure with a difference of one sample interval, and when it is apart by 4 cm, it can measure with 4 samples. That is, the noise analysis unit 120 can measure the position and the direction at a resolution of 1 cm at maximum when sampling at 40 kHz.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장치(100)의 소음 분석부(120)는 신호 데이터 및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데이터 마이닝 기법인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을 통해 패턴화된 레퍼런스 테이블에서의 소음 종류를 분석하여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ise analysis unit 120 of the apparatus 100 for measuring an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erence table (not shown) that is patterned through machine learning, which is a data mining technique based on signal data and noise level Can be obtained by analyzing the kind of noise in

상기 레퍼런스 테이블은 전체 소음의 약 95%를 차지하는 상위 소음 종류에 대하여 사운드 분류(sound classification) 기법을 통해 패턴화되어 리스트화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분류 기법은 소음에 대한 특징을 추출하여 전처리(Pre­processing) 과정을 거쳐 각 소음을 분류하는 기법일 수 있다. The reference table may be a list that is patterned by a sound classification technique for the upper noise types occupying about 95% of the total noise. The sound classification technique may be a technique of extracting characteristics of noise and classifying each noise through a preprocessing process.

여기서, 상기 상위 소음 종류로는 아이들이 뛰는 소리 또는 발걸음 소리, 망치질 소리, 가전제품 소리(TV, 청소기, 세탁기 등), 가구 소리(끌거나 찍는 행위에서 발생되는 소리), 악기 소리(피아노 등), 대화 소리(언쟁 등), 진동 소리(기계진동 등), 문 개폐 소리, 급배수 소리(화장실, 샤워소리 등), 운동기구(런닝머신, 골프퍼팅 등), 동물 소리(개, 고양이 등) 및 부엌 조리 소리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상위 소음 종류의 개수 및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 the above-mentioned types of upper noise include sound of a child or a stepping sound, a hammer sound, a sound of household appliances (TV, a cleaner, a washing machine), a sound of a furniture (sounds generated by dragging or shooting) (Dogs, cats, etc.), sounding of animals (dogs, cats, etc.), sounds of conversation (wrangling etc.) And a kitchen cooking sound, but the number and kinds of the upper noise types are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면, 소음 분석부(120)는 상위 소음 종류의 패턴이 분석되어 리스트화된 레퍼런스 테이블에 기초하여, 신호 데이터,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 소음 레벨 및 소음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데이터 마이닝 기법인 머신 러닝을 통해 소음 종류를 분석하여 획득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noise analysis unit 120 analyzes data of at least one of the signal data, the arrival time of the signal data, the noise level, and the noise direction based on the list of analyzed reference patterns, Which can be obtained by analyzing the kind of noise through machine learning.

제어부(130)는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를 추정하는 데에 실패한 경우, 통신망을 이용하여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을 전송한다. If the control unit 130 fails to estimate the noise type for noise, the control unit 130 transmits a request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noise type for the noise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예를 들면, 소음 분석부(120)에서 머신 러닝을 수행한 결과 소음에 대한 종류가 레퍼런스 테이블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신호 데이터,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 소음 레벨 및 소음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서버(미도시)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type of noise is not included in the reference table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machine learning in the noise analysis unit 120, at least one of the signal data, the arrival time of the signal data, the noise level and the noise direction To an external server (not shown)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상기 레퍼런스 테이블에는 상위 소음 종류에 대한 패턴이 분석되어 리스트화되어 있으므로, 그 외의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 소음 분석부(120)는 소음 종류를 분석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장치(100)는 마이크 어레이(1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며, 외부 서버로부터 신규 소음 종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In the reference table, the pattern of the upper noise kind is analyzed and listed. Therefore, when other noise occurs, the noise analyzer 120 may not analyze the noise kind. Accordingly, the apparatus 100 for measuring an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data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array 110 to an external server, and receive information on a new noise type from an external server.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 서버는 신호 데이터,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 소음 레벨 및 소음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인 머신 러닝을 통해 신규 소음 종류를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외부 서버는 분석된 신규 소음 종류와 제어 커맨드(control command)를 층간소음 측정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external server can analyze a new noise type through machine learning, which is a data mining technique, based on at least one of signal data, arrival time of signal data, noise level, and noise direction. Accordingly, the external server can transmit the analyzed new noise kind and the control command to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apparatus 100.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장치(100)의 제어부(130)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신규 소음 종류 및 제어 커맨드(control command)에 대응하여 레퍼런스 테이블에 신규 소음 종류의 유형에 따른 패턴을 변경하거나 추가 및 삭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of the apparatus 100 for measuring an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ds a new noise type to the reference table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new noise and the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external server To change, add, and delete the pattern according to the pattern.

또한, 제어부(130)는 소음 방향 및 소음 종류와 기 설정된 층간소음 범위를 비교하여 특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외부 서버로 소음 방향, 소음 종류 및 소음 레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compares the noise direction and the type of noise with the predetermined inter-layer noise range, and controls the external server to transmit at least one of the noise direction, the noise type, and the noise level to the external server .

제어부(130)는 각 세대별로 구비된 월패드(Wall­pad) 및 단말기로 소음 방향 및 소음 종류와 소음 레벨을 수치화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display of the noise direction, the type of noise, and the noise level using a wall pad and a terminal provided for each generation.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소음 레벨이 기 설정된 층간소음 레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분석되는 소음이 발생하는 소음 방향 및 그에 따른 소음 종류를 수치화하여 측정 세대(예를 들면, 우리집 또는 사용자집) 내에 구비된 월패드 또는 측정 세대원이 소지하는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noise level is out of the predetermined inter-layer noise level range, the controller 130 digitizes the noise direction in which the analyzed noise is generated and the noise kind thereof, and outputs the noise direction to the measurement generation (for example, It can be transmitted to a terminal possessed by a built-in monthly pad or a measurement generation member.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또는 측정 세대원)가 기 설정한 층간소음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외부 서버로 소음 방향, 소음 종류 및 소음 레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전송하며, 외부 서버는 소음이 발생되는 대상 세대(위층 또는 옆집) 내에 구비된 월패드 또는 대상 세대원이 소지하는 단말기로 소음 피드백을 전송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transmits at least one of a noise direction, a noise type, and a noise level to an external server when a user (or a measurement generation member) is out of the predetermined inter-layer noise range,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noise feedback to the terminal held by the month pad or the target household provided in the target generation (upper layer or next door).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130)는 월패드 또는 단말기로 소음 방향에 따른 세대 정보, 소음 종류 및 소음 레벨을 수치, 값, 퍼센트, 영상, 그림, 그래프, 메시지, 음성 및 알림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generation of at least one of generation information, noise type, and noise level according to the noise direction to the wall pad or the terminal by using a numerical value, a value, a percentage, an image, a picture, a graph, As shown in Fig.

상기 단말기는 측정 세대원 또는 대상 세대원 중 적어도 한 명이 소지하는 것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및 P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단말기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al may be at least one of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PC, which is carried by at least one of a measurement household or a target household, and the terminal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통신 모듈은 무선 전송 집적 회로(Wireless data transport device) 또는 무선 전송 장치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a wireless data transport device or a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또한, 통신 모듈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장치(100)와 외부 서버, 단말기 및 월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정보 교환이 수행될 수 있도록 임의의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ny wired and / or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so that information exchange can be performed with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t least one of an external server, a terminal, . ≪ / RTI >

실시예에 따라서, 통신 모듈은 서로 다른 전송 대역폭으로 데이터 및 제어 커맨드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커버리지(coverage)에 따라 지그비, 블루투스, 지웨이브, Wi­Fi, Wi­Max, IEEE 802.11 및 공유 무선 액세스 프로토콜(SWAP)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무선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send and receive data and control commands with different transmission bandwidths, and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ZigBee, Bluetooth, GeWave, WiFi, WiMax, IEEE 802.11 and Shared Radio Access Protocol (SWAP)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장치(100)는 전원공급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100 for measuring an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전원공급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장치(100)에 포함된 마이크로폰, 신호 분석부(120), 제어부(130) 및 통신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may supply driving power of at least one of a microphone, a signal analyzer 120, a controller 130, and a communication module included in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면, 전원공급부는 초소형 충/방전 배터리 또는 초소형 수퍼커패시터(super­capacitor)를 사용하는 액티브(Active)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composed of an ultra-small charge / discharge battery or an active device using an ultra-small supercapacitor.

실시예에 따라서, 전원공급부는 코인 전지와 같은 1차 전지나 리튬­폴리머 배터리와 같은 2차 전지일 수 있으며, 전원공급부가 2차 전지일 경우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될 수 있고, 코인 전지와 같은 1차 전지일 경우 교환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a secondary battery such as a coin battery or a secondary battery such as a lithium polymer battery. When the power supply unit is a secondary battery,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charg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In case of battery, it may be replaced.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장치의 제품 예를 도시한 것이다.3A to 3C illustrate an example of an apparatus for measuring an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소음 측정 장치의 제품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 각각에서 수신되는 소음원의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3c는 복수 개의 층간소음 측정 장치 각각에서 수신되는 소음원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More specifically, FIG. 3A shows an example applied to a product of the measured noise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shows an example of a noise source receiv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FIG. 1 shows an example of a noise source receiv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devices.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장치는 기판(10) 상에 2차원(Two­dimensional)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311)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A, the apparatus for measuring an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microphones 311 arranged on a substrate 10 in a twodimensional matrix form.

예를 들면,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311)은 n행 n열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간격(d)에 따라 다방향(multidirectional)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311 may be arranged in a matrix of n rows and n columns, and may be arranged in a multidirectional mann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interval d.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장치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마이크 어레이를 사용하여 소음의 정확도 향상과 소음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pparatus for measuring an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accuracy of noise and accurately measure the position of noise by using a microphone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microphones.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311)의 개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열 위치 및 마이크로폰(311)의 크기 또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311 is not limited and the arrangement position and the size of the microphone 311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장치는 기판(10) 상에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311) 외에 소음 분석부(미도시), 제어부(미도시) 및 통신 모듈(미도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for measuring an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noise analyzer (not shown), a controller (not shown) and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in addition to a plurality of microphones 311 on a substrate 10 .

도 3b를 참조하면, 기 설정된 간격(d)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312, 313, 314)으로 소음원(Sound wave)이 수신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소음원의 소리 신호는 초당 340미터를 이동하며, 1cm를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0.029 밀리초이다.Referring to FIG. 3B, a sound wave is received by a plurality of microphones 312, 313, and 314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d. At this time, the sound signal of the noise source moves 340 meters per second, and the time taken to travel 1 cm is 0.029 milliseconds.

상기 소리 신호를 40kHz로 샘플링할 경우, 0.025 밀리초가 소요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장치는 각 마이크로폰(312, 313, 314)에 신호들이 도달되는 시간의 차이(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를 통해 신호의 방향과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time difference of arrival of signals to each of the microphones 312, 313, and 314, Arrival, TDoA), the direction and position of the signal can be measured.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312, 313, 314) 사이의 간격(d23 또는 d34)이 1cm 떨어져 있는 경우 1 샘플 간격의 차이로 측정이 가능하며, 4cm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경우 4 샘플 간격으로 측정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장치는 40kHz 샘플링 하는 경우, 최대 1cm의 해상도로 위치 및 방향의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312, 313, 314) 사이의 간격(d23 또는 d34)이 멀어야 하며, 마이크로폰 사이에 소음원이 위치하여야 하나, 단일 기판 상에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312, 313, 314)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소음원의 위치 및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f the distance d 23 or d 34 between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312, 313, and 314 is 1 cm apart, measurement can be made with a difference of one sample interval. If the distance is 4 cm apart, . That is, in the apparatus for measuring an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easure a position and a direction at a resolution of 1 cm at maximum when sampling at 40 kHz.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distance d 23 or d 34 between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312, 313, and 314 must be long, and a noise source should be located between the microphones, but a plurality of microphones 312, 313, 314),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noise source can be measured.

다시 도 3b를 참조하면, 세 개의 마이크로폰(312, 313, 314)에 의한 마이크 어레이는 적어도 한 번의 꺾임을 가지는 배열 형태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세 개의 마이크로폰(312, 313, 314)은 배열 형태에서 끝점 또는 꺾인 점에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3B, it can be seen that the microphone array by the three microphones 312, 313, and 314 represents an arrangement with at least one bend. The three microphones 312, 313, and 314 may be located at an endpoint or an inflection point in an array.

세 개의 마이크로폰(312, 313, 314) 각각은 동일한 소음원에 의해 발생된 음향을 감지하고, 감지한 음향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동일한 소음원에서 발생되었다고 하더라도 세 개의 마이크로폰(312, 313, 314) 각각에서 감지되는 음향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소음원에서 서로 다른 마이크로폰까지 도달하는 거리(d23, d34) 등에 의한 전달 채널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이다.Each of the three microphones 312, 313, and 314 senses sound generated by the same noise source and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nsed sound. At this time, even though they are generated in the same noise source, the sounds sensed by each of the three microphones 312, 313, and 314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distances d 23 and d 34 reaching different microphones from one noise sourc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장치는 세 개의 마이크로폰(312, 313, 314) 각각으로 수신되는 소음 데이터 및 소음 데이터의 도달 시간으로부터 소음 방향을 분석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pparatus for measuring an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nalyze the noise direction from the arrival times of the noise data and the noise data received by the three microphones 312, 313, and 314, respectively.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장치는 마이크 어레이에서 적어도 세 개의 마이크로폰(312, 313, 314)을 이용하며, 세 개의 마이크로폰(312, 313, 314)을 일직선 상에 배치하지 않고, 적어도 한 번의 꺾임이 존재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소음원의 방향을 추정하기 위한 범위를 360도로 확장할 수 있다. 3B, the apparatus for measuring an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t least three microphones 312, 313, and 314 in a microphone array, and three microphones 312, 313,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range for estimating the direction of the noise source by 360 degrees by disposing it so that there is at least one bend.

도 3c를 참조하면, 10ms, 20ms 및 30ms의 간격으로 위치하는 복수 개의 층간소음 측정 장치(320, 330, 340)를 나타내며, 복수 개의 층간소음 측정 장치(320, 330, 340)으로 소음원(Noise)이 수신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서로 다른 간격에 위치한 복수 개의 층간소음 측정 장치(320, 330, 340)를 이용하여 소음을 측정하는 경우, TDoA 알고리즘을 통해 해상도 높은 소음 위치 및 소음 방향의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C, a plurality of inter-layer noise measuring devices 320, 330, and 340 positioned at intervals of 10 ms, 20 ms, and 30 ms are shown. The plurality of inter-layer noise measuring devices 320, Is received. When noise is measured using a plurality of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devices 320, 330, and 340 located at different intervals,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noise position and the noise direction with high resolution through the TDoA algorithm.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장치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 또는 층간소음 측정 장치로부터 분석되는 소음 위치 및 소음 방향을 통해 우리집(측정 세대)에서 발생하는 소음인지, 위층 또는 옆집(대상 세대)에서 발생하는 소음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3B and 3C, the apparatus for measuring an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noise generated in a house (measurement generation) through a noise location and a noise direction analyzed from a plurality of microphones or an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apparatus , The noise generated in the upper layer or the next house (target generation) can be determined.

이를 측정할 수 있는 근거는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위층 또는 옆집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학습 또는 레퍼런스 테이블과 비교함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측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 차이 및 신호 레벨 차이를 조합하여 소음의 방향과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The basis for measuring this is possible by comparing the noise generated in the room and the noise generated in the upstairs or next door with the learning or reference table. Further,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measurement, it is possible to more precisely measure the direction and the position of the noise by combining the arrival time difference of the signal data and the signal level differenc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FIG. 4 illustrates a structure of an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은 층간소음 측정 장치로부터 소음 레벨, 소음 방향 및 소음 종류를 수신하여 각 세대별 층간소음 정도를 모니터링한다.Referring to FIG. 4, an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noise level, a noise direction, and a noise type from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apparatus and monitors the degree of inter-layer noise for each generation.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400)은 아파트 또는 공동주택(20)에 설치된 층간소음 측정 장치(410) 및 외부 서버(420)를 포함한다.For this,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system 4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device 410 and an external server 420 installed in an apartment or apartment house 2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400)의 층간소음 측정 장치(410)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외부 서버(420)와 데이터 또는 제어 커맨드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외부 서버(420) 외에 단말기 또는 월패드(Wall­pad)와 데이터 또는 제어 커맨드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apparatus 410 of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system 4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or control commands to and from the external server 420 via th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data or a control command may be transmitted to or received from a terminal or a wallpad in addition to the external server 420.

층간소음 측정 장치(410)는 층간소음을 측정하기 위해 각 세대별 구비되는 마이크 어레이(array)로부터 신호 데이터 및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에 따른 소음 레벨을 측정하여 소음 방향을 분석하고,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을 이용하여 패턴화된 레퍼런스 테이블(reference table)에서의 소음 종류를 획득한다. 상기 마이크 어레이는 기판 상에 2차원(Two­dimensional)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한다.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device 410 measures noise levels according to arrival times of signal data and signal data from a microphone array provided for each generation to measure interlayer noise, analyzes the noise direction, learning is used to acquire the kind of noise in the patterned reference table. The microphone array includes a plurality of microphones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matrix form on a substrate.

보다 구체적으로, 층간소음 측정 장치(410)는 마이크 어레이(미도시), 소음 분석부(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apparatus 410 may include a microphone array (not shown), a noise analysis unit (not shown),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상기 마이크 어레이는 기판 상에 배열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한다.The microphone array includes a plurality of microphones arranged on a substrate.

상기 소음 분석부는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하여 소음에 대한 소음 방향을 분석하고, 레퍼런스 테이블(reference table)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소음 종류들 중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를 추정한다.The noise analyzer analyzes the noise direction of the noise using a microphone array and estimates a noise type for noise among a plurality of types of noise previously stored in a reference table.

상기 제어부는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를 추정하는 데에 실패한 경우, 통신망을 이용하여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을 전송한다.If the control unit fails to estimate the noise type for noise,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request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noise type for the noise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보다 상세한 층간소음 측정 장치(410)의 설명은 도 1 내지 도 3c를 통해 앞서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device 410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C, and therefore will not be described.

외부 서버(420)는 층간소음 측정 장치(410)가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를 추정하는 데에 실패한 경우,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며, 층간소음 정도를 모니터링한다.The external server 420 analyzes the information on the type of noise for the noise when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apparatus 410 fails to estimate the kind of noise for the noise, and monitors the degree of the inter-layer noise.

외부 서버(420)는 층간소음 측정 장치(410)가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를 추정하는 데에 실패한 경우, 층간소음 측정 장치(410)로부터 신호 데이터,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 및 소음 레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머신 러닝을 통해 신규 소음 종류를 분석할 수 있다.When the interlayer noise measuring apparatus 410 fails to estimate the noise kind for the noise, the external server 420 receives at least one of the signal data, the arrival time of the signal data and the noise level from the interlayer noise measuring apparatus 410 And analyze the new noise types through machine learning.

예를 들면, 외부 서버(4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장치(410) 내 소음 분석부의 분석 동작과 동일하게 신호 데이터,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 및 소음 레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인 머신 러닝을 통해 소음 종류를 분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xternal server 420 may be configured to analyze at least one of the signal data, the arrival time of the signal data, and the noise level of the signal data in the same manner as the analysis operation of the noise analysis unit 410 in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apparatus 4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data mining technique, machine learning can analyze the noise types.

실시예에 따라서, 층간소음 측정 장치(410) 내 레퍼런스 테이블에 학습 및 리스트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 외부 서버(420)는 수신된 신호 데이터,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 및 소음 레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머신 러닝을 통해 신규 소음 종류를 분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f the reference table in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apparatus 410 is not learned and listed, the external server 420 may receive at least one of the received signal data, the arrival time of the signal data and the noise level And can analyze new kinds of noise through machine learning.

이후, 외부 서버(420)는 신규 소음 종류에 대한 제어 커맨드를 층간소음 측정 장치(410)로 전송하며, 레퍼런스 테이블에 신규 소음 종류의 유형에 따른 패턴을 변경하거나 추가 및 삭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n, the external server 420 transmits a control command for the new noise type to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apparatus 410, and controls the reference table to change, add, or delete a patter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new noise type.

예를 들면, 외부 서버(420)는 신규 소음 종류의 빈도가 증가하거나 강도가 강해지는 경우, 레퍼런스 테이블에 패턴을 추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기존에 학습 및 리스트화된 소음 종류의 빈도수 및 강도를 파악하여 일부 소음 종류 패턴을 삭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external server 420 can control to add a pattern to the reference table when the frequency of the new noise type increases or the intensity increases, and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the previously learned and listened noise types And to delete some noise type patterns.

또한, 외부 서버(420)는 신규 소음 종류가 기존의 레퍼런스 테이블에 학습 및 리스트화된 소음 종류에서의 변형일 경우에는 레퍼런스 테이블에 리스트화된 패턴을 일부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The external server 420 may also control to partially change the listed patterns in the reference table when the new noise type is a variation of the noise type that is learned and listed in the existing reference table.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400)은 층간소음 측정 장치(410) 내의 레퍼런스 테이블에 저장되어 유지되는 소음 종류에 따른 데이터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데이터 송수신에 따른 과부하를 줄일 수 있다. Accordingly,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system 4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amount of data according to the type of noise stored and held in the reference table in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apparatus 410, Can be reduced.

또한, 외부 서버(420)는 소음 레벨, 소음 방향 및 소음 종류를 기반으로 소음을 발생시키는 특정 세대에 구비된 월패드(Wall­pad) 및 단말기로 소음 피드백을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rnal server 420 may transmit noise feedback to a wall pad and a terminal provided in a specific generation generating noise based on the noise level, the noise direction, and the noise type.

예를 들면, 외부 서버(420)는 층간소음 측정 장치(410)로부터 수신되는 소음 레벨, 소음 방향 및 소음 종류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층간소음 정도를 비교하여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소음 레벨, 소음 방향 및 소음 종류에 대한 정보를 각 세대별로 구비된 월패드 또는 각 세대별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xternal server 420 may compare the predetermined inter-layer noise level based on the noise level, the noise direction, and the type of noise received from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device 410 and determine the noise level, Information on the type of noise can be provided to the monthly pad or the user terminal for each household provided for each household.

실시예에 따라서, 외부 서버(420)는 월패드 또는 단말기에 소음 레벨, 소음 방향 및 소음 종류에 대한 정보를 수치, 값, 퍼센트, 영상, 그림, 그래프, 메시지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공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경고메시지, 알람, 음성, 불빛 및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알림 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xternal server 42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t least one of a numerical value, a value, a percentage, an image, a picture, a graph, a message, and a voice And may provide a notification sig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a warning message, an alarm, a voice, a light, and a vib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여기서, 상기 특성 세대는 측정 세대(우리집 또는 사용자집) 및 대상 세대(위층 또는 옆집)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characteristic household may include a measurement household (home or user house) and a target household (upstairs or next house).

또한, 월패드 및 단말기는 데이터 송수신, 제어 커맨드 생성 및 디스플레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on pad and the terminal may include an application processor fo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and display.

실시예에 따라서, 외부 서버(420)는 층간소음 측정 장치(410)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 커맨드(control command)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커맨드는 층간소음 측정 장치(410)의 동작(On/Off), 신호 감지 주기 변경, 통신 주기 변경 및 레퍼런스 테이블 제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xternal server 420 may transmit a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user to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apparatus 410. The control comm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operation (On / Off) of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apparatus 410, change of a signal detection period, change of a communication period, and reference table control.

실시예에 따라서, 외부 서버(420)는 관리 사무소, 층간소음 관리 센터, 층간소음 관리 서버 및 주택 관리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층간소음을 관리 및 모니터링하는 어느 서버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xternal server 420 may be at least one of a management office, an interlayer noise management center, an interlayer noise management server, and a housing management serv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Lt; / RTI >

또한, 외부 서버(420)는 전술한 서비스 외에 보다 다양한 층간소음을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를 더 제공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거나 또 다른 외부 서버와의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external server 420 may further provide a service for managing various interlayer nois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service, and may establish a database or communicate with another external server. Therefore, no.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의 적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 5 shows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은 아파트 또는 공동주택의 천장에 부착된 층간소음 측정 장치(510a), 벽면에 부착된 층간소음 측정 장치(510b) 및 바닥에 부착된 층간소음 측정 장치(510c)를 포함한다.5, an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device 510a attached to a ceiling of an apartment or a house, an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device 510b attached to the wall, And an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device 510c.

층간소음 측정 장치(510)는 층간소음을 측정하기 위해 각 세대별로 구비되며, 2차원(Two­dimensional)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신호 데이터 및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에 따른 소음 레벨을 측정하여 소음 방향을 분석하고,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을 이용하여 패턴화된 레퍼런스 테이블(reference table)에서의 소음 종류를 획득한다.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device 510 is provided for each generation to measure interlayer noise and measures noise levels according to arrival times of signal data and signal data from a plurality of microphones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twodimensional) matrix form, Analyze the direction and use machine learning to acquire the noise types in the patterned reference table.

예를 들어, 층간소음 측정 장치(510)는 분석된 소음 레벨, 소음 방향 및 소음 종류에 기반하여 기 설정된 층간소음 범위를 비교하고, 특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외부 서버(520) 또는 월패드(530)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device 510 may compare the predetermined inter-layer noise range based on the analyzed noise level, noise direction and noise type, and may compare the predetermined inter-floor noise range with the external server 520 or the wall pad 530 to display data.

실시예에 따라서, 층간소음 측정 장치(510)는 소음의 정도가 특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측정 세대원 단말기로 소음 피드백을 전송할 수도 있으며, 상기 소음 피드백은 측정 세대에서 발생하는 소음 피드백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device 510 may transmit noise feedback to the measurement household terminal if the degree of noise exceeds a certain threshold, and the noise feedback may be noise feedback occurring in the measurement generation.

외부 서버(520)는 층간소음 측정 장치(510)로부터 수신되는 소음 레벨, 소음 방향 및 소음 종류에 기반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대상 세대(위층 또는 옆집)에 소음 피드백을 전송할 수 있다.The external server 520 may transmit noise feedback to a target generation (upstairs or next door) where the noise is generated based on the noise level, noise direction and noise type received from the interstage noise measurement device 510.

예를 들면, 층간소음 측정 장치(510)는 201호의 측정 세대에서 측정된 소음 레벨, 소음 방향 및 소음 종류에 기반하여 202호의 소음을 감지하고, 감지된 소음 레벨, 소음 방향 및 소음 종류를 외부 서버(52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서버(520)는 수신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202호의 대상 세대 내의 월패드(530) 또는 대상 세대원이 소지하는 단말기로 소음 피드백을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apparatus 510 senses the noise of the heading 202 based on the noise level, the noise direction and the noise type measured in the measurement generation of the heading 201, and detects the noise level, the noise direction, (520). Here, the external server 520 may transmit the noise feedback to the terminal held by the month pad 530 or the target household in the target generation of the base station 202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상기 소음 피드백은 소음 레벨 및 소음 종류에 기반하여 수치, 값, 퍼센트, 영상, 그림, 그래프, 메시지, 음성 및 알림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송되며, 소음 레벨에 따른 경고 신호를 포함하여 전송될 수 있다.The noise feedback is transmitted by at least one of a numerical value, a value, a percentage, an image, a picture, a graph, a message, a voice and a notification sound based on a noise level and a noise type, .

도 5에 도시된 월패드(530)는 소음 방향에 따른 세대 정보, 소음 종류 및 소음 레벨을 수치, 값, 퍼센트, 영상, 그림, 그래프, 메시지, 음성 및 알림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 및 출력할 수 있으며, 층간소음 측정 장치(510) 또는 외부 서버(5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5, the wall pad 530 displays at least one of generation information, noise type, and noise level according to the noise direction as numerical values, values, percentages, images, pictures, graphs, messages, And can receive data from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device 510 or the external server 520. [

실시예에 따라서, 월패드(530)는 사용자의 주거 환경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기기이며, 아파트 또는 공동주택 벽면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wall pad 530 is a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user's residential environment and may be formed by being attached to a wall of an apartment or apartment house.

도 6a 및 도 6b는 층간소음을 모니터링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6A and 6B show an example of monitoring interlayer noise.

보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층간소음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월패드의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6b는 층간소음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단말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FIG. 6A shows an example of a month pad for monitoring interlayer noise, and FIG. 6B shows an example of a terminal for monitoring interlayer noise.

도 6a를 참조하면, 아파트 또는 공동주택에 설치된 월패드를 통해 푸시(push)되는 정보로부터 층간소음 정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A, the interlayer noise level can be monitored from information that is pushed through a wall pad installed in an apartment or apartment house.

예를 들면, 월패드(6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층간소음 측정 장치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소음 레벨, 소음 방향 및 소음 종류에 기반하여 실시간 층간소음 정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측정 세대(우리집 또는 사용자집)에서 발생하는 소음 정도와 대상 세대(위층 또는 옆집)에서 발생하는 소음 정도를 객관적으로 비교하여 모니터링 및 출력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wall pad 610 can monitor the real-time interlayer noise level based on the noise level, noise direction and noise type received from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device or the external server via the network, House) and the noise level occurring in the target household (upstairs or next door) can be objectively compared to monitor and output.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620)를 통해 층간소음 측정 장치, 외부 서버 및 월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소음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B, the user can receive noise feedback from at least one of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device, the external server, and the wall pad through the terminal 620 having the user.

예를 들면, 층간소음 측정 장치 또는 외부 서버는 소음 레벨, 소음 방향 및 소음 종류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층간소음 범위를 비교하여 특정 임계값의 초과 여부를 판단하고,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단말기(620)로 소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device or the external server compares the predetermined inter-layer noise range based on the noise level, the noise direction, and the noise type to determine whether the specific threshold value is exceeded. If the threshold value is exceeded, ) To provide noise feedback.

실시예에 따라서, 소음 피드백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로 전송될 수 있으나, 알람, 진동, 불빛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출력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월패드(610) 및 단말기(620)는 다양한 응용 기능을 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외부 서버 또는 층간소음 측정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noise feedback may be transmitted as a message as shown in FIG. 6B, but may be output as at least one of alarm, vibration, light and voice. The monthly pad 610 and the terminal 620 shown in FIGS. 6A and 6B may have an application for various application functions, and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server or an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device using an installed application .

또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층간소음을 모니터링하는 예는 기 설정된 매뉴얼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나, 층간소음 정도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보다 다양한 예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6A and 6B may be provided by a predetermined manual, but a variety of examples may be applied to provide the user with the degree of interlayer noise in real tim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장치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방향 및 소음 종류를 분석하는 층간소음 측정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The method shown in FIG. 7 can be performed by an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apparatus for analyzing a noise direction and a noise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10에서 층간소음을 측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하여 소음에 대한 소음 방향을 분석한다. 여기서, 마이크 어레이는 기판 상에 배열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7, in step 710, a noise direction for noise is analyzed using a microphone array provided for measuring interlayer noise. Here, the microphone array includes a plurality of microphones arranged on a substrate.

단계 710은 기판 상에 2차원(Two­dimensional)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신호 데이터 및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일 수 있다. Step 710 may be to obtain the arrival times of the signal data and the signal data from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arranged in the form of a two-dimensional matrix on the substrate.

예를 들면, 마이크 어레이는 다방향(multidirectional)의 2차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며,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icrophone array may be arranged in a multidirectional two-dimensional matrix form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microphon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마이크로폰은 소음 측정을 위한 마이크로폰 센서일 수 있으며, 층간소음을 측정하기 위해 각 세대별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은 벽면 부착형 기판 상에 형성되어 설치될 수 있다. The microphone may be a microphone sensor for noise measurement and may be provided for each generation to measure interlayer noise. In addition, a plurality of microphones may be formed on the wall-mounted substrate.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 각각은 위치가 서로 상이하게 배열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소음원으로부터 발생한 소음이 각 마이크로폰으로 입사되는 시각은 소음원과의 거리에 차이가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 상이한 값을 획득하게 된다. 이에, 마이크로폰의 간격 및 각 마이크로폰에서의 소음 도착시간 차이로부터 소음의 입사 방향을 알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are arranged in different positions from each other, a time at which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same noise source is incident on each microphone is different from the case where there is no difference in distance from the noise source . Thus, the incidence direction of the noise can be determined from the gap between the microphones and the difference of the noise arrival times in the respective microphones.

또한, 마이크 어레이는 기판에 형성된 IC(Integrated Circuit) 회로와 연결되어 패치형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Also, the microphone array may be formed in a patch-type structure by being connected to an IC (Integrated Circuit) circuit formed on the substrate.

또한, 단계 710은 신호 데이터 및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을 기반으로 소음 레벨을 측정하고,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 각각에서 획득되는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 및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소음 방향을 분석하는 단계일 수 있다. In addition, step 710 may be a step of measuring the noise level based on the arrival time of the signal data and the signal data, and analyzing the noise direction based on the arrival time and the noise level of the signal data obtain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예를 들면, 단계 710은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 각각에 감지되는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에 기반하여 신호의 도착시간 차이(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알고리즘을 통해 소음의 위치와 소음 방향을 분석하는 단계일 수 있다.For example, step 710 may be a step of analyzing the location and noise direction of the noise through the 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algorithm based on the arrival time of the signal data sens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have.

실시예에 따라서, 단계 710에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에서 감지되는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에 기반하여 모든 측정 각도(360도)에서의 TDoA를 추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소음이 발생하는 위치 및 방향을 분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t step 710, TDoA at all measurement angles (360 degrees) can be estimated based on the arrival time of the signal data sensed in a plurality of microphones, thereby analyzing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the noise .

단계 720에서 패턴화된 레퍼런스 테이블(reference table)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소음 종류들 중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를 추정한다.In step 720, a noise type for noise is estimated among a plurality of types of noise previously stored in the reference table patterned.

단계 720은 신호 데이터,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 및 소음 레벨을 기반으로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을 이용하여 패턴화된 레퍼런스 테이블(reference table)에서의 소음 종류를 획득하는 단계일 수 있다. Step 720 may be a step of obtaining a kind of noise in the patterned reference table using machine learning based on the signal data, the arrival time of the signal data, and the noise level.

예를 들면, 레퍼런스 테이블은 전체 소음의 약 95%를 차지하는 상위 소음 종류에 대하여 사운드 분류(sound classification) 기법을 통해 패턴화되어 리스트화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분류 기법은 소음에 대한 특징을 추출하여 전처리(Pre­processing) 과정을 거쳐 각 소음을 분류하는 기법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reference table may be a list of patterns that are patterned through a sound classification technique for the top noise types that account for about 95% of the total noise. The sound classification technique may be a technique of extracting characteristics of noise and classifying each noise through a preprocessing process.

여기서, 상위 소음 종류로는 아이들이 뛰는 소리 또는 발걸음 소리, 망치질 소리, 가전제품 소리(TV, 청소기, 세탁기 등), 가구 소리(끌거나 찍는 행위에서 발생되는 소리), 악기 소리(피아노 등), 대화 소리(언쟁 등), 진동 소리(기계진동 등), 문 개폐 소리, 급배수 소리(화장실, 샤워소리 등), 운동기구(런닝머신, 골프퍼팅 등), 동물 소리(개, 고양이 등) 및 부엌 조리 소리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상위 소음 종류의 개수 및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types of upper noise include children's sounds or steps, hammer sounds, appliances (TV, vacuum cleaner, washing machine), furniture sounds (sounds generated by dragging or shooting) (Dogs, cats, etc.), and the sound of water (water, toilet, shower, etc.), exercise equipment (running machine, golf putting, etc.) A kitchen cooking sound, and the like, but the number and kinds of the upper noise types are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면, 단계 720은 상위 소음 종류의 패턴이 분석되어 리스트화된 레퍼런스 테이블에 기초하여, 신호 데이터,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 소음 레벨 및 소음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데이터 마이닝 기법인 머신 러닝을 통해 소음 종류를 분석하여 획득하는 단계일 수 있다. For example, in step 720, the pattern of the upper noise kind is analyzed and based on the list of reference tables, at least one of the signal data, the arrival time of the signal data, the noise level and the noise direction, And analyzing the kind of noise through the analysis.

단계 730에서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를 추정하는 데에 실패한 경우, 통신망을 이용하여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을 전송한다.If it fails to estimate the type of noise for the noise in step 730, it sends a request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noise for the noise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단계 730은 소음 방향 및 소음 종류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여 소음 종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단계일 수 있다. In operation 730, the noise direction and the type of noise may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server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type of noise.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 방향 및 소음 종류를 분석하여 각 세대별 층간소음 정도를 모니터링하는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The method shown in FIG. 8 can be performed by an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system for monitoring the noise level and noise ki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and monitoring the inter-layer noise level for each generation.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810에서 층간소음을 측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하여 소음에 대한 소음 방향을 분석한다. 여기서, 마이크 어레이는 기판 상에 배열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8, in step 810, the noise direction for noise is analyzed using a microphone array provided for measuring interlayer noise. Here, the microphone array includes a plurality of microphones arranged on a substrate.

단계 810은 기판 상에 2차원(Two­dimensional)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신호 데이터 및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일 수 있다. Step 810 may be to obtain the arrival times of the signal data and the signal data from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arranged in the form of a two-dimensional matrix on the substrate.

예를 들면, 마이크 어레이는 다방향(multidirectional)의 2차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며,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icrophone array may be arranged in a multidirectional two-dimensional matrix form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microphon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마이크로폰은 소음 측정을 위한 마이크로폰 센서일 수 있으며, 층간소음을 측정하기 위해 각 세대별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은 벽면 부착형 기판 상에 형성되어 설치될 수 있다. The microphone may be a microphone sensor for noise measurement and may be provided for each generation to measure interlayer noise. In addition, a plurality of microphones may be formed on the wall-mounted substrate.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 각각은 위치가 서로 상이하게 배열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소음원으로부터 발생한 소음이 각 마이크로폰으로 입사되는 시각은 소음원과의 거리에 차이가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 상이한 값을 획득하게 된다. 이에, 마이크로폰의 간격 및 각 마이크로폰에서의 소음 도착시간 차이로부터 소음의 입사 방향을 알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are arranged in different positions from each other, a time at which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same noise source is incident on each microphone is different from the case where there is no difference in distance from the noise source . Thus, the incidence direction of the noise can be determined from the gap between the microphones and the difference of the noise arrival times in the respective microphones.

또한, 마이크 어레이는 기판에 형성된 IC(Integrated Circuit) 회로와 연결되어 패치형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Also, the microphone array may be formed in a patch-type structure by being connected to an IC (Integrated Circuit) circuit formed on the substrate.

또한, 단계 810은 신호 데이터 및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을 기반으로 소음 레벨을 측정하고,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 각각에서 획득되는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 및 소음 레벨에 기반하여 소음 방향을 분석하는 단계일 수 있다. In addition, step 810 may be a step of measuring the noise level based on the arrival time of the signal data and the signal data, and analyzing the noise direction based on the arrival time and the noise level of the signal data obtain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예를 들면, 단계 810은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 각각에 감지되는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에 기반하여 신호의 도착시간 차이(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알고리즘을 통해 소음의 위치와 소음 방향을 분석하는 단계일 수 있다.For example, step 810 may be a step of analyzing the location and noise direction of the noise through the 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algorithm based on the arrival time of the signal data sens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have.

실시예에 따라서, 단계 810에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에서 감지되는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에 기반하여 모든 측정 각도(360도)에서의 TDoA를 추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소음이 발생하는 위치 및 방향을 분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t step 810, TDoA at all measurement angles (360 degrees) can be estimated based on the arrival time of the signal data sensed in a plurality of microphones, thereby analyzing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the noise .

단계 820에서 패턴화된 레퍼런스 테이블(reference table)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소음 종류들 중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를 추정한다.In step 820, the type of noise for noise among the plurality of types of noise previously stored in the reference table patterned is estimated.

단계 820은 신호 데이터,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 및 소음 레벨을 기반으로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을 이용하여 패턴화된 레퍼런스 테이블(reference table)에서의 소음 종류를 획득하는 단계일 수 있다. Step 820 may be to obtain a kind of noise in a patterned reference table using machine learning based on the signal data, the arrival time of the signal data, and the noise level.

예를 들면, 레퍼런스 테이블은 전체 소음의 약 95%를 차지하는 상위 소음 종류에 대하여 사운드 분류(sound classification) 기법을 통해 패턴화되어 리스트화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분류 기법은 소음에 대한 특징을 추출하여 전처리(Pre­processing) 과정을 거쳐 각 소음을 분류하는 기법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reference table may be a list of patterns that are patterned through a sound classification technique for the top noise types that account for about 95% of the total noise. The sound classification technique may be a technique of extracting characteristics of noise and classifying each noise through a preprocessing process.

여기서, 상위 소음 종류로는 아이들이 뛰는 소리 또는 발걸음 소리, 망치질 소리, 가전제품 소리(TV, 청소기, 세탁기 등), 가구 소리(끌거나 찍는 행위에서 발생되는 소리), 악기 소리(피아노 등), 대화 소리(언쟁 등), 진동 소리(기계진동 등), 문 개폐 소리, 급배수 소리(화장실, 샤워소리 등), 운동기구(런닝머신, 골프퍼팅 등), 동물 소리(개, 고양이 등) 및 부엌 조리 소리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상위 소음 종류의 개수 및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types of upper noise include children's sounds or steps, hammer sounds, appliances (TV, vacuum cleaner, washing machine), furniture sounds (sounds generated by dragging or shooting) (Dogs, cats, etc.), and the sound of water (water, toilet, shower, etc.), exercise equipment (running machine, golf putting, etc.) A kitchen cooking sound, and the like, but the number and kinds of the upper noise types are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면, 단계 820은 상위 소음 종류의 패턴이 분석되어 리스트화된 레퍼런스 테이블에 기초하여, 신호 데이터,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 소음 레벨 및 소음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데이터 마이닝 기법인 머신 러닝을 통해 소음 종류를 분석하여 획득하는 단계일 수 있다. For example, in step 820, the pattern of the upper noise kind is analyzed and based on the list of reference tables, at least one of the signal data, the arrival time of the signal data, the noise level and the noise direction, And analyzing the kind of noise through the analysis.

단계 830에서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에 대한 정보를 분석한다.In step 830, information on noise types for noise is analyzed.

단계 830은 신호 데이터,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 소음 레벨 및 소음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데이터 마이닝 기법인 머신 러닝을 통해 소음 종류를 분석하여 획득하는 단계일 수 있다. Step 830 may be a step of analyzing and acquiring noise kind through at least one of signal data, arrival time of signal data, noise level and noise direction through machine learning which is a data mining techniqu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단계 840에서 소음 레벨, 소음 방향 및 소음 종류를 기반으로 각 세대별 층간소음 정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The operation method of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nitor the inter-layer noise level of each generation based on the noise level, the noise direction and the noise type in step 840.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apparatu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 /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apparatu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within a computer system, such as,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array (FPA)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ease of understanding,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described as being used singly,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have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 /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may compris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a parallel processor.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foregoing, and may be configured to configure the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to process it collectively or collectively Device can be commanded. The software and / or data may be in the form of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a, or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The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to be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 기판
20: 아파트 또는 공동주택
311, 312, 313, 314: 마이크로폰
320, 330, 340, 410, 510: 층간소음 측정 장치
400: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
420, 520: 외부 서버
530, 610: 월패드
620: 단말기
10: substrate
20: Apartment or apartment house
311, 312, 313, 314: a microphone
320, 330, 340, 410, 510: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device
400: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system
420, 520: external server
530, 610: Wall pad
620:

Claims (20)

기판 상에 배열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마이크 어레이(array);
상기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하여 소음에 대한 소음 방향을 분석하고, 레퍼런스 테이블(reference table)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소음 종류들 중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를 추정하는 소음 분석부; 및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를 추정하는 데에 실패한 경우,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을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측정 장치.
A microphone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microphones arranged on a substrate;
A noise analyzer for analyzing a no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noise using the microphone array and estimating a noise type for the noise among a plurality of types of noise previously stored in a reference table;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 request to obtain information on a kind of noise of the noise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noise type of the noise is not estimated,
And an interlayer noise measur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어레이는
상기 기판 상에 2차원(Two­dimensional)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층간소음 측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icrophone array
And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Twodimensional) matrix on the substr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어레이는
상기 기판에 형성된 IC(Integrated Circuit) 회로와 연결되어 패치형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측정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icrophone array
And an IC (Integrated Circuit) circuit formed on the substrate to form a patch-type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분석부는
이벤트 감지기(Event detector) 또는 소음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레벨, 소음 종류 및 소음 방향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측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oise analysis unit
Wherein the estimating unit estimates the noise level, noise type, and noise direction of the noise whe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is exceeded using an event detector or a sound level meter algorith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분석부는
상기 마이크 어레이에서 획득되는 신호 데이터에 의해 웨이크업(wake­up)되며, 상기 신호 데이터 및 상기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레벨을 측정하는 층간소음 측정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noise analysis unit
Wherein the noise level is wakened by signal data obtained in the microphone array and the noise level for the noise is measured using the arrival time of the signal data and the signal dat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분석부는
상기 신호 데이터에 하이 패스 필터(High Pass Filter) 및 로우 패스 필터(Low Pass Filte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적용하여 층간소음의 발생 대역인 63Hz 내지 1kHz 대역에서의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레벨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측정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noise analysis unit
At least one of a high pass filter and a low pass filter is applied to the signal data to measure a noise level for the noise in the band of 63 Hz to 1 kHz,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분석부는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 각각에 감지되는 상기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에 기반하여 신호의 도착시간 차이(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위치 및 소음 방향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측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noise analysis unit
And analyzing a noise position and a noise direction of the noise through a 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algorithm based on the arrival time of the signal data sens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Noise measuring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분석부는
상기 신호 데이터 및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레벨을 기반으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인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을 통해 패턴화된 상기 레퍼런스 테이블에서의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측정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noise analysis unit
And estimating the type of noise for the noise in the reference table patterned through machine learning, which is a data mining technique based on the signal data and the noise level for the noise.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테이블은
머신 러닝을 이용하여 학습된 복수의 소음 종류들을 미리 저장하여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측정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reference table
Wherein the plurality of learned noise types are previously stored and maintained using machine learn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음 분석부에서 소음 종류를 추정하는 데에 실패한 경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레벨 및 상기 신호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층간소음 측정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unit
And to transmit the noise level and the signal data to the external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when the noise analysis unit fails to estimate the noise typ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레벨 및 상기 신호 데이터를 기반으로 머신 러닝을 통해 분석된 신규 소음 종류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레퍼런스 테이블에 상기 신규 소음 종류의 유형에 따른 패턴을 변경하거나 추가 및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측정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trol unit
Receiving a noise level for the noise from the external server and a new noise type analyzed through machine learning based on the signal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changing a patter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new noise type in the reference table Or adding or deleting the noise component of the sound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방향 및 소음 종류와 기 설정된 층간소음 범위를 비교하여 특정 임계값(threshold)을 초과하는 경우, 외부로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방향, 소음 종류 및 소음 레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층간소음 측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f the noise direction and the noise type for the noise are compared with the predetermined layer noise range, if the threshold is exceeded, at least one of the noise direction, noise type, and noise level for the noise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To-noise measurement.
층간소음을 측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마이크 어레이(array) ­ 여기서, 상기 마이크 어레이는 기판 상에 배열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함 ­ 를 이용하여 소음에 대한 소음 방향을 분석하고, 레퍼런스 테이블(reference table)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소음 종류들 중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를 추정하는 층간소음 측정 장치; 및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를 추정하는 데에 실패한 경우,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며, 층간소음 정도를 모니터링하는 외부 서버
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
A microphone array is provided for measuring interlayer noise. The microphone array includes a plurality of microphones arranged on a substrate, analyzes a noise direction of noise, An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device for estimating a noise kind for the noise among a plurality of stored noise types; And
If it is unsuccessful to estimate the type of noise for the noise, information on noise type for the noise is analyzed, and an external server
Wherein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system comprise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소음 측정 장치는
상기 기판 상에 배열된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상기 마이크 어레이;
상기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방향을 분석하고, 상기 레퍼런스 테이블(reference table)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소음 종류들 중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를 추정하는 소음 분석부; 및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를 추정하는 데에 실패한 경우,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을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device
The microphone array including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arranged on the substrate;
A noise analyzer for analyzing a no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noise using the microphone array and estimating a noise type for the noise among a plurality of types of noise previously stored in the reference table;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 request to obtain information on a kind of noise of the noise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noise type of the noise is not estimated,
Wherein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system comprise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서버는
상기 층간소음 측정 장치로부터 상기 신호 데이터, 상기 신호 데이터의 도달 시간, 및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레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머신 러닝을 통해 신규 소음 종류를 분석하는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external server
And analyzing a new kind of noise through machine learning by receiving at least one of the signal data, the arrival time of the signal data, and the noise level for the noise from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devi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서버는
상기 층간소음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레벨, 소음 방향 및 소음 종류를 기반으로 각 세대별 층간소음 정도를 모니터링하는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external server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interlayer noise level of each generation is monitored based on a noise level, a noise direction, and a noise type of the noise received from the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devic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서버는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레벨, 소음 방향 및 소음 종류를 기반으로 소음을 발생시키는 특정 세대에 구비된 월패드(Wall­pad) 및 단말기로 소음 피드백을 전송하는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external server
A wallpad provided in a specific generation for generating noise based on a noise level, a noise direction, and a noise type for the noise, and an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system for transmitting noise feedback to a terminal.
소음 방향 및 소음 종류를 분석하는 층간소음 측정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층간소음을 측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마이크 어레이 ­ 여기서, 상기 마이크 어레이는 기판 상에 배열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함 ­ 를 이용하여 소음에 대한 소음 방향을 분석하는 단계;
레퍼런스 테이블(reference table)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소음 종류들 중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를 추정하는 데에 실패한 경우,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측정 방법.
An operation method of an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apparatus for analyzing a noise direction and a kind of noise,
A microphone array for measuring interlayer noise, the microphone array comprising a plurality of microphones arranged on a substrat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nalyzing a noise direction for noise;
Estimating a noise type for the noise among a plurality of types of noise previously stored in a reference table; And
Transmitting a request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type of noise to the noise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noise type for the noise fails to be estimated,
/ RTI >
소음 방향 및 소음 종류를 분석하여 층간소음 정도를 모니터링하는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층간소음을 측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마이크 어레이 ­ 여기서, 상기 마이크 어레이는 기판 상에 배열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함 ­ 를 이용하여 소음에 대한 소음 방향을 분석하는 단계;
레퍼런스 테이블(reference table)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소음 종류들 중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종류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의 동작 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n interlayer noise measurement system for monitoring interlayer noise level by analyzing a noise direction and a kind of noise,
A microphone array for measuring interlayer noise, the microphone array comprising a plurality of microphones arranged on a substrat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nalyzing a noise direction for noise;
Estimating a noise type for the noise among a plurality of types of noise previously stored in a reference table; And
Analyzing information on the type of noise with respect to the noise
Lt; RTI ID = 0.0 > 1, < / RTI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에 대한 소음 방향 및 소음 종류에 기반하여 층간소음 정도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의 동작 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Monitoring the interlayer noise level based on the noise direction and noise type for the noise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KR1020170057366A 2017-05-08 2017-05-08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noise between floors, and monitoring system thereof KR20180123319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366A KR20180123319A (en) 2017-05-08 2017-05-08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noise between floors, and monitoring system thereof
CN201810418324.5A CN108877834A (en) 2017-05-08 2018-05-04 Interlayer noise detection device and method and monito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366A KR20180123319A (en) 2017-05-08 2017-05-08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noise between floors, and monitoring system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319A true KR20180123319A (en) 2018-11-16

Family

ID=64326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366A KR20180123319A (en) 2017-05-08 2017-05-08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noise between floors, and monitoring system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123319A (en)
CN (1) CN108877834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812B1 (en) * 2019-09-30 2021-01-04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Noise monitoring system for localization and the method thereof
KR102210164B1 (en) * 2020-06-03 2021-02-01 엠아이큐브솔루션(주) Method for managing life noise using deep learning
KR102254700B1 (en) * 2020-02-28 2021-05-24 주식회사 세이렌어쿠스틱스 Microphone device and method of detecting floor noise
KR20220078785A (en) * 2020-12-03 2022-06-13 임재돈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interfloor noi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9745A (en) * 2019-08-08 2019-12-20 南通鑫铭环保技术有限公司 Noise detection early warning method based on multi-layer office building
CN110718236B (en) * 2019-10-12 2021-02-19 胡妍 Urban environment big data comprehensive collaborative management operation platform
CN114650267A (en) * 2020-12-21 2022-06-21 全星泌 Interlayer neighbor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equipment for preventing interlayer noise disput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1969A (en) * 2010-06-18 2012-02-0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Room and wiring tool
US9443511B2 (en) * 2011-03-04 2016-09-1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zing environmental sound
CN105784102A (en) * 2014-12-22 2016-07-20 青岛智信生物科技有限公司 Noise monitoring apparatus
KR101701594B1 (en) * 2015-02-09 2017-02-0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Floor Impact Sounds in Multi-Story Residential Buildings
CN106328152B (en) * 2015-06-30 2020-01-31 芋头科技(杭州)有限公司 automatic indoor noise pollution identification and monitoring system
CN105606209A (en) * 2016-03-14 2016-05-25 南京铁道职业技术学院 System for monitoring indoor nois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812B1 (en) * 2019-09-30 2021-01-04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Noise monitoring system for localization and the method thereof
KR102254700B1 (en) * 2020-02-28 2021-05-24 주식회사 세이렌어쿠스틱스 Microphone device and method of detecting floor noise
WO2021172934A1 (en) * 2020-02-28 2021-09-02 주식회사 세이렌어쿠스틱스 Microphone device and method of detecting floor noise
KR102210164B1 (en) * 2020-06-03 2021-02-01 엠아이큐브솔루션(주) Method for managing life noise using deep learning
KR20220078785A (en) * 2020-12-03 2022-06-13 임재돈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interfloor noi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877834A (en) 2018-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331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noise between floors, and monitoring system thereof
US10588306B2 (en) Wireless smart mosquito and insect trap device, network and method of counting a population of the mosquitoes or insects
KR101795765B1 (en) Self-recognition Monitoring system of Interlayer noise and Interior Noise
KR101345603B1 (en) Management system of information for noises between stairs using the analyzing apparatus for sensing vibrational noises between stairs and generating method of update information for noises between stairs using the same
KR101343345B1 (en) Generating system of information for noises between staris with preventing thief and complain of noises
WO2014132340A1 (en) Monitoring system
KR102034559B1 (en) Appar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security using variation of correlation coefficient pattern in sound field spectra
KR20150105144A (en) Real time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for floor impact sound of apartment houses
US10520356B2 (en) Apparatus, method and monitoring system for measuring noise between floors
US1093927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otifying particular devices based on estimated distance
KR2015014445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Floor Noise at Apartment Complex
KR101726040B1 (en) Route guid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EP2884473A1 (en) Internet protocol addressable public address devices and systems
FR3003666A1 (en) APPARATUS FOR ESTIMATING PRESENCE PROBABILITY IN A WORKPIECE, METHOD AND PROGRAM THEREOF
JP2014191616A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ged person living alone, and service provision system
Hammoud et al. Ultrasense: A self-calibrating ultrasound-based room occupancy sensing system
Cay et al. Beacons for indoor positioning
JP6575089B2 (en) Mobile terminal facility inside / outside judgment device
Xie et al. Reuse of WiFi information for indoor monitoring of the elderly
Marin et al. Indoor localization techniques within a home monitoring platform
US11581010B2 (en) Drone assisted setup for building specific sound localization model
KR102197812B1 (en) Noise monitoring system for localization and the method thereof
JP2013113745A (en) Noise monitoring device
KR20170068348A (en) Management System for noise between floors of apartment house
KR102527348B1 (en) Floor Noise Monitoring Method With Privacy Protection, and System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