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2199A - LIGHT DEVICE FOR RELAYING THINGS, IoT SYSTEM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IGHT DEVICE FOR RELAYING THINGS, IoT SYSTEM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2199A
KR20180122199A KR1020170056408A KR20170056408A KR20180122199A KR 20180122199 A KR20180122199 A KR 20180122199A KR 1020170056408 A KR1020170056408 A KR 1020170056408A KR 20170056408 A KR20170056408 A KR 20170056408A KR 20180122199 A KR20180122199 A KR 20180122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ntrol signal
electronic device
unit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4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용
Original Assignee
김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용 filed Critical 김성용
Priority to KR1020170056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2199A/en
Priority to PCT/KR2018/004682 priority patent/WO2018203606A1/en
Publication of KR20180122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19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Io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relates to a lighting apparatus having an object relay function for controlling objects by using a lighting device having a socket installed in a house, an office, or the like and an IoT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ans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n IR signal that controls an electronic device in a lighting device with a socket part installed in each house, office, or the like is provided so as to relay and control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controlled by an existing IR signal. The lighting apparatus comprises: a socket part; a receiving part; a control signal generation part; a transmission part; and a power part.

Description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IoT 시스템{LIGHT DEVICE FOR RELAYING THINGS, IoT SYSTEM INCLUD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apparatus having an object relay function and an IoT system including the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IoT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 설치되는 소켓을 구비한 조명기구를 활용하여 사물의 제어를 수행하는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IoT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ing apparatus having an object relay function for controlling objects using a lighting apparatus having a socket installed in a home or an office, and an IoT system including the same.

현재, 소위 4차 산업 시대를 앞두고 다양한 형태의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home automation system) 및 사물인터넷 기술(Internet Of Things technology)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실제 가정 및 사무실 등에 설치되는 IoT 기술이 적용된 다양한 형태의 전자장치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Currently,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home automation systems and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in the form of various forms of home automation systems (IOT technology) Type electronic devices are continuously being developed.

일예로서, 가정 등에 설치되는 IoT 기술이 적용된 하나 이상의 가전, 전자장치들은 스마트 홈 허브 장치(smart home HUB device) 등을 통해 소규모 무선망 또는 유선망으로 서로 연결됨에 따라 하나의 제어수단을 통해 모든 전자장치가 제어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one example, one or more home appliances and electronic devices to which the IoT technology installed in the home is applie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small-scale wireless network or a wired network through a smart home HUB device or the like,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maximized.

그러나, 현재 시판중인 IoT 기술이 적용된 전자장치들은 기존의 이전 세대에 구입한 전자장치와는 연동하여 사용하지 못하며, 새로운 IoT 기능이 내장된 신제품을 구입해야 하는 한계가 있다. However, the electronic devices to which currently IoT technology is applied can not be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s purchased in the previous generation, and there is a limitation in purchasing a new product having a new IoT function.

예를 들면, 종래의 스마트 홈 허브 장치는 구동을 위해 전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별도의 전력 아울렛(power outlet)을 설치해야 하는 제약이 존재하게 된다.For example, in a conventional smart home hub device, power is continuously supplied for driving, and there is a restriction to install a separate power outlet for this purpose.

또한, 스마트 홈 허브 장치에 연결되는 전자장치들은 통상적으로 IR 리모트 콘트롤러를 통해 적외선(IR) 통신으로 제어되는데, 각 전자장치마다 제조사 또는 플랫폼이 상이함에 따라 전용의 리모트 콘트롤러가 요구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하나의 범용 리모트 콘트롤러(universal remote controller)를 이용하여 다수의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방식이 제안되었으나, 범용 리모트 콘트롤러 라 할지라도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해당 전자장치에 대하여 IR 수광부에 대향하도록 IR 빔을 직접 조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n addition,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the smart home hub device are usually controlled by infrared (IR) communication through an IR remote controller. Since a manufacturer or a platform is different for each electronic device, a dedicated remote controller is require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 method of controll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using a single universal remote controller has been proposed. However, even if the device is a general-purpose remote controller, It is troublesome to directly irradiate the IR beam so as to face each other.

공개특허공보 제20-2012-0008980호(공개일자: 2012.12.28.)Published Patent Publication No. 20-2012-0008980 (Open date: December 28, 2012)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0948호(공개일자: 2015.03.23.)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5-0030948 (Publication date: March 23, 2013)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각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 설치된 다양한 전자장치들에 대하여 각 장치간 제어신호의 중계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IoT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과제가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laying control signals between various devices, And an IoT system including the same.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는, 전구와 결합되는 소켓부; 외부장치로부터 제1 무선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를 가리키는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제2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식별코드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장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전자장치의 온 또는 오프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상기 제어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제2 무선신호를 생성 및 송출하는 송신부; 및 상기 소켓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ght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for relaying objects, comprising: a socket unit coupled to a bulb;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second radio signal including an identification code indicating one or more electronic devices controlled by a first radio signal from an external device; A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identifying the electronic devic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including an on or off command of the identified electronic device; A transmitter for converting the control signal to generate and transmit the second radio signal;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socket unit.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IoT 시스템은, 제1 무선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로부터 각 전자장치를 가리키는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제2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코드에 대응하여 식별된 전자장치에 제1 무선신호를 송출하여 온 또는 오프하는 하나 이상의 조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장치는, 전구가 결합되는 소켓부; 상기 제2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식별코드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장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전자장치의 온 또는 오프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상기 제어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제2 무선신호를 생성 및 송출하는 송신부; 및 상기 소켓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oT system including a lighting apparatus having an object relay function, the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controlled by a first wireless signal; And one or more lighting devices for receiving a second wireless signal including an identification code pointing to each electronic device from an external device and sending a first wireless signal to the identified electronic devic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to turn on or off The lighting device comprising: a socket portion to which a bulb is coupled; A receiver for receiving the second wireless signal; A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identifying the electronic devic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including an on or off command of the identified electronic device; A transmitter for converting the control signal to generate and transmit the second radio signal;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socket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 가정 및 사무실 등에 설치된 소켓부를 탑재한 조명기구내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IR 신호를 생성 및 송출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종래 IR 신호 및 기타 무선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다수의 전자장치를 중계 및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means for generating and sending an IR signal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in the illuminator equipped with a socket unit installed in each home, office, etc.,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relayed and controll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IoT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의 모식화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IoT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확장된 IoT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IoT 시스템의 가정에서의 적용 형태를 예시화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oT system including a light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of relaying obje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lighting apparatus having an object rela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lighting apparatus having an object rela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driving method of an IoT system including a light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of relaying obje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xtended IoT system including a light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of object re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pplication in the home of the IoT system of FIG.

설명에 앞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모듈(module)", "...부(unit)"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능이 조합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Prior to the descrip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mprising" or "including" a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be further comprised of other elements . Also, the terms " module, " " unit, "and" system, "and the like, Unit,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된다.Furthermore, the term "embodiment" is used herein to mean serving as an example, instance, or illustration, but the subject matter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such example.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including, "" having, "and other similar terms are used, but that they do not exclude any additional or different components when used in the claims, Quot; is < / RTI > used in a manner similar to the term " Comprising ".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IoT 시스템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lighting apparatus having an object rela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oT system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IoT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oT system including a light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of relaying obje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시스템은 제1 무선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10) 및, 외부장치(300)로부터 각 전자장치(10)를 가리키는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제2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코드에 대응하여 식별된 전자장치(10)에 제1 무선신호를 송출하여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하나 이상의 조명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1, an I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10 controlled by a first wireless signal, and an identification code indicating each electronic device 10 from an external device 300 Includes one or more illuminating devices (100) that receive a second wireless signal including an identification code and transmit and receive a first wireless signal to the identified electronic device (10)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can do.

또한, 본 발명의 IoT 시스템은 외부장치(300)가 무선 액세스 포인터 장치(320)일 경우 복수의 전자장치를 서로 연결하는 스마트 홈 허브 장치(400)와 연동할 수 있고, 외부장치(300)가 스마트 단말기(310)일 경우, 식별코드에 따라 분류된 전자장치(10)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 및 저장하며, 상기 리스트상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전자장치(10)에 대한 제1 무선신호를 생성 및 송출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탑재될 수 있다.In the Io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xternal device 300 is a wireless access point device 320, it can interwork with a smart home hub device 400 connect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to each other, In the case of the smart terminal 310, a list for the electronic device 10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is generated and stored, and a first wireless signal for the electronic device 10 selected by the user's operation on the list is generated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n application program for sending out is recorded.

전자장치(10)는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 설치되어 제어에 따라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장치로서, 라디오, 온도계, IP 카메라, TV/셋탑박스, 전등 및 에어콘, 도어장치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 may be a radio, a thermometer, an IP camera, a TV / set-top box, a lamp, an air conditioner, a door device, or the like.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 종류에 제약은 없으나, 소정의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온(on) 또는 오프(off) 되는 전자장치(10)들이 이용되며, 특히, 그 제2 무선신호로서 IR 신호가 적용되는 전자장치(10)들이 대상이 된다. 그리고, 각 전자장치(10)는 IR 신호를 수광하는 수신부가 조명장치의 송신부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Particular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kind, but electronic devices 10 which are turned on or off by receiving a predetermined radio signal are used, and in particular, IR The electronic devices 10 to which the signals are applied are targeted. Each electronic device 10 can be arranged so that the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IR signal corresponds to the transmitting unit of the lighting device.

또한, 전자장치(10)가 IR 신호를 이용하는 것이 아닌, WiFi 또는 타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제어되는 장치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조명장치(100)에는 해당 무선신호의 송출용 수신부가 탑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even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 is an apparatus controlled by WiFi or another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not by using an IR signal. In this case, A 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 can be mounted.

조명장치(100)는 소정의 발광체인 전구가 결합되어 온 됨에 따라 조명을 제공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300)로부터 송출되는 제1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해당 전자장치(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The lighting apparatus 100 receives a first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one or more external apparatuses 300, and notifies a corresponding electronic apparatus (not shown) 10).

상세하게는, 조명장치(100)는 외관을 이루는 외관 프레임 내부로 신호처리를 위한 회로모듈(미도시)이 배치되고, 회로모듈에 실장되는 제어신호 생성부를 통해 수신한 제1 무선신호로부터 제어대상이 되는 전자장치(10)를 식별하며 그 전자장치(10)에 대응하는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제1 무선신호에는 각 전자장치(10)마다 부여되는 유일한 식별코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제어신호 생성부는 그 식별코드에 따라 해당 전자장치(10)의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In detail, the lighting apparatus 100 includes a circuit module (not shown) for signal processing disposed inside an outer frame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nd a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10. [0050] To this end, the first radio signal may include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assigned to each electronic device 10, and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the electronic device 10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그리고, 제어신호 생성부는 생성한 제어신호를 송신부에 전달하고, 수신부는 제2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전자장치(10)에 송출하게 된다, Then,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transfer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transmission unit, and the reception unit convert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into the second radio signal and sends it to the electronic device 10. [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일반적인 조명수단과 같이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 설치되는 조명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조명장치(100)상에 광원인 필라멘트, 형광체 또는 LED와 같은 광원을 구비하는 전구가 결합되는 소켓부를 탑재하고 있으며, 소켓부에 결합되는 전구에 의해 통상적인 조명을 위한 장치로서 구동될 수 있고, 외부장치(300)로부터 제1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구비되는 전구를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illumin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llumination installed in a home or an office such as a general illumination device, and includes a light source such as a filament, a fluorescent material, or an LED The light emitting diod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riven as a conventional lighting device by a bulb connected to a socket portion, and can control a bulb provided by receiving a first wireless signal from the external device 300 can do.

또한, 본 발명의 조명장치(100)는 전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소켓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부와 회로모듈이 연결됨에 따라 대기상태 및 구동시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받게 된다. In addition, the illumina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stable supply of power during a standby state and a driving state when a power source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ocket unit and a circuit module are connected to supply power to a bulb.

외부장치(3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조명장치(100)에 대하여 소정의 무선신호를 송출하여 각 전자장치(1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외부장치(300)는 하나 이상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그 통신 프로토콜로는 WiFi, 지그비(Zigbee) 및 블루투스(bluetooth)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300 transmits a predetermined radio signal to the lighting device 100 in response to a user's operation and controls each electronic device 10. [ One or more of the external devices 300 may be used, and the communication protocol thereof may be WiFi, Zigbee, and bluetooth.

이러한 외부장치(300)로는 무선 액세스 포인터(wireless access point; AP) 장치(320), 스마트 단말기 및 리모트 콘트롤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특히 무선 액세스 포인터(320)는 사용자의 조작을 직접 입력 받을 수 없으므로, 복수의 전자장치들을 서로 연결하는 스마트 홈 허브 장치(400) 등으로부터 제어를 위한 신호를 수신하여 전달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300 may be a wireless access point (AP) device 320, a smart terminal, or a remote controller. In particular, since the wireless access pointer 320 can not directly receive a user's operation, the wireless access pointer 32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nd transmit a signal for control from a smart home hub device 400 or the like that connects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to each other .

또한, 외부장치(300)는 스마트 폰 및 태블릿PC 등의 스마트 단말기(310)일 수 있고, 스마트 단말기(310)일 경우 식별코드에 따라 분류된 전자장치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 및 저장하고, 그 리스트상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전자장치에 대한 제1 무선신호를 생성하여 조명장치(100)에 송출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311)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탑재될 수 있다. The external device 300 may be a smart terminal 310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and may generate and store a list of electronic devices classified according to an identification code in the case of the smart terminal 310,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n application program 311 for generating a first radio signal for an electronic device selected by a user's operation on the recording medium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first radio signal to the lighting apparatus 100 can be mounted.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외부장치(300)가 스마트 단말기(310)일 경우, 각 전자장치(10)의 리모트 콘트롤러에 대한 정보를 등록 한 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311) 통하여 각 전자장치(10)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서버장치(미도시)를 통하여 데이터를 가져 올 수 있고, 조명장치(100)에 스마트 홈 구현에 필요한 온도 센서, 대기 중 오염 측정센서, 동작 감지 센서 등이 추가 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external device 300 is the smart terminal 310, the illumin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gisters information on the remote controller of each electronic device 10, (Not shown) as well as to control the respective electronic devices 10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temperature sensor necessary for implementing a smart groove in the lighting device 100, Sensors, motion detection sensors, etc. may be added.

또한, 인공지능(AI)형 음성인식 비서장치(미도시)를 탑재한 스마트 홈 허브 장치(400)와의 연결을 통하여 큰 비용 부담없이 대부분의 가정에서 손쉽게 IoT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단, 조명장치(100)에 의한 송출신호인 IR 신호가 통상적으로 10m 이하임에 따라, 조명장치(100)를 여러곳에 설치하고,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하여 연결을 관리하게 된다.In addition, the IoT system can be easily implemented in most households through a connection with a smart home hub device 400 equipped with an AI-type voice recognition secretary device (not shown) at a high cost. However, since the IR signal as the transmission signal by the lighting apparatus 100 is typically 10 m or less, the lighting apparatus 100 is installed in various places and the connection is managed through one application program.

즉, 무선 액세스 포인터 장치(320)는 마이크를 탑재한 음성입력장치를 탑재한 스마트 홈 허브 장치(400)와 연결되고, 음성입력장치 또는 스마트 단말기(310)는 입력되는 음성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무선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at is, the wireless access point device 320 is connected to the smart home hub device 400 equipped with the microphone-equipped voice input device, and the voice input device or the smart terminal 3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radio signal.

그리고, 스마트 단말기(310)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311) 이외에 별도의 범용 리모트 콘트롤러(330)을 구성하여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각 기능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 separate universal remote controller 330 may be configured in addition to the application program 311 of the smart terminal 310 to control each function without using a smart device.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IoT 시스템은 조명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적외선 통신으로 구동하는 다양한 전자장치에 대하여 중계역할을 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전자장치를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스마트 홈 또는 스마트 오피스와 같은 IoT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IoT system including the illuminator having the object relay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performs the function as the illuminating means, but also functions as a relay for various electronic devices driven by the infrared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n IoT environment such as a smart home or a smart office while using the conventional electronic device as it i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시스템에 포함되는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a lighting apparatus having an object relay function included in the I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lighting apparatus having an object rela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는, 전구와 결합되는 소켓부(110), 외부장치(300)로부터 제1 무선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10)를 가리키는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제2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20), 식별코드에 대응하여 전자장치(10)를 식별하고, 식별된 전자장치(10)의 온 또는 오프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130), 제어신호를 변환하여 제2 무선신호를 생성 및 송출하는 송신부(140) 및 상기 소켓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lighting apparatus having an object rela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cket unit 110 coupled to a bulb, one or more electronic devices (not shown) controlled by a first wireless signal from an external device 300, A receiving unit 120 for receiving a second wireless signal including an identification code indicating the wireless device 10, an electronic device 10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and including an on or off command of the identified electronic device 10 A transmission unit 140 for converting a control signal to generate and transmit a second radio signal, and a power supply unit 150 for supplying power to the socket unit .

또한, 본 발명의 조명장치(100)는 제1 무선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소켓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도통 또는 차단하는 스위칭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witching unit 160 for turning on or of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unit to the socket unit corresponding to the first wireless signal.

또한, 제1 및 제2 무선신호는 IR, WiFi, 블루투스 및 지그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제1 무선신호를 제공하는 외부장치(300)는 무선 액세스 포인터 장치, 스마트 단말기 및 리모트 콘트롤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wireless signals may be any one of IR, WiFi, Bluetooth, and ZigBee, and the external device 300 providing the first wireless signal may be a wireless access point device, a smart terminal, It can be either.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조명장치(100)는 온도센서, 대기 측정센서, 동작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며, 제어신호 생성부(130)는 센서의 감지결과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더 생성하고, 송신부(140)는 스마트 단말기에 감지신호를 송출하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llumina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sensor among a temperature sensor, an atmospheric measurement sensor, and an operation detection sensor, and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130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And the transmitting unit 140 may include transmitting the sensing signal to the smart terminal.

상세하게는, 소켓부(110)는 광원인 전구가 결합되고, 구비된 전극이 전원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제어신호에 따라 전구를 온하여 조명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In detail, the socket unit 110 is connected to a bulb that is a light source, and the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unit 150, so that the bulb is turned 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o serve as a lighting unit.

수신부(120)는 외부장치(300)로부터 송출되는 제1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무선신호로는 WiFi 뿐만 아니라 지그비, 블루투스 등 다양한 신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수신부(120)는 외부장치(300)와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제1 무선신호를 수신하게 되며, 내부의 데이터 버스에 대응되도록 변환하여 제어신호 생성부(130)에 전달하게 된다. The receiving unit 120 serves to receive a first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device 300. Various signals such as ZigBee and Bluetooth can be used as the first wireless signal, and the receiver 120 receives the first wireless signal using the same communication protocol as that of the external device 300,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30.

제어신호 생성부(130)는 수신한 전자장치(10)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무선신호는 다수의 전자장치(10)에 대한 식별코드 및 제어명령을 포함할 수 있고, 제어신호 생성부(130)는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전자장치(10)를 판단하고,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명령은 단순히 전자장치(10)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는 불린타입(boolean type) 데이터 및, TV 채널선택 또는 에어컨의 단계별 온도조절 등과 같이 둘 이상의 상태제어를 위한 정수타입(integer type) 데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생성된 제어신호는 송신부(140)에 전달된다.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3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the received electronic device 10. [ The first radio signal may include an identification code and a control command for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10 and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30 may determine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 10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As shown in FIG. Here, the control command is simply an integer type for controlling two or more states, such as boolean type data for controlling on / off of the electronic device 10, and step-by-step temperature control of a TV channel selection or air conditioner, Lt; / RTI >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tter 140.

송신부(140)는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각 전자장치(10)를 향해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각 전자장치(10)는 대개의 경우 적외선 통신을 수행함에 따라, 송신부(140)는 제어신호를 해당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하여 전자장치(10)로 송출하게 된다.The transmitting unit 140 has one or more functions to transmit a second wireless signal toward each electronic device 10. [ As each electronic device 10 performs infrared communication in most cases, the transmission unit 140 converts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protocol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electronic device 10.

이에 따라, 전자장치(10)는 송출된 제어신호에 포함된 식별코드를 통해 자신에 해당되면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적절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electronic device 10 performs an appropriat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if it is in its own state through the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transmitted control signal.

전술한 수신부(120), 제어신호 생성부(130) 및 송신부(140)는 하나의 인쇄회로기판(PCB)에 실장될 수 있고, 기판상의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120, 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 130, and the transmitting unit 140 may be mounted on a single printed circuit board (PCB)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wiring on the substrate.

전원부(150)는 소켓부(110) 및 구성부(120 ~ 140)에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스위칭부(160)는 소켓부(110) 및 전원부(150)를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위칭부(160)는 제어신호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음에 따라, 외부장치(300)가 전자장치(10)만을 제어하는 것이 아닌, 조명장치(100) 자체의 광원도 제어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50 supplies power for driving the socket unit 110 and the components 120 to 140 and the switching unit 160 connects the socket unit 110 and the power supply unit 150 It plays a role. Since the switching unit 160 can be activated by a control signal, the external device 300 can control not only the electronic device 10 but also the light source of the lighting device 100 itself.

또한, 스위치는 조명장치(100)의 물리적 스위치로서, 사용자의 직접 조작에 따라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하여 소켓부(110)에 결합된 전구를 온 또는 오프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switch may be a physical switch of the lighting apparatus 100, and may be configured to turn on or off a power source connected to the socket unit 110 by turning the power source on or off according to a user's direct operation.

한편, 전술한 제1 및 제2 무선신호는 IR, WiFi, 블루투스 및 지그비 중, 어느 하나이며, 제1 무선신호를 제공하는 외부장치(300)는 무선 액세스 포인터 장치, 스마트 단말기 및 리모트 콘트롤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wireless signals are any one of IR, WiFi, Bluetooth, and ZigBee, and the external device 300 providing the first wireless signal may be a wireless access point device, a smart terminal, It can be either.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조명장치(100)는 온도센서, 대기 측정센서, 동작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며, 제어신호 생성부(130)는 센서의 감지결과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더 생성하고, 송신부(140)는 스마트 단말기에 감지신호를 송출하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llumina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sensor among a temperature sensor, an atmospheric measurement sensor, and an operation detection sensor, and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130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And the transmitting unit 140 may include transmitting the sensing signal to the smart terminal.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100)는 외부장치(300)에 의한 제어명령에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lighting apparatus 100 having the object relay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one or more electronic devices 10 install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command by the external device 300 can do.

이하,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의 외관 및 기구적 구조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ppearance and a mechanical structure of a lighting apparatus having an object rela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의 모식화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S. 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lighting apparatus having an object rela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전구(101), 소켓홈(102), 외관 프레임(104), 회로모듈(105), IR 발광부(106), 전극부(107), 전원모듈(108) 및 배선(109)을 포함할 수 있다.3A, a ligh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mp 101, a socket groove 102, an outer frame 104, a circuit module 105, an IR light emitting portion 106, A power supply module 108, and a wiring 109. [0031]

전구(101)는 조명장치(100)의 광원으로서, 백열전구 및 형광등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하부에 나선형의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The bulb 101 is a light source of the illumination device 100, and an incandescent lamp, a fluorescent lamp, or the like can be used, and a spiral electrode is formed in the lower part.

소켓홈(102)은 전구(101)의 전극이 결합되는 것으로, 내측면에 그 전극에 대응하는 나선형상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로는 회로모듈(105)이 배치된다. 특히, 소켓홈(102)은 회로모듈(105)과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닌, 별도의 배선(109)을 통해 전원모듈(108)이 연결되게 된다. In the socket groove 102, the electrode of the bulb 101 is coupled, and a spir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is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and the circuit module 105 is arranged below the socket groove 102. Particularly, the socket groove 102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circuit module 105, but is connected to the power module 108 through a separate wiring 109.

외관 프레임(104)은 조명장치(100)의 외관을 이루며, 플라스틱 재질의 원통형 구조일 수 있고, 내부로 회로모듈(105)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로는 소켓홈(102)이 배치되고, 하부로는 전원모듈(180)이 내장된 하부 전극부(107)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둘레면으로는 복수의 IR 발광부(106)가 배치되어 있다.The outer frame 104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lighting apparatus 100 and may be a cylindrical structure of plastic material and a space into which the circuit module 105 is inserted is formed. A socket groove 102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electrode portion 107 in which a power module 180 is embedded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A plurality of IR light emitting units 106 are arrang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회로모듈(105)은 무선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고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구성부가 칩셋형태로 기판상에 탑재되어 구성된다.The circuit module 105 is constructed and arranged on a substrate in the form of a chipset in which a wireless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IR 발광부(106)는 송신부와 연결되어 적외선 광 형태의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IR 발광부(106)는 제2 무선신호의 송출시 주변의 모든 전자장치를 향해 적외선 신호를 송출하여야 함에 따라, 원통형의 외주면을 따라 암영지역이 최소화되도록 복수의 IR 발광부(106)가 나란히 배치될 수 있으며, 360°전 방향으로 IR 광이 조사되도록 한다.The IR light emitting unit 106 is connected to the transmitting unit and transmits the second wireless signal in the form of infrared light. In particular, since the IR light emitting unit 106 must emit an infrared signal toward all surrounding electronic devices at the time of transmitting the second wireless signal, a plurality of IR light emitting units 106 are provided so as to minimize the shadow region along the cylindrical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IR light is radiated in all directions 360 °.

만약,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장치가 IR 신호가 아닌 WiFi 또는 블루투스 등, 적외선이 아닌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장치라면, 상기 IR 발광부(106)는 해당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송신수단을 더 포함하거나, 그 송신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If the electronic device to be controlled is not an IR signal but is a device using a communication protocol other than infrared such as WiFi or Bluetooth, the IR light emitting unit 106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means for transmitting the wireless signal , It can be replaced with the transmitting means.

하부 전극부(107)는 외관 프레임(104)의 하부에 결합되어 외부방향으로 돌출되고 외표면이 전극역할을 하며 나선형상이 형성되어 있어 외부지지수단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로는 전원모듈(108)이 배치되어 있다.The lower electrode part 107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outer frame 104 and protrudes outwardly.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lectrode part 107 acts as an electrode. A power supply module 108 is disposed inside.

전원모듈(108)은 전원부 및 스위칭부로 구성되며, 하부 전극부(107)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변환하여 각 구성부에 공급하게 된다. 특히 배선(109)은 소켓부의 전극로부터 연장되어 전원모듈(108)의 스위칭부와 연결됨에 따라, 스위칭부의 조작 또는 제어신호에 따라 전구(101)를 온 또는 오프하게 된다. The power module 108 includes a power unit and a switching unit, and converts power supplied from the lower electrode unit 107 to supply the power to the respective components. Particularly, as the wiring 109 extends from the electrode of the socket portion and is connected to the switching portion of the power module 108, the bulb 101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operation or control signal of the switching portion.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를 나타내고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바(bar)형 조명장치(200)로서, 전구(201)가 일방향으로 긴 형태로 이루어지며, 소켓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전극(202)이 외관 프레임(204)의 일측에 삽입되어 결합되게 된다.3B shows a ligh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B, a bar-shaped illumination device 200 includes a bulb 201 having a long shape in one direction, and an electrode 202,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a socket portion, As shown in FIG.

외관 프레임(204)은 상기의 실시예와 같이, 내부공간을 갖는 원통형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부로 회로모듈(205) 및 전원모듈(208)이 배치되게 된다. 또한, 외관 프레임(204)의 외측면으로는 복수의 IR 발광부(206)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The outer frame 204 may be formed of a cylindrical plastic material having an inner space, and the circuit module 205 and the power module 208 may be disposed therein as in the above embodiment. Further, a plurality of IR light emitting portions 206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204. [

그리고, 배선(209)은 전극(202)에서 일정높이로 연장되는 부분과 전원모듈(208)을 서로 연결하게 된다.The wiring 209 connects the portion of the electrode 202, which extends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power module 208 to each other.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조명수단으로서,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 설치되며, 특히 IR 발광부를 통해 주변에 배치된 다수의 전자장치에 제어신호가 변환된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ligh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ghting device, which is installed in a home or office, and in particular, transmits a second wireless signal in which a control signal is converted to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disposed in the periphery through an IR light- .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IoT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driving method of an IoT system including a lighting apparatus having an object rela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IoT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별다른 지시가 없다면, 각 단계에서의 실행주체는 조명장치 및 이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가 된다.4 is a view illustrating a driving method of an IoT system including a light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of relaying obje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execution subject in each stage will be the lighting apparatus and each constituent unit constituting the lighting apparatus.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먼저 조명장치가 외부장치로서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 또는 범용 리모트 콘트롤러 조작에 따라 생성된 제1 무선신호를 수신하면(S100), 조명장치는 수신한 제1 무선신호에 포함된 식별코드를 통해 그 제어대상이 되는 전자장치를 식별한다(S110).Referring to FIG. 4, in the driving method of the Io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ighting device receives the first wireless signal generated by the user's smart terminal or the universal remote controller as an external device (S100) , The lighting device identifies the electronic device to be controlled through the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received first wireless signal (S110).

식별결과에 따라(S120), 제어대상이 자신, 즉 조명을 제어하는 신호인 경우에는 제어신호 생성부는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칭부를 제어하여(S130), 전구를 온 또는 오프하게 된다.If the control object i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illumination itself (S120),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generate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unit to control the switching unit (S130) to turn on or off the light bulb.

또한, 제어대상이 타 전자장치인 경우, 유효범위 내 제어대상이 존재하는 지 여부에 따라(S140),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무선신호를 수신한 타 조명장치에 의해 제2 무선신호가 송출되거나, 예외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절차가 종료된다.If the control target is another electronic devic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n object to be controlled within the valid range (S140). If not, the second wireless signal is transmitted by another illuminating device that has received the first wireless signal Or the procedure is terminated as an exceptional situation has occurred.

그리고, 제어대상이 타 전자장치이며, 유효범위내 제어대상이 존재하면, 생성된 제어신호를 IR 신호형태의 제2 무선신호로 변환하고 송출함으로써 식별된 전자장치가 제2 무선신호를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그 전자장치를 온 또는 오프하거나, 기타 제어를 수행하도록 한다(S150).If the control object is another electronic device and there is an object to be controlled within the effective range,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is converted into a second radio signal in the form of an IR signal and transmitted, thereby allowing the identified electronic device to receive the second radio signal The electronic device is turned on or off, or other control is performed (S150).

특히, IR 신호는 WiFi와 같은 무선통신 프로토콜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송수신 범위가 제한적이며,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 설치된 다수의 전자장치들이 여러 영역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제2 무선신호가 정상적으로 전자장치에 의해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In particular, the IR signal has a relatively limited transmission and reception range as compar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WiFi, and when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installed in a home or an office are installed in various areas, the IR signal is transmitted from a lighting device having one object relay function The second radio signal may not be normally received by the electronic device.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나가 아닌 복수의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를 추가하여 모든 전자장치들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According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all electronic devices by adding a light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object relays instead of on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확장된 IoT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IoT 시스템의 가정에서의 적용 형태를 예시화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xtended IoT system including a light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for relaying objec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llustrates an example of application of the IoT system in FIG. .

도 5를 참조하면, 다수의 전자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IoT 시스템은 조명장치(100)가 제1 무선신호에 따라 각각 제2 무선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조명장치(100.1 ~ 100.4)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n IoT system including a light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object relay functio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includes a lighting device 100, And a plurality of lighting apparatuses 100.1 to 100.4 for outputting a second wireless signal.

여기서, 제1 무선신호는 외부장치로서 범용 리모트 콘트롤러(330)의 제어 또는 스마트 단말기(3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311)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터 장치(320)가 각 조명장치(100.1 ~ 100.4)의 전체에 대하여 동일 한 제1 무선신호를 송출하게 된다.Here, the first wireless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access point device 320 to each of the lighting apparatuses 100.1 to 100.4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universal remote controller 330 as an external device or the control of the application program 311 installed in the smart terminal 310) The same first wireless signal is transmitted.

여기서, 제1 무선신호는 WiFi, 블루투스 및 지그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조명장치(100.1 ~ 100.4)들은 제1 무선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IR 신호(IR1 ~ IR4)인 제2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모든 전자장치에 송출하게 되며, 각 조명장치(100.1 ~ 100.4)는 서로 다른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이 아닌, 동일한 제1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동일한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Here, the first wireless signal may be one of WiFi, Bluetooth, and ZigBee, and when the first wireless signal is received, the illumination devices 100.1 to 100.4 convert the first wireless signal into a second wireless signal that is an IR signal IR1 to IR4 And each of the illumination devices 100.1 to 100.4 receives the same first wireless signal and transmits the same second wireless signal instea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fferent wireless signals.

특히, 일반적인 스마트 단말기(310)는 WiFi 프로토콜에 따른 신호를 자체적으로 송출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으므로, 제1 무선신호를 액세스 포인터 장치(320)를 거치지 않고 직접 조명장치(100)에 송출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general smart terminal 310 has a function of sending a signal according to the WiFi protocol, it transmits the first wireless signal directly to the illumination device 100 without going through the access pointer device 320 .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IoT 시스템은 일반가정에서 거실뿐만 아니라, 주방 및 침실 등에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조명장치(100.1 ~ 100.6)가 배치되는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IoT system including the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object relay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living room, a kitchen, a bedroom, To 100.6) are disposed.

이러한 구조에서, 거실의 TV 또는 에어컨(11, 12)은 제3 또는 제4 조명장치(100.3, 100.4)에 의해 제어가 가능하나, 침실2의 온도계(13) 및 도어장치(14) 등은 제3 또는 제4 조명장치(100.3, 100.4)에 의해서는 제2 무선신호가 침실의 벽을 통과하지 못함에 따라, 제어가 불가능하게 된다.In this structure, the TV or the air conditioner 11, 12 in the living room can be controlled by the third or fourth illuminating device 100.3, 100.4, but the thermometer 13, the door device 14, 3 or the fourth illumination device 100.3, 100.4, the second wireless signal can not pass through the walls of the bedroom, thereby making it impossible to control.

여기서, 무선 액세스 포인터 장치(320)가 송출하는 제1 무선신호는 WiFi 등의 비교적 장애물에 영향을 덜 받는 신호이므로 조명장치(100.1 ~ 100.6)가 각 침실내 설치된다 하더라도 신호 송수신에는 어려움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타 침실에 있는 온도계, TV 등을 각각 제어하기 위해 거실 뿐만 아니라 각 침실 및 주방마다 조명장치(100.1 ~ 100.6)을 설치하여 각각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Here, since the first wireless signal transmitted by the wireless access point device 320 is a signal less affected by relatively obstacles such as WiFi, even if the illumination devices 100.1 through 100.6 are installed in each bedroom, there is difficulty in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100.1 ~ 100.6) for each bedroom and kitchen as well as a living room to control thermometers and TVs in the other bedroom, respectively.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While a great many are described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an example of preferred embodiments rather than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invention is not to be determin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claims and the appended claims.

10 : 전자장치 100 : 조명장치
110 : 소켓부 120 : 수신부
130 : 제어신호 생성부 140 : 송신부
150 : 전원부 160 : 스위칭부
300 : 외부장치 400 : 스마트 홈 허브 장치
10: electronic device 100: lighting device
110: socket unit 120: receiving unit
130: control signal generator 140:
150: Power supply unit 160:
300: external device 400: smart home hub device

Claims (10)

전구와 결합되는 소켓부;
외부장치로부터 제1 무선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를 가리키는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제2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식별코드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장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전자장치의 온 또는 오프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상기 제어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제2 무선신호를 생성 및 송출하는 송신부; 및
상기 소켓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는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A socket portion coupled with the bulb;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second radio signal including an identification code indicating one or more electronic devices controlled by a first radio signal from an external device;
A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identifying the electronic devic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including an on or off command of the identified electronic device;
A transmitter for converting the control signal to generate and transmit the second radio signal; And
And a power supply unit
And an object relaying fun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소켓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도통 또는 차단하는 스위칭부
를 포함하는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on or off a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unit to the socket unit in response to the first radio signal,
And an object relaying fun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무선신호는 IR, WiFi, 블루투스 및 지그비 중, 어느 하나인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wireless signals have any one of IR, WiFi, Bluetooth, and ZigBe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무선 액세스 포인터 장치, 스마트 단말기 및 리모트 콘트롤러 중, 어느 하나인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ternal device includes:
A wireless terminal device, a wireless access point device, a smart terminal, and a remote controller.
제 4 항에 있어서,
온도센서, 대기 측정센서, 동작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센서의 감지결과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더 생성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상기 감지신호를 송출하는 포함하는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 temperature sensor, an atmospheric measurement sensor, and a motion detection sensor,
Wherein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further generat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The transmitter may further comprise:
And transmitting the sensing signal to the smart termina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터 장치는 마이크를 탑재한 음성입력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음성입력장치 또는 스마트 단말기는,
입력되는 음성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무선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wireless access point device is connected to a voice input device on which a microphone is mounted,
The voice input device or the smart terminal,
And an object relaying function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the second wireless signal in accordance with an input vo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로 소켓부가 결합되는 소켓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수신부, 제어신호 생성부 및 송신부가 실장되는 회로모듈이 배치되는 외관 프레임;
상기 외관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 또는 하부로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전원부가 실장되는 하부전극부; 및
상기 송신부와 연결되고, 상기 외관 프레임의 외측면으로 노출되는 복수의 IR 발광부
를 포함하는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exterior frame in which a socket groove is formed in which a socket portion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and a circuit module in which the receiving portion, 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portion, and the transmitting portion are mounted is disposed;
A lower electrode part arranged or disposed below the outer frame and having the power unit mount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IR light emitting unit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unit and expos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And an object relaying function.
제1 무선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로부터 각 전자장치를 가리키는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제2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코드에 대응하여 식별된 전자장치에 제1 무선신호를 송출하여 온 또는 오프하는 하나 이상의 조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장치는,
전구가 결합되는 소켓부;
상기 제2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식별코드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장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전자장치의 온 또는 오프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상기 제어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제2 무선신호를 생성 및 송출하는 송신부; 및
상기 소켓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는 IoT 시스템.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controlled by a first wireless signal; And
Comprising at least one illuminating device for receiving a second radio signal comprising an identification code pointing to each electronic device from an external device and for sending a first radio signal to the identified electronic device corresponding to said identification code for turning on or off ,
The illumination device includes:
A socket portion to which the bulb is coupled;
A receiver for receiving the second wireless signal;
A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identifying the electronic devic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including an on or off command of the identified electronic device;
A transmitter for converting the control signal to generate and transmit the second radio signal; And
And a power supply unit
Lt; / RTI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무선 액세스 포인터 장치이고,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터 장치는,
복수의 전자장치를 서로 연결하는 스마트 홈 허브 장치와 연동하는 IoT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external device is a wireless access point device,
The wireless access point device includes:
An IoT system interworking with a smart home hub device connect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to each oth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스마트 단말기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상기 식별코드에 따라 분류된 전자장치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 및 저장하고, 상기 리스트 상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전자장치에 대한 상기 제1 무선신호를 생성 및 송출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탑재되는 IoT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external device includes a smart terminal,
The smart terminal comprises:
An application program for creating and storing a list of electronic device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and generating and sending the first wireless signal for an electronic device selected by a user's operation on the list, IoT system to be.
KR1020170056408A 2017-05-02 2017-05-02 LIGHT DEVICE FOR RELAYING THINGS, IoT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80122199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408A KR20180122199A (en) 2017-05-02 2017-05-02 LIGHT DEVICE FOR RELAYING THINGS, IoT SYSTEM INCLUDING THE SAME
PCT/KR2018/004682 WO2018203606A1 (en) 2017-05-02 2018-04-23 Lighting device having thing relay function and iot system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408A KR20180122199A (en) 2017-05-02 2017-05-02 LIGHT DEVICE FOR RELAYING THINGS, IoT SYSTEM INCLUDING THE SA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398A Division KR102015895B1 (en) 2019-01-29 2019-01-29 LIGHT DEVICE FOR RELAYING THINGS, IoT SYSTEM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199A true KR20180122199A (en) 2018-11-12

Family

ID=64016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408A KR20180122199A (en) 2017-05-02 2017-05-02 LIGHT DEVICE FOR RELAYING THINGS, IoT SYSTEM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122199A (en)
WO (1) WO2018203606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007B1 (en) 2017-08-18 2020-03-02 주식회사 에니텍시스 IoT-based facilities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self-generation
KR200495234Y1 (en) * 2021-03-24 2022-04-04 주광철 A complex remote controller system including light control and using smartphone app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4967B2 (en) * 2013-06-20 2016-11-30 株式会社遠藤照明 Lighting control apparatus and lighting system
KR20150045552A (en) * 2013-10-18 2015-04-29 주식회사 디지엔스 A smart system of sensible lightings
CN104378886A (en) * 2014-11-14 2015-02-25 生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Intelligent illumin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KR20170025244A (en) * 2015-08-28 2017-03-08 주식회사 코코넛네트웍스 Method for Providing Smart Lighting Service,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KR101678835B1 (en) * 2016-05-04 2016-11-23 메를로랩 주식회사 Wireless lighting device and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007B1 (en) 2017-08-18 2020-03-02 주식회사 에니텍시스 IoT-based facilities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self-generation
KR200495234Y1 (en) * 2021-03-24 2022-04-04 주광철 A complex remote controller system including light control and using smartphone ap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03606A1 (en) 2018-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02768B2 (en) Sensor Arrangements
US11171803B2 (en) Smart home communications architecture
US20240063526A1 (en) Control Module for a Lighting Fixture
KR100531141B1 (en) System and method for home automation using ir and rf combined remocon module
JP2017510135A (en) Home appliance system that can be operated with infrared remote control for wireless WIFI intelligent ceiling light
JPH11346392A (en) Appliance central management system, appliance central management unit used for this system or terminal for managed device
KR20180122199A (en) LIGHT DEVICE FOR RELAYING THINGS, IoT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015895B1 (en) LIGHT DEVICE FOR RELAYING THINGS, IoT SYSTEM INCLUDING THE SAME
JP4872360B2 (en) Remote control system
KR20150141129A (en) Light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appliaiance with infrared communication
EP2132961B1 (en) Control circuit, system for operating a device and device for programming such a control circuit
KR20190079720A (en) Remote control system with intelligent cooling / heating control and illumination function for companion animals
KR101732249B1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universal remocon based on network communication
JP4003474B2 (en) Lighting device
US11862009B2 (en) Power-saving control system using remote-control communication
KR101895696B1 (en) HYBRID TECHNOLOGY OF LIGHT-FIDELITY AND RADIO FREQUENCY(WiFi/ZigBee/Bluetooth)
JP4790866B1 (en) Remote control system
KR101952780B1 (en) IoT SYSTEM USING LAMP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4185834A (en) Electric apparatus control system
CN210181431U (en) Infrared remote control device and intelligent home control system
EP40977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and/or relative environment of a controlling device
JP2017158022A (en) Remote control system
TWM496826U (en) Wireless control system
KR101926734B1 (en) The sensing devic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by the sensing device
KR20140004493A (en) Gatew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