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1389A -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1389A
KR20180121389A KR1020180047830A KR20180047830A KR20180121389A KR 20180121389 A KR20180121389 A KR 20180121389A KR 1020180047830 A KR1020180047830 A KR 1020180047830A KR 20180047830 A KR20180047830 A KR 20180047830A KR 20180121389 A KR20180121389 A KR 20180121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s
information
unit
monitoring point
abnorm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8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마사야 노자키
Original Assignee
아즈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즈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즈빌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121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38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34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is a storage system, e.g. DASD based or network bas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network communication
    • G05B19/4185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network communication by local area network [LAN], network struc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31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root cause analysis; using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notifications, alarms or events based on decision criteria, e.g. hierarchy, tree or time ana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larm System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Abstract

A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bnormality in an NAS without visually checking the NAS body installed as the extended storage is provided. The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includes a management information collection part (1012) that collects management information indicating the status of a NAS (5) from the NAS (5) connected to a network, through the network, an abnormality detection part (1032) that detects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NAS (5) based on the managemen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management information collection part (1012), and a notification control part (104) for outputting an alarm when the abnormality detection part (1032) detects that the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NAS (5).

Description

시설 감시 장치{FACILITY MONITORING APPARATUS}{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 접속된 시설 내의 설비 및 NAS(Network Attached Storage)의 상태를 감시하는 시설 감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in a facility connected to a network and a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NAS (Network Attached Storage).

일반적으로, 장치에 있어서는, 기억부로서 플래시 메모리 등을 채용하고 있지만, 그 플래시 메모리 등에서는 스토리지의 용량이 적어, 장기간의 데이터를 장치 내에서 보존해 두는 것이 어렵다.In general, a flash memory or the like is employed as the storage unit in the apparatus. However, in the flash memory or the like, storage capacity is small and it is difficult to store long-term data in the apparatus.

그래서, 종래부터, NAS를 이용하여, 장치가 사용하는 기억부의 스토리지를 확장하도록 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Hitherto, a technique has been known in which NAS is used to expand the storage of the storage unit used by the apparatus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8-36353호 공보Patent Document 1: JP-A-2008-36353

NAS 본체에 고장 등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상이 발생한 것은, NAS 본체의 LED의 점등 등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When an abnormality such as a failure occurs in the NAS main body, an abnormality can be confirmed by turning on the LED of the NAS main body.

그러나, 시설 내의 설비 등을 감시하는 시설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서버의 확장 스토리지로서 그 NAS를 설치하도록 한 경우는, NAS 본체가 평소 눈에 띄지 않는 랙 등의 속에 격납되는 경우가 있어, 관리자 등은, NAS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인식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However, when the NAS is installed as an extended storage of the server in the facility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the facilities in the facility, the NAS main body may be stored in a rack or the like that is usually not conspicuous, ,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NA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확장 스토리지로서 설치된 NAS 본체를 눈으로 보아 확인하는 일없이 그 NAS에 이상 발생한 것을 검지할 수 있는 시설 감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occurrence of abnormality in the NAS without visually checking the NAS main body installed as extended storage.

본 발명에 따른 시설 감시 장치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NAS로부터, 그 네트워크를 통해, 그 NAS의 상태를 나타내는 관리 정보를 수집하는 관리 정보 수집부와, 관리 정보 수집부가 수집한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NAS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부와, 이상 검지부가, NAS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검지한 경우, 경보를 출력시키는 통지 제어부를 구비한 것이다.The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nagem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management information indicating the state of the NAS from the NAS connected to the network through the network, And an abnormality detection section for detecting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NAS, and a notification control section for outputting an alarm when an abnormality detection section detects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NAS.

본 발명에 따르면, 확장 스토리지로서 설치된 NAS 본체를 눈으로 보아 확인하는 일없이 그 NAS에 이상 발생한 것을 검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occurrence of abnormality in the NAS without visually checking the NAS main body installed as extended storag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시설 감시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시설 감시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이 실시형태 1의 시설 감시 장치에 있어서, 감시 포인트 또는 NAS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이 실시형태 1에 있어서, 확인 화면 표시 제어부가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감시 포인트 확인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시에 기초하여, 표시 제어부가, 감시 포인트 데이터, 또는, NAS에 축적된 정보를 표시시키는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facilit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notifying a user of an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in a monitoring point or NAS in the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urveillance point confirmation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by the confirmation screen display control unit in the first embodiment.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the display control unit to display surveillance point data or information accumulated in the NAS on the basis of the user's instruction in the first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실시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시설 감시 장치(1)를 구비한 시설 감시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facility monitoring system having a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1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시설 감시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설 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설비(4-1, 4-2, 4-3, …)가 접속된 1대 이상의 컨트롤러(3-1, 3-2, 3-3, …)와, 그 컨트롤러(3-1, 3-2, 3-3, …)가 접속된 시설 감시 장치(1)와, NAS(5-1, 5-2, 5-3)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됨으로써 구성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 1에서는, 1대 이상의 컨트롤러(3-1, 3-2, 3-3, …)를, 통합하여 컨트롤러(3)로 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 1에서는, 하나 이상의 설비(4-1, 4-2, 4-3, …)를, 통합하여 설비(4)로 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NAS(5-1, 5-2, 5-3)를, 통합하여 NAS(5)로 하는 것으로 한다.1, the facility monitoring system includes at least one controller 3-1, 3-2, 3 connected to at least one facility 4-1, 4-2, 4-3, The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1 to which the controllers 3-1, 3-2, 3-3, ... are connected and the NAS 5-1, 5-2, 5-3 , And connected via a network. In the firs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one or more controllers 3-1, 3-2, 3-3,... Are integrated into the controller 3. In the firs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at least one facility 4-1, 4-2, 4-3,.. It is also assumed that the NAS 5-1, 5-2, 5-3 are integrated into the NAS 5.

시설 감시 장치(1)와, 컨트롤러(3)와, NAS(5)는, 예컨대, BACnet(Buliding Automation and Control network) 등의 오픈 네트워크로 접속된다. 또한, 시설 감시 장치(1)는, 소프트웨어에 기초한 CPU를 이용한 프로그램 처리에 의해 실행된다.The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1, the controller 3 and the NAS 5 are connected by an open network such as a BACnet (buliding automation and control network). Further, the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1 is executed by a program process using a CPU based on software.

컨트롤러(3)는, 시설 내의 설비(4)로부터, 그 설비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예컨대, 센서, 온도계, 전력계 등의 설비(4)에 설치된 기기 등으로부터 그 기기가 취득하는 온도, 습도, 전력량 등의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 실시형태 1에서는, 설비(4), 또는, 설비(4)에 설치된 기기 등을 감시 포인트(도 1에 있어서는 도시 생략)라고 하며, 그 감시 포인트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 즉, 감시 포인트의 값을, 감시 포인트 데이터라고 한다.The controller 3 collects data on the facility from the facility 4 in the facility. For example, data such as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acquired by the device are collected from a device installed in the facility 4 such as a sensor, a thermometer, and a power meter. In the first embodiment, the equipment 4 or equipment installed in the equipment 4 is referred to as a monitoring point (not shown in Fig. 1), and data collected from the monitoring point, that is, , And monitoring point data.

또한, 컨트롤러(3)에 의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수집 주기는 항시로 하여도 좋고, 미리 설정된 수집 주기로 하여도 좋고, 적절하게 설정 가능하다. 이 실시형태 1에서는, 일례로서, 컨트롤러(3)는, 미리 설정된 수집 주기로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으로 한다.Further, the collection period of the monitoring point data by the controller 3 may be always, or may be set to a predetermined collection period, and may be appropriately set. In the first embodiment, as an example, the controller 3 collects surveillance point data at a predetermined collection period.

시설 감시 장치(1)는, 컨트롤러(3)와의 사이에서, 미리 설정된 감시 주기로 통신을 행하여, 컨트롤러(3)로부터 감시 포인트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에 기초한 설비(4)의 감시 제어를 행한다. 또한, 시설 감시 장치(1)는, NAS(5)로부터 관리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NAS(5)의 감시 제어를 행한다.The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1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ler 3 at a predetermined monitoring period to collect monitoring point data of the monitoring point from the controller 3 and to collect the monitoring point data from the facility 4 based on the collected monitoring point data, As shown in FIG. The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1 also collects management information from the NAS 5 and performs monitoring and control of the NAS 5 based on the collected management information.

또한, 시설 감시 장치(1)에 의한 NAS(5)의 관리 정보의 수집 주기는 항시로 하여도 좋고, 미리 설정된 수집 주기로 하여도 좋고, 적절하게 설정 가능하다. 이 실시형태 1에서는, 일례로서, 시설 감시 장치(1)는, 미리 설정된 수집 주기로 관리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한다.Further, the collection period of the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NAS 5 by the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1 may be always, or may be set to a predetermined collection period, and may be appropriately set. In the first embodiment, as an example, the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1 collects management information at a predetermined collection cycle.

NAS(5)는, 시설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의 서버(도시 생략)의 확장 스토리지로서, 시설 감시 시스템에 구비된다. NAS(5)는,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하여 사용하는 파일 서버로서, 대용량 또는 장기간의 데이터 축적이 가능하다.The NAS 5 is provided in the facility monitoring system as extended storage of a server (not shown) in the facility monitoring system. The NAS 5 is a file server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a network and used, and can store large-capacity or long-term data.

또한, 도 1에서는, NAS(5)는, 3대 접속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NAS(5)는, 적절하게 설치 가능하다. 1대째의 NAS(5)의 빈 용량이 없어진 경우에, 2대째 이후의 NAS(5)를 설치함으로써, 스토리지 영역은, 한계 없이 확장할 수 있다.In FIG. 1, three NAS 5s are connected,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NAS 5 can be appropriately installed. The storage area can be expanded without limitation by installing the second or subsequent NAS 5 when the capacity of the first NAS 5 is los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시설 감시 장치(1)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설 감시 장치(1)는, 수집부(101)와, 기억부(102)와, 판정부(103)와, 통지 제어부(104)와, 표시 제어부(105)와, 음성 출력부(106)와, 조작 접수부(107)와, 추출부(108)와, 표시부(109)를 구비한다.2, the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1 includes a collecting unit 101, a storage unit 102, a determination unit 103, a notification control unit 104, a display control unit 105, An audio output unit 106, an operation receiving unit 107, an extracting unit 108, and a display unit 109. [

수집부(101)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011)와, 관리 정보 수집부(1012)를 구비한다.The collection unit 101 includes a monitoring point data collection unit 1011 and a managem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12.

기억부(102)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 기억부(1021)와, 관리 정보 기억부(1022)를 구비한다.The storage unit 102 includes a monitoring point data storage unit 1021 and a manag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1022. [

판정부(103)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 판정부(1031)와, 이상 검지부(1032)를 구비한다.The determination section 103 includes a monitoring point data determination section 1031 and an abnormality detection section 1032. [

표시 제어부(105)는, 확인 화면 표시 제어부(1051)와, 상태 표시 제어부(1052)와, NAS 정보 표시 제어부(1053)를 구비한다.The display control unit 105 includes a confirmation screen display control unit 1051, a status display control unit 1052, and a NAS information display control unit 1053. [

추출부(108)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 추출부(1081)와, NAS 정보 추출부(1082)를 구비한다.The extraction unit 108 includes a monitoring point data extraction unit 1081 and a NAS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082.

수집부(101)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011)는, 미리 설정된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 주기가 되면, 컨트롤러(3)로부터, 컨트롤러(3)가 수집한 감시 포인트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감시 포인트마다,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취득 일시와 연관시켜 기억부(102)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 기억부(1021)에 기억시킨다.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011)는, 컨트롤러(3)로부터, 수집 일시가 연관된 상태로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하면 좋다.The monitoring point data collecting unit 1011 of the collecting unit 101 collects monitoring point data of the monitoring point collected by the controller 3 from the controller 3 at a predetermined monitoring point data collecting cycle, One monitoring point data is stored for each monitoring point in the monitoring point data storage unit 1021 of the storage unit 102 in association with the acquisition date and time of the monitoring point data. The monitoring point data collecting unit 1011 may collect the monitoring point data from the controller 3 in a state in which the collection date and time are associated with each other.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011)는, 컨트롤러(3)로부터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면, 수집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판정부(103)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 판정부(1031)에 출력한다.The monitoring point data collecting unit 1011 collects the monitoring point data from the controller 3 and outputs the collected monitoring point data to the monitoring point data determining unit 1031 of the determining unit 103. [

수집부(101)의 관리 정보 수집부(1012)는, 미리 설정된 관리 정보 수집 주기가 되면, 네트워크를 통해, NAS(5)로부터, 그 NAS(5)가 갖는 관리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관리 정보를, NAS(5)마다, 관리 정보의 수집 일시와 연관시켜 기억부(102)의 관리 정보 기억부(1022)에 기억시킨다.The managem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12 of the collection unit 101 collects the management information that the NAS 5 has from the NAS 5 over the network at a predetermined management information collection cycl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anag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1022 of the storage unit 102 in association with the collection date and time of the management information for each NAS 5. [

NAS(5)는, 예컨대 명칭 또는 ID 등, 자신을 특정하는 정보와, 축적하고 있는 데이터를 축적한 날짜의 정보와, 자신의 상태 정보를 연관시킨 관리 정보를 가지고, 그 관리 정보가, 축적하는 데이터에 부여되어 있다. 자신의 상태 정보란, 예컨대, 통신 상태, 용량, 디스크 이상 등의 이상 발생 상태 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The NAS 5 has management information that associates information specifying itself such as a name or an ID, information on a date on which accumulated data is accumulated, and its own status information, and the management information is stored Data. The own status information is, for example, information indicating an abnormality occurrence status such as a communication status, a capacity, and a disk abnormality.

또한, 관리 정보 수집부(1012)는, 수집한, NAS(5)가 갖는 관리 정보를, 판정부(103)의 이상 검지부(1032)에 출력한다.The managem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12 outputs the collected management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NAS 5 to the anomaly detection unit 1032 of the determination unit 103. [

기억부(102)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 기억부(1021)는, 감시 포인트마다,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011)가 수집한 감시 포인트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일시와 연관시켜 기억한다.The monitoring point data storage unit 1021 of the storage unit 102 stores the monitoring point data of the monitoring point collected by the monitoring point data collection unit 1011 for each monitoring point in association with the collection date and time.

또한, 본 실시형태 1에서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 기억부(1021)는, 시설 감시 장치(1)가 구비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감시 포인트 데이터 기억부(1021)는, 시설 감시 장치(1)의 외부의, 시설 감시 장치(1)가 액세스 가능한 장소에 구비되는 것이어도 좋다.Although the monitoring point data storage unit 1021 is provided in the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1 in the first embodiment, the monitoring point data storage unit 1021 is not limited to this, 1 may be provided at a place where the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1 can be accessed.

기억부(102)의 관리 정보 기억부(1022)는, NAS(5)마다, 관리 정보 수집부(1012)가 수집한 NAS(5)의 관리 정보를, 수집 일시와 연관시켜 기억한다.The manag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1022 of the storage unit 102 stores the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NAS 5 collected by the managem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12 for each NAS 5 in association with the collection date and time.

또한, 이 실시형태 1에서는, 관리 정보 기억부(1022)는, 시설 감시 장치(1)가 구비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관리 정보 기억부(1022)는, 시설 감시 장치(1) 외부의, 시설 감시 장치(1)가 액세스 가능한 장소에 구비되는 것이어도 좋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manag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1022 is provided in the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1. However, the manag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1022 is not limited to this, The external facility monitoring device 1 may be provided at a place where it can be accessed.

판정부(103)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 판정부(1031)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011)로부터 출력된 감시 포인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감시 포인트마다, 감시 포인트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The monitoring point data determination unit 1031 of the determination unit 103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monitoring point for each monitoring point based on the monitoring point data output from the monitoring point data collection unit 1011 do.

감시 포인트 데이터 판정부(1031)는, 감시 포인트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 감시 포인트에 이상이 발생한 취지의 정보를, 통지 제어부(104) 및 표시 제어부(105)에 출력한다. 감시 포인트 데이터 판정부(1031)는, 표시 제어부(105)에는,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정한 감시 포인트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정보에 대해서도 출력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anomaly occurs in the surveillance point, the surveillance point data determination unit 1031 outpu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n anomaly has occurred to the surveillance point to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04 and the display control unit 105. [ The monitoring point data judging unit 1031 also outputs to the display control unit 105 information on the monitoring point data of the monitoring point which has determine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판정부(103)의 이상 검지부(1032)는, 관리 정보 수집부(1012)가 수집한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NAS(5)마다, NAS(5)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검지한다.The abnormality detecting unit 1032 of the judging unit 103 detects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NAS 5 on the basis of the managemen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managem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012. [

이상 검지부(1032)는, NAS(5)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검지한 경우, NAS(5)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 취지의 정보를, 이상 발생 통지로서, 통지 제어부(104)에 출력한다.When detecting that an error has occurred in the NAS 5,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1032 outpu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NAS 5 to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04 as an abnormality occurrence notification.

통지 제어부(104)는, 판정부(103)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 판정부(1031)로부터, 감시 포인트에 이상이 발생한 취지의 정보가 출력되면, 음성 출력부(106)에 대하여, 경보를 출력시킨다. 또한, 통지 제어부(104)는, 판정부(103)의 이상 검지부(1032)로부터, 이상 발생 통지를 취득하면, 음성 출력부(106)에 대하여, 경보를 출력시킨다.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04 outputs an alarm to the audio output unit 106 whe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monitoring point is output from the monitoring point data determination unit 1031 of the determination unit 103. [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04 outputs an alarm to the audio output unit 106 upon acquiring the abnormality occurrence notification from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1032 of the determination unit 103. [

표시 제어부(105)는, 각종 정보를, 표시부(109)에 표시시킨다.The display control unit 105 causes the display unit 109 to display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표시 제어부(105)의 확인 화면 표시 제어부(1051)는, 판정부(103)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 판정부(1031)로부터, 감시 포인트에 이상이 발생한 취지의 정보가 출력되면, 표시부(109)에 대하여, 감시 포인트 확인 화면을 표시시킨다. 그 감시 포인트 확인 화면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confirmation screen display control unit 1051 of the display control unit 105 displays the information on the display point 109 on the display unit 109 when the monitoring point data determination unit 1031 of the determination unit 103 outpu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monitoring point , The monitoring point confirmation screen is displayed. Details of the surveillance point confirmation screen will be described later.

표시 제어부(105)의 상태 표시 제어부(1052)는, 추출부(108)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 추출부(1081)(후술함)로부터 출력된 감시 포인트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상태 정보로서 표시부(109)에 표시시킨다.The status display control unit 1052 of the display control unit 105 displays information on the monitoring point data output from the monitoring point data extraction unit 1081 (to be described later) of the extraction unit 108 as status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109 .

또한, 표시 제어부(105)의 NAS 정보 표시 제어부(1053)는, 추출부(108)의 NAS 정보 추출부(1082)(후술함)로부터 출력된 NAS 정보를, 표시부(109)에 표시시킨다.The NAS information display control unit 1053 of the display control unit 105 causes the display unit 109 to display the NAS information output from the NAS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082 (to be described later)

음성 출력부(106)는, 예컨대, 스피커 등의 음성 출력 장치이며, 통지 제어부(104)의 제어에 기초하여, 경보를 출력한다.The audio output unit 106 is an audio output device such as a speaker, for example, and outputs an alarm based on the control of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04. [

또한, 이 실시형태 1에서는, 음성 출력부(106)는, 시설 감시 장치(1)가 구비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음성 출력부(106)는 시설 감시 장치(1)의 외부에 구비되도록 하여도 좋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audio output unit 106 is provided in the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audio output unit 106 may be provided outside the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1 .

조작 접수부(107)는, 관리자 등의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접수한다. 사용자는, 예컨대,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도시 생략)를 조작하여, 원하는 지시를 입력한다.The operation accepting unit 107 accepts an instruction from a user such as an administrator. The user inputs a desired instruction by operating an input device (not shown) such as a mouse or a keyboard, for example.

조작 접수부(107)는, 사용자로부터,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표시시키는 취지의 지시를 접수한 경우, 그 지시에 관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 추출 지시 정보를, 추출부(108)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 추출부(1081)에 출력한다. 또한, 조작 접수부(107)는, 사용자로부터, NAS(5)의 정보를 표시시키는 취지의 지시를 접수한 경우, 그 지시에 관한 NAS 데이터 요구 정보를, 추출부(108)의 NAS 정보 추출부(1082)에 출력한다.When receiving an instruction to display monitoring point data from the user, the operation accepting unit 107 outputs monitoring point data extracting instruc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struction to the monitoring point data extracting unit 1081 of the extracting unit 108, . When the operation accepting unit 107 has received an instruction from the user to display the information of the NAS 5, the operation accepting unit 107 transmits the NAS data request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struction to the NAS information extracting unit Lt; / RTI >

추출부(108)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 추출부(1081)는, 조작 접수부(107)로부터 감시 포인트 데이터 추출 지시 정보가 출력된 경우, 감시 포인트 데이터 기억부(1021)로부터, 해당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추출한다.The monitoring point data extracting unit 1081 of the extracting unit 108 extracts the monitoring point data from the monitoring point data storing unit 1021 when the monitoring point data extracting instruction information is output from the operation accepting unit 107 .

감시 포인트 데이터 추출부(1081)는, 추출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표시 제어부(105)에 출력한다.The watched point data extraction unit 1081 outputs the extracted watched point data to the display control unit 105. [

추출부(108)의 NAS 정보 추출부(1082)는, 조작 접수부(107)로부터 NAS 데이터 요구 정보가 출력되면, 그 NAS 데이터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NAS(5)의 축적 정보를, 해당 NAS(5)로부터, NAS 정보로서 추출한다. 정보 추출부(206)는, 추출한 NAS 정보를, 표시 제어부(105)에 출력한다.The NAS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082 of the extracting unit 108 extracts the storage information of the NAS 5 corresponding to the NAS data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NAS receiving unit 107 when the NAS data request information is output from the operation accepting unit 107 5 as NAS information. 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206 outputs the extracted NAS information to the display control unit 105. [

표시부(109)는, 예컨대,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이며, 표시 제어부(105)의 제어에 기초하여,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09 is, for example, a display device such as a display, and displays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based on the control of the display control unit 105. [

또한, 이 실시형태 1에서는, 표시부(109)는, 시설 감시 장치(1)가 구비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부(109)는 시설 감시 장치(1)의 외부에 구비되도록 하여도 좋다.Although the display unit 109 is provided in the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1 in the first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display unit 109 may be provided outside the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1 good.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시설 감시 장치(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이 실시형태 1의 시설 감시 장치(1)에 있어서, 감시 포인트 또는 NAS(5)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for notifying a user of an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in a monitoring point or the NAS 5 in the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수집부(101)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011)는, 미리 설정된,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 주기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T401).The monitoring point data collecting unit 1011 of the collecting unit 101 determines whether or not a predetermined monitoring point data collecting cycle has been reached (step ST401).

단계 ST401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 주기가 되면(단계 ST401의 “YES”의 경우),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011)는, 컨트롤러(3)가 수집한 감시 포인트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감시 포인트마다,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취득 일시와 연관시켜, 기억부(102)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 기억부(1021)에 기억시킨다(단계 ST402).At step ST401, when the preset monitoring point data collection cycle is reached ("YES" at step ST401), the monitoring point data collection unit 1011 collects monitoring point data of the monitoring points collected by the controller 3 And stores the collected monitoring point data in the monitoring point data storage unit 1021 of the storage unit 102 in association with the acquisition date and time of the monitoring point data for each monitoring point (step ST402).

또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011)는, 수집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취득 일시를 연관시켜, 판정부(103)에 출력한다.The monitoring point data collection unit 1011 outputs the collected monitoring point data to the determination unit 103 in association with the acquisition date and time.

그리고, 단계 ST403의 처리로 진행한다.The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T403.

단계 ST401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 주기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T401의 “NO”의 경우), 수집부(101)의 관리 정보 수집부(1012)는, 미리 설정된, 관리 정보 수집 주기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T406).If it is determined in step ST401 that the monitored point data collection period has not been set (" NO " in step ST401), the managem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12 of the collection unit 101 acquires (Step ST406).

단계 ST406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관리 정보 수집 주기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T406의 “NO”의 경우), 처리 종료한다.In step ST406, if the predetermined management information collection period is not set ("NO" in step ST406), the process ends.

단계 ST406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관리 정보 수집 주기가 된 경우(단계 ST406의 “YES”의 경우), 관리 정보 수집부(1012)는, NAS(5)로부터, 관리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관리 정보를, NAS(5)마다, 관리 정보의 수집 일시와 연관시켜 기억부(102)의 관리 정보 기억부(1022)에 기억시킨다(단계 ST407).In step ST406, when the preset management information collection period has come (YES in step ST406), the managem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12 collects the management information from the NAS 5, To the manag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1022 of the storage unit 102 in association with the collection date and time of the management information for each NAS 5 (step ST407).

또한, 관리 정보 수집부(1012)는, 수집한 관리 정보를, 수집 일시와 연관시켜, 판정부(103)에 출력한다.The managem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12 outputs the collected management information to the determination unit 103 in association with the collection date and time.

그리고, 단계 ST403의 처리로 진행한다.The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T403.

판정부(103)는, 단계 ST402에 있어서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011)로부터 출력된 감시 포인트 데이터, 또는, 단계 ST407에 있어서 관리 정보 수집부(1012)로부터 출력된 관리 정보를 취득하면, 그 감시 포인트 데이터, 또는,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감시 포인트, 또는, NAS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T403).When the monitoring point data output from the monitoring point data collecting unit 1011 or the management information output from the managem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012 in step ST407 is acquired in step ST402, Based on the point data or the management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monitoring point or the NAS (step ST403).

단계 ST403에 있어서의 판정부(103)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determination unit 103 in step ST40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판정부(103)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 판정부(1031)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011)로부터 출력된 감시 포인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감시 포인트마다, 감시 포인트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미리 사용자가 감시 포인트 데이터마다 상한값 및 하한값을 설정해 두도록 하고, 감시 포인트 데이터 판정부(1031)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상한값 및 하한값을 비교하여, 감시 포인트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상한값 또는 하한값으로부터 일탈한 경우에, 감시 포인트에 이상이 발생하였고 판정한다. 또한, 이것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감시 포인트 데이터 판정부(1031)가, 감시 포인트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조건은, 적절하게 설정 가능하다. 예컨대, 감시 포인트 데이터 판정부(1031)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 기억부(1021)를 참조하여, 단계 ST402에 있어서 수집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와, 그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바로 근처에 수집하여 기억시켜 둔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차가 있는 경우에, 감시 포인트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정하도록 하여도 좋다.The monitoring point data determination unit 1031 of the determination unit 103 determines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monitoring point for each monitoring point based on the monitoring point data output from the monitoring point data collection unit 1011 .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user may set the upper limit value and the lower limit value for each monitoring point data in advance, and the monitoring point data determination unit 1031 compares the monitoring point data with a preset upper limit value and the lower limit value, When it deviates from the upper limit value or the lower limit value, it is judge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monitoring poin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a condition for the monitoring point data determination unit 1031 to determine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monitoring point can be appropriately set. For example, the monitoring point data determination unit 1031 refers to the monitoring point data storage unit 1021, and acquires the monitoring point data collected in step ST402 and the monitoring point data collected and stored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the monitoring point data The data may be compared and it may be determine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monitoring point when there is a differenc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또한, 판정부(103)의 이상 검지부(1032)는, 관리 정보 수집부(1012)로부터 출력된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NAS(5)마다, NAS(5)에 이상이 발생한 것이 검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이상 검지부(1032)는,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통신 상태, 용량, 디스크 이상 등의 이상 발생 상태 등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가, 이상을 나타내고 있으면, NAS(5)에 이상이 발생한 것이 검지되었다고 판정한다.The abnormality detecting unit 1032 of the judging unit 103 judges whether or not an error has occurred in the NAS 5 for each NAS 5 based on the management information output from the managem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012 . Specifically, for example, if the status information indicating the abnormal status such as the communication status, capacity, disk abnormality, and the like included in the management information indicates an abnormality,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1032 detects abnormality in the NAS 5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rrence has been detected.

도 3의 흐름도로 되돌아간다.Returning to the flow chart of Fig.

단계 ST403에 있어서, 단계 ST402에서 수집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 또는, 단계 ST407에서 수집한 관리 정보에 대해서 판정을 행한 결과, 어느 감시 포인트에도 이상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어느 NAS(5)에도 이상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T403의 “NO”의 경우), 단계 ST401로 되돌아간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T403 regarding the monitoring point data collected in step ST402 or the management information collected in step ST407, no abnormality occurs in any of the monitoring points, and any abnormality occurs in any NAS 5 When it is judged that it has not occurred ("NO" in step ST403),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T401.

단계 ST403에 있어서, 단계 ST402에서 수집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 또는, 단계 ST407에서 수집한 관리 정보에 대해서 판정을 행한 결과, 이상이 발생한 감시 포인트, 또는, NAS(5)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T403의 “YES”의 경우), 판정부(103)는, 감시 포인트, 또는, NAS(5)에 이상이 발생한 취지의 정보를, 통지 제어부(104) 및 표시 제어부(105)에 출력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T403 that the monitoring point data collected in step ST402 or the management information collected in step ST407 is the monitoring point where the abnormality has occurred or the NAS 5 exists (step ST403 The determination section 103 outputs to the notification control section 104 and the display control section 105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monitoring point o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NAS 5. [

구체적으로는, 단계 ST403에 있어서, 감시 포인트 데이터 판정부(1031)가, 이상이 발생한 감시 포인트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 감시 포인트 데이터 판정부(1031)는, 감시 포인트에 이상이 발생한 취지의 정보를, 통지 제어부(104) 및 표시 제어부(105)에 출력한다. 이때, 감시 포인트 데이터 판정부(1031)는, 표시 제어부(105)에는,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정한 감시 포인트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정보에 대해서도, 출력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monitoring point data determining section 1031 determines in step ST403 that there is a monitoring point where an abnormality occurs, the monitoring point data determining section 103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monitoring point data is abnormal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04, and the display control unit 105,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monitoring point data determination unit 1031 also outputs to the display control unit 105 the information of the monitoring point data of the monitoring point that has determined that an error has occurred.

또한, 단계 ST403에 있어서, 이상 검지부(1032)가, NAS(5)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검지한 경우, 이상 검지부(1032)는, NAS(5)에 이상이 발생한 취지의 정보를, 이상 발생 통지로서, 시설 감시 장치(1)의 통지 제어부(104)에 출력한다.If the abnormality detecting unit 1032 detects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NAS 5 in step ST403, the abnormality detecting unit 1032 notifies the NAS 5 of abnormality information to the abnormality occurrence notification And outputs it to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04 of the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1. [

또한, 이상 검지부(1032)가 출력하는 이상 발생 통지에는, 적어도, 이상 검지부(1032)가 이상 발생을 검지한 NAS(5)의 명칭 또는 ID 등, NAS(5)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와, 이상 발생 일시의 정보가 포함된다. 이상 발생 일시의 정보는,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이상 검지부(1032)가 이상 발생을 검지한 일시의 정보를 이상 발생 일시의 정보로 하여도 좋다.The abnormality occurrence notification output by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1032 includes at least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NAS 5 such as the name or ID of the NAS 5 that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1032 has detected an abnormality, And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date and time is included. The information of the abnormality occurrence date and time may be included in the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f the date and time when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1032 detects abnormality may be used as the abnormality occurrence date and time.

도 3의 흐름도로 되돌아간다.Returning to the flow chart of Fig.

통지 제어부(104)는, 단계 ST403에 있어서, 판정부(103)로부터, 감시 포인트에 이상이 발생한 취지의 정보, 또는, NAS(5)의 이상 발생 통지가 출력되면, 음성 출력부(106)에 대하여, 경보를 출력시킨다(단계 ST404). 구체적으로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 판정부(1031)로부터, 감시 포인트에 이상이 발생한 취지의 정보가 출력되면, 또는, 이상 검지부(1032)로부터, NAS(5)의 이상 발생 통지가 출력되면, 통지 제어부(104)는, 음성 출력부(106)에 대하여, 경보를 출력시킨다.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04 notifies the audio output unit 106 of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monitoring point or an abnormality occurrence notification of the NAS 5 from the determination unit 103 in step ST403 (Step ST404). Specifically, when the monitoring point data determining section 1031 outpu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monitoring point, or when the abnormality detecting section 1032 outputs an abnormality occurrence notification of the NAS 5, (104) outputs an alarm to the audio output unit (106).

그리고, 음성 출력부(106)는, 경보를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06)가 출력하는 경보란, 예컨대, 경보음, 프린터 인자 의사음, 또는, 음성 메시지 등이며, 감시 포인트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또한, 이 실시형태 1에서는, 통지 제어부(104)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 판정부(1031)로부터, 감시 포인트에 이상이 발생한 취지의 정보가 출력되면, 음성 출력부(106)에 대하여 경보를 출력시키는 것으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통지 제어부(104)는, 표시부(109)에 대하여, 감시 포인트에 이상이 발생한 취지의 메시지를 표시시키도록 하여도 좋고, 경고등(도시 생략)을, 점등 또는 점멸시키도록 하여도 좋다.Then, the audio output unit 106 outputs an alarm. The alarm outputted by the sound output unit 106 may be an alarm sound, a printer argument sound, a voice message, or the like, as long as it can notify the user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monitoring point. In the first embodiment,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04 outputs an alarm to the audio output unit 106 when the monitoring point data determination unit 1031 outpu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monitoring poin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04 may cause the display unit 109 to display a message indicating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monitoring point, and may display a warning light (not shown) It may be blinked.

또한, 통지 제어부(104)는, 이상 검지부(1032)로부터, NAS(5)의 이상 발생 통지가 출력되면, 음성 출력부(106)에 대하여 경보를 출력시키는 것으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통지 제어부(104)는, 표시부(109)에 대하여, NAS(5)에 이상이 발생한 취지의 메시지를 표시시키도록 하여도 좋고, 경고등(도시 생략)을, 점등 또는 점멸시키도록 하여도 좋다.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04 outputs an alarm to the audio output unit 106 when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1032 outputs an abnormality occurrence notification of the NAS 5. However,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04 may cause the display unit 109 to display a message indicating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NAS 5 or to light or flash a warning light (not shown).

표시 제어부(105)의 확인 화면 표시 제어부(1051)는, 단계 ST403에 있어서, 감시 포인트 데이터 판정부(1031)로부터, 감시 포인트에 이상이 발생한 취지의 정보가 출력되면, 표시부(109)에 대하여, 감시 포인트 확인 화면을 표시시킨다(단계 ST405).The confirmation screen display control section 1051 of the display control section 105 notifies the display section 109 of the fact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monitoring point from the monitoring point data determination section 1031 in step ST403, A surveillance point confirmation screen is displayed (step ST405).

여기서, 도 4는 이 실시형태 1에 있어서, 확인 화면 표시 제어부(1051)가 표시부(109)에 표시시키는 감시 포인트 확인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urveillance point confirmation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9 by the confirmation screen display control section 1051 in the first embodiment.

확인 화면 표시 제어부(1051)는, 예컨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시 포인트의 이상 발생 일시, 발생 장소(감시 포인트명 또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명) 및 경보의 종류를 표시하는 감시 포인트 확인 화면을 표시시킨다. 또한, 확인 화면 표시 제어부(1051)는, 감시 포인트 확인 화면에, 이상이 발생하였고 판정된 감시 포인트의 상세를 표시시키기 위한 확인 버튼(51)을 표시시켜도 좋다.4, the confirmation screen display control section 1051 displays a surveillance point confirmation screen displaying the occurrence date and time of the surveillance point, the occurrence place (surveillance point name or surveillance point data name), and the type of the alarm . The confirmation screen display control unit 1051 may display an OK button 51 for displaying the details of the detected surveillance point where an error has occurred and on the surveillance point confirmation screen.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감시 포인트 확인 화면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도 4에 나타내는 정보 이외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The monitoring point confirmation screen shown in Fig. 4 is merely an example, and information other than the information shown in Fig. 4 may be displayed.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단계 ST405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105)의 확인 화면 표시 제어부(1051)는, 감시 포인트 확인 화면을 표시시키도록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확인 화면 표시 제어부(1051)는, NAS 확인 화면(도시 생략)을 표시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제어부(105)는, 단계 ST403에 있어서, 이상 검지부(1032)로부터, NAS(5)에 이상이 발생한 취지의 정보가 출력되면, 표시부(109)에 대하여, NAS 확인 화면을 표시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NAS 확인 화면에는, 예컨대, NAS(5)의 이상 발생 일시, 이상이 발생한 NAS(5)의 명칭 또는 ID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nfirmation screen display control section 1051 of the display control section 105 displays the surveillance point confirmation screen in step ST405,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confirmation screen display control section 1051, An NAS confirmation screen (not shown) may be displayed. Specifically, when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n error has occurred in the NAS 5 is output from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1032 in step ST403, the display control unit 105 displays the NAS confirmation screen to the display unit 109 . The NAS confirmation screen displays information such as, for example, an abnormality occurrence date of the NAS 5, the name or ID of the NAS 5 in which an abnormality has occurred, and the like.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 1에 따른 시설 감시 장치(1)는, 시설 내의 각 감시 포인트의 상태를 감시하여, 시설 내의 각 감시 포인트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경보를 울리는 것과 마찬가지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NAS(5)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 이상 발생을 검지하여, 경보를 울린다. 즉, 이 실시형태 1에서는, 시설 감시 장치(1)는, 시설 내의 각 감시 포인트뿐만 아니라, NAS(5)에 대해서도 감시 대상으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onitors the state of each monitoring point in the facility, and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each monitoring point in the facility, If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NAS 5, the abnormal occurrence is detected and an alarm is sounded. That i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1 is to be monitored not only for each monitoring point in the facility but also for the NAS 5.

이에 의해, NAS(5) 본체가 평소 눈에 띄지 않는 장소에 격납되는 것 같은 경우라도, 사용자에 대하여, NAS(5)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조기에 통지할 수 있다.Thus, even when the main body of the NAS 5 is likely to be stored in an unseen place, it is possible to notify the user early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NAS 5.

또한, NAS(5)를 감시하기 위해 NAS 전용의 감시 소프트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NAS 전용의 감시 소프트에 의한 NAS(5)에 대한 액세스 경로와, 시설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의 시설 감시 장치(1)로부터 NAS(5)에 대한 액세스 경로는 상이하기 때문에, NAS 전용의 감시 소프트로 NAS(5)의 상태가 「정상」이라고 판정되는 경우라도, 시설 감시 장치(1)로부터 NAS(5)에 정상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 실시형태 1에서는, 시설 감시 장치(1)에서, NAS(5)의 이상 발생을 검지하기 때문에, NAS(5)가 실제로 설치되어 있는 시설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실무에 적응시켜, NAS(5)가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use surveillance software dedicated to NAS for monitoring the NAS 5. [ In addition, since the access route to the NAS 5 by the NAS-dedicated monitoring software differs from the access route to the NAS 5 from the facility monitoring device 1 in the facility monitoring system, Eve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the NAS 5 is " normal ", the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1 can not access the NAS 5 normally. In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1 detects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of the NAS 5, the NAS 5 is actually adapted to the facility monitoring system in which the NAS 5 is actually installed,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it is normal.

또한, 시설 감시 장치(1)의 제품 수명은 10년을 넘는 한편, NAS(5)는, 빠른 경우는 1년 정도로 제품이 변하여 버린다. 그러나, NAS(5)의 기종 등이 변하여도, 감시 툴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In addition, the product life span of the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1 is over 10 years, while the product of the NAS 5 is changed to about one year in the early stage. However, even if the model or the like of the NAS 5 changes, there is no need to change the monitoring tool.

또한, 실시형태 1에 따른 시설 감시 장치(1)에 있어서, 사용자는, 감시 포인트의 상태를 표시시켜 확인하거나, 또는, 과거의 이력 등, 네트워크에 접속된 NAS(5)에 축적된 정보를 표시시켜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는, 예컨대, 시설 감시 장치(1)로부터, 원하는 감시 포인트의 상태를 표시시키는 취지의 지시를 행하여, 표시부(109)에, 지시한 감시 포인트의 상태, 즉,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예컨대, 시설 감시 장치(1)로부터, 과거의 이력 등, 네트워크에 접속된 NAS(5)에 축적된 정보를 표시시키는 지시를 행하여, 표시부(109)에, 원하는 NAS(5)에 축적된 정보를 표시시킬 수 있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In the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user can display the status of the monitoring point and confirm or display the information accumulated in the NAS 5 connected to the network such as the past history . Specifically, the user instructs, for example, the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1 to display the state of the desired monitoring point, and instructs the display unit 109 to display the state of the designated monitoring point, that is, Can be displayed. The user also instructs the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1 to display information accumulated in the NAS 5 connected to the network such as a past history and displays the information on the desired NAS 5 on the display unit 109. [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5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시에 기초하여, 표시 제어부(105)가, 감시 포인트 데이터, 또는, NAS(5)에 축적된 정보를 표시시키는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operation for causing the display control section 105 to display monitoring point data or information accumulated in the NAS 5 based on an instruction from the user in the first embodiment.

조작 접수부(107)는, 사용자로부터, 감시 포인트의 상태를 표시시키는 취지의 지시를 접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T501).The operation reception unit 107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er has received an instruction to display the status of the monitoring point (step ST501).

예컨대, 사용자는, 감시 포인트 지시 화면을 호출하고, 입력 장치를 조작하여, 확인하고자 하는 원하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표시시키는 취지의 지시를 입력한다. 감시 포인트 지시 화면은, 예컨대, 사용자가 표시부(109)에 표시된 호출 버튼을 클릭하는 등에 의해, 조작 접수부(107)가, 그 조작을 접수하면, 표시 제어부(105)가 표시시키도록 하면 좋다. 또한, 예컨대, 사용자는, 경보를 검지하면, 감시 포인트 확인 화면(도 4 참조)을 호출하고, 그 감시 포인트 확인 화면으로부터, 예컨대,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를 조작하여, 확인 버튼(51)을 클릭 등을 함으로써,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정된 감시 포인트의 상태, 즉,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표시시키는 취지의 지시를 입력하도록 하여도 좋다.For example, the user inputs an instruction to display a desired monitoring point data to be confirmed by calling the monitoring point instruction screen and operating the input device. The monitoring point instruction screen may be displayed by the display control unit 105 when the operation acceptance unit 107 receives the operation by, for example, clicking a call butt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9 by the user. 4), and operates the input device such as a mouse or a keyboard, for example, from the monitor point confirmation screen to display an OK button 51, For example, by inputting an instruction to display the monitoring point data, that is, the state of the monitoring point determined that the abnormality has occurred.

단계 ST501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감시 포인트의 상태를 표시시키는 취지의 지시를 접수하지 못한 경우(단계 ST501의 “NO”의 경우), 단계 ST504로 진행한다. 조작 접수부(107)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사용자로부터의 지시 입력의 접수를 대기하고,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을 초과하여도,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접수하지 못한 경우에, 단계 ST504로 진행하도록 하여도 좋다.In step ST501, if the user has not received an instruction to display the status of the monitoring point ("NO" in step ST501),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T504. The operation accepting unit 107 waits for acceptance of the instruction input from the us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proceeds to step ST504 when the instruction from the user can not be received even if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good.

단계 ST501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감시 포인트의 상태를 표시시키는 취지의 지시를 접수한 경우(단계 ST501의 “YES”의 경우), 조작 접수부(107)는, 그 지시에 관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 추출 지시 정보를, 추출부(108)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 추출부(1081)에 출력한다.In step ST501, when the user has received an instruction to display the state of the monitoring point ("YES" in step ST501), the operation accepting unit 107 acquires the monitoring point data extraction instruction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point data extracting unit 1081 of the extracting unit 108.

감시 포인트 데이터 추출부(1081)는, 단계 ST501에 있어서, 조작 접수부(107)로부터, 감시 포인트 데이터 추출 지시 정보가 출력되면, 감시 포인트 데이터 기억부(1021)로부터, 감시 포인트 데이터 추출 지시 정보에 기초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추출한다(단계 ST502).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감시 포인트 데이터 추출부(1081)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 추출 지시 정보로 나타내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와, 그 감시 포인트 데이터가 수집되기 전후의, 미리 설정된 일정 기간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감시 포인트 데이터 기억부(1021)로부터 추출한다. 조작 접수부(107)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 추출 지시 정보에, 해당 감시 포인트 데이터 및 그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수집 일시의 정보를 포함하도록 하고, 감시 포인트 데이터 추출부(1081)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 추출 지시 정보로부터, 감시 포인트 데이터와 수집 일시를 특정하면 좋다. 또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 추출부(1081)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 추출 지시 정보로 나타내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가 수집되기 전후의, 미리 설정된 일정 기간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에 연관시켜 기억되어 있는 수집 일시의 정보로부터 특정하면 좋다.When the monitoring point data extraction instruction information is output from the operation reception unit 107 in step ST501, the monitoring point data extraction unit 1081 extracts, from the monitoring point data storage unit 1021, The monitoring point data is extracted (step ST502).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monitoring point data extracting unit 1081 extracts monitoring point data indicated by the monitoring point data extracting instruction information and monitoring point data for a predetermined period before and after the monitoring point data is collected From the point data storage unit 1021. The operation reception unit 107 includes the monitoring point data extraction instruction information to include the monitoring point data and information on the collection date and time of the monitoring point data. The monitoring point data extraction unit 1081 extracts monitoring point data extraction instruction information The monitoring point data and the collection date and time may be specified. The monitoring point data extracting unit 1081 extracts the monitoring point data for a predetermined period before and after the monitoring point data indicated by the monitoring point data extracting instruction information is collected by using the collection date and tim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monitoring point data It may be specified from the information of FIG.

또한, 여기서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 추출부(1081)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 추출 지시 정보로 나타내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가 수집되기 전후의, 미리 설정된 일정 기간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으로 하지만, 감시 포인트 데이터 추출부(1081)가 감시 포인트 데이터 기억부(1021)로부터 추출하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추출 조건은, 적절하게 설정 가능하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monitoring point data extracting unit 1081 extracts the monitoring point data for a predetermined period before and after the monitoring point data indicated by the monitoring point data extracting instruction information is collected, The extraction condition of the monitoring point data extracted by the monitoring point data storage unit 1021 from the monitoring point data storage unit 1021 can be appropriately set.

감시 포인트 데이터 추출부(1081)는, 추출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표시 제어부(105)에 출력한다.The watched point data extraction unit 1081 outputs the extracted watched point data to the display control unit 105. [

그리고, 단계 ST503으로 진행한다.The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T503.

한편, 단계 ST501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감시 포인트의 상태를 표시시키는 취지의 지시를 접수하지 못한 경우(단계 ST501의 “NO”의 경우), 조작 접수부(107)는, 사용자로부터, NAS(5)에 축적된 정보를 표시시키는 취지의 지시를 접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T504).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T501 that the user has not received an instruction to display the state of the monitoring point ("NO" in step ST501), the operation acceptance unit 107 receives, (Step ST504).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struction to display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isplay area is received (step ST504).

사용자는, 예컨대, 표시부(109)에 표시되어 있는 NAS 정보 호출 버튼 등을 입력 장치로 조작함으로써, NAS(5)에 축적된 정보를 표시시키는 취지의 지시를 입력한다. 조작 접수부(107)는, 그 NAS 정보 호출 버튼 등이 조작됨으로써, NAS(5)에 축적된 정보를 표시시키는 취지의 지시를 접수한다.The user inputs an instruction to display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NAS 5, for example, by operating a NAS information call button or the lik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9 with an input device. The operation accepting unit 107 accepts an instruction to display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NAS 5 by operating the NAS information call button or the like.

또한, 사용자는, 이때, 표시시키고자 하는 정보가 축적된 날짜의 정보의 지정을 행한다. 사용자는, 예컨대, 과거의 이력 데이터를 참조하는 경우 등, NAS(5)에 축적된 데이터를 참조하고자 하는 경우는, 반드시 날짜를 키로 한다.At this time, the user designates information on the date on which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is stored. When the user wishes to refer to the data stored in the NAS 5, for example, when referring to past history data, the user must set the date as the key.

단계 ST504에 있어서, NAS(5)에 축적된 정보를 표시시키는 취지의 지시를 접수하지 못한 경우(단계 ST504의 “NO”의 경우), 처리 종료한다. 조작 접수부(107)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사용자로부터의 지시 입력의 접수를 대기하고,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을 초과하여도,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접수하지 못한 경우에, 처리 종료하도록 하여도 좋다.When the instruction to display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NAS 5 has not been received in step ST504 ("NO" in step ST504), the process is terminated. The operation accepting unit 107 may wait for acceptance of the instruction input from the us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may terminate the process if the instruction from the user can not be received even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has elapsed.

단계 ST504에 있어서, NAS(5)에 축적된 정보를 표시시키는 취지의 지시를 접수한 경우(단계 ST504의 “YES”의 경우), 조작 접수부(107)는, 사용자가 입력한 날짜의 정보를, NAS 데이터 요구 정보로서 접수하여, 추출부(108)의 NAS 정보 추출부(1082)에 출력한다.When the instruction to display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NAS 5 is received in step ST504 ("YES" in step ST504), the operation acceptance unit 107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date input by the user to the NAS 5 As NAS data request information, and outputs it to the NAS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082 of the extracting unit 108. [

NAS 정보 추출부(1082)는, 단계 ST504에 있어서, 조작 접수부(107)로부터, NAS 정보 요구 정보가 출력되면, 그 NAS 정보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NAS(5)에 축적된 정보를, 해당 NAS(5)로부터, NAS 정보로서 추출한다(단계 ST505). 전술한 바와 같이, NAS 데이터 요구 정보에는, 표시시키고자 하는 정보가 축적된 날짜의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NAS(5)에서는, 예컨대 명칭 또는 ID 등, 자신을 특정하는 정보와, 축적하고 있는 데이터를 축적한 날짜의 정보와, 자신의 상태 정보를 연관시킨 관리 정보를 가지고, 관리 정보 수집부(1012)는 그 관리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 정보 기억부(1022)에 기억시키고 있다.The NAS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082 extracts information stored in the NAS 5 corresponding to the NAS information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NAS 900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NAS information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accepting unit 107 in step ST504 (Step ST505). As described above, the NAS data reques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date on which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is stored.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NAS 5 has management information that associates information specifying itself such as a name or an ID, information on a date on which accumulated data is accumulated, and its own status information, The managem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12 collects the management information and stores it in the manag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1022. [

NAS 정보 추출부(1082)는, NAS 데이터 요구 정보와 관리 정보 기억부(1022)가 기억하고 있는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NAS 데이터 요구 정보로 지정된, 축적 정보를 표시시키는 날짜의 데이터는, 어떤 NAS(5)에 축적되어 있는지를, 날짜의 정보를 키로 하여 찾아갈 수 있다.Based on the NAS data request information and the managem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manag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1022, the NAS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082 extracts the date data for displaying the storage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NAS data request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find out whether or not th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atabase 5 with the date information as a key.

NAS 정보 추출부(1082)는, 추출한 NAS 정보를, 표시 제어부(105)에 출력한다.The NAS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082 outputs the extracted NAS information to the display control unit 105. [

그리고, 단계 ST503으로 진행한다.The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T503.

표시 제어부(105)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상태 정보로서 표시부(109)에 표시시킨다. 또는, 표시 제어부(105)는, NAS 정보를, 표시부(109)에 표시시킨다(단계 ST503).The display control unit 105 causes the display unit 109 to display information on the monitoring point data as status information. Alternatively, the display control unit 105 displays the NAS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109 (step ST503).

구체적으로는, 표시 제어부(105)의 상태 표시 제어부(1052)는, 단계 ST502에 있어서, 감시 포인트 데이터 추출부(1081)로부터 감시 포인트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출력되면, 그 출력된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상태 정보로서 표시부(109)에 표시시킨다.Specifically, when the status display control unit 1052 of the display control unit 105 outputs the information on the monitoring point data from the monitoring point data extraction unit 1081 in step ST502,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109 as status information.

또한, 표시 제어부(105)의 NAS 정보 표시 제어부(1053)는, 단계 ST502에 있어서, NAS 정보 추출부(1082)로부터 NAS 정보가 출력되면, 그 출력된 NAS 정보를, 표시부(109)에 표시시킨다.The NAS information display control unit 1053 of the display control unit 105 displays the output NAS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109 when the NAS information is output from the NAS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082 in step ST502 .

이와 같이, 사용자는, 시설 감시 장치(1)로부터, 참조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축적된 날짜를 지정함으로써, 원하는, NAS(5)에 축적된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다. 통상, NAS(5)의 취급에는 어느 정도의 전문 지식이 필요로 되지만, 이 실시형태 1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시설 감시 장치(1)로부터, NAS(5)의 데이터를 요구하여,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간단히, NAS(5)에 축적된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다.In this manner, the user can refer to the desired data stored in the NAS 5 by designating the date on which the data to be referred to is stored from the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1. [ In the firs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user requests the data of the NAS 5 from the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1 (step < RTI ID = 0.0 > , It is possible to refer to the data stored in the NAS 5 simply.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 1에 따르면, 시설 감시 장치(1)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NAS(5)로부터, 그 네트워크를 통해, NAS(5)의 상태를 나타내는 관리 정보를 수집하는 관리 정보 수집부(1012)와, 관리 정보 수집부(1012)가 수집한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NAS(5)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부(1032)와, 이상 검지부(1032)가, NAS(5)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검지한 경우, 경보를 출력시키는 통지 제어부(104)를 구비하도록 하였다. 그 때문에, 확장 스토리지로서 설치된 NAS(5) 본체를 눈으로 보아 확인하는 일없이, 그 NAS(5)에 이상 발생한 것을 검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1 is provided with a managem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 for collecting management information indicating the state of the NAS 5 from the NAS 5 connected to the network, An abnormality detecting unit 1032 for detecting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NAS 5 and an abnormality detecting unit 1032 for detecting abnormality in the NAS 5 based on the managemen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managem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012, And an alarm control section (104) for outputting an alarm when an abnormality is detec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ct occurrence of abnormality in the NAS 5 without visually checking the main body of the NAS 5 installed as extended storage.

또한, 실시형태 1에 따르면, 시설 감시 장치(1)는, NAS(5)에 축적된 정보를 요구하는 NAS 데이터 요구 정보를 접수하는 조작 접수부(107)와, 조작 접수부(107)가 NAS 데이터 요구 정보를 접수하면, NAS 데이터 요구 정보에 기초하여, NAS(5)로부터, 그 NAS(5)에 축적된 NAS 정보를 추출하는 NAS 정보 추출부(1082)와, NAS 정보 추출부(1082)가 추출한 NAS 정보를 표시시키는 NAS 정보 표시 제어부(1053)를 구비하도록 하였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간단히, NAS(5)에 축적된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 1, the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1 further includes an operation accepting section 107 for accepting NAS data request information for reques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NAS 5, A NAS information extracting section 1082 for extracting NAS information stored in the NAS 5 from the NAS 5 based on the NAS data request information and a NAS information extracting section 1082 for extracting the NAS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NAS information extracting section 1082 And a NAS information display control unit 1053 for displaying NAS information. Therefore, the user can simply refer to the data stored in the NAS 5.

또한, 실시형태 1에 따르면, 관리 정보는, NAS(5) 자신을 특정하는 정보와, NAS 정보가 축적된 날짜의 정보를 포함하고, 조작 접수부(107)는, NAS 데이터 요구 정보로서 날짜의 정보를 접수하고, NAS 정보 추출부(1082)는, NAS 데이터 요구 정보의 날짜의 정보와,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날짜의 정보에 기초하여, NAS 정보를 추출하여야 하는 NAS(5)를 특정하고, 그 NAS(5)로부터 NAS 정보를 추출한다. 그 때문에, NAS(5)가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 같은 경우라도, 사용자는, 날짜를 지정하는 것만으로, 원하는 데이터가 어떤 NAS에 존재하는 것인지를 의식하는 일없이, 원하는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 1, the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NAS 5 itself and information about the date on which the NAS information is accumulated, and the operation acceptance unit 107 acquires information on the date And the NAS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082 specifies the NAS 5 to extract the NAS information based on the date information of the NAS data request information and the dat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anagement information, And extracts the NAS information from the NAS 5. Therefore, even when a plurality of NASs 5 are installed, the user can refer to desired data only by designating the date, without being aware of which NAS the desired data is present in.

또한, 본원 발명은 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실시형태의 임의의 구성 요소의 변형, 또는 실시형태의 임의의 구성 요소의 생략이 가능하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omitting arbitrary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or omitting any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1 시설 감시 장치
3 컨트롤러
4 설비
5 NAS
51 확인 버튼
101 수집부
102 기억부
103 판정부
104 통지 제어부
105 표시 제어부
106 음성 출력부
107 조작 접수부
108 추출부
109 표시부
1011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
1012 관리 정보 수집부
1021 감시 포인트 데이터 기억부
1022 관리 정보 기억부
1031 감시 포인트 데이터 판정부
1032 이상 검지부
1051 확인 화면 표시 제어부
1052 상태 표시 제어부
1053 NAS 정보 표시 제어부
1081 감시 포인트 데이터 추출부
1082 NAS 정보 추출부
1 facility monitoring device
3 controller
4 Equipment
5 NAS
51 OK button
101 collection section
102 memory unit
103 judgment section
104 notification control unit
105 display control unit
106 Audio output unit
107 Operation Reception
108 extraction unit
109 Display
1011 Monitoring point data collection unit
1012 managem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21 Monitoring point data storage unit
1022 Manag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1031 Monitoring Point Data Judgment
1032 or more detection unit
1051 confirmation screen display control section
1052 Status display control unit
1053 NAS information display control section
1081 Monitoring Point Data Extraction Unit
1082 NAS information extracting unit

Claims (3)

네트워크에 접속된 NAS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NAS의 상태를 나타내는 관리 정보를 수집하는 관리 정보 수집부와,
상기 관리 정보 수집부가 수집한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NAS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부와,
상기 이상 검지부가, 상기 NAS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검지한 경우, 경보를 출력시키는 통지 제어부를 구비한 시설 감시 장치.
A managem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management information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NAS from the NAS connected to the network through the network;
An abnormality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NAS, based on the managemen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managem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And a notification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n alarm when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detects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NA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AS에 축적된 정보를 요구하는 NAS 데이터 요구 정보를 접수하는 조작 접수부와,
상기 조작 접수부가 상기 NAS 데이터 요구 정보를 접수하면, 상기 NAS 데이터 요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NAS로부터, 상기 NAS에 축적된 NAS 정보를 추출하는 NAS 정보 추출부와,
상기 NAS 정보 추출부가 추출한 NAS 정보를 표시시키는 NAS 정보 표시 제어부를 구비한 시설 감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operation accepting unit for accepting NAS data request information reques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NAS;
A NAS information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NAS information stored in the NAS from the NAS based on the NAS data request information when the operation accepting unit receives the NAS data request information,
And a NAS information display control unit for displaying the NAS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NAS information extraction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NAS 자신을 특정하는 정보와, 상기 NAS 정보가 축적된 날짜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접수부는, 상기 NAS 데이터 요구 정보로서 날짜의 정보를 접수하고,
상기 NAS 정보 추출부는, 상기 NAS 데이터 요구 정보의 날짜의 정보와, 상기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날짜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NAS 정보를 추출하여야 하는 NAS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감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specifying the NAS itself and information indicating a date on which the NAS information is accumulated,
Wherein the operation accepting unit accepts the date information as the NAS data request information,
Wherein the NAS information extracting unit specifies the NAS from which the NAS information should be extracted based on the date information of the NAS data request information and the dat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anagement information.
KR1020180047830A 2017-04-28 2018-04-25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KR2018012138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89572A JP2018190029A (en) 2017-04-28 2017-04-28 Facility monitoring device
JPJP-P-2017-089572 2017-04-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389A true KR20180121389A (en) 2018-11-07

Family

ID=64093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830A KR20180121389A (en) 2017-04-28 2018-04-25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8190029A (en)
KR (1) KR20180121389A (en)
CN (1) CN108804281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1868A1 (en) * 2019-02-07 2020-08-13 株式会社Fuji Tape feeder
WO2020240937A1 (en) 2019-05-29 2020-12-03 新東工業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gateway, serv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3892067A (en) * 2019-05-29 2022-01-04 新东工业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16204502B (en) * 2023-05-04 2023-07-04 湖南博匠信息科技有限公司 NAS storage service method and system with high availability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2430A (en) * 1993-12-01 1995-06-16 Toshiba Corp Alarm analyzing device for process monitoring device
US6122639A (en) * 1997-12-23 2000-09-19 Cisco Technology, Inc. Network device information collection and change detection
JP2000347808A (en) * 1999-06-02 2000-12-15 Hitachi Ltd Disk device directly connectable to network
JP2001308858A (en) * 2000-04-27 2001-11-02 Dainippon Printing Co Ltd Network management system
JP2003114836A (en) * 2001-10-05 2003-04-18 Ntt Communications Kk Monitoring system, gateway device and monitoring method
JP2004234558A (en) * 2003-01-31 2004-08-19 Hitachi Ltd Storage device controller and program
JP4183602B2 (en) * 2003-11-04 2008-11-19 富士通株式会社 Fault monitoring method and program
JP4368889B2 (en) * 2006-12-21 2009-11-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SEARCH DEVICE, SEARCH METHOD, AND PROGRAM
JP4612699B2 (en) * 2008-03-11 2011-01-12 株式会社東芝 Monitoring / diagnosis device and remote monitoring / diagnosis system
JP5317799B2 (en) * 2009-03-31 2013-10-16 アズビル株式会社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and facility management method
JP2011150586A (en) * 2010-01-22 2011-08-04 Canon Inc Management system for failure history
JP2011254320A (en) * 2010-06-02 2011-12-1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Network failure analysis processing device
US9491056B1 (en) * 2012-12-28 2016-11-08 Emc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tocol independent model to provide event-based discovery
JP6542538B2 (en) * 2015-02-06 2019-07-10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Network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device and monitoring method
CN104794039B (en) * 2015-04-23 2018-11-1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The remote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of service software
CN105824733A (en) * 2016-03-14 2016-08-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90029A (en) 2018-11-29
CN108804281A (en) 201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1389A (en)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EP2973071B1 (en) Automatic recording and graphing of measurement data
JPWO2018216197A1 (en) Abnormality importance calculation system, abnormality importance calculation device, and abnormality importance calculation program
JP2009033811A (en) Measuring and monitoring system, and apparatus and program for measuring its power quality
US20190086903A1 (en) Plant management system, plant management method, plant management apparatus, and plant management program
KR101306655B1 (en) Intelligent Warning Management System
US90190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alarm processing and presentation of alarms for a power generation system
JP7067657B2 (en) Servers, store-side equipment, management systems, information provision methods and programs
JP7022889B2 (en) Gas meter system
JP6807240B2 (en) Transmission system
TW201826059A (en) Plant management device, plant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KR101447031B1 (en) System for searching emergency operating procedure in nuclear power plant and method thereof
JP2008140109A (en) Process operation support apparatus, and process operation support method
JP2018191217A (en) Data monitoring apparatus, data monitoring method, and data monitoring program
JP2018156373A (en) Facility maintenanc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facility maintenance information
JP2011150586A (en) Management system for failure history
JP2011039676A (en) Monitoring device and alarm notifying method
KR101999781B1 (en)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device without supporting Internet of Thing
JP2015230584A (en) Alarm handling support device and alarm handling support method
JP4600081B2 (en) Operation support system and operation support method
JP2011204029A (en) Operation management support device
EP3647744A1 (en) Gas meter management system
JP704020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18006888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facility
CN117571051A (en) Power plant equipment monitoring method, system, equipment and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