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7810A - Wearable braille input device for blind people - Google Patents

Wearable braille input device for blind peop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7810A
KR20180117810A KR1020170050806A KR20170050806A KR20180117810A KR 20180117810 A KR20180117810 A KR 20180117810A KR 1020170050806 A KR1020170050806 A KR 1020170050806A KR 20170050806 A KR20170050806 A KR 20170050806A KR 20180117810 A KR20180117810 A KR 20180117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unit
braille input
input
wear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8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18399B1 (en
Inventor
배익순
Original Assignee
최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태 filed Critical 최정태
Priority to KR1020170050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399B1/en
Publication of KR20180117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8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3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1Cordless keybo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2Devices for Braille writ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braille input device for blind people which improves accessibility and user convenience for a mobile device for blind people in accordance with the smart information age, has excellent wearability and portability, and provides an accessory function by elegant appear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able braille input device for blind people is linked to a smart device including a smartphone, and comprises: a braille input unit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 braille processing unit including a control module to receive an input signal inputted by the braille input unit to process the input signal; and a coupling unit arranged on the braille input unit and the braille processing unit to be fixed on a target. The braille input unit includes: a first fabric layer of a rectangular shape made of fabric; a plurality of proximity sensing keys arranged on the first fabric layer at prescribed intervals; a conductive pattern layer extended from each proximity sensing key to one side; a second fabric layer which covers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and is made of fabric; and braille keys formed on the second fabric layer on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roximity sensing keys.

Description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점자 입력 장치{WEARABLE BRAILLE INPUT DEVICE FOR BLIND PEOPLE}[0001] WEARABLE BRAILLE INPUT DEVICE FOR BLIND PEOPLE [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점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정보화 시대에 발맞춰 시각장애인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성과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착용성 및 휴대성이 뛰어나며, 미려한 외관을 통해 액세서리 기능도 부여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점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type braille input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arable-type braille input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To a wearable braille input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who can give an accessory function through a beautiful appearance.

주지하는 바와 같이 시각장애인들은, 육안을 통한 문자의 판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손가락 끝의 촉각을 이용하여 점자(點字)를 해독하여 문자를 판독하게 된다.As is well known, visually impaired persons can not read characters through the naked eye, and therefore, the characters are read by decoding the braille characters using the tactile angle of the fingertip.

이러한 점자는 지면에 볼록 튀어나오게 점을 찍어 손가락 끝의 촉각으로 읽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일정하게 배열된 크고 작은 6개의 점을 일정하게 조합시켜, 하나의 의미가 내포된 문자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점자도 일반의 문자와 같이 일정한 규칙성을 가진다.Such a braille character can be read with the tactile angle of the tip of the finger by pointing out the protruding point on the ground, and the six large and small points arranged in a uniform manner are constantly combined to form a character having one meaning. That is, the braille character has a certain regularity like a letter in general.

최근 들어 시각장애우용 점자 입출력장치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In recent year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braille input / output devices for the visually impaired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3600호(점자 입출력기)에는, 점자에 대응되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점자키 입력부를 가지는 입력기 본체와, 입력된 신호를 점자로 출력해주는 출력기 본체와, 점자 출력부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점자 출력부와 키 입력부는 사용자의 전방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로 구분되게 배치된 점자 입출력기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063600 (Braille input / output unit) includes an input unit body having a point key input unit capable of inputt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braille, an output unit body outputting the input signal in braille, And a control unit for driving and controlling the output unit. The braille output unit and the key input unit are disclosed in a braille input / output unit that is divid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front of the user.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17014호(점자 단말기)에는, 패드부에 형성된 복수의 점자핀들이 배설된 키패드와, 전자문서 기록매체와, 전자문서를 점자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모듈과 점자핀들을 키패드의 표면에 돌출시키는 핀승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시각장애인이 점자핀들을 촉각으로 인지하여 내용을 판독하는 점자 단말기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7-0117014 (Brail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keypad having a plurality of braille pins formed on a pad portion, an electronic document recording medium, a conversion module for converting the electronic document into a braille signal, To the surface of the keypad, and a braille terminal in which the blind pin is recognized by the tactile sense to read the content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3154호(시각 장애인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점자 입출력 방법 및 장치)에는,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는 제어부, 6 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점자 키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점자에 해당하는 키패드의 점을 진동모터를 구동하고 핀을 승강시켜 점자를 출력하는 키패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휴대 단말기의 출력장치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33154 (Braille input / output method and apparatus of a portable terminal for the visually impaired)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verting characters into braille characters and a braille keypad composed of six points, And a keypad unit for driving the vibration motor and raising and lowering the pin to output the braille point to the output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들을 포함한 종래 기술은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동되어 구동되지 않아 시각장애인이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데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related art including the above-mentioned prior arts is not operated in cooperation with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visually impaired person uses a smart device.

또한, 종래 기술은 장소의 이동성 및 착용성을 고려하지 않아 실질적으로 외부에서 사용이 극히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does not consider the mobility and wearability of a place, and thus has a problem that its use is substantially limited from the outside.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3600호(2011.06.13. 공개)(Document 1)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063600 (published on June 13, 2011)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17014호(2007.12.12. 공개)(Document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117014 (Dec. 12, 2007) (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3154호(2014.08.22. 공고)(Document 3)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433154 (Announcement of Aug. 22, 2014) (문헌 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4169호(2014.07.04. 공고)(Document 4)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14169 (published on April 4, 2014)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마트 정보화 시대에 발맞춰 시각장애인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성과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착용성 및 휴대성이 뛰어나며, 미려한 외관을 통해 액세서리 기능도 부여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점자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and ease of use of a mobile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in accordance with the era of smart informationiz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directed to a wearable braille input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동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입력 장치로서,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점자 입력 유닛; 상기 점자 입력 유닛에서 입력된 입력신호를 제공받아 처리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점자 처리 유닛; 및 상기 점자 입력 유닛과 상기 점자 처리 유닛에 각각 구비되어 고정대상물에 고정시키는 체결 유닛;를 포함하고, 상기 점자 입력 유닛은 직물로 이루어지는 장방형의 제1 직물층과, 상기 제1 직물층에 소정 간격을 갖고 구비되는 복수의 근접센싱 키와, 상기 근접센싱 키 각각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도전 패턴층과, 상기 도전 패턴층을 커버하고 직물로 이루어지는 제2 직물층; 및 상기 근접센싱 키에 대응하는 위치의 제2 직물층에 도트 처리되어 형성되는 점자 키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점자 입력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raille input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the braille input device interlocked with a smart device including a smart phone, the device comprising: a braille input unit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 braille processing unit including a control module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input signal input from the braille input unit; And a fastening unit provided in the braille input unit and the braille processing unit for fixing the braille input unit and the braille processing unit to the fixed object, respectively, wherein the braille input unit comprises: a rectangular first fabric layer made of a fabric; A conductive pattern layer extending from each of the proximity sensing keys to one side; a second fabric layer covering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and made of a fabric; And a braille key formed by dot processing on a second fabric lay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ximity sensing ke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싱 키는 근접시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해당 점자 입력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정전용량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ximity sensing key may be a capacitive sensor configured to sense a change in electrostatic capacitance generated in proximity and detect a corresponding braille input signa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점자 처리 유닛은 일측에 전원 연결 포트가 형성되는 유닛 하우징; 상기 유닛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점자 입력 유닛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전달받도록 접속되는 제어 모듈; 상기 유닛 하우징의 전원 연결 포트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충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충전부; 및 상기 충전부로부터 제어 모듈로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on/off)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점자 입력 유닛의 입력신호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검출하는 입력신호 검출부와, 상기 입력신호 검출부에서 검출된 입력 신호를 조합하여 문자를 형성하는 문자변환부와, 상기 문자변환부에서 형성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텍스트 투 스피치부, 및 상기 문자변환부에서 형성된 문자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ille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 unit housing having a power connection port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control module provided in the unit housing and connected to receive an input signal from the braille input unit; A charging unit connected to a power connection port of the unit housing to receive power and being chargeable; And an on-off switch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supply from the charging unit to the control module, wherein the control module includes an input signal for detecting an input signal input from the input signal of the braille input unit, A text-to-speech unit for converting a character formed by the character converting unit into a voice and outputting the voice, and a text-to-speech converting unit for converting the character formed by the character converting uni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haracter to the smart device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점자 입력 유닛과 점자 처리 유닛이 상호 간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ille input unit and the Braille processing unit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점자 입력 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도전 패턴층이 노출되도록 제2 직물층이 제1 직물층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일단부의 제1 직물층은 강성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점자 처리 유닛은 상기 점자 입력 유닛의 일단부에 상응하는 접속 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 포트에는 상기 제어 모듈에 접속되며 탄성력을 갖고 상기 점자 입력 유닛의 일단부의 도전 패턴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도성 탄성 접속구가 구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ille input un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end of the braille input unit is formed such that the second fabric layer is shorter than the first fabric layer so that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is exposed, the first fabric layer at the one end has rigidity, The unit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ort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braille input unit, and the connection por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and has a conductive elastic connection port having an elastic forc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at one end of the braille input unit Lt; / RTI >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점자 입력 장치는,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스마트 정보화 시대에 맞게 시각장애인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성과 사용 편의성, 착용성 및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wearable braille input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accessibility, ease of use, wearability, and portability of the visually impaired to the mobile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smart information age, .

또한, 본 발명은 미려한 외관을 통해 액세서리 기능도 부여할 수 있어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ecur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because the accessory function can be given through the beautiful appearanc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점자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점자 입력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점자 입력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점착 입력 장치를 구성하는 점자 처리 유닛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점자 입력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점자 입력 장치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wearable braille input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wearable braille input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wearable braille input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raille processing unit constituting a wea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nput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wearable braille input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wearable state of the wearable braille input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Fur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Also, the terms " part, "" unit," " module, "and the like, which ar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Software. ≪ / RTI >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점자 입력 장치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wearable braille input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to FI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점자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점자 입력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점자 입력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점착 입력 장치를 구성하는 점자 처리 유닛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점자 입력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점자 입력 장치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wearable-type braille input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wearable-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wearable braille input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raille processing unit constituting a wearable type adhesive input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wearable braille input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 wearable state of the wearable braille input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점자 입력 장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동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입력 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플렉시블한 재질(flexible material)로 이루어지는 점자 입력 유닛(100); 상기 점자 입력 유닛(100)에서 입력된 입력신호를 제공받아 처리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점자 처리 유닛(200); 및 상기 점자 입력 유닛(100)과 상기 점자 처리 유닛(200)에 각각 구비되어 고정대상물에 고정시키는 체결 유닛(미도시);를 포함한다.A wearable braille input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raille input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who works in cooperation with a smart device including a smart phone and has a largely flexible material as shown in Figs. A braille input unit 100; A braille processing unit (200) including a control module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an input signal input from the braille input unit (100); And a fastening unit (not shown) provided in the braille input unit 100 and the braille processing unit 200 to fix the braille input unit 100 and the braille processing unit 200, respectively.

상기 점자 입력 유닛(100)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직물로 이루어지는 제1 직물층(110); 상기 제1 직물층(110)에 소정 간격을 갖고 구비되는 복수의 근접센싱 키(proximity sensing key)(120); 상기 근접센싱 키(120) 각각으로부터 중첩되지 않게 일측으로 연장되는 도전 패턴층(130); 상기 도전 패턴층(130)을 커버하고 직물로 이루어지는 제2 직물층(140); 및 상기 근접센싱 키(120)에 대응하는 위치의 제2 직물층(140)에 도트 처리되어 형성되는 점자 키(150)를 포함한다.2 and 3, the braille input unit 100 includes a first fabric layer 110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made of a fabric; A plurality of proximity sensing keys 120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first fabric layer 110; A conductive pattern layer 130 extending from each of the proximity sensing keys 120 to one side without overlapping; A second fabric layer 140 covering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130 and made of a fabric; And a braille key 150 formed by being dot-processed on a second fabric layer 14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ximity sensing key 120.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점자 입력 유닛(100)은 상기의 구성들이 적층되고 밀착되어 일체형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점자 입력 유닛(100)은 일단부가 밀봉되게 가공되고, 타단부는 도전 패턴층(130)이 노출되어 상기 점자 처리 유닛(200)의 제어 모듈에 접속되도록 구성된다.The braille input unit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structed so that the above structures are stacked and closely contacted to form an integral body. At this time, the braille input unit 100 is configured to be seal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130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of the braille processing unit 200.

상기 근접센싱 키(120)는 대상물의 접근, 또는 대상물로의 접근에 따라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로, 동작원리에 따라 고주파 발진형, 자기형, 정전용량형, 초음파형, 전파형, 공기압형, 광전형 등 다양한 형식이 있고, 마이크로 스위치, 리밋 스위치 등 기계적인 스위치를 무접촉화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점자 입력의 용이성을 위해 정전 용량형(정전용량 센서)이 사용될 수 있다.The proximity sensing key 120 is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n electric signal in accordance with an approach of an object or an approach to an object. The proximity sensing key 120 may be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a magnetic type, a capacitance type, an ultrasonic wave type, , Phototransformers, etc., and the mechanical switches such as microswitches and limit switches are made contactless. In the present invention, a capacitance type (capacitance sensor) can be used for easy braille input.

상기 근접센싱 키(120)의 종류나 형태 그리고 배열은 기 알려진 키보드 입력방식을 비롯한 다양한 입력 방식을 채용할 수 있으므로, 발명의 명확화 및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typ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proximity sensing key 120 can employ various input methods including known keyboard input method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the sake of simplicity and clarity of the invention.

여기에서, 본 발명의 점자 입력 유닛(100)의 도전 패턴층(130)은 플렉시블한 재질인 제1 및 제2 직물층(110) 내에 구비되므로, 이에 대한 내구성을 더욱 확보(즉, 피로한계를 증대)하기 위하여 상기 도전 패턴층(130)을 보호하기 위하여 수지제의 절연필름(미도시)이 도포되어 피복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수지제의 절연필름은 점자 처리 유닛(200)에 접속되는 단부에는 피복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Here, since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130 of the braille input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fabric layers 110, which are flexible materials, the durability thereof is further ensured An insulating film (not shown) made of resin may be applied to cover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130 so as to protect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130. Even in this case, the insulating film made of resin is not coated on the end connected to the braille processing unit 200.

다음으로, 상기 점자 처리 유닛(20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에 전원 연결 포트(211)가 형성되는 유닛 하우징(210)과, 상기 유닛 하우징(2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점자 입력 유닛(100)으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전달받도록 접속되는 제어 모듈(220), 상기 유닛 하우징(210)에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하며 충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충전부(230), 및 상기 충전부(230)로부터 제어 모듈(220)로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on/off)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한다.4, the braille processing unit 200 includes a unit housing 210 having a power connection port 211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 unit housing 210 provided inside the unit housing 210, A control unit 220 connected to receive an input signal from the unit 100, a charging unit 230 provided in the unit housing 210 to supply power and capable of being charged, Off switch (not shown)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supply to the power supply unit 220.

또한, 상기 점자 처리 유닛(200)은 사용 상태를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사용상태 음성고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상태 음성고지부는 전원 온(on) 시에 "전원이 켜졌습니다", 오프(off) 시에 "전원이 꺼졌습니다"라는 음성안내 메세지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ille processing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use state voice announcement unit (not shown) so that the use state can be audibly provided. For example, the use state voice notify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voice guidance message "powered off" at power on and "powered off" at off.

상기 유닛 하우징(210)은 손목 등에 편안하게 안착되도록 하면이 완만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unit housing 210 is formed to be gently rounded when the unit housing 210 is comfortably seated on the wrist or the like.

상기 제어 모듈(220)은 상기 점자 입력 유닛(100)의 입력신호로부터 입력되는 점자 입력 신호를 검출하는 입력신호 검출부(221)와, 상기 입력신호 검출부(221)에서 검출된 점자 입력 신호를 조합하여 문자를 형성하는 문자변환부(222)와, 상기 문자변환부(222)에서 형성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텍스트 투 스피치부(223), 상기 문자변환부(222)에서 형성된 문자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부(224)를 포함한다.The control module 220 includes an input signal detection unit 221 for detecting a braille input signal input from an input signal of the braille input unit 100 and a control unit 220 for combining the braille input signals detected by the input signal detection unit 221 A text-to-speech unit 223 for converting a character formed by the character conversion unit 222 into a voice and outputting the voic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4 for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smart device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상기 신호검출부(221)는 예를 들어 상기 점자 입력 유닛(100) 내의 각 근접센싱 키(120)에서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하여 키입력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The signal detecting unit 221 is configured to detect a change in capacitance of each proximity sensing key 120 in the braille input unit 100 to detect whether or not a key is input.

상기 문자변환부(222)는 상기 신호검출부(221)로부터 점자 입력 신호를 입력받아 점자 입력 신호를 문자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각 근접센싱 키(120)로부터 검출된 점자 입력 신호를 임시 저장하고, 미리 지정된 완성 근접센싱 키가 입력되면 점자 입력 신호를 조합하여 문자신호를 형성한다.The character converter 222 receives the braille input signal from the signal detector 221 and converts the braille input signal into a character signal. For example, a braille input signal detected from each proximity sensing key 120 is temporarily stored, and when a predetermined complete proximity sensing key is input, a braille input signal is combined to form a character signal.

상기 텍스트 투 스피치부(223)는 상기 문자변환부(222)에서 완성된 문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변환시켜 출력하고, 또한 소정 명령을 통해 텍스트 투 스피치 프로그램 등의 스크린 리더를 이용하여 스마트 디바이스의 내용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어느 문자가 입력되었고,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어떠한 내용이 있는지 청각을 통해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The text-to-speech unit 223 receives the character signal completed by the character converting unit 222, converts the received character signal into a voice, and outputs the converted voice to a text-to-speech program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which characters are input and what contents are from the smart device through auditory sense.

상기 무선통신부(224)는 NFC나 블루투스 또는 비콘 등을 통해 근거리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4 is configured to perform short-range communication through NFC, Bluetooth, or a beacon.

다음으로, 체결 유닛은 손목 등의 고정 대상에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주로 시각장애인이 사용자인만큼 체결과 체결해제가 용이한 벨크로 고정방식(한쪽은 갈고리, 다른 한쪽에는 걸림고리가 형성되는 부직포)이나 버튼 고정 방식(암수 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the fastening un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fastening unit can be fastened and fixed to an object to be fastened such as a wrist. It is a velcro fastening system in which a fastening and disengagement is easy, A nonwoven fabric in which a hooking ring is formed) or a button fixing method (male and female buttons).

예를 들면, 점자 입력 유닛(100)이 접속되는 측의 대향부의 점자 처리 유닛(200)의 유닛 하우징(210)에 점자 입력 유닛(100)의 자유단부가 통과하는 체결 고리를 구성하고, 이 점자 입력 유닛(100)의 자유단부와 점자 입력 유닛(100)의 일측이 벨크로 고정방식이나 버튼 고정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벨크로나 버튼이 형성시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nstitute a fastening ring through which the free end of the braille input unit 100 passes through the unit housing 210 of the braille processing unit 200 at the opposite side to which the braille input unit 100 is connected, A velcro or button may be formed so that the free end of the input unit 100 and one side of the braille input unit 100 can be fastened by a velcro fixing method or a button fixing metho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점자 입력 장치는 점자 입력 유닛(100)과 점자 처리 유닛(200)이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되, 부착 시 점자 입력 유닛(100)의 도전 패턴층(130)과 점자 처리 유닛(200)의 제어 모듈(220)이 전기 및 회로적으로 접속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braille input unit 100 and the braille processing unit 200 are detachably attached to the braille input unit 100 of the braille input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odule 220 of the braille processing unit 200 may be electrically and circuitly connected.

예를 들면, 상기 점자 입력 유닛(100)은 일단부에서 도전 패턴층(130)이 노출되도록 제2 직물층(140)이 제1 직물층(110)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일단부는 강성을 갖도록 강성처리되거나 절연성의 강성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For example, the braille input unit 10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second fabric layer 140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first fabric layer 110 so that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130 is exposed at one end, Rigid-treated or insulating rigid members are integrally formed.

또한, 상기 점자 처리 유닛(200)은 점자 입력 유닛(100)의 일단부에 상응하는 접속 포트가 형성되고, 그 접속 포트 내에는 제어 모듈(220)에 접속되며 탄성력을 갖는 전기전도성의 탄성 접속구가 구성된다.In the braille processing unit 200, a connection port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braille input unit 100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 an electrically conductive elastic connection port having elasticity is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220 .

상기 탄성 접속구는 예를 들면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하방향으로 탄성력이 인가되는 판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lastic connection port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plate spring having an end rounded and an elastic force applied downward.

다른 일 예로, 상기 점자 입력 유닛(100)은 일단부에 도전 패턴층(130)이 접속되는 접속 플러그가 형성되고, 상기 점자 처리 유닛(200)에는 접속 소켓이 형성되며, 상기 점자 처리 유닛(200)의 유닛 하우징(210)에는 접속 플러그를 록킹 및 록킹해제시킬 수 있는 록킹 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braille input unit 100 is formed with a connection plug to which a conductive pattern layer 130 is connected at one end, a connection socket is formed in the braille processing unit 200, and the braille processing unit 200 The unit housing 210 of the apparatus can be configured with a locking means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connection plug.

이와 같이 점자 입력 유닛(100)과 점자 처리 유닛(200)이 탈착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는, 각각 여러 색상과 디자인을 갖는 점자 입력 유닛(100)을 점자 처리 유닛(200)에 선택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획일적인 구성에서 벗어나 다양한 연출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braille input unit 100 and the braille processing unit 200 ar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attach the braille input unit 100 having various colors and designs to the braille processing unit 200 So that it is possible to deviate from the uniform configuration and to provide various kinds of directing.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점자 입력 장치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자 입력 유닛(100)을 펼친 상태에서 입력 장치로서 사용하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용하여 액세서리로서 연출을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도 6과 같이 착용한 상태에서도 입력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The wearable braille input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above is used as an input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braille input unit 100 is opened as shown in Fig. 5, and is worn as shown in Fig. . Of course, it can be used as an input device even when worn as shown in Fig.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점자 입력 장치는,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스마트 정보화 시대에 맞게 시각장애인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성과 사용 편의성, 착용성 및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미려한 외관과 다양한 연출을 통해 액세서리 기능도 부여할 수 있어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wearable braille input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improve accessibility, usability, wearability and portability of a mobile device to a visually impaired person in accordance with the era of smart informationization, It has the advantage of securing product competitiveness because it can give accessory function through beautiful appearance and various production.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not for purposes of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rather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점자 입력 유닛
110: 제1 직물층
120: 근접센싱 키(proximity sensing key)
130: 도전 패턴층
140: 제2 직물층
150: 점자 키
200: 점자 처리 유닛
210: 유닛 하우징
211: 전원 연결 포트
220: 제어 모듈
230: 충전부
221: 입력신호 검출부
222: 문자변환부
223: 텍스트 투 스피치부
224: 무선통신부
100: Braille input unit
110: first fabric layer
120: Proximity sensing key
130: conductive pattern layer
140: second fabric layer
150: Braille key
200: Braille processing unit
210: Unit housing
211: Power connection port
220: Control module
230:
221: input signal detecting section
222:
223: Text-to-
224:

Claims (5)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동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입력 장치로서,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점자 입력 유닛;
상기 점자 입력 유닛에서 입력된 입력신호를 제공받아 처리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점자 처리 유닛; 및
상기 점자 입력 유닛과 상기 점자 처리 유닛에 각각 구비되어 고정대상물에 고정시키는 체결 유닛;를 포함하고,
상기 점자 입력 유닛은 직물로 이루어지는 장방형의 제1 직물층과, 상기 제1 직물층에 소정 간격을 갖고 구비되는 복수의 근접센싱 키와, 상기 근접센싱 키 각각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도전 패턴층과, 상기 도전 패턴층을 커버하고 직물로 이루어지는 제2 직물층; 및 상기 근접센싱 키에 대응하는 위치의 제2 직물층에 형성되는 점자 키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점자 입력 장치.
A braille input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ch is interlocked with a smart device including a smart phone,
A braille input unit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 braille processing unit including a control module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input signal input from the braille input unit; And
And a fastening unit provided in the braille input unit and the braille processing unit, respectively, for fixing the braille input unit and the braille processing unit,
The braille input unit includes a rectangular first fabric layer made of a fabric, a plurality of proximity sensing key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first fabric layer, a conductive pattern layer extending from each of the proximity sensing keys to one side, A second fabric layer covering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and made of a fabric; And a braille key formed in a second fabric layer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ximity sensing key
Wearable Braille Input Device for the Bli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싱 키는 근접시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해당 점자 입력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정전용량 센서로 이루어지는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점자 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ximity sensing key comprises a capacitive sensor configured to sense a change in electrostatic capacity occurring during proximity and to detect a corresponding braille input signal
Wearable Braille Input Device for the Bli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처리 유닛은
일측에 전원 연결 포트가 형성되는 유닛 하우징;
상기 유닛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점자 입력 유닛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전달받도록 접속되는 제어 모듈;
상기 유닛 하우징의 전원 연결 포트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충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충전부; 및
상기 충전부로부터 제어 모듈로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on/off)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점자 입력 유닛의 입력신호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검출하는 입력신호 검출부와, 상기 입력신호 검출부에서 검출된 입력 신호를 조합하여 문자를 형성하는 문자변환부와, 상기 문자변환부에서 형성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텍스트 투 스피치부, 및 상기 문자변환부에서 형성된 문자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점자 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raille processing unit
A unit housing in which a power connection port is formed at one side;
A control module provided in the unit housing and connected to receive an input signal from the braille input unit;
A charging unit connected to a power connection port of the unit housing to receive power and being chargeable; And
And an on-off switch for turning on / off power supply from the charging unit to the control module,
The control module includes an input signal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n input signal input from an input signal of the braille input unit, a character converting unit for forming a character by combining the input signals detected by the input signal detecting unit, A text-to-speech unit for converting the formed characters into speech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characters,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haracters formed by the character conversion unit to the smart device through short-
Wearable Braille Input Device for the Bli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입력 유닛과 점자 처리 유닛이 상호 간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점자 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raille input unit and the braille processing unit are detachably attachable to each other
Wearable Braille Input Device for the Bli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입력 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도전 패턴층이 노출되도록 제2 직물층이 제1 직물층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일단부의 제1 직물층은 강성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점자 처리 유닛은 상기 점자 입력 유닛의 일단부에 상응하는 접속 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 포트에는 상기 제어 모듈에 접속되며 탄성력을 갖고 상기 점자 입력 유닛의 일단부의 도전 패턴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도성 탄성 접속구가 구성되는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점자 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raille input unit is formed such that a second woven layer is formed shorter than the first woven layer so that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is exposed at one end thereof and the first woven layer at one end is made rigid,
Wherein the braille processing unit is formed with a connection port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braille input unit, and the connection por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and has a conductive property,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at one end of the braille input unit The elastic connection port
Wearable Braille Input Device for the Blind.
KR1020170050806A 2017-04-20 2017-04-20 Wearable braille input device for blind people KR1019183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806A KR101918399B1 (en) 2017-04-20 2017-04-20 Wearable braille input device for blind peop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806A KR101918399B1 (en) 2017-04-20 2017-04-20 Wearable braille input device for blind peop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810A true KR20180117810A (en) 2018-10-30
KR101918399B1 KR101918399B1 (en) 2018-11-13

Family

ID=64100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806A KR101918399B1 (en) 2017-04-20 2017-04-20 Wearable braille input device for blind peop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399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512B1 (en) * 2020-08-05 2021-05-07 주식회사 엘토브 A controller module for disabled person and a kiosk having it
CN112863306A (en) * 2021-01-18 2021-05-28 合肥工业大学 Based on VO2Braille display device with double-layer actuating film
KR20210130960A (en) * 2020-04-23 2021-11-02 최은석 Text input device for the visullay impaired
CN114593849A (en) * 2022-01-17 2022-06-07 之江实验室 Multifunctional identification input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0960A (en) * 2020-04-23 2021-11-02 최은석 Text input device for the visullay impaired
KR102249512B1 (en) * 2020-08-05 2021-05-07 주식회사 엘토브 A controller module for disabled person and a kiosk having it
CN112863306A (en) * 2021-01-18 2021-05-28 合肥工业大学 Based on VO2Braille display device with double-layer actuating film
CN114593849A (en) * 2022-01-17 2022-06-07 之江实验室 Multifunctional identification in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8399B1 (en) 201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8399B1 (en) Wearable braille input device for blind people
US1047809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xial orientation and location of a user's wrist
US10909882B2 (en) Brail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US10795438B2 (en) Electronic finger devices with charging and storage systems
KR101521539B1 (en) Smart watch coupling earphone
EP3635511B1 (en) Wearable device enabling multi-finger gestures
KR20170010704A (en) Watch type terminal
EP3059657B1 (en) Input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provided therewith
CN103558749A (en) Intelligent watch
KR101868448B1 (en) A device for providing haptic patterns on smart devices
CN108777731A (en) Key configurations method, apparatus,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101983504B1 (en) Smart phone case combination keyboard for blind
KR20210121547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A Notification Based On Distance Of A Remote Input Device
KR101536229B1 (en) Smart watch having band touch sensor
US20200110477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en input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70038359A (en) Sensor for wearing of wearable device and wearable device having the same
KR100943031B1 (en) An attachable input device on mobile unit
WO20080615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navigational instructions to a user
KR20110063600A (en) The input and output device of braille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KR20210108886A (en) Wireless power system
JP7200365B2 (en) power supply system
KR101892211B1 (en) Folding keyboard and communication device for hearing and visual impaired person
KR20180097171A (en) Folding keyboard and communication device for hearing and visual impaired person
KR20180121306A (en) Wrist keyboard using conductive yarn
KR20210016900A (en) Stylus pen and electronic device for recognizing stylus pe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