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2423A - Disaster management equipment and devices and disaster management methods - Google Patents

Disaster management equipment and devices and disaster management metho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2423A
KR20180112423A KR1020170043487A KR20170043487A KR20180112423A KR 20180112423 A KR20180112423 A KR 20180112423A KR 1020170043487 A KR1020170043487 A KR 1020170043487A KR 20170043487 A KR20170043487 A KR 20170043487A KR 20180112423 A KR20180112423 A KR 20180112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disaster management
facility
control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4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현호
Original Assignee
신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호 filed Critical 신현호
Priority to KR1020170043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2423A/en
Publication of KR20180112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423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8Safety,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aster management apparatus which comprises: a communication part connected to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apparatus; and a control part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part to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among occurrence of a disaster, a type of the disaster, and a management state of the disaster.

Description

재난관리의 장비와 장치 및 재난관리 방법{Disaster management equipment and devices and disaster management methods}Disaster Management Equipment and Devices and Disaster Management Methods Disaster management equipment and devices and disaster management methods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재난 관리 장치 및 재난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One disclos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disaster management device and a disaster management method.

본 명세서의 일 개시에 따른 재난 관리 영역에 대하여 재난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재난 관리 장치는, 복수의 센서로부터 복수의 감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복수의 감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 관리영역 내에서 재난의 발생 여부 및 상기 재난의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재난이 발생한 경우, 상기 재난의 유형에 따라 상기 재난 관리 영역에 설치되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설비를 제어하여 상기 재난을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disaster management apparatus for performing a disaster management function for a disaster managemen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n interface unit for acquiring a plurality of sensed data from a plurality of sensors;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disaster occurs in the disaster management area and the type of the disaster based on the plurality of pieces of detection data and, when the disaster occurs, setting a specific function installed in the disaster management area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isaster And controlling the at least one facility to perform the disaster management.

최근 들어 도심지 밀집화가 가중됨에 따라 상업지역에 공동주택과 숙박 및 판매시설이 업무시설에 혼용된 다중 복합용도의 초고층 건축물 등이 증가하는 추세이다.In recent years, as urban densification has become more common, there are increasing trends in multi-purpose high-rise buildings where commercial housing, accommodation, and sales facilities are mixed in business facilities.

또한, 주거지역의 초고층 아파트와 함께 일반 상업지역에도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 건축물이 증가하고 있으며, 지하(지하철)역사를 중심으로 판매시설을 포함한 문화집회시설, 숙박시설, 위락시설 등의 다중 이용 건축물 또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In addition to high-rise apartment buildings in residential areas, high-rise residential and commercial complex buildings are also increasing in commercial areas, and multi-use buildings such as cultural gathering facilities, accommodation facilities, amusement facilities including sales facilities It is increasing rapidly.

한편, 현재까지는 초고층 또는 지하복합 건축물에 발생할 수 있는 재난에 대해 적절한 대책이 조직적으로 수립되지 않고 있으며, 단지 각각의 재난관리기관에서 산발적으로 재난 상황을 수집하여 대책을 수립하는 정도이다.However, until now, proper measures for disasters that may occur in skyscraper or underground composite structures have not been systematically established, and only disaster management agencies collect sporadic disaster situations and establish countermeasures.

따라서, 초고층 또는 지하복합 건축물과 같은 곳에 화재, 침수, 붕락, 지진 또는 테러 등과 같은 재난이 발생하게 되면, 재난 관리 기관에서 재난 진압을 위한 요원들을 재난 현장에 투입시키게 된다. 재난 진압을 위한 요원들이 재난 현장에 도착하여 재난 상황을 파악할 때까지 다소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Therefore, when disasters such as fire, flood, flood, earthquake, or terrorism occur in places such as a skyscraper or an underground complex, disaster management agencies will put agents for disaster suppression into the disaster site. It may take some time before the agents for disaster struggle arrive at the disaster site and understand the disaster situation.

기존의 건물 내부 재난 관리를 위한 장비는 소방법에 규정된 소방설비가 전부이며, 시설 관리자 및 작업자들의 매뉴얼에 의하여 간단히 훈련하고 사고 내지 재난 발생 시 관리자 및 작업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하여 대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재난 관리를 위한 전용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가 전무한 실정이다.Existing facilities for disaster management inside buildings are all the fire fighting facilities prescribed in the Fire Service Act. They are generally trained simply by facility managers and workers' manuals and respond to subjective and subjective judgments in the event of an accident or disaster. There are no dedicated systems and software for disaster management.

그러므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재난의 예측 및 대응을 위한 재난 관리를 위한 시설 감지 시스템의 부재로 인해 재난 관리의 예측 및 초기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edict and initially respond to disaster management due to the absence of facility detection system for disaster management for prediction and response of disaster.

본 명세서의 개시에 의하면,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개시에 의하면, 재난 관리 영역에 설치되거나 배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의 복수의 감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재난의 발생 여부 및 상기 재난의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재난이 발생한 경우, 상기 재난의 유형에 따라 상기 재난 관리 영역에 설치되거나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를 제어하여 상기 재난을 관리함으로써 효율적인 재난 관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re solved. 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disaster occurs and the type of the disaster based on a plurality of pieces of sensing data from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or disposed in the disaster management area, There is an advantage that efficient disaster management can be performed by controlling at least one facility installed or disposed in the disaster management area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isaster to manage the disaster.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특정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난을 관리하는 재난 관리 장치, 재난 관리 시스템 및 재난 관리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The techniques disclosed herein can be applied to a disaster management apparatus, a disaster management system, and a disaster management method that manage a disaster that may occur in a specific area.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설비 제어 시스템 또는 설비 관제 시스템, 상기 설비제어 시스템 등에 포함된 중앙 제어 장치(또는 중앙 관제 서버)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따른 재난 관리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Further, the technique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applied to a facility control system or a facility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facilities, a central control device (or a central control server) included in the facility control system,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central control unit may perform the disaster manage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ogether.

여기서 설비 제어 시스템(또는 설비 관제 시스템)은 건물 또는 빌딩에 배치된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빌딩 자동화 시스템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설비 제어 시스템은 빌딩종합관리시스템(BMS; Building Management System)일 수 있다. 즉, 상기 빌딩 자동화 시스템은 자동화 시스템에서 적용 대상을 한정하지 않고, 공장 자동화 시스템 등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써, 재난 관리 대상이 되는 특정 영역을 제어 또는 관리하는 자동화 시스템을 포함 할 수 있다.Here, the facility control system (or facility control system) may be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for controlling facilities disposed in buildings or buildings. In particular, the facility control system may be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BMS). That is, the building automation system may include an automation system that controls or manages a specific area to be a disaster management target, as a broad concept including a factory automation system and the like, without limiting the application target in the automation system.

또한, 상기 설비 제어 시스템은 건물 내에 설치된 설비들과 관련된 에너지를 관리하여 건물 내의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하면서 에너지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BEMS;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cility control system may mean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BEMS) used to manage energy related to facilities installed in a building to maintain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in the building while increasing energy performance .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건물 내에 설치된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설비 제어 방법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설비를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설비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특정 장비 또는 장치, 예를 들어, 중앙 제어 장치(또는 중앙 관제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applied to a facility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facilities installed in a building, and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facility control system that provides a user interface (UI) for efficiently and conveniently controlling the facility Can be applied. In particular, the user interface may be provided by a specific equipment or device included in the facility control system, for example, a central control device (or a central control server).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따른 재난 관리 장치 내지 시스템은 상기 중앙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과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구현 상의 편리성, 복잡성 및 효율성을 위해 상기 중앙 제어 장치 내지 상기 설비 제어 시스템에 포함되어 함께 구성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disaster management apparatus 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facility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or the facility control May be included in the system and configured together.

상기 재난 관리 장치는, 건물을 구성하고 있는 개별시스템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싱(Interfacing)하여 장비의 실시간 장비상태 감시 및 제어를 담당하며, 수집된 기초 데이터를 설비 제어 시스템에 전달하여 재난 예측 및 상황별 운영시나리오에 의하여 장비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disaster management device is responsible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real-time equipment status of the equipment by interfacing the data of the individual systems constituting the building. The disaster management device transmits the collected basic data to the facility control system, The scenario may allow the equipment to be controlled.

또한, 상기 재난 관리 장치는, 입수된 감지 데이터를 통하여 상황에 따른 정확한 판단자료를 외부에 제공하고 연관 장비가 자동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하여 재난 피해 확산을 최소화하고 재난 복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lso, the disaster management apparatus can provide accurate judgment data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rough the received sensing data and control the associated equipment to operate automatically, thereby minimizing disaster damage spread and performing a disaster recovery function.

또한, 상기 재난 관리 장치는 사고발생에 따른 연관 센서에 대한 감지 결과에 대하여 트랜드 분석을 통한재난 사전 감지 시스템(예를 들어, 빅 데이터의 활용) 및 사고원인 분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aster management apparatus can provide a disaster prevention detection system (for example, utilization of big data) and an accident cause analysis function through a trend analysis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associated sensor due to an accident.

또한, 상기 재난 관리 장치는, 정보 전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Beacon 신호를 통해 외부에 재난과 관련된 정보 따른 복수의 단계에 따른 현재 상태, 재난 대응을 위한 설비들의 제어 결과, 설비들의 상태 등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전자게시판 기능 등을 통해 재난과 관련된 정보 및 이에 대한 대응 안내 등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aster management apparatus can perform an information transfer function. The beacon signal can be used to provide information on a current state according to a plurality of steps according to information related to an external disaster, control results of facilities for responding to a disaster, And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saster and guidance for responding to the disaster through an electronic bulletin board function or the like.

특히, 상기 재난 관리 장치는, 빌딩 내지 건물에서 근무하는 임직원 및 방문객에게 건물 내 모든 디스플레이 기기(예를 들어, LCD 기기등) 및 IoT(Beacon 신호 활용) 서비스를 이용하여 현재의 재난 상황을 신속하게 전달하고 빠른 피난체제를 제공함으로써 순차적 피난구호를 위한 정보전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Particularly, the disaster management apparatus can promptly disrupt the current disaster situation by using all the display devices (for example, LCD devices, etc.) and IoT (beacon signal utilization) services to employees and visitors who work in buildings or buildings And provide a fast evacuation system to carry out information transfer function for sequential evacuation relief.

또한, 상기 재난 관리 장치는 건물에서 발생되는 상황을 실시간 감시하고 전용 앱을 통하여 모바일 기기를 소지하고 있는 관리자 및 임직원에게 신속하게 전달함으로써 재난의 사전예방과 신속한 대응체계를 구축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aster management device monitors real-time situations occurring in a building and provides the mobile device to a manager and an employee who are carrying the mobile device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thereby helping to prevent a disaster and establish a quick response system .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빌딩에 포함된 제어 영역을 효율적으로 관제(또는 제어)하기 위하여 설비 도면을 근거로 상기 제어 영역에 설치 또는 배치된 설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설비를 제어할 수 있다.In order to efficiently control (or control) the control area included in the building, the central control device may collect information on equipment installed or disposed in the control area based on the equipment drawing, and may control the equipment.

이를 위해,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설비 도면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설비에 대한 제어 처리 과정 또는 제어 처리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 또는 입출력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entral control unit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or an input / output screen capable of receiving a user input through the facility drawing and outputting a control processing process or a control processing result to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user input.

이는 설비 도면을 근거로 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직관적인 설비 관리를 하기 위함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영역은 건물 내지 빌딩 내에 포함된 제어 관심 영역 내지 제어 대상 영역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영역은, 상기 건물 내지 빌딩 내에 포함된 임의의 층일 수 있다.This may be for more efficient and intuitive facility management based on the plant drawings. The control area may be a control interest area or a control target area included in a building or a building. For example, the control area may be any layer included in the building or building.

여기서, 상기 건물 내지 빌딩은 제어 대상이 되는 건축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가, 편의점, 점포, 주택, 사무실, 오피스텔, 공장 건물 빌딩, 학원 또는 병원 건물 등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building or building means a building to be controlled, and may mean a shopping mall, a convenience store, a store, a house, an office, an office building, a factory building, a schoolhouse, or a hospital building.

상기 설비 제어 장치는, 상기 중앙 제어 장치와 상기 하나 이상의 설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중앙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관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The facility control device may execute a control program located between the central control device and the at least one facility and received from the central control device.

즉, 상기 설비제어장치는, 설비들을 제어하는 직접 제어기(Direct Digital Controller) 또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일 수 있다.That is, the facility control device may be a direct digital controller or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for controlling facilities.

또한, 상기 설비 제어 장치는, 상기 중앙관제서버와 서로 통신하여 정보를 교환하고, 상기 관제 프로그램 또는 상기 관제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함으로써 상기 설비들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communicates with the central control server to exchange information, and can control the facilities by receiving and executing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control program or the control program.

또한, 상기 설비 제어 장치는, 상기 설비들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장비 예를 들어 각각의 센서 및 조작 기기들에 설정된 관제점을 통해 건물 내 설비들의 제어출력 및 상태 변화 등과 같은 설비 관련 정보를 기록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cility control device may record facility-related information such as a control output and a state change of the in-building facilities through one or more equipment provided in the facilities, for example, a control point set in each sensor and a control device Can be stored.

상기 설비 제어 장치는, 예를 들어, 상기 관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설비 또는 장비를 제어 또는 감시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설비제어장치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중앙 제어 장치와 연결되어서, 필요한 정보를 서로 송수신한다. 그에 따라, 건물 내에 설치된 공조 및 기타 설비에 대한 각 관제점들을 감시 또는 제어하고, 상기 각 관제점들에 내장된 함수를 이용하여 설비 또는 장비의 입출력 신호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The facility control device may be, for example, a microcomputer that controls or monitors the facility or equipment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program. In other words, the facility control device is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and receives necessary information to each oth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onitor or control each control point for the air conditioner and other facilities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directly control the input / output signals of the facility or the equipment using the functions embedded in the control points.

구체적으로, 상기 설비 제어장치는, 상기 중앙 제어 장치와 상기 하나 이상의 설비사이에 연결되어서 관제 프로그램 또는 상기 관제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이를 실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acility control device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central control device and the at least one facility to receive and execute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control program or the control program.

그리고 상기 설비 제어 장치는 그 실행 결과를 상기 중앙 제어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관제 프로그램 또는 상기 관제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상기 설비제어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설비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관제 프로그램 또는 상기 관제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 명령에 따른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수단으로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And the facility control device may transmit the execution result to the central control device. To this end, the central control device transmits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control program or the control program to the facility control device, and receives from the facility control device the execution result according to the control program according to the control program or the control program And a communication unit may be provided as means for receiving.

Claims (2)

재난 관리 영역에 대하여 재난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재난 관리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센서로부터 복수의 감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복수의 감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 관리 영역 내에서 재난의 발생 여부 및 상기 재난의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재난이 발생한 경우, 상기 재난의 유형에 따라 상기 재난 관리 영역에 설치되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설비를 제어하여 상기 재난을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관리 장치.A disaster management apparatus that performs a disaster management function for a disaster management area, comprising: an interface unit for acquiring a plurality of pieces of detection data from a plurality of sensors;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disaster occurs in the disaster management area and the type of the disaster based on the plurality of pieces of detection data and, when the disaster occurs, setting a specific function installed in the disaster management area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isast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at least one facility to perform the disaster manag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관리 영역은,
건물, 빌딩, 점포, 상기 건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층, 상기 빌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층 또는 상기 점포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층에 해당하는 영역인 것인 재난 관리 장치
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disaster management area comprises:
Wherein the disaster management device is an area corresponding to a building, a building, a store, at least one layer included in the building, at least one layer included in the building, or at least one layer included in the store.
KR1020170043487A 2017-04-04 2017-04-04 Disaster management equipment and devices and disaster management methods KR2018011242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487A KR20180112423A (en) 2017-04-04 2017-04-04 Disaster management equipment and devices and disaster management metho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487A KR20180112423A (en) 2017-04-04 2017-04-04 Disaster management equipment and devices and disaster management meth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423A true KR20180112423A (en) 2018-10-12

Family

ID=63876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487A KR20180112423A (en) 2017-04-04 2017-04-04 Disaster management equipment and devices and disaster management metho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242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9406A (en) Apparatus for managing a disastear and method thereof
Cheng et al. BIM integrated smart monitoring technique for building fire prevention and disaster relief
KR101960162B1 (en) Building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Digital SOP and Prediction
KR101885720B1 (en) IOT base remote control system for building equipment available for control air quality of each indoor space
EP3150536B1 (en) Building management system integrated with elevator display
US11410534B2 (en) Fire protection system
CN110320835B (en) Building automatic control distributed system and method
KR20160035361A (en)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integrated action system
CN112288320A (en) Subway operation risk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WO2012069814A1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deploying engineers
KR101917805B1 (en)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power equipment construction site
KR101343589B1 (en) Facilities control system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KR101947100B1 (en)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power equipment construction site
KR20180112423A (en) Disaster management equipment and devices and disaster management methods
KR20180112951A (en)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CN104243908A (en) Hands-free user interface for security systems
JP2007228394A (en)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facility management method
KR20170024264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ilding environment
KR20170086584A (en) Facility management system
KR102059579B1 (en)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report of disaster occurrence
KR101998650B1 (en) Collect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report of disaster
JP2015192380A (en) Facility control system and monitoring device
KR20190048191A (en) 3D Implement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building integrated control
RU2678182C2 (en) System of ensuring aircraft operation
JP2021152814A (en) Disaster prevention support method, program, and disaster prevention support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