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0564A - Device for detecting offensive diriving - Google Patents

Device for detecting offensive diriv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0564A
KR20180110564A KR1020170065036A KR20170065036A KR20180110564A KR 20180110564 A KR20180110564 A KR 20180110564A KR 1020170065036 A KR1020170065036 A KR 1020170065036A KR 20170065036 A KR20170065036 A KR 20170065036A KR 20180110564 A KR20180110564 A KR 20180110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violation
detection
unit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50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17827B1 (en
Inventor
강성훈
최민석
김승주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80110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5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8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5Handover processes
    • B60W60/0051Handover processes from occupants to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30Driving sty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4Cruis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reckless driving detecting apparatus. The reckless driving detecting apparatus comprises: a behavior detecting unit, installed in a vehicle and detecting at least one among whether or not a traffic signal is violated, the centerline is invaded, a speed limit is violated, prohibition of crossing, U-turns, and reversing is violated, prohibition of a course change is violated, emergency braking is performed, overtaking is violated, a safe distance is violated, and horn occurs without a valid reason; and a reckless driving determining unit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vehicle driver performs reckless driving based on the detecting result of the behavior detecting unit.

Description

난폭 운전 탐지 장치{DEVICE FOR DETECTING OFFENSIVE DIRIVING}{DEVICE FOR DETECTING OFFENSIVE DIRIVING}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난폭 운전 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리 정해진 행위를 하는 차량 또는 운전자를 난폭 운전 차량 또는 난폭 운전자로 판단하여 주변 운전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교통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난폭 운전 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udder driving dete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udder driving detection device that determines a vehicle or a driver who performs a predetermined behavior as a rudder driving driver or a rudder driver, And a driving detection device.

최근 운전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 및 환경(기후, 재난 등) 변화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통지하고 운전자 주행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운전 중 차선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차선을 유지하는 기술을 비롯하여, 전방의 교통 신호를 감지하거나 신호등과의 통신을 통하여 신호 위반을 예방하고 보행자의 안전 등을 보장하는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기술을 활용하여 특정 상황에서 운전자에게 통지 및 경고하는 기술은 이미 상당히 연구가 진행된 상황이다. 하지만, 난폭 운전에 관해서는 그 심각성과 위험성에 비해 연구가 더딘 실정이다. 난폭 운전을 탐지하고 예방하는 기술은 운전자 및 보행자의 안전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대형 참사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보복 운전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Research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to notify the driver of changes in accidents and environments (climate, disaster, etc.) that may occur during the recent driving, and to switch from the driver driving mode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LLP) that detects traffic lanes in front of the vehicle and automatically maintains lanes while driving, prevents traffic violations by detecting traffic signals ahead, ) Technology to inform and warn the driver in certain situations has already been under considerable research.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severity and the risk of rudder driving. Techniques to detect and prevent abrupt driving can not only ensure the safety of drivers and pedestrians, but also prevent retaliatory driving which can cause large-scale disasters.

표 1은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기술을 예시하고 있다.Table 1 illustrate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technology.

기술 명칭Technical Name 상세 설명detailed description 차량 자동 항법 장치(In-vehicle navigation system)In-vehicle navigation system 일반적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TMC(Transportation Movement Control)를 이용하여 교통 상황을 업데이트 하는 장치Generally, a device that updates a traffic situation usin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TMC (Transportation Movement Control) 적응형 순향 제어 장치(Adaptive Cruise Control or Smart Cruise Control)Adaptive Cruise Control (Smart Cruise Control) 차량 전방에 장착된 레이더를 사용하여 앞차와의 간격을 적절하게 자동 유지하는 시스템Automatically maintains the distance from the front car automatically by using the radar mounted on the front of the vehicle 차선 유지 보조 장치(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or Lane Keeping Assist System)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Lane Keeping Assist System) LDWS는 방향 지시등을 켜지 않고 차선을 변경하는 경우를 감지하여, 해당 사항을 운전자에게 알려주고, 능동형 차량 안전 시스템을 동작시킨다.The LDWS senses when the lane changes without turning on the turn signal, notifies the driver of the situation and activates the active vehicle safety system. 사각지대 경고 장치(Lane Change Assistance or Blind Spot Detection)Lane Change Assistance or Blind Spot Detection 접근하는 자동차 그리고 사각지대에 위치한 자동차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장치로 사각지대에 있는 자동차 등을 인지하지 못하고 차선을 변경하거나 근접하는 자동차로 인해 사고위험이 감지되는 경우 미연에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It is a device that provides the driver with information about the car that is approaching and the car located in the blind spot. It prevents the accident when the accident risk is detected due to the car changing or approaching the lane without recognizing the car in the blind spot. Safety device 충돌 예방 장치(Collision Avoidance System or Precrash Safety System)Collision Avoidance System or Precrash Safety System 차량 여러 곳에 장착된 센서와 카메라에서 레이더나 초음파를 보내 전방의 거리와 장애물을 감지, 수집된 정보를 분석해 운전자에게 경고를 주거나 브레이크와 조향장치 등을 직접 제어Sensors and cameras mounted in various places in the vehicle send radar or ultrasonic waves to detect distances and obstacles ahead, analyze information collected, alert the driver, and control the brakes and steering devices directly 지능형 속도 적응 장치(Intelligent speed daaptation or intelligent speed advice)Intelligent speed adaptation (intelligent speed adaptation) 제한속도를 넘어서면 자동적으로 더 이상의 가속을 할 수 없도록 가속장치의 동작을 불능상태로 전환하는 시스템A system that disables the operation of the accelerator so that it can not be automatically accelerated beyond the limit speed 지능형 전조등 제어 장치(Adaptive Front Light Control)Intelligent Head Light Control (Adaptive Front Light Control) 변화하는 도로에 대해 최적의 시야를 제공하는 지능형 전조등Intelligent headlamps provide optimal visibility for changing roads 보행자 보호 장치(Pedestrain Protection System)Pedestrain Protection System 자동차가 보행자와 충돌 회피 또는 충돌 충격 감소를 위한 시스템System for automobile avoidance or collision impact with pedestrian 교통 표지판 인지 장치(Traffic Sign Recognition)Traffic Sign Recognition 전방의 교통 표지판을 인지Acknowledge traffic signs ahead 운전자 졸음 방지 장치(Driver Drowsiness Detection)Driver Drowsiness Detection (Driver Drowsiness Detection) 운전자 졸음방지기능은 차 내부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안면과 생리현상 관찰을 통해 운전자의 졸음 상태를 감지하고 경고하는 기능The driver's sleepiness prevention function detects and warns the driver's drowsiness by observing the driver's facial and physiological phenomena using the camera installed inside the car 차량 통신 장치(Vehicular Communication Systems)Vehicular Communication Systems V2V(Vehicle To Vehicle),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 지원 시스템V2V (Vehicle To Vehicle), V2I (Vehicle To Infrastructure), V2X (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 support system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0-0111481호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10-0111481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2-0063668호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2-0063668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6-0079473호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996-0079473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차량 또는 운전자의 행위에 기초하여 난폭 운전 여부를 탐지할 수 있는 난폭 운전 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brupt driving detection device capable of detecting abrupt driving based on a behavior of a vehicle or a driv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난폭 운전 탐지 장치는 차량에 설치되고, 신호 위반 여부, 중앙선 침범 여부, 과속 여부, 횡단, 유턴 및 후진 금지 위반 여부, 진로 변경 금지 위반 여부, 급제동 여부, 앞지르기 위반 여부, 안전 거리 미확보 여부, 및 정당한 사유 없는 경정 발생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탐지하는 행위 탐지부 및 상기 행위 탐지부의 탐지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 운전자의 난폭 운전 여부를 결정하는 난폭 운전 판단부를 포함한다.The apparatus for detecting abrupt driv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a signal is violated, whether it is a signal violation, a center line violation, a speeding violation, a crossing, a U-turn and a reverse violation violation, a career change prohibition violation, And a rudder driving judg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river of the vehicle is ridden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behavior detecting uni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난폭 운전 탐지 장치에 의할 경우, 난폭 운전을 탐지하고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 및 보행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apparatus for detecting abrupt driv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detect and prevent abrupt driving but also ensures the safety of the driver and the pedestrian.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난폭 운전 탐지 장치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행위 탐지부의 기능 블럭도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order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re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detecting abrupt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behavior detection unit shown in FIG.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herei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can take various forms, so that the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nam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The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ar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herei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in the relevant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Do not.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ttached 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난폭 운전 탐지 장치의 기능 블럭도이다.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detecting abrupt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난폭 운전 탐지 장치(10)는 센싱부(100), 행위 탐지부(300) 및 난폭운전 판단부(500)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난폭운전 탐지 장치(10)는 수신부(600), 송신부(700) 및 자율 주행부(90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난폭 운전 탐지 장치(10)는 차량에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abscissa driving detection apparatus 10 includes a sensing unit 100, a behavior detection unit 300, and an abrupt driving determination unit 500. The robber operation detecting apparatus 1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receiving unit 600, a transmitting unit 700, and an autonomous moving unit 900. [ Further, the rough driving detection device 10 may be installed in the vehicle.

센싱부(100)는 영상 촬영부(110), 레이더부(130) 및 초음파 센서부(1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촬영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차량의 전방 영상을 통해 교통 표지판, 차선 또는 보행자의 유무나 위치 등이 감지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mage sensing unit 110, a radar unit 130, and an ultrasonic sensor unit 150. The presence or position of a traffic sign, a lane or a pedestrian may be detected through a forward image of the vehicle outputted from the image photographing unit 110. [

레이더부(130)는 차량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전자파를 발생시킨 후 반사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전방에 위치한 앞차량과의 거리 및 앞차량의 속력(또는 속도)에 관한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The radar unit 130 may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vehicle. The radar unit 130 may generate information about the distance to the front vehicle located ahead of the vehicle and the speed (or speed) And the measurement result can be output.

초음파 센서부(150)는 복수의 초음파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초음파 센서들 각각으로부터 발생되어 반사된 초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근거리 또는 차량 주위의 다른 차량 유무나 장애물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The ultrasonic sensor unit 1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ultrasonic sensors. The ultrasonic sensor unit 150 may detect presence or absence of other vehicles or obstacles around the vehicle or around the vehicle by using the reflected ultrasonic signals generat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ultrasonic sensors have.

수신부(600)는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V2X(Vehicle to Everything) 또는 V2V(Vehicle to Vehicle) 통신을 통하여 차량에 근접한 신호등의 신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600)는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의 제한 속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The receiver 600 can receive signal information of a traffic light close to the vehicle through a Vehicle to Infrastructure (V2I), Vehicle to Everything (V2X), or Vehicle to Vehicle (V2V) communication. Also, the receiving unit 600 may receive the speed limit information of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traveling.

행위 탐지부(300)는 차량의 신호 위반 행위, 중앙선 침범 행위, 과속 행위, 횡단, 유턴 및 후진 금지 위반 행위, 진로 변경 금지 위반 행위, 급제동 행위, 앞지르기 위반 행위, 안전거리 미확보 행위, 및 정당한 사유없는 경적 발생 행위 중 적어도 하나의 행위를 탐지할 수 있다. 행위 탐지부(300)의 구체적인 동작에 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behavior detection unit 300 may detect a behavior of a vehicle such as a traffic signal violation, a center line invasion, a speeding, a crossing, a U-turn and a backward violation, a career change prohibition, a sudden braking, And at least one of the horn occurrence without any reason can be detected. The concrete operation of the behavior detection unit 300 will be described later.

난폭 운전 판단부(500)는 행위 탐지부(300)로부터 수신되는 탐지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 또는 차량 운전자의 난폭 운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난폭 운전 판단부(500)는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예컨대, 30초) 동안 행위 탐지부(300)에 의해 탐지된 행위가 미리 정해진 개수(예컨대, 2 개) 이상 이상일 경우, 난폭 운전 행위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abrupt drive judging unit 500 can judge whether the vehicle or the driver of the vehicle is running roughly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behavior detecting unit 300. [ For example, when the behavior detected by the behavior detection unit 30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number (for example, two)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or example, 30 seconds) Can be determined to have occurred.

송신부(700)는 V2I, V2X 또는 V2V 통신을 통하여 난폭 운전 판단부(500)에 의한 판단 결과를 별도의 서버 또는 인접 차량으로 송신할 수 있다. 해당 차량의 난폭 운전 여부(해당 차량의 위치, 차종, 차량의 색상, 차량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음)를 불특정 다수의 차량에게 송신함으로써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차량의 난폭 운전 여부를 유관 기관이 운영(위탁 운영을 포함)하는 별도의 서버로 송신함으로써 적절한 조치가 마련될 수 있다.The transmission unit 700 can transmit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abrupt drive determination unit 500 to the separate server or the adjacent vehicle through V2I, V2X, or V2V communication. A traffic acciden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by transmitting to an unspecified number of vehicles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running roughly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position, the type of the vehicle, the color o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number). In addition, appropriate measures can be taken by transmitt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to a separate server operated by the related organization (including commissioned operation).

자율 주행부(900)는 난폭 운전 판단부(500)로부터 판단 결과를 수신하고, 난폭 운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주행 모드를 운전자 주행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자율 주행부(900)는 알려진 자율 주행 기법을 이용하여 차량을 자율 주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 주행의 통제권을 강제변환함으로써 차량 운전자, 인접 차량의 운전자 및 보행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The autonomous drive unit 900 receives the determination result from the rough drive determination unit 500, and can convert the drive mode from the driver drive mode to the autonomous drive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amp operation has occurred. That is, the autonomous drive unit 900 can autonomously drive the vehicle using a known autonomous driving technique. Thus, by forcibly switching the control of the vehicle driving, it is possible to guarantee the safety of the driver of the vehicle, the driver and the pedestrian of the adjacent vehicl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행위 탐지부의 기능 블럭도이다.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behavior detection unit shown in FIG.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행위 탐지부(300)는 신호 위반 탐지부(310), 중앙선 침범 탐지부(320), 과속 탐지부(330), 횡단, 유턴 및 후진 금지 위반 탐지부(340), 진로 변경 금지 위반 탐지부(350), 급제동 탐지부(360), 앞지르기 위반 탐지부(370), 안전거리 미확보 탐지부(380) 및 경정 발생 탐지부(3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차량의 신호 위반 행위, 중앙선 침범 행위, 과속 행위, 횡단, 유턴 및 후진 금지 위반 행위, 진로 변경 금지 위반 행위, 급제동 행위, 앞지르기 위반 행위, 안전거리 미확보 행위 및 경정 발생 행위 중 적어도 하나의 행위를 탐지할 수 있다.1 and 2, the behavior detection unit 300 includes a signal violation detection unit 310, a center line invasion detection unit 320, an overspeed detection unit 330, a transit unit, a U-turn and a reverse prohibition violation detection unit 340 , A career change prohibition detection unit (350), a quick-braking operation detection unit (360), a pre-bailing violation detection unit (370), a safety distance uncertainty detection unit (380), and a calming occurrence detection unit , At least one of a traffic violation of a vehicle, a violation of a center line, a speeding, a transit, a violation of a U-turn or a backward violation, a violation of a career change prohibition, a sudden act, a violation of an antagonism, Can be detected.

이하에서는, 행위 탐지부(300)의 구체적인 동작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crete operation of the behavior detection unit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 신호 위반 행위1) Violation of signal

신호 위반 탐지부(310)는 영상 촬영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차량의 전방 영상으로부터 차량의 주행 중 신호등을 감지하고, 현재 점등된 신호등의 색을 감지하여 신호 위반 행위(또는 신호 위반 여부)를 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신호 위반 탐지부(310)는 감지된 신호등의 색이 적색임에도 불구하고 차량이 신호등을 지나친 경우 신호 위반 행위가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The signal violation detecting unit 310 detects a traffic light of the vehicle from the forward image of the vehicle outputted from the image capturing unit 110 and detects the color of the signal light that is currently lit to detect a signal violation (or signal violation) It can detect. For example, the signal violation detecting unit 310 may determine that a signal violation has occurred when the vehicle passes the traffic light even though the color of the detected signal is red.

다른 실시 예로, 신호 위반 탐지부(310)는 수신부(600)를 통해 수신된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신호 위반 행위를 탐지할 수도 있다. 예컨대, 신호 정보를 통해 판단된 전방의 신호등이 적색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위반하고 차량이 진입하였다면 신호 위반 행위가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이 신호등을 지나쳤는지 여부는 영상 촬영부(110)를 통해 출력되는 전방 영상, 차량의 주행 상태(즉, 차량의 속도) 또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는 별도의 GPS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ignal violation detection unit 310 may detect a signal violation based on the signal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reception unit 600. [ For example, even if the traffic light in the front determined by the signal information is red, it can be determined that a signal violation has occurred if the vehicle violates the traffic light and enters the vehicle. At this time, whether or not the vehicle passed the traffic light can be determined using the forward image output through the image capturing unit 110, the traveling state of the vehicle (that is, the speed of the vehicle), o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can be received from a separate GPS device.

2) 중앙선 침범 행위2) Center Line Infiltration Act

중앙선 침범 탐지부(320)는 차량이 감지된 중앙선을 침범하는 경우에 중앙선 침범 행위가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중앙선은 감지된 차선의 색을 기초로 판단될 수 있다. 즉, 감지된 차선이 황색인 경우 상기 차선을 중앙선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중앙선 침범 탐지부(320)는 중앙선을 감지한 후 차량이 이를 침범하는 경우에 중앙선 침범 행위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중앙선 침범 탐지부(320)는 차선 유지 보조 장치를 포함하거나 차선 유지 보조 장치 그 자체를 의미할 수도 있다.The center line invasion detection unit 320 may determine that a center line invasion has occurred when the center line that is detected by the vehicle is invaded. The center lin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color of the sensed lane. That is, when the detected lane is yellow, the lane can be determined as a center line. That is, the center line invasion detection unit 320 may determine that the center line invasion operation is performed when the vehicle senses the center line and the vehicle invades the center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enterline invasion detection unit 320 may include a lane-keeping assist device or may mean the lane-keeping assist device itself.

3) 과속 행위3) Speeding

과속 탐지부(330)는 차량의 주행 중에 영상 촬영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전방 영상 또는 별도의 영상 촬영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방 영상으로부터 교통 표지판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과속 탐지부(330)는 인지된 교통 표지판으로부터 차량이 주행 중인 구간의 제한 속도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과속 탐지부(330)는 차량이 주행 중인 구간의 제한 속도와 차량의 주행 속도를 비교하여 과속 행위를 탐지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주행 속도가 제한 속도보다 큰 경우를 과속 행위로 결정할 수 있다.The overspeed detecting unit 330 may recognize a traffic sign from a forward image output from the image capturing unit 110 or a forward image output from a separate image capturing unit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In addition, the overspeed detecting unit 330 can extract the speed limit of the section in which the vehicle is running from the recognized traffic sign. Then, the overspeed detecting unit 330 may detect the overspeed action by comparing the speed limit of the section in which the vehicle is running with the speed of the vehicle. That is, when the running speed of the vehicle is greater than the limit spee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vehicle speed is excessive.

다른 실시 예로, 과속 탐지부(330)는 수신부(600)로부터 주행 중인 도로의 제한 속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한 속도와 주행 속도를 비교하여 차량의 주행 속도가 제한 속도보다 큰 경우 과속 행위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주행 속도는 차량으로부터 수신되거나 별도의 gps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overspeed detecting unit 330 receives the limiting speed information of the road under driving from the receiving unit 600, compares the received limiting speed with the traveling speed, and when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is greater than the limiting speed, It can be judged. At this time,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may be received from the vehicle or measured using a separate gps device.

실시 예에 따라, 과속 탐지부(330)는 교통 표지판 인지 장치를 포함하거나 교통 표지판 인지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verspeed detection unit 330 may include a traffic sign recognition device or a traffic sign recognition device.

4) 횡단, 유턴 및 후진 금지 위반 행위4) Violation of crossing, U-turn and reverse prohibition

횡단, 유턴 및 후진 금지 위반 탐지부(340)는 차량의 주행 중에 영상 촬영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전방 영상 또는 별도의 영상 촬영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방 영상으로부터 신호등과 표지판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횡단, 유턴 및 후진 금지 위반 탐지부(340)는 감지된 신호등의 신호 정보, 표지판 정보 등을 기초로, 횡단, 유턴, 또는 후진이 금지되는 구간에서 차량이 차선을 변경한 경우 횡단, 유턴 및 후진 금지 위반 행위로 판단할 수 있다.The traverse, U-turn, and reverse prohibition violation detection unit 340 can detect a traffic light and a sign from a forward image output from the image capturing unit 110 or a forward image output from a separate image capturing unit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The traverse, turn-on and turn-back prohibition violation detecting unit 340 may detect traversal, U-turn, and backward prohibition violation detection unit 340 based on the signal information of the detected traffic lights, signboard information, And a reverse violation violation act.

다른 실시 예로, 횡단, 유턴 및 후진 금지 위반 탐지부(340)는 수신부(600)로부터 신호 정보, 교통 표지판 정보(예컨대, 횡단 금지, 유턴 금지 또는 후진 금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회당, 유턴 및 후진 금지 위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traversing, U-turn and reverse prohibition violation detecting unit 340 receives signal information, traffic sign information (for example, prohibition of traverse, prohibition of U-turn or prohibition of backwarding) from the receiving unit 600, The information can be used to judge whether or not it is in violation of the synod, U-turn, and backward ban.

5) 진로 변경 금지 위반 행위5) Violation of career change prohibition act

진로 변경 금지 위반 탐지부(350)는 진로 변경이 금지된 구간에서 차량이 차선을 변경한 경우 진로 변경 금지 위반 행위로 결정할 수 있다. 차선 변경 금지 구간은 점선이 아닌 실선인 차선을 감지함으로써 인지될 수 있다. 즉, 진로 변경 금지 위반 탐지부(350)는 주행 중에 차선을 감지하고, 차선이 실선임에도 불구하고 차선을 변경하는 행위가 탐지된 경우 진로 변경 금지 위반 행위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진로 변경 금지 위반 탐지부(350)는 차선 유지 보조 장치를 포함하거나 차선 유지 보조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영상 촬영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전방 영상을 이용하여 차선을 감지할 수도 있다.The course change prohibition violation detection unit 350 can determine that the course change prohibition violation is performed when the vehicle changes the lane in the section where the course change is prohibited. The lane change prohibited period can be recognized by detecting a lane which is a solid line instead of a dotted line. That is, the career change prohibition violation detecting unit 350 may detect a lane while driving, and may determine that it is a career change prohibition violation if an act of changing the lane is detected even though the lane is a solid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areer change prohibition violation detection unit 350 may include a lane-keeping assist device or may be implemented as a lane-keeping assist device, and may detect a lane using a forward image output from the image photographing unit 110 It is possible.

6) 급제동 행위6)

급제동 탐지부(360)는 차량이 주행 중 도로 주행 상황(긴급 상황 또는 사고 발생 등)에 적합하지 않는 급제동이 발생한 경우에 이를 급제동 행위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선행하는 앞차와의 간격이 미리 정해진 거리(또는, 주행 속도 또는 주행 중인 구간의 제한 속도에 대응하는 안전 거리) 이상인 경우 또는 앞차와의 간격 감소의 정도가 미리 정해진 정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임에도 불구하고 제동의 정도가 미리 정해진 정도를 초과하는 경우를 급제동 행위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선행하는 앞차와의 간격은 영상 촬영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전방 영상, 초음파 센서부(150), 적외선 센서 또는 레이더부(13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The rapid-motion detection unit 360 may determine that the rapid braking operation is performed when a sudden braking operation that is not suitable for a road running situation (such as an emergency or an accident) occurs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For example, when the distance from the preceding leading vehicl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or a safety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traveling speed or the limiting speed of the traveling section) or the degree of decrease in the distance from the leading vehicle does not exceed a predetermined degree It is possible to judge the sudden braking action when the degree of braking exceeds a predetermined level. At this time, the distance from the preceding vehicle ahead can be measured using the front image output from the image capturing unit 110, the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ultrasonic sensor unit 150, the infrared sensor, or the radar unit 130.

7) 앞지르기 위반 행위7) Preceding Violation

앞지르기 위반 탐지부(370)는 앞지르기 위반 행위를 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앞지르기 위반 탐지부(370)는 선행 차량과이 거리에 기초하여 앞지르기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의 앞지르기를 탐지한 경우 앞지르기의 방향에 기초하여 앞지르기 위반 여부를 탐지할 수 있다. 선행 차량, 측 앞차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보다 작게 유지되는 상태에서 차선이 변경되는 경우, 앞차와의 거리가 작아지면서 차선이 변경되는 경우에 앞지르기로 판단될 수 있으며, 이때 차선 변경 금지 구간(차선이 실선인 경우)에서 차선을 변경하였다면 앞지르기 위반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차선 변경 금지 구간에 해당하지는 않으나 우측으로 차선 변경이 이루어진 경우 앞지르기 위반으로 판단될 수 있다(다만, 좌측 통행을 원칙으로 하는 영국, 일본과 같은 국가에서는 상대되는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The leading edge violation detecting unit 370 can detect the leading edge violating action. More specifically, the predilection violation detection unit 370 can determine whether to advance or not based on the distance to the preceding vehicle, and can detect whether or not it is violating the forwarding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predilection when detecting the predilation of the vehicle. If the lane is changed while the distance between the preceding vehicle and the side ahead is kept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lane change prevention period If the lane is a solid line), it can be judged that it is a breach. In addition, if the lane change does not correspond to the lane change prohibition section, it can be judged that the lane change is violation. (However, in the case of the UK or Japan, it is possible to apply the relative standard.

8) 안전거리 미확보 행위8) Safety Distance Uncertainty Act

안전거리 미확보 탐지부(380)는 앞차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보다 작은 경우, 앞차와의 거리가 차량의 주행 속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안전 거리보다 작은 경우 또는 앞차와의 거리가 주행 중인 구간의 제한 속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안전 거리보다 작은 경우에 안전거리 미확보 행위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일시적으로 안전거리가 확보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안전거리 미확보 탐지부(380)는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 동안 지속적으로 안전거리가 확보되지 않은 경우를 안전거리 미확보 행위로 결정할 수도 있다.When the distance to the front vehicle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distance to the preceding vehicle is smaller than the safety distance determined based on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safety distance uncertainty action is smaller than the safety distance determined based on the speed limit. In addition, since the safety distance may not be temporarily secured, the safety distance uncertainty detector 380 may determine that the safety distance is not ensured continuously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s the safety distance uncertainty.

9) 정당한 사유 없는 경적 발생 여부9) Whether a horn occurs without justifiable reason

경적 발생 탐지부(390)는 정단한 사유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경적이 발생한 경우를 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경정 발생 탐지부(390)는 전방에 장애물(또는 보행자)이 감지된 경우, 인접한 차량이 감지된 경우 등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경적이 발생한 경우를 정당한 사유 없는 경정 발생으로 탐지할 수 있다. 이때, 경적의 발생 여부는 센싱부(100)에 포함되는 센서(예컨대, 음성 인식 센서, 소음 감지 센서 등) 또는 별도의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될 수 있다.The horn occurrence occurrence detecting unit 390 can detect the occurrence of a horn even though there is no reason why the horn occurred. For example, if the obstacle (pedestrian) is detected ahead of the obstacle (or a pedestrian), if the adjacent vehicle is not detected, the incidence detection unit 390 can detect the incidence of the incidence . At this time, the occurrence of the horn may be detected using a sensor (for example, a voice recognition sensor, a noise detection sensor, or the like)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100 or a separate sensor.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 난폭 운전 탐지 장치
100 : 센싱부
300 : 행위 탐지부
310 : 신호 위반 탐지부
320 : 중앙선 침범 탐지부
330 : 과속 탐지부
340 : 횡단, 유턴 및 후진 금지 위반 탐지부
350 : 진로 변경 금지 위반 탐비부
360 : 급제동 탐지부
370 : 앞지르기 위반 탐지부
380 : 안전거리 미확보 탐지부
390 : 경적 발생 탐지부
500 : 난폭 운전 판단부
600 : 수신부
700 : 송신부
10: Rogue driving detection device
100: sensing part
300:
310: signal violation detection unit
320: Center line penetration detection unit
330: overspeed detection unit
340: Transverse, U-turn and reverse prohibition violation detection unit
350: Violation of career change prohibition
360: Rapid braking detection unit
370: Preceding violation detection unit
380: Safety distance uncertainty detection unit
390: Horn occurrence occurrence detection unit
500:
600: Receiver
700:

Claims (12)

차량에 설치된 난폭 운전 탐지 장치에 있어서,
신호 위반 여부, 중앙선 침범 여부, 과속 여부, 횡단, 유턴 및 후진 금지 위반 여부, 진로 변경 금지 위반 여부, 급제동 여부, 앞지르기 위반 여부, 안전 거리 미확보 여부, 및 정당한 사유 없는 경정 발생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탐지하는 행위 탐지부; 및
상기 행위 탐지부의 탐지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 운전자의 난폭 운전 여부를 결정하는 난폭 운전 판단부를 포함하는,
난폭 운전 탐지 장치.
An apparatus for detecting abrupt driving which is installed in a vehicle,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whether it is a violation of a signal, whether it is a violation of the center line, whether it is speeding, whether it is crossing, whether it is forbidden for U-turn or backward violation, Detecting a behavior detecting unit; And
And an abrupt driving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river of the vehicle is abruptly driven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behavior detection unit.
Detection of abrupt driv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위 탐지부는,
상기 차량의 신호 위반 여부를 탐지하는 신호 위반 탐지부;
상기 차량의 중앙선 침범 여부를 탐지하는 중앙선 침범 탐지부;
상기 차량의 제한 속도 위반 행위를 탐지하는 과속 탐지부;
상기 차량의 횡단, 유턴 및 후진 금지 위반 여부를 탐지하는 횡단, 유턴 및 후진 금지 위반 탐지부;
상기 차량의 진로 변경 금지 위반 여부를 탐지하는 진로 변경 금지 위반 탐지부;
상기 차량의 급제동 여부를 탐지하는 급제동 탐지부;
상기 차량의 앞지르기 위반 여부를 탐지하는 앞지르기 위반 탐지부;
상기 차량의 안전거리 미확보 여부를 탐지하는 안전거리 미확보 탐지부; 및
상기 차량의 경적 발생 여부를 탐지하는 경적 발생 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난폭 운전 판단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 동안에 상기 행위 탐지부에 의한 탐지된 행위가 미리 정해진 개수 이상인 경우를 난폭 운전 행위로 결정하는,
난폭 운전 탐지 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signal viola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vehicle has a signal violation;
A center line invas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center line of the vehicle is invaded;
An overspeed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speed limit violation of the vehicle;
A traverse, a U-turn and a reverse prohibition viola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vehicle is traversed, U-turn, and reverse prohibition violation;
A career change prohibition viola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in violation of the career change prohibition;
A sudden braking mo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vehicle is suddenly braked;
A pre-burglary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has been tilted forward;
A safety distance uncertainty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safety distance of the vehicle is uncertain; And
And a horn occurrence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a horn of the vehicle has occurred,
Wherein the abrupt driving operation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e abrupt driving operation as a case where the detected behavior of the behavior detecting un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number during a predetermined time period,
Detection of abrupt driv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난폭 운전 탐지 장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위반 탐지부는 상기 센싱부에 포함된 영상 촬영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방 영상으로부터 신호등을 감지하고, 적색으로 감지된 신호등을 상기 차량이 지나친 경우 신호 위반 행위로 판단하는,
난폭 운전 탐지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brupt drive detection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ensing unit,
Wherein the signal violation detection unit detects a signal light from a front image output from the image sensing unit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and determines that a signal light,
Detection of abrupt driv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난폭 운전 탐지 장치는 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위반 탐지부는 상기 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신호 위반 행위를 탐지하는,
난폭 운전 탐지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brupt driving detection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receiving section for receiving signal information,
Wherein the signal violation detection unit detects a signal violation behavior of the vehicle based on signal information output from the reception unit,
Detection of abrupt driv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선 침범 탐지부는 상기 차량이 황색으로 탐지된 차선을 침범하는 행위를 중앙선 침범 행위로 탐지하는,
난폭 운전 탐지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enter line invasion detection unit detects an act of invading a lane in which the vehicle is detected as yellow as a center line invasion action,
Detection of abrupt driv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난폭 운전 탐지 장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과속 탐지부는 상기 센싱부에 포함된 영상 촬영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방 영상으로부터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구간의 제한 속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차량의 속도가 추출된 제한 속도보다 큰 경우를 과속 행위로 결정하는,
난폭 운전 탐지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brupt drive detection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ensing unit,
The overspeed detecting unit extracts the limit speed information of the section in which the vehicle is running from the forward image output from the image capturing unit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and determines that the speed of the vehicle is greater than the extracted limit speed doing,
Detection of abrupt driv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난폭 운전 탐지 장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횡단, 유턴 및 후진 금지 위반 탐지부는 상기 센싱부에 포함되는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전방 영상으로부터 추출되는 신호등의 신호 정보 및 표지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횡단, 유턴 및 후진 금지 위반 행위를 탐지하는,
난폭 운전 탐지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brupt drive detection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ensing unit,
The transit, turn-on and turn-back prohibition violation detection unit detects the traverse, the U-turn and the backward violation viol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ignal information and the sign information of the traffic light extracted from the forward image output from th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doing,
Detection of abrupt driv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로 변경 금지 위반 탐지부는 실선으로 감지된 차선을 상기 차량이 변경한 경우를 진로 변경 금지 위반 행위로 결정하는,
난폭 운전 탐지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oute change prohibition violation detec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changed by the vehicle,
Detection of abrupt driv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제동 탐지부는, 상기 차량을 선행하는 앞차와의 간격이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인 경우 또는 상기 앞차와의 간격 감소 정도가 미리 정해진 정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차량의 감속 정도가 미리 정해진 감속 정도를 초과하는 행위를 급제동 행위로 판단하는,
난폭 운전 탐지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udden braking operation detecting unit detects that the deceleration rate of the vehicle exceeds a predetermined deceleration rate in a case where the interval between the preceding vehicle ahead of the vehicle is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or the degree of decrease in distance from the preceding vehicle does not exceed a predetermined level (1) of the Act,
Detection of abrupt driv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앞지르기 위반 탐지부는, 상기 차량과 앞차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차량이 차선을 변경하는 경우를 앞지르기 행위로 판단하고, 상기 앞지르기 행위가 차선이 실선인 구간에서 발생하는 경우를 앞지르기 위반 행위로 판단하는,
난폭 운전 탐지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re-falsification violation detecting unit determines that the vehicle changes the lane in a stat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front vehicle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determines that the pre-firing action occurs in a section where the lane is a solid line If it is judged to be a violation of the precedent,
Detection of abrupt driv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거리 미확보 탐지부는 미리 정해진 제2 시간 구간 동안 앞차와의 간격이 안전 거리보다 작은 경우를 안전거리 미확보 행위로 결정하는,
난폭 운전 탐지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afety distance uncertainty detection unit may determin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preceding vehicle is less than the safety distance for a predetermined second time period as a safety distance uncertainty action,
Detection of abrupt driv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적 발생 탐지부는, 상기 차량의 전방에 장애물이 감지되지 않고 상기 차량에 인접한 차량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경적이 발생한 경우를 경정 발생 행위로 판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은 30초(seconds)이고, 상기 미리 정해진 개수는 2인,
난폭 운전 탐지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orn occurrence detecting unit determines that a horn occurs when the horn from the vehicle is not detected in a state in which an obstacle is not detected in front o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adjacent to the vehicle is not detected,
Wherein the predetermined time period is 30 seconds and the predetermined number is 2,
Detection of abrupt driving.
KR1020170065036A 2017-03-27 2017-05-26 Device for detecting offensive diriving KR10191782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615 2017-03-27
KR20170038615 2017-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564A true KR20180110564A (en) 2018-10-10
KR101917827B1 KR101917827B1 (en) 2019-01-30

Family

ID=63876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5036A KR101917827B1 (en) 2017-03-27 2017-05-26 Device for detecting offensive diriv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82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26311A (en) * 2019-01-17 2020-08-11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Method and system for judging driving user behavior,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230033146A (en) * 2021-08-30 2023-03-08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Illegal vehicle reporting system for self driving cars
GB2621601A (en) * 2022-08-17 2024-02-21 Continental Automotive Tech Gmbh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on of the driving of a driver operating a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946B1 (en) 2021-02-09 2023-07-06 김기영 Detection system for preventing violent driving
KR102366199B1 (en) * 2021-04-22 2022-02-23 (주)에이아이매틱스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u-turn of a vehicle in a prohibited area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9134A (en) * 1995-01-26 1996-08-17 김태구 Overspeed warning device and warning method for each driving road
KR970038007A (en) * 1995-12-28 1997-07-24 김태구 Vehicle Object Detection Device
KR19980036554U (en) * 1996-12-16 1998-09-15 양재신 Central line invasion alarm of car
KR19980060123A (en)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Warning device and method
KR20000033436A (en) * 1998-11-23 2000-06-15 홍종만 Device of vehicle alarm for signal violation and control method
KR20020063668A (en) 2001-01-30 2002-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Optical pickup using a laser diode having multi wavelength sources
KR20070103149A (en) * 2006-04-18 2007-10-2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Safety distance preservation system and method between vehicles
KR20100064011A (en) * 2008-12-04 2010-06-14 주식회사 케이티 Regulation system of illegal u-turn vehicles and method thereof
KR20100111481A (en) 2009-04-07 2010-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40030687A (en) * 2012-09-03 2014-03-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Quick braking warning method and apparatus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9134A (en) * 1995-01-26 1996-08-17 김태구 Overspeed warning device and warning method for each driving road
KR970038007A (en) * 1995-12-28 1997-07-24 김태구 Vehicle Object Detection Device
KR19980036554U (en) * 1996-12-16 1998-09-15 양재신 Central line invasion alarm of car
KR19980060123A (en)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Warning device and method
KR20000033436A (en) * 1998-11-23 2000-06-15 홍종만 Device of vehicle alarm for signal violation and control method
KR20020063668A (en) 2001-01-30 2002-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Optical pickup using a laser diode having multi wavelength sources
KR20070103149A (en) * 2006-04-18 2007-10-2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Safety distance preservation system and method between vehicles
KR20100064011A (en) * 2008-12-04 2010-06-14 주식회사 케이티 Regulation system of illegal u-turn vehicles and method thereof
KR20100111481A (en) 2009-04-07 2010-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40030687A (en) * 2012-09-03 2014-03-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Quick braking warning method and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26311A (en) * 2019-01-17 2020-08-11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Method and system for judging driving user behavior,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230033146A (en) * 2021-08-30 2023-03-08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Illegal vehicle reporting system for self driving cars
GB2621601A (en) * 2022-08-17 2024-02-21 Continental Automotive Tech Gmbh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on of the driving of a driver operating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827B1 (en) 201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72615B2 (en) Vehicular control system
US9896094B2 (en) Collision avoidanc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KR101917827B1 (en) Device for detecting offensive diriving
EP2363846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ision warning
US9910443B1 (en) Driv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nomous vehicle
JP5345350B2 (en) Vehicle driving support device
US11410556B2 (en) Vehicle front blind spot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US8362922B2 (en) Intersection driving support apparatus
CN106233159B (en) False alarm reduction using location data
US20180173236A1 (en) Vehicle control system, vehicle control method, and vehicle control program
JP4684960B2 (en) Vehicle collision prevention support system
KR10183039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risk of collision using the v2v communication
CN110329250A (en) Method for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at least two automobiles
KR101442702B1 (en) Method for vehicles change lanes and turn lanes at the crash protection system
KR20210083459A (en)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KR102408746B1 (en) Collision risk reduction apparatus and method
JP4235090B2 (en) Vehicle travel support device
EP2279889B1 (en) Method and system for shoulder departure assistance in an automotive vehicle
JP7213265B2 (en) vehicle control system
KR101350306B1 (en) Vehicle collision avoidance apparatus
CN116863732A (en) Lane-changing blind area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Bluetooth headset helm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