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1958A - Pipe carry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ipe carry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1958A
KR20180101958A KR1020170028559A KR20170028559A KR20180101958A KR 20180101958 A KR20180101958 A KR 20180101958A KR 1020170028559 A KR1020170028559 A KR 1020170028559A KR 20170028559 A KR20170028559 A KR 20170028559A KR 20180101958 A KR20180101958 A KR 20180101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vertical
hole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5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병예
Original Assignee
윤병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예 filed Critical 윤병예
Priority to KR1020170028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1958A/en
Publication of KR20180101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95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2Platforms, i.e. load supporting devices without provision for handling by a forkli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776Accessories for manipulating the pallet
    • B65D2519/00786Accessories for manipulating the pallet for lifting, e.g. hooks, lo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1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loading and carrying apparatus, wherein pipes are stacked on two pipe support frames disposed on front and rear sides, and the two pipe support frames are lifted with the pipes by a crane, such that horizontal movement of the pipes is prevented during lifting of the pipes to prevent a fall accident of the pip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pe loading and carrying apparatus comprises: the two pipe support frames including lower support pipes dispos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with an interval and elong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both side vertical pipes vertically installed on both sides, wherein a wire through-hole is formed at facing positions in both the side vertical pipes; a fixing wire having a hook part formed on both ends and penetrating the wire through-hole formed in both the side vertical pipes of the pipe support frame to allow the hook parts of both the ends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each vertical pipe; and a hook part fixing means disposed outside each vertical pipe of each pipe support frame to fix the hook part formed on an end part of the pipe fixing wire to be able to be separated.

Description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Pipe carrying apparatus}[0001] PIPE CARRYING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후방에 배치되는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에 파이프들을 적층하여 파이프들과 함께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를 크레인으로 함께 인상함으로써, 파이프들의 인상 도중에 파이프들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이프들의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mounted transpor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pe-mounted transport apparatus in which pipes are stacked on two pipe supporting frames arranged forward and rearward, Thereby preventing the pipes from flowing to the left and right in the middle, thereby preventing the pipes from falling down.

일반적으로 건축 현장에서 가설 기둥이나 동바리 등의 파이프들을 고층으로 운반할 경우에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운반하였다.Generally, in case of transporting pipes such as temporary columns or tall buildings to a high-rise building in a construction site, they are transported by using a crane.

그리고 종래에 크레인을 이용하여 파이프들을 고층으로 운반할 경우에는 크레인 벨트로 파이프들의 중간을 감아 묶은 상태에서, 크레인 벨트를 크레인으로 인상하여 고층으로 운반하였다. Conventionally, when a pipe is transported to a high-rise building using a crane, a crane belt is wound around the middle of the pipe, and the crane belt is lifted by a crane and transported to a high-rise building.

그런데 상기와 같이 크레인 벨트를 파이프들에 감아 인상하여 운반할 경우에는, 파이프의 묶은 크레인 벨트의 묶음이 느슨해져 파이프가 추락하는 대형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when the crane belt is rolled up and rolled up on the pipes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a bundle of the crane band of the pipe is loosened and a large accident occurs in which the pipe falls.

또한, 종래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파이프들을 고층으로 운반할 경우에는 파이들을 파레트의 올려놓은 상태에서 파레트와 파이프를 크레인 벨트로 결속한 다음, 파이프와 파레트를 함께 묶은 크레인 벨트를 크레인으로 인상하여 고층으로 운반하였다. Also, when transporting pipes to a high-rise building using a conventional crane, the pallets and the pipe are fastened to the crane belt with the pallets on the floor, and then the crane belt fastened together with the pipe and the pallet are lifted by the crane, Respectively.

그런데 상기와 같이 파레트를 이용하여 파이프들을 고층으로 운반하는 과정에서도 크레인 벨트의 묶음이 느슨해져 파이프가 좌우로 유동됨으로써, 파이프가 추락하는 대형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the bundle of the crane belt is loosened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the pipes to the high-rise by using the pallet as described above, and the pipes are caused to flow to the left and right.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09-0008350호 "파이프용 파렛트"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9-0008350 "Pallet for Pip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본 발명의 목적은, 전,후방에 배치되고 양측 수직관을 포함하는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에 파이프들을 적층하여 파이프들과 함께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를 크레인으로 함께 인상함으로써, 파이프들의 인상 도중에 파이프들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이프들의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pe supporting structure in which pipes are stacked on two pipe support frames arranged on both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including two side vertical pipes and the two pipe supporting frames together with the pipes are lifted together by a crane, Thereby preventing the pipe from flowing down to the left and right, thereby preventing the pipe from falling dow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후방에 배치되는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의 하부에 적층되는 파이프들을 파이프 고정와이어를 통해 파이프 지지골조의 하부에 결속한 다음, 하부에 적층된 파이프들의 상부에 파이프들을 적층함으로써, 하부에 적층된 파이프들의 좌우 유동을 좀 더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ind pipes stacked on the lower part of the two pipe supporting frames arranged on the front and on the rear side to the lower part of the pipe supporting frame through the pipe fixing wire, So as to prevent lateral flow of the pipes stacked on the lower part by stacking the pipe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이프 지지골조의 하부 받침관 양측에 고정되는 수직관을 좀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pe-mounted transport apparatus that can more firmly fix a vertical pipe fixed to both sides of a lower support pipe of a pipe support fram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에 적층된 파이프들을 결속하는 파이프 고정와이어의 양단부에 형성된 고리부를 용이하게 고정하고,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pe stacking and conveying apparatus which can easily fix and easily detach an annular portion formed at both ends of a pipe fixing wire for binding pipes stacked thereund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는 전,후방에 사이 간격으로 두고 배치되고, 각각이 좌우 방향으로 긴 하부 받침관과 하부 받침관과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양측 수직관을 포함하고, 각각에 구비된 양측 수직관에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와이어 관통홀이 형성되는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와; 양단에 고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의 양측 수직관에 형성된 와이어 관통홀에 관통되어 양단의 고리부가 각 수직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파이프 고정와이어와; 각각의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의 각 수직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 고정와이어의 단부에 형성된 고리부를 이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리부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ipe-mounted transport apparatus, comprising: a lower pipe which is long and lo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A pair of pipe supporting frames each including a pair of vertical pipes and having wire through holes formed in opposite sides of the vertical pipe; A pipe fixing wire formed at both ends thereof with a ring portion and penetrating through a wire through hol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pipe support frame and having ring portions at both ends protruding outward from the respective orthogonal pipes; And hook fixing mean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each vertical pipe of each pipe supporting frame to detachably fix the hook formed at the end of the pipe fixing wi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의 상기 하부 받침관은 양측이 개방된 사각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받침관의 양측에 구비되는 각각의 상기 수직관은 하부가 개방된 사각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관은 하부 받침관의 측부에 보강 연결수단을 통해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lower supporting pipe of the "pipe-mounted carry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by a rectangular pipe having both sides opened, and each of the vertical pip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pporting pipe is a rectangular pipe And the vertical tube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lower supporting tube through reinforcing connecting mean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의 상기 보강 연결수단은 상기 하부 받침관에 측부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브래킷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수평 고정브래킷과, 상기 수직관의 하부에서 내부로 삽입되는 수직 고정브래킷과,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과 수직 고정브래킷을 일체로 연결 고정하는 연결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reinforcing connection means of the "pipe-mounted trans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rizontal fixing bracket inserted into the lower supporting tube from the side portion thereof and fixed by the bracket fixing means, A vertical fixing bracket, and a connection fixing means for integrally connecting and fixing the horizontal fixing bracket and the vertical fixing bracke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의 상기 고리부 고정수단은 상기 고리부에 상부에서 하부로 이탈 가능하게 관통되고 상부에는 머리부가 구비되는 고정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ing fixing means of the "pipe-mounted trans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by a fixing shaft which is detachably passed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of the ring part and has a head part at the upper pa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의 상기 고리부 고정수단은 상기 와이어 관통홀의 상부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고정축이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고정축의 머리부가 밀착되는 수평판과, 상기 고정축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고정축이 상기 관통홀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ring fixing means of the "pipe mounting and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horizontall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ire through hole and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ixing shaft passes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And a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xed shaft to prevent the fixing shaft from being removed from the through hol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전,후방에 배치되고 양측 수직관을 포함하는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에 파이프들을 적층하여 파이프들과 함께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를 크레인으로 함께 인상함으로써, 파이프들의 인상 도중에 파이프들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이프들의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성이 확보된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pes are stacked on two pipe supporting frames arrang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both sides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o raise the two pipe supporting frames together with the pipes,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ipe-mounted transporting device which can prevent the pipes from flowing to the left and right in the middle, thereby preventing a falling accident of the pipes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은, 전,후방에 배치되는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의 하부에 적층되는 파이프들을 파이프 고정와이어를 통해 파이프 지지골조의 하부에 결속한 다음, 하부에 적층된 파이프들의 상부에 파이프들을 적층함으로써, 하부에 적층된 파이프들의 좌우 유동을 좀 더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pes stacked on the lower part of the two pipe supporting frames arranged on the front and the rear ar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pipe supporting frame through the pipe fixing wire, Thus, it is possible to further prevent lateral flow of the pipes stacked on the lower part.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 지지골조의 하부 받침관 양측에 고정되는 수직관을 좀 더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파이프의 인상 도중에 각각의 파이프 지지골조의 수직관이 이탈되어 파이프가 추락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ertical pipes fix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supporting pipe of the pipe supporting frame are more firmly fixed, the vertical pipe of each pipe supporting frame is released during the lifting of the pipe, There is also an effect to prevent.

또한, 본 발명은, 하부에 적층된 파이프들을 결속하는 파이프 고정와이어의 양단부에 형성된 고리부를 용이하게 고정하고,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이프의 적재 및 하역시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oviding an easy-to-use facility for loading and unloading a pipe by easily fixing and releasing an annular portion formed at both ends of a pipe fixing wire for binding pipes stacked thereunder There is als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파이프 지지골조를 나타낸 분해시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리부 고정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고정축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b는 고정축이 하강되어 고리부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c는 도 5b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재 운반수단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 내부의 하부에 파이프들을 적층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b는 두 개의 파이프 고정와이어를 하부에 적층된 파이프들을 결속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6c는 하부에 적층된 파이프들의 상부에 파이프들을 적층하고 파이프들을 크레인 벨트로 결속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리부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요부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파이프 밸트 고정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도 8a는 요부 사시도이고,
도 8b는 사용 상태도를 나타내며,
도 8c는 도 8b의 D부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파이프 밸트 고정수단을 구성하는 벨트 긴장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9a는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E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재 운반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0a는 사시도이며,
도 10b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c는 요부 확대 분해사시도이며,
도 10d는 도 10a의 F-F선 단면도이고,
도 10e는 양측의 수직대가 접힌 상태를 다타낸 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e stacking and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 supporting frame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xing mean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a ring fixing mean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ed shaft is raised,
5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shaft is lowered to fix the claw portion,
5C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5B.
FIG. 6 is a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pipe stacking and convey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pipes are stacked in a lower portion of two pipe supporting frames, FIG.
FIG. 6B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wo pipe fixing wires are coupled to pipes stacked on the lower side,
6C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pipes are stacked on top of the pipes stacked on the lower side and the pipes are bound by a crane belt.
Fig. 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loop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7A is a perspective view,
7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7A.
Fig. 8 shows a pipe belt fixing mean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8A is a rear perspective view,
Fig. 8B shows a state of use,
8C is an enlarged view of part D of Fig. 8B.
9 shows another embodiment of belt tension means constituting the pipe belt fasten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9A is a perspective view,
FIG. 9B is a view seen from FIG. 9A.
FIG. 10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ipe stacking and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A is a perspective view,
10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ig. 10C is a perspective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10D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FF of Fig. 10A,
FIG. 10E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lded state of vertical sides on both side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파이프 지지골조를 나타낸 분해시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리부 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재 운반수단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mounted trans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attempt of decomposition showing a pipe supporting frame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FIG. 5 is a view showing a ring fixing mean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pipe stacking and convey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는 건축 현장에서 사용되는 가설 기둥이나 동바리 등(이하, 총칭하여 "파이프"라 한다.)의 파이프(P)들을 크레인을 통해 2층 이상으로 안전하게 운반하는 장치이다.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pipe loading and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piping system in which pipes (P) of a hypothetical column or a tall building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pipe" To securely carry the device.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는 전,후방에 사이 간격으로 두고 배치되고 양측에는 수직관(12)이 구비되어 내부에 파이프(P)들이 종방향으로 적층되는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1)와, 양단에 고리부(21)가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의 양측 수직관(12)에 양단의 고리부(21)가 관통되는 파이프 고정와이어(2)와, 각각의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의 수직관(12)의 외측에 구비되는 고리부 고정수단(3)을 포함한다.The pipe-mounted trans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wo pipe supporting frames 1, which are disposed at front and rear sides with spacing therebetween and are provided with vertical pipes 12 on both sides thereof, A pipe fixing wire 2 formed with rings 21 at both ends thereof and through which both ends of the pipe 21 pass through the vertical pipe 12 on both sides of the pipe supporting frame 1, And an annular fixing means 3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vertical tube 12 of the frame 1.

두 개의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는 전,후방에 사이 간격으로 두고 배치되는 것으로, 각각이 좌우 방향으로 긴 하부 받침관(11)과 하부 받침관(11)과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양측 수직관(12)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각에 구비된 양측 수직관(12)에는 상기 파이프 고정와이어(2)의 양측이 관통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와이어 관통홀(14)이 형성되는 것이다. The two pipe supporting frames 1 are arranged at intervals between the front and rear sides. Each of the two pipe supporting frames 1 has a lower supporting pipe 11 and a lower supporting pipe 11 which are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n intro- duction pipe (12). The through-holes 14 are formed at the opposite sides of the pipe-fixing wire 2 so that both sides of the pipe-fixing wire 2 can pass through.

상기 하부 받침관(11)은 양측이 개방된 사각관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받침관(11)은 충분한 받침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내구성이 강한 금속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철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wer supporting pipe (11) is constituted by a rectangular pipe which is open on both sides. In order to maintain a sufficient supporting strength, the lower supporting tube 11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high durability, and more preferably, it is made of a steel material.

상기 하부 받침관(11)의 양측에 구비되는 각각의 상기 수직관(12)은 하부가 개방된 사각관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지관(12)은 적층된 파이프(P)들의 양 측부를 충분한 강도로 지지할 수 있도록, 내구성이 강한 금속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철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Each of the vertical tubes (12)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pporting tube (11) is constituted by a rectangular tube whose bottom is opened. The resin pipe 12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high durability and more preferably made of a steel material so that both side portions of the stacked pipes P can be supported with sufficient strength.

상기 수직관(12)은 하부 받침관(11)의 측부에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보강 연결수단(13)을 통해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관통홀(14)은 하부에 적층되는 파이프(P)들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관의 상하 길이 방향의 중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관통홀(14)은 상기 파이프 고정와이어(2)의 고리부(21)를 수평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수평 장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vertical tube 12 is integrally connected through reinforcing connecting means 13 so as to be firmly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lower supporting tube 11. [ The wire through holes 14 are preferably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vertical pi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firmly fix the pipes P stacked thereunder. The wire through hole 14 is preferably formed as a horizontal slot so that the annular portion 21 of the pipe fixing wire 2 can be inserted horizontally.

또한, 상기 보강 연결수단(13)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관(12)을 하부 받침관(11)의 측부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받침관(11)에 측부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브래킷 고정수단(132)으로 고정되는 수평 고정브래킷(131)과, 상기 수직관(12)의 하부에서 내부로 삽입되는 수직 고정브래킷(133)과,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131)과 수직 고정브래킷(133)을 일체로 연결 고정하는 연결 고정수단(134)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and 3, the reinforcing connection means 13 is formed in the lower support pipe 11 (see FIG. 2) so as to firmly fix the vertical pipe 12 to the side of the lower support pipe 11, A horizontal fixing bracket 131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horizontal fixing bracket 131 from the side to be fixed to the bracket fixing means 132, a vertical fixing bracket 133 which is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vertical tube 12, And a connection fixing means 134 integrally connecting the fixing bracket 131 and the vertical fixing bracket 133 to each other.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131)은 하부 받침관(11)의 내부 측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받침관(11)의 상판 하면에 밀착되는 상판(131a)과, 상기 받침 사각관의 하판의 상면에 밀착되는 하판(131b)과, 상기 상판(131a)과 하판(131b)의 내측 단부에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 보강판(131c)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orizontal fixing bracket 131 includes an upper plate 131a closely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of the lower supporting tube 11 so as to be inserted into an inner side of the lower supporting tube 11, And a vertical reinforcing plate 131c which is integrally formed by being bent at an inner end of the upper plate 131a and the lower plate 131b.

상기 수직 고정브래킷(133)은 수직관(12)의 내부 하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관(12)의 내측판의 내면에 밀착되는 수직판(133a)과, 수직판(133a)의 전,후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직관(12)의 전,후판의 내면에 밀착되는 전,후판(133b)(133c)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vertical fixing bracket 133 includes a vertical plate 133a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plate of the vertical tube 12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tube 12, And front and rear plates 133b and 133c which are bent outward from the rear end and closely contacted with the inner surfaces of the front and rear plates of the vertical tube 12, respectively.

상기 연결 고정수단(134)은 수평 고정브래킷(131)과 수직 고정브래킷(132)을 더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131)의 상판(131a)과 하판(131b)의 외측 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 돌출부(134a)와, 상기 수직관(12)의 내측판과 상기 수직판(133a)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돌출부(134a)가 관통되어 조립되는 연결장홀(134b)과, 상기 연결장홀(134b)과 연결 돌출부(134a)를 일체로 연결하는 용접부(134c)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용접부(134c)는 수직판(133a)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fixing means 134 is provided at the outer end of the upper plate 131a and the lower plate 131b of the horizontal fixing bracket 131 so that the horizontal fixing bracket 131 and the vertical fixing bracket 132 can be more firmly connected. And a connecting elongated hole 134b formed in the inner plate of the vertical tube 12 and the vertical plate 133a to be assembled with the connecting protrusion 134a through the elongated hole 134a, And a welding portion 134c for integrally connecting the connecting elongated hole 134b and the connecting protrusion 134a. It is preferable that the welded portion 134c is provided outside the vertical plate 133a.

상기 수직관(12)에 형성된 연결장홀(134b)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수직관(12)과 수직 고정브래킷(133)을 좀 더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수직홈(135)이 더 형성되고, 상기 수직홈(135)과 수직판(133a)의 사이에는 수직홈(135)의 둘레와 수직판(133a)의 내면을 서로 연결하는 용접부(136)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Vertical grooves 135 are further formed i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hole 134b formed in the vertical tube 12 so as to more firmly connect the vertical tube 12 and the vertical fixing bracket 133, It is preferable that a weld portion 136 is provided between the vertical groove 135 and the vertical plate 133a to connect the periphery of the vertical groove 135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133a with each other.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131)의 상판(131a)의 전,후방 단부에는 하부로 수직 절곡되어 하부 받침관(11)의 전,후판의 내면에 밀착되는 보강 절곡부(131d)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131)의 하판(131b)의 전,후방 단부에는 상부로 수직 절곡되어 하부 받침관(11)의 전,후판의 내면에 밀착되는 보강 절곡부(131d)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131)의 수직 보강판(131c)의 전,후방 단부에는 외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하부 받침관(11)의 전,후판의 내면에 밀착되는 보강 절곡부(131d)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131)에 형성된 다수의 보강 절곡부(131d)가 상기 하부 받침관(11)의 전,후판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수직관(12)의 전후방 유동이 방지되는 것이다.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upper plate 131a of the horizontal fixing bracket 131 may be further formed with reinforcing bends 131d that are vertically bent downward and closely contacted with the inner surfaces of the front and rear plates of the lower receiving tube 11 And a reinforcing bending portion 131d is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lower plate 131b of the horizontal fixing bracket 131 so as to be vertically bent upwardly and closely contacted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front and rear plates of the lower supporting tube 11 A reinforcing bending portion 131d which is vertically bent outwardly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and rear plates of the lower supporting tube 11 is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vertical reinforcing plate 131c of the horizontal fixing bracket 131, Is further formed. Therefore,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ends 131d formed on the horizontal fixing bracket 131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s of the front and rear plates of the lower supporting tube 11, thereby preventing the vertical tube 12 from flowing forward and backward.

상기 하부 받침관(11)의 상판 양측에는 하부 받침관(11)의 상부 양측을 보강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긴 보강 함몰홈(G)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 받침관(11)의 하판 양측에는 하부 받침관(11)의 하부 양측을 보강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긴 보강 함몰홈(G)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longitudinal reinforcing recess G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late of the lower supporting tube 11 so as to reinforce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ing tube 11. Further, on both sides of the lower plate of the lower supporting tube 11, a longitudinal reinforcing recess G may be further formed so as to reinforce both lower sides of the lower supporting tube 11

특히,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131)을 하부 받침관(11)의 측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3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받침관(11)의 양측 상,하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132a)과, 상기 관통홀(132a)과 수평 고정브래킷(131)의 상판(131a)의 상면 및 하판(131b)의 하면을 서로 연결하는 용접부(132b)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관통홀(132a)들과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131)의 상,하판(131a)(131b)을 용접부(132b)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적층된 파이프(P)를 인상하는 과정에서 수직관(12)이 이탈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3, the fixing means 132 for fixing the horizontal fixing bracket 131 to the side of the lower supporting tube 11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pporting tube 11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2a and a weld 132b connecting upper surfaces of the upper plate 131a of the through hole 132a and the lower plate 131b of the horizontal fixing bracket 131 to each other.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firmly fixes the through-holes 132a and the upper and lower plates 131a and 131b of the horizontal fixing bracket 131 through the welds 132b,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in which the vertical tube 12 is disengaged in the course of the operation.

또한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131)을 하부 받침관(11)의 측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3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받침관(11)의 양측 상,하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132c)과,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131)의 상,하판(131a)(131b)에 상기 관통홀(132c)과 상응되게 형성된 다수의 고정홀(132d)과, 상기 서로 일치되는 위치에 형성된 관통홀(132c)과 고정홀(132d)에 관통 고정되는 다수의 리벳(132e)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부 받침관(11)과 수평 고정브래킷(131)을 리벳(132e)으로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적층된 파이프(P)들을 인상하는 과정에서 수직관(12)이 이탈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4, fixing means 132 for fixing the horizontal fixing bracket 131 to the side of the lower supporting tube 11 include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13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pporting tube 11, A plurality of fixing holes 132d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lates 131a and 131b of the horizontal fixing bracket 131 so as to correspond to the through holes 132c, And a plurality of rivets 132e fixed to the fixing holes 132d through the through holes 132c.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ly fix the lower supporting pipe 11 and the horizontal fixing bracket 131 by the rivets 132e, thereby preventing the accident that the vertical pipe 12 is detached in the course of pulling up the stacked pipes P I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즉, 본 발명은 상기 하부 받침관(11) 양측에 고정되는 수직관(12)을 용접이나 리벳(132e)으로 견고하게 연결 고정함으로써, 파이프(P)의 인상 도중에 각각의 파이프 지지골조(1)의 수직관(12)이 이탈되어 파이프(P)가 추락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pipe 12 fix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supporting pipe 11 is firmly fixed to the pipe supporting frame 1 by welding or rivets 132e, The pipe P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ccidentally collapsed.

또한, 상기 파이프 고정와이어(2)는 도 1,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고리부(21)가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의 양측 수직관(12)에 형성된 와이어 관통홀(14)에 관통되어 양단의 고리부(21)가 각 수직관(12)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장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파이프 고정와이어(2)는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1) 내부의 하부에 적층되는 파이프(P)들의 상부를 수평으로 결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1, 2 and 5, a ring 21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pipe fixing wire 2. The pipe fixing wire 2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pipe supporting wire 2, Through holes (14), and ring portions (21) at both ends are mounted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each of the vertical tubes (12). The pipe fixing wire 2 thus constructed serves to horizontally bind the upper portions of the pipes P stacked in the lower part of the inside of the two pipe supporting frames 1. [

상기 고리부(21)는 중앙이 수직으로 관통되게 링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양단에 고리부(21)가 형성된 파이프 고정와이어(2)는 하부에 적층되는 파이프(P)들의 상부를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내구성이 강한 철재 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annular portion 2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ing so that the center thereof penetrates vertically. The pipe fixing wire (2) having the hooks (21) at both ends thereof is preferably made of steel wire having high durability so as to firmly bind the upper part of the pipes (P) stacked on the lower part.

또한, 상기 고리부 고정수단(3)은 도 1,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의 각 수직관(12)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 고정와이어(2)의 단부에 형성된 고리부(21)를 이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1, 2 and 5, the ring fixing means 3 is provided outside each of the vertical tubes 12 of the respective pipe supporting frames 1, and the pipe fixing wires 3 2 to detachably fix the annular portion 21 formed at the end portion thereof.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고리부 고정수단(3)은 상기 고리부(21)에 상부에서 하부로 이탈이 가능하게 관통되고 상부에는 머리부(311)가 구비되는 고정축(31)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축(31)의 외주연에는 고리부(21)에 관통 삽입된 고정축(31)의 상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나사부(132)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op fastening means 3 having the above-described function is composed of a fastening shaft 31 through which the loop portion 21 can be detached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311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desirable. It is preferable that a screw portion 132 is additional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xed shaft 31 to prevent the fixed shaft 31 inserted through the ring portion 21 from slipping up and down.

상기 고리부 고정수단(3)은 상기 와이어 관통홀(14)의 상부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고정축(31)이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관통홀(321)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고정축(31)의 머리부(311)가 밀착되는 수평판(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축(31)의 외주연에는 고정축(31)이 상기 관통홀(321)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탈 방지돌출부(133)가 더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The hook fixing means 3 is horizontally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ire through hole 14 and has a through hole 321 through which the fixing shaft 31 passes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And a horizontal plate 32 to which the head 311 of the shaft 31 is closely contacted. In addition, a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133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xed shaft 31 to prevent the fixing shaft 31 from being removed from the through hole 321.

상기 수평판(32)의 내측 단부의 하부에는 수평판(32)과 수직관(12)의 외측을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 관통홀(14)과 상응되는 위치에 와이어 관통홀(33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받침관(11)의 외측면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외측 보강판(33)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wire through hole 331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ire through hole 14 so as to reinforce the outside of the horizontal plate 12 and the horizontal plate 12 at a lower portion of the inside end of the horizontal plate 32 And an outer reinforcing plate 33 which is welded an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supporting tube 1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고리부 고정수단(3)을 구성하는 고정축(31)의 통해, 하부에 적층된 파이프(P)들을 결속하는 파이프 고정와이어(2)의 양단부에 형성된 고리부(21)를 용이하게 고정하고,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이프(P)의 적재 및 하역시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장점도 가지는 것이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ing portion 21 formed at both ends of the pipe fixing wire 2 binding the pipes P stacked on the lower portion through the fixing shaft 31 constituting the ring fixing means 3 It is easy to fix and easily detach the pipe P, thereby providing the advantage of convenience in use when loading and unloading the pipe P.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use state of the pipe stacking and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를 사용하여 파이프(P)들을 적재 운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지면의 전,후방에 파이프 지지골조(1)을 횡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한다. As shown in FIGS. 1 to 6, a process of stacking and transporting pipes P using the pipe stacking and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1) are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다음, 전,후방으로 배치된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1)의 내부의 하부에 다수의 파이프(P)들을 종방향으로 적층한다. Next, a plurality of pipes P are stack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low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two pipe supporting frames 1 arranged in front and rear.

다음, 상기와 같이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1)의 내부의 하부에 다수의 파이프(P)들을 적층한 상태에서, 각각의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의 양측에 구비된 수직관(12)의 와이어 관통홀(14)에 파이프 고정와이어(2)의 양측 고리부(21)를 관통시킴으로써, 하부에 적층된 파이프(P)들의 상부에 좌우 방향의 수평으로 파이프 고정와이어(2)를 배치한다. The plurality of pipes P are stacked on the lower part of the inside of the two pipe supporting frames 1 as described above and the number of the pipes 2 on each side of the pipe supporting frame 1 The pipe fixing wires 2 are horizontally arranged horizontally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pipes P stacked on the lower side by passing the side hooks 21 of the pipe fixing wire 2 through the wire through holes 14. [

다음, 각각의 상기 수직관(12)의 외측에 구비된 고리부 고정수단(3)의 고정축(31)을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통해 각 파이프 고정와이어(2)의 양단에 구비된 고리부(21)를 각 수직관(12)의 외측에 고정하는 과정을 통해, 하부에 적층된 파이프(P)들의 상부를 먼저 결속한다. Next, the fixing shaft 31 of the fixing means 3 provided at the outer side of each of the vertical pipes 12 is mov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he upper part of the pipes P stacked on the lower part is first bound by fixing the ring part 21 to the outside of each of the vertical pipes 12. [

다음, 상기와 같이 결속된 하부에 적층된 파이프(P)들의 상부에 파이프(P)들을 적층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두 개의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에 상,하부에 적층된 파이들의 둘레를 결속벨트(V)를 통해 결속한 다음, 결속벨트(V)를 크레인에 후크에 연결하여 크레인을 통해 파이프(P)들과 전,후방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1)를 함께 인상하여 운반한다. Next, the pipes P are stacked on the upper part of the pipes P stacked on the lower part bound as described above. Finally, the peripheries of the piles stack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finally bound to the two pipe supporting frames 1 through the binding belt V, and then the binding belt V is connected to the hooks by the crane, Pipes (P) and two front and rear pipe supporting frames (1) are transported togethe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두 개의 파이프 고정와이어(2)를 통해 하부에 적층되는 파이프(P)들과 전,후방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1)의 함께 연결함으로써, 파이프(P)들과 함께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1)를 크레인으로 함께 인상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적층된 파이프(P)들의 하부와 양측 및 중간을 지지하는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1)를 크레인으로 함께 인상함으로써, 파이프(P)들의 인상 도중에 파이프(P)들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이프(P)들의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pipe (P) by connecting the pipes (P) stacked on the lower side through the two pipe fixing wires (2) together with the two pipe supporting frames It is possible to elevate the pipe supporting frames 1 by the crane. Therefore, by lifting the two pipe supporting frames 1 supporting the lower and both sides of the stacked pipes P with the crane toge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ipes P from moving right and left during the lifting of the pipes P This is a useful invention that can prevent a fall accident of pipes P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은 전,후방에 배치되는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1)의 하부에 적층되는 파이프(P)들을 파이프 고정와이어(2)를 통해 파이프 지지골조(1)의 하부에 결속한 다음, 하부에 적층된 파이프(P)들의 상부에 파이프(P)들을 적층함에 따라, 하부에 적층된 파이프(P)들의 좌우 유동을 좀 더 방지함으로써 파이프(P)들의 인상시 파이프(P)들의 추락 사고를 좀 더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pipes (P) stacked on the lower part of two pipe supporting frames (1) arranged on the front and on the rear side are bound to the lower part of the pipe supporting frame (1) The pipes P are piled up on the pipes P stacked on the pipe P so that the left and right flows of the pipes P stacked on the lower part are further prevented,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can prevent more.

한편,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리부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요부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C-C선 단면도이다.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loop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 7A is a principal perspective view, and Fig. 7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7A.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한 고리부 고정수단(3)의 다른 실시예(이하, "다른 실시에의 고리부 고정수단"이라 한다.)는 각각의 상기 수직관(12)에 형성된 와이어 관통홀(14)의 상부에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중앙에는 수직 관통홀(411)이 형성되는 수평판(41)과, 상기 수평판(41)의 상부에 고정되고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판에는 상기 수직 관통홀(211)보다 작은 상부 관통홀(431)이 형성되는 상부 고정브래킷(43)을 포함한다.7, another embodi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nular fixing means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annular anchoring means 3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each of the above- A horizontal plate 41 formed to protrude horizontally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ormed wire through hole 14 and having a vertical through hole 411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lower plate 41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late 41, And an upper fixing bracket 43 formed with an upper through hole 431 smaller than the vertical through hole 211.

그리고 상기 다른 실시예의 고리부 고정수단(3)은 상기 상부 고정브래킷(43)의 내부에 수직으로 장착되며, 하부에는 상기 수직 관통홀(411)에 관통되어 파이프 고정와이어(2)의 고리부(21)에 이탈이 가능하게 관통되고 외주면의 하부에 용접 돌출부(441a)가 형성되는 고정핀(44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상부 관통홀(431)에 관통되는 손잡이봉(442)이 구비되는 승강 이동 고정핀(441)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용접 돌출부(441a)는 고정핀(441)이 고리부(21)에서 상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hook fixing means 3 of the other embodiment is mounted vertically in the upper fixing bracket 43 and penetrates the vertical through hole 411 at a lower portion thereof to be engaged with the hook portion 4 of the pipe fixing wire 2 And a handle pin 442 penetrating through the upper through hole 431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in 441. The fixing pin 441 is formed with a welding protrusion 441a at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lift-and-movement fixing pin 441. In addition, the welding protrusion 441a serves to prevent the fixing pin 441 from falling off the upper portion of the hook 21.

아울러 상기 다른 실시예의 고리부 고정수단(3)은 상기 손잡이봉(442)에 외주연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 고정브래킷(43)의 상판과 고정핀(441)의 상단 사이에 장착되는 압축코일스프링(45)을 포함하는 것이다. The annular fixing means 3 of the other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compression coil spring (not shown)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andle bar 442 and mounted between the upper plate of the upper fixing bracket 43 and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in 441 45).

따라서, 상기 다른 실시예의 고리부 고정수단(3)을 구성하는 승강 이동 고정핀(44)을 작업자가 상승시켜다가 하강시키는 간단한 과정만을 통해, 상기 파이프 고정와이어(2)의 고리부(21)을 이탈되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다른 실시예의 고리부 고정수단(3)을 통해 간단하게 파이프 고정와이어(2)의 고리부(21)를 수직관(12)의 외측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Therefore, only the simple process of raising and lowering the elevating movement fixing pin 44 constituting the hook fixing means 3 of the other embodiment is carried out so that the loop portion 21 of the pipe fixing wire 2 It can be fixed so as not to be detache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dvantageous in that the annular portion 21 of the pipe fixing wire 2 can be simply fixed to the outside of the vertical tube 12 through the annular fixing means 3 of the other embodiment.

또한,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파이프 밸트 고정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도 8a는 요부 사시도이고, 도 8b는 사용 상태도를 나타내며, 도 8c는 도 8b의 D부 확대도이다. Fig. 8 shows a pipe belt fixing mean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 8A is a principal part perspective view, Fig. 8B shows a state diagram of use, and Fig. 8C is an enlarged view of part D of Fig. 8B.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는 각각의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의 양측 수직관(12)에 연결되게 구비되어 두 개의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에 적재된 파이프(P)들을 벨트(51)로 감싸 고정하는 파이프 벨트 고정수단(5)을 더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8, the pipe-mounted trans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both the vertical pipes 12 on both sides of the pipe supporting frame 1, And pipe belt fixing means 5 for wrapping and fixing the pipes P with the belt 51.

그리고 상기 파이프 벨트 고정수단(5)은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1)의 내부에 적층된 파이프(P)들을 좀 더 견고하게 감싸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의 일측에 구비된 수직관(12)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벨트(51)의 벨트 고리(511)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리 연결부(52)와,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의 타측에 구비된 수직관(12)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벨트(51)의 타측을 당겨주거나 풀어주는 벨트 긴장수단(53)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ipe belt fixing means 5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ipe supporting frame 1 so as to firmly hold and secure the pipes P stacked in the two pipe supporting frames 1, A ring connecting portion 52 provided outside the vertical pipe 12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elt loop 511 of the belt 51 and a connecting pipe 52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pipe supporting frame 1 And a belt tension means 53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belt 51 for pulling or releasing the other side of the belt 51.

상기 고리 연결부(52)는 벨트(51)의 벨트 고리(511)를 좀 더 신속하게 분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의 일측 수직관(12)의 외측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21)와, 상기 돌출부(521)에 형성되어 상기 벨트(51)의 벨트 고리(511)가 분리 가능하게 걸려 연결되는 수평 연결장홀(52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ing connecting portion 52 is fixed to the outer side of one side vertical pipe 12 of the pipe supporting frame 1 so as to detachably fix the belt loop 511 of the belt 51 more quickly, And a horizontal connection hole 522 formed in the protrusion 521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elt loop 511 of the belt 51. The horizontal connection hole 522 is formed in the protrusion 521,

또한 상기 벨트 긴장수단(53)은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의 타측에 위치된 수직관(12)의 외측에 고정되는 레버 회전식 벨트 텐셔너(531)로 구성된다. The belt tension means 53 is constituted by a lever rotating belt tensioner 531 fixed to the outside of the vertical pipe 12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pipe supporting frame 1. [

상기 레버 회전식 벨트 텐션너(531)는 상기 수직관(12)의 외측에 고정되는 프레임(531a)과, 상기 프레임(531a)의 상부에 회전되게 전후 방향으로 구비되고 외주연에는 라체트 기어(531c : RACHET GEAR)가 고정되며 상기 벨트(51)의 타측 단부가 관통되어 끼워지는 회전보빈(531b)과, 상기 회전 보빈(531b)의 전,후방에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 레버(531d)와, 상기 회전 레버(531d)에 구비되어 회전 레버(531d)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벨트(51)를 감기게 하는 제1 스톱퍼(S1)와, 상기 프레임(521a)에 구비되어 벨트(51)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스톱퍼(S2)로 구성된다. The lever rotating belt tensioner 531 includes a frame 531a fixed to the outside of the vertical tube 12 and a ratchet gear 531c A rotary bobbin 531b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belt 51 is inserted and inserted and a rotary lever 531d to be rotatably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rotary bobbin 531b, A first stopper S1 provided on the rotation lever 531d for winding the belt 51 in the course of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lever 531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a second stopper S2 for preventing the second stopper 51 from being released.

상기 제1 스톱퍼(S1)는 스프링에 의해 전,후진되게 구비되어 회전 레버(531d)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라체트 기어(531c)와 맞물려 상기 회전보빈(531b)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벨트(51)를 감기게 하고, 회전 레버(531d)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는 라체트 기어(531c)에서 공회전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스톱퍼(S2)는 스프링에 의해 전,후진되게 구비되어 상기 라체트 기어(531c)에 맞물려 상기 회전보빈(531b)에서 벨트(51)를 감은 상태에서 라쳇트 기어(531c)가 시계 방향으로 헛도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stopper S1 is provided to be forward and backward by a spring so that the first stopper S1 meshes with the ratchet gear 531c and rotates the rotation bobbin 531b counterclockwise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rotation lever 531d counterclockwise And rotates the belt 51 to rotate the rotary lever 531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reby idling the belt 511c. The second stopper S2 is provided to be forward and backward by a spring so that the ratchet gear 531c is engaged with the ratchet gear 531c and the belt 51 is wound on the rotation bobbin 531b It plays a role in preventing clockwise rotation.

아울러 상기 회전 레버(531d)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벨트(51)를 감는 상기 회전보빈(531b), 라쳇트 기어(531c), 제1,2 스톱퍼(S1)(S2)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작동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rotation bobbin 531b, the ratchet gear 531c and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S1 and S2 which rotate the rotation lever 531d counterclockwise to wind the belt 51 is already known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will be omitt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층 운반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양측에 위치된 파이프 지지골조(1)의 내부에 파이프(P)들을 견고하게 적층한 상태에서, 각 파이프 지지골조(1)의 일측의 수직관(12)에 구비된 수평 연결장홀(522)에 벨트(51)의 벨트 고리(511)를 건 다음, 각 파이프 지지골조(1)의 타측의 수직관(12)에 고정 구비된 레버 회전식 벨트 텐션너(531)의 회전레버(531d)를 회전시켜 벨트(51)를 긴장시킴으로써, 적층된 파이프(P)들을 벨트(51)를 통해 견고하게 감싸 고정한다. Therefore, in the case of using the pipe laminate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pipes P are firmly stacked in the pipe supporting frame 1 located on both sides, The belt loop 511 of the belt 51 is hooked on the horizontal connection elongation hole 522 provided in the vertical pipe 12 on one side of the frame 1 and then the belt loop 511 of the belt 51 is passed through the vertical pipe 12 The tension of the belt 51 is increased by rotating the rotation lever 531d of the lever rotating belt tensioner 531 fixed to the belt 51 to securely fasten the stacked pipes P through the belt 51.

다음, 전,후방 두 개의 벨트(51)의 상부에 크레인 벨트(V)를 걸은 후, 크레인의 작동을 통해, 크레인 벨트(51)를 크레인으로 인상하여 적층된 파이프(P)들을 인상 운반하는 것이다. Next, after the crane belt V is hooked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two front and rear belts 51, the crane belt 51 is pulled up by the crane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crane to lift the stacked pipes P .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는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의 양측에 파이프(P)들을 벨트(51)로 감싸는 파이프 벨트 고정수단(5)을 더 구비함에 따라, 적층된 파이프(P)들을 벨트(51)로 감싸는 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고, 파이프(P)들의 인상시 파이프(P)들의 추락 사고를 좀 더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The pipe stacking and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pipe belt fastening means 5 for wrapping pipes P on both sides of the pipe supporting frame 1 with a belt 51, Can be carried out more quickly and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can further prevent a fall of pipes P when the pipes P are lifted.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파이프 밸트 고정수단을 구성하는 벨트 긴장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9a는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E에서 본 도면이다.9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belt tension means constituting the pipe belt fasten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A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 9B is a view seen from E of Fig. 9A.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벨트 긴장수단(53)은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의 타측에 구비된 수직관(12) 외측에 고정되는 보빈 회전식 벨트 텐셔너(532)로 구성된다. The belt tensioning means 53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by a bobbin rotating belt tensioner 532 fixed to the outside of the vertical tube 12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pipe supporting frame 1. [

상기 보빈 회전식 벨트 텐션너(532)는 상기 수직판(21)의 외측에 고정되는 프레임(532a)과, 상기 프레임(532a)의 상부에 회전되게 전후 방향으로 구비되고 외주연에는 라체트 기어(532c : RACHET GEAR)가 고정되며 전방에는 공구 삽입회전부(532d)가 구비되고 상기 벨트(51)의 타측 단부가 관통되어 끼워지는 회전보빈(532b)과, 상기 프레임(532a)의 전방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보빈(532b)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벨트(51)를 감기게 하고 회전보빈(532b)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S3)로 구성된다.The bobbin rotating belt tensioner 532 includes a frame 532a fixed to the outer side of the vertical plate 21 and a ratchet gear 532c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rame 532a, A rotation bobbin 532b fixed to the front of the frame 532a and having a tool insertion and rotation portion 532d at its front side and a second end of the belt 51 inserted therethrough; And a stopper S3 for prevent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bobbin 532b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winding the belt 51 in the course of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bobbin 532b in the clockwise direction.

아울러 상기 회전보빈(532b)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벨트(51)를 감는 상기 회전보빈(532b), 라쳇트기어(532c), 스톱퍼(S3)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작동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rotation bobbin 532b, the ratchet gear 532c and the stopper S3 that wind the belt 51 in the clockwise direction by rotating the rotation bobbin 532b are well known in the art. It will be omitted.

따라서, 상기 다른 실시예의 보빈 회전식 벨트 텐션너(532)를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양측에 위치된 파이프 지지골조(1)의 내부에 파이프(P)들을 견고하게 적층한 상태에서, 각 파이프 지지골조(1)의 일측의 수직관(12)에 구비된 수평 연결장홀(522)에 벨트(51)의 벨트 고리(511)를 건 다음, 각 파이프 지지골조(1)의 타측의 수직관(12)에 고정 구비된 보빈 회전식 벨트 텐션너(532)의 회전보빈(532b)을 스페너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벨트(51)를 긴장시킴으로써, 적층된 파이프(P)들을 벨트(51)를 통해 견고하게 감싸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in the case of using the bobbin rotating belt tensioner 532 of the other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pipes P are firmly stacked in the pipe supporting frame 1 located on both sides, The belt loop 511 of the belt 51 is hooked on the horizontal connecting elongated hole 522 provided in the vertical pipe 12 on one side of each pipe supporting frame 1 and then the other end of each pipe supporting frame 1 By rotating the rotating bobbin 532b of the bobbin rotating belt tensioner 532 fixed to the vertical tube 12 by using a tool such as a spanner or the like to tense the belt 51, 5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벨트 긴장수단(53)을 구조가 간단한 보빈 회전식 벨트 텐션너(532)로 구성함으로서,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ful invention that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ipe stacking and conveying apparatus by constituting the belt tensioning means 53 with a simple structure of the bobbin rotating belt tensioner 532.

또한 본 발명은 보빈 회전식 벨트 텐션너(532)의 프레임(532a)을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의 타측에 구비된 수직관(12)의 외측에 직접적으로 고정함으로써, 보다 신속하면서 간편하게 적층된 파이프(P)들을 감싸 고정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directly and securely fasten the frame 532a of the bobbin rotary belt tensioner 532 to the outside of the vertical tube 12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pipe supporting frame 1, (P).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재 운반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10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ipe stacking and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리 연결부(52)가 수직관(12)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수직관(12)의 전방이나 후방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벨트 긴장수간(53)이 수직관(12)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수직관(12)의 전방이나 후방에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10, the ring connecting portion 52 may be provided in front of or behind the vertical pipe 12 so as not to protrude outwardly of the vertical pipe 12. As shown in FIG. The belt tensioning means 53 may be provided in front of or behind the vertical pipe 12 so as not to protrude outward of the vertical pipe 12.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 기지골조를 구성하는 일측에 구비된 상기 수직관(12)의 하부가 분리되어 하부 사각관(12a)과 하부 사각관(12a)의 상부에 위치되는 주 사각관(12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 사각관(12b)의 하부는 상기 하부 사각관(12a)의 상부에 일측 힌지 연결부(121a)를 통해 연결되어 일측의 주 사각관(12b)이 내측으로 접혀지게 구성될 수도 있다. 10,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tube 12 provided at one side constituting the pipe frame is separated and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quare pipe 12a and the lower square pipe 12a And the main square pipe 12b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quare pipe 12a through the one hinge connecting portion 121a so that one main square pipe 12b is connected to the inner side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일측 힌지 연결부(121a)는 일측에 구비된 주 사각관(12b)을 내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상기 주 사각관(12b)의 하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브래킷(122)과, 상기 고정브래킷(122)의 하부 전,후방에 형성되고 각각에는 힌지홀(122c)이 형성되며 각각의 외측의 하부 모서리부에는 상기 힌지홀(122c)을 중심으로 하는 외측 원호형 단부(122d)가 형성되는 전,후방 회전판(122a)(122b)과, 상기 하부 사각관(12a)의 상부에 상기 전,후방 회전판(122a)(122b)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사각관(12a)의 전,후방에 상기 힌지홀(122c)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사각관 힌지홀(123)과, 상기 하부 사각관(12a)의 내측 상부에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함몰 사각홈(124)과, 상기 하부 사각관(12a)의 전,후판의 내측 상부의 모서리부에 상기 사각관 힌지홀(126)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내측 원호형 단부(125)와, 상기 사각관 힌지홀(123)과 힌지홀(122c)에 관통 조립되고 너트로 체결되어 상기 주 사각관(12b)을 회전 가능하게 조립하는 힌지축 볼트(126)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The one side hinge connection part 121a includes a fixing bracket 122 inserted and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square tube 12b so as to fold the main square tube 12b provided at one side inward, And a hinge hole 122c is formed in each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hinge hole 122 and the outer arc-shaped end portion 122d is formed in the lower corner of each of the hinge holes 122c, And the front and rear swing plates 122a and 122b are inserted into the upper and the lower rectangular pipes 12a and 12b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swing plates 122a and 122b are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square pipes 12a, A hollow square hinge hole 123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inge hole 122c and a recessed square groove 124 opened upward at an inner upper portion of the lower square pipe 12a, 12a are formed at the corner of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front and rear plates, And a hinge shaft bolt 126 which is assembled through the rectangular pipe hinge hole 123 and the hinge hole 122c and is fastened with a nut to rotatably assemble the main square pipe 12b Most preferably it is constituted.

아울러, 상기 파이프 기지골조를 구성하는 타측에 구비된 상기 수직관(12)의 하부가 분리되어 하부 사각관(12a)과 하부 사각관(12a)의 상부에 위치되는 주 사각관(12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 사각관(12b)의 하부는 상기 하부 사각관(12a)의 상부에 타측 힌지 연결부(121b)를 통해 연결되어 타측의 주 사각관(12b)이 일측에서 접혀진 상기 주 사각관(12b)에 포개지도록 접혀지게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pipe 12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pipe frame is separated and is constituted by a lower square pipe 12a and a main square pipe 12b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square pipe 12a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square pipe 12b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quare pipe 12a through the other hinge connecting portion 121b so that the main square pipe 12b on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main square pipe 12b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타측 힌지 연결부(121b)는 타측에 구비된 주 사각관(12b)을 내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상기 일측 힌지 연결부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타측 힌지 연결부(121b)는 상기 주 사각관(12b)의 하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브래킷(122)과, 상기 고정브래킷(122)의 하부 전,후방에 형성되고 각각에는 힌지홀(122c)이 형성되며 각각의 외측의 하부 모서리부에는 상기 힌지홀(122c)을 중심으로 하는 외측 원호형 단부(122d)가 형성되는 전,후방 회전판(122a)(122b)과, 상기 하부 사각관(12a)의 상부에 상기 전,후방 회전판(122a)(122b)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사각관(12a)의 전,후방에 상기 힌지홀(122c)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사각관 힌지홀(123)과, 상기 하부 사각관(12a)의 내측 상부에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함몰 사각홈(124)과, 상기 하부 사각관(12a)의 전,후판의 내측 상부의 모서리부에 상기 사각관 힌지홀(126)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내측 원호형 단부(125)와, 상기 사각관 힌지홀(123)과 힌지홀(122c)에 관통 조립되고 너트로 체결되어 상기 주 사각관(12b)을 회전 가능하게 조립하는 힌지축 볼트(126)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The other hinge connection part 121b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one hinge connection part so that the main square pipe 12b provided at the other side can be folded inward. The other side hinge connection part 121b includes a fixing bracket 122 inserted and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square tube 12b and a hinge hole formed in front and rear of the fixing bracket 122, 122c and 122c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 edges of the hinge holes 122c and 122c, respectively. The lower and upper corner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square pipes 122a and 122b are formed with outer arc- A square tube hinge hole (not show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inge hole 122c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lower square pipe 12a in a state where the front and rear swing plates 122a and 122b are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quare pipe 12a A lower hollow square tube 12a and a lower hollow square tube 12a and a lower square pipe 12a and a lower square pipe 12a, An inner arc-shaped end portion 125 formed around the hinge hole 126, and a rectangular tube hinge hole 123 and a hinge hole 122 and a hinge shaft bolt 126, which is assembled through the shaft main body c and fastened with a nut to rotatably assemble the main square tube 12b.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일,타측에 위치된 수직관의 두 개의 주 사각관을 서로 포개어 접음에 따라,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를 트럭등을 이용하여 이동 운반할 경우에 부피를 최로 줄임으로써 이동 운반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wo main square pipes are vertically folded and folded together, the pipe stacking and conveying device is transported using a truck or the like to minimize the volume of the pipe,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can provide convenienc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modified and applied in the same manner.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파이프 지지골조
11 : 하부 받침관, 12 : 수직관,
12a : 하부 사각관, 12b : 주 사각관,
121a : 일측 힌지 연결부, 121b : 타측 힌지 연결부,
122 : 고정브래킷, 122a : 전방 회전판,
122b : 후방 회전판, 122c : 힌지홀,
122d : 외측 원호형 단부, 123 : 사각관 힌지홀,
124 : 함몰 사각홈, 125 : 내측 원호형 단부
126 : 힌지축 볼트, 13 : 보강 연결수단,
131 : 수평 고정브래킷, 132 : 고정수단,
133 : 수직 고정브래킷, 134 : 연결 고정수단,
135 : 수직홈, 136 : 용접부,
14 : 와이어 관통홀
2 : 파이프 고정와이어
21 : 고리부
3 : 고리부 고정수단
31 : 고정축, 311 : 머리부,
132 : 나사부, 133 : 이탈 방지돌출부
32 : 수평판, 321 : 관통홀
33 : 외측 보강판, 331 : 와이어 관통홀
41 : 수평판, 411 : 수직 관통홀
43 : 상부 고정브래킷, 431 : 상부 관통홀
44 : 승강 이동 고정핀, 441 : 고정핀,
441a : 용접 돌출부, 442 : 손잡이봉,
45 : 압축코일스프링
5 : 파이프 벨트 고정수단
51 : 벨트, 511 : 벨트 고리
52 : 고리 연결부, 521 : 돌출부,
522 : 수평 연결장홀, 53 : 벨트 긴장수단
531 : 레버 회전식 벨트 텐션너
532 : 보빈 회전식 벨트 텐션너
1: pipe support frame
11: lower supporting tube, 12: vertical tube,
12a: lower square pipe, 12b: main square pipe,
121a: one side hinge connection part, 121b: the other side hinge connection part,
122: fixing bracket, 122a: front rotating plate,
122b: rear rotating plate, 122c: hinge hole,
122d: outer arc-shaped end, 123: square tube hinge hole,
124: recessed square groove, 125: inner arc-shaped end
126: Hinge shaft bolt, 13: Reinforcing connecting means,
131: horizontal fixing bracket, 132: fixing means,
133: vertical fixing bracket, 134: connection fixing means,
135: vertical groove, 136: welded portion,
14: Wire through hole
2: Pipe holding wire
21:
3: Ring fixing means
31: fixed shaft, 311: head,
132: screw portion, 133:
32: horizontal plate, 321: through hole
33: outer reinforcement plate, 331: wire through hole
41: horizontal plate, 411: vertical through hole
43: upper fixing bracket, 431: upper through hole
44: lifting and moving fixed pin, 441: fixed pin,
441a: welding projection, 442: handle bar,
45: Compression coil spring
5: Pipe belt fixing means
51: Belt, 511: Belt loop
52: ring connecting portion, 521: protruding portion,
522: horizontal connection long hole, 53: belt tension means
531: Lever Rotary Belt Tensioner
532: Bobbin rotary belt tensioner

Claims (24)

전,후방에 사이 간격으로 두고 배치되고, 각각이 좌우 방향으로 긴 하부 받침관(11)과 하부 받침관(11)과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양측 수직관(12)을 포함하고, 각각에 구비된 양측 수직관(12)에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와이어 관통홀(14)이 형성되는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1)와;
양단에 고리부(21)가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의 양측 수직관(12)에 형성된 와이어 관통홀(14)에 관통되어 양단의 고리부(21)가 각 수직관(1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파이프 고정와이어(2)와;
각각의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의 각 수직관(12)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 고정와이어(2)의 단부에 형성된 고리부(21)를 이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리부 고정수단(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11) and a pair of horizontal straight pipes (12) vertical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pporting pipe (11) and the left supporting pipe (11) Two pipe supporting frames (1) having wire through holes (14) formed at opposite positions on the opposite side vertical pipes (12);
A ring 21 is formed at both ends and a ring 21 at both ends is passed through a wire through hole 14 formed in both side vertical pipes 12 of the pipe supporting frame 1, A pipe fixing wire 2 protruding outside of the pipe;
(3) provided outside of each vertical pipe (12) of each of the pipe supporting frames (1) for releasably securing an annular portion (21)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pipe fixing wire (2) ;
Wherein the pipe-mounted transport device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받침관(11)은 양측이 개방된 사각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받침관(11)의 양측에 구비되는 각각의 상기 수직관(12)은 하부가 개방된 사각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관(12)은 하부 받침관(11)의 측부에 보강 연결수단(13)을 통해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supporting pipe (11) is constituted by a rectangular pipe with open sides,
Each of the vertical tubes (12)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pporting tube (11) is constituted by a rectangular tube with its bottom opened,
Wherein the vertical pipe (12)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lower supporting pipe (11) through reinforcing connecting means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연결수단(13)은
상기 하부 받침관(11)에 측부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브래킷 고정수단(132)으로 고정되는 수평 고정브래킷(131)과,
상기 수직관(12)의 하부에서 내부로 삽입되는 수직 고정브래킷(133)과,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131)과 수직 고정브래킷(133)을 일체로 연결 고정하는 연결 고정수단(13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einforcing connecting means (13)
A horizontal fixing bracket 131 which is inserted into the lower supporting tube 11 from the side to the inside and fixed by the bracket fixing means 132,
A vertical fixing bracket 133 inserted into a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tube 12,
Connection fixing means 134 for integrally connecting and fixing the horizontal fixing bracket 131 and the vertical fixing bracket 133,
Wherein the pipe-mounted transport device compris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131)은 상기 하부 받침관(11) 상판의 하면에 밀착되는 상판(131a)과, 상기 하부 받침관의 하판의 상면에 밀착되는 하판(131b)과, 상기 상판(131a)과 하판(131b)의 내측 단부에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 보강판(131c),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 고정브래킷(133)은 상기 수직관(12)의 내측판의 내면에 밀착되는 수직판(133a)과, 수직판(133a)의 전,후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직관(12)의 전,후판의 내면에 밀착되는 전,후판(133b)(133c),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고정수단(134)은 수평 고정브래킷(131)의 상판(131a)과 하판(131b)의 외측 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 돌출부(134a)와, 상기 수직관(12)의 내측판과 상기 수직판(133a)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돌출부(134a)가 관통되어 조립되는 연결장홀(134b)과, 상기 연결장홀(134b)과 연결돌출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용접부(134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horizontal fixing bracket 131 includes an upper plate 131a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of the lower supporting tube 11, a lower plate 131b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of the lower supporting tube, And a vertical reinforcing plate 131c which is integrally formed by being bent at an inner end of the lower plate 131b,
The vertical fixing bracket 133 includes a vertical plate 133a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plate of the vertical tube 12 and a vertical plate 133b which is bent outwar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vertical plate 133a, And front and rear plates 133b and 133c which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s of the front and rear plates of the vehicle,
The connection fixing means 134 includes a connection protrusion 134a protrud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t the out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131a and 131b of the horizontal fixing bracket 131, And a welding portion 134c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necting elongated hole 134b and the connecting protrusion 134b. The connecting elongated hole 134b is formed in the vertical plate 133a and is integrated with the connecting protrusion 134a. Wherein the pipe-mounted conveying device compris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관(12)에 형성된 연결장홀(134b)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수직홈(135)이 더 형성되고,
상기 수직홈(135)과 수직판(133a)의 사이에는 서로 연결하는 용접부(136)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Vertical grooves 135 are further formed i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hole 134b formed in the vertical tube 12,
And a welding part (136) connected to each other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vertical groove (135) and the vertical plate (133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131)의 상판(131a)의 전,후방 단부에는 하부로 수직 절곡되어 하부 받침관(11)의 전,후판의 내면에 밀착되는 보강 절곡부(131d)가 더 형성되고,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131)의 하판(131b)의 전,후방 단부에는 상부로 수직 절곡되어 하부 받침관(11)의 전,후판의 내면에 밀착되는 보강 절곡부(131d)가 더 형성되며,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131)의 수직 보강판(131c)의 전,후방 단부에는 외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하부 받침관(11)의 전,후판의 내면에 밀착되는 보강 절곡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upper plate 131a of the horizontal fixing bracket 131 are further formed with a reinforcing bending portion 131d that is vertically bent downward and closely contacted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front and rear plates of the lower receiving tube 11,
The front and rear end portions of the lower plate 131b of the horizontal fixing bracket 131 are further formed with a reinforcing bending portion 131d that is vertically bent upward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and rear plates of the lower supporting tube 11,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vertical reinforcing plate 131c of the horizontal fixing bracket 131 are vertically bent outwardly and formed a reinforcing bending portion tightly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and rear plates of the lower supporting tube 11. [ Pipe stack conveying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받침관(11)의 상판 양측에는 긴 보강 함몰홈(G)이 좌우 방향으로 더 형성되고,
상기 하부 받침관(11)의 하판 양측에는 긴 보강 함몰홈(G)이 좌우 방향으로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On both sides of the upper plate of the lower supporting tube (11), a long reinforcing recess (G) is further 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Wherein a long reinforcing recess (G) is further 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lower plate of the lower supporting tube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32)은
상기 받침 사각관의 양측 상,하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132a)과,
상기 관통홀(132a)과 수평 고정브래킷(131)의 상판(131a)의 상면 및 하판(131b)의 하면을 서로 연결하는 용접부(132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xing means (132)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2a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square pipe,
A weld 132b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31a of the through hole 132a and the horizontal fixing bracket 131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31b,
Wherein the pipe-mounted transport device compris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32)은
상기 하부 받침관(11)의 양측 상,하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132c)과,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131)의 상,하판(131a)(131b)에 상기 관통홀(132c)과 상응되게 형성된 다수의 고정홀(132d)과,
상기 서로 일치되는 위치에 형성된 관통홀(132c)과 고정홀(132d)에 관통 고정되는 다수의 리벳(132e),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xing means (132)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2c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pporting tube 11,
A plurality of fixing holes 132d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lates 131a and 131b of the horizontal fixing bracket 131 so as to correspond to the through holes 132c,
A plurality of rivets 132e which are inserted and fixed in the through holes 132c and the fixing holes 132d,
Wherein the pipe-mounted transport device comprises: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관통홀(14)은 수직관(12)의 상하 길이 방향의 중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nd the wire through hole (14)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vertical tube (12)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관통홀(14)은 수평 장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nd the wire through hole (14) is formed as a horizontal long hole.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 고정수단(3)은
상기 고리부(21)에 상부에서 하부로 이탈 가능하게 관통되고 상부에는 머리부(311)가 구비되는 고정축(3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The annular fastening means (3)
, And a fixing shaft (31) which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annular portion (21) from an upper portion to a lower portion and has a head portion (311) at an upper portion thereof.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31)의 외주연에는 고정축(31)의 상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나사부(132)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a screw portion (132) is further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xed shaft (31) to prevent the fixed shaft (31) from slipping vertically.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 고정수단(3)은
상기 와이어 관통홀(14)의 상부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고정축(31)이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관통홀(321)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고정축(31)의 머리부(311)가 밀착되는 수평판(32)과,
상기 고정축(31)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고정축(31)이 상기 관통홀(321)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돌출부(13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annular fastening means (3)
A through hole 321 formed horizontally above the wire through hole 14 and through which the fixing shaft 31 penetrates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is formed at the center and a head portion 311 A flat plate 32 to which the flat plate 32 is adhered,
Preventing protrusion 133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xed shaft 31 to prevent the fixed shaft 31 from being removed from the through hole 32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pipe-mounted carrier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32)의 내측 단부의 하부에는
상기 와이어 관통홀(14)과 상응되는 위치에 와이어 관통홀(33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받침관(11)의 외측면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외측 보강판(33)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Below the inner end of the horizontal plate 32,
And an outer reinforcing plate 33 formed with a wire through hole 33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ire through hole 14 and welded an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supporting pipe 11. [ Load carry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 고정수단(3)은
각각의 상기 수직관(12)에 형성된 와이어 관통홀(14)의 상부에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중앙에는 수직 관통홀(411)이 형성되는 수평판(41)과;
상기 수평판(41)의 상부에 고정되고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판에는 상기 수직 관통홀(211)보다 작은 상부 관통홀(431)이 형성되는 상부 고정브래킷(43)과;
상기 상부 고정브래킷(43)의 내부에 수직으로 장착되며, 하부에는 상기 수직 관통홀(411)에 관통되어 파이프 고정와이어(2)의 고리부(21)에 이탈이 가능하게 관통되고 외주면의 하부에 용접 돌출부(441a)가 형성되는 고정핀(44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상부 관통홀(431)에 관통되는 손잡이봉(442)이 구비되는 승강 이동 고정핀(44)과;
상기 손잡이봉(442)에 외주연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 고정브래킷(43)의 상판과 고정핀(441)의 상단 사이에 장착되는 압축코일스프링(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nnular fastening means (3)
A horizontal plate 41 horizontally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wire through hole 14 formed in each of the vertical tubes 12 and having a vertical through hole 411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 upper fixing bracket 43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late 41 and hollowed inside and having an upper through hole 431 formed in the upper plate smaller than the vertical through hole 211;
And is vertically installed in the upper fixing bracket 43.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fixing bracket 43 penetrates through the vertical through holes 411 and passes through the annular portion 21 of the pipe fixing wire 2 so as to be detachable . A lift pin 441 for forming the welding protrusion 441a is formed and a lift pin 442 for passing through the upper hole 431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ift pin 441;
And a compression coil spring (45)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andle bar (442) and mounted between an upper plate of the upper fixing bracket (43) and an upper end of the fixing pin (441)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는
각각의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의 양측 수직관(12)에 연결되게 구비되어 두 개의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에 적재된 파이프(P)들을 벨트(51)로 감싸 고정하는 파이프 벨트 고정수단(5);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ipe stacking and conveying device
A pipe belt fastening mean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vertical pipe 12 of each of the pipe supporting frames 1 for fastening and fixing the pipes P mounted on the two pipe supporting frames 1 by a belt 51, (5);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pipe-mounted carriers.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벨트 고정수단(5)은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의 일측에 구비된 수직관(12)의 전방이나 후방 또는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벨트(51)의 벨트 고리(511)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리 연결부(52)와,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의 타측에 구비된 수직관(12)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벨트(51)의 타측을 당겨주거나 풀어주는 벨트 긴장수단(5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pipe belt fastening means (5)
A ring connecting portion 52 which is provided at a front side, a rear side or an outside side of the vertical pipe 12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ipe supporting frame 1 and in which the belt loop 511 of the belt 51 is detachably connected,
Belt tension means 53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pipe supporting frame 1 and provided outside the vertical pipe 12 for pulling or releasing the other side of the belt 51,
Wherein the pipe-mounted transport device comprises: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 연결부(52)는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의 일측 수직관(12)의 외측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21)와,
상기 돌출부(521)에 형성되어 상기 벨트(51)의 벨트 고리(511)가 분리 가능하게 걸려 연결되는 수평 연결장홀(52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ring connection part (52)
A protruding portion 521 fixed to the outside of the vertical pipe 12 at one side of the pipe supporting frame 1 and protruding outward,
A horizontal connection hole 522 formed in the protrusion 521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elt loop 511 of the belt 51,
Wherein the pipe-mounted transport device comprises: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긴장수단(53)은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의 타측 수직관(12)의 외측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회전되게 전후 방향으로 구비되고 외주연에는 라체트 기어(RACHET GEAR)가 고정되며 상기 벨트(51)의 타측 단부가 관통되어 끼워지는 회전보빈과, 상기 회전 보빈의 전,후방에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 레버와, 상기 회전 레버에 구비되어 회전 레버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벨트(51)를 감기게 하는 제1 스톱퍼와,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벨트(51)가 풀리를 것을 방지하는 제2 스톱퍼를 포함하는 레버 회전식 벨트 텐션너(53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belt tension means (53)
A frame fixed to the outside of the other side straight pipe 12 of the pipe supporting frame 1; a ratchet gear (RACHET GEAR) fix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rame, 51) is inserted and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rotary bobbin, a rotary lever mounted to be rotatable in front and rear of the rotary bobbin, And a lever rotation type belt tensioner (531) provided on the frame and including a second stopper for preventing the belt (51) from pulling a pulley Load carrying devic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긴장수단(53)은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의 타측 수직관(12)의 외측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되게 전후 방향으로 구비되고 외주연에는 라체트 기어(RACHET GEAR)가 고정되며 전방에는 공구 삽입회전부가 구비되고 상기 벨트(51)의 타측 단부가 관통되어 끼워지는 회전보빈과, 상기 프레임의 후방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보빈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벨트(51)를 감기게 하고 회전보빈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로 구성되는 보빈 회전식 벨트 텐션너(5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belt tension means (53)
A frame fixed to the outside of the other side straight pipe 12 of the pipe supporting frame 1; a ratcheting gear (RACHET GEAR)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rame, The belt 51 is wound around the rotating bobbin in the course of rotating the rotating bobbin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rotating bobbin 51 is disposed at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frame, And a bobbin rotating belt tensioner (532) composed of a stopper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belt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측에 구비된 상기 수직관(12)의 하부가 분리되어 하부 사각관(12a)과 하부 사각관(12a)의 상부에 위치되는 주 사각관(12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 사각관(12b)의 하부는 상기 하부 사각관(12a)의 상부에 일측 힌지 연결부(121a)를 통해 연결되어 일측의 주 사각관(12b)이 내측으로 접혀지게 구성되며,
타측에 구비된 상기 수직관(12)의 하부가 분리되어 하부 사각관(12a)과 하부 사각관(12a)의 상부에 위치되는 주 사각관(12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 사각관(12b)의 하부는 상기 하부 사각관(12a)의 상부에 타측 힌지 연결부(121b)를 통해 연결되어 타측의 주 사각관(12b)이 일측에서 접혀진 상기 주 사각관(12b)에 포개지도록 접혀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9,
And a main square pipe 12b which is separat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pipe 12 and is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quare pipe 12a and the main square pipe 12b, The lower part of the lower square pipe 12a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lower square pipe 12a through the one hinge connection part 121a so that one main square pipe 12b is folded inward,
And a main square pipe 12b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pipe 12 and separated from the lower square pipe 12a and positioned above the lower square pipe 12a, And the lower part of the main square pipe 12b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lower square pipe 12a through the other hinge connecting part 121b so that the main square pipe 12b on the other side is folded over the main square pipe 12b folded at one side Characterized in that the piping load carrying device.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힌지 연결부(121a)는
상기 주 사각관(12b)의 하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브래킷(122)과,
상기 고정브래킷(122)의 하부 전,후방에 형성되고 각각에는 힌지홀(122c)이 형성되며 각각의 외측의 하부 모서리부에는 상기 힌지홀(122c)을 중심으로 하는 외측 원호형 단부(122d)가 형성되는 전,후방 회전판(122a)(122b)과,
상기 하부 사각관(12a)의 상부에 상기 전,후방 회전판(122a)(122b)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사각관(12a)의 전,후방에 상기 힌지홀(122c)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사각관 힌지홀(123)과,
상기 하부 사각관(12a)의 내측 상부에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함몰 사각홈(124)과,
상기 하부 사각관(12a)의 전,후판의 내측 상부의 모서리부에 상기 사각관 힌지홀(126)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내측 원호형 단부(125)와,
상기 사각관 힌지홀(123)과 힌지홀(122c)에 관통 조립되고 너트로 체결되어 상기 주 사각관(12b)을 회전 가능하게 조립하는 힌지축 볼트(12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one-side hinge connection portion 121a
A fixing bracket 122 inserted and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square tube 12b,
And a hinge hole 122c is formed in each of the lower and rear sides of the fixing bracket 122. An outer arc-shaped end portion 122d centering on the hinge hole 122c is formed at a lower corner of the outer side of each of the hinge holes 122c Front and rear swing plates 122a and 122b,
The upper rectangular tube 12a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inge hole 122c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lower rectangular tube 12a in a state where the front and rear rotary plates 122a and 122b are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rectangular tube 12a. A square tube hinge hole 123,
A recessed square groove 124 formed at an inner upper portion of the lower square pipe 12a so as to be opened upward,
An inner arc-shaped end portion 125 formed at an inner upper portion of the front and rear plates of the lower square pipe 12a and centered on the square pipe hinge hole 126,
A hinge shaft bolt 126 which is assembled through the square pipe hinge hole 123 and the hinge hole 122c and fastened by a nut to rotatably assemble the main square pipe 12b,
Wherein the pipe-mounted transport device comprises: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힌지 연결부(121b)는
상기 일측 힌지 연결부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주 사각관(12b)의 하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브래킷(122)과,
상기 고정브래킷(122)의 하부 전,후방에 형성되고 각각에는 힌지홀(122c)이 형성되며 각각의 외측의 하부 모서리부에는 상기 힌지홀(122c)을 중심으로 하는 외측 원호형 단부(122d)가 형성되는 전,후방 회전판(122a)(122b)과,
상기 하부 사각관(12a)의 상부에 상기 전,후방 회전판(122a)(122b)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사각관(12a)의 전,후방에 상기 힌지홀(122c)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사각관 힌지홀(123)과,
상기 하부 사각관(12a)의 내측 상부에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함몰 사각홈(124)과,
상기 하부 사각관(12a)의 전,후판의 내측 상부의 모서리부에 상기 사각관 힌지홀(126)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내측 원호형 단부(125)와,
상기 사각관 힌지홀(123)과 힌지홀(122c)에 관통 조립되고 너트로 체결되어 상기 주 사각관(12b)을 회전 가능하게 조립하는 힌지축 볼트(12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other hinge connection part 121b
A hinge connection part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one-
A fixing bracket 122 inserted and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square tube 12b,
And a hinge hole 122c is formed in each of the lower and rear sides of the fixing bracket 122. An outer arc-shaped end portion 122d centering on the hinge hole 122c is formed at a lower corner of the outer side of each of the hinge holes 122c Front and rear swing plates 122a and 122b,
The upper rectangular tube 12a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inge hole 122c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lower rectangular tube 12a in a state where the front and rear rotary plates 122a and 122b are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rectangular tube 12a. A square tube hinge hole 123,
A recessed square groove 124 formed at an inner upper portion of the lower square pipe 12a so as to be opened upward,
An inner arc-shaped end portion 125 formed at an inner upper portion of the front and rear plates of the lower square pipe 12a and centered on the square pipe hinge hole 126,
A hinge shaft bolt 126 which is assembled through the square pipe hinge hole 123 and the hinge hole 122c and fastened by a nut to rotatably assemble the main square pipe 12b,
Wherein the pipe-mounted transport device comprises:
KR1020170028559A 2017-03-06 2017-03-06 Pipe carrying apparatus KR2018010195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559A KR20180101958A (en) 2017-03-06 2017-03-06 Pipe carry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559A KR20180101958A (en) 2017-03-06 2017-03-06 Pipe carrying apparatus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010A Division KR101878631B1 (en) 2018-01-29 2018-01-29 Pipe carrying apparatus
KR1020180011009A Division KR101931470B1 (en) 2018-01-29 2018-01-29 Pipe carry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958A true KR20180101958A (en) 2018-09-14

Family

ID=63599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559A KR20180101958A (en) 2017-03-06 2017-03-06 Pipe carry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195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41480A (en) * 2020-11-24 2020-12-29 烟台工程职业技术学院(烟台市技师学院) Building pipeline spare convey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350A (en) 2006-05-18 2009-01-21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ed battery saving during idle m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350A (en) 2006-05-18 2009-01-21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ed battery saving during idle m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41480A (en) * 2020-11-24 2020-12-29 烟台工程职业技术学院(烟台市技师学院) Building pipeline spare conveyor
CN112141480B (en) * 2020-11-24 2021-02-26 烟台工程职业技术学院(烟台市技师学院) Building pipeline spare convey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0752B2 (en) Foldable transport rack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140027395A1 (en) Modular pipe basket
KR101878631B1 (en) Pipe carrying apparatus
US7993083B1 (en) Strap links stabilizing system for flatbed trucks and associated use therefor
KR20180101958A (en) Pipe carrying apparatus
KR101931470B1 (en) Pipe carrying apparatus
US7950884B2 (en) Cargo restraining apparatus
JP4981558B2 (en) Glass plate transportation pallet
CA260188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nd dispensing a strap
WO2014047055A1 (en) Modular pipe basket
EP28552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cylindrical objects
KR20020072351A (en) A carriage for transporting plate glass
US20080124184A1 (en) Self-gripping rack for cantilevered tanks
JP6064428B2 (en) Roll product rack
CN105151377B (en) Member goods collection assembling device
CN109789964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a plurality of glass substrates on a crate
KR200190418Y1 (en) A carriage for transporting plate glass
JP3116414U (en) Band-shaped member for preventing load collapse
JP4307276B2 (en) A lashing device for transporting radioactive material containers
EP1080022B1 (en) Open-sided cargo freight container
TWI751946B (en) Improved crop loading equipment
KR102001402B1 (en) Freight fixing device for pallet
JP2002347829A (en) Loading base
US20130341227A1 (en) Modular pipe basket
TW202206341A (en) Improved crop loading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reducing the rupture of the rope under concentrated fo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