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0355A - Path generating device - Google Patents

Path genera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0355A
KR20180100355A KR1020187021945A KR20187021945A KR20180100355A KR 20180100355 A KR20180100355 A KR 20180100355A KR 1020187021945 A KR1020187021945 A KR 1020187021945A KR 20187021945 A KR20187021945 A KR 20187021945A KR 20180100355 A KR20180100355 A KR 20180100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region
route
work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19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13414B1 (en
Inventor
도시후미 히라마츠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043415A external-priority patent/JP6507109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6048462A external-priority patent/JP6557622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6048461A external-priority patent/JP6557621B2/en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00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3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4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3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obstacle or wall sensors
    • G05D1/024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obstacle or wall sensors in combination with a las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1/0214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in accordance with safety or protection criteria, e.g. avoiding hazardous area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1/0219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ensuring the processing of the whole working surfa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1/02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involving a learning proces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4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a video camera in combination with image processing means
    • G05D1/0253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a video camera in combination with image processing means extracting relative mo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images taken successively, e.g. visual odometry, optical flow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55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acoustic signals, e.g. ultra-sonic sing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장애물이 위치하는 주위에 장애물 영역을 설정하여 경로가 생성되지 않도록 함과 함께, 작업 영역에 설정되는 경로가 장애물 영역을 피하여 효율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포장 (H) 내를 자율 주행 및 작업 가능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는 경로 생성 장치가 되는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의 제어부 (30), 또는, 그 제어부 (30) 와 통신 가능한 원격 조작 장치 (112) 의 제어부 (130) 는, 상기 포장 (H) 에서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 경로 (Ra) 가 생성되는 제 1 영역과, 작업 경로 (Ra) 는 생성되지 않지만 주행하기 위한 주행 경로 (Rb) 는 생성할 수 있게 하는 상기 제 1 영역의 주위에 설정되는 제 2 영역과, 상기 포장 (H) 내로서 주행이 금지되는 제 3 영역과, 작업 경로 (Ra) 는 생성되지 않지만 주행하기 위한 주행 경로 (Rb) 는 생성할 수 있게 하는 제 3 영역의 주위에 설정되는 제 4 영역을 설정할 수 있게 한다.It is possible to set an obstacle area around the obstacle and prevent the path from being created, and to set the obstacle area in the package (H) so that the path set in the working area can work efficiently avoiding the obstacle area. The control unit 130 of the control unit 30 of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or the remote control device 112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unit 30 that is a route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 route (Rb) for generating a work path (Ra) but not a work path (Ra) for generating a work path (Ra) for performing work in the work area A third region in which travel is prohibited in the package H and a third region in which a work route Ra is not generated but a travel route Rb for traveling can be generated It is set around Allows the fourth region to be set.

Description

경로 생성 장치Path generating device

본 발명은, 작업 차량에 의해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 영역 내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의 주행ㆍ작업 경로의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veling / working path generating device in the case where an obstacle exists in a working area for performing work by a working vehicle.

종래, 트랙터에 위치 검출 수단과 방위 검출 수단을 구비하여, 포장 (圃場) 내를 주행하게 해서 구석의 위치를 검출하는, 소위, 티칭 주행을 실시하여, 포장의 작업 경로를 설정하는 기술이 공지가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Conventionally, there is known a technique in which a tractor is provided with a position detecting means and an orientation detecting means to detect the position of a corner by running in a field,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66405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66405

상기 기술에 있어서, 포장 내에 존재하는 전신주나 바위나 수목 등의 장애물은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장애물을 피하도록 작업 경로를 설정하면, 장애물 주위에 큰 미작업지 부분이 발생하거나, 장애물 주위에서 무인 작업 차량과 유인 작업 차량이 쓸데없이 긴 경로를 주행하거나 할 우려가 있었다.In the above-mentioned technique, no obstacle such as a telegraphic system, rocks, or trees existing in the package has been considered. Therefore, if the work path is set to avoid an obstacl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large unworked portion occurs around the obstacle or an unmanned work vehicle and an unmanned work vehicle run unnecessarily long routes around the obstacle.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장애물이 위치하는 주위에 장애물 영역을 설정하여 경로가 생성되지 않도록 함과 함께, 작업 영역에 설정되는 경로가 장애물 영역을 피하여 효율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경로 생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bstacle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effectively preventing an obstacle area from being created by setting an obstacle area around an obstacle, A rout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route to the destination;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으로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s described above, and means for solving this problem will be described next.

즉, 본 발명은, 포장 내를 자율 주행 및 작업 가능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경로 생성 장치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장에서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 경로가 생성되는 제 1 영역과, 작업 경로는 생성되지 않지만 주행하기 위한 주행 경로는 생성할 수 있게 하는 상기 제 1 영역의 주위에 설정되는 제 2 영역과, 상기 포장 내로서 주행이 금지되는 제 3 영역과, 작업 경로는 생성되지 않지만 주행하기 위한 주행 경로는 생성할 수 있게 하는 상기 제 3 영역의 주위에 설정되는 제 4 영역을 설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ute generating apparatus having a control section capable of generating an autonomous traveling and workable route within a package, the control section including: a first area in which a work path for carrying out an operation in the package is generated; A second area set around the first area that does not create a working path but allows a traveling path for traveling to be created, a third area in which traveling is prohibited in the package, and a working path is not created And a fourth region set around the third region that enables generation of a traveling route for traveling can be set.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 4 영역과 제 2 영역을 접속하는 작업 경로가 생성되지 않는 제 5 영역을 설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control section to set a fifth area in which the work path connecting the fourth area and the second area is not generated in the first area.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 3 영역, 제 4 영역, 제 5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작업 경로를 생성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section is capable of generating a work path in the first area excluding the third area, the fourth area and the fifth area.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5 영역을 제 1 영역에서 생성되는 작업 경로와 평행하게 형성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forms the fifth area in parallel with a work path generated in the first area.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영역 내에 제 3 영역을 설정하는 경우, 제 3 영역을 구성하는 적어도 1 개의 변은, 제 1 영역을 구성하는 특정 변과 거의 평행하게 설정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hird region is set in the first region, the control unit is set so that at least one side constituting the third region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a specific side constituting the first region.

본 발명은, 포장 내를 자율 주행 및 작업 가능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경로 생성 장치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장에서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 경로가 생성되는 제 1 영역과, 작업 경로는 생성되지 않지만 주행하기 위한 주행 경로는 생성할 수 있게 하는 상기 제 1 영역의 주위에 설정되는 제 2 영역과, 상기 포장 내로서 주행이 금지되는 제 3 영역과, 작업 경로는 생성되지 않지만 주행하기 위한 주행 경로는 생성할 수 있게 하는 제 3 영역의 주위에 설정되는 제 4 영역을 설정할 수 있게 함과 함께, 제 2 영역과 제 4 영역이 중복되는 경우, 제 4 영역을 제 2 영역에 포함시켜 설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ute generating apparatus having a control section capable of generating an autonomous traveling and workable route in a package, wherein the control section includes: a first area in which a work path for carrying out an operation in the packaging is generated; A second region set around the first region that allows generation of a travel route for which no travel is generated but a third region in which the travel is prohibited in the package; It is possible to set a fourth region which is set around the third region which enables generation of the traveling route for the first region and the fourth region to be included in the second region when the second region and the fourth region overlap each other So that it can be set.

본 발명은, 포장 내를 자율 주행 및 작업 가능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경로 생성 장치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장에서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 경로가 생성되는 제 1 영역과, 작업 경로는 생성되지 않지만 주행하기 위한 주행 경로는 생성할 수 있게 하는 상기 제 1 영역의 주위에 설정되는 제 2 영역과, 상기 포장 내로서 주행이 금지되는 제 3 영역과, 작업 경로는 생성되지 않지만 주행하기 위한 주행 경로는 생성할 수 있게 하는 제 3 영역의 주위에 설정되는 제 4 영역을 설정할 수 있게 함과 함께, 제 2 영역과 제 4 영역이 소정 폭 미만인 제 6 영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있는 경우에, 제 4 영역 및 제 6 영역을 제 2 영역에 포함시켜 설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ute generating apparatus having a control section capable of generating an autonomous traveling and workable route in a package, wherein the control section includes: a first area in which a work path for carrying out an operation in the packaging is generated; A second region set around the first region that allows generation of a travel route for which no travel is generated but a third region in which the travel is prohibited in the package; It is possible to set a fourth region which is set around the third region which enables generation of the traveling route for the first region and the sixth region which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width between the second region and the fourth region, The fourth region and the sixth region can be included and set in the second region.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장 내에 제 3 영역 및 제 4 영역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 4 영역끼리가 소정 폭 미만인 제 7 영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있는 경우에, 제 7 영역을 어느 일방의 제 4 영역에 포함시켜 설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case where a plurality of third regions and fourth regions exist in the package, when the fourth regions are opposed to each other with a seventh region of less than a predetermined width therebetween, Can be included and set in the fourth area of either one of them.

이상과 같은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주행이 금지되는 장애물이 포장 내에 존재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경로 설정이 이루어져 효율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By using the above-described means, even when an obstacle in which traveling is prohibited exists in the package, the route is set and the work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도 1 은 자율 주행 작업 차량과 주행 작업 차량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2 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 3 은 초기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포장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포장의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포장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포장단 (圃場端) 의 형상을 인식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포장 형상의 보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주변 정보를 취득하는 환경 인식 수단의 위치 및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표시 장치 상에서 경계 특징점을 선택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주변 정보를 취득하는 거리 센서로 포장단을 인식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포장 내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의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은 장애물 주위의 위치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는 장애물이 존재하는 포장을 2 대로 순서대로 작업하는 경우의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는 장애물이 존재하는 포장을 2 대로 따로따로 작업하는 경우의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은 장애물 영역이 개자리와 중복되는 포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은 장애물 영역이 개자리와 소정 거리 떨어진 포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은 장애물 영역이 복수 존재하고 소정 거리 떨어진 포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는 개자리의 폭의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 은 개자리가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우의 개자리의 폭의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은 2 회 방향 전환하여 턴하는 경우의 측부 여유지의 폭의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n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and a traveling work vehicle.
2 is a control block diagram.
3 is a diagram showing an initial screen.
4 is a view showing a package setting.
5 is a view showing an area of packaging.
6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a package.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recognizing the shape of the packaging end (field end). Fig.
8 is a view showing the correction of the package shape.
9 is a diagram show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environment recognition means for acquiring peripheral information.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boundary feature points are selected on the display device.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ckage end is recognized by a distance sensor for acquiring peripheral information.
12 is a diagram showing an area in the case where an obstacle exists in the package.
Fig. 13 is a diagram showing the positioning around the obstacle. Fig.
14 is a view showing a route in the case where two packages in which an obstacle is present are sequentially operated.
Fig. 15 is a view showing a route in the case where two packages in which an obstacle is present are separately operated.
16 is a view showing a package in which an obstacle area overlaps with a dogleg;
17 is a view showing a package in which the obstacle area is separated from the open posi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18 is a view showing a plurality of obstacle areas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Fig. 19 is a view showing the setting of the width of the one-place.
Fig. 20 is a view showing the setting of the width of one of the openings when the openings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g. 21 is a view showing the setting of the width of the side support when turning twice and turning. Fig.

무인으로 자율 주행 가능한 자율 주행 작업 차량 (이하, 무인 차량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1), 및 이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에 협조하여 작업자 (사용자) 가 조향 조작하는 유인의 주행 작업 차량 (이하, 유인 차량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100) 을 트랙터로 하고,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및 주행 작업 차량 (100) 에는 작업기로서 로터리 경운 장치가 각각 장착되어 있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작업 차량은 트랙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콤바인 등이어도 되고, 또, 작업기는 로터리 경운 장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휴립기나 예초기나 레이크나 파종기나 시비기 등이어도 된다.(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n unmanned vehicle) 1 capable of autonomous autonomous travel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an unmanned vehicle), and an incentive traveling work vehicle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an attracted vehicle) 100 as a tractor, and a rotary tiller as a working machine is mounted on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and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respectively. However, the working vehicle is not limited to a tractor, but may be a combine or the like. The working machine is not limited to a rotary tiller, but may be a recliner, a lawn mower, a rake, a planter or a fertilizer.

본 명세서에 있어서 「자율 주행」이란, 트랙터가 구비하는 제어부 (ECU) 에 의해 트랙터가 구비하는 주행에 관한 구성이 제어되어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라 트랙터가 주행하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autonomous running" means that the tractor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ECU) included in the tractor so that the tractor travels along a predetermined path.

단일의 포장에 있어서의 농작업을, 무인 차량 및 유인 차량으로 실행하는 것을 농작업의 협조 작업, 추종 작업, 수반 작업 등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농작업의 협조 작업으로는, 「단일 포장에 있어서의 농작업을, 무인 차량 및 유인 차량으로 실행하는 것」에 더하여, 「인접하는 포장 등의 상이한 포장에 있어서의 농작업을 동일 시기에 무인 차량 및 유인 차량으로 실행하는 것」이 포함되어도 된다.In some cases, the farming operation in a single package is performed as an unmanned vehicle or a manned vehicle, such as cooperative work, follow-up work, and accompanying work in agricultural work. In addition, in cooperation work of agriculture work, in addition to "to carry out agriculture work in single package as unmanned vehicle and manned vehicle", "agriculture work in different packaging such as adjacent pavement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Unmanned vehicle and manned vehicle "may be included.

도 1 은, 자율 주행 작업 차량 및 주행 작업 차량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 는, 이들의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 1, 도 2 에 있어서,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이 되는 트랙터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트랙터의 차체부는, 보닛 (2) 내에 엔진 (3) 이 안에 설치되고, 그 보닛 (2) 의 후부의 캐빈 (11) 내에 대시보드 (14) 가 형성되고, 대시보드 (14) 상에 조향 조작 수단이 되는 스티어링 핸들 (4) 이 형성되어 있다. 그 스티어링 핸들 (4) 의 회동 (回動) 에 의해 조타 장치를 통해 전륜 (9ㆍ9) 의 방향이 회동된다. 조타 장치를 작동시키는 조타 액추에이터 (40) 는 제어부 (30) 를 구성하는 스티어링 컨트롤러 (301) 와 접속된다.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의 조타 방향은 조향 센서 (20) 에 의해 검지된다. 조향 센서 (20) 는 로터리 인코더 등의 각도 센서로 이루어지고, 전륜 (9) 의 회동 기부 (基部) 에 배치된다. 단, 조향 센서 (20) 의 검지 구성은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조타 방향이 인식되는 것이면 되며, 스티어링 핸들 (4) 의 회동을 검지하거나, 파워 스티어링의 작동량을 검지해도 된다. 조향 센서 (20) 에 의해 얻어진 검출값은 제어부 (30) 의 스티어링 컨트롤러 (301) 에 입력된다.Fig. 1 is a sid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and a traveling work vehicle, and Fig. 2 is a control block diagram showing these control configurations. 1 and 2,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tractor which becomes an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will be described. A dashboard 14 is formed in the rear cabin 11 of the bonnet 2 and a dashboard 14 is mounted on the dashboard 14. The dashboard 14 is provided with an engine 3 in the bonnet 2, A steering handle 4 is formed. And the direction of the front wheels 9, 9 is rotated through the steering apparatus by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handle 4. [ The steering actuator 40 for operating the steering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steering controller 301 constituting the control section 30. [ The steering direction of the autonomous running work vehicle 1 is detected by the steering sensor 20. [ The steering sensor 20 is composed of an angle sensor such as a rotary encoder and is disposed at a base portion of the front wheel 9. However, the detection structure of the steering sensor 20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one as long as the steering direction can be recognized, and the turning of the steering handle 4 may be detected or the operation amount of the power steering may be detected. The detection value obtained by the steering sensor 20 is input to the steering controller 301 of the control unit 30. [

제어부 (30) 는 스티어링 컨트롤러 (301), 엔진 컨트롤러 (302), 변속 제어 컨트롤러 (303), 수평 제어 컨트롤러 (304), 작업 제어 컨트롤러 (305), 측위 제어 유닛 (306), 자율 주행 제어 컨트롤러 (307) 등을 구비하고, 각각 CPU (중앙 연산 처리 장치) 나 RAM 이나 ROM 등의 기억 장치나 인터페이스 등을 구비하고, 기억 장치에는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이 기억되고, CAN 통신에 의해 각각 정보나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통신 가능하게 하고 있다.The control unit 30 includes a steering controller 301, an engine controller 302, a shift control controller 303, a horizontal control controller 304, a work control controller 305, a positioning control unit 306, 307, and the like, and each h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storage device such as a RAM or a ROM, an interface, etc. The storage device stores programs and data for operation, And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상기 스티어링 핸들 (4) 의 후방에 운전석 (5) 이 배치 형성되고, 운전석 (5) 하방에 미션 케이스 (6) 가 배치된다. 미션 케이스 (6) 의 좌우 양측에 리어 액슬 케이스 (8ㆍ8) 가 연이어 형성되고, 그 리어 액슬 케이스 (8ㆍ8) 에는 차축을 통해 후륜 (10ㆍ10) 이 지지된다. 엔진 (3) 으로부터의 동력은 미션 케이스 (6) 내의 변속 장치 (주변속 장치나 부변속 장치) 에 의해 변속되어, 후륜 (10ㆍ10) 을 구동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변속 장치는 예를 들어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로 구성하여, 가변 용량형의 유압 펌프의 가동 사판을 모터 등의 변속 수단 (44) 에 의해 작동시켜 변속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변속 수단 (44) 은 제어부 (30) 의 변속 제어 컨트롤러 (303) 와 접속되어 있다. 후륜 (10) 의 회전수는 차속 센서 (27) 에 의해 검지되고, 주행 속도로서 변속 제어 컨트롤러 (303) 에 입력된다. 단, 차속의 검지 방법이나 차속 센서 (27) 의 배치 위치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 driver's seat (5) is arranged behind the steering handle (4), and a mission case (6) is arranged below the driver's seat (5). Rear axle cases 8 and 8 are formed on both right and left sides of the transmission case 6 and the rear wheels 10 and 10 are supported by the rear axle cases 8 and 8 through an axle. The power from the engine 3 is shifted by the speed change device (peripheral speed device or auxiliary speed device) in the transmission case 6 to drive the rear wheels 10 · 10. The transmission is constituted by, for example, a hydraulic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the movable swash plate of the variable displacement hydraulic pump can be shifted by operating the transmission means 44 such as a motor. The transmission mechanism 44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control controller 303 of the control unit 30. [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rear wheel 10 is detected by the vehicle speed sensor 27 and input to the shift control controller 303 as the running speed. However, the method of detecting the vehicle speed and the position of the vehicle speed sensor 27 are not limited.

미션 케이스 (6) 내에는 PTO 클러치나 PTO 변속 장치가 수납되고, PTO 클러치는 PTO 온오프 수단 (45) 에 의해 온오프되고, PTO 온오프 수단 (45) 은 표시 수단 (49) 을 통해 제어부 (30) 의 자율 주행 제어 컨트롤러 (307) 와 접속되어, PTO 축으로의 동력의 단접 (斷接) 을 제어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또, 작업기로서 파종기나 논두렁 도포기 (畦塗機) 등을 장착한 경우, 작업기의 독자적인 제어가 가능하도록 작업기 컨트롤러 (308) 가 구비되고, 그 작업기 컨트롤러 (308) 는 정보 통신 배선 (소위, ISOBUS) 을 통해 작업 제어 컨트롤러 (305) 와 접속된다.The PTO clutch and the PTO transmission are accommodated in the transmission case 6 and the PTO clutch is turned on and off by the PTO on-off means 45. The PTO on-off means 45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0) so as to be able to control the power of the power to the PTO shaft. The work machine controller 308 is provided with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line (so-called ISOBUS) 308. The work machine controller 308 is provided with a work machine controller 308 so that the work machine can be controlled independently when a sowing machine, (Not shown).

상기 엔진 (3) 을 지지하는 프론트 프레임 (13) 에는 프론트 액슬 케이스 (7) 가 지지되고, 그 프론트 액슬 케이스 (7) 의 양측에 전륜 (9ㆍ9) 이 지지되어, 상기 미션 케이스 (6) 로부터의 동력이 전륜 (9ㆍ9) 에 전달될 수 있게 구성하고 있다. 상기 전륜 (9ㆍ9) 은 조타륜으로 되어 있어, 스티어링 핸들 (4) 의 회동 조작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함과 함께, 조타 장치의 구동 수단이 되는 파워 스티어링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조타 액추에이터 (40) 에 의해 전륜 (9ㆍ9) 이 좌우 조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타 액추에이터 (40) 는 제어부 (30) 의 스티어링 컨트롤러 (301) 와 접속되어 제어된다.A front axle case 7 is supported on a front frame 13 that supports the engine 3. Front wheels 9 and 9 are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axle case 7, So that power from the front wheels 9 and 9 can be transmitted to the front wheels 9 and 9. The front wheels 9 and 9 are steered wheels so that they can be turned by a turning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4 and are controlled by a steering actuator 40 comprising a power steering cylinder So that the front wheels 9 and 9 can be turned right and left. The steering actuator 40 is connected to the steering controller 301 of the control unit 30 and is controlled.

엔진 회전 제어 수단이 되는 엔진 컨트롤러 (302) 에는 엔진 회전수 센서 (61) 나 수온 센서나 유압 센서 등이 접속되어, 엔진의 상태를 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엔진 컨트롤러 (302) 에서는 설정 회전수와 실회전수로부터 부하를 검출하고, 과부하가 되지 않도록 제어함과 함께, 후술하는 원격 조작 장치 (112) 에 엔진 (3) 의 상태를 송신하여 표시 장치 (113) 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An engine speed sensor 61, a water temperature sensor, a hydraulic pressure sensor, and the like are connected to the engine controller 302 serving as the engine rotation control means to detect the state of the engine. The engine controller 302 detects the load from the set rotation speed and the actual rotation speed and controls the load so as not to be overloaded and sends the state of the engine 3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112 to be described later, ). ≪ / RTI >

또, 스텝 하방에 배치한 연료 탱크 (15) 에는 연료의 액면을 검지하는 레벨 센서 (29) 가 배치되어 표시 수단 (49) 과 접속되고, 표시 수단 (49) 은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의 대시보드에 형성되며, 연료의 잔량을 표시한다. 그리고, 연료의 잔량은 자율 주행 컨트롤러 (307) 로 작업 가능 시간이 연산되고, 통신 장치 (110) 를 통해 원격 조작 장치 (112) 에 정보가 송신되어, 원격 조작 장치 (112) 의 표시 장치 (113) 에 연료 잔량과 작업 가능 시간이 표시 가능해진다. 또한, 회전계, 연료계, 유압, 이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현재 위치 등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수단은 다른 구성이어도 된다.A level sensor 29 for detecting the liquid level of the fuel is disposed in the fuel tank 15 disposed below the step and connected to the display means 49. The display means 49 is connected to the fuel tank 15, It is formed on the dashboard and displays the remaining amount of fuel. The remaining amount of the fuel is calculated by the autonomous running controller 307 an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112 via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so that the display device 113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12 The remaining fuel amount and the workable time can be displayed. Further, the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rotating system, the fuel system, the hydraulic pressure, and the abnormality and the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like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대시보드 (14) 상에는 엔진의 회전계나 연료계나 유압 등이나 이상을 나타내는 모니터나 설정값 등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 (49) 이 배치되어 있다. 표시 수단 (49) 은 원격 조작 장치 (112) 와 마찬가지로 터치 패널식으로 하여, 데이터의 입력이나 선택이나 스위치 조작이나 버튼 조작 등도 가능하게 하고 있다.On the dashboard 14, a display means 49 for displaying a monitor, a setting value, or the like indicating an engine rotation system, fuel system, hydraulic pressure, or the like is disposed. The display means 49 is of a touch panel type like the remote control device 112 and enables data input, selection, switch operation, button operation, and the like.

또, 트랙터의 차체부의 후부에 작업기 장착 장치 (23) 를 개재하여 작업기로서 로터리 경운 장치 (24) 를 승강 가능하게 장착 형성시키고 있다. 상기 미션 케이스 (6) 상에 승강 실린더 (26) 가 형성되고, 그 승강 실린더 (26) 를 신축시킴으로써, 작업기 장착 장치 (23) 를 구성하는 승강 아암을 회동시켜 로터리 경운 장치 (24) 를 승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승강 실린더 (26) 는 승강 액추에이터 (25) 의 작동에 의해 신축되고, 승강 액추에이터 (25) 는 제어부 (30) 의 수평 제어 컨트롤러 (304) 와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작업기 장착 장치 (23) 의 좌우 일측의 리프트 링크에는 경사 실린더가 형성되고, 그 경사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경사 액추에이터 (47) 는 수평 제어 컨트롤러 (304) 와 접속되어 있다.A rotary tiller 24 is mounted as a working machine on a rear portion of the tractor body through a work machine attachment device 23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 elevating cylinder 26 is formed on the mission case 6 and the elevating cylinder 26 is expanded and contracted so that the elevating arm constituting the working machine mounting apparatus 23 is rotated to elevate and lower the rotary tiller 24 . The elevating cylinder 26 is expanded and contracted by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actuator 25 and the elevating actuator 25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control controller 304 of the control unit 30. [ An inclined cylinder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lift links of the machine mounting apparatus 23 and an inclination actuator 47 for operating the inclined cylinder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control controller 304. [

위치 검출부가 되는 측위 제어 유닛 (306) 에는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이동 GPS 안테나 (측위 안테나) (34) 와 데이터 수신 안테나 (38) 가 접속되고, 이동 GPS 안테나 (34) 와 데이터 수신 안테나 (38) 는 상기 캐빈 (11) 상에 형성된다. 측위 제어 유닛 (306) 에는, 위치 산출 수단을 구비하여 위도와 경도를 산출하고, 현재 위치를 표시 수단 (49) 이나 원격 조작 장치 (112) 의 표시 장치 (113) 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GPS (미국) 에 더하여 준천정 위성 (일본) 이나 그로나스 위성 (러시아) 등의 위성 측위 시스템 (GNSS) 을 이용함으로써 정밀도가 높은 측위가 가능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GPS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A positioning control unit 306 serving as a position detection unit is connected to a mobile GPS antenna (positioning antenna) 34 and a data reception antenna 38 for detecting position information, An antenna (38) is formed on the cabin (11). The positioning control unit 306 is provided with position calculation means to calculate latitude and longitude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can be displayed by the display means 49 of the display means 49 or the remote control device 112. In addition, positioning using a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GNSS) such as a quasi-satellite (Japan) or a Gronas satellite (Russia) in addition to GPS (US) is possible, but this embodiment will be explained using GPS .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은, 차체부의 자세 변화 정보를 얻기 위해 자이로 센서 (31), 및 진행 방향을 검지하기 위해 방위각 검출부 (32) 를 구비하고 제어부 (30) 와 접속되어 있다. 단, GPS 의 위치 계측으로부터 진행 방향을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방위각 검출부 (32) 를 생략할 수 있다.The autonomous running work vehicle 1 is provided with a gyro sensor 31 for obtaining posture change information of the body part and an azimuth angle detection part 32 for detecting the traveling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part 30. [ However, since the traveling direction can be calculated from the GPS position measurement, the azimuth angle detection unit 32 can be omitted.

자이로 센서 (31) 는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의 차체부 전후 방향의 경사 (피치) 의 각속도, 차체부 좌우 방향의 경사 (롤) 의 각속도, 및 선회 (요) 의 각속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그 3 개의 각속도를 적분 계산함으로써,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의 차체부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의 경사 각도, 및 선회 각도를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이로 센서 (31) 의 구체예로는, 기계식 자이로 센서, 광학식 자이로 센서, 유체식 자이로 센서, 진동식 자이로 센서 등을 들 수 있다. 자이로 센서 (31) 는 제어부 (30) 에 접속되어, 당해 3 개의 각속도에 관련된 정보를 제어부 (30) 에 입력한다.The gyro sensor 31 detects the angular velocity of the inclination (pitch) of the autonomous running work vehicle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art, the angular velocity of the inclination (roll) of the body part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angular velocity of the revolving (urin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inclination angles and the turning angl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of the autonomous running work vehicle 1 by integrally calculating the three angular velocities. Specific examples of the gyro sensor 31 include a mechanical gyro sensor, an optical gyro sensor, a fluid type gyro sensor, and a vibration type gyro sensor. The gyro sensor 31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0 and inpu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three angular velocities to the control unit 30. [

방위각 검출부 (32) 는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의 방향 (진행 방향) 을 검출하는 것이다. 방위각 검출부 (32) 의 구체예로는 자기 방위 센서 등을 들 수 있다. 방위각 검출부 (32) 는 CAN 통신 수단을 통해 자율 주행 제어 컨트롤러 (307) 에 정보가 입력된다.The azimuth detection unit 32 detects the direction (traveling direction) of the autonomous running work vehicle 1. A concrete example of the azimuth detection unit 32 may be a self-orientation sensor or the like. The azimuth detection unit 32 inputs information to the autonomous drive control controller 307 via the CAN communication means.

이렇게 하여 자율 주행 제어 컨트롤러 (307) 는, 상기 자이로 센서 (31), 방위각 검출부 (32) 로부터 취득한 신호를 자세ㆍ방위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하여,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의 자세 (방향, 차체부 전후 방향 및 차체부 좌우 방향의 경사, 선회 방향) 를 구한다.In this way, the autonomic drive control controller 307 calculates the signals obtained from the gyro sensor 31 and the azimuth angle detection unit 32 by the attitude and orientation calculation means to calculate the attitude (direction, Front-rear direction, and the body-side lateral direction).

다음으로,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의 위치 정보를 위성 측위 시스템의 하나인 GPS (글로벌ㆍ포지셔닝ㆍ시스템) 를 이용하여 취득한다.Next,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is acquired by usin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which is one of the satellite positioning systems.

GPS 를 이용한 측위 방법으로는, 단독 측위, 상대 측위, DGPS (디퍼렌셜 GPS) 측위, RTK-GPS (리얼타임 키네마틱 GPS) 측위 등 여러 가지의 방법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방법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측정 정밀도가 높은 RTK-GPS 측위 방식을 채용한다.There are various methods such as single positioning, relative positioning, DGPS (differential GPS) positioning, RTK-GPS (real-time kinematic GPS) positioning, and any of these methods can be used as the positioning method using GPS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RTK-GPS positioning method with high measurement accuracy is employed.

RTK-GPS 측위는, 위치를 알고 있는 기준국과, 위치를 구하고자 하는 이동국에서 동시에 GPS 관측을 실시하고, 기준국에서 관측한 데이터를 무선 등의 방법으로 이동국에 리얼타임으로 송신하고, 기준국의 위치 성과에 기초하여 이동국의 위치를 리얼타임으로 구하는 방법이다.In the RTK-GPS positioning, GPS observation is performed simultaneously in the reference station that knows the location and the mobile station in which the location is to be determined, and the data observed in the reference station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station in real time, The position of the mobile station on the basis of the positional performance of the mobile station.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에 이동국이 되는 측위 제어 유닛 (306) 과 이동 GPS 안테나 (34) 와 데이터 수신 안테나 (38) 가 배치되고, 기준국이 되는 고정 통신기 (35) 와 고정 GPS 안테나 (36) 와 데이터 송신 안테나 (39) 가 소정 위치에 배치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RTK-GPS 측위는, 기준국 및 이동국의 양방에서 위상의 측정 (상대 측위) 을 실시하여, 기준국의 고정 통신기 (35) 로 측위한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 안테나 (39) 로부터 데이터 수신 안테나 (38) 에 송신한다.In this embodiment, the positioning control unit 306, the mobile GPS antenna 34, and the data reception antenna 38 are arranged in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and the stationary communicator 35 serving as the reference station, A fixed GPS antenna 36 and a data transmission antenna 39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The RTK-GPS positioning of the present embodiment performs phase measurement (relative positioning) in both the reference station and the mobile station to transmit data positioned in the fixed communicator 35 of the reference station from the data transmitting antenna 39 And transmits it to the antenna 38.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에 배치된 이동 GPS 안테나 (34) 는 GPS 위성 (37ㆍ37…) 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다. 이 신호는 측위 제어 유닛 (306) 에 송신되어 측위된다. 그리고, 동시에 기준국이 되는 고정 GPS 안테나 (36) 로 GPS 위성 (37ㆍ37…) 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고정 통신기 (35) 로 측위하여 측위 제어 유닛 (306) 에 송신하고, 관측된 데이터를 해석하여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한다.A mobile GPS antenna 34 disposed in the autonomous running work vehicle 1 receives signals from GPS satellites 37, 37, .... This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ositioning control unit 306 and is positioned. At the same time, the fixed GPS antenna 36 serving as the reference station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GPS satellites 37, 37, ..., transmits it to the positioning control unit 306 to guide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35, And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mobile station.

이렇게 하여, 자율 주행 컨트롤러 (307) 는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을 자율 주행시키는 자율 주행 수단으로서 구비된다. 요컨대, 자율 주행 컨트롤러 (307) 와 접속된 각종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의 주행 상태를 각종 정보로서 취득하고, 자율 주행 컨트롤러 (307) 와 접속된 각종 제어 유닛에 의해,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의 자율 주행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GPS 위성 (37ㆍ37…) 으로부터 송신되는 전파를 수신하여 측위 제어 유닛 (306) 에 있어서 설정 시간 간격으로 차체부의 위치 정보를 구하고, 자이로 센서 (31) 및 방위각 검출부 (32) 로부터 차체부의 변위 정보 및 방위 정보를 구하고, 이들 위치 정보와 변위 정보와 방위 정보에 기초하여 차체부가 미리 설정한 경로 (주행 경로와 작업 경로) (R) 를 따라 주행하도록, 조타 액추에이터 (40), 변속 수단 (44), 승강 액추에이터 (25), PTO 온오프 수단 (45), 엔진 컨트롤러 (302) 등을 제어하여 자율 주행하고 자동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this way, the autonomic drive controller 307 is provided as an autonomous running means for autonomously running the autonomous-traveling work vehicle 1. That is, the various information acquisition units connected to the autonomous drive controller 307 acquire the running state of the autonomous running work vehicle 1 as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nd by the various control units connected to the autonomous drive controller 307, Thereby controlling the autonomous traveling of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More specifically, the positioning control unit 306 receives the radio waves transmitted from the GPS satellites 37, 37, ..., and obtain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body part at set time interval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body part is obtained from the gyro sensor 31 and the azimuth detection part 32 (The traveling path and the working path) R, which are preset on the basis of the position information, the displacement information, and the azimuth information, based on the displacement information and azimuth information of the vehicle body, Off means 45, the engine controller 302, and the like so as to be able to autonomously run and work automatically.

또,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에는 장애물 센서 (41) 가 배치되고 제어부 (30) 와 접속되어, 장애물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장애물 센서 (41) 는 레이저 센서나 초음파 센서나 카메라로 구성하여 차체부의 전부나 측부나 후부에 배치하여 제어부 (30) 와 접속하고, 제어부 (30) 에 의해 차체부의 전방이나 측방이나 후방에 장애물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장애물이 설정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면 주행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한다.An obstacle sensor 41 is disposed in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0 so as not to collide with the obstacle. For example, the obstacle sensor 41 may be a laser sensor, an ultrasonic sensor, or a camera and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rear, or rear of the vehicle body to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0, It is detected whether or not there is an obstacle behind the obstacle, and when the obstacle approaches the set distance, the driving is stopped.

또,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에는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 (42F) 나 후방의 작업기나 작업 후의 포장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 (42R) 가 탑재되고 제어부 (30) 와 접속되어 있다. 카메라 (42Fㆍ42R) 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캐빈 (11) 의 루프의 전부 위와 후부 위에 배치하고 있지만, 배치 위치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캐빈 (11) 내의 전부 위와 후부 위나 1 개의 카메라 (42) 를 차체부 중심으로 배치하여 연직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주위를 촬영해도 되고, 복수의 카메라 (42) 를 차체부의 네 모서리에 배치하여 차체부 주위를 촬영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캐빈 (11) 이나 보닛 (2) 등에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의 제조사의 엠블럼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 당해 엠블럼의 배면측에 카메라 (42Fㆍ42R) 를 배치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그 경우, 엠블럼 내에는 관통공 혹은 소정의 간극이 설정되고, 카메라 (42Fㆍ42R) 의 렌즈가 당해 관통공 혹은 간극의 위치에 상당함으로써 촬영이 방해받지 않는다. 카메라 (42Fㆍ42R) 로 촬영된 영상은 주행 작업 차량 (100) 에 구비된 원격 조작 장치 (112) 의 표시 장치 (113) 에 표시된다.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is also provided with a camera 42F for photographing the front side, a rear working machine, and a camera 42R for photographing the packaging state after the work,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section 30.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meras 42F and 42R are disposed on the upper and rear portions of the roof of the cabin 11. However, the positions of the cameras 42F and 42R are not limited, and the cameras 42 and 42 may be disposed on the cabin 11, The periphery of the vehicle body may be photographed by arranging the cameras 42 around the vertical axis and arranging the plurality of cameras 42 at four corners of the vehicle body. When the emblem of the manufacturer of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is attached to the cabin 11 or the bonnet 2, the cameras 42F and 42R may be arranged on the back side of the emblem. In this case, a through hole or a predetermined gap is set in the emblem, and the lens of the camera 42F or 42R corresponds to the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or gap, so that the shooting is not disturbed.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s 42F and 42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13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12 provided in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

원격 조작 장치 (112) 는 상기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의 후술하는 경로 (R) 를 설정하거나,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을 원격 조작하거나,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의 주행 상태나 작업기의 작동 상태를 감시하거나, 작업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하는 것으로, 제어부 (CPU 나 메모리) (130) 나 통신 장치 (111) 나 표시 장치 (113) 나 기억 장치 (114) 등을 구비한다.The remote control device 112 sets the path R to be described later of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or remotely operates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or controls the traveling state of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A CPU or a memory) 130, a communication device 111, a display device 113, a storage device 114, and the like.

유인 주행 차량이 되는 주행 작업 차량 (100) 은 작업자가 승차하여 운전 조작함과 함께, 주행 작업 차량 (100) 에 원격 조작 장치 (112) 를 탑재하여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을 조작 가능하게 하고 있다. 주행 작업 차량 (100) 의 기본 구성은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과 거의 동일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주행 작업 차량 (100) (또는 원격 조작 장치 (112)) 에 GPS 용 제어 유닛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to be the manned driving vehicle is operated by the operator to ride and operate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by mount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112 on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have.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GPS control unit in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or the remote control device 112).

원격 조작 장치 (112) 는, 주행 작업 차량 (100) 및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의 대시보드나 캐빈 (11) 의 필러 등에 형성되는 장착부 (도시하지 않은 예를 들어 원격 조작 장치 (112) 를 장착 고정 가능한 아암 부재) 에 착탈 가능하게 하고 있다. 원격 조작 장치 (112) 는 주행 작업 차량 (100) 의 장착부에 장착한 채로 조작하는 것도, 주행 작업 차량 (100) 의 밖으로 가지고 나와 휴대하여 조작하는 것도,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의 장착부에 장착한 채로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원격 조작 장치 (112) 는 예를 들어 노트형이나 태블릿형의 퍼스널 컴퓨터 등의 무선 통신 단말로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태블릿형의 컴퓨터로 구성하고 있다.The remote control device 112 includes a mounting portion (not shown, for example, a remote control device 112) formed on the dashboard of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and the autonomy traveling work vehicle 1, And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an arm member that can be mounted and fixed. The remote control device 112 can be operated while being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or can be carried out by carrying it out of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or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It is also possible to operate it as it is. The remote control device 112 can be constituted by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notebook type or a tablet type personal computer. In this embodiment, a tablet-type computer is used.

또한, 원격 조작 장치 (112) 와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은 무선으로 서로 통신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으며,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과 원격 조작 장치 (112) 에는 통신하기 위한 통신 장치 (110 ㆍ111)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통신 장치 (111) 는 원격 조작 장치 (112) 에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신 수단은 예를 들어 WiFi 등의 무선 LAN 으로 서로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원격 조작 장치 (112) 는 화면에 접촉함으로써 조작 가능한 터치 패널식의 조작 화면으로 한 표시 장치 (113) 를 케이싱 표면에 형성하고, 케이싱 내에 통신 장치 (111) 나 제어부 (130) 나 기억 장치 (114) 나 배터리 등을 수납하고 있다.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and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12 ar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irelessly. 111 are formed. The communication device 111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mote control device 112. [ The communication means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a wireless LAN such as WiFi, for example. The remote control device 112 forms a display device 113 on the casing surface with a touch panel type operation screen that is operable by touching the screen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device 111 and the control unit 130 or the storage device 114 ) And batteries.

다음으로, 경로 생성 장치가 되는 원격 조작 장치 (112) 에 의해 경로 (R) 를 설정하는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은, 원격 조작 장치 (112) 의 표시 장치 (113) 에 표시되는 초기 화면을 나타낸다. 단,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이 구비하는 제어부 (30) 에 의해 경로 (R) 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Next, the procedure for setting the route R by the remote control device 112 as the route generating device will be described. Fig. 3 shows an initial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13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12. Fig.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route R by the control unit 30 included in the autonomous running work vehicle 1.

원격 조작 장치 (112) 의 표시 장치 (113) 는 터치 패널식으로 하고 있으며, 전원을 온하여 원격 조작 장치 (112) 를 기동시키면 초기 화면이 나타나도록 하고 있다. 초기 화면에서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랙터 설정 버튼 (201), 포장 설정 버튼 (202), 경로 생성 설정 버튼 (203), 데이터 전송 버튼 (204), 작업 개시 버튼 (205), 종료 버튼 (206) 이 표시된다.The display device 113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12 is of a touch panel type, and when the power is turned on to start the remote control device 112, an initial screen is displayed. In the initial screen, as shown in Fig. 3, a tractor setting button 201, a package setting button 202, a path generation setting button 203, a data transfer button 204, a work start button 205, 206 are displayed.

먼저, 트랙터 설정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the tractor setting will be described.

트랙터 설정 버튼 (201) 을 터치하면, 과거에 이 원격 조작 장치 (112) 에 의해 트랙터를 사용하여 작업을 실시한 경우, 요컨대, 과거에 설정한 트랙터가 존재하는 경우, 그 트랙터명 (기종) 이 표시된다. 표시된 복수의 트랙터명으로부터 이번에 사용하는 트랙터명을 터치하여 선택하면, 그 후, 후술하는 포장 설정으로 진행되거나, 혹은, 초기 화면으로 되돌아가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tractor setting button 201 is touched and the tractor is used by the remote control device 112 in the past, in other words, when the tractor set in the past exists, the tractor name (model) do. If a tractor name to be used at this time is selected by touching from a plurality of displayed tractor names, it is possible to proceed to the later-described package setting or return to the initial screen.

신규로 트랙터 설정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트랙터의 기종을 특정한다. 이 경우, 기종명을 직접 입력한다. 혹은, 복수의 트랙터의 기종을 표시 장치 (113) 에 일람 표시하게 하여 원하는 기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When a new tractor setting is performed, the model of the tractor is specified. In this case, input the model name directly. Alternatively, a model of a plurality of tractors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13 so that a desired model can be selected.

트랙터의 기종이 설정되면, 트랙터에 장착되는 작업기의 사이즈, 형상, 작업기의 위치의 설정 화면이 나타난다. 작업기의 위치는 예를 들어 전부인지, 전륜과 후륜의 사이인지, 후부인지, 오프셋인지를 선택한다.When the model of the tractor is set, a screen for setting the size, shape, and working machine position of the working machine mounted on the tractor is displayed. The position of the working machine is selected, for example, whether it is all, whether it is betwee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whether it is the rear wheel or the offset.

작업기의 설정이 종료되면, 작업 중의 차속, 작업 중의 엔진 회전수, 선회시의 차속, 선회시의 엔진 회전수의 설정 화면이 나타난다. 작업 중의 차속은 왕로와 귀로에서 상이한 차속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When the setting of the working machine is ended, a screen for setting the vehicle speed during the operation, the engine speed during the operation, the vehicle speed at the time of turning, and the engine speed at the time of turning is displayed.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speed of the vehicle during the operation to a different vehicle speed in the roadway and the return roadway.

차속 및 엔진 회전수의 설정이 종료되면, 후술하는 포장 설정으로 진행되거나, 혹은, 초기 화면으로 되돌아가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setting of the vehicle speed and the number of engine revolutions is completed, it is possible to advance to the package setting described later or to return to the initial screen.

다음으로, 포장 설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는, 포장 설정시에 있어서 자율 주행 작업 차량에 사용자가 탑승하여 실시하는 외주 주행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5 는, 작업 영역, 개자리 영역 등, 포장 내에 설정되는 영역을 나타낸다.Next, the packaging setting will be described. Fig. 4 shows a stat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running carried out by the user on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in the package setting. Fig. 5 shows an area set in the package, such as a work area, an interposer area, and the like.

포장 설정 버튼 (202) 을 터치하면, 과거에 이 원격 조작 장치 (112) 에 의해 트랙터를 사용하여 작업을 실시한 경우, 요컨대, 과거에 설정한 포장이 존재하는 경우, 설정되어 있는 포장의 이름이 표시된다. 표시된 복수의 포장명으로부터 이번에 작업을 실시하는 포장명을 터치하여 선택하면, 그 후, 후술하는 경로 생성 설정으로 진행되거나, 혹은, 초기 화면으로 되돌아가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설정된 포장을 편집 또는 신규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When the package setting button 202 is touched and the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the tractor by the remote control device 112 in the past, in other words, when the package set in the past exists, the name of the set package is displayed do. If a package name to perform an operation is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displayed package names by touching, then it is possible to proceed to the path creation setting described later or return to the initial screen. It is also possible to edit the set package or set a new package.

등록된 포장이 없는 경우에는, 신규의 포장 설정이 된다. 신규의 포장 설정을 선택하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랙터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를 포장 (H) 내의 네 모서리 중 1 개의 모서리 (A) 에 위치하게 하고, 「측정 개시」의 버튼을 터치한다. 그 후, 트랙터를 포장 (H) 의 외주를 따라 주행하게 하여 포장 형상을 등록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등록된 포장 형상으로부터, 모서리 위치 (AㆍBㆍCㆍD) 나 변곡점을 등록하여 포장 형상을 특정한다.If there is no registered package, it becomes a new package setting. When the new packing setting is selected, as shown in Fig. 4, the tractor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is placed at one corner (A) of four corners in the package H, Touch the button. Thereafter, the tractor is caused to travel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ckage H to register the package shape. Next, the operator registers the corner positions (A, B, C, and D) and inflection points from the registered package shape to specify the package shape.

포장 (H) 이 특정되면,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개시 위치 (S) 와, 작업 개시 방향 (F) 과, 작업 종료 위치 (G) 를 설정한다. 이 포장 (H) 내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장애물의 위치까지 트랙터를 이동시키고, 「장애물 설정」버튼을 터치하여, 그 주위를 주행하여, 장애물 설정을 실시한다. 또한, 표시 장치 (113) 에는 포장의 지도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당해 지도 화상에, 상기 특정된 포장 형상이 중첩 표시되는 경우, 표시 장치 (113) 상에서 장애물의 주위를 지정함으로써, 장애물 설정을 실시할 수 있어도 된다.When the package H is specified, a work start position S, a work start direction F, and a work end position G are set as shown in Fig. If an obstacle exists in the package H, the tractor is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and the "obstacle setting" button is touched to travel around the obstacle setting.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a map image of the package on the display device 113. In the case where the specified package shape is superimposed on the map image, the periphery of the obstacle is designated on the display device 113, May be performed.

상기 작업이 종료되거나, 또는, 과거에 등록한 포장을 선택하면, 확인 화면이 되어, OK (확인) 버튼과 「편집/추가」버튼이 표시된다. 과거에 등록한 포장에 변경이 있는 경우에는, 「편집/추가」버튼을 터치한다.When the above operation is completed or a package registered in the past is selected, a confirmation screen is displayed, and an OK button and an "edit / add" button are displayed. If there is a change in the package registered in the past, touch the "Edit / Add" button.

상기 포장 설정에 있어서 OK 버튼을 터치하면, 경로 생성 설정이 된다. 경로 생성 설정은 초기 화면에서 경로 생성 설정 버튼 (203) 을 터치하는 것에 의해서도 경로 생성 설정이 가능해진다.When the OK button is touched in the package setting, path creation is set. The route creation setting can also be set by creating a route by touching the route creation setting button 203 on the initial screen.

경로 생성 설정에서는,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에 대해 주행 작업 차량 (100) 이 어느 위치에서 주행할지의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 요컨대,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과 주행 작업 차량 (100) 의 위치 관계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1) 주행 작업 차량 (100) 이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의 좌측 후방에 위치한다. (2) 주행 작업 차량 (100) 이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의 우측 후방에 위치한다. (3) 주행 작업 차량 (100) 이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의 바로 뒤에 위치한다. (4) 주행 작업 차량 (100) 은 수반하지 않는다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만으로 작업을 실시한다). 의 4 종류가 표시되고, 터치함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In the route generation setting, a selection screen is displayed on the autonomous running work vehicle 1 from which position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should travel. In shor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and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is set. Specifically, (1)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is located on the left rear side of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2)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is located on the right rear side of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3)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is positioned directly behind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3) (4)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is not accompanied (the work is performed only by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Are displayed and can be selected by touching.

다음으로, 주행 작업 차량 (100) 의 작업기의 폭을 설정한다. 요컨대, 작업기의 폭을 숫자로 입력한다.Next, the width of the working machine of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is set. In short, the width of the working machine is input as a number.

다음으로, 스킵수를 설정한다. 요컨대,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이 포장 외주 단부 (端部) (개자리) 에 이르러 제 1 경로에서 제 2 경로로 이동할 때에, 경로를 몇 개 건너뛸지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1) 스킵하지 않는다. (2) 1 열 스킵. (3) 2 열 스킵. 중 어느 것을 선택한다.Next, the number of skips is set. That is, the number of paths to skip when the autonomous running work vehicle 1 moves from the first path to the second path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ckage (one end) is set. Specifically, (1) Do not skip. (2) One column skip. (3) Skip two rows. .

다음으로, 오버랩의 설정을 실시한다. 요컨대, 작업 경로와 인접하는 작업 경로에 있어서의 작업폭의 중복량의 설정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1) 오버랩하지 않는다. (2) 오버랩한다. 를 선택한다. 또한, 「오버랩한다」를 선택하면, 수치 입력 화면이 표시되고, 수치를 입력하지 않으면 다음으로 진행될 수 없다.Next, overlap is set. In short, the overlap amount of the work width in the work path adjacent to the work path is set. Specifically, (1) does not overlap. (2) overlap. . If "overlap" is selected, the numerical value input screen is displayed, and if the numerical value is not inputted, the next step can not be performed.

다음으로, 외주 설정이 실시된다. 요컨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과 주행 작업 차량 (100) 에 의해, 또는,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에 의해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 영역 (HA) 의 외측의 영역이 설정된다. 바꾸어 말하면, 포장단에서 비작업 상태로 하여 선회 주행하는 개자리 (HB) 와, 개자리 (HB) 와 개자리 (HB) 사이의 좌우 양측의 포장 외주에 접하는 비작업 영역으로 하는 측부 여유지 (HC) 가 설정된다. 따라서, 포장 (H) = 작업 영역 (HA) + 개자리 (HB) + 개자리 (HB) + 측부 여유지 (HC) + 측부 여유지 (HC) 가 된다. 통상적으로, 개자리 (HB) 의 폭 (Wb) 과 측부 여유지 (HC) 의 폭 (Wc) 은, 주행 작업 차량 (100) 이 장착한 작업기의 폭의 2 배 이하의 길이로 하여,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과 주행 작업 차량 (100) 에 의한 수반 작업이 종료된 후에, 작업자가 주행 작업 차량 (100) 에 올라타고, 수동 조작으로 외주를 2 바뀌 돎으로써,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단, 포장 외주의 형상이 복잡하지 않은 경우에는,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으로 외주를 작업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외주 설정에 있어서, 개자리 (HB) 의 폭 (Wb) 및 측부 여유지 (HC) 의 폭 (Wc) 은, 작업기의 폭에 따라 자동적으로 소정의 폭으로 산출되지만, 산출된 개자리 (HB) 의 폭 (Wb) 및 측부 여유지 (HC) 의 폭 (Wc) 은, 임의의 폭으로 변경 가능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폭으로 변경한 다음에, 변경 후의 폭 (Wb), 폭 (Wc) 을 각각 개자리 (HB) 의 폭, 측부 여유지 (HC) 의 폭으로서 설정 가능하다. 단, 임의의 폭으로 변경 가능한 경우, 포장 내에 있어서의 주행, 작업 그리고 안전성을 고려하여 산출되는 최소 설정폭 이하로 설정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개자리 (HB) 나 측부 여유지 (HC) 에 있어서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이 주행이나 선회한 경우에, 작업기가 포장 밖으로 튀어나오지 않는 것을 보증하는 폭이 최소 설정폭으로서 산출된다.Next, the outer circumference setting is performed.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5, by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and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or by the area outside the work area HA where work is performed by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Is set. In other words, the side seals HC, which are the non-working areas contacting with the outer peripheries of the left and right side packaging between the one side edge HB and the one side edge HB, Respectively. Therefore, the package H becomes the working area HA + the interposer HB + the interposer HB + the side holding HC + the side holding HC. The width Wb of the one leg HB and the width Wc of the side holding HC are set to be not more than twice the width of the working machine mounted on the traveling working vehicle 100, The worker can get on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after finishing the work performed by the vehicle 1 and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and finish the work by manually changing the outer periphery by two. However, when the shap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ckage is not complicated, it is also possible to work the outer periphery with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The width Wb of the single edge HB and the width Wc of the side edge holding HC are automatically calculated to a predetermined width in accordance with the width of the working machine in the outer peripheral setting, The width Wb of the side support HC and the width Wc of the side support HC can be changed to an arbitrary width so that the user can change the width Wb and width Wc after the change to a desired width, The width of the single edge HB, and the width of the side margin HC. However, when the width can be changed to an arbitrary width, it can not be set to the minimum setting width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running, work, and safety in the package. For example, when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is running or turning in the single-legged position HB or the side holding wheels HC, the width for ensuring that the working machine does not protrude out of the package is calculated as the minimum setting width .

상기의 각종 설정의 입력이 종료되면, 확인 화면이 나타나고, 확인을 터치하면, 자동으로 경로 (R) 가 생성된다. 경로 (R) 는 작업 경로 (Ra) 와 주행 경로 (Rb) 로 이루어지고, 작업 경로 (Ra) 는 작업 영역 (HA) 내에서 생성되는 경로로, 작업을 실시하면서 주행하는 경로이며, 직선의 경로가 된다. 단, 작업 영역 (HA) 이 사각형이 아닌 경우에는 작업 영역 (HA) 밖의 영역 (개자리 (HB) 와 측부 여유지 (사이드 마진) (HC)) 으로 비어져 나오는 경우도 있다. 주행 경로 (Rb) 는 작업 영역 (HA) 밖의 영역에서 생성되는 경로로, 작업을 실시하지 않고 주행하는 경로이며, 직선과 곡선을 조합한 경로가 된다. 주로, 개자리 (HB) 에서의 선회 주행이 된다.When the input of the various settings is completed, a confirmation screen is displayed, and when the confirmation is touched, the route R is automatically generated. The route R is composed of a working route Ra and a traveling route Rb and the working route Ra is a route generated in the working area HA while traveling while performing an operation. . However, when the work area HA is not a quadrangle, the work area HA may be emptied out of the work area HA (an open edge HB and a side margin HC). The traveling route Rb is a route generated in an area outside the working area HA, and travels without performing an operation, and is a route combining a straight line and a curved line. It is mainly turning in a dogleg (HB).

상기 경로 (R) 는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과 주행 작업 차량 (100) 의 경로 (R) 가 생성된다.The route R is generated between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and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

상기 작업 경로 생성 후에 그 작업 경로를 보고 싶은 경우에는, 경로 생성 설정 버튼 (203) 을 터치함으로써 시뮬레이션 화상이 표시되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생성 설정 버튼 (203) 을 터치하지 않더라도 경로 (R) 는 생성되어 있다. 경로 생성 설정의 각 항목을 설정하면, 경로 생성 설정이 표시되고, 그 하부에 「경로 설정 버튼」 「데이터 전송한다」 「홈으로 되돌아간다」를 선택할 수 있게 표시된다.When it is desired to view the work route after the work route is generated, a simulation image is displayed by touching the route creation setting button 203 and can be confirmed. In addition, the route R is generated even if the route creation setting button 203 is not touched. When each item of the path generation setting is set, the path generation setting is displayed, and a "path setting button", "data transfer", and "return to the home" are displayed in a lower part thereof.

경로 생성 설정으로 생성된 경로 (경로 (R)) 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때에는, 초기 화면에서 형성된 데이터 전송 버튼 (204) 을 터치함으로써 전송할 수 있다. 이 전송은 원격 조작 장치 (112) 로 실시되기 때문에, 이들 설정한 정보를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의 제어 장치에 전송할 필요가 있다. 이 전송은, (1) 단자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방법과, (2) 무선으로 전송하는 방법이 있으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USB 케이블을 사용하여 원격 조작 장치 (112) 와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의 제어 장치를 직접 연결하거나, 혹은, USB 메모리에 일단 기억시키고 나서,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의 USB 단자에 접속하여 전송한다. 또, 무선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WiFi (무선 LAN) 를 이용하여 전송한다.When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n the path (route R) generated by the path generation setting, the data transfer button 204 formed on the initial screen can be touched to transmit. Since this transmission is performed by the remote control device 112, it is necessary to transmit the set information to the control device of the autonomous running work vehicle 1. [ This transmission includes a method of transmitting using the terminal (1) and a method of wirelessly transmitting (2). In this embodiment, when the terminal is used, And the control device of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are directly connected or stored in the USB memory once and then connected to the USB terminal of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for transmission. In the case of wireless transmission, the data is transmitted using WiFi (wireless LAN).

이하, 포장 형상을 등록하는 포장 설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ackage setting for registering the package shap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종래, 포장 주변부를 매뉴얼 운전 (티칭 주행) 함으로써 얻어지는 학습 주행 데이터에 의해 얻어지는 포장 구획이나 기준 주행 방위의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경로를 설정하는 것은 실시되고 있지만, 실제의 포장에 있어서의 끝, 요컨대, 포장과 논두렁, 도로의 경계는, 토지의 특징 등에 따라 반드시 직선은 아니어서, 티칭 주행에 있어서 충실하게 그 경계를 따라 주행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 티칭 주행에 의해 얻어진 측위 데이터에는, 국소적으로 포장 내측으로 비어져 나온 전신주, 취수 밸브, 벽 등의 장애물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개자리 작업이나 사이드 마진의 마무리 작업을 자율 주행 작업 차량에 자율적으로 실시하게 할 수는 없었다. 그래서, 주행 영역에 관한 각종 정보를 취득하고, 이들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차량 (100) 이 주행하는 주행 영역의 형상을 특정 가능하게 하고 있다.Conventionally, a work path is set based on information of a package compartment or a reference running direction obtained by learning running data obtained by manual operation (teaching running) of a package peripheral portion. However, the end of actual packaging, that is, The boundaries of the pavement, the rice paddies, and the roads are not always straight lin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 and it is difficult to faithfully travel along the boundary in the teaching run. In the positioning data obtained by the teaching run, there is no information on obstacles such as a telephone pole, a water intake valve, and a wall, which are locally buried in the package, so that the finishing work of the canopy or the side margin is carried out on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It could not be done autonomously. Thu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regarding the travel area are acquired, and the shape of the travel area on which the work vehicle 100 travels can be specified based on the information.

도 6 은, 포장단의 경계 부분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 등에서 기인하여 국소적으로 복잡한 형상 변화를 갖는 포장을 나타내고 있으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포장 (H) 의 변 (DA) 에 포장 내측으로 돌출되는 전신주가 존재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7 은, 포장단의 형상을 주변 정보로서 인식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에서는 전신주를 인식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8 은, 주변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궤적을 보정한 후에 등록되는 포장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에서는 포장 (H) 의 내측으로 튀어나온 전신주를 고려한 포장 외주 형상을 등록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6 shows a package having a locally complicated shape change due to the presence of an obstacle at the boundary of the package end. In this embodim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an example in which a telephone pole exists. Fig.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shape of the package end is recognized as peripheral information. Here, a figure in which a telephone pole is recognized is shown. Fig. 8 shows a package shape registered after correcting the travel locus based on the peripheral information. Here, the outer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package is registered in consideration of the electric pole protruding to the inside of the package H in this case.

원격 조작 장치 (112) 의 표시 장치 (113) 상에서 포장 설정 버튼 (202) 을 터치하여, 신규로 포장 설정을 실시하는 경우 또는 기존의 포장을 편집하여 다시 포장 설정을 실시하는 경우, 「측정 개시」버튼을 터치한 후에,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을 주행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을 포장 (H) 의 네 모서리 중 1 개의 모서리 (A) 에 위치하게 하고, 「측정 개시」버튼을 터치하여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을 포장 (H) 의 외주를 따라 주행시킨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때, 측위 제어 유닛 (306) 에 있어서, GPS 위성 (37ㆍ37…) 으로부터 송신되는 전파를 수신하여 차체부의 위치 정보가 취득됨과 동시에, 자이로 센서 (31) 및 방위각 검출부 (32) 에 의해, 차체부의 변위 정보 및 방위 정보가 취득된다. 이와 같이 취득되는 차체부의 위치 정보, 변위 정보 및 방위 정보에 기초한 주행 궤적 정보가 취득된다.When the package setting button 202 is touched on the display device 113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12 to newly set the package or to edit the existing package to perform package setting again, After touching the button,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runs. In this embodiment,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is placed at one corner (A) of four corners of the package H, and the "measurement start" button is touched to package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H)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vehicle. At this time, the positioning control unit 306 receives the radio waves transmitted from the GPS satellites 37, 37, ... and acquir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body part, and at the same time, the gyro sensor 31 and the azimuth angle detector 32, Displacement information and azimuth information of the vehicle body are acquired. The travel sign information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the displacement information, and the azimuth information of the vehicle body thus acquired is acquired.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을 포장 (H) 의 외주를 따라 주행시킬 때,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의 주변 환경을 인식하기 위해 배치된 장애물 센서 (41) 및/또는 카메라 (42Fㆍ42R) 에 의해,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의 주변 정보 (환경 정보) 가 아울러 취득된다. 「주변 정보」란, 예를 들어 카메라 등의 촬상 수단으로서 구성되는 장애물 센서 (41) 에 의해 얻어진 차체부의 전부 및 측부의 영상, 카메라 (42F) 에 의해 얻어진 영상, 혹은, 레이저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등의 거리 센서로서 구성되는 장애물 센서 (41) 에 의한 포장단과 논두렁 등의 포장 밖의 경계에 관한 정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방 카메라 (42F) 에 의한 영상을 주변 정보로서 취득하고, 표시 장치 (113) 에 표시하고 있다.The obstacle sensor 41 and / or the cameras 42F and 42R arranged to recognize the surroundings of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when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travels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ckage H,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autonomous running work vehicle 1 are also acquired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 of the first embodiment. The term " peripheral information " includes, for example, images of all and a side of the vehicle body obtained by the obstacle sensor 41 constituted by imaging means such as a camera, an image obtained by the camera 42F or a laser sensor or an ultrasonic sensor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package end and the outside of the package such as a rice paddle by the obstacle sensor 41 constituted as a distance sensor of the vehicle.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image obtained by the front camera 42F is acquired as peripheral information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13. [

그와 같이 하여 얻어진 주변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궤적 정보를 보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주변 정보로서 얻어지는 영상 등에 기초하여 포장 (H) 의 실제의 외주단을 파악하고, 그것에 맞추도록 주행 궤적을 외측 또는 내측으로 수정함으로써 주행 궤적 정보를 보정하여 포장 (H) 의 외주 형상을 등록한다. 그리고, 그 외주 형상에 기초하여 포장 (H) 의 외주의 주행 경로를 설정한다. 요컨대, 포장 (H) 의 외주를 주행할 때에는, 장애물을 적절히 피하도록 주행하지만, 장애물의 성질에 따라, 그 때 회피한 경로보다 내측 또는 외측에 포장 외주를 등록할 필요가 있는 바, 본 실시형태와 같이 주변 정보로서 취득된 영상 등으로부터 장애물의 형상, 공중으로 밀어 올린 크기 등을 이용하여, 장애물에 따른 적정한 회피량을 설정하고, 경로 생성 설정에 있어서의 주행 경로의 설정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And corrects the travel sign information based on the thus obtained peripheral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actual peripheral edge of the package H is grasped on the basis of the image or the like obtained as the peripheral information, and the traveling locus is corrected to the outside or the inside so as to match the actual periphery, thereby correcting the traveling locus information, . Then, the traveling rout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ckage H is set based on the outer peripheral shape. In other words, when traveling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ckage H, it is necessary to register the outer perimeter of the package on the inner side or the outer side of the path avoiding the obstacle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obstacle, It is also possible to set an appropriate avoiding amount according to the obstacle by using the shape of the obstacle, the size pushed up to the air, etc. from the image or the like acquired as the peripheral information, and to use it for setting the traveling route in the route generating setting.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행 궤적 정보와 주변 정보 (환경 정보) 에 기초하여 주행 궤적 정보를 보정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주행 궤적 정보를 보정하지 않는 것이 있어도 되고, 혹은, 보정 궤적 정보를 보정할지 여부를 선택 가능해도 된다. 보정 궤적 정보를 보정하지 않는 경우로는, 예를 들어, 주변 정보에 있어서 주행 궤적 정보에 영향을 주는 외적 요인 (예를 들어, 포장단의 부근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나 포장단이 곡선 형상인 경우) 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경우, 주변 정보에 기초하여 외적 요인의 유무를 판정하고, 외적 요인이 있는 경우에는 주행 궤적 정보를 보정하고, 외적 요인이 없는 경우에는 주행 궤적 정보를 보정하지 않는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unning locus information is corrected based on the running locus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inform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However, the running locus information may not be corrected, or the correction locus information may be corrected It is possible. Examples of the case where the correction trajectory information is not corrected include an external factor that affects the running locus information in the peripheral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an obstacle exists in the vicinity of the package end, or when the package end is curved In this case, there is no case. In this case, the presence or absence of external factors is determined based on the peripheral information, the travel locus information is corrected when there are external factors, and the travel locus information is not corrected when there are no external factors.

또, 주행 궤적 정보를 보정할지 여부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경우, 예를 들어, 주행 궤적 정보가 취득되었을 때에, 주변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할지 여부를 선택하게 하는 화상을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보정의 실행이 선택된 경우에는 보정을 실행하고, 보정의 비실행이 선택된 경우에는 보정을 실행하지 않는다. 혹은, 도시하지 않은 설정 메뉴 등에 있어서 주변 정보에 기초하는 보정의 여부를 선택 설정 가능하여, 보정이 「요」인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주행 궤적 정보를 보정하고, 보정이 「불요」인 경우에는 주행 궤적 정보를 보정하지 않는 것이어도 된다.When it is possible to select whether or not to correct the trajectory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trajectory information is acquired, an image for selecting whether to perform correction based on the peripheral information is displayed, When execution is selected, correction is executed, and when non-execution of correction is selected, correction is not executed. Alternatively, whether or not correction based on the peripheral information can be selectively set in a setting menu or the like (not shown), the travel trajectory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corrected when the correction is "yaw", and when the correction is " The information may not be corrected.

이상과 같이, 주변 정보를 취득하여 주행 궤적 정보를 보정함으로써, 포장단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등록할 수 있고, 포장 (H) 의 외주가 곡선상인 경우, 또는 포장 (H) 의 내측에 장애물이 돌출되어 있는 경우 등, 포장 (H) 의 외주 형상이 복잡한 경우에서도, 포장 영역으로서 보다 정확한 포장 영역을 등록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acquiring the peripheral information and correcting the traveling locus information, the package end can be accurately grasped and registered, and whe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ckage H is in a curve or an obstacle protrudes inside the package H Even when the outer shape of the package H is complicated, such as in the case where the package H has a complicated shape, a more accurate packaging area can be registered as the packaging area.

도 9 는, 주변 정보를 취득하는 환경 인식 수단의 위치 및 방향을 나타낸다. 주행 궤적 정보를 보정하는 경우에는, 보다 정확하게 포장단을 인식하기 위해, 주변 정보를 취득하는 장애물 센서 (41) 및 카메라 (42Fㆍ42R) 의 이동 GPS 안테나 (34) 에 대한 배치 (주행 궤적 정보를 취득하는 위치에 대한 상대 위치) 를 고려하여, 주행 궤적 상의 임의 위치에 있어서의 주행 궤적과 장애물 센서 (41) 및 카메라 (42Fㆍ42R), 인식된 포장단의 위치 관계를 명확하게 한 다음에, 이들의 위치 정보 및 방향에 기초하여 보정이 실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센서 또는 카메라의 장착 위치의 높이, 수평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 이들과 이동 GPS 안테나 (34) 의 상대 위치 관계, 및 카메라의 촬영 방향 또는 센서의 검출 방향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에 의해 취득된 화상 또는 센서에 의해 검출된 검출값에 대해, 위치 및 방향에 관한 정보를 고려하여, 주행 궤적과 포장단 또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산출하여, 포장단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한다.9 shows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environment recognition means for acquiring the peripheral information. The arrangement of the obstacle sensor 41 for acquiring the peripheral information and the moving GPS antenna 34 of the cameras 42F and 42R in order to more accurately recognize the package stage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obstacle sensor 41, the cameras 42F and 42R, and the recognized package ends are clarified in consideration of the running locus at any position on the travel locus, The correc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and the direction of these. Specifically, by us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height of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sensor or the camera, the pos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horizontal position,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he moving GPS antenna 34, and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camera or the detecting direction of the sensor, The position of the package end is accurately grasped by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unning locus and the package end or the obstacle in consideration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detection value detected by the image or the sensor acquired by the camera.

이상과 같이, 주변 정보에 주행 궤적 정보와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갖게 함으로써, 환경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되는 포장단에 관한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이용할 수 있음과 함께, 포장단의 인식 처리를 자동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eripheral information has a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the running locus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n the package stage recognized by the environment recognition means can be used more accurately and the recognition process of the package stage is automatically performed Lt; / RTI >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주행 궤적 정보의 보정은 자동적으로 실시되는 것으로 해도 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실시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 (113) 에 포장의 지도 화상이 표시되고, 당해 지도 화상 상에 주행 궤적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되는 포장을 나타내는 선 형상, 혹은, 주변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된 주행 궤적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되는 포장을 나타내는 선 형상이 중첩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가 표시 장치 (113) 를 터치함으로써 정확한 포장단을 지정 가능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주행 궤적 정보를 보정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그 경우, 환경 정보 취득 수단 (상기 서술한 환경 센서 (41), 카메라 (42Fㆍ42R) 의 총칭) 은 표시 장치 (113) 에 포장의 지도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면 된다. 포장단을 지정하는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선 형상에 대해 컨트롤 포인트를 추가하고, 컨트롤 포인트를 조작함으로써, 선 형상의 일부에 대하여 보정 가능하면 된다. 또, 선 형상에 있어서 사용자가 하나 또는 복수의 경계 특징점을 지정하고, 당해 경계 특징점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주행 궤적 정보가 보정되면 된다. 이하, 경계 특징점에 대하여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rrection of the travel locus information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but it may b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user. For example, when a map image of a pack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13, a line shape indicating a package specified on the basis of the travel sign information on the map image, or travel sign information corrected on the basis of the peripheral information In the case where the line shapes representing the packages to be specified on the basis of overlapping are displayed in a superimposed manner, the user may designate an accurate package stage by touching the display device 113, and correct the travel sig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In this case,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generically referred to as the environment sensor 41 and the cameras 42F and 42R described above) may be used for displaying the map image of the package on the display device 113. [ When a package end is designated, for example, a control point may be added to the line shape, and the control point may be manipulated to correct the part of the linear shap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user designates one or a plurality of boundary feature points in a line shape and the travel sign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corrected based on the boundary feature points. Hereinafter, boundary feature points will be described.

도 10 은, 표시 장치 상에서 포장단의 경계 특징점을 선택하여, 포장 형상을 등록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본 예에 있어서 주변 정보에 기초한 포장의 외주단의 인식은, 카메라로서 구성되는 장애물 센서 (41) 또는 카메라 (42Fㆍ42R) 에 의해 취득된 화상을 원격 조작 장치 (112) 의 표시 장치 (113) 에 표시하게 하여, 외주단으로서 등록하는 위치를 표시 장치 (113) 상에서 터치함으로써 실시하고 있다. 요컨대, 표시 장치 (113) 에 표시되는 화상에 있어서의 포장과 그 외부와의 경계의 특징점 (즉 경계 특징점) 을 작업자 자신이 판별하여, 표시 장치 (113) 상에서 지정한다. 이 경우, 원격 조작 장치 (112) 의 표시 장치 (113) 는, 차체부의 위치 정보, 주행 궤적 정보, 및 주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로서 기능함과 함께, 주변 정보에 대해 경계 특징점을 지정하기 위해 조작되는 조작부로서도 기능한다. 그리고, 주행 궤적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경계 특징점에 기초하여 보정되어, 변경 후의 선 형상이 포장 형상으로서 등록된다. 주행 궤적 정보의 보정은 또한, 경계 특징점과 관련 특징점에 기초하여 실시되어도 된다. 관련 특징점이란, 경계 특징점과 동일 또는 유사한 특징을 갖는 특징점이며, 예를 들어, 지도 화상 (화상 데이터) 상에 있어서, 지정된 경계 특징점과 색상, 채도, 명도가 동일 또는 유사한 (각 요소의 차이가 소정 임계값 내인 것) 특징점을 관련 특징점으로서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10 shows a state in which the boundary feature points of the package ends are selected on the display device to register the package shape. In this example, the recognition of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package based on the peripheral information is performed by the obstacle sensor 41 constituted as a camera or the image obtained by the cameras 42F and 42R on the display device 113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12, And touching the position to be registered as the outer peripheral edge on the display device 113. [ Namely, the operator himself / herself determines the minutiae point (that is, the boundary minutiae) of the boundary between the package and the outside in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13, and designates on the display device 113. In this case, the display device 113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12 functions as a display section for display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body part, the driving locus information, and the peripheral information, As shown in Fig. Then, the running locus information is corrected based on the boundary feature point designated by the user, and the changed line shape is registered as the package shape. The correction of the traveling locus information may also be performed based on the boundary feature point and the related feature point. The related feature points are feature point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eatures as the boundary feature points. For example, on the map image (image data), the color feature, the saturation, and the brightness are the same or similar to the designated boundary feature points It is possible to specify the minutiae as the minutiae concerned.

상기에서는 포장 등록시에 주행 궤적 정보를 보정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주행 궤적 정보 및 주변 정보를 대응지어 원격 조작 장치 (112) 에 기억시킨 다음에, 포장단의 위치 정보의 변경 조작을 사후적으로, 예를 들어, 포장 설정의 변경으로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store the traveling locus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112, and then chang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ackage end in the post-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change as a package setting.

주변 정보에 기초한 포장의 외주단의 인식 방법으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에 의해 취득된 영상 상에서 작업자에 의한 시인으로 실시하는 것 이외에, 예를 들어 카메라에 의해 취득된 화상 데이터 상의 색채의 차이 또는 명도의 차이 등, 화상 데이터 상의 변위점을 자동적으로 경계 특징점으로서 판별하는 것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또, 레이저 센서 및 초음파 센서 등의 거리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포장단과 논두렁의 경계에 존재하는 단차를 거리의 변화로서 검출하여, 그 단차의 하단을 경계 특징점으로 함으로써, 포장의 외주단을 자동적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도 11 참조).As a method of recogniz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package based on the peripheral information, in addition to performing the visual perception by the operator on the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difference in color on the image data acquired by the camera Or a difference in brightness or the like, and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displacement point on the image data as the boundary feature point. When a distance sensor such as a laser sensor or an ultrasonic sensor is used, a step locat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package end and the rice paddle is detected as a change in distance, and the lower end of the step is used as a boundary feature point. (See FIG. 11).

본 명세서에서, 원격 조작 장치 (112) 는,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의 경로 (R) 를 설정할 때에 사용되는 것으로 하였다. 그리고, 경로 (R) 의 설정에 필요한 각종 설정 (상기 트랙터 설정, 포장 설정, 경로 생성 설정) 은 원격 조작 장치 (112) 의 표시 장치 (113) 를 적절히 조작함으로써 설정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경로 (R) 의 설정을 제어부 (30) (예를 들어 자율 주행 제어 컨트롤러 (307)) 가 실시하고, 경로 (R) 의 설정에 필요한 각종 설정은 사용자가 표시 수단 (49) 을 적절히 조작함으로써 설정 가능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포장의 형상을 등록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원격 조작 장치 (112) 가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해도 되고, 원격 조작 장치 (112) 는 포함되지만 경로 (R) 의 설정에 있어서 원격 조작 장치 (112) 가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해도 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112 is used when setting the route R of the autonomous running work vehicle 1. Although the various settings (the tractor setting, the package setting, and the route creation setting) necessary for setting the route R are set by appropriately operating the display device 113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12, May be set by the controller 30 (for example, the autonomous-drive controller 307) and various settings necessary for the setting of the route R may be set by the user appropriately operating the display means 49. [ In other words, in the system for registering the shape of the package, the remote control device 112 may not be included, 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112 may be included. However, in the setting of the route R, .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주행 궤적 정보의 보정은 포장의 형상을 특정ㆍ등록하기 위해 실시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포장의 형상에 추가하여, 혹은, 포장의 형상 대신에, 다른 영역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이 주행하는 소정의 영역 (주행 영역)) 의 형상을 특정ㆍ등록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작업 영역의 형상을 특정ㆍ등록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나아가서는, 자율 주행 작업 차량의 주행이 금지되는 소정의 영역 (비주행 영역) 의 형상을 특정ㆍ등록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장애물의 형상을 특정ㆍ등록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특정ㆍ등록의 대상이 주행 영역이라 하더라도, 비주행 영역이라 하더라도, 주변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궤적 정보를 보정하는 점에 차이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주행 영역에 있어서 주행 궤적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주행은 주행 영역의 단부의 내측을 주행하는 데에 반해, 비주행 영역에 있어서 주행 궤적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주행은 주행 영역의 단부의 외측을 주행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주행 영역에 있어서의 주행 궤적 정보의 보정은, 주행 궤적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닫힌 선 형상의 면적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실시되는 한편, 비주행 영역에 있어서의 주행 궤적 정보의 보정은, 상기 닫힌 선 형상의 면적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실시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correction of the running locus information is performed to specify or register the shape of the package. However, in addition to the shape of the package, or in place of the shape of the package, another region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Traveling region) in which the vehicle travels (traveling region)). For example, to specify or register the shape of the work area described above. Further, it may be used for specifying / registering the shape of a predetermined area (non-running area) where the running of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is prohibited. For example, to specify or register the shape of the obstacle described above. Even if the specific registration target is the running region, even if it is a non-running region, there is no difference in correcting the running locus information based on the peripheral information. In general, however, running for obtaining the running locus information in the running region Travel in the non-travel region for traveling route information often travels outside the end portion of the travel region while traveling inside the end portion of the travel region. In this case, the correction of the running locus information in the running area is carried out in a direction to enlarge the area of the closed line shape specified by the running locus information, while the correction of the running locus information in the non- Is performed in a direction of reducing the area of the closed line shape.

이상에 기재된 본 명세서에 기초하는 발명을 고려하면, 본원 발명은, 작업 차량이 주행하는 주행 영역 (본 명세서에서는 예를 들어 포장에 의해 실현됨) 의 형상을 등록하는 시스템으로서, 위성 측위 시스템 (본 명세서에서는 예를 들어 GNSS 에 의해 실현됨) 에 의해 주행 작업 차량 (100) 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위치 정보 취득 수단 (본 명세서에서는 예를 들어 측위 제어 유닛 (306) 에 의해 실현됨) 과, 주행 작업 차량 (100) 의 주변의 환경 정보를 취득하는 환경 정보 취득 수단 (본 명세서에서는 예를 들어 환경 인식 센서에 의해 실현됨) 과, 위성 측위 시스템에 의해 취득되는 주행 작업 차량 (100) 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되는 주행 작업 차량 (100) 의 주행 궤적을 나타내는 주행 궤적 정보를 취득하는 주행 궤적 정보 취득 수단 (본 명세서에서는 예를 들어 주행 작업 차량 (100) 의 제어부 (30) 또는 주행 작업 차량 (100) 과 무선 통신 가능한 무선 통신 단말 (원격 조작 장치 (112)) 이 구비하는 제어부 (130) 에 의해 실현됨) 과, 주행 궤적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주행 궤적 정보 및 상기 환경 인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궤적 정보를 보정하여 특정되는 특정 영역 (본 명세서에서는 예를 들어 주행 영역을 보정함으로써 얻어지는 영역에 의해 실현됨) 을 주행 영역의 형상으로서 등록하는 등록 수단 (본 명세서에서는 예를 들어 주행 작업 차량 (100) 의 제어부 (30) 또는 주행 작업 차량 (100) 과 무선 통신 가능한 무선 통신 단말이 구비하는 제어부 (130) 에 의해 실현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consideration of the invention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for registering a shape of a traveling region (in this specification, implemented by packaging, for example) on which a work vehicle travels, (Realized by, for example, the positioning control unit 306 in this specification) for acquir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by means of the navigation work vehicle (for example, realized by the GNSS)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acquired by the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environment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for example, realized by an environment recognition sensor in this specif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 running locus information ") for obtaining running locus information indicating a running locus of the running traveling vehicle 100 (Realized by the control unit 130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30 of the vehicle driving vehicle 100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remote control device 112)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For example, a region obtained by correcting the traveling region in this specification) by correcting the traveling locus information based on the traveling locus information acquired by the acquisition means and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cquired by the environment recognition means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30 of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wirelessly with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that registers, as the shape of the traveling area, (Realized by the controller 130).

또, 본원 발명에 있어서 등록 수단에 의한 주행 궤적 정보의 보정은, 환경 인식 수단의 위치 정보 및 환경 정보를 취득하는 방향에도 기초하여 실시된다. 또 본원 발명에 있어서, 등록 수단에 의해 등록된 주행 영역의 형상 (즉 보정 후의 주행 영역의 형상) 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수단 (본 명세서에서는 예를 들어 작업 차량 또는 작업 차량과 무선 통신 가능한 무선 통신 단말이 구비하는 화상 표시부 (표시 수단 (49) 또는 표시 장치 (113)) 에 의해 실현됨) 과, 표시 수단에 표시된 주행 영역의 형상을 변경 조작 가능한 조작 수단 (본 명세서에서는 예를 들어 표시 수단이 구비하는 터치 패널에 의해 실현됨) 을 구비하고, 등록 수단은 표시 수단에 표시된 주행 영역의 형상이 조작 수단에 대한 조작 (본 명세서에서는 예를 들어 컨트롤 포인트의 추가나 경계 특징점의 지정에 의해 실현됨) 에 따라 변경된 변경 후의 영역을 주행 영역의 형상으로서 등록한다. 또한, 등록 수단에 의해 등록되기 전 (즉 보정 전의 주행 영역의 형상) 에 대하여 조작 수단에 대한 조작에 따라 변경 가능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rection of the running locus information by the registration means is carried out based also on the direction of acquiring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environment recognition means.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display means capable of displaying the shape of the travel region (i.e., the shape of the travel region after correction) registered by the registration means (in this specification, for example, wireless communication (Realized by an image display section (display means 49 or display device 113) included in the terminal), operation means capable of changing the shape of the travel region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in this specification, , And the registration means is configured so that the shape of the running region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on the operating mean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example, by adding control points or designation of boundary feature points) And registers the changed area as the shape of the running area. Needless to say, it can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n the operating means before being registered by the registering means (that is, the shape of the running region before the correction).

이와 같이 하여, 주행 작업 차량 (100) 이 주행하는 주행 영역의 형상을 보다 정확하게 특정하고, 특정된 주행 영역을 등록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shape of the running area on which the traveling working vehicle 100 travels can be specified more accurately, and the specified running area can be registered.

상기 포장 설정에 있어서, 포장 (H) 내에 차체부의 주행이 금지되는 연약지나 바위 등의 장애물 (400) 이 존재하는 경우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한다.In the above package setting, the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case in which there is an obstacle 400 such as softness, rock or the like in which the running of the vehicle body part is prohibited in the package H.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 (H) 내에 장애물 (400) 이 존재하는 경우, 포장 설정시에, 작업자는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을 타고 장애물 (400) 의 근방 위치까지 이동하고, 장애물 설정을 선택하여, 장애물 (400) 의 외주를 주행한다. 이 때, 사각형의 정점이 되는 4 점 (포인트) (401ㆍ402ㆍ403ㆍ404) 을 지정하여 제 3 영역 (이하, 진입 금지 영역 (K)) 을 등록한다. 이 진입 금지 영역 (K) 의 외주를 형성하는 사각형의 변은 포장 (H) 의 외주의 변과 거의 평행해진다. 단, 원격 조작 장치 (112) 에 표시되는 지도만을 사용하여 등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외관상은 확인할 수 없지만 진입을 금지하고자 하는 경우이고, 연약지 등에서 실제로 주위를 주행하면 깊은 곳에 빠져 탈출할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하는 장소나, 큰 돌이 묻혀 있는 것과 같은 장소이며, 이와 같은 장애는, 주행하지 않고 간단히 진입 금지 영역 (K) 으로서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12, when the obstacle 400 exists in the package H, the operator moves on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to a position near the obstacle 400 at the time of package setting, And travels around the periphery of the obstacle 400. [ At this time, a third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entry prohibited area K) is registered by designating four points (points) (401, 402, 403, and 404) which are vertices of a rectangle. The side of the quadrangle form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try prohibited area K become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id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ckage H.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register using only the map displayed on the remote control device 112. For example, it is impossible to confirm the appearance, but it is a place where the entrance is prohibited, and a place where a situation that can not escape from a deep place occurs, or a place where a large stone is buried, The fault makes it possible to register as the entry prohibited area K simply without driving.

상기 장애물 (400) 의 형상이 원형이나 뾰족한 형상을 갖는 경우, 사각형으로 등록하면, 여백 부분 (작업은 가능하지만, 진입이 금지되는 부분) 이 커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입 금지 영역 (K) 은 지정하는 점을 증가시켜 (401 ∼ 405) 다각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점의 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 지정하는 점의 위치는, 표시 장치 (113) 상에서 이동이나 변경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요컨대, 통상적으로 자동으로 정점이 설정되기 때문에, 실제로는 좀 더 넓게 하고자 하는 경우나 좁게 하고자 하는 경우나 경사지게 하고자 하는 경우나 위치를 어긋나게 하고자 하는 경우나 다각형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등이 있기 때문에, 매뉴얼로 점의 이동이나 변경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진입 금지 영역 (K) 이 다각형인 경우, 적어도 1 개의 특정 변은 포장 (H) 내의 제 1 영역 (작업 영역 (HA)) 의 변과 거의 평행해지도록 설정하고, 경로 생성했을 때의 미작업지가 가능한 한 작아지도록 하고 있다.In the case where the shape of the obstacle 400 has a circular shape or a sharp shape, if the shape of the obstacle 400 is registered as a rectangle, a margin portion (a portion where work can be performed, but entry is prohibited) may become large. In such a case, as shown in Fig. 13, it is also possible to increase the designation point (401 to 405) and make the entry prohibition area K polygonal. However, the number of points is not limited. The position of the point to be designated can be moved or changed on the display device 113. In other words, since vertices are automatically set automatically, there are actually cases in which they are intended to be wider or narrower, inclination is desired, positions are shifted, polygons are set, So that the point can be moved or changed. When the entry prohibited area K is polygonal, at least one specific side is set to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ide of the first area (work area HA) in the package H, So that work sheets are made as small as possible.

그리고, 장애물 (400) 이 들어가는 사각형 (또는 다각형) 의 진입 금지 영역 (K) 이 설정되면, 다음으로, 진입 금지 영역 (K) 의 소정 길이 (폭) 외측에 제 4 영역이 되는 장애물 개자리 (JB) 와 장애물 측부 여유지 (JC) 를 설정하여, 작업 영역 (HA) 안에 장애물 영역 (J) 이 설정된다. 요컨대, 장애물 영역 (J) 은, 주행이 금지되는 진입 금지 영역 (K) 과, 작업 경로 (Ra) 는 생성되지 않지만 주행 경로 (Rb) 는 생성할 수 있게 되는 제 4 영역이 되는 장애물 개자리 (JB) 와 장애물 측부 여유지 (JC) 를 더한 영역이다. 장애물 개자리 (JB) 와 장애물 측부 여유지 (JC) 의 제 4 영역의 폭은 작업기의 폭의 2 배 이하의 길이로 하여 2 둘레 돎으로써 작업을 종료할 수 있다.Then, when the entry prohibited region K of the rectangular (or polygon) into which the obstacle 400 enters is set, next, an obstacle 1 JB (second entry) which becomes the fourth region outside the predetermined length (width) And the obstacle side margin JC are set so that the obstacle area J is set in the working area HA. In other words, the obstacle region J is an entry prohibited region K in which running is prohibited, and a barrier obstacle JB (first obstacle), which is a fourth region in which a working path Ra is not generated but a traveling path Rb can be generated ) And obstacle side hold (JC). The width of the fourth zone of the obstacle obstacle JB and the obstacle obstacle JC may be two or less of the width of the working machine to terminate the operation.

또, 제 2 영역 (개자리 (HB) 와 측부 여유지 (HC)) 과 제 4 영역 (장애물 개자리 (JB) 와 장애물 측부 여유지 (JC)) 사이에는 경로가 설정되지 않는 제 5 영역 (진입 영역 (HD)) 이 설정된다. 요컨대,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과 주행 작업 차량 (100) 에 의한 협조 작업으로 작업 영역 (HA) 의 작업을 실시한 후에, 장애물 개자리 (JB) 와 장애물 측부 여유지 (JC) 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개자리 (HB) 혹은 측부 여유지 (HC) 로부터 장애물 개자리 (JB) 혹은 장애물 측부 여유지 (JC) 에 들어갈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제 2 영역과 제 4 영역 사이를 연결하도록 진입로가 되는 제 5 영역을 설정하여, 협조 작업 종료 후에, 기작업지 (旣作業地) 를 망치지 않고 장애물 개자리 (JB) 와 장애물 측부 여유지 (JC) 에 들어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제 5 영역의 폭은 작업기 (또는 차체부) 의 폭 이상, 작업기의 폭의 2 배 이하의 길이로 한다. 제 5 영역의 폭이 작업기의 폭과 동등한 경우, 제 4 영역으로 진입할 때에는 제 5 영역에서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없지만, 제 4 영역으로부터 나올 때에 제 5 영역에서 작업을 실시함으로써, 미경지를 없앨 수 있다. 한편, 제 5 영역의 폭이 작업기의 폭보다 큰 경우, 제 4 영역으로 진입할 때 및 제 4 영역에서 나올 때에 작업을 실시함으로써, 미경지를 없앨 수 있다. 제 5 영역의 폭을 작업기의 폭의 2 배와 동등한 크기로 함으로써, 제 4 영역으로 진입할 때 및 제 4 영역에서 나올 때에 제 5 영역에서 작업을 실시해도 작업의 중복을 방지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fifth region where no path is set between the second region (one side edge HB and side edge holding HC) and the fourth region (one obstacle JB and obstacle side margin JC) (HD)) is set. That is to say, after the operation of the work area HA is performed by the cooperative operation by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and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the operator can manually set the obstacle interlock JB and the obstacle lateral interlock JC Since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e work, it is necessary to enter the obstacle clearance (JB) or the obstacle side clearance (JC) from the interposer (HB) or the side support (HC).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t a fifth area to be an access road so as to connect between the second area and the fourth area, and after the cooperative work is completed, the obstacle clearance JB and the obstacle side clearance JC) to enter the work. Therefore, the width of the fifth region is set to be not more than twice the width of the working machine (or the vehicle body), and not more than twice the width of the working machine. When the width of the fifth area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working machine,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the operation in the fifth area when entering the fourth area. However, by performing the work in the fifth area when coming out of the fourth area, . On the other hand, when the width of the fifth region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working machine, the work is performed when entering the fourth region and when coming out of the fourth region. By making the width of the fifth region equal to twice the width of the working machine, duplication of work can be prevented even if the work is performed in the fifth region when entering the fourth region and when leaving the fourth region.

상기 진입 영역 (HD) (제 5 영역) 은, 제 2 영역과 제 4 영역 사이의 거리가 가장 짧은 위치에 형성하여, 제 4 영역에 들어갈 때 및 나올 때의 작업 면적이 가능한 한 작아지도록 한다. 그러나, 측부 여유지 (HC) 와 장애물 측부 여유지 (JC) 사이의 거리가 가장 짧은 경우, 그 사이를 연결하도록 진입 영역 (HD) 을 형성하면, 이 진입 영역 (HD) 은 작업 영역 (HA) 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경로를 분단하게 되어, 작업 효율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개자리 (HB) 와 장애물 개자리 (JB) 사이의 거리가 짧은 영역에서 경로 (R) 와 평행해지는 진입 영역 (HD) 을 설정하는 것으로 하면, 작업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마무리도 말끔하게 할 수 있다. 또, 제 1 영역 (작업 영역 (HA)) 의 작업 종료 후에 제 4 영역의 작업을 실시하기 때문에, 진입 영역 (HD) 은 작업 종료 위치 (G) 에 가까운 측에 설정함으로써 주행 이동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entry area HD (fifth area)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area and the fourth area is the shortest, so that the working area when entering and exiting the fourth area is made as small as possible. However, if the entry area HD is formed so as to connect therebetwee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 support HC and the obstacle side support JC is the shortest, And the work efficiency may be lowered in some cases. Thus, if the entry area HD is set to be parallel to the route R in a region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one-legged line HB and the one-way interlocking line JB is short, it is possible to smoothly finish the work have. Since the operation of the fourth area is performed after the end of the operation of the first area (work area HA), the entry area HD is set to the side close to the work end position G to shorten the travel distance So that the work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이상과 같이, 제어부 (130) 에서 미리 설정한 경로 (R) 를 따라, 위성 측위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율 주행 및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과, 그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에 협조하여 작업자가 조작하여 작업을 실시하는 주행 작업 차량 (100) 에 의해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 시스템에 있어서, 경로 생성 장치가 되는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의 제어부 (30), 또는, 그 제어부 (30) 와 통신 가능한 원격 조작 장치 (112) 의 제어부 (130) 는, 포장 (H) 내를 자율 주행 및 작업 가능한 경로 (R) 를 생성할 수 있게 하고, 포장 설정시에, 포장 (H) 내에 장애물 (400) 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포장 (H) (작업 영역 (HA)) 에서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 경로 (Ra) 가 생성되는 제 1 영역과, 작업 경로 (Ra) 는 생성되지 않지만 주행하기 위한 주행 경로 (Rb) 는 생성할 수 있게 하는 상기 제 1 영역의 주위에 설정되는 제 2 영역과, 상기 포장 (H) 내로서 주행이 금지되는 제 3 영역과, 작업 경로 (Ra) 는 생성되지 않지만 주행하기 위한 주행 경로 (Rb) 는 생성할 수 있게 하는 상기 제 3 영역의 주위에 설정되는 제 4 영역을 설정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주행이 금지되는 장애물 (400) 이 포장 (H) 내에 존재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자동적으로 경로 설정이 이루어져 효율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that enables autonomous travel and work using the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along the route R set in advance by the control unit 130, and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And the control unit (30) of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which is a route generating device, or a control unit (30) of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The control unit 130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12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unit 30 is capable of generating a route R capable of autonomous travel and work within the package H, A first area where a work path Ra for carrying out an operation in the package H (work area HA) is generated and a second area in which a work path Ra is not generated (Rb) for generating A third region in which travel is prohibited in the package H and a second region that is set around the first region and a third region in which travel is prohibited in the package H and a travel route Rb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set the route even if the obstacle 400 in which the travel is prohibited is present in the package H, You will be able to work.

또, 상기 제어부 (130) (또는 제어부 (30)) 는, 상기 제 1 영역 (작업 영역 (HA)) 에 있어서, 상기 제 4 영역 (장애물 개자리 (JB) 와 장애물 측부 여유지 (JC)) 과 제 2 영역 (개자리 (HB) 와 측부 여유지 (HC)) 을 접속하고, 작업 경로 (Ra) 가 생성되지 않는 제 5 영역 (진입 영역 (HD)) 을 설정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작업 영역 (HA) 을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과 주행 작업 차량 (100) 에 의한 협조 작업으로 작업을 실시한 후에, 기작업지를 망치지 않고 제 4 영역에 진입하여 작업을 실시하고, 그 작업 종료 후에 제 5 영역을 작업하면서 퇴출할 수 있어, 제 4 영역을 효율적으로 말끔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or the control unit 30) may control the fourth area (the obstacle opener JB and the obstacle side margin JC) in the first area (work area HA) (The entry area HD) in which the work path Ra is not formed and the second area (the one-side edge HB and the side edge holding HC) ) Is performed by a cooperative work by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and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then enters the fourth area without spoiling the first work area to perform the work, an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work, It can be removed while working, and the fourth area can be finished efficiently and neatly.

또, 상기 제어부 (130) (또는 제어부 (30)) 는, 상기 제 1 영역 (작업 영역 (HA)) 내에 제 3 영역 (진입 금지 영역 (K)) 을 설정하는 경우, 제 3 영역을 구성하는 적어도 1 개의 변은, 제 1 영역을 구성하는 특정 변과 거의 평행하게 설정되기 때문에, 경로 생성했을 때의 미작업지를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다.When the third area (entry prohibited area K) is set in the first area (work area HA), the control part 130 (or the control part 30) Since at least one side is set to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pecific side constituting the first area, it is possible to make the unprocessed work at the time of path creation as small as possible.

또, 상기 제어부 (130) (또는 제어부 (30)) 는, 상기 제 5 영역을 제 1 영역 (작업 영역 (HA)) 에서 생성되는 작업 경로 (Ra) 와 평행하게 형성하기 때문에, 제 4 영역을 작업한 후에 제 5 영역을 작업하여 퇴출한 후의 마무리는, 다른 작업 경로 (Ra) 를 작업한 마무리와 거의 동일해져, 전체적인 마무리를 말끔하게 할 수 있다.The control section 130 (or the control section 30) forms the fifth area in parallel with the work path Ra generated in the first area (the work area HA), so that the fourth area The finish after the fifth region is worked out after the work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nish which has been worked on the other work route Ra, and the overall finish can be made smooth.

이와 같이, 장애물 영역 (J) 이 설정되고, 경로 (R) 를 따라 작업을 실시하면, 장애물 영역 (J) 이 존재하는 길이 방향의 작업 경로 (Ra) 는 포장 (H) 전체적으로 보면 분단되게 된다. 이 길이 방향으로 분단된 작업 영역 (HA) 은,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과 주행 작업 차량 (100) 에 의한 협조 작업으로 일방의 영역의 작업 종료 후에 타방의 영역을 실시하는 방법과,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과 주행 작업 차량 (100) 이 각각 다른 영역을 작업하는 방법이 있다. 어느 쪽을 선택할지는, 지형이나 장애물 영역 (J) 의 위치에 따라 상이하고, 효율이 좋은 쪽을 자동으로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단, 수동으로 (작업자가) 임의로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Thus, when the obstacle region J is set and the work is performed along the path R, the work path R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obstacle region J is present is divided as seen in the whole package H as a whole. The work area HA di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cludes a method of performing the other area after the end of the work of one area by the cooperation work of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and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There is a method in which the working vehicle 1 and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work in different areas. Which one is selected depends on the position of the terrain or the obstacle region J, and the one with higher efficiency is automatically selected. However, it is possible to manually select (manually).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2 에 있어서, 작업 영역 (HA) 내에 장애물 영역 (J) 이 존재하는 경우, 작업 영역 (HA) 내의 장애물 영역 (J) 의 측방에 위치하고 측부 여유지 (HC) 에 인접하는 영역을 좌측부 작업 영역 (HAL) 과 우측부 작업 영역 (HAR) 으로 하고, 나머지 장애물 영역 (J) 이외의 개자리 (HB) 에 인접하는 영역을 전분단 작업 영역 (HAF) 과 후분단 작업 영역 (HAB) 으로 하고, 좌측부 작업 영역 (HAL) 측부터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과 주행 작업 차량 (100) 에 의해 협조 작업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12, when the obstacle region J is present in the working area HA, the obstacle area J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obstacle area J in the working area HA, (HAL) and a right side work area (HAR), and an area adjacent to the interposer (HB) other than the remaining obstacle area (J) is divided into a full end work area HAF and a rear end work area ), And the cooperative work is performed by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and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from the left side work area HAL side.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부 작업 영역 (HAL) 이 짝수 조 (條) 의 경로 (R) 를 구비하는 경우, 경로 (R) 의 길이 방향으로 분단된 작업 영역 (HA) 은,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과 주행 작업 차량 (100) 의 2 대로 한쪽의 영역씩 작업을 실시한다. 요컨대, 좌측부 작업 영역 (HAL) 의 작업이 종료되면, 일방의 전분단 영역 (HAF) (좌측부 작업 영역 (HAL) 이 예를 들어 4 조인 경우에는, HAB → HAR → HAF) 의 작업을 실시하고, 다음으로, 우측부 작업 영역 (HAR) 의 작업을 실시하고, 다음으로, 타방의 후분단 작업 영역 (HAB) 의 작업을 실시하여 종료한다.14, when the left-side work area HAL includes the even-numbered route R, the work area HA di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ute R is divided into the work area HA, (1) and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In other words, when the work of the left side work area HAL is finished, the work of one full end area HAF (HAB? HAR? HAF when the left side work area HAL is, for example, four sets) Next, the work of the right side work area HAR is performed, and next, the work of the other rear work type work area HAB is performed and the process is finished.

또,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부 작업 영역 (HAL) 이 홀수 조의 경로 (R) 를 구비하는 경우, 경로의 길이 방향으로 분단된 작업 영역 (HA) 은,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과 주행 작업 차량 (100) 의 2 대가 각각 다른 영역의 작업을 실시한다. 요컨대, 좌측부 작업 영역 (HAL) 의 작업이 종료되면, 일방의 전분단 영역 (HAF) (좌측부 작업 영역 (HAL) 이 예를 들어 3 조인 경우 후분단 작업 영역 (HAB)) 의 작업을 주행 작업 차량 (100) 이 실시하고, 후분단 작업 영역 (HAB) 은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이 실시한다. 다음으로, 우측부 작업 영역 (HAR) 을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과 주행 작업 차량 (100) 에 의해 작업을 실시한다. 또한, 진입 영역 (HD) 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조의 수에 따라 그 조를 비우거나, 작업하지 않고 공주 (空走) 시키거나 한다.15, when the left-side work area HAL includes the odd-numbered route R, the work area HA di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ute travels along with the self- Two units of the working vehicle 100 perform operations in different areas. That is, when the work of the left side work area HAL is completed, the work of the one-side end work area HAF (the left work area HAL, for example, (100), and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carries out the post-dividing work area (HAB). Next, the right side work area HAR is operated by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and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 In addition, in the case of forming the entry area HD, the group is vac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joins, or is vacated without work.

상기와 같이, 상기 제어부 (130) (또는 제어부 (30)) 는, 상기 제 1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 3 영역, 제 4 영역, 제 5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작업 경로 (Ra) 를 생성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모든 작업 영역 (HA) 을 순서대로 작업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30 (or the control unit 30) generates the work path Ra in the first area except for the third area, the fourth area, and the fifth area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work efficiency by sequentially working all the work areas (HA).

또, 제 4 영역 (장애물 개자리 (JB) 또는 장애물 측부 여유지 (JC)) 과 제 2 영역 (개자리 (HB) 또는 측부 여유지 (HC)) 이 중복되어 있는 경우에는, 양 영역을 통합하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어,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자리 (HB) 와 장애물 개자리 (JB) 가 중복되어 있는 경우에는, 개자리 (HB) 와 장애물 개자리 (JB) 를 통합한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 (130) 는, 장애물 개자리 (JB) 와 장애물 측부 여유지 (JC) 는 개자리 (HB) 로 간주하여 경로 (R) 를 설정할 수 있어, 장애물 개자리 (JB) 와 장애물 측부 여유지 (JC) 를 구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작성상 간략화가 가능하다.In the case where the fourth area (the obstacle interlock JB or the obstacle side clearance JC) overlaps with the second area (either the one side HB or the side side HC) do.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6, when the interposer HB and the obstacle interlock JB are overlapped, the interposer HB and the interlocking obstacle JB are integrated. In this state, the control unit 130 can set the route R by considering the obstacle interlock JB and the obstacle side interlock JC as the interposer HB so that the obstacle interlock JB and the obstacle side interlock (JC),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creation of the program.

이와 같이, 위성 측위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율 주행 및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과, 그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에 협조하여 작업자가 조작하여 작업을 실시하는 주행 작업 차량 (100) 에 의해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 시스템에 있어서, 포장 (H) 내를 자율 주행 및 작업 가능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는 경로 생성 장치가 되는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의 제어부 (30), 또는, 그 제어부 (30) 와 통신 가능한 원격 조작 장치 (112) 의 제어부 (130) 는, 상기 포장 (H) 에서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 경로 (Ra) 가 생성되는 제 1 영역과, 작업 경로 (Ra) 는 생성되지 않지만 주행하기 위한 주행 경로 (Rb) 는 생성할 수 있게 하는 상기 제 1 영역의 주위에 설정되는 제 2 영역과, 상기 포장 (H) 내로서 주행이 금지되는 제 3 영역과, 작업 경로 (Ra) 는 생성되지 않지만 주행하기 위한 주행 경로 (Rb) 는 생성할 수 있게 하는 제 3 영역의 주위에 설정되는 제 4 영역을 설정할 수 있게 함과 함께, 제 2 영역 (개자리 (HB) 또는 측부 여유지 (HC)) 과 제 4 영역 (장애물 개자리 (JB) 또는 장애물 측부 여유지 (JC)) 이 중복되는 경우, 제 4 영역을 제 2 영역에 포함시켜 (통합하여) 설정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장애물 개자리 (JB) 와 장애물 측부 여유지 (JC) 의 작업 처리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져, 경로 생성이 간단해지고, 개자리 (HB) 와 측부 여유지 (HC) 와 장애물 영역 (J) 의 후처리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In this manner,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that enables autonomous travel and work using the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and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100) that cooperates with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to perform operations by the operator The control system of the control unit 30 of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which is a route generating apparatus capable of generating a path capable of autonomous travel and work within the package H, The control unit 130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12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unit 30 includes a first area in which a work path Ra for performing work in the package H is generated and a first area in which a work path Ra is created A third region in which travel is prohibited in the package H, and a second region that is set in the vicinity of the work path Ra (Ra) ) Is not created, but the state (HB) or the side support HC (HC) and the second region (HC), which is set in the vicinity of the third region, It is possible to set (integrate) the fourth area in the second area in the case where the four areas (the obstacle on the obstacle JB or the obstacle side margin JC) overlap, It is not necessary to consider the work process of the female retainer JC and the route creation is simplified and the post-processing of the one-legged section HB, the side holding section HC and the obstacle section J can be easily performed.

또, 제 2 영역 (개자리 (HB) 와 측부 여유지 (HC)) 과 제 4 영역 (장애물 개자리 (JB) 또는 장애물 측부 여유지 (JC)) 이 소정 폭 미만인 제 6 영역 (HE) 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있는 경우에, 제 4 영역 및 제 6 영역 (HE) 을 제 2 영역에 포함시켜 설정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자리 (HB) 에 대향하여 장애물 개자리 (JB) 가 폭 (Wj) 만큼 떨어져 있고, 그 폭 (Wj) 이 소정폭 (T1) 미만인 경우에는, 장애물 개자리 (JB) 와 개자리 (HB) 사이의 작업 영역 (HA) 에 생기는 제 6 영역 (HE) 을 개자리 (HB) 에 포함시켜 통합하고, 작업 경로 (Ra) 는 설정되지 않아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또는 주행 작업 차량 (100) 에 의해 작업은 실시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이 제 4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의 제 6 영역 (HE) 의 폭은, 예를 들어, 작업기에 의한 작업 길이가 트랙터의 전체 길이 정도로, 빈번하게 선회를 반복하면 오히려 작업 효율을 저하시키는 거리이다.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the sixth zone HE between the second zone (the one side edge HB and the side margin HC) and the fourth zone (the obstacle one JB or the obstacle side margin JC) The fourth region and the sixth region HE can be included and set in the second reg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7, when the obstacle clearance JB is separated by the width Wj from the one-legged position HB and the width Wj thereof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width T1, The sixth area HE generated in the work area HA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oads JB and HB is included in the first position HB so that the work path Ra is not set and the self- The work is set not to be carried out by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 The width of the sixth area HE between the fourth area and the second area is, for example, a distance at which the working length by the working machine is about the entire length of the tractor, and the working efficiency is lowered if the turning is repeated frequently .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 (130) (또는 제어부 (30)) 는, 제 2 영역과 제 4 영역이 소정 폭 미만인 제 6 영역 (HE) 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있는 경우에, 제 4 영역 및 제 6 영역 (HE) 을 제 2 영역에 포함시켜 설정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제 2 영역과 제 4 영역 사이의 좁은 제 6 영역 (HE) 을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또는 주행 작업 차량 (100) 에 의해 선회를 반복하여 작업할 필요가 없어져,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 4 영역이 제 2 영역에 통합되는 영역은, 장애물 개자리 (JB) 와 장애물 측부 여유지 (JC) 로서 다른 작업으로서 고려할 필요가 없어져, 개자리 (HB) 와 측부 여유지 (HC) 와 장애물 영역 (J) 을 한번에 처리가 가능해진다.In this way, when the second region and the fourth region are opposed to each other with the sixth region HE being less than the predetermined width therebetween, the control unit 130 (or the control unit 30) The narrow sixth area HE between the second area and the fourth area can be set by including the area HE in the second area by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or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It is not necessary to repeat the turning operation to improve work efficiency. The area where the fourth area is integrated in the second area does not need to be considered as another task as the obstacle interlock JB and the obstacle side interlock JC, The region J can be processed at one time.

또, 상기 제어부 (130) (또는 제어부 (30)) 는, 포장 (H) 내에 장애물 (400) 을 포함하는 제 3 영역 및 제 4 영역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 4 영역끼리가 소정 폭 미만인 제 7 영역 (HF) 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있는 경우에, 제 7 영역 (HF) 은 어느 일방의 제 4 영역에 포함시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 (H) 내에 장애물 (400) 과 장애물 (401) 이 떨어져 존재하고, 제 4 영역 (장애물 개자리 (JB) 또는 장애물 측부 여유지 (JC)) 과 제 4 영역 (장애물 개자리 (JB) 또는 장애물 측부 여유지 (JC)) 사이의 폭 (Wk) 이 소정 거리 (T2) 미만인 경우, 제 7 영역 (HF) 은 어느 일방의 제 4 영역에 포함시켜 통합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폭 (Wk) 이 소정 폭 (T2) 미만인 경우, 제 4 영역과 제 4 영역이 떨어져 있는 경우도, 그 일부가 중복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 4 영역끼리가 통합됨으로써, 장애물 개자리 (JB) 와 장애물 측부 여유지 (JC) 가 일체적으로 되어, 경로 생성 및 작업 영역 (HA) 의 작업 후의 처리가 간단해진다.When the third region and the fourth region including the obstacle 400 are present in the package H, the control section 130 (or the control section 30) , The seventh region HF can be set to be included in any one of the fourth regions HF and HF. 18, the obstacle 400 and the obstacle 401 are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package H, and the fourth area (obstacle interlock JB or obstacle side interlock JC) When the width Wk between the four zones (the obstacle on the obstacle JB or the obstacle side margin JC)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distance T2, the seventh zone HF is integrated into one of the four zones Respectively. Further, when the width Wk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width T2, the fourth region and the fourth region may be apart from each other, or a part thereof may overlap. Thus, by integrating the fourth regions, the obstacle interlock JB and the obstacle lateral interlocking JC are integrated, and the route creation and processing after the work of the work area HA are simplified.

또, 포장 (H) 내에 장애물 (400) 이 복수 존재하고, 그 하나 또는 복수의 제 4 영역이 제 2 영역에 대해 소정 폭 (T1) 보다 짧은 경우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통합된다.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애물 (401) 의 제 4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에 오목부 영역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오목부를 없애도록 통합할 수도 있다. 소정의 조건으로서, 예를 들어, 오목부의 면적이 임계값 미만, 오목부의 가로폭이 임계값 (예를 들어 트랙터의 폭) 미만, 오목부의 세로 방향의 길이가 임계값 (예를 들어 트랙터의 전체 길이 × 2) 미만 등이다. 이 경우, 경로 생성 및 작업 영역 (HA) 의 작업 후의 처리가 간단해진다.When a plurality of obstacles 400 exist in the package H and one or a plurality of the fourth regions are shorter than the predetermined width T1 with respect to the second region, they are integrat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8, when the concave region is formed between the fourth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of the obstacle 401, the concave region may be integrated so as to eliminate the concave portion when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As the predetermined condition, for example, the area of the concave portion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width of the concave portion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for example, the width of the tractor), and the length of the concav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a threshold value Length x 2)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route creation and post-operation processing of the work area HA are simplified.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 (130) 는, 상기 포장 (H) 내에 제 3 영역 및 제 4 영역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 4 영역끼리가 소정 폭 미만인 제 7 영역 (HF) 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있는 경우에, 제 7 영역 (HF) 을 어느 일방의 제 4 영역에 포함시켜 설정할 수 있게 되므로, 경로 생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When the third region and the fourth region are present in the package H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section 13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fourth regions HF, which are less than the predetermined width, The seventh area HF can be set to be included in any one of the fourth areas, so that the route creation can be simplified.

다음으로, 자율 주행 작업 차량 (1) 또는 주행 작업 차량 (100) 이 개자리에서 선회할 때의 길이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length when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1 or the traveling work vehicle 100 turns in the open position will be described.

개자리 (HB) 는, 트랙터가 포장 외주단에 있어서 작업을 실시하지 않고 다음의 작업 경로 (Ra) 로 옮기기 위한 선회 영역이며, 소정의 개자리 폭 (Wb) 을 갖는다. 개자리 폭 (Wb) 은, 포장 (H) 이 사각형인 경우,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 (機體) 의 선회 중심 (O) 에서부터 작업기 후단까지의 거리 (L1) 와, 기체 중심 (O) 에 있어서의 최소 선회 반경 (트랙터에 대해 설정된 설정 선회 반경) (L2) 과, 작업기 폭 혹은 기체 폭 중 큰 쪽의 절반의 길이 (L3) 와, 안전 여유폭 (Lsm) 을 더한 길이가 된다. 요컨대, 개자리 폭 (Wb) = L1 + L2 + L3 + Lsm 이 된다.The one-legged section HB is a turn area for moving the tractor to the next working path Ra without performing work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ckage, and has a predetermined dogleg width Wb. As shown in Fig. 19, when the wrapping H is rectangular, the dogleg width Wb is set to a distance L1 from the turning center O of the body to the rear end of the working machine, (The turning radius set for the tractor) L2, the length L3 of the larger half of the working machine width or the machine width, and the safety margin width Lsm. That is, the dogleg width Wb = L1 + L2 + L3 + Lsm.

또,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 (H) 의 형상이 변형된 사각형이고, 개자리 (HB) 가 진행 방향에 대해 각도 θ 경사져 있는 경우에는, 기체의 선회 중심 (O) 에서부터 작업기 후단까지의 거리 (L1) 와, 기체 중심 (O) 에 있어서의 최소 선회 반경 (L2) 은 경사 방향이 되므로, 경사진 개자리 (HB) 에 있어서의 기체의 선회 중심 (O) 에서부터 작업기 후단까지의 거리 (L1') 는, L1cos(θ - 90) = L1sinθ 가 되고, 경사진 개자리 (HB) 에 있어서의 기체 중심 (O) 에 있어서의 최소 선회 반경 (L2') 은, L2 - L2cosθ 가 된다. L3 과 L4 는 상기와 동일한 길이가 된다. 요컨대, 개자리 폭 (Wb') = L1' + L2' + L3 + Lsm = L1sinθ + (L2 - L2cosθ) + L3 + Lsm 이 된다.20, when the shape of the package H is a deformed quadrangle and the interposing point HB is inclined at an angle? Relative to the traveling direction, the distance from the turning center O of the base to the rear end of the working machine The minimum turning radius L2 at the center of gravity O and the minimum turning radius L2 at the center of gravity L1 are inclined so that the distance L1 from the turning center O of the base to the rear end of the working machine at the inclined one- ) Becomes L1 cos (? - 90) = L1 sin ?, and the minimum turning radius L2 'at the gas center O at the inclined one side edge HB becomes L2 - L2 cos?. L3 and L4 have the same length as the above. That is, the intergrowth width Wb '= L1' + L2 '+ L3 + Lsm = L1 sin? + (L2 - L2 cos?) + L3 + Lsm.

또, 측부 여유지 (HC) 의 폭 (Wc) 을 가능한 한 좁게 하여 작업 영역 (HA) 을 크게 하고 싶은 경우에는, 도 21 에 나타내는 2 회 방향 전환 턴이 채용된다. 이 2 회 방향 전환 턴에 있어서의 측부 여유지폭 (Wc) 은, 스타트측에서, 기체의 선회 중심 (O) 에서부터 작업기 후단까지의 거리 (L1) 와, 기체 중심 (O) 에 있어서의 최소 선회 반경 (L2) 에서 3/2 작업폭 (W2) 을 줄인 길이와, 안전 여유폭 (Lsm) 을 더한 길이가 된다. 요컨대, Wc = L1 + L2 - 3/2W2 + Lsm 이 된다.When the width Wc of the side grippers HC is made as narrow as possible and the work area HA is desired to be large, a two-turn changeover turn shown in Fig. 21 is employed. The side margin width Wc in the two-turn turning turn is set such that the distance L1 from the turning center O of the gas to the rear end of the working machine and the minimum turning radius A length obtained by reducing the 3/2 working width W2 in the second line L2 and a safety margin width Lsm plus length. In short, Wc = L1 + L2 - 3 / 2W2 + Lsm.

종료측에서는, 기체의 선회 중심 (O) 에서부터 작업기 후단까지의 거리 (L1) 와 기체 중심 (O) 에 있어서의 최소 선회 반경 (L2) 을 더한 길이에서 3/2 작업폭 (W2) 을 뺀 길이와, 기체 중심 (O) 에서부터 기체 선단까지의 길이 (L5) 와, 안전 여유폭 (Lsm) 을 더한 길이가 된다. 요컨대, 측부 여유지폭 (Wc) = L1 + L2 - 3/2W2 + L5 + Lsm 이 된다.The length obtained by subtracting the 3/2 working width W2 from the length obtained by adding the distance L1 from the turning center O of the base of the machine to the rear end of the machine and the minimum turning radius L2 at the center of the machine O, The length L5 from the gas center O to the tip of the gas, and the safety margin width Lsm. That is, the side margin Wc = L1 + L2 - 3 / 2W2 + L5 + Lsm.

상기 L1, L2, L3, L5 의 길이는 트랙터 설정에 있어서, 미리, 취득되어 있기 때문에, 경로 생성에 있어서의 외주 설정에 있어서, 안전 여유폭 (Lsm) 을 입력함으로써, 자동으로 계산된다. 개자리 폭 (Wb) 및 측부 여유지폭 (Wc) 을 작업자가 수동으로 설정한 경우, 그 입력값은 자동으로 계산된 값과 비교되어, 안전하게 선회할 수 있도록 긴 쪽이 채용된다.Since the lengths L1, L2, L3, and L5 are acquired in advance in the tractor setting, the length of L1, L2, L3, and L5 is automatically calculated by inputting the safe margin width Lsm in the outer circumference setting for route creation. When the operator manually sets the dogleg width Wb and the side margin Wc, the input value is compared with the automatically calculated value, and the longer side is adopted so that it can be safely swiveled.

산업상 이용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은, 포장 내를 자율 주행 및 자동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농용 (農用) 작업차의 주행 및 작업 경로를 생성할 수 있게 하는 경로 생성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route generating apparatus which enables to create a traveling and a work route of an agricultural (agricultural) work vehicle that enables autonomous travel and automatic operation in a package.

1 : 자율 주행 작업 차량
30 : 제어부
110ㆍ111 : 통신 장치
112 : 원격 조작 장치
130 : 제어부
H : 포장
R : 경로
Ra : 작업 경로
Rb : 주행 경로
HA : 작업 영역
1: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30:
110, 111: communication device
112: remote control device
130:
H: Packing
R: Path
Ra: Work Path
Rb: Travel route
HA: Work area

Claims (8)

포장 (圃場) 내를 자율 주행 및 작업 가능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경로 생성 장치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장에서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 경로가 생성되는 제 1 영역과, 작업 경로는 생성되지 않지만 주행하기 위한 주행 경로는 생성할 수 있게 하는 상기 제 1 영역의 주위에 설정되는 제 2 영역과, 상기 포장 내로서 주행이 금지되는 제 3 영역과, 작업 경로는 생성되지 않지만 주행하기 위한 주행 경로는 생성할 수 있게 하는 상기 제 3 영역의 주위에 설정되는 제 4 영역을 설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생성 장치.
A route generating apparatus comprising a control section capable of generating an autonomous traveling and workable route within a field,
And a second region that is set around the first region that allows creation of a traveling route for which no working route is generated but for which a traveling route for traveling is generated, And a fourth region that is set around the third region that allows generation of a traveling route for which no working route is generated but for which the traveling route is generated can be set Characterized in that the path generating device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 4 영역과 제 2 영역을 접속하는 작업 경로가 생성되지 않는 제 5 영역을 설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생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section enables to set a fifth area in which the work path connecting the fourth area and the second area is not generated in the first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 3 영역, 제 4 영역, 제 5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작업 경로를 생성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생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allow a work path to be created in the first area except for the third area, the fourth area, and the fifth area.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5 영역을 제 1 영역에서 생성되는 작업 경로와 평행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생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control unit forms the fifth area in parallel with a work path generated in the first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영역 내에 제 3 영역을 설정하는 경우, 제 3 영역을 구성하는 적어도 1 개의 변은, 제 1 영역을 구성하는 특정 변과 거의 평행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생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third region is set in the first region, the control section sets at least one side constituting the third reg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a specific side constituting the first region. .
포장 내를 자율 주행 및 작업 가능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경로 생성 장치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장에서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 경로가 생성되는 제 1 영역과, 작업 경로는 생성되지 않지만 주행하기 위한 주행 경로는 생성할 수 있게 하는 상기 제 1 영역의 주위에 설정되는 제 2 영역과, 상기 포장 내로서 주행이 금지되는 제 3 영역과, 작업 경로는 생성되지 않지만 주행하기 위한 주행 경로는 생성할 수 있게 하는 제 3 영역의 주위에 설정되는 제 4 영역을 설정할 수 있게 함과 함께, 제 2 영역과 제 4 영역이 중복되는 경우, 제 4 영역을 제 2 영역에 포함시켜 설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생성 장치.
And a control unit capable of generating an autonomous traveling and workable route within the package,
And a second region that is set around the first region that allows creation of a traveling route for which no working route is generated but for which the working route is generated, And a fourth region that is set around a third region that allows generation of a traveling route for which no working route is generated but for which the traveling route is generated, When the second area overlaps with the fourth area, the fourth area is included in the second area so that the fourth area can be set.
포장 내를 자율 주행 및 작업 가능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경로 생성 장치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장에서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 경로가 생성되는 제 1 영역과, 작업 경로는 생성되지 않지만 주행하기 위한 주행 경로는 생성할 수 있게 하는 상기 제 1 영역의 주위에 설정되는 제 2 영역과, 상기 포장 내로서 주행이 금지되는 제 3 영역과, 작업 경로는 생성되지 않지만 주행하기 위한 주행 경로는 생성할 수 있게 하는 제 3 영역의 주위에 설정되는 제 4 영역을 설정할 수 있게 함과 함께, 제 2 영역과 제 4 영역이 소정 폭 미만인 제 6 영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있는 경우에, 제 4 영역 및 제 6 영역을 제 2 영역에 포함시켜 설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생성 장치.
And a control unit capable of generating an autonomous traveling and workable route within the package,
And a second region that is set around the first region that allows creation of a traveling route for which no working route is generated but for which a traveling route for traveling is generated, And a fourth region that is set around a third region that allows generation of a traveling route for which no working route is generated but for which the traveling route is generated, And the fourth region and the sixth region are included in the second region when the second region and the fourth region are opposed to each other with the sixth region being less than the predetermined width therebetween. .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장 내에 제 3 영역 및 제 4 영역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 4 영역끼리가 소정 폭 미만인 제 7 영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있는 경우에, 제 7 영역을 어느 일방의 제 4 영역에 포함시켜 설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생성 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in a case where a plurality of the third area and the fourth area exist in the package and the seventh area is opposed to each other with the seventh area, And the fourth region is set to be included in the route.
KR1020187021945A 2016-03-07 2017-03-03 Path generation device KR10211341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43415 2016-03-07
JP2016043415A JP6507109B2 (en) 2016-03-07 2016-03-07 Running area shape registration system for work vehicle
JPJP-P-2016-048462 2016-03-11
JP2016048462A JP6557622B2 (en) 2016-03-11 2016-03-11 Route generator
JPJP-P-2016-048461 2016-03-11
JP2016048461A JP6557621B2 (en) 2016-03-11 2016-03-11 Route generator
PCT/JP2017/008481 WO2017154772A1 (en) 2016-03-07 2017-03-03 Route generating devi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9410A Division KR102144244B1 (en) 2016-03-07 2017-03-03 Route genera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355A true KR20180100355A (en) 2018-09-10
KR102113414B1 KR102113414B1 (en) 2020-05-20

Family

ID=597902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945A KR102113414B1 (en) 2016-03-07 2017-03-03 Path generation device
KR1020197029410A KR102144244B1 (en) 2016-03-07 2017-03-03 Route generating devic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9410A KR102144244B1 (en) 2016-03-07 2017-03-03 Route generating devic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2113414B1 (en)
CN (2) CN114859915A (en)
WO (1) WO2017154772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71451A1 (en) * 2019-02-25 2020-08-27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stem and Method for Surface Feature Detection and Transvers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67958B2 (en) * 2017-12-07 2021-11-17 株式会社クボタ Field work support terminal, field work machine, and field work support program
JP6745784B2 (en) * 2017-12-20 2020-08-26 株式会社クボタ Work vehicle
WO2019124217A1 (en) * 2017-12-20 2019-06-27 株式会社クボタ Work vehicle, travel path selection system for work vehicle, and travel path calculation system
JP6929815B2 (en) * 2018-03-27 2021-09-01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Travel route management system
DE102019201297B4 (en) * 2019-02-01 2021-03-18 Zf Friedrichshafen Ag Autonomous operation of a vehicle within a safe work area
CN109828584A (en) * 2019-03-01 2019-05-31 重庆润通智能装备有限公司 Lawn to be cut removes, the paths planning method after addition barrier and system
JP7407569B2 (en) * 2019-11-26 2024-01-04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Area registration system
JP7387544B2 (en) * 2020-06-30 2023-11-28 株式会社クボタ Automatic steering management system for agricultural vehicles
CN111854744A (en) * 2020-07-17 2020-10-30 无锡卡尔曼导航技术有限公司 Operation method of GNSS single-point positioning and inertial navigation mower
CN114305202B (en) * 2020-09-30 2023-06-20 好样科技有限公司 Self-walk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GB2600101B (en) * 2020-10-16 2023-03-01 Micropply Ltd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suitable zones for autonomous vehicle operation
TWI826777B (en) * 2021-03-19 2023-12-21 國立陽明交通大學 Row-crop type unmanned vehicle automatic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23147898A (en) * 2022-03-30 2023-10-13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Control device and work vehicle
KR102592085B1 (en) * 2023-02-02 2023-10-20 주식회사 긴트 Ab driving guidance line shift system for precision autonomous driving of agricultural vehicle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012A (en) * 1987-06-24 1989-01-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Unattended working vehicle
JPH07253815A (en) * 1994-03-15 1995-10-03 Minolta Co Ltd Automonous running working truck
JPH09212238A (en) * 1996-01-31 1997-08-15 Shizukou Kk Travel path setting device for autonomous travel cleaning vehicle
JPH1066405A (en) 1996-08-28 1998-03-10 Seibutsukei Tokutei Sangyo Gijutsu Kenkyu Suishin Kiko Unmanned working by unmanned operation of working vehicle
JP2015146748A (en) * 2014-02-05 2015-08-20 ヤンマー株式会社 Electric working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67038B (en) * 2010-12-03 2013-09-04 北京农业信息技术研究中心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all-region-covering optimal working path for farmland plot
CN103673937B (en) * 2013-11-11 2017-06-20 安徽赛为信息技术有限责任公司 The computing system and its method of a kind of Dual-algorithm mode farm machinery field operation area
US20180215393A1 (en) * 2014-03-28 2018-08-02 Yanmar Co., Ltd. Autonomously traveling work vehicle
JP6078025B2 (en) * 2014-06-30 2017-02-08 ヤンマー株式会社 Parallel work system
DE102014118229A1 (en) * 2014-12-09 2016-06-09 Claas Selbstfahrende Erntemaschinen Gmbh Steering system for an agricultural vehicle
CN105045280B (en) * 2015-08-03 2019-01-01 中国农业大学 A kind of self-propelled based on satellite system sprays machine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012A (en) * 1987-06-24 1989-01-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Unattended working vehicle
JPH07253815A (en) * 1994-03-15 1995-10-03 Minolta Co Ltd Automonous running working truck
JPH09212238A (en) * 1996-01-31 1997-08-15 Shizukou Kk Travel path setting device for autonomous travel cleaning vehicle
JPH1066405A (en) 1996-08-28 1998-03-10 Seibutsukei Tokutei Sangyo Gijutsu Kenkyu Suishin Kiko Unmanned working by unmanned operation of working vehicle
JP2015146748A (en) * 2014-02-05 2015-08-20 ヤンマー株式会社 Electric working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71451A1 (en) * 2019-02-25 2020-08-27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stem and Method for Surface Feature Detection and Transvers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859915A (en) 2022-08-05
WO2017154772A1 (en) 2017-09-14
KR20190119150A (en) 2019-10-21
CN108780318A (en) 2018-11-09
KR102144244B1 (en) 2020-08-12
KR102113414B1 (en) 202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0355A (en) Path generating device
KR102161418B1 (en) Work vehicle and travel region specification device
JP6507109B2 (en) Running area shape registration system for work vehicle
JP6557622B2 (en) Route generator
JP6531055B2 (en) Path generator
JP6594805B2 (en) Work vehicle
JP6557621B2 (en) Route generator
JP7142597B2 (en) Running area shape registration system
KR20170083069A (en) Operation terminal
JP6499605B2 (en) Traveling area identification device
JP6854312B2 (en) Travel area identification device
JP7117414B2 (en) work vehicle
JP7179891B2 (en) Driving area identification system, driving area identification method
JP7397919B2 (en) route gener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