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210A - Window film, window film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Window film, window film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210A
KR20180099210A KR1020170026332A KR20170026332A KR20180099210A KR 20180099210 A KR20180099210 A KR 20180099210A KR 1020170026332 A KR1020170026332 A KR 1020170026332A KR 20170026332 A KR20170026332 A KR 20170026332A KR 20180099210 A KR20180099210 A KR 20180099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meth
acrylate
window film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3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종관
강대산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6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9210A/en
Priority to PCT/KR2017/012849 priority patent/WO2018159923A1/en
Publication of KR20180099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21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laminat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laminate excellent in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pencil hardness and durability under severe conditions such as low temperatures, and excellent in bending properties and adhesion to a substrate by comprising: a hard coating film; and an adhesive layer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hard coating film, wherein the adhesive layer has a storage elastic modulus of 0.05-0.5 MPa at -20°C.

Description

윈도우 필름,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필름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WINDOW FILM, WINDOW FILM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film,

본 발명은 윈도우 필름,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필름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film, a window film laminate including the window film, and an image display device.

최근, 화상 이미지를 포함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liquid crystal display: LCD) 장치, 유기 발광 표시(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장치, 플라즈마 표시(plasma display panel: PDP) 장치 및 전계 방출 표시(field emission display: FED) device) 장치 등을 포함한다.Recently, display apparatuses capable of displaying information including image images are actively being developed. The display device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devic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evice, a plasma display panel (PDP) device, and a field emission display ) Device and the like.

상기 표시 장치에 있어서, 예를 들면 LCD 패널 및 OLED 패널과 같은 표시 패널 상부에 외부 환경으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윈도우 기판 또는 윈도우 필름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기판 또는 윈도우 필름은 글래스 재질의 베이스 기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최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개발되면서, 상기 베이스 기판으로서 투명 플라스틱 재질이 활용되고 있다.In the display device, a window substrate or a window film for protecting the display panel from an external environment may be disposed on a display panel, such as an LCD panel and an OLED panel. The window substrate or window film may include a base substrate made of a glass material. Recently, a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has been used as the base substrate while a flexible display has been developed.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접거나 굽힘이 가능하며, 박형화된 디스플레이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 및 구조물 또는 층간 박리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The flexible display can fold or bend and has a thinned display. However, it is necessary to take measures against damages due to an external impact and delamination between structures or delaminations.

예를 들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윈도우 기판 또는 윈도우 필름 적층체는 굴곡 특성 및 박형화에 대한 고려와 함께, 저온, 고온, 고습 등과 같은 가혹 환경 하에서 내구성 등 기계적 신뢰성 확보가 필요하다.For example, in the window substrate or window film laminate applied to the flexible display, it is necessary to secure mechanical reliability such as durability in a severe environment such as low temperature, high temperature, high humidity, and the like in consideration of bending property and thinning.

또한, 상기 윈도우 기판 또는 윈도우 필름 적층체에 점착층을 통해 다른 구조물 또는 부재들이 접합되는 경우, 상기 점착층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적합한 점착력 또는 밀착력이 확보될 필요가 있다.Further, when other structures or members are bonded to the window substrate or the window film laminate through the adhesive layer, it is necessary to secure adhesion or adhesion suitable for the flexible display of the adhesive layer.

한국공개특허 제2011-0111826호에는 아크릴계 수지 및 다관능성 가교제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용 점착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1-0111826 disclos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a touch panel comprising an acrylic resin and a multi-functional cross-linking agent, but has limitations in satisfying physical properties required for a flexible display.

한국공개특허 제2011-0111826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1-0111826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저온에서도 우수한 연필경도, 내구성 등 기계적 물성을 가짐과 동시에 우수한 굴곡 특성을 확보한 윈도우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dow film having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excellent pencil hardness and durability at low temperature and ensuring excellent bending properties.

또한, 본 발명의 일 과제는 각종 기재 예를 들면, 편광자 또는 터치 센서 필름 등과의 밀착력이 우수한 윈도우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dow film excellent in adhesion to various kinds of substrates, for example, a polarizer or a touch sensor film.

또한,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전술한 윈도우 필름을 포함하는 윈도우 필름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Furth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dow film laminat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window film described above.

1. 하드코팅 필름; 및 상기 하드코팅 필름의 일면 상에 적층된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의 -20℃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0.05 내지 0.5MPa 인, 윈도우 필름.1. Hard Coating Film;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hard coating film,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s a storage elastic modulus at -20 캜 of 0.05 to 0.5 MPa.

2. 위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20℃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0.1 내지 0.4MPa인, 윈도우 필름.2. The window film according to 1 above,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s a storage elastic modulus at -20 캜 of 0.1 to 0.4 MPa.

3. 위 1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 필름은 기재필름 및 상기 기재필름 상에 적층된 하드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기재필름 측 일면에 적층되는, 윈도우 필름.3. The window film of claim 1, wherein the hard coating film comprises a base film and a hard coating layer laminated on the base film, wherein the adhesive layer is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base film side.

4. 위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의 윈도우 필름 및 상기 윈도우 필름의 점착층 측에 적층되는 편광판과 터치 센서 필름을 포함하는, 윈도우 필름 적층체.4. A window film laminate comprising a window film of any one of items 1 to 3 and a polarizing plate laminated on the adhesive layer side of the window film and a touch sensor film.

5. 위 4에 있어서, 윈도우 필름, 편광판 및 터치 센서 필름이 순차로 적층되는, 윈도우 필름 적층체.5. The window film laminate according to item 4 above, wherein a window film, a polarizing plate, and a touch sensor film are sequentially laminated.

6. 위 4에 있어서, 윈도우 필름, 터치 센서 필름 및 편광판이 순차로 적층되는, 윈도우 필름 적층체.6. The window film laminate according to item 4, wherein the window film, the touch sensor film, and the polarizing plate are sequentially laminated.

7. 위 4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 필름의 상기 일면의 반대측 타면 상에서 측정된 -20℃에서의 연필경도는 H 이상인, 윈도우 적층체.7. The window laminate according to item 4 above, wherein the pencil hardness at -20 캜 measur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one side of the hard coating film is H or more.

8. 위 4의 윈도우 필름 적층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8. An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window film laminate of claim 4 above.

본 발명의 윈도우 필름은 저온 등의 가혹 조건 하에서도 우수한 연필경도, 내구성 등 기계적 물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우수한 굴곡 특성을 가진다.The window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pencil hardness and durability which are excellent even under severe conditions such as low temperature, and has excellent bending properties.

또한, 본 발명의 윈도우 필름은 각종 기재 예를 들면, 편광자 또는 터치 센서 필름 등과의 밀착력이 우수하다.Further, the window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adhesion to various substrates, for example, a polarizer or a touch sensor film.

따라서, 전술한 윈도우 필름을 포함하는 윈도우 필름 적층체 또는 화상 표시 장치는 외부 충격에도 강한 내구성을 가지며, 예를 들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될 수 있다.Therefore, the window film laminate or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window film has high durability against external impact, and can be applied, for example, to a flexible displa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윈도우 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필름 적층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필름 적층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window fil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window film lamin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window film lamin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윈도우 적층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드코팅 필름; 및 상기 하드코팅 필름의 일면 상에 적층된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의 -20℃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0.05 내지 0.5MPa이어서, 저온 등의 가혹 조건 하에서도 우수한 연필경도, 내구성 등 기계적 물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우수한 굴곡 특성 및 기재와의 밀착력이 우수한 윈도우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lamina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ndow laminate having a hard coating film;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hard coating fil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s a storage elastic modulus at -20 캜 of 0.05 to 0.5 MPa.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pencil hardness and durability And at the same time has excellent bending properties and adhesion to a base material.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제시하나,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le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한편,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In the meantime, in adding the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s of the respective drawings,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ubstantially the same constituents,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 윈도우window 필름> Fil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윈도우 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window fil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윈도우 필름은 하드코팅 필름(10) 및 점착층(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window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rd coating film 10 and an adhesive layer 20.

하드코팅 필름(10)은 예를 들면 편광판, 터치 센서 필름 등의 다른 기재 또는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 측 상에 적층 또는 위치할 수 있고, 외부의 물리적, 화학적 충격으로부터 편광판, 터치 센서 필름 등의 다른 기재 또는 화상 표시 장치를 보호하는 기재 또는 필름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hard coating film 10 may be laminated or placed on another substrate such as a polarizing plate or a touch sensor film or on the viewer side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ay be laminated or placed on the viewer side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ay be provided as a substrate or a film that protects the substrate or the image display device.

하드코팅 필름(10)은 서로 대향되는 제1 면(10a) 및 제2 면(10b)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면(10a)는 외곽에 위치하거나 시인측에 위치하는 면일 수 있고, 제2 면(10b)는 후술할 점착층(20) 또는 편광판(30)에 접하는 면일 수 있다.The hard coating film 10 includes a first surface 10a and a second surface 10b which are opposed to each oth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first surface 10a is located on the outer periphery, And the second surface 10b may be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layer 20 or the polarizing plate 30 to be described later.

하드코팅 필름(10)은 예를 들면, 기재필름(11) 및 기재필름(11) 일면에 적층된 하드코팅층(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hard coating film 10 may include, for example, a base film 11 and a hard coating layer 12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base film 11. [

기재필름(11)은 예를 들면 후술할 편광판(30) 상에 적층될 수 있는 베이스 기재로 제공될 수 있다. 기재필름(11)은 예를 들면 투명 고분자 필름일 수 있으며, 기재 필름(10)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아세틸 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프로피오닐 셀룰오로스, 부티릴 셀룰로오스, 아세틸 프로피오닐 셀룰로오스,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술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COP) 등의 고분자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은 이들 중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투명성, 유연성을 만족하면서도 적정 경도를 가짐으로써 내구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만족시킨다는 측면에서 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film 11 may be provided, for example, as a base substrate which can be laminated on a polarizing plate 30 to be described later. The base film 11 may be, for example, a transparent polymer film, and the base film 10 may be made of triacetylcellulose, acetylcellulose butyrate,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propionylcellulose, butyrylcellulose, Polyvinylidene chloride, polyvinyl alcohol, polyvinyl pyrrolidone, polyvinyl alcohol, polyvinyl alcohol, polyvinyl alcohol, polyvinyl alcohol, polyvinyl alcohol, polyvinyl alcohol, polyvinyl alcohol, A polymer film such as polyvinyl acetal, polyether ketone, polyether ether ketone, polyether sulfone, polymethyl methacryl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carbonate and cycloolefin polymer (COP) . &Lt; / RTI &gt; The base film may include a cycloolefin polymer film from the standpoint of satisfying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durability by satisfying transparency and flexibility while having an appropriate hardness,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

기재필름(11)은 기재필름(11) 상에 적층되는 하드코팅층(12) 또는 후술할 점착층(20) 등과의 밀착성 개선을 위해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수행된 것일 수 있다.The base film 11 may be subjected to a surface treatment such as a plasma treatment or a corona treatment in order to improve adhesion with the hard coat layer 12 laminated on the base film 11 or the adhesive layer 20 to be described later.

기재필름(11)의 두께는 특별하게 제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8 내지 100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10)의 두께가 8㎛ 미만이면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1000㎛ 초과이면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편광판의 중량이 커져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base film 1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8 to 1000 占 퐉, and preferably 40 to 100 占 퐉. If the thickness of the base film 10 is less than 8 m, the workability may be deteriorated. If the thickness is more than 1000 m, the transparency may decrease or the weight of the polarizing plate may increase.

하드코팅층(12)는 기재필름(11) 또는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필름 적층체, 화상 표시 장치 등의 경도, 내스크래치성 및 내충격성을 보완하는 측면에서 기재필름(11) 상에 적층될 수 있다.The hard coat layer 12 may be laminated on the base film 11 in terms of complementing the hardness, scratch resistance and impact resistance of the base film 11 or a window film laminate including the base film 11, an image display device and the like.

하드코팅층(12)은 예를 들면, 기재필름(11) 상에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광 또는 열에 의해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The hard coat layer 12 may be formed, for example, by applying a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on the base film 11 and then curing by light or heat.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광경화성 화합물 및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hard coat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photo-curable compound and a photoinitiator.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은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은 광중합성 모노머, 광중합성 올리고머 등일 수 있고, 예를 들면 단관능 및/또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The photo-curing compound may be, for example, a photopolymerizable monomer, a photopolymerizable oligomer, or the like, and may be, for example, a monofunctional and / or polyfunctional ) Acrylat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본 발명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은 "메타크릴-", "아크릴-" 또는 이 둘 모두를 지칭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meth) acrylic-" refers to "methacryl- "," acrylic- "

상기 광중합성 모노머의 구체적인 예로는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릭에스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클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클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덱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퍼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네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photopolymerizable monomer include dipentaerythritol penta / hexa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ri / tetra (meth) acrylate, ditrimethylol propane tetra (meth) acrylate, (meth) acrylic ester, trimethylol (Meth) acrylate, 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propylene glycol (meth) acrylate, glycerol tri (meth) acrylate, tris Acrylate, 1,4-butanediol di (meth) acrylate, 1,6-hexanediol di (meth) acrylate, neopentyl glycol di (meth) , Di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tri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diprop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bis (2-hydroxyethyl) isocyanurate di (Meth) acrylate, isooctyl (meth) acrylate, isohexyl (meth) acrylate, isohexyl (meth) acrylate, (Meth) acrylate, tetrahydrofurfuryl (meth) acrylate, phenoxyethyl (meth) acrylate and isobonol (meth) acrylat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광중합성 올리고머는 예를 들면,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와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2종의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화물의 스크래치 내성 및 경도를 향상시키고, 하드코팅 필름의 저장 탄성률을 증가시키기 위해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사용할 수 있다.The photopolymerizable oligome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poxy (meth) acrylate, urethane (meth) acrylate and polyester (meth) acrylate.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urethane (Meth) acrylate or a mixture of two kinds of polyester (meth) acrylates can be used. Preferably, a urethane (meth) acrylate oligomer may be used to improve the scratch resistance and hardness of the cured product and to increase the storage modulus of the hard coat film.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분자 내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촉매 존재 하에서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The urethane (meth) acrylate can be prepared by reacting a compound having a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having a hydroxyl group in the molecule and an isocyanate group in the presence of a catalyst according to a method known in the art.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4-톨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2-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4-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2-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디사이클로헥실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디 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디 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디사이클로헥실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의 생성물일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urethane (meth) acrylate oligomer include the reaction of 2-hydroxyethyl (meth) acrylate and 2,4-tolylene diisocyanate, the reaction of 2-hydroxyethyl (meth) acrylate and isophorone diisocyanate Reaction of 2-hydroxybutyl (meth) acrylate and 2,4-tolylene diisocyanate, reaction of 2-hydroxybutyl (meth) acrylate and isophorone diisocyanate, reaction of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And reaction of 2,4-toluene diisocyanate, reaction of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and isophorone diisocyanate, reaction of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and di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 reaction of dipentaerythritol penta (Meth) acrylate and isophorone diisocyanate, dipentaerythritol penta (meth) acrylate and The product of the reaction of di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아크릴산을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The polyester (meth) acrylate can be prepared by reacting a polyester polyol and acrylic acid according to methods known in the art.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헥사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olyester (meth) acrylate may be, for example, a polyester acrylate, a polyester diacrylate, a polyester tetraacrylate, a polyester hexaacrylate, a polyester pentaerythritol triacrylate, a polyester 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 And polyester pentaerythritol hexaacryl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의 함량은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을 10 내지 60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5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60중량부 초과이면 과경화로 인한 크랙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20중량부 미만이면 미경화로 인해 경도, 내마모성 등의 하드코팅층(12)에 경도 등 요구되는 물성이 확보되지 않을 수 있고 유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The content of the photocurable compound is not limited, and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may include 10 to 60 parts by weight of the photocurable compoun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preferably 20 to 45 parts by weight . If the amount is less than 20 parts by weight, physical properties such as hardness may not be secured in the hard coat layer 12, such as hardness and abrasion resistance, and the flexibility may be lowered. .

상기 광개시제는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경화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The photoinitiator is used for cur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and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generally used in the art.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가시광선, 자외선, X선 또는 전자선과 같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양이온 또는 루이스산을 발생시켜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의 중합 반응을 개시하는 것일 수 있으며, 광에 의해 촉매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에 혼합해도 보존 안정성이나 작업성이 우수한 측면이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photoinitiator may be one that initiates a polymerization reaction of the hard coating composition by generating a cation or Lewis acid by irradiation of an active energy ray, such as visible light, ultraviolet light, X-rays or electron beams,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storage stability and workability even when mixed with a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상기 광개시제는 히드록시케톤류, 아미노케톤류 및 수소탈환형 광개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The photoinitiato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xy ketones, aminoketones, and hydrogen recycling photoinitiators.

상기 광개시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디페닐(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 에틸-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피네이트,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린프로판온-1, 디페닐케톤벤질디메틸케탈, 2-히드록시-2-메틸-1-페닐-1-온, 4-히드록시시클로페닐케톤, 디메톡시-2-페닐아테토페논, 안트라퀴논, 플루오렌, 트리페닐아민, 카바졸, 3-메틸아세토페논, 4-크놀로아세토페논, 4,4-디메톡시아세토페논, 4,4-디아미노벤조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벤조페논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시판품으로는 IRGACURE 184(CIBA 사 제조) 등을 사용할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photoinitiator include bis (2,4,6-trimethylbenzoyl) -phenylphosphine oxide, diphenyl (2,4,6-trimethylbenzoyl) phosphine oxide, ethyl 2,4,6-trimethylbenzoylphenyl Methyl-1- [4- (methylthio) phenyl] -2-morpholinopropanone-1, diphenyl ketone benzyl dimethyl ketal, 2-hydroxy- 3-methylacetophenone, 4,4-dichloroacetophenone, 4,4-dichloroacetophenone, 4,4-dihydroxybenzophenone, 4-diaminobenzophenone, 1-hydroxycyclohexyl phenyl ketone, benzophenone, and the like, and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include IRGACURE 184 (manufactured by Ciba) Etc. may be used.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은 제한되지 않으나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조성물 100중량부을 기준으로 10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5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경화로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photoinitiator is not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10 parts by weight or less, preferably 0.5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If the content exceeds 10 parts by weight, cracking may occur due to overaging.

본 발명은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 및 광개시제 이외에 용매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하드코팅층을 형성한 후, 경화되는 과정에서 제거될 수 있는 성분이므로 제조된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희석할 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solvent in addition to the photocurable compound and the photoinitiator. Since the solvent is a component that can be removed in the course of curing after forming the hard coat layer, it is preferable to use the solvent for diluting the prepared composition for hard coat layer.

용매는 당 분야의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에서 용매로 알려진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The solvent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known as a solvent in a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in the art.

상기 용매로는 알코올계(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메틸셀루소브, 에틸솔루소브 등), 케톤계(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에틸케톤, 디프로필케톤, 시클로헥사논 등), 헥산계(헥산, 헵탄, 옥탄 등), 벤젠계(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 에터계(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터, 프로펠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터 등)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예시된 용매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Examples of the solvent include alcohols such as methanol, ethanol, isopropanol, butanol, methylcellulose, ethylsorbox, etc., ketones such as methyl ethyl ketone, methyl butyl ketone, methyl isobutyl ketone, diethyl ketone,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prop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nd the lik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organic solvent (for example, benzene, toluene, xylene, etc.) have. The solvents exemplified abov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용매를 0.1 내지 85중량부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 작업성이 떨어질 수 있고 8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화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may include 0.1 to 85 parts by weight of the solve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If the content is less than 0.1 parts by weight,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may be high and the workability may be deteriorated. If the content is more than 85 parts by weight, the curing process may take a long time and the economical efficiency may decreas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또는 하드코팅층(12)은 무기 나노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나노 입자가 포함됨에 따라, 하드코팅 필름 또는 하드코팅 필름의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 연필 경도 등의 기계적 특성이 추가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ard coating layer 12 or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ing may further comprise inorganic nanoparticles. As the inorganic nanoparticles are included, the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abrasion resistance, scratch resistance, and pencil hardness of the hard coating film or hard coating film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 무기 나노 입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Al2O3, SiO2, ZnO, ZrO2, BaTiO3, TiO2, Ta2O5, Ti3O5, 인듐-주석-산화물(ITO), 인듐-아연-산화물(IZO), 안티몬-주석-산화물(ATO), ZnO-Al, Nb2O3, SnO, MgO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 계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기 나노 입자로서 Al2O3, SiO2 및/또는 ZrO2을 사용할 수 있다.The kind of the inorganic nanoparticl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l 2 O 3 , SiO 2 , ZnO, ZrO 2 , BaTiO 3 , TiO 2 , Ta 2 O 5 , Ti 3 O 5 , indium- (ITO), indium-zinc-oxide can be a (ATO), ZnO-Al, Nb 2 O 3, SnO, MgO , or metal oxide-based combinations thereof-oxide (IZO), antimony-tin. In one embodiment, Al 2 O 3 , SiO 2 and / or ZrO 2 may be used as the inorganic nanoparticle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또는 하드코팅층(12)은 상기한 성분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항산화제, UV 흡수제, 광안정제, 레벨링제, 계면활성제, 방오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or the hard coat layer 12 may contain,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an antioxidant, a UV absorber, a light stabilizer , A leveling agent, a surfactant, and an antifouling agent.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 또는 코팅은 슬릿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스핀 코팅법, 캐스팅법,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바 코팅법, 롤 코팅법, 와이어 바 코팅법, 딥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스크린 인쇄법, 그라비아 인쇄법, 플렉소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잉크젯 코팅법, 디스펜서 인쇄법, 노즐 코팅법, 모세관 코팅법 등의 공지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The application or coating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ing layer may be carried out by a method such as slit coating, knife coating, spin coating, casting, microgravure coating, gravure coating, bar coating, roll coating, It may be carried out by a known method such as a spraying method, a spray coating method, a screen printing method, a gravure printing method, a flexo printing method, an offset printing method, an ink jet coating method, a dispenser printing method, a nozzle coating method or a capillary coating method.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에는 30 내지 150℃의 온도에서 10초 내지 90분 동안,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초 내지 70분 동안 휘발물을 증발시켜 건조시킨다. 이후 UV광을 조사하여 경화시킨다. 상기 UV광의 조사량은 약 0.01 내지 10J/㎠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2J/㎠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After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hard coat layer is applied, the volatiles are evaporated at a temperature of 30 to 150 DEG C for 10 seconds to 90 minutes, more preferably 30 seconds to 70 minutes. And then cured by irradiating UV light. The irradiation amount of the UV light is preferably about 0.01 to 10 J / cm 2, more preferably 0.1 to 2 J / cm 2.

하드코팅층(12)의 두께는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3 내지 15㎛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 포함될 경우, 우수한 경도 및 반사방지 효과를 동시에 갖는 편광판용 표면처리필름을 구현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1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3 to 15 占 퐉. When the content is within the above range, a surface treatment film for a polarizing plate having both excellent hardness and antireflection effect can be realized, which is preferable.

점착층(20)은 하드코팅 필름(10)을 편광판(30), 터치 센서 필름(40) 등 다른 기재와의 접착 또는 적층을 위해 형성되는 층으로서, 하드코팅 필름(10)의 일면 상에 적층되며,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드코팅 필름(10)의 제2 면(10b) 상에 적층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층(20)은 상기 하드코팅층(12)이 적층된 기재필름(11) 측 일면에 적층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20 is a layer formed for adhering or laminating the hard coating film 10 to other substrates such as the polarizing plate 30 and the touch sensor film 40 and may be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hard coating film 10 And is stacked on the second surface 10b of the hard coating film 1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adhesive layer 20 may be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film 11 on which the hard coating layer 12 is laminated.

본 발명에 따른 점착층(20)의 -20℃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0.05 내지 0.5MPa이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orage elastic modulus at -20 캜 of 0.05 to 0.5 MPa.

윈도우 필름은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상에 적층, 결합 또는 위치되어 외부의 물리적, 화학적 충격을 견뎌낼 수 있는 내구성을 갖추면서도 플렉시블 장치에 적합한 굴곡 특성을 갖출 것이 요구되며, 특히 윈도우 필름과 같이 필름 형태의 기재의 경우 상온 등의 일반적인 환경뿐만 아니라 저온 등의 가혹 조건에서도 변형, 들뜸, 박리, 크랙 등의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이를 감소시킬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윈도우 필름 및 다른 기재와의 점착 또는 부착을 위한 점착층이 일정 수준의 탄성률을 만족하지 못하거나, 일정 경도를 만족하지 못하는 등의 경우 외부의 여러 충격에 따라 윈도우 필름의 표면이 변형되어 장치 적용에 부적합해질 우려가 있다.The window film is required to have a bending property suitable for a flexible device while having durability that can be laminated, bonded or positioned on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window film to withstand external physical and chemical impacts, Type substrate, there is a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deformation, lifting, peeling, cracking, etc. in a severe environment such as a low temperature as well as a general environment such as room temperature. However,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 adhesion or adhesion with a window film or other substrate does not satisfy a certain level of elasticity, or does not satisfy a certain hardness, the surface of the window film is deformed due to various external shocks, There is a concern that it may become unsuitable for application.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점착층(20)의 -20℃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0.05 내지 0.5MPa이므로 하드코팅 필름(10)과 접합되는 다른 기재 간의 밀착력을 충분히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상온뿐 아니라 저온 등의 가혹 환경에서도 외부의 충격에 의한 하드코팅 필름(10)의 표면 변형, 들뜸, 박리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점착층(20)의 -20℃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0.05MPa 미만인 경우 점착층(20)에 요구되는 경도를 만족하지 못하여 하드코팅 필름(10)이 외부 충격에 충분히 견딜 수 없어 장치 적용에 적합치 않고, 0.5MPa 초과의 경우 플렉시블 장치에 요구되는 굴곡 특성 또는 유연성이 부족하여 바람직하지 않다.However, since the storage elastic modulus of the adhesive lay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20 캜 is 0.05 to 0.5 MPa,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other substrates bonded to the hard coating film 10 can be sufficiently realiz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surface deformation, lifting and peeling of the hard coating film 10 due to an external impact even in a severe environment. When the storage elastic modulus of the adhesive layer 20 at -20 캜 is less than 0.05 MPa, the hardness required of the adhesive layer 20 is not satisfied and the hard coating film 10 can not withstand the external impact sufficiently, , And when it exceeds 0.5 MPa, flexural characteristics or flexibility required for a flexible device is insufficien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점착층(20)의 -20℃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0.1 내지 0.4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 있을 때 하드코팅 필름(10)의 표면 변형 방지 및 굴곡 특성 향상 측면에서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the storage modulu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0 at -20 캜 may be 0.1 to 0.4, and is preferable in terms of prevention of deformation of the surface of the hard coating film 10 and improvement of bending property .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점착층(20)의 20℃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0.05 내지 0.5MPa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있을 경우, 전술한 저온(-20℃)의 저장 탄성률과의 차이를 최소화하여 온도 조건에 따른 하드코팅 필름(10) 또는 하드코팅 필름(10)에 접합된 다른 기재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도 이들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어 우수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점착층(20)의 20℃에서의 (저장) 탄성률과 -20℃에서의 저장 탄성률의 차는 작을수록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점착층(20)의 20℃에서의 저장 탄성률과 -20℃에서의 저장 탄성률의 차는 0 내지 0.2일 수 있으며, 플렉시블 장치에 적합한 경도 및 굴곡 특성 확보 및 온도에 따른 하드코팅 필름(10)의 변형 가능성을 최소화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the storage modulus of the adhesive layer 20 at 20 캜 may be 0.05 to 0.5 MPa. 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ifference from the storage modulus at low temperatures (-20 DEG C) as described above, thereby minimizing the deformation of the hard coating film 10 or other substrates bonded to the hard coating film 10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ondi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durability of them and to have excellent durability, which is more preferabl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20 ° C and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20 ° C of the adhesive layer 20 is preferably as small as possible, preferably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20 ° C and the storage at -20 ° C The difference in elastic modulus may be from 0 to 0.2, which is preferable in terms of securing the hardness and bending property suitable for the flexible device and minimizing the possibility of deformation of the hard coating film 10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점착층(20)은 예를 들면, 하드코팅 필름(10)의 제2 면(10b) 또는 기재필름(11)에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 경화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의 종류는 당 분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예를 들면 점착층(20)의 전술한 저장 탄성률 범위를 만족하는 점착제 또는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dhesive layer 20 can be formed, for example, by applying and curing a composition for forming an adhesive layer on the second surface 10b of the hard coating film 10 or the base film 11 The kind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adhesive layer is generally used in the art,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0 may satisfy the above- A composition for form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or an adhesive layer may be used.

구체적으로 점착층(20)은 당분야에 공지된 (메타)아크릴계, 실리콘계, 고무계, 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또는 에폭시계 공중합체 등의 점착성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 또는 광학 투명 점착제(Optical Clear Adhesive)조성물의 코팅층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코팅층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adhesive layer 20 can be formed by a composition for form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mpris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polymer such as a (meth) acrylic, silicone, rubber, urethane, polyester or epoxy copolymer, Optical Clear Adhesive) composition, preferably a coating layer formed of a composition for forming an adhesive layer containing an acrylic copolymer.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함유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가교성 단량체,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taining a (meth) acrylic copolymer may include, for example, a (meth) acrylic copolymer, a crosslinkable monomer, and a crosslinking agen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더 포함하여 중합될 수 있다. 여기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In one embodiment, the (meth) acrylic copolymer may be polymerized by further including a (meth) acrylate monomer. Here, (meth) acrylate means acrylate or (meth) acrylate.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당분야의 점착제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일 수 있다.The (meth) acrylate mon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generally us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related art, and may be, for example, a (meth) acrylate monomer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는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n-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meth) acrylate monomer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include n-butyl (meth) acrylate, 2-butyl (meth) acrylate,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methyl (meth) acrylate, n-propyl (meth) acrylate, isopropyl (Meth) acrylate, nonyl (meth) acrylate, nonyl (meth) acrylate, decyl (meth) acrylate and lauryl (meth) acrylate. Of these, n-butyl acrylate, Mixtures of these are preferred.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총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77 내지 98.9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77중량부 미만인 경우 점착력이 충분하지 못하고 이형필름 박리력 항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98.9중량부 초과인 경우 응집력이 저하되어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다.The (meth) acrylate monomer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77 to 98.9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monomers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meth) acrylic copolymer. When the content is less than 77 parts by weight, the adhesive force may not be sufficient and the release film peeling force may be increased. When the content exceeds 98.9 parts by weight, the cohesive strength may be lowered and the durability may be deteriorat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전술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가교성 단량체를 더 포함하여 중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th) acrylic copolymer may be polymerized by further including a crosslinkable monomer copolymerizable with the (meth) acrylate monomer described above.

가교성 단량체는 예컨대 히드록시기를 갖는 단량체, 카르복시기를 갖는 단량체, 아미드기를 갖는 단량체, 3차 아민기를 갖는 단량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The crosslinkable monomer may include, for example, a monomer having a hydroxyl group, a monomer having a carboxyl group, a monomer having an amide group, a monomer having a tertiary amine group, or a combination thereof.

구체적으로 상기 히드록시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렌기의 탄소수가 2-4인 히드록시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5-히드록시펜틸비닐에테르, 6-히드록시헥실비닐에테르, 7-히드록시헵틸비닐에테르, 8-히드록시옥틸비닐에테르, 9-히드록시노닐비닐에테르, 10-히드록시데실비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monomer having a hydroxy group include 2-hydroxyethyl (meth) acrylate, 2-hydroxypropyl (meth) acrylate, 2-hydroxybutyl (meth) acrylate, 4-hydroxybutyl (Meth) acrylate, 2-hydroxypropyleneglycol (meth) acrylate, 2-hydroxypropyleneglycol (meth) acrylate, hydroxyalkyl Hydroxypropyl vinyl ether, 6-hydroxyhexyl vinyl ether, 7-hydroxyheptyl vinyl ether, 8-hydroxyoctyl vinyl ether, 9-hydroxybutyl vinyl ether, Hydroxynonyl vinyl ether, 10-hydroxydecyl vinyl ether, and the like.

상기 카르복시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산, 크로톤산 등의 1가산; 말레인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등의 2가산 및 이들의 모노알킬에스테르; 3-(메타)아크릴로일프로피온산; 알킬기의 탄소수가 2-3인 2-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무수호박산 개환 부가체, 알킬렌기의 탄소수가 2-4인 히드록시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의 무수 호박산 개환 부가체, 알킬기의 탄소수가 2-3인 2-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체에 무수 호박산을 개환 부가시킨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메타)아크릴산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monomer having a carboxyl group include monovalent acids such as (meth) acrylic acid and crotonic acid; Dicarboxylic acids such as maleic acid, itaconic acid, and fumaric acid, and monoalkyl esters thereof; 3- (meth) acryloylpropionic acid; A succinic anhydride ring-opening addition adduct of 2-hydroxyalkyl (meth) acrylate in which the alkyl group has 2 to 4 carbon atoms, anhydrous succinic ring opening adduct of a hydroxyalkylene glycol (meth) acrylate having 2 to 4 carbon atoms in the alkylene group , Compounds obtained by ring-opening addition of succinic anhydride to caprolactone adducts of 2-hydroxyalkyl (meth) acrylates whose alkyl groups have 2-3 carbon atoms, and among these, (meth) acrylic acid is preferable.

상기 아미드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N-3차부틸아크릴아미드, 3-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아미드,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아미드, 8-히드록시옥틸(메타)아크릴아미드, 2-히드록시에틸헥실(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메타)아크릴아미드가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monomer having an amide group include (meth) acrylamide, N-isopropylacrylamide, N-tertiary butyl acrylamide, 3-hydroxypropyl (meth) acrylamide, 4-hydroxybutyl (Meth) acrylamide, 8-hydroxyoctyl (meth) acrylamide and 2-hydroxyethylhexyl (meth) acrylamide. Of these, (meth) acrylamide is preferable.

상기 3차 아민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monomer having a tertiary amine group include N, N- (dimethylamino) ethyl (meth) acrylate, N, N- (diethylamino) ethyl (meth) Methacrylate, and the like.

상기 가교성 단량체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 기준으로 0.05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중량부인 것이 좋다.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점착제의 응집력 및 내구성이 우수하다.The crosslinkable monomer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0.05 to 1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1 to 8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h) acrylic copolymer. When the content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cohesive force and dura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re excellent.

또한, 상기 단량체들 이외에 당분야에 공지된 다른 중합성 단량체가 점착력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예컨대 10중량부 이하로 더 포함될 수 있다.Further, in addition to the above monomers, other polymerizable monomers known in the art may be further added in such a range as not to lower the adhesive force, for example, 10 parts by weight or less.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괴상중합, 용액중합, 유화중합 또는 현탁중합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용액중합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합 시 통상 사용되는 용매, 중합개시제(예를 들면,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등), 분자량 제어를 위한 연쇄이동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method of producing the (meth) acrylic co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produced by a method such as bulk polymerization, solution polymerization, emulsion polymerization or suspension polymerization which is generally used in the art, and solution polymerization is preferable . A polymerization initiator (for example, azobisisobutyronitrile (AIBN) or the like), a chain transfer agent for controlling the molecular weight, and the like can be used.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에 의해 측정된 중량평균분자량(폴리스티렌 환산, Mw)이 50만 내지 170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80만 내지 150만인 것이 점착층의 내구성 및 신뢰성 향상 측면에서 좋다.The (meth) acrylic copolymer preferably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polystyrene conversion, Mw) of from 500,000 to 170,000, more preferably from 800,000 to 1,500,000 as measur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It is good in terms of improving dur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layer.

상기 가교제는 밀착성 및 내구성을 더욱 개선하고, 고온에서의 신뢰성 및 점착제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The crosslinking agent further improves the adhesion and durability, and can maintain the reliability at a high temperature and the shap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본 발명의 가교제는 내구성 개선의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와 우수한 상용성을 가지며 형성된 점착층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The crosslinking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specifically in view of improvement in durability and is preferably used in view of improving dur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with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the (meth) acrylic copolymer Do.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다가 알콜계 화합물 1당량에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3당량을 반응시킨 부가체,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3당량을 자기 축합시킨 이소시아누레이트체,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3당량 중 2당량으로부터 얻어지는 디이소시아네이트 우레아에 나머지 1당량의 디이소시아네이트가 축합된 뷰렛체,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비스트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의 3개의 관능기를 함유하는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Examples of the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include tolylene diisocyanate, xylene diisocyanate, 2,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hexamethylene diisocyanate, isophorone diisocyanate, tetramethyl xylene diisocyanate , Diisocyanate compounds such as naphthalene diisocyanate; An adduct obtained by reacting 3 equivalents of a diisocyanate compound with 1 equivalent of a polyhydric alcohol compound such as trimethylolpropane, an isocyanurate compound in which 3 equivalents of a diisocyanate compound is self-condensed, a diisocyanate obtained from 2 equivalents in 3 equivalents of a diisocyanate compound, A multifunctional isocyanate compound containing three functional groups such as burette, triphenylmethane triisocyanate and methylene bistriisocyanate in which the remaining one equivalent of diisocyanate is condensed in urea; ,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상기 가교제는 그 기능을 다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그 함량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2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부족한 가교도로 인해 응집력이 작게 되어 점착 내구성 및 절단성의 물성을 해칠 수 있으며, 10중량부 초과이면 과다 가교 반응에 의한 잔류 응력 완화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within a range that can fulfill its function. For example, the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0.01 to 10 parts by weight, preferably 0.02 to 2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If the content is less than 0.1 part by weight, the cohesive force becomes small due to insufficient crosslinking, which may impair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durability and cutability. If the content is more than 10 parts by weight, the residual stress due to the excessive crosslinking reaction may be deteriorated.

상기 가교제는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외에도 당분야에 공지된 가교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에폭시계, 금속킬레이트계,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옥사졸린계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The crosslinking agent may further include a crosslinking agent known in the art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Examples of the crosslinking agent include epoxy, metal chelating, polyfunctional acrylate, and oxazoline. Any combination of species can be used.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에 추가적으로 멜라민 유도체, 예를 들면, 헥사메티롤멜라민, 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 헥사부톡시메틸멜라민 등; 폴리에폭시 화합물, 예를 들면, 비스페놀 A와 에피클로로히드린 축합체형의 에폭시 화합물;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 디- 또는 트리글리시딜에테르, 및 테트라글리시딜크실렌디아민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가교제를 더 첨가하여 함께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melamine derivatives such as hexamethylol melamine, hexamethoxymethyl melamine, hexabutoxymethyl melamine and the like; Polyepoxy compounds, for example, bisphenol A and epichlorohydrin condensate type epoxy compounds; At least one crosslinking ag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glycidyl ether of polyoxyalkylene polyol, glycerin di- or triglycidyl ether, and tetraglycidyl xylenediamine may be further added and used togeth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실란커플링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adhesive layer may further comprise a silane coupling agent, if necessary.

실란커플링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비닐클로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p-스티릴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트리에톡시실릴-N-(1,3-디메틸부틸리덴)프로필아민,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스(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설파이드,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치환된 아세트아미드기 함유 실란등을 들 수 있으나, 내구성 과 리워크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치환된 아세트아미드기 함유 실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kind of the silane coupl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vinylchlorosilane, vinyltrimethoxysilane, vinyltriethoxysilane, 2- (3,4-epoxycyclohexyl) ethyltrimethoxysilane, 3- 3-glycidoxypropyldiethoxysilane, 3-glycidoxypropyltriethoxysilane, p-styryltrimethoxysilane, 3-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3-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3-methacryl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 3-methacryl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3-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 N-2- (aminoethyl)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N-2- (aminoethyl) Methyltriethoxysilane,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3-aminopropyltriethoxysilane, 3-triethoxysilyl-N- (1,3-dimethylbutylidene) propylamine, N-phenyl-3-aminopropyltrimethoxysilane, 3-chloropropyltrimethoxysilane, 3- 3-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 bis (triethoxysilylpropyl) tetrasulfide, 3-isocyanatepropyltriethoxysilane, substituted acetamide group-containing silane, and the like. It is preferable to use a substituted acetamide group-containing silane in order to simultaneously satisfy the workability.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실란커플링제는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0.1 내지 2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함량이 10중량부 초과인 경우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The silane coupling agent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01 to 10 parts by weight, preferably 0.1 to 2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polymer based on the solid content. If the content exceeds 10 parts by weight, the durability may be lowered.

또한, 상기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점착력, 응집력, 점성, 탄성률, 유리전이온도 등을 조절하기 위하여, 점착성 부여 수지, 산화방지제, 부식방지제, 대전방지제, 레벨링제, 표면윤활제, 소포제, 충전제, 광안정제, 반응 개시제, 용제 등의 첨가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adhesive layer may further contain additives such as a tackifier resin, an antioxidant, an anticorrosive agent, an antistatic agent, a leveling agent, a surface lubricant, and a lubricant to control the adhesion, cohesion, viscosity, elastic modulus, An antifoaming agent, a filler, a light stabilizer, a reaction initiator, a solvent, and the like.

또한 상기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경화제, 광개시제, 커플링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adhesive layer may further comprise a curing agent, a photoinitiator, a coupling agent, and the like.

상기 경화제는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등의 2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의 3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4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5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6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curing agent may be a bifunctional (meth) acrylate such as hexanediol diacrylate as a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Trifunctional (meth) acrylates of trimethylolpropane tri (meth) acrylate; Tetrafunctional (meth) acrylates such as pentaerythritol tetra (meth) acrylate; Pentafunctional (meth) acrylate such as dipentaerythritol penta (meth) acrylate; (Meth) acrylate such as dipentaerythritol hexa (meth) acrylat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상기 광개시제는 점착제 또는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의 내부 및 표면 경화를 촉진시키며, 당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티오크산톤계, 인계, 트리아진계, 아세토페논계, 벤조페논계, 벤조인계, 옥심계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일 수 있다.The photoinitiator accelerates the internal and surface hardening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type of the photoinitia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known in the art. Examples thereof include thioxanthone, phosphorus, triazine, Benzophenone type, benzoin type or oxime type. Of these, azobisisobutyronitrile (AIBN) may be used.

상기 경화는 그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자외선을 이용한 광경화를 포함할 수 있다.The curin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include photo-curing using ultraviolet rays.

상기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 방법은 당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바코터, 에어 나이프, 그라비아, 리버스 롤, 키스 롤, 스프레이, 블레이드, 다이 코터, 캐스팅, 스핀 코팅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The method of apply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forming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method known in the art,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bar coater, air knife, gravure, reverse roll, kiss roll, spray, blade, die coater, casting, And the like can be used.

전술한 점착층(20)의 저장 탄성률 범위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점착층(20)에 포함될 수 있는 여러 성분들 또는 이의 조성들을 적절히 구성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광개시제, 공중합체 등의 조성, 분자량을 변화시키거나, 광조사량을 조절하거나, 상기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된 여러 성분들, 예를 들면 가교제를 적절하게 변화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점착층(20)의 저장 탄성률 범위를 만족시킬 수 있다.In order to satisfy the storage elastic modulus range of the above-described adhesive layer 20, it may be made by appropriately configuring various components that can be included in the adhesive layer 20 or their compositions. For example, the compositions and molecular weights of the photoinitiators and copolymers includ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adhesive layer may be changed, the amount of light may be controlled, or various components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adhesive layer,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satisfy the storage elastic modulus range of the adhesive lay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점착층(20)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있을 경우 박막 장치를 구현하고 하드코팅 필름(10)의 외부 충격에의 보호 및 경도, 유연성 확보 측면에서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specifically 10 to 100 占 퐉. When the thickness is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preferable to implement a thin film device and to protect the hard coating film 10 from external impact, and to secure hardness and flexibility.

<< 윈도우window 필름  film 적층체The laminate 및 화상 표시 장치> And image display device>

도 2 및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윈도우 필름 적층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Figs. 2 and 3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window film laminate according to embodiments. Fig.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전술한 윈도우 필름을 포함하는 윈도우 필름 적층체를 제공한다.Referring to Figures 2 and 3,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ndow film laminate comprising the above-described window film.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윈도우 필름 적층체는 전술한 윈도우 필름, 편광판(30), 터치 센서 필름(40)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윈도우 필름, 상기 윈도우 필름의 점착층(20) 측에 적층되는 편광판(30)과 터치 센서 필름(40)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ndow film laminat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window film, the polarizer 30 and the touch sensor film 40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the window film, the adhesive layer 20 of the window film, And a polarizing plate 30 and a touch sensor film 40 laminated on the polarizing plate 30 side.

상기 윈도우 필름 적층체는 전술한 윈도우 필름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상기 윈도우 필름은 상기 윈도우 필름 적층체의 시인측 최외곽층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필름이 가지는 우수한 표면 변형 방지 특성 및 굴곡 특성 등의 효과로 인하여 윈도우 필름 적층체에 내구성 및 굴곡 특성 등과 같은 매우 바람직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The window film laminate may comprise the window film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window film may be located on the outermost layer on the viewer side of the window film laminate. Accordingly, the window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highly desirable performance such as durability and flexural characteristics due to the excellent surface deformation preventing property and the bending property of the window film laminate.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필름 적층체는 윈도우 필름, 편광판 및 터치 센서 필름이 순차로 적층된다.2, a window film, a polarizing plate, and a touch sensor film are sequentially laminated on a window film lamin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판(30)는 하드코팅 필름(10) 제2 면(10b)에 접하는 점착층(20)의 일면에 대향되는 타면에 적층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polarizing plate 30 may be laminated on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on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2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10b of the hard coating film 10.

상기 윈도우 필름이 편광판(30) 상에 적층됨에 따라, 편광판(30)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으며, 플렉시블 장치 적용에 효과적으로 적합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필름은 전술한 점착층(20)의 저장 탄성률 범위 및 하드코팅 필름(10)의 제1 면(10a) 상에서 측정된 -20℃에서의 연필경도 범위로 인해 상기 윈도우 적층체의 내구성 및 굴곡 특성이 최적으로 정의될 수 있으므로, 편광판 또는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요구되는 굴곡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으면서도 표면 변형 방지에 효과적이다.As the window film is laminated on the polarizing plate 30, the polarizing plate 30 can be effectively protected from external impact and is effectively suitable for a flexible device application. Specifically, the window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orage elastic modulus range of the above-described adhesive layer 20 and a pencil hardness range at -20 캜 measured on the first surface 10a of the hard coating film 10, The durability and the bending property of the laminate can be optimally defin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tisfy the bending property required for the polarizing plate or the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polarizing plate, and is effective for preventing surface deformation.

편광판(30)은 편광자 단일층 구조이거나, 편광자 및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접합된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일 수 있다.The polarizing plate 30 may be a polarizer single layer structure or a laminated structure including a polarizing film and a protective film bonded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편광판(30)는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편광자 형성용 필름을 팽윤, 염색, 가교, 연신, 수세 및 건조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The polarizing plate 30 may be one obtained by swelling, dyeing, crosslinking, stretching, washing with water, and drying a polarizing film commonly used in the art.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30)는 편광자 형성용 필름을 팽윤, 염색, 가교, 연신, 수세, 건조하는 등의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따라 제조된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편광자일 수 있다.The polarizing plat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 polarizer conventionally used in the art, which is manufactured according to a process including a step of swelling, dyeing, crosslinking, stretching, washing, drying, and the like.

상기 편광자 형성용 필름은 이색성 물질, 즉 요오드에 의해 염색 가능한 필름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탈수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탈염산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필름,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필름, 셀룰로오스 필름, 이들의 부분적으로 검화된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면내에서 편광도의 균일성을 강화하는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요오드에 대한 염색 친화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이 바람직하다.The polarizer-forming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dichroic material, that is, a film that can be dyed with iodine. For example, a polyvinyl alcohol film, a dehydrated polyvinyl alcohol film, a dehydrochlorinated polyvinyl alcohol film ,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a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film, an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 film, a cellulose film, and partially saponified films thereof. Of these,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s preferable because it has an excellent effect of enhancing the uniformity of the degree of polarization in the plane and is excellent in dye affinity for iodine.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로는 아세트산 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 비닐 이외에, 아세트산 비닐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obtained by saponifying a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Examples of the polyvinyl acetate resin include polyvinyl acetate, which i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copolymers of vinyl acetate and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therewith.

아세트산 비닐에 공중합되는 다른 단량체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라면 제한이 없고, 구체적으로는,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Other monomers copolymerized with vinyl acetate are generally used in the art and are not limited as long as they do not deviate from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lefins, vinyl ethers, unsaturated sulfonic acids, For example.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이나 폴리비닐아세탈 등을 들 수 있다. The modified polyvinyl alcohol resin may be a modified polyvinyl alcohol resin.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polyvinyl formal and polyvinyl acetal modified with aldehydes.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85 내지 100 몰%이고, 바람직하게는 98 내지 100 몰% 일 수 있으며,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1,000 내지 10,000, 바람직하게는 중합도 1,500 내지 5,000 일 수 있다.The degree of saponific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may be 85 to 100 mol%, preferably 98 to 100 mol%, and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may be 1,000 to 10,000, preferably 1,500 to 5,000 have.

상기 편광자 형성용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10 내지 150㎛일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forming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10 to 150 mu m.

상기 보호필름은 투명성이 있는 플라스틱 필름이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투명성과 함께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kind of the protective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plastic film having transparency,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ective film is excellent in mechanical strength, thermal stability, moisture barrier property, isotropy, etc., in addition to transparency.

상기 보호필름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이소부틸에스테르셀룰로오스, 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부티릴셀룰로오스, 아세틸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필름;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필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또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필름,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필름; 폴리에테르술폰계 필름; 술폰계 필름;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필름;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아세탈 필름;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필름; 폴리우레탄, 에폭시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미연신(未延伸), 1축 또는 2축 연신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1축 또는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필름 또는 폴리시클로올레핀계 필름이나, 투명성 및 광학적으로 이방성이 없다는 점에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이소부틸에스테르셀룰로오스 필름이 바람직하다.Specific examples of the protective film include polyester film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iso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Cellulose-based films such as diacetylcellulose, triacetylcellulose, acetylcellulose butylate, isobutylester cellulose, propionylcellulose, butyrylcellulose, and acetylpropionylcellulose; Polycarbonate film; Acrylic films such as polymethyl (meth) acrylate and polyethyl (meth) acrylate; Styrene-based films such as polystyrene and acrylonitrile-styrene copolymer; Polyolefin-based films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cyclo-based or norbornene-based polyolefin-based films, and ethylene propylene copolymers;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film; Polyamide film; Polyimide, polyetherimide film; Polyethersulfone-based films; Sulfone based films; Polyvinyl chloride, polyvinylidene chloride film; Polyvinyl alcohol, polyvinyl acetal film; Polyetherketone, polyetheretherketone film; Polyurethane, epoxy film and the like. These may be unoriented, uniaxial or biaxially oriented films. Of these, monoaxially or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s, polymethylmethacrylate films or polycycloolefin-based films superior in transparency and heat resistance, and triacetyl cellulose and isobutyl ester cellulose films in terms of transparency and optical anisotropy desirable.

상기 보호필름의 20 내지 100㎛일 수 있다. 보호필름의 두께는 얇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너무 얇으면 강도가 저하되어 가공성이 떨어지게 되며, 너무 두꺼우면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편광판의 중량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And may be 20 to 100 mu m of the protective film. Though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is preferably small, if it is too thin, the strength is lowered and the workability is lowered. If it is too thick, the transparency is lowered or the weight of the polarizing plate is increased.

본 발명의 윈도우 필름 적층체는 편광판(30) 외에 당 분야에 공지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indow film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known in the art in addition to the polarizer 30.

예를 들면, 상기 윈도우 필름 적층체는 당 분야에 공지된 터치 센서 필름(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윈도우 필름이 적층된 편광판(30)의 일면에 대향되는 타면에 적층된 터치 센서 필름(40)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 필름(40)은 당 분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window film laminate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ensor film 40 known in the art.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touch sensor film 40 stacked on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one surface of the polarizing plate 30 in which the window film is stacked as shown in FIG. The touch sensor film 40 may be one commonly used in the art, for example, triacetylcellulose (TAC).

전술한 터치 센서 필름(40) 및 편광판(30)는 별도의 점착층(미도시), 예를 들면 당 분야에 공지된 감압성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를 통해 형성된 점착층(미도시)에 의해 점착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film 40 and the polarizer 30 may be formed of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not shown) formed through a separat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not shown), for examp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As shown in Fig.

편광판(30) 및 터치 센서 필름(40)은 전술한 윈도우 필름으로 인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된다. 전술한 윈도우 필름은 저온 등의 가혹 조건에서도 표면 변형이 방지되고 굴곡 특성이 우수한 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필름 적층체를 상온뿐만 아니라 저온 조건에서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이를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로 구현함에 있어 매우 바람직하다.The polarizing plate 30 and the touch sensor film 40 are effectively protected from external impact due to the window film described above. The window film described above can prevent surface deformation even under severe conditions such as low temperature and has excellent bending property so that the window film lamin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protected not only at room temperature but also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s and can be realized by a flexible image display device Is very desirable.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필름 적층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3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window film lamin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윈도우 필름 적층체는 전술한 윈도우 필름, 터치 센서 필름(40) 및 편광판(30)이 순차로 적층된다. 도 2와 비교하면,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화상 표시 장치는 편광판(30) 및 터치 센서 필름(40)의 적층 순서가 다르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필름 적층체는 상기 윈도우 필름이 적층된 터치 센서 필름(40)의 일면에 대향되는 타면에 적층된 편광판(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window film laminate is sequentially laminated with the window film, the touch sensor film 40, and the polarizer 30 described above. Compared with FIG. 2, the image display apparatus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differs in that the order of stacking the polarizing plate 30 and the touch sensor film 40 is different. For example, the window film lamin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polarizer 30 laminated on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one surface of the touch sensor film 40 on which the window film is laminated.

편광판(30) 및 터치 센서 필름(40)의 소재, 구성, 점착 방법 등은 전술한 편광판(30), 터치 센서 필름(40)의 소재, 구성, 점착 방법 등과 동일 또는 유사하며, 이에 따라 상기 윈도우 필름 적층체는 상기 윈도우 필름의 외부 충격으로부터의 보호 효과, 저온 등의 가혹 조건에서의 표면 변형 방지, 우수한 굴곡 특성 효과로 인해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로 구현됨에 있어 바람직하다.The material, configuration, and adhesion method of the polarizing plate 30 and the touch sensor film 40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materials, construction, and adhesion method of the polarizing plate 30 and the touch sensor film 40 described above, The film laminate is preferable for being realized as a flexible image display device due to the protection effect from the external impact of the window film, the prevention of surface deformation under severe conditions such as low temperature, and the excellent bending characteristic effect.

또한, 본 발명의 윈도우 필름 적층체의 경우, 하드코팅 필름(10)의 상기 일면의 반대측 타면(예를 들면, 제1 면(10a)) 상에서 측정된 -20℃에서의 연필경도는 H 이상이다. 만일 상기 연필경도가 H 미만인 경우 하드코팅 필름(10) 또는 상기 윈도우 적층체의 내구성이 부족하여, 스크래치, 크랙 등의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의 윈도우 필름 적층체는 점착층(20)이 전술한 저장 탄성률 범위를 만족하므로, 외부 충격에 따른 하드코팅 필름(10)에의 표면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윈도우 필름 적층체에 내구성 및 굴곡 특성이 동시에 구현되어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보다 바람직하게는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 적용에 매우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하드코팅 필름(10)의 상기 일면의 반대측 타면 상에서 측정된 -20℃에서의 연필경도는 H 내지 3H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윈도우 필름 적층체의 내구성 향상 및 굴곡 특성 확보 측면에서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case of the window film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ncil hardness at -20 캜 measured on the opposite surface (for example, the first surface 10a) of the one side of the hard coating film 10 is not less than H . If the pencil hardness is less than H, durability of the hard coating film 10 or the window laminate is insufficient, and there is a risk of scratches and cracks. Since the adhesive layer 20 of the window film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the storage elastic modulus range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surface deformation of the hard coat film 10 due to an external impact, The hard coat film 10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20 (mm) measur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of the hard coating film 10, and is preferably suitable for the application of an image display device, more preferably a flexible image display device, The pencil hardness at &lt; RTI ID = 0.0 &gt; 0 C &lt; / RTI &gt; may range from H to 3H, which is desirable in terms of improving durability and ensuring bending properties of the window film laminate.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윈도우 필름 또는 윈도우 필름 적층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window film or window film laminate.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측 최외곽에 상기 윈도우 필름 또는 윈도우 필름 적층체를 위치, 적층 또는 배치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 충격에 대한 강한 내구성을 가지면서도, 저온 등 가혹 조건에서도 표면 변형이 방지될 수 있고, 굴곡 특성 또한 우수하다.The image display device can position, laminate, or arrange the window film or window film laminate on the outermost periphery of the viewer side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for example, and thus has high durability against external impact, Surface deformation can be prevented even under severe conditions, and the bending property is also excellent.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전술한 구성 외에 당 분야에 공지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displa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configurations known in the art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s described above.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se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1) ((One) ( 메타Meta )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제조) Preparation of acrylic copolymer (A)

질소 가스가 환류되며, 온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장치를 설치한 1L의 반응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 95중량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5중량부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을 투입한 후, 용제로 에틸아세테이트 400중량부를 투입하였다. 그 다음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 가스를 1시간 동안 퍼징한 후, 62℃로 유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반응 개시제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07중량부를 투입하고, 약 8시간 동안 반응시켜 중량평균분자량 약 150만의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1)를 제조하였다.A monomer mixture composed of 95 parts by weight of n-butyl acrylate and 5 parts by weight of 4-hydroxybutyl acrylate was added to a 1 L reactor equipped with a cooling device to easily regulate the temperature and nitrogen gas was refluxed, 400 parts by weight of acetate were added. Nitrogen gas was then purged for 1 hour to remove oxygen and then maintained at 62 ° C. (A-1) having a 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1,500,000 was prepared by reacting the mixture in an amount of 0.07 parts by weight as azobisisobutyronitrile (AIBN) as a reaction initiator and reacting for about 8 hours. .

또한, 상기 방법에 따라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되, n-부틸아크릴레이트 및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의 함량 및 반응 시간을 조절하여 하기 표 1과 같이 A-2 내지 A-9의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The content of n-butyl acrylate and 4-hydroxybutyl acrylate and the reaction time were controlled to obtain a (meth) acrylic copolymer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method, and the contents of A-2 to A- (Meth) acrylic copolymer.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Meth) acrylic copolymer A-1A-1 A-2A-2 A-3A-3 A-4A-4 A-5A-5 A-6A-6 A-7A-7 A-8A-8 A-9A-9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9595 9090 9292 9595 9494 100100 8585 8080 7575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ydroxybutyl acrylate 55 1010 88 55 66 -- 1515 2020 2525 반응시간Reaction time 5hr 5hr 2hr2 hr 8hr 8hr 6hr 6hr 8hr 8hr 8hr 8hr 8hr 8hr 6hr 6hr 7hr 7hr 분자량Molecular Weight 150만1.5 million 145만145 million 140만1.4 million 100만1 million 52만52 million 180만1.8 million 220만220 million 200만2 million 240만2.4 million

(2) (2) 점착층Adhesive layer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Preparation of composition for forming

하기 표 2의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예 1 내지 9의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The components shown in Table 2 below were mixed to prepare compositions for the adhesive layer formation of Production Examples 1 to 9.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Composition for forming an adhesive layer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중량부)
(Meth) acrylic copolymer
(Parts by weight)
A-1A-1 100100 -- -- -- -- -- -- -- --
A-2A-2 -- 100100 -- -- -- -- -- -- -- A-3A-3 -- -- 100100 -- -- -- -- -- -- A-4A-4 -- -- -- 100100 -- -- -- -- -- A-5A-5 -- -- -- -- 100100 -- -- -- -- A-6A-6 -- -- -- -- -- 100100 -- -- -- A-7A-7 -- -- -- -- -- -- 100100 -- -- A-8A-8 -- -- -- -- -- -- -- 100100 -- A-9A-9 -- -- -- -- -- -- -- -- 100100 가교제
(중량부)
Cross-linking agent
(Parts by weight)
B-1B-1 0.030.03 -- -- 0.030.03 -- -- -- -- --
B-2B-2 -- 0.030.03 -- -- 0.030.03 -- -- -- -- B-3B-3 -- -- 0.030.03 -- -- 0.030.03 -- -- 0.030.03 용매menstruum C-1C-1 400400 400400 400400 400400 400400 400400 200200 200200 400400 A-1 내지 A-9: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상기 표 1 참조)
B-1: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XDI)의 어덕트체
B-2: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TDI)의 어덕트체
B-3: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의 어덕트체
E-1: 에틸 아세테이트
A-1 to A-9: (meth) acrylic copolymers (see Table 1 above)
B-1: An adduct of trimethylolpropane and xylylene diisocyanate (XDI)
B-2: An adduct of trimethylolpropane and tolylene diisocyanate (TDI)
B-3: An adduct of trimethylolpropane and hexamethylene diisocyanate (HDI)
E-1: Ethyl acetate

실시예Example

실시예Example 1:  One: 윈도우window 필름 및  Film and 윈도우window 필름  film 적층체의Of the laminate 제조 Produce

(1)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1) Preparation of composition for forming hard coat layer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과 물을 23.63 g : 2.70 g (0.1mol : 0.15 mol)의 비율로 혼합하여 100 mL 2 neck 플라스크에 넣었다. 그 후 상기 혼합물에 0.05 mL의 암모니아를 촉매로 첨가하고 60℃에서 6 시간 동안 교반하여 실록산 졸을 제조하였다.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and water were mixed at a ratio of 23.63 g: 2.70 g (0.1 mol: 0.15 mol) and placed in a 100 mL 2 neck flask. Then, 0.05 mL of ammonia was added to the mixture as a catalyst, and the mixture was stirred at 60 ° C for 6 hours to prepare a siloxane sol.

상기 실록산 졸과 디글리시딜 에테르를 100:10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상기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2중량부의 트리아릴설포니움 헥사플로로안티모네이트염을 혼합하여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The siloxane sol and the diglycidyl ether we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100: 10, and 2 parts by weight of triarylsulfonium hexafluoroantimonate salt was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ture to prepare a hard coat layer composition .

(2) 윈도우 필름의 제조(2) Manufacture of window films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로나에 의해 표면처리된 크기 179.1mm×105.8mm, 두께 80㎛의 COP 필름 위에 10㎛의 두께로 코팅하여 하드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하드코팅층은 도포된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수은 UV (Ultra Violet) 램프 (20 mW/cm2)에 5 분간 노출하여 상기 트리아릴설포니움 헥사플로로안티모네이트염에 의하여 반응을 개시시키고, 50℃ 및 50%의 상대습도 조건 하에서 60 분 동안 수분 열처리를 실시하여 형성되었다.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was coated on a COP film having a size of 179.1 mm x 105.8 mm and a thickness of 10 m by a corona treatment to form a hard coat layer. The hard coat layer was exposed to a mercury UV (Ultra Violet) lamp (20 mW / cm 2 ) for 5 minutes to initiate the reaction by the triarylsulfonium hexafluoroantimonate salt , And subjected to a heat treatment for 60 minutes at 50 캜 and 50% relative humidity.

이후, 제조예 1의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상기 COP 필름 측 일면에 두께가 50㎛가 되도록 도공한 후 건조로에서 건조한다. 그 후 자외선 조사기를 이용하여 23m/min의 속도로 조사하여 경화시켜 도포하고 100℃에서 1분 동안 건조시켜 점착층을 형성하여 실시예 1의 윈도우 필름을 제조하였다.Thereafter,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adhesive layer of Production Example 1 was coated on one side of the COP film so as to have a thickness of 50 占 퐉 and dried in an oven. Then, the film was irradiated at a speed of 23 m / min using an ultraviolet light irradiator and cured, and dried at 100 ° C for 1 minute to for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 저장 탄성률의 측정(3) Measurement of storage elastic modulus

제조된 점착층의 -20℃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레오미터(제조사: Anton Paar, 모델명 : MCR-301)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The storage elastic modulus of the produc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t -20 캜 was measured using a rheometer (manufacturer: Anton Paar, model name: MCR-301),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4) 윈도우 필름 적층체의 제조(4) Production of window film laminate

300mm×300mm 크기의 유리 기판(제이엠씨글라스 사 제조) 상에 터치 센서 필름으로서 크기 164.89mm×104.8mm, 두께 30㎛의 TAC(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터치 센서 필름(제1 기재), 편광자로서 크기 164.89mm×104.8mm, 두께 38㎛의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제2 기재)를 감압 점착제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상기 윈도우 필름의 점착층의 나머지 이형 필름을 제거하여 상기 제2 기재 상에 부착함으로써 유리 기판-제1 기재-제2 기재-점착층-하드코팅층-기재필름의 구조를 가진 윈도우 필름 적층체(도 2 참조)를 제조하였다.(Triacetylcellulose) touch sensor film (first substrate) having a size of 164.89 mm x 104.8 mm and a thickness of 30 m as a touch sensor film on a glass substrate of 300 mm x 300 mm in size (manufactured by JR Kyushu Co., Ltd.) × 104.8 mm and a thickness of 38 μm were sequentially laminated us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the remaining release film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window film was removed and attached to the second substrate A window film laminate (see FIG. 2) having a structure of a glass substrate-a first substrate-a second substrate-an adhesive layer-a hard coat layer-a base film was prepared.

(5) 저온(-20℃) 연필 경도 측정(5) Low temperature (-20 ° C) Pencil hardness measurement

실시예 및 비교예의 윈도우 필름 적층체의 하드코팅 필름의 상면(제1 면, 도 2의 10a 참조) 상에서 연필 경도를 측정하였다. 연필 경도는 JIS K 5400, 5600 규격에 준하여 Pencil Hardness Tester(석보과학)에서 제작된 평가기기를 이용하여 -20℃에서 측정하였으며, 연필은 Mitsubishi社에서 제작된 경도보증용 연필 중 6B~6H 경도 범위를 사용하였다. 측정 시 코팅방향으로 이동하여 5회 1 lot로 3 lot평가를 실시하고, 먼저 육안으로 눌림이나 흠집 등을 관찰하여 5회 측정중 3회 이상 눌림 또는 흠집이 발생하는 것은 fail로 처리하고, 2회까지 발생하는 것은 OK로 판정하였다. 육안으로 판단이 안될 경우 루페로 관찰하거나 백라이트를 이용하여 측정구간의 빛샘을 확인하였다.Pencil hardness was measured on the upper surface (first side, see 10a in Fig. 2) of the hard coat film of the window film laminate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pencil hardness was measured at -20 ° C using an evaluation machine manufactured by Pencil Hardness Tester (Mobo Scientific) in accordance with JIS K 5400, 5600 standard, and the pencil was a hardness guarantee pencil manufactured by Mitsubishi Co. 6B to 6H Hardness range Were used. In the measurement, 3 lots were evaluated with 1 lot of 5 times, and when they were visually observed by pressing or scratching, it was treated as fail with 3 times or more scratches or scratches occurring during 5 measurements. Was judged to be OK. When no visual judgment was made, the light leakage in the measurement period was observed using a loupe or using a backlight.

실시예Example 2 내지 6 및  2 to 6 an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내지 5 1 to 5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다르게 하고, 제1 기재 및 제2 기재를 다르게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 및 방법으로 실시예 2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윈도우 필름 또는 윈도우 필름 적층체를 제조하였다.A window film or a window film laminate of Examples 2 to 6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5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adhesive layer was changed and the first base material and the second base material were different. .

각 윈도우 필름은 점착층의 -20℃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함에 의해 실시예 또는 비교예로 구분되었으며, 각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윈도우 필름 적층체의 저온 연필 경도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Each window film was classified into Examples or Comparative Examples by measuring the storage elastic modulus of the adhesive layer at -20 캜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low temperature pencil hardness of the window film laminate of each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measured The measuremen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below.

실시예Example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One 22 33 44 55 66 1One 22 33 44 55 점착층Adhesive layer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Composition for forming an adhesive layer 제조예 1Production Example 1 제조예 2Production Example 2 제조예 3Production Example 3 제조예 4Production Example 4 제조예 5Production Example 5 제조예 1Production Example 1 제조예 6Production Example 6 제조예 7Production Example 7 제조예 8Production Example 8 제조예 9Production Example 9 제조예 6Production Example 6 저장 탄성률
(-20℃, MPa)
Storage modulus
(-20 &lt; 0 &gt; C, MPa)
0.500.50 0.450.45 0.440.44 0.200.20 0.070.07 0.480.48 0.700.70 1.141.14 0.920.92 1.401.40 0.800.80
제1 기재First substrate 구성Configuration TSTS TSTS TSTS TSTS TSTS POLPOL TSTS TSTS TSTS TSTS POLPOL 제2 기재Second substrate 구성Configuration POLPOL POLPOL POLPOL POLPOL POLPOL TSTS POLPOL POLPOL POLPOL POLPOL TSTS 저온 연필 경도
(-20℃)
Low-temperature pencil hardness
(-20 ° C)
HH HH HH 2H2H HH HH 2H2H 2H2H 2H2H 2H2H HH
굴곡 특성Bending characteristic X X X X X TS: TAC 터치 센서 필름
POL: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
TS: TAC touch sensor film
POL: polyvinyl alcohol polarizer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 굴곡 특성 평가: Evaluation of Flexural Characteristics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윈도우 필름 적층체를 10mmx100mm의 사이즈로 절단하여 시편을 준비하였다. 굴곡 특성 평가 기기(코보텍 사 제조)에 하드코팅 필름이 안쪽으로 위치하도록 삽입하고 샘플의 양쪽 말단을 양면테이프로 고정하였다. 이후, 기계의 곡률반경 3R로 고정하고, 분당 30회의 속도로 1만회 폴딩 한 후, 하기의 평가 기준에 따라 굴곡 특성을 평가하여 상기 표 3에 나타내었다.The window film laminate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cut into a size of 10 mm x 100 mm to prepare specimens. The hard coating film was inserted into the bending property evaluation device (manufactured by Kobo Tec Co., Ltd.) so that both ends of the sample were fixed with double-sided tape. Thereafter, the curvature radius of the machine was fixed at 3R, folded 10,000 times at a rate of 30 times per minute, and the flexural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evaluation criteria.

○: 1만회의 폴딩 후에도 크랙, 파괴 없음○: No cracking or destruction after folding 10,000 times

Ⅹ: 1만회 미만의 폴딩 후 크랙, 파괴 발생X: Cracks and fractures occur after folding less than 10,000 times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20℃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갖는 실시예들의 윈도우 필름 또는 윈도우 필름 적층체는 연필 경도를 우수하게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굴곡 특성 또한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비교예들의 윈도우 필름 또는 윈도우 필름 적층체는 굴곡 특성 평가에서 크랙, 파괴가 발생하여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이 어려운 것을 알 수 있었다.Referring to Table 3, it can be seen that the window film or window film laminate of Examples having a storage elastic modulus at -20 캜 is excellent in pencil hardness and excellent in bending property.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window film or window film laminate of the comparative examples was cracked or broken in evaluating the bending property, and thus it was difficult to apply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 하드코팅 필름 10a: 제1 면
10b: 제2 면 11: 기재필름
12: 하드코팅층 20: 점착층
30: 편광판 40: 터치 센서 필름
10: hard coating film 10a: first side
10b: second side 11: substrate film
12: hard coating layer 20: adhesive layer
30: polarizer 40: touch sensor film

Claims (8)

하드코팅 필름; 및
상기 하드코팅 필름의 일면 상에 적층된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의 -20℃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0.05 내지 0.5MPa인, 윈도우 필름.
Hard coating film; And
And an adhesive layer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hard coating film,
Wherein the storage elastic modulu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t -20 캜 is 0.05 to 0.5 MP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20℃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0.1 내지 0.4MPa인, 윈도우 필름.
The window fil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s a storage elastic modulus at -20 캜 of 0.1 to 0.4 MP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 필름은 기재필름 및 상기 기재필름 상에 적층된 하드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기재필름 측 일면에 적층되는, 윈도우 필름.
The hard coating film of claim 1, wherein the hard coating film comprises a base film and a hard coating layer laminated on the base film,
Wherein the adhesive layer is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film side.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의 윈도우 필름 및 상기 윈도우 필름의 점착층 측에 적층되는 편광판과 터치 센서 필름을 포함하는, 윈도우 필름 적층체.
A window film laminate comprising a window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polarizer plate and a touch sensor film laminated on the adhesive layer side of the window film.
청구항 4에 있어서, 윈도우 필름, 편광판 및 터치 센서 필름이 순차로 적층되는, 윈도우 필름 적층체.
The window film laminat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window film,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touch sensor film are sequentially laminated.
청구항 4에 있어서, 윈도우 필름, 터치 센서 필름 및 편광판이 순차로 적층되는, 윈도우 필름 적층체.
The window film laminat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window film, the touch sensor film, and the polarizing plate are sequentially laminate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 필름의 상기 일면의 반대측 타면 상에서 측정된 -20℃에서의 연필경도는 H 이상인, 윈도우 적층체.
5. The window laminat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pencil hardness at a temperature of -20 DEG C measur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one side of the hard coating film is H or more.
청구항 4의 윈도우 필름 적층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An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window film laminate of claim 4.
KR1020170026332A 2017-02-28 2017-02-28 Window film, window film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80099210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332A KR20180099210A (en) 2017-02-28 2017-02-28 Window film, window film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PCT/KR2017/012849 WO2018159923A1 (en) 2017-02-28 2017-11-14 Window film, window film laminate comprising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332A KR20180099210A (en) 2017-02-28 2017-02-28 Window film, window film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210A true KR20180099210A (en) 2018-09-05

Family

ID=63370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332A KR20180099210A (en) 2017-02-28 2017-02-28 Window film, window film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99210A (en)
WO (1) WO2018159923A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4639A1 (en) * 2019-08-05 2021-02-11 住友化学株式会社 Laminate
WO2022010166A1 (en) * 2020-07-07 2022-01-1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Composite panel
US20220020298A1 (en) * 2020-07-14 2022-01-20 Lg Display Co., Ltd. Cover Window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1796719B2 (en) 2018-10-11 2023-10-24 Lg Chem, Ltd. Protection film for foldable display and folda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US11997810B2 (en) 2019-12-20 2024-05-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bonding memb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71055B2 (en) * 2019-02-27 2020-10-21 住友化学株式会社 Laminates, adhesive compositions and adhesive shee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1826A (en) 2010-04-05 2011-10-12 (주)엘지하우시스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touch panel,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and touch pane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6071B2 (en) * 2006-09-11 2014-03-19 Dic株式会社 Protective adhesive film, screen panel and portable electronic terminal
WO2016068661A2 (en) * 2014-11-01 2016-05-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device
KR101712749B1 (en) * 2014-12-23 2017-03-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Adhesive film and display member comprising the same
JP6515407B2 (en) * 2015-03-09 2019-05-2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Window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window film
KR101579710B1 (en) * 2015-11-12 2015-12-2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Optical laminate and image displaying unit prepa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1826A (en) 2010-04-05 2011-10-12 (주)엘지하우시스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touch panel,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and touch panel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96719B2 (en) 2018-10-11 2023-10-24 Lg Chem, Ltd. Protection film for foldable display and folda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WO2021024639A1 (en) * 2019-08-05 2021-02-11 住友化学株式会社 Laminate
JP2021026109A (en) * 2019-08-05 2021-02-22 住友化学株式会社 Laminate
US11997810B2 (en) 2019-12-20 2024-05-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bonding member
WO2022010166A1 (en) * 2020-07-07 2022-01-1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Composite panel
US11928272B2 (en) 2020-07-07 2024-03-12 Dongwoo Fine-Chem Co., Ltd. Composite panel
US20220020298A1 (en) * 2020-07-14 2022-01-20 Lg Display Co., Ltd. Cover Window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1978370B2 (en) * 2020-07-14 2024-05-07 Lg Display Co., Ltd. Cover window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59923A1 (en) 2018-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7521B2 (en) OLED panel bottom protection film,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20180099210A (en) Window film, window film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1749359B1 (en) Polarizer
WO2017170527A1 (en) Flexible polariz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TWI684517B (en) Hard coated film
US10488571B2 (en) Polarizing pl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KR101462579B1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TW201323223A (en) Unit for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dhesive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said unit
EP3573123B1 (en) Oled panel lower part protection film,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same
TW201329531A (en) Polarizing plate
JP6453689B2 (en) Hard coat film
KR101802575B1 (en) Polarizing plat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2020160461A (en) Flexible polariz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image display device
JP5752438B2 (en) Gas barrier film
JP2020160462A (en) Flexible polariz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180099207A (en) Window substr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20160460A (en) Flexible polariz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1977438B1 (en) Adhesive Composition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JP717877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film
US11187830B2 (en) Polarizing plate,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TWI731575B (en) Radical curable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lay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40074493A (en) Thin type polarising plate
KR20210085209A (en) Curable adhesive composition, protective film for p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same
KR20180096051A (en)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180043490A (en) Hard coating composition and hard coating film prepared from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