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8345A - Mobile terminal of playing moving picture lecture and method of playing related moving picture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of playing moving picture lecture and method of playing related moving pi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8345A
KR20180088345A KR1020180085513A KR20180085513A KR20180088345A KR 20180088345 A KR20180088345 A KR 20180088345A KR 1020180085513 A KR1020180085513 A KR 1020180085513A KR 20180085513 A KR20180085513 A KR 20180085513A KR 20180088345 A KR20180088345 A KR 20180088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cture
moving picture
screen
video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5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은솔
Original Assignee
김은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솔 filed Critical 김은솔
Priority to KR1020180085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8345A/en
Publication of KR20180088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34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6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a ticker, e.g. scrolling banner for news, stock exchange, weather dat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laying a related moving picture comprises: a moving picture playing step of playing a moving picture lecture while a subtitle is displayed in a subtitle area; a keyword user selec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user selection on a specific keyword of the subtitle; and a related moving picture displaying step of selecting a related moving picture related to the keyword and a played moving picture lecture, and displaying the selected related moving picture in a partial area of the played moving picture. The moving picture lecture and the subtitle can be provided by a user input, and a related moving picture lecture can be provided by a core keyword selected by a user in the subtitle.

Description

동영상 강의를 재생하는 이동 단말 및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MOBILE TERMINAL OF PLAYING MOVING PICTURE LECTURE AND METHOD OF PLAYING RELATED MOVING PICTUR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for playing a video lecture and a method for reproducing an associated moving picture,

본 발명은 동영상 강의를 재생하는 이동 단말 및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for playing a moving picture lecture and a related moving picture reproducing method.

인터넷을 통한 동영상 강의는 획일적인 수동적 학습을 개선하고, 학습의 다양화 및 개인화를 도모할 수 있다. Video lectures on the Internet can improve uniform passive learning and diversify and personalize learning.

그러나, 현재의 교육 서비스에 있어서, 동영상 강의는 과거의 학원이나 학교에서 이루어졌던 것처럼 단순한 정보나 학습자료, 풀이방법 제시의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자발성, 개별성 및 상호작용이 무시된 채 기존의 교과서 또는 참고서를 인터넷에 옮겨 놓은 역할밖에는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current educational services, video lectures are not out of the simple form of information, learning materials, and presentation of solutions as they have been done in past academies or schools. Also, there is a problem that only the existing textbooks or reference books are transferred to the Internet without ignoring the spontaneity, individuality and interaction of users.

또한, 사용자가 특정 주제에 대해서 학습을 원하는 경우에도, 이를 위하여 동영상 강의 전체를 수강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동영상 강의 목록 중에서 원하는 특정 주제가 어느 강좌에 속하는지 알 수가 없었다. 또한, 상기 특정 주제가 어느 강좌에 속하는 지를 파악하였다 하더라도, 해당 강좌에서 해당 부분을 다시 파악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Also, even if a user wants to learn about a specific subjec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ntire video lecture should be taken for this purpose. In addition, it was not possible to know which lecture belongs to a specific topic desired from the list of video lectures. Further, even if it is determined which lecture belongs to which specific subjec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levant part must be grasped again in the lecture.

또한, 사용자가 특정 주제에 대해서 학습을 하는 경우에는 강사가 설명하는 내용을 청각에만 의존함에 따라 효율적인 학습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막을 동영상 강의 내에 삽입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지만, 이러한 자막을 단순히 표시하는 것은 강사와 학습자 간의 상호 작용(interaction) 측면에서는 여전히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기술과 관련하여, 일본공개특허공보(선행기술 1) 특개2009-206993호(2009.09.10.)와 공개특허공보(선행기술 2) 제10-2012-0023893호(2012.03.14.)를 고려할 수 있다. 선행기술 1은 관련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고, 선행기술 2는 검색어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선행기술 1에서 관련 컨텐츠는 단순한 영상일 뿐 이러한 영상이 컨텐츠와 어떤 관계에 있는 것인지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다. 또한, 선행기술 2에서 검색된 결과는 동영상 강의가 아니고 검색어와 관련된 단순한 링크일 뿐이다. 따라서, 선행기술 1 및 2뿐만 아니라, 다른 선행기술들과 결합하여도 해당 동영상 강의와 특정 키워드에 모두 기반하는 연관 동영상 강의와 이전 재생되었던 동영상 강의를 화면 상에 어떻게 표시할 지를 전혀 제시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추가적인 선택(터치 입력) 등에 따라 해당 동영상 강의와 연관 동영상 강의의 재생을 어떠한 방식으로 제어할 지에 대해 선행기술들은 전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learns about a specific subject, he / she has difficulty in learning efficiently because he / she relies solely on the hearing content to be explained by the instructo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may be a method of inserting subtitles into video lectures. However, simply displaying such subtitles is still problematic in terms of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 and learner. On the other hand, with respect to the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9-206993 (2009.09.10.) And Published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rior Art 2) No. 10-2012-0023893 .14.) Can be considered. Prior Art 1 relates to a content reproduction method for reproducing related contents, and Prior Art 2 relates to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 search term on a screen. However, in Prior Art 1, the related contents are merely images, and there is no mention of how these images relate to the contents. In addition, the result retrieved in Prior Art 2 is not a video lecture but a simple link related to a search word. Thus, in combination with other prior art techniques as well as prior arts 1 and 2, it does not provide any indication of how to display the associated video lecture based on the video lecture and the specific keyword, and the previously lectured video lecture on the screen There is a problem.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no prior arts can be presented on how to control the playback of the video lecture and the associated video lecture according to the user's additional selection (touch input) or the like.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주제에 대한 동영상 강의를 검색하고 이에 대한 자막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arch a video lecture about a specific subject desired by a user and provide a caption for the lecture.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주제에 대한 동영상 강의를 효과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방법 및 연관된 동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n associated moving picture that can effectively search a video lecture for this specific subject.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은, 자막 영역 내에 자막이 표시된 상태에서 동영상 강의가 재생되는 동영상 재생 단계; 상기 자막 중 특정 키워드(keyword)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는 키워드 사용자 선택 수신 단계; 및 상기 키워드 및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 강의와 연관된 연관 동영상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연관 동영상을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의 화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는 연관 동영상 표시 단계를 포함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동영상 강의와 자막을 제공하고, 자막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핵심 키워드에 따라서 연관된 동영상 강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ssociated moving picture reproducing method comprising: a moving picture reproducing step in which a moving picture lecture is reproduced in a state that a caption is displayed in a caption area; A keyword user selec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user selection of a specific keyword among the captions; And an associated moving picture display step of selecting an associated moving picture associated with the keyword and the moving picture lecture to be played back and displaying the selected related moving picture in a partial area of a screen of the moving picture to be played back, And provide associated video lectures in accordance with the core keywords selected by the user in the cap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은, 상기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은, 상기 연관 동영상이 표시되는 상기 일부 영역 상에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는 일부 영역 사용자 선택 수신 단계; 및 상기 동영상 강의가 표시되었던 주 영역 상에 상기 연관 동영상 강의를 표시하고, 상기 동영상 강의는 상기 일부 영역 상에 표시하여, 화면 배치를 전환하는 화면 배치전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lated moving picture play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partial area user selecting and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user selection on the partial area in which the related moving picture is displayed; And a screen layout switching step of displaying the related moving picture lecture on the main area where the moving picture lecture is displayed and displaying the moving lecture on the partial area to switch the screen arrangeme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은, 상기 연관 동영상이 표시되는 상기 일부 영역 상에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는 일부 영역 사용자 선택 수신 단계; 상기 일부 영역 상에서 사용자 선택이 수신되면, 상기 연관 동영상 강의의 재생 여부와 관련된 사항을 사용자로부터 확인받는 재생 여부 확인 단계; 상기 연관 동영상 재생이 요청되지 않으면, 다른 연관 동영상 강의인 제2연관 동영상 강의를 추가 검색하기 위한 추가 검색어를 입력받는 추가 검색어 수신 단계; 및 상기 제2연관 동영상 강의를 상기 화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는 제2연관 동영상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ssociated moving picture play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partial area user selecting and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user selection on the partial area in which the associated moving picture is displayed; A step of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user concerned is related to the playback of the associated moving picture lecture, when the user selection is received on the selected area; Receiving an additional search term for receiving an additional search term for further searching a second related moving picture lecture, which is another related moving picture lecture, if the related moving picture reproduction is not requested; And a second associated moving picture display step of displaying the second associated moving picture lecture on a part of the scree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은, 상기 연관 동영상 강의의 재생이 완료되면 상기 동영상 강의를 상기 주 영역 상에 배치되도록 화면 복귀하는 화면 복귀 단계; 및 상기 동영상 강의를 이전에 중단된 시점부터 자동으로 재생하는 동영상 강의 자동 재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lated moving picture playing method may include: a screen returning step of returning the moving picture lecture to be arranged on the main area when the playing of the associated moving picture lecture is completed; And automatically reproducing the video lecture automatically from a point of time when the video lecture is previously stopp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영상 재생 단계는, 상기 동영상이 재생되는 화면 영역 내에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이 있으면, 한글 자막/영어 자막/중국어 자막 선택 여부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막 선택을 수신하는 자막 선택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자막을 상기 자막 영역 내에 표시하는 자막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the moving picture reproducing step, when there is a touch input from a user in a screen area in which the moving picture is reproduced, it is possible to display whether or not the Korean subtitle / English subtitle / Chinese subtitle is selected, Selection step; And a subtitle display step of displaying the selected subtitle in the caption area.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은, 상기 자막이 표시된 동영상 강의를 제1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동영상 강의와 연관된 교재를 제2화면에 표시하는 동영상 강의/교재 표시 단계; 및 상기 교재가 표시되는 영역 내에 구비된 동영상 퀴즈 버튼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동영상 강의와 연관된 동영상 퀴즈 강의를 상기 제1화면에 표시하고, 해당 퀴즈를 상기 제2화면에 표시하는 퀴즈/동영상 퀴즈 강의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화면은 단말의 하나의 화면 내에 분할된 화면 영역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lated moving picture playing method may include a moving picture lecture / teaching material displaying step of displaying a moving lecture on which the caption is displayed on a first screen and a text material associated with the moving lecture on a second screen; And a quiz / video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video quiz lecture associated with the video lecture on the first screen and displaying the quiz on the second screen upon receiving a touch input of a video quiz button provided in an area in which the teaching material is displayed,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may be a screen area divided into one screen of th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동영상 강의를 재생하는 이동 단말은,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자막 영역 내에 자막이 표시된 상태에서 동영상 강의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에 재생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자막 중 특정 키워드(keyword)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키워드 및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 강의와 연관된 연관 동영상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연관 동영상을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의 화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for playing a moving picture lecture includes: a display for displaying a screen; And controls the moving picture lecture to be reproduced on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in a state where a caption is displayed in the caption area, receives a user selection of a specific keyword among the captions through the display,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select an associated moving picture associated with the moving picture lecture and display the selected associated moving picture in a partial area of the screen of the moving picture to be reproduc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관 동영상이 표시되는 상기 일부 영역 상에서 사용자 선택을 를 통해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동영상 강의가 표시되었던 주 영역 상에 상기 연관 동영상 강의를 표시하고, 상기 동영상 강의는 상기 일부 영역 상에 표시하여, 화면 배치를 전환하도록 제어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receives user selection on the partial area in which the related moving picture is displayed, displays the related moving picture lecture on the main area in which the moving picture lecture was displayed,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display on the partial area and to control switching of screen arrangeme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관 동영상이 표시되는 상기 일부 영역 상에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일부 영역 상에서 사용자 선택이 수신되면, 상기 연관 동영상 강의의 재생 여부와 관련된 사항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연관 동영상 재생이 요청되지 않으면, 다른 연관 동영상 강의인 제2연관 동영상 강의를 추가 검색하기 위한 추가 검색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제2연관 동영상 강의를 상기 화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receives a user selection on the partial area in which the associated moving image is displayed, and when a user selection is received on the partial area, And receiving from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an additional search term for further searching for a second associated video lecture that is another associated video lecture if the associated video lecture is not requested, And display it on a part of the scree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관 동영상 강의의 재생이 완료되면 상기 동영상 강의를 상기 주 영역 상에 배치되도록 화면 전환하고, 그리고 상기 동영상 강의를 이전에 중단된 시점부터 상기 화면상에 자동으로 재생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may switch the screen of the moving picture lecture to be arranged on the main area when the playing of the associated moving picture lecture is completed, and automatically move the moving picture lecture on the screen Lt; / RTI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이 재생되는 화면 영역 내에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이 있으면, 한글 자막/영어 자막/중국어 자막 선택 여부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화면을 통해 상기 자막 선택을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선택된 자막을 상기 자막 영역 내에 표시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user has a touch input from a user in a screen area where the moving picture is reproduced, the controller displays on the screen whether a Korean subtitle / English subtitle / Chinese subtitle is selected, Receive a selection, and display the selected subtitle in the caption area.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막이 표시된 동영상 강의를 제1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동영상 강의와 연관된 교재를 제2화면에 표시하고, 그리고 상기 교재가 표시되는 영역 내에 구비된 동영상 퀴즈 버튼의 터치 입력을 상기 제2화면을 통해 수신하면, 상기 동영상 강의와 연관된 동영상 퀴즈 강의를 상기 제1화면에 표시하고, 해당 퀴즈를 상기 제2화면에 표시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화면은 단말의 하나의 화면 내에 분할된 화면 영역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moving picture lecture with the subtitles on the first screen, displays the text material associated with the moving picture lecture on the second screen, and displays the moving picture quiz And displaying a quiz lecture associated with the video lecture on the first screen and displaying the quiz on the second screen when the touch input of the button is received through the second screen, 2 screen may be a screen area divided into one screen of th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에 따른 동영상 강의와 자막을 제공하고, 자막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핵심 키워드에 따라서 연관된 동영상 강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deo lectures and subtitles according to user input are provided, and video lectures related to key keywords selected by the user in the subtitles can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동영상 강의와 관련된 퀴즈 및 이와 관련된 동영상 퀴즈 강의를 제공하여, 효과적인 개인화된 학습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ive personalized learning by providing a quiz related to a moving picture lecture and a related moving quiz lec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막이 포함된 동영상 강의와 연관된 동영상 강의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동영상 강의 및 연관 동영상 강의 제공 방법과 관련된 서비스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동영상 강의 및 연관 동영상 강의 제공 방법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과 기능 키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검색어에 따른 동영상 목록 표시 및 선택된 동영상 재생 방법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막이 표시되는 동영상 강의 제공 화면과 자막의 내용과 연관된 연관 동영상 제공 화면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퀴즈와 이와 관련된 동영상 퀴즈 강의와 관련된 화면 구성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연관 동영상 재생 여부 확인과 관련한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선택/표시 및 동영상 퀴즈 강의와 관련된 동영상 재생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providing a moving picture lecture related to a moving picture lecture including a cap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llustrates a servic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moving picture lecture and the related moving picture lectur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 main screen and a function key of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moving picture lecture and the related moving picture lectur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 moving picture list display and a selected moving picture playing method according to a search wo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 a video lecture providing screen in which captions are displayed and an associated video providing screen in association with the contents of the cap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shows a screen configuration related to a quiz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ideo quiz lecture related thereto.
FIG. 7 shows a flowchart of a related moving picture reproduc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shows a flowchart of an associated moving picture reproducing method related to confirmation of whether or not an associated moving picture is reproduced from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shows a flowchart of a moving picture reproducing method related to subtitle selection / display and moving picture quiz le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possibl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동영상 강의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검색 서비스 방법 및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플랫폼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obile terminal providing a video lecture search service, a search service method, and a server and a platform for providing a search servic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강의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및 서버와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서버를 포함하는 동영상 강의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플랫폼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video lecture search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a platform including the mobile terminal and the server providing the video lecture sear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bile terminal and the serv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막이 포함된 동영상 강의와 연관된 동영상 강의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100)은 무선 통신부(110), 인터페이스부(120), 제어부(130), 디스플레이부(140) 및 메모리(150)를 포함한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providing a moving picture lecture related to a moving picture lecture including a cap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interface unit 120, a controller 130, a display unit 140, and a memory 150.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동영상 제공 서버(미도시)로부터 동영상 강의에 관한 검색 결과 및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모듈, WiFi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search results and related information related to video lectures from a video providing server (not shown).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WiFi module, and the like.

상기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1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0) 상의 화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부(120)는 동영상 강의와 관련된 특정 키워드(keyword)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120)는 화면 내에 표시되는 자막 중 특정 키워드(keyword)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20 receives an input from a user. In this regard, the interface unit 12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creen on the display unit 140. Meanwhile, the interface unit 12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 user selection for a specific keyword related to a moving picture lecture. In this regard, the interface unit 12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 user selection of a specific keyword among captions displayed in the screen.

상기 제어부(130)는 자막 영역 내에 자막이 표시된 상태에서 동영상 강의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에 재생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자막 중 특정 키워드(keyword)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키워드 및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 강의와 연관된 연관 동영상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연관 동영상을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의 화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moving picture lecture to be reproduced o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in a state where the caption is displayed in the caption area, receives a user selection of a specific keyword among the captions through the display, A keyword, and an associated moving picture associated with the moving picture lecture to be reproduced, and displays the selected related moving picture on a partial area of the screen of the moving picture to be reproduced.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거나, 또는 동영상 강의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40 may receive input from a user as described above, or may display a video lecture.

상기 메모리(150)는 상기 검색어, 상기 사용자 입력, 상기 동영상 강의, 퀴즈, 동영상 퀴즈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The memory 150 stores information on the search word, the user input, the video lecture, the quiz, and the video quiz.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100)은 동영상 강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200)와 연동한다. 이때, 상기 서버(200)는 무선 통신부(210), 제어부(220) 및 메모리(230)를 포함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1,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terworked with a server 200 providing content of moving images. The server 2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 controller 220, and a memory 230.

한편, 상기 이동 단말(100)에 의해 수행되는 자막이 포함된 동영상 강의 및 연관 동영상 강의 제공 방법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즉, 상기 동영상 강의 및 연관 동영상 강의 제공 방법에 대해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검토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video lecture and an associated video lecture providing method including the caption perform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at is, a method of providing the moving picture lecture and the related moving picture le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to FIG.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동영상 강의 및 연관 동영상 강의 제공 방법과 관련된 서비스 구성을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서비스 방법과 관련된 기능 및 제공 방법은 '스토리 보드(Story board)'로 지칭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리 보드는 인트로, 홈, 기능키, 검색 화면, 추천강의, My 강의, 퀴즈, 교재/요약, 세팅 및 관리자 페이지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인트로'와 관련하여, 이는 인트로 화면, 로그인 화면, 및 홈페이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홈'과 관련하여, 이는 검색 화면, 메인 화면 및 메뉴 바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기능키'와 관련하여, 이는 사용기간, 평가 및 강의 요청하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검색 화면'과 관련하여, 이는 검색 화면, 검색 결과 및 화면 구성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추천강의'와 관련하여, 이는 우선 추천 강의, 추천강의 및 자막강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My 강의'와 관련하여, 이는 강의 평가하기, 내 노트 보기 및 글쓰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퀴즈'와 관련하여, 이는 동영상강의 퀴즈, QR코드 강의 및 강의보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교재/요약'과 관련하여, 이는 교재보기, 노트보기 및 저장하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세팅'과 관련하여, 이는 학년선택, 노트공개 및 강의선택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관리자페이지'와 관련하여, 이는 수강자 검색기능, 일/월 데이터 및 회원 관리 기능으로 구성될 수 있다. 2 illustrates a servic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moving picture lecture and the related moving picture lectur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a function and a providing method related to such a service method may be referred to as a 'story board'. As shown in FIG. 2, the storyboard may include an intro, a home, a function key, a search screen, a recommended lecture, a My lecture, a quiz, a teaching material / summary, a setting, and an administrator page. First, with respect to an 'intro', it may consist of an intro screen, a login screen, and a homepage. Next, with respect to the 'home', this can be configured as a search screen, a main screen and a menu bar. Next, with respect to the 'function key', this may be composed of a period of use, evaluation and requesting a lecture. Next, with respect to the 'search screen', it may be composed of a search screen, a search result, and a screen configuration. Next, with respect to the 'recommended lecture', this can be composed of a recommendation lecture, a recommended lecture, and a subtitle lecture. Next, with respect to 'My lecture', it can be composed of lecture evaluation, my notes view, and writing. Next, with respect to the 'quiz', this may be composed of a video lecture quiz, a QR code lecture and a lecture view. Next, with respect to the 'textbook / summary', it can be composed of viewing a textbook, viewing and storing notes, and the like. Next, with respect to 'settings', this may consist of grade selection, notebook release, and lecture selection. Next, with respect to the 'manager page', it may be composed of a student attendant search function, daily / month data, and member management functions.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동영상 강의 및 연관 동영상 강의 제공 방법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과 기능 키를 도시한다.Next, FIG. 3 shows a main screen and function keys of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moving picture lecture and the related moving picture lectur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은 다음과 같은 배치 형태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main screen of the application may be configured to have the following arrangement form.

1) 기능 버튼1) Function button

2) 검색창 화면2) Search window screen

3) 우선 추천강의 버튼3) First recommendation lecture button

4) 화면 전환 버튼4) Screen switching button

5) 추천 강의 버튼5) Recommended lecture button

6) My 강의 버튼6) My lecture button

7) 퀴즈 버튼7) Quiz button

8) 교재/요약 버튼8) Textbook / summary button

9) 세팅 버튼9) Setting button

다음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에서 1) 기능 버튼을 터치한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은 하위 기능들이 표시될 수 있다.Next, when the 1) function button is touched on the main screen of the application, the lower functions as shown can be displayed.

1) 사용기간1) Period of use

2) 연장하기/등록하기2) Extending / registering

3) 수강권 보내기3) Send the ticket

4) 마이페이지4) My page

5) 평가5) Evaluation

6) 내 정보6) My Information

7) 강의요청하기7) Request a Lecture

8) FAQ8) FAQ

9) 공지 사항9) Notice

10) 이용 약관10) Terms and Conditions

11) 개인정보 동의11) Personal Information Consent

12) 로그아웃12) Sign out

한편, '검색 화면'과 관련하여, 도 3의 2) 검색 창 화면에서 두 글자 이상을 입력하면 연관 검색어들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부정사'라는 검색어로 동영상 강의를 검색하고자 할 때, '부정'이라는 단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부정문, 일반동사 부정문, 부정어, 부정의문문, 부정, 부정의문문 문제, 부정사, ... 와 같은 연관 검색어들이 팝업되면서 화면에 표시되고, 이들 중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검색어인 '부정사'를 선택할 수 있다.In connection with the 'search screen', 2) of FIG. 3, the related search words may be displayed when two or more characters are input in the search window. For example, when a user searches for a video lecture with the keyword 'infinitive', the user can input the word 'no'. At this time, relevant search terms such as negative sentence, general verb negation, negative verb, negative verb, negative verb, wrong verb question, infinitive verb, ... are displayed on the screen while popping up, and the user can select the desired verb 'infinitive verb' .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검색어에 따른 동영상 목록 표시 및 선택된 동영상 재생 방법을 도시한다.Next, FIG. 4 shows a moving picture list display and a selected moving picture playing method according to a search wo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좌측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부정사'라는 키워드를 선택한 경우, 관련된 동영상 목록들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상기 관련된 동영상 목록들은 to 부정사 명사적 용법, to 부정사 형용사적 용법, to 부정사 부사적 용법(목적, 조건, 감정, 판단) 및 to 부정사 부사적 용법 (결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사용자는 1)to 부정사 명사적 용법을 선택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left screen of FIG. 4, when the user selects the keyword " infinitive ", associated video lists are displayed. For example, the related video lists may include to infinitive noun usage, to infinitive adjective usage, to infinitive adverbial usage (purpose, condition, emotion, judgment), and to infinitive adverbial usage (result) . Among them, the user can choose 1) to infinitive noun usage.

사용자가 1)to 부정사 명사적 용법을 선택한 경우, 도 4의 우측 상단 화면이 이동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우측 상단 화면은 2)일반 크기 화면으로 표시된 화면일 수 있다. 3)화면 클릭시 자막, 무자막, 영어 자막, 중국어 자막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자막 선택 바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동영상 강의가 복수의 언어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자막 선택에 따라 상기 동영상 강의는 서로 다른 언어로 재생될 수 있다.If the user selects 1) to infinitive noun usage, the upper right screen of FIG. 4 may b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the upper right screen of FIG. 4 may be a screen of 2) a normal size screen. 3) When the screen is clicked, a subtitle selection bar for selecting subtitles, non-slides, English subtitles, Chinese subtitles, etc.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is regard, when video lectures are provided in a plurality of languages, the video lectures can be reproduced in different languages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subtitles.

도 4의 우측 하단 화면은 4) 안내 바 클릭시, 자막, 무자막, 영어 자막, 중국어 자막 중 선택된 화면으로 실시간 전환됨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사용자자 무자막 버튼을 선택한 경우이다.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동영상 강의가 재생되는 화면은 5) 작은 화면 전환 바에 의해 작은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은 6) 큰 화면 전화 바에 의해 큰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The lower right screen of FIG. 4 shows 4) When the guide bar is clicked, the selected screen is switched to a selected one of caption, non-caption screen, English caption and Chinese caption. For example, the user selects the Noise-Free button.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of the user, the screen on which the moving picture lecture is reproduced can be switched to a small screen by a small screen switching bar. Also,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a large screen by a 6) large screen telephone bar.

예를 들어, 이동 단말의 전체 화면 중 상단에 해당하는 제1화면에 동영상 강의가 표시되고, 하단에 해당하는 제2화면에 교재가 표시되는 형태가 상기 '작은 화면' 전환 상태라고 가정될 수 있다. 이때, 6) 큰 화면 전화 바에 의해 큰 화면으로 전환되면, 상기 동영상 강의가 전체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it can be assumed that the video lecture is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correspon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entir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text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corresponding to the lower part is the 'small screen' switching state . At this time, if the large screen phone bar is switched to a large screen, the moving picture lecture can be displayed as a full screen.

한편, 상기 교재가 표시되는 상기 제2화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퀴즈'와 '글쓰기' 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영상 퀴즈' 버튼이 터치되면, 해당 강의의 퀴즈 강의로 화면이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쓰기' 버튼이 터치되면, 글쓰기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글쓰기 화면은 상기 제2화면에 표시된 교재에 글쓰기가 가능한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글쓰기 화면은 상기 제1화면에 표시된 동영상 강의 화면에 글쓰기가 가능한 모드일 수 있다. 상기 '동영상 퀴즈' 및 '글쓰기' 기능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second screen in which the textbook is displayed, a 'video quiz' and a 'write' button may be arranged. At this time, if the 'video quiz' button is touched,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quiz lecture of the lecture. Also, if the 'write' button is touched,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a writing screen. For example, the writing screen may be a mode in which the writing material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can be written. In addition, the writing screen may be a mode capable of writing on a moving picture screen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The 'video quiz' and 'writing' functio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한편, 상기 '글쓰기'와 관련하여, 상기 글쓰기가 가능한 모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교재가 표시되는 상기 제2화면이 전체 화면으로 전환되고, 상기 전체 화면의 상단 일부 영역에 펜 도구 열기/닫기 바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펜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교재 내의 특정 워드, 예를 들어 '주어' 또는 '동사의 보어'라는 용어에 표시를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교재는 손가락 터치로 화면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고, 크기 조절이 된 상태로 글쓰기가 가능할 수 있다.Meanwhile, with respect to the 'writing', the mode in which the writing is possibl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The second screen on which the teaching material is displayed may be switched to the full screen and a pen tool opening / closing bar may be displayed on a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entire screen. For example, the user may use the pen tool to mark a specific word in a textbook, for example, the word 'subject' or the word 'verb of the verb'. In this regard, the size of the screen can be adjusted by a finger touch, and the text can be written in a size-adjusted state.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막이 표시되는 동영상 강의 제공 화면과 자막의 내용과 연관된 연관 동영상 제공 화면을 도시한다.Meanwhile, FIG. 5 illustrates a video lecture providing screen in which captions are displayed and an associated video providing screen in association with the contents of the cap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자막이 표시되는 동영상 강의 제공 화면과 자막의 내용과 연관된 연관 동영상 제공 화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1 and 5, a video lecture providing screen in which the subtitles are displayed and an associated moving picture providing screen related to the contents of the subtitles will be described.

도 5의 상단 화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30)는 자막 영역 내에 자막이 표시된 상태에서 동영상 강의가 재생되는 동영상 재생을 수행한다. 이때, 자막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두번째로 동사의 목적어 자리에 오는 to부정사입니다'라는 강사의 설명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자막에 표시된 설명 중에서 특정 키워드(keyword)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입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controller 130 plays back moving pictures in which a moving picture is played in a closed caption area. At this time, as shown in the caption, a description of the instructor may be displayed, which is 'to infinitive to come to the second place of the verb'. At this time, the user can input a user selection for a specific keyword among the descriptions displayed in the caption.

이와 관련하여, 도 5의 하단 화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자막 중 특정 키워드(keyword)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상기 디스플레이(140)를 통해 수신한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워드는 '목적어'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controller 130 receives a user selection of a specific keyword among the subtitles through the display 140. Referring to FIG. For example, as shown, the keyword may be an 'object'.

이때, 상기 키워드 '목적어'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키워드 및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 강의와 연관된 연관 동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선택된 연관 동영상을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의 화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화면의 일부 영역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의 우측 하단의 일부 영역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응용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keyword 'object' is selected, the controller 120 can select the keyword and the related moving picture associated with the moving picture lecture to be played back. In this regard, the control unit 12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selected associated moving image on a partial area of the screen of the moving image to be reproduced. As shown in the figure, a part of the screen may be a part of the right lower part of the entire screen,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fre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어부(130)에 의한 상세한 동작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In this regard,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3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연관 동영상이 표시되는 상기 일부 영역 상에서 사용자 선택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동영상 강의가 표시되었던 주 영역 상에 상기 연관 동영상 강의를 표시하고, 상기 동영상 강의는 상기 일부 영역 상에 표시하여, 화면 배치를 전환하도록 제어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5의 하측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연관 동영상은 전체 화면의 우측 하단 일부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상기 우측 하단 일부 영역에 대하여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연관 동영상이 전체 화면으로 표시되고, 상기 일부 영역에는 원래 재생 중이었던 이전의 동영상 강의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관 동영상이 자동으로 재생되고, 이전의 동영상 강의는 정지된 상태로 상기 일부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receives the selected moving picture on the partial area displayed by the user and displays the associated moving picture lecture on the main area where the moving picture lecture was displayed, And to switch the arrangement of the screens. That is, referring to the bottom view of FIG. 5, the associated moving image may be displayed in a partial area on the lower right of the entire screen. At this time, if a touch input is received from the user on the lower right partial area, the associated moving picture is displayed in full screen, and the previous moving picture lecture that was originally playing may be displayed in the partial area. At this time, the related moving picture is automatically reproduced and the previous moving picture lecture can be displayed in the partial area in a stopped state.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관 동영상의 재생 여부에 대한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이후에 상기 연관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reproduce the associated moving image after receiving an input about whether or not the associated moving image is reproduced from the user.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연관 동영상이 표시되는 상기 일부 영역 상에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일부 영역 상에서 사용자 선택이 수신되면, 상기 연관 동영상 강의의 재생 여부와 관련된 사항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연관 동영상 재생이 요청되지 않으면, 다른 연관 동영상 강의인 제2연관 동영상 강의를 추가 검색하기 위한 추가 검색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2연관 동영상 강의를 상기 화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In this regard, the control unit 130 receives a user selection on the partial area in which the related moving image is displayed, and when a user selection is received on the partial area, (140). ≪ / RTI > At this time, if the related moving picture reproduction is not requested, the controller 130 may receive an additional search word for further searching for the second associated moving picture lecture, which is another related moving picture lecture, from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may further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second associated moving picture lecture on a part of the screen.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관 동영상 강의의 재생이 완료되면 이전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연관 동영상 강의의 재생이 완료되면 상기 동영상 강의를 상기 주 영역 상에 배치되도록 화면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동영상 강의를 이전에 중단된 시점부터 상기 화면상에 자동으로 재생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reproduction of the associated animation lecture is completed, the user can return to the previous screen. In this regard, the controller 130 may switch the video lecture to be arranged on the main area when the playback of the associated video lecture is completed.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play the moving picture lecture on the screen from a point in time when the moving picture lecture is stopped previously.

한편, 전술된 자막 선택과 관련하여,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동영상이 재생되는 화면 영역 내에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이 있으면, 한글 자막/영어 자막/중국어 자막 선택 여부를 상기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화면을 통해 상기 자막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자막을 상기 자막 영역 내에 표시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caption selection, the controller 130 may display whether the Korean subtitle / English subtitle / Chinese subtitle is selected on the screen if the user has a touch input in the screen area in which the moving picture is reproduced.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30 may further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selection of the subtitle through the screen from the user, and to display the selected subtitle in the subtitle area.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퀴즈와 이와 관련된 동영상 퀴즈 강의와 관련된 화면 구성을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동영상 퀴즈 버튼'을 클릭하면, 도 6의 좌측 화면과 같은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자막이 표시된 동영상 강의를 제1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동영상 강의와 연관된 교재를 제2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교재가 표시되는 영역 내에 구비된 동영상 퀴즈 버튼의 터치 입력을 상기 제2화면을 통해 수신하면, 상기 동영상 강의와 연관된 동영상 퀴즈 강의를 상기 제1화면에 표시하고, 해당 퀴즈를 상기 제2화면에 표시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화면은 단말의 하나의 화면 내에 분할된 화면 영역일 수 있다.Next, FIG. 6 shows a screen configuration related to a quiz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ideo quiz lecture related thereto. When the 'video quiz button' shown in FIG. 4 is clicked, a screen as shown in the left screen of FIG. 6 may be displayed. In this regard,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the moving picture lecture with the subtitles on the first screen and the second screen with the textbook associated with the moving picture lecture.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a video quiz lecture associated with the video lecture on the first screen when receiving the touch input of the video quiz button provided in the area where the teaching material is displayed through the second screen, And display the quiz on the second screen. Here,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may be screen areas divided into one screen of the terminal.

이상에서 전술된 동영상 강의를 재생하는 이동 단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아래에서는, 전술된 동영상 강의 및 연관 동영상을 재생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하자. 이와 관련하여, 상기 동영상 강의를 재생하는 이동 단말에 관한 내용과 동영상 강의 및 연관 동영상을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내용은 서로 보완되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made with respect to a mobile terminal that reproduces the video lecture described above. In the following, let's look at how to play the aforementioned video lectures and related videos. In this regard,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content of the mobile terminal reproducing the moving picture lecture and the method of reproducing the moving picture lecture and the associated moving image can be complementarily used.

이와 관련하여,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은 동영상 재생 단계(S100), 키워드 사용자 선택 수신 단계(S200), 연관 동영상 표시 단계(S3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은, 일부 영역 사용자 선택 수신 단계(S400) 및 화면 배치전환 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regard, Fig. 7 shows a flowchart of a related moving picture reproduc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related moving picture reproducing method includes a moving picture reproducing step S100, a keyword user selecting receiving step S200, and an associated moving picture displaying step S300. In addition, the related moving picture reproduc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partial region user selection receiving step (S400) and a screen layout switching step (S500).

이와 관련하여, 상기 동영상 재생 단계(S100)는, 자막 영역 내에 자막이 표시된 상태에서 동영상 강의를 재생한다. 다음으로, 상기 키워드 사용자 선택 수신 단계(S200)는, 상기 자막 중 특정 키워드(keyword)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한다. 다음으로, 연관 동영상 표시 단계(S300)는 상기 키워드 및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 강의와 연관된 연관 동영상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연관 동영상을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의 화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한다.In this regard, in the moving picture reproducing step S100, the moving picture lecture is reproduced in a state in which the caption is displayed in the caption area. Next, the keyword user selection receiving step (S200) receives a user selection of a specific keyword among the captions. Next, the related moving picture display step S300 selects an associated moving picture associated with the keyword and the moving picture lecture to be played, and displays the selected associated moving picture on a part of the screen of the moving picture to be played back.

한편,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일부 영역 사용자 선택 수신 단계(S400) 및 상기 화면 배치전환 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related moving picture reproducing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the partial area user selecting and receiving step (S400) and the screen layout switching step (S500) as described above.

상기 일부 영역 사용자 선택 수신 단계(S400)는, 상기 연관 동영상이 표시되는 상기 일부 영역 상에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한다. 다음으로, 상기 화면 배치전환 단계(S500)는 상기 동영상 강의가 표시되었던 주 영역 상에 상기 연관 동영상 강의를 표시하고, 상기 동영상 강의는 상기 일부 영역 상에 표시하여, 화면 배치를 전환한다. The partial area user selection receiving step (S400) receives the user selection on the partial area in which the related moving image is displayed. Next, the screen layout switching step (S500) displays the associated moving picture lecture on the main area where the moving picture lecture was displayed, and displays the moving lecture on the partial area to switch the screen arrangement.

한편,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연관 동영상 재생 여부를 문의하는 방식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연관 동영상 재생 여부 확인과 관련한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On the other hand, the related moving picture reproducing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quires of the user whether or not to play the associated moving picture. In this regard, FIG. 8 shows a flowchart of a related moving picture reproducing method related to checking whether an associated moving picture is reproduced from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은, 상기 일부 영역 사용자 선택 수신 단계(S400)에 추가하여, 재생 여부 확인 단계(S420), 추가 검색어 수신 단계(S440) 및 제2연관 동영상 표시 단계(S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lated moving picture playback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playback confirmation step S420, an additional query reception step S440, and a second related moving picture display step S460 in addition to the partial area user selection reception step S400 .

상기 재생 여부 확인 단계(S420)는 상기 일부 영역 상에서 사용자 선택이 수신되면, 상기 연관 동영상 강의의 재생 여부와 관련된 사항을 사용자로부터 확인받는다.  If the user selection is received on the partial area, the playback confirmation step (S420) confirms whether or not the associated moving picture lecture is reproduced.

상기 추가 검색어 수신 단계(S440)는 상기 연관 동영상 재생이 요청되지 않으면, 다른 연관 동영상 강의인 제2연관 동영상 강의를 추가 검색하기 위한 추가 검색어를 입력받는다. The additional search word receiving step (S440) receives an additional search term for additional search of the second associated moving picture lecture, which is another related moving picture lecture, if the related moving picture reproduction is not requested.

상기 제2연관 동영상 표시 단계(S460)는 상기 제2연관 동영상 강의를 상기 화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한다.The second associated moving picture display step (S460) displays the second associated moving picture lecture on a part of the screen.

한편, 제1 및 제2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기 연관 동영상 강의 재생이 완료되면 다음과 같은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은 화면 복귀 단계(S600) 및 동영상 강의 자동 재생 단계(S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when the reproduction of the associated moving picture lecture is completed, the following steps can be further performed. In this regard, referring to FIG. 7, the related moving picture reproduc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creen returning step S600 and a moving picture automatic reproducing step S650.

상기 화면 복귀 단계(S600)는 상기 연관 동영상 강의의 재생이 완료되면 상기 동영상 강의를 상기 주 영역 상에 배치되도록 화면 복귀한다.In the step S600, when the playback of the associated moving picture lecture is completed, the moving picture lecture is restored on the main area.

상기 동영상 강의 자동 재생 단계(S650)는 이전에 중단되었던 상기 동영상 강의를 이전에 중단된 시점부터 자동으로 재생한다.In step S650, the video lecture automatically plays back the video lecture previously stopped.

다음으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선택/표시 및 동영상 퀴즈 강의와 관련된 동영상 재생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Next, FIG. 9 shows a flowchart of a moving picture reproducing method related to subtitle selection / display and moving picture quiz le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상기 자막 선택/표시와 관련하여, 상기 동영상 재생 방법은, 자막 선택 단계(S120) 및 자막 표시 단계(S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irst, regarding the subtitle selection / display, the moving picture reproduc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ubtitle selection step (S120) and a subtitle display step (S140).

상기 자막 선택 단계(S120)는 상기 동영상이 재생되는 화면 영역 내에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이 있으면, 한글 자막/영어 자막/중국어 자막 선택 여부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막 선택을 수신한다. In the subtitle selection step S120, if there is a touch input from the user in the screen area in which the moving picture is reproduced, it indicates whether or not to select the Korean subtitle / English subtitle / Chinese subtitle, and receives the subtitle selection from the user.

또한, 상기 자막 표시 단계(S140)는 상기 선택된 자막을 상기 자막 영역 내에 표시한다.In addition, the caption display step (S140) displays the selected caption in the caption area.

한편, 상기 동영상 퀴즈 강의와 관련하여, 상기 동영상 재생 방법은, 동영상 강의/교재 표시 단계(S720) 및 퀴즈/동영상 퀴즈 강의 표시 단계(S740)를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regarding the moving picture quiz lecture, the moving picture reproducing method may display a moving lecture / teaching material display step S720 and a quiz / video quiz lecture displaying step S740.

먼저, 상기 동영상 강의/교재 표시 단계(S720)는 상기 자막이 표시된 동영상 강의를 제1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동영상 강의와 연관된 교재를 제2화면에 표시한다. First, in the moving lecture / teaching material display step S720, a moving lecture with the subtitles is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and a textbook associated with the moving lecture is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다음으로, 퀴즈/동영상 퀴즈 강의 표시 단계(S740)는 상기 교재가 표시되는 영역 내에 구비된 동영상 퀴즈 버튼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동영상 강의와 연관된 동영상 퀴즈 강의를 상기 제1화면에 표시하고, 해당 퀴즈를 상기 제2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화면은 단말의 하나의 화면 내에 분할된 화면 영역일 수 있다.The display step S740 of the quiz / video quiz lecture displays a video quiz lecture associated with the video lecture on the first screen upon receiving the touch input of the video quiz button provided in the area in which the teaching material is displayed, And displays the quiz on the second screen.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may be a screen area divided into one screen of th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에 따른 동영상 강의와 자막을 제공하고, 자막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핵심 키워드에 따라서 연관된 동영상 강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video lectures and subtitles according to user input are provided, and video lectures related to key keywords selected by the user in the subtitles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동영상 강의와 관련된 퀴즈 및 이와 관련된 동영상 퀴즈 강의를 제공하여, 효과적인 개인화된 학습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quiz related to moving picture lecture and related moving quiz lecture can be provided, and effective personalized learning can be provided.

한편, 상기 도 1에 제시된 제어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세부 구성 모듈 또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 1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Furth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module of the control unit may also be implemented by hardware, software, and a combination thereof.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 뿐만 아니라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로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제어부(controller) 또는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not only the procedures and functions described herein, but also each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software module.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may perform one or more of th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Software code can be implemented in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 is stored in a memory and can be executed by a controller or a processor.

100: 이동 단말기
110: 무선 통신부 120: 인터페이스부
130: 제어부 140: 디스플레이부
150: 메모리
100: mobile terminal
1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interface unit
130: Control section 140:
150: Memory

Claims (4)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동영상 강의를 재생하는 이동 단말에 의해 수행되고,
자막 영역 내에 자막이 표시된 상태에서 동영상 강의가 재생되는 동영상 재생 단계;
상기 자막 중 특정 키워드(keyword)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는 키워드 사용자 선택 수신 단계; 및
상기 키워드 및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 강의와 연관된 연관 동영상 강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연관 동영상 강의를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의 화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는 연관 동영상 표시 단계;
상기 연관 동영상 강의가 표시되는 상기 일부 영역 상에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는 일부 영역 사용자 선택 수신 단계; 및
상기 동영상 강의가 표시되었던 주 영역 상에 상기 연관 동영상 강의를 표시하고, 상기 동영상 강의는 상기 일부 영역 상에 표시하여, 화면 배치를 전환하는 화면 배치전환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 배치전환 단계에서, 상기 연관 동영상 강의가 자동으로 재생되고, 이전에 재생된 상기 동영상 강의는 정지된 상태로 상기 일부 영역 상에 표시되고,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연관 동영상 강의를 선택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연관 동영상 강의는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 강의를 제공하는 서버에서 제공되는,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
A method for playing an associated moving pictur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moving picture reproducing step in which a moving picture lecture is reproduced in a state where a caption is displayed in a caption area;
A keyword user selec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user selection of a specific keyword among the captions; And
Selecting an associated video lecture associated with the keyword and the video lecture to be played back and displaying the selected associated video lecture on a partial area of the screen of the video to be played;
A partial area user selec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user selection on the partial area in which the associated moving picture lecture is displayed; And
And a screen layout switching step of displaying the related moving picture lecture on the main area in which the moving picture lecture is displayed and displaying the moving lecture on the partial area,
In the screen layout switching step, the associated moving picture lecture is automatically reproduced, the previously recorded moving picture lecture is displayed on the partial area in a stopped state,
Wherein the associated moving picture lecture is provided by a server providing the moving picture lecture to be played by the operation of selecting the associated moving picture lecture performed by the mobi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영역 상에서 사용자 선택이 수신되면, 상기 연관 동영상 강의의 재생 여부와 관련된 사항을 사용자로부터 확인받는 재생 여부 확인 단계; 및
상기 연관 동영상 강의에 대한 재생이 요청되지 않으면, 다른 연관 동영상 강의인 제2연관 동영상 강의를 추가 검색하기 위한 추가 검색어를 입력받는 추가 검색어 수신 단계; 및
상기 제2연관 동영상 강의를 상기 화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는 제2연관 동영상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 재생 단계는,
상기 동영상 강의가 재생되는 화면 영역 내에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이 있으면, 한글 자막/영어 자막/중국어 자막 선택 여부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막 선택을 수신하는 자막 선택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자막을 상기 자막 영역 내에 표시하는 자막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tep of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user concerned is related to the playback of the associated moving picture lecture, when the user selection is received on the selected area; And
Receiving an additional search term for receiving an additional search term for further searching for a second related moving picture lecture, which is another related moving picture lecture, if playback of the related moving lecture is not requested; And
And displaying a second associated moving picture lecture on a part of the screen,
In the moving picture reproducing step,
A subtitle selection step of displaying whether the Korean subtitle / English subtitle / Chinese subtitle is selected and receiving the selection of the subtitle from the user when the user inputs a touch input in the screen area in which the moving picture lecture is reproduced; And
And displaying the selected caption in the caption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동영상 강의의 재생이 완료되면 상기 동영상 강의를 상기 주 영역 상에 배치되도록 화면 복귀하는 화면 복귀 단계; 및
상기 동영상 강의를 이전에 중단된 시점부터 자동으로 재생하는 동영상 강의 자동 재생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returning the video lecture screen to be placed on the main area when the playback of the associated moving picture lecture is completed; And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automatically playing back the video lecture automatically from a point of time when the lecture was previously stopp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이 표시된 동영상 강의를 제1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동영상 강의와 연관된 교재를 제2화면에 표시하는 동영상 강의/교재 표시 단계; 및
상기 교재가 표시되는 영역 내에 구비된 동영상 퀴즈 버튼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동영상 강의와 연관된 동영상 퀴즈 강의를 상기 제1화면에 표시하고, 해당 퀴즈를 상기 제2화면에 표시하는 퀴즈/동영상 퀴즈 강의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화면은 단말의 하나의 화면 내에 분할된 화면 영역인,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isplaying a video lecture on which the subtitles are displayed on a first screen and displaying a text material associated with the video lecture on a second screen; And
A quiz / video quiz for displaying a video quiz lecture associated with the video lecture on the first screen and displaying the quiz on the second screen when receiving a touch input of a video quiz button provided in an area for displaying the teaching material, Further comprising a lecture display step,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are screen areas divided into one screen of the terminal.
KR1020180085513A 2018-07-23 2018-07-23 Mobile terminal of playing moving picture lecture and method of playing related moving picture KR2018008834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513A KR20180088345A (en) 2018-07-23 2018-07-23 Mobile terminal of playing moving picture lecture and method of playing related moving pi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513A KR20180088345A (en) 2018-07-23 2018-07-23 Mobile terminal of playing moving picture lecture and method of playing related moving pictur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851A Division KR20180066709A (en) 2016-12-09 2016-12-09 Mobile terminal of playing moving picture lecture and method of playing related moving pi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345A true KR20180088345A (en) 2018-08-03

Family

ID=63250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513A KR20180088345A (en) 2018-07-23 2018-07-23 Mobile terminal of playing moving picture lecture and method of playing related moving pi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834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646B1 (en) * 2020-03-26 2020-10-14 김혜원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playing moving picture le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646B1 (en) * 2020-03-26 2020-10-14 김혜원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playing moving picture le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7537B2 (en) Event-driven streaming media interactivity
KR20180066709A (en) Mobile terminal of playing moving picture lecture and method of playing related moving picture
JP5553609B2 (en) Language learning content provision system using partial images
US89664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interactive three-dimension multimedia, and online editing and exchanging architecture and method thereof
US20140315179A1 (en) Educational Content and/or Dictionary Entry with Complementary Related Trivia
US9137483B2 (en) Video playback device, video playback metho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on video playback program, video playback control device, video playback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on video playback control program
Otsuji et al. The translingual advantage: Metrolingual student repertoires
Moorefield-Lang Accessibility in online course design
CN102663907A (en) Video teaching system and video teaching method
KR102036639B1 (en) Mobile terminal of playing moving picture lecture and method of displaying related moving picture
KR20180088345A (en) Mobile terminal of playing moving picture lecture and method of playing related moving picture
Thompson Media player accessibility: Summary of insights from interviews & focus groups
JP2003250118A (en) Contents transmission server system, contents transmission method, contents transmission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2013109168A (en) Electronic textbook device, classroom system, and program
KR102165646B1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playing moving picture lecture
KR20030049791A (en) Device and Method for studying foreign languages using sentence hearing and memorization and Storage media
KR20040065593A (en) On-line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 and system through voice recognition
US9253436B2 (en) Video playback device, video playback metho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on video playback program, video playback control device, video playback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on video playback control program
KR100392473B1 (en) Method for process of learning language using moving picture in internet
JP2017054167A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program
KR20230175029A (en) Method for searching and performing preview for moving picture lecture
JP6953825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program
KR20090059510A (en) Multimedia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dictionary using the same
KR20020034144A (en) Education method for foreign conversation on internet
KR202201265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ports learning contents in multiple langu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