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7753A - Apparatus for location-based image sharing ser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location-based image sharing ser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7753A
KR20180087753A KR1020170012207A KR20170012207A KR20180087753A KR 20180087753 A KR20180087753 A KR 20180087753A KR 1020170012207 A KR1020170012207 A KR 1020170012207A KR 20170012207 A KR20170012207 A KR 20170012207A KR 20180087753 A KR20180087753 A KR 20180087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mage information
information
location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2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41587B1 (en
Inventor
이정후
김휘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우스오브리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우스오브리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우스오브리벨스
Priority to KR1020170012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587B1/en
Publication of KR20180087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7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5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ore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location-based image sharing service apparatus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age information of a visiting place generated in a generation terminal can be registered based on location, and a user can retrieve and read the registered image information in a reading terminal based on location so as to build an image sharing service environment. Therefore, sharing of realistic information of the visiting place near hear is possible and can easily visit the place corresponding to the image information since the sharing of the image information is performed based on a location-based service.

Description

위치-기반 영상공유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APPARATUS FOR LOCATION-BASED IMAGE SHARING SER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0001] APPARATUS FOR LOCATION-BASED IMAGE SHARING SER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0002]

본 발명은 생성단말에서 방문장소에 대해 생성된 영상정보를 위치 기반으로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열람단말에서는 등록된 영상정보를 위치 기반으로 검색하여 열람(재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영상 공유 서비스 방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deo sharing service scheme that allows video terminals to register video information generated for a visited place in a generating terminal and supports viewing (playback) of registered video information on a location basis in a viewing terminal .

최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의 진화 및 새로운 무선 데이터 서비스 시장을 겨냥해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Based Service)가 새로운 산업분야로 대두되고 있다.In recent years, location-based services (LBS) have emerged as new industrial fields for the evolu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the new wireless data service market.

위치기반서비스는 이동중인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다양한 다른 유용한 정보와 실시간으로 결합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부가적인 응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The location - based service combines location information of a moving user with various other useful information in real time to provide various additional application services required by the user.

한편, 최근에는 자신의 방문장소(예: 상점, 음식점, 여행지)에 대한 후기 및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리뷰정보를 타인과 웹 상에서 공유하는 문화가 일반화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a culture of sharing reviews with other people on the web has been generalized, including reviews and 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places of visit (for example, stores, restaurants, and travel destinations).

그러나, 이처럼 웹 상에서 공유되는 리뷰정보는 텍스트 또는 사진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로 인해 방문 장소에 대한 현실감이 있는 정보를 전달하는 데에는 한계가 따르며, 더욱이 리뷰정보 상의 방문장소의 위치 또한 주소 또는 지도 상의 위치로 표기되는 것이 일반적인 관계로 실제 타인이 리뷰정보를 접하여 해당 장소를 방문하기까지에는 어려움이 따르는 것이 현실이다.However, such review information shared on the web is generally composed of text or photographs, and therefore, there is a limitation in conveying realistic information about the place of visit, and furthermore, It is a reality that it is difficult for others to visit the place by visiting the review information.

이에, 본 발명에서는 앞서 언급한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하여 방문장소에 대한 영상정보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 환경을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new service environment in which image information can be shared about a visit place using the above-mentioned location-based service.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생성단말에서 방문장소에 대해 생성된 영상정보를 위치 기반으로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열람단말에서는 등록된 영상정보를 위치 기반으로 검색하여 열람할 수 있는 영상 공유 서비스 환경을 구축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 user terminal to register image information generated for a visited place on a location basis, Based on a location-based search ser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공유서비스장치는, 열람단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열람단말에서 표시되는 특정 지도영역을 확인하는 확인부; 영상정보의 생성 위치를 기초로 기 등록된 영상정보로부터 상기 특정 지도영역에 속하는 영상정보를 선별하는 선별부; 및 상기 선별된 영상정보에 대한 각각의 아이콘이 상기 특정 지도영역 내 각각의 생성 위치에서 표시되도록 처리하여, 상기 열람단말에서 상기 특정 지도 영역 내 특정 아이콘을 선택하여 영상정보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ideo sharing service apparatus including: a confirmation unit for confirming a specific map area displayed on the viewing terminal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a reading terminal; A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image information belonging to the specific map area from pre-registered image information based on a generation position of the image information; And a processing unit which processes each icon of the selected image information so as to be displayed at each generation position in the specific map area so that the viewing terminal can reproduce the image information by selecting a specific icon in the specific map area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공유서비스장치는, 생성단말에서 영상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생성단말의 위치정보를 생성 위치로서 영상정보와 매핑시켜 등록하는 등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등록부는, 상기 생성단말에서 설정되는 영상정보의 카테고리, 영상정보의 키워드, 및 영상정보의 공개대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생성된 영상정보에 대한 식별정보로서 추가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video sharing servic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registration unit for mapp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enerating terminal to the image information as the generating location, when the generating terminal generates the image information, At least one of a category of the image information set by the terminal, a keyword of the image information, and an object of disclosure of the image information is additionally registered a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image information.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성단말의 위치정보는, 상기 생성단말에서 영상정보가 생성된 시점에 해당하는 상기 생성단말의 현재 위치이거나, 또는 상기 생성단말의 현재 위치와 관련하여 제공되는 다수의 위치 항목 중 상기 생성단말에서 선택된 위치 항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enerating terminal may be a current location of the generating terminal corresponding to a time point at which the generating terminal generates the image information, or a plurality of location items provided in relation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generating terminal And is a position item selected by the generating terminal.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람단말에서는, 상기 특정 지도 영역 내 표시된 특정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특정 아이콘에 해당하는 영상정보를 포함한 상기 선별된 영상정보 각각의 클립이 우선순위에 따라 표시되며, 상기 우선순위는, 상기 열람단말로부터 영상정보의 생성 위치까지의 거리, 및 영상정보의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in the browsing terminal, when a specific icon displayed in the specific map area is selected, clips of the selected image information including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con are displayed in priority order, The ranking is determined on the basis of at least one of a distance from the viewing terminal to a position where the video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a preference of the video information.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정보의 선호도는, 영상정보의 재생횟수를 기초로 결정되며, 상기 영상정보의 재생횟수는, 상기 열람단말에서의 영상정보의 재생시간이 임계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누적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preference of the image information is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times of reproduction of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times of reproduction of the image information is limited only when the reproduction time of the image information in the viewing terminal exceeds the threshold time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람단말의 위치정보는, 상기 열람단말의 현재 위치이거나, 또는 상기 열람단말에서 검색된 검색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ading terminal is a current position of the reading terminal or a searching position searched by the reading terminal.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열람단말로부터 영상정보에 대한 검색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열람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도록 상기 키워드가 설정된 영상정보가 선별되어 선별된 영상정보 각각의 클립이, 상기 열람단말로부터 영상정보의 생성 위치까지의 거리 별로 상기 열람단말에서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processing unit, when a search for video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the viewing terminal, searches for video information in which the keyword is set so as to include the search word inputted from the viewing terminal, And the display terminal displays the image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distance from the viewing terminal to the generation position of the video information.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열람단말로부터 신규영상정보에 대한 조회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기 등록된 영상정보 각각의 클립이, 조회가 요구된 시점과 가까운 등록 시점 기준으로 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열람단말로부터 영상정보의 생성 위치까지의 거리 별로 상기 열람단말에서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inquiry about the new video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the viewing terminal, each of the clips of the previously registered video information is sorted according to a priority order based on a registration time point close to the point in time when the inquiry is requested And the display terminal displays the image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distance from the viewing terminal to the generation position of the video inform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공유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은, 열람단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열람단말에서 표시되는 특정 지도영역을 확인하는 확인단계; 영상정보의 생성 위치를 기초로 기 등록된 영상정보로부터 상기 특정 지도영역에 속하는 영상정보를 선별하는 선별단계; 및 상기 선별된 영상정보에 대한 각각의 아이콘이 상기 특정 지도영역 내 각각의 생성 위치에서 표시되도록 처리하여, 상기 열람단말에서 상기 특정 지도 영역 내 특정 아이콘을 선택하여 영상정보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video sharing service apparatus, comprising: checking a specific map area displayed on the viewing terminal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a viewing terminal; A selection step of selecting image information belonging to the specific map area from pre-registered image information based on a generation position of the image information; And a processing step of processing each icon of the selected image information so as to be displayed at each generation position in the specific map area so that the reading terminal can select a specific icon in the specific map area to reproduce the image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확인단계 이전에, 생성단말에서 영상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생성단말의 위치정보를 생성 위치로서 영상정보와 매핑시켜 등록하는 등록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등록단계는, 상기 생성단말에서 설정되는 영상정보의 카테고리, 영상정보의 키워드, 및 영상정보의 공개대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생성된 영상정보에 대한 식별정보로서 추가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registration step of, when the generating terminal generates the image information before the checking step, mapp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generating terminal to the image information as the generating position, Wherein at least one of a category of the image information set by the generation terminal, a keyword of the image information, and an object of disclosure of the image information is additionally registered a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image information.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성단말의 위치정보는, 상기 생성단말에서 영상정보가 생성된 시점에 해당하는 상기 생성단말의 현재 위치이거나, 또는 상기 생성단말의 현재 위치와 관련하여 제공되는 다수의 위치 항목 중 상기 생성단말에서 선택된 위치 항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enerating terminal may be a current location of the generating terminal corresponding to a time point at which the generating terminal generates the image information, or a plurality of location items provided in relation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generating terminal And is a position item selected by the generating terminal.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람단말에서는, 상기 특정 지도 영역 내 표시된 특정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특정 아이콘에 해당하는 영상정보를 포함한 상기 선별된 영상정보 각각의 클립이 우선순위에 따라 표시되며, 상기 우선순위는, 상기 열람단말로부터 영상정보의 생성 위치까지의 거리, 및 영상정보의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in the browsing terminal, when a specific icon displayed in the specific map area is selected, clips of the selected image information including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con are displayed in priority order, The ranking is determined on the basis of at least one of a distance from the viewing terminal to a position where the video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a preference of the video information.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정보의 선호도는, 영상정보의 재생횟수를 기초로 결정되며, 상기 영상정보의 재생횟수는, 상기 열람단말에서의 영상정보의 재생시간이 임계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누적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preference of the image information is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times of reproduction of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times of reproduction of the image information is limited only when the reproduction time of the image information in the viewing terminal exceeds the threshold time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람단말의 위치정보는, 상기 열람단말의 현재 위치이거나, 또는 상기 열람단말에서 검색된 검색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ading terminal is a current position of the reading terminal or a searching position searched by the reading terminal.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열람단말로부터 영상정보에 대한 검색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열람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도록 상기 키워드가 설정된 영상정보가 선별되어 선별된 영상정보 각각의 클립이 상기 열람단말로부터 영상정보의 생성 위치까지의 거리 별로 상기 열람단말에서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in the processing step, when a search for video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the reading terminal, the video information in which the keyword is set to include the search word input from the viewing terminal is selected and the clip of the selected video information And the display terminal displays the image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distance from the viewing terminal to the generation position of the video information.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열람단말로부터 신규영상정보에 대한 조회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기 등록된 영상정보 각각의 클립이, 조회가 요구된 시점과 가까운 등록 시점 기준으로 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열람단말로부터 영상정보의 생성 위치까지의 거리 별로 상기 열람단말에서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where an inquiry about new video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the viewing terminal, each of the clips of previously registered video information has priority relative to the registration time point close to the point in time when the inquiry is requested So that the viewing terminal displays the video information at a distance from the viewing terminal to the generation position of the video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영상공유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의 각 단계를 실행시키도록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일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hich is implemented to execute each step of the method of operation of the video sharing service apparatu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영상공유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의 각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일 수 있다.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for executing each step of the method of operating the video sharing service apparatus.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영상공유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생성단말에서 방문장소에 대해 생성된 영상정보를 위치 기반으로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열람단말에서는 등록된 영상정보를 위치 기반으로 검색하여 열람할 수 있는 영상 공유 서비스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근접 거리에 있는 방문장소에 대한 현실감 있는 정보의 공유가 가능해지며, 위치기반서비스를 근간으로 영상정보의 공유가 이루어짐에 따라 영상정보에 해당하는 장소로의 방문에 있어서 용이성 또한 확보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video sharing service apparatus and the opera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ting terminal can register the video information generated for the visiting place on the basis of location, and the viewing terminal registers the registered video information on the basis of location The user can share realistic information about a visiting place at a close distance. By sharing the video information based on the location-based service,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video information So that ease of visit can be ensu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공유 서비스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UI 화면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공유서비스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sharing service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through FIG. 5 illustrate examples of a UI screen provided by a service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in a video sharing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공유 서비스 환경을 보여주고 있다.FIG. 1 illustrates a video sharing service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공유 서비스 환경은,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단말(10), 영상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영상공유서비스장치(20), 및 영상정보를 열람(재생)하는 열람단말(3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1, a video sharing service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eneration terminal 10 for generating image information, a video sharing service apparatus 20 for supporting image information sharing, And a viewing terminal 30 for viewing (reproducing) the video information.

생성단말(10)은 영상 공유 서비스를 위해 마련된 서비스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방문장소에 대한 영상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정보를 위치 기반으로 영상공유서비스장치(20)에 등록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태블릿 PC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서비스애플리케이션이 실행 및 영상 촬영이 가능한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The generating terminal 10 refers to a device that generates video information on a visited place through execution of a service application prepared for a video sharing service and registers the generated video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location on the video sharing service device 20 For example, a smart phone, a smart pad, a tablet PC, and the lik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영상공유서비스장치(20)는 생성단말(10)로부터 등록된 영상정보를 열람단말(20)에서 검색 및 열람할 수 있는 영상 공유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는 서버를 일컫는다.The video sharing service device 20 refers to a server that provides a video sharing service environment in which the viewing terminal 20 can search and browse the registered video information from the generating terminal 10. [

열람단말(30)은 생성단말(10)과 마찬가지로 영상 공유 서비스를 위해 마련된 서비스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영상공유서비스장치(20)에 등록된 영상정보를 위치 기반으로 검색하여 열람(재생)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태블릿 PC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서비스애플리케이션이 실행 가능한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The browsing terminal 30 is a device for searching (browsing) the video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video sharing service apparatus 20 based on the location through execution of a service application prepared for the video sharing service, like the generating terminal 10 For example, a smart phone, a smart pad, a tablet PC,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any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 service application, which is not limited thereto.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공유 서비스 환경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서 방문장소에 대해 생성된 영상정보에 대한 위치 기반의 공유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영상공유서비스장치(20) 내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video sharing service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cation-based sharing service for the video information generated for the visited place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ereinafter, a video sharing service device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한편, 영상공유서비스장치(20)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서술된 영상공유서비스장치(20)의 기능 중 적어도 일부는 서비스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서 생성단말(10) 또는 열람단말(30)에서 수행될 수 있음을 전제한다.At least a part of the functions of the video sharing service apparatus 20 described below may be transmitted to the creating terminal 10 or the browsing terminal 30 through execution of a service application prior to a specific description of the video sharing service apparatus 20. [ It can be perform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공유서비스장치(2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FIG. 2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video sharing service apparatus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공유서비스장치(20)는 영상정보를 등록하는 등록부(21), 지도영역을 확인하는 확인부(22), 영상정보를 선별하는 선별부(23), 및 영상정보의 표시 및 재생을 처리하는 처리부(2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2, the video sharing service apparatus 2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gistration unit 21 for registering image information, a confirmation unit 22 for identifying a map area, A selection unit 23, and a processing unit 24 for processing the display and reproduction of the video information.

이상의 등록부(21), 확인부(22), 선별부(23), 및 처리부(24)를 포함하는 영상공유서비스장치(2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All or at least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video sharing service apparatus 20 including the registration unit 21, the confirmation unit 22, the selection unit 23 and the processing unit 24 may be implemented in a hardware module form or a software module form Or a combination of a hardware module and a software module.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영상공유서비스장치(20) 내에서 연산을 처리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영상공유서비스장치(2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software module can be understood as, for example, a command executed by a processor that processes an operation in the video sharing service apparatus 20, and the command is stored in a memory in the video sharing service apparatus 20 .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공유서비스장치(2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서 방문장소에 대해 생성된 영상정보에 대한 위치 기반의 공유 서비스를 지원하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영상공유서비스장치(2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s a result, the video sharing service device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location-based sharing service for the video information generated for the visited place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in the shared service device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등록부(21)는 영상정보를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registration unit 21 performs a function of registering image information.

보다 구체적으로, 등록부(21)는 생성단말(10)에서 방문장소에 대한 영상정보가 생성(녹화)되는 경우, 생성단말(10)의 위치정보와 영상정보를 매핑시켜 등록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video information on the visited place is generated (recorded) in the generating terminal 10, the registering unit 21 map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generating terminal 10 and the video information and registers them.

여기서, 생성단말(10)의 위치정보는, 영상정보가 생성된 생성 위치로서 영상정보와 매핑되는 정보로서, 예컨대, 영상정보가 생성된 시점에 해당하는 생성단말(10)의 현재 위치이거나, 생성단말(10)의 현재 위치와 관련하여 서비스애플리케이션의 UI화면에서 제공되는 다수의 위치 항목(예: 지명, 건물명, 상호) 중 생성단말(10)에서 선택된 위치 항목일 수 있다.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eneration terminal 10 is information that is mapped with the image information as the generation position where the image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is, for exampl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generation terminal 10 corresponding to the time point of generation of the image information, (Location name, building name, mutual name) provided on the UI screen of the service application in relation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10, for example, a position item selected by the generating terminal 10.

아울러, 등록부(21)는 위치정보와 영상정보를 매핑시켜 등록하는 과정에서 생성단말(10)에서 설정되는 예컨대, 영상정보의 카테고리(예: Food, NightLife, Trip, Activity, Shopping, Cafe, Culture, Accommo, Traditional, Personal), 영상정보의 키워드(작성자, 방문 장소명 포함), 영상정보의 공개대상(예: Public, Follower, Only ME, SNS 종류) 등의 설정정보를 영상정보에 대한 식별정보로서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tegory of image information (e.g., Food, NightLife, Trip, Activity, Shopping, Cafe, Culture, etc.) set in the creating terminal 10 in the process of mapping and registe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Setting information such as a keyword (Accommo, Traditional, Personal), a keyword of the image information (including the creator and the name of the visited place), and the object of disclosure of the image information (e.g., Public, Follower, Only ME, SNS type) .

참고로, 도 3에는 생성단말(10)에서의 설정정보의 설정과 관련하여, 서비스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UI화면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For reference, FIG. 3 shows an example of a UI screen provided by the service appli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setting of the setting information in the generating terminal 10. As shown in FIG.

한편, 이러한 영상정보의 등록과 관련하여, 생성단말(10)에서는 서비스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UI 화면을 통해 생성(녹화)된 영상정보에 대한 프레임 단위의 위치 변경, 삭제, 추가 등의 편집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Meanwhile, in connection with the registration of the video information, the generating terminal 10 performs editing functions such as position change, deletion, and addition of the frame information of the video information generated (recorded) through the UI screen provided by the service application Of course.

확인부(22)는 열람단말(30)에서 표시되고 있는 특정 지도영역을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firming unit 22 performs a function of confirming the specific map area being displayed on the reading terminal 30.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부(22)는 열람단말(30)에서 등록된 영상정보에 대한 열람이 요구되는 경우, 열람단말(30)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열람단말(30)에서 서비스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되고 있는 특정 지도영역을 확인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viewing of the image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browsing terminal 30 is requested, the confirming unit 22 displays the imag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browsing terminal 30 through the service application on the basis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rowsing terminal 30 The specific map area being identified.

여기서, 열람단말(30)의 위치정보는, 열람단말(30)에서 서비스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영상정보에 대한 열람이 요구되는 시점에 해당하는 열람단말(30)의 현재 위치이거나, 서비스애플리케이션의 UI화면에서 제공하는 검색창을 통해 열람단말(30)에서 검색된 검색 위치(예: 지명)가 될 수 있다.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rowsing terminal 30 may b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browsing terminal 30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browsing of the image information is requested through the execution of the service application on the browsing terminal 30, (For example, a place name) retrieved from the reading terminal 30 through a search window provided on the screen.

선별부(23)는 영상정보를 선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election unit 23 performs a function of selecting image information.

보다 구체적으로, 선별부(23)는 열람단말(30)에서 표시되고 있는 특정 지도영역이 확인되면, 기 등록된 영상정보 중 상기 특정 지도영역에 속하는 생성 위치에서 생성된 영상정보를 선별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specific map area displayed on the viewing terminal 30 is identified, the selector 23 selects the image information generated at the generation position belonging to the specific map area among the previously registered image information.

이때, 선별부(23)는 기 등록된 영상정보 각각에 매핑된 위치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매핑된 위치정보가 상기 특정 지동영역에 속하게 되는 영상정보를 선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lector 23 can select the image information that the mapped position information belongs to the specific movement area by checking the position information mapped to each of the previously registered image information.

처리부(24)는 영상정보의 표시 및 재생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rocessing unit 24 performs a function of processing the display and reproduction of the video information.

보다 구체적으로, 처리부(24)는 특정 지도영역 속하는 영상정보의 선별이 완료되면, 선별된 영상정보에 대한 각각의 아이콘이 상기 특정 지도영역 내 각각의 생성 위치에서 표시되도록 처리하여, 열람단말(30)기 특정 지도 영역 내 특정 아이콘을 선택하여 영상정보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selection of the image information belonging to the specific map area is completed, the processing unit 24 processes each icon for the selected imag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at each generation position in the specific map area, ) Select a specific icon in the specific map area to play the video information.

참고로, 도 4 (a)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별된 영상정보에 대한 각각의 아이콘이 상기 특정 지도영역 내 각각의 생성 위치에서 표시되도록 처리되는 경우에 있어서, 열람단말(30)의 서비스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UI 화면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4 (a), in the case where each icon of the selected image information is processed to be displayed at each generation position in the specific map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n example of the UI screen provided by the service application of FIG.

이때, 처리부(24)는 열람단말(30)에서 특정 지도 영역 내 표시된 특정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열람단말(30)에서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특정 아이콘에 해당하는 영상정보를 포함한 상기 선별된 영상정보 각각의 클립이 우선순위에 따라 표시될 수 있도록 처리한다.At this time, when the specific icon displayed in the specific map area is selected from the viewing terminal 30, the processing unit 24 displays the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con selected as shown in FIG. 4 (b) Such that each of the clips of the selected image information including the image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priority order.

이러한 영상정보 클립에 대한 우선순위는 예컨대, 열람단말(30)로부터 영상정보의 생성 위치까지의 거리, 및 영상정보의 재생횟수를 포함하는 영상정보에 대한 선호도 등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The priority of the video information clip may be determined on the basis of, for example, the distance from the viewing terminal 30 to the position where the video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he preference for the video information including the number of times of playing the video information.

여기서, 영상정보의 선호도란, 해당 영상정보를 선호하는 정도를 수치화한 결과로서, 앞서 언급한 재생횟수뿐만 아니라, 예컨대, 북마크 수, 영상정보를 생성한 사용자의 인지도, 열람단말(30) 사용자가 선호하는 영상 등의 다양한 요소가 추가 반영될 수 있다.Here, the preference of the image information is a result obtained by digitizing the degree of preference of the imag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number of bookmarks, the recognition degree of the user who generated the image information, Various elements such as a favorite image can be additionally reflected.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영상정보에 대한 선호도를 결정하는 영상정보의 재생횟수의 경우, 선호도를 결정하는 요소로서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열람단말(10)에서의 영상정보의 재생시간이 임계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누적 갱신되는 방식을 따르게 된다.In order to ensure reliability as an element for determining the preference in the case of the number of times of reproduction of the image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preference of the image informa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umulatively updated only when it exceeds the threshold tim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람단말(30)에서는 서비스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UI 화면을 통해서 검색어를 입력함으로써, 영상정보에 대한 검색을 요구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owsing terminal 30 can request a search for image information by inputting a search word through a UI screen provided by a service application.

이와 관련하여, 처리부(24)는 열람단말(30)로부터 영상정보에 대한 검색이 요구되는 경우, 선별부(23)로 하여금 기 등록된 영상정보 중 열람단말(30)로부터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한 키워드가 설정되어 있는 영상정보를 선별하도록 함으로써, 선별된 영상정보의 각각의 클립이 열람단말(30)의 현재 위치로부터 영상정보의 생성 위치까지의 거리(예: 1km 이내, 3km 이내, 5km 이내, 10km 이내, 및30km 이내) 별로 열람단말(30)에서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In this regard, in the case where a search for video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the browsing terminal 30, the processing unit 24 causes the selector 23 to select a keyword including the search word input from the browsing terminal 30 The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browsing terminal 30 and the position where the video information is generated (e.g., within 1km, within 3km, within 5km, within 10km, and so on) Within 30 km, and within 30 km) of the display terminal 3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람단말(30)에서는 서비스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UI 화면을 통해서 신규영상정보(예: News Feed) 에 대한 조회를 요구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owsing terminal 30 can request inquiry about new video information (e.g., News Feed) through a UI screen provided by a service application.

이와 관련하여, 처리부(24)는 열람단말(30)로부터 신규영상정보에 대한 조회가 요구되는 경우, 기 등록된 영상정보 각각의 클립이, 조회가 요구된 시점과 가까운 등록 시점 기준으로 한 우선순위에 따라 열람단말(30)의 현재 위치로부터 영상정보의 생성 위치까지의 거리(예: 1km 이내, 3km 이내, 5km 이내, 10km 이내, 및30km 이내) 별로 열람단말(30)에서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In this regard, when the inquiry about the new video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the viewing terminal 30, the processing unit 24 determines whether or not each clip of the previously registered video information has a priority (For example, within 1km, within 3km, within 5km, within 10km, and within 30km)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reading terminal 30 to the generation position of the video information have.

참고로, 도 5에는 신규영상정보에 대한 조회 결과를 처리하는 경우에 있어서, 열람단말(30)의 서비스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UI 화면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5 shows an example of the UI screen provided by the service application of the browsing terminal 30 in processing the inquiry result about the new image information.

이하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열람단말(30)에서 표시되는 영상정보 클립의 우선순위 책정과 관련하여 우선순위 점수를 산정하는 방식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a method of calculating a priority score in connection with the priority ranking of an image information clip displayed on the viewing terminal 30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정보 클립에 대한 우선순위 점수 산정은 다음의 [수식 1]을 따를 수 있다.The priority score calculation for the image information clip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1. < EMI ID = 1.0 >

[수식 1][Equation 1]

우선순위 점수 = PostScore * RecentnessFactor * PlayedFactor * RandomFactorPriority score = PostScore * RecentnessFactor * PlayedFactor * RandomFactor

여기서, 'PostScore'는 해당 영상정보 클립의 선호도와 관련하여 산정되는 팩터를 일컫는 것으로서, 다음의 [수식 2]와 같이 재생횟수에 해당하는 팩터 'played'와 서비스애플리케이션에서 지원하는 선호도 팩터인 'like', 'interested' 각각에 설정에 따른 가중치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산출될 수 있다. Here, 'PostScore' refers to a factor calculated in relation to the preference of the image information clip. The 'PostScore' indicates a factor 'Play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plays and a preference factor ' , 'interested', and 'weight', respectively.

[수식 2][Equation 2]

PostScore = n1*played + n2*like + n3* interestedPostScore = n1 * played + n2 * like + n3 * interested

여기서, n1, n2 및 n3는 임의의 계수일 수 있고, 예를 들어, n1은 1, n2는 3, n3는 5일 수 있고, 다른 예로 n1은 1, n2는 2, n3는 4일 수 있으며, 강조하고자 하는 팩터에 따라 계수값을 변경할 수 있다.Where n1 may be 1, n2 may be 3, n3 may be 5, and in other instances n1 may be 1, n2 may be 2, n3 may be 4, , The coefficient valu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factor to be emphasized.

'RecentnessFactor'는 영상정보의 등록시점이 가까울수록 운선순위 점수를 높게 부여하기 위한 팩터로서 예컨대, 100%(3일 미만)-> 85%(3-7 days)-> 70%(7-14 days)-> 60%(14-30 days) -> 50(30 days 초과) 와 같이, 등록시점으로부터의 경과 정도에 따라 우선순위 점수에 대한 반영률이 변경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RecentnessFactor'는 100%(1 day 미만) -> 85%(1-3 days) -> 70%(3-7 days) -> 60%(7-14 days) -> 50(14 days 초과)로 결정될 수도 있다.'Recentness Factor' is a factor for giving a higher score to the runner rank score as the registration time of image information is closer to 100% (less than 3 days) -> 85% (3-7 days) -> 70% ) -> 60% (14-30 days) -> 50 (over 30 days), the rate of reflection on the priority scor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elapsed time from the registration time. Another example is 'RecentnessFactor' - 100% (less than 1 day) -> 85% (1-3 days) -> 70% (3-7 days) -> 60% (7-14 days) -> 50 ). ≪ / RTI >

'PlayedFactor'는 열람단말(30)에서 특정 영상정보 클립을 이미 재생한 경우에 해당 영상정보 클립의 우선순위 점수를 조정하기 위한 팩터로서, 다음의 [수식 3]과 같이 열람단말(30)에서의 이미 재생된 횟수에 따라 운선순위 점수에 대한 반영의 정도가 달리 결정된다.'PlayedFactor' is a factor for adjusting the priority score of the video information clip when the specific video information clip has already been played back on the viewing terminal 30, Depending on the number of times already played, the degree of reflection on the runner rank score is determined differently.

[수식 3][Equation 3]

PlayedFactor = [0.5]^x(기 재생 횟수)PlayedFactor = [0.5] ^ x (number of playing times)

위 수식에 따르면 'PlayedFactor'는 열람단말(30)에서 이미 재생된 횟수가 많아질수록 우선순위 점수에 반영되는 정도가 커지게 되는데, 이는 동일한 영상정보에 대한 열람단말(30)에서의 재생횟수가 많다는 것을 해당 영상정보에 대한 열람단말(30)의 관심도가 그만큼 높다는 것으로 해석하여 이를 우선순위 점수에 반영하기 위함이다.According to the above formula, 'PlayedFactor' is reflected in the priority score as the number of already reproduced videos in the viewing terminal 30 increases. This is because the number of plays in the browsing terminal 30 It is interpreted that the degree of interest of the browsing terminal 30 for the relevant image information is as high as possible, and it is reflected in the priority score.

'RandomFactor'는 열람단말(30)에서 새로고침을 하거나 검색을 할 때마다 새로운 영상정보가 나오도록 우선순위 결정 방식에 추가되는 팩터로서 예컨대, 0.1에서 1의 값,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에서 1을 가질 수 있다.'Random Factor' is a factor to be added to the prioritization method so that new image information is output every time the reader terminal 30 performs a search or refresh, and for example, a value of 0.1 to 1, more preferably 0.6 to 1 Lt; / RTI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공유서비스장치(20)의 구성에 따르면, 생성단말(10)에서 방문장소에 대해 생성된 영상정보를 위치 기반으로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열람단말(30)에서는 등록된 영상정보를 위치 기반으로 검색하여 열람할 수 있는 영상 공유 서비스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근접 거리에 있는 방문장소에 대한 현실감 있는 정보의 공유가 가능해지며, 위치기반서비스를 근간으로 영상정보의 공유가 이루어짐에 따라 영상정보에 해당하는 장소로의 방문에 있어서 용이성 또한 확보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video sharing service apparatus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ting terminal 10 can register the video information generated for the visiting place on the basis of location, The viewing terminal 30 can establish a video sharing service environment in which the registered video information can be searched and browsed based on the location, realistic information can be shared with the visiting place at a close distance, It can be seen that ease of visit to the place corresponding to the image information can be ensured.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공유서비스장치(20)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flow in the video sharing service apparatus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등록부(21)는 단계 'S10' 및 'S20'에 따라 생성단말(10)에서 방문장소에 대한 영상정보가 생성(녹화)되는 경우, 생성단말(10)의 위치정보와 영상정보를 매핑시켜 등록한다.First, the registration unit 21 map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enerating terminal 10 and the video information to the generating terminal 10 in the case where the video information of the visiting place is generated (recorded) according to steps 'S10' and 'S20' .

여기서, 생성단말(10)의 위치정보는, 영상정보가 생성된 생성 위치로서 영상정보와 매핑되는 정보로서, 예컨대, 영상정보가 생성된 시점에 해당하는 생성단말(10)의 현재 위치이거나, 생성단말(10)의 현재 위치와 관련하여 서비스애플리케이션의 UI화면에서 제공되는 다수의 위치 항목(예: 지명, 건물명, 상호) 중 생성단말(10)에서 선택된 위치 항목일 수 있다.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eneration terminal 10 is information that is mapped with the image information as the generation position where the image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is, for exampl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generation terminal 10 corresponding to the time point of generation of the image information, (Location name, building name, mutual name) provided on the UI screen of the service application in relation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10, for example, a position item selected by the generating terminal 10.

이때, 등록부(21)는 위치정보와 영상정보를 매핑시켜 등록하는 과정에서 생성단말(10)에서 설정되는 예컨대, 영상정보의 카테고리(예: Food, NightLife, Trip, Activity, Shopping, Cafe, Culture, Accommo, Traditional, Personal), 영상정보의 키워드(작성자, 방문 장소명 포함), 영상정보의 공개대상(예: Public, Follower, Only ME, SNS 종류) 등의 설정정보를 영상정보에 대한 식별정보로서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gistration unit 21 registers the category of the image information (for example, Food, NightLife, Trip, Activity, Shopping, Cafe, Culture, etc.) set in the generating terminal 10 in the process of mapp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Setting information such as a keyword (Accommo, Traditional, Personal), a keyword of the image information (including the creator and the name of the visited place), and the object of disclosure of the image information (e.g., Public, Follower, Only ME, SNS type) .

나아가, 확인부(22)는 단계 'S30' 내지 'S50'에 따라 열람단말(30)에서 등록된 영상정보에 대한 열람이 요구되는 경우, 열람단말(30)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열람단말(30)에서 서비스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되고 있는 특정 지도영역을 확인한다.In addition, when the viewing of the image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viewing terminal 30 is requested in accordance with the steps S30 to S50, the confirming unit 22 determines whether the viewing terminal 30 30 identifies the specific map area being displayed through the service application.

여기서, 열람단말(30)의 위치정보는, 열람단말(30)에서 서비스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영상정보에 대한 열람이 요구되는 시점에 해당하는 열람단말(30)의 현재 위치이거나, 서비스애플리케이션의 UI화면에서 제공하는 검색창을 통해 열람단말(30)에서 검색된 검색 위치(예: 지명)가 될 수 있다.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rowsing terminal 30 may b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browsing terminal 30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browsing of the image information is requested through the execution of the service application on the browsing terminal 30, (For example, a place name) retrieved from the reading terminal 30 through a search window provided on the screen.

이어서, 선별부(23)는 열람단말(30)에서 표시되고 있는 특정 지도영역이 확인되면, 단계 'S60'에 따라 기 등록된 영상정보 중 상기 특정 지도영역에 속하는 생성 위치에서 생성된 영상정보를 선별한다.Then, when the specific map area displayed on the reading terminal 30 is identified, the selector 23 selects the image information generated at the generation position belonging to the specific map area among the image information previously registered according to step < RTI ID = 0.0 & Select.

이때, 선별부(23)는 기 등록된 영상정보 각각에 매핑된 위치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매핑된 위치정보가 상기 특정 지동영역에 속하게 되는 영상정보를 선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lector 23 can select the image information that the mapped position information belongs to the specific movement area by checking the position information mapped to each of the previously registered image information.

나아가, 처리부(24)는 특정 지도영역 속하는 영상정보의 선별이 완료되면, 단계 'S70' 내지 'S110'에 따라 선별된 영상정보에 대한 각각의 아이콘이 상기 특정 지도영역 내 각각의 생성 위치에서 표시되도록 처리하여, 열람단말(30)기 특정 지도 영역 내 특정 아이콘을 선택하여 영상정보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Further, when the image information belonging to the specific map area is completed, the processing unit 24 displays each icon of the selected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teps 'S70' to 'S110' at each generation position in the specific map area So that a specific icon in the specific map area is selected during the reading terminal 30 so that the video information can be reproduced.

여기서, 지도영역 상에 나타나는 영상정보에 대한 아이콘은 촬영된 영상 중 일부화면(첫 화면, 마지막 화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지정된 화면 등)의 썸네일로 대체될 수 있다.Here, the icon for the image information appearing on the map area can be replaced with a thumbnail of some screen (first screen, last screen, screen arbitrarily designated by the user, etc.) of the photographed image.

이때, 처리부(24)는 열람단말(30)에서 특정 지도 영역 내 표시된 특정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열람단말(30)에서 선택된 특정 아이콘에 해당하는 영상정보를 포함한 상기 선별된 영상정보 각각의 클립이 우선순위에 따라 표시될 수 있도록 처리한다.At this time, when the specific icon displayed in the specific map area is selected from the browsing terminal 30, the processing unit 24 extracts clips of the selected image information including the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con selected by the browsing terminal 30 So that it can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priority.

이러한 영상정보 클립에 대한 우선순위는 예컨대, 열람단말(30)로부터 영상정보의 생성 위치까지의 거리, 영상을 업로드한 계정의 신뢰도 (예를 들어, 팔로워수 및 추천수 등), 업로드된 영상의 속성(예를 들어, 카테고리 등)에 따라 수집된 개인 선호도 정보, 개인이 설정한 취향 정보 및 영상정보의 재생횟수를 포함하는 영상정보에 대한 선호도 등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The priorities of the video information clips include, for example, the distance from the viewing terminal 30 to the position where the video information is generated, the reliability (for example, the number of followers and the recommendation number) Personal preference information col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e.g., category, etc.), preference information set by the individual, and preference for image information including the number of times the image information is reproduced.

이에 더하여, 사용자가 새로고침을 하거나 검색을 할 때마다 새로운 정보가 나오도록 우선순위 결정 방식에 랜덤팩터를 추가할 수 있다.In addition, a random factor can be added to the prioritization scheme so that new information is presented each time the user refreshes or searches.

여기서, 영상정보의 선호도란, 해당 영상정보를 선호하는 정도를 수치화한 결과로서, 앞서 언급한 재생횟수뿐만 아니라, 예컨대, 북마크 수, 영상정보를 생성한 사용자의 인지도, 열람단말(30) 사용자가 선호하는 영상 등의 다양한 요소가 추가 반영될 수 있다.Here, the preference of the image information is a result obtained by digitizing the degree of preference of the imag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number of bookmarks, the recognition degree of the user who generated the image information, Various elements such as a favorite image can be additionally reflected.

한편, 처리부(24)는 단계 'S120'을 통해 열람단말(30)로부터 영상정보에 대한 검색이 요구되는 경우, 단계 'S130 및 'S140'에 따라 선별부(23)로 하여금 기 등록된 영상정보 중 열람단말(30)로부터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한 키워드가 설정되어 있는 영상정보를 선별하도록 함으로써, 선별된 영상정보의 각각의 클립이 열람단말(30)의 현재 위치로부터 영상정보의 생성 위치까지의 거리(예: 1km 이내, 3km 이내, 5km 이내, 10km 이내, 및30km 이내) 별로 열람단말(30)에서 표시되도록 처리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arching unit 24 requests the searching terminal 30 to search for the video information through step S120, the processing unit 24 causes the selector 23 to search the video information of the viewing terminal 30 according to steps 'S130 and S140'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video information in which the keywords including the search word input from the middle browsing terminal 30 are set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each clip of the selected video information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browsing terminal 30 to the generation position of the video information (For example, within 1km, within 3km, within 5km, within 10km, and within 30km).

또한, 처리부(24)는 열람단말(30)로부터 신규영상정보에 대한 조회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단계 'S150' 및 'S160'에 따라 기 등록된 영상정보 각각의 클립이, 조회가 요구된 시점과 가까운 등록 시점 기준으로 한 우선순위에 따라 열람단말(30)의 현재 위치로부터 영상정보의 생성 위치까지의 거리(예: 1km 이내, 3km 이내, 5km 이내, 10km 이내, 및30km 이내) 별로 열람단말(30)에서 표시되도록 처리한다.When the inquiry about the new video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the viewing terminal 30, the processing unit 24 stores the clip of each video information previously registered in accordance with steps 'S150' and 'S160' (For example, within 1km, within 3km, within 5km, within 10km, and within 30km)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reading terminal 30 to the generation position of the video information 3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공유서비스장치(20)에서의 동작 흐름에 따르면, 생성단말(10)에서 방문장소에 대해 생성된 영상정보를 위치 기반으로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열람단말(30)에서는 등록된 영상정보를 위치 기반으로 검색하여 열람할 수 있는 영상 공유 서비스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근접 거리에 있는 방문장소에 대한 현실감 있는 정보의 공유가 가능해지며, 위치기반서비스를 근간으로 영상정보의 공유가 이루어짐에 따라 영상정보에 해당하는 장소로의 방문에 있어서 용이성 또한 확보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operation flow of the video sharing service apparatus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ting terminal 10 can register the video information generated for the visiting place on a location basis And the viewing terminal 30 can establish a video sharing service environment in which the registered video information can be searched and browsed based on the location, realistic information can be shared with respect to the visiting place at a close distance, It can be seen that ease of visit to the place corresponding to the image information can be ensured as the sharing of the image inform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unctional operations and subject matter implementa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digital electronic circuitry, or may be embodied in computer software, firmware, or hardware, including the structures disclosed herein, and structural equivalents thereof, . Implementation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one or more computer program products, i. E. One or more modules relating to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encoded on a type of program storage medium for execution by, or control of, the operation of the processing system Can be implemented.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The computer-readable medium can be a machine-readable storage device, a machine-readable storage substrate, a memory device, a composition of matter that affects the machine readable propagation type signal,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foregoing.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 system "or" device "encompasses any apparatus, apparatus, and machine for processing data, including, for example, a programmable processor, a computer or a multiprocessor or computer. The processing system may, in addition to the hardware, comprise code that forms an execution environment for a computer program upon request, such as, for example, code comprising a processor firmware, a protocol stack,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an operating system, .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A computer program (also known as a program, software, software application, script or code) may be written in any form of programming language, including compiled or interpreted language, a priori or procedural language, Components, subroutines, or other units suitable for use in a computer environment. A computer program does not necessarily correspond to a file in the file system. The program may be stored in a single file provided to the requested program, or in multiple interactive files (e.g., a file storing one or more modules, subprograms, or portions of code) (E.g., one or more scripts stored in a markup language document). A computer program may be deployed to run on multiple computers or on one computer, located on a single site or distributed across multiple sites and interconnected by a communications network.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computer readable media suitable for storing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and data include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such as, for example, EPROM, EEPROM and flash memory devices, such as magnetic disks such as internal hard disks or external disks, Non-volatile memory, media and memory devices, including ROM and DVD-ROM disks. The processor and memory may be supplemented by, or incorporated in, special purpose logic circuits.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Implementation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may include, for example, a back-end component such as a data server, or may include a middleware component, such as an application server, or may be a web browser or a graphical user, for example a user, who may interact with an implementation of the subject- Front-end components such as client computers with interfaces, or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such back-end, middleware, or front-end components. The components of the system may be interconnected by any form or medium of digital data communication, such as, for example, a communications network.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While the specification contains a number of specific implementation detail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ations on the scope of any invention or claim, but rather on the description of features that may be specific to a particular embodiment of a particular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Likewise, the specific features described herein in the context of separat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n a single embodiment. Conversely, various features described in the context of a single embodiment may also be implemented in multiple embodiments, either individually or in any suitable subcombination. Further, although the features may operate in a particular combination and may be initially described as so claimed, one or more features from the claimed combination may in some cases be excluded from the combination, Or a variant of a subcombina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herein with particular sequence of operations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such illustrated acts have to be performed or that such acts must be performed in their particular order or sequential order, Can not be done. In certain cas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Also, the separation of the various system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as requiring such separation in all embodiments, and the described program components and systems will generally be integrated together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packaged into multiple software produc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such,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specific terminology presented. Thus,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xampl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adaptation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n these exampl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공유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생성단말에서 방문장소에 대해 생성된 영상정보를 위치 기반으로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열람단말에서는 등록된 영상정보를 위치 기반으로 검색하여 열람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영상 공유 서비스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According to the video sharing service apparatus and the opera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ting terminal can register the video information generated for the visiting place on the basis of location, and the viewing terminal registers the registered video information in the location- It is possible to use a video sharing service not only for the related technology but also for the commercialization or sales of the applicable device, This is an invention that is industrially applicable because it can be practically done.

10: 생성단말
20: 영상공유서비스장치
21: 등록부 22: 확인부
23: 선별부 24: 처리부
30: 열람단말
10: generating terminal
20: Video sharing service device
21: registration unit 22: confirmation unit
23: selector 24:
30: Reading terminal

Claims (18)

열람단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열람단말에서 표시되는 특정 지도영역을 확인하는 확인부;
영상정보의 생성 위치를 기초로 기 등록된 영상정보로부터 상기 특정 지도영역에 속하는 영상정보를 선별하는 선별부; 및
상기 선별된 영상정보에 대한 각각의 아이콘이 상기 특정 지도영역 내 각각의 생성 위치에서 표시되도록 처리하여, 상기 열람단말에서 상기 특정 지도 영역 내 특정 아이콘을 선택하여 영상정보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공유서비스장치.
A confirmation unit for confirming a specific map area displayed on the reading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ading terminal;
A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image information belonging to the specific map area from pre-registered image information based on a generation position of the image information; And
And a processing unit that processes each icon of the selected image information so as to be displayed at each generation position in the specific map area so that the viewing terminal can reproduce the image information by selecting a specific icon in the specific map area Wherein the video sharing service apparatus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공유서비스장치는,
생성단말에서 영상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생성단말의 위치정보를 생성 위치로서 영상정보와 매핑시켜 등록하는 등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등록부는,
상기 생성단말에서 설정되는 영상정보의 카테고리, 영상정보의 키워드, 및 영상정보의 공개대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생성된 영상정보에 대한 식별정보로서 추가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공유서비스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ideo sharing service apparatus includes:
And a registration unit for mapp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enerating terminal to the image information as a generating location when the generating terminal generates the image information,
Wherein the registration unit comprises:
Wherein at least one of a category of image information, a keyword of image information, and a target of disclosure of image information set by the generating terminal is additionally registered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generated image informa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단말의 위치정보는,
상기 생성단말에서 영상정보가 생성된 시점에 해당하는 상기 생성단말의 현재 위치이거나, 또는 상기 생성단말의 현재 위치와 관련하여 제공되는 다수의 위치 항목 중 상기 생성단말에서 선택된 위치 항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공유서비스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 current position of the generating terminal corresponding to a time when the generating terminal generates the image information or a position item selected by the generating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position items provided in relation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generating terminal. Video sharing service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람단말에서는,
상기 특정 지도 영역 내 표시된 특정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특정 아이콘에 해당하는 영상정보를 포함한 상기 선별된 영상정보 각각의 클립이 우선순위에 따라 표시되며,
상기 우선순위는,
상기 열람단말로부터 영상정보의 생성 위치까지의 거리, 및 영상정보의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공유서비스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viewing terminal,
When a specific icon displayed in the specific map area is selected, clips of the selected image information including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con are displayed in order of priority,
The priority order may be,
A distance from the viewing terminal to a location where the video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a preference of the video informa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의 선호도는,
적어도 영상정보의 재생횟수를 기초로 결정되며,
상기 영상정보의 재생횟수는,
상기 열람단말에서의 영상정보의 재생시간이 임계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누적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공유서비스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Preferably, the preference of the image information,
Is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the number of times of reproduction of the video information,
Wherein the number of times of reproduction of the video information is
Wherein the cumulative update is performed only when the playback time of the video information on the viewing terminal exceeds the threshold tim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람단말의 위치정보는,
상기 열람단말의 현재 위치이거나, 또는 상기 열람단말에서 검색된 검색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공유서비스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iewing terminal includes:
Is a current location of the viewing terminal, or is a searching location searched by the viewing termin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열람단말로부터 영상정보에 대한 검색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열람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도록 상기 키워드가 설정된 영상정보가 선별되어 선별된 영상정보 각각의 클립이, 상기 열람단말로부터 영상정보의 생성 위치까지의 거리 별로 상기 열람단말에서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공유서비스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Wherein when a search for video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the viewing terminal, each clip of the video information selected by the video information set with the keyword including the search word inputted from the viewing terminal is generated from the viewing terminal And the display terminal displays the video data in the viewing terminal by the distance to the loc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열람단말로부터 신규영상정보에 대한 조회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기 등록된 영상정보 각각의 클립이, 조회가 요구된 시점과 가까운 등록 시점 기준으로 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열람단말로부터 영상정보의 생성 위치까지의 거리 별로 상기 열람단말에서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공유서비스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inquiry about the new video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the viewing terminal, generation of the video information from the view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ity order of the registration time point close to the time when the inquiry is requested, And the display terminal displays the video data in the viewing terminal by the distance to the location.
열람단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열람단말에서 표시되는 특정 지도영역을 확인하는 확인단계;
영상정보의 생성 위치를 기초로 기 등록된 영상정보로부터 상기 특정 지도영역에 속하는 영상정보를 선별하는 선별단계; 및
상기 선별된 영상정보에 대한 각각의 아이콘이 상기 특정 지도영역 내 각각의 생성 위치에서 표시되도록 처리하여, 상기 열람단말에서 상기 특정 지도 영역 내 특정 아이콘을 선택하여 영상정보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공유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A confirming step of confirming a specific map area displayed on the reading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ading terminal;
A selection step of selecting image information belonging to the specific map area from pre-registered image information based on a generation position of the image information; And
Processing each icon of the selected imag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at each of the generated positions in the specific map area so that the viewing terminal can select a specific icon in the specific map area and reproduce the image information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확인단계 이전에, 생성단말에서 영상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생성단말의 위치정보를 생성 위치로서 영상정보와 매핑시켜 등록하는 등록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등록단계는,
상기 생성단말에서 설정되는 영상정보의 카테고리, 영상정보의 키워드, 및 영상정보의 공개대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생성된 영상정보에 대한 식별정보로서 추가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공유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method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registration step of, when the generating terminal generates the image information before the checking step, mapp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generating terminal to the image information as the generating position,
Wherein the registering step comprises:
Wherein at least one of a category of image information set by said generating terminal, a keyword of image information, and an object of disclosure of image information is additionally registered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said generated image information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단말의 위치정보는,
상기 생성단말에서 영상정보가 생성된 시점에 해당하는 상기 생성단말의 현재 위치이거나, 또는 상기 생성단말의 현재 위치와 관련하여 제공되는 다수의 위치 항목 중 상기 생성단말에서 선택된 위치 항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공유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 current position of the generating terminal corresponding to a time when the generating terminal generates the image information or a position item selected by the generating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position items provided in relation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generating terminal. A method of operating a video sharing service devic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열람단말에서는,
상기 특정 지도 영역 내 표시된 특정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특정 아이콘에 해당하는 영상정보를 포함한 상기 선별된 영상정보 각각의 클립이 우선순위에 따라 표시되며,
상기 우선순위는,
상기 열람단말로부터 영상정보의 생성 위치까지의 거리, 및 영상정보의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공유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viewing terminal,
When a specific icon displayed in the specific map area is selected, clips of the selected image information including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con are displayed in order of priority,
The priority order may be,
A distance from the viewing terminal to a location where the video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a preference of the video information.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의 선호도는,
적어도 영상정보의 재생횟수를 기초로 결정되며,
상기 영상정보의 재생횟수는,
상기 열람단말에서의 영상정보의 재생시간이 임계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누적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공유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Preferably, the preference of the image information,
Is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the number of times of reproduction of the video information,
Wherein the number of times of reproduction of the video information is
Wherein the cumulative update is performed only when the playback time of the video information at the viewing terminal exceeds the threshold tim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열람단말의 위치정보는,
상기 열람단말의 현재 위치이거나, 또는 상기 열람단말에서 검색된 검색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공유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iewing terminal includes:
A current location of the viewing terminal, or a search location searched by the viewing terminal.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열람단말로부터 영상정보에 대한 검색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열람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도록 상기 키워드가 설정된 영상정보가 선별되어 선별된 영상정보 각각의 클립이 상기 열람단말로부터 영상정보의 생성 위치까지의 거리 별로 상기 열람단말에서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공유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processing step comprises:
When a search for video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the viewing terminal, the video information set by the keyword is selected so as to include the search word input from the viewing terminal, and each clip of the selected video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viewing terminal to the generation position Wherein the viewing terminal displays the video data in the viewing terminal by the distance from the viewing terminal to the viewing termina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열람단말로부터 신규영상정보에 대한 조회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기 등록된 영상정보 각각의 클립이, 조회가 요구된 시점과 가까운 등록 시점 기준으로 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열람단말로부터 영상정보의 생성 위치까지의 거리 별로 상기 열람단말에서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공유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rocessing step comprises:
When the inquiry about the new video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the viewing terminal, generation of the video information from the view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ity order of the registration time point close to the time when the inquiry is requested, And the display terminal displays the video data in the viewing terminal by the distance to the location.
제 9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의 각 단계를 실행시키도록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embodied on computer-readable medium for implementing each of the steps of any one of claims 9 to 16. 제 9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의 각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17. A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instructions for executing each of the steps of any one of claims 9 to 16.
KR1020170012207A 2017-01-25 2017-01-25 Apparatus for location-based image sharing ser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415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207A KR102241587B1 (en) 2017-01-25 2017-01-25 Apparatus for location-based image sharing ser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207A KR102241587B1 (en) 2017-01-25 2017-01-25 Apparatus for location-based image sharing ser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753A true KR20180087753A (en) 2018-08-02
KR102241587B1 KR102241587B1 (en) 2021-04-19

Family

ID=63251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207A KR102241587B1 (en) 2017-01-25 2017-01-25 Apparatus for location-based image sharing ser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58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134B1 (en) * 2021-12-30 2023-02-10 강명철 System for providing a real-time video sharing platfor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2935A1 (en) * 2021-09-16 2023-03-23 송정우 Method for sharing image, and device and system using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8629A (en) * 2009-05-28 2010-12-08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Method to provide site search service and server thereof
KR101497445B1 (en) * 2013-10-07 2015-03-02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Wearable computer for sharing visiting experience, experience sharing system by using the wearable computer and method thereof
JP2016200884A (en) * 2015-04-08 2016-12-01 株式会社ユニモト Sightseeing customer invitation system, sightseeing customer invitation method, database for sightseeing customer invitation, information processor,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theref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8629A (en) * 2009-05-28 2010-12-08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Method to provide site search service and server thereof
KR101497445B1 (en) * 2013-10-07 2015-03-02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Wearable computer for sharing visiting experience, experience sharing system by using the wearable computer and method thereof
JP2016200884A (en) * 2015-04-08 2016-12-01 株式会社ユニモト Sightseeing customer invitation system, sightseeing customer invitation method, database for sightseeing customer invitation, information processor,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134B1 (en) * 2021-12-30 2023-02-10 강명철 System for providing a real-time video sharing plat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587B1 (en) 2021-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83966A1 (en) Creating Real-Time Association Interaction Throughout Digital Media
US9661462B2 (en) Location-based digital media platform
US9679082B2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nd delivering enriched content
JP6300295B2 (en) Friend recommendation method, server therefor, and terminal
US20170351774A1 (en) Real-time online-learning object recommendation engine
US10114898B2 (en) Providing additional functionality with search results
US20170308614A1 (en) Customizable, Real Time Intelligence Channel
AU2014259978B2 (en) Tagged search result maintenance
KR20170091142A (en) Web content tagging and filtering
US10104024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user reviews
US10417206B2 (en) Method and system for associating data from different sources to generate a person-centric space
US20170345053A1 (en) Slideshows in Search
CN105556516A (en) Personalized content tagging
KR201000684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ographic specific search results including a map-based display
JP2019096352A (en) Flexible image layout
US20170192625A1 (en) Data managing and providing method and system for the same
US11558324B2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generating a card
US20170193059A1 (en) Searching For Applications Based On Application Usage
JP2010009315A (en) Recommended store presentation system
US9767400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card based on intent
US20150074599A1 (en) Mobile video channel-based gestural user interface
KR102241587B1 (en) Apparatus for location-based image sharing ser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565224B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a customized user interface based on user actions
US9684936B2 (en) Methods, systems, and user interfaces for presenting local favorites
CN107077473A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display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