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0547A - Network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wakeup of multiple IT devices - Google Patents

Network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wakeup of multiple IT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0547A
KR20180080547A KR1020170001367A KR20170001367A KR20180080547A KR 20180080547 A KR20180080547 A KR 20180080547A KR 1020170001367 A KR1020170001367 A KR 1020170001367A KR 20170001367 A KR20170001367 A KR 20170001367A KR 20180080547 A KR20180080547 A KR 20180080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terminal
wake
restart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13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변성원
박영수
박현호
이용태
이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01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0547A/en
Publication of KR20180080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54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3Termination or inactivation of sessions, e.g. event-controlled end of session
    • H04L67/145Termination or inactivation of sessions, e.g. event-controlled end of session avoiding end of session, e.g. keep-alive, heartbeats, resumption message or wake-up for inactive or interrupted s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74Address processing for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xternal node outside a subnet is linked with N internal nodes within the subnet on an IP network, the external node transmits a one-time wakeup request to one terminal instead of transmitting a wakeup request to each of the internal nodes in order to remotely wake up an internal node terminal which is in a standby state from the external node, thereby waking up all terminals which are internal nodes in the standby state. A network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rocedure and means for waking up a terminal by allowing a type 1 restart terminal to perform a type 1 restart when a wakeup request for the type 1 restart terminal is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f a subnet; and a procedure and means for allowing a type 2 restart terminal to perform a type 2 restart by receiving a broadcast message when the woken up type 1 restart terminal broadcasts a wakeup restart request in the subnet.

Description

복수의 IT 기기 원격 웨이크업을 위한 네트워크 관리 방법 및 시스템 {Network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wakeup of multiple IT device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wakeup of a plurality of IT devices,

본 발명은 대기상태에 있는 복수개의 IT 기기를 원격에서 일괄적으로 깨우기 위한 네트워크 관리에 관한 것으로, IP 네트워크 상에서 동일한 서브네트워크(서브넷)에 속한 복수의 기기가 대기상태에 있을 때 원격에서 일괄적으로 이들을 활성화 상태로 천이시키기 위한 네트워크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network management for remotely waking up a plurality of IT devices in a standby sta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etwork management method for remotely and collectively waking up a plurality of devices belonging to the same subnetwork (subnet) And transitioning them to the active state.

일반적으로 IT 기기들이 사용하는 인터넷 망은 트랜스포트 계층(transport layer),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물리 계층(physical layer) 등의 계층으로 구성된다.In general, the Internet network used by IT devices is composed of layers such as a transport layer, a network layer, a data link layer, and a physical layer.

TCP, UDP 등의 프로토콜은 Layer 4, IP 프로토콜은 Layer 3, 이더넷 프로토콜은 Layer 2에 해당된다. 각 계층에는 통신을 수행하는 주체인 소스 노드(source node)와 통신의 대상인 데스티네이션(목표) 노드(destination node)가 있으며 이들은 각 계층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TCP, UDP and other protocols are Layer 4, IP protocol is Layer 3, and Ethernet protocol is Layer 2. Each layer has a source node, which is a subject of communication, and a destination node, which is a communication target, and performs communication using protocols of respective layers.

IP 네트워크 내의 각 노드는 유일한 IP 주소를 갖는다. 이때, IP 주소는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로 구성된다. 즉, IP 주소의 일부는 인터넷 내의 단위 네트워크인 서브넷(subnet)의 ID이며 나머지 일부는 서브넷 ID에 의해 지정되는 동일한 네트워크 내부에서의 각각의 노드를 구분하기 위한 호스트 ID이다. IP 주소 중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를 구분하기 위해 서브넷 마스크가 사용된다. 서브넷 마스크는 4바이트, 즉 32비트로 구성되며 255.255.255.0와 같이 표현된다. 서브넷 마스크를 2진수로 표시했을 때 0으로 표시되는 부분이 호스트 ID이며 1로 표시되는 부분이 네트워크 ID이다. 주어진 인터넷 주소를 서브넷 마스크와 비트별 AND(bitwise AND) 연산을 수행하여 남는 부분이 네트워크 ID가 된다. 동일한 서브넷 내에서는 각 노드 간에 브로드캐스트(broadcast)에 의한 통신이 허용되며 서브넷 밖으로는 브로드캐스트된 데이터 패킷이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서브넷 외부의 노드에서 서브넷 내부의 노드로 IP 통신에 의한 데이터를 전달할 때 임의의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를 이용하여 서브넷 내부의 모든 노드에 동시에 전달할 수 없다.Each node in the IP network has a unique IP address. At this time, the IP address is composed of the network ID and the host ID. That is, a part of the IP address is an ID of a subnet that is a unit network in the Internet, and a part of the IP address is a host ID for identifying each node in the same network specified by the subnet ID. The subnet mask is us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network ID and the host ID among the IP addresses. The subnet mask consists of 4 bytes, or 32 bits, and is expressed as 255.255.255.0. When the subnet mask is expressed in binary numbers, the portion indicated by 0 is the host ID and the portion indicated by 1 is the network ID. The remaining part of the network address is obtained by performing a bitwise AND operation on the subnet mask and the bit on the internet address. Within the same subnet, broadcast communication is allowed between each node and broadcast data packets are not transmitted outside the subnet. Therefore, when transmitting data by IP communication from a node outside the subnet to a node inside the subnet, it is not possible to simultaneously transmit an arbitrary message to all the nodes in the subnet using the broadcast.

인터넷에 연결된 임의의 기기가 다른 인터넷 상의 다른 기기와 통신을 하려면 Layer 3(IP 레이어) 이상에서 연결되므로 인터넷 상의 다른 기기와 연결되려면 IP 프로토콜의 사용이 필요하고 여기에 더하여 연결방식에 따라 Layer 4의 TCP, UDP 프로토콜을 사용하게 된다.In order to communicate with other devices on the Internet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other devices on the Internet, it is necessary to use the IP protocol in order to connect with other devices on the Internet. In addition to this, TCP, and UDP protocols.

비활성화된 대기상태에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원격 요청을 받아 시스템을 활성화한 후 본격적인 동작과 네트워크 연동이 이루어지는 기기의 경우 대기상태에서 가능한 작은 자원을 사용해야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어 CPU와 대부분의 IO 장치에 제공되는 전력을 오프시킨다.In case of a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network in the disabled standby state and receives the remote request and activates the system, it is necessary to use the smallest possible resources in the standby state for the device that performs the full operation and the network connection, so that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and it is provided to the CPU and most IO devices Off.

원격에서의 웨이크업(wakeup)을 위해 LAN을 통해 비활성화 상태의 PC를 활성화 상태로 진입시키는 WOL(Wake On LAN)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WOL은 LAN 포트와 컨트롤러의 일부 기능만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LAN 포트로 들어오는 특정패턴의 비트열(bit stream)을 감지하여 동작된다. Wake on LAN (WOL) technology is being used to wake up a remote PC by activating a disabled PC through the LAN. WOL is operated by detecting bit stream of specific pattern coming into LAN port while only some functions of LAN port and controller are activated.

업계에서 '웨이크업'이라는 용어는 '재기동'이라는 용어로도 자주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종종 '깨우다'라는 말도 사용되고 있는바, 본 발명 명세서에서도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여 '웨이크업', '재기동', '깨우다'를 모두 동일한 의미로 혼용하였음을 밝힌다. In the industry, the term 'wakeup' is often used also as a term 'rebooting', and the term 'wake up' is also often used in the industry. In the present invention, wakeup, 'In the same sense.

종래 기술에 따르면 PC가 WOL 데이터 수신을 기다리는 대기상태에 들어가면 단말 기기는 비활성화된다. 이 대기상태(대기모드)에서 CPU 및 대부분의 장치는 정지되어 최소 전력을 소모하고 네트워크에 연결된 랜 장치에 부분적으로 전력이 공급하여 비트열을 감지한다. WOL 데이터 패킷이 감지되면 LAN 컨트롤러는 CPU를 웨이크업 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PC가 비활성화 대기상태에 들어간 후 일정 시간(수 초 ~ 수 분)이 경과되면 PC가 Layer 3에서 직접 연결된 네트워크 쪽의 최종 라우터의 라우팅 정보에서 목표 기기에 대한 라우팅 정보가 지워지며 이후 목표 기기에 대한 IP 패킷의 전송이 중단된다. 라우팅 정보가 지워지는 것을 막기 위해 라우팅 정보를 영구히 유지하는 기능도 있으나 네트워크 관리의 복잡성, 보안, 접근 권한 등 여러 가지 이유로 널리 사용되지 않고 있다. 영구히 라우팅 정보를 유지하는 방법 외에 단말이 주기적으로 깨어나서 라우팅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는 단말이 주기적으로 깨어나 라우팅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해야 하며 이를 위해 추가적인 전력이 소모된다.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hen the PC enters a standby state waiting for WOL data reception, the terminal device is inactivated. In this standby state (standby mode), the CPU and most of the devices are stopped, consuming minimal power, and partially powering the LAN devices connected to the network to sense bit streams. When a WOL data packet is detected, the LAN controller performs the function of waking up the CPU.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several seconds to several minutes) has elapsed after the PC enters the deactivation standby state, the routing information for the target device is cleared from the routing information of the final router on the network side directly connected to the Layer 3 of the PC, The transmission of the IP packet is interrupted. Although routing information is permanently retained to prevent routing information from being erased, it is not widely used for a variety of reasons including complexity of network management, security, and access privileges. In addition to maintaining the routing information permanently, there is a method in which the UE periodically wakes up and updates the routing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UE must periodically wake up and perform the function of updating the routing information, thereby consuming additional power.

물리적으로 인접한 위치에서 복수의 단말이 인터넷에 연결될 때에는 일반적으로 도 1과 같은 형태를 취한다. 원격에서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12)를 통해 복수의 단말을 깨울 때 도 1과 같이 동일한 서브넷에 복수의 단말 1~n이 라우터(13)를 통해 네트워크(12)에 연결되며 단말을 원격에서 깨우는 웨이크업 장치(11)도 역시 네트워크(12)에 연결된다. When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physically connected to the Internet at a position adjacent to each other, it takes a form generally as shown in FIG. When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woken remotely from a network 12 such as the Internet, a plurality of terminals 1 to n are connected to the network 12 through a router 13 on the same subnet as shown in FIG. 1, Up device 11 is also connected to the network 12.

종래의 기술을 이용하면 도 2와 같이 웨이크업 장치(11)가 각각의 단말 1~n에 대해 반복해서 웨이크업 요청을 송신한다. 만일 동일한 서브넷 내에 단말이 100개 존재한다면 웨이크업 장치(11)는 100번을 반복해서 웨이크업 요청을 송신해야 한다.Using the conventional technique, the wakeup apparatus 11 repeatedly transmits a wakeup request to each of the terminals 1 to n as shown in Fig. If there are 100 terminals in the same subnet, the wake-up apparatus 11 repeatedly transmits a wake-up request 100 times.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11754, 공개일자 2015년 2월 2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11754, Publication date February 2, 2015

본 발명은 IP 네트워크 상에서 서브넷 밖 1개의 외부 노드가 서브넷 내의 N개의 내부 노드와 연동할 때, 외부 노드에서 원격으로 대기 상태에 있는 내부 노드 단말을 웨이크업시키는 데 있어 외부 노드가 내부 노드 각각에 웨이크업 요청을 전달하지 않고 하나의 단말에 1회의 웨이크업 요청을 전달하여 대기 상태에 있는 내부 노드인 전체 단말들을 깨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네트워크 관리 방법, 관리 시스템, 그리고 웨이크업 장치 및 단말을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waking up an internal node terminal that is in a standby state remotely from an external node when one external node outside the subnet is interworked with N internal nodes in a subnet on an IP network, Up request to a single terminal without transmitting an up request and wake up all terminals which are internal nodes in a standby stat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network management method, a management system, a wakeup device and a terminal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본 발명에서 대기모드에 있는 IT 기기(단말)의 재기동은 1형 재기동과 2형 재기동의 두 가지로 정의한다. '1형 재기동'은 서브넷 외부의 기기(예를 들어 웨이크업 장치)에서 송신한 웨이크업 요청에 대해서 수행하는 재기동으로, 라우터를 통해 전달되므로 1형 재기동 단말은 대기모드로 들어가기 전 라우터를 통해 전달되는 1형 재기동 요청을 감지하는 기능을 셋업한다. '2형 재기동'은 동일 서브넷 내의 단말에서 상기 1형 재기동 단말로부터된 브로드캐스트된 재기동 요청을 감지하여 수행되는 것이며, 이를 위해 대기모드 진입 전 2형 재기동을 감지하는 기능을 셋업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tart of the IT devices (terminals) in the standby mode is defined as two types, namely, type 1 restart and type 2 restart. 'Type 1 restart' is a reboot that is performed for a wakeup request transmitted from a device outside the subnet (for example, a wakeup device), and is transmitted through a router. Therefore, the type 1 restarting terminal transmits the wakeup request through a router A type-1 restart request is detected. The 'type 2 restart' is performed by detecting a broadcast restart request from the type 1 restart terminal at a terminal in the same subnet. To this end, a function for detecting a type 2 restart is set up before entering the standby mode.

본 발명에서 1형 재기동의 구현을 위해서는 IP 네트워크의 UDP 프로토콜 기반 WOL 매직패킷(magic packet)을 활용한다. UDP 패킷은 유니캐스트(unicast) 프로토콜로 라우터를 통해 전달 가능하다. 매직패킷은 단말의 MAC 주소를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배치하는 것으로 각 단말이 유일한 MAC 주소를 갖고 있으므로 목표 단말을 특정하여 웨이크업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UDP protocol based WOL magic packet of the IP network is utilized for implementing type 1 restart. UDP packets can be delivered through a router as a unicast protocol. The Magic Packet allocates MAC addresses of terminals according to predetermined rules. Each terminal has a unique MAC address, so it can specify a target terminal and generate a wakeup request.

2형 재기동의 구현은 WOL 멀티캐스트(multicast)를 이용하여 구현한다. WOL 멀티캐스트는 대기상태에서 멀티캐스트 패킷이 감지될 때 수행된다. 멀티캐스트 패킷은 특정한 비트패턴(bit pattern)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WOL 멀티캐스트이 셋팅된 LAN은 대기상태에서 이 비트패턴을 감지한다. 2형 재기동은 단말을 특정하지 않고 서브넷 내에 브로드캐스트되며 WOL 멀티캐스트가 셋업된 모든 단말에서 감지된다. 이때, 2형 재기동은 멀티캐스트를 이용하지 않고 별도의 비트패턴을 정의할 수도 있다. LAN 장치에 따라 대기상태에서 감지하는 별도의 비트패턴을 정의하는 기능이 제공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별도의 비트패턴을 사전에 정의하여 2형 재기동을 수행할 수 있다.Implementation of 2 type restart is implemented using WOL multicast. WOL multicast is performed when a multicast packet is detected in the waiting state. A multicast packet consists of a specific bit pattern. A LAN with WOL multicast set detects this bit pattern in a waiting state. 2 type restart is broadcast in the subnet without specifying the terminal and is detected in all terminals where WOL multicast is set up. At this time, the 2-type restart may define a separate bit pattern without using multicast. In some cases, a function of defining a separate bit pattern to be detected in a standby state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 LAN device. In this case, a 2-type restart can be performed by defining a separate bit pattern in advance.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IP 네트워크 상에서 동일한 서브넷에 속한 복수의 IT 기기가 대기상태에 있을 때 이들 복수의 IT 기기를 원격에서 웨이크업하기 위한 네트워크 관리 방법 및 관리 시스템이 제안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etwork management method and a management system for remotely waking up a plurality of IT devices when the plurality of IT devices belonging to the same subnet are in a standby state on an IP network.

여기서 복수개의 IT 기기는, 서브넷 외부에서 전송된 웨이크업 요청에 대해서 1형 재기동을 수행하는 1형 재기동 단말과, 동일 서브넷 내의 단말에서 브로드캐스팅한 재기동 요청을 감지하여 2형 재기동을 수행하는 2형 재기동 단말을 포함하며, 이 네트워크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상기 1형 재기동 단말에 대해서 웨이크업 요청이 서브넷 외부로부터 전송되면 이 1형 재기동 단말이 1형 재기동을 수행하여 웨이크업되는 절차와, 웨이크업된 1형 재기동 단말이 서브넷 내에 웨이크업 재기동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면 2형 재기동 단말이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하여 2형 재기동을 수행하는 절차를 포함한다.Here, the plurality of IT devices includes a type 1 restart terminal for performing a type 1 restart for a wakeup request transmitted from outside the subnet, and a type 2 terminal for performing a type 2 restart by detecting a restart request broadcasted from a terminal within the same subnet Wherein the first type restarting terminal performs a type 1 restart when the wakeup request is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f the subnet to the first type restarting terminal and a procedure for waking up the first type restarting terminal, Type 1 restart type terminal broadcasts a wake-up restart request within the subnet, and a type 2 restart type terminal receives the broadcast message and performs a type 2 restart operation.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상기 네트워크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복수의 IT 기기 중 임의의 단말이 웨이크업 타입 요청을 할 때 상기 서브넷에 1형 재기동 단말로 지정된 단말이 없으면 최초 질의를 한 단말을 1형 재기동 단말로 지정하고, 이후에 상기 1형 재기동 단말과 동일한 서브넷에 속한 단말에서 웨이크 타입 요청을 송신하면 이 단말을 2형 재기동 단말로 결정하는 절차; 서브넷의 단말들을 웨이크업하고자 할 때에 상기 1형 재기동 단말로 웨이크업 요청을 송신하면, 웨이크업 요청을 수신한 1형 재기동 단말이 이를 감지하여 1형 재기동한 후 이 요청을 서브넷으로 송신하여 2형 재기동 단말에 웨이크업 요청을 전송하는 절차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network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y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IT devices makes a wakeup type request, if there is no terminal designated as a type 1 restart terminal in the subnet, Type restarting terminal, and if the wake-up type request is transmitted from a terminal belonging to the same subnet as the type 1 restarting terminal, the terminal is determined as a type 2 restarting terminal. When a wakeup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ype restarting terminal when waking up the terminals of the subnet, the first type restarting terminal which received the wakeup request detects it and restarts the first type, transmits the request to the subnet, And sending a wakeup request to the restarting terminal.

여기서, 상기 1형 재기동 단말이 웨이크업 타입 요청을 할 때에 이 요청에는 해당 단말의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및 MAC주소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type-1 restart terminal requests the wake-up type request, the request includes an IP address, a subnet mask, and a MAC address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또한, 상기 1형 재기동은 IP 네트워크의 UDP 프로토콜 기반 WOL 매직패킷을 활용하여 수행되고, 상기 2형 재기동은 WOL 멀티캐스트를 활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대안으로서, 상기 1형 재기동은 IP 네트워크의 UDP 프로토콜 기반 WOL 매직패킷을 활용하여 수행되고, 상기 2형 재기동은 사전에 정의된 비트패턴을 활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Also, the 1-type restart may be performed using a UDP protocol-based WOL magic packet of the IP network, and the 2-type restart may be performed using WOL multicast. Alternatively, the type 1 restart may be performed utilizing a UDP protocol based WOL magic packet of the IP network, and the type 2 restart may be performed utilizing a predefined bit pattern.

단말이 웨이크업 타입을 요청하거나, 단말에 웨이크업 요청을 전송하는 것은 서브넷 외부의 웨이크업 장치가 시행할 수 있는데, 웨이크업 장치가 서브넷 내의 단말 중 상기 1형 재기동 대상으로 정해진 하나의 단말에 대해서 웨이크업 요청을 송신하면 1형 재기동 단말은 1형 재기동 절차에 의해 웨이크업되고, 이 1형 재기동 단말이 서브넷 내에서 2형 재기동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여 브로드캐스트된 메시지가 서브넷 내의 모든 단말에서 인식되어 2형 재기동이 수행된다.A wake-up device outside the subnet may request a wake-up type or transmit a wake-up request to the terminal. The wake-up device may transmit a wake-up request to a terminal When the wakeup request is transmitted, the Type 1 restarting terminal is woken up by the type 1 restarting procedure, and this Type 1 restarting terminal broadcasts the type 2 restart request in the subnet, and the broadcasted message is recognized by all the terminals in the subnet Type 2 restart is performed.

이 웨이크업 장치는, 상기 복수의 IT 기기 중 임의의 단말이 웨이크업 장치에 웨이크업 타입 요청을 할 때 해당 서브넷에 이미 1형 재기동 단말로 지정된 단말이 없으면 최초 질의 단말을 1형 재기동 단말로 지정하고, 이후에 상기 1형 재기동 단말과 동일한 서브넷에 속한 단말에서 전송되는 웨이크업 타입 요청을 수신하면 이 단말을 2형 재기동 단말로 결정하는 수단; 해당 서브넷의 단말들을 웨이크업하고자 할 때에 상기 1형 재기동 단말로 웨이크업 요청을 송신하고, 웨이크업 요청을 수신한 1형 재기동 단말은 이를 감지하여 1형 재기동한 후 이 요청을 서브넷으로 송신하여 2형 재기동 단말에 웨이크업 요청을 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wake-up device designates the first inquiry terminal as a type 1 restarting terminal when there is no terminal designated as a type 1 restarting terminal in the corresponding subnet when a wakeup type request is made from any of the plurality of IT devices Means for determining the terminal as a 2-type restarting terminal upon receiving a wake-up type request transmitted from a terminal belonging to the same subnet as the 1-type restarting terminal; Upon receiving a wake-up request, the first-type restarting terminal, upon receiving a wake-up request, detects the first-type restarting terminal and transmits the request to the subnet after restarting the first- Lt; RTI ID = 0.0 > wake-up < / RTI >

추가적으로, 상기 웨이크업 장치는 단말이 전송한 웨이크업 타입 요청에 포함된 해당 단말의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및 MAC주소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네트워크 정보수집기; 단말의 웨이크업 타입 요청을 받아 해당 단말이 1형 재기동에 해당하는지 2형 재기동에 해당하는지를 결정하고 그 결과를 해당 단말에 응답하는 웨이크업 타입 응답기; 상기 저장된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및 MAC주소를 이용하여 서브넷 내의 단말을 깨우기 위한 웨이크업 요청을 송신하는 1형 재기동 요청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keup device may include a network information collector for storing and managing the IP address, the subnet mask, and the MAC address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included in the wakeup type request transmitted by the terminal; A wake-up type responding unit for receiving a wake-up type request from the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terminal corresponds to the type 1 restart or the type 2 restart, and for responding the result to the terminal; And a 1-type restart requestor for transmitting a wake-up request for waking up a terminal in the subnet using the stored IP address, the subnet mask, and the MAC address.

또한, 복수의 IT 기기 단말은 각각, 상기 웨이크업 장치로 웨이크업 타입 질의를 하기 위하여 단말의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LAN이 고유하게 갖고 있는 MAC주소를 포함한 웨이크업 타입 요청을 전송하는 웨이크업 타입 질의기; 상기 웨이크업 장치로부터 1형 또는 2형 재기동 단말이라고 지정되어 웨이크업 타입 응답을 받으면 그 응답에 따라 단말 자신의 재기동 타입을 셋업하는 웨이크업 셋업기; 단말이 웨이크업 절차를 수행하기 위하여 웨이크업 장치로부터 웨이크업 요청을 수신하는 웨이크업 감지기; 상기 웨이크업 타입 요청 단말이 1형 재기동 단말로 지정된 경우, 웨이크업 장치로부터 웨이크업 요청이 오면 상기 웨이크업 감지기가 이를 감지하여 1형 재기동 절차를 수행한 후에 2형 재기동 웨이크업 요청을 서브넷 내에 브로드캐스트하여 2형 재기동 단말의 웨이크업 감지기가 이를 감지하여 깨어나도록 하는 2형 재기동 요청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IT device terminals each include a wake-up type for transmitting a wake-up type request including an IP address of the terminal, a subnet mask, and a MAC address inherently possessed by the LAN in order to perform a wakeup type query to the wake- Query period; A wake-up set-up unit for setting a re-start type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sponse when the wake-up device is designated as a type 1 or type 2 restart terminal and receives a wake-up type response; A wake-up detector in which the terminal receives a wake-up request from a wake-up device to perform a wake-up procedure; If the wakeup type requesting terminal is designated as a type 1 restarting terminal, when a wakeup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wakeup device, the wakeup detector detects the wakeup type requesting terminal and performs a type 1 rebooting procedure and then broadcasts a type 2 rebooting wakeup request within the subnet Type restarting requestor for causing the wake-up detector of the 2-type restarting terminal to detect and wake up.

이상의 네트워크 관리 방법 및 시스템 이외에도 본 발명은 상기 방법 및 시스템에 사용되는 웨이크업 장치와 각 단말에도 그 기술적 범위가 미친다. 웨이크업 장치와 각 단말의 구성 및 작용은 이하에서 도면과 함께 설명한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자세하게 소개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설명한 네트워크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이하의 실시예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In addition to the above network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a technical scope for a wake-up device and each terminal used in the method and system.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wake-up device and each termin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network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서브넷의 외부 노드에서 대기 상태에 있는 복수개의 내부 노드(IT 기기 단말)를 깨우기 위해 외부 노드(웨이크업 장치)는 각 내부에 웨이크업 요청을 전송할 필요 없이 1회의 웨이크업 요청으로 서브넷 전체의 내부 노드를 깨울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내부 노드 전체를 보다 빠르게 깨울 수 있으며, 내부 노드 각각에 대한 정보를 유지하지 않고 일부 노드에 대한 정보를 유지하므로 외부 노드에서 관리하는 데이터의 양을 크게 줄일 수 있다.In order to wake up a plurality of internal nodes (IT device terminals) in a standby state on an external node of a subnet, an external node (wake-up device) does not need to transmit a wake-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wake up the entire internal node more quickly, and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amount of data managed by the external node because information about some nodes is maintained without maintaining information about each internal node.

도 1은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을 웨이크업하는 네트워크 환경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을 사용한 원격 웨이크업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T 기기 웨이크업 요청의 전달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업 장치와 각 단말의 세부 기능 구성의 한 가지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발명의 각 구성 요소간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웨이크업 장치의 프로세스 수행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단말의 프로세스 수행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network environment for waking up a terminal through a network.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remote wakeup using the prior art.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livery structure of an IT device wakeup requ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ample of a detailed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wake-up device and each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flow of data between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inven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low of a wake-up devic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low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구체적인 실시 내용을 도면과 함께 자세하게 설명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하게 하고자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의 웨이크업 요청의 흐름을 나타낸다. 웨이크업 장치(11)는 서브넷 내의 단말 중 1형 재기동 대상으로 정해진 하나의 단말 a에 대해서 웨이크업 요청을 송신한다. 1형 재기동 단말 a는 1형 웨이크업 요청에 의해 깨어난 후 서브넷 내에서 2형 재기동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한다. 브로드캐스트된 메시지는 서브넷 내의 모든 단말 1~n에서 인식되어 각 단말에서 2형 재기동이 수행된다. 결과적으로, 원격 웨이크업을 위해 송신되는 웨이크업 요청은 1형 재기동 요청 1회, 2형 재기동 요청 1회로써 서브넷 내의 모든 단말에 대한 웨이크업 요청이 완료된다.3 shows a flow of a wake-up request in a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wake-up apparatus 11 transmits a wake-up request to one terminal a set as a type 1 restart target among the terminals in the subnet. Type 1 restart The terminal a wakes up by a type 1 wakeup request and broadcasts a type 2 restart request within the subnet. The broadcasted message is recognized by all the terminals 1 to n in the subnet and the type 2 restart is performed at each terminal. As a result, the wake-up request transmitted for the remote wake-up is a 1-type restart request and the 2-type restart request, and the wake-up request for all terminals in the subnet is completed.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웨이크업 장치와 단말의 내부 기능 블록을 도시한 것이다. 서브넷 외부에 있는 웨이크업 장치(11)는 네트워크 정보수집기(111), 웨이크업 타입 응답기(112), 1형 재기동 요청기(113)로 구성된다. 네트워크 정보수집기(111)는 단말에서 올라오는 웨이크업 타입 질의에서 추출된 1형 재기동 대상 단말의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MAC주소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웨이크업 타입 응답기(112)는 단말의 웨이크업 타입 질의를 받아 해당 단말이 1형 재기동에 해당하는지 2형 재기동에 해당하는지를 결정하고 그 결과를 단말에 응답한다. 1형 재기동 요청기(113)는 저장된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MAC주소를 이용하여 서브넷 내의 단말을 깨울 때 사용되는 WOL 매직패킷을 생성하고 이를 UDP를 이용하여 대상 단말의 목표 주소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4 shows an internal functional block of a wake-up device and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ke-up device 11 outside the subnet is composed of a network information collector 111, a wake-up type responder 112, and a type 1 restart requestor 113. The network information collector 111 stores and manages the IP address, the subnet mask, and the MAC address of the type 1 restart target terminal extracted from the wakeup type query coming from the terminal. The wake-up type responding unit 112 receives a wake-up type inquiry of the terminal and determines whether the corresponding terminal corresponds to the type 1 restart or the type 2 restart and responds the result to the terminal. The 1-type restart requestor 113 generates a WOL magic packet used when waking up a terminal in a subnet using a stored IP address, a subnet mask, and a MAC address, and transmits the WOL magic packet to the target address of the target terminal using UDP .

한편, 서브넷의 내부에 존재하는 단말 1~n은 각 단말 내부적으로 웨이크업 타입 질의기(141), 웨이크업 셋업기(142), 2형 재기동 요청기(143), 웨이크업 감지기(144)로 구성된다. 웨이크업 타입 질의기(141)는 단말이 대기모드로 들어가기 전 웨이크업 장치로 질의를 보낸다. 이때, 질의에는 단말의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및 LAN이 고유하게 갖고 있는 MAC주소가 포함된다. 질의에 대해 1형 또는 2형의 응답을 받으면 그 응답에 따라 웨이크업 셋업기(142)는 대기상태에서 웨이크업 감지기(144)가 감지할 재기동 타입을 셋업하고 대기상태에 들어간다. 여기서 1형 재기동 단말인 경우, 웨이크업 감지기(144)가 송신한 1형 웨이크업 요청을 감지하여 깨어난 후 2형 재기동 요청기(143)가 멀티캐스트 패킷을 생성하여 서브넷 내에 브로드캐스트 한다. 2형 재기동 단말인 경우에는 웨이크업 감지기(144)가 이를 감지하여 깨어나게 된다. 2형 재기동 단말의 경우 2형 재기동 요청기(143)는 실행될 필요가 없으므로 활성화되지 않는다.Meanwhile, the terminals 1 to n existing in the subnet include a wakeup type inquirer 141, a wakeup set up device 142, a type 2 restart requestor 143, and a wakeup detector 144 . The wakeup type queryer 141 sends a query to the wakeup device before the terminal enters the standby mode. At this time, the query includes the IP address of the terminal, the subnet mask, and the MAC address inherently possessed by the LAN. Upon receiving a 1 or 2 response to the query, the wake-up set-up 142 sets the reboot type to be sensed by the wake-up detector 144 in a waiting state and enters a wait state. Here, in the case of the first type restart terminal, the first type wakeup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wakeup detector 144 is detected and awakened, and the second type restart requestor 143 generates a multicast packet and broadcasts it in the subnet. In case of the type 2 restarting terminal, the wake-up detector 144 detects this and wakes up. In the case of the 2-type restarting terminal, the 2-type restart requesting unit 143 is not activated because it is not required to be executed.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간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다. 임의의 단말이 재기동 타입을 질의(웨이크업 타입 요청)(51)할 때 해당 서브넷에 이미 1형 재기동 단말로 지정된 단말이 없으면 최초 질의 단말을 1형으로 정하여 1형 재기동 단말이 지정되면 질의에 포함된 해당 단말의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및 MAC주소를 저장하고 이 단말에 웨이크업 타입이 1형임을 응답한다(52). 1형 재기동으로 지정된 단말은 웨이크업 장치의 요청을 수신하도록 환경을 셋팅하고 대기모드로 진입한다(53). 이후부터 웨이크업 타입을 질의(54)하는 단말은 웨이크업 장치로부터 2형 재기동 임을 응답으로 받게 된다(55). 웨이크업 장치는 저장된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및 MAC주소를 이용하여 1형 단말과 동일한 서브넷에 속한 단말에서 올라오는 질의를 2형 재기동으로 결정하여 응답한다. 2형 재기동 단말은 WOL 멀티캐스트를 셋팅하고 대기모드에 진입한다(56). 이후, 웨이크업 장치가 해당 서브넷의 단말들을 깨우고자 할 때 1형 재기동 단말의 IP 주소 등으로 WOL 매직패킷으로 작성된 웨이크업 요청을 송신한다(57). 웨이크업 송신을 받은 1형 재기동 단말은 이를 감지하여 재기동하며 재기동 후 멀티캐스트 패킷을 생성하여 서브넷으로 송신한다(58).FIG. 5 shows a data flow between respective components of a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hen an arbitrary terminal queries a restart type (wakeup type request) 51, if there is no terminal designated as a 1-type restart terminal in the corresponding subnet, the initial query terminal is set as type 1, and if a 1-type restart terminal is designated, And stores the IP address, subnet mask, and MAC address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and responds to the terminal that the wakeup type is type 1 (52). The terminal designated by Type 1 restart sets the environment to receive the request of the wake-up device and enters a standby mode (53). After that, the terminal querying the wakeup type 54 receives a response from the wakeup device in response to the type 2 restart (55). The wake-up device uses the stored IP address, the subnet mask, and the MAC address to determine whether the inquiry is coming from a terminal belonging to the same subnet as the type 1 terminal, and responds by determining the type 2 restart. The 2-type restarting terminal sets the WOL multicast and enters the standby mode (56). Thereafter, when the wakeup device attempts to wake up the terminals of the corresponding subnet, it transmits a wakeup request made in the WOL magic packet to the IP address of the type 1 restarting terminal or the like (57). Upon receiving the wakeup transmission, the type 1 restarting terminal senses and restarts it, generates a multicast packet after rebooting, and transmits the generated multicast packet to the subnet (58).

도 6은 웨이크업 장치의 프로세스 수행 흐름도이다. 단말에서 올라오는 웨이크업 타입 질의를 대기한다(61). 질의가 도착하면 질의에서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및 MAC주소를 추출한다(62). 추출된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및 MAC주소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ID를 추출하고 해당 네트워크 ID가 아직 등록되지 않은 새로운 네트워크 ID인지 판단한다(63). 새로운 네트워크인 경우 네트워크 ID를 저장하여(64) 향후 동일 네트워크의 단말을 판단하기 위해 사용하도록 한다. 네트워크 ID를 저장할 때에는 웨이크업 요청을 위해 필요한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및 MAC주소도 저장한다. 이렇게 새로운 네트워크인 경우 웨이크업 타입 응답을 1형 재기동으로 셋업하고(65) 이 웨이크업 타입을 송신(67)한다. 그리고 다시 초기 웨이크업 타입 질의 대기 단계로 돌아간다(68). 만일 위 63 단계에서 신규 네트워크가 아닌 경우에는 2형 재기동으로 웨이크업 타입 응답을 셋업하고(66) 이 웨이크업 타입을 송신한다(67). 6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process of the wakeup device. And waits for a wakeup type query coming from the terminal (61). When the query arrives, the IP address, subnet mask, and MAC address are extracted from the query (62). The network ID is extracted using the extracted IP address, subnet mask, and MAC address,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rresponding network ID is a new network ID not yet registered (63). In the case of a new network, the network ID is stored (64) and used to determine the terminal of the same network in the future. When storing the network ID, it also stores the IP address, subnet mask, and MAC address necessary for the wakeup request. For this new network, a wakeup type response is set up at type 1 restart (65) and the wakeup type is sent (67). And then returns to the initial wakeup type query wait phase (68). If it is not a new network in step 63, a wake-up type response is set up in a type 2 restart (66) and the wake-up type is transmitted (67).

도 7은 재기동의 대상이 되는 단말의 프로세스 수행 흐름을 나타낸다. 대기 모드 진입에 앞서 웨이크업 타입을 질의한다(71). 웨이크업 타입 응답을 기다려 응답이 도착하면(72) 해당 응답이 1형 재기동인지 2형 재기동인지 확인(73)하여 1형 재기동인 경우에는 WOL 매직패킷을 셋업하고 웨이크업 대기모드로 진입한다(74). 대기모드에서 깨어나면 2형 재기동 단말의 재기동 요청을 위해 멀티캐스트 패킷을 생성하고 서브넷 내에 전송한다(75). 한편 위 73 단계에서 웨이크업 타입 응답이 2형 재기동인 경우에는 WOL 멀티캐스트를 셋업하고 웨이크업 대기모드로 진입한다(76). FIG. 7 shows a process flow of a terminal to be restarted. The wake-up type is inquired before entering standby mode (71). When a response is received waiting for a wakeup type response (72), the corresponding response is confirmed as a type 1 rewrite type 2 type rewind (73). If the type 1 restart is performed, the WOL magic packet is set up and the wakeup standby mode is entered ). Upon awakening from the standby mode, a multicast packet is generated for requesting restart of the 2-type restarting terminal and is transmitted within the subnet (75). If the wakeup type response is a type 2 restart in step 73, the WOL multicast is set up and the wakeup standby mode is entered (76).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실제로 구현하기 위한 한 가지 예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하에 작성된 특허청구범위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된다.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for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claims set forth below.

Claims (16)

IP 네트워크 상에서 동일한 서브넷에 속한 복수의 IT 기기가 대기상태에 있을 때 이들 복수의 IT 기기를 원격에서 웨이크업하기 위한 네트워크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IT 기기는, 서브넷 외부에서 전송된 웨이크업 요청에 대해서 1형 재기동을 수행하는 1형 재기동 단말과, 동일 서브넷 내의 단말에서 브로드캐스팅한 재기동 요청을 감지하여 2형 재기동을 수행하는 2형 재기동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관리 방법은
상기 1형 재기동 단말에 대해서 웨이크업 요청이 서브넷 외부로부터 전송되면 이 1형 재기동 단말이 1형 재기동을 수행하여 웨이크업되는 절차와, 웨이크업된 1형 재기동 단말이 서브넷 내에 웨이크업 재기동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면 2형 재기동 단말이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하여 2형 재기동을 수행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복수의 IT 기기 원격 웨이크업을 위한 네트워크 관리 방법.
A network management method for remotely waking up a plurality of IT devices belonging to the same subnet on an IP network when the plurality of IT devices are in a standby state,
The plurality of IT devices includes a type 1 restart terminal for performing a type 1 restart for a wakeup request transmitted from outside the subnet, a type 2 terminal for performing a type 2 restart by detecting a restart request broadcasted from a terminal in the same subnet, A restart terminal,
The network management method
Wherein the type 1 restart terminal performs a type 1 restart when the wake-up request is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f the subnet to the type 1 restart terminal, and a wake-up type 1 restart terminal broadcasts a wakeup restart request within the subnet Wherein the type 2 restarting terminal receives a broadcast message and performs a type 2 restart when receiving the broadcast mess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관리 방법은
복수의 IT 기기 중 임의의 단말이 웨이크업 타입 요청을 할 때 상기 서브넷에 1형 재기동 단말로 지정된 단말이 없으면 최초 질의를 한 단말을 1형 재기동 단말로 지정하고, 이후에 상기 1형 재기동 단말과 동일한 서브넷에 속한 단말에서 웨이크 타입 요청을 송신하면 이 단말을 2형 재기동 단말로 결정하는 절차,
서브넷의 단말들을 웨이크업하고자 할 때에 상기 1형 재기동 단말로 웨이크업 요청을 송신하면, 웨이크업 요청을 수신한 1형 재기동 단말이 이를 감지하여 1형 재기동한 후 이 요청을 서브넷으로 송신하여 2형 재기동 단말에 웨이크업 요청을 전송하는 절차를 추가로 포함하는, 복수의 IT 기기 원격 웨이크업을 위한 네트워크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any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IT devices requests a wake-up type, if there is no terminal designated as a 1-type restart terminal in the subnet, the terminal that made the first query is designated as a 1-type restart terminal, When a wake-up request is transmitted from a terminal belonging to the same subnet, a procedure for determining the terminal as a 2-type restarting terminal,
When a wakeup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ype restarting terminal when waking up the terminals of the subnet, the first type restarting terminal which received the wakeup request detects it and restarts the first type, transmits the request to the subne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a wake-up request to the restarting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형 재기동 단말이 웨이크업 타입 요청을 할 때에 이 요청에는 해당 단말의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및 MAC주소가 포함되는, 복수의 IT 기기 원격 웨이크업을 위한 네트워크 관리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type-1 restart terminal requests a wake-up type request, the request includes an IP address, a subnet mask, and a MAC address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형 재기동은 IP 네트워크의 UDP 프로토콜 기반 WOL 매직패킷을 활용하여 수행되고, 상기 2형 재기동은 WOL 멀티캐스트를 활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IT 기기 원격 웨이크업을 위한 네트워크 관리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type 1 restart is performed using a UDP protocol based WOL magic packet of an IP network, and the type 2 restart is performed using WOL multicast A network management method for remote wake-up of a plurality of IT device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형 재기동은 IP 네트워크의 UDP 프로토콜 기반 WOL 매직패킷을 활용하여 수행되고, 상기 2형 재기동은 사전에 정의된 비트패턴을 활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IT 기기 원격 웨이크업을 위한 네트워크 관리 방법.4.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type 1 restart is performed using a UDP protocol based WOL magic packet of the IP network, and the type 2 restart is performed using a predefined bit pattern Wherein the plurality of IT devi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network. IP 네트워크 상에서 동일한 서브넷에 속한 복수의 IT 기기가 대기상태에 있을 때 이들 대기상태에 있는 복수개의 IT 기기를 웨이크업 장치가 원격에서 웨이크업하기 위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개의 IT 기기는, 서브넷 외부의 기기에서 송신하는 웨이크업 요청에 대해서 1형 재기동을 수행하는 1형 재기동 단말과, 동일 서브넷 내의 단말에서 브로드캐스팅한 재기동 요청을 감지하여 2형 재기동을 수행하는 2형 재기동 단말을 포함하여,
웨이크업 장치가 서브넷 내의 단말 중 상기 1형 재기동 대상으로 정해진 하나의 단말에 대해서 웨이크업 요청을 송신하면 1형 재기동 단말은 1형 재기동 절차에 의해 웨이크업되고, 이 1형 재기동 단말이 서브넷 내에서 2형 재기동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여 브로드캐스트된 메시지가 서브넷 내의 모든 단말에서 인식되어 2형 재기동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IT 기기 원격 웨이크업을 위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A network management system for remotely waking up a plurality of IT devices in a standby state when a plurality of IT devices belonging to the same subnet on an IP network are in a standby state,
The plurality of IT devices detect a restart request broadcasted by a type 1 restart terminal that performs a type 1 restart for a wakeup request transmitted from a device outside the subnet and a terminal within the same subnet and performs a type 2 restart Including a 2-type restart terminal,
When the wake-up device transmits a wake-up request to one terminal set as the type 1 restart target among the terminals in the subnet, the type 1 restart terminal is woken up by the type 1 restart operation, Type re-start request is broadcasted and the broadcasted message is recognized by all the terminals in the subnet so that the type 2 restart is perform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장치는
상기 복수의 IT 기기 중 임의의 단말이 웨이크업 장치에 웨이크업 타입 요청을 할 때 해당 서브넷에 이미 1형 재기동 단말로 지정된 단말이 없으면 최초 질의 단말을 1형 재기동 단말로 지정하고, 이후에 상기 1형 재기동 단말과 동일한 서브넷에 속한 단말에서 전송되는 웨이크업 타입 요청을 수신하면 이 단말을 2형 재기동 단말로 결정하는 수단,
해당 서브넷의 단말들을 웨이크업하고자 할 때에 상기 1형 재기동 단말로 웨이크업 요청을 송신하고, 웨이크업 요청을 수신한 1형 재기동 단말은 이를 감지하여 1형 재기동한 후 이 요청을 서브넷으로 송신하여 2형 재기동 단말에 웨이크업 요청을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복수의 IT 기기 원격 웨이크업을 위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wake-up device
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T devices makes a wakeup type request to the wakeup device, if there is no terminal designated as a 1-type restarting terminal in the corresponding subnet, the initial query terminal is designated as a 1-type restarting terminal, Type restarting terminal when receiving a wake-up type request transmitted from a terminal belonging to the same subnet as the type restarting terminal,
Upon receiving a wake-up request, the first-type restarting terminal, upon receiving a wake-up request, detects the first-type restarting terminal and transmits the request to the subnet after restarting the first- Type restarting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IT equipment remote wake-up terminal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형 재기동 단말이 웨이크업 장치에 웨이크업 타입 요청을 할 때에 이 요청에는 해당 단말의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및 MAC주소가 포함되는, 복수의 IT 기기 원격 웨이크업을 위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6, wherein, when the type-1 restart terminal sends a wake-up type request to the wake-up device, the request includes an IP address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a subnet mask and a MAC address, Network management system.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형 재기동은 IP 네트워크의 UDP 프로토콜 기반 WOL 매직패킷을 활용하여 수행되고, 상기 2형 재기동은 WOL 멀티캐스트를 활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IT 기기 원격 웨이크업을 위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wherein the type 1 restart is performed using a UDP protocol based WOL magic packet of an IP network, and the type 2 restart is performed using WOL multicast A network management system for remote wake-up of multiple IT devices.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형 재기동은 IP 네트워크의 UDP 프로토콜 기반 WOL 매직패킷을 활용하여 수행되고, 상기 2형 재기동은 사전에 정의된 비트패턴을 활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IT 기기 원격 웨이크업을 위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9.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6 to 8, wherein the type 1 restart is performed using a UDP protocol based WOL magic packet of the IP network, and the type 2 restart is performed using a predefined bit pattern And a network management system for remote wake-up of a plurality of IT devices.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장치는
단말이 전송한 웨이크업 타입 요청에 포함된 해당 단말의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및 MAC주소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네트워크 정보수집기,
단말의 웨이크업 타입 요청을 받아 해당 단말이 1형 재기동에 해당하는지 2형 재기동에 해당하는지를 결정하고 그 결과를 해당 단말에 응답하는 웨이크업 타입 응답기,
상기 저장된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및 MAC주소를 이용하여 서브넷 내의 단말을 깨우기 위한 웨이크업 요청을 송신하는 1형 재기동 요청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IT 기기 원격 웨이크업을 위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9. A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wherein the wake-up device
A network information collector for storing and managing the IP address, the subnet mask and the MAC address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included in the wakeup type request transmitted by the terminal,
A wake-up type transponder for receiving a wake-up type request from the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terminal corresponds to type 1 restart or type 2 restart, and for responding the result to the terminal,
And a 1-type restart requestor for sending a wake-up request for waking up a terminal in a subnet using the stored IP address, subnet mask, and MAC address.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IT 기기에 포함된 단말은
상기 웨이크업 장치로 웨이크업 타입 질의를 하기 위하여 단말의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LAN이 고유하게 갖고 있는 MAC주소를 포함한 웨이크업 타입 요청을 전송하는 웨이크업 타입 질의기,
상기 웨이크업 장치로부터 1형 또는 2형 재기동 단말이라고 지정되어 웨이크업 타입 응답을 받으면 그 응답에 따라 단말 자신의 재기동 타입을 셋업하는 웨이크업 셋업기,
단말이 웨이크업 절차를 수행하기 위하여 웨이크업 장치로부터 웨이크업 요청을 수신하는 웨이크업 감지기,
상기 웨이크업 타입 요청 단말이 1형 재기동 단말로 지정된 경우, 웨이크업 장치로부터 웨이크업 요청이 오면 상기 웨이크업 감지기가 이를 감지하여 1형 재기동 절차를 수행한 후에 2형 재기동 웨이크업 요청을 서브넷 내에 브로드캐스트하여 2형 재기동 단말의 웨이크업 감지기가 이를 감지하여 깨어나도록 하는 2형 재기동 요청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IT 기기 원격 웨이크업을 위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wherein the terminal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IT devices
A wake-up type query unit for transmitting a wake-up type request including an IP address of the terminal, a subnet mask, and a MAC address unique to the LAN in order to perform a wakeup type query with the wakeup apparatus,
A wake-up set-up unit for setting up a re-start type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sponse when the wake-up type device receives a wake-up type response from the wake-up device,
A wake-up detector in which the terminal receives a wake-up request from a wake-up device to perform a wake-up procedure,
If the wakeup type requesting terminal is designated as a type 1 restarting terminal, when a wakeup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wakeup device, the wakeup detector detects the wakeup type requesting terminal and performs a type 1 rebooting procedure and then broadcasts a type 2 rebooting wakeup request within the subnet Type restarting requestor for causing the wake-up detector of the 2-type restarting terminal to detect and wake up.
IP 네트워크 상에서 동일한 서브넷에 속한 복수의 IT 기기를 원격에서 웨이크업하기 위한 웨이크업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IT 기기 중 임의의 단말이 웨이크업 타입 요청을 할 때 이를 수신하여 해당 서브넷에 1형 재기동 단말로 지정된 단말이 없으면 최초 질의 단말을 1형 재기동 단말로 지정하고, 이후에 상기 1형 재기동 단말과 동일한 서브넷에 속한 단말에서 전송되는 웨이크업 타입 요청을 수신하면 이 단말을 2형 재기동 단말로 결정하는 수단,
해당 서브넷의 단말들을 웨이크업하고자 할 때에 상기 1형 재기동 단말로 웨이크업 요청을 송신하고, 웨이크업 요청을 수신한 1형 재기동 단말로 하여금 이를 감지하여 1형 재기동한 후 이 요청을 서브넷으로 송신하여 2형 재기동 단말에 웨이크업 요청을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복수의 IT 기기 원격 웨이크업을 위한 웨이크업 장치.
1. A wake-up device for remotely waking up a plurality of IT devices belonging to the same subnet on an IP network,
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T devices receives a wake-up type request, receives a wake-up type request and designates the first query terminal as a 1-type restart terminal if there is no terminal specified as a 1-type restart terminal in the corresponding subnet, Means for determining that the terminal is a 2-type restarting terminal upon receiving a wake-up type request transmitted from a terminal belonging to the same subnet as the terminal,
When a wakeup of the terminals of the corresponding subnet is to be performed, the wakeup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ype restarting terminal, and the first type restarting terminal which received the wakeup request senses the wakeup request and restarts the first type and transmits the request to the subnet And a means for making a wake-up request to the 2-type restarting termina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장치는
단말이 전송한 웨이크업 타입 요청에 포함된 해당 단말의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및 MAC주소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네트워크 정보수집기,
단말의 웨이크업 타입 요청을 받아 해당 단말이 1형 재기동에 해당하는지 2형 재기동에 해당하는지를 결정하고 그 결과를 해당 단말에 응답하는 웨이크업 타입 응답기,
상기 저장된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및 MAC주소를 이용하여 서브넷 내의 단말을 깨우기 위한 웨이크업 요청을 송신하는 1형 재기동 요청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복수의 IT 기기 원격 웨이크업을 위한 웨이크업 장치.
14. The system of claim 13, wherein the wake-up device
A network information collector for storing and managing the IP address, the subnet mask and the MAC address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included in the wakeup type request transmitted by the terminal,
A wake-up type transponder for receiving a wake-up type request from the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terminal corresponds to type 1 restart or type 2 restart, and for responding the result to th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type 1 restart requestor for transmitting a wake up request for waking up a terminal in a subnet using the stored IP address, subnet mask and MAC address.
웨이크업 장치와 함께 연결되어 있는 IP 네트워크 상에서 동일한 서브넷에 속하여 대기상태에 있는 복수개의 IT 기기에 포함되는 단말로서,
상기 웨이크업 장치로 웨이크업 타입 요청을 하고 상기 웨이크업 장치로부터 1형 재기동 단말인지 2형 재기동 단말인지의 웨이크업 타입 응답이 오면 웨이크업 셋팅을 하는 수단,
자신이 1형 재기동 단말로 지정된 경우에 상기 웨이크업 장치로부터 웨이크업 요청이 수신되면 1형 재기동 절차에 의해 웨이크업되고, 서브넷 내의 다른 2형 재기동 단말에 재기동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여 2형 재기동 단말에서 2형 재기동이 수행되도록 하는 수단,
자신이 2형 재기동 단말로 지정된 경우에 제1 재기동 단말로부터 웨이크업 요청이 수신되면 2형 재기동 절차를 수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동일한 서브넷에 속하여 대기상태에 있는 단말.
A terminal included in a plurality of IT devices belonging to the same subnet on an IP network connected with a wakeup device and in a standby state,
Means for making a wake-up type request to the wake-up device and performing a wake-up setting when the wake-up type response from the wake-up device to a type 1 restart terminal or a type 2 restart terminal occurs;
When a wakeup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wakeup device when the wakeup device is designated as a type 1 restarting terminal, it is woken up by a type 1 restarting procedure, broadcasts a restart request to another 2 type restarting terminal in the subnet, Means for causing the type 2 restart to be performed,
Type restarting procedure when the wake-up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first restarting terminal when the second restarting terminal is designated as the second-type restarting terminal.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웨이크업 장치로 웨이크업 타입 요청을 하기 위하여 단말의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LAN이 고유하게 갖고 있는 MAC주소를 포함한 웨이크업 타입 요청을 전송하는 웨이크업 타입 질의기,
상기 웨이크업 장치로부터 1형 또는 2형 재기동 단말이라고 지정되어 웨이크업 타입 응답을 받으면 그 응답에 따라 단말 자신의 재기동 타입을 셋업하는 웨이크업 셋업기,
웨이크업 절차를 수행하기 위하여 웨이크업 장치로부터 웨이크업 요청을 수신하는 웨이크업 감지기,
상기 웨이크업 타입 요청 단말이 1형 재기동 단말로 지정된 경우, 웨이크업 장치로부터 웨이크업 요청이 오면 상기 웨이크업 감지기가 이를 감지하여 1형 재기동 절차를 수행한 후에 2형 재기동 웨이크업 요청을 서브넷 내에 브로드캐스트하여 2형 재기동 단말의 웨이크업 감지기가 이를 감지하여 깨어나도록 하는 2형 재기동 요청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단말.

16. The method of claim 15,
A wake-up type inquiry unit for transmitting a wake-up type request including an IP address of the terminal, a subnet mask, and a MAC address inherently possessed by the LAN in order to make a wake-up type request to the wake-
A wake-up set-up unit for setting up a re-start type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sponse when the wake-up type device receives a wake-up type response from the wake-up device,
A wake-up detector for receiving a wake-up request from a wake-up device to perform a wake-up procedure,
If the wakeup type requesting terminal is designated as a type 1 restarting terminal, when a wakeup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wakeup device, the wakeup detector detects the wakeup type requesting terminal and performs a type 1 rebooting procedure and then broadcasts a type 2 rebooting wakeup request within the subnet Type restarting requesting unit for causing the wake-up detector of the 2-type restarting terminal to detect and wake up.

KR1020170001367A 2017-01-04 2017-01-04 Network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wakeup of multiple IT devices KR2018008054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367A KR20180080547A (en) 2017-01-04 2017-01-04 Network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wakeup of multiple IT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367A KR20180080547A (en) 2017-01-04 2017-01-04 Network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wakeup of multiple IT devi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547A true KR20180080547A (en) 2018-07-12

Family

ID=62920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1367A KR20180080547A (en) 2017-01-04 2017-01-04 Network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wakeup of multiple IT devi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054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49184A (en) * 2022-12-13 2023-06-09 深圳市电信工程有限公司 Intelligent emergency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49184A (en) * 2022-12-13 2023-06-09 深圳市电信工程有限公司 Intelligent emergency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1711B1 (en) Neighbor discovery to support sleepy nodes
JP3436012B2 (en) Power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in a network of computer stations
JP2008301077A (en) Network controller, information processor, and wake-up control method
KR101798016B1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JP20095040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king up a sleeping system
JP2014509501A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configuration of master / slave devices on a network
CN107294876B (en) Network switch for performing wake-on-LAN
JP2008547256A (en) Network connection switching unit and network station
Seliem et al. Optimized neighbor discovery for 6LoWPANs: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KR20180080547A (en) Network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wakeup of multiple IT devices
JP4700989B2 (en) Method for discovering a device connected to an IP network and device for executing this method
JP6992655B2 (en) Network control system and relay equipment
KR100744214B1 (en)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nd network system
JP3838130B2 (en) Power control method
US10248433B2 (en) Network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state of IT device
US11382174B2 (en) Method to awaken a network access device from the internet
CN107682231B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PD equipment,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6302860B (en) SDN-based fre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sending method, device and system
JP5994226B2 (en) Network controller, wakeup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WI462521B (en) Network access device withflexible precise low-power remote wake-up mechanism applicable in various application layer handshake protocols
JP6794202B2 (en) Communication equipment and its control method
Popa et al. Embedded server with Wake on LAN function
KR20140086353A (en) Method for managing routing table in router and the router
JP2004007166A (en) Building service apparatus and its management method
JP2004364189A (en) Data communication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