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0518A - Unmanned aerial vehicle - Google Patents

Unmanned aerial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0518A
KR20180080518A KR1020170001315A KR20170001315A KR20180080518A KR 20180080518 A KR20180080518 A KR 20180080518A KR 1020170001315 A KR1020170001315 A KR 1020170001315A KR 20170001315 A KR20170001315 A KR 20170001315A KR 20180080518 A KR20180080518 A KR 20180080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main body
air
unmanned aerial
aeria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13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86004B1 (en
Inventor
김병기
박승
김기석
이윤수
Original Assignee
한화지상방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지상방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지상방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1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004B1/en
Publication of KR20180080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5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0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16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of jet type
    • B64D27/20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of jet type within, or attached to, fusel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24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using steam or spr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B64C2201/02
    • B64C2201/042
    • B64C2201/10
    • B64C2201/16
    • B64D2700/62763
    • Y02T50/53
    • Y02T50/5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 Y02T50/6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An unmanned aerial vehicle comprises: a main body provid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a single propulsion generator arranged in the main body and forming a flow of the air for generating thrust; a discharge plate coupled to the main body to cover the propulsion generator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utlets discharging the flow of the air formed by the propulsion generator to the outside; a plurality of adjusting tools for adjusting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adjusting tool and the propulsion generator by applying a control signal to each of the adjusting tool and the propulsion generator.

Description

무인 비행체{UNMANNED AERIAL VEHICLE}Unmanned aerial vehicle {UNMANNED AERIAL VEHICLE}

실시예들은 무인 비행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의 추진발생기를 이용하여 구조가 간소화되고 안정성이 향상되며 장시간 비행이 가능한 무인 비행체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relate to a unmanned aerial vehicle, more particularly, to a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uses a single propulsion generator to simplify the structure, improve stability, and enable a long flight.

일반적인 항공기에는 항공기의 조종을 위하여 조종사가 탑승하지만, 감시나, 관측이나, 물건의 배송이나, 군사용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비행체에는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는다.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는 무인 비행체는 원격으로 무선 조종되거나 컴퓨터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조종되며 임무를 수행한다.In general, pilots fly for aircraft control, but pilots do not fly on aircraft used for surveillance, observation, delivery of goods, or military purposes. Unmanned aerial vehicles, which are not piloted, are remotely controlled by radio or automatically controlled by a computer device and perform their mission.

드론(drone)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는 무인 비행체는 3개 내지 8개의 모터들과 프로펠러들을 구비한다. 드론은 복수 개의 프로펠러들의 구동을 제어하여 추진력을 얻고 비행 방향이 조종된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모터들과 프로펠러들을 갖는 드론의 구조에서는 모터들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배터리 소모량도 증가하며, 복수 개의 모터들을 장착한 드론이 장시간 비행이 가능하려면 배터리의 용량도 크게 증가하여야 한다.The unmanned aerial vehicle, also called drone, has three to eight motors and propellers. The drones control the propulsion of the propellers to gain propulsion and control the flight direction. In the structure of the drones having a plurality of motors and propellers as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battery consumption increases as the number of motors increases, and the capacity of the battery must also increase greatly in order to allow a dron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motors to fly for a long time.

또한 이와 같은 드론은 프로펠러가 비행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인해 비행 중 물체와 프로펠러가 부딪치는 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높고, 작은 충돌에도 프로펠러가 손상되어 비행 능력을 상실할 가능성이 높다.In addition, such drones are likely to cause an accident that the propeller collides with the object during flight due to the structure of the propeller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irplane,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propeller is damaged due to the small impact even if the impact is small.

프로펠러가 외부로 노출되는 무인 비행체의 구조를 개선한 기술로서 미국 등록특허 7,032,861호, 미국 등록특허 4,795,111호,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2-0039079호,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1-0000767호(2011.01.06.),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3-107626호(2013.06.06.), 일본 등록특허 제4683360호 등이 공개된 바 있다. As a technique for improving the structure of a unmanned aerial vehicle in which a propeller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re have been proposed US Patent No. 7,032,861, US Patent No. 4,795,111,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2-0039079,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00767 (June 1, 2011),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3-107626 (June 3, 2013), Japanese Patent Registration No. 4683360, etc. have been disclosed.

이러한 기술들의 무인 비행체에서는 프로펠러에 의해 발생한 공기를 단일한 공기배출구멍을 통해 배출함으로써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기술들에 의하면 무인 비행체의 복수 개의 프로펠러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충돌에 취약한 종래의 드론의 구조가 부분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s of these technologies, the propulsive force can be obtained by discharging the air generated by the propeller through a single air discharge hole. According to these techniques, since the plurality of propellers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drones which are vulnerable to collision can be partially improved.

그러나 무인 비행체의 비행 방향을 제어하기 위하여 단일한 공기배출구멍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여러 가지 형태의 블레이드를 조합한 구조를 사용하거나, 베인(vane)을 조합한 구조를 사용하거나, 복수 개의 프로펠러들을 조합한 구조를 사용하므로 무인 비행체의 비행 방향의 조종이 신속하면서도 미세하게 이루어지기가 어렵다. 즉 단일한 공기배출구멍의 전체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블레이드나 베인을 사용하는 경우 공기배출구멍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량을 미세하게 조절하기가 어렵고, 크기가 큰 블레이드나 베인 등이 작동하는 데 시간이 소요되므로 신속한 방향 조종이 어렵다.However, in order to control the flight dire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 structure combining various types of blades to control the discharge direction of air discharged from a single air discharge hole, a structure combining a vane , And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propellers,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flight dire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quickly and finely. That is, when using a blade or a vane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total diameter of a single air vent hole, it is difficult to finely control the amount of air exhausted from the air vent hole, and the time It is difficult to steer quickly.

또한 단일한 공기배출구멍의 전체 직경에 대응하도록 블레이드나 베인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블레이드와 베인 등의 구조물의 크기가 커지고 블레이드와 베인 등을 구동하기 위한 액추에이터의 용량도 커져야 한다. 이로 인해 무인 비행체의 전체적인 구조가 육중해져 무인 비행체를 컴팩트하게 설계하기가 어렵다.In addition, since blades and vanes must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total diameter of a single air discharge hole, the sizes of the structures such as blades and vanes are increased, and the capacity of actuators for driving blades and vanes must be increased. As a result,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becomes heavy and it is difficult to desig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ompactly.

단일한 프로펠러를 이용하여 추진력을 얻는 무인 비행체의 기술로서 미국 등록특허 6,616,094호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기술에 의한 무인 비행체는 프로펠러에 의해 생성된 도넛 모양의 공기의 흐름을 무인 비행체를 상승시키는 직선적인 공기의 흐름으로 전환하는 직선화 베인(flow straightening vanes)을 이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무인 비행체의 직선화 베인은 양질의 양력을 구현하기 위해 도넛 모양의 공기의 흐름을 직선적인 공기의 흐름으로 변환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어서, 무인 비행체의 비행 방향을 미세하며 신속하게 조절하기가 어렵다.U.S. Patent No. 6,616,094 is known as a technology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obtains propulsion using a single propelle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using this technique uses a flow straightening vane that converts the flow of the donut-shaped air generated by the propeller into a linear air flow that raises the unmanned aerial vehicle. However, such a straightening van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erforms only the function of converting a donut-shaped air flow into a linear air flow in order to realize a good lift, so that the flight direction of the unmanned air vehicle can be finely and quickly adjusted it's difficult.

미국 등록특허 7,032,861호(2006.04.25.)U.S. Patent No. 7,032,861 issued on April 25, 2006. 미국 등록특허 4,795,111호(1989.01.03)U.S. Patent No. 4,795,111 (Mar. 1, 1989)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2-0039079호(2002.05.25.)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2-0039079 (May 25, 2002)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1-0000767호(2011.01.06.)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000767 (2011.01.06.)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3-107626호(2013.06.06)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3-107626 (June 3, 2013) 일본 등록특허 제4,683,360호(2011.02.18.)Japanese Patent No. 4,683,360 (Mar. 18, 2011) 미국 등록특허 6,616,094호(2003.09.09)U.S. Patent No. 6,616,094 (September 9, 2003)

실시예들은 단순한 구성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비행에 필요한 전력소모량이 줄어서 장시간 비행이 가능한 무인 비행체를 제공한다.Embodiments provide a unmanned aerial vehicle which can be manufacture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nd ca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required for flight and can fly for a long time.

실시예들은 무인 비행체의 내부에 추진발생기를 설치하여 외부물체와의 충돌로부터 추진발생기를 보호함으로써 안정성이 향상된 무인 비행체를 제공한다.Embodiments provide a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improved stability by providing a propulsion generator inside a unmanned aerial vehicle to protect a propelling generator from a collision with an external object.

실시예들은 단일의 추진발생기를 본체 내부에 설치하여 컴팩트한 디자인으로 설계가 가능한 무인 비행체를 제공한다.Embodiments provide a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can be designed with a compact design by installing a single propulsion generator inside the main body.

실시예들은 단일의 추진발생기를 이용하면서도 비행방향과 비행속도를 신속하고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무인 비행체를 제공한다.Embodiments provide an unmanned aerial vehicle capable of quickly and precisely controlling flight direction and flight speed while using a single propulsion generator.

일 실시예에 관한 무인 비행체는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를 구비한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추진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단일의 추진발생기와, 추진발생기를 덮도록 본체에 결합되며 추진발생기에 의해 형성된 공기의 흐름을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 개의 출구를 구비한 배출판과,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복수 개의 조절기와, 조절기와 추진발생기의 각각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조절기와 추진발생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다.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 single propulsion generator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to form a flow of air to generate propulsion force, A plurality of regulators for regulating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regulator and the propulsion generator, respectively,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regulator and the propulsion generator.

조절기는 출구를 덮는 폐쇄위치와 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조절판과, 조절판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기를 구비할 수 있다.The regulator may include a throttle plate that moves between a closed position that covers the outlet and an open position that opens the outlet, and a driver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to move the throttle plate.

조절판은 복수 개의 블레이드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폐쇄위치에서 블레이드들이 펼쳐져 출구를 덮고 개방위치에서 블레이드들이 서로 겹쳐져 출구를 개방하며,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의 사이에서 블레이드들이 겹쳐지는 크기가 조정되어 출구의 개방면적이 조절될 수 있다.The throttling plate may comprise a plurality of blades, wherein the blades are unfolded in the closed position to cover the outlet, the blades in the open position overlap each other to open the outlet, the size of overlapping of the blades between the open and closed positions is adjusted, The open area can be adjusted.

무인 비행체는 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본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배터리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unmanned aerial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batteries arranged in the main bod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추진발생기는 본체에 설치되는 모터와,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단일의 프로펠러를 구비할 수 있다.The propulsion generator may include a motor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a single propeller rotatingly coupled to the motor.

배출판은 추진발생기에 의해 발생한 공기의 흐름이 출구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벽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discharge plate may further include a guide wall for guiding the flow of the air generated by the propelling generator toward the outlet.

본체는 본체의 내부의 공기의 흐름이 출구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guide for guiding the flow of air inside the main body toward the outlet.

무인 비행체는 배출판의 출구에 결합되며 출구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을 구비하는 통체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조절기는 통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단부가 배출공을 관통하는 니들과 니들의 단부가 통체의 배출공을 통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니들을 이동시키는 구동기를 구비할 수 있다.The unmanned aerial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cylinder coupled to the outlet of the boat and having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air at the outlet to the outside, wherein the regulator is disposed inside the cylinder and the end of the needle and the needle And a driver for moving the needle so that the end portion moves in a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hole of the cylindrical body.

니들은 단부를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needle may have a shape that narrows toward the end.

무인 비행체는 니들을 배출판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unmanned aerial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supporting portion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needle against the back plate.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무인 비행체는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발생기가 본체의 내부로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무인 비행체의 비행 중에 외부 물체와 충돌하는 경우 추진발생기가 외부 물체와 직접 충돌하는 것을 피할 수 있어서 안정성이 향상된다.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opulsion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propulsive force is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propulsion unit collides with an external object during the fligh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e st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본체의 중심축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의 배터리가 배치되므로 무인 비행체의 비행을 위한 충분한 전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단일의 추진발생기만을 이용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비행에 필요한 전력소모가 최소화되어 장시간 비행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batteries are dispos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sufficient power can be secured for fligh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propulsion can be generated using only a single propulsion generator, It is possible to fly for a long time.

또한 단일의 추진발생기를 본체의 내부에 배치하고, 추진발생기와 간섭하지 않도록 본체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터리를 배치하는 구조에 의해 무인 비행체의 전체적인 구성을 컴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다.The entire structur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an be compactly designed by arranging a single propelling generator inside the main body and arranging the battery in the edge area of the main body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propelling generator.

또한 제어기가 조절기를 제어함으로써 복수 개의 출구의 각각의 개방 면적을 독립적으로 제어함과 동시에 추진발생기의 구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무인 비행체의 비행 방향과 비행 속도를 정밀하면서도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다.Also, sinc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pening are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outlets independently and controls the driving speed of the propulsion generator, it is possible to precisely and quickly control the flight direction and the flying speed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무인 비행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무인 비행체의 구성 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무인 비행체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무인 비행체의 출구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5의 출구의 다른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출구의 또 다른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무인 비행체의 구성 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무인 비행체의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무인 비행체의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무인 비행체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무인 비행체의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components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of FIG.
3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of FIG. 1;
4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outle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of FIG.
5 is a view showing another operation of the exit of Fig.
Fig. 6 is a view showing another operation of the exit of Fig. 5; Fig.
FIG. 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components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of FIG. 1;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some components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9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some components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of FIG. 8; FIG.
10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hown in FIG.
1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operating stat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hown in FIG.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실시예들에 관한 무인 비행체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무인 비행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무인 비행체의 구성 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무인 비행체의 측면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components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of FIG. 1, and FIG. 3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of FIG.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무인 비행체는,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 개의 입구(11)를 구비한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추진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단일의 추진발생기(20)와, 추진발생기(20)를 덮도록 본체(10)의 저면에 결합되며 추진발생기(20)에 의해 형성된 공기의 흐름을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 개의 출구(31)를 구비한 배출판(30)과, 출구(31)의 각각의 개방되는 크기를 조절하는 복수 개의 조절기(40)와, 조절기(40)와 추진발생기(20)를 제어하는 제어기(70)를 구비한다.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3 includes a main body 10 having a plurality of inlets 11 into which air is introduced, a main body 10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0, A plurality of outlets (20)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 to cover the propulsion generator (20) and configured to discharge a flow of air formed by the propulsion generator (20) A plurality of regulators 40 for regulating the respective open sizes of the outlets 31; a controller 70 for controlling the regulators 40 and the propulsion generators 20; Respectively.

본체(10)와 배출판(30)은 무인 비행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관을 형성함과 아울러, 본체(10)와 배출판(30)의 사이의 공간에 여러 가지 구성요소들을 수용하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체(10)와 배출판(30)은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 철 등의 금속판 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 and the back plate 30 form an outer appearanc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nmanned air vehicle and have a function of receiving and protecting various components in a space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back plate 30 . The main body 10 and the back sheet 30 can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plastic, aluminum, iron or the like metal plate.

본체(10)는 대략 원판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구성요소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제작된다. 본체(10)는 무인 비행체의 외부 공간과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입구(11)를 구비한다. 복수 개의 입구(11)는 본체(10)의 중심축(Sd)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입구(11)를 통해서 무인 비행체의 외부의 공기가 무인 비행체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 has a substantially disc shape and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so as to accommodate the components therein. The main body 10 has a plurality of inlets 11 connecting the outer space and the inner space of the unmanned air vehicle. The plurality of inlets (11) ar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Sd) of the main body (10). The air outsid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rough the entrance 11.

본체(10)의 내부에는 추진발생기(20)가 배치된다. 추진발생기(20)는 본체(10)의 내면에 고정되는 모터(22)와, 모터(22)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단일의 프로펠러(21)를 구비한다. 모터(22)가 작동하면 프로펠러(21)가 회전함으로써 본체(10)의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킨다. 프로펠러(21)에 의해 발생한 공기의 흐름이 본체(10)의 하부에 결합된 배출판(30)의 출구(31)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무인 비행체의 추진력이 발생한다. A propulsion generator (20) is disposed in the body (10). The propulsion generator 20 includes a motor 22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a single propeller 21 coupled to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22 and rotating. When the motor 22 is operated, the propeller 21 rotates to generate a flow of air inside the main body 10. The flow of the air generated by the propeller 21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31 of the discharge plate 30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so that propuls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generated.

본체(10)는 본체(10)의 내부의 공기의 흐름이 프로펠러(21)를 통과하여 출구(31)로 집중될 수 있게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가이드(19)를 구비한다. 가이드(19)는 본체(10)의 중심축(Sd)에 대한 방사방향에 대해 경사를 이루며 중심축(Sd)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연장한다.The body 10 is provided with a guide 19 for guiding the flow of air so that the flow of air inside the body 10 passes through the propeller 21 and is concentrated at the outlet 31. The guide 19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Sd of the main body 10 and extend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Sd.

본체(10)의 상면에는 위성항법 시스템의 위성항법 신호를 수신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15)가 배치된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receiver 15 for receiving the satellite navigation signal of the satellite navigation system is disposed.

본체(10)의 내부에는 본체(10)의 중심축(Sd)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배터리(80)가 설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배터리(80)는 원통형 배터리이지만, 실시예는 이와 같은 배터리(80)의 구조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상의 배터리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배터리(80)는 본체(10)의 내부에서 추진발생기(20)와 기계적으로 간섭하지 않도록 본체(10)의 내부에서 본체(10)의 외측을 향하는 가장자리에 배치된다.A plurality of batteries 80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Sd of the main body 10 are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battery 80 is a cylindrical battery,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 structure of such a battery 80. For exampl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attery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 A plurality of batteries 80 are disposed at the outer edge of the body 10 inside the body 10 so as not to mechanically interfere with the propulsion generator 20 inside the body 10. [

상술한 구성의 실시예에 관한 무인 비행체는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발생기(20)가 본체(10)의 내부로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무인 비행체의 비행 중에 외부 물체와 충돌하는 경우 추진발생기(20)가 외부 물체와 직접 충돌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pulsion generator 20 for generating the propulsive force is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refore,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ollides with an external object during fligh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 can be prevented from directly colliding with an external object.

또한 본체(10)의 중심축(Sd)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의 배터리(80)가 배치되므로, 무인 비행체의 비행을 위한 충분한 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Further, since a plurality of batteries 80 are dispos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Sd of the main body 10, sufficient power for fligh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an be ensured.

또한 단일의 추진발생기(20)를 본체(10)의 내부에 배치하고, 추진발생기(20)와 간섭하지 않도록 본체(10)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터리(80)를 배치하는 구조에 의해 무인 비행체의 전체적인 구성을 컴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rranging the single propulsion generator 20 inside the main body 10 and arranging the battery 80 in the edge region of the main body 1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propulsion generator 20, The configuration can be made compact.

본체(10)의 내부에는 제어기(70)가 배치된다. 제어기(70)는 예를 들어 제어용 반도체 칩이 장착된 회로기판이나, 제어용 소프트웨어가 장착된 소형 컴퓨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A controller (70) is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0). The controller 70 may be implemented, for example, by a circuit board on which a control semiconductor chip is mounted or a small computer equipped with control software.

본체(10)의 저면에 배치되는 배출판(30)은 추진발생기(20)를 포함하여 여러 가지 구성요소들을 덮는 기능을 수행하고, 추진발생기(20)에 의해 형성된 공기의 흐름을 무인 비행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 개의 출구(31)를 구비한다. 출구(31)는 무인 비행체의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도록 배출판(3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The back plate 30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functions to cover various components including the propelling generator 20 so that the flow of the air formed by the propelling generator 20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unmanned air vehicle As shown in FIG. The outlet (31)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discharge plate (30) so as to connect the inner space and the outside of the unmanned air vehicle.

배출판(30)은 추진발생기(20)에 의해 발생한 공기의 흐름이 출구(31)를 향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안내벽(39)을 구비한다. 안내벽(39)은 출구(3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출구(31)의 방사방향에 대해 경사를 이루며 출구(31)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안내벽(39)의 두께는 출구(31)의 방사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출구(31)를 향하여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discharge plate 30 has a guide wall 39 for guiding the flow of air such that the flow of the air generated by the propelling generator 20 is directed to the outlet 31. The guide wall 39 may be disposed outside of the outlet 31 and extend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let 31 in an obliqu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outlet 31. [ The thickness of the guide wall 39 may be formed so as to decrease from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outlet 31 toward the outlet 31. [

배출판(30)의 각각의 출구(31)에는 출구(31)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기(40)가 배치된다. 조절기(40)는 제어기(7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출구(31)의 개방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조절기(40)는 도 2에 도시된 4 개의 출구(31)의 각각에 배치된다. At each outlet (31) of the backsheet (30) there is arranged a regulator (40) for regulating the opening area of the outlet (31). The regulator (40) can adjust the open area of the outlet (31) by operating by a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ler (70). The regulator 40 is disposed in each of the four outlets 31 shown in Fig.

도 2에서 배출판(30)에 4 개의 출구(31)가 형성되었으나, 실시예는 이와 같은 출구(31)의 개수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2개, 3개, 5개, 6개, 8개 등 다양한 개수의 출구(31)를 배출판(30)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변경된 출구(31)의 개수에 맞추어 조절기(40)의 개수도 변경된다.2, four outlets 31 are formed in the backsheet 30,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 number of such outlets 31, and may be 2, 3, 5, 6 The number of the outlet 31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regulators 40 is also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changed outlets 31. [

조절기(40)는 출구(31)를 덮는 폐쇄위치와 출구(31)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조절판(41)과, 조절판(41)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기(42)를 구비한다. 구동기(42)는 예를 들어 전기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출구(31)의 각각에 조절기(40)가 배치되기 때문에, 복수 개의 출구(31)의 각각의 개방 면적은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The regulator 40 includes a regulating plate 41 movable between a closed position covering the outlet 31 and an open position opening the outlet 31 and a driver 42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regulating plate 41. [ Respectively. The driver 42 may be embodied as a motor, for example, operated by an electrical signal. Since the regulator 40 is dispos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outlets 31, the open are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outlets 31 can be adjusted independently.

도 4는 도 1의 무인 비행체의 출구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5의 출구의 다른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출구의 또 다른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outlet of the unmanned air vehicle of Fig. 1, Fig. 5 is a view showing another operation of the exit of Fig. 5, and Fig. 6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operation of the exit of Fig. .

조절판(41)은 복수 개의 블레이드들(41a, 41b)을 구비한다. 도 4에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들(41a, 41b)이 서로 겹쳐지는 개방위치로 이동하여 배출판(30)의 출구(31)를 개방한 상태가 도시된다. 도 6에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들(41a, 41b)이 펼쳐지는 폐쇄위치로 이동하여 출구(31)가 폐쇄된 상태가 도시된다. The throttle plate 41 has a plurality of blades 41a and 41b. Fig. 4 shows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blades 41a and 41b are moved to an open position where they overlap with each other, and the outlet 31 of the discharge plate 30 is opened. Fig.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outlet 31 is closed by moving to a closed position where a plurality of blades 41a and 41b are deployed.

블레이드들(41a, 41b)은 도 4에 도시된 개방위치와 도 6에 도시된 폐쇄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함으로써 출구(31)의 개방되는 크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의 사이에서 블레이드들(41a, 41b)이 서로 겹쳐지는 크기가 조정되어 출구(31)의 개방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출구(31)가 개방되는 면적이 조절됨에 따라 무인 비행체의 배출판(30)의 출구(31)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양, 즉 풍량이 조절될 수 있다.The blades 41a and 41b serve to adjust the opening size of the outlet 31 by moving between the open position shown in Fig. 4 and the closed position shown in Fig. The size of the overlapping of the blades 41a and 41b between the open position and the closed position as shown in Fig. 5 can be adjusted to adjust the open area of the outlet 31. Fig.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31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30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30, that is, the air volume can be adjusted as the area where the outlet 31 is opened is adjusted.

실시예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조절판의 구체적인 구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절판은 복수 개가 아니라 1개만이 사용될 수 있다. 각 조절기(40)가 1개의 조절판을 구비하는 경우, 예를 들어 각 조절기(40)의 조절판은 모터의 회전하는 축에 연결되어 모터에 회전함으로써 배출판(30)의 각 출구(31)의 개방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각 조절기(40)는 직선적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된 1개의 조절판을 구비하고, 조절기(40)의 구동기는 조절판을 직선적으로 이동시키는 리니어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throttle as shown in Figs. 4 to 6, and only one throttle can be used instead of a plurality of throttle. In the case where each regulator 40 has one regulating plate, for example, the regulating plate of each regulator 40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and is rotated by the motor to open the respective outlet 31 of the discharging plate 30 The area can be adjusted. As another example, each regulator 40 may have one regulating plate disposed linearly movably, and the actuator of the regulator 40 may be implemented by a linear actuator that linearly moves the regulating plate.

도 7은 도 1의 무인 비행체의 구성 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어기(70)와 구성 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FIG. 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components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of FIG. 1; Fig. 7 schematically shows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components with the controller 70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0. Fig.

제어기(70)는 GPS 수신기(15)로부터 위성항법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입력기(74)와, 추진발생기(2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추진발생기(20)의 정지, 시동, 구동속도, 및 구동방향을 제어하는 추진 제어기(72)와, 조절기(4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각 출구(31)의 개방 면적을 제어하는 출구 제어기(71)와, 외부의 관제탑이나 조종자가 조작하는 원격제어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18)과 연결되어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기(73)를 구비한다.The controller 70 includes a signal input unit 74 for receiving a signal relating to the navigation of the satellite from the GPS receiver 15 and a control unit 70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o the propulsion generator 20 to stop, An outlet controller 71 for controlling the open area of each outlet 31 by applying a control signal to the regulator 40 and a remote controller 71 for controlling the external control tower or the remote controller operated by the controller And a communication controller 73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8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ler and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function.

제어기(70)가 추진발생기(20)와 조절기(40)를 모두 제어함으로써 무인 비행체의 이륙 및 착륙 동작과 무인 비행체의 비행 방향과 비행 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기(70)가 조절기(40)를 제어함으로써 복수 개의 출구(31)의 각각의 개방 면적을 독립적으로 제어함과 동시에 추진발생기(20)의 구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무인 비행체의 비행 방향과 비행 속도를 정밀하면서도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70 can control the takeoff and landing operations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he flight direction and the flying speed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by controlling both the propulsion generator 20 and the controller 40. [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70 controls the regulator 40 so that the open are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outlets 31 can be independently controlled and the driving speed of the propulsion generator 20 can be controlled, And flight speed can be precisely and quickly controlled.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무인 비행체의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무인 비행체의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ome components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9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some components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of FIG.

도 8에 나타나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무인 비행체에서는 배출판(130)의 구성이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무인 비행체에서의 배출판(30)의 구성으로부터 변형되었다.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8, the configuration of the boat publication 130 is modifi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boat publication 30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relat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배출판(130)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복수 개의 출구(131)를 구비하며, 출구(131)의 각각의 하부에는 출구(13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무인 비행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141o)을 구비하는 통체(141)가 결합된다. 통체(141)는 속이 비어있는 대략 반구형상 또는 원통형상으로 제작된다.The discharge plate 1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utlets 131 for discharging air to the outside and discharging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31 to the outside of the unmanned air vehicle And a cylinder 141 having a hole 141o is engaged. The tubular body 141 is fabricated into an approximately hemispherical shape or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hollow is hollow.

통체(141)의 내부에는 니들(142)과, 니들(142)을 이동시키는 구동기(145)를 구비하는 조절기(140)가 배치된다. 니들(142)은 통체(141)의 배출공(141o)을 통과하는 방향이나 배출공(141o)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도 8에서 니들(142)은 배출공(141o)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다.Inside the cylinder 141 is disposed a regulator 140 having a needle 142 and a driver 145 for moving the needle 142. The needle 142 is arranged so as to be able to move in the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hole 141o of the cylinder 141 or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discharge hole 141o. In Fig. 8, the needle 142 is arrang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hole 141o.

니들(142)의 단부는 통체(141)의 배출공(141o)을 통과할 수 있다. 니들(142)은 단부를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단면 형상을 갖는다.The end of the needle 142 can pass through the discharge hole 141o of the cylinder 141. [ The needle 142 has a cross-sectional shape narrowing toward the end.

구동기(145)는 니들(142)의 단부가 배출공(141o)을 통과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니들(142)을 이동시킨다. 니들(142)의 상부에는 샤프트(143)가 연결되며 샤프트(143)의 상단은 출구(131)의 상측에 설치된 지지대(138)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된다. 샤프트(143)의 상단에는 접촉판(147)이 형성된다. The driver 145 moves the needle 142 so that the end of the needle 142 can move in the direction through the discharge hole 141o. A shaft 143 i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needle 142 and an upper end of the shaft 143 protrudes upward through a support base 138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let 131. At the upper end of the shaft 143, a contact plate 147 is formed.

구동기(145)는 전기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모터이며, 구동기(145)의 회전하는 축에는 캠(146)이 결합된다. 따라서 구동기(145)가 작동하면 캠(146)이 회전함으로써 샤프트(143)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샤프트(143)와 지지대(138)의 사이에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지지부(148)가 설치되므로, 니들(142)이 탄성지지부(148)에 의해 배출판(130)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The driver 145 is a motor operated by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cam 146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er 145. Therefore, when the actuator 145 is operated, the cam 146 can be rotated to press the shaft 143 downward. The needle 142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supporting portion 148 with respect to the back plate 130 because the elastic supporting portion 148 that provides elastic force is provided between the shaft 143 and the support base 138. [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무인 비행체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무인 비행체의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FIG. 10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hown in FIG. 9, and FIG. 1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operating stat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hown in FIG.

도 10에는 니들(142)이 상측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통체(141)의 배출공(141o)을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이동한 상태가 도시된다. 도 11에는 니들(142)이 하측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통체(141)의 배출공(141o)의 개방면적을 조절하는 상태가 도시된다. 도 11에 도시된 니들(142)의 위치로부터 니들(142)이 하측을 향하여 더 이동하여 폐쇄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니들(142)에 의해 통체(141)의 배출공(141o)이 폐쇄될 수 있다.Fig. 10 shows a state in which the needle 142 has moved to the open position for opening the discharge hole 141o of the cylinder 141 by moving upward. 11 shows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rea of the discharge hole 141o of the cylinder 141 is adjusted by moving the needle 142 downward. The needle 142 from the position of the needle 142 shown in Fig. 11 further moves downward and moves to the closed position so that the discharge hole 141o of the cylinder 141 can be closed by the needle 142.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무인 비행체에서는 배출판(130)의 출구(131)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에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를 적용함으로써 출구(131)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작용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다. 코안다 효과는 유체의 흐름이 물체의 표면의 곡면을 따라 흐르려고 하는 유체의 현상이다.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8 to 11, air is discharged from the outlet 131 by applying a Coanda effect to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131 of the discharge plate 130 So that the ac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The Coanda effect is a phenomenon of a fluid in which the flow of the fluid is about to flow along the curved surface of the object.

배출판(130)의 출구(131)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통체(141)의 내벽을 따라 흐르며, 통체(141)의 배출공(141o)에 도달한 공기는 니들(142)의 표면을 따라 흘러 배출공(141o)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출구(131)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통체(141)의 내벽과 니들(142)의 표면에 의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유선형의 통로를 따라 흘러 배출공(141o)의 외부로 배출된다. The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131 of the discharge plate 130 flows along the inner wall of the cylinder 141 and the air that reaches the discharge hole 141o of the cylinder 141 flows along the surface of the needle 142,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le 141o. The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131 flows along a streamlined passage continuously formed by the inner wall of the cylinder 141 and the surface of the needle 142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ischarge hole 141o.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무인 비행체에서는 배출판(130)의 출구(131)로부터 공기가 배출될 때 공기가 유선형의 통로를 따라 부드럽게 외부로 배출되므로, 배출판(130)의 출구(131)의 각각의 개방면적을 조절함으로써 무인 비행체의 비행 속도와 비행 방향을 신속하고 정밀하면서도 부드럽게 제어할 수 있다.In the unmanned air vehicl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ince air is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along the streamline passage when the air is discharged from the outlet 131 of the discharge plate 13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light speed and flight dire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quickly, precisely and smoothly.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구성과 효과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construction and effec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본체 73: 통신 제어기
11: 입구 74: 신호 입력기
15: GPS 수신기 80: 배터리
18: 통신 모듈 41a, 41b: 블레이드들
19: 가이드 130: 배출판
20: 추진발생기 131: 출구
21: 프로펠러 138: 지지대
22: 모터 140: 조절기
30: 배출판 141o: 배출공
31: 출구 141: 통체
39: 안내벽 142: 니들
40: 조절기 143: 샤프트
41: 조절판 145: 구동기
42: 구동기 146: 캠
70: 제어기 147: 접촉판
71: 출구 제어기 148: 탄성지지부
72: 추진 제어기
10: main body 73: communication controller
11: inlet 74: signal input
15: GPS receiver 80: battery
18: communication module 41a, 41b:
19: Guide 130: Boat Publishing
20: Propulsion generator 131: Outlet
21: propeller 138: support
22: motor 140: regulator
30: Pear publication 141o: Exhaust hole
31: outlet 141:
39: guide wall 142: needle
40: regulator 143: shaft
41: throttle plate 145: actuator
42: driver 146: cam
70: Controller 147: Contact plate
71: outlet controller 148: elastic support
72: Propulsion controller

Claims (10)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추진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단일의 추진발생기;
상기 추진발생기를 덮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추진발생기에 의해 형성된 공기의 흐름을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 개의 출구를 구비한 배출판;
상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복수 개의 조절기; 및
상기 조절기와 상기 추진발생기의 각각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조절기와 상기 추진발생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무인 비행체.
A main body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 single propulsion generator disposed within the body to form a flow of air to generate propulsion;
A plurality of outlets coupled to the main body to cover the propulsion generator and having a plurality of outlets for discharging the flow of air formed by the propulsion generator to the outside;
A plurality of regulators for regulating the amount of air exiting the outlet;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regulator and the propulsion generator by applying a control signal to each of the regulator and the propulsion gener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는 상기 출구를 덮는 폐쇄위치와 상기 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조절판과, 상기 조절판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기를 구비하는, 무인 비행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gulator includes a throttle plate that moves between a closed position that covers the outlet and an open position that opens the outlet, and a driver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to move the throttle pl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은 복수 개의 블레이드들을 구비하며,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블레이드들이 펼쳐져 상기 출구를 덮고 상기 개방위치에서 상기 블레이드들이 서로 겹쳐져 상기 출구를 개방하며, 상기 개방위치와 상기 폐쇄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블레이드들이 겹쳐지는 크기가 조정되어 상기 출구의 개방면적이 조절되는, 무인 비행체.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hrottling plate has a plurality of blades, the blades being unfolded in the closed position to cover the outlet and the blades overlapping each other at the open position to open the outlet, wherein between the open position and the closed position the blades Wherein the overlapping size is adjusted to adjust the opening area of the out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배터리를 더 구비하는, 무인 비행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batteries disposed in the main bod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발생기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단일의 프로펠러를 구비하는, 무인 비행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pulsion generator includes a motor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a single propeller rotatably coupled to the mo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판은 상기 추진발생기에 의해 발생한 공기의 흐름이 상기 출구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벽을 더 구비하는, 무인 비행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charge plate further comprises a guide wall for guiding the flow of air generated by the propulsion generator toward the outle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내부의 공기의 흐름이 상기 출구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를 더 구비하는, 무인 비행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main body further comprises a guide for guiding the flow of air inside the main body toward the out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판의 상기 출구에 결합되며 상기 출구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을 구비하는 통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절기는 상기 통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단부가 상기 배출공을 관통하는 니들과, 상기 니들의 상기 단부가 상기 통체의 상기 배출공을 통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니들을 이동시키는 구동기를 구비하는, 무인 비행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ischarge hole coupled to the outlet of the discharge plate and having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air at the outlet to the outside,
Wherein the adjuster comprises a needle disposed within the tubular body and having an end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hole and a driver for moving the needle such that the end of the needle moves in a direction through the discharge hole of the tubular body, Unmanned aerial vehic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은 상기 단부를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무인 비행체.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needle has a shape that narrows toward the end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을 상기 배출판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무인 비행체.
9.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support portion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needle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plate.
KR1020170001315A 2017-01-04 2017-01-04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2860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315A KR102286004B1 (en) 2017-01-04 2017-01-04 Unmanned aerial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315A KR102286004B1 (en) 2017-01-04 2017-01-04 Unmanned aerial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518A true KR20180080518A (en) 2018-07-12
KR102286004B1 KR102286004B1 (en) 2021-08-05

Family

ID=62919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1315A KR102286004B1 (en) 2017-01-04 2017-01-04 Unmanned aerial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004B1 (en)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5111A (en) 1987-02-17 1989-01-03 Moller International, Inc. Robotic or remotely controlled flying platform
US20010040062A1 (en) * 1999-05-21 2001-11-15 Lewis Illingworth Lifting platform
KR20020039079A (en) 2000-11-20 2002-05-25 장근호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using Variable Vane System
US20040191063A1 (en) * 2002-12-09 2004-09-30 Anemoid, Llc Multi-modal forced vortex device
US7032861B2 (en) 2002-01-07 2006-04-25 Sanders Jr John K Quiet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using ducted, magnetic induction air-impeller rotors
US20060214052A1 (en) * 2005-03-15 2006-09-28 Entecho Pty Ltd. Aerodynamic lifting device and airborne craft
US20100051754A1 (en) * 2008-08-27 2010-03-04 Davidson Robert M Aircraft
KR20110000767A (en) 2009-06-29 2011-01-06 이희성 Gyroscopic vtol craft
JP4683360B2 (en) 2007-12-12 2011-05-18 清 佐直 Discoid airplane
US20110155860A1 (en) * 2008-05-07 2011-06-30 Entecho Pty Ltd Fluid dynamic device with thrust control shroud
JP2013107626A (en) 2011-11-17 2013-06-06 Honeywell Internatl Inc Unmanned air vehicle fault tolerant flight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775847B1 (en) * 2016-11-25 2017-09-07 김기태 Turbojet drones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5111A (en) 1987-02-17 1989-01-03 Moller International, Inc. Robotic or remotely controlled flying platform
US20010040062A1 (en) * 1999-05-21 2001-11-15 Lewis Illingworth Lifting platform
US6616094B2 (en) 1999-05-21 2003-09-09 Vortex Holding Company Lifting platform
KR20020039079A (en) 2000-11-20 2002-05-25 장근호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using Variable Vane System
US7032861B2 (en) 2002-01-07 2006-04-25 Sanders Jr John K Quiet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using ducted, magnetic induction air-impeller rotors
US20040191063A1 (en) * 2002-12-09 2004-09-30 Anemoid, Llc Multi-modal forced vortex device
US20060214052A1 (en) * 2005-03-15 2006-09-28 Entecho Pty Ltd. Aerodynamic lifting device and airborne craft
JP4683360B2 (en) 2007-12-12 2011-05-18 清 佐直 Discoid airplane
US20110155860A1 (en) * 2008-05-07 2011-06-30 Entecho Pty Ltd Fluid dynamic device with thrust control shroud
US20100051754A1 (en) * 2008-08-27 2010-03-04 Davidson Robert M Aircraft
KR20110000767A (en) 2009-06-29 2011-01-06 이희성 Gyroscopic vtol craft
JP2013107626A (en) 2011-11-17 2013-06-06 Honeywell Internatl Inc Unmanned air vehicle fault tolerant flight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775847B1 (en) * 2016-11-25 2017-09-07 김기태 Turbojet dro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004B1 (en) 202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57746B2 (en) Variable pitch rotor assembly for electrically driven vectored thrust aircraft applications
EP3251952B1 (en) Variable directional thrust for helicopter tail anti-torque system
US11912404B2 (en)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US11724801B2 (en) VTOL aircraft having fixed-wing and rotorcraft configurations
US9862486B2 (en)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EP3168148B1 (en) Drone with wind guide part
US6270309B1 (en) Low drag ducted Ram air turbine generator and cooling system
EP0279391B1 (en) Robotic or remotely controlled flying platform
KR101749863B1 (en)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erial vehicle
US10288075B2 (en) Thrust generat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attitude of movable body
US10017278B2 (en) Gyroscopic orbiter with vertical takeoff and vertical landing capabilities
US20190152596A1 (en) High efficiency long range drone
CN113911329A (en) Flying body and power device
KR20180080518A (en) Unmanned aerial vehicle
US7077358B1 (en) Helicopter with torque-correcting thruster device
CN116802120A (en) Aircraft with a plurality of aircraft body
CN110606194A (en) Jet propulsion typ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121842B1 (en) Drone using no-propeller propulsion unit
KR101813681B1 (en) Flying vehicle
US20190300150A1 (en) Movable safety guard system for unmanned aerial vehicle propellers
JP2016508914A (en) Spacecraft
RU2595201C1 (en) Gas-dynamic control system for hypersonic aircraft
JP2005188805A (en) Guided flying ob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