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0012A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 생성·공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 생성·공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0012A
KR20180080012A KR1020170000862A KR20170000862A KR20180080012A KR 20180080012 A KR20180080012 A KR 20180080012A KR 1020170000862 A KR1020170000862 A KR 1020170000862A KR 20170000862 A KR20170000862 A KR 20170000862A KR 20180080012 A KR20180080012 A KR 20180080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listic
contents
module
music
sens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혁
이병만
손민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스포츠예술차세대플랫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스포츠예술차세대플랫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스포츠예술차세대플랫폼
Priority to KR1020170000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0012A/ko
Publication of KR20180080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0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종래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위치한 클라이언트들끼리 그룹핑되어, 동시간에 같이 연주하는 것이 아닌, 클라이언트 혼자서 나홀로 악보연주하고 편집한 후, SNS 상에 완성된 연주만을 청취하는 획일적인 구성만으로 이루어져 있어, 완성도 높은 양질의 음악 컨텐츠 생성이 어려운 문제점과, 실제 음악악기 및 기구를 통한 연주가 아닌, 단순한 자판입력 및 마우스 클릭만을 통해 악보를 연주하고 편집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들의 음악 컨텐츠 생성에 관한 관심과 흥미가 떨어져, SNS상에서의 음악컨텐츠 시장이 점점 위축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100), 스마트 HMD(Head Mounted Display) 모듈(200), SNS 형성모듈(300), 컨텐츠 관리서버(400)로 구성됨으로서, 가상공간에 클라이언트가 연주하고 싶은 음악악기 및 기구를 가상이미지로 활성화시키고, SNS망(트위터, 페이스북 또는 인스타그램)에 접속한 또 다른 클라이언트들을 가상현실디스플레이화면상에 아바타형태로 표출시켜, 같은 공간에서 동시간으로 같이 연주할 수 있어, 기존에 비해 90% 향상된 양질의 음악컨텐츠를 생성시킬 수 있고, 특정위치에 위치한 QR-CODE를 카메라로 촬영한 후 웹 브라우저(크롬)로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용 URL을 바로 실행시킬 수 있어, 언제 어디서든 클라이언트들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어, 기존에 비해 SNS상에서의 음악컨텐츠 생성 참여율을 1.5배~3배로 높일 수 있으며, 컨텐츠관리서버에 백업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 및 데이터를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 구동어플모듈쪽으로 빠르게 출력하여 타임 워프(Time Warp) 동기화 방식을 생성시킬 수 있어, SNS망 장애가 발생되더라도, 이전의 가상현실디스플레이화면과 현재의 가상현실디스플레이화면을 끊김없이 부드럽게 연결할 수 있어, 클라이언트들로 하여금 음악연주에 관한 집중과 관심을 높여 기존보다 2배~4배 빠른 속도로 음악 컨텐츠를 완성시킬 수 있고, 무엇보다 SNS(트위터, 페이스북 또는 인스타그램)망을 통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까지 그룹핑시킬 수 있어, 다양한 친구관계 형성을 통해 신한류문화를 널리 보급시킬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 생성·공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 생성·공유 장치 및 방법{THE APPARATUS AND METHOD OF MUSICAL CONTENTS CREATION AND SHARING SYSTEM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본 발명에서는 가상공간에 클라이언트가 연주하고 싶은 음악악기 및 기구를 가상이미지로 활성화시키고, SNS망(트위터, 페이스북 또는 인스타그램)에 접속한 또 다른 클라이언트들을 가상현실디스플레이화면상에 아바타형태로 표출시켜, 같은 공간에서 동시간으로 같이 연주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실감형 음악 컨텐츠 생성·공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음악을 듣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음악을 직접 작곡하는 사람들이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다양한 악보 제작 프로그램들이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악보 제작 프로그램의 한 예로써,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34950을 살펴보면, 인터넷을 통해 제공받은 악보를 편집 및 인쇄하는 서비스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편집된 악보를 어떤 변환과정을 거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지, 그리고 편집된 악보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는 지에 대해서는 나타내고 있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2414호에서는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근하는 클라이언트, 그리고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발생한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SNS 정보저장부,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악보 편집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생성한 음악 컨텐츠를 변환하는 악보 편집부 및 상기 음악 컨텐츠를 저장하는 악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서버로 이루어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음악 컨텐츠 생성 및 공유 시스템이 제시된 바 있으나,
이는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위치한 클라이언트들끼리 그룹핑되어, 동시간에 같이 연주하는 것이 아닌, 클라이언트 혼자서 나홀로 악보연주하고 편집한 후, SNS 상에 완성된 연주만을 청취하는 획일적인 구성만으로 이루어져 있어, 완성도 높은 양질의 음악 컨텐츠 생성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제 음악악기 및 기구를 통한 연주가 아닌, 단순한 자판입력 및 마우스 클릭만을 통해 악보를 연주하고 편집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들의 음악 컨텐츠 생성에 관한 관심과 흥미가 떨어져, SNS상에서의 음악컨텐츠 시장이 점점 위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2414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가상공간에 클라이언트가 연주하고 싶은 음악악기 및 기구를 가상이미지로 활성화시키고, SNS망(트위터, 페이스북 또는 인스타그램)에 접속한 또 다른 클라이언트들을 가상현실디스플레이화면상에 아바타형태로 표출시켜, 같은 공간에서 동시간으로 같이 연주할 수 있고, 특정위치에 위치한 QR-CODE를 카메라로 촬영한 후 웹 브라우저(크롬)로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용 URL을 바로 실행시킬 수 있어, 언제 어디서든 클라이언트들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SNS(트위터, 페이스북 또는 인스타그램)망을 통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까지 그룹핑시킬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 생성·공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실감형 음악 컨텐츠 생성·공유 장치는
특정위치에 위치한 QR-CODE를 카메라로 촬영한 후 웹 브라우저(크롬)로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용 URL을 실행하면, 전체화면모듈로 전환시켜 스마트HMD모듈에 장착되어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를 표출시키고, 연주완료한 실감형 음악컨텐츠데이터를 컨텐츠 관리서버로 전송시키는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100)과,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이 설치된 스마트디바이스를 장착한 후, 안경처럼 머리에 쓰면서 실감형 음악컨텐츠구동어플모듈에서 표출되는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를 대형화면으로 확장시킨 후, 사용자의 손가락모션을 통해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를 조작할 수 있도록 제어시키는 스마트 HMD(Head Mounted Display) 모듈(200)과,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를 사용하고자 하는 실감형 음악컨텐츠구동어플모듈을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망을 통해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그룹핑시켜 서로 연결시키는 SNS 형성모듈(300)과,
실감형 음악컨텐츠구동어플모듈쪽으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를 제공하면서,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에서 연주완료한 실감형 음악컨텐츠를 SNS 형성모듈에 공유시키는 컨텐츠 관리서버(400)로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 생성·공유 방법은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에서 특정위치에 위치한 QR-CODE를 카메라로 촬영한 후 웹 브라우저(크롬)로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용 URL을 실행시키는 단계(S100)와,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을 통해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용 URL에 포함된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 및 데이터를 전체화면모듈로 전환시키는 단계(S200)와,
스마트 HMD(Head Mounted Display) 모듈에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이 설치된 스마트디바이스이 장착되면, 안경처럼 머리에 쓰면서 실감형 음악컨텐츠구동어플모듈에서 표출되는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를 대형화면으로 확장시킨 후, 사용자의 손가락모션을 통해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를 조작할 수 있도록 제어시키는 단계(S300)와,
SNS 형성모듈에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를 사용하고자 하는 실감형 음악컨텐츠구동어플모듈을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망을 통해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그룹핑시켜 서로 연결시키는 단계(S400)와,
컨텐츠 관리서버에서 실감형 음악컨텐츠구동어플모듈쪽으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를 제공하면서,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에서 연주완료한 실감형 음악컨텐츠를 SNS 형성모듈에 공유시키는 단계(S500)로 이루어짐으로서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첫째, 가상공간에 클라이언트가 연주하고 싶은 음악악기 및 기구를 가상이미지로 활성화시키고, SNS망(트위터, 페이스북 또는 인스타그램)에 접속한 또 다른 클라이언트들을 가상현실디스플레이화면상에 아바타형태로 표출시켜, 같은 공간에서 동시간으로 같이 연주할 수 있어, 기존에 비해 90% 향상된 양질의 음악컨텐츠를 생성시킬 수 있다.
둘째, 특정위치에 위치한 QR-CODE를 카메라로 촬영한 후 웹 브라우저(크롬)로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용 URL을 바로 실행시킬 수 있어, 언제 어디서든 클라이언트들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어, 기존에 비해 SNS상에서의 음악컨텐츠 생성 참여율을 1.5배~3배로 높일 수 있다.
셋째, 컨텐츠관리서버에 백업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 및 데이터를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 구동어플모듈쪽으로 빠르게 출력하여 타임 워프(Time Warp) 동기화 방식을 생성시킬 수 있어, SNS망 장애가 발생되더라도, 이전의 가상현실디스플레이화면과 현재의 가상현실디스플레이화면을 끊김없이 부드럽게 연결할 수 있어, 클라이언트들로 하여금 음악연주에 관한 집중과 관심을 높여 기존보다 2배~4배 빠른 속도로 음악 컨텐츠를 완성시킬 수 있다.
넷째, SNS(트위터, 페이스북 또는 인스타그램)망을 통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까지 그룹핑시킬 수 있어, 다양한 친구관계 형성을 통해 신한류문화를 널리 보급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실감형 음악 컨텐츠 생성·공유 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실감형 음악 컨텐츠 생성·공유 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HMD(Head Mounted Display) 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HMD(Head Mounted Display) 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HMD(Head Mounted Display) 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립모션센서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관리서버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 형성제어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HMD(Head Mounted Display) 모듈에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이 설치된 스마트디바이스이 장착되면, 안경처럼 머리에 쓰면서 실감형 음악컨텐츠구동어플모듈에서 표출되는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를 대형화면으로 확장시킨 후, 사용자의 손가락모션을 통해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를 조작하면서 가상현실디스플레이화면에서 단독연주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SNS 형성모듈에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를 사용하고자 하는 실감형 음악컨텐츠구동어플모듈을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망을 통해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그룹핑시켜 서로 연결시킨 가상현실디스플레이화면에서 합주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 생성·공유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먼저,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SNS는 WiFi통신을 통해 트위터, 페이스북 또는 인스타그램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것을 말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실감형 음악 컨텐츠 생성·공유 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에 관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실감형 음악 컨텐츠 생성·공유 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100), 스마트 HMD(Head Mounted Display) 모듈(200), SNS 형성모듈(300), 컨텐츠 관리서버(4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100)은 특정위치에 위치한 QR-CODE를 카메라로 촬영한 후 웹 브라우저(크롬)로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용 URL을 실행하면, 전체화면모듈로 전환시켜 스마트HMD모듈에 장착되어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를 표출시키고, 연주완료한 실감형 음악컨텐츠데이터를 컨텐츠 관리서버로 전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QR-CODE는 2차원 바코드로 정사각형의 공간에 정보를 셀(흑백 격자무늬)에 저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셀의 크기와 부호화방법에 따라 40개의 버전이 있으며, 버전 1이 증가할 때마다 가로, 세로 4셀 씩 증가한다. 각 위치검출패턴의 관계를 통해 방향을 인식할 수 있어 1차원 바코드처럼 방향을 맞출 필요가 없는 특성을 가진다.
QR코드는 인터넷 URL, Text, 연락처 등 문자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생성후, 인쇄하거나 화면에 나타내 사용하기 때문에 생산비용이 낮다.
본 발명에서는 QR코드이외에도 칼러코드, NFC태그를 통해 웹 브라우저(크롬)로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용 URL을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1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커매니저(110), 가상현실디스플레이제어부(120), 태그 라이브러리부(130), API연결부(140),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부(150), 스토리지(Storage)부(16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앵커매니저(1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앵커매니저(110)는 읽기(Read) 또는 쓰기(Write) 명령을 내려, 태그 라이브러리부를 호출시킨 후, 스마트디바이스의 카메라를 스캔하면 저장된 URL을 통해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를 다운로드받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는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 응용을 위한 자바스크립트를 포함한다.
즉, 사용자가 QR코드를 사용하기 위해 UI의 버튼을 누르면 앵커매니저가 호출된다.
이때 앵커매니저는 UI로부터 전달받은 ID를 통해 QR 라이브러를 호출한다.
QR 라이브러리는 쓰기(Write) 메소드의 경우, 문자열 데이터를 QR 데이터로 인코딩하여 비트맵 이미지로 변환시킨다.
읽기(Read)메소드는 카메라르 사용하여 QR코드를 스캔하고 QR데이터를 디코딩하여 QR 라이브러리로 전달시킨다.
QR 라이브러리는 앵커매니저를 통해 UI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앵커는 현장에 부착된 QR코드, NFC, 비콘 등 현장의 스마트디바이스와 근거리통신을 하는 매개체를 말한다.
또한 링크는 웹응용을 다른 스마트디바이스 또는 컨텐츠관리서버와 공유하기위한 주소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디바이스와 SNS망으로 연결된 앵커에 내장된 링크를 수신하여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을 통해 스마트디바이스의 내장 제어부 또는 컨텐츠관리서버의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 및 데이터를 불러올 수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디스플레이제어부(1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가상현실디스플레이제어부(120)는 앵커매니저를 통해서 다운로드받은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 및 데이터를 기반으로, 형성된 가상현실디스플레이화면을 스마트디바이스의 화면상에 표출시키다가, 립모션센서모듈로부터 현재 손가락모션센싱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기준 음악연주용 손가락모션센싱신호와 비교분석 후, 매칭되는 손가락 키입력신호를 불러와,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 및 가상공간이미지가 만들어낸 가상현실디스플레이화면상에 음악연주용 손가락 키입력위젯을 덧대어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는 HTML형식의 마이크로웹페이지로 제작되어 구성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태그 라이브러리부(1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태그 라이브러리부(130)는 앵커매니저의 호출명령에 구동되어, 인터페이스에 맞는 API연결부를 호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API연결부(1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API연결부(140)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응용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되어, 스마트 디바이스를 직접 제어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부(1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부(150)는 SNS망통신으로 정보를 송수신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앵커를 통해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를 획득한 사용자가 스마트 HMD 모듈에서 센싱된 실감형 음악연주데이터를 컨텐츠 관리서버로 전송시킬때 사용한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지(Storage)부(16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스토리지(Storage)부(160)는 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 및 데이터, 또는 현재 연주한 실감형 음악연주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 역할 및 전송을 위한 호스팅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스마트디바이스의 폴더 안에 카테고리에 따라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 및 데이터, 또는 현재 연주한 실감형 음악연주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HMD(Head Mounted Display) 모듈(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스마트 HMD(Head Mounted Display) 모듈(200)은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이 설치된 스마트디바이스를 장착한 후, 안경처럼 머리에 쓰면서 실감형 음악컨텐츠구동어플모듈에서 표출되는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를 대형화면으로 확장시킨 후, 사용자의 손가락모션을 통해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를 조작할 수 있도록 제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글안경프레임(210), 스마트디바이스결합부재(220), 접안렌즈(230), 배터리부(240), 관성센서(250), 외부접속연결컨넥터부(260), 립모션센서모듈(270)로 구성된다.
상기 고글안경프레임(21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체의 코, 귀, 머리에 부착되도록 이루어져,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신체의 머리에 부착되도록 밴드 및 벨크로테입이 형성된다.
상기 스마트디바이스결합부재(22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글안경프레임의 헤드 선단에 위치되어 외부로부터의 빛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이 설치된 스마트디바이스와 탈부착식으로 결합되어, 고글안경프레임의 헤드 선단에 슬라이드 결합된다.
이는 스마트디바이스와 동일한 사각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부공간에 스마트디바이스가 슬라이드 결합되어 끼움삽입되도록 안내레일홈이 형성되고, 선단부위에 복수개의 홀이 형성된다.
상기 접안렌즈(230)는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을 통해 활성화된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 및 가상공간이미지가 만들어낸 가상현실디스플레이화면을 시각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투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글라스, 투명필터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왼쪽눈과 오른쪽눈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2개로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부(240)는 고글안경프레임의 측면 일측에 위치되어, 각 기기에 전원을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리튬이온배터리가 팩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관성센서(250)는 고글안경프레임의 위치, 방향, 가속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부접속연결컨넥터부(260)는 외부의 주변기기와 접속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립모션센서모듈(270)은 고글안경프레임의 하단 일측에 위치되고,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이 설치된 스마트디바이스의 DC연결잭에 연결되어, 사용자 손가락 모션을 2개의 카메라 영상과 3개의 적외선을 통해 센싱하여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모듈(271),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부(272), 적외선 센싱부(273), 자이로센서부(274), 모션센서제어부(275)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센서모듈(271)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센서모듈(271)은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2개의 CCD 카메라부와, 3개의 적외선 센싱부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일측에 자이로센서부가 형성되며, 자이로센서부 일측에 모션센서제어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부(272)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부(272)는 센서모듈의 좌측 일측과우측일측에 위치되어, 렌즈를 통해 카메라 내부로 전달된 사용자 손가락 빛의 강약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손가락 이미지를 얻어내는 역할을 한다.
이는 렌즈, 촬상부, 이미지센서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렌즈는 사용자 손가락 모션을 투과시켜 촬상부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촬상부는 렌즈를 통과한 사용자 손가락 이미지를 촬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미지센서부는 촬상부에 촬상된 사용자 손가락 이미지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모션센서제어부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센싱부(273)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적외선 센싱부(273)는 CCD 카메라부 사이에 3개의 적외선 불빛 포인트가 일렬로 형성되어, 사용자 손가락 모션을 3개의 적외선 불빛 포인트를 통해 센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3개의 적외선센서로 구성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자이로센서부(274)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자이로센서부(274)는 적외선 센싱부 일측에 위치되어, 사용자 손가락 위치가 변하더라도, CCD 카메라부와 적외선 센싱부 각도를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모션센서제어부(275)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모션센서제어부(275)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부와, 적외선 센싱부가 연결되어, 사용자 손가락 움직임을 초당 300프레임 속도로 감지하도록 제어하면서, 모션트래킹데이터와 차영상 손가락이미지로 이루어진 사용자 손가락 모션센싱신호를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로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손바닥을 x값으로 설정하고, 손가락을 y값으로 설정하며, 관절을 z값으로 설정한 후, 손바닥, 손가락, 관절에 각각 아이디를 부여하여 손의 움직임을 트래킹시켜 모션트래킹 데이터를 생성시킨다.
여기서, 모션트래킹 데이터는 음악악기 및 기구에 따라, 드럼용 모션트래킹 데이터, 기타용 모션트래킹데이터, 전자식건반용 모션트래킹데이터, 바이올린용 모션트래킹데이터, 첼로용 모션트래킹데이터, 플롯용 모션트래킹데이터로 다양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한 현재 사용자 손가락 이미지를 미리 설정되어 저장한 기준 손가락 이미지와 비교하여 차영상 손가락이미지를 생성시킨다.
여기서, 차영상 손가락이미지는 음악악기 및 기구에 따라, 드럼용 차영상 손가락이미지, 기타용 차영상 손가락이미지, 전자식건반용 차영상 손가락이미지, 바이올린용 차영상 손가락이미지, 첼로용 차영상 손가락이미지, 플롯용 차영상 손가락이미지로 다양하게 형성된다.
이때, 생성된 모션트래킹데이터와 차영상 손가락이미지로 이루어진 사용자 손가락 모션센싱신호를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로로 전달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SNS 형성모듈(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SNS 형성모듈(300)은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를 사용하고자 하는 실감형 음악컨텐츠구동어플모듈을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망을 통해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그룹핑시켜 서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타임 워프(Time Warp)동기화엔진부(31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타임 워프(Time Warp)동기화엔진부(310)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현실디스플레이화면상에서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망을 통해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그룹핑시켜 서로 연결시킨 실감형 음악컨텐츠구동어플모듈을 아바타형태로 표출시킨 후, 컨텐츠관리서버에 백업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 및 데이터를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망을 통해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그룹핑시킨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 구동어플모듈쪽으로 빠르게 출력시키는 타임 워프(Time Warp) 동기화 방식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타임 워프 동기화엔진부가 구성됨으로서, 가상현실디스플레이화면상에서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망을 통해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그룹핑시켜 서로 연결시킨 실감형 음악컨텐츠구동어플모듈을 아바타형태로 표출시킬 수 있고, 가상현실디스플레이화면상에서 연주한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 및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관리서버(4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400)는 실감형 음악컨텐츠구동어플모듈쪽으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를 제공하면서,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에서 연주완료한 실감형 음악컨텐츠를 SNS 형성모듈에 공유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 형성제어부(410), 이벤트설정부(420), 수익금형성부(43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 형성제어부(4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 형성제어부(410)는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를 웹브라우저용 VR 프로그래밍으로 형성하여, 실감형 음악컨텐츠구동어플모듈쪽으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를 실시간 전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사촬영모드(411), 이미지편집모드(412), 3D 편집모드(413), WebGL 3D 오브젝트 제작모드(414), 립모션 콘트롤러 프로그래밍모드(415), 웹 브라우저 화면분할 프로그래밍모드(416), 웹 브라우저용 VR 프로그래밍모드(417)로 구성된다.
상기 실사촬영모드(411)는 현실의 장면을 360도 회전하는 디지털 카메라 장치로 같은 시간 안에 여러 각도로 동시에 촬영하여 실사 이미지를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미지편집모드(412)는 실사촬영모드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가상공간 6면체( 앞 뒤 좌 우 상 하 )에맞게 이미지 편집용툴을 이용해 가상의 공간에 틈이 없도록 편집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3D 편집모드(413)는 편집한 이미지를 가상 6면체(앞 뒤 좌 우 상 하) 공간에 배치시켜 3D 이미지를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WebGL 3D 오브젝트 제작모드(414)는 가상공간에 가상물체를 표준기반(HTML5)의 웹지엘(WebGL)형태의 음악연주용 가상물체(오프젝트)를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립모션 콘트롤러 프로그래밍모드(415)는 WebGL 3D 오브젝트 제작 모드에서 생성시킨 음악연주용 가상물체를, 립모션센서모듈의 사용자 손가락 모션에 맞게 상호인터랙브식으로 연동되어 조작되도록 프로그래밍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원의 일부분을 하나로 블럭화하여 알파벳, 숫자 중 하나로 설정시킨 후, 가상현실디스플레이화면상에서 사용자 손가락 모션에 의해 알파벳 또는 숫자를 누르면, 바로 음원의 일부분이 통째로 활성화되어 음원이 표출되는 음원원샷표출설정부(415a)가 포함되어 프로그래밍된다.
상기 웹 브라우저 화면분할 프로그래밍모드(416)는 화면 분할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Device Orientation Controls.js)를 이용해서 PC와 모바일 웹 브라우저에서 보이는 화면을 양쪽으로 분할하고 조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웹 브라우저용 VR 프로그래밍모드(417)는 웹 브라우저 웹킷 엔진 기반에서 스마트 HMD 모듈을 이용해서 가상공간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좌우 화면으로 나누어진 환경에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3D 이미지, 가상의 물체)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설정부(4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이벤트설정부(420)는 SNS망을 통해 순위별이벤트, 캐스팅이벤트를 수행시키는 역할을 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수익금형성부(4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수익금형성부(430)는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에서 연주완료한 실감형 음악컨텐츠를 SNS 형성모듈에 공유시킨 후, 음원판매를 통한 수익금을 해당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쪽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 생성·공유 방법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에서 특정위치에 위치한 QR-CODE를 카메라로 촬영한 후 웹 브라우저(크롬)로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용 URL을 실행시킨다(S100).
다음으로,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을 통해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용 URL에 포함된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 및 데이터를 전체화면모듈로 전환시킨다(S200).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 HMD(Head Mounted Display) 모듈에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이 설치된 스마트디바이스이 장착되면, 안경처럼 머리에 쓰면서 실감형 음악컨텐츠구동어플모듈에서 표출되는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를 대형화면으로 확장시킨 후, 사용자의 손가락모션을 통해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를 조작할 수 있도록 제어시킨다(S300).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SNS 형성모듈에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를 사용하고자 하는 실감형 음악컨텐츠구동어플모듈을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망을 통해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그룹핑시켜 서로 연결시킨다(S400).
끝으로, 컨텐츠 관리서버에서 실감형 음악컨텐츠구동어플모듈쪽으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를 제공하면서,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에서 연주완료한 실감형 음악컨텐츠를 SNS 형성모듈에 공유시킨다(S500).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는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를 웹브라우저용 VR 프로그래밍으로 형성하여, 실감형 음악컨텐츠구동어플모듈쪽으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를 실시간 전송시킨다.
즉, 실사촬영모드(411)에서 현실의 장면을 360도 회전하는 디지털 카메라 장치로 같은 시간 안에 여러 각도로 동시에 촬영하여 실사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어서, 이미지편집모드(412)를 통해 실사촬영모드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가상공간 6면체( 앞 뒤 좌 우 상 하 )에맞게 이미지 편집용툴을 이용해 가상의 공간에 틈이 없도록 편집한다.
이어서, 3D 편집모드(413)에서 편집한 이미지를 가상 6면체(앞 뒤 좌 우 상 하) 공간에 배치시켜 3D 이미지를 생성시킨다.
이어서, WebGL 3D 오브젝트 제작모드(414)에서 가상공간에 가상물체를 표준기반(HTML5)의 웹지엘(WebGL)형태의 음악연주용 가상물체(오프젝트)를 생성시킨다.
이어서, 립모션 콘트롤러 프로그래밍모드(415)를 통해 WebGL 3D 오브젝트 제작 모드에서 생성시킨 음악연주용 가상물체를, 립모션센서모듈의 사용자 손가락 모션에 맞게 상호인터랙브식으로 연동되어 조작되도록 프로그래밍시킨다.
이어서, 웹 브라우저 화면분할 프로그래밍모드(416)를 통해 화면 분할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Device Orientation Controls.js)를 이용해서 PC와 모바일 웹 브라우저에서 보이는 화면을 양쪽으로 분할하고 조작시킨다.
이어서, 웹 브라우저용 VR 프로그래밍모드(417)를 통해 웹 브라우저 웹킷 엔진 기반에서 스마트 HMD 모듈을 이용해서 가상공간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좌우 화면으로 나누어진 환경에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3D 이미지, 가상의 물체)를 작동시킨다.
1 : 실감형 음악 컨텐츠 생성·공유 장치
100 :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
200 : 스마트 HMD(Head Mounted Display) 모듈
300 : SNS 형성모듈
400 : 컨텐츠 관리서버

Claims (7)

  1. 특정위치에 위치한 QR-CODE를 카메라로 촬영한 후 웹 브라우저(크롬)로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용 URL을 실행하면, 전체화면모듈로 전환시켜 스마트HMD모듈에 장착되어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를 표출시키고, 연주완료한 실감형 음악컨텐츠데이터를 컨텐츠 관리서버로 전송시키는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100)과,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이 설치된 스마트디바이스를 장착한 후, 안경처럼 머리에 쓰면서 실감형 음악컨텐츠구동어플모듈에서 표출되는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를 대형화면으로 확장시킨 후, 사용자의 손가락모션을 통해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를 조작할 수 있도록 제어시키는 스마트 HMD(Head Mounted Display) 모듈(200)과,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를 사용하고자 하는 실감형 음악컨텐츠구동어플모듈을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망을 통해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그룹핑시켜 서로 연결시키는 SNS 형성모듈(300)과,
    실감형 음악컨텐츠구동어플모듈쪽으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를 제공하면서,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에서 연주완료한 실감형 음악컨텐츠를 SNS 형성모듈에 공유시키는 컨텐츠 관리서버(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 생성·공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100)은
    읽기(Read) 또는 쓰기(Write) 명령을 내려, 태그 라이브러리부를 호출시킨 후, 스마트디바이스의 카메라를 스캔하면 저장된 URL을 통해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를 다운로드받는 앵커매니저(110)와,
    앵커매니저를 통해서 다운로드받은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 및 데이터를 기반으로, 형성된 가상현실디스플레이화면을 스마트디바이스의 화면상에 표출시키다가, 립모션센서모듈로부터 현재 손가락모션센싱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기준 음악연주용 손가락모션센싱신호와 비교분석 후, 매칭되는 손가락 키입력신호를 불러와,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 및 가상공간이미지가 만들어낸 가상현실디스플레이화면상에 음악연주용 손가락 키입력위젯을 덧대어 생성시키는 가상현실디스플레이제어부(120)와,
    앵커매니저의 호출명령에 구동되어, 인터페이스에 맞는 API연결부를 호출시키는 태그 라이브러리부(130)와,
    스마트 디바이스의 응용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되어, 스마트 디바이스를 직접 제어시키는 API연결부(140)와,
    SNS망통신으로 정보를 송수신시키는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부(150)와,
    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 및 데이터, 또는 현재 연주한 실감형 음악연주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 역할 및 전송을 위한 호스팅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토리지(Storage)부(1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 생성·공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HMD(Head Mounted Display) 모듈(200)은
    신체의 코, 귀, 머리에 부착되도록 이루어진 고글안경프레임(210)과,
    고글안경프레임의 헤드 선단에 위치되어 외부로부터의 빛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이 설치된 스마트디바이스와 탈부착식으로 결합되어, 고글안경프레임의 헤드 선단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스마트디바이스결합부재(220)와,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을 통해 활성화된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 및 가상공간이미지가 만들어낸 가상현실디스플레이화면을 시각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투과시키는 접안렌즈(230)와,
    고글안경프레임의 측면 일측에 위치되어, 각 기기에 전원을 공급시키는 배터리부(240)와,
    고글안경프레임의 위치, 방향, 가속을 감지하는 관성센서(250)와,
    외부의 주변기기와 접속연결되는 외부접속연결컨넥터부(260)와,
    고글안경프레임의 하단 일측에 위치되고,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이 설치된 스마트디바이스의 DC연결잭에 연결되어, 사용자 손가락 모션을 2개의 카메라 영상과 3개의 적외선을 통해 센싱하여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로 전달시키는 립모션센서모듈(2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 생성·공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NS 형성모듈(300)은
    컨텐츠관리서버에 백업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 및 데이터를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 구동어플모듈쪽으로 빠르게 출력하여 타임 워프(Time Warp) 동기화 방식을 생성시키는 타임 워프(Time Warp)동기화엔진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 생성·공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400)는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를 웹브라우저용 VR 프로그래밍으로 형성하여, 실감형 음악컨텐츠구동어플모듈쪽으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를 실시간 전송시키는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 형성제어부(410)와,
    SNS망을 통해 순위별이벤트, 캐스팅이벤트를 수행시키는 이벤트설정부(420)와,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에서 연주완료한 실감형 음악컨텐츠를 SNS 형성모듈에 공유시킨 후, 음원판매를 통한 수익금을 해당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쪽으로 전달시키는 수익금형성부(4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 생성·공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 형성제어부(410)는
    현실의 장면을 360도 회전하는 디지털 카메라 장치로 같은 시간 안에 여러 각도로 동시에 촬영하여 실사 이미지를 획득하는 실사촬영모드(411)와,
    실사촬영모드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가상공간 6면체( 앞 뒤 좌 우 상 하 )에맞게 이미지 편집용툴을 이용해 가상의 공간에 틈이 없도록 편집하는 이미지편집모드(412)와,
    편집한 이미지를 가상 6면체(앞 뒤 좌 우 상 하) 공간에 배치시켜 3D 이미지를 생성시키는 3D 편집모드(413)와,
    가상공간에 가상물체를 표준기반(HTML5)의 웹지엘(WebGL)형태의 음악연주용 가상물체(오프젝트)를 생성시키는 WebGL 3D 오브젝트 제작모드(414)와,
    WebGL 3D 오브젝트 제작 모드에서 생성시킨 음악연주용 가상물체를, 립모션센서모듈의 사용자 손가락 모션에 맞게 상호인터랙브식으로 연동되어 조작되도록 프로그래밍시키는 립모션 콘트롤러 프로그래밍모드(415)와,
    화면 분할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Device Orientation Controls.js)를 이용해서 PC와 모바일 웹 브라우저에서 보이는 화면을 양쪽으로 분할하고 조작시키는 웹 브라우저 화면분할 프로그래밍모드(416)와,
    웹 브라우저 웹킷 엔진 기반에서 스마트 HMD 모듈을 이용해서 가상공간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좌우 화면으로 나누어진 환경에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3D 이미지, 가상의 물체)를 작동시키는 웹 브라우저용 VR 프로그래밍모드(41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 생성·공유 장치.
  7.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에서 특정위치에 위치한 QR-CODE를 카메라로 촬영한 후 웹 브라우저(크롬)로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용 URL을 실행시키는 단계(S100)와,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을 통해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용 URL에 포함된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 및 데이터를 전체화면모듈로 전환시키는 단계(S200)와,
    스마트 HMD(Head Mounted Display) 모듈에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이 설치된 스마트디바이스이 장착되면, 안경처럼 머리에 쓰면서 실감형 음악컨텐츠구동어플모듈에서 표출되는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를 대형화면으로 확장시킨 후, 사용자의 손가락모션을 통해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를 조작할 수 있도록 제어시키는 단계(S300)와,
    SNS 형성모듈에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를 사용하고자 하는 실감형 음악컨텐츠구동어플모듈을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망을 통해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그룹핑시켜 서로 연결시키는 단계(S400)와,
    컨텐츠 관리서버에서 실감형 음악컨텐츠구동어플모듈쪽으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를 제공하면서, 실감형 음악연주컨텐츠구동어플모듈에서 연주완료한 실감형 음악컨텐츠를 SNS 형성모듈에 공유시키는 단계(S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 생성·공유 방법.
KR1020170000862A 2017-01-03 2017-01-03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 생성·공유 장치 및 방법 KR201800800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862A KR20180080012A (ko) 2017-01-03 2017-01-03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 생성·공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862A KR20180080012A (ko) 2017-01-03 2017-01-03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 생성·공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012A true KR20180080012A (ko) 2018-07-11

Family

ID=62917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862A KR20180080012A (ko) 2017-01-03 2017-01-03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 생성·공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001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752B1 (ko) * 2019-12-30 2020-05-06 주식회사 엠쓰리솔루션 뇌 인지기능 강화를 위한 복수 그룹의 상호 작용 가능한 인터렉티브형 vr 시스템
KR102152761B1 (ko) * 2019-12-31 2020-09-07 주식회사 카이토리 Html5 웹 환경 기반 vr 및 ar 인터랙션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111747A (ko) * 2021-01-31 2022-08-10 그리다텍 주식회사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
WO2023200318A1 (ko) * 2022-04-15 2023-10-19 주식회사 네모즈랩 가상 공간 상에서 음악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4494A (ko) * 2013-07-02 2015-01-13 강주원 증강 현실 기반 소셜 미디어 플랫폼 시스템 및 컨텐츠 제공 방법
KR20150082702A (ko) * 2014-01-06 2015-07-16 박승환 클라우드 플랫폼 시스템 및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콘텐츠의 클라우드 마케팅을 제공하는 방법
KR20150110257A (ko) * 2014-03-21 2015-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가상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150140043A (ko) * 2014-06-05 2015-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의 증강 현실 정보 제공 방법
KR20160018436A (ko) * 2014-08-08 2016-02-17 그렉 반 쿠렌 가상 현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디션 게임 시스템
KR20160113592A (ko) * 2014-01-27 2016-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경형 단말기와 그 안경형 단말기의 제어방법
KR20160123017A (ko) * 2015-04-15 2016-10-25 김주희 모션센서를 이용한 모션정보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션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4494A (ko) * 2013-07-02 2015-01-13 강주원 증강 현실 기반 소셜 미디어 플랫폼 시스템 및 컨텐츠 제공 방법
KR20150082702A (ko) * 2014-01-06 2015-07-16 박승환 클라우드 플랫폼 시스템 및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콘텐츠의 클라우드 마케팅을 제공하는 방법
KR20160113592A (ko) * 2014-01-27 2016-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경형 단말기와 그 안경형 단말기의 제어방법
KR20150110257A (ko) * 2014-03-21 2015-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가상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150140043A (ko) * 2014-06-05 2015-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의 증강 현실 정보 제공 방법
KR20160018436A (ko) * 2014-08-08 2016-02-17 그렉 반 쿠렌 가상 현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디션 게임 시스템
KR20160123017A (ko) * 2015-04-15 2016-10-25 김주희 모션센서를 이용한 모션정보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션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752B1 (ko) * 2019-12-30 2020-05-06 주식회사 엠쓰리솔루션 뇌 인지기능 강화를 위한 복수 그룹의 상호 작용 가능한 인터렉티브형 vr 시스템
KR102152761B1 (ko) * 2019-12-31 2020-09-07 주식회사 카이토리 Html5 웹 환경 기반 vr 및 ar 인터랙션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111747A (ko) * 2021-01-31 2022-08-10 그리다텍 주식회사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
WO2023200318A1 (ko) * 2022-04-15 2023-10-19 주식회사 네모즈랩 가상 공간 상에서 음악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00909B (zh) 用于显示交互式增强现实展示的系统、方法和介质
Santi et al. Augmented reality in industry 4.0 and future innovation programs
US20170103440A1 (en) Wearable augmented reality eyeglass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mobile phone and mobile computing via virtual touch screen gesture control and neuron command
US9165381B2 (en) Augmented books in a mixed reality environment
WO2022022036A1 (zh) 一种展示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计算机程序
CN110402415A (zh) 记录增强现实数据的技术
CN104536579A (zh) 交互式三维实景与数字图像高速融合处理系统及处理方法
KR20180080012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 생성·공유 장치 및 방법
JP6683864B1 (ja) コンテンツ制御システム、コンテンツ制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制御プログラム
KR20200008706A (ko)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제작 방법
CN112071130A (zh) 基于vr技术的知识教育系统及教育方法
WO2018122709A1 (en) Wearable augmented reality eyeglass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mobile phone and mobile computing via virtual touch screen gesture control and neuron command
JP6022709B1 (ja) プログラム、記録媒体、コンテンツ提供装置及び制御方法
US11961190B2 (en) Content distribution system, content distribution method, and content distribution program
JP6609078B1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
KR102176805B1 (ko) 뷰 방향이 표시되는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203607077U (zh) 虚拟旅行机
JP2023140922A (ja) 表示端末、情報処理システム、通信システム、表示方法、情報処理方法、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097854A (ja) プログラム、記録媒体、コンテンツ提供装置及び制御方法
CN111338463A (zh) 一种沉浸式媒体传感交互展示系统及其方法
US20230334791A1 (en) Interactive reality computing experience using multi-layer projections to create an illusion of depth
US20230334790A1 (en) Interactive reality computing experience using optical lenticular multi-perspective simulation
US20230334792A1 (en) Interactive reality computing experience using optical lenticular multi-perspective simulation
JP2021006886A (ja) コンテンツ制御システム、コンテンツ制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制御プログラム
JP7344084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