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084A - Apparatus and Controller for remote controlling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Controller for remote controll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084A
KR20180079084A KR1020160184465A KR20160184465A KR20180079084A KR 20180079084 A KR20180079084 A KR 20180079084A KR 1020160184465 A KR1020160184465 A KR 1020160184465A KR 20160184465 A KR20160184465 A KR 20160184465A KR 20180079084 A KR20180079084 A KR 20180079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nsor
radio remote
remote contro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44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21873B1 (en
Inventor
최훈
김은진
김진현
진효남
김상훈
탁흥진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84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873B1/en
Publication of KR20180079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0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8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16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operator's input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B64C2201/127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5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mobile data collecting device, e.g. walk by or drive b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udio Devices (AREA)
  • Toy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andle-type wireless controller capable of solving the difficulty of a user in operation compris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moving direction and a speed of a moving object having a photographing device whose photographing direction is adjusted by a head mounted type wireless controller; a first sensor unit detect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ntroller; and a first control unit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based on a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Description

이동체와 이를 무선 조종하는 무선조종기{Apparatus and Controller for remote controlling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ing body and a radio remote controller,

본 발명은 라디오 컨트롤 자동차나 드론 등과 같은 이동체와 이를 무선으로 조종할 수 있는 무선조종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body such as a radio control car, a drone or the like, and a radio control unit capable of wirelessly controlling the mobile body.

현재 쿼드콥터, 라디오 컨트롤 자동차 등의 다양한 무인기가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으며 그에 따른 무인기 시장이 커지고 있으며, 현재 라디오 컨트롤 관련 세계시장 규모는 약 500억 달러로 예상된다. 조종하는 대상체도 중요하지만 조종기 또한 중요한 역할을 가지고 있다. 무인기의 시장이 성장하면서 무인기와 관련된 다양한 스포츠 문화 및 여가생활을 즐기는 사람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Currently, various UAVs such as quadcopter and radio control automobile are attracting worldwide attention, and the market for UAV is increasing, and the world market for radio control is expected to be about 50 billion dollars. The manipulator is important, but the manipulator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As the market for UAV is growing, people are enjoying various sports culture and leisure related to UAV.

이와 관련한 종래의 기술로 한국특허공개공보(공개번호: 10-2012-0065545)에 따른 무선조종 비행체용 무선조종기는 비행체를 원격으로 조종할 수 있는 조종기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동체의 이동 방향에 대응한 영역을 촬영하여 조종기에 마련된 디스플레이장치로 영상을 전송하므로 이동체 상에서의 시야 확보에 제한이 있고, 조종기가 복잡한 형상 및 다수의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져 조작의 어려움이 있다.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 radio control device for a radio-controlled aircraft according to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65545 discloses a remote control device capable of remote control of a flying object. However, Since the image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provided in the controller, there is a limitation in ensuring the field of view on the moving object, and the controller is formed of a complex shape and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이처럼 종래의 기술은 다양한 기능을 갖는 무선 조종기를 처음 접하는 대부분의 사용자가 조작에 어려움을 겪게 되며 사용 설명서의 정확한 숙지와 더불어 조종방법을 배우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한계를 가진다. 아울러 조종방법을 충분히 배운 후에도 사용 중 실수로 인하여 원격 조종 대상의 방향 전환 및 속도 조절의 실패와 갑작스러운 위급 상황에 대한 신속하고 적절한 대처에 어려움이 있다.As described above, most of the users who are new to the radio controller having various functions have difficulty in operating the 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pend a lot of time and effort in learning the maneuvering method together with the accurate knowledge of the manual. Also, even after learning the control method,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direction and speed control of the remote control object due to a mistake during use and to cope with sudden emergency situation quickly and properly.

한국특허공개공보(공개번호: 10-2012-0065545)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65545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무선조종기를 처음 접하는 사용자가 겪는 조작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직감적인 무선조종기와 무선조종기로 무선 조종되는 이동체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intuitive radio controller and a mobile robot controlled by a radio controller that can solve the difficulty of a user who is new to the radio controller having various functions for the first time.

또한 이동체의 방향 전환 및 속도 조절의 실패와 급작스런 상황에서 신속하고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직감적인 무선조종기와 무선조종기로 무선 조종되는 이동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bile body which is radio controlled by an intuitive radio controller and a radio controller, which induce a quick and proper response in case of sudden change of direction and speed control of the mobile bod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타입의 무선 조종기는, 헤드 장착 타입의 무선조종기로 촬영 방향이 조절되는 촬영 장치를 구비한 이동체의 이동 방향 및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1 통신부; 자신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조종기를 제공할 수 있다.A steering wheel type wireless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moving direction and a speed of a moving body having a photographing device whose photographing direction is adjusted by a head mounted wireless controller; A first sensor unit for detecting its own position information; And a first controller for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들 타입의 무선 조종기의 상기 제1 센서부는 제1 자이로센서 및 제1 가속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종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Also, the first sensor unit of the handle-type radio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gyro sensor and a first acceleration sensor.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들 타입의 무선조종기는 상기 제1 통신부, 상기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체의 이동 방향이 제어되고, 상기 본체부의 회전 각도에 비례하여 상기 이동체의 속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종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The steering wheel type radio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ain body including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first control uni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body is controlled and the speed of the moving body is controlled in proportion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main body.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들 타입의 무선조종기는 상기 본체부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 핸들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 측으로부터 연장된 제2 핸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핸들부는 상기 본체부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종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andle-type radio remote controller comprising: a first handle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handle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ortions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들 타입의 무선조종기의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본체부의 초기 위치 상태에서 상기 제1 센서부로부터의 각속도 및 가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피치(Pitch) 각도를 상기 본체부의 기준점으로 하는 기준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종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Further, the first controller of the handle-type radio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alculate the pitch angle calculated based on the angular velocity and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sensor unit i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main body unit, And the reference value is set to a reference value as a reference point of the main body uni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 장착 타입의 무선조종기는 핸들 타입의 무선조종기로 이동 방향 및 속도가 조절되는 이동체에 설치된 촬영 장치의 촬영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2 통신부; 자신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는 무선조종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ead-mounted type wireless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photographing direction of a photographing apparatus installed on a mobile body, ; A second sensor unit for detecting its own position information; And a second control unit for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cond sensor unit, and may also provide a radio controller mounted on the head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 장착 타입의 무선조종기는 상기 촬영 장치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더 포함하는 무선조종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of the head mounted ty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device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photograph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 장착 타입의 무선조종기의 상기 제2 센서부는, 제2 자이로센서, 제2 가속도센서 및 지자기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종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Further, the second sensor unit of the head mounted wireless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cond gyro sensor, a second acceleration sensor, and a geomagnetic sensor.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 장착 타입의 무선조종기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촬영 장치의 촬영 영역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종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of the head mounted ty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hange the shooting area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user's hea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 장착 타입의 무선조종기는 초기 위치 상태에서 상기 제2 자이로센서, 상기 제2 가속도센서 및 상기 지자기센서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산출된 요(Yaw) 각도를 자신의 기준점으로 하는 기준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종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of the head mounted ty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yaw angle calculate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s from the second gyro sensor, the second acceleration sensor, Is set as a reference value having its own reference poin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동체의 속도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핸들 타입 무선 조종기와 이동체 상의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헤드 장착 타입의 무선 조종기를 이용하여 이동체를 직감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intuitively control the moving object by using a handle-type wireless manipulator capable of adjusting the speed and direction of the moving object and a head-mounted wireless manipulator capable of adjusting the shooting direction of the camera on the moving objec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동체의 시선에서 시야를 확보함으로써 증강현실 기반의 더욱 실감나고 재미있는 무선 조종이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realize more realistic and interesting radio control based on an augmented reality by securing the field of view of the moving objec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동체의 정밀한 조정이 가능한 무선 조종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radio control device capable of precisely adjusting a moving objec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영상을 사용자가 받아 봄으로써 이동체의 측면의 사야 확보가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receive an image transmitted in real time, thereby securing the side view of the moving object.

또한 이동체가 사용자의 시야에서 사라진 상황에서도 조종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It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teer in the situation where the mobile object disappears from the user's field of vision.

또한 이동체 상의 촬영 장치의 직감적인 방향 조절이 가능하여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Further,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adjust the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on the moving body, thereby ensuring the field of view.

도 1은 핸들 타입의 무선 조종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헤드 장착 타입의 무선 조종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이동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핸들 타입의 무선조종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핸들 타입의 무선조종기의 정면도이다.
도 6은 핸들 타입의 무선조종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핸들 타입의 무선조종기의 배면도이다.
도 8은 핸들 타입의 무선 조종기의 각도 변경을 통한 이동체의 방향 및 속도 조절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핸들 타입의 무선 조종기의 각도 변경에 따른 이동체의 이동 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헤드 장착 타입의 무선조종기의 각도 변경을 통한 이동체 상의 촬영 장치의 촬영 방향을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헤드 장착의 무선조종기 상의 촬영 장치의 각도 변경에 따른 촬영 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상보필터의 블록선도이다.
도 13은 G1의 극점과 영점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G2의 극점과 영점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는 G1의 보데선도이다.
도 16은 G2의 보데선도이다.
도 17은 핸들 타입의 무선조종기를 이용한 이동체의 무선 조종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8은 헤드 장착 타입의 무선조종기를 이용한 이동체의 무선 조종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9는 무선조종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한 이동체 구동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teering wheel type radio control device.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ead mounted radio controller.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ving body.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ring wheel type radio remote controller.
5 is a front view of a handle-type radio remote control.
6 is a side view of a handle-type radio remote controller.
7 is a rear view of a handle-type radio remote controller.
8 shows a method of adjusting a direction and a speed of a moving body by changing the angle of a steering wheel type radio control unit.
Fig.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body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angle of the steering wheel type radio control unit.
10 shows a method of adjusting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on the moving body by changing the angle of the head mounted type radio controller.
11 schematically shows the photographing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angle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on the head mounted radio control device.
12 is a block diagram of the complementary filter.
13 is a graph showing the pole and zero of G1.
14 is a graph showing the pole and zero of G2.
15 is a Bode diagram of G1.
16 is a Bode diagram of G2.
17 is a flowchart of a radio control method of a mobile body using a handle-type radio controller.
18 is a flowchart of a radio control method of a moving body using a head mounted type radio controller.
19 is a flowchart of a moving body driving method based on data received from a radio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terms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not the limitative meaning. Also,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the terms include, including, etc. mean that there is a feature, or element, recited in the specification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may be added. Also,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도 1은 핸들 타입의 무선 조종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헤드 장착 타입의 무선 조종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이동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teering wheel type radio-controlled device,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ead-mounted type radio-controlled device.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oving body.

도 1 내지 도 3은 블록들이 선으로 구분되어 있지만, 이는 각 구성의 명확함을 위한 것으로 실제로는 구성 요소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을 수 있고, 복수의 장치가 하나의 장치로 표현 또는 서로 독립된 구성으로 표현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1 to 3, the blocks are divided into lines, but this is for clarity of each configuration. Actually, the division of the components may not be clearly defined, and a plurality of devices may be represented as one device or as a configuration independent of each oth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동체는 라디오 컨트롤러 자동차를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드론과 같은 공중 이동체가 될 수도 있다.Further,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body is not limited to a radio controller automobile but may be a public moving body such as a drone.

- 핸들 타입의 무선 조종기 - Handle type radio remote control

도 1을 참조하면, 핸들 타입의 무선 조종기(100)는 제1 메인장치(101)와 제1 전원장치(10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handle-type radio remote controller 100 may include a first main device 101 and a first power device 102.

제1 메인장치(101)는 제1 측정부(110), 제1 제어부(120), 조종기 출력부(130) 그리고 제1 통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ain unit 101 may include a first measurement unit 110, a first control unit 120, a manipulator output unit 130, and a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제1 측정부(110)는 스위치유닛(111), 제1 센서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easuring unit 110 may include a switch unit 111 and a first sensor unit 112.

센서부(112)는 제1 자이로센서(1121)와 제1 가속도센서(11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12 may include a first gyro sensor 1121 and a first acceleration sensor 1122.

또한 제1 자이로센서(1121)와 제1 가속도센서(1122) 각각은 3축 센서가 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gyro sensor 1121 and the first acceleration sensor 1122 may be a three-axis sensor.

제1 제어부(120)는 제1 메인보드(121)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120 may include a first main board 121.

조종기 출력부(130)는 조종기 광원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nipulator output unit 130 may include a manipulator light source unit 131.

제1 통신부(140)는 제1 무선 통신 모듈(141)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may include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1.

제1 전원장치(102)는 제1 배터리부(150), 제1 보호회로(160), 제1 승압회로(170) 및 제1 레귤레이터(18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ower supply unit 102 may include a first battery unit 150, a first protection circuit 160, a first boost circuit 170, and a first regulator 180.

또한 스위치유닛(111) 및 제1 센서부(112) 각각은 제1 메인보드(121)와 I2C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Also, each of the switch unit 111 and the first sensor unit 112 may transmit data through the I 2 C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main board 121,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제1 메인보드(121)는 제1 무선 통신 모듈(141)과 SPI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lso, the first main board 121 can transmit data through the SPI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제1 승압회로(170)는 제1 메인보드(121)에 전원을 제공하고, 제1 레귤레이터(180)는 제1 무선 통신 모듈(141)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booster circuit 170 may provide power to the first main board 121 and the first regulator 180 may provide power to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1.

- 헤드(사용자의 머리) 장착 타입의 무선 조종기 - Head (user's head) mounted radio control

헤드 장착 타입의 무선 조종기(200)는 제2 메인장치(201), 제2 전원장치(20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헤드 장착 타입의 무선 조종기(200) 상에는 표시장치(203)가 탈 부착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head mounted wireless remote control 200 may include a second main unit 201 and a second power supply unit 202. Also, the display device 203 can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head mounted radio control device 200.

제2 메인장치(201)는 제2 측정부(210), 제2 제어부(220), 제2 통신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main unit 201 may include a second measurement unit 210, a second control unit 220,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40.

제2 측정부(210)는 제2 센서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measuring unit 210 may include a second sensor unit 212.

제2 센서부(212)는 제2 자이로센서(2121), 제2 가속도센서(2122) 및 지자기센서(21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ensor unit 212 may include a second gyro sensor 2121, a second acceleration sensor 2122, and a geomagnetic sensor 2123.

또한 제2 자이로센서(2121), 제2 가속도센서(2122) 및 지자기센서(2123) 각각은 3축 센서가 될 수 있다.Each of the second gyro sensor 2121, the second acceleration sensor 2122, and the geomagnetic sensor 2123 may be a three-axis sensor.

제2 제어부(220)는 제2 메인보드(221)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ler 220 may include a second main board 221.

제2 통신부(240)는 제2 무선 통신 모듈(241)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40 may include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41.

제2 전원장치(202)는 제2 배터리부(250), 제2 보호회로(260), 제2 승압회로(270) 및 제2 레귤레이터(28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02 may include a second battery unit 250, a second protection circuit 260, a second boost circuit 270, and a second regulator 280.

또한 제2 센서부(212)는 제2 메인보드(221)와 I2C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제2 메인보드(221)는 제2 무선 통신 모듈(241)과 SPI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lso, the second sensor unit 212 can transmit data through the I 2 C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main board 221, and the second main board 221 can transmit data wit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41 through the SPI communication. But is not limited to, transmission.

또한 제2 승압회로(270)는 제2 메인보드(221)에 전원을 제공하고, 제2 레귤레이터(280)는 제2 무선 통신 모듈(241)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The second booster circuit 270 may provide power to the second main board 221 and the second regulator 280 may provide power to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41.

- 이동체 - Mobile

도 3을 참조하면, 이동체(300)는 제3 메인장치(301), 제3 전원장치(302) 및 촬영장치(30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mobile device 300 may include a third main device 301, a third power source device 302, and a photographing device 304.

제3 메인장치(301)는 제3 제어부(320), 이동체 출력부(330) 그리고 제3 통신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main device 301 may include a third control unit 320, a moving object output unit 330, and a third communication unit 340.

제3 제어부(320)는 제3 메인보드(321) 및 모터 드라이버(3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controller 320 may include a third main board 321 and a motor driver 322.

모터 드라이버(322)는 출력되는 역기전력으로부터 다른 장치들을 보호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호 다이오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터 드라이버(322)는 모터를 정방향과 역방향 및 RPM을 조절하기 위해 2개의 하프-브릿지(H-Bridge) 회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motor driver 322 may include at least one protection diode for protecting other devices from the output counter electromotive force. Also, the motor driver 322 preferably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two H-Bridge circuits to regulate the motor in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nd RPM.

제3 메인보드(321)는 제1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3211) 및 제2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32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main board 321 may include a first microcontroller unit 3211 and a second microcontroller unit 3212.

이동체 출력부(330)는 이동체 광원부(331), 제1 모터(332), 제2 모터(333)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body output unit 330 may include a moving body light source unit 331, a first motor 332, and a second motor 333.

이동체 광원부(331)는 이동체(300)가 위치 변경할 때 발광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광원부(331)는 이동체(300)의 이동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방향 표시 광원과, 이동체(100)가 이동하는 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고휘도의 전방 시야 광원을 포함할 수 있고, 광원부(331)의 조도는 핸들 타입의 무선조종기(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The moving body light source unit 331 can emit light when the mobile body 300 is changed in position, and can includ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The light source unit 331 may include a direction display light source for displaying a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object 300 and a high luminance front view light source for ensuring a field of view forward of the moving object 100. The light source unit 331 Can be controlled by the steering wheel-type radio remote controller 100. [0064]

제1 모터(332)는 이동체(300)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DC 모터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motor 332 may be a DC motor to move the position of the moving body 3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2 모터(333)는 촬영장치(304)의 위치를 조절하여 촬영장치(304)의 촬영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모터(333)는 촬영장치(304)의 롤(Roll) 축과 피치(Pitch)축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서보 모터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 motor 333 can control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304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304. [ The second motor 333 may be a servo motor for rotating the roll axis and the pitch axis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304,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제1 및 제2 모터(332, 333)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motors 332 and 333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제3 통신부(340)는 제3 통신 모듈(341)을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communication unit 340 may include a third communication module 341.

제3 전원장치(302)는 제3 배터리부(350), 제3 보호회로(360), 제3-1 레귤레이터(381) 및 제3-2 레귤레이터(382)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power supply unit 302 may include a third battery unit 350, a third protection circuit 360, a third-first regulator 381, and a third-second regulator 382.

또한 제3 무선 통신 모듈(341)은 제2 마이크로컨트롤러(3212)와 SPI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제2 마이크로컨트롤러(3212)는 제1 마이크로컨트롤러(3211)와 UART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lso, the thir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41 can transmit data through the SPI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microcontroller 3212, and the second microcontroller 3212 can transmit data through the UART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microcontroller 3211 But is not limited to, transmission.

또한 제3 보호회로(360)는 제1 모터(332)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고, 제3-1 레귤레이터(381)는 제2 모터(333) 및 제3 메인보드(321)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3-2 레귤레이터(382)는 제3 무선 통신 모듈(341)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The third protection circuit 360 can supply power to the first motor 332 and the third-first regulator 381 supplies power to the second motor 333 and the third main board 321 And the third-second regulator 382 can provide power to the thir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41.

또한 촬영장치(304)의 촬영 영상은 헤드 장착 타입의 무선조종기(200)로 전송되어 표시장치(203)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Also,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304 can be transmitted to the head mounted type wireless remote controller 200 and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apparatus 203. [

또한 제1 내지 제3 무선 통신 모듈(141, 241, 341)은 6개의 채널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2.4GHz의 고주파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건물이나 나무 등의 장애물 극복에 뛰어나며 통신거리도 길게 확장시킬 수 있다. 다만, 신호의 주파수를 전술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lso, the first to thir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141, 241, and 341 may provide six channel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using a 2.4 GHz high frequency signal. Therefore, it is excellent in overcoming obstacles such as buildings and trees, and can extend the communication distance long. However, the frequency of the signal is not limited to the above.

핸들 타입의 무선조종기(100)는 이동체(300)의 속도 및 방향을 조종할 수 있고, 헤드 장착 타입의 무선조종기(200)는 이동체(300)의 촬영장치(304)를 사용자의 시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조종할 수 있다.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100 of the handle type can control the speed and direction of the mobile 300 and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200 of the head mounted type can control the photographing device 304 of the mobile 300 in the same direction .

< 핸들 타입의 <Handle type 무선조종기Radio remote control >>

도 4는 핸들 타입의 무선조종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핸들 타입의 무선조종기의 정면도이고, 도 6은 핸들 타입의 무선조종기의 측면도이며, 도 7은 핸들 타입의 무선조종기의 배면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ndle-type radio remote controller, FIG. 5 is a front view of a handle-type radio transmitter, FIG. 6 is a side view of a handle-type radio transmitter, and FIG.

도면 4 내지 도 7에서의 X축은 사용자가 왼손으로 제1 핸들부(191)를 잡고, 오른손으로 제2 핸들부(192)를 잡은 상태에서 양손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축이고, Y축은 사용자와 본체부(190)를 서로 직선으로 연결하는 축이고, Z축은 본체부(190)와 지면을 서로 직선으로 연결하는 축으로 정의한다. 또한 X축과 Y축의 교점을 중심으로 제1 핸들부(191) 쪽의 방향은 음의 X축이고, 제2 핸들부(192) 쪽의 방향은 양의 X축이다. 그리고 사용자를 향하는 쪽은 양의 Y축이고,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은 음의 Y축이다. 또한 Z축과 Y축 또는 X축의 교점을 중심으로 하부 방향은 양의 Z축이고, 상부 방향은 음의 Z축으로 정의한다.4 to 7, the X axis is a shaft that the user holds the first handle portion 191 with the left hand and the second handle portion 192 with the right hand, and the Y axis connects the both hands in a straight line, And the Z axis is defined as an axis connecting the main body 190 and the paper surface in a straight line. The direction of the first handle portion 191 is the negative X-axis and the direction of the second handle portion 192 is the positive X-axis about the intersection of the X-axis and the Y-axis. The direction toward the user is the positive Y axis, and the direction away from the user is the negative Y axis. The lower direction is defined as a positive Z axis and the upper direction is defined as a negative Z axis with respect to the intersection of the Z axis and the Y axis or the X axis.

도 4를 참조하면, 핸들 타입의 무선조종기(100)는 본체부(190)와 제1 및 제2 핸들부(191, 192)를 포함할 수 있다.4, the handle-type radio remote controller 100 may include a body portion 190 and first and second handle portions 191 and 192.

본체부(190)는 사각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사용자가 바라보는 본체부(190)의 전면에는 설치된 조종기 광원부(131) 및 스위치유닛(111)이 노출되어 시인될 수 있다.The body portion 190 may have a rectangular box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lso, the manipulator light source unit 131 and the switch unit 111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unit 190 viewed by the user can be exposed and viewed.

제1 핸들부(191)는 본체부(190)의 좌측면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사용자의 왼손으로 그립할 수 있는 형태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핸들부(192)는 본체부(190)의 우측면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사용자의 오른손으로 그립할 수 있는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handle portion 191 may extend from the upper region of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90 so as to be gripped by the left hand of the user and the second handle portion 192 may extend from the right side surface In a form that allows gripping with the user &apos; s right hand from the upper region of the handle.

제1 핸들부(191)는 제1-1 연장부(1911), 제1-2 연장부(1912), 제1-3 연장부(19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handle portion 191 may include a first-first extended portion 1911, a first-second extended portion 1912, and a first-third extended portion 1913.

제1-1 연장부(1911)는 본체부(190)의 좌측면으로부터 음의 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음의 X축과 음의 Z축 및 양의 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전체적으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즉, 음의 X축의 절대값이 커지는 방향으로 연장시 음의 Z축의 절대값이 커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양의 Y축 값이 커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1-1 extending portion 1911 may extend in the negative X-axis direction from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90. More specifically, it can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negative X-axis and the negative Z-axis and the positive Y-axis, and can have a generally curved shape (i.e., a negative Z when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X- Axis direction can be extend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sitive Y-axis value increases while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bsolute value of the axis increases.

또한 제1-2 연장부(1912)는 제1-1 연장부(1911)의 끝단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양의 Z축과 양의 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전체적으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즉, 양의 Z축의 값이 커지는 방향으로 연장시 양의 Y축의 값이 커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Further, the 1-2 extending portion 1912 may extend in the Z-axis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1-1 extending portion 1911. More specifically, it can extend in the positive Z-axis direction and the positive Y-axis direction, and can have a generally curved shape (i.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alue of the positive Y-axis increases when the positive Z- Lt; / RTI &gt;

또한 제1-3 연장부(1913)는 제1-2 연장부(1912)의 끝단으로부터 음의 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음의 Y축과 양의 Z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전체적으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즉, 음의 Y축의 절대값이 커지는 방향으로 연장시 양의 Z축의 값이 커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Further, the first-third extending portion 1913 may extend in the negative Y-axis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first-second extending portion 1912. (I.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value of the positive Z-axis increases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Y-axis is increa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Y-axis is increased) Lt; / RTI &gt;

또한 제1-1 연장부(1911)의 길이는 제1-2 연장부(1912)의 길이와 크게 다르지 않으나 제1-3 연장부(1913)의 길이는 제1-1 연장부(1911)의 길이 또는 제1-2 연장부(1912)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The length of the first 1-1 extended portion 1911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1-2 extended portion 1912, Or the length of the 1-2 extending portion 1912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또한 제2 핸들부(192)는 제2-1 연장부(1921), 제2-2 연장부(1922) 및 제2-3 연장부(19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handle portion 192 may include a second-first extension portion 1921, a second-second extension portion 1922, and a second-third extension portion 1923.

제2-1 연장부(1921)는 본체부(290)의 좌측면으로부터 양의 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양의 X축과 음의 Z축 및 양의 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전체적으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즉, 양의 X축 값이 커지는 방향으로 연장시 음의 Z축의 절대값이 커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양의 Y축 값이 커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2-1 extended portion 1921 may extend in the positive X-axis direction from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90. More specifically, it can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positive X-axis and the negative Z-axis and the positive Y-axis, and can have a generally curved shape (i.e., when the positive X- Axis direction can be extend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sitive Y-axis value increases while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bsolute value increases.

또한 제2-2 연장부(1922)는 제2-1 연장부(1921)의 끝단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양의 Z축과 양의 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전체적으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즉, 양의 Z축의 값이 커지는 방향으로 연장시 양의 Y축의 값이 커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Further, the 2-2 extended portion 1922 may extend in the Z-axis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2-1 extended portion 1921. More specifically, it can extend in the positive Z-axis direction and the positive Y-axis direction, and can have a generally curved shape (i.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alue of the positive Y-axis increases when the positive Z- Lt; / RTI &gt;

또한 제2-3 연장부(1923)는 제2-2 연장부(1922)의 끝단으로부터 음의 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음의 Y축과 양의 Z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전체적으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즉, 음의 Y축의 절대값이 커지는 방향으로 연장시 양의 Z축의 값이 커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second to third extension portion 1923 may extend from the end of the second-second extension portion 1922 in the negative Y-axis direction. (I.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value of the positive Z-axis increases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Y-axis is increa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Y-axis is increased) Lt; / RTI &gt;

또한 제2-1 연장부(1921)의 길이는 제2-2 연장부(1922)의 길이와 크게 다르지 않으나 제2-3 연장부(1913)의 길이는 제2-1 연장부(1921)의 길이 또는 제2-2 연장부(1922)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The length of the second-1 extension 1921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ond-second extension 1922, but the length of the second-third extension 1913 is longer than that of the second- Or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second extension portion 1922.

또한 제1 핸들부(191)와 제2 핸들부(192)는 본체부(19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1 연장부(1921)는 본체부(190)를 중심으로 제1-1 연장부(1911)와 대칭 형상을 가지고, 제2-2 연장부(1922)는 본체부(190)를 중심으로 제1-2 연장부(1912)와 대칭 형상을 가지고, 제2-3 연장부(1923)는 본체부(190)를 중심으로 제1-3 연장부(1913)와 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handle portion 191 and the second handle portion 192 may have a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190. Accordingly, the second-1 extension 1921 has a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first-first extended portion 1911 around the main body 190, and the second-second extended portion 1922 has the main body 190 And the second to third extension portion 1923 has a symmetrical shape with the first to third extension portions 1913 around the main body portion 190, hav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타입의 무선 조종기(100)는 그립감이 우수한 핸들 형태로 구성되고, 핸들의 조작 방식과 동일한 원리로 이동체(300)를 직관적으로 조종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andle-type radio remote controll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a handle having a superior grip feeling, and the mobile device 300 can be manipulated intuitively on the same principle as that of the handle.

또한 본체부(19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하는 제1 및 제2 핸들부(191, 192)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핸들 타입의 무선 조종기(100)를 잡았을 때 무게 중심이 사용자의 양 팔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여 조종기 거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준점 설정이 쉽고 직관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first and second handle portions 191 and 192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90 are provided so that when the user holds the steering wheel type radio remote controller 100,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manipulator can be improved and the reference point can be set easily and intuitively.

<핸들 타입의 무선 <Handle type wireless 조종기를A manipulator 이용한 이동체 방향 및 속도 제어> Direction and Speed Control of Moving Object Using>

도 8은 핸들 타입의 무선 조종기의 각도 변경을 통한 이동체의 방향 및 속도 조절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9는 핸들 타입의 무선 조종기의 각도 변경에 따른 이동체의 이동 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8 shows a method of adjusting a direction and a speed of a moving body by changing the angle of a steering wheel type radio control unit. And FIG. 9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object according to a change in angle of the steering wheel-type radio control unit.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핸들 타입의 무선 조종기(100)는 본체부(190)를 중심으로 하여 다양한 방향과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8 and 9, the handle-type radio remote controller 100 can rotate in various directions and angles around the main body 190.

예를 들어 핸들 타입의 무선 조종기(100)가 전방향(F)으로 회전하면 이동체(300)는 전진할 수 있고, 후방향(B)으로 회전하면 이동체(300)는 후진할 수 있고, 좌측방향(L)으로 회전하면 이동체(300)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우측방향(R)으로 회전하면 이동체(300)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등 도면에 표시된 다양한 방향으로의 핸들 타입의 무선 조종기(100)의 각도 회전에 대응하여 이동체(300)는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핸들 타입의 무선 조종기(100)의 회전각도에 비례하여 이동체(300)의 이동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handle-type radio remote controller 100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F, the mobile unit 300 can advance, and when the radio unit 100 rotates in the backward direction B, the mobile unit 300 can move backward, The movable body 300 can be moved in the left direction by rotating the movable body 300 in the right direction R and the movable body 300 can be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by rotating in the right direction R, The mobile unit 300 can move in response to the angular rotation of the mobile unit 100. Also, the moving speed of the mobile unit 300 can be adjusted in proportion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steering wheel-type wireless remote controller 100.

<헤드 장착 타입의 <Head mounted type 무선조종기를Radio remote control 이용한 촬영 영역 제어> Control of shooting area using>

도 10은 헤드 장착 타입의 무선조종기의 각도 변경을 통한 이동체 상의 촬영 장치의 촬영 방향을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11은 헤드 장착 의 무선조종기 상의 촬영 장치의 각도 변경에 따른 촬영 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10 shows a method of adjusting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on the moving body by changing the angle of the head mounted type radio controller. And Fig. 11 schematically shows the photograph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angle change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on the head mounted radio control device.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헤드 장착 타입의 무선조종기(200)는 사용자의 헤드에 장착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고, 전면부는 표시장치(203)가 설치될 수 있다. 표시장치(203)는 단말기로 구성되어 헤드 장착 타입의 무선조종기(200)에 탈부착 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헤드 장착 타입의 무선조종기(200)를 착용한 사용자가 단말기에 마련된 표시부를 통해서 화상을 볼 수 있다.10 and 11, the head mounted radio remote controller 200 has a shape that can be mounted on a user's head, and a display unit 203 can be installed on the front portion. The display device 203 is configured as a terminal and is detachably attachable to the head mounted wireless controller 200. A user wearing the head mounted wireless controller 200 can display an image through a display provided on the terminal can see.

또한 사용자가 헤드 장착 타입의 무선조종기(200)를 착용한 상태로 머리를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에 대응하여 이동체(300) 상의 촬영장치(304)의 촬영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체(300)가 위치한 영역의 전방위를 표시장치(203)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rotates the hea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ead mounted radio control device 200 is worn, the photographing angle of the photographing device 304 on the moving object 300 can be changed accordingly. Accordingly, the user can confirm the entire area of the area where the mobile unit 300 is located through the display unit 203.

또한 핸들 타입의 무선조종기(100)와 헤드 장착 타입의 무선조종기(200)의 회전 방향은 서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이동체(300)의 이동 방향과 촬영장치(304)의 촬영 방향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동체(300)의 이동 방향과 관계없이 필요한 경우 촬영장치(304)의 촬영 방향을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이동체(300)에 탑승하여 이동하면서 상태로 전방위 영역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동체(300)의 이동방향에 매칭되는 영역에 대한 촬영 영상뿐만 아니라 주변 이동방향과 무관한 다른 영역에 대한 촬영 영상을 관찰할 수 있어 갑작스러운 위급 상황에 대한 신속하고 적절한 대처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rotation directions of the handle-type radio control device 100 and the head-mounted radio control device 200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and accordingly,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object 300 and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 device 304 are independent . Accordingly, regardless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object 300,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 device 304 can be changed as needed, allowing the user to observe the omnidirectional area while moving on the moving object 300. Accordingly, not only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region matched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object 300 but also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other region irrespective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object 300 can be observed,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mptly and appropriately cope with sudden emergency situations.

<기준점 설정><Reference point setting>

사용자마다 자세가 다르므로 조종할 때마다 새로운 기준점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핸들 타입 및 헤드 장착 타입의 무선조종기(100, 200)의 전원을 켜면, 기 설정된 시간 후의 자세가 기준점으로 설정된다. 즉, 기 설정된 시간 후의 핸들 타입 및 헤드 장착 타입의 무선조종기(100, 200)의 위치가 기준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Since the attitude of each user is different, it is necessary to set a new reference point every time the user manipulates. Therefore, when the handle-type and head-mounted wireless controllers 100 and 200 are turned on, the posture after a predetermined time is set as the reference point. That is, the positions of the steering wheel type and the head mounted type radio controllers 100, 200 after a predetermined time can be set as reference points.

보다 상세하게는 도 4를 참조하면, 핸들 타입의 무선조종기(100)의 본체부(190)에 마련된 조종기 광원부(1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광원과 중심광원이 위치한 영역으로부터 상부 영역에 위치한 제1 광원, 하부 영역에 위치한 제2 광원, 좌측 영역에 위치한 제3 광원 그리고 우측 영역에 위치한 제4 광원을 구비할 수 있고, 핸들 타입의 무선조종기(100)의 전원을 켜면 상, 하, 좌 및 우의 제1 내지 제4 광원만 켜지고, 사용자가 핸들 타입의 무선조종기(100)를 들고 자세를 잡으면 기 설정된 시간에 중앙에 있는 중심 광원만 켜지고, 이때의 핸들 타입의 무선조종기(100)의 피치(Pitch)축의 각도 값을 이동체(300)를 조종하기 위한 기준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4, the manipulator light source unit 131 provided in the main body unit 190 of the handle-type radio manipulator 100 includes a central light source and a central light source, A second light source positioned in a lower region, a third light source positioned in a left region, and a fourth light source positioned in a right region. When the handle-type wireless remote controller 100 is powered on, Only the central light source at the center is turned on at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user holds the steering wheel-type radio remote controller 100 and the pitch of the steering wheel-type radio remote controller 100 Pitch axis can be set as a reference point for controlling the mobile object 300. [

<조종 변량 추출><Control Variable Extraction>

- 상보 필터 적용 - Applying complementary filter

도 12는 상보필터의 블록선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Figure pat00001
의 극점과 영점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4는
Figure pat00002
의 극점과 영점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5는
Figure pat00003
의 보데선도이며, 도 16은
Figure pat00004
의 보데선도이다.12 is a block diagram of the complementary filter. And Figure 13
Figure pat00001
14 is a graph showing the pole and zero of
Figure pat00002
15 is a graph showing the pole and zero of
Figure pat00003
Fig. 16 is a Bode plot of Fig.
Figure pat00004
Of Bode.

핸들 타입의 무선조종기(100)의 제1 센서부(112)의 제1 자이로센서(1121)와 제1 가속도센서(1122) 각각으로부터 검출된 3축 각속도와 3축 가속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피치(Pitch) 각도, 롤(Roll) 각도, 및 요(Yaw)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Based on the three-axis angular velocity and three-axis acceleration data detected from the first gyro sensor 1121 and the first acceleration sensor 1122 of the first sensor unit 112 of the steering wheel-type radio remote controller 100, ) The angle, roll angle, and yaw angle can be determined.

피치(Pitch) 각도, 롤(Roll) 각도, 및 요(Yaw) 각도 각각은 수학식 1을 충족할 수 있고, 수학식 1에서의

Figure pat00005
는 제1 가속도센서(1122)로부터의 출력된 3축 각각에 따른 가속도 값이고,
Figure pat00006
는 제1 자이로센서(1121)으로부터 나오는 각속도 값이다.Each of the pitch angle, roll angle, and yaw angle may satisfy Equation (1), and Equation
Figure pat00005
Axis is an acceleration value according to each of the three axes output from the first acceleration sensor 1122,
Figure pat00006
Is an angular velocity value output from the first gyro sensor 1121.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에 따른 블록 선도는 수학식 2를 충족한다.Referring to Fig. 12, the block diagram according to Fig. 12 satisfies the equation (2).

[수학식 2]&Quot; (2) &quot;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제1 센서부(112)는 상보필터를 구비할 수 있고, 상보필터를 이용하여 각속도 데이터를 적분한 결과로 나타나는 각도는 고주파 영역에서 응답 특성이 우수하여 고역 통과 필터를 사용하고, 가속도 데이터로 계산된 각도는 저주파 영역에서 응답특성이 우수하므로 저역통과 필터를 적용하여 이를 합한다.The first sensor unit 112 may include a complementary filter. An angle obtained as a result of integrating the angular velocity data using the complementary filter is excellent in the response characteristic in the high frequency range, and uses a high-pass filter. Since the response angle is excellent in the low-frequency range, a low-pass filter is used to combine them.

수학식 2에서 필터 계수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는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각각은 0.46736, 0.03279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수학식 2에 따라 전달함수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에 필터 계수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를 대입하고 극점과 영점의 상태를 확인하면 도 13 내지 도 16과 같다.In Equation 2,
Figure pat00009
Wow
Figure pat00010
Can be determined experimentally. 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pat00011
Wow
Figure pat00012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m is 0.46736 and 0.03279,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Then, according to Equation 2,
Figure pat00013
and
Figure pat00014
Filter coefficient
Figure pat00015
Wow
Figure pat00016
And the state of the pole and the zero point are confirmed as shown in Figs. 13 to 16. Fig.

도 12를 통해 설계한 필터

Figure pat00017
은 저주파 성분인 드리프트 영향을 많이 받는 자이로센서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적합하며,
Figure pat00018
는 고주파 성분인 미세한 진동에 영향을 많이 받는 가속도 센서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적합하다. 전술한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필터를 적용함으로써 제1 자이로센서(1121)와 제1 가속도센서(1122)로부터의 측정한 데이터의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조종 변량 산출에 필요한 정확한 각도를 구할 수 있다.12,
Figure pat00017
Is suitable for removing the noise of the gyro sensor which is influenced by the drift of the low frequency component,
Figure pat00018
Is suitable for eliminating the noise of the acceleration sensor which is influenced by the minute vibration which is a high frequency component. Described above
Figure pat00019
and
Figure pat00020
The noise of the measured data from the first gyro sensor 1121 and the first acceleration sensor 1122 can be effectively removed and an accurate angle required for calculation of the steering variable can be obtained.

또한 제1 자이로센서(1121)와 제1 가속도센서(1122)에 대한 설명은 헤드 장착 타입의 무선조종기(200)의 제2 자이로센서(2121)와 제2 가속도센서(212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description of the first gyro sensor 1121 and the first acceleration sensor 1122 may be applied equally to the second gyro sensor 2121 and the second acceleration sensor 2122 of the head mounted wireless controller 200 Therefore, detailed explanation is omitted.

- 기울기 보상 - Tilt compensation

또한 헤드 장착 타입의 무선조종기(200)의 지자기센서(2123)에서 지자기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지자기 값은

Figure pat00021
이다. 제2 제어부(220)는 지자기 값으로만 요(Yaw) 각을 계산하면 기울어짐에 대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보필터의 출력 값인 피치(Pitch) 각도(
Figure pat00022
)와 롤(Roll)각도(
Figure pat00023
)와
Figure pat00024
을 입력으로 사용하여 X값과 Y값 그리고 요(Yaw)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Further, geomagnetism data may be output from the geomagnetic sensor 2123 of the head mounted type radio remote controller 200. [ The geomagnetic value
Figure pat00021
to be. The second control unit 220 may calculate an error of inclination when calculating the yaw angle only with the geomagnetism value. Therefore, the output value of the complementary filter, the pitch angle (
Figure pat00022
) And the roll angle (
Figure pat00023
)Wow
Figure pat00024
Can be used as inputs to determine the X and Y values and the Yaw angle.

또한 X값과 Y값 그리고 요(Yaw)각도는 수학식 3을 충족할 수 있다.Also, the X value, the Y value, and the Yaw angle can satisfy Equation (3).

[수학식 3]&Quot; (3) &quot;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5

제2 제어부(220)는 지자기센서(2123)보다 정확한 요(Yaw)각도를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실제 사용하는 요(Yaw)각도는 제2 자이로센서(2121)의 각속도를 적분하여 계산한 값이고, 지자기센서(2123)에서 구한 요(Yaw)각도 값은 사용자가 처음 바라보고 있는 방향으로 기준점을 잡을 수 있다. 또한 제2 자이로센서(2121)의 각속도의 누적 오차를 방지하기 위해 헤드 장착 타입의 무선조종기(200)의 초기 자세에 대해 설정된 기준점으로 초기화를 시킬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unit 220 can obtain a more accurate yaw angle than the geomagnetic sensor 2123. The actual yaw angle is a value calculated by integrating the angular velocity of the second gyro sensor 2121. The yaw angle value obtained by the geomagnetism sensor 2123 is used as a reference point .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cumulative error of the angular velocity of the second gyro sensor 2121, initialization can be performed to a reference point set with respect to the initial posture of the head mounted type radio remote controller 200.

< 핸들 타입의 <Handle type 무선조종기의Radio-controlled 데이터 전송 방법 > Data transmission method>

도 17은 핸들 타입의 무선조종기를 이용한 이동체의 무선 조종 방법의 흐름도이다.17 is a flowchart of a radio control method of a mobile body using a handle-type radio controller.

핸들 타입의 무선조종기(100)는 3축 가속도와 3축 각속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각 데이터를 각도로 변환하여 상보필터의 입력으로 사용하여 피치(Pitch)각도와 롤(Roll)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출력 값으로 조종기 광원부(131)를 통해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피치(Pitch)각도로 기준 값을 설정할 수 있고, 설정이 완료되면 피치(Pitch) 각도와 롤(Roll)각도의 설정 범위를 확인하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유닛(111)에서 데이터를 받아 이동체(300)의 전방 시야 광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The steering wheel type radio remote controller 100 receives three-axis acceleration and three-axis angular velocity data, converts each data to an angle, and uses it as an input to the complementary filter to calculate a pitch angle and a roll angle have. Further, a direction can be displayed as an output value through the manipulator light source unit 131. In addition, the reference value can be set by the pitch angle, and when the setting is completed, the setting range of the pitch angle and the roll angle can be confirmed and the data can be transmitted. In addition, the switch unit 111 can receive data and transmit data for controlling the on / off state of the front visual field light source of the mobile unit 300.

보다 상세하게는 도 17을 참조하면, 제1 센서부(112)는 제1 자이로센서(1121)로부터 측정된 3축 각속도와 제1 가속도센서(1122)로부터 측정된 3축 가속도 각각을 각도로 변환하고, 2차 상보필터를 거쳐 피치(Pitch) 각도, 롤(Roll) 각도, 및 요(Yaw)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기준점 설정 상태의 경우 조종기 광원부(131)를 구동하여 기준점 설정 상태임을 표시할 수 있다. 17, the first sensor unit 112 converts the three-axis angular velocity measured by the first gyro sensor 1121 and the three-axis acceleration measured by the first acceleration sensor 1122 into angles And the pitch, roll angle, and yaw angle can be determined through a second complementary filter. In this case, when the reference point is set, the control light source 131 may be driven to indicate that the reference point is set.

또한 스위치유닛(111)이 턴온 또는 턴 오프되면 이동체(300)의 이동체 광원부(331)를 턴온 또는 턴 오프하기 위한 광원 제어 신호 데이터가 생성되어 이동체(300)로 전송될 수 있다.When the switch unit 111 is turned on or off, light source control signal data for turning on or off the moving body light source unit 331 of the moving body 300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body 300.

또한 기준점 설정이 완료되면, 제1 제어부(120)는 제1 센서부(112)로부터의 피치(Pitch) 각도 및 롤(Roll) 각도 각각의 각도 정보를 확인하고 피치(Pitch) 각도가 음의 a각도에서 양의 b각도 사이의 범위내인 경우 제1 통신부(140)를 통해 이동체(500)로 피치(Pitch) 각도 정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롤(Roll) 각도가 음의 c각도에서 양의 d 각도 사이의 범위내인 경우 제1 통신부(140)를 통해 이동체(500)로 롤(Roll) 각도 정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피치(Pitch) 각도가 음의 a각도 보다 작은 경우 기 설정된 최초 피치 각도 정보 데이터를, 양의 b각도 보다 큰 경우 기 설정된 최대 피치 각도 정보 데이터를 이동체(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롤(Roll) 각도 음의 c각도 보다 작은 경우 기 설정된 최소 롤 각도 정보 데이터를, 양의 d각도 보다 큰 경우 기 설정된 최대 롤 각도 정보 데이터를 이동체(300)로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reference point setting is completed, the first controller 120 confirms the angle information of each of the pitch angle and the roll angle from the first sensor unit 112, and when the pitch angle is a negative a It is possible to transmit pitch angle information data to the mobile unit 5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when the angle is within the range between positive and b angles. When the roll angle is within a range between a negative c angle and a positive d angle, the roll angle information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moving object 5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If the pitch angle is smaller than the negative a angle, the predetermined initial pitch angle information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300 if the pitch angle information is larger than the positive b angle. The predetermined minimum roll angle information data is smaller than the c angle of the roll angle sound, and the predetermined maximum roll angle information data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300 when the angle is larger than the positive d angle.

한편 전술한 a와 b 값은 서로 같을 수 있고 이 경우 b 각도는 45도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c와 d 값은 서로 같을 수 있고 이 경우 d 각도는 60도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above-mentioned values a and b may be equal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angle b may be 45 degre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above-described values of c and d may be equal to each other. But is not limited to.

< 헤드 장착 타입의 <Head mounted type 무선조종기의Radio-controlled 데이터 전송 방법 > Data transmission method>

도 18은 헤드 장착 타입의 무선조종기를 이용한 이동체의 무선 조종 방법의 흐름도이다.18 is a flowchart of a radio control method of a moving body using a head mounted type radio controller.

헤드 장착 타입의 무선조종기(200)는 3축 가속도, 3축 각속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각 데이터를 각도로 변환해 상보필터의 입력으로 사용함으로써 피치(Pitch)각도와 롤(Roll)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보필터의 2개의 출력과 3축 지자기센서(2123)의 데이터를 전술한 기울기 보상에 따라 요(Yaw)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요(Yaw)각도로 기준 값을 설정하고 설정이 완료되면 기준 값을 사용하여 각속도를 적분해서 구한 요(Yaw)각도를 초기화 시킬 수 있다. 또한 피치(Pitch)각도와 요(Yaw)각도의 설정범위를 확인하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The head mounted wireless controller 200 receives three-axis acceleration and three-axis angular velocity data. By converting each data to an angle and using it as an input to the complementary filter, you can calculate the pitch angle and the roll angle. Two outputs of the complementary filter and the data of the triaxial geomagnetic sensor 2123 can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tilt compensation. In addition, the reference value is set as the yaw angle, and when the setting is completed, the yaw angle obtained by integrating the angular velocity can be initialized using the reference value. In addition, the setting range of the pitch angle and yaw angle can be confirmed and data can be transmitted.

보다 상세하게는 도 18을 참조하면, 제2 센서부(212)는 제2 자이로센서(2121)로부터 검출된 3축 각속도와 제2 가속도센서(2122)로부터 검출된 3축 가속도 그리고 지자기센서(2123)로부터 검출된 3축 지자기 정보들 각각을 각도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제2 자이로센서(2121)로부터 검출된 3축 각속도와 제2 가속도센서(2122)로부터 검출된 3축 가속도는 2차 상보필터를 통해 피치(Pitch)각도와 롤(Roll)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220)는 2차 상보필터의 2개의 출력과 3축 지자기센서(2123)의 데이터를 전술한 기울기 보상에 따라 요(Yaw)각도를 산출하고, (Yaw)각도로 기준 값을 설정하여 기준 값 설정이 완료되면 기준 값을 사용하여 각속도를 적분해서 구한 요(Yaw)각도를 초기화 시킬 수 있고, 데이터 초기화 후에는 요(Yaw) 각도 범위를 확인한 후 요 각도 정보 데이터를 이동체(300)로 전송할 수 있다.18, the second sensor unit 212 detects the three-axis angular velocity detected by the second gyro sensor 2121, the three-axis acceleration detected by the second acceleration sensor 2122, and the geomagnetism sensor 2123 Axis angular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three-axis geomagnetism information. Also, the 3-axis angular velocity detected from the second gyro sensor 2121 and the 3-axis acceleration detected from the second acceleration sensor 2122 can calculate a pitch angle and a roll angle through the second complementary filter have. Further, the second controller 220 calculates the yaw angl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tilt compensation, and calculates the yaw angle using the two outputs of the second complementary filter and the data of the triaxial geomagnetic sensor 2123, After the setting of the reference value is completed, the yaw angle obtained by integrating the angular velocity can be initialized using the reference value. After the data initialization, the yaw angle range is confirmed, ).

또한 제2 제어부(220)는 피치(Pitch)각도 정보를 확인하여 피치 각도가 음의e 각도와 양의 f 각도 범위 내인지 확인하고, 피치 각도가 음의 e 각도와 양의 f 각도 범위내인 경우 피치 각도 정보 데이터를 제2 통신부(240)를 통해 이동체(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220)는 요(Yaw)각도 정보를 확인하여 요 각도가 음의 g 각도와 양의 h 각도 범위 내인지 확인하고, 요 각도가 음의 g 각도와 양의 h 각도 범위 내인 경우 요 각도 정보 데이터를 제2 통신부(240)를 통해 이동체(300)로 전송할 수 있다.Also, the second controller 220 checks the pitch angle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the pitch angle is within the negative e angle and the positive f angle range, and if the pitch angle is within the negative e angle and the positive f angle range The pitch angle information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unit 3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40. [ The second controller 220 checks the yaw angle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yaw angle is within the negative g angle and the positive h angle range. If the yaw angle is within the negative g angle and positive h angle range And can transmit the yaw angle information data to the mobile unit 3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40. [

또한 피치 각도가 음의 e 각도보다 작은 경우 미리 설정된 최소 값의 피치 각도 정보 데이터를, 양의 f 각도보다 큰 경우 미리 설정된 최대 값의 피치 각도 정보 데이터를 이동체(300)로 전송할 수 있고, 요 각도가 음의 g 각도보다 작은 경우 미리 설정된 최소 값의 요 각도 정보 데이터를, 양의 h 각도보다 큰 경우 미리 설정된 최대 값의 요 각도 정보 데이터를 이동체(300)로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pitch angle is smaller than the negative e angle, the pitch angle information data of the preset minimum value is larger than the positive f angle, and the preset pitch angle information data of the maximum value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300, Is smaller than the negative g angle, the yaw angle information data of the preset minimum value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unit 300 when the yaw angle information data of the maximum value is larger than the positive h angle.

한편 전술한 e와 f는 같을 수 있고 이 경우 e 각도는 음의 45도이고 f는 양의 45도가 될 수 있으며, g와 h는 같을 수 있고 이 경우 g는 음의 90도이고 h는 양의 90도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e and f described above can be the same, in which case the e-angle can be 45 degrees negative and f can be 45 degrees positive and g and h can be the same, where g is 90 degrees negative and h is positiv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 이동체의 구동 방법><Driving Method of Moving Body>

도 19는 무선조종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한 이동체 구동 방법의 흐름도이다.19 is a flowchart of a moving body driving method based on data received from a radio control device.

이동체(300)는 2개의 다른 채널에서 데이터를 받아 채널을 확인 후 제1 및 제2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3211, 3212) 중 어느 곳으로 송신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The moving object 300 can receive data from two different channels, determine a channel, and then determine to which of the first and second microcontroller units 3211 and 3212 to transmit the data.

또한 제2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3212)는 헤드 장착 타입의 무선조종기(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2 모터(332)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모터(332)는 2개의 서보 모터로 구성되어, 제2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3212)는 2개의 서보 모터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The second microcontroller unit 3212 can also receive data from the head mounted wireless controller 200 and control the second motor 332. [ In this case, the second motor 332 is composed of two servo motors, and the second microcontroller unit 3212 can control each of the two servo motors.

또한 제2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3212)에서 제1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3211)로 UART 통신을 통해 핸들 타입의 무선조종기(100)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수신 받기 위해 피치(Pitch)각도, 롤(Roll)각도의 데이터로부터 양수와 음수, 피치(Pitch)각도와 롤(Roll)각도를 구분해 데이터를 복원하고 이동체(3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3212)에서 제1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3211)로 2개의 데이터를 보내면서 정확한 데이터 교환과 효율적인 전송속도를 위해 데이터를 구분하면, 예를들어 1Byte의 데이터에서 7번 bit와 6번 bit를 축을 구분하는 데이터와 양수와 음수를 구분하는 데이터로 변형하고, 0~5번 bit는 조종 변량 데이터를 유지한다. 그리고 수신을 받은 후에 데이터를 기존의 값으로 복원할 수 있다.And can receive data from the steering wheel type radio controller 100 through the UART communication from the second microcontroller unit 3212 to the first microcontroller unit 3211. [ Also, in order to receive data efficiently, data is restored by separating positive and negative numbers, pitch and roll angles from the data of pitch angle and roll angle, and the moving body 300 is driven . For example, if two data ar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microcontroller unit 3212 to the first microcontroller unit 3211 and the data is divided for accurate data exchange and efficient transmission speed, for example, data of 7 bytes Bit and bit 6 are transformed into data that distinguishes the axis and data that distinguishes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numbers. Bit 0 to bit 5 hold the steering variable data. After receiving the data, the data can be restored to the existing value.

또한 이동체(300)의 전방 시야 광원은 핸들 타입의 무선조종기(100)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 받아서 온/오프 여부를 판한 후 작동시킬 수 있다.Further, the front view light source of the mobile unit 300 can receive the data from the steering wheel-type wireless remote controller 100 and can operate the remote control unit after determining whether it is on / off.

보다 상세하게는 도 19를 참조하면, 이동체(300)의 제3 통신부(340)는 제1 및 제2 채널 중에서 제1 채널로 수신된 데이터는 핸들 타입의 무선조종기(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로 취급하고, 제2 채널로 수신된 데이터는 헤드 장착 타입의 무선조종기(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로 취급할 수 있다.19,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340 of the mobile unit 300 receives data received through the first channel from among the first and second channels through data received from the hand-operated radio controller 100 And the data received on the second channel can be handled as data received from the radio transmitter 200 of the head mounted type.

제3 메인보드(321)는 핸들 타입의 무선조종기(100)로부터 수신된 이동체 광원부 구동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동체 광원부(33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third main board 321 can control the driving of the moving body light source unit 331 based on the moving body light source unit driving control data received from the steering wheel type radio controller 100. [

또한 제2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3212)는 핸들 타입의 무선조종기(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피치(Pitch) 정보 데이터와 롤(Roll) 정보 데이터로 변형하고 UART 통신을 통해 제1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3211)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3211)는 수신된 데이터의 7번 비트가 1인지를 확인하고 1인 경우 롤(Roll) 데이터로 취급하고 다음으로 6번 비트가 1인지를 확인하고 1인 경우 음수 데이터로 복원할 수 있고 1이 아닌 0인 경우 양수 데이터로 복원할 수 있다. 또한 제1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3211)는 수신된 데이터의 7번 비트가 1인지를 확인하고 0인 경우 피치(Pitch) 데이터로 취급하고 다음으로 6번 비트가 1인지를 확인하고 1인 경우 음수 데이터로 복원할 수 있고 1이 아닌 0인 경우 양수 데이터로 복원할 수 있다. 그리고 복원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모터(332)를 구동하여 이동체(300)의 이동 방향과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second microcontroller unit 3212 transforms the data received from the steering wheel type radio controller 100 into pitch information data and roll information data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first microcontroller unit 3211 ). The first microcontroller unit 3211 checks whether the seventh bit of the received data is 1, treats it as roll data if it is 1, checks whether the sixth bit is 1, Can be restored. If it is nonzero, it can be restored to positive data. Also, the first microcontroller unit 3211 checks whether the seventh bit of the received data is 1, treats it as pitch data when it is 0, then checks whether the sixth bit is 1, Can be restored. If it is nonzero, it can be restored to positive data. The moving direction and speed of the moving object 300 can be adjusted by driving the first motor 332 based on the restored data.

또한 제2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3212)은 헤드 장착 타입의 무선조종기(200)로부터의 피치(Pitch) 데이터를 복원하여 제2 모터(332) 내의 제1 서보 모터를 구동하여 촬영장치(304)의 상/하 회전을 제어하고, 요(Yaw) 데이터를 복원하여 제2 모터(332) 내의 제2 서보 모터를 구동하여 촬영장치(304)의 좌/우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The second microcontroller unit 3212 restores pitch data from the head mounted type radio remote controller 200 to drive the first servo motor in the second motor 332 to detect the phase of the image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304 Right rotation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304 and the second servo motor in the second motor 332 to control the left / right rotation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304 by controlling yaw data.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command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fic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those known and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 and DV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um,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modified into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for performing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The specific ac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by way of exampl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ny way. For brevity of description,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nfiguration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such systems may be omitted. Also, the connections or connecting members of the line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figures are illustrative of functional connections and / 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which may be replaced or additionally provided by a variety of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 or circuit connections. Also, unless explicitly mentioned, such as &quot; essential &quot;, &quot; importantly &quot;, etc., i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핸들 타입의 무선 조종기(100)
제1 메인장치(101)
제1 측정부(110), 스위치유닛(111), 제1 센서부(112)
제1 자이로센서(1121), 제1 가속도센서(1122)
제1 제어부(120), 제1 메인보드(121)
조종기 출력부(130), 조종기 광원부(131)
제1 통신부(140), 제1 무선 통신 모듈(141)
제1 전원장치(102)
제1 배터리부(150), 제1 보호회로(160)
제1 승압회로(170), 제1 레귤레이터(180)
본체부(190), 제1 핸들부(191)
제1-1 연장부(1911), 제1-2 연장부(1912), 제1-3 연장부(1913)
제2 핸들부(192)
제2-1 연장부(1921), 제2-2 연장부(1922), 제2-3 연장부(1923)
헤드 장착 타입의 무선 조종기(200)
제2 메인장치(201)
제2 측정부(210)
제2 센서부(212)
제2 자이로센서(2121), 제2 가속도센서(2122), 지자기센서(2123)
제2 제어부(220), 제2 메인보드(221)
제2 통신부(240), 제2 무선 통신 모듈(241)
제2 전원장치(202)
제2 배터리부(250), 제2 보호회로(260)
제2 승압회로(270), 제2 레귤레이터(280)
표시장치(203)
이동체(300)
제3 메인장치(301)
제3 제어부(320), 제3 메인보드(321)
제1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3211), 제2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3212)
모터 드라이버(322)
이동체 출력부(330), 이동체 광원부(331)
제1 모터(332), 제2 모터(333)
제3 통신부(340), 제3 통신 모듈(341)
제3 전원장치(302)
제3 배터리부(350), 제3 보호회로(360)
제3-1 레귤레이터(381), 제3-2 레귤레이터(382)
촬영장치(304)
Handle-type radio remote controller (100)
In the first main device 101,
The first measuring unit 110, the switch unit 111, the first sensor unit 112,
The first gyro sensor 1121, the first acceleration sensor 1122,
The first controller 120, the first main board 121,
A manipulator output unit 130, a manipulator light source unit 131,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1,
The first power supply 102,
The first battery unit 150, the first protection circuit 160,
The first booster circuit 170, the first regulator 180,
The body portion 190, the first handle portion 191,
The first 1-1 extending portion 1911, the 1-2 first extending portion 1912, the 1-3 second extending portion 1913,
The second handle portion 192,
The second-first extension 1921, the second-second extension 1922, the second-third extension 1923,
The head mounted type radio remote controller (200)
In the second main device 201,
The second measuring unit 210,
The second sensor unit 212,
A second gyro sensor 2121, a second acceleration sensor 2122, a geomagnetism sensor 2123,
The second controller 220, the second main board 221,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40,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41,
The second power supply 202,
The second battery unit 250, the second protection circuit 260,
The second booster circuit 270, the second regulator 280,
The display device (203)
The moving body 300,
The third main device 301,
The third controller 320, the third main board 321,
The first microcontroller unit 3211, the second microcontroller unit 3212,
Motor driver 322,
The moving object output unit 330, the moving body light source unit 331,
The first motor 332, the second motor 333,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340,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341,
The third power supply 302,
The third battery unit 350, the third protection circuit 360,
The third-first regulator 381, the third-second regulator 382,
The photographing device 304

Claims (10)

헤드 장착 타입의 무선조종기로 촬영 방향이 조절되는 촬영 장치를 구비한 이동체의 이동 방향 및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1 통신부;
자신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조종기.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moving direction and a speed of a moving object having a photographing device whose photographing direction is adjusted by a head mounted type radio controller;
A first sensor unit for detecting its own position information; And
And a first control unit for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Radio remote contro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는 제1 자이로센서 및 제1 가속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종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ensor unit includes a first gyro sensor and a first acceleration sensor
Radio remote control.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 상기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체의 이동 방향이 제어되고,
상기 본체부의 회전 각도에 비례하여 상기 이동체의 속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종기.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main body unit including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first control uni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body is controlled corresponding to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speed of the moving body is controlled in proportion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main body portion
Radio remote control.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 핸들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 측으로부터 연장된 제2 핸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핸들부는 상기 본체부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종기.
The method of claim 3,
A first handle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And a second handle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ortions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about the main body portion
Radio remote control.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본체부의 초기 위치 상태에서 상기 제1 센서부로부터의 각속도 및 가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피치(Pitch) 각도를 상기 본체부의 기준점으로 하는 기준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종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control unit
And a pitch angle calculated based on the angular velocity and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sensor unit i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main body unit is set as a reference value as a reference point of the main body unit.
Radio remote control.
핸들 타입의 무선조종기로 이동 방향 및 속도가 조절되는 이동체에 설치된 촬영 장치의 촬영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2 통신부;
자신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는
무선조종기.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photographing direction of a photographing apparatus installed on a moving body whose moving direction and speed are controlled by a handle-type radio control unit;
A second sensor unit for detecting its own position information; And
And a second control unit for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cond sensor unit,
Mounted on the user's head
Radio remote control.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더 포함하는
무선조종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display device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photographing device
Radio remote control.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부는,
제2 자이로센서, 제2 가속도센서 및 지자기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종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econd sensor unit comprises:
A second gyro sensor, a second acceleration sensor and a geomagnetic sensor.
Radio remote control.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촬영 장치의 촬영 영역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종기.
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photographing area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s changed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head of the user
Radio remote control.
제8 항에 있어서,
초기 위치 상태에서 상기 제2 자이로센서, 상기 제2 가속도센서 및 상기 지자기센서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산출된 요(Yaw) 각도를 자신의 기준점으로 하는 기준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종기.
9. The method of claim 8,
And sets the yaw angle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detection results from the second gyro sensor, the second acceleration sensor and the geomagnetism sensor as a reference value as its reference point in the initial position state
Radio remote control.
KR1020160184465A 2016-12-30 2016-12-30 Apparatus and Controller for remote controlling thereof KR1020218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465A KR102021873B1 (en) 2016-12-30 2016-12-30 Apparatus and Controller for remote controll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465A KR102021873B1 (en) 2016-12-30 2016-12-30 Apparatus and Controller for remote controll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084A true KR20180079084A (en) 2018-07-10
KR102021873B1 KR102021873B1 (en) 2019-09-17

Family

ID=62916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4465A KR102021873B1 (en) 2016-12-30 2016-12-30 Apparatus and Controller for remote controll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87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6640A1 (en) * 2021-06-30 2023-01-05 国立大学法人筑波大学 Flying object control system, flying object control method, and progra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7571A (en) * 2006-05-04 2009-02-18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Obtaining input for controlling execution of a game program
KR20120065545A (en) 2010-12-13 2012-06-21 주병규 Rc controller
US20140008496A1 (en) * 2012-07-05 2014-01-09 Zhou Ye Using handheld device to control flying object
KR101662032B1 (en) * 2015-04-28 2016-10-10 주식회사 유브이코어 UAV Aerial Display System for Synchronized with Operators Gaze Dire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7571A (en) * 2006-05-04 2009-02-18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Obtaining input for controlling execution of a game program
KR20120065545A (en) 2010-12-13 2012-06-21 주병규 Rc controller
US20140008496A1 (en) * 2012-07-05 2014-01-09 Zhou Ye Using handheld device to control flying object
KR101662032B1 (en) * 2015-04-28 2016-10-10 주식회사 유브이코어 UAV Aerial Display System for Synchronized with Operators Gaze Dire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6640A1 (en) * 2021-06-30 2023-01-05 国立大学法人筑波大学 Flying object control system, flying object control method,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873B1 (en) 201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1779B2 (en) Flying camera with string assembly for localization and interaction
US10795353B2 (en) User interaction paradigms for a flying digital assistant
CN109313487B (en) Object controller
US11294369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ight of the same
KR20180128410A (en) Multi-axis controller
CN106625569B (en) Self-balancing detection robot with two-axis self-stabilizing cradle head
JP2016199261A (en) Drone immersion type handling system
WO2015094695A1 (en) Self-propelled device with center of mass drive system
EP2070076A2 (en) Autonomous behaviors for a remote vehicle
WO2020133410A1 (en) Image capture method and device
US20220019222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Unmanned Aerial Vehicle Flight Control Device, Unmanned Aerial Vehicle Flight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974207B1 (en) Fan-driven force device
CN113448343A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setting a target flight path of an aircraft
US9804595B1 (en) Control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and controlling operations of a vehicle
CN107209205B (en) Gravity center shifting force equipment
KR20180079084A (en) Apparatus and Controller for remote controlling thereof
JP7024997B2 (en) Aircraft Maneuvering System and How to Maneuver an Aircraft Using an Aircraft Maneuvering System
US20130231029A1 (en) Interactive Toy
CN116234751A (en) System and structure of unmanned aerial vehicle
Stegagno et al. Vision-based autonomous control of a quadrotor UAV using an onboard RGB-D camera and its application to haptic teleoperation
JP2015157323A (en)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system, method and program of remote control
KR102019942B1 (en) Simulation Sickness Detect and Steering object control Device and Method
Lieser et al. A low-cost mobile infrastructure for compact aerial robots under supervision
CN115917479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im et al. Implementation of a personal riding robot with a magnetic compass sensor using a smartphone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