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6084A - Apparatus and method for dealing with fine dust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dealing with fine du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6084A
KR20180076084A KR1020160180189A KR20160180189A KR20180076084A KR 20180076084 A KR20180076084 A KR 20180076084A KR 1020160180189 A KR1020160180189 A KR 1020160180189A KR 20160180189 A KR20160180189 A KR 20160180189A KR 20180076084 A KR20180076084 A KR 20180076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information
concentration
user terminal
dust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1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흔우
차승훈
박영준
전성우
Original Assignee
조흔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흔우 filed Critical 조흔우
Priority to KR1020160180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6084A/en
Publication of KR20180076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08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fine dust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nti-fine dust apparatus includes a processor and a memory connected to the processor. The memory calculates an impact index at a measured fine dust concentration in view of a relationship between a pre-input age and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d at a current position by means of at least one sensor. The memory stores programs commands that can be executed by the processor such that anti-fine dust information is generated by means of the measured fine dust concentration and fine dust-related information received from a service server connected via a network.

Description

미세먼지 대응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aling with fine dust}[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dealing with fine dust [0002]

본 발명은 미세먼지 대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ping with fine dust.

미세먼지는 대기 중에 떠다니는 직경 10㎛ 이하의 입자상 물질을 말한다. 석탄, 석유 등의 화석연료가 연소될 때 또는 제조업ㆍ자동차 매연 등의 배출가스에서 나오며, 기관지를 거쳐 폐에 흡착되어 각종 폐질환을 유발하는 대기오염물질이다.Fine dust refers to particulate matter having a diameter of 10 μm or less which floats in the air. It is an air pollutant that is produced when fossil fuels such as coal and petroleum are burned, or when they come out from exhaust gas such as manufacturing and automobile soot, and are adsorbed to the lungs through the bronchi and cause various kinds of lung diseases.

한편 먼지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지름이 10㎛ 이하인 미세먼지(PM 10), 지름이 2.5㎛ 이하(PM 2.5)인 초미세먼지로 나뉜다. 미세먼지는 질산염(NO3-), 암모늄(NH4+), 황산염(SO42-) 등의 이온 성분과 탄소화합물(carbon compounds), 금속(elements) 화합물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On the other hand, dust is divided into fine dust (PM 10) with a diameter of 10 μm or less and ultra fine dust with a diameter of 2.5 μm or less (PM 2.5)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Fine dust is composed of ion components such as nitrate (NO3-), ammonium (NH4 +) and sulfate (SO42-), carbon compounds, and elements.

세계보건기구(WHO)는 미세먼지 중 디젤에서 배출되는 BC(black carbon)을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한 바 있다. 장기간 미세먼지에 노출될 경우 면역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감기, 천식,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 질환은 물론 심혈관 질환, 피부질환, 안구질환 등 각종 질병에 노출될 수 있다. 특히 직경 2.5㎛ 이하의 초미세먼지는 인체 내 기관지 및 폐 깊숙한 곳까지 침투하기 쉬워 기관지, 폐 등에 붙어 각종 질환을 유발한다.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as designated BC (black carbon) as a first-level carcinogen in diesel particulates. When exposed to fine dust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immunity is rapidly lowered, and it can be exposed to various diseases such as cardiovascular diseases, skin diseases and eye diseases as well as respiratory diseases such as colds, asthma and bronchitis. Ultrafine dust having a diameter of less than 2.5 μm is particularly susceptible to penetration into the bronchus and deep lungs of the human body, which causes various diseases due to bronchial and lung diseases.

우리나라 환경부는 지난 1995년 1월부터 10㎛ 이하의 미세먼지(PM 10)를 새로운 대기오염물질로 규제하고 있으며, 2015년 1월부터 2.5㎛ 이하의 초미세먼지(PM 2.5)에 대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다. Since January 1995,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s regulated fine dusts (PM 10) of less than 10 μm as new air pollutants, and regulated ultra fine dust (PM 2.5) of 2.5 μm or less since January 2015 .

또한, 2014년부터 미세먼지 예보 및 경보제를 시행하면서 측정 농도에 따라 예보 등급을 구분하고 있다. In addition, since 2014, a fine dust forecasting and alarm system is implemented, and the forecast grade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easured concentration.

특히 미세먼지는 영유아에게 치명적일 수 있어 미세먼지 농도가 높을 때 영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Particularly fine dusts can be fatal to infants and children, so efforts should be made to minimize the effects on infants whe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s high.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64618호는 “영유아 활동공간에 설치되는 소정 온도센서, 습도센서, 미세먼지센서, 포름알데히드센서, 및 이산화탄소센서를 적어도 구비한 센서그룹과 상기 센서그룹의 센서별 측정값을 수신하여 전송하는 센서플랫폼 및 상기 센서플랫폼으로부터 수신되는 센서별 측정값에 기초하여 소정의 경보를 발령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영유아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시한다.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064618 discloses a method of detecting an oxygen concentration in a sensor group having at leas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 fine dust sensor, a formaldehyde sensor, and a carbon dioxide sensor installed in an infant & An infant health management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 sensor platform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a measurement value and control means for issuing a predetermined alarm based on a sensor-specific measurement value received from the sensor platform.

그러나, 상기한 공개특허는 경보기준치에 대한 가변설정 등에 관한 내용만 개시할 뿐, 영유아의 나이 및 영유아의 외부 활동 등을 고려한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는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patent discloses only variable settings for alarm reference values, and has a problem that it can not provide a micro dust-responsive service considering the age of infants and the external activitie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미세먼지와 관련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먼지 대응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ping with fine dust that can actively cope with fine dus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 system including a processor and a memory coupled to the processor,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와 미리 입력된 나이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상기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에서의 영향지수를 계산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미세먼지 관련 정보와 상기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대응 정보를 생성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미세먼지 대응 장치가 제공된다. Calculating the influence index on the measured fine dust concentration by taking into accou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d at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previously entered age using one or more sensors, There is provided a fine dust countermeasure apparatus for storing program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 to generate fine dust correspondence information using related information and the measured fine dust concentration.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모듈과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근거리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 local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sensor module having the at least one sensor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상기 미세먼지 농도는 지름이 10㎛ 이하인 미세먼지의 농도뿐만 아니라, 2.5㎛ 이하의 초미세먼지 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ay include not only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having a diameter of 10 mu m or less, but also an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of 2.5 mu m or less.

상기 영향지수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The influence index can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K는 미세먼지 지수 계수로서 나이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지며, SHI는 구간 최고 점수값, SLO는 구간 최저 점수값, CHI는 구간 최고 농도값, CLO는 구간 최저 농도값이다. K is the fine dust index coefficient with different values depending on the age, S HI is the maximum score of the section, S LO is the minimum score of the section, C HI is the maximum value of the section, and C LO is the minimum value of the section.

상기 미세먼지 관련 정보는 상기 현재 위치 또는 사용자의 외출 경로에 속하는 지역에서의 미세먼지 농도, 시간별 미세먼지 추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먼지 대응 정보는, 실내활동 유도, 실외활동 유도, 환기, 외출 시간 또는 외출 경로의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도 정보일 수 있다. Wherein the fine dust-related information includes minute dust concentration in the current position or an area belonging to a user's going-out route, fine dust transition information in each hour, and the fine dust correspondenc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induction of indoor activity, induction of outdoor activity, Or guidanc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hange in time or an outgoing route.

상기 메모리는,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목적지에서 도착 예상 시간의 미세먼지 농도를 수신하여 미세먼지 대응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emory transmits information on a destination entered by the user in cooperation with a navigation application to the service server and receives fine dust concentration of the expected arrival time at the destination from the service server to generate fine dust correspondence information Program instructions.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미세먼지 대응을 위한 서버 장치로서, 시간별/지역별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변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 상기 시간별/지역별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위한 미세먼지 대응 정보를 생성하는 대응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대응을 위한 서버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rver device for fine dust response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via a network, the server device comprising: a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by time / region; And a correspond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fine dust corresponding information for the user terminal using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for each time / reg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미세먼지 대응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모듈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센싱 정보는 현재 위치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를 포함함-; 상기 미세먼지 농도와 미리 입력된 나이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상기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에서의 영향지수를 계산하는 단계;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비스 서버로부터 미세먼지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대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대응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fine dust handling, comprising: receiving sensing information from a sensor module comprising at least one sensor, the sensing information including a measured fine dust concentration at a current location; Calculating an influence index on the measured fine dust concentration in consideration of a relationship betwe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a previously inputted age; Receiving fine dust-related information from a service server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generating fine dust correspondence information using the measured fine dust concentr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위치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및 활동 영역을 고려하여 능동적으로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tively provide the micro dust responsive service in consider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the activity area measured at the user's lo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대응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미세먼지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출력하는 미세먼지 대응 정보의 예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대응 정보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ne dust-responsiv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module of a fine dust-responsive application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screen of fine dust corresponding information output by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rvic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fine dust correspon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대응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ne dust-responsiv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대응 시스템은 센서 모듈(100), 사용자 단말(102) 및 서비스 서버(104)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micro dust responsiv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ensor module 100, a user terminal 102, and a service server 104.

센서 모듈(100)은 현재 위치에서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센서를 포함한다. The sensor module 100 includes a fine dust sensor for measur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t the current position.

여기서, 미세먼지 농도는 지름이 10㎛ 이하인 미세먼지의 농도뿐만 아니라, 2.5㎛ 이하의 초미세먼지 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ay include not only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having a diameter of 10 mu m or less, but also an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of 2.5 mu m or less.

본 명세서에서 미세먼지는 상기한 서로 다른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In this specification, fine dust is defined as including all those having different particle sizes as described above.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대응 시스템이 영유아 또는 노인과 같은 건강 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센서 모듈(100)은 온도센서, 습도센서, 포름알데히드센서 및 이산화탄소센서 등도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module 100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 formaldehyde sensor, and a carbon dioxide sensor in that the micro dust responsiv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target health vulnerable classes such as infants and the elderly.

센서 모듈(100)은 유무선으로 사용자 단말(102)에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센싱 정보를 사용자 단말(102)로 전송한다. The sensor module 100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2 via wired / wireless lines and transmits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through one or more sensors to the user terminal 102.

바람직하게, 센서 모듈(100)은 유무선으로 사용자 단말(102)과 연결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WiFi와 같은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02)과 연결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sensor module 100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2 by wired or wireless, and may preferabl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2 via a local area network such as Bluetooth or WiFi.

사용자 단말(102)은 이동통신망에 연결되는 통상의 이동 통신 단말, 태블릿 PC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2)은 미세먼지 대응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앱)이 설치되고, GPS 정보를 통해 위치 정보 획득이 가능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서버(104)와 접속할 수 있는 단말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02 may include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tablet PC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user terminal 102 may include an application (application) for fine dust response, capable of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GPS information, and capable of accessing the service server 104 through a network.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104)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02)과 연결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이동통신망, 유무선 인터넷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rvice server 10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2 through a network. Here, the network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wired / wireless Internet network, and the like.

서비스 서버(104)는 기상청 서버, 한국 대기질 예보시스템, 환경부, 기후환경본부, 자동기상관측시스템 등과 연결되어 시간별 및 지역별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미세먼지 농도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2)에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를 제공한다. The service server 104 is connected to the weather service server, the Korea Air Quality Assurance Syste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Climate Environment Division, and the automatic weather observation system to collect minut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by time and region, 102 to provide a service corresponding to fine dust.

여기서, 시간별 미세먼지 농도 정보는 시별, 일별, 주별, 월별, 계절별 등 다양한 시간 기준으로 구분되는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per hour may include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classified into various time criteria such as hour, day, week, month, and season.

서비스 서버(104)는 미세먼지 농도 정보 외에 오존, 자외선, 황사와 같은 대기오염과 관련된 다른 정보들을 더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102)에 제공할 수 있다. The service server 104 may further collect other information related to air pollution such as ozone, ultraviolet rays, and yellow dust in addition to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the user terminal 102.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2)은 미세먼지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화면 상에 미세먼지 대응 정보를 출력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102 outputs fine dust correspondence information on the screen through execution of the fine dust corresponding application.

여기서, 미세먼지 대응 정보는 센서 모듈(100)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정보,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영향지수,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에서의 미세먼지 농도, 시간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추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fine dust correspondence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module 100, the influence index on the measured fine dust concentratio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n the area where the user is located, . ≪ / RTI >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서울시 강남구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상기한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에서의 미세먼지 농도는 강남구의 현재 미세먼지 농도 또는 하루 평균 미세먼지 농도일 수 있다. 물론 강남구보다 더 작은 행정구역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일 수도 있다. For example, if the user is located in Gangnam-gu, Seoul,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e area where the user is located may be the current fine dust concentration or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in Gangnam-gu. Of course, it may be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of a smaller administrative area than Gangnam-gu.

영향지수는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와 해당 환경에 노출된 대상의 나이와의 상관도로 결정되며, 동일한 미세먼지 농도라고 하더라도 나이에 따라 다른 영향지수가 결정될 수 있다. The influence index is determined b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d fine dust concentration and the age of the subject exposed to the environment, and even with the same fine dust concentration, different influence indices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ag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가 보살피는 영유아 또는 노인의 나이를 미리 입력하고, 사용자 단말(102)은 입력된 나이에 따른 영향지수를 계산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pre-inputs the age of the infant or the elderly who are being looked after by the user, and the user terminal 102 calculates the influence index according to the inputted age.

영향지수는 현재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에서의 나이에 따른 영향 정도를 나타내기 위한 인덱스로서, 좋음/보통/영유아영향/나쁨/매우나쁨과 같이 구분될 수 있다. The influence index is an index for indicating the influence of the age at the currently measured fine dust concentration, and can be classified as good / normal / infant effect / poor / very bad.

여기서, 영유아영향은 어른에게는 문제가 없으나, 어린 아이에게는 영향이 있을 수 있는 인덱스이다. Here, Influenza Influenza is an index that has no problem for adults but can affect children.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 단말(102)이 영유아를 위한 미세먼지 대응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user terminal 102 provides fine dust correspondence information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사용자 단말(102)은 사용자의 행동 유도를 위한 미세먼지 대응 정보를 화면 상에 출력한다. The user terminal 102 outputs fine dust corresponding information for inducing a user's action on the screen.

여기서, 행동 유도를 위한 대응 정보는 실내활동 유도, 실외활동 유도, 환기와 같은 사용자의 소정 활동을 유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correspondence information for inducing an action may include information for inducing a predetermined activity of the user such as inducing indoor activities, inducing outdoor activities, and ventilation.

미세먼지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사용자 단말(102)에는 사용자의 외출 관련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영유아가 있는 가정을 고려할 때, 외출 관련 정보는 산책 시작 시간, 산책 종료 시간 및 산책 경로와 같은 산책 관련 정보일 수 있다. 그러나 산책뿐만 아니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방문하는 장소(예를 들어, 문화센터), 외출 시작 시간 및 외출 종료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Related information of the user may b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102 through execution of the fine dust-responsive application. When considering a home with infants, outgoing information may be walk-related information such as walk start time, walk end time, and walking path. However, it may include not only a walk but also a place to visit periodically or non-periodically (for example, a cultural center), a start time of going out and an end time of going out.

사용자 단말(102)은 정기적 외출의 경우 이를 모니터링하여 외출 패턴으로서 미리 저장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02 may monitor and store the outgoing pattern as a outgoing pattern in the case of regular outgoing.

서비스 서버(104)로부터 하루 중 시간 별 미세먼지 농도 또는 미세먼지 농도 추이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2)은 미리 저장된 외출 패턴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외출 시간 또는 외출 경로를 변경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When the service provider server 104 provides the information o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or the fine dust concentration by time of day, the user terminal 102 can guide the user to change the outgoing time or the outgoing path in consideration of the pre- have.

상기에서는 사용자 단말(102)이 현재 위치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및 서비스 서버(104)로부터 제공된 미세먼지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대응 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user terminal 102 generates the fine dust correspondence information us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d at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fine dust related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rvice server 104.

그러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서비스 서버(104)가 센서 모듈(100) 또는 사용자 단말(102)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 위치에서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수신하여 미세먼지 대응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102)로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However,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the service server 104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at the user location from the sensor module 100 or the user terminal 102, generates fine dust correspondence information, Or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2.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과정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Hereinafter, a process of providing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fine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미세먼지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ule of a fine dust-aware application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도 2 내지 도 3에서는 미세먼지 대응 정보를 사용자 단말(102)이 생성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2 to 3 show a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the fine dust correspondence information by the user terminal 102. In FI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2)은 근거리 통신부(200), 서버 통신부(202), 프로세서(204) 및 메모리(206)를 포함할 수 있다. 2, the user terminal 10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200, a server communication unit 202, a processor 204, and a memory 206. As shown in FIG.

근거리 통신부(200)는 센서 모듈(100)로부터 센서 모듈(100)에서 측정된 센싱 정보를 수신한다. The local communication unit 200 receives the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module 100 from the sensor module 100.

센싱 정보는 센서를 통해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information may include fine dust concentr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and humidity information measured through the sensor.

서버 통신부(202)는 서비스 서버(104)로부터 미세먼지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02 receives the fine dust-related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server 104.

여기서, 미세먼지 관련 정보는 사용자 위치 관련 미세먼지 농도 정보, 시간별 미세먼지 추이 정보, 기타 대기오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fine dust-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location, fine dust trend information per hour, and other air pollution information.

사용자 위치 관련 미세먼지 농도 정보는 사용자 단말(102)이 위치한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 외출 경로(목적지 포함)에 속하는 지역에서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목적지에서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현재 시간이 아닌 목적지 도착 예상 시간에서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까지 제공할 수 있다.The user location related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in an area belonging to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the outgoing route (including the destination) in the area where the user terminal 102 is located. Further, when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at a destination is provided,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at a destination arrival estimated time other than the current time can be provided.

프로세서(204)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그밖에 가상 머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ocessor 204 may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r other virtual machine capable of executing computer programs.

메모리(206)는 고정식 하드 드라이브나 착탈식 저장 장치와 같은 불휘발성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착탈식 저장 장치는 컴팩트 플래시 유닛, USB 메모리 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06)는 각종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도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206 may include non-volatile storage such as a fixed hard drive or a removable storage device. The removable storage device may include a compact flash unit, a USB memory stick, and the like. Memory 206 may also include volatile memory such as various random access memories.

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206)에는 미세먼지 대응 정보 생성을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들(미세먼지 대응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다. In the memory 206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rogram commands (fine dust-responsive application) for generating fine dust correspondence information are stored.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대응 애플리케이션은 영향지수 계산 모듈(300), 외출 정보 저장 모듈(302) 및 대응 정보 생성 모듈(304)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micro dust responsiv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influence index calculating module 300, a outgoing information storing module 302, and a corresponding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304.

영향지수 계산 모듈(300)는 센서 모듈(100)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와 미리 입력된 영유아의 나이를 고려하여 영향지수를 계산한다. The influence index calculating module 300 calculates the influence index taking into accoun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d in the sensor module 100 and the age of the infant inputted in advance.

영향지수의 계산은 하기의 수학식을 통해 이루어진다. The calculation of the influence index is made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여기서, K는 미세먼지 지수 계수로서 영유아의 나이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K는 영유아의 개월 수 단위로 세분화될 수도 있다. Here, K is the coefficient of fine dust index, which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age of infants. Preferably, K may be subdivided into months of infants.

예를 들어, 영유아 또는 노인의 경우 K는 크게 설정될 수 있어, 동일한 미세먼지 농도라고 하더라도 영유아 또는 노인의 경우에 영향지수가 높게 나타날 수 있다. For example, K can be set to a large value for an infant or an elderly person, and even if it is the same fine dust concentration, the influence index may be high in the case of infants or the elderly.

SHI는 구간 최고 점수값, SLO는 구간 최저 점수값, CHI는 구간 최고 농도값, CLO는 구간 최저 농도값이다. S HI is the maximum score of the section, S LO is the lowest score of the section, C HI is the maximum concentration value of the section, and C LO is the minimum concentration of the section.

외출 정보 저장 모듈(302)은 맵 데이터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외부 활동에 관한 정보, 바람직하게는 하루 중 정기적으로 이루어지는 외출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The outgoing information storage module 302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external activity of the user, preferably related to the outgoing, which is performed regularly during the day, in association with the map data.

여기서, 외출 관련 정보는 평균적인 외출 시작 시간, 종료 시간 및 외출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outgoing 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average outgoing start time, end time, and outgoing path.

외출 정보 저장 모듈(302)은 GPS 정보를 이용하여 외출 경로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외출 관련 정보로 저장한다. GPS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외출 시작 시간 및 외출 종료 시간도 모니터링할 수 있다. The outgoing information storage module 302 monitors the outgoing route using the GPS information and stores it as outgoing related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user's start time of going out and the end time of going out using GPS information.

물론 이들 정보는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이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Of course, this information may be entered directly by the user through the interface that the application outputs.

대응 정보 생성 모듈(304)은 계산된 영향지수, 서비스 서버(104)로부터 제공된 미세먼지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소정 행동을 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대응 정보를 생성한다.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304 generates corresponding information for guiding the user to perform a predetermined action using the calculated influence index and the fine dust related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rvice server 104.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대응 정보는 실내활동 유도, 실외활동 유도, 환기와 같은 정보이며, 나아가 사용자의 외출 패턴을 변경할 것을 유도하는 정보일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ne dust correspond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nformation such as indoor activity inducement, outdoor activity inducement, ventilation, and further information for inducing the user to change the outgoing pattern.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후 1시에서 3시까지 영유아와 함께 산책을 주로 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현재 시간이 12시이고, 미세먼지 농도가 높으나, 오후 5시 이후 현재 위치에서의 미세먼지 농도가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대응 정보 생성 모듈(304)은 산책 시간을 오후 5시 이후에 산책할 것을 유도하는 정보를 생성한다. For example, suppose that the user is going to take a walk with infants between 1 pm and 3 pm. If the current time is 12:00 and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s high but it is expected tha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t the current position after 5:00 pm will be lowere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304 will take a walk time after 5:00 pm Generate information to derive.

또한, 대응 정보 생성 모듈(304)은 사용자 단말(102)에서 실행되는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사용자가 도착하고자 하는 목적지에서의 미세먼지 농도 및 추이 정보를 고려하여 대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304 can generat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the trend information at the destination to which the user desires to arrive, in cooperation with the navigation application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102. [

바람직하게,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경우, 목적지에서의 도착 시간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대응 정보를 생성한다. Preferably, when interworking with a navigation application, fine dust correspondence information is generated using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of arrival time at a destina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204)는 미세먼지 대응 정보를 화면상에 출력한다. As shown in Fig. 4, the processor 204 outputs fine dust corresponding information on the scree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rvic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104)는 수집부(500), 추출부(502) 및 대응 정보 생성부(504)를 포함할 수 있다. 5, the service server 10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collecting unit 500, an extracting unit 502, and a correspond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04. [

수집부(500)는 기상청 등의 서버로부터 지역별 미세먼지 농도 정보, 시간별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수집한다. The collecting unit 500 collects regional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and minut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from a server such as a weather sta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104)는 사용자 단말(102)로부터 서비스 서버(104)로 사용자 단말(102)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요청을 수신한다. 사용자 단말(102)은 미세먼지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이후에 상기한 요청을 서비스 서버(104)로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rvice server 104 receives a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102 to the service server 104,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2 and the user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102 may send the request to the service server 104 after execution of the fine dust response application.

추출부(502)는 상기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위치를 고려한 미세먼지 관련 정보를 추출한다. When the request is received, the extracting unit 502 extracts fine dust-related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location.

미세먼지 관련 정보는 사용자 단말(102)의 현재 위치뿐만 아니라, 외출 경로와 관련된 위치에서의 미세먼지 농도도 포함하며, 각 위치에서의 시간별 미세먼지 추이 정보, 기타 대기오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ne dust-related information includes not only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102 but also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t a position related to the outgoing path, and may include time-dependent fine dust transition information at each position and other air pollution information.

미세먼지 관련 정보는 사용자 단말(102)로 전송되며, 사용자 단말(102)은 도 2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미세먼지 대응 정보를 생성한다. The fine dust rela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2, and the user terminal 102 generates fine dust corresponding informatio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미세먼지 대응 정보는 센서 모듈(100)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정보, 서비스 서버(104)가 제공한 미세먼지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이다. The fine dust correspondence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allows the user's behavior to be induced us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module 100 and the fine dust relate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rvice server 104.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먼지 대응 정보는 사용자 단말(102)로부터 위치 정보 및 현재 위치에서의 미세먼지 농도, 즉 센서 모듈(100)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104)가 생성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e dust corresponden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2 to the service server 104 (or 104) 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t the current position, ) May be generated.

서비스 서버(104)의 미세먼지 대응 정보 생성부(504)는 사용자 단말(102)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미리 수집된 미세먼지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2)의 위치를 고려한 미세먼지 대응 정보를 생성한다. The fine dust corresponde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504 of the service server 104 may use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2 and the fine dust related information collected in advance to obtain fine dust correspondence information considering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102 .

사용자 단말(102)는 서비스 서버(104)로부터 수신된 미세먼지 대응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출력한다. The user terminal 102 receives the fine dust corresponde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server 104 and outputs it to the scree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대응 정보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fine dust correspon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는 사용자 단말(102)이 센서 모듈(100)과 서비스 서버(104)와 연동하여 미세먼지 대응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FIG. 6 shows that the user terminal 102 generates fine dust correspondence information in cooperation with the sensor module 100 and the service server 104.

도 6을 참조하면, 센서 모듈(100)와 사용자 단말(102)은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페어링된다(단계 600). 센서 모듈(100)과 사용자 단말(102)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구비하면서 근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페어링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sensor module 100 and the user terminal 102 are paired via a local area network (step 600). The sensor module 100 and the user terminal 102 may be automatically paired if they are located at a short distance wit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센서 모듈(100)은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주변 환경 정보를 센싱하고(단계 602), 센싱 정보를 사용자 단말(102)로 전송한다(단계 604).The sensor module 100 senses the ambient information through one or more sensors (step 602) and transmits the sensing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2 (step 604).

사용자 단말(102)은 영유아 나이 정보, 외출 관련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 등을 유지하고(단계 606), 센서모듈(100)로부터 수신된 현재 위치에서의 미세먼지 농도와 영유아 나이를 고려하여 영유아의 미세먼지에 대한 영향지수를 계산한다(단계 608). The user terminal 102 maintains infant age information, outgoing related information,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step 606). The user terminal 102 analyze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the infant age at the current posi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module 100, The impact index for dust is calculated (step 608).

미세먼지 대응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2)은 서비스 서버(104)로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을 전송한다(단계 610).When the fine dust response application is executed, the user terminal 102 transmits a request including the user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user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104 (step 610).

서비스 서버(104)는 시간별, 지역별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며(단계 612), 사용자 단말(102)로부터 단계 610에서와 같은 요청이 수신되면 미세먼지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102)로 전송한다(단계 614). The service server 104 collects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by time and region (step 612), and transmits a fine dust-related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2 when a request such as in step 610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2 (Step 614).

미세먼지 관련 정보는, 사용자 위치 관련 미세먼지 농도 정보, 시간별 미세먼지 추이 정보, 기타 대기오염 정보를 포함한다.The fine dust-related information includes user-site-related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fine dust-particle trend information per hour, and other air pollution information.

사용자 단말(102)은 서비스 서버(104)로부터 상기한 정보를 수신하여 미세먼지 대응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출력한다(단계 616).The user terminal 102 receives the above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server 104, generates fine dust correspondence information, and outputs it (step 616).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대응 정보는 사용자에게 소정 행동을 유도하는 정보일 수 있으며, 단지 현재 위치에서 소정 행동을 유도하는 것뿐만 아니라, 외출 시간 및 외출 경로를 변경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정보일 수도 있다.
The fine dust correspond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nformation for inducing a predetermined behavior to a user and may be information for guiding not only a predetermined behavior at the current position but also changing the outgoing time and the outgoing path .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following claims.

100 : 센서모듈
102 : 사용자 단말
104 : 서비스 서버
100: Sensor module
102: user terminal
104: service server

Claims (10)

미세먼지 대응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
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와 미리 입력된 나이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상기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에서의 영향지수를 계산하고,
미리 저장된 미세먼지 관련 정보와 상기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대응 정보를 생성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미세먼지 대응 장치.
As a fine dust countermeasure device,
A processor; And
A memory coupled to the processor;
/ RTI >
The memory comprising:
Calculating an influence index on the measured fine dust concentr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d at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pre-input age using at least one sensor,
Related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previously stored fine dust-related information and the measured fine dust concentration,
And stores program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모듈과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근거리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미세먼지 대응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sensor module having the at least one sensor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농도는 지름이 10㎛ 이하인 미세먼지의 농도뿐만 아니라, 2.5㎛ 이하의 초미세먼지 농도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대응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ncludes not only a concentration of fine dust having a diameter of 10 mu m or less, but also an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of 2.5 mu m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향지수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계산되는 미세먼지 대응 장치.
[수학식 1]
Figure pat00003

여기서, K는 미세먼지 지수 계수로서 나이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지며, SHI는 구간 최고 점수값, SLO는 구간 최저 점수값, CHI는 구간 최고 농도값, CLO는 구간 최저 농도값이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influence index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Equation 1]
Figure pat00003

K is the fine dust index coefficient with different values depending on the age, S HI is the maximum score of the section, S LO is the minimum score of the section, C HI is the maximum value of the section, and C LO is the minimum value of the 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관련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현재 위치 또는 사용자의 외출 경로에 속하는 지역에서의 미세먼지 농도, 시간별 미세먼지 추이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먼지 대응 정보는, 실내활동 유도, 실외활동 유도, 환기, 외출 시간 또는 외출 경로의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도 정보인 미세먼지 대응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ne dust-related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 service server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includes fine dust concentration and fine dust transition information in an area belonging to the current position or a user's outgoing path,
Wherein the fine dust correspondence information is guidanc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indoor activity inducement, outdoor activity inducement, ventilation, outgoing time, or change of outgoing pa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목적지에서 도착 예상 시간의 미세먼지 농도를 수신하여 미세먼지 대응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대응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mory comprising: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a destination input by a user to the service server in cooperation with a navigation application,
And program instructions for receiv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of the expected arrival time at the destination from the service server to generate fine dust correspondence information.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미세먼지 대응을 위한 서버 장치로서,
시간별/지역별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변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 상기 시간별/지역별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위한 미세먼지 대응 정보를 생성하는 대응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대응을 위한 서버 장치.
1. A server device for fine dust response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via a network,
A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minut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by time / region; And
And a correspond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fine dust corresponding information for the user terminal by us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d at the user terminal,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per hour / Server device for dust contro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정보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유아 또는 노인의 나이 정보를 수신하여 나이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변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에서의 영향지수를 계산하는 미세먼지 대응을 위한 서버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rresponde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comprises:
Receiving the age information of the infant or the elderly from the user terminal, and calculating an influence index in the concentration of the fine dust measured in the vicinity of the user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ag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대응 정보는, 실내활동 유도, 실외활동 유도, 환기, 외출 시간 또는 외출 경로의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도 정보인 미세먼지 대응을 위한 서버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icro dust correspondence information is guidanc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indoor activity inducement, outdoor activity inducement, ventilation, outgoing time, or change of outgoing path.
미세먼지 대응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모듈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센싱 정보는 현재 위치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를 포함함-;
상기 미세먼지 농도와 미리 입력된 나이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상기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에서의 영향지수를 계산하는 단계;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비스 서버로부터 미세먼지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대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대응 방법.

As a method for dealing with fine dust,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sensing information from a sensor module comprising at least one sensor, the sensing information including a measured fine dust concentration at a current location;
Calculating an influence index on the measured fine dust concentration in consideration of a relationship betwe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a previously inputted age;
Receiving fine dust-related information from a service server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And generating fine dust correspondence information using the measured fine dust density.

KR1020160180189A 2016-12-27 2016-12-27 Apparatus and method for dealing with fine dust KR2018007608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189A KR20180076084A (en) 2016-12-27 2016-12-27 Apparatus and method for dealing with fine du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189A KR20180076084A (en) 2016-12-27 2016-12-27 Apparatus and method for dealing with fine du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084A true KR20180076084A (en) 2018-07-05

Family

ID=62920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189A KR20180076084A (en) 2016-12-27 2016-12-27 Apparatus and method for dealing with fine du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6084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975B1 (en) * 2018-08-07 2019-10-14 권태윤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game using fine dust
KR20200092009A (en) * 2019-01-24 2020-08-03 변수연 Method for Managing Indoor Air Using Air Quality Meter, and Managing Server Used Therein
KR20200128226A (en) * 2019-04-18 2020-11-12 에코스솔루션(주) Fine dust concentration prediction system
KR20210009707A (en) * 2019-07-17 2021-01-27 주식회사 에코플레이 System and Apparatus for Notifying Regional Air State
KR20210103779A (en) * 2020-02-14 2021-08-24 에코스솔루션(주) Operation Method of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for Large Building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975B1 (en) * 2018-08-07 2019-10-14 권태윤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game using fine dust
KR20200092009A (en) * 2019-01-24 2020-08-03 변수연 Method for Managing Indoor Air Using Air Quality Meter, and Managing Server Used Therein
KR20200128226A (en) * 2019-04-18 2020-11-12 에코스솔루션(주) Fine dust concentration prediction system
KR20210009707A (en) * 2019-07-17 2021-01-27 주식회사 에코플레이 System and Apparatus for Notifying Regional Air State
KR20210103779A (en) * 2020-02-14 2021-08-24 에코스솔루션(주) Operation Method of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for Large Building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608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aling with fine dust
Kumar et al. Dynamics of coarse and fine particle exposure in transport microenvironments
KR101981618B1 (en) Health care system according to air quality
Cole-Hunter et al. Utility of an alternative bicycle commute route of lower proximity to motorised traffic in decreasing exposure to ultra-fine particles, respiratory symptoms and airway inflammation–a structured exposure experiment
Zallaghi et al. Assessing theEffects of nitrogen dioxide in urban air on health of west and southwest cities of Iran
Huck et al. Combining physiological, environmental and locational sensors for citizen-oriented health applications
JP2018536464A (en) Monitoring exposure to air pollution
Liu et al. Characterization of source-specific air pollution exposure for a large population-based Swiss cohort (SAPALDIA)
Kim et al. Diagnosis of indoor air contaminants in a daycare center using a long-term monitoring
KR102134010B1 (en)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based on infulence of environment
Wong et al. Exposure to industrial air pollutant emissions and lung function in children: Canadian Health Measures Survey, 2007 to 2011.
KR20120125761A (en) Path provider system and the method
JP7479444B2 (en) Methane Peak Detection
KR101975030B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Air-quality index
Apparicio et al. Cycling in one of the most polluted cities in the world: Exposure to noise and air pollution and potential adverse health impacts in Delhi
Bernasconi et al. A scoping review on wearable devices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their application for health and wellness
Moses IoT enabled environmental air pollution monitoring and rerouting system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Saini et al. Applications of IoT in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s
Khalil et al. Real Life Pollution Measurement of Cairo.
İçöz et al. High spatial resolution IoT based air PM measurement system
Barceló et al. Traffic data collection and its standardization
Nurminen et al. A clean air journey planner for pedestrians using high resolution near real time air quality data
Singh et al. An analysis of polluted air consumption and hazards on human health: a study towards system design
Greaves Variability of personal exposure to fine particulates for urban commuters inside automobiles
Ghosh et al. Context Aware City Air Quality Monitoring Esti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