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5026A - Methods and apparatus for lte mimo antennas management - Google Patents

Methods and apparatus for lte mimo antennas manag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5026A
KR20180075026A KR1020160178898A KR20160178898A KR20180075026A KR 20180075026 A KR20180075026 A KR 20180075026A KR 1020160178898 A KR1020160178898 A KR 1020160178898A KR 20160178898 A KR20160178898 A KR 20160178898A KR 20180075026 A KR20180075026 A KR 20180075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antennas
base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im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8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씨티리써치
주식회사 지씨티리써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씨티리써치, 주식회사 지씨티리써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씨티리써치
Priority to KR1020160178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5026A/en
Publication of KR20180075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02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04B7/048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taking channel rank into accou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the mobile station comprising multiple antennas, e.g. to provide uplink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Parameters other than those covered in groups H04B7/0623 - H04B7/0634, e.g. channel matrix rank or transmit mode sel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LTE MIMO antenna management method, capable of obtaining an optimum MIMO gain and an optimum diversity gain in transmission and reception at the same time by constructing a MIMO network optimized for the changed number of antennas by solving a problem that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does not recognize the change of the number of antennas when the number of antennas which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es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state is increased or decreased.

Description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 및 그 장치{METHODS AND APPARATUS FOR LTE MIMO ANTENNAS MANAGEMENT}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LTE MIMO antenna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n LTE MIMO antenna.

LTE(Long Term Evolution)는 4세대 이동통신 규격으로서, 전세계적으로 커버리지가 가장 높은 3세대 이동통신 규격인 WCDMA의 후속 기술이기 때문에 기존 3G 통신망과 연동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즉, 망 투자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서비스 지역을 넓히기에도 용이하여 급속히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고, 최근에는 LTE-A, 광대역 LTE, 광대역 LTE-A, 3밴드 LTE-A 등으로 발전했다.LTE (Long Term Evolution) is a 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and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easy to interwork with the existing 3G communication network because it is a succeeding technology of WCDMA, which is the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with the highest coverage around the world. Recently, LTE-A, broadband LTE, broadband LTE-A, and 3-band LTE-A have been developed, which can reduce network investment costs and facilitate service area expansion.

LTE에서 사용하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술은 다중의 입출력이 가능한 안테나 시스템을 사용하여 공간 다이버시티(diversity)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무선 통신 용량을 높이는 기술이다. 기지국과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를 2개 이상으로 늘려 데이터를 여러 경로로 전송하고 수신단에서 각각의 경로로 수신된 신호를 검출해 간섭을 줄이고 각각의 전송 속도를 낮출 수 있다. K개의 송신안테나에 동일시간에 동일 주파수를 사용하여 독립적인 신호를 전송한다. 이렇게 송신된 신호들은 무선채널상에서 공간적으로 다른 페이딩(fading; 수신되는 전파가 지나온 매질의 변화에 따라 그 수신전파의 강도가 급격하게 변동되는 현상)을 겪게 되어 각 안테나로 수신되는 신호간에는 비상관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안테나마다 다른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기존보다 안테나 수(K개)만큼 더 많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송수신 안테나 수가 K개보다 같거나 많아야 최대의 효과를 낼 수 있다.The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technique used in LTE is a technique for increasing wireless communication capacity by effectively utilizing space diversity using an antenna system capable of multiple input and outpu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number of antennas of the base station and the mobile terminal by more than two to transmit the data through a plurality of paths and to detect the signals received by the receiving end in each path, thereby reducing the interference and lowering the transmission speed. Independent signals are transmitted to the K transmit antennas using the same frequency at the same time. The transmitted signals are subjected to spatially different fading (a phenomenon in which the intensity of the received radio waves is rapidly varied according to changes in the medium through which the received radio waves are transmitted), and thus, . Therefore, by transmitting / receiving different signals for each antenna, more data can be transmitted / received by the number of antennas (K) than the conventional one. In this case, if the number of transmitting / receiving antenna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K, the maximum effect can be obtained.

MIMO 안테나는 기지국 인프라가 점점 향상되면서 2x2 MIMO, 4x4 MIMO을 지원하게 되었고, 이제는 8x8 MIMO 및 그 이상의 지원도 속속 가능하게 되면서 안테나를 무선 통신 장치에 집적하는 기술도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그런데, 스마트폰 등의 휴대 장치의 경우는 장치의 크기가 제한되어 있어서, 복수개의 안테나들을 서로 간섭이 최소화하게 배치하는 것이 제한이 있다. 즉, 2개 내지 8개 또는 그 이상의 안테나를 좁은 공간에 넣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공간적인 제약을 해결하고자 안테나가 장착된 배터리 또는 별도의 베이스 장치 등을 활용하여 안테나 수를 확장하는 기술들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배터리 문제로 인하여 저전력 모드로 사용하고 싶을 때는 일부 안테나의 접속을 끊어 전력소모를 줄이는 방법들도 공지되어 있다. 이와 관련된 특허들로는 JP 2008-166855 A, KR 10-1309855 B1, JP 5950359 등이 있다.MIMO antennas have been developed to support 2x2 MIMO and 4x4 MIMO with increasing base station infrastructure. Now, with the support of 8x8 MIMO and beyond, it is becoming important to integrate antennas into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However, in the case of a portab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the size of a device is limited, and there is a limitation in arranging a plurality of antennas so as to minimize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That is, it is difficult to put two to eight or more antennas into a narrow space. Accordingly, techniques for expanding the number of antennas by using a battery equipped with an antenna or a separate base device or the like are known in order to solve such a spatial limit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are also known method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disconnecting some antennas when the battery is to be used in a low power mode due to a problem. Related patents include JP 2008-166855 A, KR 10-1309855 B1, JP 5950359, and the like.

그런데, 무선 통신 장치는 이동통신 기지국과 접속이 될 때 사용하는 안테나 수를 참조하여 기지국과 MIMO 네트워크 셋업이 되고 나면, 그 이후에는 안테나 수가 변경이 되더라도 기지국에 이를 알려줄 수 있는 방법이 LTE 통신 규약(3GPP)에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네트워크에 접속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무선 통신 장치의 안테나 수를 확장하여도 기지국은 이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안테나 수 확장에 따른 'MIMO 이득(gain)'은 얻을 수 없고, 단지 수신 안테나 수만 확장된 효과가 있기 때문에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만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에서 2개의 안테나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2x2 MIMO 모드로 사용하다가 4개의 안테나를 사용하게 되어도 기지국에서는 이를 인지하지 못하여, 속도를 2배 높일 수 4x4 MIMO 모드로 운용을 하지 못하고 계속 2x2 MIMO 모드로만 운용을 한다. 그러면 무선 통신 장치는 2x2 MIMO 모드에서 단지 수신 안테나 수만 4개가 된 결과가 되어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만 얻을 수 있고, 4x4 MIMO 모드로 얻을 수 있는 송수신 MIMO 이득은 얻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When the MIMO network is set up with the base station by referring to the number of antennas use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 method of informing the base station of the change in the number of antennas thereafter is referred to as the LTE communication protocol 3GPP). Therefore, even if the number of antennas of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is extended while the mobile station is connected to the network, the base station does not know the MIMO gain due to the extension of the number of antennas, The reception diversity gain can be obtained. For example, if 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connects to a network with two antennas and uses the antenna in a 2x2 MIMO mode and uses four antennas, the base station does not recognize the same and can not operate in a 4x4 MIMO mode Continue to operate in 2x2 MIMO mode only. Then, in the 2x2 MIMO mode, th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has only four receiving antennas, resulting in only the reception diversity gai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IMO gain obtained in the 4x4 MIMO mode can not be obtained.

JP 2008-166855 A.JP 2008-166855 A. KR 10-1309855 B1.KR 10-1309855 B1. JP 5950359.JP 5950359.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접속 상태에서 무선 통신 장치가 사용하는 안테나 수가 증가 또는 감소할 때, 이동통신 기지국이 안테나 수의 변동을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최적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more specifically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when a number of antennas used by a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increases or decreases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state, And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solving a problem that can not be solved and maintaining optimum performanc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 개 이상의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망 기지국에 접속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LTE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안테나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안테나 수(N)를 검출하여 Nmax를 결정하는 단계; 실제로 사용할 안테나 수(M)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에 접속시, 상기 기지국에 최대 MIMO 레이어 수(maximum number of MIMO layers)는 상기 Nmax 인 것을 보고하는 단계; 상기 M 이하의 값으로 RI(Rank Indicator)를 세팅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에 상기 세팅된 RI를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ntenna apparatus including: at least one antenna; And a processor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ase station via the antenna, the method comprising: detecting a maximum number N of antennas that can be used by the processor, determining a max ; Detecting a number M of actually used antennas; Upon connection to the base station, reporting to the base station that a maximum number of MIMO layers is N max ; Setting a Rank Indicator (RI) at a value equal to or less than M; And reporting the set RI to the base station.

상기 세팅된 RI를 보고한 후,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하는 안테나 수가 변동되는 경우, 상기 변동 후에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할 안테나 수(P)를 검출하고, 상기 P 이하의 값으로 상기 RI를 갱신하고, 상기 기지국에 상기 갱신된 RI를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Detecting the number of antennas (P) to be used by the processor after the change if the number of antennas used by the processor varies after reporting the set RI, updating the RI with a value less than or equal to P, And reporting the updated RI to the RI.

상기 RI는,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중인 안테나 수가 변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중인 안테나 수 이하의 범위에서 수시로 변할 수 있는 값일 수 있다.The RI may be a value that can be changed from time to time in a range equal to or less than the number of active antennas when the number of antennas being used by the processor does not vary.

상기 Nmax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N이 1 혹은 2이면 Nmax는 2로, 상기 N이 3 혹은 4이면 Nmax는 4로, 상기 N이 5, 6, 7 혹은 8이면 Nmax는 8로 결정할 수 있다.In determining the N max, wherein N a is 1 or 2 if N max = 2, where N is a 3 or 4 if N max to 4, wherein the N is 5, 6, is 7 or 8 N max is 8 .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하는 안테나 수가 변동되는 경우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사용 중이던 안테나의 일부를 사용하지 않게 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사용하지 않던 안테나의 일부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서 안테나의 일부가 단락되거나 탈착되는 경우; 혹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추가 안테나가 부착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number of antennas used by the processor varies,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does not use a part of the antenna being used; A case where a part of an antenna not used by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is used; When a part of the antenna is short-circuited or detached in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Or a case where an additional antenna is attach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한 개 이상의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망 기지국에 접속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할 안테나 수(M)를 검출하여 Nmax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에 접속시, 상기 기지국에 최대 MIMO 레이어 수는 상기 Nmax 인 것을 보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에 최대 MIMO 레이어 수를 보고한 후, 사용하는 안테나 수가 변동되는 경우, 사용할 안테나 수(P)를 검출하여 상기 Nmax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 접속을 해제한 후 재접속 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 재접속시, 상기 기지국에 최대 MIMO 레이어 수는 상기 갱신된 Nmax 인 것을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ntenna apparatus including: at least one antenna; And a processor for acces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ase station through the antenna, the method comprising: detecting N M max by detecting a number M of antennas to be used by the processor; Upon connection to the base station, reporting to the base station that the maximum number of MIMO layers is N max ; Updating the N max by detecting the number of antennas (P) to be used when the number of used antennas changes after reporting the maximum number of MIMO layers to the base station; Disconnecting and reconnecting to the base station; And reconnecting when the base station, the maximum number of MIMO layers in the base station is the LTE MIMO antenna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reporting that the N max the updated are provided.

상기 Nmax를 결정 혹은 갱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M 혹은 상기 P가 1 혹은 2이면 Nmax는 2로, 상기 M 혹은 상기 P가 3 혹은 4이면 Nmax는 4로, 상기 M 혹은 상기 P가 5, 6, 7 혹은 8이면 Nmax는 8로 결정 혹은 갱신할 수 있다.In the determining or updating the N max, the M or if the P is 1 or 2 N max is 2, the M or if the P is 3 or 4, N max is a 4, is the M or the P 5 , 6, 7, or 8, N max can be determined or updated to 8.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하는 안테나 수가 변동되는 경우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사용 중이던 안테나의 일부를 사용하지 않게 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사용하지 않던 안테나의 일부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서 안테나의 일부가 단락되거나 탈착되는 경우; 혹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추가 안테나가 부착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number of antennas used by the processor varies,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does not use a part of the antenna being used; A case where a part of an antenna not used by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is used; When a part of the antenna is short-circuited or detached in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Or a case where an additional antenna is attach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한 개 이상의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망 기지국에 접속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전술한 각 방법에 따른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에 의해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ntenna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antenna; And a processor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ase station via the antenna, the processor configured to operate by an LTE MIMO antenna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methods.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제 1 안테나 확장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사용할 수 있는 안테나 수가 증가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urther includes a first antenna extension connector, through which the number of antennas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n use can be increased.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한 개 이상의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에 연결된 제 2 안테나 확장 커넥터를 포함하는 베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장치는, 청구항 10항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고, 상기 제 1 안테나 확장 커넥터와 상기 제 2 안테나 확장 커넥터가 접속됨으로써,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사용할 수 있는 안테나 수가 증가되도록 구성되는, 베이스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ntenna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antenna; And a second antenna extension connector connected to the antenna, wherein the base device is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0, and the first antenna extension connector and the second antenna And the expansion connector is connected, whereby the number of antennas that can be used by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is increased.

상기 베이스 장치는 배터리팩(battery pack), 크래들(cradle) 혹은 충전 장치 중의 하나일 수 있다.The base device may be one of a battery pack, a cradle or a charging devic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 및 베이스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객 댁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한 개 이상의 안테나로 구성되는 제 1 안테나부; 상기 제 1 안테나부를 통해 이동통신망 기지국에 접속하는 프로세서; 및 제 1 안테나 확장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장치는, 한 개 이상의 안테나로 구성되는 제 2 안테나부; 및 상기 제 2 안테나부에 연결된 제 2 안테나 확장 커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 통신 장치와 상기 베이스 장치는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고, 상기 제 1 안테나 확장 커넥터와 상기 제 2 안테나 확장 커넥터가 접속됨으로써,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사용할 수 있는 안테나 수가 증가되도록 구성되는, 고객 댁내 장치(CPE; Customer Premises Equipment)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ustomer premise apparatus 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 base apparatus,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includes a first An antenna section; A processor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ase station through the first antenna unit; And a first antenna extension connector, wherein the base device comprises: a second antenna unit composed of one or more antennas; And a second antenna extension connector connected to the second antenna unit,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base device are attachable and detachable, and the first antenna extension connector and the second antenna extension connector are connected, There is provided a customer premises equipment (CPE) configured to increase the number of antennas that can be us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상기 베이스 장치는 USB접속부, 충전부 혹은 이더넷 포트 중의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one of a USB connection unit, a charging unit, and an Ethernet port.

상기 베이스 장치는 배터리팩, 크래들 혹은 충전 장치 중의 하나일 수 있다.The base device may be one of a battery pack, a cradle, or a charging device.

상기 프로세서는 전술한 각 방법에 따른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에 의해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by an LTE MIMO antenna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methods.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각 방법에 따른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설정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re is also provided a program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set for executing the LTE MIMO antenna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methods.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re is also provid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네트워크 접속 상태에서 무선 통신 장치가 사용하는 안테나 수가 증가 또는 감소할 때, 이동통신 기지국이 안테나 수의 변동을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변동된 안테나 수에 최적화된 MIMO 네트워크를 구축하도록 하여 송신과 수신에서 최적의 MIMO 이득과 다이버시티 이득을 동시에 얻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number of antennas used by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increases or decrease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state,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can not recognize the variation in the number of antennas, An optimized MIMO network can be constructed so that optimal MIMO gain and diversity gain can be obtained simultaneously in transmission and rece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을 사용한 무선 통신 장치(10)와 LTE MIMO 네트워크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을 사용한 무선 통신 장치(10)와 베이스 장치(2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일례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일례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일례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일례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을 사용한 고객 댁내 장치(3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and an LTE MIMO network using an LTE MIMO antenna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and a base device 20 using the LTE MIMO antenna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pecific example of an LTE MIMO antenna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pecific example of an LTE MIMO antenna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pecific example of a method of managing an LTE MIMO antenn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aging an LTE MIMO antenn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ustomer premises equipment 30 using a method of managing an LTE MIMO antenn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may be omitted so as not to overstep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addition, terms and word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to be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but are to be construed in a manner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concep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을 사용한 무선 통신 장치(10)와 LTE MIMO 네트워크의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 장치(10)는 무선 통신 기능이 있는 장치로서 휴대용 단말, 스마트폰, 사용자 단말(UE; User Equipment), 라우터(router), 휴대용 라우터, 텔레메틱스 장치 혹은 거치형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LTE는 LTE-A, LTE-M, NB LTE, 광대역 LTE, 광대역 LTE-A 혹은 3밴드 LTE-A 일 수도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1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and an LTE MIMO network using an LTE MIMO antenna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may be a portable terminal, a smart phone, a user equipment (UE), a router, a portable router, a telematics device, or a stationary device, . The LTE may be an LTE-A, an LTE-M, an NB LTE, a broadband LTE, a broadband LTE-A, or a 3-band LTE-A.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 프로세서(11), 안테나(12), RF부(RF Front End; 13), 기지국(2) 및 무선신호 전송 경로(3)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0)는 프로세서(11), 안테나(12) 및 RF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에는 미도시되어 있지만 메모리, ADC(Analog-to-Digital Converter), DAC(Digital-to-Analog Converter), USB 포트 및 배터리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12)는 안테나가 접속될 수 있는 접속부(또는 포트)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 접속부에 외장 안테나를 접속할 수 있다.1, 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10, a processor 11, an antenna 12, an RF unit (RF front end) 13, a base station 2, and a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path 3 are shown. Th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ocessor 11, an antenna 12, and an RF unit 13. Th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10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a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a USB port, and a battery. Further, the antenna 12 may be a connection portion (or a port) to which an antenna can be connected, and in this case, an external antenna can be connected to this connection portion.

프로세서(11)는 안테나(12)를 통해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무선 통신 장치(10)의 각종 기능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은 프로세서(11)에 구현되며, 상기 방법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프로세서(11)는 DSP, CPU,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혹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일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프로세서(11)는 LTE 모뎀, LTE 칩 또는 LTE SoC(System-on-Chip)에 내장될 수도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processor 11 connects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via the antenna 12 to perform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controls various functions of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10. [ The LTE MIMO antenna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the processor 11, and the method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rocessor 11 may be, but is not necessarily, a DSP, a CPU, a microcontroller, a microprocessor, or an application processor. In addition, the processor 11 may be embedded in an LTE modem, an LTE chip, or an LTE system-on-chip (SoC), but is not limited thereto.

메모리(미도시)는 프로세서(11)와 연결되고, 프로세싱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 영역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메모리는 SRAM, DRAM 또는 플래시메모리일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프로세서(11)와 메모리는 동일 칩 또는 SoC에 내장될 수도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A memory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11 and can be divided into a program memory area for storing processing instructions and a data memory area for storing data. The memory may b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SRAM, DRAM, or flash memory. The processor 11 and the memory may be embedded in the same chip or SoC,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안테나(12)는 이동통신망에 사용되는 셀룰러 안테나일 수 있으며, 1개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LTE MIMO 기술이 사용되기 위해서는 복수개의 안테나가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과 MIMO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2개, 4개, 또는 8개가 많이 사용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에는 4개의 안테나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The antenna 12 may be a cellular antenna used f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one or more antennas may be used. In order to use the LTE MIMO technique, a plurality of antennas can be used. In order to form a MIMO network with a base station, two, four, or eight are often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Fig. 1, four antennas are illustrated by way of example.

RF부(13)는 안테나(12)를 통해 통신망과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ADC(미도시) 나 DAC(미도시)는 RF부(13)와 프로세서(11) 사이에서 RF신호를 샘플링하여 디지털신호화(digitize)하거나 디지털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The RF unit 13 can transmit and receive RF signals to / from th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antenna 12. [ An ADC (not shown) or a DAC (not shown) can sample an RF signal between the RF unit 13 and the processor 11 and digitize the signal or convert the digital signal into an RF signal.

기지국(2)은 4개의 안테나로 4x4 MIMO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eNodeB를 예시로 나타낸 것이다. 기지국(2)의 4개의 안테나와 무선 통신 장치(10) 사이에 4x4 MIMO 무선신호 전송 경로(3)가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론적으로는 1개의 안테나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최대 4배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The base station 2 is an example of an eNodeB capable of configuring a 4x4 MIMO network with four antennas. It can be seen that a 4x4 MIMO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path 3 is formed between the four antennas of the base station 2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 Theoretically, data can be transmitted up to four times faster than when using one antenna.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을 사용한 무선 통신 장치(10)와 베이스 장치(2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10 and a base apparatus 20 using an LTE MIMO antenna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의 구성은 도 1의 구성과 비교하였을 때, 제 1 안테나 확장 커넥터(15)가 추가되고, RF부(13)의 안테나 접속 개수가 8개로 늘어난 것이다. 제 1 안테나 확장 커넥터(15)에 추가적인 안테나가 접속되면 무선 통신 장치(10)가 사용할 수 있는 안테나의 수는 4개 이상이 되는 것이다. 제 1 안테나 확장 커넥터(15)는 4개의 안테나를 접속할 수 있는 것을 예를 들었지만, 1개, 2개, 3개, 혹은 그 이상의 개수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10 has a first antenna extension connector 15 added thereto, and the number of antenna connections of the RF unit 13 is increased to eight as compared with the configuration of FIG. 1 . When an additional antenna is connected to the first antenna extension connector 15, the number of antennas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can use is four or more. Although the first antenna extension connector 15 is illustrated as capable of connecting four antennas, it may be one, two, three, or more.

안테나(12)는 이동통신망에 사용되는 셀룰러 안테나일 수 있으며, 1개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LTE MIMO 기술이 사용되기 위해서는 복수개의 안테나가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과 MIMO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2개, 4개, 또는 8개가 많이 사용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에는 4개의 안테나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추가로 4개의 안테나를 접속할 수 있는 구성이다.The antenna 12 may be a cellular antenna used f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one or more antennas may be used. In order to use the LTE MIMO technique, a plurality of antennas can be used. In order to form a MIMO network with a base station, two, four, or eight are often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Fig. 1, four antennas are shown as an example, and a further four antennas can be connected.

베이스 장치(20)는 제 2 안테나 확장 커넥터(25)와 안테나(22)를 포함한다. 안테나(22)는 이동통신망에 사용되는 셀룰러 안테나일 수 있다. 제 2 안테나 확장 커넥터(15)는 4개의 안테나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예를 들었지만, 1개, 2개, 3개, 혹은 그 이상의 개수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안테나(22)의 수도 4개의 예를 들었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base device 20 includes a second antenna extension connector 25 and an antenna 22. The antenna 22 may be a cellular antenna use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lthough the second antenna extension connector 15 has four antennas connected thereto as an example, the second antenna extension connector 15 may have one, two, three, or more antennas. Similarly, although the number of antennas 22 is fou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four.

제 1 안테나 확장 커넥터(15)와 제 2 안테나 확장 커넥터(25)가 접속됨으로써, 무선 통신 장치(10)가 사용할 수 있는 안테나 수가 증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무선 통신 장치(10)가 사용할 수 있는 안테나가 4개에서 8개로 증가되는 것을 예시로 도시하였다.The first antenna extension connector 15 and the second antenna extension connector 25 may be connected to increase the number of antennas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can use. In FIG. 2, the number of antennas that can be used by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10 is increased from four to eight.

베이스 장치(20)는 배터리팩(battery pack), 크래들(cradle) 혹은 충전 장치일 수 있다. 즉, 배터리 혹은 배터리팩이 제 2 안테나 확장 커넥터(25)와 안테나(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크래들(cradle)이 제 2 안테나 확장 커넥터(25)와 안테나(22)를 포함하여 안테나 확장용 장치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충전기 또는 충전 장치에 제 2 안테나 확장 커넥터(25)와 안테나(22)를 포함시킴으로써, 무선 통신 장치(10)의 안테나 수를 확장시키는 효과와 충전 효과를 동시에 볼 수도 있다.The base device 20 may be a battery pack, a cradle or a charging device. That is, the battery or the battery pack may include the second antenna extension connector 25 and the antenna 22. A cradle may also be used as an antenna extension device, including a second antenna extension connector 25 and an antenna 22. [ In addition, by including the second antenna extension connector 25 and the antenna 22 in the charger or the charging device, the effect of expanding the number of antennas of the radio communication device 10 and the charging effect can be seen at the same time.

이러한 안테나 확장을 위한 베이스 장치(20)는 휴대 장치의 경우 그 수요가 크다. 대표적인 휴대장치인 스마트폰은 그 크기가 제한되어 있어서, 복수개의 안테나들을 서로 간섭이 최소화하게 배치하는 것이 제한이 있기 때문이다. 즉, 2개 내지 8개 또는 그 이상의 안테나를 좁은 공간에 넣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공간적인 제약을 해결하고자 베이스 장치(20)를 부착하여 안테나 수를 확장하는 것이다.The base device 20 for such antenna expansion is in great demand in the case of a portable device. The size of a smart phone as a typical portable device is limited because there is a limitation in arranging a plurality of antennas to minimize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That is, it is difficult to put two to eight or more antennas into a narrow space. Therefore, in order to solve such a spatial limitation, the base apparatus 20 is attached to extend the number of antennas.

이하에서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무선 통신 장치(10)가 기지국에 접속 중일 때, 사용하는 안테나의 수가 변동되는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 case where the number of used antennas changes when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10 i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to explain an LTE MIMO antenna management method.

1. 무선 통신 장치(10) 내에서 사용 안테나의 수가 '감소'하는 경우: 안테나(12)는 최고의 속도가 필요할 때는 최대한 많은 수의 안테나를 사용한다. 하지만, 저전력 모드로 사용할 필요가 있을 경우(예를 들면, 배터리의 잔량이 적거나, 대기모드 이거나, 데이터 사용량이 현저히 적은 경우 등)에는 복수 개의 안테나 중 일부를 사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 안테나와 연결되어 있는 로직 또는 프로세서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등의 방법으로 전력 사용을 줄일 수 있다. 또는, 일부 안테나 또는 상기 일부 안테나와 연결된 부분들이 물리적으로 망실 또는 단락되어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안테나의 수가 감소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1. When the number of used antennas is " reduced " in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10: The antenna 12 uses the maximum number of antennas when the maximum speed is required. However, some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may not be used when it is necessary to use them in the low power mode (for example, when the remaining battery level is low, the standby mode, or the data usage is extremely small). In this case, power usage can be reduced by not supplying power to the logic or processor connected to the unused antenna. Or, some antennas or portions connected to some of the antennas may be physically lost or shortened, so that the number of antennas that can actually be used may decrease.

2. 무선 통신 장치(10) 내에서 사용 안테나의 수가 '증가'하는 경우: 상술한 저전력 모드가 종료되면 사용하는 안테나의 수는 다시 증가하게 된다.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최고 속도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안테나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2. When the number of used antennas is increased in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10: When the above-described low power mode is ended, the number of used antennas is increased again. Or to increase the number of antennas used to use the highest speed depending on the needs of the user.

3. 무선 통신 장치(10)와 베이스 장치(2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베이스 장치(20)를 탈착하는 경우 안테나의 수가 '감소'할 수 있다.3. When the base apparatus 20 is detached in a state where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10 and the base apparatus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number of antennas can be reduced.

4. 무선 통신 장치(10)와 베이스 장치(20)의 결합으로 사용 안테나의 수가 '증가'할 수 있다.4. The combin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and the base device 20 can increase the number of used antennas.

그런데, 배경 기술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장치(10)는 이동통신 기지국과 접속이 될 때 사용하는 안테나 수를 참조하여 기지국과 MIMO 네트워크 셋업이 되고 나면, 그 이후에는 안테나 수가 변경이 되더라도 기지국에 이를 알려줄 수 있는 방법이 LTE 통신 규약(3GPP)에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네트워크에 접속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무선 통신 장치의 안테나 수를 확장하여도 기지국은 이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안테나 수 확장에 따른 'MIMO 이득(gain)'은 얻을 수 없고, 단지 수신 안테나 수만 확장된 효과가 있기 때문에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만 얻을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MIMO 안테나 관리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일례들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IMO network is set up with the base station by referring to the number of antennas use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10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no way to tell it in the LTE communication protocol (3GPP). Therefore, even if the number of antennas of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is extended while the mobile station is connected to the network, the base station does not know the MIMO gain due to the extension of the number of antennas, The reception diversity gain can be obtained. 3 to 6 are flowcharts showing specific examples of a MIMO antenna management method for solving such a problem.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일례로서, 무선 통신 장치(10)가 기지국에 접속할 때의 MIMO 네트워크 셋업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S30)이다.3 is a flowchart (S30) illustrating a MIMO network setup step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connects to a base station, as an example of a method for managing an LTE MIMO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S31 단계에서는 무선 통신 장치(10) 혹은 무선 통신 장치(10)에 내장된 프로세서(11)가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안테나 수(N)를 검출한다. 상기 N은 무선 통신 장치(10)가 사용할 안테나는 물론이고, 당장은 사용하지 않지만 향후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는 안테나를 포함하고, 베이스 장치(20)를 연결하여 확장될 수 있는 안테나 수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예시에서는 N=4이며, 도 2의 예시에서는 베이스 장치(20)의 안테나까지 더하여 N=8이 된다.Referring to FIG. 3, in step S31, the maximum number of antennas N that can be used by the processor 11 incorporated in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10 or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10 is detected. The N may include an antenna that can be used at any time in the future as well as an antenna to be us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and an antenna that can be extended by connecting the base device 20. In the example of FIG. 1, N = 4, and in the example of FIG. 2, N = 8 in addition to the antenna of the base apparatus 20.

상기 N을 검출하고 나면, 기지국에 보고(report)할 최대 MIMO 레이어 수(maximum number of MIMO layers)를 결정 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최대 MIMO 레이어 수를 Nmax 라고 하기로 한다. LTE 통신 규약(3GPP)에 최대 MIMO 레이어 수는 2, 4 혹은 8로 정의되어 있으며, 각각은 2x2, 4x4 혹은 8x8 MIMO 네크워크를 형성한다. 상기 검출된 N이 2, 4 혹은 8이면, Nmax 를 각각 2, 4 혹은 8로 결정할 수 있다. N이 2의 지수 함수가 아닌 경우도 가능한데, 예를 들면, N이 1이면 Nmax 는 2, N이 3이면 Nmax 는 4, N이 5, 6 혹은 7이면 Nmax 는 8로 결정할 수 있다.After detecting the N, a maximum number of MIMO layers to report to the base station may be determined. Here, the maximum number of MIMO layers is N max . The maximum number of MIMO layers in the LTE communication protocol (3GPP) is defined as 2, 4, or 8, each of which forms a 2x2, 4x4, or 8x8 MIMO network. If the detected N is 2, 4, or 8, N max can be determined to be 2, 4, or 8, respectively. For example, if N is 1, N max is 2, if N is 3, N max is 4, and if N is 5, 6, or 7, N max can be determined to be 8 .

이렇게 무선 통신 장치(10)가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안테나 수(N)를 참조하여' 최대 MIMO 레이어 수 Nmax 를 결정하는 이유는, 네트워크 접속 중에 안테나의 수가 변동되었을 때, 최대 안테나 수에 따른 최대 MIMO 네트워크 상에서 RI(Rank Indicator) 값을 변동시키면 마치 MIMO 안테나 수(또는 레이어 수)가 바뀐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10 determines the maximum number of MIMO layers N max with reference to the maximum number of antennas N that can be used is that when the number of antennas changes during the network connection, This is because if the RI (Rank Indicator) value is changed on the MIMO network, the same effect as the change of the number of MIMO antennas (or the number of layers) can be obtained.

무선 통신 장치(10)가 기지국에 보고하는 채널 품질 피드백(channel quality feedback)은 RI,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ex) 등으로 구성되는데, 이들은 기지국의 운용에 따라 주기적(periodic) 또는 비주기적(aperiodic)으로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무선 채널을 보고한다. 이 중 RI는 무선 통신 장치(10)가 CQI를 보고하는 시점에서 수신 가능한 MIMO 레이어수를 기지국에 알려주는 변수(parameter)인데, 수신 안테나 별로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해서 결정하고, 여기에 현재 무선 통신 장치(10)에서 수신 가능한 안테나 수를 고려해서 보고한다. 다만, 초기에 반드시 최대 MIMO 레이어 수를 세팅해주어야 한다.The channel quality feedback reported to the base station by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10 is composed of RI, a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a pre-coding matrix index (PMI), and the like. periodic or aperiodic radio channels that are changed in real time. The RI is a parameter that informs the base station of the number of MIMO layers that can be received at the time when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10 reports the CQI. The RI analyzes and determines the data received for each of the reception antennas, Considering the number of antennas that can be received by the device 10. However, the maximum number of MIMO layers must be initially set.

S33 단계에서는 무선 통신 장치(10)가 실제로 사용할 안테나의 수(M)를 검출한다. 도 2의 예시를 참조하면, 베이스 장치(20)를 탈착시킨 상태라면, M=4가 된다.In step S33, the number (M) of antennas to be actually used by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10 is detected. Referring to the example of FIG. 2, if the base apparatus 20 is detached, M = 4.

무선 통신 장치(10)가 기지국에 접속을 하고(S35), 기지국에 CQI를 보고(report)를 할 때 최대 MIMO 레이어 수는 Nmax 라고 보고를 할 수 있다(S37). 그러면, 도 2의 예시를 참조하면, N = 8, Nmax = 8 이므로 8x8 MIMO 레이어 네트워크가 형성된다.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i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S35), reports the CQI to the base station the maximum number of MIMO layers when a (report) may be reported to be N max (S37). Then, referring to the example of FIG. 2, an 8x8 MIMO layer network is formed because N = 8 and N max = 8.

S39 단계에서는 RI 값을 M 이하의 값으로 세팅하고, 상기 세팅된 RI 값을 기지국에 보고한다. RI는 무선 통신 장치(10)가 CQI를 보고할 때마다 수시로 변할 수 있는 값이며, 항상 상기 M 이하의 값이어야 한다. 도 2의 예시를 참조하면, 베이스 장치(20)를 탈착시킨 상태라면, RI는 4 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러면, 상기 RI 값을 보고 받은 기지국은 이 RI 값에 맞게 MIMO 레이어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 장치(10)와 통신할 수 있다.In step S39, the RI value is set to a value equal to or less than M, and the set RI value is reported to the base station. The RI is a value that can be changed from time to time whenever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10 reports the CQI, and should always be the value of M or less. Referring to the example of FIG. 2, if the base device 20 is detached, the RI can have a value of 4 or less. Then, the base station reporting the RI value can communicate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using the MIMO layer according to the RI valu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일례로서, S30에서 예시한 방법에 따라 무선 통신 장치(10)가 기지국에 접속을 한 후, 사용하는 안테나의 수가 변동 되었을 때의 MIMO 안테나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S40)이다.4 is a specific example of a method for managing an LTE MIMO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10 connects to a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method illustrated in S30, (S40) showing a method for managing the MIMO antenna at the time when the MIMO antenna is used.

도 4를 참조하면, S41 단계에서는, S30에서 예시한 방법에 따라 무선 통신 장치(10)가 기지국에 접속을 한 후, 사용하는 안테나의 수에 변동이 있는지를 파악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에 베이스 장치(20)가 결합되면 안테나의 수가 늘어나므로 S43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10)가 저전력 모드에서 깨어나서 안테나의 수가 늘어날 수도 있다. 또는, 무선 통신 장치(10)와 베이스 장치(2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베이스 장치(20)가 탈착되어 안테나의 수가 감소하는 경우일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4, in step S41,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number of used antennas after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10 connects to the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method illustrated in S30. For example, if the base apparatus 20 is connected to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10, the number of antennas is increased. In addition, the number of antennas may increase because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10 wakes up in the low power mode. Alternatively, the base apparatus 20 may be detached in a state where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10 and the base apparatus 20 are coupled,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antennas.

S43 단계에서는 사용할 안테나의 수(P)를 검출한다. 도 2의 예시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에 베이스 장치(20)가 결합되면서 P = 8 이 된다.In step S43, the number P of antennas to be used is detected. Referring to the example of FIG. 2, P = 8 while the base apparatus 20 is coupled to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10.

S45 단계에서는 RI 값을 기존의 'M 이하의 값'이 아닌 새로운 값인 'P 이하의 값'으로 세팅한다. 그리고, 새로 세팅된 RI 값을 기지국에 보고한다. RI는 무선 통신 장치(10)가 기지국에 CQI를 보고하는 시점에 수신 가능한 MIMO 레이어수를 기지국에 알려주는 변수로서 수시로 변할 수 있는 값이며, 항상 상기 P 이하의 값이어야 한다.In step S45, the RI value is set to a new value 'P or less' instead of the existing value of 'M or less'. The newly set RI value is reported to the base station. The RI is a value that can be changed from time to time as a variable for notifying the base station of the number of receivable MIMO layers at the time when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10 reports the CQI to the base station,

도 2의 예시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에 베이스 장치(20)가 결합되면서, 이제 RI는 8 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런데, 이미 최초 접속시에 최대 MIMO 레이어 수를 8로 보고한 상태이기 때문에, 새로운 RI 값을 보고 받은 기지국은 8x8 MIMO 레이어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 장치(10)와 통신하게 된다. 즉, 안테나 수가 증가되었다는 것을 기지국은 인지를 하지 못하지만, 상기 방법을 통하여 마치 기지국이 안테나 수가 변경된 것으로 인지하여 MIMO 레이어 수를 늘린 것과 같은 효과를 보게 된 것이다.Referring to the example of FIG. 2, the base device 20 is coupl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and the RI can now have a value of 8 or less. However, since the maximum number of MIMO layers is reported as 8 at the time of initial connection, the base station reporting the new RI value communicates with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10 using the 8x8 MIMO layer. That is, although the base station can not recognize that the number of antennas is increased, the base station recognizes that the number of antennas has changed and increases the number of MIMO layers through the above method.

도 2의 예시에서 무선 통신 장치(10)에 베이스 장치(20)가 결합된 상태에서 '탈착'이 되는 경우를 설명하면, 최초 접속시에 최대 MIMO 레이어 수를 8로 보고하여 8x8 MIMO 레이어 네트워크가 형성된다. 그 이후 안테나 수가 8에서 4로 변경된다. 그러면, RI 값도 8 이하인 값을 사용하다가, 이제는 4 이하인 값을 사용하므로, 새로운 RI 값을 보고 받은 기지국은 4x4 MIMO 레이어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 장치(10)와 통신하게 된다. 즉, 안테나 수가 감소되었다는 것을 기지국은 인지를 하지 못하지만, 상기 방법을 통하여 마치 기지국이 안테나 수가 변경된 것으로 인지하여 MIMO 레이어 수를 줄인 것과 같은 효과를 보게 된 것이다.In the example of FIG. 2, when the base apparatus 20 is coupled to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10, the 'detachment' state will be described. In the first connection, the maximum number of MIMO layers is reported as 8, . After that, the number of antennas is changed from 8 to 4. In this case, since the RI value is a value less than or equal to 8 and is no more than 4, the base station reporting the new RI value will communicate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using the 4x4 MIMO layer. In other words, although the base station can not recognize that the number of antennas is reduced, the base station recognizes that the number of antennas has chang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number of MIMO layers.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일례로서, 무선 통신 장치(10)가 기지국에 접속할 때의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S50)이다. S30과 S40은 사용 가능한 최대 안테나 수와 RI 값을 사용하였지만, S50은 이를 사용하지 않는 다른 방법이다.FIG. 5 is a flowchart (S50) showing a method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to connect to the base station, as a specific example of the LTE MIMO antenna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30 and S40 use the maximum number of usable antennas and the RI value, but S50 is another method that does not use them.

도 5를 참조하면, S51 단계에서는 사용할 안테나의 수(M)를 검출한다. 도 2의 예시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만을 사용하는 경우 M = 4 가 된다.Referring to FIG. 5, in step S51, the number (M) of antennas to be used is detected. Referring to the example of FIG. 2, M = 4 when only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10 is used.

M을 검출하고 나면, 기지국에 보고(report)할 최대 MIMO 레이어 수 Nmax 를 결정 할 수 있다. 최대 MIMO 레이어 수는 2, 4 혹은 8로 정의되어 있으며, 각각은 2x2, 4x4 혹은 8x8 MIMO 네크워크를 형성한다. 상기 검출된 M이 2, 4 혹은 8이면, Nmax 를 각각 2, 4 혹은 8로 결정할 수 있다. M이 2의 지수 함수가 아닌 경우도 가능한데, 예를 들면, M이 1이면 Nmax 는 2, M이 3이면 Nmax 는 4, M이 5, 6 혹은 7이면 Nmax 는 8로 결정할 수 있다.Once M is detected, the maximum number of MIMO layers N max to report to the base station can be determined. The maximum number of MIMO layers is defined as 2, 4, or 8, each of which forms a 2x2, 4x4, or 8x8 MIMO network. If the detected M is 2, 4, or 8, N max can be determined to be 2, 4, or 8, respectively. For example, if M is 1, N max is 2, if M is 3, N max is 4, and if M is 5, 6, or 7, N max can be determined to be 8 .

무선 통신 장치(10)가 기지국에 접속을 하고(S53), 기지국에 보고(report)를 할 때 최대 MIMO 레이어 수는 Nmax 라고 보고를 할 수 있다(S55). 그러면, 도 2의 예시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만을 사용하는 경우, M = 4, Nmax = 4 이므로 4x4 MIMO 레이어 네트워크가 형성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i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S53), the maximum number of MIMO layers in the base station when the report (report) may be reported to be N max (S55). Then, referring to the example of FIG. 2, when only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10 is used, a 4x4 MIMO layer network is formed because M = 4 and N max = 4.

도 6은 S50에서 예시한 방법에 따라 무선 통신 장치(10)가 기지국에 접속을 한 후, 사용하는 안테나의 수가 변동 되었을 때의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S60)이다.6 is a flowchart (S60) showing a management method when the number of used antennas changes after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10 connects to the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method illustrated in S50.

도 6을 참조하면, S61 단계에서는, S50에서 예시한 방법에 따라 무선 통신 장치(10)가 기지국에 접속을 한 후, 사용하는 안테나의 수에 변동이 있는지를 파악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에 베이스 장치(20)가 결합되면 안테나의 수가 늘어나므로 S63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또는, 무선 통신 장치(10)가 저전력 모드에서 깨어나서 안테나의 수가 늘어날 수도 있다. 또는, 무선 통신 장치(10)와 베이스 장치(2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베이스 장치(20)가 탈착되어 안테나의 수가 감소하는 경우일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6, in step S61,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number of used antennas after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10 connects to the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method illustrated in S50. For example, when the base apparatus 20 is connected to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10, the number of antennas is increased. Or, the number of antennas may increase as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awakes from the low power mode. Alternatively, the base apparatus 20 may be detached in a state where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10 and the base apparatus 20 are coupled,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antennas.

S63 단계에서는 상기 안테나 수가 변동된 후에 사용할 새로운 안테나의 수(P)를 검출할 수 있다. P를 검출하고 나면, 기지국에 보고(report)할 최대 MIMO 레이어 수 Nmax 를 결정 할 수 있다. 최대 MIMO 레이어 수 결정 방법은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의 예시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에 베이스 장치(20)가 결합되면서 M = 4, Nmax = 4 에서, P = 8, Nmax = 8 이 된다. In step S63,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number (P) of new antennas to be used after the number of antennas is changed. Once P is detected, the maximum number of MIMO layers N max to report to the base station can be determined.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maximum number of MIMO layers has been described above and will be omitted. 2, when the base apparatus 20 is coupled to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10, P = 8 and N max = 8 at M = 4 and N max = 4.

그런데, 안테나의 수가 증가하였다 하더라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기지국은 이런 상황 변화를 인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S65 단계에서는 무선 통신 장치(10)가 기지국과의 접속을 해제하고 즉시 재접속을 한다. 기지국 재접속시 보고(report)를 할 때 최대 MIMO 레이어 수는 갱신된 Nmax 라고 보고를 할 수 있다(S67). 그러면, 도 2의 예시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에 베이스 장치(20)가 결합되면서 Nmax = 4 에서 8로 바뀌면서, 4x4 MIMO 레이어 네트워크가 8x8 레이어 네트워크로 변경된다.However, even if the number of antennas is increased, the base station does not recognize such a change of state if no action is taken. Therefore, in step S65, the radio communication device 10 releases the connection with the base station and immediately reconnects. When report is made at the time of reconnecting the base station, the maximum number of MIMO layers can be reported as updated N max (S67). Then, referring to the example of FIG. 2, the 4x4 MIMO layer network is changed to the 8x8 layer network while the base apparatus 20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10, and Nmax = 4 to 8 is changed.

S60에서 안테나 수가 변경되더라도 Nmax 값이 변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지국에 재접속을 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사용하는 안테나 수가 4에서 3으로 바뀌어도 Nmax 값은 여전이 4이기 때문에 MIMO 레이어 수를 바꿀 필요는 없는 것이다.If the N max value does not change even if the number of antennas is changed in S60, it is not necessary to reconnect to the base station. For example, even if the number of used antennas changes from 4 to 3, the N max value is still 4, so it is not necessary to change the number of MIMO layers.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을 사용한 장치로서, 무선 통신 장치(10)와 베이스 장치(20)가 결합되어 고객 댁내 장치(CPE; Customer Premises Equipment)(30)로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LTE MIMO antenna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and the base unit 20 are coupled to a customer premises equipment (CPE) As shown in FIG.

고객 댁내 장치(또는 고객 자급 장치; customer-provided equipment)(30)는 가입자의 댁내(구내)에 설치되어 통신 사업자의 종단 지점과 연결되는 모든 단말과 관련 장비이다. 분계점은 통신 서비스 제공자의 분배 기반 구조나 중앙 시설에 위치한 장비와 고객의 장비가 분리되는 건물 내 지점이다. 고객 댁내 장치는 통신 서비스 사업자의 서비스(예를 들면, 이동통신망)에 연결하고 이더넷(Ethernet) 혹은 LAN(Local Access Network)을 통하여 집안 내에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제품이다.A customer premise equipment (or customer-provided equipment) 30 is all the terminals and associated equipment installed in the premises of a subscriber and connected to an end point of the telecommunications carrier. The threshold is the location in the building where the equipment located in the distribution infrastructure or central facility of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s separated from the customer's equipment. The customer premises device is a product that connects to a service of a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akes a service available in the house through an Ethernet or a LAN (Local Access Network).

도 7을 참조하면, 도 2와 비교하여 베이스 장치(20)에 USB 포트(26), 충전부(27) 및 이더넷(Ethernet) 포트(28)가 더 포함된 것이다.Referring to FIG. 7, the base device 20 further includes a USB port 26, a charging unit 27, and an Ethernet port 28 in comparison with FIG.

USB 포트(26)는 무선 통신 장치(10)의 USB 포트(16)와 접속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거나 충전 경로로 사용될 수 있다.The USB port 26 may be connected to the USB port 16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to exchange data or be used as a charging path.

충전부(27)는 USB 포트(26, 16)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10)의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할 수 있다.The charging unit 27 can charge the battery (not show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through the USB ports 26 and 16. [

이더넷 포트(28)는 무선 통신 장치(10)가 무선 통신으로 수신한 데이터를 USB 포트(26)를 통해 받아서 이더넷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으로 수신한 데이터를 와이파이를 통해 전송하는 기능은 무선 통신 장치(10)가 수행할 수 있다.The Ethernet port 28 can receive the data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USB port 26 and transmit it via Ethernet.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data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Wi-Fi.

제 1 안테나부(19)와 제 2 안테나부(29)는 각각 한 개 이상의 셀룰러 안테나를 의미한다. 도 7에서는 각각 4개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지만, 안테나의 수는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first antenna unit 19 and the second antenna unit 29 refer to one or more cellular antennas. In Fig. 7, each of the antennas is composed of four antennas, but the number of antennas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four.

본 실시예에 따른 고객 댁내 장치(30)는, 베이스 장치(20)를 분리하면 휴대가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로 사용할 수 있으며, 베이스 장치(20)를 결합하면 고객 댁내 장치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을 무선 통신 장치(10)에 적용하면 베이스 장치(20)의 탈부착에 따른 안테나 수의 변동에 최적화된 송수신 성능을 가지는 무선 통신 장치 혹은 고객 댁내 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The customer premises equipmen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used as a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y separating the base device 20 and can be used as a customer premises device when the base device 20 is combined. When the LTE MIMO antenna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can be used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or a customer premises device having transmission / reception performance optimized for variation in the number of antennas due to detachment / attachment of the base device 20 .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이동통신 네트워크 접속 상태에서 무선 통신 장치가 사용하는 안테나 수가 증가 또는 감소할 때, 이동통신 기지국이 안테나 수의 변동을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변동된 안테나 수에 최적화된 MIMO 네트워크를 구축하도록 하여 송신과 수신에서 최적의 MIMO 이득과 다이버시티 이득을 동시에 얻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when the number of antennas used by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increases or decrease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state,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can not recognize the variation in the number of antennas, It is possible to obtain optimal MIMO gain and diversity gain in transmission and reception at the same time.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고객 댁내 장치(30)는 베이스 장치(20)에 고가의 LTE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가 장착될 필요가 없고, 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제한된 수의 안테나만 배치되어 있는 무선 통신 장치(10)에 추가적인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무선 통신 장치의 탈부착이 가능하며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통신 효율을 낼 수 있는 효과적인 고객 댁내 장치이다.In addition, the customer premises equipment 3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does not need to be equipped with an expensive LTE processor and a display in the base apparatus 20,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dditional antenna to the base station 10 and apply the LTE MIMO antenna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n effective customer premises device capable of detaching and attach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chieving the maximum communication efficiency at a minimum cost .

또한, 이상에서 설명된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들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도 있다. 언급된 기록 매체는 ROM, 자기 디스크 혹은 콤팩트 디스크, 광 디스크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LTE MIMO antenna management method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may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recording medium mentioned above may be, but is not necessarily, a ROM, a magnetic disk or a compact disk, an optical disk, or the like.

또한, 이상에서 설명된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들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프로세서에 기록될 수도 있다. 언급된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또는 모뎀칩 내부 프로세서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LTE MIMO antenna management method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may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may be written to the processor. The processor referred to may b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microcontroller, an application processor, or a modem chip internal processor.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LTE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기존의 무선통신 규격(GSM, CDMA, WCDMA 등) 및 향후 5G 등 미래의 무선통신 규격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 For exampl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LTE but also to various existing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s (GSM, CDMA, WCDMA, etc.) and future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5G in the futur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2: 기지국(eNodeB)
3: 4x4 MIMO 무선신호 전송 경로(Radio Transmission Paths)
10: 무선 통신 장치
11: 프로세서
12, 22: 안테나
13: RF부
15: 제 1 안테나 확장 커넥터
16, 26: USB 포트
19: 제 1 안테나부
20: 베이스 장치
25: 제 2 안테나 확장 커넥터
27: 충전부
28: 이더넷 포트
29: 제 2 안테나부
2: base station (eNodeB)
3: 4x4 MIMO Radio Transmission Paths
10: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1: Processor
12, 22: antenna
13: RF section
15: first antenna extension connector
16, 26: USB port
19: First antenna section
20: Base unit
25: Second antenna extension connector
27:
28: Ethernet port
29:

Claims (18)

한 개 이상의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망 기지국에 접속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LTE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안테나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안테나 수(N)를 검출하여 Nmax를 결정하는 단계;
실제로 사용할 안테나 수(M)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에 접속시, 상기 기지국에 최대 MIMO 레이어 수(maximum number of MIMO layers)는 상기 Nmax 인 것을 보고하는 단계;
상기 M 이하의 값으로 RI(Rank Indicator)를 세팅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에 상기 세팅된 RI를 보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
One or more antennas; And
A processor for acces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ase station through the antenna;
A method of managing an LTE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antenna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e processor comprising:
Detecting a maximum number of usable antennas (N) and determining N max ;
Detecting a number M of actually used antennas;
Upon connection to the base station, reporting to the base station that a maximum number of MIMO layers is N max ;
Setting a Rank Indicator (RI) at a value equal to or less than M; And
Reporting the set RI to the base station;
/ RTI > Antenna management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팅된 RI를 보고한 후,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하는 안테나 수가 변동되는 경우,
상기 변동 후에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할 안테나 수(P)를 검출하고, 상기 P 이하의 값으로 상기 RI를 갱신하고, 상기 기지국에 상기 갱신된 RI를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fter reporting the set RI, if the number of antennas used by the processor varies,
Further comprising: detecting the number of antennas (P) to be used by the processor after the change, updating the RI with a value less than or equal to P, and reporting the updated RI to the base station How to manag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RI는,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중인 안테나 수가 변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중인 안테나 수 이하의 범위에서 수시로 변할 수 있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I,
When the number of antennas being used by the processor does not fluctuate, the value is a value that can be changed at any time within a range equal to or less than the number of used antenna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max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N이 1 혹은 2이면 Nmax는 2로,
상기 N이 3 혹은 4이면 Nmax는 4로,
상기 N이 5, 6, 7 혹은 8이면 Nmax는 8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determining the N max ,
If N is 1 or 2, N max is 2,
If N is 3 or 4, N max is 4,
And if N is 5, 6, 7, or 8, N max is determined to be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하는 안테나 수가 변동되는 경우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사용 중이던 안테나의 일부를 사용하지 않게 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사용하지 않던 안테나의 일부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서 안테나의 일부가 단락되거나 탈착되는 경우; 혹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추가 안테나가 부착되는 경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number of antennas used by the processor varies,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does not use a part of the antenna that is being used;
A case where a part of an antenna not used by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is used;
When a part of the antenna is short-circuited or detached in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or
When an additional antenna is attach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herein the MIMO antenna comprises a plurality of antennas.
한 개 이상의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망 기지국에 접속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할 안테나 수(M)를 검출하여 Nmax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에 접속시, 상기 기지국에 최대 MIMO 레이어 수는 상기 Nmax 인 것을 보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에 최대 MIMO 레이어 수를 보고한 후, 사용하는 안테나 수가 변동되는 경우, 사용할 안테나 수(P)를 검출하여 상기 Nmax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 접속을 해제한 후 재접속 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 재접속시, 상기 기지국에 최대 MIMO 레이어 수는 상기 갱신된 Nmax 인 것을 보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
One or more antennas; And
A processor for acces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ase station through the antenna;
A method of managing an LTE MIMO antenna of 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The processor comprising:
Detecting the number of antennas (M) to be used and determining N max ;
Upon connection to the base station, reporting to the base station that the maximum number of MIMO layers is N max ;
Updating the N max by detecting the number of antennas (P) to be used when the number of used antennas changes after reporting the maximum number of MIMO layers to the base station;
Disconnecting and reconnecting to the base station; And
When reconnecting the base station, the maximum number of MIMO layers in the base sta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porting that the N max the updated;
/ RTI > Antenna management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Nmax를 결정 혹은 갱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M 혹은 상기 P가 1 혹은 2이면 Nmax는 2로,
상기 M 혹은 상기 P가 3 혹은 4이면 Nmax는 4로,
상기 M 혹은 상기 P가 5, 6, 7 혹은 8이면 Nmax는 8로 결정 혹은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In the step of determining or updating N max ,
If M or P is 1 or 2, N max is 2,
If M or P is 3 or 4, N max is 4,
And if M or P is 5, 6, 7, or 8, Nmax is determined to be 8 or updated.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하는 안테나 수가 변동되는 경우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사용 중이던 안테나의 일부를 사용하지 않게 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사용하지 않던 안테나의 일부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서 안테나의 일부가 단락되거나 탈착되는 경우; 혹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추가 안테나가 부착되는 경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n the number of antennas used by the processor varies,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does not use a part of the antenna that is being used;
A case where a part of an antenna not used by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is used;
When a part of the antenna is short-circuited or detached in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or
When an additional antenna is attach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herein the MIMO antenna comprises a plurality of antennas.
한 개 이상의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망 기지국에 접속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청구항 제 1항 내지 청구항 제 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에 의해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One or more antennas; And
And a processor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ase station through the antenna,
Wherein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operate by an LTE MIMO antenna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제 1 안테나 확장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사용할 수 있는 안테나 수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first antenna extension connector,
And the number of antennas that can be us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is increased through the connector.
한 개 이상의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에 연결된 제 2 안테나 확장 커넥터를 포함하는 베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장치는,
청구항 10항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고,
상기 제 1 안테나 확장 커넥터와 상기 제 2 안테나 확장 커넥터가 접속됨으로써,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사용할 수 있는 안테나 수가 증가되도록 구성되는, 베이스 장치.
One or more antennas; And
And a second antenna extension connector connected to the antenna,
The base apparatus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first antenna extension connector and the second antenna extension connector are connected to increase the number of antennas that can be us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장치는 배터리팩(battery pack), 크래들(cradle) 혹은 충전 장치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base device is one of a battery pack, a cradle or a charging device.
무선 통신 장치 및 베이스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객 댁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한 개 이상의 안테나로 구성되는 제 1 안테나부;
상기 제 1 안테나부를 통해 이동통신망 기지국에 접속하는 프로세서; 및
제 1 안테나 확장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장치는,
한 개 이상의 안테나로 구성되는 제 2 안테나부; 및
상기 제 2 안테나부에 연결된 제 2 안테나 확장 커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 통신 장치와 상기 베이스 장치는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고,
상기 제 1 안테나 확장 커넥터와 상기 제 2 안테나 확장 커넥터가 접속됨으로써,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사용할 수 있는 안테나 수가 증가되도록 구성되는, 고객 댁내 장치(CPE; Customer Premises Equipment).
A customer premise apparatus compri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 base apparatus,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includes:
A first antenna unit comprising one or more antennas;
A processor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ase station through the first antenna unit; And
A first antenna extension connector,
The base apparatus includes:
A second antenna unit comprising at least one antenna; And
And a second antenna extension connector connected to the second antenna unit,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base device are attachable and detachable,
Wherein the first antenna extension connector and the second antenna extension connector are connected to increase the number of antennas that can be us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장치는 USB접속부, 충전부 혹은 이더넷 포트 중의 하나를 더 포함하는, 고객 댁내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base device further comprises one of a USB connection, a charger, or an Ethernet port.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장치는 배터리팩, 크래들 혹은 충전 장치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댁내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base device is one of a battery pack, a cradle, and a charging device.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청구항 제 1항 내지 청구항 제 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에 의해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고객 댁내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operate by an LTE MIMO antenna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청구항 제 1항 내지 청구항 제 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LTE MIMO 안테나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설정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A program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set for executing the LTE MIMO antenna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청구항 제 17항에 기재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according to claim 17 is recorded.

KR1020160178898A 2016-12-26 2016-12-26 Methods and apparatus for lte mimo antennas management KR2018007502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898A KR20180075026A (en) 2016-12-26 2016-12-26 Methods and apparatus for lte mimo antennas manag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898A KR20180075026A (en) 2016-12-26 2016-12-26 Methods and apparatus for lte mimo antennas manag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026A true KR20180075026A (en) 2018-07-04

Family

ID=62913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898A KR20180075026A (en) 2016-12-26 2016-12-26 Methods and apparatus for lte mimo antennas manag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5026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66779A (en) * 2022-11-22 2023-03-28 三维通信股份有限公司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downlink scheduling of base station,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US20230119265A1 (en) * 2021-04-22 2023-04-20 T-Mobile Innovations Llc RESTRICTING UPLINK MIMO ASSIGNMENT BASED ON FADING IN AN mmWAVE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19265A1 (en) * 2021-04-22 2023-04-20 T-Mobile Innovations Llc RESTRICTING UPLINK MIMO ASSIGNMENT BASED ON FADING IN AN mmWAVE SYSTEM
US11777559B2 (en) * 2021-04-22 2023-10-03 T-Mobile Innovations Llc Restricting uplink MIMO assignment based on fading in an mmWAVE system
CN115866779A (en) * 2022-11-22 2023-03-28 三维通信股份有限公司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downlink scheduling of base station,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CN115866779B (en) * 2022-11-22 2024-05-14 三维通信股份有限公司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downlink scheduling of base station,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3128B2 (en) Measurement reporting in D2D communication
US114321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broadcast beam domain
US11178612B2 (en)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US11031988B2 (en) Performance-based antenna selection for user devices
US11647556B2 (en) Negotiation on bearer type configurations
US9401756B2 (en) Method for configuring multiple antennas and relat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P2966932B1 (en) Wireless fidelity wi-fi access method for user equipment and wi-fi access node
US9252905B2 (en) Antenna resource management for multi-antenna structure
WO2018095305A1 (en) Beam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TWI692264B (en) Beam management method, network equipment and terminal
KR202300733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d configuring uplink channel parameters
US20190090207A1 (en) Remote radio unit channel transmit power setting method and base station
US20200068501A1 (en) Parameter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180075026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lte mimo antennas management
CN116134743A (en) Beam reporting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beamforming
CN106817748A (en) Save the method and mobile terminal of user equipment power consumption
EP3528556B1 (en) Wake-up-radio discovery frame
KR101866479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bandwidth management using switching between carrier aggregation and diversity gain
EP3383129B1 (en) Master-slave type network-bas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management frame antenna
CN105766024B (en) transmission mode switching method and base station
US20230027215A1 (en) Resumed beamformed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device
CN114374968A (en) Terminal capability reporting method, device and equipment
US202000919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precod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US11924655B2 (en) Method to dynamically adjust 4G LTE reference signal power to match 5G NR coverage footprint to avoid voice over 4G fallback failures for 5G subscribers
US20240056923A1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supporting musim for prioritizing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