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3792A - Touch-sensitive automotive room lamp module - Google Patents

Touch-sensitive automotive room lamp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3792A
KR20180073792A KR1020160177051A KR20160177051A KR20180073792A KR 20180073792 A KR20180073792 A KR 20180073792A KR 1020160177051 A KR1020160177051 A KR 1020160177051A KR 20160177051 A KR20160177051 A KR 20160177051A KR 20180073792 A KR20180073792 A KR 20180073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touch sensing
illumination lens
sensing electrode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0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곽병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7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3792A/en
Publication of KR20180073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79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8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refl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2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xchanging data with external devices, e.g. smart pens, via the digitiser sensing hard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type room lamp module for a vehicle, which can be operated through a simple touch operation of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ouch-type room lamp module for a vehicle includes a housing in which a light source is installed; an illumination lens coupled to the housing to transmi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o the outside; a touch sensor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to generate a touch signal by a user′s touch; a control substrat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to control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a touch signal of the touch sensor; an intermediate structure interposed between the illumination lens and the control board to separate the illumination lens from the control substrate, wherein at least one of touch sensing electrodes constituting the touch sensor is provided to the intermediate structure.

Description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TOUCH-SENSITIVE AUTOMOTIVE ROOM LAMP MODULE}TOUCH-SENSITIVE AUTOMOTIVE ROOM LAMP MODULE [0001]

본 발명은 차량용 룸램프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간단한 터치 동작으로 조작할 수 있는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om lamp modul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uch lamp module for a vehicle which can be operated by a simple touch operation by a user.

현재, 자동차 등의 차량은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승차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장치와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가 구비된다.BACKGROUND ART [0002] Currently, vehicles such as automobiles are required to function as various convenience means capable of providing a more stable and comfortable riding state beyond a function as a moving means. For this reason,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various convenience devices and various switche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same.

그런데 차량에 다양한 편의 장치를 부착하는 것은 운전자의 주의력을 분산시키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이러한 이유로 각종 편의 장치의 구조 단순화 및 컨버전스를 통하여 여러 편의 장치를 단일의 장치로 축약시키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However, attaching various kinds of convenience devices to the vehicle involves a problem of dispersing the driver's attention. For this reason, a variety of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underway to reduce various devices to a single device through simplification of structure and convergence of various convenience devices.

편의 장치의 하나인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단순하게 차량 내부에 조명을 제공해 주는 형태에서 운전자와 동승자에게 편안하고 안락한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진보하고 있다.The vehicle lamp module, which is one of the conveniences, is progressing to provide a comfortable and comfortable atmosphere for the driver and the passenger in the form of simply providing illumination inside the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차량의 실내 루프의 중앙이나 운전석과 보조석 사이에 매립 설치되어 차량 실내를 조명하게 된다.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하우징과, 하우징 속에 설치되는 램프와, 램프를 덮는 조명 렌즈와,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스위치를 포함한다. 작동 스위치로는 일정 길이 연장 돌출된 레버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작동시켜 단자의 전기 접점을 접촉 및 단락시켜 전원을 ON/OFF 하는 토글식 스위치와, 탄성 지지되는 버튼을 눌러 전기 접점을 개폐하여 전원을 ON/OFF 시키는 누름버튼식 스위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a vehicle room lamp module is embedded in the center of an indoor loop of a vehicle or between a driver's seat and an assistant seat to illuminate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e vehicle room lamp module includes a housing, a lamp installed in the housing, an illumination lens covering the lamp, and an operation switch for operating the lamp. A toggle type switch for turning the power on / off by contacting the electrical contact of the terminal by vertically or horizontally extending and projecting the lever protruding by a certain length and opening and closing the electrical contact by pressing the button to be elastically supported, A push-button switch is often used.

그런데 운전자가 차량 주행 중 작동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경우, 운전 주의력이 분산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특히, 야간 주행시에는 운전자가 작동 스위치를 손으로 더듬어 찾아서 조작해야 하므로 사고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However,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operation switch while driving the vehicle, it is inevitable that the driving attention is dispersed. Especially, at nighttime driving, the driver has to search for and operate the operation switch by hand, thereby increasing the risk of accidents.

또한 종래의 작동 스위치는 주로 하우징의 일측에 조명 렌즈와 인접하여 설치되므로, 작동 스위치의 설치 공간 확보를 위해서는 룸램프 모듈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조명 렌즈의 크기를 작게 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의 작동 스위치는 룸램프 모듈의 디자인을 제한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operation switch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illumination lens on one side of the housing, it is inevitably necessary to increase the size of the room lamp module or the size of the illumination lens in order to secure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operation switch. Therefore, the conventional operation switch becomes a main cause of limiting the design of the room lamp module.

이러한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조작이 쉬운 터치 방식의 스위치를 적용한 차량용 룸램프 모듈이 개발된 바 있다.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사용자가 누르거나 회전시키는 등의 조작을 하지 않고 단순히 손가락으로 터치부를 터치하여 조작할 수 있어 편리하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of the vehicle room lamp module, a vehicle room lamp module to which a touch-type switch that is easy to operate has recently been developed has been developed. The vehicle lamp module for a vehicle of the touch type is convenient because it can be operated by simply touching the touch portion with a finger without performing any operation such as pressing or turning.

그런데 종래의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어기판(10)에 구비된 터치 감지 전극(20)에 대응하는 다른 터치 감지 전극(30)을 조명 렌즈(40)의 내측면에 마련하여 이들 터치 감지 전극(20)(30)으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구성한다. 따라서 조명 렌즈(40)와 전극이 형성된 제어기판(10) 사이의 거리를 일정 거리(예컨대, 5cm) 내외로 유지하기 위해 내부 구조 설계가 어렵고 조명 렌즈(40)의 구조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1, a conventional room lamp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structure in which another touch sensing electrode 30 corresponding to the touch sensing electrode 20 provided on the control board 10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lighting lens 40 And the touch sensing electrodes 20 and 30 constitute a touch sensor that senses the user's touch.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design the internal structure and the structure of the illumination lens 40 is limited in order to maintain the distance between the illumination lens 40 and the control substrate 10 on which the electrodes are formed within a certain distance (for example, 5 cm).

또한 종래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조명 렌즈(40)에 터치 감지 전극(30)을 부착하거나 증착함에 따라 조명 렌즈(40)의 투과율이 떨어지고, 복잡한 공정으로 생산성이 떨어지며,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touch-type vehicle lamp module, the transmittance of the illumination lens 40 is lowered by attaching or depositing the touch sensing electrode 30 to the illumination lens 40, the productivity is lowered due to a complicated process, There is a problem.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239913호 (2000. 01. 15)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239913 (Jan. 15, 200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64737호 (2012. 07. 16)Korean Registered Patent No. 1164737 (2012. 07. 16)

본 발명은 상술한 것과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룸램프 모듈의 설계 자유도를 높이고, 조명 렌즈의 광투과율 손실없이 저비용으로 터치 센서를 마련할 수 있는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uch panel type vehicle lamp module capable of improving the degree of freedom of design of a room lamp module and providing a touch sensor at low cost,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내부에 광원이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조명 렌즈;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터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터치 센서;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기판; 및 상기 조명 렌즈와 상기 제어기판 사이를 이격시키도록 상기 조명 렌즈와 상기 제어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중간 구조체에 마련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lamp module for a vehicle,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 light source installed therein; An illumination lens coupled to the housing to transmi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o the outside; A touch sensor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to generate a touch signal by a user's touch; A control board installed in the housing to control operation of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a touch signal of the touch sensor; And an intermediate structure interposed between the illumination lens and the control substrate so as to separate the illumination lens from the control substrat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touch sensing electrodes constituting the touch sensor is provided on the intermediate structure .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감지 전극이 상기 중간 구조체의 표면에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touch sensing electrode of the touch sensor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감지 전극이 상기 중간 구조체와 함께 인서트 사출되어 상기 중간 구조체와 결합될 수 있다.The touch sensing electrode of the touch sensor may be insert-injected together with the intermediate structure to be combined with the intermediate structure.

상기 중간 구조체에 마련되는 상기 터치 감지 전극은 상기 터치 센서를 구성하도록 상기 제어기판에 구비되는 또 다른 터치 감지 전극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touch sensing electrode provided on the intermediate structure may be arranged to face another touch sensing electrode provided on the control board to constitute the touch sensor.

상기 중간 구조체에 마련되는 상기 터치 감지 전극은 한 쌍이 상호 이격도록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touch sensing electrodes provided on the intermediate structure may be disposed on the same plane so that a pair of the touch sensing electrod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중간 구조체는 상기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상기 조명 렌즈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리플렉터일 수 있다.The intermediate structure may be a reflector having a reflecting surface for refl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oward the illumination lens.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조명 렌즈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외곽틀체와, 상기 외곽틀체의 안쪽에 상호 이격되어 상기 외곽틀체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내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감지 전극은 상기 리플렉터의 외곽틀체 및 복수의 내측벽에 마련될 수 있다.Wherein the reflector includes an outer frame body disposed along an edge of the illumination lens and a plurality of inner sidewal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side the outer frame body and connected to the outer frame body, And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frame body and the plurality of inner side walls of the reflector.

상기 중간 구조체는 상기 조명 렌즈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외곽틀체를 구비하는 베젤부재일 수 있다.The intermediate structure may be a bezel member having an outer frame body disposed along an edge of the illumination lens.

상기 베젤부재는 상기 외곽틀체의 안쪽에 상호 이격되어 상기 외곽틀체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내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감지 전극은 상기 베젤부재의 외곽틀체 및 복수의 내측벽에 구비될 수 있다.Wherein the bezel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inner sidewal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side the outer frame body and connected to the outer frame body, wherein the touch sensing electrode of the touch sensor is disposed on an outer frame body and a plurality of inner sidewalls of the bezel member .

상기 중간 구조체는 상기 조명 렌즈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외곽틀체를 구비하는 베젤부재와, 상기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상기 조명 렌즈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베젤부재와 상기 제어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리플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감지 전극은 상기 터치 센서를 구성하도록 상기 제어기판에 배치되는 또 다른 터치 감지 전극과 마주하도록 상기 리플렉터에 구비될 수 있다.Wherein the intermediate structure includes a bezel member having an outer frame disposed along an edge of the illumination lens and a reflecting surface refl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oward the illumination lens and disposed between the bezel member and the control substrate And the touch sensing electrode may be provided on the reflector so as to face another touch sensing electrode disposed on the control board to configure the touch sensor.

상기 중간 구조체는 상기 조명 렌즈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외곽틀체를 구비하는 베젤부재와, 상기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상기 조명 렌즈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베젤부재와 상기 제어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리플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감지 전극은 한 쌍이 상기 베젤부재 및 상기 리플렉터에 각각 상호 마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Wherein the intermediate structure includes a bezel member having an outer frame disposed along an edge of the illumination lens and a reflecting surface refl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oward the illumination lens and disposed between the bezel member and the control substrate And a pair of touch sensing electrodes of the touch sensor may be provided to face the bezel member and the reflector, respectively.

상기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 중 하나는 상기 베젤부재의 표면 전체를 코팅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One of the touch sensing electrodes constituting the touch sensor may be provided to coat the entire surface of the bezel member.

상기 중간 구조체에 마련되는 상기 터치 감지 전극은 상기 터치 센서를 구성하도록 상기 제어기판에 구비되는 또 다른 터치 감지 전극과 마주하여 접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The touch sensing electrode provided on the intermediate structure may be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another touch sensing electrode provided on the control board to constitute the touch sensor.

상기 중간 구조체에 마련되는 상기 터치 감지 전극은 상기 터치 센서를 구성하도록 상기 제어기판과 마주하여 접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The touch sensing electrode provided on the intermediate structure may be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trol substrate so as to constitute the touch sensor.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갖는다.The vehicle lamp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s various effects as follows.

즉, 본 발명의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을 조명 렌즈 면이 아닌 조명 렌즈와 제어기판 사이를 이격시키도록 조명 렌즈와 제어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구조체(리플렉터, 베즐부재 등)에 마련함으로써, 종래 기술에 비해 조명 렌즈와 제어기판 사이의 거리 제한이 적다. 따라서 조명 렌즈와 제어기판 사이의 간격을 늘릴 수 있고, 조명 렌즈와 제어기판 사이의 구조를 더욱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the vehicle lamp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mediate structure disposed between an illumination lens and a control substrate to separate a touch sensing electrode constituting a touch sensor from an illumination lens and a control substrate, , A bezel member, or the like), the distance between the illumination lens and the control substrate is less than in the prior art.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illumination lens and the control substrate can be increased, and the structure between the illumination lens and the control substrate can be designed more freely.

또한 본 발명의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조명 렌즈의 형상을 곡면형 등으로 다양하게 할 수 있어, 디자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touch lamp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vary the shape of the illumination lens to a curved shape or the like, thereby improving the design quality.

또한 본 발명의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종래 기술과 같이 조명 렌즈에 터치 감지 전극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조명 렌즈의 광투과도가 떨어지지 않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uch lamp panel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form a touch sensing electrode on an illumination lens as in the prior art, so that the light transmission of the illumination lens is not deterior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또한, 조립 방식에 따라 터치 감지 전극의 복수, 단일 등의 선택적 조합을 가능하게 하여 다품종 제품 조립 구성을 가능하게 하여 제조 원가를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도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combine a plurality of touch sensing electrodes such as a plurality of touch sensing electrodes according to an assembly method, thereby enabling a multi-product product assembly configuration,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may be resorted 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종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일부 구성을 개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주요 구성을 개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주요 구성을 개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주요 구성을 개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주요 구성을 개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주요 구성을 개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주요 구성의 다른 구현예를 개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주요 구성의 또 다른 구현예를 개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vehicle lamp modul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ehicle lamp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touch-sensitiv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a touch-sensitiv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touch-sensitiv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touch-sensitiv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touch-sensitiv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touch-sensitiv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touch-sensitiv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touch-sensitiv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touch-sensitiv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4 are cross-sectional views and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ain configuration of a touch-sensitiv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to 17 are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erspective view that schematically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touch-sensitive vehicle lamp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touch-typ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일부 구성을 개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uch panel typ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touch panel typ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a touch-sensitiv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하우징(100)과, 제어기판(200)과, 조명 렌즈(300)와, 리플렉터(400)와, 터치 센서(5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터치 센서(500)가 사용자의 터치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에 따라 터치 신호를 발생하고, 그 터치 신호에 따라 하우징(100) 내측에 설치된 광원(미도시)을 작동시켜 조명 렌즈(300)를 통해 외부로 빛을 발산한다.2 to 4, a vehicle lamp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a control board 200, an illumination lens 300, a reflector 400 And a touch sensor 500. In the vehicle lamp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ensor 500 generates a touch signal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touch sensor 500 according to a touch of a user, (Not shown) to emit light to the outside through the illumination lens 300.

하우징(100)은 케이스(110)와, 커버(12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의 내측에 광원과, 제어기판(200)과, 리플렉터(400)와, 터치 센서(500)가 설치되고, 커버(120)가 케이스(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케이스(110)를 덮는다. 하우징(100)에는 조작 버튼이나 표시 램프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커버(120)에 조명 렌즈(300)가 한 쌍이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커버(120)에 설치되는 조명 렌즈(30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스(110)와 커버(120)가 분리되는 구조 이외에, 일체형 구조 등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The housing 100 includes a case 110 and a cover 120. A light source, a control board 200, a reflector 400, and a touch sensor 500 are provided inside the case 110. The cover 12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ase 110, . An operation button or an indicator lamp may be provided on the housing 100. Although a pair of illumination lenses 300 are installed on the cover 12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number of the illumination lenses 300 installed on the cover 120 can be variously changed. The housing 100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structures, such as an integral structure, in addition to a structure in which the case 110 and the cover 120 are separated as shown in FIG.

제어기판(200)은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어 터치 센서(500)의 터치 신호를 수신하고 광원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기판(200)은 터치 센서(500)의 터치 신호에 따라 광원을 온/오프시키거나 점멸시키거나, 또는 광원의 밝기를 조절하는 등 광원을 다양한 형태로 작동시킬 수 있다. 도면에 자세히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광원은 제어기판(2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The control board 200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0 to receive a touch signal of the touch sensor 500 an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ight source. That is, the control board 200 can operate the light source in various forms, such as turning on / off the light source, blinking the light source, or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the touch signal of the touch sensor 500.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 the light source may be installed on the control board 200.

조명 렌즈(300)는 하우징(100) 내부의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커버(120)에 결합된다. 종래의 룸램프 모듈은 조명 렌즈에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전극이 구비되어 조명 렌즈와 제어기판 사이의 거리가 제한되어 설계 자유도가 떨어지고, 조명 렌즈의 형상 설계에도 많은 제한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터치 센서(500)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510)이 조명 렌즈(300)에 구비되지 않고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의 리플렉터(400)에 배치되므로,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의 거리 제한이 적고, 조명 렌즈(300)에 대한 설계 자유도가 높다. 따라서 조명 렌즈(300)를 곡면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할 수 있고, 하우징(100) 상에서 조명 렌즈(300)의 위치도 보다 자유롭다. 물론, 일정 세기 이상의 터치 감도를 확보하기 위해 조명 렌즈(300)와 터치 센서(500) 사이의 거리는 일정 거리 이내로 설정된다.The illumination lens 300 is coupled to the cover 120 of the housing 100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nside the housing 100 can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In the conventional room lamp module, the distance between the illumination lens and the control board is limited by the electrodes constituting the touch sensor in the illumination lens, so that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 is reduced, and the shape of the illumination lens is also limited. On the other hand, the touch panel typ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ouch sensing electrode 510 constituting the touch sensor 500 is not provided in the illumination lens 300, The distance restriction between the illumination lens 300 and the control substrate 200 is small and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ing the illumination lens 300 is high since it is disposed in the reflector 400 between the substrates 200. [ Therefore, the illumination lens 300 can be design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urved shape, and the position of the illumination lens 300 on the housing 100 is more free. Of course, the distance between the illumination lens 300 and the touch sensor 500 is set within a certain distance to secure a touch sensitivity of a certain level or more.

리플렉터(400)는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를 이격시키도록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구조체로서 외곽틀체(410)와 복수의 내측벽(420)을 포함한다. 외곽틀체(410)는 조명 렌즈(3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복수의 내측벽(420)은 외곽틀체(410)의 안쪽에 상호 이격되어 외곽틀체(410)와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외곽틀체(410)와 복수의 내측벽(420) 표면은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조명 렌즈(300)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플렉터(400)는 도시된 것과 같이 외곽틀체(410)와 복수의 내측벽(420)을 포함하는 구조 이외에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어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조명 렌즈(300) 쪽으로 반사시킬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The reflector 400 is an intermediate structure interposed between the illumination lens 300 and the control substrate 200 to separate the illumination lens 300 from the control substrate 200. The reflector 400 includes an outer frame 410 and a plurality of inner sidewalls 420). The outer frame 410 is disposed along the edge of the illumination lens 300 and the plurality of inner walls 4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side the outer frame 410 to be connected to the outer frame 410. The outer frame 410 and th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inner sidewalls 420 may be a reflective surface refl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oward the illumination lens 300. The reflector 40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0 to reflec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oward the illumination lens 300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including the outer frame 410 and the plurality of inner walls 420 To a variety of other structures.

터치 센서(500)는 사용자가 조명 렌즈(300)를 터치할 때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터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된다. 터치 센서(500)는 표면에 형성되는 정전용량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감소하는 양을 측정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두 개의 터치 감지 전극(510)(520)을 갖는다. 터치 센서(500)를 구성하는 두 개의 터치 감지 전극(510)(520) 중에서 하나의 터치 감지 전극(510)은 리플렉터(400)에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터치 감지 전극(520)은 제어기판(200)에 구비된다. 이들 터치 감지 전극(510)(520)은 각각 제어기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touch sensor 50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00 to generate a touch signal by a user's touch when the user touches the illumination lens 300. [ The touch sensor 500 has a capacitive structure for generating a signal by measuring the amount of capacitance that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or 500 by a user's touch and has two touch sensing electrodes 510 and 520 . One touch sensing electrode 510 of the two touch sensing electrodes 510 and 520 of the touch sensor 500 is provided in the reflector 400 and the other touch sensing electrode 52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board 200 . The touch sensing electrodes 510 and 5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board 200, respectively.

터치 센서(500)를 구성하는 하나의 터치 감지 전극(510)은 리플렉터(400)의 표면에 도전체 물질을 일정 패턴으로 증착 또는 도금하거나, 도전체 물질을 이용하여 일정 패턴으로 형성한 후 리플렉터(400)와 함께 인서트 사출하여 리플렉터(400)에 마련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터치 감지 전극(520)도 증착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어기판(200)에 형성될 수 있다. 리플렉터(4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10)는 제어기판(200)에 마련된 터치 감지 전극(520)과 마주하도록 리플렉터(400)의 하단부에 배치된다. 즉, 리플렉터(4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10)은 도시된 것과 같이 리플렉터(400)의 외곽틀체(410) 하단부와 복수의 내측벽(420) 각각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리플렉터(400)의 하단부 형상에 대응하는 모양의 패턴으로 제어기판(200)에 마련된 터치 감지 전극(520)과 마주한다. 터치 센서(500)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510)(520)의 구조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즉, 터치 센서(500)는 단일의 터치 감지 전극(510)을 구비하고, 터치 감지 전극(520)은 제어 기판(200) 상의 단순 배선으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터치 감지 전극(510)과 다른 터치 감지 전극(520)이 서로 개별 형성되되 서로 접하도록 마주하여 이루어 단일의 감지 전극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터치 감지 전극(510)과 다른 터치 감지 전극(520)은 직접 마주하여 접촉될 수도 있고, 솔더링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전도성 수지 등으로 마주하여 직접적 접촉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다른 터치 감지 전극이 배제되는 단일의 터치 감지 전극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One touch sensing electrode 510 constituting the touch sensor 500 is formed by depositing or plating a conductive material on a surface of a reflector 400 in a predetermined pattern or by forming conductive patterns in a predetermined pattern using a conductive material, 400 to be inserted into the reflector 400 to be provided. The other touch sensing electrode 520 may be formed on the control substrate 200 by various methods such as vapor deposition. The touch sensing electrode 510 included in the reflector 400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reflector 400 so as to face the touch sensing electrode 520 provided on the control board 200. That is, the touch sensing electrode 510 of the reflector 40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frame 410 of the reflector 400 and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nner walls 420, And faces the touch sensing electrode 520 provided on the control board 200 in a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shape. The structures of the touch sensing electrodes 510 and 520 constituting the touch sensor 500 can be changed into various other structures. That is, the touch sensor 500 includes a single touch sensing electrode 510, and the touch sensing electrode 520 may be formed by simple wiring on the control board 200. In addition, the touch sensing electrode 510 and the other touch sensing electrode 520 may be formed as a single sensing electrode structure facing each other. At this time, the touch sensing electrode 510 and the other touch sensing electrode 520 may be direct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may be soldered,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a conductive resin or the like, And may be realized as a single touch sensing electrode in which an electrode is excluded.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두 개의 터치 감지 전극(510)(520)에 전압이 인가되면 터치 감지 전극(510)(520) 주위에 전기장 형성에 따라 정전용량이 만들어진다. 그리고 조명 렌즈(300)의 외측에는 전기장 형성에 따른 정전용량 스위치 영역(C)이 형성된다.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 정전용량 스위치 영역(C)에 위치시키면 정전용량이 변하여 터치 신호가 발생한다. 터치 센서(500)는 그 터치 신호를 제어기판(200)에 송신하여 광원을 작동시킨다.4,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two touch sensing electrodes 510 and 520, electrostatic capacitance is formed around the touch sensing electrodes 510 and 520 according to the electric field formation. On the outside of the illumination lens 300, a capacitance switch region C is formed according to the formation of an electric field. When a user places a finger in the capacitive switch region C, capacitance changes and a touch signal is generated. The touch sensor 500 transmits the touch signal to the control board 200 to operate the light source.

터치 센서(500)의 터치 신호는 터치 센서(500)를 구성하는 두 터치 감지 전극(510)(520)의 패턴과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터치 신호를 이용하여 광원의 작동 모드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즉, 터치 감지 전극(510)(520)을 병렬식 또는 격자식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패턴 형태로 형성하고, 사용자의 터치 모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광원의 작동 모드에 대응하는 다양한 형태의 터치 신호를 발생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 모션에 대응되는 광원의 작동 모드는 제어기판(200)에 미리 입력되며, 제어기판(200)은 감지된 터치 모션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작동 모드로 광원을 제어할 수 있다.The touch signal of the touch sensor 500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pattern of the two touch sensing electrodes 510 and 520 and the shape of the finger movement of the user. So that the operation mode of the light source can be variously selected. That is, the touch sensing electrodes 510 and 520 may be formed in various patterns according to need, such as a parallel type or a lattice type, and various types of touch signals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operation mode of the light source may be generated . The operation mode of the light source corresponding to the user's touch motion is input to the control board 200 in advance and the control board 200 can control the light source in the operation mode corresponding to the sensed touch mo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터치 센서(500)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510)을 조명 렌즈(300) 면이 아닌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를 이격시키도록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구조체(리플렉터(400))에 마련함으로써, 종래 기술에 비해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의 거리 제한이 적다. 따라서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의 간격을 늘릴 수 있고,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의 구조를 더욱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 렌즈(300)의 형상을 곡면형 등으로 다양하게 할 수 있어 디자인 품질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종래 기술과 같이 조명 렌즈(300)에 터치 감지 전극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조명 렌즈(300)의 광투과도가 떨어지지 않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ouch panel typ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ouch sensing electrode 510 constituting the touch sensor 500 is connected to the illumination lens 300, not the surface of the illumination lens 300, (Reflector 400) interposed between the illumination lens 300 and the control substrate 200 so as to separate the substrates 200 from each other is provided on the illumination lens 300 and the control substrate 200 ) Is small.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illumination lens 300 and the control substrate 200 can be increased, and the structure between the illumination lens 300 and the control substrate 200 can be designed more freely.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illumination lens 300 can be varied in a curved shape or the like, thereby improving the design quality. Also, the touch panel typ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form a touch sensing electrode on the illumination lens 300 as in the prior art, so that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illumination lens 300 is not degraded, Can be saved.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주요 구성을 개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touch-sensitiv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과 비교하여 터치 센서(500)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510)의 구조가 다소 변경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하우징(100)과, 제어기판(200)과, 조명 렌즈(300)와, 터치 센서(500)를 포함한다.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의 사이에는 중간 구조체인 리플렉터(400)가 배치된다.The touch panel typ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is different from the touch panel typ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touch sensing electrode 510 is somewhat changed. The touch panel typ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a control board 200, an illumination lens 300, and a touch sensor 500. A reflector 400, which is an intermediate structure, is disposed between the illumination lens 300 and the control substrate 200.

터치 센서(500)는 리플렉터(4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10)과 제어기판(2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20)을 포함한다. 리플렉터(4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10)은 리플렉터(400)의 표면에 도전체 물질을 일정 패턴으로 증착 또는 도금하는 방법으로 적어도 일부가 제어기판(2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20)과 마주하도록 리플렉터(400)에 마련될 수 있다. 터치 센서(500) 터치 감지 전극(510)(520)은 각각 제어기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터치 센서(500)의 터치 감지 전극(510)(520)은 사용자의 터치 모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광원의 작동 모드에 대응하는 다양한 형태의 터치 신호를 발생하게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패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500 includes a touch sensing electrode 510 provided on the reflector 400 and a touch sensing electrode 520 provided on the control board 200. The touch sensing electrode 510 included in the reflector 400 is a method of depositing or plating a conductive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reflector 400 in a predetermined pattern so that the touch sensing electrode 520 In the reflector 400. The reflector 40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flectors. The touch sensor 500 and the touch sensing electrodes 510 and 5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board 200, respectively. The touch sensing electrodes 510 and 520 of the touch sensor 500 may be formed in various pattern shapes so as to generate various types of touch signals corresponding to a preset operation mode of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a user's touch motion .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역시, 터치 센서(500)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510)을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구조체(리플렉터(400))에 마련함으로써,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의 거리 제한이 적다. 따라서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조명 렌즈(300)의 형상을 곡면형 등으로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The touch panel of the vehicle lamp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include a touch sensing electrode 510 constituting the touch sensor 500. The touch sensing electrode 510 may be an intermediate structure between the illumination lens 300 and the control board 200, (The reflector 400), the distance restriction between the illumination lens 300 and the control board 200 is small. Therefore,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ing can be increased and the shape of the illumination lens 300 can be varied in a curved shape or the like.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주요 구성을 개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touch-sensitiv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과 비교하여 리플렉터(400)와 터치 센서(500)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510)의 결합 구조가 다소 변경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하우징(100)과, 제어기판(200)과, 조명 렌즈(300)와, 터치 센서(500)를 포함한다.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의 사이에는 중간 구조체로서 리플렉터(400)가 배치된다.The touch panel typ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is different from the touch panel typ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the reflector 400 and the touch sensor 500 are somewhat modified in structure of the touch sensing electrode 510. The touch panel typ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a control board 200, an illumination lens 300, and a touch sensor 500. A reflector 400 is disposed as an intermediate structure between the illumination lens 300 and the control substrate 200.

터치 센서(500)는 리플렉터(4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10)과 제어기판(2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20)을 포함한다. 리플렉터(4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10)은 리플렉터(400)와 함께 인서트 사출되어 리플렉터(400) 내측에 제어기판(200)에 배치되는 터치 감지 전극(520)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터치 센서(500) 터치 감지 전극(510)(520)은 각각 제어기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터치 센서(500)의 터치 감지 전극(510)(520)은 사용자의 터치 모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광원의 작동 모드에 대응하는 다양한 형태의 터치 신호를 발생하게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패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500 includes a touch sensing electrode 510 provided on the reflector 400 and a touch sensing electrode 520 provided on the control board 200. The touch sensing electrode 510 included in the reflector 400 is disposed so as to face the touch sensing electrode 520 disposed on the control board 200 inside the reflector 400 by being injected with the reflector 400. The touch sensor 500 and the touch sensing electrodes 510 and 5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board 200, respectively. The touch sensing electrodes 510 and 520 of the touch sensor 500 may be formed in various pattern shapes so as to generate various types of touch signals corresponding to a preset operation mode of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a user's touch motion .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터치 센서(500)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510)을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구조체(리플렉터(400))에 마련함으로써,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의 거리 제한이 적다. 따라서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조명 렌즈(300)의 형상을 곡면형 등으로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The touch panel of the vehicle lamp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ensing electrode 510 constituting the touch sensor 500 and an intermediate structure (The reflector 400), the distance restriction between the illumination lens 300 and the control board 200 is small. Therefore,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ing can be increased and the shape of the illumination lens 300 can be varied in a curved shape or the like.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주요 구성을 개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touch-sensitiv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과 비교하여 터치 센서(500)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510)(520)의 구조가 변형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하우징(100)과, 제어기판(200)과, 조명 렌즈(300)와, 터치 센서(500)를 포함하고,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의 사이에 중간 구조체로서 리플렉터(400)가 배치된다.The touch panel typ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7 is different from the touch panel typ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s of the touch sensing electrodes 510 and 520 are modified. The touch panel typ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a control board 200, an illumination lens 300, and a touch sensor 500, And the control board 200, the reflector 400 is disposed as an intermediate structure.

터치 센서(500)의 터치 감지 전극(510)(520)은 리플렉터(400) 하단면의 동일 평면 상에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두 개의 터치 감지 전극(510)(520)에 전압이 인가되면 터치 감지 전극(510)(520) 주위에 전기장 형성되고 조명 렌즈(300)의 외측에는 전기장 형성에 따른 정전용량 스위치 영역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명 렌즈(300)에 가까이하면 정전용량이 변하여 터치 신호가 발생한다. 터치 센서(500) 터치 감지 전극(510)(520)은 각각 제어기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터치 센서(500)의 터치 감지 전극(510)(520)은 사용자의 터치 모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광원의 작동 모드에 대응하는 다양한 형태의 터치 신호를 발생하게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패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전극(510)(520)은 리플렉터(400)의 표면에 도전체 물질을 일정 패턴으로 증착 또는 도금하거나, 도전체 물질을 이용하여 일정 패턴으로 형성한 후 리플렉터(400)와 함께 인서트 사출하여 리플렉터(400)에 마련할 수 있다.The touch sensing electrodes 510 and 520 of the touch sensor 500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ame plane of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reflector 400.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two touch sensing electrodes 510 and 520, an electric field is formed around the touch sensing electrodes 510 and 520, and a capacitance switch area corresponding to the formation of an electric field is formed outside the illumination lens 300. Accordingly,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illumination lens 300, the electrostatic capacitance changes and a touch signal is generated. The touch sensor 500 and the touch sensing electrodes 510 and 5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board 200, respectively. The touch sensing electrodes 510 and 520 of the touch sensor 500 may be formed in various pattern shapes so as to generate various types of touch signals corresponding to a preset operation mode of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a user's touch motion . The touch sensing electrodes 510 and 520 are formed by depositing or plating a conductive material on a surface of a reflector 400 in a predetermined pattern or by forming conductive patterns in a predetermined pattern using a conductive material and inserting the conductive material together with the reflector 400 And can be provided in the reflector 400.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터치 센서(500)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510)(520)을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구조체(리플렉터(400))에 마련함으로써,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의 거리 제한이 적어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A touch panel typ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ensor 500 and a touch sensing electrode 510 disposed between the illumination lens 300 and the control board 200 The distance between the illumination lens 300 and the control board 200 is limited so that the design freedom can be increased.

도면에는 터치 센서(500)를 구성하는 두 개의 터치 감지 전극(510)(520)이 리플렉터(400)의 하단면에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터치 감지 전극(510)(520)은 리플렉터(400)와 함께 인서트 사출되어 리플렉터(400) 속에 매립된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two touch sensing electrodes 510 and 520 constituting the touch sensor 500 are shown as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flector 400, It may be provided with a structure in which an insert is injected together with the reflector 400 and is buried in the reflector 400.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주요 구성을 개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touch-sensitiv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structure.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하우징(100)과, 제어기판(200)과, 조명 렌즈(300)와, 리플렉터(400)와, 베젤부재(600)와, 터치 센서(500)를 포함한다. 리플렉터(400)와 베젤부재(600)는 중간 구조체로서 제어기판(200)과 조명 렌즈(300) 사이에 배치된다.A touch panel typ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8 and 9 includes a housing 100, a control board 200, an illumination lens 300, a reflector 400, A bezel member 600, and a touch sensor 500. The reflector 400 and the bezel member 600 are disposed as an intermediate structure between the control substrate 200 and the illumination lens 300.

리플렉터(400)는 외곽틀체(410)와 복수의 내측벽(420)을 포함한다. 복수의 내측벽(420)은 외곽틀체(410)의 안쪽에 상호 이격되어 외곽틀체(410)와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외곽틀체(410)와 복수의 내측벽(420) 표면은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조명 렌즈(300)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eflector 400 includes an outer frame body 410 and a plurality of inner side walls 420. The plurality of inner side walls 4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side the outer frame 410 to be connected to the outer frame 410. The outer frame 410 and th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inner sidewalls 420 may be a reflective surface refl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oward the illumination lens 300.

베젤부재(600)는 외곽틀체(610)와 복수의 내측벽(620)을 포함한다. 외곽틀체(610)는 조명 렌즈(3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복수의 내측벽(620)은 외곽틀체(610)의 안쪽에 상호 이격되어 외곽틀체(610)와 연결되도록 배치된다.The bezel member 600 includes an outer frame body 610 and a plurality of inner side walls 620. The outer frame body 610 is disposed along the edge of the illumination lens 300 and the plurality of inner side walls 6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side the outer frame body 610 to be connected to the outer frame body 610.

터치 센서(500)는 리플렉터(4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10)과 베젤부재(6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20)을 포함한다. 리플렉터(4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10)과 베젤부재(6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20)은 각각 제어기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리플렉터(4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10)은 리플렉터(400)의 표면에 도전체 물질을 일정 패턴으로 증착 또는 도금하거나, 도전체 물질을 이용하여 일정 패턴으로 형성한 후 리플렉터(400)와 함께 인서트 사출하여 리플렉터(400)에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4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10)는 리플렉터(400)의 외곽틀체(410) 하단부와 복수의 내측벽(420) 각각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리플렉터(400)의 하단부 형상에 대응하는 모양의 패턴을 갖는다.The touch sensor 500 includes a touch sensing electrode 510 provided on the reflector 400 and a touch sensing electrode 520 provided on the bezel member 600. The touch sensing electrode 510 provided on the reflector 400 and the touch sensing electrode 520 provided on the bezel member 6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board 200, respectively. The touch sensing electrode 510 included in the reflector 400 may be formed by depositing or plating a conductive material on a surface of a reflector 400 in a predetermined pattern or by forming conductive patterns on the reflector 400 in a predetermined pattern using a conductive material, It can be provided in the reflector 400 by insert injection. The touch sensing electrode 510 included in the reflector 40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frame 410 of the reflector 400 and at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nner walls 420 so as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ower end of the reflector 400 .

베젤부재(6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20)은 도전체 물질을 베젤부재(600)의 표면에 증착법이나 도금법을 통해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감지 전극(520)은 베젤부재(600)의 형상에 대응하는 패턴을 갖게 된다. 베젤부재(6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20)을 메탈 소재로 하면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장식성을 높이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The touch sensing electrode 520 provided on the bezel member 600 may be provid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bezel member 600 through a deposition method or a plating method. The touch sensing electrode 520 has a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ezel member 600. When the touch sensing electrode 520 provided on the bezel member 60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decoration property of the automotive room lamp module can be enhanced.

리플렉터(4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10)과 베젤부재(6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20)에 전압이 인가되면 주위에 전기장이 형성되어 조명 렌즈(300)의 외측에 정전용량 스위치 영역(C)이 마련된다.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 정전용량 스위치 영역(C)에 위치시키면 정전용량이 변하여 터치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리플렉터(4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10)과 베젤부재(6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20)은 사용자의 터치 모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광원의 작동 모드에 대응하는 다양한 형태의 터치 신호를 발생하게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패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touch sensing electrode 510 of the reflector 400 and the touch sensing electrode 520 of the bezel member 600, an electric field is generated around the touch sensing electrode 520, Area C is provided. When a user places a finger in the capacitive switch region C, capacitance changes and a touch signal is generated. The touch sensing electrode 510 provided on the reflector 400 and the touch sensing electrode 520 provided on the bezel member 600 are configured to transmit various types of touch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light source set according to the touch motion of the user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pattern shapes.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터치 센서(500)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510)(520)을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구조체(리플렉터(400) 및 베젤부재(600))에 마련함으로써,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의 거리 제한이 적어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조명 렌즈(300)를 더욱 자유로운 모양으로 설계할 수 있어 디자인 품질을 높일 수 있다.The vehicle lamp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touch sensing electrodes 510 and 520 constituting the touch sensor 500 interposed between the illumination lens 300 and the control board 200 (The reflector 400 and the bezel member 600), the distance between the illumination lens 300 and the control board 200 is limited so that the degree of freedom of design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the illumination lens 300 can be designed in a more free form, thereby improving the design quality.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주요 구성을 개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touch-sensitiv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uch lamp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structure.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하우징(100)과, 제어기판(200)과, 조명 렌즈(300)와, 리플렉터(400)와, 베젤부재(600)와, 터치 센서(500)를 포함한다. 리플렉터(400)와 베젤부재(600)는 중간 구조체로서 제어기판(200)과 조명 렌즈(300) 사이에 배치된다.A touch panel typ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0 and 11 includes a housing 100, a control board 200, an illumination lens 300, a reflector 400, A bezel member 600, and a touch sensor 500. The reflector 400 and the bezel member 600 are disposed as an intermediate structure between the control substrate 200 and the illumination lens 300.

리플렉터(400)는 외곽틀체(410)와 복수의 내측벽(420)을 포함한다. 복수의 내측벽(420)은 외곽틀체(410)의 안쪽에 상호 이격되어 외곽틀체(410)와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외곽틀체(410)와 복수의 내측벽(420) 표면은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조명 렌즈(300)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eflector 400 includes an outer frame body 410 and a plurality of inner side walls 420. The plurality of inner side walls 4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side the outer frame 410 to be connected to the outer frame 410. The outer frame 410 and th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inner sidewalls 420 may be a reflective surface refl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oward the illumination lens 300.

베젤부재(600)는 외곽틀체(610)와 복수의 내측벽(620)을 포함한다. 외곽틀체(610)는 조명 렌즈(3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복수의 내측벽(620)은 외곽틀체(610)의 안쪽에 상호 이격되어 외곽틀체(610)와 연결되도록 배치된다.The bezel member 600 includes an outer frame body 610 and a plurality of inner side walls 620. The outer frame body 610 is disposed along the edge of the illumination lens 300 and the plurality of inner side walls 6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side the outer frame body 610 to be connected to the outer frame body 610.

터치 센서(500)는 리플렉터(4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10)과 제어기판(2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20)을 포함한다. 리플렉터(400)에 구비되는 터치 감지 전극(510)은 리플렉터(400)의 표면에 도전체 물질을 일정 패턴으로 증착 또는 도금하거나, 도전체 물질을 이용하여 일정 패턴으로 형성한 후 리플렉터(400)와 함께 인서트 사출하여 마련할 수 있다. 터치 센서(500)의 터치 감지 전극(510)(520)은 제어기판(20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터치 센서(500)의 터치 감지 전극(510)(520)은 사용자의 터치 모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광원의 작동 모드에 대응하는 다양한 형태의 터치 신호를 발생하게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패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500 includes a touch sensing electrode 510 provided on the reflector 400 and a touch sensing electrode 520 provided on the control board 200. The touch sensing electrode 510 included in the reflector 400 may be formed by depositing or plating a conductive material on a surface of a reflector 400 in a predetermined pattern or by forming conductive patterns on the reflector 400 in a predetermined pattern using a conductive material, It can be prepared by insert injection. The touch sensing electrodes 510 and 520 of the touch sensor 5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board 200, respectively. The touch sensing electrodes 510 and 520 of the touch sensor 500 may be formed in various pattern shapes so as to generate various types of touch signals corresponding to a preset operation mode of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a user's touch motion .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터치 센서(500)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510)(520)을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에 개재되는 리플렉터(400)에 마련함으로써, 조명 렌즈(300)와 제어기판(200) 사이의 거리 제한이 적어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A touch panel typ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ensor 500 and a touch sensing electrode 510 disposed between the illumination lens 300 and the control board 200 The distance between the illumination lens 300 and the control board 200 is limited so that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ing can be increase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이 조명 렌즈의 일면이 아닌 조명 렌즈와 제어기판 사이의 중간 구조체에 구비됨으로써 조명 렌즈와 제어기판 사이의 거리 제한이 적어 설계 자유도를 높이는 구조를 이루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touch-sensitiv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touch sensing electrode included in the intermediate structure between the illumination lens and the control board, not the one surface of the illumination lens, So that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configurations in a range that makes the structure of increasing the degree of design freedom.

예컨대, 조명 렌즈와 제어기판 사이에 중간 구조체로서 베젤부재만 구비되고 베즐부재에 적어도 하나의 터치 감지 전극이 마련되어 터치 센서를 구성할 수도 있다.For example, only a bezel member may be provided as an intermediate structure between the illumination lens and the control substrate, and at least one touch sensing electrode may be provided in the bezel member to constitute a touch senso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도시된 것과 같은 리플렉터(400)나 베젤부재(600) 이외에 조명 렌즈와 제어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다양한 다른 중간 구조체에 터치 감지 전극을 마련하여 터치 센서를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reflector 400 and the bezel member 600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touch panel typ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touch sensing electrodes on various other intermediate structures disposed between the illumination lens and the control board, .

또한,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는 복수의 감지 전극을 구비할 수도 있고, 단일의 감지 전극이 중간 구조체에 형성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즉,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서(500)는 터치 감지 전극(510)과 다른 터치 감지 전극(520)이 서로 개별 형성되되 서로 접하도록 마주하여 이루어 단일의 감지 전극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터치 감지 전극(510)과 다른 터치 감지 전극(520)은 직접 마주하여 접촉될 수도 있고, 솔더링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전도성 수지 등으로 마주하여 직접적 접촉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제어기판(200) 상의 다른 터치 감지 전극(520)은 제어기판(200) 상의 형성되되 조립 유형에 따라 앞선 도 4 및 도 5의 경우와 같이 사용될 수도 있고,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 단일 감지 전극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Also, as described above, the touch sensor may have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or a single sensing electrode may be formed in the intermediate structure. That is, as shown in FIGS. 12 to 14, the touch sensor 500 includes a touch sensing electrode 510 and another touch sensing electrode 520 facing each other, . At this time, the touch sensing electrode 510 and the other touch sensing electrode 520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soldered structure, or in direct contact with a conductive resin or the like. The other touch sensing electrodes 520 on the control board 200 may be formed on the control board 200 and may be used as in the case of FIGS. 4 and 5 according to the type of assembly, . ≪ / RTI >

또한,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서(500)는 단일의 터치 감지 전극(510)을 구비하고, 앞서 기술된 제어 기판(200) 상에 형성되는 터치 감지 전극은 제어 기판(200) 상의 단순 배선으로 구조로 형성되거나 또는 완전히 배제되는 접지되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신체가 근접함에 따라 발생하는 임피던스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일 터치 감지 전극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15 to 17, the touch sensor 500 includes a single touch sensing electrode 510, and the touch sensing electrode formed on the control substrate 20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substrate (not shown) Sensing electrode structure that senses a change in impedance that occurs due to the proximity of the user's fingers, such as the grounded user's finger,

100...하우징 110...케이스
120...커버 200...제어기판
300...조명 렌즈 400...리플렉터
410, 610...외곽틀체 420, 620...내측벽
500...터치 센서 510, 520...터치 감지 전극
600...베젤부재
100 ... housing 110 ... case
120 ... cover 200 ... control board
300 ... illumination lens 400 ... reflector
410, 610 ... outer frame body 420, 620 ... inner side wall
500 ... touch sensor 510, 520 ... touch sensing electrode
600 ... bezel member

Claims (14)

내부에 광원이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조명 렌즈;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터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터치 센서;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기판; 및
상기 조명 렌즈와 상기 제어기판 사이를 이격시키도록 상기 조명 렌즈와 상기 제어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중간 구조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A housing in which a light source is installed;
An illumination lens coupled to the housing to transmi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o the outside;
A touch sensor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to generate a touch signal by a user's touch;
A control board installed in the housing to control operation of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a touch signal of the touch sensor; And
And an intermediate structure interposed between the illumination lens and the control substrate to separate the illumination lens from the control substrat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touch sensing electrodes constituting the touch sensor is provided on the intermediate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감지 전극이 상기 중간 구조체의 표면에 증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uch sensing electrode of the touch senso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감지 전극이 상기 중간 구조체와 함께 인서트 사출되어 상기 중간 구조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uch sensing electrode of the touch sensor is insert-injected together with the intermediate structure to be coupled to the intermediate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구조체에 마련되는 상기 터치 감지 전극은 상기 터치 센서를 구성하도록 상기 제어기판에 구비되는 또 다른 터치 감지 전극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uch sensing electrode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is disposed to face another touch sensing electrode of the control board to form the touch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구조체에 마련되는 상기 터치 감지 전극은 한 쌍이 상호 이격도록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uch sensing electrodes provided on the intermediate structure are disposed on the same plane so that a pair of the touch sensing electrod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구조체는 상기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상기 조명 렌즈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리플렉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termediate structure is a reflector having a reflecting surface for refl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oward the illumination len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조명 렌즈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외곽틀체와, 상기 외곽틀체의 안쪽에 상호 이격되어 상기 외곽틀체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내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감지 전극은 상기 리플렉터의 외곽틀체 및 복수의 내측벽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reflector includes an outer frame body disposed along an edge of the illumination lens and a plurality of inner sidewal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side the outer frame body and connected to the outer frame body, Wherein the reflector is provided on an outer frame of the reflector and on a plurality of inner side walls of the reflec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구조체는 상기 조명 렌즈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외곽틀체를 구비하는 베젤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termediate structure is a bezel member having an outer frame disposed along an edge of the illumination len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부재는 상기 외곽틀체의 안쪽에 상호 이격되어 상기 외곽틀체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내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감지 전극은 상기 베젤부재의 외곽틀체 및 복수의 내측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bezel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inner sidewal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side the outer frame body and connected to the outer frame body, wherein the touch sensing electrode of the touch sensor is disposed on an outer frame body and a plurality of inner sidewalls of the bezel member Wherein the touch panel is mounted on the touch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구조체는 상기 조명 렌즈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외곽틀체를 구비하는 베젤부재와, 상기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상기 조명 렌즈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베젤부재와 상기 제어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리플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감지 전극은 상기 터치 센서를 구성하도록 상기 제어기판에 배치되는 또 다른 터치 감지 전극과 마주하도록 상기 리플렉터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termediate structure includes a bezel member having an outer frame disposed along an edge of the illumination lens and a reflecting surface refl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oward the illumination lens and disposed between the bezel member and the control substrate Wherein the touch sensing electrode is provided on the reflector so as to face another touch sensing electrode disposed on the control board so as to constitute the touch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구조체는 상기 조명 렌즈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외곽틀체를 구비하는 베젤부재와, 상기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상기 조명 렌즈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베젤부재와 상기 제어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리플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감지 전극은 한 쌍이 상기 베젤부재 및 상기 리플렉터에 각각 상호 마주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termediate structure includes a bezel member having an outer frame disposed along an edge of the illumination lens and a reflecting surface refl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oward the illumination lens and disposed between the bezel member and the control substrate And a pair of touch sensing electrodes of the touch sensor ar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on the bezel member and the reflector, respectively.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터치 감지 전극 중 하나는 상기 베젤부재의 표면 전체를 코팅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one of the touch sensing electrodes constituting the touch sensor is provided to coat the entire surface of the bezel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구조체에 마련되는 상기 터치 감지 전극은 상기 터치 센서를 구성하도록 상기 제어기판에 구비되는 또 다른 터치 감지 전극과 마주하여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uch sensing electrode provided on the intermediate structure is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another touch sensing electrode provided on the control board so as to constitute the touch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구조체에 마련되는 상기 터치 감지 전극은 상기 터치 센서를 구성하도록 상기 제어기판과 마주하여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uch sensing electrode provided on the intermediate structure is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trol board so as to constitute the touch sensor.
KR1020160177051A 2016-12-22 2016-12-22 Touch-sensitive automotive room lamp module KR2018007379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051A KR20180073792A (en) 2016-12-22 2016-12-22 Touch-sensitive automotive room lamp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051A KR20180073792A (en) 2016-12-22 2016-12-22 Touch-sensitive automotive room lamp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792A true KR20180073792A (en) 2018-07-03

Family

ID=62918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051A KR20180073792A (en) 2016-12-22 2016-12-22 Touch-sensitive automotive room lamp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3792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4481A (en) * 2018-12-17 2020-06-25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Tailgate lamp for SUV of electrostatic touch sensor method
KR20220122071A (en) 2021-02-26 2022-09-02 (주)대한솔루션 Room lamp with flashlight function for vehicles
KR20230000298A (en) 2021-06-24 2023-01-02 (주)대한솔루션 Room lamp for vehic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4481A (en) * 2018-12-17 2020-06-25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Tailgate lamp for SUV of electrostatic touch sensor method
KR20220122071A (en) 2021-02-26 2022-09-02 (주)대한솔루션 Room lamp with flashlight function for vehicles
KR20230000298A (en) 2021-06-24 2023-01-02 (주)대한솔루션 Room lamp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326B1 (en) Touch-sensitive automotive room lamp module
CN203504520U (en) Proximity switch, lamp and proximity switch assembly
US8878438B2 (en) Lamp and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method
KR101804636B1 (en) Touch switching unit and an interior ramp module with the same
CN208128217U (en) Close to switch block
KR101198497B1 (en) Lamp module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00238677A1 (en) Led illumination module with touch sensitive controls and overhead console using the module
JP5476263B2 (en) Car interior lighting system
US10476501B2 (en) Capacitive sensor and switch assembly with decorative conductive component
JP5753515B2 (en) Automotive lighting system
KR20180073792A (en) Touch-sensitive automotive room lamp module
EP2943374A2 (en) A thin overhead console for a vehicle
JP5626868B2 (en) Interior lighting for vehicles
WO2018038291A1 (en) Touch type room lamp module for vehicle
KR100872742B1 (en) Power window switch module for automobile
KR20090011480U (en) Room lamp unit for a vehicle
KR102119664B1 (en) A lamp module for vehicle
JP2014235893A (en) Control panel
JP2013237385A (en) Lighting device for automobile
KR101093993B1 (en) Swtiching unit mounted on a steering wheel, the switching apparatus having the swtiching unit and the method for controling the apparatus
JP5548030B2 (en) Vehicle interior light
JP2012040970A (en) Vehicular indoor light
KR101964856B1 (en) Touch pad for icon light point lighting using laser direct structuring technique
JP2018041690A (en) Electronic apparatus switch and elastic body
CN204425309U (en) Soft-touch control and there is its range ho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