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6009A - Input apparatus,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input apparatus - Google Patents

Input apparatus,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inpu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6009A
KR20180066009A KR1020180065457A KR20180065457A KR20180066009A KR 20180066009 A KR20180066009 A KR 20180066009A KR 1020180065457 A KR1020180065457 A KR 1020180065457A KR 20180065457 A KR20180065457 A KR 20180065457A KR 20180066009 A KR20180066009 A KR 20180066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vehicle
information
input device
object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4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대윤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5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6009A/en
Publication of KR20180066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00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5/00Weighing apparatus wherein the balancing is effected by fluid action
    • G01G5/003Weighing apparatus wherein the balancing is effected by fluid action load-cell construction or mountings
    • G06K9/2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06V10/14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performing the acquisition or on the illumination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80Recognising image objects characterised by unique random pattern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device for inputting a manipulation command based on a previously registered object,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placed in an object recognition area;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device that recognizes the object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performs a function to perform a predetermined function on the recognized objec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intuitively manipulate various functions applied to the vehicle.

Description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INPUT APPARATUS,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INPUT APPARATU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device,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input device.

미리 등록된 사물에 기초해 조작 명령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입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device provided to be able to input an operation command based on a previously registered object,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input device.

차량은 차량속도, 엔진 회전수, 주유량, 냉각수 등의 주행 기능을 가지며, 기본적인 주행 기능 외에도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공조 제어, 시트 제어, 조명 제어 등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The vehicle has the functions of driving the vehicle such as the speed of the vehicle,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engine, the amount of the fuel injected, the amount of the cooling water, etc. In addition to the basic driving function, the vehicle can have audio function, video function, navigation function, air conditioning control, seat control,

이러한 차량의 기능 조작을 위해 다양한 입력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사용자가 차량용 기능들을 보다 쉽게 호출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 입력 장치에 대한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Various input devices can be used for the functioning of such a vehicle, and in recent year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an input device provided so that a user can more easily call and execute functions for a vehicle.

일 측면은 미리 지정된 사물을 이용해 조작 명령을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된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One aspect relates to an input device provided to input an operation command using a predetermined object, and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and an input device including the input device.

일 측면에 따른 입력 장치는 사물 인식 영역; 상기 사물 인식 영역에 놓인 사물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해 상기 사물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사물에 대해 미리 정해진 기능이 실행되도록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input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n object recognition area; A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object information placed i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evice to recognize the object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to perform a predetermined function for the recognized object.

또한, 사물 인식 영역에 놓인 사물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제 1 수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 And a first collecting unit collecting image information of an object placed i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또한, 제 1 수집부는, 사물 인식 영역의 배면에 마련되는 영상 수집부; 및 영상 수집부와 이웃하여 배치되고, 사물 인식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ollec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collecting unit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object recognition area; And a light emitting unit arranged adjacent to the image collecting unit and irradiating light to the object recognition area.

또한, 제어부는, 제 1 수집부에서 수집된 영상 정보에 기초해 사물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물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능이 실행되도록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an recognize an object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first collecting unit, and control a device that performs a function to perform a predetermined function on the recognized object.

또한, 수집부는, 사물 인식 영역에 놓인 사물의 무게 정보를 수집하는 제 2 수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llecting unit may include a second collecting unit collecting weight information of an object placed in the object recognizing area.

또한, 제어부는, 제 2 수집부에서 수집된 무게 정보에 기초해 사물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물에 대해 미리 정해진 기능이 실행되도록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a device that recognizes an object based on the weigh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econd collecting unit and performs a function to perform a predetermined function on the recognized object.

또한, 실행되는 기능에 대한 기능 실행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for providing a function execution screen for a function to be executed.

또한, 사물을 인식하기 위한 사물 인식 정보와 사물에 대해 정해진 기능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for storing object recognition information for recognizing an object and function information determined for the object.

또한, 사물 인식 영역은, 차량 내부의 일 영역에 마련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the object recognition area may include one provided in one area inside the vehicle.

다음으로, 일 면에 따른 입력 장치가 마련된 차량에 있어서, 입력 장치는 사물 인식 영역; 사물 인식 영역에 놓인 사물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수집된 정보에 기초해 사물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물에 대해 미리 정해진 기능이 실행되도록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Next, in a vehicle provided with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the input device includes a object recognition area; A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object information placed i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for recognizing the object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performing a function to perform a predetermined function on the recognized object.

또한, 수집부는, 사물 인식 영역에 마련된 사물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제 1 수집부 및 사물의 무게 정보를 수집하는 제 2 수집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llect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rst collecting unit collecting image information of an object provided i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and a second collecting unit collecting weight information of the object.

또한, 사물을 인식하기 위한 사물 인식 정보와 사물에 대해 정해진 기능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for storing object recognition information for recognizing an object and function information determined for the object.

또한, 사물 인식 영역은, 차량 내부의 일 영역에 마련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the object recognition area may include one provided in one area inside the vehicle.

다음으로, 일 측면에 따른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물 인식 영역의 사물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사물을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된 사물에 대해 미리 정해진 기능이 실행되도록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n input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collecting object information of a object recognition area; Recognizing an object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controlling a device that performs a function to perform a predetermined function on the recognized object.

또한, 인식된 사물에 대한 차량의 조작 명령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gistering operation command information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recognized object.

또한, 사물 인식 영역의 사물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사물 인식 영역에 마련된 사물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tep of collecting the object information i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may include collecting image information of the object provided i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또한, 사물 인식 영역의 사물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사물 인식 영역에 마련된 사물의 무게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ollecting the object information i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may include collecting weight information of the object provided i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개시된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disclosed invention, the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input devic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먼저, 차량 내에서 자주 사용하는 사물에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즐겨 찾기 기능으로 등록하고, 해당 기능이 간편하게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First, a frequently used function can be registered as a favorite function in frequently used objects in a vehicle, and the corresponding function can be easily executed.

결과적으로 차량에 적용된 여러 기능들을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차량의 주행 중 운전자의 시선분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manipulate various functions applied to the vehicle, and to minimize the driver's visibility dispersion time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제어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제어 블록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입력 장치에 즐겨찾기 기능을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입력 장치를 통해 즐겨찾기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이다.
도 9는 문자를 이용한 입력 장치의 조작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지갑을 이용한 입력 장치의 조작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view showing an interior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block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registering a favorite function in an input device.
8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executing a favorite function through an input device.
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operation of an input device using characters.
10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an input device using a walle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입력 장치, 차량 및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an input device, a vehicle, and an input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의 외관도 이다.1 is an external view of a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차량(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와,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00)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2)와, 차량(100)을 이동시키는 차륜(3, 4)과, 차륜(3, 4)을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5)와, 차량(10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6)와, 운전자에게 차량(100)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7, 8)를 포함할 수 있다.1, a vehicle 100 includes a main body 1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a vehicle 100, a windshield 2 providing a driver with an inside view of the vehicle 100 in front of the vehicle 100, Wheels 3 and 4 for moving the vehicle 100, a drive device 5 for rotating the wheels 3 and 4, a door 6 for shielding the inside of the vehicle 100 from the outside, And side mirrors 7 and 8 that provide a view of the rear of the vehicle 100. [

전면 유리(2)는 본체(10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0)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쉴드 글래스(windshield glass)라고도 한다.The front glass 2 is provided on the front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a driver inside the vehicle 100 can obtain time information in front of the vehicle 100 and is also called a windshield glass.

차륜(3, 4)은 차량(100)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3)과 차량(100)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4)을 포함하며, 구동 장치(5)는 본체(1)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전륜(3) 또는 후륜(4)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5)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engine) 또는 축전기(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motor)를 채용할 수 있다.The wheels 3 and 4 include a front wheel 3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vehicle 100 and a rear wheel 4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100. The driving device 5 includes a main body 1, Or the rear wheel 3 so as to move backward. Such a drive unit 5 may employ an engine f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by burning fossil fuel or a motor f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by receiving power from a capacitor (not shown).

도어(6)는 본체(1)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00)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도어(6)에는 밖을 내다 보거나 밖에서 안을 볼 수 있는 윈도우가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윈도우는 한쪽에서만 볼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The door 6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1 so that the driver can ride on the inside of the vehicle 100 when the door is opened and the inside of the vehicle 100 is shielded from the outside . The door (6) may be provided with a window for viewing the outside or for viewing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window may be provided so that it can be viewed only from one side, or it may be provided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사이드 미러(7, 8)는 본체(1)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7)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8)를 포함하며,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0)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The side mirrors 7 and 8 include a left side mirror 7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main body 1 and a right side mirror 8 provided on the right side. Side information and rear-side time information.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운전자 등이 탑승하는 시트(10)와, 센터 콘솔(20), 센터페시아(30) 및 스티어링 휠(40) 등이 마련된 대시보드(50)(dashboard) 를 포함할 수 있다.2 is a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the vehicle 100 includes a seat 10 on which a driver or the like is boarded, a dashboard 50 (see FIG. 2) provided with a center console 20, a center fascia 30, and a steering wheel 40 dashboard).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센터 콘솔(20)이 마련되어 운전석과 조수석을 구획할 수 있다. 센터 콘솔(20)은 기어 장치가 내장되는 기어 박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어 박스에는 차량(100) 변속을 위한 변속 레버(21) 등이 설치될 수 있다. A center console (20) is provided between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s seat to divide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s seat. The center console 20 may include a gear box having a built-in gear device, and the gear box may be provided with a shift lever 21 or the like for shifting the vehicle 100.

센터 콘솔(20)의 후방에는 차량(100)의 탑승자가 팔을 거치할 수 있도록 암레스트(25, Arm Rest)가 마련될 수 있다. 암레스트(25)는 탑승자가 차량(100) 내에서 편안한 자세를 취하기 위해 팔을 올려놓도록 한 부분으로 탑승자의 편안함을 위해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An arm rest 25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center console 20 so that an occupant of the vehicle 100 can receive the arm. The armrest 25 may include an ergonomically designed portion for the comfort of the occupant as a portion of the occupant's arm that rests on the vehicle 100 for a comfortable posture.

센터페시아(30)에는 공조 장치(31), 시계(32), 오디오 장치(33) 및 AVN 장치(34) 등이 설치될 수 있다. The center fascia 30 may be provided with an air conditioner 31, a clock 32, an audio device 33 and an AVN device 34.

공조 장치(31)는 차량(100) 내부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차량(100)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공조 장치(31)는 센터페시아(30)에 설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31a)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30)에는 공조 장치(31) 등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 등의 사용자는 센터페시아(30)에 배치된 버튼을 이용하여 공조 장치(31)를 제어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31 adjusts the temperature, humidity, air cleanliness, and air flow inside the vehicle 100 to comfortably mainta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100. The air conditioner 31 may include at least one discharge port 31a provided in the center fascia 30 for discharging air. The center fascia 30 may be provided with buttons or dials for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31 and the like. A user such as a driver can control the air conditioner 31 by using a button disposed on the center pace 30.

시계(32)는 공조 장치(31)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주위에 마련될 수 있다.The watch 32 may be provided around a button or a dial for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31. [

오디오 장치(33)는 오디오 장치(33)의 기능 수행을 위한 다수의 버튼들이 마련된 조작패널을 포함한다. 오디오 장치는 라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라디오 모드와 오디오 파일이 담긴 다양한 저장매체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The audio device 33 includes an operation panel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ttons for performing functions of the audio device 33. [ The audio device may provide a radio mode for providing radio functions and a media mode for reproducing audio files of various storage media containing audio files.

AVN 장치(34)는 차량(100)의 센터페시아(30) 내부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AVN 장치(3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및 내비게이션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AVN 장치(34)는 AVN 장치(34)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35)와, 오디오 기능과 관련된 화면, 비디오 기능과 관련된 화면 또는 내비게이션 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VN device 34 may be embedded in the center fascia 30 of the vehicle 100. The AVN device 34 is an apparatus that can integrally perform an audio function, a video function, and a navigation function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The AVN device 34 includes an input unit 35 for receiving a user command for the AVN device 34 and a display 36 related to the audio function or a screen related to the video function or a screen related to the navigation function can do.

스티어링 휠(40)은 차량(100)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41) 및 차량(100)의 조향 장치와 연결되고 림(41)과 조향을 위한 회전축의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4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스포크(42)에는 차량(100) 내의 각종 장치, 일례로 오디오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장치(42a, 42b)가 형성될 수 있다.The steering wheel 40 is a device for adjusting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00. The steering wheel 40 is connected to the rim 41 held by the driver and the steering device of the vehicle 100, And a spoke 42 connecting the hub.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pokes 42 may be provided with operating devices 42a and 42b for controlling various devices in the vehicle 100, for example, an audio device.

대시보드(50)는 실시 예에 따라서 차량(100)의 주행 속도, 엔진 회전 수 또는 연료 잔량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각종 계기판 및 각종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글로브 박스(globe box)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ashboard 50 includes various instrument panels capable of displaying the traveling speed, the engine speed or the remaining amount of fuel of the vehicle 100, a globe box capable of storing various items, and the like .

대시보드(50)의 일 영역에는 차량(100)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장치(200)가 마련될 수 있다. In one area of the dashboard 50, an input device 200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of the vehicle 100 may be provided.

입력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경우뿐만 아니라 클러스터의 전단, AVN 장치(34)의 하단, 기어박스 등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 입력 장치(200)가 대시보드(50)의 상단에 마련된 경우를 예로 들어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The input device 200 may be provided not only in the case shown in FIG. 2 but also in the front end of the cluster, the lower end of the AVN device 34, the gear box, and the like.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taking the case where the input device 20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dashboard 50 as an example.

입력 장치(200)는 미리 등록된 사물을 통해 차량(100)의 여러 기능들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탑승자는 차량(100)에서 제공하는 버튼을 통해 차량(100)의 각종 기능들을 조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입력 장치(200)에 마련된 사물 인식 영역에 미리 등록된 사물을 위치시키는 방법으로 차량(100)의 여러 기능들을 보다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다. The input device 200 can receive control commands for various functions of the vehicle 100 through previously registered objects. More specifically, the passenger can manipulate various functions of the vehicle 100 through the buttons provided in the vehicle 100, as well as a method of locating objects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provided in the input device 200 Various functions of the vehicle 100 can be more easily operated.

이하, 입력 장치(20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input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3 is a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n input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input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입력 장치(200)는 미리 등록된 사물이 인식되는 영역인 사물 인식 영역(210)을 포함할 후 있으며, 사물 인식 영역(210)의 하단에는 사물 인식 영역(210)에 놓인 사물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가 마련될 수 있다.3 and 4, the input device 200 includes an object recognition area 210, which is an area in which a previously registered object is recognized, and an object recognition area 210 at the lower end of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 A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object information placed in the area 210 may be provided.

사물 인식 영역(210)은 대시보드(50)의 상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 대시보드(50)의 상단 가운데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사물 인식 영역(210)은 실행하고자 하는 기능이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사물을 위치시키는 영역으로, 미리 등록된 사물이 사물 인식 영역(210)에 놓이면 사물에 매핑된 차량(100)의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dashboard 50 and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center area of the dashboard 50 in more detail.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is an area for positioning an object in which a function to be executed is registered in advance. When a previously registered object is placed i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the function of the vehicle 100 mapped to the object can be executed have.

여기서, 사물은 일정한 형체를 가지며 식별 가능한 모든 물질적 대상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보다 상세하게, 사물은 차량(100) 내부의 사물들, 예를 들어 CD, 소책자, 티슈, 선글라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물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 지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문자가 인쇄된 인쇄지 등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an object is a concept that has a certain shape and includes all identifiable material objects. In more detail, an object may include objects within the vehicle 100, such as a CD, booklet, tissue, sunglasses, etc., and may include objects such as mobile devices, purses And the like. But may include a printing paper on which characters are prin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사물 인식 영역(210)은 편평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사물 인식 영역(210)에 사물이 안정적으로 배치 가능하도록 오목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사물 인식 영역(210)이 오목한 형태로 마련된 경우 사물이 사물 인식 영역(210)에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향상되고 사물 인식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may be formed in a flat shape and may be provided in a concave shape so that objects can be stably placed i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the object can be stably placed i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and as a result, the user's operational convenience can be improved and the accuracy of object recognition can be improved.

사물 인식 영역(210) 중 사물과 접촉 빈도수가 높은 일부 영역은 미세한 돌기가 형성된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사물 인식 영역(210)의 중심 영역은 가장자리 영역과 달리 미세한 돌기가 형성된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사물 인식 영역(210)의 중심 영역에 가장자리 영역과는 다른 소재를 적용 함으로써 사물 인식 영역(210)의 중심부에 사물이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A part of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having a high contact frequency with objects may be provided with a material having fine protrusions. For example, the center area of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fine protrusions, unlike the edge area. It is possible to stably arrange objects in the center of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by applying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edge area to the center area of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As a result,

실시 예에 따라 사물 인식 영역(210)의 주위에는 사물을 고정시키도록 마련된 고정 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고정 부재는 사물 인식 영역(210)의 가장자리에 사물 인식 영역(210)과 일체로 마련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사물 인식 영역(210) 가장자리에 별도의 부재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A fixing member (not shown) may be provided around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to fix the object. The fixing member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at the edge of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and may be provided in a manner such that a separate member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

이러한 사물 인식 영역(21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수집부(220)에서 사물 영상을 용이하게 수집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 1 수집부(22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사물 인식 영역(210)을 형성하는 부재가 불투명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object image can be easily collected by the first collection unit 220, as described later.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member for forming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may be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rst collecting unit 220.

수집부(240)는 사물 인식 영역(210)에 놓인 사물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수집부(240)는 사물 인식 영역(210)에 놓인 사물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제 1 수집부(220)와, 사물 인식 영역(210)에 놓인 사물의 무게 정보를 수집하는 제 2 수집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 1 수집부(220)와 제 2 수집부(230)를 모두 도시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 제 1 수집부(220)와 제 2 수집부(230)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collecting unit 240 may collect the object information placed i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The collecting unit 240 includes a first collecting unit 220 that collects image information of an object placed i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and a second collecting unit 220 that collects weight information of the object placed in the object recognizing area 210 230). Although both the first collecting unit 220 and the second collecting unit 230 are shown in FIG. 4, at least one of the first collecting unit 220 and the second collecting unit 230 may be omit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course.

제 1 수집부(220)는 사물 인식 영역(210)에 놓인 사물의 영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수집부(220)는 사물 인식 영역(210)의 하단, 다시 말해 사물 인식 영역(210)을 형성하는 부재의 배면에 마련될 수 있다. The first collecting unit 220 may collect image information of an object placed i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The first collecting unit 22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that is, at the back of the object forming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제 1 수집부(220)는 영상 수집 영역에 놓인 사물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영상 수집부(222)와, 영상 수집부(222)와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사물 인식 영역(210)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ollecting unit 220 includes an image collecting unit 222 for collecting image information of an object placed in the image collecting area, and a light collecting unit 222 disposed adjacent to the image collecting unit 222 to irradiate light to the object recognizing area 210 Emitting portion 224 may be included.

영상 수집부(222)는 사물 인식 영역(210)에 놓인 사물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기에 적합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영상 수집부(222)는 사물 인식 영역(210)을 형성하는 부재의 배면에 마련될 수 있다. The image collecting unit 222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suitable for collecting image information of an object placed i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 For example, the image collecting unit 222 may be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member forming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영상 수집부(222)는 영상 수집부(222)의 영상 수집면(223)이 사물 인식 영역(210)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 영상 수집면이 사물 인식 영역(210)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사물 인식 영역(210)에 마련된 사물의 영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다만, 영상 수집부(222)의 설치 위치가 도 4에 도시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수집부(222)는 영상 수집부(222)의 영상 수집 면(223)이 사물 인식 영역(210)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를 포함해, 사물의 영상 정보를 수집 가능한 모든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수집부(222)가 사물 인식 영역(210)을 형성하는 부재의 배면에 마련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The image collection unit 222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image collection surface 223 of the image collection unit 222 faces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More specifically, So that image information of an object provided i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can be collected. 4 but the image collecting unit 222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image collecting surface 223 of the image collecting unit 222 is located i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object can be collected at every position where the image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taking the case where the image collecting unit 222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member forming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as shown in FIG.

영상 수집부(222)가 사물의 영상을 원활하게 수집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조도가 확보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영상 수집의 대상이 되는 영역의 조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확보되지 않은 경우 영상 수집부(222)에서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사물을 인식하는데 필요한 사물의 크기, 모양 및 색상 정보 등을 획득하기 어려울 수 있다. In order for the image collecting unit 222 to smoothly collect images of an object, a certain level of illuminance must be secured. In other words, when the illuminance of the area to be subjected to the image collection is not secured to a certain level or higher,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size, shape and color information of objects necessary for recognizing objects from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collection unit 222 .

일 예로, 사물 인식 영역(210)에 사물이 위치할 경우 사물 인식 영역(210)의 배면으로 향하는 광이 차단되어 영상 수집부(222)의 영상 수집이 어려울 수 있으며, 차량(100)이 터널에 진입하는 경우 또는 차량(100)이 야간에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와 같이 차량(100) 주위의 조도 환경이 열악한 경우에도 영상 수집부(222)의 영상 수집이 어려울 수 있다.For example, when an object is located i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light directed to the back face of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is interrupted, so that image collection by the image collection part 222 may be difficult. It may be difficult to collect the image of the image collection unit 222 even when the illumination environment around the vehicle 100 is poor, such as when the vehicle 100 enters the road or when the vehicle 100 travels on the road at night.

이에, 영상 수집부(222) 주위에는 발광부(224)가 배치될 수 있다. 발광부(224)는 영상 수집부(222)가 사물의 영상을 원활하게 수집할 수 있도록 영상 수집부(222)의 영상 수집의 대상이 되는 영역, 다시 말해 입력 장치(200)의 사물 인식 영역(210)의 주위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unit 224 may be disposed around the image collecting unit 222. The light emitting unit 224 is a region in which the image collecting unit 222 collects images so that the image collecting unit 222 can smoothly collect images of objects, 210 can be irradiated with light.

실시 예에 따라 사물 인식 영역(210)의 주위에는 조도 센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발광부(224)는 조도 센서로부터 감지된 조도 정보를 기초로 사물의 인식에 최적화된 세기의 광을 입력 장치(200)의 사물 인식 영역(210) 주위에 조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 illuminance sensor may be installed around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The light emitting unit 224 may transmit light having an intensity optimized for recognizing objects based on the illuminance information sensed by the illuminance sensor, 200) around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제 2 수집부(230)는 사물 인식 영역(210)에 마련된 사물의 무게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수집부(230)는 사물 인식 영역(210)을 형성하는 부재의 하단, 다시 말해 사물 인식 영역(210)을 형성하는 부재의 배면에 마련될 수 있다. The second collecting unit 230 may collect weight information of objects provided i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The second collecting unit 23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ember forming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that is, on the rear surface of the member forming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제 2 수집부(230)는 사물의 무게 정보를 수집 가능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로드 셀을 포함할 수 있다. 로드 셀은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힘 검출기로, 실시 예에 따라 압축형 로드셀, 인장형 로드셀, 압축 인장 겸용형 로드 셀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 2 수집부(230)의 마련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물의 무게 정보를 수집 가능하도록 마련된 모든 구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넓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second collecting unit 230 may include at least one load cell configured to collect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object. The load cell is a force detector using a strain gage, and may include a compression type load cell, a tension type load cell, and a compression tensile type load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However, the example of the second collecting unit 230 is not limited to this, but should be broadly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ll the arrangements for collecting the weight information of objects.

로드 셀은 사물 인식 영역(210)에 마련된 사물의 무게 정보를 수집하기에 용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로드 셀은 필요에 따라 단일 또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로드 셀은 복수 개로 마련되어 사물 인식 영역(210)을 형성하는 부재의 배면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 1 수집부(220)가 마련되지 않는 경우, 단일 로드셀이 사물 인식 영역(210)을 형성하는 부재의 배면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load cell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it is easy to collect weight information of objects provided i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and the load cells may be provided singly or in plurality as required. For example, a plurality of load cells may b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back edge of the member forming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n the case where the first collecting unit 220 is not provid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single load cell can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back surface of the member forming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다음으로, 첨부된 제어 블록도를 참조해 입력 장치(2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Next, the input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control block diagram.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의 제어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의 제어 블록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block of the input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input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는 입력부(250), 수집부(240), 메모리(270),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수집부(240)와 관련해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5 and 6, the input device 200 may include an input unit 250, a collecting unit 240, a memory 270, and a control unit 280. The input unit 250 may include an input unit 250, a collecting unit 240,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at described in FIG. 4 with respect to the collecting unit 240 will be omit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입력부(2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장치(200)의 여러 기능들에 대한 제어 신호를 입력 받고 입력된 제어 신호를 제어부(28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입력부(2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장치(200)의 동작에 대한 온오프 설정 명령을 입력 받는 온오프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온오프 버튼으로부터 온오프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는 제어부(280)에 전송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250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or various functions of the input device 200 from a user and may transmit the input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unit 280. For example, the input unit 250 may include an on-off button for receiving an on-off setting command for the operation of the input device 200 from a user. When the on-off setting command is inputted from the on-off button, the inputted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80. [

입력부(2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장치(200)에 대한 모드 설정 명령을 입력 받는 모드 설정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드 설정 버튼은 인식 가능한 사물에 즐겨찾기 기능을 등록하는 등록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제 1 버튼과, 차량(100)의 여러 기능을 조작하는 조작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제 2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입력 장치(200)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조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2 버튼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 1 버튼과 제 2 버튼은 가압식 버튼 또는 터치식 버튼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제 1 버튼과 제 2 버튼은 하나의 버튼으로 통합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The input unit 250 may include a mode setting button for receiving a mode setting command for the input device 200 from a user. Here, the mode setting button may include a first button for entering a registration mode for registering a favorite function in a recognizable object, and a second button for entering an operation mode for opera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vehicle 1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put device 200 may be designed to operate in an operating mode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which case the second button may be omitted. The first button and the second button may be a push button or a touch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button and the second button may be integrated into one button.

이하, 입력 장치(200)가 온 상태에서 조작 모드로 동작되도록 설계된 경우를 예로 들어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할 것이다. 또한, 등록 모드는 인식 가능한 사물에 차량(100)의 여러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즐겨 찾기 기능으로 등록하는 모드로 정의한다. 사용자는 등록 모드를 통해 차량(100) 내에서 소지 또는 사용하는 사물0들에 대해 해당 사물들에 대응되는 즐겨 찾기 기능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모드는 사물 인식 영역(210)에 놓인 사물을 인식하고, 해당 사물에 매핑된 조작 명령을 실행하는 모드로 정의한다. 또한, 즐겨 찾기 기능은 차량(100) 내의 여러 기능들 중 사물에 대해 미리 정해진 기능으로 정의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s an example the case where the input device 200 is designed to operate in the operating mode in the ON state. In addition, the registration mode defines a mode in which at least one function of various functions of the vehicle 100 is registered as a favorite function to a recognizable object. The user can register a favorit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objects with respect to objects 0 owned or used in the vehicle 100 through the registration mode. The operation mode is defined as a mode for recognizing an object placed i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and executing an operation command mapped to the object. In addition, the favorite function is defined as a predetermined function for an object among various functions in the vehicle 100. [

제 1 버튼에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 장치(200)는 즐겨찾기 기능을 등록하기 위한 등록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입력 장치(200)가 등록 모드에 진입되면 사용자는 특정 사물에 대한 즐겨찾기 기능을 선택하고 해당 기능을 즐겨찾기 기능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버튼에 사용자의 조작 명령이 입력되는 방식으로 즐겨찾기 기능을 등록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별도로 마련된 등록 버튼에 사용자의 조작 명령이 입력되는 방식으로 즐겨찾기 기능을 등록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등록 버튼은 AVN 장치(34)의 디스플레이(36)에 표시되는 기능 설정 화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그밖에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생각할 수 있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When the user's command is input to the first button, the input device 200 can enter the registration mode for registering the favorite function. When the input device 200 enters the registration mode, the user can select a favorite function for a specific object and register the corresponding function as a favorite function. In this case, the favorite function can be registered in a manner that a user's operation command is input to the first button, and a favorite function can be registered in a manner that a user's operation command is input to a separate registration button have. For example, the registration button may be provided on the function setting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36 of the AVN apparatus 34, or may be provided in a manner that is easily conceivable to the ordinary artisan.

수집부(240)는 사물 인식 영역(210)에 놓인 사물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제어부(280)로 전달할 수 있다. 수집부(2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수집부(220)와 제 2 수집부(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제 1 수집부(220)와 제 2 수집부(230) 중 하나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 전술한 수집부(240)에 대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e collecting unit 240 may collect the object information placed i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and transmit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280. [ The collecting unit 240 may include a first collecting unit 220 and a second collecting unit 230 as described above and may include a first collecting unit 220 and a second collecting unit 230, May be omitted.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collecting unit 240 will be omitted.

표시부(260)는 즐겨찾기 기능을 등록하기 위한 등록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즐겨찾기 명령에 대응되는 결과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260 may display a registration screen for registering a favorite function, and may display a result screen corresponding to a user's favorite comm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즐겨찾기 기능을 등록하기 위한 등록 화면은 등록 가능한 기능들의 리스트와 선택된 기능을 등록하기 위한 등록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등록 화면의 마련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현재 실행 중인 기능 실행 화면에 실행 중인 기능을 등록하기 위한 등록 버튼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registration screen for registering the favorite function may include a list of functions that can be registered and a registration button for registering the selected function.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example of the registration screen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include a registration button for registering a function being executed on the currently executing function execution scree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표시부(260)는 AVN 장치(34)의 디스플레이(36)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즉, AVN 장치(34)의 디스플레이(36)가 입력 장치(200)의 표시부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를 채용할 수 있으나, 사용 가능한 표시부의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display 260 may be a concept that includes the display 36 of the AVN device 34. [ That is, the display 36 of the AVN apparatus 34 can function as a display unit of the input apparatus 200. [ Such a display unit may employ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or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but examples of display units that can be used are not limited thereto .

메모리(270)에는 입력 장치(200) 또는 차량(100)에 마련된 각종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270)는 입력 장치(200)의 입력부(250)로부터 전달된 입력 신호 또는 수집부(240)로부터 전달된 수집 신호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memory 270 may store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various functions provided in the input device 200 or the vehicle 100. [ The memory 270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the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put unit 250 of the input device 200 or the collected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collecting unit 240. [

메모리(270)는 사물을 인식하기 위한 사물 인식 정보, 특정 사물에 대해 정해진 즐겨찾기 기능 정보, 해당 즐겨찾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명령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사물의 인식 정보는 사물의 색상, 크기, 형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문자를 인식하기 위한 문자열 인식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memory 270 may store object recognition information for recognizing an object, favorite function information determined for a specific object, control command information for performing a corresponding favorite function, and the like. Here, the recognition information of an object may include color, size, and type information of an object, and may include character recognition information for recognizing a charac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러한 메모리(27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c), 메모리 카드, 롬(ROM: Read-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메모리 카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mory 270 may be a flash memory, a hard disk, a memory card, a ROM (Read Only Memory), a RAM (Random Access Memory), a memory card, an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a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a magnetic memory, a magnetic disk, and an optical disk.

제어부(280)는 입력 장치(200) 또는 차량(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내부 구성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메모리(27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80 controls the signal flow between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nput device 200 or the vehicle 100 and the internal components and processes the data. The control unit 280 can execute an OS (Operating System) and various applications stored in the memory 270 when the input of the user or predetermined conditions are satisfied.

제어부(280)는 프로세서(281), 입력 장치(2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282) 및 입력 장치(200)의 수집부(240)에서 수집된 사물 정보를 저장하거나 입력 장치(2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28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80 stores a ROM 282 storing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input device 200 and the objec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ollecting unit 240 of the input device 200, And RAM (RAM) 283 used as a storage area corresponding to various operations performed in the apparatus 200.

제어부(280)는 입력 장치(200)가 등록 모드로 동작하는 중 수집부(240)로부터 사물 인식 정보가 전달되면 전달된 정보를 기초로 사물의 특징을 추출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280)는 추출된 사물의 특징 정보를 기초로 사물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물에 대해 미리 정해진 기능이 실행되도록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object recogni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collecting unit 240 while the input device 200 is operating in the registration mode, the control unit 280 can extract the feature of the object based on the transmitted information. Then, the control unit 280 can recognize an object based on the feature information of the extracted object, and control a device that performs a predetermined function on the recognized object.

사물 인식 정보는 수집부(240)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수집부(220)에서는 사물의 영상 정보가 사물 인식 정보로서 제어부(280)에 제공될 수 있으며, 제 2 수집부(230)에서는 사물의 무게 정보가 사물 인식 정보로서 제어부(280)에 제공될 수 있다. The object recognition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collection unit 240. More specifically, in the first collecting unit 220, image information of an object may be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280 as object recognition information. In the second collecting unit 230,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object may be provided as object recognition information, As shown in FIG.

제어부(280)는 제 1 수집부(220)로부터 사물의 영상 정보가 전달되면 전달된 영상 정보를 기초로 영상의 특징을 추출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 영상의 형상, 크기, 색상 등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280)는 메모리(270)에 저장된 사물 인식 정보에 기초해 사물을 인식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280)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해당 사물에 즐겨찾기 기능 정보를 매핑할 수 있으며, 매핑된 정보는 메모리(270)에 저장될 수 있다. When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object is transferred from the first collecting unit 220, the controller 280 may extract the feature of the image based on the transmitted image information, and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on the shape, size, and color of the image Can be extracted. Then, the control unit 280 can recognize the object based on the object recogni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270. [ Then, the control unit 280 may map the favorite function information to the object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user, and the mapped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70. [

제어부(280)는 제 2 수집부(230)로부터 사물의 무게 정보가 전달되면 전달된 무게 정보를 기초로 사물의 특징을 추출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 무게 정보 및 무게 정보의 오차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제 2 수집부(230)에서 수집된 사물의 무게 정보는 단독으로 사물 인식 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제 1 수집부(220)로부터 제어부(280)에 제공된 사물의 영상 정보로부터 특징을 추출하기 어려운 경우 이를 보조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제어부(280)는 메모리(270)에 저장된 사물 인식 정보에 기초해 사물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인식된 사물에 즐겨찾기 기능 정보를 매핑활 수 있으며, 매핑된 정보는 메모리(270)에 저장될 수 있다. When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object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collecting unit 230, the control unit 280 can extract the feature of the object based on the transmitted weight information and set the error range of the weight information and the weight information in more detail have.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object collected by the second collecting unit 230 can be used alone as the object recognition information. 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irst collecting unit 220 acquires the feature from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object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280 It can be used as a means for assisting in the case where extraction is difficult. Then, the control unit 280 can recognize the object based on the object recogni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270. [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80 may map the favorite function information to the recognized object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user, and the mapped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70. [

제어부(280)는 입력 장치(200)가 조작 모드로 동작하는 중 수집부(240)로부터 사물 인식 정보가 전달되면 전달된 정보를 기초로 사물의 특징을 추출할 수 있다. When the object recogni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collecting unit 240 while the input device 200 is operated in the operation mode, the control unit 280 can extract the feature of the object based on the transmitted information.

제어부(280)는 추출된 사물의 특징 정보와 메모리(270)에 미리 저장된 사물의 특징 정보를 비교해 사물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물이 미리 등록된 사물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80 can compare the feature information of the extracted object with the feature information of the object stored in the memory 270 in advance to recognize the object and determine whether the recognized object is a previously registered object.

제어부(280)는 인식된 사물이 미리 등록된 사물인 경우 메모리(270)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에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80 may output a control signal to a device that performs the func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270 if the recognized object is a pre-registered object.

제어부(280)는 인식된 사물이 미리 등록된 사물이 아닌 경우 입력 장치(200)를 비활성화 시킬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인식된 사물이 미리 등록된 사물이 아닌 경우 입력 장치(200)의 표시부(260)에 해당 사물의 등록 여부를 묻는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80 may deactivate the input device 200 if the recognized object is not a pre-registered object. If the recognized object is not a pre-registered objec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260 can be controlled to output a notification message asking whether or not the object is registered.

이상으로,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1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의 제어 방법의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input device 200 and the vehicle 100 including the input device 200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Next,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controlling the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의 제어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이다. 도 7은 입력 장치(200)에 즐겨찾기 기능을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8은 입력 장치(200)를 통해 즐겨찾기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이다. 7 and 8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control process of the input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gistering a favorite function in the input device 200, and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executing a favorite function through the input device 200. Referring to FIG.

이하, 입력 장치(200)가 온 상태인 경우 입력 장치(200)가 조작 모드로 동작되고, 미리 설정된 제 1 버튼에 사용자의 조작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 장치(200)가 등록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를 전제로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입력 장치(200)의 모드 전환 방식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는 전술한 바와 같다. Hereinafter, the case where the input device 200 is operated in the operation mode when the input device 200 is on, and the input device 200 is operated in the registration mode when a user's operation command is input to the first button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mode switching method of the input device 200 is not limited to this, and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먼저 도 7을 참조해 입력 장치(200)에 즐겨찾기 기능을 등록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First, the process of registering the favorite function in the input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7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모드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 장치(200)는 등록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310). 여기서 모드 전환 명령은 입력 장치(200)의 제 1 버튼에 사용자의 조작 명령이 입력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통해 모드 전환이 되는 등 다양한 방식을 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Referring to FIG. 7, when the user inputs a mode switching command, the input device 200 may enter the registration mode (310). Here, the mode switching command may be performed in a manner that a user's operation command is input to the first button of the input device 200. 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various modes can be used such as mode switching through voice command of the user Of course.

입력 장치(200)가 등록 모드로 활성화되면 수집부(240)는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사물 인식 영역(210)의 사물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사물 인식 정보는 제어부(280)에 전달될 수 있다(320). When the input device 200 is activated in the registration mode, the collecting unit 240 may collect the object information of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collected object recogni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80 (320).

수집된 사물 인식 정보가 제어부(280)에 전달되면, 제어부(280)는 전달된 정보를 기초로 사물의 특징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와 메모리(270)에 미리 저장된 사물의 특징 정보를 비교해 사물을 인식할 수 있다(330). 여기서 사물 인식 정보는 수집부(240)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으며 이하 전술한 바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When the collected object recogni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80, the control unit 280 extracts the feature of the object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compares the extracted feature information with the feature information of the object stored in the memory 270 in advance The object can be recognized (330). Here, the object recognition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collection unit 240, and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abov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다음, 제어부(280)는 인식된 사물에 차량(100)의 여러 기능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을 즐겨찾기 기능 정보로 매핑할 수 있으며, 매핑된 즐겨찾기 기능 정보는 메모리(270)에 저장될 수 있다(340, 350). 일 예에 따르면, 입력 장치(200)가 등록 모드에 진입할 경우 AVN 장치(34)의 표시 화면에는 즐겨찾기 기능을 등록하기 위한 등록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AVN 장치(34)의 표시 화면에서 인식된 사물에 매핑 하고자 하는 즐겨찾기 기능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해당 사물에 대한 즐겨찾기 기능을 등록할 수 있다. 다만, 인식된 사물에 즐겨찾기 기능을 등록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AVN 장치(34)의 디스플레이(36)에 표시 중인 기능 실행 화면에 마련된 등록 버튼을 클릭하는 방식을 포함한 여러 방식으로 즐겨찾기 기능을 등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Next, the control unit 280 may map the recognized function to the favorite function information among functions of the vehicle 100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mapped favorite function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70 (340, 350). According to one example, when the input device 200 enters the registration mode, a registration screen for registering a favorite function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AVN device 34. [ In this case, the user can register the favorite function for the object by selecting a favorite function to be mapped to the recognized object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AVN device 34. [ However, the method of registering the favorite function in the recognized object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method of registering the favorite function in the recognized object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including a method of clicking the registration button provided on the function execution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36 of the AVN apparatus 34 Of course, the search function can be registered.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특정 사물에 차량(100)의 여러 기능들 중 특정 기능을 즐겨찾기 기능으로 등록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차량(100) 내에서 자주 사용하는 기능들에 대해 조작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e user can register a specific function among various functions of the vehicle 100 as a favorite function to a specific object in the manner as described above and as a resul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functions frequently used in the vehicle 100 Can be improved.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해 등록된 즐겨찾기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등록 모드에 대한 진입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와 같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입력 장치(200)는 조작 모드로 동작될 수 있으며, 이하 입력 장치(200)가 조작 모드로 동작 중임을 전제로 한다. Next, the process of executing the registered favorite function with reference to Fig. 8 will be described. The input device 200 can be operated in the operation mode unless there is a special condition such as the case where the entry command for the registration mode is inputted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ssumed that the input device 200 is operating in the operation mode do.

입력 장치(200)가 조작 모드로 동작 중인 경우 수집부(240)는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감지 영역의 사물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사물 인식 정보는 제어부(280)로 전달될 수 있다(410).When the input apparatus 200 is operating in the operation mode, the collecting unit 240 may collect the object information of the sensing area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collected object recogni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80 ).

수집된 사물 인식 정보가 제어부(280)에 전달되면, 제어부(280)는 전달된 정보를 기초로 사물의 특징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와 메모리(270)에 미리 저장된 사물 인식 정보를 비교해 사물을 인식할 수 있다(420). 조작 모드에서 사물의 특징을 추출하고 사물을 인식하는 과정은 등록 모드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이하 전술한 바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When the collected object recogni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80, the control unit 280 extracts the feature of the object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compares the extracted feature information with the object recogni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270 in advance, (420).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feature of the object and recognizing the object in the operation mode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ase of the registration mode, and the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abov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다음으로, 인식된 사물에 대한 즐겨찾기 기능 매핑 정보가 메모리(270)에 저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430).Next, a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favorite function mapping information on the recognized object is stored in the memory 270 (430) may be performed.

메모리(270)에 인식된 사물에 대해 따로 즐겨찾기 기능이 매핑되지 않은 경우, 입력 장치(200)가 비활성화 되고 제어 과정이 종료될 수 있다. If the favorites function is not separately mapped to the recognized object in the memory 270, the input device 200 may be deactivated and the control process may be terminated.

메모리(270)에 인식된 사물에 대한 즐겨찾기 기능의 매핑 정보가 저장된 경우, 제어부(280)는 매핑된 기능이 실행되도록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에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440).If the mapping information of the favorite function is stored in the memory 270, the control unit 280 may output a control signal to the device that performs the function to perform the mapped function (440).

이상으로, 입력 장치(200)의 제어 방법의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개시된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200)의 조작 모드에서 입력 장치(200)의 조작 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embodiment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input apparatus 200 has been described above. Next,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the manner of operating the input device 200 in the operating mode of the inpu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9 및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의 조작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9는 문자를 이용한 입력 장치(200)의 조작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지갑을 이용한 입력 장치(200)의 조작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S. 9 and 10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input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ore specifically, FIG. 9 shows an example of operation of the input device 200 using characters, and FIG. 10 shows an example of operation of the input device 200 using a wallet.

도 9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물 인식 영역(210)에 미리 등록된 메모(M)를 올려 놓는 방식으로 조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간단한 메모장에 자주 듣는 음악을 적어두고 사물 인식 영역(210)에 해당 메모(M)를 놓는 방식으로 음악을 재생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user can input an operation command by placing a memo M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For example, the user can write music frequently heard on a simple notepad and play the music by placing the memo M i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

이를 위해, 먼저 해당 메모(M)와 이에 대응되는 음악을 등록하는 과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일 예로, 제 1 버튼에 사용자의 조작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 장치(200)가 등록 모드로 진입될 수 있다. 이후, 해당 메모(M)가 사물 인식 영역(210)에 놓인 상태에서 특정 음악을 재생시키고 재생 화면(S1)에 마련된 등록 버튼(B1)에 사용자의 조작 명령이 입력되면, 재생 중인 음악이 해당 메모에 대한 즐겨찾기 음악으로 등록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재생 리스트에서 특정 음악을 선택해 즐겨찾기 음악을 등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o do this, a process of registering the corresponding memo M and corresponding music must be performed. For example, when a user's operation command is input to the first button, the input device 200 may enter the registration mode. Thereafter, when a specific music is reproduced while the memo M is placed i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and a user's operation command is inputted to the registration button B1 provided on the reproduction screen S1, Can be registered as a favorite music for.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favorite music can be registered by selecting specific music from the playlis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후, 사용자가 해당 음악을 듣고 싶을 때 미리 정해진 메모(M)를 사물 인식 영역(210)에 올려 놓으면 해당 메모(M)에 등록된 음악이 바로 재생될 수 있다. 아울러, AVN 장치(34)의 디스플레이(36) 화면은 음악에 대한 재생 화면(S2)으로 전환될 수 있다. Thereafter, when the user desires to listen to the music, a predetermined memo M is placed o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so that the music registered in the memo M can be immediately reproduced. In addition, the screen of the display 36 of the AVN apparatus 34 can be switched to the reproduction screen S2 for music.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물 인식 영역(210)에 미리 등록된 지갑(W)을 올려 놓는 방식으로 차량(100)에 조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지갑(W)을 사물 인식 영역(210)에 올려 놓는 방식으로 차계부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10, the user can input an operation command to the vehicle 100 in such a manner that the wallet W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is placed on the wall. For example, the user can execute the carousel function in such a manner that the wallet W is placed o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

이를 위해, 먼저 지갑(W)에 대해 차계부 기능을 즐겨찾기 기능으로 등록하는 과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일 예로, 제 1 버튼에 사용자의 조작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 장치(200)가 등록 모드로 진입될 수 있다. 이후, 지갑(W)이 사물 인식 영역(210)에 놓인 상태에서 차계부 기능을 실행시키고 차계부의 홈 화면(S3)에 마련된 등록 버튼(B2)에 사용자의 조작 명령이 입력되면 차계부 기능이 지갑(W)에 대한 즐겨찾기 기능으로 등록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즐겨 찾기 기능을 등록하기 위한 등록 화면에서 차계부 리스트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즐겨찾기 기능을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o this end, a process of registering the charger function as a favorite function to the wallet W must be performed first. For example, when a user's operation command is input to the first button, the input device 200 may enter the registration mode. Thereafter, when the user carries out the carousel function while the wallet W is placed i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and the user's operation command is inputted to the registration button B2 provided in the home screen S3 of the car part, ) Can be registered as a favorite function.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favorite function can be set by a method of selecting the list of the charger in the registration screen for registering the favorite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후, 사용자가 차계부 기능을 실행하고자 할 때 지갑(W)을 사물 인식 영역(210)에 올려 놓으면 차계부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일 예로, AVN 장치(34)의 디스플레이(36)에는 차계부의 홈 화면(S4)이 표시될 수 있다. Thereafter, when the user intends to execute the charger function, the charger function can be executed by placing the purse W i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210. [ As an example, the home screen S4 of the car charger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36 of the AVN device 34. [

이상으로 게시된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200)의 동작 방식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전술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CD 또는 USB가 음악 재생 기능과 매핑될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가 전화걸기 기능과 매핑되는 등 특정 사물에 대해 다양한 경우의 수로 즐겨찾기 기능을 등록할 수 있다. Although the operation method of the inpu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ublished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 CD or USB can be mapped to a music playback function, and a favorite function can be registered in a variety of cases for a specific object, such as a mobile device being mapped to a telephone dialing function.

이상으로 입력 장치, 차량 및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의 여러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전술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생각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변경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넓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Various embodiments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input device, the vehicle, and the input device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and that it is broadly understood to include modifications within a range that can be easily conceived by the ordinary artisan.

100: 차량
200: 입력 장치
210: 사물 인식 영역
240: 수집부
250: 입력부
260: 표시부
270: 메모리
280: 제어부
100: vehicle
200: input device
210: Object recognition area
240: collecting section
250: Input
260:
270: Memory
280:

Claims (5)

차량 내부의 일 영역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사물 인식 영역;
상기 사물 인식 영역에 놓인 사물의 무게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무게 정보에 기초해 상기 사물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사물에 대해 미리 정해진 기능이 실행되도록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
An object recognition area formed in a concav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n one area of a vehicle interior;
A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weight information of an object placed i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for recognizing the object based on the collected weight information and performing the function so that a predetermined function is performed on the recognized objec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을 인식하기 위한 사물 인식 정보와 상기 사물에 대해 정해진 기능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emory for storing object recognition information for recognizing the object and function information set for the object.
차량 내부의 일 영역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사물 인식 영역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물 인식 영역에 놓인 사물의 무게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무게 정보를 기초로 사물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사물에 대해 미리 정해진 기능이 실행되도록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n input device including a object recognition area formed in a concav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n one area of a vehicle interior,
Collecting weight information of an object placed i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Recognizing an object based on the collected weight information;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trolling an apparatus performing the function so that a predetermined function is performed on the recognized object.
입력 장치가 마련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차량 내부의 일 영역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사물 인식 영역;
상기 사물 인식 영역에 놓인 사물의 무게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무게 정보에 기초해 상기 사물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사물에 대해 미리 정해진 기능이 실행되도록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In a vehicle provided with an input device,
The input device includes:
An object recognition area formed in a concav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n one area inside the vehicle;
A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weight information of an object placed in the object recognition area;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evice that recognizes the object based on the collected weight information and performs the function so that a predetermined function is performed on the recognized objec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을 인식하기 위한 사물 인식 정보와 상기 사물에 대해 정해진 기능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차량.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memory for storing object recognition information for recognizing the object and function information set for the object.
KR1020180065457A 2018-06-07 2018-06-07 Input apparatus,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input apparatus KR2018006600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457A KR20180066009A (en) 2018-06-07 2018-06-07 Input apparatus,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inpu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457A KR20180066009A (en) 2018-06-07 2018-06-07 Input apparatus,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input apparatu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670A Division KR20180004932A (en) 2016-07-05 2016-07-05 Input apparatus,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input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009A true KR20180066009A (en) 2018-06-18

Family

ID=62768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457A KR20180066009A (en) 2018-06-07 2018-06-07 Input apparatus,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inpu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600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56219B1 (en) Multimedia information and control system for automobiles
EP2305508B1 (en) User configurable vehicle user interface
JP5206314B2 (en) Automotive electronics
KR101721967B1 (en) Input apparatus,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input apparatus
US9701201B2 (en) Input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10650787B2 (en)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248228B2 (en) Operation input device
CN105700674A (en) Gesture recognition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US10983691B2 (en) Terminal, vehicle having th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US10864866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9558057B (en)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10071685B2 (en) Audio video navigation (AVN) head unit,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having the AVN head unit
WO2006114950A1 (en) On-vehicle display
KR20180066009A (en) Input apparatus,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input apparatus
KR20180004932A (en) Input apparatus,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input apparatus
US11155206B2 (en) Proximity sensor
US11977809B2 (en) Console display interlocking method and vehicle system using the same
KR101882202B1 (en) User interface device,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78091B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128962A (en) Input apparatus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KR20220042904A (en) Steering wheel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KR101643561B1 (en) Input apparatus,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