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3761A - Method for Sharing Wireless Access Point based on Location - Google Patents

Method for Sharing Wireless Access Point based on Lo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3761A
KR20180063761A KR1020160163915A KR20160163915A KR20180063761A KR 20180063761 A KR20180063761 A KR 20180063761A KR 1020160163915 A KR1020160163915 A KR 1020160163915A KR 20160163915 A KR20160163915 A KR 20160163915A KR 20180063761 A KR20180063761 A KR 20180063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peater
wireless
wireless terminal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9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철호
신동훈
Original Assignee
신철호
신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철호, 신동훈 filed Critical 신철호
Priority to KR1020160163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3761A/en
Publication of KR20180063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76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location-based wireless repeater sharing method comprises: a first step of receiving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a second step of storing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a third step of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a fourth step of confirming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location region information; a fifth step of providing repeater sharing information to an application of a sharing user wireless terminal; a sixth step of confirming repeat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intersection with the repeater information; and a seventh step of attempting wireless connection to a specific wireless repeater. A wireless repeater of an area including a checked current location is checked to be wirelessly connected to a wireless terminal of a user and to be shared.

Description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방법{Method for Sharing Wireless Access Point based on Location}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based wireless repeater sharing method,

본 발명은 와이파이(WiFi) 기반 무선중계기를 공유 등록하려는 등록사용자의 사용자정보, 위치영역정보, 중계기정보, 비밀번호정보를 등록하고, 무선중계기를 공유하려는 공유사용자가 무선중계기의 공유를 요청하면,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현재 위치를 확인하여, 확인된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의 무선중계기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과 무선 연결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gisters user information, location area information, repeater information, and password information of a registered user for sharing and registering a WiFi-based wireless repeater, and when a shared user who wants to share a wireless repeater requests sharing of the wireless repeater, A method for sharing a location-based wireless repeater, comprising the steps of: confirming a current location from an app of a wireless terminal of a shared user, identifying a wireless repeater in an area including an identified current location, and sharing the wireless repeater with a wireless terminal of the user will be.

인터넷 및 모바일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대중화됨에 따라 최근에 출시되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 무선기기에는 모두 와이파이가 기본적으로 무선 통신 수단으로 포함되어 있다. As Internet and mobile technologies are rapidly developing and popularized, wireless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tablets and notebooks, which are being launched recently, all include Wi-Fi as a basic means of wireless communication.

잘 알려진바, 와이파이는 이더넷(Ethernet) 또는 유선랜(Wired LAN)이라 부르는 컴퓨터 네트워킹 기술을 무선화한 것으로, 무선 환경에서도 유선랜과 같은 수준의 속도와 품질로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Well known, WiFi is a wireless network of computer networking technology called Ethernet or Wired LAN that enables data communication at the same speed and quality as wired LAN in wireless environment.

다만, 공공장소에서의 와이파이는 연결이 가능한 지역이 있고, 특정 가맹점에서는 자체적으로 와이파이를 제공하고 있으나, 방문하는 손님을 위한 것으로 와이파이에 접속할 수 있는 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있어, 외부에서 이용하기는 쉽지 않다.However, there are areas where Wi-Fi can be connected in a public place, and a specific merchant provides Wi-Fi on its own, but it is intended for visiting customers, and a password is set for accessing Wi-Fi,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3341호(2013년05월23일 공개)는 와이파이 시스템의 공유기 자동 선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와이파이(WIFI)시스템에서의 공유기를 탐색 또는 접속하는 과정에서 신호 세기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최적의 공유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053341 (published May 23, 2013)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selection of a router of a Wi-Fi system. I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or accessing a router in a Wi-Fi system, And the like,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n optimal router.

하지만, 위의 구성은 단순히 검색되는 여러 와이파이를 효율적으로 선택하는 것으로, 결국 사용자 자신이 가입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와이파이나 사용자 자신이 접속 비밀번호를 알고 있는 와이파이나, 공공 와이파이일 뿐, 실질적으로 다른 사용자의 와이파이를 공유하는 것은 아니였다.However, the above configuration simply selects multiple WiFi to be searched efficiently. In the end, the WiFi of the Internet service provider to which the user himself or herself belongs is a WiFi or a public WiFi in which the user himself knows the access password, Of Wi-Fi.

따라서, 위치 별로 공유할 수 있도록 와이파이를 등록하고, 공유를 원하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기 등록된 와이파이를 매칭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율적인 서비스가 모색될 시점이다.Accordingly, it is time to search for an efficient service that registers Wi-Fi so that it can be shared by each location, and can share previously registered Wi-Fi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a user who wants to shar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와이파이(WiFi) 기반 무선중계기를 공유 등록하려는 등록사용자의 사용자정보, 위치영역정보, 중계기정보, 비밀번호정보를 등록하고, 무선중계기를 공유하려는 공유사용자가 무선중계기의 공유를 요청하면,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현재 위치를 확인하여, 확인된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의 무선중계기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과 무선 연결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sharing a location-based wireless repeater,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cquiring user information, location area information, repeater information, and password information of a registered user for sharing registration of a Wi- And when a shared user who wants to share the wireless repeater requests sharing of the wireless repeater, it checks the current location from the app of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shared user, identifies the wireless repeater in the area including the confirmed current location, So that they can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user's wireless terminal for sharing.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WiFi) 기반 무선랜 연결 기능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무선단말과 통신 가능한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방법은, 상기 운영서버가 와이파이(WiFi) 기반 무선중계기를 공유 등록하려는 등록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상기 등록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정보, 상기 등록사용자 무선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영역정보, 상기 등록사용자 무선단말에서 무선 연결에 성공한 중계기정보와 비밀번호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등록정보를 수신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사용자정보와 위치영역정보와 중계기정보 및 비밀번호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등록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무선중계기를 공유 사용하려는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 저장된 복수의 중계기등록정보 중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위치영역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N(N≥1)개의 중계기등록정보를 확인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확인된 중계기등록정보에 대응하는 N개의 중계기정보와 비밀번호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공유정보를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제공하는 제5 단계와,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수신된 중계기공유정보에 포함된 N개의 중계기정보 중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을 통해 검출된 M(M≥1)개의 중계기정보와의 교집합에 해당하는 n(1≤n≤N)개의 중계기정보를 확인하는 제6 단계와,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n개의 중계기정보 중 어느 한 특정 중계기정보의 비밀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중계기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무선중계기에 무선 연결을 시도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 location-based wireless repeater sharing method executed by one or more wireless terminals having a WiFi-based wireless LAN connection function and an operation server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server includes a Wi- User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registered user from an app of a registered user wireless terminal for sharing registration of a WiFi-based wireless repeater, location are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urrent location of the registered user wireless terminal, A first step of receiving relay register information including the relay information and the password information; a step of storing the relay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 information, the location area information, the repeater information and the password information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Step 2, and the operation server transmits a request for sharing the wireless repeater A third step of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urrent location of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from an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and a third step of receiving, from the plurality of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N > = 1)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area information matched within a range of th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providing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with an application of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and a fifth step of providing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with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among the N pieces of the repeat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shared- (1? N? N) repeat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intersection with M (M? 1) And a seventh step of attempting wireless connection to a specific wireless repeat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peater information by using the password information of any one of the n repeater information in the app of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have.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방법은, 와이파이(WiFi) 기반 무선랜 연결을 중계하는 현재 위치의 무선중계기를 공유 등록하려는 등록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공유 등록할 무선중계기를 식별하는 중계기정보를 선택받고 상기 공유 등록할 무선중계기의 비밀번호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등록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정보를 통해 상기 중계기정보에 대응하는 무선중계기에 무선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중계기에 연결 성공 시, 상기 등록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등록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정보, 상기 등록사용자 무선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영역정보, 상기 무선 연결에 성공한 중계기정보와 비밀번호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등록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등록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상기 중계기등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 method for sharing a location-based wireless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ransmitting a relay repeater identifier for identifying a wireless repeater to be shared and registered in an app of a registered user wireless terminal that shares and registers a wireless repeater at a current location relaying a WiFi- Receiving a password information of a wireless repeater selected and to be shared and registered; attempting a wireless connection to a wireless repeater corresponding to the repeater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ted password information from an app of the registered user wireless terminal; Upon successful connection to the wireless repeater, the user of the registered user wireless terminal identifies the registered user, the location are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registered user wireless terminal, the repeater information and the password information that succeeded in the wireless connection And sending the containing repeater property to the designated operating server And the first step may include the step of the server receiving th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from an app of the registered user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중계기정보는, 무선중계기의 SSI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eater information may include an SSID of a wireless repeater.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위치영역정보는, 무선중계기의 무선 주파수 신호가 도달 가능한 영역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area information may include area information that the radio frequency signal of the radio repeater can reach.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각 등록사용자들의 중계기등록정보를 등록한 개수를 카운트하여 등급을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부여된 등급에 대응하는 등급정보를 각 등록사용자의 사용자정보에 포함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tep may include the steps of counting the number of registrant registration information registered by each registered user and assigning a rating, and cla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ssigned rating in the user information of each registered user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여기서, 상기 제2 단계는, 특정 등록사용자가 등록한 무선중계기가 하나 이상의 공유사용자 무선단말로 공유된 공유 횟수를 카운트하는 단계와, 상기 공유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등록사용자의 등급정보를 갱신 또는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step may include the steps of: counting a number of shares shared by the wireless repeater registered by the specific registered user with one or mor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s; updating or adjusting the rating information of the specific registered user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등급정보는, 상기 등록사용자가 공유 등록한 무선중계기를 공유 사용하려는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ing information can be exposed through an app of a shared-user wireless terminal to share and use the wireless repeater shared and registered by the registered user.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방법은, 현재 위치의 무선중계기를 공유 사용하려는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산출하여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 method for sharing a location-based wireless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alculating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urrent location of a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in an app of a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to share a wireless repeater at a current location, And the third step may include the step of the server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app of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 저장된 복수의 중계기등록정보의 위치영역정보 중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중계기등록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urth step, the operation server includes checking at least on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 저장된 복수의 중계기등록정보의 위치영역정보 중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중계기등록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영역정보의 위치 중심에서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 사이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 하나 이상의 중계기등록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urth step, the operation server confirms one or mor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And confirming one or mor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whose distance between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center of the location of the information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 저장된 복수의 중계기등록정보의 위치영역정보 중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중계기등록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영역정보의 위치 경계에서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 사이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 하나 이상의 중계기등록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urth step, the operation server confirms one or mor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And confirming one or mor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whose distance between the received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boundary of the information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수신된 둘 이상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예상 이동 방향을 도출하고,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 저장된 복수의 중계기등록정보의 위치영역정보 중 상기 도출된 예상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영역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중계기등록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urth step, the operation server derives an expected moving direction of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based on two or more pieces of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an app of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And checking at least on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are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edicted moving direction derived from the location area information of the stored plurality of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수신된 둘 이상의 위치정보와 현재 위치의 지리정보(또는 지도정보)를 근거로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예상 이동 경로를 도출하고,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 저장된 복수의 중계기등록정보의 위치영역정보 중 상기 도출된 예상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위치영역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중계기등록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urth step, the operation server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is estimated based on two or more pieces of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an app of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or map information) Determining one or mor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are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rived predicted movement path of the plurality of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Lt; / RTI >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확인된 n개의 중계기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xth step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displaying a repeater list including the identified n repeater information in the app of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확인된 n개의 중계기정보에 대한 신호수신강도를 기준으로 상기 n개의 중계기정보를 정렬한 중계기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ixth step, the step of displaying the repeater list in which the n repeater information is sorted based on the signal reception strength of the n repeater information confirmed by the app of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중계기공유정보는, 각 중계기정보와 비밀번호정보를 공유 등록한 사용자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계기 목록은, 각 중계기정보에 대한 비밀번호정보를 공유 등록한 사용자정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eater sharing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user information in which the repeater information and the password information are shared and registered, and the repeater list further includes user information that shares and registers password information for each repeater information .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n개의 중계기정보 중 신호수신강도를 기준으로 특정 중계기정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venth step may include selecting specific repeater information based on the signal reception strength of the n repeater information in the app of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운영서버를 통해 상기 n개의 중계기정보에 대한 동시 사용자 수를 확인하고, 신호수신강도가 지정된 강도 이상이면서 동시 사용자가 가장 적은 순서로 어느 한 특정 중계기정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venth step, the number of concurrent users for the n repeater information is checked in the app of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and if the signal reception strength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esignated strength, And selecting one of the specific repeater information in this order.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특정 무선중계기에 무선 연결하기 위해 비밀번호 입력창이 표시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비밀번호 입력창에 상기 특정 중계기정보의 비밀번호정보를 자동 입력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venth step includes the steps of: checking whether a password input window is displayed for wireless connection to a specific wireless repeater in an application of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And automatically inputting password information of the specific repeater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특정 무선중계기의 비밀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횟수 이상 무선 연결을 시도하여 실패하는 경우 운영서버로 상기 특정 무선중계기에 대한 비밀번호갱신요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비밀번호갱신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특정 무선중계기의 중계기등록정보를 등록한 등록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상기 특정 무선중계기의 비밀번호정보의 갱신을 요청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venth step, when the app of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attempts to make a wireless connection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by using the password information of the specific wireless repeater and fails, the password update And requesting update of the password information of the specific wireless repeater to the app of the registered user wireless terminal that has registered th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wireless repeater by receiving the password update request information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여기서,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비밀번호정보의 갱신 요청이 실패하거나 일정 기간 이상 갱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가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지정된 위치영역정보에 구비된 특정 무선중계기의 비밀번호정보의 등록을 요청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f the update request of the password information fails or is not renew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r more, the operation server transmits the password information of the specific wireless repeater provided in the location area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application of the unspecified number of user wireless terminals And attempting to request regist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공유 가능한 와이파이(WiFi) 기반의 무선중계기를 소유한 다수의 사용자들로부터 와이파이 공유를 위한 위치정보, 무선중계기 정보, 비밀번호 정보를 등록받고, 특정 위치에 있는 사용자들이 와이파이 공유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서 공유 가능한 무선중계기를 검색하여 제공하여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cation information, wireless repeater information, and password information for Wi-Fi sharing are registered from a plurality of users having a wireless relay device based on a Wi-Fi (WiFi) based on shar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wireless repeater which can be shared at the location of the user is searched for and provided to make a connection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등록사용자 무선단말의 앱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앱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location-based wireless repeater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function configuration of a registered user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function configuration of a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llustrates a location-based wireless repeater shar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 a location-based wireless repeater shar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llustrates a location-based wireless repeater shar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s us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As a resul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mean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nly.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location-based wireless repeater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와이파이(WiFi) 기반 무선랜 연결 기능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무선단말과 통신 가능한 운영서버를 통해 와이파이(WiFi) 기반 무선중계기를 공유 등록하려는 등록사용자의 사용자정보, 위치영역정보, 중계기정보, 비밀번호정보를 등록하고, 무선중계기를 공유하려는 공유사용자가 무선중계기의 공유를 요청하면,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현재 위치를 확인하여, 확인된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의 무선중계기를 확인하여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과 무선 연결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시스템에 대한 간단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In more detail,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gistered user who is to share and register a WiFi-based wireless repeater through one or more wireless terminals having a WiFi-based wireless LAN connection function and an operation server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wireless terminal.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repeater information, and the password information of the wireless repeater, and when the shared user who wants to share the wireless repeater requests sharing of the wireless repeater, the current position is confirmed from the app of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shared user, Based wireless repeater sharing system for identifying a wireless repeater in an area including a current location and sharing the wireless repeater with a wireless terminal of the shared user so as to share the same. It is to be appreciated that reference to and / Would be able to gauge the various inference methods performed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sharing systems,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including any exemplary way in which the inference, to which the technical feature that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method shown in the figure 1.

도면1을 참조하면,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시스템은, 와이파이(WiFi) 기반 무선중계기(150)를 공유 등록하려는 등록사용자로부터 사용자정보,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영역정보, 중계기등록정보를 등록받고, 무선중계기(150)를 공유 사용하려는 공유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등록된 무선중계기(150)를 통해 무선중계기(150)의 공유를 처리하는 운영서버(100)와, 상기 운영서버(100)에 접속하여 와이파이 기반 무선중계기(150)를 공유 등록하려는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과,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에서 무선 연결에 성공한 무선중계기(150)와, 특정 위치에서 상기 운영서버(100)를 통해 무선중계기(150)를 공유하고자 하는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location-based wireless repeater sharing system registers user information, location are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urrent location, and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from a registered user who shares and registers a WiFi-based wireless repeater 150, An operation server 100 that processes the sharing of the wireless repeater 150 through a registered wireless repeater 150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a shared user who wants to use the wireless repeater 150; A wireless terminal 145 of a registered user to share and register a Wi-Fi based wireless repeater 150; a wireless repeater 150 that has successfully established a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registered user wireless terminal 145; And a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who wants to share the wireless repeater 150 through the wireless repeater 150.

한편, 본 발명에서는 등록사용자와 공유사용자를 무선중계기의 등록 및 공유에 대한 역할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칭으로, 사용자 중 누구라도 등록사용자나 공유사용자가 될 수 있음을 밝힌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 registered user and a shared user are used to distinguish roles for registration and sharing of a wireless repeater, and that any of the users can be a registered user or a shared user.

상기 운영서버(100)를 통해 와이파이 기반 무선중계기(150)를 등록하고자 하는 등록사용자가 운용하는 무선단말(145)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각종 스마트폰, 각종 태블릿PC, 각종 PDA 및 각종 휴대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terminal 145 operated by the registered user who wishes to register the Wi-Fi-based wireless repeater 150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100 may be any one of various smart phones, various tablet PCs, various PDAs, . ≪ / RTI >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은 상기 와이파이 기반 무선중계기(150)를 등록하기 위해 상기 운영서버(100)와 통신하는 소정의 앱(230)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 및 앱(230)의 기능 및 구성은 하기의 도면2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The registered user's wireless terminal 145 includes a predetermined application 230 that communicates with the operating server 100 to register the Wi-Fi-based wireless repeater 150. The registered user's wireless terminal 145 ) And the function and configuration of the app 2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중계기(150)는 와이파이 기반 무선랜 연결 기능을 통해 허가된 사용자의 무선장치와 와이파이 기반 무선랜 연결이 될 수 있다.The wireless repeater 150 of the registered user can be connected to a wireless device of a user authorized by a Wi-Fi based wireless LAN connection function through a Wi-Fi based wireless LAN conne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중계기(150)는 등록사용자가 소유한 무선중계기(150)일 수도 있고, 상기 등록사용자가 접속정보를 알고 있는 제3자의 무선중계기(150)일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repeater 150 may be a wireless repeater 150 owned by a registered user, or may be a third-party wireless repeater 150 that the registered user knows access information.

상기 운영서버(100)를 통해 와이파이 기반 무선중계기를 공유하고자 하는 공유사용자가 운용하는 무선단말(155)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각종 스마트폰, 각종 태블릿PC, 각종 PDA 및 각종 휴대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terminal 155 operated by the shared user who wants to share the Wi-Fi-based wireless repeater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100 includes at least one of various smart phones, various tablet PCs, PDAs, and various mobile phones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은 상기 와이파이 기반 무선중계기의 공유를 위해 상기 운영서버(100)와 통신하는 소정의 앱(330)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 및 앱(330)의 기능 및 구성은 하기의 도면3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The shared user's wireless terminal 155 includes a predetermined application 330 communicating with the operation server 100 for sharing the Wi-Fi based wireless repeater, and the shared user's wireless terminal 155 and the app The function and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3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면1을 참조하면, 도시된 운영서버(100)는 와이파이(WiFi) 기반 무선중계기(150)를 공유 등록하려는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의 앱(230)으로부터 상기 무선중계기(150)의 공유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105)와, 상기 무선단말(145)의 앱(230)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무선중계기(150)의 공유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10)와, 등록사용자들의 중계기등록정보를 등록한 개수를 카운트하여 등급을 부여하는 등급 부여부(115)와, 무선중계기를 공유 사용하려는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로부터 상기 공유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부(120)와, 상기 공유사용자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기 등록된 하나 이상의 중계기등록정보를 확인하는 등록정보 확인부(125)와, 확인된 중계기등록정보를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로 제공하는 공유정보 제공부(130)와,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로부터 해당 무선중계기의 비밀번호갱신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중계기를 등록한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60)로 비밀번호정보의 갱신을 요청하는 비밀번호갱신 처리부(135)와, 본 발명에 따라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를 하는 과정에서 등록, 생성,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들이 저장되는 저장매체(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operation server 100 shown in FIG. 1 includes an application 230 of a wireless terminal 145 of a registered user who wants to register a wireless repeater 150 based on WiFi, An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for stor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sharing registration of the wireless repeater 150 received from the app 230 of the wireless terminal 145, A rank assigning unit 115 for counting the registered number of registered users of the registered users and assigning a rating to the registered users, and a rank assigning unit 115 for assigning a rank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shared user from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A registr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125) for verifying one or more pre-registered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hared user, The wireless relay apparatus includes a shared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0 for providing the shared information to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user and a password update request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wireless relay unit from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A password update processor 135 for requesting the terminal 160 to update the password information, a storage medium 140 storing one or more information registered, generated and provided in the process of sharing the location-based wireless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정보 수신부(105)는 와이파이 기반 무선중계기(150)를 공유 등록하려는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의 앱(230)으로부터 상기 등록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정보,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영역정보,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에서 무선 연결에 성공한 중계기정보와 비밀번호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등록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05 receives user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registered user from the application 230 of the wireless terminal 145 of the registered user who shares and registers the Wi-Fi-based wireless repeater 150, Location are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and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repeater information and password information that have been wirelessly connected by the wireless terminal 145 of the registered user.

여기서,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에서 무선 연결에 성공한 중계기정보는 무선중계기(150)의 SSID를 포함할 수 있다.Herein, the repeater information succeeding to the wireless connection in the wireless terminal 145 of the registered user may include the SSID of the wireless repeater 150.

여기서,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영역정보는, 무선중계기(150)의 무선 주파수 신호가 도달 가능한 영역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location are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45 of the registered user may include area information that a radio frequency signal of the wireless repeater 150 can reach.

예컨대, 상기 위치영역정보는, 상기 무선중계기(150)가 설치된 위치(=중심)에서 반경 몇 m 이내의 영역이나, 상기 무선중계기(150)가 설치된 건물(=지리정보의 건물 평면도를 참조하여 산출 가능) 내부와 건물에서 도로 쪽 방향(도로 쪽에 문이나 창문의 경우, 무선 신호가 두꺼운 시멘트 벽보도 좀더 용이하게 투과 가능하고 도로 쪽이 공유사용자의 이동 경로가 될 가능성이 높음)의 일정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ocation area information may include an area within a radius of a few meters from the location (= center) where the wireless repeater 150 is installed, or a building in which the wireless repeater 150 is installed (= (In the case of a door or a window on the road side, it is more likely that a cement wall having a radio signal is more easily penetrable and a road is more likely to be a route of a shared user) Information.

정보 저장부(110)는 상기 정보 수신부(105)를 통해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의 앱(230)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정보와 위치영역정보와 중계기정보 및 비밀번호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등록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140)에 저장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stores the user information, location area information, and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repeater information and the passwor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pp 230 of the registered user's wireless terminal 145 through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05 May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140.

등급 부여부(115)는 상기 정보 저장부(110)를 통해 상기 사용자정보와 위치영역정보와 중계기정보 및 비밀번호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등록정보가 저장매체(140)에 저장되는 과정에서, 각 등록사용자들의 중계기등록정보를 등록한 개수를 카운트하여 등급을 부여할 수 있으며, 상기 부여된 등급에 대응하는 등급정보를 각 등록사용자의 사용자정보에 포함시켜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In the course of storing the relay device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 information, the location area information, the repeater information and the password information through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in the storage medium 140, The number of registrant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users can be counted to assign a rating and the ra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ssigned rating can be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of each registered user.

또한, 상기 등급 부여부(115)는 특정 등록사용자가 등록한 무선중계기(150)가 하나 이상의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로 공유된 공유 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카운트 된 공유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등록사용자의 등급정보를 갱신 또는 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ting assigning unit 115 counts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wireless repeater 150 registered by the specific registered user shares with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one or more shared users, and uses the counted number of shares, The rating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user can be updated or adjusted.

여기서, 상기 등록사용자에게 부여되는 등급정보는, 상기 등록사용자가 공유 등록한 무선중계기(150)를 공유 사용하려는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앱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The rank information provided to the registered user may be exposed through an appl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who wants to share the wireless repeater 150 shared and registered by the registered user.

또한, 상기 등급정보는 비밀번호갱신 요청을 받은 등록사용자가 비밀번호를 갱신하지 않는 경우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rating information may be affected even when the registered user who has received the password update request does not update the password.

위치정보 수신부(120)는 무선중계기(150)를 공유 사용하려는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앱(330)으로부터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20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from the application 330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who intends to use the wireless repeater 150 .

등록정보 확인부(125)는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120)를 통해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매체(140)에 등록 저장된 복수의 중계기등록정보 중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위치영역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N(N≥1)개의 중계기등록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is received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20, At least N (N? 1)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area information matched within the allowable range among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can be confirm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등록정보 확인부(125)는 상기 저장매체(140)에 등록 저장된 복수의 중계기등록정보의 위치영역정보 중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앱(330)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중계기등록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125 identifies the application 330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amo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registration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storage medium 14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등록정보 확인부(125)는 상기 저장매체(140)에 등록 저장된 복수의 중계기등록정보의 위치영역정보 중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중계기등록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영역정보의 위치 중심에서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앱(330)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 사이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 하나 이상의 중계기등록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confirming unit 125 may identify one or mor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40, And confirm one or mor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whose distance betwee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pp 330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at the center of the location area in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등록정보 확인부(125)는 상기 저장매체(140)에 등록 저장된 복수의 중계기등록정보의 위치영역정보 중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중계기등록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영역정보의 위치 경계에서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앱(330)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 사이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 하나 이상의 중계기등록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125 may register one or more of th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storage medium 140 And confirm one or mor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whose distance betwee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pp 330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at the location boundary of the location area in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등록정보 확인부(125)는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앱(330)으로부터 수신된 둘 이상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예상 이동 방향을 도출하고, 상기 저장매체(140)에 등록 저장된 복수의 중계기등록정보의 위치영역정보 중 상기 도출된 예상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영역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중계기등록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125 identifies the registered user's wireless terminal 155 based on two or more pieces of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pp 330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155 and one or mor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are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edicted moving direction derived from the location area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registered and registered in the storage medium 140 Can be confirm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등록정보 확인부(125)는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앱(330)으로부터 수신된 둘 이상의 위치정보와 현재 위치의 지리정보(또는 지도정보)를 근거로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예상 이동 경로를 도출하고, 상기 저장매체(140)에 등록 저장된 복수의 중계기등록정보의 위치영역정보 중 상기 도출된 예상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위치영역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중계기등록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125 identifies two or more pieces of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pp 330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or map information )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40 and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derived expected travel route One or mor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area information can be confirmed.

공유정보 제공부(130)는 상기 등록정보 확인부(125)를 통해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앱(330)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에 매칭되는 N개의 중계기등록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중계기등록정보에 대응하는 N개의 중계기정보와 비밀번호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공유정보를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앱(330)으로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N pieces of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pp 330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are confirmed through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125, And provides repeater sharing information including N repeater information and passwor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to the app 330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비밀번호갱신 처리부(135)는 상기 공유정보 제공부(130)를 통해 상기 중계기공유정보를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앱(330)으로 제공된 이후,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앱(330)에서 특정 무선중계기(150)의 비밀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횟수 이상 무선 연결을 시도하여 실패하는 경우,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앱(330)으로부터 상기 특정 무선중계기(150)에 대한 비밀번호갱신요청정보(예컨대, 실패한 중계기정보, 등록사용자의 사용자정보 등 포함 가능)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무선중계기(150)의 중계기등록정보를 등록한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앱(330)으로 상기 특정 무선중계기(150)의 비밀번호정보의 갱신을 요청할 수 있다.The password update processing unit 135 updates the shared secre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hared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0 from the shared user's wireless terminal 155 after being provided to the app 330 of the shared user's wireless terminal 155 When the application 330 fails to make a wireless connection attempt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by using the password information of the specific wireless repeater 150, the application 330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transmits the specific wireless repeater 150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registered user who has registered the relay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wireless repeater 150 can receive the password update request information (e.g., failed relay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user, etc.) To request the update of the password information of the specific wireless repeater 150 with the application 330 of FIG.

또한, 상기 비밀번호갱신 처리부(135)는 상기 비밀번호정보의 갱신 요청이 실패하거나 일정 기간 이상 갱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지정된 위치영역정보에 구비된 특정 무선중계기의 비밀번호정보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If the update request for the password information fails or is not renew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r longer, the password update processing unit 135 updates the password of the specific wireless repeater included in the location area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appl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unspecified number of users You may request registration of information.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등록사용자 무선단말의 앱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function configuration of a registered user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운영서버(100)를 통해 와이파이 기반 무선중계기(150)를 등록하고자 하는 등록사용자가 운용하는 무선단말(145)의 간단한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의 기능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 본 도면2의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은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각종 스마트폰, 각종 태블릿PC, 각종 PDA 및 각종 휴대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2 shows a simpl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wireless terminal 145 operated by a registered user who wants to register a Wi-Fi-based wireless repeater 150 via the operation server 100 shown in FIG. 1,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refer to and / or modify Figure 2 to derive 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45 of the registered us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Preferably, the registered user's wireless terminal 145 of FIG. 2 may include at least one of various smart phones, various tablet PCs, various PDAs, and various mobile phones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은, 제어부(200)와 메모리부(225)와 화면 출력부(205)와 사용자 입력부(210)와 근거리망 통신부(215)와 무선망 통신부(220)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기타 기능 구성부들이 추가될 수 있다.2, the registered user's wireless terminal 145 includes a control unit 200, a memory unit 225, a screen output unit 205, a user input unit 210, a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 215, A communication unit 220, a battery for power supply, and other functional units may be added in some cases.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앱(230)의 기능적 구성을 본 제어부(200)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trol unit 200 is a general ter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45 of the registered user, and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and an execution memory. In the wireless terminal 145 of the registered user, Each component is connected to a bus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00 loads at least one program code included in the registered user's wireless terminal 145 into the execution memory through the processor, And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45 of the registered user. Hereinafter,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application 230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 will be described in the control unit 200 for convenience.

상기 메모리부(225)는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의 저장 자원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200)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할 수 있다. The memory unit 225 is a generic term of a nonvolatile memory corresponding to a storage resource of the wireless terminal 145 of the registered user and includes at least one program code executed through the control unit 200, At least one data set can be stored and maintained.

상기 메모리부(225)는 기본적으로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앱(230)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225)에 저장될 수 있다.The memory unit 225 basically comprises a system program code and a system data set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system of the registered user's wireless terminal 145 and a communication program code for proces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registered user's wireless terminal 145 And a communication data set and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code and an application data set. The program code and data set corresponding to the app 23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225.

상기 화면 출력부(205)는 화면출력기(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0)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200)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The screen output unit 205 includes a screen output unit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a driving module for driving the screen output unit 205. The screen output unit 205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0, And outputs an operation result corresponding to the output to the screen output device.

상기 사용자 입력부(21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입력기(예컨대, 버튼, 키패드, 터치패드, 화면 출력부(205)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0)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200)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200)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The user input unit 210 is composed of one or more user input devices (e.g., a button, a keypad, a touch pad, a touch screen interlocked with the screen output unit 205) and a drive module for driving the touch screen. A command for interrupting various operations of the control unit 200 or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200 is input.

상기 무선망 통신부(220)와 근거리망 통신부(215)는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을 지정된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은 무선망 통신부(220)를 기본 통신 자원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근거리망 통신부(215)를 구비할 수 있다.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220 and the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 215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communication resources for connecting the wireless terminal 145 of the registered user to the designated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terminal 145 of the registered user may include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220 as a basic communication resource and may include one or more short-range network communication unit 215.

상기 무선망 통신부(220)는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을 기지국을 경유하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00)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220 collectively refers to a communication resource for connecting the wireless terminal 145 of the registered user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via a base st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includes an antenna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radio frequency signal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an RF module, And a signal processing module. The controller 20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0 and transmits the operation result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among the various operation results of the controller 2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the received data to the controller 200, and performs the connection, registration, communication, and handoff procedur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220)는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을 교환기를 경유하는 통화채널과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는 통화망에 연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교환기를 경유하지 않고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망 데이터 통신(예컨대, 인터넷)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220 can connect the wireless terminal 145 of the registered user to a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communication channel and a data channel via the exchange, and in some cases, To a data network that provides wireless network data communication (e.g., the Internet) based on packet communications.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220)는 CDMA/WCDMA/LTE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220)는 IEEE 802.16 관련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부(220)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즉, 상기 무선망 통신부(220)는 무선 구간의 주파수 대역이나 통신망의 종류 또는 프로토콜에 무관하게 셀 기반의 기지국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는 구성부의 총칭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220 is a mobile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at least one of connec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location registration, call processing, call connection, data communication, and handoff according to the CDMA / WCDMA / ≪ / RTI > Meanwhile,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220 may further include a portable Internet communication structure for performing at least one of connection to the portable Internet, location registration, data communication and handoff according to the IEEE 802.16 standard, It is evid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figuration provided by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220. [ That is,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220 is a general term for a component that connect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cell-based base station irrespective of a frequency band of a wireless section, a type of a communication network, or a protocol.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215)는 일정 거리 이내(예컨대, 10m)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을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공중무선 통신, UWB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을 통신망에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215)는 상기 무선망 통신부(220)와 통합 또는 분리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215)는 무선중계기(150)를 통해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을 패킷 통신 기반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할 수 있다.The short-range network communication unit 215 connects a communication session using a radio frequency signal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e.g., 10 m) as a communication medium, and transmits a communication resource The wireless terminal 145 of the registered user may preferabl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t least one of Wi-Fi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and UW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 215 may be integrat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range network communication unit 215 may connect the wireless terminal 145 of the registered user through a wireless repeater 150 to a data network providing packet-based short-rang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상기 무선단말(145)의 제어부(200)는 상기 통신 자원을 통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160)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를 위한 통신이 가능한 앱(230)을 구비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00 of the wireless terminal 145 includes an application server 230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60 through a data network connectable through the communication resource and sharing the location- can do.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의 앱(230)은, 무선중계기(150)의 공유 등록을 위한 정보를 입력받는 등록정보 입력부(235)와, 공유 등록하고자 하는 상기 무선중계기(150)와의 무선 연결을 처리하는 무선연결 처리부(240)와, 무선 연결이 성공적으로 처리되면, 상기 무선중계기(150)의 공유 등록을 위한 정보를 도면1에 도시된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는 등록정보 전송부(245)와, 상기 무선중계기(150)의 공유 정보 등록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무선중계기의 비밀번호정보의 갱신 요청을 수신하는 갱신요청정보 수신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2, the app 230 of the wireless terminal 145 of the registered user includes a registration information input unit 235 for receiving information for sharing registration of the wireless repeater 150, A wireless connection processing unit 240 for processing a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repeater 150 and information for sharing registration of the wireless repeater 150 to the operation server 100 shown in FIG. 1 when the wireless connection is successfully processed And an update request information receiving unit 250 for receiving a request for updating the password information of the wireless repeater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after the sharing information of the wireless repeater 150 is registered And the like.

등록정보 입력부(235)는 등록사용자로부터 공유 등록할 무선중계기를 식별하는 중계기정보를 선택받고 상기 공유 등록할 무선중계기의 비밀번호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The registration information input unit 235 may select the repeater information identifying the wireless repeater to be shared and registered from the registered user and receive the password information of the wireless repeater to be shared and registered.

무선연결 처리부(240)는 상기 등록정보 입력부(235)를 통해 중계기정보가 선택되고, 무선중계기(150)의 비밀번호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정보를 통해 상기 중계기정보에 대응하는 무선중계기(150)에 무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The wireless connection processing unit 240 receives the password information of the wireless repeater 150 through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input unit 235 and transmits the password information to the wireless repeater 150 corresponding to the repeater information 150). ≪ / RTI >

등록정보 전송부(245)는 상기 무선연결 처리부(240)를 통해 상기 중계기정보에 대응하는 무선중계기(150)와 무선 연결이 성공적으로 처리되면, 상기 등록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정보,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영역정보, 상기 무선 연결에 성공한 중계기정보와 비밀번호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등록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registr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245 may transmit user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registered user when the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wireless repeater 150 corresponding to the repeater information is successfully processed through the wireless connection processing unit 240,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45, and th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repeater information and the password information successful in the wireless connection to the operation server 100.

갱신요청정보 수신부(250)는 상기 등록정보 전송부(245)를 통해 사용자정보, 위치영역정보, 중계기등록정보가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되어 등록이 된 이후, 상기 등록된 무선중계기(150)를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에서 공유하려는 과정에서 비밀번호갱신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무선중계기(150)의 비밀번호정보 갱신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The update request information receiving unit 250 receives the user information, the location area information and th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245 and transmit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to the operating server 100, May receive the password update request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when the password update request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sharing the mobile terminal 150 with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앱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function configuration of a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운영서버(100)를 통해 와이파이 기반 무선중계기(150)를 공유하고자 하는 공유사용자가 운용하는 무선단말(155)의 간단한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기능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 본 도면3의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은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각종 스마트폰, 각종 태블릿PC, 각종 PDA 및 각종 휴대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3 illustrates a simpl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wireless terminal 155 operated by a shared user who wants to share a Wi-Fi-based wireless repeater 150 through the operating server 100 shown in FIG. 1,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refer to and / or modify Figure 3 to derive 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Preferably,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of FIG. 3 may include at least one of various smart phones, various tablet PCs, various PDAs, and various mobile phones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은, 제어부(300)와 메모리부(325)와 화면 출력부(305)와 사용자 입력부(310)와 근거리망 통신부(315)와 무선망 통신부(320)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기타 기능 구성부들이 추가될 수 있다.3, the shared user's wireless terminal 155 includes a control unit 300, a memory unit 325, a screen output unit 305, a user input unit 310, a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5, A communication unit 320, a battery for power supply, and other functional units may be added in some cases.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앱(330)의 기능적 구성을 본 제어부(300)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trol unit 300 is a collective ter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and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and an execution memory.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Each component is connected to a bus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300 loads at least one program code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through the processor to calculate and load the program code in the execution memory, And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Hereinafter,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application 330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 will be described in the control unit 300 for convenience.

상기 메모리부(325)는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저장 자원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300)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할 수 있다. The memory unit 325 is a generic term of a nonvolatile memory corresponding to a storage resource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and includes at least one program code executed through the control unit 300, At least one data set can be stored and maintained.

상기 메모리부(325)는 기본적으로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앱(330)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325)에 저장될 수 있다.The memory unit 325 basically includes a system program code and a system data set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system of the shared user's wireless terminal 155 and a communication program code for proces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shared user's wireless terminal 155 A communication data set,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code and an application data set, and the program code and data set corresponding to the app 33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325.

상기 화면 출력부(305)는 화면출력기(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0)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300)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The screen output unit 305 includes a screen output unit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a driving module for driving the screen output unit 305. The screen output unit 305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00, And outputs an operation result corresponding to the output to the screen output device.

상기 사용자 입력부(31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입력기(예컨대, 버튼, 키패드, 터치패드, 화면 출력부(305)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0)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300)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300)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The user input unit 310 includes at least one user input device such as a button, a keypad, a touch pad, a touch screen interlocked with the screen output unit 305, and a drive module for driving the touch screen. A command for interrupting various operations of the control unit 300 or inputting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300.

상기 무선망 통신부(320)와 근거리망 통신부(315)는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을 지정된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은 무선망 통신부(320)를 기본 통신 자원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근거리망 통신부(315)를 구비할 수 있다.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20 and the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5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communication resources for connecting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to a designated communication network. Preferably,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may include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20 as a basic communication resource, and may include one or more short-range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5.

상기 무선망 통신부(320)는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을 기지국을 경유하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0)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300)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300)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20 collectively refers to a communication resource for connecting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via the base st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includes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frequency signal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an RF module, And a signal processing module. The controller 300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00 and transmits the operation result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among the various operation results of the controller 3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the received data to the control unit 300, and performs the connection, registration, communication, and handoff procedur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320)는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을 교환기를 경유하는 통화채널과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는 통화망에 연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교환기를 경유하지 않고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망 데이터 통신(예컨대, 인터넷)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20 can connect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to a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communication channel and a data channel via the exchange, and in some cases, To a data network that provides wireless network data communication (e.g., the Internet) based on packet communications.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320)는 CDMA/WCDMA/LTE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320)는 IEEE 802.16 관련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부(320)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즉, 상기 무선망 통신부(320)는 무선 구간의 주파수 대역이나 통신망의 종류 또는 프로토콜에 무관하게 셀 기반의 기지국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는 구성부의 총칭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20 is a mobile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at least one of connec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location registration, call processing, call connection, data communication, and handoff according to the CDMA / WCDMA / ≪ / RTI > Meanwhile,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20 may further include a portable internet communication structure for performing at least one of connection to the portable Internet, location registration, data communication and handoff according to the IEEE 802.16 standard, It is evid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figuration provided by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20. [ That is,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20 is a general term for a component that connect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cell-based base station irrespective of a frequency band of a wireless section, a type of a communication network, or a protocol.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315)는 일정 거리 이내(예컨대, 10m)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을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공중무선 통신, UWB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을 통신망에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315)는 상기 무선망 통신부(320)와 통합 또는 분리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315)는 무선중계기(150)를 통해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을 패킷 통신 기반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할 수 있다.The short-range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5 communicates a communication session using a radio frequency signal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10 m) as a communication medium, and transmits a communication resource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can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t least one of Wi-Fi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and UW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5 may be integrat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range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5 may connect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to a data network providing packet-based short-rang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wireless repeater 150.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제어부(300)는 상기 통신 자원을 통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160)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를 위한 통신이 가능한 앱(330)을 구비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300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accesses the designated operating server 160 through the data network accessible through the communication resource and the application 330 capable of communicating for sharing the location- ).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앱(330)은, 무선중계기(150)를 공유하려는 공유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는 위치정보 제공부(335)와,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공유사용자의 위치정보에 대응하여 확인된 하나 이상의 중계기공유정보를 수신하는 공유정보 수신부(340)와,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중계기공유정보에 포함된 중계기정보를 확인하는 중계기정보 확인부(345)와, 확인된 중계기정보를 목록화 하여 표시하는 중계기목록 표시부(350)와, 표시된 중계기목록을 통해 특정 중계기정보를 선택하는 중계기정보 선택부(355)와, 선택된 특정 중계기정보에 대응하는 무선중계기(150)에 무선 연결하기 위한 비밀정보를 자동 입력 처리하는 비밀번호입력 처리부(360)와, 상기 무선중계기(150)의 무선 연결을 처리하는 무선연결 처리부(36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application 330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transmit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hared user to share the wireless repeater 150 to the operation server 100 shown in FIG. 1 A shared information receiver 340 for receiving at least one relay repeater shared information identified in response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hared user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A repeater information display unit 350 for displaying the identified repeater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repeater information, and a repeater information selection unit 350 for selecting specific repeater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ed repeater list, A password input processing unit 360 for automatically inputting secret information for wireless connection to the wireless repeater 150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pecific repeater information, It can comprise a wireless connection processing unit 365 to process the line connection.

위치정보 제공부(335)는 상기 운영서버(100)를 통해 무선중계기(150)를 공유하고자 하는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335 calculates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who wants to share the wireless repeater 150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100, Lt; / RTI >

공유정보 수신부(340)는 상기 위치정보 제공부(335)를 통해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위치정보가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된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위치영역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N(N≥1)개의 중계기등록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shared information receiver 34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335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At least N (N > = 1)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area information matched within the allowable range.

여기서, 상기 중계기등록정보는, 중계기정보와 비밀번호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중계기정보는, 무선중계기(150)의 SSID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repeater information and password information, and the repeater information may include an SSID of the wireless repeater 150.

중계기정보 확인부(345)는 상기 공유정보 수신부(340)를 통해 N개의 중계기등록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중계기공유정보에 포함된 N개의 중계기정보 중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을 통해 검출된 M(M≥1)개의 중계기정보와의 교집합에 해당하는 n(1≤n≤N)개의 중계기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N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shared information receiver 340, the repeater information identifying unit 345 identifies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among the N repeat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repeater sharing information (1? N? N) repeat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intersection with M (M? 1)

중계기목록 표시부(350)는 상기 중계기정보 확인부(345)를 통해 n개의 중계기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n개의 중계기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 목록을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n repeater information is confirmed through the repeater information checking unit 345, the repeater list display unit 350 displays the repeater list including the n repeater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user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Can be displayed.

예컨대,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은 기본적으로 M개의 중계기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 목록을 표시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중계기목록 표시부(350)는 본 발명에 따라 비밀번호정보를 알고 있는 n개의 중계기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may display a list of repeaters including M repeater information, wherein the repeater list display unit 350 displays n repeater information To display a list of repeaters including the repeater list.

또한, 중계기목록 표시부(350)는 상기 확인된 n개의 중계기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 목록을 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확인된 n개의 중계기정보에 대한 신호수신강도를 기준으로 상기 n개의 중계기정보를 정렬한 중계기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peater list display unit 350 may display the repeater information including the n repeater information by sorting the n repeater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signal reception strength of the identified n repeater information A list of repeaters can be displayed.

중계기정보 선택부(355)는 상기 중계기목록 표시부(350)를 통해 n개의 중계기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 목록이 표시되면, 상기 중계기 목록에 포함된 n개의 중계기정보 중 신호수신강도를 기준으로 특정 중계기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When a repeater list including n pieces of repeater information is displayed through the repeater list display unit 350, the repeater information selection unit 355 selects a repeater information from among the n repeat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peater list, Can be select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중계기정보 선택부(355)는 운영서버(100)를 통해 상기 n개의 중계기정보에 대한 동시 사용자 수를 확인하고, 신호수신강도가 지정된 강도 이상이면서 동시 사용자가 가장 적은 순서로 어느 한 특정 중계기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eater information selection unit 355 checks the number of concurrent users for the n repeater information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100, It is possible to select any one specific repeater information in a small order.

비밀번호입력 처리부(360)는 상기 중계기정보 선택부(355)를 통해 특정 중계기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특정 무선중계기에 무선 연결하기 위해 비밀번호 입력창이 표시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비밀번호 입력창에 상기 특정 중계기정보의 비밀번호정보를 자동 입력 처리할 수 있다.When the specific repeater information is selected through the repeater information selection unit 355, the password input processing unit 360 confirms whether a password input window is displayed for wireless connection to the selected specific wireless repeater, The password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can be automatically processed.

무선연결 처리부(365)는 상기 n개의 중계기정보 중 선택된 어느 한 특정 중계기정보의 비밀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중계기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무선중계기에 무선 연결을 처리할 수 있다.The wireless connection processing unit 365 may process the wireless connection to the specific wireless repeat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peater information using the passwor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one of the n repeater information.

이 과정에서, 상기 비밀번호입력 처리부(360)는 특정 무선중계기의 비밀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횟수 이상 무선 연결을 시도하여 실패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로 상기 특정 무선중계기에 대한 비밀번호갱신요청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password input processing unit 360 fails to make a wireless connection with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more using the password information of the specific wireless repeater, the password input processing unit 360 transmits password update request information for the specific wireless repeater to the operation server 100 Lt; / RTI >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FIG. 4 illustrates a location-based wireless repeater shar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1 및 도면2에 도시된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에서 와이파이(WiFi) 기반 무선중계기(150)를 공유 등록하기 위한 상기 등록사용자의 사용자정보,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영역정보,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에서 무선 연결에 성공한 중계기정보와 비밀번호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등록정보를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면,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중계기(150)를 공유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중계기(150)를 공유 등록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FIG. 4 illustrates the registration user's user information for sharing registration of a WiFi-based wireless repeater 150 in the wireless terminal 145 of the registered user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45 of the registered user, th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repeater information and the password information succeeding to the wireless connection at the wireless terminal 145 of the registered user, (100), the operation server (100) registers and registers the wireless repeater (150) of the registered user by using the received information.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fer to and modify various aspects of the process of sharing registration of the registered user's wireless repeater 150 by referring to and / or modifying FIG. 4, Invention are made, including any exemplary way in which the inference, to which the technical feature that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method shown in the figure 4.

도면4를 참조하면, 도시된 등록사용자의 무선중계기(150)를 공유 등록하는 과정은,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의 앱(230)에서 등록사용자가 선택한 공유 등록할 무선중계기(150)를 식별하는 중계기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400).Referring to FIG. 4, the process of sharing registration of the wireless repeater 150 of the registered user shown in FIG. 4 is performed by the wireless repeater 150 of the registered user's wireless terminal 145 (Step 400). ≪ / RTI >

중계기정보 선택이 확인되면,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의 앱(230)은 상기 공유 등록할 무선중계기(150)의 비밀번호정보의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405).When the repeater information selection is confirmed, the app 230 of the registered user's wireless terminal 145 can confirm the input of the password information of the wireless repeater 150 to be shared and registered (405).

그리고,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의 앱(230)은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정보를 통해 상기 중계기정보에 대응하는 무선중계기(150)에 무선 연결을 시도한다(410).Then, the app 230 of the wireless terminal 145 of the registered user attempts wireless connection to the wireless repeater 150 corresponding to the repeater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ted password information (410).

상기 중계기정보에 대응하는 무선중계기(150)와 무선 연결이 성공적으로 처리되면,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의 앱(230)은 상기 등록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정보,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영역정보, 상기 무선 연결에 성공한 중계기정보와 비밀번호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등록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한다(415).If the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wireless repeater 150 corresponding to the repeater information is successfully processed, the app 230 of the registered user's wireless terminal 145 may transmit user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registered user,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relay station 145, and th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repeater information and the password information successful in the wireless connection to the operation server 100 (step 415).

운영서버(100)는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의 앱(230)으로부터 상기 등록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정보,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영역정보,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에서 무선 연결에 성공한 중계기정보와 비밀번호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등록정보를 수신한다(420). The operation server 100 receives user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registered user from the app 230 of the registered user's wireless terminal 145, location are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registered user's wireless terminal 145, The relay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repeater information and the password information successful in the wireless connection at the wireless terminal 145 of the registered user is received (420).

여기서,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에서 무선 연결에 성공한 중계기정보는 무선중계기(150)의 SSID를 포함할 수 있다.Herein, the repeater information succeeding to the wireless connection in the wireless terminal 145 of the registered user may include the SSID of the wireless repeater 150.

여기서, 상기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45)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영역정보는, 무선중계기(150)의 무선 주파수 신호가 도달 가능한 영역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location are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45 of the registered user may include area information that a radio frequency signal of the wireless repeater 150 can reach.

예컨대, 상기 위치영역정보는, 상기 무선중계기(150)가 설치된 위치(=중심)에서 반경 몇 m 이내의 영역이나, 상기 무선중계기(150)가 설치된 건물(=지리정보의 건물 평면도를 참조하여 산출 가능) 내부와 건물에서 도로 쪽 방향(도로 쪽에 문이나 창문의 경우, 무선 신호가 두꺼운 시멘트 벽보도 좀더 용이하게 투과 가능하고 도로 쪽이 공유사용자의 이동 경로가 될 가능성이 높음)의 일정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ocation area information may include an area within a radius of a few meters from the location (= center) where the wireless repeater 150 is installed, or a building in which the wireless repeater 150 is installed (= (In the case of a door or a window on the road side, it is more likely that a cement wall having a radio signal is more easily penetrable and a road is more likely to be a route of a shared user)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수신된 상기 사용자정보와 위치영역정보와 중계기정보 및 비밀번호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등록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140)에 저장한다(425).The operation server 100 stores the received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 information, the location area information, the repeater information and the password information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140 (425).

이 과정에서 상기 운영서버(100)는 각 등록사용자들의 중계기등록정보를 등록한 개수를 카운트하여 등급을 부여할 수 있으며(430), 상기 부여된 등급에 대응하는 등급정보를 각 등록사용자의 사용자정보에 포함시켜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435).In operation 430, the operation server 100 may count the number of registrant registration information registered by each registered user and assign a rating to the registered user information (430). The ra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ssigned rating is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of each registered user (435).

또한, 상기 운영서버(100)는 등록사용자가 등록한 무선중계기(150)가 하나 이상의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로 공유된 공유 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카운트 된 공유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등록사용자의 등급정보를 갱신 또는 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server 100 counts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wireless repeater 150 registered by the registered user is shared with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one or more shared users, and the number of times of sharing, Quot; can be updated or adjusted.

여기서, 상기 등록사용자에게 부여되는 등급정보는, 상기 등록사용자가 공유 등록한 무선중계기(150)를 공유 사용하려는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앱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The rank information provided to the registered user may be exposed through an appl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who wants to share the wireless repeater 150 shared and registered by the registered user.

또한, 상기 등급정보는 비밀번호갱신 요청을 받은 등록사용자가 비밀번호를 갱신하지 않는 경우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rating information may be affected even when the registered user who has received the password update request does not update the password.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FIG. 5 illustrates a location-based wireless repeater shar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상기 도면4의 과정 이후, 도면1에 도시된 운영서버(100)에서 와이파이(WiFi) 기반 무선중계기(150)를 공유하고자 하는 공유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확인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무선중계기(150)를 공유하기 위한 중계기공유정보를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로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무선중계기(150)를 공유하기 위한 중계기공유정보를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로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5, after the process of FIG. 4, the operation server 100 shown in FIG. 1 checks location information of a shared user who wants to share a WiFi-based wireless repeater 150, And provides repeater sharing information for sharing the wireless repeater 150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As a matter of course, , And referring to and / or modifying FIG. 5 to provide the repeater sharing information for sharing the wireless repeater 150 to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by the method shown in FIG.

도면5를 참조하면, 도시된 무선중계기(150)를 공유하기 위한 중계기공유정보를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로 제공하는 과정은, 운영서버(100)에서 무선중계기(150)를 공유 사용하려는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앱(330)으로부터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500).Referring to FIG. 5, the process of providing repeater sharing information for sharing the wireless repeater 150 shown in FIG. 5 to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may include sharing the wireless repeater 150 with the operating server 100 (500)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from the application (330) of the shared user's wireless terminal (155).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저장매체(140)에 등록 저장된 복수의 중계기등록정보 중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위치영역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N(N≥1)개의 중계기등록정보를 확인한다(505).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is received, the operation server 100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allow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40 are acceptable At least N (N? 1)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area information matched within the range is checked (5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저장매체(140)에 등록 저장된 복수의 중계기등록정보의 위치영역정보 중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앱(330)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중계기등록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erver 100 receives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40 from the application 330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Lt; RTI ID = 0.0 > repeater < / RTI >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저장매체(140)에 등록 저장된 복수의 중계기등록정보의 위치영역정보 중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중계기등록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영역정보의 위치 중심에서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앱(330)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 사이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 하나 이상의 중계기등록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erver 100 confirms one or mor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storage medium 14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pp 330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at the location center of the location area information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저장매체(140)에 등록 저장된 복수의 중계기등록정보의 위치영역정보 중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중계기등록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영역정보의 위치 경계에서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앱(330)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 사이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 하나 이상의 중계기등록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erver 100 may store one or mor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mong the location area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40 And check one or mor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whose distance betwee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pp 330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at the location boundary of the location area in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앱(330)으로부터 수신된 둘 이상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예상 이동 방향을 도출하고, 상기 저장매체(140)에 등록 저장된 복수의 중계기등록정보의 위치영역정보 중 상기 도출된 예상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영역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중계기등록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erver 100 may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hared user's wireless terminal 155 based on two or more pieces of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pp 330 of the shared user's wireless terminal 155, And to identify one or more of th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are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edicted moving direction derived from the location area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th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registered and registered in the storage medium 140 hav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앱(330)으로부터 수신된 둘 이상의 위치정보와 현재 위치의 지리정보(또는 지도정보)를 근거로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예상 이동 경로를 도출하고, 상기 저장매체(140)에 등록 저장된 복수의 중계기등록정보의 위치영역정보 중 상기 도출된 예상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위치영역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중계기등록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erver 100 may transmit two or more pieces of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pp 330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or map information) Based on the estima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relay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40) To identify one or mor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앱(330)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에 매칭되는 N개의 중계기등록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확인된 중계기등록정보에 대응하는 N개의 중계기정보와 비밀번호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공유정보를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앱(330)으로 제공한다(510).When the N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pp 330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is confirmed, the operation server 100 transmits N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provides repeater sharing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nd password information to the app 330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510).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앱(330)은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위치영역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N(N≥1)개의 중계기등록정보를 수신한다(515).The app 330 of the shared user's wireless terminal 155 receives at least N (N > = 1)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area information that matches within the allowed range from the operating server 100 (515).

여기서, 상기 중계기등록정보는, 중계기정보와 비밀번호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중계기정보는, 무선중계기(150)의 SSID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repeater information and password information, and the repeater information may include an SSID of the wireless repeater 150.

상기 N개의 중계기등록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앱(330)은 상기 수신된 중계기공유정보에 포함된 N개의 중계기정보를 확인하고(520),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을 통해 검출된 M(M≥1)개의 중계기정보를 확인한 후(525), 상기 수신된 중계기공유정보에 포함된 N개의 중계기정보 중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을 통해 검출된 M(M≥1)개의 중계기정보와의 교집합에 해당하는 n(1≤n≤N)개의 중계기정보를 확인한다(530).When the N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e app 330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checks N repeat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repeater share information (520) (M > = 1) repeater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the terminal 155 (525), and then detects (N > = 1) repeater information from the N repeat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repeater share information N (1? N? N) repeat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section with the M (M? 1) repeater information.

상기 n개의 중계기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앱(330)은 상기 확인된 n개의 중계기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 목록을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화면 상에 표시한다(535).When the n repeater information is confirmed, the app 330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displays the repeater list including the identified n repeater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535).

예컨대,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은 기본적으로 M개의 중계기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 목록을 표시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중계기목록 표시부(350)는 본 발명에 따라 비밀번호정보를 알고 있는 n개의 중계기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may display a list of repeaters including M repeater information, wherein the repeater list display unit 350 displays n repeater information To display a list of repeaters including the repeater list.

또한,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앱(330)은 상기 확인된 n개의 중계기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 목록을 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확인된 n개의 중계기정보에 대한 신호수신강도를 기준으로 상기 n개의 중계기정보를 정렬한 중계기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displaying the repeater list including the n repeater information, the app 330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n repeater information And a repeater list in which the n repeater information is sorted can be displayed.

도면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FIG. 6 illustrates a location-based wireless repeater shar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상기 도면5의 과정 이후, 도면1 및 도면3에 도시된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에서 운영서버(100)로부터 제공된 중계기공유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무선중계기와의 무선 연결을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에서 특정 무선중계기와의 무선 연결을 처리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6, after the process of FIG. 5,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shown in FIG. 1 and FIG. 3 wirelessly transmits data to and from a specific wireless repeater using the repeater-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cessing a connection. Referring to FIG. 6,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can communicate with a specific wireless repeat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6을 참조하면, 도시된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에서 특정 무선중계기와의 무선 연결을 처리하는 과정은, 상기 도면5의 과정을 통해 n개의 중계기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 목록이 표시된 이후,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앱(330)에서 상기 중계기 목록에 포함된 n개의 중계기정보 중 신호수신강도를 기준으로 특정 중계기정보를 선택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600).Referring to FIG. 6, a process of processing a wireless connection with a specific wireless repeater at a wireless terminal 155 of a shared user shown in FIG. 5 includes a step of displaying a list of repeaters including n repeater information through the process of FIG. 5, (600) from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specific repeater information based on the signal reception strength among the n repeat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peater list at the application 330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앱(330)은 운영서버(100)를 통해 상기 n개의 중계기정보에 대한 동시 사용자 수를 확인하고, 신호수신강도가 지정된 강도 이상이면서 동시 사용자가 가장 적은 순서로 어느 한 특정 중계기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 330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confirms the number of concurrent users for the n repeater information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100, And the simultaneous users can select any one specific repeater information in the order of least number.

상기 특정 중계기정보가 선택되면,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앱(330)은 상기 선택된 특정 무선중계기에 무선 연결하기 위해 비밀번호 입력창을 표시한다(605).When the specific repeater information is selected, the app 330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displays a password input window for wireless connection to the selected specific wireless repeater (605).

그리고,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앱(330)은 상기 비밀번호 입력창에 상기 특정 중계기정보의 비밀번호정보를 자동 입력 처리하고(610), 상기 자동 입력 처리된 비밀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중계기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무선중계기(150)에 무선 연결을 처리한다(615).Then, the app 330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automatically inputs the password information of the specific repeater information into the password input window (610), and then, using the automatically input password information, And processes the wireless connection to the specific wireless repeater 150 corresponding to the repeater information (615).

상기 특정 무선중계기의 비밀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횟수 이상 무선 연결을 시도하여 실패하는 경우,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앱(330)은 상기 운영서버(100)로 상기 특정 무선중계기에 대한 비밀번호갱신요청정보를 전송한다(620).When the wireless acc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attempts to make a wireless connection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by using the password information of the specific wireless repeater, the app 330 of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155 notifies the operation server 100 of the specific wireless repeater And transmits the password update request information (620).

운영서버(100)는 상기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앱(330)으로부터 상기 특정 무선중계기(150)에 대한 비밀번호갱신요청정보(예컨대, 실패한 중계기정보, 등록사용자의 사용자정보 등 포함 가능)가 수신되면(625), 상기 특정 무선중계기(150)의 중계기등록정보를 등록한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155)의 앱(330)으로 상기 특정 무선중계기(150)의 비밀번호정보의 갱신을 요청한다(630).The operation server 100 transmits password update request information (for example, failing repeater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user, etc.) to the specific wireless repeater 150 from the app 330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shared user, The wireless relay device 150 requests the update of the password information of the specific wireless relay device 150 to the app 330 of the wireless terminal 155 of the registered user who registered the relay devic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wireless relay device 150 630).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비밀번호정보의 갱신 요청이 실패하거나 일정 기간 이상 갱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지정된 위치영역정보에 구비된 특정 무선중계기의 비밀번호정보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pdate request of the password information is unsuccessful or is not upda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r longer, the operation server 100 transmits the location area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app of the wireless terminal of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It is possible to request registration of the password information of the specific wireless repeater provided in the wireless relay apparatus.

100 : 운영서버 105 : 정보 수신부
110 : 정보 저장부 115 : 등급 부여부
120 : 위치정보 수신부 125 : 등록정보 확인부
130 : 공유정보 제공부 135 : 비밀번호갱신 처리부
140 : 저장매체 145 : 등록사용자의 무선단말
150 : 무선중계기 155 : 공유사용자의 무선단말
100: Operation server 105: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information storage unit 115:
120: Posi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25: Registration information verifying unit
130: Shar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5: Password update processing unit
140: Storage medium 145: Registered user's wireless terminal
150: wireless repeater 155: shared user's wireless terminal

Claims (21)

와이파이(WiFi) 기반 무선랜 연결 기능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무선단말과 통신 가능한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가 와이파이(WiFi) 기반 무선중계기를 공유 등록하려는 등록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상기 등록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정보, 상기 등록사용자 무선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영역정보, 상기 등록사용자 무선단말에서 무선 연결에 성공한 중계기정보와 비밀번호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등록정보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사용자정보와 위치영역정보와 중계기정보 및 비밀번호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등록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제2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무선중계기를 공유 사용하려는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제3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 저장된 복수의 중계기등록정보 중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위치영역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N(N≥1)개의 중계기등록정보를 확인하는 제4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확인된 중계기등록정보에 대응하는 N개의 중계기정보와 비밀번호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공유정보를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제공하는 제5 단계;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수신된 중계기공유정보에 포함된 N개의 중계기정보 중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을 통해 검출된 M(M≥1)개의 중계기정보와의 교집합에 해당하는 n(1≤n≤N)개의 중계기정보를 확인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n개의 중계기정보 중 어느 한 특정 중계기정보의 비밀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중계기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무선중계기에 무선 연결을 시도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방법.
1. A method executed via an operating server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wireless terminal and at least one wireless terminal having a WiFi-based wireless LAN connection function,
User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registered user from an application of a registered user wireless terminal for sharing registration of a WiFi-based wireless repeater, location are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urrent location of the registered user wireless terminal, A first step of receiving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repeater information and password information that are successfully wirelessly connected in the terminal;
A second step of the operating server storing,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th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 information, the location area information, the repeater information and the password information;
A third step in which the operating server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urrent location of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from an app of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to share the wireless repeater;
(N > = 1)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area information matched within the allowable range among a plurality of th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step;
A fifth step of the operating server providing repeater sharing information including N repeater information and passwor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to an app of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M > = 1) repeater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among the N pieces of repeat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repeater share information, n? N) repeater information; And
And attempting wireless connection to a specific wireless repeat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peater information using the password information of any one of the n repeater information from the app of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Wireless repeater sharing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와이파이(WiFi) 기반 무선랜 연결을 중계하는 현재 위치의 무선중계기를 공유 등록하려는 등록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공유 등록할 무선중계기를 식별하는 중계기정보를 선택받고 상기 공유 등록할 무선중계기의 비밀번호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등록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정보를 통해 상기 중계기정보에 대응하는 무선중계기에 무선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중계기에 연결 성공 시, 상기 등록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등록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정보, 상기 등록사용자 무선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영역정보, 상기 무선 연결에 성공한 중계기정보와 비밀번호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등록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등록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상기 중계기등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epeater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wireless repeater to be shared and registered in an app of a registered user wireless terminal to which a wireless repeater in a current location relaying a WiFi based wireless LAN connection is registered is registered and the password information of the wireless repeater to be shared and registered is selected Receiving an input;
Attempting wireless connection to a wireless repeater corresponding to the repeater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ted password information in an app of the registered user wireless terminal; And
Upon successful connection to the wireless repeater, the user of the registered user wireless terminal identifies the registered user, the location are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registered user wireless terminal, the repeater information succeeded in the wireless connection and the password information To the designated operating server, th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Wherein the first step comprises the step of the server receiving th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from an app of the registered user wireless terminal.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정보는,
무선중계기의 SSI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or 2,
And the SSID of the wireless repeater.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영역정보는,
무선중계기의 무선 주파수 신호가 도달 가능한 영역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Based wireless repeater sharing method, wherein the wireless repeater includes area information that a radio frequency signal of the wireless repeater can reac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각 등록사용자들의 중계기등록정보를 등록한 개수를 카운트하여 등급을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부여된 등급에 대응하는 등급정보를 각 등록사용자의 사용자정보에 포함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ounting the registered number of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of each registered user and assigning a rating; And
And storing the ra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ranted rating in the user information of each registered user and storing the classified informati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특정 등록사용자가 등록한 무선중계기가 하나 이상의 공유사용자 무선단말로 공유된 공유 횟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등록사용자의 등급정보를 갱신 또는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방법.
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the wireless repeater registered by the specific registered user has been shared with one or mor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s; And
And updating or adjusting the rating information of the specific registered user by using the sharing frequency.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등급정보는,
상기 등록사용자가 공유 등록한 무선중계기를 공유 사용하려는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방법.
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Wherein the registered user is exposed through an app of a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to share and use the wireless repeater shared and registered by the registered user.
제 1항에 있어서,
현재 위치의 무선중계기를 공유 사용하려는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산출하여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alculating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in an app of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to share and use the wireless repeater at the current location and transmitting to the operating server,
And the third step comprises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er of the application of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 저장된 복수의 중계기등록정보의 위치영역정보 중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중계기등록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the operation server checks at least on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Wa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 저장된 복수의 중계기등록정보의 위치영역정보 중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중계기등록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영역정보의 위치 중심에서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 사이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 하나 이상의 중계기등록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server confirms one or mor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mong a plurality of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And determining at least on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that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at least on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 저장된 복수의 중계기등록정보의 위치영역정보 중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중계기등록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영역정보의 위치 경계에서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 사이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 하나 이상의 중계기등록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server confirms one or mor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mong a plurality of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And determining at least on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that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at least on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수신된 둘 이상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예상 이동 방향을 도출하고,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 저장된 복수의 중계기등록정보의 위치영역정보 중 상기 도출된 예상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영역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중계기등록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The operation server derives a predicted movement direction of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based on two or more pieces of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an app of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and extracts, from among the plurality of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And determining one or mor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are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rived predicted moving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수신된 둘 이상의 위치정보와 현재 위치의 지리정보(또는 지도정보)를 근거로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예상 이동 경로를 도출하고,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 저장된 복수의 중계기등록정보의 위치영역정보 중 상기 도출된 예상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위치영역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중계기등록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The operation server derives an expected movement route of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based on two or more pieces of location information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or map information) of the current location received from the app of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Further comprising checking at least one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are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rived expected travel path among the plurality of stor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repeater registration information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확인된 n개의 중계기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And displaying a list of repeaters including the identified n repeater information in an app of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확인된 n개의 중계기정보에 대한 신호수신강도를 기준으로 상기 n개의 중계기정보를 정렬한 중계기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a repeater list in which the n repeater information is sorted based on the signal reception strength of the identified n repeater information in the app of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How to sha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공유정보는, 각 중계기정보와 비밀번호정보를 공유 등록한 사용자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계기 목록은, 각 중계기정보에 대한 비밀번호정보를 공유 등록한 사용자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lay apparatus sharing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user information that shares and registers each relay apparatus information and password information,
Wherein the repeater list further includes user information that shares and registers password information for each repeater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n개의 중계기정보 중 신호수신강도를 기준으로 특정 중계기정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And selecting specific repeater information based on the signal reception strength of the n repeater information in the app of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운영서버를 통해 상기 n개의 중계기정보에 대한 동시 사용자 수를 확인하고, 신호수신강도가 지정된 강도 이상이면서 동시 사용자가 가장 적은 순서로 어느 한 특정 중계기정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Checking the number of concurrent users for the n repeater information through the operating server in the app of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and selecting any one specific repeater information in the order of least amount of concurrent users, Based wireless repeater sharing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특정 무선중계기에 무선 연결하기 위해 비밀번호 입력창이 표시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비밀번호 입력창에 상기 특정 중계기정보의 비밀번호정보를 자동 입력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Confirming whether a password input window is displayed for wireless connection to a specific wireless repeater in an application of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And
And automatically inputting the password information of the specific repeater information in the password input window in the application of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공유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특정 무선중계기의 비밀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횟수 이상 무선 연결을 시도하여 실패하는 경우 운영서버로 상기 특정 무선중계기에 대한 비밀번호갱신요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비밀번호갱신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특정 무선중계기의 중계기등록정보를 등록한 등록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상기 특정 무선중계기의 비밀번호정보의 갱신을 요청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Transmitting password update request information for the specific wireless repeater to the operation server when the application of the shared user wireless terminal attempts to make a wireless connection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using the password information of the specific wireless repeater and fails;
And a step of the operating server receiving the password update request information and attempting to update the password information of the specific wireless repeater with the application of the registered user wireless terminal registering the relay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wireless repeater A method for sharing a location based wireless repeater.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비밀번호정보의 갱신 요청이 실패하거나 일정 기간 이상 갱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가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지정된 위치영역정보에 구비된 특정 무선중계기의 비밀번호정보의 등록을 요청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무선중계기 공유 방법.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n the update request of the password information fails or is not upda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r more, the operation server attempts to register the password information of the specific wireless repeater included in the location area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application of the unspecified number of user wireless terminals Based wireless repeater sharing method.
KR1020160163915A 2016-12-02 2016-12-02 Method for Sharing Wireless Access Point based on Location KR2018006376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915A KR20180063761A (en) 2016-12-02 2016-12-02 Method for Sharing Wireless Access Point based on Lo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915A KR20180063761A (en) 2016-12-02 2016-12-02 Method for Sharing Wireless Access Point based on Lo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761A true KR20180063761A (en) 2018-06-12

Family

ID=62622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915A KR20180063761A (en) 2016-12-02 2016-12-02 Method for Sharing Wireless Access Point based on Lo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376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6421B2 (en) Edge computing relocation
JP55488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network connection information using predicted locations
US8351929B2 (en) Mobil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95656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handover between access points based on gathered history data of series of access points
US7486635B2 (en) Network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network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terminal thereof
EP2355563A1 (en) Method for automatic pairing to a wireless network
US20050070279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selecting channels to be scanned in wireless network association
CN105027464A (en) Proximity detection in a device to device network
WO2014049950A1 (en) Scan control system, method and program
JP2014507850A (en) Dynamic wireless network detec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9769853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P3435639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act adding and sharing method thereof
US20140204925A1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10531228B2 (en) Approaching user detection, user authentication and location registration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RF fingerprint
EP3206437A1 (en) Hidden hotspot access method and device
TW201909668A (en) System and connection method of a wireless network
CN112438056A (en) Device-based access point association and physical address tracking
KR20150039413A (en) Method for positioning based on network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5191427A (en)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device
EP3557890B1 (en) Establishing a wireless connection to a cellular network
US11902868B2 (en) Device provisioning for association with a user or a user account
US10009347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2055910B1 (en) System for providing realtime group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US10045272B2 (en) Method for connecting to access point in WLAN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EP2802134B1 (en) Call-forward initiated by hand mov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