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2569A - Smart flowerpo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 Google Patents

Smart flowerpo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2569A
KR20180062569A KR1020160162231A KR20160162231A KR20180062569A KR 20180062569 A KR20180062569 A KR 20180062569A KR 1020160162231 A KR1020160162231 A KR 1020160162231A KR 20160162231 A KR20160162231 A KR 20160162231A KR 20180062569 A KR20180062569 A KR 20180062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unit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2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화민
박혜진
김진형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62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2569A/en
Publication of KR20180062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56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flowerpot management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to a smart flowerpot management system for monitoring soil of a flowerpot and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flowerpot, automatically optimizing soil of the flowerpot and a surrounding environment according to a type of a plant planted in the flowerpot, and providing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flowerpot to a mobile terminal of a flowerpot manager and a method thereof. The smart flowerpot management system comprises the mobile terminal and a flowerpot management module.

Description

스마트 화분 관리 시스템 및 방법{Smart flowerpo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flowerpo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화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분의 토양 및 화분의 주변 환경을 모니터링하고, 화분에 심어진 식물의 종류에 따라 화분 토양 및 주변 환경을 최적으로 자동 조성하고, 화분의 토양 환경 및 주변 환경 정보(이하 "화분 환경정보"라 함)를 화분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스마트 화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le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lle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ollen soil and pollen environ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pot environment information") to a mobile terminal of a flower pot manager.

최근 황사, 미세먼지 등의 공기오염 및 장식용으로 식물이 심어진 크고 작은 다양한 화분들을 집이나 회사에 두고 키우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Recently, there have been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who raise large and small pots of plants planted with ornamental air pollution such as dust, fine dust, etc. at home or in the company.

이와 같이 화분을 키우고자 하는 수요는 늘어나지만 바쁜 현대인들이 화분에 하루 종일 관심을 쏟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또한, 식물에 지대한 관심이 있지 않는 한 때에 맞춰 물을 주고 돌보기란 쉬운 일이 아니며, 식물을 잘 아는 사람이 아니면 식물이 심어진 토양의 환경 및 주변 환경을 어떻게 형성해 주어야 하는지 알기 힘들다.The demand for growing pots is increasing, but it is not easy for busy modern people to pay attention to pots all day long. Also, watering and caring is not an easy task unless there is a great deal of interest in the plant, and it is difficult to know how to form the environment of the planted soil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unless it is well known to the plant.

이런 화분 관리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22598호 [스마트폰 기반 화분관리 시스템](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은 식물이 심어진 화분이 화분에 담긴 토양의 습도 및 실내 습도를 측정하여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inconvenience of pollen management,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122598 [smart phone-based pollen management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is used to control the humidity of the soil And measures indoor humidity and provides it to a smartphone.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단순히 화분에 담긴 토양의 습도 및 화분 주변의 습도만 알 수 있을 뿐, 화분의 토양 환경 및 주변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화분 관리자가 직접 물을 주거나 실내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하므로, 화분 관리자는 화분에 심어진 식물에 대해서 공부를 하고 그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여야 하므로 관리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only the humidity of the soil and the humidity around the flowerpot can be known. In order to improve the soil environment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flowerpot, the flowerpot manager must provide water directly or create an indoor environme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manage plants because they have to study and manage the plants planted in pots.

공개특허 제10-2016-0122598호Publish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2016-0122598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화분의 토양 및 화분의 주변 환경을 모니터링하고, 화분에 심어진 식물의 종류에 따라 화분 토양 및 주변 환경을 최적으로 자동 조성하고, 화분 환경정보를 화분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스마트 화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nitor the environment of the soil and the pollen of the pollen, to automatically optimize the pollen soil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kinds of plants planted in the pollen, and to provide the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of the pollen manager And to provide a smart po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화분 관리 시스템은: 화분 환경정보 및 화분 관리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화분에 담긴 토양의 수분, 화분 주변의 수분 및 온도를 측정하여 화분 환경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 송신하고, 상기 화분 환경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식물에 대해 미리 설정된 최적 환경인 기준 화분 환경을 상기 화분의 토양 및 화분 주변의 환경을 조절하는 화분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 pollen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mobile terminal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and pollen management information; and measuring moisture and temperature around the pollen, And a pollen management module that acquires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and controls the environment around the pollen of the pollen to a reference pollen environment that is an optimal environment preset for the plant based on the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

상기 화분 관리 모듈은, 상기 식물에 대한 최적 환경인 기준 화분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식물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화분 저장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화분에 담겨진 토양의 습도와, 토향 주변의 습도 및 온도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화분 환경 측정부; 상기 화분에 담긴 토양 및 도양에 심어진 식물의 환경을 변화시키는 화분 환경 조절부; 상기 화분 저장부에 저장된 기분 화분 환경 정보 및 상기 화분 환경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화분 환경정보에 따라 상기 화분 환경 조절부를 제어하여 화분의 토양 및 화분의 주변 환경을 조절시키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화분 환경정보 및 화분 관리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llen management module includes a pollen storage unit for storing plant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ing reference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that is an optimal environment for the plant;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terminal; A pollen environment measuring unit measuring and outputting the humidity of the soil contained in the pollen, the humidity and the temperature around the pollen, and outputting the measured humidity; A pollen environment control unit for changing the environment of plants planted in the soil and the soil contained in the pollen; Controlling the pollen environment adjusting unit according to the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pollen storing unit and the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pollen environment measuring unit to adjus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pollen and the environment of the pollen, And pollen management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환경 측정부는, 상기 화분의 토양 및 화분 주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측정부; 및 상기 화분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nvironment measuring unit may include a humidity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humidity around the soil and the pollen of the pollen; And a temperatur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temperature around the pollen.

상기 화분 환경 조절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화분에 물을 뿌리는 수분 공급부; 창문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창문을 개폐하는 창문 개폐부; 및 상기 화분의 하부에 배치되고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배수홀들을 포함하는 화분 배수구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llen environment adjusting unit may include a water supply unit for spraying water on the poll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 window opening / closing unit installed in the window and opening / closing the window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a flowerpot drainage opening / closing part including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arrang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lowerpot and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상기 화분 환경 조절부는, 화분 주변은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llen environment adjus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heater for generating heat around the pollen to raise the temperature.

상기 통신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단말 대 단말로 무선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 및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comprise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and the terminal to the terminal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And a remot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wire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다수의 식물들에 대한 식물 관리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화분 관리자로부터 상기 화분에 심어진 식물을 선택받고, 선택된 식물에 대한 식물 관리정보를 상기 화분 관리 모듈로 전송하며, 상기 화분 관리 모듈의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식물 관리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화분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mobile terminal stores plant management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plants, selects a plant planted in the plant from a flowerpot manager, transmits plant management information on the selected plant to the flowerpot management module, The control unit of the module receives the plant management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stores the plant management information in the pollen storage unit.

상기 화분 관리 모듈은, 텍스트 및 그래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물에 대한 정보 식물명을 표시하고, 상기 측정되는 화분 환경정보 및 화분 관리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llen management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f text and graphics, wherein the control unit displays an information plant name of the plant, and displays at least one of the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and pollen management information Is displayed.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화분 관리자로부터 상기 화분 환경 조절부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화분 환경 조절 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 및 원거리 무선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화분 관리 모듈로 전송하고, 화분 관리 모듈은, 상기 화분 환경 조절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화분 환경 조절 정보에 포함된 수분 공급부, 창문 개폐부 및 화분 배수구 개폐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화분 환경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the pollen environment control unit control command from the pollen manager and transmits the pollen environment control information to the pollen management modul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long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pollen environment control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the pollen environment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water supply unit, the window opening / closing unit, and the pollen outlet opening / closing unit included in the pollen environment control information.

상기 제어부는, 주기적으로 상기 원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날씨 정보를 획득하고, 날씨정보를 더 반영하여 상기 화분 환경 조절부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periodically obtains weather information through the remot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further controls the pollen environment control unit by reflecting weather inform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화분 관리 방법은: 화분 관리 모듈이 화분에 담긴 토양의 수분, 화분 주변의 수분 및 온도를 측정하여 화분 환경정보를 획득하는 화분 환경 모니터링 단계; 상기 화분 관리 모듈이 상기 화분 환경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 송신하는 화분 환경 정보 제공 단계; 및 상기 화분 관리 모듈이 상기 화분 환경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식물에 대해 미리 설정된 최적 환경인 기준 화분 환경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화분의 토양 및 화분 주변의 환경을 조절하는 화분 환경 조절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 pollen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pollen environment monitoring step of obtaining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by measuring moisture of a soil, moisture and temperature around a pollen contained in a pollen; A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providing step in which the pollen managing module transmits the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And a pollen environment adjusting step of controlling the environment around the pollen and the soil of the pollen by comparing the pollen management module with the reference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which is an optimal environment preset for the plant based on the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

상기 화분 환경 조절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화분 환경 정보의 습도가 상기 식물 관리정보의 제1기준 습도보다 낮으면 수분 공급부를 제어하여 화분에 물을 공급하는 수분 공급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화분 환경정보의 습도가 상기 식물 관리정보의 제2기준 습도보다 높으면 히터 및 화분 배수구 개폐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화분에 담긴 토양 및 화분 주변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 조절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화분 환경정보의 온도가 상기 식물 관리 정보의 기준 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기준온도를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하도록 창문 개폐부 및 히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화분 주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llen environment controlling step may include a water supply step of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unit to supply water to the pollen if the humidity of the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is lower than the first reference humidity of the plant management information; A humidity control step of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heater and a flowerpot opening and closing part to control the humidity around the soil and the flowerpot contained in the flowerpot if the humidity of the flowerpath environment information is higher than the second reference humidity of the plant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controller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window opening / closing part and the heater so as to control the temperature around the flowerpot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flowerpath environment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temperature of the plant management information to maintain the reference temperature within a certain range, And an adjustment step.

상기 화분 환경 조절 단계는, 화분 환경의 조절 후 조절된 화분 환경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화분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llen environment control step may include pollen management information for transmitting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adjusted after pollen environment adjustment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화분 환경 조절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원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날씨정보를 수집하는 날씨정보 수집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날씨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수분 공급 단계, 습도 조절 단계 및 온도 조절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llen environment adjustment step may further include a weather information collection step in which the control unit collects weather information through a remot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performs the moisture supply step, the humidity adjustment step, and the temperature adjustment step by reflecting the weather information .

상기 방법은: 상기 화분 관리 모듈이 모바일 단말기에서 화분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식물에 대한 식물 관리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기준 화분 환경 정보로 적용하는 화분 식물 설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pollen plant setting step of receiving the plant management information on the plant selected by the pollen manager in the mobile terminal and applying the plant management information as the standard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본 발명은 화분의 토양의 습도, 화분 주변의 습도 및 온도 등의 화분 환경정보와, 화분의 토양의 습도, 화분 주변의 습도 및 온도, 날짜 및 날씨, 화분에 심어진 식물의 종류에 따른 화분 관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화분 관리자가 화분에 심어진 식물을 최적의 환경에서 보다 편리하기 키울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such as the humidity of the soil of the pollen, the humidity and the temperature around the pollen, the humidity of the pollen soil, the humidity and temperature around the pollen, the date and the weather, The pollen administrators have the effect that the plants planted in pots can be grown more conveniently in the optimal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은 측정된 화분 환경정보 및 화분 관리 정보에 따라 화분의 토양 및 화분 주변의 환경을 직접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화분에 심은 식물에 대응하는 최적의 환경을 지속적으로 자동 유지할 수 있으므로 식물을 보다 건강하게 키울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directly change the environment around the soil and the pollen of the pollen according to the measured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pollen management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maintain the optimum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pollen-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raise healthier.

또한, 본 발명은 화분의 토양 및 주변 환경의 변화를 위해 실행된 환경 조절정보를 화분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잘못된 환경 조절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하고, 환경 자동 조절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environment control information to the flowerpot manager for changing the soil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flowerpot, thereby preventing the possibility of environmental control in advance and preventing an accident that may occur due to automatic environment control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화분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화분 관리 시스템의 화분 관리 모듈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화분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화분 관리 방법 중 자동 관리 모드에서의 스마트 화분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화분 관리 방법 중 수동 관리 모드에서의 스마트 화분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화분 관리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mart polle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pollen management module of the Smart polle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mart polle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mart pollen management method in the automatic management mode among the smart pollen management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pot management method in the manual management mode among the smart pot management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graphical interfac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smart polle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화분 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고, 상기 시스템에서의 스마트 화분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A smart po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 smart pot management method in the system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화분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화분 관리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mart polle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graphical user interface screen of a mobile terminal of a smart polle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6. Fig.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화분 관리 시스템은 화분 관리 모듈(100) 및 모바일 단말기(200)를 포함한다.The smart po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len management module 100 and a mobile terminal 200.

화분 관리 모듈(100)은 온도센서, 습도센서(211) 수분 공급부(41), 창문 개폐부(42), 화분 배수구 개폐부(43) 등을 포함하여 화분(1)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화분(1)에 담긴 토양의 습도 및 화분(1) 주변의 습도, 화분(1) 주변의 온도를 모니터링하고, 수분 공급부(41), 창문 개폐부(42), 화분 배수구 개폐부(43) 등을 제어하여 화분(1)의 토양의 습도, 화분(1) 주변의 습도 및 온도를 조절한다.The pollen managing module 100 is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pollen 1 including the temperature sensor, the moisture sensor 211, the moisture supply portion 41, the window opening / closing portion 42, the pollen outlet opening / closing portion 43, The humidity around the pollen 1 and the temperature around the pollen 1 are monitored to control the water supply unit 41, the window opening / closing unit 42, the pollen outlet opening / closing unit 43, 1) to control the humidity of the soil, the humidity around the pollen (1) and the temperature.

또한, 화분 관리 모듈(100)은 모니터링되는 화분(1)의 토양 습도, 화분(1) 주변 습도 및 온도 정보를 포함하는 화분 환경정보와, 상기 수분 공급부(41), 창문 개폐부(42), 화분 배수구 개폐부(43) 등의 제어 결과 정보인 화분 관리정보를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한다.The pollen management module 100 also has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soil humidity of the pollen 1 to be monitored and the humidity and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pollen 1 and the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water supply part 41, The pollen management information such as the drain port opening / closing unit 43 and the like as control result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200.

화분 관리 모듈(100)의 도 1에 표시하지 않은 온도센서는 화분 관리 모듈(100)의 케이스 내측에 포함될 수도 있고, 화분(1) 주변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in FIG. 1 of the pollen managing module 100 may be included inside the case of the pollen managing module 100 or may be installed around the pollen 1.

그리고 화분 관리 모듈(100)의 습도센서(21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부가 화분(1)에 담긴 토양 깊숙이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일부가 공기 중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토양의 습도 및 화분(1) 주변의 공기의 습도를 측정한다.1, the humidity sensor 211 of the pollen managing module 100 is arranged such that a part thereof is inserted deeply into the soil contained in the pollen 1 and a part of the humidity sensor 211 is exposed to the air, Measure the humidity of the surrounding air.

수분 공급부(41)는 물통(2)에 구성되어 물통(2)에 담긴 물을 펌핑하여 화분(1)의 토양에 공급한다.The water supply part 41 is formed in the water reservoir 2 to pump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reservoir 2 and supply it to the soil of the pollen 1.

물은 도 1과 같이 화분(1)의 상부에서 분무될 수도 있고, 화분(1)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화분(1) 내측으로 형성되는 홀들을 구비하는 호스를 통해 공급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water may be sprayed at the top of the pollen 1 as shown in Fig. 1, or may be supplied through a hose having holes formed along the pollen 1 edge and formed inside the pollen 1.

창문 개폐부(42)는 창문에 구비되어 창문을 열거나 닫는다. 창문 개폐 장치 자체 기술은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window opening and closing part 42 is provided on the window to open or close the window. Since the technology of the window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is a well-known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화분 배수구 개폐부(43)는 다수의 배수홀(331)들을 구비하여 도 1에서와 같이 화분(1)의 하부를 형성한다. 일예로, 본원발명의 화분 배수구 개폐부(43)가 없다면 화분(1)의 하부는 전체가 개방되어 있을 것이다.The flowerpot drainage opening and closing part 43 includes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331 to form the lower part of the flowerpot 1 as shown in FIG. For example, if the pollen outlet port 4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rovided, the lower part of the pollen 1 will be entirely open.

상기 화분 배수구 개폐부(43)는 상기 배수홀(331)들을 닫고 여는 개폐수단(미도시)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수단은 솔레노이드 방식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기술 자체 또한 이 기술분야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그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The pollen port opening / closing unit 43 includes opening / closing means (not shown) for closing and opening the drain holes 331, and the opening / closing means may be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solenoid method. This technique itself is also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o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모바일 단말기(200)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으로 불리는 스마트기기일 수 있으며, 화분 관리 모듈(100)과 무선으로 직접 연결되어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거나,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300)을 통해 원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다.The mobile terminal 200 may be a smart device called a smart phone or a smart pad or may be connected to the pollen management module 100 by radio to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r may perform long-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a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300 .

모바일 단말기(200)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화분 관리 모듈(100)로부터 화분 환경 정보 및 화분 관리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하여 화분 관리자에게 화분(1)의 환경 상태 및 관리 정보를 알려준다.The mobile terminal 200 receives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and pollen management information from the pollen management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displays the environmental status and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pollen 1 to the pollen manager.

또한, 모바일 단말기(200)는 수동모드 및 자동모드를 설정할 수 있으며, 수동모드에서 도 6과 같은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을 화분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화분 관리자로부터 화분 환경 조절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화분 환경 조절 제어명령을 상기 화분 관리 모듈(100)로 전송하여 화분(1)의 환경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e manual mode, the mobile terminal 200 may provide user interface means such as the user interface shown in FIG. 6 to the flowerpot manager, and may transmit the flowerpot environment control command from the flowerpot manager through the user graphical interface means And control the environment of the flowerpot 1 by transmitting the entered flowerpot environment control command to the flowerpowder management module 100.

모바일 단말기(200)에 의해 자동모드가 설정된 화분 관리 모듈(100)은 자동으로 화분 환경을 측정하고, 측정된 화분 환경에 따라 화분 환경을 조절하고, 수동모드에서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화분 환경 조절 제어명령을 수신받아 화분 환경을 조절한다.The pollen management module 100 having the automatic mode set by the mobile terminal 200 automatically measures the pollen environment and controls the pollen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measured pollen environment. In the manual mode, Control the pollen environment by receiving the control comman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화분 관리 시스템의 화분 관리 모듈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화분 관리 모듈(100)의 상세 구성을 설명한다.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pollen management module of the Smart polle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len management modul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화분 관리 모듈(100)은 제어부(10), 화분 저장부(20), 화분 환경 측정부(30), 화분 환경 조절부(40) 및 통신부(50)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The pollen management module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0, a pollen storage unit 20, a pollen environment measurement unit 30, a pollen environment control unit 40, and a communication unit 50, 60 may be further included.

제어부(10)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관리 모듈(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llen management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어부(10)는 통신부(50)의 원거리 무선통신부(52)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또는 직접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300)에 접속하여 날씨정보를 수집하고, 날씨정보를 반영하여 화분 환경 조절부(40)를 제어하여 습도 및 온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어부(10)의 상세 동작은 후술할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controller 10 accesses the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300 through the mobile terminal 200 through the remot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2 of the communication unit 50 to collect weather information, The controller 40 may be controlled to adjust the humidity and the temperature.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화분 저장부(20)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관리 모듈(1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영역과,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영역과, 화분(1)에 심어진 식물에 대한 식물 관리정보, 등록 모바일 단말기의 모바일 단말기 정보를 저장하며 창문 열림 플래그를 포함하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한다.The pollen storage unit 20 includes a program area for storing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pollen management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mporary area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control program, Plant management information on plants planted in the plant, and mobil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mobile terminal, and includes a data area including a window opening flag.

화분 환경 측정부(30)는 수분측정부(31) 및 온도측정부(32)를 포함한다.The pollen environment measuring unit (30) includes a moisture measuring unit (31) and a temperature measuring unit (32).

수분측정부(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화분(1)의 토양에 삽입되는 습도센서(311)를 포함하여 화분(1)의 토양 및 화분(1) 주변의 습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0)로 전송한다.The moisture measuring unit 31 measures the humidity around the soil and the pollen 1 of the pollen 1 including the humidity sensor 311 inserted into the soil of the pollen 1 as described above and outputs the humidity to the control unit 10 send.

온도측정부(32)는 화분(1) 주변에 배치되는 온도센서를 구비하고,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온도정보를 제어부(10)로 전송한다.The temperature measuring unit 32 has a temperature sensor disposed around the pollen 1 and transmits temperature information measured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to the control unit 10. [

화분 환경 조절부(40)는 수분 공급부(41), 창문 개폐부(42) 및 화분 배수구 개폐부(43) 등을 포함하여 화분(1)의 주변 환경을 조절한다.The pollen environment control unit 40 control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pollen 1 including the water supply unit 41, the window opening and closing unit 42, and the pollen outlet opening and closing unit 43.

구체적으로 상기 수분 공급부(41)는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통(2) 또는 물통(2) 주변에 설치되어 물통(2)에 담긴 물을 화분(1)의 토양에 공급한다.Specifically, the water supply unit 41 is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water bin 2 or the water bin 2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 to supply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bottle 2 to the soil of the pollen 1 .

창문 개폐부(42)는 창문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창문을 열거나 닫는다.The window opening and closing part 42 is installed in the window and opens or closes the window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part 10.

화분 배수구 개폐부(43)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분(1)의 하부를 구성하여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배수홀(431)을 열거나 닫아, 상기 화분(1)에 담긴 토양이 머금고 있는 수분을 배수홀(431)을 통해 배출시키거나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1, the lower part of the pollen 1 is opened and the drain hole 431 is opened or clos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part 10 to remove the soil contained in the pollen 1 So as to discharge the fading moisture through the drain hole (431) or block the discharge.

상기 화분 환경 조절부(43)는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pollen environment adjusting unit 43 may further include a heater (not shown) for generating hea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 [

통신부(50)는 근거리 무선통신부(51) 및 원거리 무선통신부(5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The communication unit 5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1 and a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2.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51)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광대역무선통신(Ultra Wide Band: UWB)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프로토콜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1 may b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Bluetooth, Zigbee, or Ultra Wide Band (UWB).

상기 원거리 무선통신부(52)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300)을 통해 화분 관리 모듈(10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300)에 접속해 있고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관리를 위한 화분 관리 모듈(100)과 모바일 단말기(200)간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웹 서버(미도시)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remot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2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pollen management module 100 through the wire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300. In this case, a web server (not shown) or an application server (not shown), which is connected to the wire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300 and provides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pollen management module 100 for pollen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bile terminal 200 ) May be further included.

디스플레이부(60)는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텍스트 및 그래픽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이 될 수 있으며, 화분에 심어진 식물의 식물명, 화분 환경 정보(토양 습도, 습도, 온도 등), 화분 관리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The display unit 6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the like capable of displaying text and graphic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 The display unit 60 may include a plant name, Humidity, temperature, etc.), pollen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lik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화분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mart polle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화분 관리 모듈(100)의 제어부(10)는 전원이 공급되면 화분 환경 측정부(30)를 통해 화분 환경을 모니터링하기 시작한다(S111).First, the control unit 10 of the pollen management module 100 starts monitoring the pollen environment through the pollen environment measuring unit 30 when power is supplied (S111).

화분 환경이 모니터링되기 시작하면 제어부(10)는 현재 설정모드가 자동모인지 수동모드인지를 판단한다(S113).When the pollen environment is started to be monitored, the control unit 10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setting mode is the automatic mode or the manual mode (S113).

자동모드이면 제어부(10)는 스스로 화분 환경을 조절하는 화분 자동 모드를 수행한다(S115).In the automatic mode, the control unit 10 performs the automatic pollen mode for controlling the pollen environment by itself (S115).

반면, 수동모드이면 제어부(10)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화분 환경 조절 제어 명령이 수신되는지를 검사하고 화분 환경 조절 제어 명령 수신 시 그에 따른 화분 환경을 조절하는 화분 수동 모드를 수행한다(S117).On the other hand, in the manual mode, the controller 10 checks whether the pollen environment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and performs a pollen manual mode to control the pollen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pollen environment control command (S117) .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화분 자동모드에서의 스마트 화분 관리 방법을 설명하고, 도 5를 참조하여 화분 수동모드에서의 스마트 화분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The smart pollen management method in the automatic pollen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nd the smart pollen management method in the pollen manual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관리 방법 중 자동 관리 모드에서의 스마트 화분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mart pollen management method in an automatic management mode among smart pollen management 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10)는 도 3의 S113에서 자동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수분 측정부(31)를 통해 측정되는 토양 수분이 하한 기준 수분 량보다 적은지(S213), 토양 수분 량이 상한 기준 수분 량보다 많은지(S215), 측정된 온도가 하한 기준 온도보다 낮은지(S217), 측정된 온도가 상한 기준 온도보다 높은지(S219)를 판단한다(S219).If it is determined in S113 of FIG. 3 that the soil moisture measured by the moisture measuring unit 31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water amount (S213), the controller 10 determines whether the soil water amount is greater than the upper limit water amount ,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easured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lower limit reference temperature (S217) and whether the measured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upper limit reference temperature (S219) (S219).

판단결과, 토양 수분이 하한 기준 수분 량보다 낮으면 제어부(10)는 수분 공급부(41)를 구동하여 화분(1)의 토양에 물을 공급한다(S221).If the soil moisture is lower than the lower limit water amount, the control unit 10 drives the water supply unit 41 to supply water to the soil of the flowerpot 1 (S221).

그리고 통양 수분이 상한 기준 수분 량보다 많으면 제어부(10)는 배수홀(311)을 개방하여 토양에 스며들어 있는 수분을 배출시킨다(S223). 화분 환경 조절부(40)가 히터를 구비하는 경우 히터를 구동하여 토양의 수분이 빨리 증발하도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If the water level of the duct is greater than the upper limit of the reference water content, the control unit 10 opens the drain hole 311 to drain the water impregnated in the soil (S223). If the pollen environment control unit 40 includes a heater, it may be constructed such that the water of the soil is evaporated quickly by driving the heater.

상기 배수홀 개방 후 제어부(10)는 물주기 금지 경고 모드를 설정하여 디스플레이부(60)에 물주기 금지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모바일 단말기(200)로 물주기 금지 메시지를 전송한다(S225).After the water drain hole is opened, the controller 10 sets a water circulation prohibition warning mode and displays a water circulation prohibition message on the display unit 60 or transmits a water circulation prohibition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200 (S225).

그리고 측정 온도가 하한 기준 온도보다 낮으면 제어부(10)는 화분 저장부(20)에 구성되는 창문 열림 플래그를 검사하여 창문이 열려 있는지를 검사한다(S227).If the measured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lower limit reference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10 checks the window opening flag formed in the pollen storage unit 20 to check if the window is open (S227).

창문이 닫혀 있으면 제어부(10) 해당 이벤트를 무시하고, 창문이 열려 있으면 창문 개폐부(42)를 제어하여 창문을 닫고(S229), 창문 열림 플래그를 리셋한다(S231). 상기 창문 열림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창문이 닫혀 있는데도 창문 개폐부(42)를 구동하는 경우 창문 개폐부(42)에서 발생될 수 있는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If the window is closed, the control unit 10 ignores the event. If the window is open, the control unit 10 controls the window opening / closing unit 42 to close the window (S229) and resets the window open flag (S231).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or not the window is opened is for preventing an overload that may occur in the window opening / closing part 42 when the window opening / closing part 42 is driven even when the window is closed.

창문을 연 후 제어부(10)는 창문 닫힘 정보를 포함하는 화분 관리정보를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233).After opening the window, the control unit 10 transmits the pollen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window closing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200 (S233).

또한, 제어부(10)는 측정 온도가 상한 기준 온도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 창문 열림 플래그가 리셋되어 있는지를 검사하여 창문의 닫힘 여부를 검사하고(S234), 창문이 닫혀 있으면 창문 개폐부(42)를 구동하여 창문을 연다(S235).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easured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upper limit reference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10 checks whether or not the window opening flag is reset (S234). If the window is closed, the control unit 10 drives the window opening / closing unit 42 And opens the window (S235).

창문을 연 후 제어부(10)는 창문 열림 정보를 포함하는 화분 관리정보를 통신부(50)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하여 창문이 열림 상태임을 화분 관리자에게 통보한다.After opening the window, the control unit 10 transmits the pollen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window opening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50 to notify the pollen manager that the window is ope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화분 관리 방법 중 수동 관리 모드에서의 스마트 화분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pot management method in the manual management mode among the smart pot management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0)는 도 3에서 수동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등록 화분 저장부(20)에 등록 모바일 단말기가 있는지를 검사한다(S311).Referring to FIG. 5, if the manual mode is set in FIG. 3, the controller 10 checks whether the registered pollen storage unit 20 has a registered mobile terminal (S311).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가 없으면 제어부(10)는 모바일 단말기 등록모드를 설정한(S313) 후, 모바일 단말기(200)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200)를 등록할 것이다(S315). 이때, 화분 관리 모듈(100)이 디스플레이부(60)를 포함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200)를 등록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을 것이다.If there is no registered mobile terminal, the control unit 10 registers the mobile terminal 200 by the mobile terminal 200 after setting the mobile terminal registration mode (S313) (S315). At this time, if the pollen management module 100 includes the display unit 60, it may request to register the mobile terminal 200.

상기 모바일 단말기 등록 방식은 적용되는 통신 방식에 따라 적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근거리 무선통신방식 및 원거리 무선통신방식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등록 방법 자체는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프로토콜이 적용된 경우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페이링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The mobile terminal registration method can be applied according to the applicable communication method. Since the mobile terminal registration method itself according to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s a well-known technology, its description will be omitted. For example, when the Bluetooth protocol is applied, it can be achieved by a generally well known faceting.

등록 모바일 단말기가 있으면 제어부(10)는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와 무선 연결을 시도하고(S317), 무선연결에 성공하는지를 검사한다(S319).If there is a registered mobile terminal, the controller 10 attempts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registered mobile terminal (S317) and checks whether the wireless connection is successful (S319).

무선연결에 성공하면 제어부(10)는 화분 환경 모니터링 정보, 즉 화분 환경정보를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하기 시작한다(S323).If the wireless connection is successful, the control unit 10 starts to transmit pollen environment monitoring information, i.e.,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200 (S323).

상기 화분 환경정보가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되기 시작하면, 제어부(10)는 통신부(50)를 통해 화분 환경 제어 명령이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S325).When the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200, the control unit 10 checks whether the pollen environment control command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50 (S325).

화분 환경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부(10)는 화분 환경 제어 명령이 수분 공급 제어 명령인지(S327), 수분 제거 제어 명령인지(S329), 온도 올림 제어 명령인지(S331), 온도 낮춤 제어 명령인지(S333)를 판단한다.When the pollen environment control command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10 determines whether the pollen environment control command is a water supply control command (S327), a water removal control command (S329), a temperature raise control command (S331) S333).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S221에 대응하는 S335, S223 내지 S225에 대응하는 S336 내지 S337, S227 내지 S233에 대응하는 S339 내지 S345, S234 내지 S239에 대응하는 S247 내지 S353을 수행한다.S335 corresponding to S221 described in Fig. 4, S336 through S337 corresponding to S223 through S225, S339 through S345 corresponding to S222 through S233 corresponding to S223 through S225, and S247 through S353 corresponding to S234 through S239 corresponding to S227 through S233.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easily understoo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화분 2: 물통
10: 제어부 20: 화분 저장부
30: 화분 상태 측정부 31: 수분 측정부
32: 온도 측정부 40: 화분 환경 조절부
41: 수분 공급부 42: 창문 개폐부
43: 화분 배수구 개폐부 50: 통신부
51: 근거리 무선통신부 52: 원거리 무선통신부
60: 디스플레이부 100: 화분 관리 모듈
200: 모바일 단말기 211: 수분 센서
300: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431: 배수홀
1: Flowerpot 2: Bucket
10: control unit 20: pollen storage unit
30: pollen condition measuring unit 31: moisture measuring unit
32: temperature measuring unit 40: pollen environment adjusting unit
41: water supply part 42: window opening / closing part
43: pollen pouring opening / closing unit 50:
51: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2: long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60: display unit 100: pollen management module
200: mobile terminal 211: moisture sensor
300: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431: drain hole

Claims (15)

화분 환경정보 및 화분 관리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화분에 담긴 토양의 수분, 화분 주변의 수분 및 온도를 측정하여 화분 환경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 송신하고, 상기 화분 환경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식물에 대해 미리 설정된 최적 환경인 기준 화분 환경을 상기 화분의 토양 및 화분 주변의 환경을 조절하는 화분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화분 관리 시스템.
The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pollen management information are received and displayed; and
Wherein the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is obtained by measuring the moisture of the soil, the moisture and the temperature around the pollen of the pollen, the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the reference pollen environment, And a pollen management module for controlling the environment around the soil and the pollen of the pollen management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관리 모듈은,
상기 식물에 대한 최적 환경인 기준 화분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식물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화분 저장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화분에 담겨진 토양의 습도와, 토향 주변의 습도 및 온도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화분 환경 측정부;
상기 화분에 담긴 토양 및 도양에 심어진 식물의 환경을 변화시키는 화분 환경 조절부;
상기 화분 저장부에 저장된 기분 화분 환경 정보 및 상기 화분 환경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화분 환경정보에 따라 상기 화분 환경 조절부를 제어하여 화분의 토양 및 화분의 주변 환경을 조절시키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화분 환경정보 및 화분 관리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화분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llen management module includes:
A pollen storage unit for storing plant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ing reference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which is an optimal environment for the plant;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terminal;
A pollen environment measuring unit measuring and outputting the humidity of the soil contained in the pollen, the humidity and the temperature around the pollen, and outputting the measured humidity;
A pollen environment control unit for changing the environment of plants planted in the soil and the soil contained in the pollen;
Controlling the pollen environment adjusting unit according to the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pollen storing unit and the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pollen environment measuring unit to adjus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pollen and the environment of the pollen, And pollen management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
환경 측정부는,
상기 화분의 토양 및 화분 주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측정부; 및
상기 화분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화분 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nvironmental measuring unit,
A humidity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humidity around the soil and pollen of the pollen; And
And a temperatur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temperature around the polle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환경 조절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화분에 물을 뿌리는 수분 공급부;
창문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창문을 개폐하는 창문 개폐부; 및
상기 화분의 하부에 배치되고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배수홀들을 포함하는 화분 배수구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화분 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ollen environment adjusting unit comprises:
A water supply unit for spraying water to the flowerpo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 window opening / closing unit installed in the window and opening / closing the window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And a flowerpot drainage opening / closing part including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arranged at the lower part of the flowerpot and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환경 조절부는,
화분 주변은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화분 관리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ollen environment adjusting unit comprises:
Wherein the pollen circumference further comprises a heater for generating heat to raise the temperatur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단말 대 단말로 무선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 및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화분 관리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and the terminal to the terminal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And
And a remot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wire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다수의 식물들에 대한 식물 관리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화분 관리자로부터 상기 화분에 심어진 식물을 선택받고, 선택된 식물에 대한 식물 관리정보를 상기 화분 관리 모듈로 전송하며,
상기 화분 관리 모듈의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식물 관리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화분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화분 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obile terminal comprises:
The plant management information is stored for a plurality of plants, plants selected from the pots are selected from the pots manager, plant management information on the selected plants is transmitted to the pots management module,
The control unit of the pollen management module,
And receives plant management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stores the plant management information in the pollen storage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관리 모듈은,
텍스트 및 그래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물에 대한 정보 식물명을 표시하고, 상기 측정되는 화분 환경정보 및 화분 관리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화분 관리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ollen management modul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f text and graphics,
Wherein,
Wherein the at least one of the pot pollution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pot pollution management information is display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화분 관리자로부터 상기 화분 환경 조절부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화분 환경 조절 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 및 원거리 무선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화분 관리 모듈로 전송하고,
화분 관리 모듈은,
상기 화분 환경 조절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화분 환경 조절 정보에 포함된 수분 공급부, 창문 개폐부 및 화분 배수구 개폐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화분 환경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화분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mobile terminal comprises:
The pollen environment control unit receives the pollen environment control unit control command from the pollen manager and transmits the pollen environment control information to the pollen management modul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long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pollen management module,
Wherein the pollen environment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water supply unit, a window opening / closing unit, and a flowerpot opening / closing unit included in the flowerpot environment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기적으로 상기 원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날씨 정보를 획득하고, 날씨정보를 더 반영하여 상기 화분 환경 조절부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화문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lowerpot environment control unit to periodically acquire weather information through the remot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further reflect weather information.
화분 관리 모듈이 화분에 담긴 토양의 수분, 화분 주변의 수분 및 온도를 측정하여 화분 환경정보를 획득하는 화분 환경 모니터링 단계;
상기 화분 관리 모듈이 상기 화분 환경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 송신하는 화분 환경 정보 제공 단계; 및
상기 화분 관리 모듈이 상기 화분 환경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식물에 대해 미리 설정된 최적 환경인 기준 화분 환경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화분의 토양 및 화분 주변의 환경을 조절하는 화분 환경 조절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화분 관리 방법.
A pollen environment monitoring step of obtaining a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by measuring the moisture of the soil, the moisture and the temperature around the pollen of the pollen contained in the pollen management module;
A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providing step in which the pollen managing module transmits the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And
And a pollen environment adjusting step of controlling the environment around the pollen and the soil of the pollen by comparing the pollen management module with the reference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which is an optimal environment preset for the plant based on the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How to manage smart pot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환경 조절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화분 환경 정보의 습도가 상기 식물 관리정보의 제1기준 습도보다 낮으면 수분 공급부를 제어하여 화분에 물을 공급하는 수분 공급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화분 환경정보의 습도가 상기 식물 관리정보의 제2기준 습도보다 높으면 히터 및 화분 배수구 개폐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화분에 담긴 토양 및 화분 주변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 조절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화분 환경정보의 온도가 상기 식물 관리 정보의 기준 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기준온도를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하도록 창문 개폐부 및 히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화분 주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화분 관리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ollen environment adjusting step includes:
A water supply step of supplying water to the pollen by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unit if the humidity of the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is lower than the first reference humidity of the plant management information;
A humidity control step of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heater and a flowerpot opening and closing part to control the humidity around the soil and the flowerpot contained in the flowerpot if the humidity of the flowerpath environment information is higher than the second reference humidity of the plant management information; And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at least one of a window opening and closing part and a heat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around the pot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pot environment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temperature of the plant management information to maintain the reference temperatur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 / RTI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환경 조절 단계는,
화분 환경의 조절 후 조절된 화분 환경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화분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화분 관리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ollen environment adjusting step includes:
And pollen management information for transferring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adjusted after pollen environment adjustment to the mobile terminal is provid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환경 조절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원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날씨정보를 수집하는 날씨정보 수집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날씨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수분 공급 단계, 습도 조절 단계 및 온도 조절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화분 관리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pollen environment adjusting step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weather information collecting step in which the controller collects weather information through a remot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humidity control step and the temperature control step are performed by reflecting the weather informa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관리 모듈이 모바일 단말기에서 화분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식물에 대한 식물 관리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기준 화분 환경 정보로 적용하는 화분 식물 설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화분 관리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pollen plant setting step in which the pollen management module receives plant management information on the plant selected by the pollen manager in the mobile terminal and applies the plant management information as the standard pollen environment information.
KR1020160162231A 2016-11-30 2016-11-30 Smart flowerpo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18006256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231A KR20180062569A (en) 2016-11-30 2016-11-30 Smart flowerpo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231A KR20180062569A (en) 2016-11-30 2016-11-30 Smart flowerpo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569A true KR20180062569A (en) 2018-06-11

Family

ID=62600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231A KR20180062569A (en) 2016-11-30 2016-11-30 Smart flowerpo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2569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241B1 (en) * 2018-12-07 2019-10-22 한현석 Smart terrarium system
KR20210074951A (en) * 2019-12-12 2021-06-2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System and method for irrigating and detecting soil moisture of indoorplants pot
KR20210074450A (en) * 2019-12-11 2021-06-2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Measuring apparatus for soil information and evalua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20210085119A (en) * 2019-12-30 2021-07-0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Analyzing the State of Plants and Potted Soil
KR102603766B1 (en) * 2022-11-16 2023-11-20 윤신정 Plant growth automation device and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9883A (en) * 2012-11-08 2014-05-1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Monitoring system for plant growth
KR20140132873A (en) * 2013-05-08 2014-11-19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System and Method based on Ontology for providing growth environments to crops
KR20160122598A (en) 2015-04-14 2016-10-24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Smartphones based on pollen management system
KR20160136156A (en) * 2015-05-19 2016-11-29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The System of LED Plant Factory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s and the Management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9883A (en) * 2012-11-08 2014-05-1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Monitoring system for plant growth
KR20140132873A (en) * 2013-05-08 2014-11-19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System and Method based on Ontology for providing growth environments to crops
KR20160122598A (en) 2015-04-14 2016-10-24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Smartphones based on pollen management system
KR20160136156A (en) * 2015-05-19 2016-11-29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The System of LED Plant Factory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s and the Management Method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241B1 (en) * 2018-12-07 2019-10-22 한현석 Smart terrarium system
KR20210074450A (en) * 2019-12-11 2021-06-2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Measuring apparatus for soil information and evalua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20210074951A (en) * 2019-12-12 2021-06-2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System and method for irrigating and detecting soil moisture of indoorplants pot
KR20210085119A (en) * 2019-12-30 2021-07-0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Analyzing the State of Plants and Potted Soil
KR102603766B1 (en) * 2022-11-16 2023-11-20 윤신정 Plant growth automation device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2569A (en) Smart flowerpo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1071626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rrigation control
CN101569281B (en) Open air vegetation irrigatio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RU2628502C1 (en) System of monitoring and controlling garden tool operations within operation area
US201501640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garden monitoring and management
AU2008254746B2 (en) Automatically adjusting irrigation controller
KR101415933B1 (en) Monitoring system for plant growth
KR100700877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farm in ubiquitous
TW201635896A (en) Watering system with adaptive components
US2016013538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rrigation control
US20120267447A1 (en) Environmental and biotic-based speed management and control of mechanized irrigation systems
US11343983B2 (en) Irrigation monitoring and control based on efficiency model
KR101132151B1 (en) Method for managing a greenhouse in ubiquitous
JP6980246B2 (en) Program and irrigation control equipment
CN107278832A (en) Farmland intelligent water-saving irrigation system and method
CN107534677A (en) The interface connection and operation simplified in watering system
KR20130030926A (en) The integrated controlled hydroponic system using it technology
KR101892163B1 (en) System for controlling a smart greenhouse
US20210176931A1 (en) Soil sensor grid
KR20150033961A (en) Electronic pot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nd control system thereof
US20210164675A1 (en) Intelligent humidification system in which remote controller with built-in sensor and humidifier are linked
CN109631991A (en) A kind of cell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JPH08275684A (en) System for controlling irrigation of paddy field
KR20130039095A (en)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optimal growth environment of greenhouse
KR20160044817A (en) Greenhous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