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0328A -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서버 - Google Patents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0328A
KR20180060328A KR1020160159704A KR20160159704A KR20180060328A KR 20180060328 A KR20180060328 A KR 20180060328A KR 1020160159704 A KR1020160159704 A KR 1020160159704A KR 20160159704 A KR20160159704 A KR 20160159704A KR 20180060328 A KR20180060328 A KR 20180060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isplay
module
input
application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종
이지민
강상기
구한준
박성파
서장석
송인욱
안원익
우경구
이지수
전창균
제갈호준
최일환
홍유진
김지현
여재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9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0328A/ko
Priority to PCT/KR2017/011343 priority patent/WO2018097478A1/en
Priority to EP17197272.2A priority patent/EP3327719A1/en
Priority to CN201711203805.6A priority patent/CN108121490B/zh
Priority to US15/824,331 priority patent/US10191718B2/en
Publication of KR20180060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328A/ko
Priority to US16/259,669 priority patent/US11023201B2/en
Priority to US17/332,185 priority patent/US1156176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4Segmentation; Word boundary detec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10L15/1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using natural language modelling
    • G10L15/1815Semantic context, e.g. disambiguation of the recognition hypotheses based on word mean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G10L15/30Distributed recognition, e.g. in client-server systems, for mobile phones or network applications
    • H04L67/3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3Execution procedure of a spoken com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 부분을 통하여 노출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제2 부분에 위치하는 마이크; 상기 하우징의 제3 부분에 위치하는 스피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스피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GUI)를 포함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모리가 저장한 명령어가 실행되었을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가 사용자로부터 발화를 수신하도록 하고, 상기 발화에 기초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 또는 수신하고,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시하고,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자동적으로 제공되는 입력의 과정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입력을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로서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요구하는 오퍼레이션(operation)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오퍼레이션의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서버{ELECTRONIC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MODAL INPUT, METHOD FOR PROCESSING MULTI-MODAL INPUT AND SEVER FOR PROCESSING MULTI-MODAL INPU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키보드나 마우스를 이용한 전통적인 입력 방식에 부가하여, 최근의 전자 장치들은 음성 입력과 같은 다양한 입력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전자 장치들은 음성 인식 서비스가 실행된 상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거나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근래 음성 인식 서비스는 자연어를 처리하는 기술을 기반으로 발전하고 있다. 자연어를 처리하는 기술은 사용자 발화의 의도를 파악하고, 의도에 맞는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이다.
기존 음성 인식 서비스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처리할 때 사용자 입력에 따른 결과만을 보여주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등의 단순한 사용자 음성만을 처리할 수 있고,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을 요구하는 사용자 입력은 처리하지 못할 수 있다.
기존 음성 인식 서비스는 사용자가 부족한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을 입력한 경우, 부족한 정보를 인지하지 못하고 사용자 입력 전부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음성 인식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발화만으로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 사용자의 추가 발화나 단말의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의도를 파악하고자 할 수 있다. 사용자 의도가 결정된 이후, 파악된 의도에 맞는 서비스(예: 검색, 어플리케이션 수행)나 테스크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최초 발화 이후, 추가 발화를 반복적으로 요청 받게 되면, 그 발화 유도의 의도를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음성 인식 서비스 수행 초기 단계에 반복적인 요청을 받게 되면,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렵다고 인식하기 쉽다.
기존의 음성 인식 서비스는 음성 입력(명령)에 대응하여 결과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다른 입력 수단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상황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기존의 입력 수단으로서 키보드와 마우스, 혹은 터치 입력을 함께 사용할 수 있지만, 음성 인식 서비스는 음성의 입출력을 위주로 인터페이스가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음성 이외의 입력 수단을 활용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음성 입력 이외의 입력 수단(예: 키보드, 마우스, 터치 입력 등)과 통합적으로 기능하는 입력 수단으로서의 음성 입력 처리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다양한 입력 수단을 고려한 통합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연어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사용자가 최초 발화에 대응하는 서비스나 테스크를 수행하면서 사용자의 추가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및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 부분을 통하여 노출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제2 부분에 위치하는 마이크; 상기 하우징의 제3 부분에 위치하는 스피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스피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GUI)를 포함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모리가 더 저장한 명령어가 실행되었을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가 사용자로부터 발화를 수신하도록 하고, 상기 발화에 기초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 또는 수신하고,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시하고,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자동적으로 제공되는 입력의 과정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입력을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로서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요구하는 오퍼레이션(operation)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오퍼레이션의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 부분을 통하여 노출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제2 부분에 위치하는 마이크; 상기 하우징의 제3 부분에 위치하는 스피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스피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GUI)를 각각 포함하는 제1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제2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가 저장한 명령어가 실행되었을 때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가 사용자로부터 발화를 수신하도록 하고, 상기 발화에 기초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 또는 수신하고,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1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부터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선택된 제1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시하고, 상기 선택된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한 제1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요구하는 제1 오퍼레이션(operation)을 수행하면서 상기 제1 오퍼레이션(operation)의 수행의 과정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제1 오퍼레이션의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결과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 후에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제2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각각을 나타내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식별자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식별자들 중 하나의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부터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제1 오퍼레이션의 결과 중 일부를 사용한 제2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요구하는 제2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 부분을 통하여 노출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제2 부분에 위치하는 마이크; 상기 하우징의 제3 부분에 위치하는 스피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스피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GUI)를 포함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모리가 저장한 명령어가 실행되었을 때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가 사용자로부터 음성 요청을 수신하도록 하고, 상기 요청에 기초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자동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오퍼레이션의 전체가 아닌 일부를 결정하고,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시하고, 상기 오퍼레이션의 동작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오퍼레이션의 일부를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의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사용하여 오퍼레이션을 끝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입력 처리 방법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발화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발화에 기초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 또는 수신하는 동작;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동작;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시하는 동작;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자동적으로 제공되는 입력의 과정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입력을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로서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파라미터를 요구하는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오퍼레이션의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서버는, 사용자의 발화를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발화에 기초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텍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발화의 의도 및 상기 의도를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상기 의도 및 상기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오퍼레이션의 순서를 포함하는 패스 룰을 결정하고, 상기 패스 룰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패스 룰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오퍼레이션 및 상기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앱을 동작시키는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의도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동작을 파악하여 앱을 단계적으로 실행시킴으로써 터치로 수행하는 것과 동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UI)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이 부족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부족한 사용자 입력으로 처리 가능한 동작(예: 앱 실행)을 단계적으로 동작시키고, 사용자로부터 추가적인 입력을 받아서 나머지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맞춰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지능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지능화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에 저장된 앱이 로드되어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에이전트이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컨텍스트 모듈이 현재 상태를 수집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페르소나 모듈(persona module)이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안 모듈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안 모듈의 컨텍스트 힌트 생성 모듈의 특정 상황에 따른 힌트를 제안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사용 힌트 생성 모듈의 사용 빈도에 따른 힌트를 제안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개 힌트 생성 모듈의 신규 기능에 대한 힌트를 제안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지능화 시스템의 지능형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연어 이해(NLU) 모듈의 자연어를 이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스 플래너 모듈(path planner module)의 패스 룰(path rule) 생성 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스 플래너 모듈의 패스 룰을 생성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스 플래너 모듈이 개인화 정보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지능화 시스템의 사용자 입력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통합 지능화 시스템 서비스가 실행된 화면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하나의 앱이 실행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하나의 앱이 실행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하나의 앱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일부 정보가 부족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a, 도 24b 및 도 2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하나의 앱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일부 정보가 부족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지 않은 앱이 실행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앱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복수의 앱이 실행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복수의 앱이 실행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통합 지능화 시스템 서비스에서 다른 앱의 실행 화면을 보여주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통합 지능화 시스템 서비스에서 다른 앱의 실행 과정을 텍스트로 보여주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a 및 도 3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복수의 앱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부족한 정보가 입력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a 및 도 3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복수의 앱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부족한 정보가 입력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음성 입력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4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35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컨텍스트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컨텍스트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톱 PC(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엑세서리 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 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 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 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 플레이어(Digital Video Disk player),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예: Xbox™, PlayStation™),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내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지능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합 지능화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100), 지능형 서버(200), 개인화 정보 서버(300) 및 제안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 내부에 저장된 앱(app)(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예: 알람, 메시지, 사진(갤러리)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 내부에 저장된 음성 인식 앱을 통해 다른 앱을 실행하고 동작시킬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의 상기 음성 인식 앱을 통해 상기 다른 앱의 실행하고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어, 물리적 버튼, 터치 패드, 음성 입력 등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은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컴퓨터 등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각종 단말 장치(또는, 전자 장치)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발화를 사용자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발화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발화에 기초하여 앱을 동작시키는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명령을 이용하여 상기 앱을 동작시킬 수 있다.
지능형 서버(200)는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음성 입력(voice input)을 수신하여 텍스트 데이터(text data)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지능형 서버(200)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패스 룰(path rule)을 생성(또는,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패스 룰은 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action)(또는, 오퍼레이션(operation))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동작을 실행(또는,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스 룰은 상기 앱의 상기 동작의 순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패스 룰을 수신하고, 상기 패스 룰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패스 룰에 포함된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동작을 실행하고, 동작을 실행한 결과(또는, 실행 상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동작을 실행하고, 동작을 수행한 결과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복수의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복수의 동작의 일부 결과 만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마지막 순서의 동작을 실행한 결과만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잇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입력(예: 사용자의 음성, 터치 등)을 수신하여 상기 동작을 실행한 결과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개인화 정보 서버(300)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화 정보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정보(예: 컨텍스트 정보, 앱 실행 등)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지능형 서버(200)는 통신망을 통해 개인화 정보 서버(300)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입력에 대한 패스 룰을 생성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망을 통해 개인화 정보 서버(3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제안 서버(400)는 단말 내에 기능 혹은 어플리케이션의 소개 또는 제공될 기능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안 서버(400)는 개인화 정보 서버(30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00)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사용 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망을 통해 제안 서버(400)로부터 상기 제공될 기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합 지능화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사용자 발화를 사용자 입력으로 수신하고, 지능형 서버(2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패스 룰을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패스 룰에 따라 앱을 동작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은 지능형 서버(200), 개인화 정보 서버(300) 및 제안 서버(400)의 기능을 일부 혹은 전부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패스 룰을 생성하여 앱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능형 서버(200), 개인화 정보 서버(300) 및 제안 서버(400)는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에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지능화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통합 지능화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100), 지능형 서버(200), 개인화 정보 서버(300) 및 제안 서버(4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입력 모듈(110), 디스플레이(120), 스피커(130), 메모리(140) 및 프로세서(15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들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안착되거나 하우징 상에(on the housing) 위치할 수 있다.
입력 모듈(110)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모듈(110)은 연결된 외부 장치(예: 키보드, 헤드셋)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입력 모듈(110)은 디스플레이(120)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예: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입력 모듈(110)은 사용자 단말(100)(또는, 사용자 단말(100)의 하우징)에 위치한 하드웨어 키(또는, 물리적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모듈(110)은 사용자의 발화를 음성 신호로 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1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모듈(110)은 발화 입력 시스템(speech input system)을 포함하고, 상기 발화 입력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의 발화를 음성 신호로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이미지나 비디오,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0)는 앱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GUI)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는 터치 스크린과 결합된 형태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스피커(130)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130)는 사용자 단말(100) 내부에서 생성된 음성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복수의 앱(141, 143)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에 저장된 복수의 앱(141, 143)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되어 실행되고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40)는 비휘발성 메모리(예: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등) 및 휘발성 메모리(예: RAM(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앱(141, 143)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휘발성 메모리로 로드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40)는 사용자 입력을 인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40)은 로그(log)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로그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메모리(140)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페르소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입력 모듈(110)을 제어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하여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스피커(130)를 제어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메모리(140)를 제어하여 필요한 정보를 불러오거나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지능형 에이전트(151), 실행 매니저 모듈(153) 및 지능형 서비스 모듈(15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5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지능형 에이전트(151), 실행 매니저 모듈(153) 및 지능형 서비스 모듈(155)을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언급되는 여러 모듈들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지능형 에이전트(151), 실행 매니저 모듈(153) 및 지능형 서비스 모듈(155)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은 프로세서(15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사용자 입력으로 수신된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앱을 동작시키는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실행 매니저 모듈(153)은 지능형 에이전트(151)로부터 상기 생성된 명령을 수신하여 메모리(140)에 저장된 앱(141, 143)을 선택하여 실행시키고 동작시킬 수 있다. 지능형 서비스 모듈(155)은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하여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명령어가 실행 되어 사용자 단말(10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에 저장된 앱이 로드되어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메모리(140)는 복수의 앱(141, 143)을 저장하고, 복수의 앱(141)은 로드되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40)에 저장된 복수의 앱(141,143)은 프로세서(150)의 실행 매니저 모듈(153)에 의해 로드되어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앱(141, 143)은 기능을 수행하는 실행 서비스(141a, 143a) 및 복수의 동작(또는, 단위 동작)(141b, 143b)을 포함할 수 있다. 실행 서비스(141a, 143a)는 프로세서(150)의 실행 매니저 모듈(153)에 의해 생성되고, 복수의 동작 (141b, 143b)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앱(141, 143)의 동작(141b, 143b)이 실행되었을 때, 동작(141b, 143b)의 실행에 따른 실행 상태 화면은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실행 상태 화면은, 예를 들어, 동작(141b, 143b)이 완료된 상태의 화면일 수 있다. 상기 실행 상태 화면은, 다른 예를 들어, 동작(141b, 143b)의 실행이 정지된 상태(partial landing)(예: 동작(141b, 143b)에 필요한 파라미터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의 화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앱(141, 143)의 실행 서비스(141a, 143a) 및 복수의 동작(141b, 143b), 예를 들어, 프로그램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복수의 앱(141, 143)은 서비스 및 복수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언어 또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실행 서비스(141a, 143a)는 패스 룰에 따라 동작(141b, 143b)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 서비스(141a, 143a)는 실행 매니저 모듈(153)에 의해 생성되고, 실행 매니저 모듈(153)로부터 상기 패스 룰에 따라 실행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실행 요청에 따라 동작(141b, 143b)을 앱(141, 143)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실행 서비스(141a, 143a)는 상기 동작(141b, 143b)의 수행이 완료되면 완료 정보를 실행 매니저 모듈(153)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앱(141, 143)에서 복수의 동작(141b, 143b)이 실행되는 경우, 복수의 동작(141b, 143b)은 순차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실행 서비스(141a, 143a)는 하나의 동작(동작 1)의 실행이 완료되면 다음 동작(동작 2)을 오픈하고 완료 정보를 실행 매니저 모듈(153)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임의의 동작을 오픈한다는 것은, 임의의 동작을 실행 가능한 상태로 천이시키거나, 임의의 동작의 실행을 준비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임의의 동작이 오픈되지 않으면, 해당 동작은 실행될 수 없다. 실행 매니저 모듈(153)은 상기 완료 정보가 수신되면 다음 동작(141b, 143b)에 대한 실행 요청을 실행 서비스(예: 동작 2)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앱(141, 143)이 실행되는 경우, 복수의 앱(141, 143)은 순차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앱(141)의 마지막 동작의 실행이 완료되어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실행 매니저 모듈(153)은 제2 앱(143)의 첫번째 동작의 실행 요청을 실행 서비스(143a)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앱(141, 143)에서 복수의 동작(141b, 143b)이 실행된 경우, 상기 실행된 복수의 동작(141b, 143b) 각각의 실행에 따른 결과 화면은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실행된 복수의 동작(141b, 143b)의 실행에 따른 복수의 결과 화면 중 일부만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40)는 지능형 에이전트(151)와 연동된 앱(예: 음성 인식 앱)을 저장할 수 있다. 지능형 에이전트(151)와 연동된 앱은 사용자의 발화를 음성 신호로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151)와 연동된 앱은 입력 모듈(110)을 통해 입력되는 특정 입력(예: 하드웨어 키를 통한 입력, 터치 스크린을 통한 입력, 특정 음성 입력)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지능형 에이전트(151), 실행 매니저 모듈(153) 및 지능형 서비스 모듈(155)을 포함할 수 있다.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입력 모듈(110)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지능형 서버(200)로 송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지능형 서버(200)로 송신하기 전에, 상기 사용자 입력을 전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전처리하기 위하여, 적응 반향 제거(adaptive echo canceller)(AEC) 모듈, 노이즈 억제(noise suppression)(NS) 모듈, 종점 검출(end-point detection)(EPD) 모듈 및 자동 이득 제어(automatic gain control)(AGC)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응 반향 제거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에코(echo)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노이즈 억제 모듈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배경 잡음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종점 검출 모듈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사용자 음성의 종점을 검출하여 사용자의 음성이 존재하는 부분을 찾을 수 있다. 상기 자동 이득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인식하여 처리하기 적합하도록 상기 사용자 입력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성능을 위하여 상기 전처리 구성을 전부 포함할 수 있지만, 다른 실시 예에서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저전력으로 동작하기 위해 상기 전처리 구성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사용자의 호출을 인식하는 웨이크 업(wake up) 인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이크 업 인식 모듈은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웨이크 업 명령을 인식할 수 있고, 상기 웨이크 업 명령을 수신한 경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지능형 에이전트(151)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151)의 웨이크 업 인식 모듈은 저전력 프로세서(예: 오디오 코덱에 포함된 프로세서)에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사용자 입력을 실행하기 위한 음성 인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 모듈은 앱에서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성 인식 모듈은 앱(141, 143)에서 상기 웨이크 업 명령과 같은 동작을 실행하는 제한된 사용자 (음성) 입력(예: 카메라 앱이 실행 중일 때 촬영 동작을 실행시키는 “찰칵”과 같은 발화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한된 사용자 입력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 모듈은, 예를 들어, 주변 잡음에 강하여 음성 인식률이 높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음성 인식 모듈은 지능형 서버(200)를 보조하여 앱에서 동작을 실행하는 다수의 사용자 (음성) 입력(예: 음악 재생 앱에서 “재생”, “멈춤”, “다음 곡”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지능형 서버(200)를 보조하여 사용자 입력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 모듈은,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내에서 처리할 수 있는 사용자 명령을 인식하여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151)의 사용자 입력을 실행하기 위한 음성 인식 모듈은 앱 프로세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151)의 음성 인식 모듈(웨이크 업 모듈의 음성 인식 모듈을 포함)은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음성을 인식하기 위해 사용되는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HMM(hidden markov model) 알고리즘,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 및 DTW(dynamic time warping)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사용자의 음성을 지능형 서버로(200)로 전달하여,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상기 텍스트를 데이터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지능형 서버(200)로부터 송신한 패스 룰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151)은 상기 패스 룰을 실행 매니저 모듈(153)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지능형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패스 룰에 따른 실행 결과 로그(log)를 지능형 서비스(intelligence service) 모듈(155)로 송신하고, 상기 송신된 실행 결과 로그는 페르소나 모듈(persona manager)(155b)의 사용자의 선호(preference) 정보에 누적되어 관리될 수 있다.
실행 매니저 모듈(153)은 지능형 에이전트(151)로부터 패스 룰을 수신하여 앱(141, 143)을 실행시키고, 앱(141, 143)이 상기 패스 룰에 포함된 동작(141b, 143b)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 매니저 모듈(153)은 앱(141, 143)으로 동작(141b, 143b)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앱(141, 143)로부터 동작(141b, 143b)의 완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실행 매니저 모듈(153)은 지능형 에이전트(151)와 앱(141, 143)의 사이에서 앱(141, 143)의 동작(141b, 143b)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행 매니저(153)은 상기 패스 룰에 따라 실행할 앱(141, 143)을 바인딩(binding)하고, 상기 패스 룰에 포함된 동작(141b, 143b)의 명령 정보를 앱(141, 143)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 매니저 모듈(153)은 상기 패스 룰에 포함된 동작(141b, 143b)을 순차적으로 앱(141, 143)으로 송신하여, 앱(141, 143)의 동작(141b, 143b)을 상기 패스 룰에 따라 순차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실행 매니저 모듈(153)은 앱(141, 143)의 동작(141b, 143b)의 실행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 매니저 모듈(153)은 앱(141, 143)으로부터 상기 동작(141b, 143b)의 실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동작(141b, 143b)의 실행 상태가, 예를 들어, 정지된 상태(partial landing)인 경우(예: 동작(141b, 143b)에 필요한 파라미터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실행 매니저 모듈(153)은 상기 정지된 상태에 대한 정보를 지능형 에이전트(151)로 송신할 수 있다.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예: 파라미터 정보)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동작(141b, 143b)의 실행 상태가, 다른 예를 들어, 동작 상태인 경우에 사용자로부터 발화를 수신할 수 있고, 실행 매니저 모듈(153)은 상기 실행되고 있는 앱(141, 143) 및 앱(141, 143)의 실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지능형 에이전트(151)로 송신할 수 있다.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지능형 서버(200)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발화의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수신된 파라미터 정보를 실행 매니저 모듈(153)로 송신할 수 있다. 실행 매니저 모듈(153)은 상기 수신한 파라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동작(141b, 143b)의 파라미터를 새로운 파라미터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실행 매니저 모듈(151)은 패스 룰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를 앱(141, 143)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패스 룰에 따라 복수의 앱(141, 143)이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경우, 실행 매니저 모듈(151)은 하나의 앱에서 다른 앱으로 패스 룰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실행 매니저 모듈(151)은 복수의 패스 룰을 수신할 수 있다. 실행 매니저 모듈(151)은 사용자의 발화에 기초하여 복수의 패스 룰이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실행 매니저 모듈(151)은 사용자의 발화가 일부 동작(141a)을 실행할 일부 앱(141a)을 특정하였지만, 나머지 동작(143b)을 실행할 다른 앱(143)을 특정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동작(141a)를 실행할 동일한 앱(141)(예: 갤러리 앱)의 동작은 결정되어 실행되고, 나머지 동작(143b)를 실행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앱(143)(예: 메시지 앱, 텔레그램 앱) 또는 서로 다른 동작(예: 메시지 전송, 메시지 검색, 메시지 수신인 입력 등)이 각각 실행되는 서로 다른 복수의 패스 룰을 수신할 수 있다. 실행 매니저 모듈(151)은,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패스 룰의 동일한 동작(141b, 143b)(예: 연속된 동일한 동작(141b, 143b))을 실행할 수 있다. 실행 매니저 모듈(151)은 상기 동일한 동작까지 실행한 경우, 상기 복수의 패스 룰에 각각 포함된 서로 다른 앱(141, 143)을 선택할 수 있는 상태 화면을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에이전트가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 지능형 서버(200)로 이를 송신할 수 있다. 지능형 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앱(141, 143)을 선택하여 실행시키고 동작시킬 수 있는 패스 룰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패스 룰을 지능형 에이전트(151)로 송신할 수 있다.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상기 패스 룰을 수신하고, 앱(141, 143)을 실행하기 위해 실행 매니저 모듈(153)로 상기 패스 룰을 송신할 수 있다. 실행 매니저 모듈(153)은 상기 패스 룰을 수신하고, 앱(141, 143)의 실행 서비스(141a. 143a)를 생성하고, 상기 패스 룰에 포함된 동작(141b, 143b)이 상기 패스 룰에 따라 순차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상기 생성된 실행 서비스(141a, 143a)에 요청할 수 있다. 앱(141, 143)은 상기 요청된 동작(141b, 143b)을 실행하고, 상기 요청된 동작(141b, 143b)의 실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실행 매니저 모듈(153)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앱(141, 143)에서 실행된 동작(141b, 143b)에 대한 결과 상태 화면은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상기 패스 룰에 따라 앱(141, 143)이 선택되어 실행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20)에 실행되는 앱(141, 143)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상기 패스 룰에 따라 앱을 동작시키는 경우, 디스플레이(120)에 앱(141, 143)의 동작 과정을 표시할 수 있다.
지능형 서비스 모듈(155)는 컨텍스트 모듈(155a), 페르소나 모듈(155b) 및 제안 모듈(155c)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텍스트 모듈(155a)는 앱(141, 143)으로부터 앱(141, 143)의 현재 상태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텍스트 모듈(155a)은 앱(141, 143)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여 앱(141, 143)의 현재 상태를 수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컨텍스트 모듈이 현재 상태를 수집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컨텍스트 모듈(155a)은 지능형 에이전트(151)로부터 컨텍스트 요청을 수신(①)하면, 앱(141, 143)에 앱(141, 143)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텍스트 모듈(155a)은 앱(141, 143)으로부터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③)하여 지능형 에이전트(151)로 송신(④)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텍스트 모듈(155a)은 앱(141, 143)을 통해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텍스트 정보는 가장 최근 실행된 앱(141, 143)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컨텍스트 정보는 앱(141, 143) 내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예: 갤러리에서 사진을 보고 있는 경우, 해당 사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텍스트 모듈(155a)은 앱(141, 143)뿐만 아니라, 디바이스 플랫폼(device platform)으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컨텍스트 정보는 일반적 컨텍스트 정보,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 및 장치 컨텍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반적 컨텍스트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의 일반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반적 컨텍스트 정보는 디바이스 플랫폼의 센서 허브 등을 통해 데이터를 받아서 내부 알고리즘을 통해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일반적 컨텍스트 정보는 현재 시공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재 시공간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현재 시간 및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재 시간은 사용자 단말(100) 상에서의 시간을 통해 확인될 수 있고, 상기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일반적 컨텍스트 정보는 물리적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움직임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걷기, 뛰기, 운전 중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움직임 정보는 모션 센서(motion sensor)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상기 운전 중에 대한 정보는 상기 모션 센서를 통해 운행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내의 블루투스 연결을 감지하여 탑승 및 주차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일반적 컨텍스트 정보는 사용자 활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활동 정보는, 예를 들어, 출퇴근, 쇼핑, 여행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활동 정보는 사용자 또는 앱이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한 장소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는 사용자의 감정적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정적 상태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행복, 슬픔, 화남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는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관심, 의도 등(예: 쇼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 컨텍스트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치 컨텍스트 정보는 실행 매니저 모듈(153)이 실행한 패스 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디바이스 정보는 배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상태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디바이스 정보는 연결된 장치 및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된 장치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상기 장치가 연결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도 4의 페르소나 모듈(155b)은 사용자 단말(10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르소나 모듈(155b)은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 정보 및 수행 결과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페르소나 모듈(persona module)이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페르소나 모듈(155b)은 앱(141, 143), 실행 매니저 모듈(153) 및 컨텍스트 모듈(155a)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앱(141, 143) 및 실행 매니저 모듈(153)은 앱의 동작(141b, 143b)을 실행한 결과 정보를 동작 로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컨텍스트 모듈(155a)은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컨텍스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페르소나 모듈(155b)은 상기 동작 로그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저장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로그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는, 예를 들어, 분석 엔진(analysis engine)에 의해 분석되어 페르소나 모듈(155b)로 송신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페르소나 모듈(155b)은 앱(141, 143), 실행 매니저 모듈(153) 및 컨텍스트 모듈(155a)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제안 모듈(155c)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르소나 모듈(155b)은 상기 동작 로그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안 모듈(155c)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페르소나 모듈(155b)는 앱(141, 143), 실행 매니저 모듈(153) 및 컨텍스트 모듈(155a)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개인화 정보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르소나 모듈(155b)은 상기 동작 로그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베이스에 누적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개인화 정보 서버(300)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페르소나 모듈(155b)은 페르소나 모듈(155b)는 상기 동작 로그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안 모듈(155c)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페르소나 모듈(155b)에 의해서 생성된 사용자 정보는 페르소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페르소나 모듈(155b)는 상기 페르소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주기적으로 개인화 정보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페르소나 모듈(155b)에 의해 개인화 정보 서버(300)로 송신된 정보는 페르소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개인화 정보 서버(300)는 상기 페르소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지능형 서버(200)의 패스 룰 생성에 필요한 사용자 정보를 추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페르소나 모듈(155b)이 송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추론된 사용자 정보는 프로파일(profile) 정보 및 프리퍼런스(preferenc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 정보 및 프리퍼런스 정보는 사용자의 계정(account) 및 누적된 정보를 통해 추론될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 정보는 사용자의 신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파일 정보는 사용자의 인구 통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구 통계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성(gender), 나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프로파일 정보는 라이프 이벤트(life even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프 이벤트 정보는, 예를 들어, 로그 정보를 라이프 이벤트 모델(life event model)과 비교하여 추론되고, 행동 패턴(behavior patter)을 분석하여 보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프로파일 정보는 관심(interes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심 정보는, 예를 들어, 관심 쇼핑 물품, 관심 분야(예: 스포츠, 정치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프로파일 정보는 활동 지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동 지역 정보는, 예를 들어, 집, 일하는 곳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동 지역에 대한 정보는 장소의 위치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누적 체류 시간 및 방문 횟수를 기준으로 우선 순위가 기록된 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프로파일 정보는 활동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동 시간 정보는, 예를 들어, 기상 시간, 출퇴근 시간, 수면 시간 등에 대한 정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퇴근 시간에 대한 정보는 상기 활동 지역 정보(예: 집 및 일하는 곳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추론될 수 있다. 상기 수면 시간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의 미사용 시간을 통해 추론될 수 있다.
상기 프리퍼런스 정보는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리퍼런스 정보는 앱 선호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앱 선호도는, 예를 들어, 앱의 사용 기록(예: 시간별, 장소별 사용 기록)을 통해 추론될 수 있다. 상기 앱의 선호도는 사용자의 현재 상태(예: 시간, 장소)에 따라 실행될 앱을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프리퍼런스 정보는 연락처 선호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락처 선호도는, 예를 들어, 연락처의 연락 빈도 (예: 시간별, 장소별 연락하는 빈도) 정보를 분석하여 추론될 수 있다. 상기 연락처 선호도는 사용자의 현재 상태(예: 중복된 이름에 대한 연락)에 따라 연락할 연락처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프리퍼런스 정보는 세팅(setting)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팅 정보는, 예를 들어, 특정 세팅 값의 설정 빈도(예: 시간별, 장소별 세팅 값으로 설정하는 빈도) 정보를 분석하여 추론될 수 있다. 상기 세팅 정보는 사용자의 현재 상태(예: 시간, 장소, 상황)에 따라 특정 세팅 값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프리퍼런스 정보는 장소 선호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소 선호도는, 예를 들어, 특정 장소의 방문 기록(예: 시간별 방문 기록)을 통해 추론될 수 있다. 상기 장소 선호도는 사용자의 현재 상태(예: 시간)에 따라 방문하고 있는 장소를 결정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프리퍼런스 정보는 명령 선호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 선호도는, 예를 들어, 명령 사용 빈도(예: 시간별, 장소별 사용 빈도)를 통해 추론될 수 있다. 상기 명령 선호도는 사용자의 현재 상태(예: 시간, 장소)에 따라 사용될 명령어 패턴을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명령 선호도는 로그 정보를 분석하여 실행되고 있는 앱의 현재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장 많이 선택한 메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제안 모듈(155c)는 사용자의 의도를 예측하여 사용자에게 명령을 추천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안 모듈(155c)은 사용자의 현재 상태(예: 시간, 장소, 상황, 앱)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명령을 추천해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안 모듈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안 모듈(155c)은 힌트 제공 모듈(155c_1), 컨텍스트 힌트 생성 모듈(155c_2), 조건 체킹 모듈(155c_3), 조건 모델링 모듈(155c_4), 재사용 힌트 생성 모듈(155c_5) 및 소개 힌트 생성 모듈(155c_6)을 포함할 수 있다.
힌트 제공 모듈(155c_1)은 사용자에게 힌트(hint)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트 제공 모듈(155c_1)은 컨텍스트 힌트 생성 모듈(155c_2), 재사용 모델링 모듈(155c_4) 및 소개 힌트 생성 모듈(155c_6)로부터 생성된 힌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힌트를 제공할 수 있다.
컨텍스트 힌트 생성 모듈(155c_2)은 조건 체킹 모듈(155c_3) 및 조건 모델 모듈(155c_4)을 통해 현재 상태에 따라 추천될 수 있는 힌트를 생성할 수 있다. 조건 체킹 모듈(155c_3)은 지능형 서비스 모듈(155)을 통해 현재 상태에 대응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조건 모델 모듈(155c_4)은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조건 모델(condition model)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건 모델 모듈은(155c_4)는 사용자에게 힌트를 제공하는 시점의 시간, 위치, 상황 사용중인 앱 등을 파악하여 해당 조건에서 사용할 가능성이 높은 힌트를 우선 순위가 높은 순으로 사용자에게 제공 할 수 있다.
재사용 힌트 생성 모듈(155c_5)은 현재 상태에 따라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 추천될 수 있는 힌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사용 힌트 생성 모듈(155c_5)은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고려하여 힌트를 생성할 수 있다.
소개 힌트 생성 모듈(155c_6)은 사용자에게 신규 기능 및 다른 사용자가 많이 쓰는 기능을 소개하는 힌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신규 기능을 소개하는 힌트에는 지능형 에이전트(151)에 대한 소개(예: 작동 방법)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안 모듈(155c)의 컨텍스트 힌트 생성 모듈(155c_2), 조건 체킹 모듈(155c_3), 조건 모델 모듈(155c_4), 재사용 힌트 생성 모듈(155c_5) 및 소개 힌트 생성 모듈(155c_6)는 개인화 서버(30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안 모듈(155c)의 힌트 제공 모듈(155c_1)은 사용자 개인화 서버(300)의 컨텍스트 힌트 생성 모듈(155c_2), 재사용 힌트 생성 모듈(155c_5) 및 소개 힌트 생성 모듈(155c_6)로부터 힌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수신된 힌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안 모듈의 컨텍스트 힌트 생성 모듈의 특정 상황에 따른 힌트를 제안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힌트 제공 모듈(155c_1)은 지능형 에이전트(151)로부터 힌트 제공 요청을 수신(①)하면 컨텍스트 힌트 생성 모듈(155c_2)로 힌트 생성 요청을 송신(②)할 수 있다. 컨텍스트 힌트 생성 모듈(155c_2)은 상기 힌트 생성 요청을 수신하면, 조건 체킹 모듈(155c_3)을 이용(③)하여 컨텍스트 모듈(155a) 및 페르소나 모듈(155b)로부터 현재 상태에 대응되는 정보를 수신(④)할 수 있다. 조건 체킹 모듈(155c_3)은 상기 수신된 정보를 조건 모델 모듈(155c_4)로 송신(⑤)하고, 조건 모델 모듈(155c_4)은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힌트 중 상기 조건에 사용 가능성이 높은 순서로 힌트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 할 수 있다. 컨텍스트 힌트 생성 모듈(155c_2)은 상기 조건을 확인(⑥)하고, 상기 현재 상태에 대응되는 힌트를 생성할 수 있다. 컨텍스트 힌트 생성 모듈(155c_2)은 상기 생성된 힌트를 힌트 제공 모듈(155c_1)로 송신(⑦)할 수 있다. 힌트 제공 모듈(155c_1)은 지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힌트를 정렬하고, 상기 힌트를 지능형 에이전트(151)로 전송(⑧)할 수 있다.
하기의 표 1은 현재 상태에 따라 모델링된 조건 및 상기 조건에 따라 생성된 발화(또는, 힌트)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 발화 조건
다음 일정 알려줘 2시간 이내 다음 이벤트(event) 있음
다음 약속 장소로 길안내 해줘 다음 이벤트 지역(event location) 있음 & (1시간전 or 차량 탑승중)
다음 약속 장소로 가는 택시 불러줘 다음 이벤트 지역(event location) 있음 & (1시간전 or 차량 탑승중 아닐시)
다음 약속 장소 근처 검색해줘 다음 이벤트 지역(event location) 있음 & (이벤트(event) 일정이 퇴근이전 - 즉, 일과중이 아닌 경우)
집으로 길안내 해줘 퇴근시간 & 차량 탑승중
집으로 가는 택시 블러 줘 퇴근시간 & 차량 탑승중이 아님
회사로 길안내 해 줘 출근시간 & 차량 탑승중
회사로 가는 택시 불러 줘 퇴근시간 & 차량 탑승중이 아님
오늘 날씨 어때? 기상후
오늘 일정 보여줘 기상후
모든 알람 꺼줘 기상후 & 오전중 (~12시) & 한시간내 알람이 있는 경우
방해 금지 설정 해줘 취침전
내일 날씨 어때 취침전
내일 일정 보여줘 취침전
알람 설정 취침전 & 오전중 (~12시) 알람이 없는 경우
다음주 날씨 어때 취침전 & 일요일
VIP로 부터 온 메일 보여줘 VIP로부터 받은 읽지 않은 메일이 있는 경우
새 메일 보여줘 새로운 메일이 있는 경우
부재중 전화 보여줘 복수의 부재중 전화가 있는 경우
(부재중전화번호)로 전화해줘 부재중 전화가 있는 경우
새 메세지 보여줘 새로운 메시지가 있는 경우
보이스 메일 보여줘 보이스 메일(voice mail)이 있음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힌트 제공 모듈(155c_1)은 복수의 컨텍스트 힌트를 생성할 수 있고, 지정된 규칙에 따라 복수의 컨텍스트 힌트에 우선 순위를 지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힌트 제공 모듈(155c_1)은 상기 복수의 컨텍스트 힌트 중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것을 사용자에게 먼저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사용 힌트 생성 모듈의 사용 빈도에 따른 힌트를 제안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힌트 제공 모듈(155c_1)은 지능형 에이전트(151)로부터 힌트 제공 요청을 수신(①)하면 재사용 힌트 생성 모듈(155c_5)로 힌트 생성 요청을 송신(②)할 수 있다. 재사용 힌트 생성 모듈(155c_5)은 상기 힌트 생성 요청을 수신하면, 재사용 힌트 생성 모듈(155c_5)은 페르소나 모듈(155b)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③)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사용 힌트 생성 모듈(155c_5)은 페르소나 모듈(155b)의 사용자의 프리퍼런스 정보에 포함된 패스 룰, 패스 룰에 포함된 파라미터, 앱의 실행 빈도, 앱이 사용된 시공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재사용 힌트 생성 모듈(155c_5)은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힌트를 생성할 수 있다. 재사용 힌트 생성 모듈(155c_5)은 상기 생성된 힌트를 힌트 제공 모듈(155c_1)로 송신(④)할 수 있다. 힌트 제공 모듈(155c_1)은 상기 힌트를 정렬하고, 상기 힌트를 지능형 에이전트(151)로 전송(⑤)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개 힌트 생성 모듈의 신규 기능에 대한 힌트를 제안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힌트 제공 모듈(155c_1)은 지능형 에이전트(151)로부터 힌트 제공 요청을 수신(①)하면 소개 힌트 생성 모듈(155c_6)로 힌트 생성 요청을 송신(②)할 수 있다. 소개 힌트 생성 모듈(155c_6)은 제안 서버(400)로부터 소개 힌트 제공 요청을 송신(③)하여 제안 서버(400)로부터 소개될 기능에 대한 정보를 수신(④)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안 서버(400)는 소개될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소개될 기능에 대한 힌트 리스트(hint list)는 서비스 운영자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소개 힌트 생성 모듈(155c_6)은 상기 생성된 힌트를 힌트 제공 모듈(155c_1)로 송신(⑤)할 수 있다. 힌트 제공 모듈(155c_1)은 상기 힌트를 정렬하고, 상기 힌트를 지능형 에이전트(151)로 전송(⑥)할 수 있다.
하기의 표 2은 소개될 기능에 대한 예제 및 상기 예제에 대응되는 앱(또는, 힌트)를 나타낸 것이다.
어플리케이션 소개 내용
갤러리 콜라주를 만들어 보세요.
보안폴더 중요한 데이터는 보안 폴더에 보관하세요.
테마 새로나온 테마로 바꿔 보실래요?
전화 통화를 자동으로 녹음하실 수 있습니다.
메시지 메시지 배경화면을 설정해보시겠어요?
인터넷 기본 검색 엔진을 바꿀 수 있어요.
S노트 S노트로 편하게 메모하세요.
카메라 사진/동영상에 위치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어요.
S헬스 S헬스로 심박수를 측정해 보세요.
이에 따라, 제안 모듈(155c)은 컨텍스트 힌트 생성 모듈(155c_2), 재사용 힌트 생성 모듈(155c_5) 및 소개 힌트 생성 모듈(155c_6)에서 생성된 힌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안 모듈(155c)은 상기 생성된 힌트를 지능형 에이전트(151)을 동작시키는 앱에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힌트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지능화 시스템의 지능형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지능형 서버(200)는 자동 음성 인식(automatic speech recognition)(ASR) 모듈(210), 자연어 이해(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NLU) 모듈(220), 패스 플래너(path planner) 모듈(230), 자연어 생성(natural language generator)(NLG) 모듈(240) 및 텍스트 음성 변환(text to speech)(TTS) 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지능형 서버(200)의 자동 음성 인식 모듈(210), 자연어 이해 모듈(220) 및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패스 룰(path rule)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 음성 인식(automatic speech recognition)(ASR) 모듈(210)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 음성 인식 모듈(210)은 발화 인식 모듈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화 인식 모듈은 음향(acoustic) 모델 및 언어(language)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향 모델은 발성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언어 모델은 단위 음소 정보 및 단위 음소 정보의 조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어 모델은 주변 상황(예: 위치, 주변 장치 정보 등), 사용 조건(예: 앱 상태, 이전 질의 히스토리 등) 등에 기초하여 상기 단위 음소 정보 중 일부를 선택하거나, 일부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발화 인식 모듈은 발성에 관련된 정보 및 단위 음소 정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화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음향 모델 및 언어 모델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자동 음성 인식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서버(200)는 화자 인식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잇다. 상기 화자 인식 모듈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발화를 분석하여 화자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화자 인식 모듈은 사용자가 최초 사용시 입력한 발화를 기초로 화자 인식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자 인식 모델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화자 인식 모듈은 화자 인식 모델에 기초하여 모델에 등록된 화자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자 인식 모듈은 등록된 화자로 판단한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되는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등록되지 않은 화자로 판단한 경우, 사용자 입력의 제한된 기능만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화자 인식 모듈은 음성인식 활성화하기 위한 방법(wakeup recognition)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된 화자 음성인지 판단하고, 등록된 화자 음성에 대하여 음성인식이나 자연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문법적 분석(syntactic analyze) 및 의미적 분석(semantic analyze)을 수행하여 사용자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문법적 분석은 사용자 입력을 문법적 단위(예: 단어, 구, 형태소 등)로 나누고, 상기 나누어진 단위가 어떤 문법적인 요소를 갖는지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의미적 분석은 의미(semantic) 매칭, 룰(rule) 매칭, 포뮬러(formula) 매칭 등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사용자 입력이 어느 도메인(domain), 의도(intent) 및 상기 의도를 표현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parameter)(또는, 슬롯(slot))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규칙 기반 알고리즘에 포함된 매칭 규칙을 이용하여 도메인, 의도 및 파라미터를 각각의 케이스에 매칭시켜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자연어 이해 모듈(220)로부터 파악된 사용자의 의도를 이용하여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패스 플래너 모듈(230)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생성 모듈(NLG)(240)은 지정된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텍스트 형태는 자연어 발화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정보는, 예를 들어, 추가 입력을 위한 정보, 동작 완료를 안내하는 정보 등일 수 있다. 상기 텍스트 형태로 변경된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로 송신되어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거나, 텍스트 음성 변환 모듈(250)로 송신되어 음성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텍스트 음성 변환 모듈(250)은 텍스트 형태의 정보를 음성 형태의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텍스트 음성 변환 모듈(250)은 자연어 생성 모듈(240)로부터 텍스트 형태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텍스트 형태의 정보를 음성 형태의 정보로 변경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음성 형태의 정보를 스피커(130)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연어 이해(NLU) 모듈의 자연어를 이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도메인(domain), 의도(intend) 및 룰(rule)(또는, 파라미터)로 나누어진 매칭 규칙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나의 도메인(예: 알람)은 복수의 의도(예: 알람 설정, 알람 해제 등)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의도는 복수의 룰(예: 시간, 반복횟수, 알람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룰는 하나 이상의 필수 요소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칭 규칙은, 예를 들어, 룰 데이터베이스(221)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형태소, 구 등의 언어적 특징(예: 문법적 요소)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추출된 단어의 의미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단어의 의미를 룰에 매칭시켜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각각의 도메인 및 의도에 포함된 룰 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에서 추출된 단어가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 지를 계산하여 사용자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상기 의도를 파악하는데 기초가 된 단어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의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사용자 입력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언어적 특징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221)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대화 매니저(dialogue manager)(DM)(260)를 통해 상기 파악된 사용자 의도에 기초하여 다음 동작(action)을 결정할 수 있다. 대화 매니저(260)는 사용자의 의도가 명확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화 매니저(260)는 파라미터의 정보가 충분한지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의도가 명확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대화 매니저(260)는 자연어 이해 모듈(220)에서 파악된 파라미터가 이후 태스크를 수행하는데 충분한지 또는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대화 매니저(260)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거나, 사용자 입력에 대한 피드백을 주고 받는 주체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사용자 입력의 의도 및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패스 룰을 생성(또는,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사용자 입력의 의도 및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하나의 패스 룰 또는, 복수의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패스 플래너 모듈(230)에 의해서 생성된 패스 룰은, 예를 들어, 하나의 앱에 대한 복수의 동작을 포함하거나, 복수의 앱에 대한 복수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의도를 표현(또는, 파악)하는데 필요한 것으로, 앱(141, 143)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패스 플래너 모듈(230)에 의해 생성된 패스 룰은 앱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복수의 동작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동작에 필요한 복수의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사용자 입력의 의도 및 파라미터를 복수의 패스 룰을 포함하는 룰 셋에 매핑하여 패스 룰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룰 셋은,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패스 룰을 테이블 형태로 패스 룰 데이터베이스(231)에 저장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패스 룰의 테이블은 개발자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사용자 입력의 의도 및 파라미터에 따른 복수의 앱 및 상기 복수의 앱의 기능으로 패스 룰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사용자의 입력의 의도 및 파라미터에 따른 복수의 앱의 기능을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복수의 단위 동작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구분된 복수의 단위 동작은 사용자 입력의 의도에 따른 실행 순서에 따라 온톨로지(ontology) 또는 그래프 모델(graph model)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패스 플래너 모듈(280)은 온톨로지(ontology) 또는 그래프 모델(graph model) 형태로 구성된 복수의 패스 룰을 포함하는 룰 셋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스 플래너 모듈(path planner module)의 패스 룰(path rule)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앱의 기능을 단위 동작(A 내지 F)으로 구분하여 패스 룰 데이터베이스(231)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단위 동작으로 구분된 복수의 패스 룰(A-B1-C1, A-B1-C2, A-B1-C3-D-F, A-B1-C3-D-E-F)을 포함하는 룰 셋을 패스 룰 데이터 베이스(231)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스 플래너 모듈(230)의 패스 룰 데이터 베이스(231)는 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룰 셋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룰 셋은 복수의 동작을 포함하는 복수의 패스 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패스 룰은 복수의 동작 각각에 입력되는 파라미터에 따라 실행되는 동작이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패스 룰은 온톨로지(ontology) 또는 그래프 모델(graph model) 형태로 구성되어 패스 룰 데이터 베이스(231)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사용자 입력의 의도 및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패스 룰(A-B1-C1, A-B1-C2, A-B1-C3-D-F, A-B1-C3-D-E-F) 중에 최적의 패스 룰(A-B1-C3-D-F)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사용자 입력에 완벽히 매칭되는 패스 룰이 없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 복수의 룰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사용자 입력에 부분적으로 대응된 패스 룰(예: A-B1)을 선택할 수 있다. 패스 플레너 모듈(230)은 사용자 입력에 부분적으로 대응된 패스 룰(예: A-B1)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패스 룰(예: A-B1-C1, A-B1-C2, A-B1-C3-D-F, A-B1-C3-D-E-F)을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사용자 단말(100)의 추가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패스 룰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하나의 패스 룰을 사용자 단말(100)에 전달 할 수 있다. 예를들어,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사용자 단말(100)에서 추가로 입력된사용자 입력(예: C3를 선택하는 입력)에 따라 복수의 패스 룰(예: A-B1-C1, A-B1-C2, A-B1-C3-D-F, A-B1-C3-D-E-F) 중 하나의 패스 룰(예: A-B1-C3-D-F)을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송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자연어 이해 모듈(220)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 추가로 입력된 사용자 입력(예: C3를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의도 및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의도 및 파라미터를 사용자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송신된 의도 및 상기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패스 룰(예: A-B1-C1, A-B1-C2, A-B1-C3-D-F, A-B1-C3-D-E-F) 중 하나의 패스 룰(예: A-B1-C3-D-F)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선택된 하나의 패스룰에 의해 앱(141, 143)의 동작을 완료시킬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스 플래너 모듈의 패스 룰을 생성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정보가 부족한 사용자 입력이 지능형 서버(200)에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부분적으로 대응되는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상기 부분적으로 대응된 패스 룰을 지능형 에이전트(151)로 송신(①)할 수 있다.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실행 매니저 모듈(153)로 상기 부분적으로 대응된 패스 룰을 송신(②)하고, 실행 매니저 모듈(153)는 상기 패스 룰에 따라 제1 앱(141)을 실행시킬 수 있다. 실행 매니저 모듈(153)는 제1 앱(141)을 실행하면서 부족한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지능형 에이전트(151)로 송신(③)할 수 있다.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상기 부족한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추가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사용자에 의해 추가 입력이 수신(④)되면 지능형 서버(200)로 송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상기 추가로 입력된 사용자 입력의 의도 및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된 패스 룰을 생성하여 지능형 에이전트(151)로 송신(⑤)할 수 있다.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실행 매니저 모듈(153)로 상기 패스 룰을 송신(⑥)하여 제2 앱(143)를 실행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스 플래너 모듈이 개인화 정보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일부 정보가 누락된 사용자 입력이 지능형 서버(200)에 수신된 경우, 개인화 정보 서버(300)로 사용자 정보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개인화 정보 서버(300)는 페르소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입력을 입력한 사용자의 정보를 패스 플래너 모듈(230)로 송신할 수 있다.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일부 동작이 누락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패스 룰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일부 정보가 누락된 사용자 입력이 지능형 서버(200)에 수신되더라도, 누락된 정보를 요청하여 추가 입력을 받거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패스 룰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지능화 시스템의 사용자 입력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7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 및 지능형 서버(200)에서 사용자 음성을 처리하여 앱의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하 설명할 사용자 단말(100) 및 지능형 서버(200)의 동작은 일부가 생략되거나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71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사용자 발화를 입력 받아서 지능형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721 단계에서, 지능형 서버(200)의 자동 음성 인식 모듈(210)은 음성 신호의 사용자 입력을 텍스트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723 단계에서, 지능형 서버(200)의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상기 텍스트 형태로 변경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의도 및 파라미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725 단계에서, 지능형 서버(200)의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상기 의도 및 상기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73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지능형 서버(200)로부터 상기 패스 룰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74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실행 매니저 모듈(153)은 상기 패스 룰에 대응되는 앱의 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751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 의 실행 매니저 모듈(153)은 앱의 N번째(예: N=1) 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753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 의 실행 매니저 모듈(153)은 상기 패스 룰에 따라 실행할 앱을 바인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76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실행 매니저 모듈(153) 및 실행 서비스(141a, 143a)는 앱의 동작을 실행시키는데 사용자 입력이 불충분한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77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실행 매니저 모듈(153) 및 실행 서비스(141a, 143a)믐 사용자 입력이 앱의 동작을 실행시키는데 불충분한 경우, 사용자에게 추가 입력을 요청하고, 추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78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실행 매니저 모듈(153) 및 실행 서비스(141a, 143a)는 사용자 입력이 앱의 동작을 실행시키는데 충분한 경우, N번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791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실행 매니저 모듈(153)은 N+1번째 동작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실행 매니저 모듈(153)은 N+1번째 동작이 없는 경우, 앱의 실행을 종료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792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실행 매니저 모듈(153) 및 실행 서비스(141a, 143a)는 N+1번째 동작이 있는 경우, 기존의 N에 1을 가산하여 새로운 N으로 할 수 있다(N=N+1).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N+1번째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7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 및 지능형 서버(200)는 사용자의 추가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771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불충분한 입력에 대하여 지능형 서버(200)로 앱의 동작 실행에 필요한 추가 입력을 요청하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772 단계에서, 지능형 서버(200)의 대화 매니저(DM)는 상기 필요한 추가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를 확인하고, 필요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773 단계에서, 지능형 서버(200)의 자연어 생성 모듈(240) 및 텍스트 음성 변환 모듈(TTS)(250)는 상기 필요한 정보에 대응되는 텍스트 메시지 및 음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774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지능형 서버(200)로부터 상기 텍스트 메시지 및 상기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텍스트 메시지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음성 신호를 스피커(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775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지능형 에이전트(151)은 사용자로부터 추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추가 입력은, 예를 들어, 음성 입력, 터치 입력, 텍스트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776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지능형 에이전트(151)은 사용자의 추가 입력을 지능형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777 단계에서, 지능형 서버(200)의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상기 추가 입력에 대응되는 의도 및 파라미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778 단계에서, 지능형 서버(200)의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상기 의도 및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779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패스 룰을 수신하여 앱의 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확인된 앱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 및 지능형 서버(200)는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여 앱의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통합 지능화 시스템 서비스가 실행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사용자 음성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음성을 입력 받기 위한 음성 인식 UI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터치 혹은 텍스트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음성을 입력 받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혹은 사용자 키패드를 포함하는 통합 지능화 서비스 UI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810 화면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특정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앱을 실행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특정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입력에 대하여는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하겠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820 화면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특정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통합 지능화 서비스 UI(1821)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지능화 서비스 UI(1821)는, 예를 들어, 상호 작용을 위한 대화창 영역(1821a), 명령 힌트 영역(1821b) 및 인식된 음성이 표시될 수 있는 표시 영역(1821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될 경우, 표시영역(1821c)의 일부에 입력이 가능함을 알리는 표시(예: 마이크 아이콘)를 표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830 화면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마이크(111)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사용자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음성 입력 버튼(1831c) 클릭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음성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표시 영역(1831c)의 일부(예: 음성 입력 버튼(1831c))에 입력이 진행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예: 입력 아이콘)를 표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840 화면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지능형 서버(200)로 송신하여 텍스트로 변경된 사용자 입력이 상기 표시 영역(1831c)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표시 영역(1831c)에 표시되었을 때, 사용자로부터 수정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표시된 사용자 입력을 수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 사용자 입력의 일부를 수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850 화면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지능형 서버(200)에서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고 있는 상태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상호 작용을 위한 대화창 영역(1851a) 및 인식된 음성이 표시될 수 있는 영역(1851c)에 지능형 서버(200)의 처리 상태(예: hang on, progress 등)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복수의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통합 지능화 서비스 UI(1821)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하는 경우(예: 커맨드 모드(command mode)),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영역에 텍스트를 입력하고 있는 경우(예: 딕테이션 모드(dictation mode)), 사용자 단말(100)은 텍스트로 변경된 사용자 입력을 특정 영역에 입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채팅 앱에서 메시지를 입력하는 경우(예: 챗 모드(chat mode)), 사용자 단말(100)은 텍스트로 변경된 사용자 입력을 창에 입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발화를 입력하는 경우(예: 컨티뉴어스 커맨드 모드(continuous command mode)), 사용자 단말(100)은 지속적으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지속적으로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문장 단위로 구분하여 지능형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고, 지능형 서버(200)에서 지속적으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패스 룰을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통합 지능화 서비스 UI(1821)의 음성 인식 버튼을 지속적으로 클릭한 상태에서 지속적인 발화를 사용자 단말(100)에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발화를 시작할 때 통합 지능화 서비스 UI(1821)의 음성 인식 버튼을 클릭하고, 발화를 마칠 때 통합 지능화 서비스 UI(1821)의 음성 인식 버튼을 다시 클릭하여 지속적인 발화를 사용자 단말(100)에 입력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은 하드웨어 키(112)를 통해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하드웨어 키(112)를 통해 입력을 수신한 경우 디스플레이(120)에 통합 지능화 서비스 UI(1921)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통합 지능화 서비스 UI(1921)가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 상태에서 음성을 입력(112b)하기 위하여 통합 지능화 서비스 UI(1921)의 음성 인식 버튼(1921d)를 터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른 예를 들어, 통합 지능화 서비스 UI(1921)가 통합 지능화 서비스 UI 통합 지능화 서비스 UI(1921)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하기 위하여 누른 하드웨어 키(112)를 지속적으로 눌러서 음성을 입력(112b)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은 마이크(111)를 통해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마이크(111)을 통해 지정된 음성(예: 일어나!(wake up!))이 입력(111a)된 경우 디스플레이(120)에 통합 지능화 서비스 UI(1921)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통합 지능화 서비스 UI(1921)가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 상태에서 음성을 입력하기 위하여 통합 지능화 서비스 UI(1921)의 음성 인식 버튼(1921d)를 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하나의 앱이 실행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하나의 앱(122)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하나의 앱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엄마에게 조금 늦는다고 메시지 보내줘”라고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지능형 서버(200)를 통해 처리되고, 처리 결과, 메시지 앱 실행, 엄마와의 대화창 실행, 문자 입력, 및 메시지 전송(총 4 단계)에 해당하는 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패스 룰이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패스 룰을 수신하여, 상기 패스 룰에 따라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2010 화면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통합 지능화 서비스 UI(2011)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2020 화면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음성을 사용자 입력으로 수신하여 텍스트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엄마에게 조금 늦는다고 메시지 보내줘'를 텍스트로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2030 화면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메시지 앱을 실행하고, 대화창을 실행하고,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메시지 앱의 엄마와의 대화창(2031)을 실행하고, 메시지 입력 영역(2031a)에 '조금 늦어요'라는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2040 화면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조금 늦어요'라는 메시지를 전송(2041b)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음성을 텍스트로 인식(2010, 2020 화면)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패스 룰에 따라 자동적으로 앱의 동작을 실행(2030 화면)하여 메시지를 전송(2040 화면)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하나의 앱이 실행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엄마에게 조금 늦는다고 메시지 보내줘”라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단말(100)에 입력하면,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지능형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지능형 서버(200)는 자동 음성 인식 모듈(210), 자연어 이해 모듈(220) 및 패스 플래너 모듈(230)을 통해 패스 룰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고, 지능형 에이전트(151)가 상기 패스 룰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사용자 입력이 지능형 서버(200)에서 처리되고 있는 동안 디스플레이(120)에 처리 중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자동 음성 인식 모듈(210)로부터 텍스트의 형태로 인식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상기 패스 룰을 실행 매니저 모듈(153)로 제공할 수 있다.
실행 매니저 모듈(153)은 상기 패스 룰에 대응되는 4개의 동작(제1 동작 내지 제4 동작)에 따라, 실행 서비스(141a)로 동작(141b)을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동작(141b)를 요청하는 신호는 하나의 동작(141b)이 완료되면 송신될 수 있다. 실행 서비스(141a)는 제1 동작(141b)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제1 동작(141b)을 실행할 수 있고, 제1 동작(141b)이 완료되면 제2 동작2(141b)을 오픈하고 완료 정보를 실행 매니저 모듈(153)로 송신할 수 있다. 실행 매니저 모듈(153)은 상기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제2 동작(141b)을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실행 매니저 모듈(153)은 제4 동작(141b)이 완료되어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패스 룰 완료 정보를 지능형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지능형 서버(200)는 자연어 생성 모듈(240) 및 텍스트 음성 변환 모듈(250)을 통해 사용자에게 종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실행 매니저 모듈(153)은 도 20에 따라 상기 패스 룰에 대응되는 4개의 동작(제1 동작 내지 제4 동작)을 순차적으로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하나의 앱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일부 정보가 부족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수신한 사용자 입력의 일부 정보가 부족한 경우, 사용자에게 추가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발화를 통해 “엄마에게 조금 늦는다고 보내줘”라고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다양한 채널 또는 수단(예: S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등)을 보유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메시지를 어떤 채널 또는 수단을 통해 전송할 것인지가 정의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에게 어떤 앱으로 보낼지 사용자에게 추가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앱의 대화창 영역(2221a)으로 “어떤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시겠어요”라고 표시(또는, 스피커(130)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은 앱을 나타낼 수 있는 복수의 식별자(identifier)를 앱의 선택 영역(2221d)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자는 아이콘, 심볼, 이미지 또는 텍스트 형식일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앱의 선택 영역(2221d)에 표시된 복수의 식별자 중 하나를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른 예를 들어, 복수의 식별자 중 하나를 특정하는 발화를 통해 하나의 식별자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선택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메시지 앱을 실행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매시지를 실행하고 '조금 늦어요' 라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음성을 텍스트로 인식(2210 화면)하고 앱을 선택하는 상태가 디스플레이(120)에 표시(2220 화면)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패스 룰에 따라 자동적으로 선택된 앱의 동작을 실행(2230 화면)하여 메시지를 전송(2240 화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조금 늦는다고 메시지 보내줘”라고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메시지를 누구에게 보낼지에 대한 정보가 부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에게 누구에게 보낼지 추가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메시지 앱이 실행되고, 상기 메시지 앱의 대화창 영역(2321a)에 메시지를 입력하고, 수신인을 선택할 수 있는 단계까지 실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로 수신인을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시지 앱의 입력 영역(122c)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키보드(또는, 가상 키보드)로 수신인을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선택된 수신인에게 '조금 늦어요'라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음성을 텍스트로 인식(2310 화면)하고, 메시지의 수신인을 선택하는 상태가 디스플레이(120)에 표시(2320 화면)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패스 룰에 따라 자동적으로 앱의 동작을 실행(2330 화면)하여 선택된 수신인에게 메시지를 전송(2340 화면)할 수 있다.
도 24a, 도 24b 및 도 2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하나의 앱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일부 정보가 부족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조금 늦는다고 메시지 보내줘”라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단말(100)에 입력하면,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일부 정보가 부족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패스 룰을 지능형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상기 패스 룰을 실행 매니저 모듈(153)로 송신할 수 있다. 실행 매니저 모듈(153)은 상기 패스 룰에 대응되는 제1 동작(141b)에 따라, 실행 서비스(141a)로 제1 동작(141b)을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동작(141b)은 메시지 앱(141)의 실행 및/또는 메시지 내용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실행 서비스(141a)는 제1 동작(141b)이 완료되었음을 인지하면, 수신인을 입력하기 위해 부족한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예: 수신인 정보)를 실행 매니저 모듈(153)로 송신할 수 있다. 실행 매니저 모듈(153)은 부족한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지능형 에이전트(200)로 송신할 수 있다.
지능형 서버(200)는 상기 추가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자연어 생성 모듈(240)은 부족한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예:수신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텍스트 데이터(예:수신인 입력 요청 메시지, ”메시지 수신인을 입력해주세요.”)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텍스트 음성 변환 모듈(Text to speech)(TTS)(250)은 상기 생성된 텍스트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자연어 생성 모듈(240)과 텍스트 음성 변환 모듈(250)을 통해 생성된 상기 텍스트 데이터 또는/및 상기 음성 신호는 사용자 단말(100)로 송신될 수 있다.
도 24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엄마” 또는 “엄마에게”라는 사용자 음성 입력을 사용자 단말에 입력 함으로써, 상기 부족한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보충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요청하기 위해 음성신호를 출력하거나 텍스트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상기 추가적으로 입력된 사용자 음성 입력을 지능형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자동 음성 인식 모듈(210)은 상기 사용자 입력을 텍스트 데이터로 변경하고, 자연어 이해 모듈(200) 및 패스 플래너 모듈(230)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패스 룰을 생성, 갱신, 및/또는 완성할 수 있다.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상기 패스 룰을 수신할 수 있다.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상기 패스 룰을 실행 매니저 모듈(153)로 송신할 수 있다. 실행 매니저 모듈(153)은 상기 패스 룰에 대응되는 제2 동작 내지 제3 동작(141b)에 따라, 실행 서비스(141a)로 제2 동작 내지 제3 동작(141b)을 요청하는 신호를 순차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수신인을 입력 받아서(도 23의 2330, 2340 화면), 상기 패스 룰을 생성하여 상기 수신인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도 22b의 15 내지 36의 순서에 따라 상기 패스 룰에 대응되는 나머지 3개의 동작(제2 동작 내지 제4 동작)(141b)을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도 24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수신인 리스트에서 '엄마'를 선택(예: 터치로 선택)함으로써, 상기 부족한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상기 추가적으로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지능형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는데, 상기 사용자 입력은 자동 음성 인식 모듈(210)이 아니라 자연어 이해 모듈(220)이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스 플래너(230)는 상기 음성으로 수신인을 입력한 것과 동일하게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도 22c 에 따라 상기 음성으로 수신인을 입력한 것과 동일하게 나머지 3개의 동작(제2 동작 내지 제4 동작)을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도 25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지 않은 앱이 실행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지 않은 앱(예: 인증되지 않은 앱)을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서 인증되지 않은 앱은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패스 룰에 따라 제어될 수 없다. 예를 들어, 상기 상기 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지 않은 앱은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사용자 단말(100)이 알 수 없는 앱(예: 3rd 파티(party) 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텔레그램으로 에릭에게 내일 만나자고 보내줘”라고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텔레그램은 사용자 단말(100)에서 인증되지 않은 앱일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인증되지 않은 앱이라는 것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입력 기능을 지원하지 못하는 앱에 해당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다운로드 받은 앱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0)은 해당 앱의 실행까지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이름을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패스 룰에 따라 제어할 수 있지만, 해당 앱에 의해 수행되는 내부 동작은 제어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능형 서버(200)는 상기 텔레그램을 실행시키는 단계까지 앱을 실행하는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이 패스 룰에 따라 텔레그램의 실행 동작까지 완료된 후,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 상기 텔레그램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3)에서 에릭과의 대화창 영역(123a)을 직접 선택하고, 입력 영역(123b)에 메시지를 직접 입력하고, 메시지를 직접 전송하여 대화창 영역(123c)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앱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명동역으로 가는 택시 예약 좀 부탁해”라고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에는 택시를 예약할 수 있는 앱이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부족한 파라미터에 대한 추가적인 입력을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고, “Uber를 깔고 택시 예약을 해드릴까요”라고 앱의 설치를 대화 영역(121a)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앱의 설치를 허용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앱을 다운로드하여 나머지 동작을 실행(2640 화면)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복수의 앱이 실행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엄마에게 최근 하와이 사진을 메시지로 보내줘”라고 입력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지능형 서버(200)를 통해 처리되고, 갤러리 앱 실행, 검색 기능 실행, 하와이 사진을 검색, 검색된 사진 선택, 공유 화면 표시, 엄마와의 대화창 실행, 사진 전송(총 7 단계)하는 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패스 룰이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패스 룰에 따라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2710 화면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음성을 사용자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2720 화면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갤러리 앱(2721)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2730 화면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갤러리 앱의 검색 기능(2731)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2740 화면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갤러리 앱의 사진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사진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갤러리 앱에서 하와이 사진을 검색(2741a)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2750 화면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검색된 사진을 선택(2751a)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2760 화면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공유 화면(2761c)을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공유 화면(2761c)에 상기 선택된 사진을 공유할 수 있는 앱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2770 화면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메시지 앱을 실행하고, 상기 선택된 사진을 입력창(2771c)에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메시지 앱에서 엄마와의 대화창을 실행하고, 입력창(2771c)에 상기 선택된 하와이 사진을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2780 화면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대화창에 입력된 사진을 전송(2781d)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음성을 텍스트로 인식(2710 화면)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패스 룰에 따라 자동적으로 앱의 동작을 실행(2720, 2730, 2740, 2750, 2760 및 2770 화면)하여 선택된 사진을 전송(2780 화면)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복수의 앱이 실행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엄마에게 최근 하와이 사진을 메시지로 보내줘”라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단말(100)에 입력하면,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두 개의 앱을 실행시키는 패스 룰을 수신할 수 있다. 실행 매니저 모듈(153)은 상기 패스 룰을 수신하여, 상기 패스 룰에 대응되는 7개의 동작(제1 동작 내지 제7 동작)에 따라, 제1 앱(141)의 실행 서비스(141a) 및 제2 앱(143)의 실행 서비스(143a)를 실행하고, 제1 앱(141)의 실행 서비스(141a) 및 제2 앱(143)의 실행 서비스(143b)에 동작을 요청하는 신호를 순차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갤러리 앱(141)의 마지막 동작(제5 동작)의 실행이 완료되면, 상기 갤러리 앱에서 메시지 앱(143)의 처음 동작(제6 동작)으로 필요한 정보(예: 선택된 하와이 사진)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앱(143)은 상기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여 처음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행 매니저 모듈(153)은 복수의 앱을 도 26에 따라 상기 패스 룰에 대응되는 7개의 동작(제1 동작 내지 제7 동작)을 순차적으로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통합 지능화 시스템 서비스에서 다른 앱의 실행 화면을 보여주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패스 룰에 따른 앱의 동작 과정을 지능형 에이전트(151)와 연동된 앱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지능형 에이전트(151)와 연동된 앱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1)의 대화창 영역(2931a)에 패스 룰에 따른 앱의 동작 과정을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과정이 종료되면, 종료 메시지를 대화창 영역(2931a)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통합 지능화 시스템 서비스에서 다른 앱의 실행 과정을 텍스트로 보여주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패스 룰에 따른 앱의 동작 과정을 지능형 에이전트(151)와 연동된 앱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지능형 에이전트(151)와 연동된 앱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1)의 대화창 영역(3031a)에 패스 룰에 따른 앱의 동작 과정을 텍스트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과정이 종료되면, 종료 메시지를 대화창 영역(3031a)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1a 및 도 3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복수의 앱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엄마에게 최근 하와이 사진을 공유해줘”라고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사진을 어떤 앱으로 누구에게 공유할지에 대한 정보가 부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에게 어떤 앱으로 공유할지 사용자에게 추가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파라미터가 부족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된 패스 룰에 따라 갤러리 앱을 실행하는 제1 동작, 갤러리 앱의 검색 기능을 실행하는 제2 동작, 갤러리 앱에서 사진을 검색하는 제3 동작, 공유할 사진을 선택하는 제4 동작 및 공유 화면이 표시되는 제5 동작까지 실행하고, 사용자에게 추가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이 동작을 완료하기 위한 추가 입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메시지 앱을 이용하여 사진을 공유하기 위한 입력(예: 터치, 발화)을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추가 입력에 따라 나머지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공유할 앱을 선택하는 추가 입력을 수신하면, 메시지 앱의 대화창을 실행하여 선택된 사진을 대화창에 입력하는 제6 동작 및 상기 입력된 사진을 전송하는 제7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도 31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엄마에게 최근 하와이 사진을 공유해줘”라고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파라미터가 부족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된 패스 룰을 이용하여 갤러리 앱을 실행하고, 공유 화면이 표시되는 제5 동작까지 실행하고, 사용자에게 추가 입력을 수신하여 동작의 실행을 완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1b에서 ①, ②, ③, ④ 및 ⑥ 테두리가 표시된 화면은 통합 지능화 시스템에 의해 앱의 동작이 자동적으로 실행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⑤ 테두리가 표시된 화면은 사용자의 추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3110 화면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음성을 입력 받기 위한 GUI에서 사용자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3120, 3130, 3140 및 3150 화면(①, ②, ③ 및 ④ 테두리가 표시된 화면)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통합 지능화 시스템 서비스를 이용하여 제1 동작 내지 제4 동작을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3160 화면(⑤ 테두리가 표시된 화면)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공유할 앱을 선택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하는 제5 동작을 실행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3160 화면(⑥ 테두리가 표시된 화면)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공유할 앱을 선택하는 추가 입력을 수신하면, 제6 동작을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3170 화면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사진을 전송하는 제7 동작을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도 32a 및 도 32b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복수의 앱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부족한 정보가 입력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a를 참조하면, “최근 하와이 사진을 엄마에게 공유해줘”라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단말(100)에 입력하면,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일부 정보가 부족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패스 룰을 지능형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상기 패스 룰을 실행 매니저 모듈(153)로 송신할 수 있다. 실행 매니저 모듈(153)은 상기 패스 룰에 대응되는 제1 동작 내지 제5 동작(141b)을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동작 내지 제5 동작(141b)은 각각 갤러리 앱 실행, 하와이 사진을 검색, 검색 화면 표시, 검색된 사진 선택 및 공유 화면 표시하는 단계까지 실행되는 동작일 수 있다. 실행 서비스(141a)는 제5 동작(141b)이 완료되면, 부족한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실행 매니저 모듈(153)로 송신할 수 있다. 실행 매니저 모듈(153)은 부족한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추가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도 32b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메시지로”라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단말에 입력 함으로써 상기 부족한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상기 추가적으로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지능형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지능형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이용하여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상기 패스룰을 수신하여 실행 매니저 모듈(153)로 송신할 수 있다. 실행 매니저 모듈(153)은 상기 패스 룰에 대응되는 제6 동작 및 제7 동작(143b)을 요청하는 신호를 순차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도 31에 따라 상기 패스 룰에 대응되는 나머지 2개의 동작(제6 동작 및 제7 동작)를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의도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동작을 파악하여 따라 앱을 단계적으로 실행시킴으로써 터치로 수행하는 것과 동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UI)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이 부족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처리된 사용자 입력만으로 단계적으로 앱을 동작시키고, 사용자로부터 추가적인 입력을 받아서 나머지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맞춰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3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음성 입력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3에 도시된 흐름도는 상술한 사용자 단말(100)에서 처리되는 동작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1 내지 도32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33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3310 동작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마이크(111)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발화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3320 동작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사용자 발화에 기초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음성을 사용자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지능형 서버(200)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을 텍스트 형태로 변경하고, 상기 텍스트 형태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의도 및 파라미터를 파악하여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지능형 서버(200)에서 생성된 텍스트와 패스 룰은 사용자 단말(100)에 수신받아, 텍스트 데이터 데이터를 생성하고,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3330 동작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하나의 앱(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패스 룰에 기초하여 앱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3340 동작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디스플레이(120)에 상기 선택된 앱(141, 143)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GUI)를 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3350 동작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텍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자동적으로 제공되는 입력 과정 중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패스 룰에 따른 앱(141, 143)의 동작(141b, 143b)의 실행 과정을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3360 동작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앱이 상기 입력을 하나의 파라미터로서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파라미터를 요구하는 오퍼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패스 룰에 포함된 앱(141, 143)의 동작(141b, 143b) 및 동작(141b, 143b)을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앱(141, 143)의 동작(141b, 143b)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3370 동작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오퍼레이션의 결과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앱(141)의 동작(141b)의 결과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복수의 앱(141, 143)의 복수의 동작(141b, 143b)의 결과를 디스플레이(120)에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 부분을 통하여 노출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제2 부분에 위치하는 마이크; 상기 하우징의 제3 부분에 위치하는 스피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스피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GUI)를 포함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모리가 저장한 명령어가 실행되었을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가 사용자로부터 발화를 수신하도록 하고, 상기 발화에 기초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 또는 수신하고,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시하고,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자동적으로 제공되는 입력의 과정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입력을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로서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요구하는 오퍼레이션(operation)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오퍼레이션의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가 서버로부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다운로드 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명령어는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의 일부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각각을 나타내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식별자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식별자들 중 하나의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선택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식별자들은 아이콘, 상징, 이미지 및/또는 텍스트 형식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하여 상기 텍스트 데이터가 파라미터가 부족할 때,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입력 영역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상기 파라미터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텍스트 입력을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텍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발화의 의도 및 상기 의도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파라미터를 생성하거나 수신하고, 상기 의도 및 상기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상기 오퍼레이션의 순서를 포함하는 패스 룰(path rule)을 생성하거나 수신하고,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패스 룰에 따라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패스 룰에 포함된 오퍼레이션을 상기 패스 룰의 순서에 따라 수행하고, 상기 오퍼레이션의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경우 상기 패스 룰에 포함된 오퍼레이션의 결과를 수행된 순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하나의 패스 룰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상기 오퍼레이션 및 상기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 부분을 통하여 노출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제2 부분에 위치하는 마이크; 상기 하우징의 제3 부분에 위치하는 스피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스피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GUI)를 각각 포함하는 제1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제2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가 저장한 명령어가 실행되었을 때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가 사용자로부터 발화를 수신하도록 하고, 상기 발화에 기초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 또는 수신하고,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1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부터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선택된 제1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시하고, 상기 선택된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한 제1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요구하는 제1 오퍼레이션(operation)을 수행하면서 상기 제1 오퍼레이션(operation)의 수행의 과정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제1 오퍼레이션의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결과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 후에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제2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각각을 나타내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식별자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식별자들 중 하나의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부터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제1 오퍼레이션의 결과 중 일부를 사용한 제2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요구하는 제2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가 서버로부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다운로드 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명령어는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의 일부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한 후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제2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면서 상기 제2 오퍼레이션의 수행의 과정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오퍼레이션의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식별자들은 아이콘, 상징, 이미지 및/또는 텍스트 형식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상기 선택된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하여 상기 텍스트 데이터가 제1 파라미터가 부족할 때,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위해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입력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상기 제1 파라미터를 위한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상기 제2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기 상기 제2 입력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 부분을 통하여 노출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제2 부분에 위치하는 마이크; 상기 하우징의 제3 부분에 위치하는 스피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스피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GUI)를 포함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모리가 더 저장한 명령어가 실행되었을 때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가 사용자로부터 음성 요청을 수신하도록 하고, 상기 요청에 기초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자동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오퍼레이션의 전체가 아닌 일부를 결정하고,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시하고, 상기 오퍼레이션의 동작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오퍼레이션의 일부를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의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사용하여 오퍼레이션을 끝낼 수 있다.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의 일부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자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하여 상기 텍스트 데이터가 파라미터가 부족할 때 상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퍼레이션에 추가되는 파라미터를 제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발화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발화에 기초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 또는 수신하는 동작;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동작;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시하는 동작;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자동적으로 제공되는 입력의 과정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입력을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로서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파라미터를 요구하는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오퍼레이션의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화를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발화에 기초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텍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발화의 의도 및 상기 의도를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상기 의도 및 상기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오퍼레이션의 순서를 포함하는 패스 룰을 결정하고, 상기 패스 룰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패스 룰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오퍼레이션 및 상기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4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34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서의 전자 장치(3401), 제1 전자 장치(3402), 제2 전자 장치(3404) 또는 서버(3406)가 네트워크(3462) 또는 근거리 통신(3464)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3401)는 버스(3410), 프로세서(3420), 메모리(3430), 입출력 인터페이스(3450), 디스플레이(3460), 및 통신 인터페이스(347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34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3410)는, 예를 들면, 구성요소들(3420-347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42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42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34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343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43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34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3430)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3440)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3420)은, 예를 들면, 커널(3441), 미들웨어(3443),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3445),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34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3441), 미들웨어(3443), 또는 API(3445)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OS))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커널(3441)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3443), API(34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3447))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3410), 프로세서(3420), 또는 메모리(34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3441)은 미들웨어(3443), API(34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3447)에서 전자 장치(34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3443)는, 예를 들면, API(34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3447)이 커널(344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34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3447)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들웨어(34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3447) 중 적어도 하나에 전자 장치(3401)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3410), 프로세서(3420), 또는 메모리(34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미들웨어(3443)는 상기 적어도 하나에 부여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처리함으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에 대한 스케쥴링 또는 로드 밸런싱 등을 수행할 수 있다.
API(3445)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3447)이 커널(3441) 또는 미들웨어(3443)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영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45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3401)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3450)는 전자 장치(3401)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4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ED (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46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컨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46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처, 근접, 또는 호버링(hovering)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347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3401)와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3402), 제2 전자 장치(3404), 또는 서버(3406))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347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3462)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예: 제2 전자 장치(3404) 또는 서버(3406))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3464)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3464)는,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MST(magnetic stripe transmission), 또는 GN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MST는 전자기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 데이터에 따라 펄스를 생성하고, 상기 펄스는 자기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3401)는 상기 자기장 신호를 POS(point of sales)에 전송하고, POS는 MST 리더(MST reader)를 이용하여 상기 자기장 신호는 검출하고, 검출된 자기장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GNSS는 사용 지역 또는 대역폭 등에 따라,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는, "GPS"는 "GNSS"와 혼용되어 사용(interchangeably used)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3462)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전화 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3402) 및 제2 전자 장치(3404) 각각은 전자 장치(34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3406)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버들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4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3402), 제2 전자 장치(3404), 또는 서버(3406))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4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34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3402), 제2 전자 장치(3404), 또는 서버(3406))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34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34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35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5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701)는, 예를 들면, 도 34에 도시된 전자 장치(34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501)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 AP)(3510), 통신 모듈(3520), 가입자 식별 모듈(3524), 메모리(3530), 센서 모듈(353540), 입력 장치(3550), 디스플레이(3560), 인터페이스(3570), 오디오 모듈(3580), 카메라 모듈(3591), 전력 관리 모듈(3595), 배터리(3596), 인디케이터(3597), 및 모터(359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51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35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51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5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510)는 도 3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35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3510)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통신 모듈(3520)은, 도 34의 통신 인터페이스(347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통신 모듈(3520)은,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3521), Wi-Fi 모듈(3523), 블루투스 모듈(3525), GNSS 모듈(3527)(예: GPS 모듈, Glonass 모듈, Beidou 모듈, 또는 Galileo 모듈), NFC 모듈(3528), 및 RF(radio frequency) 모듈(3529)을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3521)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3521)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3524)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3501)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3521)은 프로세서(3510)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35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모듈(3523), 블루투스 모듈(3525), GNSS 모듈(3527) 또는 NFC 모듈(3528)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3521), Wi-Fi 모듈(3523), 블루투스 모듈(3525), GNSS 모듈(3527), 또는 NFC 모듈(3528)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C(integrated chip)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3529)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3529)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3521), Wi-Fi 모듈(3523), 블루투스 모듈(3525), GNSS 모듈(3527), NFC 모듈(3528)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3524)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 및/또는 내장 SIM(embedded S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 (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530)(예: 메모리(343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3532) 또는 외장 메모리(353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35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마스크(mask) ROM, 플래시(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낸드플래시(NAND flash) 또는 노아플래시(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SSD(solid state driv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3534)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 Mini-SD,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35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3501)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모듈(3540)은,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35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35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3540A), 자이로 센서(3540B), 기압 센서(3540C), 마그네틱 센서(3540D), 가속도 센서(3540E), 그립 센서(3540F), 근접 센서(3540G), 컬러 센서(3540H)(예: RGB 센서), 생체 센서(3540I), 온/습도 센서(3540J), 조도 센서(35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35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센서 모듈(354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EMG(electromyography) 센서, EEG(electroencephalogram) 센서, ECG(electrocardiogram) 센서,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35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3501)는 프로세서(3510)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로, 센서 모듈(35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프로세서(3510)가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 모듈(3540)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장치(3550)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touch panel)(3552),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3554), 키(key)(3556),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3558)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35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3552)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355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3554)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시트(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키(3556)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 장치(3558)는 마이크(예: 마이크(3588))를 통해, 입력 도구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초음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560)(예: 디스플레이(3460))는 패널(3562), 홀로그램 장치(3564), 또는 프로젝터(3566)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3562)은, 도 34의 디스플레이(3460)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35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패널(3562)은 터치 패널(3552)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홀로그램 장치(3564)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3566)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35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3560)는 패널(3562), 홀로그램 장치(3564), 또는 프로젝터(356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3570)는, 예를 들면, HDMI(3572), USB(35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3576), 또는 D-sub(D-subminiature)(3578)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3570)는, 예를 들면, 도 34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3470)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인터페이스(3570)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 카드/MMC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3580)은, 예를 들면, 소리(sound)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3580)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도 34에 도시된 입출력 인터페이스(3450)에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3580)은, 예를 들면, 스피커(3582), 리시버(3584), 이어폰(3586), 또는 마이크(35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591)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시(flash)(예: LED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3595)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3501)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595)은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battery or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유선 및/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배터리(35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3596)은,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 및/또는 태양 전지(solar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3597)는 전자 장치(3501) 혹은 그 일부(예: 프로세서(35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터(35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진동(vibration), 또는 햅틱(haptic) 효과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자 장치(3501)는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MediaFLOTM)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3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그램 모듈(3610)(예: 프로그램(3440))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3401))에 관련된 자원을 제어하는 운영 체제(OS) 및/또는 운영 체제 상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3447))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체제는, 예를 들면, Android, iOS, Windows, Symbian, 또는 Tizen 등이 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3610)은 커널(3620), 미들웨어(3630), API(3660), 및/또는 어플리케이션(367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3610)의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 상에 프리로드(preload) 되거나,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3402), 제2 전자 장치(3404), 서버(3406) 등)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하다.
커널(3620)(예: 커널(3441))은, 예를 들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3621) 또는 디바이스 드라이버(3623)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3621)는 시스템 리소스의 제어, 할당, 또는 회수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3621)는 프로세스 관리부, 메모리 관리부, 또는 파일 시스템 관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3623)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카메라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공유 메모리 드라이버, USB 드라이버, 키패드 드라이버, Wi-Fi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또는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3630)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3670)이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어플리케이션(3670)이 전자 장치 내부의 제한된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API(3660)을 통해 다양한 기능들을 어플리케이션(3670)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미들웨어(3630)(예: 미들웨어(3443))은 런타임 라이브러리(3635), 어플리케이션 매니저(application manager)(3641), 윈도우 매니저(window manager)(3642), 멀티미디어 매니저(multimedia manager)(3643), 리소스 매니저(resource manager)(3644), 파워 매니저(power manager)(3645), 데이터베이스 매니저(database manager)(3646), 패키지 매니저(package manager)(3647), 연결 매니저(connectivity manager)(3648), 통지 매니저(notification manager)(3649), 위치 매니저(location manager)(3650), 그래픽 매니저(graphic manager)(3651), 보안 매니저(security manager)(3652), 또는 결제 매니저(36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3635)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3670)이 실행되는 동안에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컴파일러가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3635)는 입출력 관리, 메모리 관리, 또는 산술 함수에 대한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매니저(364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3670)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생명 주기(life cycle)를 관리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3642)는 화면에서 사용하는 GUI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매니저(3643)는 다양한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필요한 포맷을 파악하고, 해당 포맷에 맞는 코덱(codec)을 이용하여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encoding) 또는 디코딩(de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3644)는 어플리케이션(36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 메모리 또는 저장 공간 등의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파워 매니저(3645)는, 예를 들면,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 등과 함께 동작하여 배터리 또는 전원을 관리하고, 전자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매니저(3646)은 어플리케이션(3670)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할 수 있다. 패키지 매니저(3647)은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업데이트를 관리할 수 있다.
연결 매니저(3648)은, 예를 들면, Wi-Fi 또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통지 매니저(3649)는 도착 메시지, 약속, 근접성 알림 등의 사건(event)을 사용자에게 방해되지 않는 방식으로 표시 또는 통지할 수 있다. 위치 매니저(3650)은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그래픽 매니저(3651)은 사용자에게 제공될 그래픽 효과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보안 매니저(3652)는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 등에 필요한 제반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3401))가 전화 기능을 포함한 경우, 미들웨어(3630)는 전자 장치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관리하기 위한 통화 매니저(telephony manag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363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다양한 기능의 조합을 형성하는 미들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3630)는 차별화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운영 체제의 종류 별로 특화된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3630)는 동적으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일부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API(3660)(예: API(3445))은, 예를 들면, API 프로그래밍 함수들의 집합으로, 운영 체제에 따라 다른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Android 또는 iOS의 경우, 플랫폼 별로 하나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으며, 타이젠(Tizen)의 경우, 플랫폼 별로 두 개 이상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367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3447))은, 예를 들면, 홈(3671), 다이얼러(3672), SMS/MMS(3673), IM(instant message)(3674), 브라우저(3675), 카메라(3676), 알람(3677), 컨택트(3678), 음성 다이얼(3679), 이메일(3680), 달력(3681), 미디어 플레이어(3682), 앨범(3683), 또는 시계(3684), 건강 관리(health care)(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 또는 환경 정보 제공(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등을 제공)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3670)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34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3402), 제2 전자 장치(3404)) 사이의 정보 교환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하, 설명의 편의상,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에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알림 전달(notification relay)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예: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발생된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예: 외부 전자 장치 자체(또는 일부 구성 부품)의 턴-온/턴-오프 또는 디스플레이의 밝기(또는 해상도) 조절),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예: 통화 서비스 또는 메시지 서비스 등)를 관리(예: 설치, 삭제,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3670)은 외부 전자 장치의 속성에 따라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예: 모바일 의료 기기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3670)은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3402), 제2 전자 장치(3404)), 및 서버(3406)) 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3670)은 프리로드 어플리케이션(preloaded application) 또는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제3자 어플리케이션(third party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3610)의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운영 체제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그램 모듈(3610)의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3610)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3510))에 의해 구현(implement)(예: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3610)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130)이 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 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 부분을 통하여 노출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제2 부분에 위치하는 마이크;
    상기 하우징의 제3 부분에 위치하는 스피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스피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GUI)를 포함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모리가 저장한 명령어가 실행되었을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가 사용자로부터 발화를 수신하도록 하고,
    상기 발화에 기초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 또는 수신하고,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시하고,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자동적으로 제공되는 입력의 과정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입력을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로서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요구하는 오퍼레이션(operation)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오퍼레이션의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가 서버로부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다운로드 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의 일부인 전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각각을 나타내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식별자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식별자들 중 하나의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선택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들은 아이콘, 상징, 이미지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형식인 전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하여 상기 텍스트 데이터가 파라미터가 부족할 때,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입력 영역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상기 파라미터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텍스트 입력을 수신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텍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발화의 의도 및 상기 의도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파라미터를 생성하거나 수신하고,
    상기 의도 및 상기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상기 오퍼레이션의 순서를 포함하는 패스 룰(path rule)을 생성하거나 수신하고,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패스 룰에 따라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패스 룰에 포함된 오퍼레이션을 상기 패스 룰의 순서에 따라 수행하고,
    상기 오퍼레이션의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경우 상기 패스 룰에 포함된 오퍼레이션의 결과를 수행된 순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전자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패스 룰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상기 오퍼레이션 및 상기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 부분을 통하여 노출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제2 부분에 위치하는 마이크;
    상기 하우징의 제3 부분에 위치하는 스피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스피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GUI)를 각각 포함하는 제1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제2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가 저장한 명령어가 실행되었을 때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가 사용자로부터 발화를 수신하도록 하고,
    상기 발화에 기초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 또는 수신하고,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1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부터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선택된 제1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시하고,
    상기 선택된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한 제1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요구하는 제1 오퍼레이션(operation)을 수행하면서 상기 제1 오퍼레이션(operation)의 수행의 과정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제1 오퍼레이션의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한 후에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제2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각각을 나타내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식별자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식별자들 중 하나의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부터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제1 오퍼레이션의 결과 중 일부를 사용한 제2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요구하는 제2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가 서버로부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다운로드 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의 일부인 전자 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한 후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제2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면서 상기 제2 오퍼레이션의 수행의 과정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오퍼레이션의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전자 장치.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들은 아이콘, 상징, 이미지 및/또는 텍스트 형식인 전자 장치.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상기 선택된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하여 상기 텍스트 데이터가 제1 파라미터가 부족할 때,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위해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입력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상기 제1 파라미터를 위한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제1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기 상기 제1 입력을 사용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5.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 부분을 통하여 노출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제2 부분에 위치하는 마이크;
    상기 하우징의 제3 부분에 위치하는 스피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스피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GUI)를 포함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모리가 저장한 명령어가 실행되었을 때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가 사용자로부터 음성 요청을 수신하도록 하고,
    상기 요청에 기초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자동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오퍼레이션의 전체가 아닌 일부를 결정하고,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시하고,
    상기 오퍼레이션의 동작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오퍼레이션의 일부를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의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사용하여 오퍼레이션을 끝내는 전자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가 서버로부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다운로드 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의 일부인 전자 장치.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자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하여 상기 텍스트 데이터가 파라미터가 부족할 때 상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퍼레이션에 추가되는 파라미터를 제안하는 전자 장치.
  19. 음성 입력 처리 방법에 있어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발화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발화에 기초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 또는 수신하는 동작;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동작;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작;
    디스플레이에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시하는 동작;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자동적으로 제공되는 입력의 과정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입력을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로서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파라미터를 요구하는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오퍼레이션의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0. 음성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화를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발화에 기초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텍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발화의 의도 및 상기 의도를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상기 의도 및 상기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오퍼레이션의 순서를 포함하는 패스 룰을 결정하고,
    상기 패스 룰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패스 룰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오퍼레이션 및 상기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서버.
KR1020160159704A 2016-11-28 2016-11-28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서버 KR20180060328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704A KR20180060328A (ko) 2016-11-28 2016-11-28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서버
PCT/KR2017/011343 WO2018097478A1 (en) 2016-11-28 2017-10-13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multi-modal input, method for processing multi-modal input and sever for processing multi-modal input
EP17197272.2A EP3327719A1 (en) 2016-11-28 2017-10-19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multi-modal input, method for processing multi-modal input and server for processing multi-modal input
CN201711203805.6A CN108121490B (zh) 2016-11-28 2017-11-27 用于处理多模式输入的电子装置、方法和服务器
US15/824,331 US10191718B2 (en) 2016-11-28 2017-11-28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multi-modal input, method for processing multi-modal input and server for processing multi-modal input
US16/259,669 US11023201B2 (en) 2016-11-28 2019-01-28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multi-modal input, method for processing multi-modal input and server for processing multi-modal input
US17/332,185 US11561763B2 (en) 2016-11-28 2021-05-27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multi-modal input, method for processing multi-modal input and server for processing multi-modal inp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704A KR20180060328A (ko) 2016-11-28 2016-11-28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서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267A Division KR101993368B1 (ko) 2019-04-09 2019-04-09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328A true KR20180060328A (ko) 2018-06-07

Family

ID=60153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704A KR20180060328A (ko) 2016-11-28 2016-11-28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서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10191718B2 (ko)
EP (1) EP3327719A1 (ko)
KR (1) KR20180060328A (ko)
CN (1) CN108121490B (ko)
WO (1) WO201809747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189B1 (ko) 2019-07-11 2020-07-15 주식회사 아들과딸 인공지능 로봇을 활용한 도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1080177A1 (ko) * 2019-10-22 2021-04-29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적응형 추론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US11127400B2 (en) 2018-04-20 2021-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 of electronic device
KR20230081584A (ko) 2021-11-30 2023-06-07 주식회사 자가돌봄 자동 및 멀티 모달리티 정보 입력을 활용하는 일상 추적 시스템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상황 추론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77377B2 (en) 2005-09-08 2014-03-18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an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9318108B2 (en) 2010-01-18 2016-04-19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8977255B2 (en) 2007-04-03 2015-03-10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multi-func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voice-activation
US8676904B2 (en) 2008-10-02 2014-03-18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voice command and contextual data processing capabilities
US20120309363A1 (en) 2011-06-03 2012-12-06 Apple Inc. Triggering notifications associated with tasks items that represent tasks to perform
US10276170B2 (en) 2010-01-18 2019-04-30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10417037B2 (en) 2012-05-15 2019-09-17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third party services with a digital assistant
EP3809407A1 (en) 2013-02-07 2021-04-21 Apple Inc. Voice trigger for a digital assistant
US10652394B2 (en) 2013-03-14 2020-05-12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voicemail
US10748529B1 (en) 2013-03-15 2020-08-18 Apple Inc. Voice activated device for use with a voice-based digital assistant
US10176167B2 (en) 2013-06-09 2019-01-08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inferring user intent from speech inputs
WO2014198050A1 (en) * 2013-06-14 2014-12-18 Microsoft Corporation Framework and applications for proximity-based social interaction
US9715875B2 (en) 2014-05-30 2017-07-25 Apple Inc. Reducing the need for manual start/end-pointing and trigger phrases
US10170123B2 (en) 2014-05-30 2019-01-01 Apple Inc. Intelligent assistant for home automation
US9966065B2 (en) 2014-05-30 2018-05-08 Apple Inc. Multi-command single utterance input method
US9338493B2 (en) 2014-06-30 2016-05-10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TV user interactions
US9721566B2 (en) 2015-03-08 2017-08-01 Apple Inc. Competing devices responding to voice triggers
US9886953B2 (en) 2015-03-08 2018-02-06 Apple Inc. Virtual assistant activation
US10460227B2 (en) 2015-05-15 2019-10-29 Apple Inc. Virtual assistant in a communication session
US10200824B2 (en) 2015-05-27 2019-02-05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actively identifying and surfacing relevant content on a touch-sensitive device
US20160378747A1 (en) 2015-06-29 2016-12-29 Apple Inc. Virtual assistant for media playback
US10747498B2 (en) 2015-09-08 2020-08-18 Apple Inc. Zero latency digital assistant
US10740384B2 (en) 2015-09-08 2020-08-11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media search and playback
US10671428B2 (en) 2015-09-08 2020-06-02 Apple Inc. Distributed personal assistant
US10331312B2 (en) 2015-09-08 2019-06-25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dia environment
US10691473B2 (en) 2015-11-06 2020-06-23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ssaging environment
US10956666B2 (en) 2015-11-09 2021-03-23 Apple Inc. Unconventional virtual assistant interactions
US10223066B2 (en) 2015-12-23 2019-03-05 Apple Inc. Proactive assistance based on dialog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US10586535B2 (en) 2016-06-10 2020-03-10 Apple Inc. Intelligent digital assistant in a multi-tasking environment
DK179415B1 (en) 2016-06-11 2018-06-14 Apple Inc Intelligent device arbitration and control
DK201670540A1 (en) 2016-06-11 2018-01-08 Apple Inc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a digital assistant
USD832820S1 (en) * 2016-07-03 2018-11-06 Zound Industries International Ab Speaker system
KR20180060328A (ko) * 2016-11-28 2018-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서버
US11204787B2 (en) 2017-01-09 2021-12-21 Apple Inc.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a digital assistant
KR102366617B1 (ko) * 2017-03-28 2022-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170768B2 (en) 2017-04-17 2021-1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for performing task corresponding to user utterance
DK201770383A1 (en) 2017-05-09 2018-12-14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CORRECTING RECOGNITION ERRORS
DK180048B1 (en) 2017-05-11 2020-02-04 Apple Inc. MAINTAINING THE DATA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US10726832B2 (en) 2017-05-11 2020-07-28 Apple Inc. Maintaining privacy of personal information
DK201770429A1 (en) 2017-05-12 2018-12-14 Apple Inc. LOW-LATENCY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DK179496B1 (en) 2017-05-12 2019-01-15 Apple Inc. USER-SPECIFIC Acoustic Models
DK179745B1 (en) 2017-05-12 2019-05-01 Apple Inc. SYNCHRONIZATION AND TASK DELEGATION OF A DIGITAL ASSISTANT
US20180336892A1 (en) 2017-05-16 2018-11-22 Apple Inc. Detecting a trigger of a digital assistant
US10303715B2 (en) 2017-05-16 2019-05-28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media exploration
KR102060775B1 (ko) * 2017-06-27 2019-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D900134S1 (en) * 2017-09-27 2020-10-27 Toyota Research Institute, Inc. Vehicle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485342B1 (ko) * 2017-12-11 2023-0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환경에 기반한 추천 신뢰도 판단 장치 및 방법
US10818288B2 (en) 2018-03-26 2020-10-27 Apple Inc. Natural assistant interaction
US11676220B2 (en) * 2018-04-20 2023-06-13 Meta Platforms, Inc. Processing multimodal user input for assistant systems
US10928918B2 (en) 2018-05-07 2021-02-23 Apple Inc. Raise to speak
US11145294B2 (en) 2018-05-07 2021-10-12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delivering content from user experiences
DK180639B1 (en) 2018-06-01 2021-11-04 Apple Inc DISABILITY OF ATTENTION-ATTENTIVE VIRTUAL ASSISTANT
DK179822B1 (da) 2018-06-01 2019-07-12 Apple Inc. Voice interaction at a primary device to access call functionality of a companion device
US10892996B2 (en) 2018-06-01 2021-01-12 Apple Inc. Variable latency device coordination
US10496705B1 (en) * 2018-06-03 2019-12-03 Apple Inc. Accelerated task performance
KR20200013152A (ko) * 2018-07-18 2020-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전에 대화를 수집한 결과를 기반으로 인공 지능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00017293A (ko) * 2018-08-08 2020-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발화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00017292A (ko) * 2018-08-08 2020-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 방법 및 그 방법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10895462A (zh) * 2018-09-12 2020-03-20 富士施乐株式会社 非暂时性计算机可读介质
US11100926B2 (en) * 2018-09-27 2021-08-24 Coretronic Corporation Intelligent voi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jector by using the intelligent voice system
US11087754B2 (en) 2018-09-27 2021-08-10 Coretronic Corporation Intelligent voi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jector by using the intelligent voice system
US11462215B2 (en) 2018-09-28 2022-10-04 Apple Inc. Multi-modal inputs for voice commands
KR20200040625A (ko) * 2018-10-10 2020-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발화를 처리하는 사용자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US11475898B2 (en) 2018-10-26 2022-10-18 Apple Inc. Low-latency multi-speaker speech recognition
CN111105792A (zh) * 2018-10-29 2020-05-05 华为技术有限公司 语音交互处理方法及装置
CN109408623B (zh) * 2018-10-31 2021-11-2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装置
KR102618386B1 (ko) * 2018-11-21 2023-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 요소를 통해 보안이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JP7180330B2 (ja) * 2018-11-30 2022-11-30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7271925B2 (ja) * 2018-12-07 2023-05-1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音声操作システム、音声操作方法および音声操作プログラム
CN109656512A (zh) * 2018-12-20 2019-04-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基于语音助手的交互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WO2020139408A1 (en) * 2018-12-28 2020-07-02 Google Llc Supplementing voice inputs to an automated assistant according to selected suggestions
US11638059B2 (en) 2019-01-04 2023-04-25 Apple Inc. Content playback on multiple devices
KR20200099380A (ko) 2019-02-14 2020-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348573B2 (en) 2019-03-18 2022-05-31 Apple Inc. Multimodality in digital assistant systems
US11423908B2 (en) 2019-05-06 2022-08-23 Apple Inc. Interpreting spoken requests
US11475884B2 (en) 2019-05-06 2022-10-18 Apple Inc. Reducing digital assistant latency when a language is incorrectly determined
DK201970509A1 (en) 2019-05-06 2021-01-15 Apple Inc Spoken notifications
US11307752B2 (en) 2019-05-06 2022-04-19 Apple Inc. User configurable task triggers
US11140099B2 (en) 2019-05-21 2021-10-05 Apple Inc. Providing message response suggestions
DK180129B1 (en) 2019-05-31 2020-06-02 Apple Inc. USER ACTIVITY SHORTCUT SUGGESTIONS
US11496600B2 (en) 2019-05-31 2022-11-08 Apple Inc. Remote execution of machine-learned models
DK201970511A1 (en) 2019-05-31 2021-02-15 Apple Inc Voice identification in digital assistant systems
US11289073B2 (en) 2019-05-31 2022-03-29 Apple Inc. Device text to speech
US11468890B2 (en) 2019-06-01 2022-10-11 Apple Inc.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voice-based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US11360641B2 (en) 2019-06-01 2022-06-14 Apple Inc. Increasing the relevance of new available information
CN110432901B (zh) * 2019-08-13 2021-12-14 宿州学院 一种多通道无线表面肌电信号发射装置
US11113032B2 (en) * 2019-08-14 2021-09-07 Palantir Technologies Inc. Function access system
US11531451B2 (en) * 2019-09-04 2022-12-20 Brain Technologies, Inc. Real-time morphing interface for display on a computer screen
WO2021056255A1 (en) 2019-09-25 2021-04-01 Apple Inc. Text detection using global geometry estimators
US11061543B1 (en) 2020-05-11 2021-07-13 Apple Inc. Providing relevant data items based on context
US11810578B2 (en) 2020-05-11 2023-11-07 Apple Inc. Device arbitration for digital assistant-based intercom systems
US11038934B1 (en) 2020-05-11 2021-06-15 Apple Inc. Digital assistant hardware abstraction
US11755276B2 (en) 2020-05-12 2023-09-12 Apple Inc. Reducing description length based on confidence
US11490204B2 (en) 2020-07-20 2022-11-01 Apple Inc. Multi-device audio adjustment coordination
US11438683B2 (en) 2020-07-21 2022-09-06 Apple Inc. User identification using headphones
US11748660B2 (en) * 2020-09-17 2023-09-05 Google Llc Automated assistant training and/or execution of inter-user procedures
CN116457874A (zh) * 2020-10-07 2023-07-18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理解自然语言的电子装置和参数获取方法
US11789696B2 (en) * 2021-03-23 2023-10-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oice assistant-enabled client application with user view context
US11972095B2 (en) 2021-03-23 2024-04-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oice assistant-enabled client application with user view context and multi-modal input support
US11526235B1 (en) * 2021-05-18 2022-12-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enhancing a touch driver operation
CN113496703A (zh) * 2021-07-23 2021-10-12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通过语音方式控制程序的方法、设备及程序产品
CN113593555A (zh) * 2021-07-23 2021-11-02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通过语音方式控制程序的方法、设备及程序产品
CN113778315A (zh) * 2021-08-27 2021-12-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交互方法、装置、系统及电子设备
CN117555443B (zh) * 2024-01-12 2024-04-02 江苏纳帝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触摸屏书写检测分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8974A (en) 1994-12-13 1998-05-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modal natural language interface for cross-application tasks
US8332478B2 (en) * 1998-10-01 2012-12-11 Digimarc Corporation Context sensitive connected content
CA2270516C (en) * 1999-04-30 2009-11-17 Mosaid Technologies Incorporated Frequency-doubling delay locked loop
US20060010661A1 (en) * 2004-07-19 2006-01-19 Lonnie Murphy Garment or accessory clip
US8942985B2 (en) * 2004-11-16 2015-01-27 Microsoft Corporation Centralized method and system for clarifying voice commands
KR100679043B1 (ko) * 2005-02-15 2007-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대화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100654183B1 (ko) 2005-11-07 2006-12-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성 인식을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US8972902B2 (en) * 2008-08-22 2015-03-03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Compound gesture recognition
US9318108B2 (en) 2010-01-18 2016-04-19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8219406B2 (en) * 2007-03-15 2012-07-10 Microsoft Corporation Speech-centric multimodal user interface design in mobile technology
US8650030B2 (en) * 2007-04-02 2014-02-11 Google Inc. Location based responses to telephone requests
US8595642B1 (en) * 2007-10-04 2013-11-26 Great Northern Research, LLC Multiple shell multi faceted graphical user interface
DE102009040084A1 (de) * 2009-09-04 2011-03-10 Mahle International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olbens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US9009592B2 (en) * 2010-06-22 2015-04-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opulation of lists and tasks from captured voice and audio content
US8731939B1 (en) 2010-08-06 2014-05-20 Google Inc. Routing queries based on carrier phrase registration
US9028088B2 (en) 2010-09-30 2015-05-12 Black & Decker Inc. Lighted power tool
CN102004624B (zh) * 2010-11-11 2012-08-22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语音识别控制系统和方法
KR101831641B1 (ko) * 2011-02-11 2018-04-05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gui 제공 방법 및 장치
US9569090B2 (en) 2011-02-11 2017-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US20120239396A1 (en) * 2011-03-15 2012-09-2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ultimodal remote control
EP2555536A1 (en) * 2011-08-05 2013-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based on voice recognition and motion recogni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applying the same
US8785279B2 (en) * 2012-07-30 2014-07-22 Alpha And Omega Semiconductor Incorporated High voltage field balance metal oxide field effect transistor (FBM)
US9201859B2 (en) * 2011-12-15 2015-12-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uggesting intent frame(s) for user request(s)
US9153583B2 (en) * 2011-12-20 2015-10-06 Intel Corporation III-V layers for N-type and P-type MOS source-drain contacts
KR20130080380A (ko) * 2012-01-04 2013-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912409B1 (ko) * 2012-01-06 2018-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9275411B2 (en) * 2012-05-23 2016-03-01 Google Inc. Customized voice action system
KR20130133629A (ko) * 2012-05-29 2013-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음성명령을 실행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4098795A1 (en) * 2012-12-17 2014-06-26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Distributing content elements among devices
CN105074700A (zh) * 2013-03-01 2015-11-18 奎克西公司 产生含有到应用程序的状态链接的搜索结果
US9384732B2 (en) * 2013-03-14 2016-07-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oice command definitions used in launching application with a command
US9836437B2 (en) * 2013-03-15 2017-12-05 Google Llc Screencasting for multi-screen applications
KR102092058B1 (ko) * 2013-07-01 2020-03-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3488384A (zh) * 2013-09-30 2014-01-01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语音助手应用界面显示方法和装置
US20150100621A1 (en) * 2013-10-03 2015-04-09 Yang Pan User Interface for a System Including Smart Phone and Smart Watch
US20150278182A1 (en) * 2014-04-01 2015-10-01 Project T, LLC System and method for annotating webpages
KR102282487B1 (ko) * 2014-05-08 2021-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및 방법
KR102281178B1 (ko) * 2014-07-09 2021-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레벨 음성 인식 방법 및 장치
WO2016017978A1 (en) * 2014-07-31 2016-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s
KR102367132B1 (ko) 2014-07-31 2022-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의 기능 수행 방법
KR102301880B1 (ko) * 2014-10-14 2021-09-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음성 대화 방법
US20160132205A1 (en) * 2014-11-07 2016-05-12 Ebay Inc. System and method for linking applications
KR102298767B1 (ko) 2014-11-17 2021-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 시스템, 서버,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62594A (ko) * 2014-11-25 2016-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728941B1 (ko) * 2015-02-03 2017-04-20 주식회사 시그널비젼 음성 인식 기반 애플리케이션 구동 장치 및 제어 방법
US10257588B2 (en) * 2015-03-16 2019-04-09 Viacom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serting breakpoints and reference links into a media file
KR20170014353A (ko) * 2015-07-29 201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기반의 화면 내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KR20170033722A (ko) * 2015-09-17 2017-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발화 처리 장치 및 방법과, 음성 대화 관리 장치
KR102429260B1 (ko) * 2015-10-12 2022-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에이전트 기반의 제어 명령 처리 장치 및 방법과, 에이전트 장치
KR102453603B1 (ko) * 2015-11-10 2022-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6844019A (zh) * 2015-12-04 2017-06-1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应用程序控制方法、应用程序跳转关联配置方法及装置
US10565287B2 (en) * 2016-06-17 2020-02-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Web content layout engine instance sharing across mobile devices
KR20180060328A (ko) * 2016-11-28 2018-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서버
KR102416782B1 (ko) * 2017-03-28 2022-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414122B1 (ko) 2017-04-19 2022-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발화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374910B1 (ko) 2017-08-22 2022-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00017292A (ko) * 2018-08-08 2020-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 방법 및 그 방법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7400B2 (en) 2018-04-20 2021-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 of electronic device
KR102134189B1 (ko) 2019-07-11 2020-07-15 주식회사 아들과딸 인공지능 로봇을 활용한 도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1080177A1 (ko) * 2019-10-22 2021-04-29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적응형 추론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210047697A (ko) * 2019-10-22 2021-04-30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적응형 추론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US11455837B2 (en) 2019-10-22 2022-09-27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Adaptive inferenc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20230081584A (ko) 2021-11-30 2023-06-07 주식회사 자가돌봄 자동 및 멀티 모달리티 정보 입력을 활용하는 일상 추적 시스템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상황 추론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61763B2 (en) 2023-01-24
US10191718B2 (en) 2019-01-29
CN108121490A (zh) 2018-06-05
CN108121490B (zh) 2023-05-23
WO2018097478A1 (en) 2018-05-31
EP3327719A1 (en) 2018-05-30
US20210286589A1 (en) 2021-09-16
US20190155571A1 (en) 2019-05-23
US11023201B2 (en) 2021-06-01
US20180150280A1 (en) 2018-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1763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multi-modal input, method for processing multi-modal input and server for processing multi-modal input
US1158233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 of electronic device
EP3612925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user speech
CN110199350B (zh) 用于感测语音结束的方法和实现该方法的电子设备
US11955124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user speech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11145302B2 (en) System for processing user utteran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706847B2 (en) Method for operating speech recognition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80058476A (ko) 다양한 입력 처리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서버
EP3603040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 of electronic device
EP3610479B1 (en) Electronic apparatus for processing user utterance
KR20180109465A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화면 제어 방법
KR20190032026A (ko) 자연어 표현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80108321A (ko) 파셜 랜딩 후 사용자 입력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1993368B1 (ko)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