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6334A - Method for Processing Local Phone Call in a Foreign Country based on Application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cessing Local Phone Call in a Foreign Country based on Appl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6334A
KR20180056334A KR1020160155097A KR20160155097A KR20180056334A KR 20180056334 A KR20180056334 A KR 20180056334A KR 1020160155097 A KR1020160155097 A KR 1020160155097A KR 20160155097 A KR20160155097 A KR 20160155097A KR 20180056334 A KR20180056334 A KR 20180056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server
terminal
foreign
overse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0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성철
Original Assignee
홍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철 filed Critical 홍성철
Priority to KR1020160155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6334A/en
Publication of KR20180056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33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lication-based local call method in a foreign country.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ecuted through a foreign country server, which is provided in a foreign country, not a domestic country to which a communications company to which a user wireless terminal is subscribed belongs. The method comprises: a first step of setting a home country of an application executed in a user wireless terminal as the domestic country, or checking a setting; a second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is a domestic country which corresponds to the home country of the application; a third step of performing a procedure designated to register posi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in a designated visit position registration D/B of a foreign country server; a fourth step of checking posi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storing the posi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 the designated visit position registration D/B of the foreign country server; a fifth step of checking an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a sixth step of checking whether a calling number of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matches the posi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visit position registration D/B; a seventh step of checking whether an incoming number of the call connection request is a local phone number of a foreign country where the wireless terminal is located; and an eighth step of performing a call connection procedure by a foreign country local phone number. A user can use a call service with a call fee which is equal to or cheaper than a conventional foreign country local call fee.

Description

앱 기반 해외 로컬 발신 방법{Method for Processing Local Phone Call in a Foreign Country based on Application}[0001] App-based Local Calling Method [

본 발명은 사용자 무선단말에 지정된 앱을 설치하여 앱의 홈 국가를 상기 무선단말이 가입된 통신사가 속한 국내로 설정한 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실행된 앱이 위치를 측위하여 앱의 홈 국가가 아닌 해외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무선단말이 위치한 해외에 구비된 해외서버에 무선단말의 위치등록정보를 등록하고, 해외에 위치한 무선단말에서 앱을 통해 IP기반 호 연결 요청 시 해외서버에서 IP기반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를 판독하여 해당 무선단말이 위치한 해외 로컬 전화번호로 확인된 경우에 해외서버가 상기 무선단말이 위치한 해외 통신사에 가입된 해외 로컬 폰에 대응하는 폰에뮬레이터를 통해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해외 로컬 호 연결 요청으로 변환하여 해외 로컬로 발신되도록 처리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setting a home country of an app by setting an application designated in a user wireless terminal to a home country of a communication company to which the wireless terminal is subscribed,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is registered in an overseas server provided in a foreign country where the wireless terminal is located and when an IP based call connection is requested through an app from an overseas wireless terminal, When the destination terminal of the connection request is identified and the local terminal number of the corresponding wireless terminal is found, the foreign server transmits the IP-based call connection through the phone emulator corresponding to the foreign local phone registered in the foreign communication company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The request is converted into an overseas local call connection request and processed so as to be transmitted to a foreign country locally.

국내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앱을 설치하고 국내에서 앱을 통해 특정 해외국가의 로컬전화번호(예컨대, 해외국가의 유선전화)로 무료/저렴한 비용으로 발신하는 해외로컬에 대한 앱 기반 국내발신 서비스(예컨대, 국내 스마트폰 앱에서 해외의 친지 집으로 전화를 거는 서비스), 국내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앱을 설치한 후 특정 해외국가로 출국하여 해외국가에서 국내 전화번호로 무료/저렴한 비용으로 발신하는 국내로컬에 대한 앱 기반 해외발신 서비스 등은 제공되고 있다. 양 서비스는 모두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통해 발신하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으며, 다만 앱을 통해 발신하는 위치가 해외인지 아니면 국내인지에 차이점이 있을 뿐이다. 즉, 종래의 앱 기반 발신 서비스는 통화 품질이 떨어지더라도 앱을 통해 인터넷 전화 형태로 발신하여 무료/저렴한 비용으로 전화통화를 제공할 수 있었다.An application-based domestic originating service for an overseas local area where an app is installed in a domestic user's smartphone and the application is transmitted from a domestic country to a local telephone number of a certain foreign country (for example, , A service that makes calls from a domestic smartphone app to a foreign friend's home), installs an app on a domestic user's smartphone, leaves to a certain overseas country, and sends a free / low- Based overseas outbound services are being provided. Both services have a common point of origin through apps installed on smartphones, but there are only differences in whether they originate from an app or from abroad. That is, the conventional application-based originating service can provide a free / low cost phone call by sending an internet phone call through the app even if the call quality is poor.

그러나 현재까지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가 해외로 출국하여 해외 로컬 전화번호(예컨대, 해외 통신사에 가입된 통화단말의 전화번호)로 호 연결 요청 시, 국제 로밍을 통한 비싼 통화요금이 적용되는 통화 연결 방식 이외에, 스마트폰에 앱을 설치하여 해외 로컬 통화요금 수준이나 그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해외 로컬 전화번호로 호 연결을 요청하여 통화 연결하는 방식은 제공되지 않고 있으며, 이러한 통화 연결을 제공하기엔 기술적으로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However, when a domestic smartphone user departs overseas and requests a call to a foreign local telephone number (for example, a telephone number of a call terminal subscribed to an overseas communication company), in addition to a call connection method in which an expensive call charge is applied through international roaming , There is no way of establishing a call connection by requesting a call connection to an overseas local telephone number at an overseas local call rate level or a lower cost by installing an app on a smart phone and there is a technical difficulty in providing such a call connection hav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무선단말에 지정된 앱을 설치하여 앱의 홈 국가를 상기 무선단말이 가입된 통신사가 속한 국내로 설정한 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실행된 앱이 위치를 측위하여 앱의 홈 국가가 아닌 해외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무선단말이 위치한 해외에 구비된 해외서버에 무선단말의 위치등록정보를 등록하고, 해외에 위치한 무선단말에서 앱을 통해 IP기반 호 연결 요청 시 해외서버에서 IP기반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를 판독하여 해당 무선단말이 위치한 해외 로컬 전화번호로 확인된 경우에 해외서버가 상기 무선단말이 위치한 해외 통신사에 가입된 해외 로컬 폰에 대응하는 폰에뮬레이터를 통해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해외 로컬 호 연결 요청으로 변환하여 해외 로컬로 발신되도록 처리하는 앱 기반 해외 로컬 발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installed in a user wireless terminal and sets a home country of an app to a home country to which a communication company subscribed to the wireless terminal belongs,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is registered in an overseas server provided in a foreign country where the wireless terminal is located and the wireless terminal located in an overseas country 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is read out from the overseas server and the overseas terminal is connected to an overseas local phone subscribed to an overseas communication company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Converts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into a foreign local call connection request through a corresponding phone emulator, Is the app based foreign local calling method for lock processing to provide.

본 발명에 따른 앱 기반 해외 로컬 발신 방법은, 사용자 무선단말이 가입된 통신사가 속한 국내가 아닌 해외에 구비된 해외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국내 통신사에 가입된 사용자 무선단말에 지정된 앱을 설치 실행 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실행된 앱이 상기 앱의 홈 국가를 상기 국내로 설정 또는 확인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실행된 앱이 위치 측위부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를 측위하고 상기 측위된 무선단말의 위치가 상기 앱의 홈 국가에 대응하는 국내인지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가 상기 국내가 아닌 경우 상기 무선단말의 앱이 IP기반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이 위치한 해외에 구비된 해외서버의 지정된 방문위치등록D/B에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등록정보가 등록되기 위해 지정된 절차를 수행하는 제3 단계와, 상기 해외서버가 상기 지정된 절차를 수행한 무선단말의 위치등록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해외서버의 지정된 방문위치등록D/B에 저장하는 제4 단계와, 상기 해외서버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한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확인하는 제5 단계와, 상기 해외서버가 상기 무선단말의 앱의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판독하여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의 발신번호가 상기 방문위치등록D/B에 등록된 위치등록정보와 매칭되는 확인하는 제6 단계와, 상기 발신번호가 상기 방문위치등록D/B의 위치등록정보와 매칭 시 상기 해외서버가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판독하여 상기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가 상기 무선단말이 위치한 해외의 로컬 전화번호인지 확인하는 제7 단계와, 상기 착신번호가 상기 해외의 로컬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해외서버가 상기 무선단말이 위치한 해외 통신사에 가입된 해외 로컬 폰에 대응하는 폰에뮬레이터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의 앱의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해외 로컬 호 연결 요청으로 변환하여 해외 로컬 전화번호로 호 연결 절차를 수행하는 제8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executing an application-based overseas local call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in which a user wireless terminal is executed through an overseas server provided in a country other than the home country to which a registered communication company belongs, A step of setting or confirming the home country of the app in the home country by the application execut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when the installation is executed; and a step of allowing the app executed by the user wireless terminal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A second step of confirming whether the position of the positioned wireless terminal corresponds to a home country of the app, and if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is not the domestic wireless terminal,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is registered in the designated visited location registration D / B of the foreign server provided overseas in which the terminal is located A fourth step of check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that has performed the designated procedure and storing the received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 the designated visited location registration D / B of the foreign server; 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and a fifth step of confirming an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The overseas server reads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of the appl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A sixth step of confirming that the originating number is matched with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visited location registration D / B, when the originating number is matched with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visited location registration D / B,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reading a request and confirming that a called number of the call connection request is a local telephone number of a foreign country in which the wireless terminal is located; The external server converts an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of the appl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into an overseas local call connection request through a phone emulator corresponding to an overseas local phone subscribed to an overseas communication company in which the wireless terminal is located, And an eighth step of performing a procedur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앱 기반 해외 로컬 발신 방법은, 사용자 무선단말에 지정된 앱 설치 실행 시, 국내에 구비된 국내서버가 지정된 앱을 설치 실행하여 상기 앱의 홈 국가를 국내로 설정한 무선단말을 고유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lication-based overseas local calling method, wherein when a designated application is installed in a user wireless terminal, a domestic server installed in the domestic is installed and executes a designated application, And identifying and stor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uniquely identifies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앱 기반 해외 로컬 발신 방법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 설치 실행된 앱이 상기 무선단말이 해외에서 부팅 후 앱이 실행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이 해외에서 부팅 후 실행된 앱이 상기 위치 측위부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를 측위하고 상기 측위된 무선단말의 위치에 대응하는 국가가 상기 앱의 홈 국가에 대응하는 국내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lication-based overseas local calling method, wherein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further comprises checking whether the application is executed after the wireless terminal boots from abroad, The step of positioning the wireless terminal by the location positioning unit and checking whether the country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positioned wireless terminal is the home country corresponding to the home country of the app, .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앱 기반 해외 로컬 발신 방법은, 상기 해외서버의 방문위치등록D/B에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등록정보가 등록된 후, 해외에 위치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IP기반 통신을 통해 상기 해외서버로 IP기반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is registered in the visited location registration D / B of the overseas server, and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located overseas then performs IP-based communication Requesting an IP-based call connection to the foreign server through the network.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은 무선단말의 포트부를 통해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며 상기 무선단말과 무선랜 무선구간을 연결하고 상기 해외국가의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상기 무선랜 무선구간이 연결된 무선단말을 상기 해외국가의 이동통신망을 경유하는 무선 데이터망에 연결시키는 무선랜 중계장치를 외장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무선랜 중계장치를 이용한 IP기반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이 위치한 해외에 구비된 해외서버의 지정된 방문위치등록D/B에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등록정보가 등록되기 위해 지정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terminal is operated by receiving power through a port of the wireless terminal, connects the wireless terminal with the wireless LAN section, connects to the mobile network of the foreign country, Wherein the wireless terminal is connected to a wireless data network via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foreign country, and the third step is a step in which the appl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encapsulates the wireless terminal through an IP-based communication using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can be registered in the designated visited location registration D / B of the foreign server provided overseas.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앱 기반 해외 로컬 발신 방법은, 상기 해외서버의 방문위치등록D/B에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등록정보가 등록된 후, 해외에 위치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무선랜 중계장치를 이용한 IP기반 통신을 통해 상기 해외서버로 IP기반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lication-based overseas local calling method, wherein after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is registered in a visited location registration D / B of the foreign server, And requesting the IP-based call connection to the foreign server through IP-based communication using the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가 상기 국내가 아닌 경우, 상기 무선단말의 앱이 IP기반 통신을 통해 상기 앱의 홈 국가에 대응하는 국내에 구비된 국내서버로 상기 무선단말의 해외 위치를 식별하는 위치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국내서버가 국내에 위치하지 않은 무선단말의 위치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등록정보를 구성하여 국내서버의 지정된 홈위치등록D/B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국내서버가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등록정보를 근거로 상기 무선단말이 위치한 해외에 구비된 해외서버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국내서버가 상기 확인된 해외서버와 연결된 IP기반 통신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해외서버로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등록정보를 공유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hird step, when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is not the domestic, the appl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communicates with the domestic server corresponding to the home country of the app through the IP-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transmitting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an overseas location of the terminal; receiving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wireless terminal not located in the domestic server and configuring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Storing in a designated home location registration D / B of the wireless terminal; identifying the foreign server provided in the foreign country where the wireless terminal is located based on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sharing and transmitting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to the foreign server using an IP-based communication channel connected to the confirmed foreign server.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해외서버가 상기 국내서버와 해외서버 간 IP기반 통신채널을 통해 국내서버로부터 무선단말의 위치등록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해외서버의 지정된 방문위치등록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urth step, the foreign server receives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from the domestic server through the IP-based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domestic server and the foreign server,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폰에뮬레이터는 상기 무선단말이 위치한 해외 통신사에 가입되고 상기 해외서버와 통신 연결된 실제 통화단말, 상기 무선단말이 위치한 해외 통신사에서 자사에 가입된 가상의 통화단말로 인식되도록 하드웨어적으로 모듈화되어 상기 해외서버와 연동하는 통화모듈, 상기 무선단말이 위치한 해외 통신사에서 자사에 가입된 가상의 통화단말로 인식되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통화모듈, 상기 무선단말이 위치한 해외 통신사에서 자사에 가입된 가상의 통화단말로 인식하도록 하드웨어적 내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통화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ne emulator is hardware-enabled to be recognized as a virtual call terminal subscribed to the company in an actual call terminal connected to the foreign server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and communicating with the foreign server, A communication module that is modularized into a communication module that is interfaced with the foreign server, a communication module that is implemented as a software module so that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cognized as a virtual calling terminal joined to the company in an overseas communication company in which the wireless terminal is located, And a calling modul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to recognize the calling terminal as a virtual calling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폰에뮬레이터는 지정된 해외 통신사 요금 서비스 중 음성통화 요금을 무제한 이용 가능한 음성통화 요금 무제한 서비스 또는 음성통화 요금이 가장 저렴한 요금 서비스에 가입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ne emulator can be subscribed to the tariff service with the lowest voice call rate unlimited service or voice call charge service, in which unlimited voice call rates can be used among the specified overseas communication company charge services.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해외서버가 상기 무선단말의 앱의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판독하여 상기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가 국내 전화번호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8 단계는 상기 착신번호가 국내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해외서버가 국내서버와 해외서버 간 연결된 IP기반 통신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국내서버로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venth step, the foreign server further includes a step of reading an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of an app of the mobile terminal and confirming that the called number of the call connection request is a domestic phone number, Step 8 may include transmitting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to the domestic server via the IP-based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foreign server and the foreign server when the called number is a domestic telephone number .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해외서버가 상기 무선단말의 앱의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판독하여 상기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가 상기 무선단말이 위치한 해외 이외에 다른 해외의 전화번호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8 단계는 상기 착신번호가 다른 해외의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해외서버가 상기 해외서버와 다른 해외의 해외서버 간 연결된 IP기반 통신채널을 경유하여 다른 해외서버로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venth step, the foreign server reads an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of an app of the mobile terminal and confirms that the called number of the call connection request is a foreign phone number other than the overseas location where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when the called number is a telephone number of another foreign country, the foreign server transmits the IP address to another foreign server via an IP-based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foreign server and another foreign foreign server And forwarding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본 발명에 따르면, 국내 통신사에 가입된 사용자 무선단말에 지정된 앱을 설치하고 해외로 출국하여 해외에서 해외 로컬 전화번호로 호 연결 요청 시 해당 해외국가의 해외 로컬 통화요금에 준하는 요금이나 또는 그보단 저렴한 통화요금으로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stall a designated application in a user wireless terminal subscribed to a domestic communication company, to depart overseas and request a call to a foreign local telephone number from a foreign country, There is an advantage of using the call service at the call rat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앱 기반 해외 로컬 발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단말과 앱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랜 중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단말의 앱 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단말의 앱을 통한 위치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앱 기반 해외 로컬 발신을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앱 기반 해외 발신을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라 앱 기반 해외 발신을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pp-based overseas local orig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wireless terminal and an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LAN access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registration process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ocation registration process through an app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cessing an application-based overseas local origin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cessing an application-based overseas origin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cessing an application-based overseas origin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s us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As a resul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mean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nly.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앱 기반 해외 로컬 발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pp-based overseas local orig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지정된 앱(220)을 설치하여 앱(220)의 홈 국가를 상기 무선단말(200)이 가입된 통신사가 속한 국내로 설정한 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서 실행된 앱(220)이 위치를 측위하여 앱(220)의 홈 국가가 아닌 해외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에 구비된 해외서버(150)에 무선단말(200)의 위치등록정보를 등록하고, 해외에 위치한 무선단말(200)에서 앱(220)을 통해 IP기반 호 연결 요청 시 해외서버(150)에서 IP기반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를 판독하여 해당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 로컬 전화번호로 확인된 경우에 해외서버(150)가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 통신사에 가입된 해외 로컬 폰에 대응하는 폰에뮬레이터(180)를 통해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해외 로컬 호 연결 요청으로 변환하여 해외 로컬로 발신되도록 처리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앱 기반 해외 로컬 발신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In more detail, FIG. 1 shows an application 220 installed in a user wireless terminal 200 to set a home country of an application 220 to a home country of a communication company to which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subscrib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pp 220 execut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located in an area other than the home country of the app 220 for the purpose of locating the location in the overseas server 150 provided in the overseas location where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located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registered and the address number of the IP 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is read out from the overseas server 150 when the wireless terminal 200 located in the overseas terminal requests the IP based call connection through the application 220 When the foreign terminal 150 is identified as an overseas local telephone number in which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200 is located, the foreign server 150 transmits the foreign terminal 150 through the phone emulator 180 corresponding to the foreign local phone subscribed to the foreign communication company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200 is located And transmits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to an overseas local call connection request 1, the application-based overseas local origination system 10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application-based overseas local originating system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otherwise than as specifically described herein, but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otherwise than as specifically described herein, The technical features thereof are not limited only by the method of implementation.

본 발명의 앱 기반 해외 로컬 발신 시스템은, 지정된 앱(220)이 설치 실행되고 IP(Internet Protocol)기반 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사용자 무선단말(200)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이 가입된 통신사가 속한 국내에 구비된 사업자의 국내서버(100)와, 동 사업자(또는 제휴사업자)가 해외에서 운영하는 해외서버(150)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이 가입된 통신사의 통신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국내서버(100)와 해외서버(150)는 IP기반 통신망을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은 IP기반 통신망을 통해 국내서버(100)와 통신하거나 해외서버(150)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lication-based overseas local origin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wireless terminal 200 in which a specified application 220 is installed and connected to an IP (Internet Protocol) -based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ommunication company to which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is subscribed A domestic server 100 of a domestic company included in the domesti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0 and an overseas server 150 operated by a foreign carrier of the same company or affiliated company and a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of a communication company to which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is subscribed, A communication channel is connected to the domestic server 100 and the overseas server 150 through an IP based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can communicate with the domestic server 100 through the IP based communication network, ).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은 지정된 앱(220)이 설치 실행되고 무선랜 또는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IP기반 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무선통신기기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전화 호 연결이 가능하고 IP기반 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휴대폰, 스마트폰 등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is a general term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which a designated application 220 is installed and can be connected to an IP based communication network via a wireless LAN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nd the lik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은 IP기반 통신망을 통해 지정된 사업자의 서버(예컨대, 국내서버(100) 등)와 통신 가능한 앱(220)이 설치 실행된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지정된 앱(220)이 설치 후 실행(예컨대, 최초 실행) 시, 상기 앱(220)은 해당 앱(220)의 홈 국가를 설정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앱(220)은 해당 무선단말(200)의 운영체제(또는 시스템)에 설정된 국가를 상기 앱(220)의 홈 국가로 자동 설정하거나, 또는 홈 국가 설정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앱(220)의 홈 국가를 지정하여 설정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is installed and executed by an application 220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server (e.g., a domestic server 100) of a designated provider through an IP-based communication network. The app 220 performs a procedure of setting a home country of the app 220 when the app 220 specifi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is installed (e.g., executed for the first time) after installation. Preferably, the application 220 automatically sets the country set in the operating system (or system) of the corresponding wireless terminal 200 to the home country of the application 220, or displays the home country setting interface, The home country of the app 220 can be specified and set.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앱(220)의 홈 국가는 상기 무선단말(200)이 가입된 통신사가 속한 국가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운영체제(또는 시스템)에 설정된 국가를 의미하며, 편의상 본 발명에서 상기 앱(220)의 홈 국가를 '국내'라고 명명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me country of the application 220 refers to the country in which th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wireless terminal 200 belongs belongs or the country set in the operating system (or system)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For convenience, the home country of the app 220 is referred to as 'home'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은 해외에서 무료(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무선 데이터망을 이용하기 위해 도면3의 무선랜 중계장치(300)를 포트부(215)에 외장 탑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무선단말(200)은 해외에서 상기 중계장치(300)를 통해 IP기반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이하, 별도의 언급이 없더라도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포트부(215)에 도면3의 중계장치(300)가 외장 탑재된 경우, 상기 무선단말(200)의 IP기반 통신은 상기 중계장치(300)를 통해 처리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connects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300 of FIG. 3 to the port unit 215 by using the wireless data network in the external (or low cost) In this case, the wireless terminal 200 can process the IP-based communication through the relay device 300 in a foreign country. 3 is externally mounted on the port unit 215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the IP-based commun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may be performed by the relay apparatus 300 ). ≪ / RTI >

상기 국내서버(100)는 지정된 앱(220)을 설치 실행한 사용자 무선단말(200)로 IP기반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운영하는 서버 중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설치 실행된 앱(220)의 '홈 국가'에 대응하는 국내에 구비된 서버의 총칭으로서, IP기반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과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서버 또는 둘 이상의 서버 조합의 형태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domestic server 100 is connected to an application 220 install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among servers operated by a provider providing an IP based phone service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installed with the specified application 220 The home server 200 includes at least one server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app 22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an IP-based communication network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servers. .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국내서버(100)는 지정된 앱(220)을 설치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휴대폰번호를 확인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설치 실행된 앱(220)에서 위치 측위부(216)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측위하고 상기 측위된 무선단말(200)의 위치에 대응하는 국가가 상기 앱(220)의 홈 국가에 대응하는 국내인지 확인하여 국내가 아닌 것으로 확인(또는 해외로 확인)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에서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식별하는 위치식별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국내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식별정보에 근거하는 위치등록정보를 구성하여 지정된 홈위치등록D/B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에 구비된 해외서버(15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등록정보를 확인하여 지정된 방문위치등록D/B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해외서버(150)의 방문위치등록D/B에 상기 해외에 위치한 무선단말(200)의 위치등록정보가 등록된 후,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해 IP기반 호 연결 요청 시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은 IP기반 통신망을 통해 상기 해외서버(150)로 전달된다. 상기 해외서버(15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한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확인하고,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판독하여 상기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가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의 로컬 전화번호인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착신번호가 상기 해외의 로컬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해외서버(150)는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 통신사에 가입된 해외 로컬 폰에 대응하는 폰에뮬레이터(180)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의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해외 로컬 호 연결 요청으로 변환하여 해외 로컬로 발신 처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mestic server 100 can confirm the mobile phone number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in which the designated application 220 is installed, and store the mobile phone number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determined through 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216 in the application 220 install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and a country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positioned wireless terminal 200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in the app 22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home 220 corresponding to the home country of the app 220 is not domestic The domestic server 100 receives the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from the app 22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and transmits the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ome location registration D / B can be configured and stored in the designated home location registration D / B. Meanwhile, the overseas server 150 provided in the foreign country where the mobile terminal 200 is located can check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and store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 the designated visited location registration D / B. After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overseas mobile terminal 200 is registered in the visited location registration D / B of the foreign server 150, an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is transmitted through the app 220 of the mobile terminal 200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foreign server 150 via the IP-based communication network. The overseas server 150 confirms an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through the app 220 of the mobile terminal 200, reads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200) is located in a foreign country. If the called number is a local phone number of the foreign country, the foreign server 150 transmits the call to the foreign terminal 150 through the phone emulator 180 corresponding to the foreign local phone subscribed to the foreign communication company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200 is located, An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of the app 220 of the mobile terminal 200 may be converted into an overseas local call connection request and may be transmitted to an overseas locale.

상기 해외서버(150)는 지정된 앱(220)을 설치 실행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IP기반 전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또는 제휴사업자)가 운영하는 서버 중 국내가 아닌 해외에서 운영하는 서버의 총칭으로서, 국내서버(100)와 IP기반 통신망을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며 IP기반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과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서버 또는 둘 이상의 서버 조합의 형태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overseas server 150 is a server operated by a service provider (or an affiliated company) that provides an IP-based phone call service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that installed the specified application 220, As a generic term, at least one server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app 22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a communication channel connected to the domestic server 100 through an IP-based communication network and via an IP-based communication network,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servers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해외서버(150)는 해외의 통신사에 가입된 무선단말에게는 국내서버가 되므로, 기본적으로 상기 국내서버(100)의 기능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국내서버(100)의 기능 구성 외에 본 발명에 따른 해외서버(150)로 동작하기 위한 기능 구성을 더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oreign server 150 is a domestic server for wireless terminals subscribed to a foreign communication company, it is preferable that the foreign server 150 basically includes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domestic server 100, 100 in addition to the function configuration of the foreign server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국내서버(100)는, 지정된 앱(220)을 설치 실행하여 상기 국내서버(100)에 대응하는 국가를 홈 국가로 설정한 앱(220)을 설치 실행한 사용자 무선단말(200)을 고유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등록 저장하는 고유식별 등록부(105)를 구비하며, 상기 고유식별 등록부(105)는 상기 무선단말(200)/앱(22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정보를 확인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domestic server 100 includes a user wireless terminal (not shown) installed and executing an application 220 installed and executing a specified application 220 and setting a country corresponding to the domestic server 100 as a home country, And a unique identification registration unit 105 for registering and stor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uniquely identifies the mobile terminal 200 / app 220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The unique identification registration unit 105 registers the mobile terminal 200 / The user information of the user to be used can be confirmed and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본인 무선단말(200)에 지정된 앱(220)을 설치하여 실행한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상기 앱(220)을 설치하여 최초 실행(또는 정보 등록 전 실행) 시,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휴대폰번호 및/또는 통신사정보를 추출하고(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이를 해당 앱(220)에 지정된 서버(예컨대, 별도의 앱관리서버, 또는 국내서버(100) 등)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앱(220)이 설치된 무선단말(200)이 특정한 통신사에 정상(또는 유효) 가입된 무선단말(200)인지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A user using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nd executes the application 220 specified by the user's wireless terminal 200. The app 220 of the mobile terminal 200 may be downloaded from the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obile terminal 200 when the app 220 is installed in the user mobile terminal 200 and executed for the first time The mobile terminal 200 extracts (or receives from the user) the mobile phone number and / or the communication company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ransmits it to a server (for example, a separate app management server or a domestic server 100 The mobile terminal 200 can perform a procedure for confirming whether the mobile terminal 200 installed in the app 220 is a mobile terminal 200 that is subscribed to a specific communication company.

상기 무선단말(200)에 설치 실행된 앱(220)은 상기 통신사 가입/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일 시점에 상기 앱(220)의 '홈 국가'를 확인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설정 저장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앱(220)은 해당 무선단말(200)의 운영체제(또는 시스템)에 설정된 국가를 상기 앱(220)의 홈 국가로 자동 설정하거나, 또는 홈 국가 설정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앱(220)의 홈 국가를 지정하여 설정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앱(220)의 홈 국가는 기본적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이 가입된 통신사가 속한 국가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운영체제(또는 시스템)에 설정된 국가를 의미하며, 또는 무선단말(200)이 가입된 통신사가 속한 국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pp 220 install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confirms the 'home country' of the app 220 at a specified point in time before, during and after performing the communication company subscription / authentication procedure, Perform the procedure to save the setting. Preferably, the application 220 automatically sets the country set in the operating system (or system) of the corresponding wireless terminal 200 to the home country of the application 220, or displays the home country setting interface, The home country of the app 220 can be specified and set. The home country of the application 220 is basically a country set in a country where th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affiliated or an operating system (or a system)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200) may include the country to which the subscribed carrier belongs.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앱(220)의 '홈 국가'가 확인/설정된 경우, 상기 앱(220)의 홈 국가로 설정된 국가에 대응하는 국내에 구비된 국내서버(100)로 무선단말(200)의 휴대폰번호 및/또는 통신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고유식별 등록부(105)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휴대폰번호 및/또는 통신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사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사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이 국내의 통신사에 정상(또는 유효) 가입된 무선단말(200)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이 국내의 통신사에 정상(또는 유효) 가입된 무선단말(200)인 경우, 상기 고유식별 등록부(105)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휴대폰번호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ome country' of the app 220 is confirmed / set, the app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searches for a country corresponding to the country set as the home country of the app 220 And can provide mobile phone number and / or communication company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to a domestic server 100 provided in the country. The unique identification registering unit 105 receives the mobile phone number and / or the communication company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from the application 220 of the mobile terminal 200,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is the wireless terminal 200 that is normally (or validly) subscribed to the domestic communication company. When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is a wireless terminal 200 that is subscribed (or valid) to a domestic communication company, the unique identification registration unit 105 stores the mobile phone number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앱(220)의 '홈 국가'가 확인/설정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일 시점에 지정된 앱(220)을 설치 실행하여 상기 국내서버(100)에 대응하는 국가를 홈 국가로 설정한 앱(220)을 설치 실행한 사용자 무선단말(200)을 고유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예컨대, 앱(220)이 설치된 후 앱(220)이 개입하여 중복되지 않게 별도로 고유 할당되어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코드값)를 확인하고, 상기 앱(220)의 홈 국가에 대응하는 국내서버(100)로 전송하여 등록 요청하며, 상기 고유식별 등록부(105)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으로부터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고유식별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유식별정보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기 할당된 휴대폰번호와 다른 별도의 식별정보로서, 상기 고유식별 등록부(105)는 상기 고유식별정보와 휴대폰번호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can designate the app 220 designated at a specified point in time before, after, or after the 'home country' of the app 220 is confirmed /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n app 220) is installed to uniquely identify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that has installed and executed the application 220 installed with the country corresponding to the domestic server 100 as the home country The app 220 is uniquely allocat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app 220 so as to check the code valu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ransmits it to the domestic server 100 corresponding to the home country of the app 220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registering unit 105 receives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app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stores the receive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for management . Preferably,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different from the mobile phone number pre-assigned to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register 105 maps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phone number, Can be stored.

한편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에서 상기 무선단말(200) 및/또는 앱(220)을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를 입력받아 전송하면, 상기 고유식별 등록부(105)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고유식별정보 및/또는 휴대폰번호와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application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receives user information about a user using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 or the application 220 and transmits the user information, The user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app 220 of the terminal 200 and may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in association with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 or the mobile phone number.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국내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설치 실행된 앱(220)에서 위치 측위부(216)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측위하고 상기 측위된 무선단말(200)의 위치에 대응하는 국가가 상기 앱(220)의 홈 국가에 대응하는 국내인지 확인하여 국내가 아닌 것으로 확인(또는 해외로 확인)됨에 의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에서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식별하는 위치식별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으로부터 무선단말(200)의 위치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식별 수신부(110)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등록정보를 구성하여 국내서버(100)의 홈위치등록D/B에 저장하는 홈위치 등록부(115)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the domestic server 100 locates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216 in the application 220 install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It is confirmed that the country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positioned wireless terminal 200 is the domestic corresponding to the home country of the app 220 and confirmed that the country is not domestic (or confirmed overseas)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transmitted from the app 220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from the app 22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And a home location registration unit 115 for storing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and stor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 the home location registration D / B of the domestic server 100.

본인 무선단말(200)에 지정된 앱(220)을 설치하고 상기 앱(220)의 홈 국가를 국내로 확인/설정한 사용자는 상기 무선단말(200)을 소지하고 해외로 출국하여 상기 앱(220)을 실행시킬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는 해외로 출국하여 앱(220)을 설치하여 실행하고 홈 국가를 국내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는 해외로 이동하는 중에 무선단말(200)의 전원을 끄고 있다가 해외에 도착하여 무선단말(200)의 전원을 켜고 부팅 후 앱(220)을 실행할 수 있다.A user installing the application 220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confirming / setting the home country of the application 220 in the home country may carry the wireless terminal 200, Can be execut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operation, the user may go abroad to install and execute the application 220, and set the home country to the home country, thereby not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user can turn off the power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while traveling abroad, and then power on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execute the app 220 after booting.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설치된 앱(220) 실행 시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무선단말(200)이 해외에서 부팅된 후 상기 앱(220)이 실행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들어, 무선단말(200)의 부팅 시 시스템 설정 세부 상태, 파일롯 채널 획득 세부 상태, 동기 채널 획득 세부 상태 및 타이밍 변환 세부 상태를 포함하는 '이동국 초기화 상태'를 거쳐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 또는 '시스템 액세스 상태' 등으로 천이되는데, 만약 해외에 도착하여 무선단말(200)을 부팅할 경우 지정된 상태를 천이하는 과정 중에 원래 가입되어 있던 이동통신망을 찾지 못해 '로밍 대기 상태' 또는 '로밍 상태'로 천이되게 되는데, 상기 무선단말(200)에서 실행된 앱(220)은 상기 무선단말(200)이 '로밍 대기 상태' 또는 '로밍 상태'인지 판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이 해외에서 부팅된 후 상기 앱(220)이 실행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can confirm whether the application 220 is executed after the wireless terminal 200 boots from abroad when the application 220 install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is executed. For example, the 'mobile station call standby state' via the 'mobile station initialization state' including the system setting detailed state at boot, the pilot channel acquisition detailed state, the synchronization channel acquisition detailed state, and the timing conversion detailed state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When the mobile terminal 200 boots the wireless terminal 200 when it arrives overseas, it can not find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iginally subscribed to during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the designated state, and the 'roaming standby state' or the 'roaming state' The app 220 execut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determines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in a 'roaming standby state' or a 'roaming state', and when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booted from abroad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app 220 is in a running state.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설치된 앱(220) 실행 시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무선단말(200)의 위치 측위부(216)(예컨대, GPS모듈 등)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측위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무선단말(200)이 해외에서 부팅된 경우에 상기 위치 측위부(216)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측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application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may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216 (e.g., a GPS module)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when the application 220 install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is executed. And then performs a procedure of position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For example, when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booted from abroad, the app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can locate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n 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216,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위치 측위부(216)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측위하고, 상기 측위된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판독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현재 위치가 상기 앱(220)의 '홈 국가'로 설정된 국내인지 또는 국내가 아닌지 판별하는 절차를 수행한다.The app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locates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216 and reads the position of the positioned wireless terminal 200, 200 is set to the home country of the app 220 or is not domestic.

만약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에서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판독한 결과 상기 무선단말(200)의 현재 위치가 상기 앱(220)의 홈 국가인 국내라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무선단말(200)이 국내에 위치함을 식별하는 국내용 위치식별정보(예컨대, 무선단말(200)의 휴대폰번호(또는 고유식별정보), 국내의 위치에 대응하는 무선단말(200)의 위치정보, 현재 위치한 국가가 국내임을 식별하는 국가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단말(200)에서 접속 가능한 IP기반 통신망을 통해 상기 국내서버(100)로 상기 생성된 위치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식별 수신부(11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홈위치 등록부(115)는 상기 수신된 무선단말(200)의 위치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국내로 등록하는 국내용 위치등록정보(예컨대, 현재 위치한 국가가 국내임을 식별하는 국가식별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해외의 해외서버정보를 '널' 값으로 포함하는 위치등록정보)를 구성하여 국내서버(100)의 지정된 홈위치등록D/B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현재 위치가 국내인 경우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식별정보를 전송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If the current posi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the home country of the application 220 as a result of reading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n the app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app 220 of the mobile terminal 200 is able to recognize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domestic use (e.g., mobile phone number (o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country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identifies that the present country is the home country), and transmits the generated information to the domestic server 100 through the IP-based communication network accessible from the wireless terminal 200. [ And the location identification receiving unit 110 may receive the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from the app 22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The registering unit 115 registers the mobile terminal 200 (For example, including the country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identifies that the presently located country is the domestic country, or an overseas foreign server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that registers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n the home country (I.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s a 'null' value), and store it in the designated home location registration D / B of the domestic serve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in the home country, the app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can freely transmit the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에서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판독한 결과 상기 무선단말(200)의 현재 위치가 상기 앱(220)의 홈 국가인 국내가 아니라면(또는 해외라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무선단말(200)이 국내에 위치하지 아니함(또는 해외에 위치함)을 위치식별정보(예컨대, 무선단말(200)의 휴대폰번호(또는 고유식별정보), 국내의 위치에 대응하지 않는(또는 해외의 위치에 대응하는) 무선단말(200)의 위치정보, 현재 위치한 해외국가를 식별하는 국가식별정보, 현재 위치한 해외지역을 식별하는 지역식별정보, 현재 위치한 해외도시를 식별하는 도시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단말(200)에서 접속 가능한 IP기반 통신망을 통해 상기 국내서버(100)로 상기 생성된 위치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식별 수신부(11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홈위치 등록부(115)는 상기 수신된 무선단말(200)의 위치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해외로 등록하는 위치등록정보(예컨대, 무선단말(200)의 휴대폰번호(또는 고유식별정보), 무선단말(200)의 위치정보, 국가식별정보, 지역식별정보, 도시식별정보, 현재 위치에 대한 표준시 정보, 원래 가입된 국내의 통신사 정보,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해외의 해외서버정보, 해외서버(150)를 경유하여 통신하기 위한 통신설정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국내서버(100)의 지정된 홈위치등록D/B에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홈위치 등록부(115)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과 연동하여 상기 홈위치등록D/B에 등록되는 위치등록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I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is not the home country of the application 220 (or the mobile terminal 200 is a home country of the mobile terminal 200) as a result of read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from the application 220 of the mobile terminal 200 The app 220 of the mobile terminal 200 notifies the mobile terminal 200 that the mobile terminal 200 is not located in the home (or is located overse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domestic location (or corresponds to the location of the foreign country), the country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identifies the currently located overseas country, the area that identifies the currently located overseas reg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domestic server 100 via the IP-based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able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loc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ositional expression The receiving unit 110 receives the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from the app 22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home location register 115 registers the location of the received wireless terminal 200 (O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country identification (e.g., Information on the current location, time information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n the originally subscribed domestic communication company, information on the overseas server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communication setting information for communication via the overseas server 150 To the designated home location registration D / B of the domestic server 100. Preferably, the home location registration unit 115 may periodically updat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home location registration D / B in conjunction with the app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국내서버(100)는, 해외에 위치한 무선단말(200)의 위치등록정보를 근거로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에 구비된 해외서버(150)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해외서버(150)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등록정보를 공유 전달하여 등록시키는 방문위치 등록부(120)를 구비하며, 상기 해외서버(150)는, 상기 국내서버(100)와 연결된 IP기반 통신채널을 통해 해외에 위치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위치등록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위치등록 처리부(155)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the domestic server 100 checks an overseas server 150 provided in an overseas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based on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a wireless terminal 200 located overseas, And a visited location registration unit 120 for sharing and register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with the confirmed overseas server 150. The foreign server 150 is connected to the domestic server 100 And a location registration processor 155 for receiving and register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located overseas via the IP-based communication channel.

상기 홈위치 등록부(115)를 통해 국내서버(100)의 홈위치등록D/B에 해외에 위치한 무선단말(200)의 위치등록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방문위치 등록부(120)는 상기 위치등록정보를 근거로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국가, 해외지역, 해외도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에 대응하는 해외에 구비된 해외서버(150)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해외서버(150)와 국내서버(100) 간 연결된 IP기반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해외서버(150)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등록정보를 공유 전달한다.When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located in the foreign country is registered in the home location registration D / B of the domestic server 100 through the home location registration unit 115, the visited location registration unit 120 registers the location registration The mobile terminal 200 checks the foreign server 150 provided in the foreign country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overseas country, the overseas region, and the foreign city where the mobile terminal 200 is loc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the foreign server 150 through an IP-based communication channel connected to the domestic server 100.

상기 해외서버(150)의 위치등록 처리부(155)는 상기 IP기반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국내서버(100)로부터 해외에 위치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위치등록정보를 수신(또는 일부 정보를 편집하거나 추가)하고, 상기 해외서버(150)의 지정된 방문위치등록D/B에 무선단말(200)의 위치등록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The location registration processing unit 155 of the foreign server 150 receives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located overseas from the domestic server 100 through the IP based communication channel And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may be stored and managed in the designated visited location registration D / B of the foreign server 150. [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지정된 앱(220)이 설치 실행되어 홈 국가가 국내로 설정된 후, 사용자가 해외로 출국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구동하여 상기 구동된 앱(220)에서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측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가 해외인 것으로 판별되어 상기 해외서버(150)의 방문위치등록D/B에 무선단말(200)의 위치등록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앱(220)을 통한 IP기반 호 연결 요청 시 상기 IP기반 호 연결을 요청할 대상서버를 상기 해외서버(150)로 설정하여 관리할 수 있다.After the application 220 install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is installed and the home country is set to the home country, the user departs overseas and drives the app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determined to be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n order to locate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n the overseas server 150 and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D / The application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sets a target server to which the IP-based call connection is requested to the overseas server 150 when requesting an IP-based call connection through the application 220, can do.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사업자(또는 제휴사업자)가 운영하는 전세계 해외서버(150)에 대한 해외서버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가 해외로 확인된 경우,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에 대응하는 해외서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해외서버정보에 대응하는 해외서버(150)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식별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해외서버(150)의 방문위치등록D/B에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 등록을 위한 위치등록정보가 등록되도록 처리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 경우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등록등록정보는 상기 해외서버(150)에서 상기 국내서버(100)로 공유 전달되어 국내서버(100)의 홈위치등록D/B에 등록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may include overseas server information for the overseas server 150 operated by the business entity (or an affiliate business entity). In this case, if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confirmed overseas, the app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confirms the overseas serv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mobile terminal 200 provid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to the foreign server 150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registers the location registration for the location regist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in the visited location registration D / The information can be registered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is case,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may be shared from the foreign server 150 to the domestic server 100 and registered in the home location registration D / B of the domestic server 100.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국내서버(100)는, 지정된 앱(220)을 설치 실행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한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확인하는 발신요청 확인부(160)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의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판독하여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의 발신번호가 상기 방문위치등록D/B에 등록된 위치등록정보와 매칭되는 확인하는 위치등록 확인부(165)와, 상기 발신번호가 상기 방문위치등록D/B의 위치등록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판독하여 상기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가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의 로컬 전화번호인지 확인하는 착신번호 판독부(170)와, 상기 착신번호가 상기 해외의 로컬 전화번호인 경우에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 통신사에 가입된 해외 로컬 폰에 대응하는 폰에뮬레이터(180)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의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해외 로컬 호 연결 요청으로 변환하여 해외 로컬로 발신 처리하는 통화연결 절차부(175)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착신번호 판독부(17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의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판독하여 상기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가 국내 전화번호인지 확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가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 이외에 다른 해외의 전화번호인지 확인 가능하며, 상기 통화연결 절차부(175)는 상기 착신번호가 국내 전화번호인 경우에 국내서버(100)와 해외서버(150) 간 연결된 IP기반 통신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국내서버(100)로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착신번호가 다른 해외의 전화번호인 경우에 상기 해외서버(150)와 다른 해외의 해외서버(150) 간 연결된 IP기반 통신채널을 경유하여 다른 해외서버(150)로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1, the domestic server 100 includes an originating request confirmation unit 160 for confirming an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through the app 22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installed with the specified application 220 And an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of the application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identify whether the origination number of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matches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visited location registration D / B A location registration confirmation unit 165 for reading out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when the calling number matches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visited location registration D / B, 200) is a local telephone number of a foreign country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200) is located; and an overseas local phone number registration unit Via the phone emulator 180 corresponding to < RTI ID = 0.0 > And a mobile terminal 200 App 220 of the IP-based call call connection for converting a connection request to the call connection request to the local processing International calling abroad local procedure unit 175 of. Meanwhile, the called party number reading unit 170 reads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of the app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check whether the called party number of the call connection request is a domestic phone number and /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called number of the request is a foreign telephone number other than the foreign country where the mobile terminal 200 is located. If the called number is a domestic telephone number, 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to the domestic server 100 via the IP-based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foreign servers 150, and when the called number is a different foreign phone number, the foreign server 150 transmits the IP- 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to another foreign server 150 via an IP based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foreign server 150 and another foreign overseas server 150,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지정된 앱(220)을 설치 실행하고 해외에서 앱(220)을 실행하여 자신이 위치한 해외에 구비된 해외서버(150)의 방문위치등록D/B에 위치등록정보를 등록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착신번호를 입력받거나 선택받아 상기 무선단말(200)에서 접속 가능한 IP기반 통신망(예컨대, 해외의 공용/사설 무선랜을 경유하는 IP기반 통신망, 또는 도면3의 중계장치(300)를 경유하는 IP기반 통신망 등)을 통해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한 IP기반 호 연결 요청은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등록정보를 등록한 해외서버(150)로 수신되는데, 상기 발신요청 확인부(160)는 IP기반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으로부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은 호 연결을 발신하는 발신번호(예컨대, 무선단말(200)의 휴대폰번호)와 호 연결을 착신할 착신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220 executes the specified application 220 and executes the application 220 from abroad to register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 the visited location registration D / B of the foreign server 150 provided in the foreign country The application 220 receives a predetermined destination number from a user or selects an IP-based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an IP-based communication network via a foreign public / private wireless LAN, 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through the app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may be requested through an IP based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like via the device 300. The IP- The originating request confirming unit 160 receives an IP 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from the app 22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IP based communication network. Preferably,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may include a calling number (e.g., mobile phone number of the mobile terminal 200) that originates a call connection and a called number to which a call connection is to be received.

상기 발신요청 확인부(160)를 통해 IP기반 호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해외서버(150)의 위치등록 확인부(165)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의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판독하여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의 발신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의 발신번호를 통해 상기 해외서버(150)의 방문위치등록D/B에 등록된 위치등록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의 발신번호가 상기 해외서버(150)의 방문위치등록D/B에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한다.When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is received through the origination request confirmation unit 160, the location registration confirmation unit 165 of the foreign server 150 transmits an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message to the app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nquires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visiting location registration D / B of the foreign server 150 through the originating number of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And checks whether the origination number of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is registered in the visited location registration D / B of the foreign server 150.

만약 상기 위치등록 확인부(165)를 통해 상기 해외서버(150)의 방문위치등록D/B에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으로부터 수신된 IP기반 호 연결 요청의 발신번호가 등록된 경우, 상기 착신번호 판독부(170)는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판독하여 상기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가 상기 IP기반 호 연결을 요청한 앱(220)이 설치된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예컨대, 해외국가, 해외지역, 해외도시 등) 통신사에 가입된 해외의 로컬 전화번호인지 확인한다.If the originating number of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app 220 of the mobile terminal 200 is registered in the visited location registration D / B of the foreign server 150 via the location registration confirmation unit 165 The called party number reading unit 170 reads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to check the called party number of the call connection request, and if the called party number of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is an app (For example, a foreign country, an overseas region, a foreign city, etc.) where the mobile terminal 200 having the mobile terminal 200 installed therein is locat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앱(220) 기반 해외 로컬 발신을 처리하는 해외서버(150)는 상기 해외서버(150)가 구비된 위치한 해외(예컨대, 해외국가, 해외지역, 해외도시 등) 통신사에 가입된 해외 로컬 폰에 대응하는 폰에뮬레이터(180)를 구비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seas server 150 that processes the overseas local origination based on the application 220 can receive the overseas server 150 having the overseas server 150 (e.g., overseas country, overseas region, And a phone emulator 180 corresponding to an overseas local phone subscribed to the service.

상기 폰에뮬레이터(180)는 상기 해외서버(150)가 구비된 해외 통신사에서 자사에 가입된 통화단말로 인식하도록 하드웨어적 및/또는 소프트웨어적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해외 통신사가 운영하는 해외 로컬 전화망(예컨대, 유선 전화망 또는 이동통신망 등)에 접속하여 해외 로컬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해외 로컬 통화단말과 호 연결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The phone emulator 180 is a general term for a hardware and / or software configuration for recognizing the phone emulator 180 as a call terminal subscribed to the company in an overseas communication company provided with the overseas server 150, For example, a wired telephone network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a call connection procedure with an overseas local call terminal corresponding to a foreign local telephone number.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폰에뮬레이터(180)는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 통신사에 가입되고 상기 해외서버(150)와 통신 연결된 실제 통화단말,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 통신사에서 자사에 가입된 가상의 통화단말로 인식되도록 하드웨어적으로 모듈화되어 상기 해외서버(150)와 연동하는 통화모듈,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 통신사에서 자사에 가입된 가상의 통화단말로 인식되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통화모듈,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 통신사에서 자사에 가입된 가상의 통화단말로 인식하도록 하드웨어적 내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통화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ne emulator 18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an overseas communication company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200 is located, A communication module which is hardware-modulized so as to be recognized as a virtual call terminal subscribed to the company by the communication company and is linked to the foreign server 150, a virtual call terminal subscribed to the company in an overseas communication company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200 is located, And a calling modul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for recognizing the calling module as a virtual calling terminal subscribed to the company in an overseas communication company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200 is located, .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폰에뮬레이터(180)는 지정된 해외 통신사 요금 서비스 중 음성통화 요금을 무제한 이용 가능한 음성통화 요금 무제한 서비스 또는 음성통화 요금이 가장 저렴한 요금 서비스에 가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상기 해외서버(150)를 운영하는 사업자는 저렴한 비용(또는 지정된 기본요금이나 정액제 요금 등)으로 해외에 위치한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해 해외 로컬 통화단말로의 전화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ne emulator 180 is preferably subscribed to a tariff service with the lowest voice call rate unlimited service or voice call charge available for unlimited use of the voice call rate among the specified overseas service provider tariffs, The service provider operating the overseas server 150 can provide a telephone call service to the overseas local call terminal through the app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located overseas by using a low cost (or a designated basic charge or a flat fee) can do.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해외서버(150)는 M(M≥2)의 폰에뮬레이터(180)를 구비하거나 또는 지정된 장치에 구비된 M개의 폰에뮬레이터(180)와 연동하여 해외 로컬 발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폰에뮬레이터(180)를 이용함에 의해 해외 통신사와 별도의 복잡한 업무 제휴나 망 연동 없이도 각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이용하여 해외 로컬 전화번호로 IP기반 호 연결을 요청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seas server 150 includes M (M? 2) phone emulators 180 or interworks with M phone emulators 180 provided in a designated device, And using the phone emulator 180, an IP-based call connection is made to an overseas local telephone number by using the app 220 of each wireless terminal 200 without a complex business alliance or network interworking separately from an overseas communication company .

한편 상기 착신번호 판독부(170)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으로부터 수신된 IP기반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가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의 통신사에 가입된 해외의 로컬 전화번호로 확인된 경우, 상기 통화연결 절차부(175)는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 통신사에 가입된 해외 로컬 폰에 대응하는 M개의 폰에뮬레이터(180) 중 어느 한 제m(1≤m≤M) 폰에뮬레이터(180)를 결정(예컨대, M개의 폰에뮬레이터(180) 중 유휴 상태인 어느 한 제m 폰에뮬레이터(180)를 결정)하고,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으로부터 수신된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해외 로컬 호 연결 요청으로 변환한 후, 상기 제m 폰에뮬레이터(180)를 통해 상기 해외 로컬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해외 로컬 통화단말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 절차를 수행하게 처리한다. 상기 해외 로컬 전화망은 상기 호 연결 요청을 제m 폰에뮬레이터(180)가 에뮬레이팅한 로컬 폰의 호 연결 요청으로 처리하며, 상기 해외 로컬 통화단말은 상기 제m 폰에뮬레이터(180)가 에뮬레이팅한 로컬 폰의 호 연결 요청을 착신한다. 만약 상기 해외 로컬 통화단말에서 상기 호 연결 요청을 착신한 경우,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해외서버(150)와의 연결된 IP기반 통신과 상기 제m 폰에뮬레이터(180)를 경유하고 상기 제m 폰에뮬레이터(180)가 가입된 해외 로컬 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해외 로컬 통화단말과 통화채널을 연결한다.Meanwhile, when the called number of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app 220 of the mobile terminal 200 through the called party number reading unit 170 is the number of the foreign party to which the mobile terminal 200 belongs, When the local phone number is confirmed, the call connection procedure unit 175 determines whether one of the M phone emulators 180 corresponding to the foreign local phone subscribed to the foreign communication company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200 is located, (E.g., determining one m-emulator 180 that is idle among the M phone emulators 180), and determines whether the app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ransmits the IP call connection request to the foreign local call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foreign local telephone number through the m-th phone emulator 180 . The foreign local telephone network processes the call connection request as a call connection request of a local phone emulated by the m-th phone emulator 180, and the foreign local call terminal transmits a local The call connection request of the phone is received. If the call connec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foreign local call terminal, the application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ransmits IP-based communication with the foreign server 150 and the m-th phone emulator 180 And connects the call channel to the foreign local call terminal via the foreign local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m-th phone emulator 180 is subscrib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착신번호 판독부(17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의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판독하여 상기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가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의 로컬 전화번호인지 확인하면서(또는 이와는 별도로)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의 홈 국가에 대응하는 국내 전화번호인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가 국내 전화번호로 확인되면, 상기 통화연결 절차부(175)는 국내서버(100)와 해외서버(150) 간 연결된 IP기반 통신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국내서버(100)로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국내서버(100)는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국내 전화망(예컨대, 유선 전화망 또는 이동통신망)에 대한 호 연결 요청으로 변환하고 국내 전화망을 통해 상기 국내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국내 통화단말과 호 연결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국내 통화단말에서 상기 호를 착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해외서버(150)와 국내서버(100) 및 국내 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국내 통화단말과 통화채널을 연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과 국내 통화단말 간 통화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통화요금은 국내용 통화요금이 부과되거나 또는 사업자가 정한 지정된 기본요금(또는 정액제 요금)이 부과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led party number reading unit 170 reads an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of the app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separately),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called number of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is a domestic tele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home country of the app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 If the called number of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is confirmed as a domestic telephone number, the call connection procedure unit 175 transmits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to the domestic server 100 via the IP- 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to the domestic telephone network 100 (for example, a wired telephone network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domestic server 100 may transmit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to the domestic telephone network 100 The application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may be connected to the foreign server 150 in the case of receiving the call from the domestic terminal, The domestic server 100, and the domestic telephone network to the domestic call terminal. Preferably, the call charge for connecting the call channel between the app 220 of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domestic call terminal may be charged for a domestic call charge or a designated base charge (or a charge) set by a carrier hav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착신번호 판독부(17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의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판독하여 상기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가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의 로컬 전화번호인지 확인하면서(또는 이와는 별도로)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가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 이외에 다른 해외의 전화번호인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가 다른 해외의 전화번호로 확인되면, 상기 통화연결 절차부(175)는 상기 해외서버(150)와 다른 해외의 해외서버(150) 간 연결된 IP기반 통신채널을 경유하여 다른 해외서버(150)로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전달받은 다른 해외서버(150)도 M개의 폰에뮬레이터(18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M개의 폰에뮬레이터(180) 중 어느 한 폰에뮬레이터(180)를 결정(예컨대, 유휴 상태의 폰에뮬레이터(180)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폰에뮬레이터(180)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해외의 전화망을 통해 상기 다른 해외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다른 해외의 통화단말로 호를 연결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다른 해외의 통화단말에서 상기 호를 착신한 경우, 상기 해외에 위치한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자신이 위치한 해외의 해외서버(150)와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에 대응하는 다른 해외의 해외서버(150) 및 다른 해외서버(150)의 폰에뮬레이터(180)를 경유하고, 다른 해외의 전화망을 경유하여 다른 해외의 통화단말과 통화채널을 연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과 다른 해외의 통화단말 간 통화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통화요금은 해외 로컬 통화요금이 부과되거나 또는 사업자가 정한 지정된 기본요금(또는 정액제 요금)이 부과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led party number reading unit 170 reads an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of the app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separately),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destination number of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is a foreign telephone number other than the location where the mobile terminal 200 is located. If the called number of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is confirmed by another foreign telephone number, the call connection procedure unit 175 transmits an IP-based communication channel 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to the other foreign server 150 via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Meanwhile, the other foreign server 150 that has received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may also include M phone emulators 180, and may determine one of the M phone emulators 180 And determines the idle phone emulator 180), and connects the call to another foreign call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other foreign phone number through the other foreign phone network using the determined phone emulator 180 Procedure can be performed. When the call is received from the other foreign call terminal, the app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located in the foreign country transmits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to the foreign server 150,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call channel to another foreign call terminal via the corresponding overseas foreign server 150 and the phone emulator 180 of another foreign server 150 via another foreign telephone network. Preferably, the call rate for connecting the call channel between the app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a call terminal of another foreign terminal may be set to a predetermined value, for example, when an overseas local call charge is imposed or a specified base rate Can be imposed.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단말(200)과 앱(22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wireless terminal 200 and an application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해외에서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발신하는 앱(220)을 설치 실행한 무선단말(2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무선단말(200)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2 illustrates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wireless terminal 200 installed and executed by an application 220 that transmits an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from abroad. The wireless terminal 200 has a gener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2,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ways of practicing the functionality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may be referred to and / or modifi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f the above-envisioned methods of implementation,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are not limited only by the method shown in FIG.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200)은, 제어부(202)와 메모리부(218)와 화면 출력부(204)와 사용자 입력부(206)와 사운드 처리부(208)와 이동통신부(212)와 무선랜부(210)와 위치 측위부(216)와 USIM 연동부(214) 및 USIM를 구비하고,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210)를 구비하며, 외부기기와 통신하거나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포트부(215)를 구비한다.2, the wireless terminal 200 includes a control unit 202, a memory unit 218, a screen output unit 204, a user input unit 206, a sound processing unit 208, a mobile communication unit 212, A wireless LAN unit 210, a positioning unit 216, a USIM interlock unit 214, and a USIM, and includes a battery 210 for power supply, a port 210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상기 제어부(202)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202)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지정된 앱(220)의 기능적 구성을 본 제어부(202)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troller 202 is a collective ter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controller 202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and an execution memory,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02 loads at least one program code includ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into the execution memory through the processor, and outputs the result through at least one configuration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Hereinafter,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designated application 220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 will be described in the control unit 202 for convenience.

상기 메모리부(218)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저장 자원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202)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218)는 기본적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무선단말(2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앱(220)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218)에 저장된다.The memory unit 218 is a general term of a nonvolatile memory corresponding to a storage resource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includes at least one program code executed through the control unit 202 and at least one Save and maintain the dataset. The memory unit 218 basically includes a system program code and a system data set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system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 communication program code and a communication data set for proces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 program code and a data set corresponding to the app 22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stored in the memory unit 218.

상기 화면 출력부(204)는 화면출력기(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2)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2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The screen output unit 204 includes a screen output unit (e.g.,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and the like) and a driving module for driving the screen output unit 204. The screen output unit 204 is interlocked with the control unit 202, And outputs an operation result corresponding to the output to the screen output device.

상기 사용자 입력부(206)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입력기(예컨대, 버튼, 키패드, 터치패드, 화면 출력부(204)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2)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202)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202)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The user input unit 206 includes at least one user input device (e.g., a button, a keypad, a touch pad, a touch screen or the like coupled to the screen output unit 204), and a drive module for driving the touch screen. And inputs a command for instructing various operations of the control unit 202 or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202. [

상기 사운드 처리부(208)는 스피커와 마이크로폰과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상기 제어부(202)로 전달한다.The sound processing unit 208 includes a speaker, a microphone, and a drive module for driving the sound processing unit 208. The sound processing unit 208 decodes sound data corresponding to a sound output among various calculation results of the control unit 202 and outputs the sound data through the speaker Or a sound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and transmits the encoded sound signal to the control unit 202.

상기 포트부(215)는 외부기기와 통신하거나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지정된 규격에 따른 지정된 개수의 접점과 상기 접점에 접촉하기 위해 외부기기(또는 케이블)의 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예를들어, 상기 포트부(215)는 마이크로 USB 포트부(215)를 포함하거나, 애플사의 라이트닝 포트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포트부(215)가 상기 예시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어 하나 이상의 접점과 삽입구를 구비하고 이를 기반으로 외부기기와 통신하거나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도록 처리하는 구성부라면, 포트 개수나 삽입구 모양에 무관하게 본 발명의 포트부(215)에 해당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The port 215 is a collective term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or receiving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port 215 is connected to a specified number of contacts according to a specified standard and a connector of an external device (or cable) And an insertion portion. For example, the port unit 215 may include a micro USB port unit 215 or may include Apple's lightning port unit 215. However, the port unit 215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 The port unit 215 may be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contact and an insertion port, and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based on the port,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the port portion 215 of the present invention irrespective of the number of ports and the shape of the insertion port.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포트부(215)에는 도면3의 중계장치(300)의 커넥터부(320)가 접속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포트부(215)는 상기 중계장치(300)로 상기 배터리(210)의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중계장치(300)의 동작 전원으로 이용되게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계장치(300)는 상기 포트부(215)를 통해 각종 제어 항목의 제어정보를 설정 받아 동작할 수 있다. 다만 편의상 본 도면2에서 상기 포트부(215)를 통해 상기 중계장치(300)의 각 제어 항목을 제어 설정하는 앱(220)의 기능 구성은 도시 생략하기로 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portion 320 of the relay device 300 of FIG. 3 may be connected to the port portion 215. In this case, the port portion 215 may be connected to the relay device 300 The power of the battery 210 may be applied to be used as the operating power of the relay device 300. Meanwhile, the relay apparatus 300 can operate by setting control information of various control items through the port unit 215. 2,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app 220 for controlling and setting each control item of the relay device 300 through the port unit 215 will be omitted.

상기 이동통신부(212)는 지정된 국가(예컨대, '국내')에 구비된 기지국을 경유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을 지정된 국가의 이동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2)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202)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동통신부(212)는 상기 무선단말(200)을 교환기를 경유하는 통화채널과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는 통화망에 연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교환기를 경유하지 않고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 데이터망 통신(예컨대, 무선구간을 경유하는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212 is a collective term for communication resources for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200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a designated country via a base station provided in a designated country (for example, 'domestic'). An RF module, a baseband module, and a signal processing module. The control unit 202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2, and transmits a calculation result corresponding to wireless communication among the various calculation results of the control unit 202 Transmits the data to the controller 202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receives data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performs the connection, registration, communication, and handoff procedur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212 can connect the mobile station 200 to a call network including a call channel and a data channel via the exchange, and in some cases, To the wireless data network communication (e. G., The Internet via the wireless secti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이동통신부(212)는 CDMA/WCDMA/LTE 규격에 따라 이동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하며, 특정 이동통신 규격이나 주파수 대역 또는 프로토콜 등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셀 기반의 기지국을 통해 이동통신망에 접속하는 구성부라면 상기 이동통신부(212)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정의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212 i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performs at least one of connec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location registration, call processing, call connection, data communication, and handoff according to the CDMA / WCDMA / And is not limited by a specific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a frequency band, a protocol, or the like. That is, if a component that connects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cell-based base station is defined as belonging to the catego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212,

상기 무선랜부(210)는 일정 거리 이내(예컨대, 10m, 최대 100m)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인터넷에 연결된 AP장치와 무선랜 무선구간을 연결하여 이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을 무선랜 기반의 데이터망(예컨대, 무선랜 무선구간을 포함하는 인터넷)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와이파이 통신 기반 무선랜, 블루투스 통신 기반 무선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을 무선랜 기반의 데이터망에 접속시킬 수 있다.The wireless LAN unit 210 connects an AP apparatus connected to the Internet using a radio frequency signal as a communication medium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10 meters, 100 meters maximum) to the wireless LAN radio section, To a wireless LAN-based data network (for example, the Internet including a wireless LAN radio section), preferably through a wireless LAN based on a Wi-Fi communication or a Bluetooth communication, 200 can be connected to a wireless LAN-based data network.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포트부(215)에 도면3의 중계장치(300)의 커넥터부(320)가 접속하는 경우 상기 무선랜부(210)는 상기 중계장치(300)와 무선랜 무선구간을 연결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은 상기 중계장치(300)와 연결된 무선랜 무선구간을 경유하여 상기 중계장치(300)가 접속한 지정된 해외의 이동통신망을 경유하는 무선 데이터망에 접속할 수 있다.3, when the connector unit 320 of the relay apparatus 300 of FIG. 3 is connected to the port unit 215, the wireless LAN unit 210 may be connected to the relay apparatus 300, The wireless terminal 200 transmits wireless data via the wireless LAN to the relay apparatus 300 via the wireless LAN 200.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relay apparatus 300, It is possible to connect to the network.

상기 USIM 연동부(214)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The USIM interworking unit 214 is a generic term of a configuration for exchanging at least one data set with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that is mounted or detached from the mobile station 200 based on the ISO / IEC 7816 standard , And the data set is exchanged in a half duplex communication manner through an APDU (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

상기 USIM은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따른 IC칩이 구비된 SIM 타입의 카드로서, 상기 USIM 연동부(214)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IC칩용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IC칩 메모리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단말(200)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따라 상기 IC칩용 프로그램코드를 연산하거나 상기 데이터셋트를 추출(또는 가공)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USIM is an SIM type card having an IC chip conforming to the ISO / IEC 7816 standard, and includes an input / output interface including at least one contact connected to the USIM interface 214, a program code for at least one IC chip (Or processing) the program code for the IC chip or extracting (or processing) the data set in accordance with at least one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200 in connection with the input / output interface To the input / output interface.

상기 위치 측위부(216)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측위하는 측위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한 단말기 방식 측위 기술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측위할 수 있다. 단말기 방식 측위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내장된 GPS모듈(또는 GPS 기능을 내장한 모듈)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정밀 측위하는 기술로서, GPS위성에서 보내는 위치신호를 무선단말(200)이 읽어 기지국에 알려주는 A-GPS (Assisted-GPS) 방식, 지상의 기준 수신기로부터 보정신호를 받아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신호의 오차를 보정하는 DGPS(Differential GPS)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sition locating unit 216 is a collective term of locating resources for locating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location locating unit 216 preferably locates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a terminal type positioning technique usin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Can be positioned. The terminal mode positioning is a technique for precisely positioning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a GPS module (or a module including a GPS function) built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Assisted-GPS) method in which the base station 200 reads and informs the base station, a DGPS (Differential GPS) method that corrects an error of a position signal received from a satellite in response to a correction signal from a ground reference receiver, and the like have.

상기 무선단말(200)은 상기 통신 자원을 통해 지정된 앱제공서버(예컨대, 애플사의 앱스토어 등) 지정된 앱(220)을 다운로드하여 설치 실행하며, 상기 실행된 앱(220)은 상기 제어부(202)로 로딩된다.The wireless terminal 200 downloads and installs the designated application 220 specified by the specified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e.g., Apple's App Store, etc.) through the communication resource, and the executed application 22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02, Lt; / RTI >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앱(220)의 최초 실행(또는 정보 등록 전 실행) 시 해외에서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발신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를 확인하여 국내서버(100)로 등록 요청하는 정보 등록부(225)와, 상기 앱(220)의 최초 실행(또는 홈 국가 설정 전 실행) 시 상기 앱(220)의 홈 국가를 확인/설정하는 홈 설정부(23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2, the application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may transmit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transmitting an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from abroad when the app 220 is first executed (or before execution of information registration) An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225 for registering with the domestic server 100 for verification and setting a home country for confirming / setting the home country of the app 220 when the app 220 is executed for the first time (230).

상기 앱(220)의 최초 실행(또는 홈 국가 설정 전 실행) 시, 상기 홈 설정부(230)는 상기 앱(220)의 '홈 국가'를 확인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설정 저장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홈 설정부(23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운영체제(또는 시스템)에 설정된 국가를 상기 앱(220)의 홈 국가로 자동 설정하거나, 또는 홈 국가 설정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앱(220)의 홈 국가를 지정하여 설정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앱(220)의 홈 국가는 기본적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이 가입된 통신사가 속한 국가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운영체제(또는 시스템)에 설정된 국가를 의미하며, 또는 무선단말(200)이 가입된 통신사가 속한 국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me setting unit 230 confirms the 'home country' of the application 220 and performs a procedure of setting and storing the 'home country'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when the app 220 is executed for the first time (or before the home country setting) . Preferably, the home setting unit 230 automatically sets the country set in the operating system (or system)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the home country of the application 220 or displays the home country setting interface, To designate and set the home country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220. The home country of the application 220 is basically a country set in a country where th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affiliated or an operating system (or a system)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200) may include the country to which the subscribed carrier belongs.

본 발명의 제1 정보 등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앱(220)의 설치 후 최초 실행(또는 정보 등록 전 실행) 시, 상기 정보 등록부(225)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휴대폰번호를 확인하여 국내서버(100)로 등록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국내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휴대폰번호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information registra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pp 220 is first executed (or before execution of information registration) after installation of the application 220, the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225 checks the mobile phone number of the mobile terminal 200 The domestic server 100 may request registration with the domestic server 100, and the domestic server 100 may receive the mobile phone number of the mobile terminal 200 and store the mobile phone number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본 발명의 제2 정보 등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홈 설정부(230)를 통해 상기 앱(220)의 홈 국가를 '국내'로 확인/설정하는 경우, 상기 정보 등록부(225)는 상기 홈 국가를 설정한 앱(220)을 설치 실행한 무선단말(200)을 고유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를 확인하여 국내서버(100)로 등록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국내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에 대한 고유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information registra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ome country of the app 220 is confirmed / set as 'home country' through the home setting unit 230, the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225 registers the home country The domestic server 100 may request the registration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uniquely identifies the wireless terminal 200 installed with the application 220 with the wireless terminal 200 installed therein. And stores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본 발명의 제3 정보 등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등록부(225)는 상기 앱(220)의 설치 실행 후 사용자정보를 입력받아 국내서버(100)로 등록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국내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information registra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225 receives the user information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application 220 and requests registration to the domestic server 100, Can receive the user information and store it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앱(220)의 실행 시 상기 위치 측위부(216)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측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240)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국가가 상기 앱(220)의 홈 국가에 대응하는 국내인지 확인하는 국가 확인부(245)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가 상기 국내가 아닌 경우 IP기반 통신을 통해 상기 앱(220)의 홈 국가에 대응하는 국내에 구비된 국내서버(100)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식별하는 위치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위치 전송부(250)를 구비하며, 상기 앱(220)의 실행 시 상기 무선단말(200)이 해외에서 부팅된 후 상기 앱(220)이 실행되었는지 확인하는 상태 확인부(235)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app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216 when the app 220 is executed, A position confirming unit 240 for confirm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and a position determining unit 240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by read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220) corresponding to the home country of the application (220) through IP-based communication when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not the domestic, And a location transmitter 250 for transmitting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to the domestic server 100. The mobile terminal 200 may include a location transmitter 250, And a state checking unit 235 for checking whether the app 220 is executed after booting.

상기 무선단말(200)에서 상기 앱(220)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상태 확인부(235)는 상기 무선단말(200)이 해외에서 부팅된 후 상기 앱(220)이 실행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상태 확인부(235)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상태가 '로밍 대기 상태' 또는 '로밍 상태'인지 판별하여 해외에서 부팅 후 실행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application 220 is execut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status checker 235 can check whether the application 220 is executed after the wireless terminal 200 boots from abroad. For example, the status checking unit 235 may determine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in a 'roaming standby state' or a 'roaming status' to check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200 has been booted from abroad.

상기 무선단말(200)에서 상기 앱(220)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위치 확인부(240)는 상기 위치 측위부(216)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국가 확인부(245)는 상기 홈 설정부(230)를 통해 설정된 앱(220)의 홈 국가에 대응하는 국내의 위치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정보가 상기 국내의 위치 영역에 속하는지 아닌지 판독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국가가 상기 앱(220)의 홈 국가에 대응하는 국내인지 또는 국내가 아닌지 확인한다. When the application 220 is execut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240 determines whether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determined by 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216, The country identifying unit 245 check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home 220 corresponding to the home country of the application 220 through the home setting unit 230, And determines whether the country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domestic or domestic corresponding to the home country of the app 220. [

만약 상기 무선단말(200)의 현재 위치가 상기 앱(220)의 홈 국가에 대응하는 국내가 아니라면(예컨대, 해외라면), 상기 위치 전송부(25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현재 위치와 해외국가(지역/도시) 등을 고유 식별하는 위치식별정보를 생성하고, IP기반 통신을 통해 상기 앱(220)의 홈 국가에 대응하는 국내에 구비된 국내서버(100)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식별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국내서버(100)는 상기 위치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 등록을 위한 위치등록정보를 구성하여 지정된 홈위치등록D/B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If the current posi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not the home country corresponding to the home country of the application 220 (for example, if it is overseas), the position transmitter 250 transmit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generates the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uniquely identifies the overseas country (region / city), and transmits the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200) via a domestic server 100 provided in the country corresponding to the home country of the application 220 through IP- The domestic server 100 configures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location regist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based on the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egisters and stores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 a designated home location registration D / B .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200)의 포트부(215)에 도면3의 중계장치(300)가 외장 탑재된 경우, 상기 위치 전송부(250)는 상기 중계장치(300)를 경유하는 IP기반 통신을 통해 상기 앱(220)의 홈 국가에 대응하는 국내에 구비된 국내서버(100)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3 is externally mounted on the port unit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transmitter 250 transmits the relay apparatus 300 of FIG.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the domestic server 100 provided in the country corresponding to the home country of the application 220 through the IP based communication via the network 220, No.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 전송부(25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현재 위치가 국내인 경우에도 국내에 위치한 무선단말(200)의 현재 위치를 고유 식별하는 위치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국내서버(100)로 전송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transmitter 250 may transmit posi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osition information ") that uniquely identifie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located in the domestic, And transmits the generated data to the domestic server 100,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상기 국내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등록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의 해외서버(150)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등록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해외서버(150)의 방문위치등록D/B에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등록정보가 등록되게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에서 자신이 위치한 해외서버(150)를 확인하여 상기 해외서버(150)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해외서버(150)의 방문위치등록D/B에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등록정보가 등록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Meanwhile, the domestic server 100 reads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dentifies the location where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located, and transmits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to the overseas server 150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can be transferred to the visited location registration D / B of the foreign server 150 so that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registered. The application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confirms the foreign server 150 located therein and transmits the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the overseas server 150,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may be registered in the visited location registration D / B of the server 150,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지정된 앱(220)이 설치 실행되어 홈 국가가 국내로 설정된 후, 사용자가 해외로 출국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구동하여 상기 구동된 앱(220)에서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측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가 해외인 것으로 판별되어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의 해외서버(150)의 방문위치등록D/B에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등록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등록정보가 등록된 해외서버정보를 획득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며, 이 후 상기 해외서버정보에 대응하는 해외서버(150)를 통해 IP기반 호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220 is install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home country is set to the home country so that the user departs overseas and the application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accessed,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determined to be located overseas and the overseas server 150 in which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located to locate the wireless terminal 200 in the driven app 220, When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is registered in the visited location registration D / B of the mobile terminal 200, the app 220 of the mobile terminal 200 transmits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Acquires the information, stores the information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and then requests the IP-based call connection through the foreign server 150 corresponding to the foreign server information.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앱(220)의 실행 시 상기 앱(220)의 상태가 IP기반 통신을 통해 IP기반 호 연결을 요청 가능한 상태인지 확인하는 상태 확인부(235)와, 상기 앱(220)의 동작 상태를 무선단말(200)의 IP기반 통신을 통해 IP기반 호 연결을 요청 가능한 상태로 전환/설정하는 상태 처리부(255)를 구비한다.2, the application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determines whether the status of the application 220 is an IP-based call connection status through the IP-based communication when the application 220 is executed And a state processor 255 for switching / sett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application 220 to a state capable of requesting an IP-based call connection through IP-based commun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

상기 무선단말(200)에서 상기 앱(220)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상태 확인부(235)는 상기 앱(220)의 상태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IP기반 통신을 통해 IP기반 호 연결을 요청 가능한 상태인지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상태 확인부(235)는 상기 앱(220)이 해외에서 부팅 후 실행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앱(220)이 해외에서 부팅된 후 실행된 경우에 IP기반 호 연결을 요청 가능한 상태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태 확인부(235)는 상기 홈 설정부(230)를 통해 상기 앱(220)의 홈 국가가 확인/설정되는 조건, 상기 위치 전송부(250)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식별정보가 지정된 서버로 전송되어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등록정보가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의 해외서버(150)의 방문위치등록D/B에 등록되는 조건,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등록정보가 등록된 해외서버정보가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조건 등이 만족되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앱(220)의 홈 국가가 설정되고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등록정보가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서버(150)의 방문위치등록D/B에 등록되고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가 등록된 해외서버정보가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경우에 상기 앱(220)의 상태가 IP기반 호 연결을 요청 가능한 상태를 만족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application 220 is execut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status checking unit 235 determines whether the state of the application 220 is an IP-based call connection through the designated IP- Is in a requestable st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us checking unit 235 can check whether the app 220 has been booted after booting from abroad. If the app 220 is booted from abroad and then executed,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at least one condition among the requestable status conditions of the connection is satisfied. The status confirming unit 235 may determine whether the home country of the app 220 is confirmed or set via the home setting unit 230, A condition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transmitted to the designated server and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registered in the visiting location registration D / B of the foreign server 150 in which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located,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condition that the foreign server information in which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is registered is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is registered in the visited location registration D / B of the foreign server 150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200 is located and the foreign server information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is registered is registered in the mobile terminal 200 The state of the app 220 is stored in a specified storage area of the IP-based It can be found that can satisfy the requested connection.

만약 상기 앱(220)의 상태가 IP기반 호 연결을 요청 가능한 조건을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상태 처리부(255)는 IP기반 호 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조건 중 만족되지 않는 조건을 확인하고, 만족되지 않는 조건이 만족되도록 처리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앱(220)의 상태가 IP기반 호 연결을 요청 가능한 조건을 만족한 경우, 상기 상태 처리부(255)는 상기 앱(220)의 동작 상태를 상기 해외서버(150)와 통신하는 IP기반 통신을 통해 IP기반 호 연결을 요청 가능한 상태로 전환한다. 예를들어, 상기 상태 처리부(255)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사운드 처리부(208)에 대한 접근 권한을 획득하거나 및/또는 상기 해외서버(150)와 전화통화를 위한 패킷 송수신 프로토콜을 합의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IP기반 통신망(예컨대, 해외의 공용/사설 무선랜을 경유하는 IP기반 통신망, 또는 도면3의 중계장치(300)를 경유하는 IP기반 통신망 등)을 경유하여 해외서버(150)에 접속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If the state of the application 220 does not satisfy at least one of the conditions for requesting an IP-based call connection, the state processing unit 255 checks an unsatisfactory condition among the conditions for requesting an IP-based call connec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a procedure of processing such that the unsatisfied condition is satisfied. If the state of the application 220 satisfies a condition that an IP-based call connection can be requested, the state processing unit 255 notifi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application 220 to an IP-based communication Lt; RTI ID = 0.0 > IP-based < / RTI > call connection to a requestable state. For example, the state processing unit 255 may acquire an access right to the sound processing unit 208 includ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 or transmit a packet transmission / reception protocol for telephone conversation with the foreign server 150 (IP-based communication network via the public / private wireless LAN of the foreign country, or IP-based communication via the relay apparatus 300 of FIG. 3)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like) to the foreign server 150.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착신번호를 입력받아 IP기반 통신을 통해 IP기반 호 연결을 요청하는 통화 요청부(260)와, 상기 착신번호에 대응하는 통화단말에서 상기 호 연결 요청을 착신한 경우 상기 호 착신을 기반으로 IP기반 통신을 경유하여 통화단말과 통화를 처리하는 통화 처리부(265)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2, the application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ncludes a call request unit 260 receiving an incoming call number and requesting an IP-based call connection through IP-based communication, And a call processing unit (265) for processing a call with the call terminal via IP-based communication based on the call reception when the call terminal receives the call connection request.

상기 앱(220)의 동작 상태가 IP기반 호 연결 가능한 상태이거나 전환된 경우, 상기 통화 요청부(260)는 화면 출력부(204)와 연동하여 착신번호를 입력/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착신번호가 입력/선택되면, 상기 통화 요청부(26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휴대폰번호(또는 IP기반 호 연결을 요청하기 위해 부여된 가상전화번호)를 발신번호로 포함하고 상기 입력된 착신번호를 포함하는 IP기반 호 연결 요청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IP기반 통신망(예컨대, 해외의 공용/사설 무선랜을 경유하는 IP기반 통신망, 또는 도면3의 중계장치(300)를 경유하는 IP기반 통신망 등)을 경유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서버(150)로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정보를 전송한다.The call request unit 260 displays an interface for inputting / selecting the destination number by interworking with the screen output unit 204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application 220 is an IP-based call connectable state or is switched. When the called number is inputted / selected through the interface, the call request unit 260 includes the mobile number of the mobile terminal 200 (or a virtual phone number given to request an IP-based call connection) as a calling number 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inputted call destination number, and transmits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input destination number to the designated IP-based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an IP-based communication network via a foreign / 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information to the foreign server 150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200 is located via the IP based communication network via the relay device 300 of the mobile terminal 200.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의 해외서버(150)는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판독하여 상기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가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의 로컬 전화번호인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가 상기 해외의 로컬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해외서버(150)는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 통신사에 가입된 해외 로컬 폰에 대응하는 폰에뮬레이터(180)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의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해외 로컬 호 연결 요청으로 변환하여 해외 로컬로 발신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해외 로컬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해외 로컬 통화단말은 상기 호 연결 요청을 착신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해외 로컬 통화단말에서 상기 호 연결 요청을 착신한 경우, 상기 통화 처리부(265)는 상기 해외서버(150)와의 IP기반 통신, 상기 해외서버(150)의 폰에뮬레이터(180), 상기 폰에뮬레이터(180)가 접속한 해외 통신사의 해외 로컬 전화망을 경유하여 해외 로컬 통화단말과 통화채널을 연결하여 통화(예컨대, 음성통화, 화상통화 등)를 처리한다.The foreign server 150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200 is located receives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reads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and determines that the called terminal number of the call connection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200 Make sure that the local phone number is located overseas. If the called number of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is the local phone number of the foreign country, the foreign server 150 transmits the IP address of the phone emulator 180 corresponding to the foreign local phone subscribed to the foreign communication company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200 is located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of the application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may be converted into an overseas local call connection request and may be transmitted to an overseas local call terminal through an external local call terminal May receive the call connection request. If the call connec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foreign local call terminal, the call processing unit 265 performs IP based communication with the foreign server 150, the phone emulator 180 of the foreign server 150, (E.g., voice call, video call, etc.) by connecting a call channel with an overseas local call terminal via an overseas local telephone network of an overseas communication company to which the terminal 180 is connected.

한편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가 국내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해외서버(150)는 국내서버(100)와 연결된 IP기반 통신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국내서버(100)로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국내서버(100)는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국내 통신사의 호 연결 요청으로 변환하여 국내 통신사의 전화망을 통해 국내 통화단말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국내 통화단말에서 상기 호 연결 요청을 착신한 경우, 상기 통화 처리부(265)는 상기 해외서버(150)와의 IP기반 통신, 상기 해외서버(150)와 국내서버(100) 간 IP기반 통화채널, 국내서버(100)와 국내 전화망을 경유하여 국내 통화단말과 통화채널을 연결하여 통화(예컨대, 음성통화, 화상통화 등)를 처리할 수 있다.Meanwhile, if the called party number of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is a domestic telephone number, the foreign server 150 transmits the IP-based call connection to the domestic server 100 via the IP-based communication channel connected to the domestic server 100 And the domestic server 100 may convert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into a call connection request of a domestic communication company and request a call connection to a domestic call terminal through a telephone network of a domestic communication company. When the call connec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domestic call terminal, the call processing unit 265 performs IP based communication with the foreign server 150, IP based call channel between the foreign server 150 and the domestic server 100, (E.g., voice call, video call, etc.) by connecting a call channel with a domestic call terminal via the domestic server 100 and the domestic telephone network.

한편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의 다른 해외의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해외서버(150)는 다른 해외서버(150)와 연결된 IP기반 통신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다른 해외서버(150)로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다른 해외서버(150)는 다른 해외의 통신사에 가입된 다른 해외 로컬 폰에 대응하는 폰에뮬레이터(180)를 통해 상기 전달받은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다른 해외 로컬의 호 연결 요청으로 변환하여 다른 해외의 통화단말로 발신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다른 해외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다른 해외 통화단말은 상기 호 연결 요청을 착신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다른 해외 통화단말에서 상기 호 연결 요청을 착신한 경우, 상기 통화 처리부(265)는 상기 해외서버(150)와의 IP기반 통신, 상기 해외서버(150)와 다른 해외서버(150) 간 IP기반 통화채널, 다른 해외서버(150)의 폰에뮬레이터(180), 상기 폰에뮬레이터(180)가 접속한 다른 해외 통신사의 다른 해외 전화망을 경유하여 다른 해외 통화단말과 통화채널을 연결하여 통화(예컨대, 음성통화, 화상통화 등)를 처리할 수 있다.Meanwhile, if the IP address of the foreign server 150 is another foreign phone number of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the foreign server 150 transmits the IP-based call to the foreign server 150 via the IP- And the other foreign server 150 may transmit the received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to another foreign local call through a phone emulator 180 corresponding to another foreign local phone subscribed to another overseas communication company, The call connection request can be converted into a connection request and transmitted to another foreign call terminal, and the foreign call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other foreign telephone number can receive the call connection request. If the call connec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other foreign call terminal, the call processing unit 265 performs IP based communication with the foreign server 150, IP based communication between the foreign server 150 and the foreign server 150 A call channel, a phone emulator 180 of another foreign server 150, and a foreign telephone network of another foreign communication company to which the phone emulator 180 accesses, Call, video call, etc.).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랜 중계장치(3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relay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도면2의 무선단말(200)의 포트부(215)에 접속 가능한 커넥터부(320)를 구비하여 상기 커넥터부(320)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배터리(210) 전원을 동작 전원으로 인가받아 동작 가능하고, 상기 커넥터부(320)를 통해 무선단말(200)을 통해 무선랜 중계를 위한 지정된 제어 항목의 제어 설정이 가능하며, 상기 동작 전원을 인가해주기로 지정된 무선단말(200)과 무선랜 무선구간을 연결하고 무선단말(200)과의 무선랜 무선구간을 해외의 지정된 이동통신망을 경유하는 이동통신 무선구간으로 선택적으로 확장하여 무선 데이터망에 연결시키는 무선랜 중계장치(3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무선랜 중계장치(300)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3 shows a connector 320 that can be connected to a port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of FIG. 2. The connector 320 includes a battery 21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 And can control the designated control item for relaying the wireless LAN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connector unit (320) A wireless LAN 200 for connecting the wireless terminal 200 with a wireless LAN and selectively extending a wireless LAN radio section with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a mobile communication wireless section via a designate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lay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Variety 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method of implementation (e.g., some of the components may be omitted, or broken down, or combined) may be inferred, but the present invention encompasses all such contemplated embodiments,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thereof are not limited.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중계장치(300)는, 지정된 해외국가의 지정된 이동통신망에 접속하는 이동통신모듈(315)과, 동작 전원을 인가해주기로 지정된 무선단말(200)과 무선랜 무선구간을 연결하는 무선랜모듈(310)과, 상기 무선단말(200)의 포트부(215)에 접속 가능하며 외부의 배터리(210) 전원을 동작 전원으로 인가받아 상기 이동통신모듈(315)과 무선랜모듈(310)로 공급하는 커넥터부(320)와, 상기 커넥터부(320)를 통해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상기 무선랜모듈(310)과 이동통신모듈(315) 사이의 통신경로 연결을 제어하며 상기 커넥터부(320)를 통해 상기 동작 전원을 인가해주기로 지정된 무선단말(200)과 통신한 결과를 기반으로 무선랜 중계를 위한 J(J≥1)개의 제어 항목 중 적어도 i(1≤i≤J)개의 제어 항목의 제어 설정 가능하며 지정된 j(1≤j≤J)개의 제어 항목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부(320)를 통해 인가되는 동작 전원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랜모듈(310)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과 무선랜 무선구간을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305)을 구비한다.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connected to a designate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a designated foreign country and a wireless terminal 200 designated as an operating power source,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is connected to the port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 battery 210.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and the wireless LAN module 31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operates by receiving operation power through the connector 320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path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LAN module 31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1? I? J) among J (J? 1) control items for wireless LAN relay based on a result of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terminal 200 designated to apply the operation power through the connector unit 320 ) Of control items can be set and the designated j (1 ≤ j ≤) control items A control module 305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connect to the wireless LAN wireless section through the wireless LAN module 310 based on operation power applied through the connector 320 in a state in which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set up. Respectively.

상기 커넥터부(320)는 미리 지정된 무선단말(200)의 일 측에 구비된 포트부(215)에 접속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상기 무선단말(200)의 상기 포트부(215)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각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각각의 접촉점을 구비하며, 상기 포트부(215)에 접속한 상태를 지지하여 유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예를들어, 상기 커넥터부(320)는 스마트폰의 마이크로 USB 포트에 접속 가능한 마이크로 USB 커넥터부(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실시예에 따라 애플사의 아이폰에 구비된 라이트닝 포트에 접속 가능한 라이트닝 커넥터부(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한 커넥터부(320)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connector unit 320 is a general term for a component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rt unit 215 provided on one side of a predetermined wireless terminal 200. The port unit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ncludes a connector unit 320, And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nd holding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port portion 215. The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tact points, For example, the connector 320 may include a micro USB connector 320 that can be connected to a micro USB port of a smart phone. Alternatively, the connector 320 may include a lightning port And the connector 32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of the specific connector 32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무선랜 중계장치(300)는 상기 커넥터부(320)를 통해 배터리(210)를 내장한 무선단말(200)의 포트부(215)에 접속한 상태에서 무선단말(200)의 배터리(210) 전원을 포함하는 외부 배터리(210) 전원을 동작 전원으로 인가받아 동작하거나, 또는 상기 커넥터부(320)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포트부(215)와 호환되는 포트를 지닌 휴대용 배터리(210) 팩의 포트에 접속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210) 팩의 배터리(210) 전원을 포함하는 외부 배터리(210) 전원을 동작 전원으로 인가받아 동작하며, 내부적으로 지정된 시간 동안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10)를 내장하지 아니함으로써 소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300 is connected to the port unit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n which the battery 210 is installed through the connector unit 320,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operated by receiving an external battery 210 power source including a power source of the battery 210 of the mobile terminal 200 as an operating power or by operating A portable battery 210 having a port is connected to a port of the battery 210 and an external battery 210 including a battery 210 of the battery pack 210 is operated as an operation power source, The battery 210 that does not supply the operation power is not incorporated.

상기 무선랜 중계장치(300)는 상기 커넥터부(320)를 통해 상기 동작 전원을 인가해주기로 지정된 무선단말(200)의 포트부(215)에 접속한 상태에서 상기 지정된 무선단말(200)과 통신하여 상기 무선랜모듈(310)을 통해 상기 지정된 무선단말(200)과 무선랜 무선구간을 연결하여 상기 이동통신모듈(315)을 통해 무선 데이터망(예컨대, 하나 이상의 무선구간을 포함하는 인터넷)에 연결하는 무선랜 중계를 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 항목을 설정 받거나, 또는 별도의 지정된 관리단말의 포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지정된 무선단말(200)의 무선랜 중계 절차(예컨대, 상기 무선랜모듈(310)을 통해 상기 지정된 무선단말(200)과 무선랜 무선구간을 연결하여 상기 이동통신모듈(315)을 통해 무선 데이터망에 연결하는 망 중계 절차)를 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 항목을 설정 받을 수 있으며, 상기 무선랜 중계 절차를 위해 설정 가능한 J(J≥1)개의 제어 항목 중 적어도 지정된 j(1≤j≤J)개의 제어 항목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부(320)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과 실시간 통신(또는 연동)하지 않더라도 상기 커넥터부(320)를 통해 인가되는 외부의 배터리(210) 전원으로 동작 전원으로 이용하여 상기 지정된 무선단말(200)의 무선랜 중계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300 communicates with the designated wireless terminal 20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port unit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designated to apply the operation power through the connector unit 320, (E.g., the Internet including one or more wireless sections)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by connecting the designated wireless terminal 200 to the designated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wireless LAN module 310 (For example, the wireless LAN module 310 is connected to a port of a designated management terminal), or the wireless LAN relay process of the designated wireless terminal 200 A network relay procedure for connecting the designated wireless terminal 200 to the wireless data network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by connecting the wireless terminal 200 with the designated wireless terminal 200) Wherein at least a specified j (1? J? J) control items among J (J? 1) control items that can be set for the wireless LAN relay procedure are set,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wireless LAN relay procedure of the designated wireless terminal 200 using the power of the external battery 210 applied through the connector 320 as an operation power source have.

한편 상기 무선랜 중계장치(300)는 상기 무선랜모듈(310)을 통해 상기 지정된 무선단말(200)과 무선랜 무선구간을 연결하여 상기 지정된 무선단말(200)의 무선랜 중계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부(320)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과 통신 가능하더라도 상기 커넥터부(320)를 경유하는 망 중계 절차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지정된 무선단말(200)은 지정된 무선AP를 통해 무선랜에 연결하기 위한 무선랜부(210)와 지정된 이동통신망에 연결하기 위한 이동통신부(212)를 기 구비하고 있는데, 만약 상기 무선랜 중계장치(300)의 커넥터부(320)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포트부(215)에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무선단말(200)의 포트부(215)에서 상기 무선랜 중계장치(300)의 커넥터부(320)를 경유하여 상기 무선랜 중계장치(300)의 무선랜모듈(310)로 연동하는 망 중계 절차를 활성화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포트부(215)에서 상기 무선랜 중계장치(300)의 커넥터부(320)를 경유하여 상기 무선랜 중계장치(300)의 이동통신모듈(315)로 직접 연동하는 망 중계 절차를 활성화할 경우, 일부 무선단말(200)의 운영체제(즉, 각 무선단말의 운영체제는 본 발명의 무선랜 중계장치(300)가 포트부(215)에 연결되는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제작됨)에서 상기 무선단말(200) 내부의 무선랜부(210)와 상기 무선랜 중계장치(300)의 무선랜모듈(310) 간 충돌이 발생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200) 내부의 이동통신부(212)와 상기 무선랜 중계장치(300)의 이동통신모듈(315) 간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무선랜 중계장치(300)의 커넥터부(320)와 무선랜모듈(310) 및/또는 이동통신모듈(315)을 연동하는 망 중계 절차를 비활성화(=배제)시킴으로써, 혹시라도 일부 무선단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돌 문제를 배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300 can perform a WLAN relay procedure of the designated wireless terminal 200 by connecting the designated wireless terminal 200 with the wireless LAN wireless section through the wireless LAN module 310 And may deactivate the network relaying process via the connector 320 even though the communication unit 320 can communicate with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connector unit 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gnated wireless terminal 200 includes a wireless LAN unit 210 for connecting to a wireless LAN through a designated wireless AP and a mobile communication unit 212 for connecting to a designate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f the port portion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port portion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while the connector portion 320 of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300 is connected to the port portion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mobile terminal 200 activates a network relay procedure for interworking with the wireless LAN module 310 of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300 via the connector unit 320 of the relay apparatus 300 and / When activating the network relay procedure directly link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of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300 via the connector unit 320 of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300, The operating system of the terminal 200 (i.e., the operating system of each wireless terminal is a wireless LAN The wireless LAN module 21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wireless LAN module 200 of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300 may be connected to the port unit 215. [ 310 may collide with each other and / or a collision may occur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212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of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300.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disables (excludes) the network relay procedure linking the connector unit 320 of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300 with the wireless LAN module 310 and / or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It is desirable to exclude the collision problem that may occur in the wireless terminal.

상기 이동통신모듈(315)은 지정된 해외국가의 지정된 이동통신망에 접속하는 통신모듈의 총칭으로서, 상기 커넥터부(320)를 통해 외부의 배터리(210) 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바람직하게 지정된 해외국가의 지정된 이동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USIM을 탑재하거나 또는 이탈착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is a general term for a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a designate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a designated foreign country and operates through an operating power source appli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of the battery 210 via the connector 320, It is possible to mount or demount a USIM for accessing a designate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a designated foreign country.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랜 중계장치(300)가 의존하는 무선단말(200)(=무선랜 중계장치(300)의 커넥터부(320)를 통해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해주기로 지정된 무선단말(200))의 이동통신부(212)를 통해 접속하는 이동통신망(또는 상기 무선단말(200)과 연동하는 USIM을 통해 가입된 이동통신망)의 망 사업자가 속한 국가를 '국내'라고 했을 때, 상기 무선랜 중계장치(3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이 속한 '국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용도라기 보다는(실시예에 따라 국내에서도 사용 가능), 상기 무선단말(200)이 속한 '국내' 이외의 다른 해외국가에 방문(또는 입국)했을 때, 상기 해외국가의 지정된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을 무선랜 기반의 무선 데이터망(예컨대, 무선랜 무선구간을 포함하는 인터넷 등)에 연결하기 위한 중계장치(300)이다. 이에 상기 무선랜 중계장치(300)의 이동통신모듈(315)은 상기 무선랜 중계장치(300)가 의존하는 무선단말(200)이 속한 국내의 이동통신망이 아닌, 미리 지정된 특정한 해외국가의 지정된 이동통신망에 접속하는 통신모듈의 총칭으로서, 미리 지정된 특정한 해외국가의 지정된 이동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USIM을 탑재하거나 또는 이탈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terminal 200 (= wireless LAN device 300 connected to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300 via the connector unit 320 and dependent on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300) When a country in which a network operator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bscribed via a USIM linked with the wireless terminal 200) connec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212 of the terminal 200 is a 'domestic'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300 may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in a location other than 'domestic' to which the wireless terminal 200 belongs, The wireless terminal 200 may be connected to a wireless LAN based wireless data network (e.g., the Internet including a wireless LAN radio section) via a designate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foreign country when the mobile terminal 200 visits (or enters) The relay device 300 is a relay device for connecting the relay device 300 to the relay device.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of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300 notifies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wireless LAN 200 that the wireless LAN access device 300 depends on, As a generic term of the communication module to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it is preferable that a USIM for connecting to a predetermine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a predetermined foreign country predetermined or desorbed is mount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이동통신모듈(315)(또는 이동통신모듈(315)에 탑재/이탈착되는 USIM)은 미리 지정된 해외국가의 지정된 이동통신망의 요금체계 중 데이터 요금을 무료로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데이터 요금 무제한' 서비스나 이에 준하는 요금 서비스에 가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약 상기 지정된 해외국가의 지정된 이동통신망에 '데이터 요금 무제한' 서비스나 이에 준하는 요금 서비스가 없는 경우, 해당 국가의 지정된 이동통신망에서 제공하는 요금 서비스 중 '데이터 요금이 가장 저렴한 요금' 서비스나 이에 준하는 요금 서비스에 가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기반으로 지정된 무선단말(200)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무료(또는 가장 저렴한 비용)로 지정된 해외국가의 지정된 이동통신망을 경유하는 무선 데이터망(예컨대, 이동통신망의 무선구간을 포함하는 인터넷)에 접속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or a USIM loaded / unloa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can freely and unlimitedly charge the data fee of the designate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ee system of a predetermined foreign country It is desirable to subscribe to the 'unlimited data rate' service or the equivalent rate service that can be used. If there is no 'data rate unlimited' service or equivalent service in the designated mobile network of the designated overseas country, It is preferable that the 'data rate is the cheapest rate' service or the fee service equivalent thereto among the rate services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at one or more terminals including the designated mobile terminal 200 are free Cost) of a wireless data network via a designate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a foreign country ( I pray, it is possible to access the internet, including a radio link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이동통신모듈(315)(또는 이동통신모듈(315)에 탑재/이탈착되는 USIM)은 미리 지정된 해외국가의 지정된 이동통신망에만 접속 가능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정된 해외국가의 지정된 이동통신망 이외의 다른 국가의 이동통신망으로 로밍 기능이 차단(또는 비활성화)되는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이동통신모듈(315)(또는 상기 USIM)은 상기 지정된 해외국가의 지정된 이동통신망 이외에 다른 국가의 다른 망 사업자가 운영하는 다른 이동통신망으로의 로밍 기능을 차단(또는 비활성화)함은 물론, 다른 국가의 동일 망 사업자가 운영하는 이동통신망으로의 로밍 기능도 차단(또는 비활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로밍 기능 차단(또는 비활성화)를 위해 상기 이동통신모듈(315)(또는 상기 USIM)에 내부에 지정된 정보가 설정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이동통신모듈(315)(또는 상기 USIM)이 가입된 이동통신망 상의 지정된 망구성장치에 지정된 정보가 등록될 수 있다. 한편 미리 지정된 해외국가의 지정된 이동통신망 이외에 특정한 다른 국가의 이동통신망에 로밍 하더라도 데이터 요금이 무료이거나 지정된 해외국가의 데이터 요금과 동일(또는 동급)이라면 로밍 기능을 차단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또는 활성화)하더라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or a USIM loaded / unloa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is preferably set to be connectable only to a designate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a predetermined foreign country, It is preferable that the roaming function is blocked (or deactiva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a country other than the designate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designated foreign country. For example,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or the USIM) blocks (or deactivates) a roaming function to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perated by another network operator in a country other than the designate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designated foreign country, It is desirable to also block (or deactivate) the roaming func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perated by the same network operator of another country. Information specifi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or the USIM) may be set for blocking (or deactivating) the roaming function, or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or the USIM) Information specified in the designated network configuration device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registered. On the other hand, if the data fee is free or the data fee of the designated overseas country is the same (or equivalent) even if roam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a specific country other than the predetermine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predetermined overseas country, the roaming function is not block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이동통신모듈(315)(또는 이동통신모듈(315)에 탑재/이탈착되는 USIM)은 음성통화 호 연결 기능이 차단(또는 비활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통신모듈(315)(또는 상기 USIM)은 미리 지정된 해외국가의 지정된 이동통신망에 접속하는 경우라도 음성통화 호 연결 기능이 차단(또는 비활성화)되는 바람직하며, 오직 '데이터 요금 무제한' 서비스나 '데이터 요금이 가장 저렴한 요금' 서비스를 통해 이용 가능한 무선 데이터망 통신 기능이 활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or the USIM mounted / detached to /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preferably blocks (or deactivates) the voice call connection function. Preferabl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or the USIM) may block (or deactivate) a voice call connection function even if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accesses a designate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a predetermined foreign country. It is desirable that the available wireless data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is activated through a service or a service with the lowest data rate.

상기 무선랜모듈(310)은 상기 커넥터부(320)를 통해 동작 전원을 인가해주기로 지정된 무선단말(200)의 무선랜부(210)와 무선랜 무선구간을 연결하는 통신모듈의 총칭으로서, 상기 커넥터부(320)를 통해 외부의 배터리(210) 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동작 전원을 인가해주기로 지정된 무선단말(200)을 포함하는 N(N≥2)개의 단말기와 무선랜 무선구간을 연결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WLAN module 310 is a general term for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nnecting a wireless LAN section of a wireless LAN section 210 of a wireless terminal 200 designated to apply operation power through the connector section 320, (N > = 2) terminals including the wireless terminal 200 that is operated through an operation power source applied from a power source of an external battery 210 through a power supply unit 320, It is preferable that a wireless LAN radio section can be connect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랜모듈(310)은 동작 전원을 인가해주기로 지정된 무선단말(200)과 우선적으로 무선랜 무선구간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동작 전원을 인가해주기로 지정된 무선단말(200)과 무선랜 무선구간이 연결된 후에 나머지 (N-1)개의 단말기와 무선랜 무선구간을 연결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랜 중계장치(300)는 자신이 의존하고 있는 무선단말(200)을 우선적으로 무선랜을 통해 무선 데이터망에 연결하는 것을 제1 목표로 하며, 추가적으로 무선단말(200)을 통해 허용해준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로 무선랜 무선구간을 연결하여 무선 데이터망에 연결하게 해줄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200)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와 무선랜 무선구간을 연결하도록 설정하지 않는 경우 상기 무선랜모듈(310)은 상기 지정된 무선단말(200)과만 무선랜 무선구간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ireless LAN module 310 connects a wireless LAN section with a wireless terminal 200 designated as an operating power source, And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remaining (N-1) terminals to the wireless LAN radio section after the terminal 200 and the wireless LAN radio section are connected. That is,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300 firstly aims to connect the wireless terminal 200, which it depends on, to the wireless data network through the wireless LAN, And connect the wireless LAN section to one or more other terminals to connect to the wireless data network. Meanwhile, when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not set to connect a wireless LAN section with one or more other terminals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wireless LAN module 310 can connect the wireless LAN section to the designated wireless terminal 200 only Do.

상기 제어모듈(305)은 상기 무선랜모듈(310)과 이동통신모듈(315)을 이용한 무선랜 중계 절차를 제어하는 모듈의 총칭으로서, 상기 커넥터부(320)를 통해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상기 무선랜모듈(310)과 이동통신모듈(315) 사이의 통신경로 연결을 제어하며, 상기 커넥터부(320)를 통해 상기 동작 전원을 인가해주기로 지정된 무선단말(200)과 통신한 결과를 기반으로 무선랜 중계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J(J≥1)개의 제어 항목 중 적어도 i(1≤i≤J)개의 제어 항목의 제어 설정 가능하며, 상기 J개의 제어 항목 중 지정된 적어도 j(1≤j≤J)개의 제어 항목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부(320)를 통해 인가되는 동작 전원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랜모듈(310)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과 무선랜 무선구간을 연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305 collectively refers to a module for controlling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relay procedure using the wireless LAN module 31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The control module 305 operates by receiving operation power through the connector 320 A communication path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LAN module 31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and a communication result with the wireless terminal 200 designated to apply the operating power through the connector 320, (1? I? J) control items among J (1? I? J) control items for performing a wireless LAN relay procedure based on at least j (1?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LAN wireless unit through the wireless LAN module 310 on the basis of the operation power applied through the connector unit 320 in a state in which the wireless terminal 200 can do.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305)은, 상기 커넥터부(320)를 통해 외부의 배터리(210) 전원이 동작 전원으로 인가되는지 확인하는 전원 확인부(325)와, 상기 동작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 상기 커넥터부(320)를 통해 지정된 무선단말(200)에 연결된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말 확인부(330)와, 상기 커넥터부(320)를 통해 지정된 무선단말(200)이 연결된 경우에 상기 무선단말(200)과 통신하여 무선랜 중계 절차를 위해 설정 가능한 J(J≥1)개의 제어 항목 중 적어도 i(1≤i≤J)개의 제어 항목에 대한 i개의 제어정보를 제공받아 설정하는 제어 설정부(335)와, 상기 커넥터부(320)를 통해 외부의 배터리(210) 전원이 동작 전원으로 인가되고 상기 J개의 제어 항목 중 무선랜 중계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적어도 j(1≤j≤J)개의 제어 항목의 제어정보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설정 확인부(340)와, 적어도 지정된 j개의 제어정보가 설정된 경우에 상기 설정된 j개의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J개의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랜모듈(310)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과 무선랜 무선구간을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무선랜 연결부(345)와, 상기 무선단말(200)과 연결된 무선랜 무선구간을 상기 이동통신모듈(315)이 접속한 지정된 해외국가의 지정된 이동통신망을 경유하는 이동통신 무선구간으로 중계 연결하는 이동통신 연결부(350)를 구비하며, 상기의 구성부들은 프로그램코드 형태 및/또는 칩이나 제어회로 형태 등으로 구현 가능하며, 특정한 구현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 module 305 includes a power source confirmation unit 325 for checking whether a power source of an external battery 210 is applied as an operating power source through the connector unit 320, A terminal confirmation unit 330 for confirming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designated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connector 320 when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or 320, A control for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receive and set i pieces of control information for at least i (1? I? J) control items among J (J? 1) control items that can be set for the wireless LAN relay procedure A setting unit 335 and at least j (1? J?), Which is necessary for performing a WLAN relaying process among the J control items, J) Check whether the control information of the control item is set And a control unit 340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wireless LAN module 310 using J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the set j pieces of control information when at least j pieces of control information are set,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AN) connection unit 345 for connecting the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AN) and the wireless LAN connection unit 345 to each other, And a mobil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350 for performing a relay connec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radio s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de and / or a chip or a control circuit. Or more.

상기 제어모듈(305)은 상기 커넥터부(320)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동작 전원으로 이용하여 동작하며, 상기 전원 확인부(325)는 상기 커넥터부(320)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 구성(예컨대, 전압, 전류, 접지 상태 등)을 판독하여 무선단말의 배터리(210) 전원이 인가되는지 또는 무선단말로 충전된 전원을 공급 가능한 휴대용 배터리(210) 팩의 배터리(210) 전원이 인가되는지 또는 AC전원을 DC로 변환한 비 배터리(210) 전원이 인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들어, AC전원을 DC로 변환하여 인가되는 경우 접지 상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배터리(210) 전원의 경우 접지가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는데, 상기 전원 확인부(325)는 상기와 같이 커넥터부(320)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의 접지 상태를 판독하여 배터리(210) 전원이 인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넥터부(320)가 무선단말의 포트부(215)에 연결되는 경우에 무선단말 측으로부터 포트부(215)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통해 각종 데이터 신호나 트리거 신호 등이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커넥터부(320)의 각종 접촉점을 통해 지정된 신호가 검출되는지 판별함으로써 무선단말의 배터리(210) 전원이 인가되는지 아니면 휴대용 배터리(210) 팩의 배터리(210) 전원이 인가되는지 판별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210) 전원의 인가 여부를 판별하지 않아도 무방한 경우 상기 전원 확인부(325)는 생략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control module 305 operates by using a power supplied through the connector 320 as an operation power source and the power source confirmation unit 325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320 through a power supply configuration The battery 210 of the portable battery 210 pack capable of supplying power charged to the wireless terminal 210 is supplied with power, or the AC power (i.e., voltage, current, ground state, etc.) The power of the non-battery 210 converted into DC is applied. For example, when the AC power is converted into DC, the grounding state can be stably performed. However, the power source of the battery 210 may not be properly grounded.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power of the battery 210 is applied by reading the ground state of the power source applied through the power source 320. Meanwhile, when the connector 320 is connected to the port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various data signals, trigger signals, and the like may be generated through at least one contact provided in the port 215 from the wireless terminal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power supply of the battery 210 of the wireless terminal or a power supply of the battery 210 of the portable battery 210 is applied by determining whether a designated signal is detected through various contact points of the connector 320 . On the other hand, if it is not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power source of the battery 210 is applied, the power source verifying unit 325 may be omitted,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커넥터부(320)를 통해 동작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단말 확인부(330)는 상기 커넥터부(320)를 통해 지정된 무선단말(200)과 합의된 프로토콜에 따라 지정된 정보 교환을 시도하여 상기 커넥터부(320)를 통해 지정된 무선단말과 연결된 상태인지 확인한다. 상기 정보 교환 시도는 상기 무선단말 측에서 개시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어모듈(305)을 통해 개시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When the operating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connector 320, the terminal check unit 330 tries to exchange information designated according to a protocol agreed with the designated mobile terminal 200 through the connector 320, And confirms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designated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connector unit 320. [ The information exchange attempt may be initiated either on the wireless terminal side or via the control module 305,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어모듈(305)은 동작 전원을 인가해줄 무선단말(200)을 식별/인증하기 위한 지정단말식별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지정단말식별정보는 해외국가로 출국하려는 사용자에게 상기 무선랜 중계장치(300)를 전달(예컨대, 임대, 판매 등)하기 직전(또는 전달하는 시점)에 상기 커넥터부(320)를 지정된 관리단말(예컨대, 지정된 마스터 키를 통해 관리자권한으로 제어모듈(305)에 접근 가능한 단말장치)을 통해 설정 등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정단말식별정보는 상기 중계장치(300)로 동작 전원을 인가해주기로 지정된 무선단말(200)의 전화번호, IMSI, IMEI, MSISDN, UICCID 등을 비롯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무선랜부(210)에 부여된 MAC주소 등, 상기 지정된 무선단말(200)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odule 305 can store and manage designat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 authenticating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which the operation power is to be suppli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For example, the designat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nector unit 320 immediately before (or at the time of transmitting)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300 to the user who intends to depart for a foreign country, (For example, a terminal device that can access the control module 305 with an administrator authority via a designated master key). The designat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elephone number, an IMSI, an IMEI, an MSISDN, a UICCID, and the like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designated to supply operation power to the relay device 300, The MAC address assigned to the LAN unit 210, and the like, and at least o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pable of uniquely identifying the designated wireless terminal 200. [

한편 해외국가로 출국하려는 사용자에게 지정된 저장영역에 유효한 지정단말식별정보를 저장하지 않은 무선랜 중계장치(300)를 전달(예컨대, 임대, 판매 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지정단말식별정보는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을 통해 설정 등록될 수 있다. 상기 중계장치(300)를 전달받은 사용자는 본인 무선단말(200)의 포트부(215)에 상기 중계장치(300)의 커넥터부(320)를 연결하며, 상기 제어모듈(305)의 단말 확인부(330)는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지정단말식별정보를 저장하기로 지정된 저장영역에 유효한 지정단말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유효한 지정단말식별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 확인부(330)는 커넥터부(320)를 통해 연결된 무선단말과 통신을 시도하여 지정단말식별정보를 등록/설정하기 위한 인증 절차(예컨대, 중계장치(300)의 전달 시점에 사용자에게 전달한 식별번호를 입력 요청하여 인증하는 절차, 및/또는 중계장치(300)의 일 면에 인자/부착된 일련번호나 비밀번호를 입력 요청하여 인증하는 절차 등)를 수행하며, 상기 인증 절차의 인증 성공 시 상기 무선단말은 지정된 지정단말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포트부(215)를 통해 상기 제어모듈(305)로 제공하며, 상기 제어모듈(305)의 단말 확인부(330)는 상기 커넥터부(320)를 통해 상기 지정단말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지정된 저장영역에 설정 등록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지정단말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무선단말은 상기 중계장치(300)로 동작 전원을 인가해주기로 지정된 무선단말(200)로 설정 등록된다.(For example, lease, sale, etc.) that does not store the designat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valid in the storage area designated for the user who intends to depart for the overseas country. In this case, Can be registered and registered through the user's wireless terminal (200). The user who has received the relay apparatus 300 connects the connector unit 320 of the relay apparatus 300 to the port unit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controller 330 operates based on the operation power source and checks whether the designat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area designated to store the designat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f the designat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vali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is not stored, the terminal confirmation unit 330 may register the designat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attempting to communicate with the connected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connector unit 320 and register / (For example, a procedure for requesting and authenticat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transmitted to the user at the point of delivery of the relay apparatus 300) and / or a procedure for inputting the serial number or password printed / attached to one side of the relay apparatus 300 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is successful, the wireless terminal confirms the specified designat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 module 305 through the port unit 215, The terminal confirmation unit 330 of the terminal 305 may receive the designat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connector unit 320 and register the terminal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The wireless terminal is registered in response to a set wireless terminal 200 specified by now is the operation power to the relay device 300. The

한편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유효한 지정단말식별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단말 확인부(330)는 상기 커넥터부(320)를 통해 연결된 무선단말 측으로 상기 지정단말식별정보를 요청하거나 또는 상기 지정단말식별정보를 수신 대기하며, 상기 커넥터부(320)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 측으로부터 상기 지정단말식별정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지정단말식별정보가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지정단말식별정보와 매칭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커넥터부(320)를 통해 수신된 지정단말식별정보가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의 지정단말식별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지정단말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무선단말은 상기 중계장치(300)가 의존하는 무선단말(200)(또는 중계장치(300)로 동작 전원을 인가해주기로 지정된 무선단말(200))로 확인될 수 있다.Meanwhile, when validat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the terminal confirmation unit 330 requests the designat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wireless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or unit 320, Receives the designat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connector unit 320, and checks whether the received designat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es the designat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When the designat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nnector 320 is matched with the designat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signated storage area, the wireless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s wireless The mobile terminal 2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designated to supply operation power to the relay device 300) can be confirmed.

상기 단말 확인부(330)를 통해 지정된 무선단말(200)이 상기 커넥터부(320)를 통해 연결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설정 확인부(340)는 무선랜 중계 절차를 위해 설정 가능한 J개의 제어 항목 중 무선랜 중계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적어도 j개의 제어 항목에 대응하는 j개의 제어정보가 유효하게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ireless terminal 200 designated through the terminal confirmation unit 330 is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or unit 320, the setting confirmation unit 340 determines J control items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j contro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j control items necessary for performing a wireless LAN relay procedure is effectively set.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J개의 제어 항목은, 무선랜모듈(310)의 SSID설정/변경, 접속비밀번호 설정/변경, 지정된 서버 측에 중계장치(300)의 사용 등록/해제, 중계장치(300)를 통해 사용 가능한 통신 용량(예컨대, 총 용량, 단위 기간 별 용량 등) 설정, 사용자 수(예컨대, 전체 사용자 수, 동시 사용자 수 등) 설정, 추가 단말기 등록(예컨대, 전화번호 등록)(예컨대, 무선단말(200) 외에 중계장치(300)를 이용한 단말기의 전화번호 등록)/해제, 사용 가능/차단 시간대(예컨대, 현재 지역 표준시 기준 사용 가능/차단 시간대) 설정, 중계장치(300)를 통해 무선랜 중계 절차를 수행하도록 허용된 허용 앱 등록/해제(예컨대, 화이트리스트를 기반으로 중계장치(300)를 이용 가능한 앱 목록을 등록/해제 가능, 허용 앱이 등록되면 등록된 허용 앱만 중계장치(300)를 이용하여 무선 데이터망을 통해 지정된 대상과 통신 가능함), 중계장치(300)를 통해 무선랜 중계 절차를 수행하지 못하도록 불허된 불허 앱 등록/해제(예컨대, 블랙리스트를 기반으로 중계장치(300)를 이용을 차단할 앱 목록을 등록/해제 가능, 불허 앱이 등록되면 등록된 불허 앱은 중계장치(300)를 이용하지 못하도록 차단함) 등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통상의 무선AP에서 설정 가능한 제어 항목과 매칭되는 항목은 상기 J개의 제어 항목에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 control items include an SSID setting / change of the wireless LAN module 310, a connection password setting / changing, use registration / release of the relay apparatus 300 on the designated server side, (E.g., total capacity, capacity for each unit period), setting the number of users (e.g., total number of users, number of concurrent users, etc.) For example, in addition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setting / canceling of a telephone number of the terminal using the relay device 300, setting of a use / cutoff time zone (for exampl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register / cancel the list of apps that can use the relay device 300 based on the whitelist, to allow only the registered permitted apps only when the permitted app is registered, (300) (For example, by using the relay device 300 on the basis of a black list) that is not allowed to perform the wireless LAN relay procedure through the relay device 300 (Not shown in FIG. 3), and the registered unauthorized application is prevented from using the relay device 300 when the unauthorized application is registered), and a control that can be set by a normal wireless AP Items matched with the item may be included in the J control items.

만약 상기 J개의 제어 항목 중 무선랜 중계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적어도 j개의 제어 항목에 대응하는 j개의 제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정보라도 유효하게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 설정부(335)는 상기 커넥터부(320)를 통해 연결된 무선단말(200)로 상기 j개의 제어 항목 중 미 설정된 제어 항목에 대한 제어정보를 설정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If at least one of the j pieces of contro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j control items required for performing the wireless LAN relay procedure among the J pieces of control items is not effectively set, the control setting unit 335 And may request the wireless terminal 200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or 320 to set control information for an uncontrolled control item among the j control items.

한편 상기 지정된 무선단말(200)은 상기 J개의 제어 항목 중 적어도 j개의 제어 항목에 대한 i개의 제어정보를 설정하여 포트부(215)를 통해 상기 제어모듈(305)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설정부(335)가 상기 커넥터부(320)를 통해 j개의 제어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미 설정 제어 항목에 대한 제어정보를 요청한 경우, 상기 무선단말(200)은 상기 미 설정 제어 항목을 포함하는 i개의 제어 항목에 대한 i개의 제어정보를 설정하여 포트부(215)를 통해 상기 제어모듈(305)로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designated wireless terminal 200 may set i control information for at least j control items among the J control items and provide the i control information to the control module 305 through the port unit 215, When the setting unit 335 requests control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unset control item among the j control items through the connector unit 320, the wireless terminal 200 transmits i I < / RTI > control information for each of the control items to be provided to the control module 305 through the port unit 215. [

상기 제어 설정부(335)는 상기 커넥터부(320)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을 통해 설정된 i개의 제어 항목에 대한 i개의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i개의 제어정보를 통해 상기 무선랜모듈(310)에 지정된 i개의 각 제어 항목을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 setting unit 335 receives i pieces of control information for the i control items set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connector unit 320, It is possible to set i control items assigned to the LAN module 310. [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i개의 제어 항목은 무선랜모듈(310)의 SSID설정/변경, 접속비밀번호 설정/변경, 지정된 서버 측에 중계장치(300)의 사용 등록/해제, 중계장치(300)를 통해 사용 가능한 통신 용량(예컨대, 총 용량, 단위 기간 별 용량 등) 설정, 사용자 수(예컨대, 전체 사용자 수, 동시 사용자 수 등) 설정, 추가 단말기 등록(예컨대, 전화번호 등록)(예컨대, 전화번호 등록)/해제, 사용 가능/차단 시간대(예컨대, 현재 지역 표준시 기준 사용 가능/차단 시간대) 설정, 중계장치(300)를 통해 무선랜 중계 절차를 수행하도록 허용된 허용 앱 등록/해제(예컨대, 화이트리스트를 기반으로 중계장치(300)를 이용 가능한 앱 목록을 등록/해제 가능, 허용 앱이 등록되면 등록된 허용 앱만 중계장치(300)를 이용하여 무선 데이터망을 통해 지정된 대상과 통신 가능함), 중계장치(300)를 통해 무선랜 중계 절차를 수행하지 못하도록 불허된 불허 앱 등록/해제(예컨대, 블랙리스트를 기반으로 중계장치(300)를 이용을 차단할 앱 목록을 등록/해제 가능, 불허 앱이 등록되면 등록된 불허 앱은 중계장치(300)를 이용하지 못하도록 차단함) 중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J개의 제어 항목 중 어느 항목이라도 상기 i개의 제어 항목에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 control items include the SSID setting / change of the wireless LAN module 310, the connection password setting / changing, registration / release of use of the relay device 300 on the designated server side, (E.g., total capacity, capacity per unit period, etc.), setting the number of users (e.g., total number of users, number of concurrent users, etc.) (For example, the current local standard time use / disconnection time zone), the permitted application registration / cancellation permitted to perform the wireless LAN relay procedure through the relay device 300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register / cancel a list of apps that can use the relay device 300 based on the whitelist. When the permitted app is registered, only the registered permitted apps are relayed to the designated target via the wireless data network (For example, a list of apps to block the use of the relay device 300 based on a black list can be registered / canceled), an unauthorized application registration / cancellation (I. E., When the unauthorized application is registered, the registered unauthorized application blocks the use of the relay device 300), and any of the J control items may be included in the i control items .

상기 제어 설정부(335)를 통해 적어도 i개의 제어 항목에 대한 i개의 제어정보가 설정되거나 및/또는 지정된 관리단말을 통해 무선랜 중계 절차를 위한 필수 항목의 제어정보가 설정됨으로써, 상기 설정 확인부(340)를 통해 상기 무선랜 중계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적어도 j개의 제어 항목에 대응하는 j개의 제어정보가 유효하게 설정됨이 확인된 경우, 상기 무선랜 연결부(345)는 상기 설정된 j개의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J개의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랜모듈(310)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을 검출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단말(200)이 검출되는 경우에 상기 검출된 무선단말(200)과 무선랜 무선구간을 연결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무선랜모듈(310)은 상기 무선단말(200)을 검출하고 상기 무선단말(200)이 검출되는 경우에 상기 검출된 무선단말(200)과 무선랜 무선구간을 연결하는 절차를 수행한다.I control information for at least i control items is set through the control setting unit 335 and / or control information of essential items for the wireless LAN relay procedure is set through the designated management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j contro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j control items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WLAN relay procedure is effectively set through the wireless LAN connection unit 340, The mobile terminal 200 is controlled to detect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wireless LAN module 310 using J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detected wireless terminal 200. When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detected, 200 and a wireless LAN wireless section, the wireless LAN module 310 detects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when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detected, 200) and the wireless LAN radio section.

한편 상기 설정 확인부(340)를 통해 확인 결과 상기 J개의 제어 항목 중 '사용자 수'가 복수이고 '추가 단말기 등록'을 통해 상기 동작 전원을 인가해주기로 지정된 무선단말(200) 이외에 추가로 무선랜 중계 절차를 수행할 추가 단말기가 등록된 경우, 상기 무선랜 연결부(345)는 상기 무선랜모듈(310)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 이외에 추가 등록된 (N-1)개의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를 검출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검출되는 경우에 상기 검출된 단말기와 무선랜 무선구간을 연결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무선랜모듈(310)은 추가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를 검출하고 상기 단말기가 검출되는 경우에 상기 검출된 단말기와 무선랜 무선구간을 연결하는 절차를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the confirmation through the setting confirmation unit 340, in addition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designated as 'the number of users' among the J control items and applying the operation power through 'additional terminal registration' When an additional terminal to perform the relay procedure is registered, the wireless LAN connection unit 345 transmits at least one of (N-1) terminals additionally registered in addition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wireless LAN module 310 And controls to connect the detected terminal with the wireless LAN radio section when at least one terminal is detected, and the wireless LAN module 310 detects at least one terminal additionally registered And performs a procedure of connecting the detected terminal to the wireless LAN radio section when the terminal is detected.

상기 무선랜모듈(310)을 통해 지정된 무선단말(200)과 무선랜 무선구간이 연결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 연결부(350)는 상기 무선단말(200)과 연결된 무선랜 무선구간을 상기 이동통신모듈(315)이 접속한 지정된 해외국가의 지정된 이동통신망을 경유하는 이동통신 무선구간으로 확장하여 중계 연결할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LAN module through the wireless LAN module 310,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50 connects the wireless LAN module connect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to the mobile communication radio section via the designate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designated foreign country 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connect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이동통신 연결부(350)는 상기 J개의 제어 항목 중 지정된 k(1≤k≤J)개의 제어 항목의 설정 값을 근거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무선랜 무선구간을 상기 이동통신모듈(315)을 이용한 이동통신 무선구간으로 확장할 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k개의 제어 항목은 통신 용량, 사용 가능/차단 시간대, 허용 앱, 불허 앱 중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J개의 제어 항목 중 통신 용량이 설정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 연결부(350)는 상기 통신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무선단말(200)의 무선랜 무선구간을 상기 이동통신 무선구간으로 확장하지 않도록 판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J개의 제어 항목 중 사용 가능 시간대가 설정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 연결부(350)는 상기 사용 가능 시간대 이외의 시간대인 경우에 상기 무선단말(200)의 무선랜 무선구간을 상기 이동통신 무선구간으로 확장하지 않도록 판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J개의 제어 항목 중 허용 앱이 설정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 연결부(35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 중 상기 허용 앱이 무선랜 무선구간을 이용하는 경우에 상기 무선단말(200)의 무선랜 무선구간을 상기 이동통신 무선구간으로 확장하도록 판별하되, 그렇지 않은 경우에 상기 무선단말(200)의 무선랜 무선구간을 상기 이동통신 무선구간으로 확장하지 않도록 판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350 may determine that the wireless LAN 20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200 based on the set values of the control items designated by k (1? K? J)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extend the perio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radio section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 In this case, the k control item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mmunication capacity, an available / blocked time zone, an allowed app, and an unapproved app. 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capacity among the J control items is set, the mobil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350 transmits the wireless LAN radio se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radio section It can be determined not to expand. Or if the usable time zone is set among the J control items, the mobil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350 transmits the wireless LAN wireless zone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wireless zone in a time zone other than the usable time zone It can be determined not to expand. Or when the allowed app among the J control items is set, the mobil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350 transmits, when the allowed app uses the wireless LAN radio section among the apps of the mobile station 200, It is determined that the wireless LAN section is to be exten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wireless section. Otherwise, the wireless LAN section 200 can be determined not to extend the wireless LAN sec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wireless section.

만약 상기 지정된 무선단말(200)의 무선랜 무선구간을 상기 이동통신 무선구간으로 확장하도록 판별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 연결부(350)는 상기 무선단말(200)과 무선랜모듈(310) 사이에 연결된 무선랜 무선구간을 지정된 해외국가의 지정된 이동통신망 상의 기지국가 상기 이동통신모듈(315) 사이에 사이의 이동통신 무선구간으로 확장 중계 연결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무선랜모듈(310)과 이동통신모듈(315)은 프로토콜 스택 구조 상의 물리계층(Physical layer), 데이터링크계층(Data link layer), 네트워크계층(Network layer) 중 최하위 계층(또는 둘 이상의 하위계층을 순차적으로)을 연동하여 상기 무선단말(200)과 무선랜모듈(310) 사이에 연결된 무선랜 무선구간을 이동통신모듈(315)과 이동통신망 사이의 이동통신 무선구간으로 확장함으로써, 상기 무선랜모듈(310)과 무선랜 무선구간이 연결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이동통신 무선구간으로 확장한 무선 데이터망(예컨대, 상기 무선단말(200)과 무선랜모듈(310) 사이의 무선랜 무선구간을 포함하고 이동통신모듈(315)과 이동통신망 사이의 이동통신 무선구간을 포함하는 인터넷)에 연결한다.If it is determined to extend the wireless LAN radio section of the designated wireless terminal 20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wireless sec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connection section 350 is connected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wireless LAN module 310 And controls the extension relay connection of the wireless LAN radio sec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radio sec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on the designate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designated foreign country. The wireless LAN module 31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lowest layer among the physical layer, the data link layer, and the network layer on the protocol stack structure, The wireless LAN module 310 and the wireless LAN module 3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sequentially expand the wireless LAN wireless section connected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wireless LAN module 31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wireless sec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module 310 and a wireless terminal 200 connected to a wireless LAN radio section are connected to a wireless data network exten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wireless section such as a wireless LAN wireless section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wireless LAN module 310 And connects to the Internet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radio sec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이동통신 연결부(350)는 상기 J개의 제어 항목 중 지정된 k(1≤k≤J)개의 제어 항목의 설정 값을 근거로 상기 무선단말(200)을 포함하는 N개의 단말기의 무선랜 무선구간을 상기 이동통신모듈(315)을 이용한 이동통신 무선구간으로 확장할 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k개의 제어 항목은 통신 용량, 사용자 수, 등록된 추가 단말기, 사용 가능/차단 시간대, 허용 앱, 불허 앱 중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J개의 제어 항목 중 동시 사용자 수가 설정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 연결부(350)는 상기 N개의 단말기 중 지정된 무선단말(200)의 무선랜 무선구간을 우선적으로 이동통신 무선구간으로 확장하되 동시 사용자 수 범위 내에서 (N-1)개의 단말기 중 하나 이상의 단말기의 무선랜 무선구간을 이동통신 무선구간으로 선택적으로 확장하도록 판별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350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terminal 200 includes the mobile terminal 200 based on the set values of the control items designated by k (1? K? J)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extend the wireless LAN radio section of the N terminals to the mobile communication radio section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In this case, the k control item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mmunication capacity, a number of users, a registered additional terminal, an available / blocked time zone, an allowed app, and an unapproved app.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concurrent users among the J control items is set, the mobil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350 firstly extends the wireless LAN radio section of the designated mobile terminal 200 among the N terminals to the mobile communication radio section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extend the wireless LAN radio section of one or more of the (N-1) terminals to the mobile communication radio section within the range of the number of concurrent users.

만약 지정된 무선단말(200)을 포함하는 N개의 단말기 중 적어도 한 단말기와의 무선랜 무선구간을 상기 이동통신 무선구간으로 확장하도록 판별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 연결부(350)는 상기 단말기와 무선랜모듈(310) 사이에 연결된 무선랜 무선구간을 지정된 해외국가의 지정된 이동통신망 상의 기지국가 상기 이동통신모듈(315) 사이에 사이의 이동통신 무선구간으로 확장 중계 연결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무선랜모듈(310)과 이동통신모듈(315)은 프로토콜 스택 구조 상의 물리계층, 데이터링크계층, 네트워크계층 중 최하위 계층(또는 둘 이상의 하위계층을 순차적으로)을 연동하여 상기 단말기와 무선랜모듈(310) 사이에 연결된 무선랜 무선구간을 이동통신모듈(315)과 이동통신망 사이의 이동통신 무선구간으로 확장함으로써, 상기 무선랜모듈(310)과 무선랜 무선구간이 연결된 단말기를 상기 이동통신 무선구간으로 확장한 무선 데이터망(예컨대, 상기 단말기와 무선랜모듈(310) 사이의 무선랜 무선구간을 포함하고 이동통신모듈(315)과 이동통신망 사이의 이동통신 무선구간을 포함하는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ireless LAN radio sec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N terminals including the designated wireless terminal 200 is to be exten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radio sec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of the base country on the designate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designated foreign country to the mobile communication radio sec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radio section. The wireless LAN module 31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lowest layer (or two or more lower layers sequentially) of the physical layer, the data link layer, and the network layer on the protocol stack structure, The wireless LAN module 310 and the wireless LAN module 3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link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the Internet including a wireless LAN sec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wireless LAN module 310 and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wireless sec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5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단말(200)의 앱(220) 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gistering an application 220 of a wireless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지정된 앱(220)을 설치하여 해당 앱(220)의 홈 국가를 상기 무선단말(200)이 가입한 통신사가 속한 국내로 확인/설정하고 무선단말(200)의 휴대폰번호와 고유식별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앱(220)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In more detail, FIG. 4 shows an application 220 install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to confirm / set the home country of the app 220 to the home country to which the wireless terminal 200 belongs,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gistering the mobile phone number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registration process (e.g., omitting some of the steps or changing the order) may be inferr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f the above- The technical features thereof are not limited only by the method of implementation.

도면4를 참조하면,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지정된 앱(220)이 설치되어 최초 실행되는 경우(400),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해당 앱(220)의 홈 국가를 국내로 확인/설정하고(405), 상기 앱(220)의 홈 국가에 대응하는 국내서버(100)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휴대폰번호와 고유식별정보 등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등록 요청하며(410), 상기 국내서버(100)는 상기 지정된 앱(220)을 설치 실행하고 홈 국가를 확인/설정한 무선단말(200)의 휴대폰번호와 고유식별정보 등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확인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등록 저장한다(415).Referring to FIG. 4, when an application 220 assigned to a user wireless terminal 200 is installed and executed for the first time (400), the application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ransmits a home country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220 (405), the home server (100) corresponding to the home country of the application (220) registers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the mobile phone number of the mobile terminal (200) an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domestic server 100 installs the designated application 220 and checks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the mobile phone number of the mobile terminal 200 that has confirmed / set the home country an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medium (415).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한 위치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ocation registration process through an application 220 of a wireless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설치 실행된 앱(220)이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측위하여 국내인지 확인하여 국내가 아닌 경우(예컨대, 해외인 경우)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식별하는 위치식별정보를 국내서버(100)로 전송하면 국내서버(100)에서 해외에 위치한 무선단말(200)의 위치 등록을 위한 위치등록정보를 구성하여 지정된 홈위치등록D/B에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위치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5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application 220 install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checks whether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domestic or not and is not domestic (for example, overseas)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200 is transmitted to the domestic server 100, the domestic server 100 configures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location regist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located overseas, D / B,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refer to and / or modify FIG. 5 to describe various methods of location registr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otherwise than as specifically described herein, bu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ose specific embodiments, It shall not be limited.

도면5를 참조하면, 사용자 무선단말(200)에서 지정된 앱(220)이 실행되면(500), 상기 앱(220)은 무선단말(200)의 위치 측위부(216)를 통해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측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505),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현재 위치가 상기 앱(220)의 홈 국가로 설정된 국내인지 아닌지 확인한다(510).Referring to FIG. 5, when the designated application 220 is execut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the app 220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216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is generated 505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is read to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510) whether or not the country is set as a country.

만약 상기 무선단말(200)의 현재 위치가 국내가 아니라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무선단말(200)의 해외 위치를 식별하는 위치식별정보를 생성하고(515), 상기 앱(220)의 홈 국가에 대응하는 국내서버(100)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해외 위치에 대한 위치식별정보를 전송한다(520).I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not the domestic location, the app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generates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the overseas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515) The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foreign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transmitted to the domestic server 100 corresponding to the home country of the application 220 in operation 520.

상기 국내서버(100)는 국내에 위치하지 않은 무선단말(200)의 해외 위치에 대한 위치식별정보를 수신하고(525), 상기 위치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해외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등록정보를 구성하여 국내서버(100)의 지정된 홈위치등록D/B에 저장하고(530),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환 해외의 해외서버(150)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등록정보를 공유 전달하며(535), 상기 해외서버(15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등록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해외서버(150)의 방문위치등록D/B에 저장한다(540). 상기 국내서버(100)(또는 해외서버(15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등록 결과(예컨대, 무선단말(200)의 위치등록정보를 등록한 해외서버(150)에 대한 해외서버정보 등)를 제공하고(545),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위치등록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의 해외서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의 해외서버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550).The domestic server 100 receives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n overseas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at is not located in the domestic area 525 and transmits the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foreign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based on the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tores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 the designated home location registration D / B of the domestic server 100 in operation 530. The mobile terminal 200 transmits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to the overseas server 150, The foreign server 150 receives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stores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 the visited location registration D / B of the foreign server 150 (step 540) ). The domestic server 100 or the overseas server 150 transmits the location registration result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the app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overseas server information on the registered foreign server 150 in operation 545. The app 220 of the mobile terminal 200 receives the location registration result and transmits the location registration result to the overseas mobile terminal 200 Server information and stores the overseas server information of the foreign country in which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locat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550).

한편 상기 무선단말(20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 결과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가 국내라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사용자는 아직 해외로 출국한 상태가 아니거나 또는 귀국한 상태이므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국내 위치를 식별하는 위치식별정보를 생성하여 국내서버(100)로 전송하며(555), 상기 국내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국내 위치에 대한 위치식별정보를 수신하고(560), 국내용 위치등록정보를 구성하여 국내서버(100)의 홈위치등록D/B에 저장한다(565).Meanwhile, if the location of the mobile station 200 is determined as a result of check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station 200, the user of the mobile station 200 has not yet traveled abroad, The local server 100 generates posi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domestic posi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ransmits the generated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domestic server 100. The domestic server 100 transmits the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560), and configures the local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stores it in the home location registration D / B of the domestic server 100 (565).

도면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앱(220) 기반 해외 로컬 발신을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cessing an overseas local call based on an application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해외에 위치한 무선단말(200)의 앱(220)에서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IP기반 통신망을 통해 무선단말(200)의 위치가 등록된 해외서버(150)로 IP기반 호 연결 요청 시 상기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가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의 로컬 전화번호인 경우에 해외 로컬 전화번호로 호 연결을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앱(220) 기반 해외 로컬 발신 처리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6 shows an example of an IP address of an overseas server 150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registered in the app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located overseas via the designated IP based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when the call destination number of the call connection request is the local telephone number of the foreign country in which the mobile station 200 is locate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refer to and / or modify the FIG. 6 to implement various implementations (e.g., some steps are omitted or the order is changed) for the overseas local origination process based on the application 22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도면6을 참조하면, 사용자 무선단말(200)에서 지정된 앱(220)이 실행되면(600),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해당 앱(220)을 통해 IP기반 호 연결 요청이 가능한 상태인지 확인한다(605). 바람직하게, 상기 앱(220)은 해외에서 부팅 후 실행되고, 앱(220)의 홈 국가가 설정되고,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등록정보가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서버(150)의 방문위치등록D/B에 등록되고,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가 등록된 해외서버정보가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경우에 상기 앱(220)의 상태가 IP기반 호 연결 요청이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when the designated application 220 is execut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the application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ransmits an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through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220 It is confirmed whether it is possible (605). Preferably, the app 220 is booted from abroad and is executed after the home country of the app 220 is set, and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transmitted to the overseas server 150 The status of the application 220 is registered in the IP address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when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registered in the visited location registration D / B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all connection request is possible.

만약 상기 무선단말(200)에서 실행된 앱(220)의 상태가 IP기반 호 연결 요청이 가능한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앱(220)의 상태를 IP기반 호 연결 요청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설정 처리한다(610). 한편 상기 무선단말(200)에서 실행된 앱(220)의 상태가 IP기반 호 연결 요청이 가능한 상태이거나 IP기반 호 연결 요청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IP기반 호 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착신번호를 입력/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615),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IP기반 호 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착신번호를 입력/선택받는다(620). 만약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IP기반 호 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착신번호를 입력/선택되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IP기반 통신망(예컨대, 해외의 공용/사설 무선랜을 경유하는 IP기반 통신망, 또는 도면3의 중계장치(300)를 경유하는 IP기반 통신망 등)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의 해외서버(150)(예컨대, 무선단말(200)의 위치등록정보를 등록한 해외서버(150))로 상기 앱(220)을 통한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625).If the state of the application 220 execut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not a state capable of requesting an IP-based call connection, the application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ransmits the state of the application 220 to the IP 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is possible (610). When the state of the application 220 execut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changed to a state in which an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is available or an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is available, the application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ransmits an IP (615) an input / output interface for inputting / selecting a destination number for requesting a call connection based on the IP address, and receives / selects a destination number for requesting an IP based call connection through the interface (620). If an incoming call number for requesting an IP-based call connection is input / selected through the interface, the application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ransmits an IP address to the designated IP based communication network (e.g., (E.g., an IP-based communication network via a private wireless LAN, or an IP-based communication network via a relay apparatus 300 of FIG. 3) (The foreign server 150 having registered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AP 200) to the AP 220 (step 625).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의 해외서버(150)(예컨대, 무선단말(200)의 위치등록정보를 등록한 해외서버(150))는 IP기반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한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수신/확인하고(630),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의 발신번호에 대응하는 무선단말(200)의 위치등록정보가 상기 해외서버(150)의 방문위치등록D/B에 등록된 상태인지 확인한다(635).The overseas server 150 (for example, the overseas server 150 that has registered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n which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located is connected to an app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mobile terminal 200 receives and confirms an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through the local server 220 (step 630). If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corresponding to the origination number of the IP- It is confirmed whether it is registered in D / B (635).

만약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의 발신번호에 대응하는 무선단말(200)이 상기 해외서버(150)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해외서버(150)는 무선단말(200)의 위치등록 오류를 생성하여 IP기반 통신망을 통해 무선단말(200)의 앱(220)으로 제공하고(640),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위치등록 오류를 수신하여 출력한다(645).If the wireless terminal 200 corresponding to the origination number of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is not registered in the overseas server 150, the overseas server 150 generates a location registration error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640) to the application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via the IP based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application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receives and outputs the location registration error (645).

한편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의 발신번호에 대응하는 무선단말(200)이 상기 해외서버(150)의 방문위치등록D/B에 등록된 상태인 경우, 상기 해외서버(150)는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를 판독하여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가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의 로컬 전화번호인지 확인한다(650). 만약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가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 로컬 전화번호라면, 상기 해외서버(150)는 M개의 폰에뮬레이터(180) 중 어느 한 제m 폰에뮬레이터(180)를 결정하고, 상기 제m 폰에뮬레이터(180)를 통해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해외 로컬 호 연결 요청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m 폰에뮬레이터(180)가 가입된 해외 통신사의 해외 로컬 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해외 로컬 전화번호로 호를 연결하는 절차를 처리하며(655), 상기 해외 로컬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통화단말에서 상기 호 연결 요청을 착신한 경우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해외서버(150)와의 IP기반 통신, 상기 해외서버(150)의 폰에뮬레이터(180), 상기 폰에뮬레이터(180)가 접속한 해외 통신사의 해외 로컬 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해외 로컬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통화단말과 통화채널을 연결하여 통화 처리할 수 있다.Meanwhile, if the mobile terminal 200 corresponding to the originating number of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is registered in the visited location registration D / B of the foreign server 150, the foreign server 150 transmits the IP- (650) whether the called number of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is a local telephone number of the foreign country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200 is located. If the called number of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is an overseas local phone number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200 is located, the foreign server 150 transmits any one of the m phone emulators 180 of the M phone emulators 180 And converts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into an overseas local call connection request through the m-th phone emulator 180 so that the m-phone emulator 180 can transmit the foreign-language call connection request to the overseas The application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receives the call connection request from the call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foreign local telephone number in step 655, Via the foreign local telephone network of the foreign communication company to which the phone emulator 180 is connected, the IP emulator 180 of the foreign server 150, the IP-based communication with the foreign terminal 150, the telephone emulator 180 of the foreign server 150, The call can be processed by connecting the talk channel and the call channel.

도면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앱(220) 기반 해외 발신을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cessing an overseas origination based on an application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해외에 위치한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해 IP기반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가 상기 무선단말(200)이 가입된 국내 전화번호인 경우에 국내 전화번호로 호 연결을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앱(220) 기반 해외 발신 처리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se where a destination number of an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is a domestic telephone number to which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subscribed through an app 220 of an oversea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ferring to and /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eatures are not limited.

도면7을 참조하면, 해외에 위치한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한 IP기반 호 연결 요청이 해외서버(150)로 수신되면, 상기 해외서버(150)는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를 판독하여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가 상기 무선단말(200)이 가입된 국내 전화번호인지 확인한다(700). 만약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가 국내 전화번호라면, 상기 해외서버(150)는 국내서버(100)와 연결된 IP기반 통신채널을 통해 국내서버(100)로 상기 해외에 위치한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한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전달하며(705), 상기 국내서버(100)는 상기 해외서버(150)와 연결된 IP기반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해외서버(150)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한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수신/확인하고(710), 상기 수신/확인된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국내 전화망의 호 연결 요청으로 변환하여 국내 전화망을 통해 국내 전화번호로 호 연결하는 절차를 처리하며(715), 상기 국내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통화단말에서 상기 호 연결 요청을 착신한 경우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해외서버(150)와의 IP기반 통신, 상기 해외서버(150)와 국내서버(100) 간 IP기반 통화채널, 국내서버(100)와 국내 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국내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통화단말과 통화채널을 연결하여 통화 처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when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through the app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located overseas is received by the foreign server 150, the foreign server 150 transmits the IP- (700), and confirms whether the called number of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is a domestic telephone number to which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subscribed. If the called number of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is a domestic telephone number, the foreign server 150 transmits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to the domestic server 100 through the IP-based communication channel connected to the domestic server 100, The domestic server 100 transmits an IP 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through the application 220 of the foreign server 150 to the foreign server 150 through the IP based communication channel connected to the foreign server 150, (710) an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through the app 220 of the terminal 200, and converts the received / confirmed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into a call connection request of the domestic telephone network, The application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ransmits the call connection request to the foreign server 150 when the call connec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call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domestic telephone number, IP-based communication with the foreign server 150 and the domestic server 100, And by way of the IP-based speech channel, local server 100 and the local telephone network connecting the call terminal and a speech channel corresponding to the local phone number may be call handling.

도면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라 앱(220) 기반 해외 발신을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cessing an overseas origination based on an application 2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해외에 위치한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해 IP기반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가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 이외의 다른 해외의 전화번호인 경우에 다른 해외 전화번호로 호 연결을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앱(220) 기반 해외 발신 처리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8 shows a case where the called number of an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through an app 220 of an overseas-located wireless terminal 200 is a foreign phone number other than the one where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locat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but may be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process (e.g., some steps may be omitted, or alternate implementations) may be inferr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f the methods contemplated above, The technical features thereof are not limited by the implementation method alone.

도면8을 참조하면, 해외에 위치한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한 IP기반 호 연결 요청이 해외서버(150)로 수신되면, 상기 해외서버(150)는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를 판독하여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가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 이외의 다른 해외의 전화번호인지 확인한다(800). 만약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가 다른 해외 전화번호라면,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의 해외서버(150)는 다른 해외서버(150)와 연결된 IP기반 통신채널을 통해 다른 해외서버(150)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한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전달하며(805), 상기 다른 해외서버(150)는 상기 무선단말(200)이 위치한 해외의 해외서버(150)와 연결된 IP기반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한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수신/확인한다(810).Referring to FIG. 8, when an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through an app 220 of a wireless terminal 200 located overseas is received by the foreign server 150, the foreign server 150 transmits the IP- (800) whether the destination number of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is a foreign phone number other than the location where the mobile terminal 200 is located. If the destination number of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is a different foreign phone number, the overseas foreign server 150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200 is located is connected to another foreign server 150 via an IP- The mobile terminal 200 transmits an IP 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through the app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the foreign server 150 in step 805. The other foreign server 150 transmits the IP- (810) an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through the app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an IP-based communication channel connected to the IP-based communication channel.

상기 다른 해외서버(150)는 M개의 폰에뮬레이터(180) 중 어느 한 폰에뮬레이터(180)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폰에뮬레이터(180)를 통해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다른 해외 호 연결 요청으로 변환하여 상기 폰에뮬레이터(180)가 가입된 다른 해외 통신사의 다른 해외 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다른 해외 전화번호로 호를 연결하는 절차를 처리하며(815), 상기 다른 해외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통화단말에서 상기 호 연결 요청을 착신한 경우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해외서버(150)와의 IP기반 통신, 상기 해외서버(150)와 다른 해외서버(150) 간 IP기반 통화채널, 다른 해외서버(150)의 폰에뮬레이터(180), 상기 폰에뮬레이터(180)가 접속한 다른 해외 통신사의 다른 해외 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다른 해외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통화단말과 통화채널을 연결하여 통화 처리할 수 있다.The other foreign server 150 determines one of the M phone emulators 180 and converts the IP 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into another foreign call connection request through the determined phone emulator 180 The phone emulator 180 processes a procedure for connecting a call to the other foreign phone number via another foreign phone network of another foreign communication company to which the phone emulator 180 is subscribed (815) When the call connection request is received, the application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ransmits an IP based communication with the foreign server 150, an IP based call channel between the foreign server 150 and another foreign server 150, The phone emulator 180 of the overseas server 150 and another foreign telephone company of another foreign communication company to which the phone emulator 180 is connected to connect a call channel to a call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other foreign telephone number The call can be processed.

100 : 국내서버 105 : 고유식별 등록부
110 : 위치식별 수신부 115 : 홈위치 등록부
120 : 방문위치 등록부 150 : 해외서버
155 : 위치등록 처리부 160 : 발신요청 확인부
165 : 위치등록 확인부 170 : 착신번호 판독부
175 : 통화연결 절차부 180 : 폰에뮬레이터
200 : 무선단말 220 : 앱
300 : 중계장치
100: domestic server 105: unique identification register
110: position identification receiving unit 115: home position register
120: visited location registration unit 150: overseas server
155: location registration processing unit 160: originating request confirmation unit
165: location registration confirmation unit 170:
175: Call connection procedure part 180: Phone emulator
200: wireless terminal 220:
300: Relay device

Claims (12)

사용자 무선단말이 가입된 통신사가 속한 국내가 아닌 해외에 구비된 해외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국내 통신사에 가입된 사용자 무선단말에 지정된 앱을 설치 실행 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실행된 앱이 상기 앱의 홈 국가를 상기 국내로 설정 또는 확인하는 제1 단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실행된 앱이 위치 측위부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를 측위하고 상기 측위된 무선단말의 위치가 상기 앱의 홈 국가에 대응하는 국내인지 확인하는 제2 단계;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가 상기 국내가 아닌 경우, 상기 무선단말의 앱이 IP기반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이 위치한 해외에 구비된 해외서버의 지정된 방문위치등록D/B에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등록정보가 등록되기 위해 지정된 절차를 수행하는 제3 단계;
상기 해외서버가 상기 지정된 절차를 수행한 무선단말의 위치등록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해외서버의 지정된 방문위치등록D/B에 저장하는 제4 단계;
상기 해외서버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한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확인하는 제5 단계;
상기 해외서버가 상기 무선단말의 앱의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판독하여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의 발신번호가 상기 방문위치등록D/B에 등록된 위치등록정보와 매칭되는 확인하는 제6 단계;
상기 발신번호가 상기 방문위치등록D/B의 위치등록정보와 매칭 시, 상기 해외서버가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판독하여 상기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가 상기 무선단말이 위치한 해외의 로컬 전화번호인지 확인하는 제7 단계; 및
상기 착신번호가 상기 해외의 로컬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해외서버가 상기 무선단말이 위치한 해외 통신사에 가입된 해외 로컬 폰에 대응하는 폰에뮬레이터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의 앱의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해외 로컬 호 연결 요청으로 변환하여 해외 로컬 전화번호로 호 연결 절차를 수행하는 제8 단계;를 포함하는 앱 기반 해외 로컬 발신 방법.
A method in which a user wireless terminal is executed through an offshore server installed in a foreign country not belonging to the affiliated communication company,
A first step in which an application execut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sets or confirms a home country of the app in the home country when an app is installed in a user wireless terminal subscribed to a domestic communication company;
A second step in which the application executed by the user wireless terminal locates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and determines whether the location of the positioned wireless terminal corresponds to the home country of the application;
If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is not the domestic terminal, the app of the wireless terminal transmits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to the designated visited location registration D / B of the foreign server provided in the foreign country, A third step of performing a designated procedure to be registered;
A fourth step of the overseas server confirm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that has performed the designated procedure and stor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 the designated visited location registration D / B of the overseas server;
A fifth step of the overseas server confirming an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through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A sixth step of the foreign server reading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of the app of the mobile terminal and confirming that the origination number of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is matched with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visited location registration D / B;
When the calling number is matched with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visited location registration D / B, the overseas server reads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and the called number of the call connection request is the local telephone number of the foreign country A seventh step of confirming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And
If the called number is a local phone number of the foreign country, the overseas server transmits an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of an app of the wireless terminal to a foreign country via a phone emulator corresponding to an overseas local phone subscribed to an overseas communication company Converting the local call connection request into a local call connection request and performing a call connection procedure to an overseas local phone number.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 무선단말에 지정된 앱 설치 실행 시,
국내에 구비된 국내서버가 지정된 앱을 설치 실행하여 상기 앱의 홈 국가를 국내로 설정한 무선단말을 고유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 기반 해외 로컬 발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executing the specified application installation on the user's wireless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stalling and executing a designated domestic server provided in the domestic and checking and stor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uniquely identifies the wireless terminal having the home country of the app set in the domestic. Local origination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 설치 실행된 앱이 상기 무선단말이 해외에서 부팅 후 앱이 실행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이 해외에서 부팅 후 실행된 앱이 상기 위치 측위부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를 측위하고 상기 측위된 무선단말의 위치에 대응하는 국가가 상기 앱의 홈 국가에 대응하는 국내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 기반 해외 로컬 발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checking whether the application is executed after the wireless terminal boots from abroad,
Wherein the second step is for the application executed after the booting of the wireless terminal from abroad to locate the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and the country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positioned wireless terminal corresponds to the home country of the applica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receiving an application-based overseas local call from a mobile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외서버의 방문위치등록D/B에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등록정보가 등록된 후,
해외에 위치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IP기반 통신을 통해 상기 해외서버로 IP기반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 기반 해외 로컬 발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is registered in the visiting location registration D / B of the foreign serv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he app of an overseas user wireless terminal requesting an IP-based call connection to the overseas server through IP-based communic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은, 무선단말의 포트부를 통해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며 상기 무선단말과 무선랜 무선구간을 연결하고 상기 해외국가의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상기 무선랜 무선구간이 연결된 무선단말을 상기 해외국가의 이동통신망을 경유하는 무선 데이터망에 연결시키는 무선랜 중계장치를 외장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무선랜 중계장치를 이용한 IP기반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이 위치한 해외에 구비된 해외서버의 지정된 방문위치등록D/B에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등록정보가 등록되기 위해 지정된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 기반 해외 로컬 발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terminal operates by receiving power through a port of a wireless terminal, connects the wireless terminal with a wireless LAN radio section, connects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an overseas country, and transmits a wireless terminal, to which the wireless LAN radio section is connected, A wireless LAN relay device which connects the wireless LAN relay device to a wireless data network via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wireless LAN,
The third step is a step in which the appl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registers the location regist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in the designated visited location registration D / B of the foreign server provided in the foreign country in which the wireless terminal is located through IP based communication using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Wherein the procedure is performed to register the informati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해외서버의 방문위치등록D/B에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등록정보가 등록된 후,
해외에 위치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무선랜 중계장치를 이용한 IP기반 통신을 통해 상기 해외서버로 IP기반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 기반 해외 로컬 발신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After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is registered in the visiting location registration D / B of the foreign serv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n application of an overseas user wireless terminal requesting an IP based call connection to the overseas server through IP based communication using the wireless LAN relay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가 상기 국내가 아닌 경우, 상기 무선단말의 앱이 IP기반 통신을 통해 상기 앱의 홈 국가에 대응하는 국내에 구비된 국내서버로 상기 무선단말의 해외 위치를 식별하는 위치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국내서버가 국내에 위치하지 않은 무선단말의 위치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등록정보를 구성하여 국내서버의 지정된 홈위치등록D/B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국내서버가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등록정보를 근거로 상기 무선단말이 위치한 해외에 구비된 해외서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국내서버가 상기 확인된 해외서버와 연결된 IP기반 통신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해외서버로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등록정보를 공유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 기반 해외 로컬 발신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f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is not the home country, the appl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transmits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overseas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to a domestic server provided in the country corresponding to the home country of the application through IP- ;
Receiving the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which is not located in the domestic server and stor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in the designated home location registration D / B of the domestic server;
Checking the foreign server provided in the foreign country where the wireless terminal is located based on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to the overseas server by using the IP based communication channel connected to the confirmed overseas server by the domestic serve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해외서버가 상기 국내서버와 해외서버 간 IP기반 통신채널을 통해 국내서버로부터 무선단말의 위치등록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해외서버의 지정된 방문위치등록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 기반 해외 로컬 발신 방법.
8.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7,
And receiv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from the domestic server through the IP-based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domestic server and the overseas server and storing the received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 the designated visited location registration D / B of the foreign server. Based overseas local calling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폰에뮬레이터는,
상기 무선단말이 위치한 해외 통신사에 가입되고 상기 해외서버와 통신 연결된 실제 통화단말,
상기 무선단말이 위치한 해외 통신사에서 자사에 가입된 가상의 통화단말로 인식되도록 하드웨어적으로 모듈화되어 상기 해외서버와 연동하는 통화모듈,
상기 무선단말이 위치한 해외 통신사에서 자사에 가입된 가상의 통화단말로 인식되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통화모듈,
상기 무선단말이 위치한 해외 통신사에서 자사에 가입된 가상의 통화단말로 인식하도록 하드웨어적 내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통화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 기반 해외 로컬 발신 방법.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
An actual call terminal which is subscribed to an overseas communication company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and is connected to the foreign server,
A communication module which is hardware-modulized so as to be recognized as a virtual call terminal subscribed to the company in an overseas communication company in which the wireless terminal is located,
A call module which is implemented in a software manner so that the mobile terminal is recognized as a virtual call terminal subscrib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at least one of a call modul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for recognizing the call terminal as a virtual call terminal subscribed to the company in an overseas communication company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폰에뮬레이터는,
지정된 해외 통신사 요금 서비스 중 음성통화 요금을 무제한 이용 가능한 음성통화 요금 무제한 서비스 또는 음성통화 요금이 가장 저렴한 요금 서비스에 가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 기반 해외 로컬 발신 방법.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subscriber is subscribed to the tariff service with unlimited voice call rates or unlimited voice call tariffs, which are among the specified overseas carrier tariffs, at the lowest r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해외서버가 상기 무선단말의 앱의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판독하여 상기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가 국내 전화번호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8 단계는,
상기 착신번호가 국내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해외서버가 국내서버와 해외서버 간 연결된 IP기반 통신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국내서버로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 기반 해외 로컬 발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c)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the foreign server reading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of the app of the mobile terminal and confirming that the called number of the call connection request is a domestic phone number,
In the eighth step,
And transmitting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to the domestic server via the IP-based communication channel in which the foreign server connects the domestic server and the foreign server when the called number is a domestic telephone number. App-based overseas local calling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해외서버가 상기 무선단말의 앱의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판독하여 상기 호 연결 요청의 착신번호가 상기 무선단말이 위치한 해외 이외에 다른 해외의 전화번호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8 단계는,
상기 착신번호가 다른 해외의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해외서버가 상기 해외서버와 다른 해외의 해외서버 간 연결된 IP기반 통신채널을 경유하여 다른 해외서버로 상기 IP기반 호 연결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 기반 해외 로컬 발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venth step is a step in which the foreign server reads an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of an app of the mobile terminal and confirms whether the call destination number of the call connection request is a foreign phone number other than the overseas location where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Including,
In the eighth step,
And transmitting the IP-based call connection request to the foreign server via the IP-based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foreign server and another overseas server, when the called number is another foreign phone number And transmitting the application-based overseas local originating method.
KR1020160155097A 2016-11-18 2016-11-18 Method for Processing Local Phone Call in a Foreign Country based on Application KR2018005633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097A KR20180056334A (en) 2016-11-18 2016-11-18 Method for Processing Local Phone Call in a Foreign Country based on Appl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097A KR20180056334A (en) 2016-11-18 2016-11-18 Method for Processing Local Phone Call in a Foreign Country based on Appl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334A true KR20180056334A (en) 2018-05-28

Family

ID=62451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097A KR20180056334A (en) 2016-11-18 2016-11-18 Method for Processing Local Phone Call in a Foreign Country based on Appl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6334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2391A (en) * 2010-12-06 2012-06-14 에스로밍 주식회사 Automatic numbering system for international traffic processing
KR20140101131A (en) * 2013-02-08 2014-08-19 더줌 주식회사 Call-back service method using smart-termi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call
KR101574959B1 (en) * 2014-12-29 2015-12-24 (주)오픈벡스 Roam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ing call forwarding ser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2391A (en) * 2010-12-06 2012-06-14 에스로밍 주식회사 Automatic numbering system for international traffic processing
KR20140101131A (en) * 2013-02-08 2014-08-19 더줌 주식회사 Call-back service method using smart-termi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call
KR101574959B1 (en) * 2014-12-29 2015-12-24 (주)오픈벡스 Roam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ing call forwarding ser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29435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ve communication service in communication system
US10084879B2 (en) Virtu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RU2524368C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ethod of providing access to wireless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method of providing crossover to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O2014180324A1 (en) Method and relevant apparatus for implementing national roaming of mobile terminal
US99419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radio link sharing
US10154403B2 (en) Method of and system for providing a multi-IMSI solution in an operating mobile network
KR2014002022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with a cell-phone network
US8433287B2 (en) Femtocell authentication system and authentication method employing the same
US20230076852A1 (e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plurality of sims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EP3879865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ve communcation service in communication system
CN112672336B (en) Method,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realizing external authentication
US11044602B2 (en) User equipm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subscriptions
CN106341374B (en) Method and device for limiting access of unlicensed user equipment to home gateway
CN104754689A (en) Home gateway access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WO2011026422A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wireless communication
KR101888263B1 (en) Method for Providing Phone Receipt in a Foreign Country based on Application
KR20180056334A (en) Method for Processing Local Phone Call in a Foreign Country based on Application
US85154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 updat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90089674A (en) Method for Providing Foreign Call Incoming based on Domestic Calls by using Own Cell Phone Number
KR20190089676A (en) Method for Providing Foreign Message Sending based on Domestic Messaging by using Own Caller Number
WO2016144389A1 (en) A-gps wlan
CN115550930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operator service equipment, base station, user terminal and application server
KR101671207B1 (en) Relay Device for Providing Local Area Wireless Control
KR20190089672A (en) Method for Providing Foreign Call Originating based on Domestic Calls by using Own Caller Number
KR20220161207A (en) On-device physical sim to esim conver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