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2836A -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2836A
KR20180052836A KR1020160149860A KR20160149860A KR20180052836A KR 20180052836 A KR20180052836 A KR 20180052836A KR 1020160149860 A KR1020160149860 A KR 1020160149860A KR 20160149860 A KR20160149860 A KR 20160149860A KR 20180052836 A KR20180052836 A KR 20180052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sub
correction coefficient
pixels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2660B1 (ko
Inventor
박성재
전재관
이경수
박동원
신동화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9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660B1/ko
Priority to US15/805,906 priority patent/US10810964B2/en
Publication of KR20180052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7Use of pixel shift techniques, e.g. by mechanical shift of the physical pixels or by optical shift of the perceived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5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using tables for spatial correction of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93Calibration of display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07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for displaying colours or for displaying grey scales with a specific pixel layout, e.g. using sub-pix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부화소를 각각 포함하고, 가장자리 중 일부가 비사각 형태인 표시 영역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부, 그리고 입력되는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표시부에 영상을 표시하고, 영상 신호가 비사각 형태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면, 비사각 형태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화소에 포함된 부화소들의 상이한 광 투과율을 이용하여, 영상 신호의 계조 값을 변경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비사각 형태의 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차량의 클러스터의 표시부, 디지털 TV 등에 임의의 형태를 갖는 비사각 형태의 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비사각 형태의 표시 영역은 표시 영역의 전체적인 형태는 사각형이지만, 표시 영역의 가장 자리 중 일부가 둥근 형태를 갖거나, 인접한 가장자리들의 내각이 90도를 초과하도록 연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비사각 형태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화소 중 일부에서 방출하는 광의 세기가 감소하므로, 컬러 시프트(color shift)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적색 부화소만 차광 부재에 의해 가려져, 비사각 형태의 가장자리에서 녹색이나 청색의 띠가 시인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표시 영역의 비사각 형태의 가장자리에서 컬러 시프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실시예들은 표시 영역의 비사각 형태의 가장자리가 계단 형상으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부화소를 각각 포함하고, 가장자리 중 일부가 비사각 형태인 표시 영역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부, 그리고 입력되는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표시부에 영상을 표시하고, 영상 신호가 비사각 형태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면, 비사각 형태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화소에 포함된 부화소들의 상이한 광 투과율을 이용하여, 영상 신호의 계조 값을 변경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한다.
표시부는, 비사각 형태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기판, 그리고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비사각 형태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화소에 포함된 부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부화소와 중첩하는 차광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제어부는, 비사각 형태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복수의 화소에 포함된 부화소들의 광 투과율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그리고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 신호가 비사각 형태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 화소 또는 가장자리의 주변에 위치하는 제2 화소에 대응하면, 제1 화소에 포함되는 부화소들의 광 투과율을 메모리로부터 판독하여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보정 계수를 산출하는 보정 계수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제어부는, 영상 신호를 제1 감마에 따라 휘도 데이터로 변환하는 휘도 변환부, 변환된 휘도 데이터를 보정 계수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휘도 보정부, 그리고 보정된 휘도 데이터를 제1 역감마에 따라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계조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정 계수 산출부는 제1 화소의 부화소들 각각의 광 투과율 차이를 보상하는 제1 보정 계수들을 산출할 수 있다.
보정 계수 산출부는 제1 화소의 부화소들 중 광 투과율이 가장 작은 부화소를 제외한 부화소들에 대응하는 계조 값이 제1 보정 계수들에 의해 감소하도록 제1 보정 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보정 계수 산출부는 영상 신호가 제2 화소에 대응하면, 제1 보정 계수 중 가장 작은 값을 이용하여,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제2 보정 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보정 계수 산출부는 제2 화소에 포함된 부화소들에 대응하는 계조 값들이 제2 보정 계수들에 의해 모두 감소하도록 제2 보정 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보정 계수 산출부는 영상 신호가 제2 화소에 대응하면, 제1 화소의 부화소 각각의 대응하는 제1 보정 계수를 이용하여 제2 화소에 포함된 각각의 부화소 제1 화소의 부화소 각각의 제3 보정 계수들을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복수의 부화소를 각각 포함하고, 가장자리 중 일부가 비사각 형태인 표시 영역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부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영상 신호가 비사각 형태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영상 신호가 비사각 형태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면, 비사각 형태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화소에 포함된 부화소들의 상이한 광 투과율을 이용하여, 영상 신호의 계조 값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영상 신호가 비사각 형태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 신호가 비사각 형태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 화소 또는 가장자리의 주변에 위치하는 제2 화소에 대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신호의 계조 값을 변경하는 단계는, 비사각 형태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복수의 화소에 포함된 부화소들의 광 투과율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터 제1 화소에 포함되는 부화소들의 광 투과율을 판독하여 보정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신호의 계조 값을 변경하는 단계는, 영상 신호를 제1 감마에 따라 휘도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변환된 휘도 데이터를 보정 계수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단계, 그리고 보정된 휘도 데이터를 제1 역감마에 따라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정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제1 화소의 부화소들 각각의 광 투과율 차이를 보상하는 제1 보정 계수들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정 계수들을 산출하는 단계는, 제1 화소의 부화소들 중 광 투과율이 가장 작은 부화소를 제외한 부화소들에 대응하는 계조 값이 제1 보정 계수들에 의해 감소하도록 제1 보정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정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영상 신호가 제2 화소에 대응하면, 제1 보정 계수 중 가장 작은 값을 이용하여,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제2 보정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정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제2 화소에 포함된 부화소들에 대응하는 계조 값들이 제2 보정 계수들에 의해 모두 감소하도록 제2 보정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정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영상 신호가 제2 화소에 대응하면, 제1 화소의 부화소 각각의 대응하는 제1 보정 계수를 이용하여 제2 화소에 포함된 각각의 부화소 제1 화소의 부화소 각각의 제3 보정 계수들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에서의 컬러 시프트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가 계단 형상으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화소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신호 제어부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신호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block diagram)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 데이터 구동부(data driver, 110), 게이트 구동부(gate driver, 120) 및 신호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표시 신호선과 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PX11~PXmn)를 포함한다. 표시 신호선은 게이트 신호("주사 신호"라고도 함)를 전달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G1~Gm)과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D1~Dn)을 포함한다. 복수의 화소(PX11~PXmn) 각각은 해당 게이트 라인(G1~Gm) 및 데이터 라인(D1~Dn)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X11~PXmn)는 액정 소자 또는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표시 장치(10)는, 복수의 화소(PX11~PXmn)가 액정 소자를 포함하고, 각 화소로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에 따라 액정 소자의 투과율이 조정되는 액정 표시 장치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데이터 구동부(110)는 계조 전압 생성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계조 기준 전압을 분압하여 전체 계조에 대한 계조 전압을 생성하거나 복수의 계조 전압을 계조 전압 생성부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10)는 표시 패널(100)의 데이터 라인(D1~Dn)에 연결되어 있고, 데이터 라인(D1~Dn)에 복수의 데이터 전압을 인가한다.
데이터 구동부(110)는 데이터 제어 신호(CONT1)에 따라 한 행의 화소에 대한 영상 데이터(DATA)를 수신하고 계조 전압으로부터 각 영상 데이터(DATA)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선택함으로써 영상 데이터(DATA)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한 다음, 이를 해당 데이터 라인(D1~Dn)에 인가한다.
게이트 구동부(120)는 게이트 라인(G1~Gm)에 연결되어 게이트 온 전압과 게이트 오프 전압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 라인(G1~Gm)에 인가한다.
게이트 구동부(120)는 신호 제어부(130)로부터의 게이트 제어 신호(CONT2)에 따라 게이트 온 전압을 게이트 라인(G1~Gm)에 인가한다. 그러면, 데이터 라인(D1~Dn)에 인가된 데이터 전압이 해당 화소에 인가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표시 패널(100)의 뒤쪽에는 백라이트 유닛이 위치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의 예로는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과 같은 형광 램프,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제어부(130)는 게이트 구동부(120) 및 데이터 구동부(110)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신호 제어부(13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RGB)와 제어 신호(CTRL)를 입력 받는다. 영상 신호(RGB)는 표시 패널(100)의 화소 각각의 휘도(luminance) 정보를 담고 있으며 휘도는 정해진 수효, 예를 들어 1024, 256 또는 64개의 계조(gray)로 구분될 수 있다. 입력 제어 신호(CTRL)는 영상 표시와 관련하여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 메인 클록,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제어부(130)는 영상 신호(RGB) 및 입력 제어 신호(CTRL)를 기초로 영상 신호(RGB)를 표시 패널(100)의 동작 조건에 맞게 적절히 처리하여 영상 데이터(DATA)를 생성하고, 입력 제어 신호(CTRL)에 기초하여 데이터 제어 신호(CONT1) 및 게이트 제어 신호(CONT2)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신호 제어부(130)는 영상 신호(RGB)를 보정하여, 영상 데이터(DATA)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제어부(130)는 영상 신호(RGB) 중 표시부(100)의 가장자리 중 일부에 위치하는 화소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에 대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신호 제어부(130)는 게이트 제어 신호(CONT2)를 게이트 구동부(120)로 출력하고, 데이터 제어 신호(CONT1)와 보정된 영상 데이터(DATA)를 데이터 구동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 제어 신호(CONT1)는 수평 동기 시작 신호, 클럭 신호 및 라인 래치 신호를 포함하고, 게이트 제어 신호(CONT2)는 수직 동기 시작 신호, 출력 인에이블 신호 및 게이트 펄스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120)는 게이트 제어 신호(CONT2)에 기초한 1 수평 주기("1H"라고도 쓰며, 수평 동기 신호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한 주기와 동일함) 단위로 모든 게이트 라인(G1~Gm)에 게이트 온 전압을 인가하고, 데이터 구동부(110)는 데이터 제어 신호(CONT1)에 기초한 게이트 온 전압의 인가 시점에 동기되어 모든 화소(PX11~PXmn)에 복수의 데이터 전압을 인가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표시 장치(10)의 표시부(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의 표시부(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0)는 전체적으로 사각 형태의 표시 영역(D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A)은 직선형 가장자리(BL)와 적어도 하나의 비사각 형태의 가장자리(BR)를 포함한다. 비사각 형태의 가장자리는 둥근 형태를 갖거나, 인접한 가장자리들의 내각이 90도를 초과하도록 연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비사각 형태의 가장자리가 둥근 형태의 가장자리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표시부(100)는 복수의 화소가 위치하는 제1 기판(102)과 제1 기판(102)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차광 부재(22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02)은 표시 영역(DA)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판(102)은 4개의 직선형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직선형 가장자리들 사이에 라운드형 가장자리가 위치한 형태를 가진다.
차광 부재(220a)는 표시 영역(DA)이 둥근 형태의 가장자리를 가질 수 있도록, 데이터 신호에 따라 광을 방출하는 화소가 위치하는 영역(NDA) 위에도 위치할 수 있다. 차광 부재(220a)는 차광성 물질로 이루어져 빛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복수의 화소 위에 둥근 형태의 가장자리를 구현하기 위해 차광 부재(220a)를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둥근 형태의 가장자리에 맞춰 화소 수, 화소의 크기, 화소의 형상 등을 조절하여 둥근 형태의 가장자리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00)는 가요성을 가지는(flexible)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또한, 표시부(100)는 일부가 곡면의 형태로 형성되는 커브드(curved)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의 둥근 형태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화소들 및 이와 인접한 화소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의 일부 화소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판(102) 위에 제1 화소 내지 제6 화소(PX1~PX6)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화소 내지 제6 화소(PX1~PX6) 각각은 서로 다른 기본색에 대응하는 복수의 부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로 다른 기본색에 대응하는 복수의 부화소 각각의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소(PX1)는 3개의 부화소(PX1R, PX1G, PX1B)를 포함하고, 제2 화소(PX2)는 3개의 부화소(PX2R, PX2G, PX2B)를 포함하며, 제3 화소는 3개의 부화소(PX3R, PX3G, PX3B)를 포함한다. 3개의 부화소 각각은 적색(R), 녹색(G), 청색(B)을 표현한다.
다만, 각 부화소들의 배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각 화소가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화소(PX1), 제4 화소(PX4), 및 제5 화소(PX5)는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화소인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면, 차광 부재(220a)는 제1 화소(PX1), 제4 화소(PX4), 및 제5 화소(PX5)의 적어도 하나의 부화소와 중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광 부재(220a)와 중첩하는 화소들 중 제1 화소(PX1)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화소(PX1)의 제2 부화소(PX1G) 및 제3 부화소(PX1B)의 위에 차광 부재(220a)가 중첩하여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둥근 형태의 가장자리가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차광 부재(220a)에 의해 제2 부화소(PX1G)의 광 투과율과 제3 부화소(PX1B)의 광 투과율이 감소된다. 예를 들어, 제2 부화소(PX1G)의 광 투과율은 제1 부화소(PX1R)의 광 투과율에 비해 50% 감소되고, 제3 부화소(PX1B)의 광 투과율은 제1 부화소(PX1R)의 광 투과율에 비해 80% 감소된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제1 화소(PX1)와 행 방향으로 인접한 제2 화소(PX2)는 차광 부재(220a)와 중첩하지 않는다. 제2 화소(PX2)는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로부터 제1 화소(PX1)보다 더 멀리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2 화소(PX2)와 행 방향으로 인접한 제3 화소(PX3)도 차광 부재(220a)와 중첩하지 않고, 제3 화소(PX3)는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로부터 제2 화소(PX2)보다 더 멀리 위치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5 화소(PX5)와 행 방향으로 인접한 제6 화소(PX6)는 차광 부재(220a)와 중첩하지 않는다. 제6 화소(PX6)는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로부터 제5 화소(PX5)보다 더 멀리 위치하고 있다.
차광 부재(220a)에 의해 제2 부화소(PX1G)의 광 투과율과 제3 부화소(PX1B)의 광 투과율이 감소하여, 제2 부화소(PX1G) 및 제3 부화소(PX1B)에서 방출하는 광의 세기가 감소하므로, 둥근 형태의 가장자리에서 컬러 시프트(color shift)가 시인될 수 있다. 또한, 제2 부화소(PX1G) 및 제3 부화소(PX1B)에서 방출하는 광의 세기가 감소하여 둥근 형태의 가장자리가 계단 형상으로 시인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컬러 시프트의 발생을 방지하고, 계단 형상으로 시인되지 않도록 영상 신호(RGB)를 보정하는 신호 제어부(130)와 표시 장치(10)의 구동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의 신호 제어부(130)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제어부(130)는 보정 계수 산출부(230), 메모리(232), 휘도 변환부(234), 휘도 보정부(236), 및 계조 변환부(238)를 포함한다.
먼저, 보정 계수 산출부(230)는 제어 신호(CTRL) 및 보정 필터 선택 신호(FSEL)를 수신한다.
보정 필터 선택 신호(FSEL)는 보정 계수를 산출하기 위해 제공되는 신호이며, 가장자리에 위치한 화소(예를 들어, 제1 화소(PX1))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RGB)와 가장자리 주변에 위치한 화소(예를 들어, 제2 화소(PX2) 및 제3 화소(PX3))의 영상 신호(RGB)를 보정하기 위한 값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보정 계수 산출부(230)는 영상 신호(RGB)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방식을 결정한다. 이때, 보정 방식은 영상 신호(RGB)가 표시되는 영역 또는 사용자의 선택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보정 방식은 색균형 보정 방식, 휘도 보정 방식, 색 보정 방식, 색 휘도 보정 방식, 및 무보정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보정 계수 산출부(23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RGB)가 표시부(100)에 표시되는 영역에 따라 영상 신호(RGB)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계수를 산출한다.
보정 계수 산출부(230)는 제어 신호(CTRL)에 포함된 수평 동기 신호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등에 근거하여 현재 입력된 영상 신호(RGB)가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 또는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 주변에 표시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232)는 둥근 형태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각 화소에 포함된 부화소의 광 투과율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그러면, 보정 계수 산출부(230)는 메모리(232)를 참조하여, 영상 신호(RGB)를 보정하기 위한 광 투과율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
보정 계수 산출부(230)는 입력된 영상 신호(RGB)가 표시되는 영역, 보정 필터 선택 신호(FSEL)의 값, 및 광 투과율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정 계수를 산출한다.
보정 계수 산출부(230)는 다음의 방식으로 보정 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먼저, 보정 계수 산출부(230)는 색균형 보정 계수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입력된 영상 신호(RGB)가 가장자리의 화소(이하에서, 제1 화소(PX1)로 설명함)에 대응하는 경우, 보정 계수 산출부(230)는 보정 필터 선택 신호(FSEL)에 포함된 색균형 필터 값 및 제1 화소(PX1)의 광 투과율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화소(PX1)의 색균형 보정 계수를 산출한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RDR1은 제1 화소(PX1)의 제1 부화소(PX1R)의 색균형 보정 계수이고, k는 색균형 필터 값, RT는 제1 화소(PX1)의 제1 부화소(PX1R)의 광 투과율, GT는 제1 화소(PX1)의 제2 부화소(PX1G)의 광 투과율, 및 BT는 제1 화소(PX1)의 제3 부화소(PX1B)의 광 투과율이다.
색균형 필터 값은 하나의 화소에 포함된 부화소들 중 투과율이 가장 작은 부화소(예를 들어, 제1 화소(PX1)의 제3 부화소(PX1B))의 색균형 보정 계수를 계산할 때 1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색균형 필터 값은 하나의 화소에 포함된 부화소들 중 투과율이 가장 작은 부화소를 제외한 부화소(예를 들어, 제1 화소(PX1)의 제1 및 제2 부화소(PX1R, PX1G))의 색 균형 보정 계수를 계산할 때 1 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는 색 균형 보정 계수가 1을 초과하지 않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1 화소(PX1)의 제2 부화소(PX1G)의 색균형 보정 계수(GDR1) 및 제1 화소(PX1)의 제3 부화소(PX1B)의 색균형 보정 계수(BDR1)가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입력된 영상 신호(RGB)가 제1 화소(PX1)와 행 방향으로 인접한 제2 화소(PX2) 또는 제3 화소(PX3)에 대응하는 경우에도, 보정 계수 산출부(230)는 제1 화소(PX1)의 광 투과율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화소(PX1)의 색균형 보정 계수를 산출한다.
제1 화소(PX1)의 제3 부화소(PX1B)의 광 투과율이 제1 화소(PX1)의 제1 부화소(PX1R) 및 제2 부화소(PX1G)의 광 투과율 보다 낮다. 그러므로, 제1 부화소(PX1R)에서 방출된 적색 광 및 제2 부화소(PX1G)에서 방출된 녹색 광이 제3 부화소(PX1B)에서 방출된 청색 광보다 시인되기 쉽다. 따라서, 제1 화소(PX1)에 포함된 부화소들(PX1R, PX1G, PX1B)에 동일한 계조 데이터가 인가되는 경우, 제1 화소(PX1)가 적색과 녹색이 혼합된 노란 색으로 시인되는 컬러 시프트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색균형 보정 방식은 이러한 컬러 시프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색균형 보정 방식에 따르면, 제1 부화소(PX1R) 및 제2 부화소에 인가되는 데이터의 크기를 제1 부화소(PX1R), 제2 부화소(PX1G), 및 제3 부화소(PX1B) 각각의 광 투과율에 따라 계산된 비율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보정 계수 산출부(230)는 휘도 보정 계수를 산출한다. 보정 계수 산출부(230)는 보정 필터 선택 신호(FSEL)에 포함된 휘도 렌더링 필터 값과 제1 화소(PX1) 내지 제3 화소(PX3)의 색균형 보정 계수들을 이용하여, 다음의 수학식 2 및 수학식 3을 통해 휘도 보정 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MDR1은 해당 화소의 최저 색균형 보정 계수이고, RDR1, GDR1, 및 BDR1 각각은 해당 화소의 부화소들의 색균형 보정 계수이다.
Figure pat00003
여기서, (x,y)는 제1 화소(PX1)의 좌표이고, (x-1,y)는 제1 화소(PX1)와 행 방향으로 가장 인접한 제2 화소(PX2)의 좌표이다. 그러면, MDR1(x,y)은 제1 화소(PX1)의 최저 색균형 보정 계수이고, MDR1(x-1,y)는 제2 화소(PX2)의 최저 색균형 보정 계수이며, L1 및 L2는 휘도 렌더링 필터 값이다. 휘도 렌더링 필터 값은 가장자리에 인접한 화소의 휘도를 대체적으로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설정된 값(예를 들어, L1=3/4이고, L2=1/4)일 수 있다. 제2 화소(PX2)는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화소가 아니므로, 최저 색균형 보정 계수의 값은 1을 가질 수 있다. 수학식 3에 의해 산출되는 DR2(x-1,y)는 제2 화소(PX2)의 휘도 보정 계수이다.
마찬가지로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제3 화소(PX3)의 휘도 보정 계수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x,y)는 제2 화소(PX2)의 좌표이고, (x-1,y)는 제2 화소(PX2)와 행 방향으로 가장 인접한 제3 화소(PX3)의 좌표이며, MDR1(x,y)은 제2 화소(PX2)의 최저 색균형 보정 계수이고, MDR1(x-1,y)는 제3 화소(PX3)의 최저 색균형 보정 계수이면, 수학식 3에 의해 산출된 DR2(x-1,y)는 제3 화소(PX3)의 휘도 보정 계수일 수 있다. 제3 화소(PX3)도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화소가 아니므로, 최저 색균형 보정 계수의 값은 1을 가질 수 있다.
휘도 보정 방식은 제1 화소(PX1)의 색균형 보정 계수와 휘도 렌더링 필터 값을 이용하여, 제1 화소(PX1)에 인접한 제2 화소(PX2) 및 제3 화소(PX3)의 휘도를 보정하는 방식이다. 휘도 보정 방식에 의해, 가장자리에 인접한 화소들의 휘도가 저하될 수 있도록 휘도 보정 계수가 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휘도 보정 방식은 색균형 보정 방식에 의해 제1 화소(PX1)의 휘도가 전체적으로 저하됨에 따라 발생하는 가장자리의 계단 형상 시인을 방지할 수 있다.
휘도 보정 방식의 경우, 보정 계수 산출부(230)는 입력된 영상 신호(RGB)가 제1 화소(PX1)에 대응하면, 제1 내지 제3 부화소(PX1R, PX1G, PX1B)의 색균형 보정 계수(RDR1, GDR1, BDR1)를 휘도 보정부(236)로 출력한다. 이 경우, 보정 계수 산출부(230)는 입력된 영상 신호(RGB)가 제2 화소(PX2) 또는 제3 화소(PX3)에 대응하면, 색균형 보정 계수를 휘도 보정부(236)로 출력하지 않는다.
또한, 보정 계수 산출부(230)는 색 보정 계수를 산출한다. 보정 계수 산출부(230)는 보정 필터 선택 신호(FSEL)에 포함된 색 렌더링 필터 값과 제1 화소(PX1) 내지 제3 화소(PX3)의 색균형 보정 계수들을 이용하여, 다음의 수학식 4를 통해 색 보정 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여기서, RDR1(x,y)은 제1 화소(PX1)의 제1 부화소(PX1R)의 색균형 보정 계수이고, RDR1(x-1,y)은 제2 화소(PX2)의 제1 부화소(PX2R)의 색균형 보정 계수이며, C1 및 C2는 색 렌더링 필터 값이다. 색 렌더링 필터 값(C1, C2)은 가장자리에 인접한 화소에 포함된 일부 부화소의 휘도는 감소시키고, 다른 일부 부화소의 휘도는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설정된 값(예를 들어, C1=1/4이고, C2=3/4)일 수 있다. 수학식 4에 의해 산출되는 RDR2(x-1,y)는 제2 화소(PX2)의 제1 부화소(PX2R)의 색 보정 계수이다.
마찬가지로 수학식 4를 이용하여, 제2 화소(PX2)의 제2 부화소(PX2G)의 색 보정 계수와 제2 화소(PX2)의 제3 부화소(PX2B)의 색 보정 계수도 산출할 수 있다.
색 보정 방식은 제1 화소(PX1)에 포함된 부화소들(PX1R, PX1G, PX1B)의 색균형 보정 계수와 색 렌더링 필터 값을 이용하여, 제1 화소(PX1)에 인접한 제2 화소(PX2)의 부화소들(PX2R, PX2G, PX2B)의 휘도를 보정하는 방식이다. 색 보정 방식에 의해, 가장자리에 인접한 화소의 부화소들 중 일부 화소의 휘도가 증가되고, 다른 일부 화소의 휘도가 감소될 수 있도록 색 보정 계수가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균형 보정 방식에서, 제1 화소(PX1)의 제1 부화소(PX1R)의 색균형 보정 계수를 서로 다른 색균형 필터 값으로 산출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1보다 큰 값을 갖는 색균형 필터 값(이하, 제1 값)을 수학식 1에 적용하여 계산된 색균형 보정 계수는 1과 동일한 값을 갖는 색균형 필터 값(이하, 제2 값)을 수학식 1에 적용하여 계산된 색균형 보정 계수보다 크다.
제1 계조 데이터가, 제1 값을 사용하여 계산된 색균형 보정 계수 또는 제2 값을 사용하여 계산된 색균형 보정 계수에 의해 보정될 수 있다. 제1 값에 따라 보정된 계조 데이터(이하, 제2 계조 데이터)는 제2 값에 따라 보정된 계조 데이터(이하, 제3 계조 데이터)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3 계조 데이터에 의해 제1 부화소(PX1R)에서 방출되는 광의 세기는, 제1 계조 데이터에 의해 제1 화소(PX1)의 부화소 중 가장 작은 광 투과율을 갖는 제3 부화소(PX1B)에서 방출되는 광의 세기와 대체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계조 데이터에 의해 제1 부화소(PX1R)에서 방출되는 광의 세기는 제1 계조 데이터에 의해 제3 부화소(PX1B)에서 방출되는 광의 세기보다 클 수 있다.
그러므로, 1 보다 큰 값을 갖는 색균형 필터 값을 사용하여 색균형 보정 계수를 계산하는 경우, 제1 부화소(PX1R)에서 방출되는 광에 의한 컬러 시프트가 시인될 수 있다.
색 보정 방식에 따르면, 제1 화소(PX1)에 포함된 부화소들(PX1R, PX1G, PX1B) 중 색균형 보정 계수가 비교적 작은 값을 갖는 부화소(PX1R, PX1G)에 대응하는 제2 화소(PX2)의 부화소(PX2R, PX2G)에서 방출되는 광이 감소되도록 색 보정 계수가 계산될 수 있다.
또한, 제1 화소(PX1)에 포함된 부화소들(PX1R, PX1G, PX1B) 중 색균형 보정 계수가 비교적 높은 값을 갖는 부화소(PX1B)에 대응하는 제2 화소(PX2)의 부화소(PX2B)에서 방출되는 광이 증가되도록 색 보정 계수가 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색 보정 방식은 색균형 보정 방식에 의해 제1 화소(PX1)에 포함된 부화소들(PX1R, PX1G, PX1B) 각각의 색균형 보정 계수를 고려하여 제2 화소(PX2)에 포함된 부화소(PX2R, PX2G, PX2B)에서 방출되는 광을 조정하므로, 제1 화소(PX1)에 의한 컬러 시프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보정 계수 산출부(230)는 색 휘도 보정 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색 휘도 보정 계수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정 계수 산출부(230)는 휘도 보정 방식에 따라 제2 화소(PX2) 및 제3 화소(PX3)의 휘도 보정 계수를 산출한다. 그리고, 보정 계수 산출부(230)는 수학식 4의 제2 화소(PX2)의 각 부화소의 색균형 보정 계수에, 휘도 보정 방식에 따라 계산된 제2 화소(PX2)의 휘도 보정 계수를 대입하여, 제2 화소(PX2)의 부화소 각각의 색 보정 계수를 색 휘도 보정 계수로서 산출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의 보정 계수 산출부(230)에 의해 산출된 색균형 보정 계수, 휘도 보정 계수, 및 색 휘도 보정 계수를 하기의 표 1로 나타내었다.
PX3R PX3G PX3B PX2R PX2G PX2B PX1R PX1G PX1B
투과율 1 1 1 1 1 1 1 0.5 0.2
색균형 보정 계수
(k1)
1 1 1 1 1 1 0.4 0.6 1
휘도 보정 계수
(k1)
0.9625 0.9625 0.9625 0.85 0.85 0.85 0.4 0.6 1
색 휘도 보정 계수
(k1)
0.9625 0.9625 0.9625 0.2425 0.2575 0.9625 0.4 0.6 1
표 1을 살펴보면, 색 균형 보정 계수에 의해, 제1 화소(PX1)에 포함된 제1 부화소(PX1R) 및 제2 부화소(PX1G)에 인가되는 데이터의 값이 감소된다. 휘도 보정 계수에 의해 제3 화소(PX3) 및 제2 화소(PX2)에 인가되는 데이터의 값이 감소된다. 또한, 색 휘도 보정 계수에 의해, 제2 화소(PX2)의 제1 부화소(PX2R) 및 제2 부화소(PX2G)에 인가되는 데이터의 값이 감소하는 반면, 제2 화소(PX2)의 제3 부화소(PX2B)에 인가되는 데이터의 값은 증가한다.
보정 계수 산출부(230)는 결정된 보정 방식에 따른 보정 계수 데이터(DR)를 휘도 보정부(236)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보정 계수 산출부(230)는 보정 방식으로 색균형 보정 방식이 결정된 경우, 색 보정 계수에 대한 보정 계수 데이터(DR)를 휘도 보정부(236)로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보정 계수 산출부(230)는 보정 방식으로 색 휘도 보정 방식이 결정된 경우, 색 휘도 보정 계수에 대한 보정 계수 데이터(DR)를 휘도 보정부(236)로 출력한다. 한편, 보정 계수 산출부(230)는 보정 방식으로 무보정 방식이 결정된 경우, 보정 계수 데이터(DR)를 휘도 보정부(236)로 출력하지 않거나, 보정 계수가 모두 1인 보정 계수 데이터(DR)를 휘도 보정부(236)로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휘도 변환부(234)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대응하는 감마에 따른 휘도 데이터(RGB_L1)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휘도 변환부(234)는 영상 신호(RGB)에 포함된 계조 데이터에 2.2 감마를 적용하여 휘도 데이터(RGB_L1)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감마는 임의로 선택된 감마일 수 있고, 1.8 감마, 2.0 감마 및 2.2 감마 등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휘도 보정부(236)는 변환된 휘도 데이터(RGB_L1)에 보정 계수 데이터(DR)를 승산하여 산출된 보정 휘도 데이터(RGB_L2)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2.2 감마에 의해 변환된 제2 화소(PX2)의 제1 내지 제3 부화소(PX2R, PX2G, PX2B)에 대응하는 휘도 데이터(RGB_L1)가 모두 100의 값을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휘도 보정부(236)는 부화소들에 대응하는 휘도 데이터(RGB_L1) 각각에 색 휘도 보정 계수 데이터 0.2425, 0.2575, 0.9625를 각각 승산한다. 그러면, 제2 화소(PX2)의 제1 내지 제3 부화소(PX2R, PX2G, PX2B)에 대응하는 보정 휘도 데이터(RGB_L2)는 24.25, 25.75, 96.25로 산출된다.
그리고, 계조 변환부(238)는 입력된 보정 휘도 데이터(RGB_L2)를 대응하는 역감마에 따른 보정 계조 데이터로 변환한다. 즉, 계조 변환부(238)는 보정 휘도 데이터(RGB_L2)에 역감마를 적용하여 계조 데이터 신호(DATA)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역감마는 휘도 변환부(234)에서 사용된 감마와 역관계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의 구동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신호 제어부(130)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신호 제어부(130)는 영상 신호(RGB), 제어 신호 및 필터 선택 신호를 수신(S100)한다.
신호 제어부(130)의 보정 계수 산출부(230)는 제어 신호(CTRL)에 근거하여, 입력된 영상 신호(RGB)가 표시부(100) 내에서 표시되는 영역을 판단(S102)한다.
보정 계수 산출부(230)는 영상 신호(RGB)가 표시부(100)에 표시되는 영역에 따라 영상 신호(RGB)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계수를 결정(S104)한다. 예를 들어, 보정 계수 산출부(230)는 영상 신호(RGB)가 표시부(100)의 둥근 형태의 가장자리 또는 둥근 형태의 가장자리와 인접하지 않은 영역에 표시되면, 무보정 방식에 따른 보정 계수를 출력한다. 또한, 보정 계수 산출부(230)는 영상 신호(RGB)가 표시부(100)의 둥근 형태의 가장자리 또는 둥근 형태의 가장자리와 인접한 영역에 표시되면, 색균형 보정 방식, 휘도 보정 방식, 색 보정 방식, 및 색 휘도 보정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산출되는 보정 계수를 출력한다. 이때, 보정 방식은 사용자의 선택 등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휘도 변환부(234)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대응하는 감마에 따른 휘도 데이터(RGB_L1)로 변환(S106)한다. 휘도 보정부(236)는 보정 계수를 사용하여 휘도 데이터(RGB_L1)를 보정(S108)한다.
계조 변환부(238)는 보정된 휘도 데이터(RGB_L2)를 대응하는 역감마에 따른 계조 데이터로 변환(S110)하고, 데이터 구동부로 계조 데이터 신호(DATA)를 출력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표시 장치 100: 표시 패널
110: 데이터 구동부 120: 게이트 구동부
130: 신호 제어부

Claims (18)

  1. 복수의 부화소를 각각 포함하고, 가장자리 중 일부가 비사각 형태인 표시 영역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부, 그리고
    입력되는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부에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영상 신호가 상기 비사각 형태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면, 상기 비사각 형태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화소에 포함된 부화소들의 상이한 광 투과율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계조 값을 변경하는 신호 제어부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비사각 형태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기판, 그리고
    상기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상기 비사각 형태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화소에 포함된 부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부화소와 중첩하는 차광 부재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비사각 형태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복수의 화소에 포함된 부화소들의 광 투과율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그리고
    상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신호가 상기 비사각 형태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 화소 또는 상기 가장자리의 주변에 위치하는 제2 화소에 대응하면, 상기 제1 화소에 포함되는 부화소들의 광 투과율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보정 계수를 산출하는 보정 계수 산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영상 신호를 제1 감마에 따라 휘도 데이터로 변환하는 휘도 변환부,
    상기 변환된 휘도 데이터를 상기 보정 계수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휘도 보정부, 그리고
    상기 보정된 휘도 데이터를 제1 역감마에 따라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계조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계수 산출부는 상기 제1 화소의 부화소들 각각의 광 투과율 차이를 보상하는 제1 보정 계수들을 산출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계수 산출부는 상기 제1 화소의 부화소들 중 상기 광 투과율이 가장 작은 부화소를 제외한 부화소들에 대응하는 계조 값이 상기 제1 보정 계수들에 의해 감소하도록 상기 제1 보정 계수를 산출하는,
    표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계수 산출부는 상기 영상 신호가 상기 제2 화소에 대응하면, 상기 제1 보정 계수 중 가장 작은 값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제2 보정 계수를 산출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계수 산출부는 상기 제2 화소에 포함된 부화소들에 대응하는 계조 값들이 상기 제2 보정 계수들에 의해 모두 감소하도록 상기 제2 보정 계수를 산출하는,
    표시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계수 산출부는 상기 영상 신호가 상기 제2 화소에 대응하면, 상기 제1 화소의 부화소 각각의 대응하는 제1 보정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화소에 포함된 각각의 부화소 상기 제1 화소의 부화소 각각의 제3 보정 계수들을 산출하는,
    표시 장치.
  10. 복수의 부화소를 각각 포함하고, 가장자리 중 일부가 비사각 형태인 표시 영역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부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신호가 상기 비사각 형태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영상 신호가 상기 비사각 형태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면, 상기 비사각 형태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화소에 포함된 부화소들의 상이한 광 투과율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계조 값을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가 상기 비사각 형태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신호가 상기 비사각 형태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 화소 또는 상기 가장자리의 주변에 위치하는 제2 화소에 대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의 계조 값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비사각 형태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복수의 화소에 포함된 부화소들의 광 투과율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터 상기 제1 화소에 포함되는 부화소들의 광 투과율을 판독하여 보정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의 계조 값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신호를 제1 감마에 따라 휘도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휘도 데이터를 상기 보정 계수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보정된 휘도 데이터를 제1 역감마에 따라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화소의 부화소들 각각의 광 투과율 차이를 보상하는 제1 보정 계수들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정 계수들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화소의 부화소들 중 상기 광 투과율이 가장 작은 부화소를 제외한 부화소들에 대응하는 계조 값이 상기 제1 보정 계수들에 의해 감소하도록 상기 제1 보정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신호가 상기 제2 화소에 대응하면, 상기 제1 보정 계수 중 가장 작은 값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제2 보정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정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화소에 포함된 부화소들에 대응하는 계조 값들이 상기 제2 보정 계수들에 의해 모두 감소하도록 상기 제2 보정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신호가 상기 제2 화소에 대응하면, 상기 제1 화소의 부화소 각각의 대응하는 제1 보정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화소에 포함된 각각의 부화소 상기 제1 화소의 부화소 각각의 제3 보정 계수들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60149860A 2016-11-10 2016-11-10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582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860A KR102582660B1 (ko) 2016-11-10 2016-11-10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5/805,906 US10810964B2 (en) 2016-11-10 2017-11-07 Display device adjusting luminance of pixel at boundary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860A KR102582660B1 (ko) 2016-11-10 2016-11-10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836A true KR20180052836A (ko) 2018-05-21
KR102582660B1 KR102582660B1 (ko) 2023-09-25

Family

ID=62064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860A KR102582660B1 (ko) 2016-11-10 2016-11-10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810964B2 (ko)
KR (1) KR1025826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7924A1 (ko) * 2020-02-07 2021-08-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705B1 (ko) * 2019-02-15 2024-05-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11250770B1 (en) * 2020-09-18 2022-02-15 Himax Technologies Limited De-jaggy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OLED display with curved spa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02769A1 (en) * 2007-10-23 2009-04-23 Nec Lcd Technologies, Ltd.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used for same
US20100214195A1 (en) * 2007-10-31 2010-08-26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US8217968B2 (en) * 2009-01-16 2012-07-10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display device
US20140285511A1 (en) * 2013-03-19 2014-09-2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6992A (ko) * 2008-08-05 2010-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컬러필터 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944052B1 (ko) 2009-12-11 2019-01-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KR101656742B1 (ko) 2010-05-27 2016-09-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962811B1 (ko) 2011-11-09 2019-03-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표시장치를 위한 구동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048437B1 (ko) 2013-08-30 2019-11-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17033B1 (ko) 2013-10-08 2020-06-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400506B1 (ko) * 2015-10-30 2022-05-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이형 표시장치
US10683766B2 (en) * 2016-07-29 2020-06-16 Siemens Energy, Inc. Static wear seals for a combustor transition
JP6549794B2 (ja) * 2016-08-04 2019-07-24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e Inc. 電子デバイス、ディスプレイのディスプレイ回路、およびディスプレイを動作させる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02769A1 (en) * 2007-10-23 2009-04-23 Nec Lcd Technologies, Ltd.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used for same
US20100214195A1 (en) * 2007-10-31 2010-08-26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US8217968B2 (en) * 2009-01-16 2012-07-10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display device
US20140285511A1 (en) * 2013-03-19 2014-09-2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7924A1 (ko) * 2020-02-07 2021-08-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2660B1 (ko) 2023-09-25
US20180130437A1 (en) 2018-05-10
US10810964B2 (en) 202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3551B2 (en) Display unit, image processing unit, and display method for improving image quality
JP4714297B2 (ja) 表示装置
JP4856249B2 (ja) 表示装置
US8531368B2 (en) Transmiss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color saturation conversion section
JP5122927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RU2565480C2 (ru) Дисплей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тображения
KR10113426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 조정 방법
JP5514894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US2010001387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919620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WO2013128687A1 (ja) 表示装置
US854739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hromatic and chromatic color conversion
US10347198B2 (en) Image displaying methods and display devices
US20120249610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therefor
JP2008102379A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KR20180052836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9311886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signal processing unit that converts an input signal for an input HSV color space,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display device, and drive method for the display device
US9111478B2 (en) Method of compensating color gamut of display
WO2020189768A1 (ja) 表示装置
KR20210138372A (ko) 디스플레이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JP2017049300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2011221172A (ja) 表示装置
KR100843696B1 (ko) 액정표시장치의 색보정 방법 및 장치
JP2013101767A (ja) 液晶表示装置
KR101431130B1 (ko) 액정표시장치의 색 보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