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0825A - E-learning content authoring apparatus using op markup language - Google Patents

E-learning content authoring apparatus using op markup langu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0825A
KR20180050825A KR1020160147325A KR20160147325A KR20180050825A KR 20180050825 A KR20180050825 A KR 20180050825A KR 1020160147325 A KR1020160147325 A KR 1020160147325A KR 20160147325 A KR20160147325 A KR 20160147325A KR 20180050825 A KR20180050825 A KR 20180050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tml5
learning
web
content
tem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3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피유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피유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피유커스
Priority to KR1020160147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0825A/en
Publication of KR20180050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82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224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apparatus for authoring e-learning content using a markup langu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authoring e-learning content using a markup language includes a web-editor. The web-editor includes an OP markup language (OPML), a cascading style sheet (CSS), and an OP multibook engine such that several instruction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hrough e-learning content based on 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5), an authoring site of the e-learning content based on HTML5 is automatically resized depending on a screen size or a resolution of a terminal, and a user interface for at least any one of a template type, a template design, a basic template instruction, or a basic template procedure is provided. The OPML has a new structure for authoring the e-learning content. The CSS provides style information for a text in HTML5. The OP multibook engine receives the markup language and the CSS to create an HTML-based web-browser. Accordingly, various multimedia elements may be provided through differentiated teaching strategies and upgraded functions.

Description

마크업언어를 이용한 이러닝 컨텐츠 저작 장치{E-LEARNING CONTENT AUTHORING APPARATUS USING OP MARKUP LANGUAGE}[0001] E-LEARNING CONTENT AUTHORING APPARATUS USING OP MARKUP LANGUAGE USING MARKUP LANGUAGE [0002]

본 발명은 이러닝 컨텐츠 저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계자가 OPML Web Editor를 이용하여 HTML5기반 웹컨텐츠와 EPUB와 PDF 그리고 기타 산출물을 웹에 배포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마크업언어를 이용한 이러닝 컨텐츠 저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arning content author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arning content authoring apparatus using a markup language that enables a designer to distribute and confirm HTML5-based web contents, EPUB, PDF, Quot;

최근 스마트 디바이스의 개발과 발달, 그리고 스마트 디바이스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한 개 이상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소지하고 있으며 이들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미디어를 접하고 소비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With the recent development and development of smart devices and the widespread adoption of smart devices, users have more than one smart device and have the opportunity to interact with various media through these devices.

그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망의 제공과 개인이 소지한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연결함으로써 개인적인 스마트 네트워크 공간(Personal Area Network; PAN)을 구성하고 각각의 스마트 디바이스에 적합한 이미지 컨텐츠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In addition to this,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personal Smart Area (PAN) by connecting a stable wired /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and various smart devices possessed by an individual, and to use an image content suitable for each smart device at the same time .

종래에는 일반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이나 컨텐츠를 제작할 경우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Conventionally, when a general user creates an application or contents, it is common to use a programming language.

이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해 프로그래밍 언어까지 이해해야 하므로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기에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This means that you have to understand the programming language to create an application or content, which is limited for general users.

현재, 컨텐츠 저작 도구(Authoring tool)로는 렉처메이커, 자이닉스, Flash, captivate, sliverstream 등이 있으나 이 또한, 저작 도구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손쉽게 접근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Currently, content authoring tools include Leka Maker, Zynix, Flash, Captivate, and sliverstream. However, it is also difficult to access easily because the author can understand the authoring tool.

이러닝 컨텐츠를 일례로 살펴보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러닝 컨텐츠는 학습내용을 제공하면서 전문 이러닝 컨텐츠 제작업체에 발주해서 제작되고 있다. 학습 유형은 학습에 앞서, 학습목표, 사전평가, 학습하기, 의견나누기, 쉬어가기, 학습평가하기, 정리하기, 참고하기 등의 학습내용이 포함된다.As an example of e-learning contents, e-learning contents that are commonly used are being produced by ordering a specialized e-learning contents producer while providing learning contents. Learning types include learning objectives, pre-evaluation, learning, sharing opinions, taking a rest, evaluating learning, organizing and referencing prior to learning.

또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템플릿을 저작하는 부분에서 유형을 추가 및 수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유연하게 웹 코스의 종류에 대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Also, it supports to add and modify types in authoring part of template according to the designer's intention, so that it can flexibly cope with kinds of web course.

그런데 이와 같이 외부의 전문 이러닝 컨텐츠 제작업체에 발주해서 제작하는 방법은 학습유형과 디자인이 다양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반면 외부의 전문 이러닝 컨텐츠 제작업체에서 제작하는 경우에는 이러닝 컨텐츠의 제작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Howev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method of ordering and producing to an external professional e-learning contents producer has various types of learning and design, whereas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by an external e-learning contents producer, time and cost It takes a lot.

또한, 외부의 전문 이러닝 컨텐츠 제작업체는 특정 시간 내에 다량의 이러닝 컨텐츠를 제작할 수 없다.In addition, an external professional e-learning contents producer can not produce a large amount of e-learning contents within a certain time.

또한, 기존의 온라인 학습 서비스 대부분은 단순히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만을 제공하여 활용하고 있다. 사용자가 더 많은 정보를 얻고자 하면, 하나의 디바이스의 스크린에서 다중 프레임을 이용하여 온라인 학습을 수행하게 된다. In addition, most existing online learning services are provided by using only one media content. When a user wishes to obtain more information, online learning is performed using multiple frames on the screen of one device.

이러한 상황에서는, 다양한 정보가 제공될수록 정보가 제공되는 프레임의 크기가 분할되어 정보의 중요도가 감소하여 정보의 전달성이 떨어지게 되고, 학습 능력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In this situation, as the various information is provided, the size of the frame in which the information is provided is divided, the importance of the information is reduced, and the transfer of information is deteriorated, and the learning ability is deteriorated.

한편, 보안 및 모바일 기기의 호환성 문제로 침체되어 가는 기존 플래시 기반의 이러닝 기반의 HTML5 기술을 조명받고 있는 상황에서 멀티 디바이스 호환성 문제로 기존 플래시 이러닝 컨텐츠의 리뉴얼 작업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Meanwhile,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renewal of existing flash e-learning content due to multi-device compatibility problem in the situation where the existing Flash-based e-learning-based HTML5 technology is stagnated due to security and compatibility of mobile devices.

KR 등록특허공보 제10-1648782호(2016.08.10)KR Patent Registration No. 10-1648782 (Aug. 20, 2016)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독자적인 이러닝 웹 컨텐츠 기술 개발을 통하여 차세대 웹 표준 HTML5 기술을 활용한 이러닝 컨텐츠를 디자인하고, 이러닝 기초 데이터를 다양한 형태의 산출물로 변환할 수 있는 마크업 언어 개발 (OPML)을 통하여 이러닝 컨텐츠 세부 기능들의 모듈화를 통해 각 요소들의 Restful 웹서비스를 구현하고 E-Book과 이러닝 Web-App의 새로운 상호운용 플랫폼을 구축하여 구성된 마크업언어를 이용한 이러닝 컨텐츠 저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velop e-Learning contents using the next generation web standard HTML5 technology through development of e-learning web contents technology and develop mark-up language (OPML And a new interoperable platform of the E-Book and the e-learning Web-App is constructed by modifying the detailed functions of the e-learning contents through the modularization of the detailed functions of the e-learning contents and providing the e-learning contents authoring device using the markup language The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기존 플래시 이러닝 컨텐츠를 대체할 수 있는 컨텐츠로서 HTML5기술을 통해 다양한 인터렉션 요소가 가미된 학습 컨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마크업언어를 이용한 이러닝 컨텐츠 저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arning content authoring apparatus using a markup language capable of producing learning contents in which various interaction elements are added through HTML5 technology as contents capable of replacing existing flash e-learning contents.

그리고 본 발명은 병원 업무 현장과 고용보험환급용 및 N-screen 기반의 스마트 훈련강의 또는 병원 직무 종사자들이 선호하는 특화된 교수설계를 적용할 수 있는 마크업언어를 이용한 이러닝 컨텐츠 저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e-learning content authoring apparatus using a mark-up language that can apply a specialized instructional design preferred by a hospital training worksite, a smart training lecture based on N-screen for employment insurance reimbursement, For other purposes.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기기에서 호환가능한 HTML5(HyperText Markup Language 5)기반의 이러닝 컨텐츠를 제작하여 웹으로 배포하는 웹에디터와, 상기 웹에디터에서 배포된 이러닝 컨텐츠를 웹뷰어를 통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마크업언어를 이용한 이러닝 컨텐츠 저작 장치에서, 상기 웹에디터는 여러 개의 차시를 HTML5기반의 이러닝 컨텐츠로 결합하고, 단말기의 화면 크기 또는 해당도에 따라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의 저작 사이트를 자동으로 리사이징하고, 템플릿 유형, 템플릿 디자인, 기본적인 템플릿 차시 또는 과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이러닝 컨텐츠 제작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마크업 언어(OPML;OP Markup Language)와, HTML5의 텍스트에 스타일 정보를 제공하는 캐스케이딩스타일시트(CSS;Cascading Style Sheet), 및 상기 마크업언어와 상기 CSS를 입력받아 HTML기반 웹브라우저를 생성하는 멀티북엔진(OP Multibook Engin)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 web editor for creating e-learning contents based on HTML5 (HyperText Markup Language 5) compatible with various devic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istributing the e-learning contents to the web, and an e-learning content distributed through the web editor In the e-learning content authoring apparatus using the markup language, the web editor combines a plurality of chores into e-learning contents based on HTML5, and compares the authoring site of the e-learning contents based on the HTML5 A new type of OPML (OP Markup Language) for the production of e-learning contents, and a style for the text of HTML5, so as to provide at least one of a template type, a template design, Cascading Style Sheets (CSS) that provide information and a Multibook Engine (OP Multibook Engine) that receives the markup language and the CSS and generates an HTML-based web browser.

상기 웹에디터는 하나 이상의 이러닝 컨텐츠의 유형, 하나 이상의 템플릿유형, 하나 이상의 템플릿디자인, 미리 생성된 다수의 템플릿 및 저작된 HTML5기반의 이러닝 컨텐츠를 HTML5형식의 파일로 저장하는 DB부를 더 포함하게 구성한다.The web editor further includes a DB unit for storing at least one type of e-learning content, at least one template type, at least one template design, a plurality of pre-generated templates, and e-learning contents based on the authored HTML5 in a file of HTML5 format .

상기 이러닝 컨텐츠는 HTML5 기반 웹 컨텐츠와 자유 전자 서적인 EPUB(electronic publication)와 PDF(Portable Document Format)를 포함하고, 멀티북엔진(OP Multibook Engin)은 컨텐츠 리소스를 저장하는 컨텐츠 리소스 저장부와, 설계자 단말기와 웹 기반으로 통신하고, 상기 저장된 컨텐츠 리소스 중에서 상기 설계자 단말기가 지정한 컨텐츠 리소스 파일을 이용하여 차시별 또는 과정별 템플릿을 생성하는 템플릿 생성부, 및 상기 템플릿 생성부에서 생성된 차시별 또는 과정별 템플릿 중에서 선택받은 템플릿을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의 해당 차시 또는 과정에 대한 템플릿으로 적용하고, 상기 템플릿이 적용된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에 상기 설계자 단말기가 지정한 컨텐츠 리소스 파일을 이용하여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를 저작하는 이러닝 컨텐츠 저작부를 포함하게 구성할 수 있다.The e-learning contents include HTML5-based web contents, EPUB (electronic publication) and PDF (Portable Document Format) which are free electronic books. The OP Multibook Engine includes a content resource storage for storing content resources, A template gener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on a web-based basis and generates a template for each session or process by using a content resource file designated by the designer terminal among the stored content resources; and a template generation unit The selected template is applied as a template for the corresponding task or process of the e-learning content based on HTML5, and the e-learning content based on HTML5 is authored using the content resource file designated by the designer terminal, on the e-learning content based on HTML5 to which the template is applied Includes e-learning content authoring department .

그리고 본 발명의 설계자 단말기는 웹을 통해 접속하여 HTML5기반의 이러닝 컨텐츠를 저작할 수 있는 웹에디터에 접속하고, 상기 웹에디터는 템플릿을 선택하고 동일한 유형으로 형태가 고정된 차시를 HTML5기반의 이러닝 컨텐츠 중심으로 차시를 생성하고, 상기 차시를 묶어 HTML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하나 이상의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의 차시 또는 과정을 복사하여 새로운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의 차시 또는 과정을 생성하도록 동작한다.The designer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o a web editor capable of authoring HTML5-based e-learning contents through a web, and the web editor selects a template, Based on the generated HTML5-based e-learning content, copying the created e-learning content or copying the created e-learning content to generate a new HTML5-based e-learning content do.

따라서, 본 발명의 마크업언어를 이용한 이러닝 컨텐츠 저작 장치에 의하면, 이러닝 기초 데이터를 다양한 형태의 산출물로 변환할 수 있는 마크업 언어 개발 (OPML)을 통하여 이러닝 컨텐츠 세부 기능들의 모듈화를 통해 각 요소들의 Restful 웹서비스를 구현하고 E-Book과 이러닝 Web-App의 새로운 상호운용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자가 컨텐츠 리소스 파일(예컨대, 이미지, 동영상 등)을 이용하여 템플릿 상에서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를 쉽게 저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e-learning content authoring apparatus using the markup languag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rkup language development (OPML) capable of converting the e-learning basic data into various types of output products, Restful Web services can be implemented and E-Book and e-learning Web-App new interoperability platform can be built, allowing designers to easily make HTML5-based e-learning contents on templates using content resource files (eg image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authored.

또한, 본 발명의 마크업언어를 이용한 이러닝 컨텐츠 저작 장치에 의하면 다양한 학습 관리 시스템에 탑재 가능한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를 저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learning content authoring apparatus using the markup langu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hor e-learning contents based on HTML5 that can be loaded in various learning management systems.

또한, 본 발명의 마크업언어를 이용한 이러닝 컨텐츠 저작 장치에 의하면 반복적인 작업이 필요한 차시를 간단하게 복사하여 저작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을 반복적으로 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으며, 미세한 오차 없이 정확히 동일한 위치로 저작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learning contents authoring apparatus using the markup langu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opy and author a task requiring repetitive tasks, thereby reducing the cumbersome task of repeatedly performing tasks, You can author to a lo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마크업언어를 이용한 이러닝 컨텐츠 저작 장치의 주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OPML 웹 에디터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OP-Multibook엔진의 상세 구성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 저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FIG. 1 is a main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arning content authoring apparatus using a markup langu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OPML web edito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OP-Multibook engine,
And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learning content auth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word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sense and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light of the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rms such as " part, "" module, " .

명세서 전체에서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 "and / or"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cludes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first item, second item and / or third item" may be presented from two or more of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s as well as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 It means a combination of all the items that can be.

명세서 전체에서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dentification codes (e.g., a, b, c, ...) in each step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s do not limit the order of each step, Unless the context clearly states a particular order, it may take place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describ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may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크업언어를 이용한 이러닝 컨텐츠 저작 장치의 주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OPML 웹 에디터의 상세 구성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e-learning content authoring apparatus using a markup langu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n OPML web edi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러닝 컨텐츠 저작 장치(10)는 오피엠엘 웹 에디터(OPML Web Editor;100)에서 다양한 기기에서 호환가능한 HTML5기반의 이러닝컨텐츠(E-learning contents;200)를 제작하여 웹으로 배포하고 이를 Web Viewers(300)를 통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e-learning content authoring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e-learning contents 200 based on HTML5 compatible with various devices in an OPML Web Editor 100, And to be able to learn through the Web Viewers 300. [

OPML 웹 에디터(100)(이하, 웹에디터라 한다)는 설계자에게 HTML5기반 이러닝 컨텐츠 저작 도구로 이용된다. The OPML web editor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eb editor) is used as an HTML5-based e-learning content authoring tool for designers.

설계자는 자신의 단말기(400)를 통해 웹을 통해 접속하여 손쉽고 저렴하게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를 저작할 수 있는 웹 에디터(100)를 다운받을 수 있다. The designer can download the web editor 100 which can access the HTML5-based e-learning contents easily and inexpensively by accessing through the web through his / her terminal 400. [

설계자의 단말기(400)는 웹 에디터(100)에 웹을 통해 접속함으로써,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 웹에서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를 신속하게 저작할 수 있는 것이다.The designer's terminal 400 accesses the web editor 100 through the web, thereby enabling the author to quickly write e-learning content based on HTML5 on the web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program.

웹 에디터(100)에서는 차시를 만드는 기본이 템플릿으로 되어 있다. 템플릿이 선택된 이후에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가 저작된다. 그리고 이러닝 컨텐츠를 구성하는 각 차시는 대부분 같은 유형으로 형태가 고정화되어 있다.In the web editor 100, a basic template for creating a template is a template. After the template is selected, the e-learning content based on HTML5 is authored. Most of the contents of e-learning contents are fixed in the same type.

또한, 웹 에디터(100)는 여러 개의 차시를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의 과정으로 묶을 수 있다. 따라서 같은 템플릿을 이용하여 생성한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의 차시 또는 과정의 템플릿이 수정되면, 웹 에디터(100)는 해당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의 차시 또는 과정에 속한 모든 차시를 한번에 수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b editor 100 can bundle multiple chases into the process of e-learning contents based on HTML5. Therefore, if the template or process template of the e-learning content based on the HTML5 generated using the same template is modified, the web editor 100 can modify all the scenes belonging to the e-learning content or the process of the e-learning content based on the HTML5.

종래의 컨텐츠 저작 도구들은 차시를 위주로 컨텐츠를 저작하기 때문에 수정이 필요한 경우 차시를 각각 수정해야 하나, 반면, 웹 에디터(100)는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 중심으로 차시를 생성하고, 차시를 묶어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In the conventional content authoring tools, content is authored based on the main content. Therefore, when the content needs to be modified, the web content editor 100 needs to modify each content. On the other hand, the web editor 100 creates a main content based on HTML5- based e-learning content, Lt; / RTI > contents of the e-learning contents.

그리고 템플릿은 하나의 이러닝 컨텐츠의 여러 차시를 한번에 변경할 수 있어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수정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And the template can change several times of one e-learning contents at a time, facilitating maintenance and reducing modification cost.

한편, 웹 에디터(100)는 다양한 설계자 단말기(400)의 화면 크기 또는 해상도에 따라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의 저작 사이트를 자동으로 리사이징(Auto Resizing)하여 설계자 단말기(400)에 제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web editor 100 automatically resizes the authoring site of the e-learning content based on HTML5 according to the screen size or resolution of the various designer terminals 400, and provides the authoring site to the designer terminal 400.

웹 에디터(100)는 설계자 단말기(400)의 화면 크기 또는 해상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된 화면 크기 또는 해상도에 따라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를 저작하는 사이트를 자동으로 맞춤으로써, 해상도가 다른 다양한 디바이스에 상관없이 원소스 멀티 유즈(One Source Multi-Use) 즉, 하나의 컨텐츠 리소스 파일을 통해 다양한 교수설계자 단말(101)에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The web editor 100 detects the screen size or resolution of the designer terminal 400 and automatically aligns the site for authoring e-learning contents based on HTML5 according to the detected screen size or resolu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HTML5-based e-learning contents to various teaching instructor terminals 101 through one source multi-use, that is, one content resource file.

즉, 웹 에디터(100)는 하나의 이러닝 컨텐츠를 만들어서 모든 서비스 타겟에 대응 할 수 있고, 모바일의 경우 사이즈에 구애받지 않고 최적화된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를 서비스할 수 있다.That is, the web editor 100 can create one e-learning content and correspond to all service targets, and can provide e-learning contents based on optimized HTML5 regardless of the size in case of mobile.

설계자 단말기(40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웹 에디터(100)에 접속하여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를 저작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통신단말기로서, 네트워크가 연결된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UMPC(Ultra-Mobile PC)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designer terminal 400 is a multimedia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the web editor 10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uthoring e-learning contents based on HTML5. The designer terminal 400 is a multimedia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connected to a network (PC) a smart phone, a tablet PC, a notebook computer,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d an UMPC (Ultra-Mobile PC).

또한, 웹 에디터(100)에서 저작된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 저작물은 HTML5 기반의 파일로 저장되어 다양한 기기에 관계없이 동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arning content based on the HTML 5 authored by the web editor 100 can be stored as an HTML5-based file and can operate regardless of various devices.

또한, 설계자 단말기(400)는 화면에서 설계자가 이용하기에 편리한 유저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designer terminal 400 provides a user interface (UI) that is convenient for the designer to use on the screen.

즉, 웹 에디터(100)는 설계자 단말기(400)를 통해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의 저작에 필요한 템플릿 유형, 템플릿 디자인, 템플릿에 필요한 리소스 파일 등을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 저작과 함께 제공한다. That is, the web editor 100 provides a template type necessary for authoring HTML5-based e-learning contents, a template design, a resource file necessary for a template, and the like with the authoring of e-learning content based on HTML5 through the designer terminal 400. [

따라서, 이하에서는 웹에디터(100)와 설계자 단말기(400)는 같은 의미로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Web editor 100 and the designer terminal 400 can be used in the same meaning in combination.

그리고 웹 에디터(100)는 다양한 컨텐츠 리소스들(예컨대,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비디오 및 애니메이션 등)과 쉽게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와 연결할 수 있다.The web editor 100 can easily link various content resources (e.g., text, image, sound, video, animation, and the like) and e-learning content based on HTML5.

설계자 단말기(400)는 설계자가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의 저작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또는 유저 환경(UX: User Experience)을 제공할 수 있다. The designer terminal 40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UI) or a user environment (UX: User Experience) for facilitating authoring of HTML5 based e-learning contents.

설계자 단말기(400)는 웹 에디터(100)로부터 템플릿 유형, 템플릿 디자인 및 기본적인 템플릿 차시 또는 과정 등의 보편적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별도의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The designer terminal 400 provides a universal user interface, such as template type, template design, basic template template, or process, from the web editor 100, but may provide a separate option.

이를 위하여 Web Editor(100)는 이러닝 컨텐츠 제작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마크업언어(OPML)와 웹표준스타일시트(CSS3;120)를 기반으로 오피멀티북엔진(OP-Multibook Engine;140)을 통해 다양한 기기에서 호환 가능한 이러닝 컨텐츠를 산출하도록 한다.To this end, the Web Editor 100 is provided with various types of data, such as various types of data, through an OP-Multibook Engine 140 based on a new type of markup language (OPML) for creating e-learning contents and a web standard style sheet (CSS3) Thereby allowing the device to calculate compatible e-learning contents.

따라서, Web Viewers(300)는 CSS3 미디어(Media) 쿼리 기술을 이용해 다양한 기기에서 호환가능한 OPML Viewer 웹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HTML5기반의 웹브라우저(150)를 통하여 서비스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Web Viewers 300 develop compatible OPML Viewer web applications on various devices using the CSS3 media query technology and serve through the HTML5-based web browser 150. [

도 2를 참고하면, 오피마크업언어(OPML;110)는 이러닝컨텐츠를 위한 새로운 형태의 마크업언어로서, 이러닝 기초 데이터를 다양한 형태의 산출물로 변환할 수 있는 마크업 언어이다.Referring to FIG. 2, the OPML 110 is a new type of markup language for e-learning contents, and is a markup language that can convert e-learning basic data into various types of output.

OPML(110)은 HTML5(HyperText Markup Language) 기반 웹 컨텐츠와 EPUB와 PDF 또는 기타 사용자 정의 산출물로 변환할 수 있다.The OPML 110 can be transformed into HTML5 (HyperText Markup Language) based web content and EPUB and PDF or other user defined output.

특히 EPUB(electronic publication)은 국제 디지털 출판 포럼(IDPF, International Digital Publishing Forum)에서 제정한 개방형 자유 전자서적 표준이다. EPUB은 자동공간조정(reflowable)이 가능하게끔 디자인된 것으로, EPUB으로 만들어진 내용을 볼 때 디스플레이하는 기계의 형식, 크기에 자동으로 최적화되어 보여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기존의 오픈 eBook 표준을 대체하기 위해 국제 디지털 출판 포럼에서 공식 표준으로 채택된 것이다.In particular, electronic publication (EPUB) is an open, free electronic book standard established by the International Digital Publishing Forum (IDPF). EPUB is designed to be automatic reflowable, meaning that it can be automatically optimized for the type and size of the display machine when you view the contents created by EPUB. In order to replace the existing open eBook standard It has been adopted as the official standard in the international digital publishing forum.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TML)는 웹 페이지를 만들기 위한 기본 언어로 ASCII(한글의 경우 KS 완성형) 코드로 작성된 일반 텍스트 형식의 문서로 모든 시스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일반 텍스트이다.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 is a plain text format document written in ASCII (KS completion code) code, which is the default language for creating web pages. It is plain text that can be used in any system environment.

따라서 텍스트 형식을 편집할 수 있는 대부분의 에디터를 사용해 작성할 수 있다. So you can write with most editors that can edit the text format.

HTML의 구조는 문서의 실제 내용이 아닌 문서의 제목, 작성자, 작성날짜 등 HTML 문서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부분인 헤드(Head) 부분과, 실제로 화면에 보여지는 부분이며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이 들어간다. 즉, 문서의 크기, 글자체, 색, 문단 등을 나타내는 태그, 테이블을 나타내는 태그 그리고 하이퍼링크를 나타내는 태그들로 구성되는 바디(Body)부분, 파일의 시작과 끝 부분에 HTML 문서임을 알려주는 태그로 구성한다.The structure of the HTML includes not only the actual contents of the document but also the head portion, which is the portion hav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HTML document such as the title, author and creation date of the document, and the portion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other words, a body part composed of a tag indicating a document size, a font, a color, and a paragraph, a tag indicating a table, and a tag indicating a hyperlink, and a tag indicating that the HTML document is included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file .

HTML5는 웹표준기구인 W3C에서 진행중인 차세대 웹 표준안으로 -마소,모질라,애플,구글,오페라 등 모든 웹 브라우저 업체가 참여하고 있는 산업 표준으로 HTML5를 판별하는 기준은 바로 새로운 문서 형식(Doctype)에 있다.HTML5 is a next-generation web standard currently underway at the W3C web standards body - the standard for judging HTML5 as an industry standard that all web browser vendors such as MASO, Mozilla, Apple, Google and Opera are participating in is a new document format (Doctype) .

예를 들어 <!doctype html>을 선언함으로써 HTML5 문서로 인식할 수 있으며, 웹 브라우저에서는 가장 최신의 렌더링 엔진을 이용하게 된다.For example, by declaring <! Doctype html>, it can be recognized as an HTML5 document, and the web browser will use the latest rendering engine.

HTML5에서는 기존의 HTML4보다 확장된 태그들을 지원한다. 특히, 문서 구조에 적합하게 header, footer, nav, section 같은 구조화 마크업을 사용할 수 있다.HTML5 supports more extended tags than HTML4. In particular, you can use structured markup such as header, footer, nav, and section to suit your document structure.

CSS(Cascading Style Sheet;120)는 스크린에서 문서를 어떻게 보이게 하는지 기술한다. 다시 이야기하면, HTML, XML 등 마크업 텍스트에 스타일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A CSS (Cascading Style Sheet) 120 describes how to make a document appear on the screen. Again, it can be said that it provides style information to markup text such as HTML and XML.

웹 브라우저에서 열어보는 웹페이지와 같은 온라인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종이로 출력(Paged media)할 때와 시각 장애인들을 위해서 어떻게 발음(Aural style sheets) 하는지 등 다양한 미디어를 지원/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online display such as web page opened in web browser, it can support various media such as paged media and how to pronounce aural style sheets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구조화된 문서(HTML, XML etc.)에 스타일 시트를 덧붙이는 것(Linking & Embedding)은 디바이스, 플랫폼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 다른 HTML 요소, 속성 등을 추가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작성하는 사람과 읽는 사람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이다. Linking & embedding in a structured document (HTML, XML, etc.) can be device, platform independent, and does not require additional HTML elements or attributes, It is one of the best ways to satisfy everyone.

더구나 XML은 HTML과 다르게 스타일과 레이아웃을 자체를 직접 다루지 않는다.Moreover, XML does not deal with styles and layouts directly, unlike HTML.

CSS를 단순히 스타일 시트라고 하지 않고 Cascading을 앞에서 붙여서 Cascading Style Sheets라고 하는 것은 문서 접근 방법과 스타일 처리 과정에서 분명한 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Cascading Style Sheets (CSS) is not simply a style sheet, but rather a cascading style sheet that provides clear standards for document approach and style processing.

스타일 시트에는 작성자(author), 사용자(user), 그리고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 web browser)라는 세 가지 주체가 있다. 이 모두가 스타일 시트를 지정할 수 있으므로 중복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어느 하나가 다른 것보다 앞서야 한다.The style sheet has three main subjects: author, user, and user agent. All of this can be duplicated because you can specify a style sheet. So one must precede the other.

기본값은 작성자 스타일 시트가 사용자 스타일 시트보다 우선권을 갖는 것이다. 그러나, 이 2가지 스타일 시트에서 우선권은 바뀔 수 있다.The default is that the author style sheet takes precedence over the user style sheet. However, the preferences in these two stylesheets may change.

다시 작성자와 사용자 스타일 시트는 사용자 에이전트 기본 스타일 시트보다 우선권을 갖는다.The rewriter and user stylesheets take precedence over the user agent default stylesheets.

여기서 말하는 우선권(precedence)에 순서를 주는 것이 cascade이다. It is cascade to give priority to the precedence.

CSS는 HTML을 위한 것이지만, SMIL 등의 XML 애플리케이션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XML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HTML의 메이저 업그레이드 버전이면서 XML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인 XHTML에서도 CSS는 물론 유효한 스펙이다. 이와 다르게 XSL은 XML을 위한 것으로 HTML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데, 문서 포맷을 바꾼다는 의미가 강하다. CSS is for HTML, but it can also be used in XML, as seen in XML applications such as SMIL. CSS is a valid specification as well as a major upgraded version of HTML, and one of the XML applications, XHTML. Unlike XSL, which is for XML and can not be used in HTML, it has a strong meaning to change the document format.

또한, CSS media query에서 media query는 media type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expression으로 구성되는데 width, height, 그리고 color와 같은 media feature들을 이용한 expression을 통해 style sheet들의 적용 범위를 한정할 수 있다. In a CSS media query, a media query consists of a media type and at least one or more expressions. The scope of the style sheets can be limited through expression using media features such as width, height, and color.

Media query는 CSS3에 포함되어 있으며, 컨텐츠의 변경 없이도 특정한 범위에 속하는 출력기기들에 맞춤형으로 콘텐트의 프리젠테이션을 바꿀수 있게 해준다.Media queries are included in CSS3 and allow you to customize the presentation of content to output devices within a specific range without changing the content.

미디어 쿼리는 media type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CSS3 스펙에 맞게 한 개 이상의 익스프레션을 포함한다. 이것은 true/false 값으로 표현될 수 있는 미디어 피쳐이다. 미디어 쿼리에 있는 미디어 타입이 디바이스 타입과 일치하고, 미디어 쿼리에 있는 모든 익스프레션이 참일 때, 쿼리의 결과는 참이 된다.Media queries consist of media types. It also includes one or more expressions to suit the CSS3 specification. This is a media feature that can be expressed as a true / false value. When the media type in the media query matches the device type and all expressions in the media query are true, the result of the query is true.

이러한 논리를 이용하여 오피멀티북엔진(OP-Multibook 엔진)(140)은 OPML(110)과 CSS(120) 그리고 ASSETS(130)을 이용하여 HTML5기반 웹브라우저(150)를 생성한다.Using this logic, the OP-Multibook engine 140 creates an HTML5-based web browser 150 using the OPML 110, the CSS 120, and the ASSETS 130.

이를 위하여 도 3의 OP-Multibook엔진의 상세 구성도를 참고하면, OP-Multibook 엔진(140)은 이러닝컨텐츠 저작부(141), 템플릿 생성부(142), 컨텐츠 리소스 저장부(143), 그리고 다수의 이러닝 컨텐츠의 유형, 다수의 템플릿 유형, 다수의 템플릿 디자인, 미리 생성된 다수의 템플릿 및 저작된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를 HTML5 형식의 파일로 저장하는 DB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OP-Multibook engine 140 includes an e-learning content authoring unit 141, a template generating unit 142, a content resource storing unit 143, and a plurality of A plurality of template types, a plurality of template designs, a plurality of templates generated in advance, and a DB unit 144 for storing the e-learning contents based on the authored HTML5 in an HTML5 format file.

컨텐츠 리소스 저장부(143)는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의 저작에 이용되는 컨텐츠 리소스를 저장하고, 템플릿 생성부(142)는 컨텐츠 설계자 단말기(400)와 통신을 위한 프로그램 설치 없이 웹 기반으로 통신하고, 설계자 단말기(400)로부터 HTML5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에 맞는 템플릿 유형을 선택받고, 상기 선택된 템플릿 유형에 따라 컨텐츠 리소스 저장부(143)에 저장된 컨텐츠 리소스 중에서 설계자 단말기(400)가 지정한 컨텐츠 리소스 파일을 이용하여 차시별 또는 과정별 템플릿을 생성하도록 동작한다.The content resource storage unit 143 stores content resources used for authoring e-learning contents based on HTML5. The template generation unit 142 communicates with the contents designer terminal 400 on a web-based basis without installing a program for communication, Based on the HTML5-based e-learning content from the designer terminal 400, and selects a content resource stored in the content resource storage unit 143 according to the selected template type using the content resource file designated by the designer terminal 400 Or to create a template for each time step or process.

이러닝 컨텐츠 저작부(141)는 설계자 단말기(400)로부터 생성된 차시별 또는 과정별 템플릿 중에서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의 차시 또는 과정에 맞는 템플릿을 선택받고, 상기 선택받은 템플릿을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의 해당 차시 또는 과정에 대한 템플릿으로 적용하고, 상기 템플릿이 적용된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에 리소스 저장부(143)에 저장된 컨텐츠 리소스 중에서 설계자 단말기(400)가 지정한 컨텐츠 리소스 파일을 이용하여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를 저작하도록 동작된다.The e-learning content authoring unit 141 selects a template suitable for the submission or process of the e-learning content based on the HTML5 among the temporal or process-specific templates generated from the designer terminal 400, and selects the template corresponding to the e-learning contents Based e-learning content using the content resource file designated by the designer terminal 400 among the content resources stored in the resource storage unit 143 to the e-learning content based on HTML5 to which the template is applied Is operated to author.

또한, 이러닝 컨텐츠 저작부(141)는 설계자 단말기(400)로부터 동영상형, 튜토리얼형, 프리젠테이션형, 따라하기형 및 스토리텔링형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러닝 컨텐츠 유형을 선택받아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를 저작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arning content authoring unit 141 selects e-learning content types from the designer terminal 400, such as a moving picture type, a tutorial type, a presentation type, a follow-up type, and a story- .

또한, 이러닝 컨텐츠 저작부(141)는 생성된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 중에서 설계자 단말기(400)가 차시 또는 과정 복사를 위해 선택한 하나 이상의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의 차시 또는 과정을 복사하여 새로운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의 차시 또는 과정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arning content authoring unit 141 copies one or more HTML5-based e-learning contents selected from the e-learning contents based on the HTML5 based on the created e- Thereby generating a time frame or a process of the content.

또한, 이러닝 컨텐츠 저작부(141)는, 템플릿이 적용된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에 저장된 컨텐츠 리소스 중에서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비디오 및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리소스 파일을 연결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리소스 파일의 인터랙티브 특성을 추가하여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arning content authoring unit 141 links at least one content resource file among text, image, sound, video, and animation among the content resources stored in the e-learning content based on HTML5 to which the template is applied, You can add the interactive nature of the file to connect.

그리고 컨텐츠 리소스 저장부(143)는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의 저작에 이용되는 컨텐츠 리소스를 계정별, 과정별 및 리소스 유형별로 분기하여 관리하고, 컨텐츠 리소스별로 컨텐츠 이름 또는 설명을 추가하여 관리한다.The content resource storage unit 143 branches and manages content resources used for authoring e-learning content based on HTML5 by account, process, and resource type, and adds and manages a content name or a description for each content resource.

기 저장된 이러닝 컨텐츠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 이러닝 컨텐츠 저작부(141)는 DB부(144)로부터 수정이 필요한 이러닝 컨텐츠를 가져와서 수정하고 이를 다시 DB부(144)에 저장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닝 컨텐츠 저작부(141)는 기 저장된 이러닝 컨텐츠를 불러와서 템플릿이 유사하거나 차시 또는 과정이 유사한 이러닝 컨텐츠 저작시에 재활용할 수 있다.When it is necessary to modify the previously stored e-learning contents, the e-learning contents authoring unit 141 may retrieve the e-learning contents that need to be corrected from the DB unit 144, modify the edited contents, and store the edited contents in the DB unit 144 again. Also, the e-learning content authoring unit 141 can recall the previously stored e-learning contents and reuse them when authoring the e-learning contents similar or similar in terms of time or process.

상술한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이러닝 컨텐츠 저작방법을 설명한다.A method for authoring an e-learning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 저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자 단말기(400)는 OPML 웹 에디터(100)와 통신을 위한 프로그램 설치 없이 웹 기반으로 통신한다(S110).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learning content auth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designer terminal 400 communicates with the OPML Web editor 100 on a web basis without installing a program for communication S110).

먼저 OPML 웹에디터(100)는 OP 멀티북엔진(140)의 템플릿 생성부(142)로부터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에 맞는 템플릿 유형을 선택받는다(S111).First, the OPML web editor 100 selects a template type corresponding to the e-learning content based on HTML5 from the template generating unit 142 of the OP multi-book engine 140 (S111).

그리고 템플릿 생성부(142)는 S111 과정에서 선택된 템플릿 유형에 따라 기 저장된 컨텐츠 리소스 중에서 설계자 단말기(400)에서 지정한 컨텐츠 리소스 파일을 이용하여 차시별 또는 과정별 템플릿을 생성한다(S112).In step S112, the template generation unit 142 generates a template for each session or process using the content resource file designated by the designer terminal 400 among the pre-stored content resources according to the template type selected in step S111.

이후, 이러닝 컨텐츠 저작부(141)는 OPML 웹에디터(100)로부터 생성된 차시별 또는 과정별 템플릿 중에서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의 차시 또는 과정에 맞는 템플릿을 선택받는다(S113).After that, the e-learning content authoring unit 141 selects a template suitable for the course or process of the e-learning content based on the HTML5 based on the hourly or process-specific templates generated from the OPML web editor 100 (S113).

그리고 이러닝 컨텐츠 저작부(141)는 선택받은 템플릿을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의 해당 차시 또는 과정에 대한 템플릿으로 적용한다(S114).Then, the e-learning content authoring unit 141 applies the selected template as a template for the corresponding course or process of the e-learning content based on HTML5 (S114).

이어서, 이러닝 컨텐츠 저작부(141)는 템플릿이 적용된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에 컨텐츠 리소스 저장부(143)에 저장된 컨텐츠 리소스 중에서 설계자 단말기(400)가 지정한 컨텐츠 리소스 파일을 이용하여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를 저작한다(S115).Then, the e-learning content authoring unit 141 uses the content resource file designated by the designer terminal 400 among the content resources stored in the content resource storage unit 143 to the e-learning content based on the HTML5 to which the template is applied, (S115).

이때, 이러닝 컨텐츠 저작부(141)는 템플릿이 적용된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에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비디오 및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리소스 파일을 연결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learning content authoring unit 141 may connect at least one content resource file among the text, image, sound, video and animation to the e-learning content based on HTML5 to which the template is applied.

또한, 이러닝 컨텐츠 저작부(141)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리소스 파일의 인터랙티브 특성을 추가하여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arning content authoring unit 141 may add and interact with at least one content resource file.

이후,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 중에서 OPML 웹에디터(100)가 차시 또는 과정 복사를 위해 하나 이상의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의 차시 또는 과정을 선택하면, 컨텐츠 저작부(142)는 선택된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의 차시 또는 과정을 복사하여 새로운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의 차시 또는 과정을 생성하거나 생성된 차시 또는 과정을 배포하는 것이다(S116).If the OPML Web editor 100 selects one or more of the HTML5-based e-learning contents for the purpose of course copying or process copying among the e-learning contents based on HTML5, the content authoring unit 142 selects the e-learning contents based on the selected HTML5- (Step S116). In step S116, a new course or process of the new HTML5-based e-learning content is created or a created course or process is distributed.

한편, 저작된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 컨텐츠 저작부(142)는 수정이 필요한 이러닝 컨텐츠에 포함된 이러닝 컨텐츠의 차시 또는 과정을 가져와서 해당 컨텐츠 리소스 파일을 다른 컨텐츠 리소스 파일로 수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necessary to modify the e-learning contents based on the authored HTML5, the content authoring unit 142 takes the time or process of the e-learning contents included in the e-learning contents to be modified, .

웹상에 배포된 이러닝컨텐츠는 본 발명의 전용 Web Viewer에 의해 학습을 진행하게 된다.The e-learning contents distributed on the web are taught by the dedicated Web Viewer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필요한 경우 이러닝컨텐츠를 다운로드(310) 받을 수 있도록 배포하면 된다.If necessary, the e-learning contents may be downloaded (310).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은 과정 특성에 따라 SNS, 토론, 애니메이션, 다양한 형태의 문제풀이 등 다양한 상호작용으로 차별화된 교수 전략을 전개할 수 있으며, 웹상에서 제작되므로 HTML/이미지/MOVIE등 개별 파일들의 URL을 페이스북과 카카오톡으로 공유가 가능하고, 자신의 판서 및 저장한 내용 등을 PDF로 저장하고 선택한 화면을 직접 인쇄도 할 수 있기 때문에 업그레이드된 기능을 갖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develop a teaching strategy differentiated by various interactions such as SNS, discussion, animation, and various types of problem solving according to the process characteristics, and it is produced on the web, You can share URLs with Facebook and KakaoTalk, and you can save your drafts and saved contents as PDF, and print the selected screen directly.

그리고 내용에 따라 인터뷰/대담/토론 등의 다양한 형태의 동영상을 제공하고, 동기유발 외에도 학습 중에 필요한 다양한 애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으며, 매 차시 많은 문제 Pool을 가진 문제은행을 통한 문제를 풀어보며, 다양한 상황에서 이론 적용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할 수 있어 다양한 멀티미디어 요소를 갖고 있는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o providing various types of videos such as interviews, conversations, and discussions depending on the content, besides motivation, various animations required during learning can be provided. Problems are solved through problem banks having many problem pools every time, It is possible to give the opportunity to apply the theory in the situation, and it has various multimedia elements.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 OPML Web Editor 110 : OPML
120 : CSS 130 : ASSETS
140 : OP-Multibook 엔진 141 : 이러닝컨텐츠저작부
142 : 템플릿생성부 143 : 컨텐츠리소스저장부
144 : DB부 150 : Web Browser
200 : 이러닝 컨텐츠 300 : Web Viewer
400 : 설계자 단말기
100: OPML Web Editor 110: OPML
120: CSS 130: ASSETS
140: OP-Multibook engine 141: e-learning contents authoring unit
142: Template generation unit 143: Content resource storage unit
144: DB unit 150: Web Browser
200: e-learning contents 300: Web Viewer
400: designer terminal

Claims (5)

다양한 기기에서 호환가능한 HTML5(HyperText Markup Language 5)기반의 이러닝 컨텐츠를 제작하여 웹으로 배포하는 웹에디터와, 상기 웹에디터에서 배포된 이러닝 컨텐츠를 웹뷰어를 통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마크업언어를 이용한 이러닝 컨텐츠 저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웹에디터는
여러 개의 차시를 HTML5기반의 이러닝 컨텐츠로 결합하고, 단말기의 화면 크기 또는 해당도에 따라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의 저작 사이트를 자동으로 리사이징하고, 템플릿 유형, 템플릿 디자인, 기본적인 템플릿 차시 또는 과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이러닝 컨텐츠 제작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마크업 언어(OPML;OP Markup Language);
HTML5의 텍스트에 스타일 정보를 제공하는 캐스케이딩스타일시트(CSS;Cascading Style Sheet);및
상기 마크업언어와 상기 CSS를 입력받아 HTML기반 웹브라우저를 생성하는 멀티북엔진(OP Multibook Engin);
을 포함하는 마크업언어를 이용한 이러닝 컨텐츠 저작 장치.
A web editor for creating e-learning contents based on HyperText Markup Language 5 (HTML5) compatible with various devices and distributing the e-learning contents to the web, and a markup language for allowing the e-learning contents distributed in the web editor to be learned through a web viewer In an e-learning content authoring apparatus,
The web editor
It is also possible to automatically reuse the authoring site of the e-learning content based on HTML5 according to the screen size or the corresponding degree of the terminal, and to combine the template type, the template design, the basic template, To provide more user interfaces
A new type of markup language (OPML; OP Markup Language) for producing e-learning contents;
A Cascading Style Sheet (CSS) that provides style information to text in HTML5; and
A multi-book engine (OP Multibook Engin) for receiving the markup language and the CSS and generating an HTML-based web brows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arning content authoring apparatu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웹에디터는
하나 이상의 이러닝 컨텐츠의 유형, 하나 이상의 템플릿유형, 하나 이상의 템플릿디자인, 미리 생성된 다수의 템플릿 및 저작된 HTML5기반의 이러닝 컨텐츠를 HTML5형식의 파일로 저장하는 DB부;
를 더 포함하는 마크업언어를 이용한 이러닝 컨텐츠 저작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eb editor
A DB unit for storing the type of one or more e-learning contents, one or more template types, one or more template designs, a plurality of pre-generated templates, and e-learning contents based on authored HTML5 as HTML5 format files;
Wherein the marking language further comprise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러닝 컨텐츠는
HTML5 기반 웹 컨텐츠와 자유 전자 서적인 EPUB(electronic publication)와 PDF(Portable Document Format)를 포함하는 마크업언어를 이용한 이러닝 컨텐츠 저작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arning content
An e-learning content authoring device using a markup language including HTML5-based web contents and free electronic books EPUB (electronic publication) and PDF (Portable Document Format).
청구항 3에 있어서,
멀티북엔진(OP Multibook Engin)은
컨텐츠 리소스를 저장하는 컨텐츠 리소스 저장부;
설계자 단말기와 웹 기반으로 통신하고, 상기 저장된 컨텐츠 리소스 중에서 상기 설계자 단말기가 지정한 컨텐츠 리소스 파일을 이용하여 차시별 또는 과정별 템플릿을 생성하는 템플릿 생성부; 및
상기 템플릿 생성부에서 생성된 차시별 또는 과정별 템플릿 중에서 선택받은 템플릿을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의 해당 차시 또는 과정에 대한 템플릿으로 적용하고, 상기 템플릿이 적용된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에 상기 설계자 단말기가 지정한 컨텐츠 리소스 파일을 이용하여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를 저작하는 이러닝 컨텐츠 저작부;
를 포함하는 마크업언어를 이용한 이러닝 컨텐츠 저작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Multibook Engine (OP Multibook Engine)
A content resource storage unit for storing content resources;
A template generating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 designer terminal on a web-based basis and generates a template for each session or process using the content resource file designated by the designer terminal among the stored content resources; And
The templates selected from the template or process-specific templates generated by the template generation unit are applied as templates for the corresponding tasks or processes of the e-learning content based on the HTML5, and the content specified by the designer terminal in the HTML5- An e-learning content authoring unit for authoring HTML5 based e-learning contents using a resource file;
Wherein the marking language includes at least one marking language.
청구항 1에 있어서,
설계자 단말기는 웹을 통해 접속하여 HTML5기반의 이러닝 컨텐츠를 저작할 수 있는 웹에디터에 접속하고,
상기 웹에디터는
템플릿을 선택하고 동일한 유형으로 형태가 고정된 차시를 HTML5기반의 이러닝 컨텐츠 중심으로 차시를 생성하고, 상기 차시를 묶어 HTML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하나 이상의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의 차시 또는 과정을 복사하여 새로운 HTML5 기반의 이러닝 컨텐츠의 차시 또는 과정을 생성하는 마크업언어를 이용한 이러닝 컨텐츠 저작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signer terminal accesses a web editor that can access the e-learning contents based on HTML5 by connecting through the web,
The web editor
Based on the e-learning contents based on the HTML5, creating the e-learning contents based on the HTML by grouping the e-learning contents and generating the e-learning contents based on the generated one or more HTML5- The e-learning contents authoring apparatus using a markup language for copying a process and creating new scenes or processes of e-learning contents based on new HTML5.

KR1020160147325A 2016-11-07 2016-11-07 E-learning content authoring apparatus using op markup language KR2018005082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325A KR20180050825A (en) 2016-11-07 2016-11-07 E-learning content authoring apparatus using op markup langu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325A KR20180050825A (en) 2016-11-07 2016-11-07 E-learning content authoring apparatus using op markup langu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825A true KR20180050825A (en) 2018-05-16

Family

ID=62451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325A KR20180050825A (en) 2016-11-07 2016-11-07 E-learning content authoring apparatus using op markup langu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082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393A (en) 2018-10-22 2020-05-04 씨아이씨소프트 주식회사 Method for authoring electronic document, Apparatus for authoring electronic document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WO2022092332A1 (en) * 2020-10-26 2022-05-05 주식회사 유니크유엑스 Micro-learning system using time attribute markup language and learn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using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393A (en) 2018-10-22 2020-05-04 씨아이씨소프트 주식회사 Method for authoring electronic document, Apparatus for authoring electronic document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WO2022092332A1 (en) * 2020-10-26 2022-05-05 주식회사 유니크유엑스 Micro-learning system using time attribute markup language and learn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us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941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ally generating a training program
Peterson Learning responsive web design: a beginner's guide
Rutter et al. Web accessibility: Web standards and regulatory compliance
US201500243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Relevance-Based Categorizing and Near-Time Learning of Words
Ferretti et al. Automatic web content personalization through reinforcement learning
US2014012051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Delivering, Using, and Leveraging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US20090246744A1 (en) Method of reading instruction
AU201129575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ocument analysis
KR20180050825A (en) E-learning content authoring apparatus using op markup language
JP2003067100A (en) Method, device, and program for digital contents display, and storage medium stored with the digital contents display program
Turró Are PDF documents accessible?
Miner et al. Math on the Web: A Status Report.
Breure et al. Xpos' re: A Tool for Rich Internet Publications.
de Oliveira et al. Infographics and pericyclic reactions: Multimodal resources in teaching of organic chemistry
Bastedo et al. General accessibility guidelines for online course content creation
KR102580126B1 (en) System for providing total mobile platform service or supporting sales force
Thatcher et al. Web accessibility
Otón et al. Considerations on barriers to effective E-learning toward accessible virtual campuses
Lakatos Content Production
KR100446643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publishing an electronic book by using an editing tool
KR2023013836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rvicing electronic documents
Madjarov Responsive Course Design-An Adaptive Approach to Designing Responsive m-Learning
Jalkanen Case study on XML-Authoring Software
Osborn et al. HTML5 Digital Classroom
Ribera-Turró Is the PDF format accessi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