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7171A - System and method for interconne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tandard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interconne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tand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7171A
KR20180047171A KR1020160142988A KR20160142988A KR20180047171A KR 20180047171 A KR20180047171 A KR 20180047171A KR 1020160142988 A KR1020160142988 A KR 1020160142988A KR 20160142988 A KR20160142988 A KR 20160142988A KR 20180047171 A KR20180047171 A KR 20180047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master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9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나민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2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7171A/en
Publication of KR20180047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17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se s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a dual connectivity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which transmits/receives data to/from a core network of the system, other base stations and terminals;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which generat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base station; and a control unit which, when any one among the other base stations is set as a master base station (MeNB) by a terminal upon execution of the dual connectivity, transmits a request receiving confirmation message contain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other base station set as the master base station if receiving a request for setting a secondary base station (SeNB) from the other base station set as the master base sta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kinds of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s supported by the base station for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Description

이종 이동통신 규격 간의 상호 연동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INTERCONNE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TANDARD}[0001] SYSTEM AND METHOD FOR INTERCONNECTING BETWEEN DIFFERENT TYPES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TANDARD [0002]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이 각기 서로 다른 종류의 이동통신 규격(mobile telecommunication standard)에 의한 서비스를 단말에 제공하는 기지국에 이중 접속(dual connection)하는 경우에 있어서, 기지국이 이용하는 이동통신 규격의 종류를 타 기지국이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인지의 결과에 기초하여 최적의 이동통신 환경을 이동통신 단말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a case wher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kes a dual connection to a base station providing different types of services based on a mobile telecommunication standard to a terminal, the typ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used by the base st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n other base station to easily recognize and provide an optimal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a result of the recognition.

생활수준의 향상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절대다수의 사람들이 휴대용 전화기(cell phone)와 같은 개인용의 이동통신 단말을 소지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컨텐츠들 역시 나날이 고용량화되고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가입자들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의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BACKGROUND ART [0002] With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 great number of people are using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cell phones. In addition, contents available through su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also increasing in capacity. Thus, the amount of data used by mobile communication subscribers is increasing exponentially.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이중 접속 기술이 고안되었다. 이중 접속 기술에 의하면, 단말이 두 개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 노드(예컨대, 마스터 기지국과 세컨더리 기지국)들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자원(radio resource)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보다 향상된 통신 환경을 누릴 수 있게 된다.To overcome this situation, a dual access technology has been devised. According to the double access technique, the terminal can use all of the radio resources provided from two different network nodes (for example, the master base station and the secondary base station), thereby enjoying a better communication environment .

도 1은 이중 접속에 대해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이중 접속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10)에서, 단말(20)은 마스터 기지국(master eNodeB 혹은 MeNB. 11)과 세컨더리 기지국(secondary eNodeB 혹은 SeNB, 12) 양자 모두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마스터 기지국(11)과 세컨더리 기지국(12)은 백홀(backhaul)이라 정의되는 연결 링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터 기지국(11)은 세컨더리 기지국(12)에 비해 커버리지(coverage)가 넓은 기지국으로 선택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단말(20)과 이동통신 시스템(10) 간의 최초 접속을 수행하는 기지국으로 설정될 수 있다.Figure 1 is a diagrammatic representation of a dual connection. 1, a terminal 20 performs data communication through both a master base station (master eNodeB or MeNB 11) and a secondary base station (secondary eNodeB or SeNB 12) can do. The master base station 11 and the secondary base station 12 may be 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link defined as a backhaul. The master base station 11 may be selected as a base station having a wider coverage than the secondary base station 12 but is basically set as a base station performing initial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2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0 .

이러한 이중 접속 기술에서 양 기지국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베어러(bearer)를 분배하는 방법으로는 CN(core network) 스플릿 방법과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스플릿(혹은 RAN 스플릿) 방법이 있다. 도 2는 이종 접속 기술에 적용되는 데이터 스플릿 방법에 대해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In such a dual access technique, there are a core network split method and a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split (or RAN split) method for distributing a bearer for data transmission to both base stations.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ata splitting method applied to the heterogeneous access technology.

도 2의 (A)는 CN 스플릿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CN 스플릿 방법은 기존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중접속 기술을 지원하기 이전의 프로토콜 구조에 비해 큰 변경 없이 도입할 수 있는 비교적 복잡도가 낮은 프로토콜 구조이다. CN 스플릿 방법에 의하면, 마스터 기지국(11)은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혹은 S-GW, 13)로부터 MCG 베어러만을 수신한다. MCG 베어러는 마스터 기지국의 무선 자원만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베어러이다. 세컨더리 기지국(12)은 서빙 게이트웨이(13)로부터 SCG 베어러만을 수신한다. SCG 베어러는 세컨더리 기지국의 무선 자원만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베어러이다.2 (A) shows a CN splitting method. The CN split method is a relatively low-complexity protocol structure that can be introduced without major changes compared to the protocol structure prior to supporting the dual access technology in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According to the CN split method, the master base station 11 receives only the MCG bearer from the serving gateway (S-GW) 13. The MCG bearer is a bearer for transmitting data using only the radio resources of the master base station. The secondary base station 12 receives only the SCG bearer from the serving gateway 13. [ The SCG bearer is a bearer for transmitting data using only the radio resources of the secondary base station.

도 2의 (B)는 PDCP 스플릿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PDCP 스플릿 방법에 의하면, 마스터 기지국(11)은 MCG 베어러와 함께 스플릿 베어러도 서빙 게이트웨이(13)로부터 수신한다. 스플릿 베어러는 마스터 기지국(11)과 세컨더리 기지국(12)의 무선 자원을 동시에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베어러로서, 서빙 게이트웨이(13)로부터 마스터 기지국(11)을 거쳐 세컨더리 기지국(12)으로 전달된다. 즉, PDCP 스플릿 방법에서 마스터 기지국(11)은 서빙 게이트웨이(13)로부터 수신한 베어러를 MCG 베어러와 SCG 베어러로 나누어, MCG 베어러는 자신이 직접 단말(20)에 전달하고, SCG 베어러는 세컨더리 기지국(12)으로 전송하여 세컨더리 기지국(12)을 통해 단말(2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PDCP 스플릿 방법은 마스터 기지국(11)이 무선 환경을 고려하여 적절히 베어러를 분배할 수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CN 스플릿 방법에 비해 성능이 우수하나, 마스터 기지국(11)의 데이터 처리 능력이 일정 수준 이상이어야 한다는 제약이 따른다. 2 (B) shows a PDCP split method. According to the PDCP split method, the master base station 11 receives the split bearer from the serving gateway 13 together with the MCG bearer. The split bearer is a bearer for transmitting data using the radio resources of the master base station 11 and the secondary base station 12 at the same time and is transmitted from the serving gateway 13 to the secondary base station 12 via the master base station 11. That is, in the PDCP split method, the master base station 11 divides the bearer received from the serving gateway 13 into the MCG bearer and the SCG bearer, the MCG bearer directly transmits the bearer to the terminal 20, 12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0 through the secondary base station 12. The PDCP split method is basically superior in performance to the CN split method because the master base station 11 can properly distribute the bearers in consideration of the radio environment, but the data processing capability of the master base station 11 must be at a certain level or higher .

전술한 바와 같은 이중 접속 기술을 이용하면,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이중 접속에 있어서 단말(20)이 접속하는 두 기지국(구체적인 예로서, 도 1의 마스터 기지국(11)과 세컨더리 기지국(12))이 서로 다른 이종의 이동통신 규격(예컨대, 5G와 LTE)에 의한 이중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기지국 간에 효율적인 부하의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 이동통신 규격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마스터 기지국(11)이 세컨더리 기지국(12)이 지원하는 이동통신 규격의 종류를 알 필요가 있다. 또한, 각 기지국의 데이터 처리 능력을 고려하여 스플릿 방법을 선택해야 할 필요가 있다.By using the above-described double connection technique, the data transmission speed can be greatly improved. However, in such a double connection, the two base stations (specifically, the master base station 11 and the secondary base station 12 in FIG. 1) to which the terminal 20 connects are different types of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s (for example, 5G and LTE ),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in order to allow efficient load distribution among the base stations. For this purpose, the master base station 11 needs to know the type of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supported by the secondary base station 12.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split method considering the data processing capability of each base station.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5-0088746 호 (2015.08.03. 공개)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88746 (published on Aug. 20, 2015)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동통신 단말이 각기 서로 다른 종류의 이동통신 규격을 지원하는 기지국에 이중 접속하는 경우에 있어서, 기지국이 지원하는 이동통신 규격의 종류를 타 기지국이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인지의 결과에 기초하여 최적의 이동통신 환경을 이동통신 단말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ouble-connected to a base station supporting different types of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s, And to provide an optimal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cogn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접속 방식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은, 상기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다른 기지국 및 단말과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기지국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식별 정보 생성부 및 상기 다른 기지국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이중 접속 방식의 실행 시에 상기 단말에 의해 마스터 기지국(MeNB)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된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세컨더리 기지국(SeNB) 설정을 위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수신 확인 메시지를 상기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된 다른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상기 기지국이 지원하는 이동통신 규격의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A base s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a dual access schem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re network of the system, a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with another base station and a terminal, And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when any one of the other base stations is set as a master base station (MeNB) by the terminal at the time of execution of the dual access scheme, a secondary base station (SeNB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 request acknowledgment message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nother base station set as the master base station, when the request for setting the base station is received, And may include a type of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supported by the base st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접속 방식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은, 단말과의 데이터 업링크 혹은 다운링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기지국, 상기 복수의 기지국과 연결된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상기 단말에 의해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된 기지국은 상기 시스템의 다른 기지국 중 상기 단말을 커버리지(coverage) 내에 포함하는 기지국에 세컨더리 기지국 설정을 위한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요청을 수신한 기지국은, 상기 요청을 수신한 기지국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수신 확인 메시지를 상기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된 기지국으로 송신하며, 상기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된 기지국은, 상기 요청을 수신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요청 수신 확인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 수신 확인 메시지를 송신한 다른 기지국 중 어느 하나를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설정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상기 기지국이 지원하는 이동통신 규격의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a dual access sc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that perform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hrough a data uplink or a downlink with a terminal, and a core network that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A base station set as a master base station by the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transmits a request for setting a secondary base station to a base station that includes the terminal within coverage of another base station of the system, Transmits a request acknowledgment message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base station that has received the request to the base station set as the master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set as the master base station transmits the request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confirmation message , And sets one of the other base stations that have transmitted the request acknowledgment message as a secondary base st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type of a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supported by the base sta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 이중 접속 방식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이중 접속을 위한 기지국 설정 방법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 내의 다른 기지국 중, 상기 이중 접속 방식의 실행 시에 상기 단말에 의해 마스터 기지국(MeNB)으로 설정된 기지국으로부터 세컨더리 기지국(SeNB) 설정을 위한 요청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요청의 수신이 있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기지국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수신 확인 메시지를 상기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된 다른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상기 기지국이 지원하는 이동통신 규격의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establishing a base station for a dual access performed by a base s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a dual access scheme to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a request for setting a secondary base station (SeNB) is received from a base station set as a master base station (MeNB) by the terminal,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quest is received, And transmitting a request acknowledgment message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nother base station set as the master base station, where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movement supported by the base sta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And may include types of communication standard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의 데이터 업링크 혹은 다운링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기지국 및 상기 복수의 기지국과 연결된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이중 접속을 위한 통신 환경 설정 방법은,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상기 단말을 커버리지 내에 포함하는 어느 한 기지국을, 이중 접속 방식을 위한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된 기지국에 의해, 상기 시스템의 다른 기지국 중 상기 단말을 커버리지(coverage) 내에 포함하는 기지국에 세컨더리 기지국 설정을 위한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을 수신한 기지국에 의해, 상기 요청을 수신한 기지국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수신 확인 메시지를 상기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된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된 기지국에 의해, 상기 요청을 수신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요청 수신 확인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 수신 확인 메시지를 송신한 다른 기지국 중 어느 하나를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상기 기지국이 지원하는 이동통신 규격의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for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hrough a data uplink or a downlink with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re network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setting, by the terminal,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that includes the terminal in the coverage as a master base station for the dual access system; Transmitting a request for setting up a secondary base station to a base station that includes the terminal in coverage among other base stations of the system by the base station that has received the request; A request acknowledgment message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sse Transmitting the request acknowledgment message to a base station set as a base station, and transmitting, by the base station set as the master base station, to another base station that has transmitted the request acknowledgment message,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quest acknowledgment message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type of a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supported by the base sta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mobile st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컨더리 기지국이 송신하는 정보에 포함된 식별자에 기초하여 세컨더리 기지국이 지원하는 이동통신 규격의 종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마스터 기지국의 용량 등 이동통신 시스템의 조건에 따라 스플릿의 방법을 달리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적의 이동통신 환경이 이동통신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yp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supported by the secondary base station can be easily grasped based on the identifier included i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secondary base station, and the cond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the capacity of the master base station The split method can be applied differently. Accordingly, an optimal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can be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이중 접속에 대해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이중 접속 기술에 적용되는 데이터 스플릿 방법에 대해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접속 방식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접속 방식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내의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이중 접속을 위한 통신 환경 설정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이중 접속을 위한 기지국 설정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matic representation of a dual connection.
2 is a conceptual illustration of a data splitting method applied to a dual access technique.
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a dual access sc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a dual access sc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of a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method for dual conne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of a base station setting method for dual conne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intention or the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접속 방식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이동통신 시스템(100)은 단말(200)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복수의 기지국(110, 120) 및 코어 네트워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3의 이동통신 시스템(100)의 구성 요소 및 이하에서 설명할 각 구성 요소들의 연결 관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3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a dual access sc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00 of FIG. 3 is a system for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terminal 20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 and 120 and a core network 130. However, since the component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00 of FIG. 3 and the connection relationship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to be described below are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FIG. 3 no.

우선 단말(200)은 기지국(110, 120)을 이용해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 송수신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컨대 이러한 단말(200)은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C),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이동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200)은 이중 접속(특히, 이종 이동통신 규격에 대한 이중 접속)이 가능한 단말일 것이 요구된다. 예컨대, 단말(200)은 LTE와 5G에 동시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First, the terminal 200 is a device for acces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base stations 110 and 120 to provid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o a user. For example, the terminal 200 may include a hand-hel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smart watch, . In addition, the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quired to be a terminal capable of double connection (in particular, double connection for heterogeneous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For example, the terminal 200 can simultaneously access LTE and 5G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기지국(110, 120)은 단말(200)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코어 네트워크(130)와 단말(200)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장비이다. 기지국(110, 120)은 저마다의 서비스 가능 영역에 해당하는 고유의 커버리지(coverage)를 갖는다. 각각의 기지국(110, 120)은 X2 인터페이스와 같은 백홀을 통하여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기지국(110, 120)은 단말(200)과는 각 기지국이 지원하는 이동통신 규격에 의해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 규격으로는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LTE(long-term evolution)나 차세대 네트워크 방식인 5G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10, 120)은 코어 네트워크(130)와는 광통신 등의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The base stations 110 and 120 are devices for connecting the core network 130 and the terminal 200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terminal 200. Each of the base stations 110 and 120 has a unique coverage corresponding to each serviceable area. Each of the base stations 110 and 120 can exchange data with each other through a backhaul such as an X2 interface. The base stations 110 and 120 can exchange data with each other wirelessly accord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supported by the base station 200. The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includes a long-term evolution (LTE) And 5G, the next generation network system. The base stations 110 and 120 may be connected to the core network 130 through a wired network such as an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코어 네트워크(130)는 이동통신 시스템(100)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어 노드(131),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혹은 S-GW, 132) 및 PDN 게이트웨이(PDN gateway 혹은 P-GW, 133)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re network 130 may manage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00 and may include a control node 131, a serving gateway (S-GW) 132, and a PDN gateway (PDN gateway or P- , 133), and the like.

제어 노드(131)는 기지국(110, 120)을 통해 단말(200)과 제어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노드(131)는 단말(200)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 및 보안을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노드(131)는 단말(200)의 이동 시에도 이동통신 시스템(100)과의 연결이 끊어지지 않도록 이동성을 지원하며, 이를 위해 단말(200)과의 제어 메시지 교환을 통하여 단말(200)이 인근의 적합한 기지국(110, 120)을 찾아 접속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노드(131)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ntrol node 131 can exchange control messages with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base stations 110 and 120. [ Specifically, the control node 131 may perform a procedure for authentication and security for the user of the terminal 200. The control node 131 also supports mobility so as not to be disconnec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00 even when the mobile station 200 moves. For this purpose, the control node 131 exchanges control messages with the mobile station 200, It is possible to locate and connect to the appropriate base stations 110 and 120 nearby. The control node 131 may be implemented as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서빙 게이트웨이(132)는 기지국(110, 120)으로부터 전송되는 단말(200)의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는 기능, 구체적으로 단말(200)의 데이터 패킷을 PDN 게이트웨이(133)로 전달할 수 있다. PDN 게이트웨이(133)는 서빙 게이트웨이(132)로부터 전달받은 단말(200)의 데이터 패킷을 인터넷(300)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서빙 게이트웨이(13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PDN 게이트웨이(133)는 단말(200)의 IP 주소를 할당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단말(200)의 IP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서빙 게이트웨이(132)를 거쳐 단말(200)까지 데이터 패킷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serving gateway 132 may transmit the data packet of the terminal 200 to the PDN gateway 133 in order to process the data packet of the terminal 200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s 110 and 120. The PDN gateway 133 may transmit the data packet of the terminal 200 received from the serving gateway 132 to the Internet 30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rving gateways 132. The PDN gateway 133 has a function of allocating the IP address of the terminal 200 and transmits the data packet to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serving gateway 132 using the IP address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Can be don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접속 방식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내의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100)에 포함된 기지국(110, 120)들 중 하나의 기지국(110)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지만, 이하의 설명은 이동통신 시스템(100) 내의 다른 기지국(1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의 기지국(110)은 통신부(111), 식별 정보 생성부(112) 및 제어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a dual access sc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one base station 110 among the base stations 110 and 120 inclu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00.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also applicable to other base stations 120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00 Can be applied. The base station 110 of FIG. 4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11,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12, and a control unit 113.

통신부(111)는 이동통신 시스템(100)의 코어 네트워크(130), 다른 기지국(120) 혹은 단말(20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1)의 동작은 후술할 제어부(113)의 제어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기지국(120)은 대상에 따라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 바, 통신부(111)는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을 모두 포함하도록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1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core network 130, the other base station 120, or the terminal 2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00.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111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base station 120 can use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depending on the object, and the communication unit 111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both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식별 정보 생성부(112)는 기지국(11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 정보에는 단말(200)과의 통신을 위해 기지국(110)이 지원하는 이동통신 규격의 종류가 포함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식별 정보에는 기지국(110)의 고유 ID(identifier), 기지국(110)의 주파수 대역 및 데이터 전송 속도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식별 정보 생성부(112)는 후술할 제어부(113)와 함께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12 may generat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base station 110. [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type of a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supported by the base station 110 for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200. [ 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unique ID of the base station 110, a frequency band of the base station 110, and information on the data transmission rat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12 may be implemented by an arithmetic unit including a microprocessor together with a control unit 113 to be described later.

제어부(113)는 이동통신 시스템(100)에 의한 이중 접속 방식의 실행 시에 단말(200)에 의해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된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세컨더리 기지국 설정을 위한 요청이 수신될 경우,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수신 확인 메시지를 상기 마스터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기지국(110)이 단말(200)에 의해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된 경우를 생각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동통신 시스템(100)의 다른 기지국 중 단말(200)을 커버리지 내에 포함하는 기지국에 세컨더리 기지국 설정을 위한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요청을 수신한 다른 기지국들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요청 수신 확인 메시지를 기지국(110)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때 자신의 식별 정보를 함께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 정보는 기본적으로 기지국(110)의 전술한 식별 정보 생성부(112)에 의해 생성되는 식별 정보와 그 성격이 동일하다. 요청 수신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제어부(113)는 요청 수신 확인 메시지를 송신한 다른 기지국들로부터 수신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다른 기지국들 중 어느 하나를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설정할 수 있다.When a request for setting a secondary base station is received from another base station that is set as a master base station by the terminal 200 at the time of executing the dual access metho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00, Request acknowledgment message to the master base station. Alternatively, the case where the base station 110 is set as the master base station by the terminal 200 may be considered. In this case, a request for setting up the secondary base st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including the terminal 200 among other base sta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00. Then, the other base stations receiving the request can transmit a request acknowledgment message to the base station 110 in response to the request, and can transmit their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above-describ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12 of the base station 110. [ Upon receipt of the request acknowledgment message, the control unit 113 may set any one of the other base stations as a secondary base station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other base stations that have transmitted the request acknowledgment messag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이중 접속을 위한 통신 환경 설정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 도 5 및 뒤에서 설명할 도 6의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5 및 6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도 5 및 6의 방법의 각 단계는 경우에 따라 도면에 제시된 바와 그 순서를 달리하여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of a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method for dual conne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 method of FIG. 5 and FIG. 6 to be described later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FIG. 5 and FIG. 6,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different forms and as shown in the drawings.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환경 설정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코어 네트워크(130)는 단말(200)로부터의 이동통신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이동통신 시스템(100)내에 존재하는 기지국 등의 이동통신 자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110). 다음으로, 단말(200)이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기지국에 접속함으로써 해당 기지국을 마스터 기지국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S120). 마스터 기지국은 이동통신 시스템(100) 내의 복수의 기지국 중 가장 커버리지가 넓은 네트워크 종류를 지원하는 기지국으로 결정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단말(200)과 이동통신 시스템(100) 간의 최초 접속을 수행하는 기지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지국(110)이 마스터 기지국으로 결정되었다고 가정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마스터 기지국(110)의 결정에 따라, 마스터 기지국(110)과 단말(200) 사이에는 제어 채널이 설정되고, 양자 간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진다.A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rst, the core network 130 may collect information on mobile communication resources of a base station and the like existing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00 based on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request from the terminal 200 (S110). Next, the terminal 200 can establish a corresponding base station as a master base station by accessing a specific base st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S120). The master base station may be determined as a base station supporting the network type having the largest coverage among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00. Basically, Lt; / RTI >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base station 110 is determined as a master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master base station 110, a control channel is established between the master base station 110 and the terminal 200, and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m is enabled.

다음으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베어러의 스플릿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스터 기지국(110)은 자신의 지원 가능 데이터 패킷 처리 속도를 고려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마스터 기지국(110)의 지원 가능 데이터 패킷 처리 속도가 기 정해진 기준(예컨대, 초당 20GBit의 데이터 전송 가능) 이상인지 혹은 미만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130). 만일 상기 지원 가능 데이터 패킷 처리 속도가 상기 기준 이상이라면, 도 2를 통해 설명한 두 가지의 스플릿 방식 중 PDCP 스플릿 방식이 선택될 수 있다(S140). 이에 반해, 상기 지원 가능 데이터 패킷 처리 속도가 상기 기준 미만이라면, PDCP 스플릿 방식이 아닌 CN 스플릿 방식이 선택될 수 있다(S150).Next, the split method of the bearer for data transmission can be determined. For this, the master base station 110 can consider the processing speed of its own supportable data packet. More specifically, the master base station 110 can process the supportable data packet processing speed of the master base station 110 based on a predetermined criterion (for example, ) Or less (S130). If the supportable data packet processing rat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rate, the PDCP split method among the two split method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may be selected (S140). On the other hand, if the supportable data packet processing rate is less than the criterion, the CN splitting method other than the PDCP split method may be selected (S150).

그 다음으로, 마스터 기지국(110)은 세컨더리 기지국을 이동통신 시스템(100) 내에 속한 기지국들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S160). 이러한 세컨더리 기지국 선택 과정의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기지국(120)이 세컨더리 기지국으로서 선택되었다고 가정한다. 세컨더리 기지국(120)의 선택이 완료되고 나면, 단말(200)은 마스터 기지국(110)과 세컨더리 기지국(120) 모두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중 접속 방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PDCP 스플릿 방식의 적용 하에서 마스터 기지국(110)은 데이터 통신을 위한 베어러를 서빙 게이트웨이(132)로부터 수신하여, 이동통신 환경 및 단말(200)이 요구하는 서비스에 따라 그 중 일부를 선택된 세컨더리 기지국(120)에 적절히 분배할 수 있다. 이와 달리, CN 스플릿 방식의 적용 하에서는 서빙 게이트웨이(132)가 베어러를 마스터 기지국(110)과 세컨더리 기지국(120)에 분배할 수 있다.Next, the master base station 110 can select a secondary base station from the base stations belong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00 (S160). Details of the secondary base station selec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base station 120 is selected as the secondary base station. After the selection of the secondary base station 120 is completed, the terminal 200 can receive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using the dual access method capable of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through both the master base station 110 and the secondary base station 120 . More specifically, under the application of the PDCP split method, the master base station 110 receives a bearer for data communication from the serving gateway 132 and transmits a bearer for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a service requested by the terminal 200 Can be appropriately distributed to the selected secondary base station 120. Alternatively, under the application of the CN split scheme, the serving gateway 132 may distribute the bearer to the master base station 110 and the secondary base station 12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이중 접속을 위한 기지국 설정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6의 방법은 도 5의 방법에서 S160의 단계를 보다 구체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설정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of a base station setting method for dual conne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method of FIG. 6 is a more specific embodiment of step S160 in the method of FIG. A method of establishing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우선, 마스터 기지국(110)은 이동통신 시스템(100) 내에 속한 기지국들 중 단말(200)을 커버리지 내에 포함하는 기지국에 세컨더리 기지국 설정을 위한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S210). 이 과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말(200)은 단말(200)의 주변의 기지국들에 의한 셀들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마스터 기지국(100)과 동일한 무선통신 규격 및 동일한 주파수를 이용하는 기지국에 의한 셀에 대해서는, 단말(200)이 마스터 기지국(100)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대역을 통해서 측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마스터 기지국(100)과 상이한 무선통신 규격 혹은 주파수를 이용하는 기지국에 의한 셀에 대해서는, 단말(200)이 주파수 대역의 재튜닝을 함으로써 이웃 셀들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 주파수 대역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마스터 기지국(100)과 상이한 무선통신 규격 혹은 주파수를 이용하는 기지국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다. 마스터 기지국(100)은 단말(200)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 설정을 위한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First, the master base station 110 may transmit a request for setting a secondary base station to a base station including the terminal 200 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s belong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00 (S210). More specifically, the terminal 200 may perform a measuremen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ells are present by the base stations in the vicinity of the terminal 200. At this time, the cell of the base station using the same radio communication standard and the same frequency as that of the master base station 100 can be measured through the band in which the terminal 200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master base station 100. Conversely, for a cell by a base station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or frequency different from that of the master base station 100, the terminal 200 performs retuning of the frequency band, Signal and can detect the presence of a base station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or frequency different from that of the master base station 100. The master base station 100 may transmit a request for setting up the secondary base station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terminal 200. [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 설정을 위한 요청을 수신한 기지국(120)은, 자신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수신 확인 메시지를 마스터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S220). 이러한 식별 정보에는 기지국(120)이 단말(200)과의 통신을 위해 지원하는 이동통신 규격(예컨대, LTE 혹은 5G)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정보는 기지국(120)의 ID, 기지국(120)이 단말(200)과의 통신을 위해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 및 데이터 전송 속도에 관한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Upon receiving the request for setting the secondary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120 may transmit a request acknowledgment message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secondary base station to the master base station in step S22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e.g., LTE or 5G) supported by the base station 120 for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200. [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an ID of the base station 120, a frequency band supported by the base station 120 for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200, and information on a data transmission rate.

상기 요청 수신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마스터 기지국(110)은 요청 수신 확인 메시지를 송신한 기지국들 중 하나를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단말(200)에 대해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S230). 이는 단말(200)과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설정된 기지국 사이에 제어 채널을 설정하여 양자 간에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Upon receiving the request acknowledgment message, the master base station 110 may set one of the base stations to which the request acknowledgment message is transmitted to be a secondary base station. Based on the RRC connection, (S230). This is for establishing a control channel between the terminal 200 and the base station set as the secondary base station so that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m.

세컨더리 기지국의 선택은, 각 기지국들로부터 수신한 요청 수신 확인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마스터 기지국(110)이 단말(200)과의 통신을 위해 지원하는 이동통신 규격에 비해 보다 신규한 이동통신 규격을 지원하는 기지국을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마스터 기지국(110)이 LTE를 지원한다면 세컨더리 기지국은 5G를 지원하는 기지국으로 선택할 수 있다. 혹은 세컨더리 기지국으로서 5G를 지원하는 기지국을 선택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마스터 기지국(110)은 자신보다 고주파 대역의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지국을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스터 기지국(110)은 커버리지가 넓은 기지국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커버리지는 5G와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 규격을 지원하는 기지국에 비해 LTE와 같은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이동통신 규격을 지원하는 기지국 쪽이 넓고, 지원하는 주파수가 저주파일수록 넓은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마스터 기지국(110)은 자신이 지원하는 이동통신 규격에 비해 신규한 규격을 지원하거나 자신이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에 비해 고주파 대역의 서비스를 지원하는 다른 기지국을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세컨더리 기지국의 선택에 있어 전술한 예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마스터 기지국(100)은 자신과 같거나 다른 이동통신 규격을 지원하는 기지국 중에서 세컨더리 기지국을 상황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The selection of the secondary base station can be made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quest acknowledgment message received from each base station. More specifically, the base station supporting the newer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than the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supported by the master base station 110 for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200 can be set as the secondary base station. For example, if the master base station 110 supports LTE, the secondary base station can select a base station supporting 5G. Or the base station supporting 5G as the secondary base station can not be selected, the master base station 110 can select the base station supporting the service of the higher frequency band as the secondary base sta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desirable that the master base station 110 is set as a base station having a wide coverage.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10 is higher than that of the base station supporting the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such as 5G, The broader the frequency is, the lower the frequency, the greater the tendency to show. Accordingly, the master base station 110 may support a new standard compar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supported by the master base station 110, or may select another base station supporting the high-frequency band service as a secondary base station compared to the frequency band supported by itself.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election of the secondary base station, and thus the master base station 100 can select a secondary base station among the base stations supporting the same or different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s .

이하에서는 기지국(120)이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한다. RRC 연결 재설정 절차가 완료되어 단말(200)과 세컨더리 기지국(120) 사이에 제어 채널이 생성되면(S240), 마스터 기지국(110)은 세컨더리 기지국(120)에 이중 접속이 완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S250).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base station 120 is set as a secondary base station. When the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procedure is completed and a control channel is created between the MS 200 and the secondary base station 120 at step S240, the master BS 110 can notify the secondary BS 120 of the completion of the dual connection ).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의 수행이 완료되고 나면, 단말(200)은 마스터 기지국(110)과 세컨더리 기지국(120) 모두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중 접속 환경 하에서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200)이 서로 다른 이동통신 규격을 갖는 마스터 기지국(110)과 세컨더리 기지국(120)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으며, 마스터 기지국(110)에 의해 넓은 커버리지가 안정적으로 확보되면서도 세컨더리 기지국(120)에 의해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5 and 6, the UE 200 can perform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 a dual access environment capable of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hrough both the master base station 110 and the secondary base station 120 Can be used. 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200 can b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master base station 110 and the secondary base station 120 having different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s, and the master base station 110 can stably The secondary base station 120 can transmit data at a high speed.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법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Combinations of each step of the flowchart and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s append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embedded in an encoding processor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special 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so that the instructions, performed through the encoding processor of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Thereby creating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step of the flowchart.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a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capable of directing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to implement the functionality in a particular manner so that the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It is also possible for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block diagram to produce a manufacturing item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r flowchart of the block diagram.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o that a series of operating steps may be perform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instructions that perform the processing equipment provide th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and at each step of the flowchart.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Also, each block or each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specified logical function (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the functions mentioned in the blocks or steps may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or step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the blocks or step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컨더리 기지국이 지원하는 이동통신 규격의 종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데이터 스플릿의 방법을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적의 이동통신 환경이 이동통신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ype of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supported by the secondary base station can be easily grasped, and the method of data splitting can be applied adaptively according to the situation. Accordingly, an optimal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can be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이동통신 시스템
110: 기지국
111: 통신부
112: 식별 정보 생성부
113: 제어부
120: 기지국
130: 코어 네트워크
131: 제어 노드
132: 서빙 게이트웨이
133: PDN 게이트웨이
200: 단말
100: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10: base station
111:
112: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section
113:
120: base station
130: core network
131: control node
132: Serving gateway
133: PDN gateway
200: terminal

Claims (16)

이중 접속 방식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으로서,
상기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다른 기지국 및 단말과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기지국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식별 정보 생성부; 및
상기 다른 기지국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이중 접속 방식의 실행 시에 상기 단말에 의해 마스터 기지국(MeNB)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된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세컨더리 기지국(SeNB) 설정을 위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수신 확인 메시지를 상기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된 다른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상기 기지국이 지원하는 이동통신 규격의 종류를 포함하는
이중 접속을 위한 기지국.
1. A base s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a dual access scheme,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 core network of the system, another base station and a terminal;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base station; And
When one of the other base stations is set as a master base station (MeNB) by the terminal at the time of execution of the dual access scheme, when a request for setting a secondary base station (SeNB) is received from another base station set as the master base station, And a controller for transmitting a request acknowledgment message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nother base station set as the master base station,
Where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 type of a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supported by the base sta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Base station for dual acc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상기 기지국이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 및 데이터 전송 속도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이중 접속을 위한 기지국.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information on a frequency band and a data transmission rate supported by the base sta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Base station for dual acc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의해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시스템의 다른 기지국 중 상기 단말을 커버리지(coverage) 내에 포함하는 기지국에 세컨더리 기지국 설정을 위한 요청을 송신하며, 상기 요청에 응답한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요청 수신 확인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에 응답한 다른 기지국 중 어느 하나를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설정하는
이중 접속을 위한 기지국.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request for setting a secondary base station to a base station that includes the terminal in coverage of another base station of the system when the base station is set as a master base station by the terminal,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quest acknowledgment message received from the other base station, sets one of the other base stations responding to the request to the secondary base station
Base station for dual acces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이 지원하는 이동통신 규격과는 다른 종류의 이동통신 규격을 지원하는 기지국 중에서 어느 하나를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설정하는
이중 접속을 위한 기지국.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sets any one of the base stations suppor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differen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supported by the base station to be the secondary base station
Base station for dual access.
단말과의 데이터 업링크 혹은 다운링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기지국;
상기 복수의 기지국과 연결된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상기 단말에 의해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된 기지국은 상기 시스템의 다른 기지국 중 상기 단말을 커버리지(coverage) 내에 포함하는 기지국에 세컨더리 기지국 설정을 위한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요청을 수신한 기지국은, 상기 요청을 수신한 기지국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수신 확인 메시지를 상기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된 기지국으로 송신하며,
상기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된 기지국은, 상기 요청을 수신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요청 수신 확인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 수신 확인 메시지를 송신한 다른 기지국 중 어느 하나를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설정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상기 기지국이 지원하는 이동통신 규격의 종류를 포함하는
이중 접속 방식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for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a terminal via data uplink or downlink;
And a core network coupled to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A base station set as a master base station by the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transmits a request for setting a secondary base station to a base station that includes within the coverage of the terminal among other base stations of the system,
Upon receiving the request, the base station transmits a request acknowledgment message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base station that has received the request to the base station set as the master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set as the master base station sets any one of the other base stations that has transmitted the request acknowledgment message as the secondary base station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quest acknowledgment message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hat has received the request,
Where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 type of a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supported by the base sta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a dual access schem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상기 기지국이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 및 데이터 전송 속도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이중 접속 방식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information on a frequency band and a data transmission rate supported by the base sta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a dual access schem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기지국은,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대한 상기 단말의 최초 접속을 수행하는 기지국 중에서 설정되며,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은, 상기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된 기지국이 지원하는 이동통신 규격과 같거나 다른 종류의 이동통신 규격을 지원하는 기지국 중에서 설정되는
이중 접속 방식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aster base station is set up in a base station that performs initial connection of the termi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mong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The secondary base station is set to a base station supporting a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which is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supported by the base station set as the master base statio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a dual access schem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된 기지국은, 상기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된 기지국의 지원 가능 데이터 패킷 처리 속도가 기 정해진 기준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지원 가능 데이터 패킷 처리 속도가 상기 기준 이상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위해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송출되는 베어러(bearer)가, 상기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된 기지국으로 전달된 후 상기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된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과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설정된 기지국으로 스플릿(split)되도록 하고,
상기 지원 가능 데이터 패킷 처리 속도가 상기 기준 미만일 경우, 상기 베어러가 상기 코어 네트워크에서 상기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된 기지국과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설정된 기지국으로 스플릿되도록 하는
이중 접속 방식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base station set as the master base station determines whether the supportable data packet processing speed of the base station set as the master base sta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Wherein when the supportable data packet processing rat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rate, a bearer transmitted from the core network for data transmission is transmitted to a base station set as the master base station, To a base station set as a secondary base station,
If the supportable data packet processing rate is less than the reference, the bearer is split into the base station set as the master base station in the core network and the base station set as the secondary base statio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a dual access scheme.
단말에 이중 접속 방식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이중 접속을 위한 기지국 설정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 내의 다른 기지국 중, 상기 이중 접속 방식의 실행 시에 상기 단말에 의해 마스터 기지국(MeNB)으로 설정된 기지국으로부터 세컨더리 기지국(SeNB) 설정을 위한 요청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요청의 수신이 있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기지국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수신 확인 메시지를 상기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된 다른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상기 기지국이 지원하는 이동통신 규격의 종류를 포함하는
이중 접속을 위한 기지국 설정 방법.
A method of establishing a base station for a dual access performed by a base s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a dual access scheme to a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a request for setting a secondary base station (SeNB) is received from a base station set as a master base station (MeNB) by the terminal during execution of the dual access scheme among other base station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Genera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base st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quest has been received; And
And transmitting a request acknowledgment message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nother base station set as the master base station,
Where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 type of a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supported by the base sta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A method for establishing a base station for dual acces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상기 기지국이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 및 데이터 전송 속도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이중 접속을 위한 기지국 설정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information on a frequency band and a data transmission rate supported by the base sta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A method for establishing a base station for dual acces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의해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시스템의 다른 기지국 중 상기 단말을 커버리지(coverage) 내에 포함하는 기지국에 대해 세컨더리 기지국 설정을 위한 요청의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의 송신에 응답한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요청 수신 확인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에 응답한 다른 기지국 중 어느 하나를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중 접속을 위한 기지국 설정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Performing transmission of a request for setting a secondary base station to a base station, which is included in coverage of another base station of the system, when the base station is set as a master base station by the terminal; And
Further comprising setting one of the other base stations responding to the request as a secondary base station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quest acknowledgment message received from the other base station in response to the transmission of the request
A method for establishing a base station for dual acces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지원하는 이동통신 규격과는 다른 종류의 이동통신 규격을 지원하는 기지국 중에서 어느 하나를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중 접속을 위한 기지국 설정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tep of setting as the secondary base station includes the step of setting any one of the base stations suppor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differen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supported by the base station as the secondary base station
A method for establishing a base station for dual access.
단말과의 데이터 업링크 혹은 다운링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기지국 및 상기 복수의 기지국과 연결된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이중 접속을 위한 통신 환경 설정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상기 단말을 커버리지 내에 포함하는 어느 한 기지국을, 이중 접속 방식을 위한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된 기지국에 의해, 상기 시스템의 다른 기지국 중 상기 단말을 커버리지(coverage) 내에 포함하는 기지국에 세컨더리 기지국 설정을 위한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을 수신한 기지국에 의해, 상기 요청을 수신한 기지국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수신 확인 메시지를 상기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된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된 기지국에 의해, 상기 요청을 수신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요청 수신 확인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 수신 확인 메시지를 송신한 다른 기지국 중 어느 하나를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상기 기지국이 지원하는 이동통신 규격의 종류를 포함하는
이중 접속을 위한 통신 환경 설정 방법.
There is provided a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method for a dual access performed by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hrough a data uplink or a downlink with a terminal and a core network connected with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Setting, by the terminal,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including the terminal as a master base station for a dual access scheme;
Transmitting, by a base station set as a master base station among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a request for setting a secondary base station to a base station that includes the terminal among the other base stations of the system in coverage;
Transmitting, by the base station that has received the request, a request acknowledgment message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base station that has received the request to the base station set as the master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set as the master base station sets any of the other base stations that have transmitted the request acknowledgment message to the secondary base station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quest acknowledgment message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hat has received the request ≪ / RTI >
Where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 type of a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supported by the base sta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A method of establishing communication environment for dual connec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상기 기지국이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 및 데이터 전송 속도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이중 접속을 위한 통신 환경 설정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information on a frequency band and a data transmission rate supported by the base sta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A method of establishing communication environment for dual connec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대한 상기 단말의 최초 접속을 수행하는 기지국을 상기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된 기지국이 지원하는 이동통신 규격과 같거나 다른 종류의 이동통신 규격을 지원하는 기지국 중 어느 하나를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중 접속을 위한 통신 환경 설정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tep of setting as the master base station includes a step of setting a base station that performs initial connection of the mobile st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s the master base station,
The step of setting as the secondary base station includes the step of setting any one of the base stations supporting the same or different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s as the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supported by the base station set as the master base station to be the secondary base station
A method of establishing communication environment for dual connec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된 기지국에 의해,
상기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된 기지국의 지원 가능 데이터 패킷 처리 속도가 기 정해진 기준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지원 가능 데이터 패킷 처리 속도가 상기 기준 이상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위해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송출되는 베어러(bearer)가, 상기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된 기지국으로 전달된 후 상기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된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과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설정된 기지국으로 스플릿(split)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지원 가능 데이터 패킷 처리 속도가 상기 기준 미만일 경우, 상기 베어러가 상기 코어 네트워크에서 상기 마스터 기지국으로 설정된 기지국과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설정된 기지국으로 스플릿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중 접속을 위한 통신 환경 설정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By the base station set as the master base station,
Determining whether a supportable data packet processing speed of the base station set to the master base sta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Wherein when the supportable data packet processing rat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rate, a bearer transmitted from the core network for data transmission is transmitted to a base station set as the master base station, To a base station set as a secondary base station; And
If the supportable data packet processing rate is less than the criterion, causing the bearer to split from the core network to the base station set as the master base station and to the base station set as the secondary base station
A method of establishing communication environment for dual connection.
KR1020160142988A 2016-10-31 2016-10-31 System and method for interconne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tandard KR2018004717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988A KR20180047171A (en) 2016-10-31 2016-10-31 System and method for interconne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tand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988A KR20180047171A (en) 2016-10-31 2016-10-31 System and method for interconne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tand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171A true KR20180047171A (en) 2018-05-10

Family

ID=62184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988A KR20180047171A (en) 2016-10-31 2016-10-31 System and method for interconne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tand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717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75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ession to change a user plane fun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595294B1 (en) Method for supporting efficient PDU session activation and deactivation in cellular networks
US10568061B1 (en) Method for supporting efficient PDU session activation and deactivation in cellular networks
KR101870850B1 (en) Method and device for indicating d2d related information and determining d2d transmission resource
KR10198627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 plane for d2d communications
CN109155958B (en) Method for switching to relay node, related equipment and system
US9432818B2 (en) Controlling communication devices
CN106162777B (en) Relay node switching method and system
EP3048748A1 (en)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device and related equipment
CN110381554B (en) Communication method, device, system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04869526A (e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nd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equipment thereof
EP3537819B1 (en) Resource scheduling method and base station
WO20140715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CN110636572A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CN108377548B (en) Mobility management method, UE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2460264B1 (en) Operation method of communication node support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in communication network
CN115398975A (en) System and method for signaling for sidelink relay communications
CN108633108B (en) Access control method, access method, device, base station, user equipment and entity
US20170150409A1 (en) Device-to-Device Resource Configu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TW201944839A (en) Creating protocol data unit for early data transmission
CN109076405B (en)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between different-type cells
CN115136651A (en) Switching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US202203947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of data transmission between radio access technologies for early data transmission
EP3823387B1 (en) Information indicating method and apparatus
CN112714484B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transmitting infrequently small data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