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5743A - Method for hangeul input using swipe gesture - Google Patents

Method for hangeul input using swipe ges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5743A
KR20180045743A KR1020160140450A KR20160140450A KR20180045743A KR 20180045743 A KR20180045743 A KR 20180045743A KR 1020160140450 A KR1020160140450 A KR 1020160140450A KR 20160140450 A KR20160140450 A KR 20160140450A KR 20180045743 A KR20180045743 A KR 20180045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ed
vowel
point
neutral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4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88754B1 (en
Inventor
조아란
Original Assignee
조아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아란 filed Critical 조아란
Priority to KR1020160140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754B1/en
Publication of KR20180045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7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7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of a smart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which comprises the steps of: (a) determining and displaying an initial consonant by firstly touching a consonant input key displayed on a touch screen; (b) dragging any one of the initial consonant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a state of being firstly touched; (c) displaying vowels ″ㅏ″, ″ㅓ″, ″ㅜ″, or ″ㅗ″ as syllable nucleus when the time to be dragged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from the firstly touched state is shor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first time; and (d) displaying vowels ″ㅑ″, ″ㅕ″, ″ㅠ″, or ″ㅛ″ as syllable nucleus when the time to be dragged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from the firstly touched state exceeds the predetermined first time. Therefore, the Korean character input efficiency is improved as compared to an existing input method.

Description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METHOD FOR HANGEUL INPUT USING SWIPE GESTURE}METHOD FOR HANGEUL INPUT USING SWIPE GESTURE "

본 발명은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모음 입력 단계를 생략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orean input method using a swipe ges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Korean input method using a swipe gesture that provides a function of omitting a plurality of vowel input steps.

최근, 스마트 단말기이나 휴대폰 등의 전자기기는 문자 입력을 위해 터치스크린 상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통상 터치패드(TOUCH PAD)로 이루어진 입력창과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이루어진 표시창으로 이루어진다.Recently,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terminals and mobile phones use a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on a touch screen for inputting characters. Such a touch screen usually comprises an input window made up of a touch pad and a display window made up of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또한, 터치패드는 서로 다른 입력정보를 갖는 복수개의 입력셀(INPUTTING CELL)이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리스 및 터치펜과 같은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셀을 터치하고, 입력셀에 대응하는 문자나 기능이 선택되어 표시창에 나타나도록 구성된다.Further, the touch pad has a plurality of input cells (input cells) having different input information. A user touches an input cell through an input means such as a finger, a stylus, and a touch pen, and a character or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cell is selec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터치스크린은 화면 상의 한 점을 손가락 등으로 누르면, 그 접촉점의 좌표값을 출력하는 위치 감지기를 포함한다.The touch screen includes a position sensor that outputs a coordinate value of the contact point by pressing a point on the screen with a finger or the like.

터치스크린은 화면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위치에 인간의 손 도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처리를 할 수 있도록 화면에서 직접 입력을 받을 수 있다.The touch screen can be directly input on the screen so that the human being or the object touches the character or specific position displayed on the screen and can recognize the position and perform specific processing by the stored software.

터치스크린에는 입력 감지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표면초음파전도(SURFACE ACOUSTIC WAVE : SAW) 방식 및 적외선 방식 등의 기술이 적용된다.Touch screen technologies such as input sensing resistive, capacitive, surface acoustic wave (SAW) and infrared are applied.

특히,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있어 멀티터치(MULTI TOUCH) 기술이 응용될 수 있다. In particular, a multi-touch technique can be applied to a user interface having a touch screen.

멀티터치 기술이란, 두 개 이상의 터치를 동시에 인식하는 기술이다. 두 손가락을 이용한 멀티터치 기술은 종래 한 손가락에 의한 단순한 터치 방식보다 스크롤(SCROLL), 줌인(ZOOM IN), 줌아웃(ZOOM OUT) 및 패닝(PANNING) 등 더 많은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Multi-touch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simultaneously recognizes two or more touches. The multi-touch technique using two fingers can realize more functions such as SCROLL, ZOOM IN, ZOOM OUT and PANING than a simple touch method using a conventional finger.

이러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한글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입력셀의 개수가 한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각 입력셀에 자음과 모음의 배치방식에 따라 문자의 입력속도와 편의성이 달라진다. In the case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he touch screen, the input speed and convenience of characters vary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f consonants and vowels in each input cell in a state where the number of input cells is limited.

한글은 영문자와는 달리 자음 숫자에 비해 모음 숫자가 많은 특징이 있어, 모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입력하는 방법이 중요한 사항이다.Hangul has many vowel numbers compared to consonants, which is different from English characters, so it is important to input vowels more effectively.

또한, 전자제품은 점차 소형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터치스크린 입력에 관한 기술이 발전해왔다.In addition, electronic products are becoming smaller and smaller. As a result, techniques for touch screen input have been developed.

특히, 대한민국에서는 사용자들이 영어보다 한국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Especially, in Korea, users often use Korean more than English.

이에 따라, 한글의 맞춤화된 터치 입력 방법이 요구되어 왔다.Accordingly, a customized touch input method of Hangul has been demanded.

종래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은 타건 횟수가 많아, 한글 문자 입력 시 타건 횟수의 증가로 인한 오타가 많이 발생하였다. In the traditional Korean input method using the touch screen, the number of typos is large, and a lot of typos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typing occur in the input of the Hangul characters.

아울러, 한글 문자를 입력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input the Korean character.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터치스크린 상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한글 입력방법에 대한 기술이 모색되어 왔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technique for a Korean input method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on a touch screen has been sought.

종래의 기술로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5-0097611호(발명의 명칭 : 한글 입력장치 및 한글 입력방법)와 같은 발명이 제안되었다.An invention such as that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5-0097611 (title of the invention: Korean input device and Hangul input method) has been proposed as a conventional technique.

본 발명의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모음 입력 단계를 생략할 수 있어, 기존 입력방법과 대비하여 한글 입력효율이 향상된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ngeul input method using a swipe gesture in which a plurality of vowel input steps can be omitted,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 (a)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음입력키를 제1 터치하여 초성 자음을 결정하고 표시하는 단계; (b) 초성 자음 중 어느 하나가 제1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하는 단계; (c) 상기 제1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시간 이하일 경우, "ㅏ", 'ㅓ', 'ㅜ' 또는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ㅑ", 'ㅕ', 'ㅠ' 또는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터치된 지점을 교차하는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터치된 지점의 12시 위치를 0°, 3시 위치를 90°, 6시 위치를 180° 및 9시 위치를 270°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inputting a Hangul input of a smart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comprising the steps of: (a) determining a consonant consonant by first touching a consonant input key displayed on a touch screen; (b) dragging any one of the consonant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a first touched state; (c) when the time to be dragged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from the first touched stat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first time, displaying the "a", "ㅓ", "t" or "ㅗ" vowel as neutral; And (d) when the time to be dragg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rom the first touched state exceeds a predetermined first time, a step of displaying a "ㅑ", "ㅕ", "ㅠ", or "ㅛ" Wherein the 12 o'clock position of the first touched point is defined as 0 °, the 3 o'clock position is defined as 90 °, the 6 o'clock position is defined as 180 ° and 9 o'clock relative to the X and Y axes crossing the first touched point, And the position is set to 270 DEG.

또한,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 (a)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음입력키를 제1 터치하여 초성 자음을 결정하고 표시하는 단계; (b) 초성 자음 중 어느 하나가 제1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하는 단계; (c) 상기 제1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압력이 기설정된 제1 압력 이하일 경우, "ㅏ", 'ㅓ', 'ㅜ' 또는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압력이 기설정된 제1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ㅑ", 'ㅕ', 'ㅠ' 또는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터치된 지점을 교차하는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터치된 지점의 12시 위치를 0°, 3시 위치를 90°, 6시 위치를 180° 및 9시 위치를 270°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inputting a Hangul input of a smart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determining a consonant consonant by first touching a consonant input ke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b) dragging any one of the consonant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a first touched state; (c) when the touch is dragg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the first touched state, when a pressure input to the touch screen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first pressure, a combination of "a", "t", " A step marked as neutral; And (d) when dragg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the first touched state, when the pressure inputted to the touch screen exceeds a predetermined first pressure, Wherein the 12 o'clock position of the first touched point is 0 °, the 3 o'clock position is 90 °, and the 6 o'clock position is 6 ° with respect to the X and Y axes crossing the first touched point. And a position of 180 degrees and a position of 9 o'clock are set to 270 degrees.

상기 드래깅 방향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45°이상부터 13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상기 단계 (c)에서 "ㅏ"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상기 단계 (d)에서 "ㅑ"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If the dragging direction is a direction between 45 degrees and less than 13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irst touched point, the "a"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in the step (c), and in the step (d) ㅑ "Vowels can be marked as neutral.

상기 드래깅 방향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135°이상부터 22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상기 단계 (c)에서 "ㅜ"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상기 단계 (d)에서 "ㅠ"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dragging direction is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range between 135 degrees and less than 22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irst touched point, the vowel in the step (c) is displayed as neutral, and in the step (d) "Vowels can be marked as neutral.

상기 드래깅 방향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225°이상부터 31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상기 단계 (c)에서 "ㅓ"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상기 단계 (d)에서 "ㅕ"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dragging direction is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range between more than 225 ° and less than 315 ° based on the first touched point, the "ㅓ"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in the step (c) ㅕ "Vowels can be marked as neutral.

상기 드래깅 방향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315°이상부터 4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상기 단계 (c)에서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상기 단계 (d)에서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In the step (c), the "ㅗ"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when the dragging direction is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range between more than 315 degrees and less than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irst touched point, ㅛ "Vowels can be marked as neutral.

상기 자음입력키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및 "ㅎ"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sonant input key is a key for inputting a consonant key to a user who has entered the consonant key in the order of "ㄱ", "ㄴ", "ㄷ", "" "," ㅁ "," ㅂ "," Quot ;, " ", " "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음입력키 이외에 "ㅡ", "ㅣ", "", "ㅙ" 또는 "ㅞ"가 표시된 모음입력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vowel input key in which "ㅡ", "ㅣ", "", "ㅙ" or "ㅞ" are displayed in addition to the consonant input ke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또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 (a)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음입력키를 제1 터치하여 초성 자음을 결정하고 표시하는 단계; (b) 초성 자음 중 어느 하나가 제1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하는 단계; (c) 상기 제1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시간 이하일 경우, "ㅏ", 'ㅓ', 'ㅜ' 또는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ㅑ", 'ㅕ', 'ㅠ' 또는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터치된 지점을 교차하는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터치된 지점의 12시 위치를 0°, 3시 위치를 90°, 6시 위치를 180° 및 9시 위치를 270°로 설정하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어 드래깅이 끝나는 지점을 제2 지점을 기준으로, 반경 15cm 이내의 일측 방향 또는 왼쪽 방향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을 제1 지점으로 하고, 상기 제1 지점을 터치하는 경우, "" 모음이 추가로 입력되며, 제2 지점을 기준으로, 반경 15cm 이내의 타측 방향 또는 오른쪽 방향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을 제3 지점으로 하고, 상기 제3 지점을 터치하는 경우, "ㅡ" 모음이 추가로 입력되며, 제3 지점을 기준으로, 반경 5cm 이내의 오른쪽 방향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을 제4 지점으로 하고, 상기 제4 지점을 터치하는 경우, "ㅣ" 모음이 추가로 입력되며, 제4 지점을 기준으로, 반경 5cm 이내의 오른쪽 방향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을 제5 지점으로 하고, 상기 제5 지점을 터치하는 경우, 백스페이스(Backspace)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inputting a Hangul input of a smart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determining a consonant sound by first touching a consonant input key displayed on a touch screen; (b) dragging any one of the consonant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a first touched state; (c) when the time to be dragged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from the first touched stat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first time, displaying the "a", "ㅓ", "t" or "ㅗ" vowel as neutral; And (d) when the time to be dragg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rom the first touched state exceeds a predetermined first time, a step of displaying a "ㅑ", "ㅕ", "ㅠ", or "ㅛ" Wherein the 12 o'clock position of the first touched point is defined as 0 °, the 3 o'clock position is defined as 90 °, the 6 o'clock position is defined as 180 ° and 9 o'clock relative to the X and Y axes crossing the first touched point, The position is set to 270 degrees, the point where the dragging ends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first point within one radius or within the radius of 15 cm of the second point, or the point where the touch is made in the left direction, Quot ;, a "" vowel is additionally inputted, a point where a touch is made in the other direction within a radius of 15 cm or in the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point is defined as a third point, and when the third point is touched , "ㅡ" vowels are added, and based on the third point , A point where a touch is made in the right direction within a radius of 5 cm is set as a fourth point, and a "ㅣ" vowel is further input when the fourth point is touched. On the basis of the fourth point, And a backspace operation is performed when the fifth point is touched with a point at which a touch is per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touch point.

또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 (e)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음입력키를 제1 터치하여 초성 자음을 결정하고 표시하는 단계; (f) 초성 자음 중 어느 하나가 제1 터치된 이후, 'ㅡ' 및 'ㅣ'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을 선택하는 제2 터치 단계; (g) 'ㅡ' 및 'ㅣ'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이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하는 단계; (h) 제2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시간 이하일 경우, "ㅏ", 'ㅓ', 'ㅜ' 또는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 및 (i) 제2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ㅑ", 'ㅕ', 'ㅠ' 또는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터치된 지점을 교차하는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터치된 지점의 12시 위치를 0°, 3시 위치를 90°, 6시 위치를 180° 및 9시 위치를 270°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s of: (e) determining a consonant sound by first touching a consonant input ke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displaying the consonant consonant; (f) a second touch step of selecting any one of '?' and '?' after any one of the consonants is touched first; (g) dragging the vowel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any one of the vowels '?' and '?' is touched; (h) displaying a "a", "ㅓ", "'", or "ㅗ" vowel as neutral when the time to be dragg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rom the second touched state is not more than a predetermined first time; And (i) when the time to be dragg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rom the second touched state exceeds a predetermined first time, displaying the vowel, the vowel, the vowel, or the vowel as neutral; Wherein the 12 o'clock position of the first touched point is defined as 0 °, the 3 o'clock position is defined as 90 °, the 6 o'clock position is defined as 180 ° and 9 o'clock position relative to the X and Y axes crossing the first touched point Is set to 270 deg.. The swing gesture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hangeul input method using the swipe gesture.

또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 (e)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음입력키를 제1 터치하여 초성 자음을 결정하고 표시하는 단계; (f) 초성 자음 중 어느 하나가 제1 터치된 이후, 'ㅡ' 및 'ㅣ'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을 선택하는 제2 터치 단계; (g) 'ㅡ' 및 'ㅣ'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이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하는 단계; (h) 제2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압력이 기설정된 제1 압력 이하일 경우, "ㅏ", 'ㅓ', 'ㅜ' 또는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 및 (i) 제2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압력이 기설정된 제1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ㅑ", 'ㅕ', 'ㅠ' 또는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를 포함하고, 제1 터치된 지점을 교차하는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터치된 지점의 12시 위치를 0°, 3시 위치를 90°, 6시 위치를 180° 및 9시 위치를 270°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s of: (e) determining a consonant sound by first touching a consonant input ke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displaying the consonant consonant; (f) a second touch step of selecting any one of '?' and '?' after any one of the consonants is touched first; (g) dragging the vowel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any one of the vowels '?' and '?' is touched; (h) When the touch screen is dragg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rom the second touched state, when the pressure inputted to the touch screen is equal to or lower than a predetermined first pressure, the 'a', 't', 't' ; And (i) when dragg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rom the second touched state, when the pressure input to the touch screen exceeds a predetermined first pressure, Wherein the 12 o'clock position of the first touched point is 0 °, the 3 o'clock position is 90 °, and the 6 o'clock position is 6 ° with respect to the X and Y axes crossing the first touched point. And a position of 180 degrees and a position of 9 o'clock are set to 270 degrees.

드래깅 방향이 제2 터치된 'ㅡ'(210)을 기준으로 135°이상부터 22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h)단계에서는 "ㅜ"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i)단계에서는 "ㅠ"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또한, 드래깅 방향이 제2 터치된 'ㅡ'(210)을 기준으로 315°이상부터 4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h)단계에서는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i)단계에서는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며, 드래깅 방향이 제2 터치된 'ㅣ'(220)을 기준으로 45°이상부터 13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h)단계에서는 "ㅏ"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i)단계에서는 "ㅑ"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또한, 드래깅 방향이 제2 터치된 'ㅣ'(220)을 기준으로 225°이상부터 31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h)단계에서는 "ㅓ"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i)단계에서는 "ㅕ"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If the dragging direction is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range between 135 degrees and less than 22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touched '210', the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in step (h), and (i) In the case where the dragging direction is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range between 315 ° and less than 45 ° based on the second touched ' (I), the "ㅛ"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and the dragging direction is between 45 ° and less than 135 ° relative to the second touched "ㅣ" (220) In step (h), the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the vowel in step (i) is displayed as neutral, and the dragging direction is displayed as the second touched ' In the step (h), the "ㅓ"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and in the step (i) ㅕ "Vowels can be marked as neutral.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은 다수의 모음 입력 단계를 생략할 수 있어, 기존 입력방법과 대비하여 한글 입력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Hangeul input method using the swipe ges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mit a plurality of vowel input steps and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Hangeul input efficienc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input metho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은 스마트 폰이나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단말기에 응용할 경우,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또는 "ㅐ" 등의 모음 키를 사용하지 않아, 자음 및 특수기호 등의 입력키가 보다 넓은 화면 영역을 차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오타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한글 입력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he swipe ges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mart phone or a terminal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by using "a", "ㅑ", "ㅓ", "ㅕ" , "ㅛ", "ㅜ", "ㅠ", or "ㅐ" are not used, input keys such as consonants and special symbols can occupy a wider screen area, It is possible to provide a Korean input method.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종래의 한글 입력방법을 이용하여 단어를 작성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이용하여 단어를 작성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e는 도 4의 입력방법의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1A through 1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Korean input method using a swipe ges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to 2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Korean input method using a swipe ges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words are created using a conventional Hangul input method;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word is created using a Hangul input method using a swipe ges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5A to 5E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input method of Fig. 4 in detail.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Korean input method using a swipe ges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Korean input method using a swipe ges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Korean input method using a swipe gestur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Korean input method using a swipe gestur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embodiment, and various transformations can be applied and various embodiments can be mad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description covers all change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erms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ir own meaning, a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Like reference numeral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enote like elemen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 comprising, "" comprising, "or" having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to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 에서는 모음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를 기본모음이라 호칭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vowels "a",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또한, 모음 "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를 복합모음이라 호칭한다.In addition, the vowels "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

또한,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를 기본자음이라 호칭한다.Also, the consonants "ㄱ", "ㄴ", "ㄷ", "" "," ㅁ "," ㅂ "," ㅅ "," ㅇ "," , "" And "" are referred to as basic consonants.

또한, "ㄲ", "ㄸ", "ㅃ", "ㅆ", "ㅉ" 를 복합자음이라 호칭한다. In addition, "ㄲ", "ㄸ", "ㅃ", "ㅆ", "ㅉ" is called a compound consonant.

특히 종성으로 쓰이는 자음일 경우,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를 홑받침, 자음두개가 모여 받침을 이루는 겨우 겹받침으로 호칭한다.Especially, in case of consonant used as a consonant, consonants "a", "ㄴ", "ㄷ", "" "," ㅁ "," ㅂ "," ㅅ "," ㅇ "," , "" "," ㅅ "," ㅎ ", and" ㅎ "are referred to as a single support.

한글은 초성과 중성이 결합하여 한 음절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초성과 중성 및 종성이 결합하여 한 음절을 구성할 수 있다.Hangul can form a syllable by combining prechoseness and neutrality. Or a combination of the beginning, the neutral, and the ending can form a syllable.

이 경우, 초성은 자음, 중성은 모음이 선택되고, 종성은 반드시 자음으로 이루어지는 특성이 있다.In this case, consonants are selected for consonants, vowels for neutral are selected, and consonants are always consonants.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S. 1A to 1C are views for explaining a Korean input method using a swipe ges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to 2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Korean input method using a swipe ges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10)에 자음입력키를 구비하는 입력창(20)이 구비됨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window 20 having a consonant input key on the touch screen 10.

도 1a를 참조하면, 스마트 단말기는 터치스크린(10)을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A, a smart terminal may include a touch screen 10.

스마트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에 기반한 모든 전자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 노트북 및 PMP 등의 터치스크린에 응용 가능하다.The smart terminal may be any electronic device based on a touch screen. For example, it can be applied to a touch screen such as a mobile device, a notebook, and a PMP.

본 발명의 스마트 단말기는 터치 입력에 대해 저항막 방식의 경우에는 전위차, 정전용량 방식의 경우에는 커패시턴스(capacitance), 표면초음파전도 방식의 경우에는 파장, 적외선 방식의 경우에는 IR 광인터럽트 형태의 출력값을 내보내고, 출력값은 최종적으로 (X, Y) 등의 좌표 형태로 변환된다. In the smart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terminal is provided with an output value in the form of a potential difference in the case of the resistive film type, a capacitance in the case of the capacitance type, a wavelength in the case of the surface ultrasonic wave type, and an IR light interrupt type in the case of the infrared type And the output value is finally converted into a coordinate form such as (X, Y).

터치 입력의 좌표 값은 디스플레이된 문자 입력 구간의 위치와 대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어떤 문자 입력 구간이 선택되었는지 인지할 수 있게 된다.The coordinate value of the touch input is compared with the position of the displayed character input sec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recognize which character input section is selected from the user.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는 해당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지속 시간 또는 압력값도 검출한다 At this time, the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so detects the touch duration or pressure value for the corresponding touch input

이어서, 좌표값에 따른 문자 입력 구간을 판단하고, 판단된 문자 입력 구간, 터치 지속 시간, 압력값에 따라 사용자가 어떤 문자를 선택하고자 하는지 판단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n, it is possible to judge which character is to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character input section, the touch duration, and the pressure value, and display the character input section.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단말기는 터치스크린 모듈, 자판 모듈, 입력처리 모듈, 프로세싱 모듈 및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ouch screen module, a keyboard module, an input processing module, a processing module, and a speaker.

터치스크린 모듈은 사용자가 직접 터치를 하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은 구조 및 구동 방식에 따라 압력식 저항막 방식(Registive Overlay),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초음파 방식(Surface Acoustic Wave), 피에조 효과 방식(Piezo Electric) 및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Integral Strain Guag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ouch screen module is for inputting characters by directly touching the user, and may include a touch panel. Such a touch panel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such as a registive overlay type, a capacitive overlay type, an infrared ray type, an infrared ray type, a surface acoustic wave type, a piezo effect type Piezo Electric, and Integral Strain Guage.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종류에 상관없이 모든 터치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use all touch panels regardless of the type in order to input characters.

자판 모듈은 사용자에게 자판을 시인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터치 모듈의 하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자판을 터치하면 해당 문자의 위치에 해당하는 터치스크린 모듈이 터치되어 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The keyboard module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ouch module to allow the user to visually recognize the keyboard. When the user touches the keyboard to input a character, the touch screen module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position is touched to input characters.

이러한 자판 모듈은 배열된 자판 모듈의 크기를 넓혀 문자 입력 오타를 줄이기 위해 'ㄱ', 'ㅁ', 'ㅅ', 'ㅇ', 'ㅣ' 및 'ㅡ' 등을 포함하는 소정의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se keyboard modules are implemented with predetermined buttons including 'a', 'k', 'g', 'o', 'l', and 'ㅡ' .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시스템이 적용되는 기기에 따라 자판의 배열은 달라질 수 있다.The arrangement of the keyboar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a device to which the character in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또한, 본 발명은 자판 모듈에 구비된 버튼과 크기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절할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user to easily adjust the buttons and sizes of the keyboard module.

입력처리 모듈은 사용자가 자판 모듈과 터치스크린 모듈을 통한 입력을 터치, 드레그, 멀티터치, 멀티터치 드레그로 분류하고 위치 정보와 분류 정보를 프로세싱 모듈로 전달할 수 있다. The input processing module can classify the input through the keyboard module and the touch screen module into touch, drag, multi-touch, and multi-touch dragg, and transmit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to the processing module.

이러한 입력처리 모듈은 터치 판단 모듈과 입력 보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processing module may include a touch determination module and an input correction module.

터치 판단 모듈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모듈을 터치하는 것을 판단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touch determination module is a structure for determining that the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module.

터치 판단 모듈은 터치 모듈, 드레그 모듈, 멀티터치 모듈 및 멀티터치 드레그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touch determination module may include a touch module, a drag module, a multi-touch module, and a multi-touch drag module.

터치 모듈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모듈에서 터치를 시작한 지점을 감지할 수 있다.The touch module can sense the point at which the user initiates the touch in the touch screen module.

드레그 모듈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모듈에서 터치를 종료한 지점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종료 지점과 터치 모듈에서 감지된 터치를 시작한 지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수행한 드레그 동작을 인지할 수 있다. The drag module senses a point where the user ends the touch in the touch screen module, and recognizes the drag operation performed by the user using the sensed touch end point and the point where the touch sensed by the touch module is started.

이는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드레그를 수행하고자 하더라도 터치스크린 모듈에 우선 압력을 가하여 터치부터 수행해야 하므로, 드레그 모듈은 터치스크린 모듈에서 감지된 터치 시작 지점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자신이 감지한 터치 종료 지점에 대한 정보를 더하여 최종적으로 드레그 동작을 인지한다.This is because even though the user intends to carry out a dragging operation to input a character, the drag module must receive the information about the touch start point sensed by the touch screen module, Adds information about the end point, and finally recognizes the drag operation.

멀티터치 모듈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모듈에서 둘 이상의 지점을 동시에 터치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The multi-touch module can detect that the user has touched more than one point in the touch screen module at the same time.

멀티터치 드레그 모듈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모듈에서 둘 이상의 지점을 동시에 터치한 후, 터치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동한 드레그 동작을 감지한다. The multi-touch dragg module senses the moved drag operation while the user touches two or more points in the touch screen module at the same time and remains in the touched state.

이를 위해 멀티터치 드레그 모듈은 둘 이상의 지점에 대한 터치 종료 지점과 멀티터치 모듈에서 감지된 멀티터치에 대한 터치 시작 지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멀티터치 드레그 동작을 인지한다. To this end, the multi-touch dragg module recognizes the user's multi-touch drag operation using the touch end point for two or more points and the touch start point for the multi-touch sensed by the multi-touch module.

본 발명은 일반 터치 동작과 드레그 동작만을 수행 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된 멀티터치 모듈과 멀티터치 드레그 모듈은 생략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only the general touch operation and the drag operation. In this case, the multi-touch module and the multi-touch drag module described above may be omitted.

프로세싱 모듈은 입력처리 모듈에 의해 감지된 문자를 병합하고, 이에 대한 영상 신호를 사용자에게 시인시키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입력한 문자를 시인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대한 청각 신호로 문자 입력에 따른 비프음 등을 스피커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이를 들을 수 있게 할 수 있다.The processing module may merge the characters sensed by the input processing module and send the image signal to a display module that allows the user to view a character entered by the processing module. Also, a beep sound according to the inputting of the character may be transmitted to the speaker by the auditory signal, so that the user can hear the beep sound.

스피커는 프로세싱 모듈에서 전송된 청각 신호를 재생하여 사용자가 이를 들을 수 있게 한다. The speaker reproduces the audibl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rocessing module so that the user can hear it.

이러한 스피커는 생략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기기인, 스마트 단말기 등에 기본적으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할 수 있다.Such a speaker may be omitted, but it can be used because it is basically provided in a smart terminal or the like, which is a device to which the character in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단말기는 해당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지속 시간, 드래깅 지속 시간, 드래깅 되는 압력 또는 터치 압력값을 검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a touch duration, a dragging duration, a dragging pressure, or a touch pressure value for the corresponding touch input.

사용자는 터치 지속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드래깅 지속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The user can set the touch duration. Also, the user can set the dragging duration.

예를 들어, 사용자는 드래깅되는 시간을 제1 시간 이하와 제1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can set the time to be dragged to be less than the first time and exceeding the first time.

스마트 단말기는 터치 및 드래깅 시 해당 터치 시간 또는 드래깅되는 시간에 대한 값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mart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value for the touch time or the dragged time at the time of touching and dragging.

이 경우 제1 시간 이하는 1~3초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제1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는 3초를 초과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time or less may be 1 to 3 seconds or less. In addition, the time exceeding the first time may exceed 3 seconds.

또한, 사용자는 드래깅 되는 압력 또는 터치 압력값을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set the pressure or touch pressure value to be dragged.

예를 들어, 사용자는 드래깅 되는 압력 또는 터치 압력값을 제1 압력 이하와 제1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may set the pressure or touch pressure value to be dragg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pressure.

제1 압력 이하의 경우, 단모음이 표시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first pressure or less, a short vowel may be displayed.

또한, 제1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겹모음이 표시될 수 있다.Further, when the first pressure is exceeded, a double voice can be displayed.

제1 압력에 대한 기준은 미리 별도의 옵션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설정할 수 있다.The criterion for the first pressure can be set in advance through a separate option or application.

스마트 단말기는 터치 시 해당 터치 입력에 대한 압력값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mart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pressure value for the touch input upon touch.

또한, 입력창(20)에는 자음입력키가 형성될 수 있다.Further, a consonant input key may be formed in the input window 2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에서 자음입력키(100)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Hangul input method using the swipe ges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nsonant input keys 100 may be formed.

자음입력키(100)는 터치스크린(10)의 경계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The consonant key 100 may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undary of the touch screen 10.

터치스크린(10)과 자음입력키(100) 사이의 일정 공간(30)은 자음입력키(100)로부터의 드래깅 제스처가 실행되는 공간일 수 있다.The fixed space 30 between the touch screen 10 and the consonant input key 100 may be a space in which the dragging gesture from the consonant input key 100 is executed.

자음입력키(100)가 구비되는 공간의 남은 별도의 공간에는 자음입력키의 자음을 쌍자음 및 파열음으로 변환시키는 별도의 설정키가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maining space in the space where the consonus input key 100 is provided may further include a setting key for converting the consonant of the consonant input key into double consonant and plosive sounds.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10) 상에서 보여지듯이 복수개의 자음입력키(100) 만으로도 "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원리는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A, the present invention can input a "four" character by using only a plurality of consonant input keys 100, as shown on a touch screen 10. The principle of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B and 1C.

참고로, 본 발명에서의 "터치"란, 물리적인 접촉뿐만 아니라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 등과 같은 입력수단이 터치스크린의 터치검출부가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수준까지 근접하는 동작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touch"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not only physical contact but also an operation in which an input means such as a finger or a stylus pen approaches a level at which the touch detection unit of the touch screen can recognize the touch.

도 1b를 참조하면, 입력창(20)은 복수개의 자음입력키(100) 및 일정 공간(30)이 구비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1B, the input window 20 includes a plurality of consonant input keys 100 and a predetermined space 30.

사용자는 자음입력키로 시작되는 단일 드래깅 제스처에 따라 모음을 결정할 수 있다.The user can determine a vowel according to a single dragging gesture that begins with a consonant input key.

여기에서, 단일 드래깅 제스처란, 하나의 터치로부터 이어지는 드래깅 제스처를 뜻한다.Here, a single dragging gesture refers to a dragging gesture from one touch.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라는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For example, the case where the user inputs "Hangul" is described as an example.

자음입력키(100) 중 "ㅅ"의 자음입력키를 제1 터치할 수 있다. 이후, "ㅅ"자가 제1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 할 수 있다. 이 때, 드래깅 되는 길이는 제1 터치되는 지점인 "a"부터 드래깅이 끝나는 지점인 "b"일 수 있다. 드래깅 길이는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가 별도의 옵션사항에서 조절할 수 있다.The first consonant input key of the consonant input key 100 can be touched first. Thereafter, the user can drag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in the first touched state. In this case, the length to be dragged may be "b", which is the point at which dragging ends from "a" being the first touch point. The dragging length can be set in advance or adjusted by the user in a separate option.

구체적으로, "ㅅ"자가 제1 터치된 상태에서 드래깅 방향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45°이상부터 13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ㅏ"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 Specifically, if the dragging direction is in the first touched state and the dragging direction is in a direction between 45 degrees and less than 13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irst touched point, the "a" vowel may be displayed as neutral .

이에 따라, ㅅ+ㅏ = "사"라는 한글이 스마트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ly, Hangul, which is a word,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smart terminal.

도 1c를 참조하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드래깅 방향이 각각 다를 경우, 각각의 영역에 해당하는 모음이 선택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1C, it can be seen that, if the dragging direct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first touched point, a vowel corresponding to each region can be selected.

제1 터치되는 점인 a를 기준으로 각 영역이 설정된다.Each area is set with reference to the first touch point a.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details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10) 상에서 보여지듯이 복수개의 자음입력키(100) 만으로도 "샤"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원리는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2A, the present invention can input a letter "Shar" with only a plurality of consonant input keys 100, as shown on the touch screen 10. The principle of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B and 2C.

도 2b를 참조하면, 입력창(20)은 복수개의 자음입력키(100) 및 일정 공간(30)이 구비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2B, the input window 20 includes a plurality of consonant input keys 100 and a predetermined space 30.

사용자는 자음입력키로 시작되는 단일 드래깅 제스처에 따라 모음을 결정할 수 있다.The user can determine a vowel according to a single dragging gesture that begins with a consonant input key.

여기에서, 단일 드래깅 제스처란, 하나의 터치로부터 이어지는 드래깅 제스처를 뜻한다.Here, a single dragging gesture refers to a dragging gesture from one touch.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샤"라는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For example, the case where the user inputs the Korean word "sha" is described as an example.

자음입력키(100) 중 "ㅅ"의 자음입력키를 제1 터치할 수 있다. 이후, "ㅅ"자가 제1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 할 수 있다. 이 때, 드래깅 되는 길이는 제1 터치되는 지점인 "a"부터 드래깅이 끝나는 지점인 "b"일 수 있다. 드래깅 길이는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가 별도의 옵션사항에서 조절할 수 있다.The first consonant input key of the consonant input key 100 can be touched first. Thereafter, the user can drag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in the first touched state. In this case, the length to be dragged may be "b", which is the point at which dragging ends from "a" being the first touch point. The dragging length can be set in advance or adjusted by the user in a separate option.

구체적으로, "ㅅ"자가 제1 터치된 상태에서 드래깅 방향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45°이상부터 13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ㅑ"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 Specifically, if the dragging direction is in the first touched state and the dragging direction is in the direction between 45 degrees and less than 13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irst touched point, the "ㅑ" vowel may be displayed as neutral .

이에 따라, ㅅ+ㅑ = "샤"라는 한글이 스마트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Hangul, " + " = "sha"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smart terminal.

도 2c를 참조하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드래깅 방향이 각각 다를 경우, 각각의 영역에 해당하는 모음이 선택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2C, it can be seen that, if the dragging direct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first touched point, a vowel corresponding to each region can be selected.

제1 터치되는 점인 a를 기준으로 각 영역이 설정된다.Each area is set with reference to the first touch point a.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details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 (a)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음입력키를 제1 터치하여 초성 자음을 결정하고 표시하는 단계, (b) 초성 자음 중 어느 하나가 제1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하는 단계, (c) 제1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시간 이하일 경우, "ㅏ", 'ㅓ', 'ㅜ' 또는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 및 (d) 제1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ㅑ", 'ㅕ', 'ㅠ' 또는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a) determining a consonant sound by first touching a consonant input key displayed on a touch screen and displaying the consonant consonant; (b) (C) when the time to be dragged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from the first touched state is equal to or shorter than a predetermined first time, the steps of "a", "ㅓ", " (D) when the time of dragg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rom the first touched state exceeds a predetermined first time, the steps of "ㅑ", "ㅕ", "ㅠ", or "ㅛ" 'The vowel is marked as neutral.

드래깅 방향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45°이상부터 13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단계 (c)에서 "ㅏ"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단계 (d)에서 "ㅑ"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If the dragging direction is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range between 45 degrees and less than 13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irst touched point, the "a"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in step (c), and the " Can be displayed as neutral.

드래깅 방향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135°이상부터 22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단계 (c)에서 "ㅜ"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단계 (d)에서 "ㅠ"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If the dragging direction is a direction between 135 degrees and less than 22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irst touched point, the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in step (c) and the vowel in step (d) Can be displayed as neutral.

드래깅 방향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225°이상부터 31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단계 (c)에서 "ㅓ"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단계 (d)에서 "ㅕ"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If the dragging direction is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range between more than 225 ° and less than 315 ° based on the first touched point, the "ㅓ"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in step (c), and the "ㅕ" vowel Can be displayed as neutral.

드래깅 방향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315°이상부터 4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단계 (c)에서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단계 (d)에서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If the dragging direction is in a direction between 315 and less than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irst touched point, the "ㅗ"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in step (c), and the "ㅛ" vowel Can be displayed as neutral.

또한, 제1 터치된 지점을 교차하는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터치된 지점의 12시 위치를 0°, 3시 위치를 90°, 6시 위치를 180° 및 9시 위치를 270°로 설정할 수 있다.Also, the 12 o'clock position of the first touched point is set to 0, the 3 o'clock position is set to 90, the 6 o'clock position is set to 180 o'clock and the 9 o'clock position is set to 270 °.

또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 (a)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음입력키를 제1 터치하여 초성 자음을 결정하고 표시하는 단계, (b) 초성 자음 중 어느 하나가 제1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하는 단계, (c) 상기 제1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압력이 기설정된 제1 압력 이하일 경우, "ㅏ", 'ㅓ', 'ㅜ' 또는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압력이 기설정된 제1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ㅑ", 'ㅕ', 'ㅠ' 또는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a) determining a consonant sound by first touching a consonant input key displayed on a touch screen and displaying the consonant consonant; (b) (C) when the touch is dragg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a first touched state, when a pressure input to the touch screen is equal to or lower than a predetermined first pressure, (D) when the first touch is dragg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pressure input to the touch screen exceeds a predetermined first pressure, Quot ;, " ㅕ, ", or " ㅛ " is displayed as neutral.

드래깅 방향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45°이상부터 13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단계 (c)에서 "ㅏ"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단계 (d)에서 "ㅑ"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If the dragging direction is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range between 45 degrees and less than 13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irst touched point, the "a"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in step (c), and the " Can be displayed as neutral.

드래깅 방향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135°이상부터 22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단계 (c)에서 "ㅜ"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단계 (d)에서 "ㅠ"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If the dragging direction is a direction between 135 degrees and less than 22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irst touched point, the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in step (c) and the vowel in step (d) Can be displayed as neutral.

드래깅 방향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225°이상부터 31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단계 (c)에서 "ㅓ"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단계 (d)에서 "ㅕ"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If the dragging direction is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range between more than 225 ° and less than 315 ° based on the first touched point, the "ㅓ"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in step (c), and the "ㅕ" vowel Can be displayed as neutral.

드래깅 방향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315°이상부터 4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단계 (c)에서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단계 (d)에서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If the dragging direction is in a direction between 315 and less than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irst touched point, the "ㅗ"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in step (c), and the "ㅛ" vowel Can be displayed as neutral.

또한, 제1 터치된 지점을 교차하는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터치된 지점의 12시 위치를 0°, 3시 위치를 90°, 6시 위치를 180° 및 9시 위치를 270°로 설정할 수 있다.Also, the 12 o'clock position of the first touched point is set to 0, the 3 o'clock position is set to 90, the 6 o'clock position is set to 180 o'clock and the 9 o'clock position is set to 270 °.

또한, 도 1 및 도 2에서 보여지듯이, 자음입력키 위의 시작점(a)와 끝점(b)를 이은 직선 ab와 터치스크린(10) 상에서 보여지는 직선 cd의 각도를 기준으로 제1 터치된 지점의 0°~ 360°이 설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on the basis of the straight line ab connecting the starting point (a) and the end point (b) on the consonant input key and the straight line cd shown on the touch screen 10, Can be set to 0 to 360 degrees.

이 경우, 직선 ab의 연장된 가상선과 직선 cd의 각도가 45°이상부터 13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단계 (c)에서 "ㅏ"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단계 (d)에서 "ㅑ"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angle of the extended virtual line of the straight line ab and the angle of the straight line cd is in a direction between 45 degrees and less than 135 degrees, the "a"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in step (c) "ㅑ" vowels can be marked as neutral.

또한, 직선 ab의 연장된 가상선과 직선 cd의 각도가 135°이상부터 22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단계 (c)에서 "ㅜ"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단계 (d)에서 "ㅠ"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Further, if the angle of the extended virtual line of the straight line ab and the angle of the straight line cd is in a direction between 135 degrees and less than 225 degrees, the vowel is marked as neutral in step (c), and in step (d) "Vowels can be marked as neutral.

또한, 직선 ab의 연장된 가상선과 직선 cd의 각도가 225°이상부터 31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단계 (c)에서 "ㅓ"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단계 (d)에서 "ㅕ"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Also, if the angle of the imaginary line extending straight from the straight line ab and the angle of the straight line cd is in a direction between 225 degrees and less than 315 degrees, the "ㅓ"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in step (c) ㅕ "Vowels can be marked as neutral.

또한, 직선 ab의 연장된 가상선과 직선 cd의 각도가 315°이상부터 4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단계 (c)에서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단계 (d)에서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Further, if the angle of the extended virtual line of the straight line ab and the angle of the straight line cd is in a direction between 315 DEG and less than 45 DEG, the "ㅗ"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in step (c) ㅛ "Vowels can be marked as neutral.

겹모음이 입력되기 위한 제1 시간 또는 제1 압력에 대한 기준값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A reference value for the first time or the first pressure for inputting the double tone can be set in advance.

스와이프 제스처에 의해 자음과 결합되는 모음이 "ㅏ", 'ㅓ', 'ㅜ', 'ㅗ' 또는 "ㅑ", 'ㅕ', 'ㅠ', 'ㅛ'일지 결정하는 제1 시간 또는 제1 압력은 시스템 환경 및 사용자 설정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질 수 있다.A first time or a second time period that determines whether the vowel combined with consonants by the swipe gesture is "a", "ㅓ", "t", "ㅗ" or "ㅑ", "ㅕ", " 1 Pressure may vary depending on system environment and user settings.

또한, 사용자는 스마트 단말기의 옵션 프로그램에서 제1 시간 중 제1 압력 중 어느 하나만이 동작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may choose to operate only one of the first pressures during the first time in the option program of the smart terminal.

도 3은 종래의 한글 입력방법을 이용하여 단어를 작성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reating words using a conventional Hangul input method.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한글 입력방법을 이용하여 "대규모폭락"이란 단어를 입력하는 경우, 타건 횟수가 총 12번인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when the word "large-scale collapse" is input by using the conventional Hangul input method, it can be seen that the number of touch patterns is 12 times in total.

도 3에서 표시된 자음과 모음 위의 1~12까지의 숫자는 "대규모폭락"이란 단어를 만들기 위해 각 입력키들이 차례대로 눌러지는 순서이다.The numbers 1 through 12 on the consonants and vowels shown in FIG. 3 are the order in which each of the input keys is pressed in order to make the word "massive collapse".

"대"자를 입력하는 경우, 1번째로 "ㄷ"을 터치하고, 2번째로 "ㅐ"를 터치한다.If you are typing a "big", touch "" "first and" ㅐ "second.

"규"자를 입력하는 경우, 3번째로 "ㄱ"을 터치하고, 4번째로 "ㅠ"를 터치한다.If you enter a "rule", touch "a" for the third time and "t" for the fourth time.

"모"자를 입력하는 경우, 5번째로 "ㅁ"을 터치하고, 6번째로 "ㅗ"를 터치한다.If you enter "Mo", touch "ㅁ" for the fifth and "ㅗ" for the sixth.

"폭"자를 입력하는 경우, 7번째로 "ㅍ"을 터치하고, 8번째로 "ㅗ"를 터치하며, 9번째로 "ㄱ"을 터치한다.If you enter "width", touch "ψ" for the seventh, touch "ㅗ" for the eighth, and touch "ㄱ" for the ninth.

"락"자를 입력하는 경우, 10번째로 "ㄹ"을 터치하고, 11째로 "ㅏ"를 터치하며, 12번째로 "ㄱ"을 터치한다.When entering the "lock", touch "d" for the tenth, touch "a" for the 11th, and touch "a" for the 12th.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이용하여 단어를 작성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a 내지 도 5e는 도 4의 입력방법의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reating a word using a Korean input method using a swipe ges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A to 5E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input method of FIG. to b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은 복수개의 자음입력키(100) 및 별도의 기타 모음입력키(200)를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4 and 5, it is confirmed that the Korean input method using the swipe ges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nsonant input keys 100 and another separate vowel input key 200 .

자음입력키(100)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및 "ㅎ"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sonant input key 100 is a key for inputting a consonant key, such as "ㄱ", "ㄴ", "ㄷ", "" "," ㅁ "," ㅂ "," Quot ;, "", " "

또한,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음입력키(100) 이외에 별도의 기타 모음입력키(200)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consonant input key 100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 separate vowel input key 200 may be provided.

이 경우, 별도의 기타 모음입력키(200)는 "ㅡ"(210), "ㅣ" (220), "" (250), "ㅙ" (230) 또는 "ㅞ" (240)가 표시된 모음입력키일 수 있다.In this case, another separate vowel input key 200 is used to input a vowel input indicated by "-" 210, "220", "250", "230" It can be key.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이용하여 "대규모폭락"이란 단어를 입력하는 경우, 타건 횟수가 총 8번인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5, when the word "large-scale collapse" is input by using the Korean input method using the swipe ges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4 및 도 5에서 표시된 자음과 모음 위의 1~8까지의 숫자는 "대규모폭락"이란 단어를 만들기 위해 각 입력키들이 차례대로 눌러지고 드래깅되는 순서이다.The numbers 1 through 8 on the consonants and vowels shown in FIGS. 4 and 5 are the order in which each input key is pressed and dragged in order to make the word "massive collapse."

"대"자를 입력하는 경우, 1번째로 "ㄷ"을 터치하고, 터치된 상태에서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45°이상부터 13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드래깅한다. 이후, 2번째로 "l"를 터치한다.In the case of inputting a "large" character, first touch "c" and drag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range between 45 ° and less than 135 ° with respect to the first touched point in the touched state. Then touch "l" for the second time.

"규"자를 입력하는 경우, 3번째로 "ㄱ"을 터치하고,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135°이상부터 22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드래깅 하되, 기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하여 드래깅한다. 또는, "규"자를 입력하는 경우, 3번째로 "ㄱ"을 터치하고,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135°이상부터 22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드래깅 하되, 기설정된 제1 압력을 초과하여 드래깅한다.When the "rule" is input, the third time "t" is touched and dragging is perform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range between 135 ° and less than 225 ° based on the first touched point, Dragging. Alternatively, if a "rule" is input, the third touches "A" and dragging is perform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range between 135 ° and less than 225 ° with respect to the first touched point, Dragging in excess.

"모"자를 입력하는 경우, 4번째로 "ㅁ"을 터치하고,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315°이상부터 4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드래깅한다.When inputting a "mother", touch "ㅁ" for the fourth time and drag in the direction between 315 ° and less than 45 ° based on the first touch point.

"폭"자를 입력하는 경우, 5번째로 "ㅍ"을 터치하고,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315°이상부터 4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드래깅한다. 이후, 이후, 6번째로 "ㄱ"를 터치한다.When inputting a "width" character, the fifth touches "xy ", and dragging is perform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range between 315 deg. And less than 45 deg. Then, after that, touch "a"

"락"자를 입력하는 경우, 7번째로 "ㄹ"을 터치하고, 터치된 상태에서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45°이상부터 13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드래깅한다. 이후, 8번째로 "ㄱ"을 터치한다. When a "lock" is input, the user touches the seventh character "d ", and dragging is perform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range between 45 degrees and less than 13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irst touched point in the touched state. Then, touch "a" for the eighth time.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종래의 한글 입력방법을 이용하여 단어를 작성한 경우와 대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이용하여 단어를 작성할 경우, 타건 횟수가 12번에서 8번으로 감소된다.As can be seen from FIGS. 3 to 5, when a word is created using a Korean input method using a swipe ges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trast to a case where a word is created using a conventional Hangul input method , The number of touches decreases from 12 to 8.

이는 결과적으로, 약 33.3%의 기 입력 횟수가 감소된 것을 의미한다. This means that the number of input times of about 33.3% is reduced as a resul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은 타건횟수가 줄어듬에 따라, 키 입력 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Hangul input method using the swipe ges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key input speed as the number of key operations is reduced.

또한, 오타 발생율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occurrence rate of errors is reduced.

도 6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Korean input method using a swipe ges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은 기타 모음 입력방법이 추가된 실시 예인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도 2, 도 4 및 도 5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변경된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6, the Hangul input method using the swipe ges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at of FIGS. 1, 2, 4, and 5 except that the other vowel input method is added. ≪ / RTI >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of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s omitted, and the modified constituent elements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은 복수개의 자음입력키(1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Hangul input method using the swipe ges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sonant input keys 100.

자음입력키로 시작되는 단일 드래깅 제스처에 따라 모음을 결정하는 방법은 상술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A method of determining a vowel according to a single dragging gesture that starts with a consonant input key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and therefore will not be described.

또한, 자음입력키로 시작되는 단일 드래깅 제스처의 방향에 따라 모음이 선택되어, 표시되는 방법도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Also, the method of selecting and displaying the vowel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single dragging gesture starting with the consonant input key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도 6에서 보여지듯이, 터치스크린(10)에 표시된 복수개의 자음입력키(10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자음입력키를 선택하여 초성 자음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초성 자음에 제1 터치되는 시작지점이 a이다.As shown in FIG. 6, one consonant input key among the plurality of consonant input keys 100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 can be selected to select a consonant consonant. At this time, the first touching point of the leading consonant is a.

이 후,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이 되며, 드래깅이 끝나는 지점이 제2 지점(b=2)이다.Thereafter, dragging is perform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the point at which dragging ends is the second point (b = 2).

제2 지점(2)을 기준으로, 반경 15cm 이내의 일측 방향 또는 왼쪽 방향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을 제1 지점(1)으로 설정할 수 있다.A point at which a touch is made in one direction within a radius of 15 cm or in the left direction can be set as the first point 1 on the basis of the second point 2.

제1 지점(1)을 터치하는 경우, ""의 모음이 추가로 입력될 수 있다.When touching the first point 1, a collection of "" can be further input.

또한, 제2 지점(2)을 기준으로, 반경 15cm 이내의 타측 방향 또는 오른쪽 방향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을 제3 지점(3)으로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point 3 can be set to a point in the other direction within a radius of 15 cm or a touch point in the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point 2.

제3 지점(3)을 터치하는 경우, "ㅡ"의 모음이 추가로 입력될 수 있다.When touching the third point (3), a collection of "-" can be further input.

또한, 제3 지점(3)을 기준으로, 반경 5cm 이내의 오른쪽 방향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을 제4 지점(4)으로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 point at which a touch is made in the right direction within a radius of 5 cm can be set as the fourth point 4 with reference to the third point (3).

제4 지점(4)을 터치하는 경우, "ㅣ"의 모음이 추가로 입력될 수 있다.When touching the fourth point (4), a collection of "I" may be further input.

또한, 제4 지점(4)을 기준으로, 반경 5cm 이내의 오른쪽 방향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을 제5 지점(5)으로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 point at which a touch is made in the right direction within a radius of 5 cm can be set as the fifth point 5 on the basis of the fourth point (4).

제5 지점(5)을 터치하는 경우, 백스페이스(Backspace) 동작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When touching the fifth point 5, a backspace operation can be set to be performed.

도 7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Korean input method using the swipe gest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은 기타 모음 입력방법이 추가된 실시 예인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도 2, 도 4 및 도 5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변경된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7, the Hangul input method using the swipe gest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FIGS. 1, 2, 4, and 5 except that the other vowel input method is added. ≪ / RTI >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of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s omitted, and the modified constituent elements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은 복수개의 자음입력키(1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Hangul input method using the swipe gesture according to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sonant input keys 100.

자음입력키로 시작되는 단일 드래깅 제스처에 따라 모음을 결정하는 방법은 상술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A method of determining a vowel according to a single dragging gesture that starts with a consonant input key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and therefore will not be described.

또한, 자음입력키로 시작되는 단일 드래깅 제스처의 방향에 따라 모음이 선택되어, 표시되는 방법도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Also, the method of selecting and displaying the vowel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single dragging gesture starting with the consonant input key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도 7에서 보여지듯이, 터치스크린(10)에 표시된 복수개의 자음입력키(10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자음입력키를 선택하여 초성 자음을 선택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one consonant input key among the plurality of consonant input keys 100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 can be selected to select a consonant consonant.

이 때, 초성 자음에 제1 터치되는 시작지점이 a이다.At this time, the first touching point of the leading consonant is a.

이 후,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이 되며, 드래깅이 끝나는 지점이 b(300)이다.Thereafter, dragging is perform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the point at which dragging ends is b (300).

b를 기준으로, 반경(R) 1~10cm 이내의 영역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을 추가터치점(400)이라고 한다.a point at which a touch is made in an area within a radius R of 1 to 10 cm is referred to as an additional touch point 400.

여기에서, a 지점을 기준으로 반경 10cm을 가지는 원 형상의 영역이 터치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 Here, a circular area having a radius of 10 cm from the point a can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참고로, 이 반경 10cm의 영역은 추가터치점(400)을 클릭하는 경우, 기타 모음 입력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구역을 나타낼 수 있다.Note that an area of 10 cm in radius may represent an area where other vowel input operations can be performed when the additional touch point 400 is clicked.

b(300) 지점에서 드래깅이 정지된 상태에서, 1~3초 이내에 추가터치점(400)을 1번 터치하는 경우 입력된 중성 모음에 "ㅡ" 모음이 추가될 수 있다.If dragging is stopped at point b (300) and the additional touch point (400) is touched once within 1 to 3 seconds, a "-" vowel may be added to the inputted neutral vowel.

또한, b(300) 지점에서 드래깅이 정지된 상태에서, 1~3초 이내에 추가터치점(400)을 2번 터치하는 경우 입력된 중성 모음에"ㅣ" 모음이 추가될 수 있다.In the state where the dragging is stopped at the point b 300, if the additional touch point 400 is touched twice within 1 to 3 seconds, a "ㅣ" vowel may be added to the input neutral vowel.

또한, b(300) 지점에서 드래깅이 정지된 상태에서, 1~3초 이내에 추가터치점(400)을 3번 터치하는 경우 입력된 중성 모음에 "" 모음이 추가될 수 있다.Also, in the state where the dragging is stopped at the point b 300, if the additional touch point 400 is touched three times within 1 to 3 seconds, a "" can be added to the inputted neutral vowel.

여기에서, ""는 아래아를 의미한다.Here, "" means lower child.

또한, b(300) 지점에서 드래깅이 정지된 상태에서, 1~3초 이내에 추가터치점(400)을 4번 터치하는 경우 입력된 중성 모음이"ㅙ" 모음으로 변환될 수 있다.Also, in the state where the dragging is stopped at the point b 300, if the additional touch point 400 is touched four times within 1 to 3 seconds, the inputted neutral vowel can be converted into the "ㅙ" vowel.

또한, b(300) 지점에서 드래깅이 정지된 상태에서, 1~3초 이내에 추가터치점(400)을 4번 터치하는 경우 입력된 중성 모음이 "ㅞ" 모음으로 변환될 수 있다.Also, in the state where the dragging is stopped at the point b 300, if the additional touch point 400 is touched four times within 1 to 3 seconds, the inputted neutral vowel can be converted into the "ㅞ" vowel.

도 8은 제4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Korean input method using the swipe gestur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은 기타 모음 입력방법이 추가된 실시 예인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도 2, 도 4 및 도 5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변경된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8, the Hangul input method using the swipe gestur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at of FIGS. 1, 2, 4, and 5 except that the other vowel input method is added. ≪ / RTI >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of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s omitted, and the modified constituent elements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은 복수개의 자음입력키(1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Hangul input method using the swipe gestur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sonant input keys 100.

또한,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음입력키(100) 이외에 별도의 기타 모음입력키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consonant input key 100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 separate vowel input key may be provided.

이 경우, 별도의 기타 모음입력키(200)는 "ㅡ", "ㅣ" 및 ""가 표시된 모음입력키일 수 있다.In this case, another separate vowel input key 200 may be a vowel input key marked with " ", "", and"

자음입력키로 시작되는 단일 드래깅 제스처에 따라 모음을 결정하는 방법은 상술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A method of determining a vowel according to a single dragging gesture that starts with a consonant input key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and therefore will not be described.

또한, 자음입력키로 시작되는 단일 드래깅 제스처의 방향에 따라 모음이 선택되어, 표시되는 방법도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Also, the method of selecting and displaying the vowel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single dragging gesture starting with the consonant input key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도 8에서 보여지듯이, 터치스크린(10)에 표시된 복수개의 자음입력키(10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자음입력키를 선택하여 초성 자음을 선택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one consonant input key among the plurality of consonant input keys 100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 can be selected to select a consonant consonant.

이 때, 초성 자음에 제1 터치되는 시작지점이 a 또는 e이다.At this time, the first touching point of the leading consonant is a or e.

이 후,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이 되며, 드래깅이 끝나는 지점이 b 또는 f이다.Thereafter, dragging is perform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the point at which dragging ends is b or f.

b를 기준으로, 직경(L) 1~3cm의 원을 그리는 제스처를 수행하는 경우, 입력된 중성 모음이"ㅙ" 모음으로 변환될 수 있다.If you perform a gesture that draws a circle with a diameter (L) of 1-3 cm on the basis of b, the input neutral vowel can be converted to a "vowel" vowel.

또한, f를 기준으로, 직경(N) 4~8cm의 원을 그리는 제스처를 수행하는 경우, 입력된 중성 모음이"ㅞ" 모음으로 변환될 수 있다.Also, when performing a gesture that draws a circle with a diameter (N) of 4 to 8 cm on the basis of f, the inputted neutral vowel can be converted into a "vowel" vowel.

또한, 다른 실시 예로 도 8에서 보여지듯이, 터치스크린(10)에 표시된 복수개의 자음입력키(10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자음입력키를 선택하여 초성 자음을 선택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8, one consonant input key among a plurality of consonant input keys 100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 may be selected to select a consonant consonant.

이 때, 초성 자음에 제1 터치되는 시작지점이 a 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touching start point of the leading consonant may be a.

이 후,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이 되며, 드래깅이 끝나는 지점이 b 일 수 있다.Thereafter, dragging is perform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the point at which dragging ends is b.

b를 기준으로, 직경 1~3cm의 원을 그리는 제스처를 1번 수행하는 경우, 입력된 중성 모음이"ㅙ" 모음으로 변환될 수 있다.If you perform a gesture that draws a circle with a diameter of 1 to 3 cm based on b, the input neutral vowel can be converted to a "vowel" vowel.

또한, b를 기준으로, 직경 1~3cm의 원을 그리는 제스처를 2번 수행하는 경우, 입력된 중성 모음이"ㅞ" 모음으로 변환될 수 있다.Also, if you perform a gesture that draws a circle with a diameter of 1 to 3 cm based on b, twice, the input neutral vowel can be converted to a "vowel" vowel.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a Korean input method using a swipe gestur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은 기타 모음 입력방법이 추가된 실시 예인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변경된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9, the Hangul input method using the swipe gestur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FIGS. 1 and 2 except that the other vowel input method is added.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of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s omitted, and the modified constituent elements will be mainly described.

본 발명의 스마트 단말기는 해당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지속 시간, 드래깅 지속 시간, 드래깅 되는 압력 또는 터치 압력값을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지속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드래깅 지속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드래깅되는 시간을 제1 시간 이하와 제1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로 설정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기는 터치 및 드래깅 시 해당 터치 시간 또는 드래깅되는 시간에 대한 값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시간 이하는 1~3초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제1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는 3초를 초과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드래깅 되는 압력 또는 터치 압력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드래깅 되는 압력 또는 터치 압력값을 제1 압력 이하와 제1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압력 이하의 경우, 단모음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1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겹모음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압력에 대한 기준은 미리 별도의 옵션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설정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기는 터치 시 해당 터치 입력에 대한 압력값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력창(20)에는 자음입력키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에서 자음입력키(100)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자음입력키(100)는 터치스크린(10)의 경계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과 자음입력키(100) 사이의 일정 공간(30)은 자음입력키(100)로부터의 드래깅 제스처가 실행되는 공간일 수 있다. 자음입력키(100)가 구비되는 공간의 남은 별도의 공간에는 자음입력키의 자음을 쌍자음 및 파열음으로 변환시키는 별도의 설정키가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e touch duration, the dragging duration, the dragged pressure or the touch pressure value for the corresponding touch input. The user can set the touch duration. Also, the user can set the dragging duration. For example, the user can set the time to be dragged to be less than the first time and exceeding the first time. The smart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value for the touch time or the dragged time at the time of touching and dragging. In this case, the first time or less may be 1 to 3 seconds or less. In addition, the time exceeding the first time may exceed 3 seconds. In addition, the user can set the pressure or touch pressure value to be dragged. For example, the user may set the pressure or touch pressure value to be dragg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pressure. In the case of the first pressure or less, a short vowel may be displayed. Further, when the first pressure is exceeded, a double voice can be displayed. The criterion for the first pressure can be set in advance through a separate option or application. The smart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pressure value for the touch input upon touch. Further, a consonant input key may be formed in the input window 20. In the Hangul input method using the swipe ges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nsonant input keys 100 may be formed. The consonant key 100 may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undary of the touch screen 10. The fixed space 30 between the touch screen 10 and the consonant input key 100 may be a space in which the dragging gesture from the consonant input key 100 is executed. The remaining space in the space where the consonus input key 100 is provided may further include a setting key for converting the consonant of the consonant input key into double consonant and plosive sounds.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음입력키를 제1 터치하여 초성 자음을 결정하고 표시하는 단계(S10), 초성 자음 중 어느 하나가 제1 터치된 이후, 'ㅡ' 및 'ㅣ'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을 선택하는 제2 터치 단계(S20), 'ㅡ' 및 'ㅣ'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이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하는 단계(S30), 제2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시간 이하일 경우, "ㅏ", 'ㅓ', 'ㅜ' 또는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S40) 및 제2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ㅑ", 'ㅕ', 'ㅠ' 또는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inputting a Hangul input of a smart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comprising the steps of: (S10) determining and displaying a leading consonant by first touching a consonant input key displayed on a touch screen; After one of the first touches is touched, any one of the second touch steps S20, '?', And '?' For selecting any one of '?' And '?' (S30). When the time to be dragged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from the second touched state is equal to or shorter than the preset first time, "a", "ㅓ", "'", or "ㅗ" , 'ㅕ', '' ', or' ㅛ 'is displayed as neutral when the time to be dragged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from the second touched state exceeds the predetermined first time Step S50.

드래깅 방향이 제2 터치된 'ㅡ'(210)을 기준으로 135°이상부터 22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S40)단계에서는 "ㅜ"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S50)단계에서는 "ㅠ"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If the dragging direction is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range between 135 degrees and less than 22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touched '210', the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in step S40, The "ㅠ" vowel can be marked as neutral.

또한, 드래깅 방향이 제2 터치된 'ㅡ'(210)을 기준으로 315°이상부터 4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S40)단계에서는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S50)단계에서는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dragging direction is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range between more than 315 degrees and less than 45 degrees based on the second touched '210', the 'ㅗ'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in step S40, ) Step, the "ㅛ" vowel can be displayed as neutral.

드래깅 방향이 제2 터치된 'ㅣ'(220)을 기준으로 45°이상부터 13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S40)단계에서는 "ㅏ"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S50)단계에서는 "ㅑ"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If the dragging direction is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range between 45 degrees and less than 13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touched '220', the 'a'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in step S40, The "ㅑ" vowel can be displayed as neutral.

또한, 드래깅 방향이 제2 터치된 'ㅣ'(220)을 기준으로 225°이상부터 31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S40)단계에서는 "ㅓ"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S50)단계에서는 "ㅕ"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dragging direction is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range between 225 degrees and less than 315 degrees based on the second touched '220', the 'ㅓ'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in step S40, ) Step, the "ㅕ" vowel can be displayed as neutral.

또한, 다른 실시 예로,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음입력키를 제1 터치하여 초성 자음을 결정하고 표시하는 단계(S11), 초성 자음 중 어느 하나가 제1 터치된 이후, 'ㅡ' 및 'ㅣ'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을 선택하는 제2 터치 단계(S21), 'ㅡ' 및 'ㅣ'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이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하는 단계(S31), 제2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압력이 기설정된 제1 압력 이하일 경우, "ㅏ", 'ㅓ', 'ㅜ' 또는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S41) 및 제2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압력이 기설정된 제1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ㅑ", 'ㅕ', 'ㅠ' 또는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S51)를 포함할 수 있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nputting a Hangul input of a smart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 S11). After any one of the consonant consonants is firstly touched, any one of the second touch step S21, '?', And '?' For selecting any one of '?' (S31) when the touch screen is dragg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rom the second touched state, and when the pressur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first pressure when the touch screen is dragg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S41) in which the 't' or 'v' collection is displayed as neutral, and in the case of being dragg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rom the second touched state, when the pressure inputted to the touch screen exceeds a predetermined first pressure , "ㅑ", "ㅕ", "ㅠ", or "ㅛ" May include a step (S51) is displayed as a castle.

구체적으로, 드래깅 방향이 제2 터치된 'ㅡ'(210)을 기준으로 135°이상부터 22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S41)단계에서는 "ㅜ"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S51)단계에서는 "ㅠ"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Specifically, if the dragging direction is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range between 135 degrees and less than 22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touched '210', the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in step S41, In step S51, the vowel can be displayed as neutral.

또한, 드래깅 방향이 제2 터치된 'ㅡ'(210)을 기준으로 315°이상부터 4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S41)단계에서는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S51)단계에서는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dragging direction is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range between more than 315 degrees and less than 45 degrees based on the second touched '210', the 'ㅗ'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in step S41, ) Step, the "ㅛ" vowel can be displayed as neutral.

드래깅 방향이 제2 터치된 'ㅣ'(220)을 기준으로 45°이상부터 13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S41)단계에서는 "ㅏ"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S51)단계에서는 "ㅑ"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If the dragging direction is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range between 45 degrees and less than 13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touched '220', the 'a'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in step S41, The "ㅑ" vowel can be displayed as neutral.

또한, 드래깅 방향이 제2 터치된 'ㅣ'(220)을 기준으로 225°이상부터 31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S41)단계에서는 "ㅓ"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S51)단계에서는 "ㅕ"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If the dragging direction is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range between 225 degrees and less than 315 degrees based on the second touched '220', the 'ㅓ'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in step S41, ) Step, the "ㅕ" vowel can be displayed as neutral.

사용자는 스마트 단말기의 설정창 또는 옵션에서 이러한 실시 예 중 원하는 실시 예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user can select and use a desired one of these embodiments from the setting window or option of the smart terminal.

또한, 본원발명의 터치스크린(10) 또는 입력창(20)에는 드래깅 되는 각도가 표시될 수 있다. 또는 터치스크린(10) 또는 입력창(20)에는 드래깅 되는 경로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Also, the angle to be dragged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 or the input window 20 of the present invention. Or information on the path to be dragged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 or the input window 20.

구체적으로, 제1 터치된 지점을 교차하는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터치된 지점의 12시 위치를 0°, 3시 위치를 90°, 6시 위치를 180° 및 9시 위치를 270°로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창(20)의 자음입력키를 터치할 수 있다. 이후, 터치된 상태에서 드래깅하면, 드래깅되고 있는 각도 또는 경로에 대한 정보가 터치스크린(10)에 표시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12 o'clock position of the first touched point is set at 0, the 3 o'clock position is set at 90, the 6 o'clock position is set at 180 and 9 o'clock positions relative to the X and Y axes crossing the first touched point The user can touch the consonant input key of the input window 20 in a state in which it is set to 270 degrees. Then, when dragged in the touched state, information on the angle or path being dragged can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 [

이 경우, 각각의 각도 또는 경로에 해당하는 모음이 적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a vowel corresponding to each angle or path can be applied.

이와 같이 입력창(20)의 자음입력키를 터치하고, 이후 드래깅 되는 각도 또는 경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는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모음에 해당하는 각도 또는 경로에서 손가락이나 터치스크린용 펜을 화면에서 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sonant input key of the input window 20 is touched, and the user can grasp the information about the angle or route to be dragged thereafter. Accordingly, the user can remove the finger for the finger or the touch screen from the screen at an angle or path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collection.

이 때, 터치스크린(10)에서 떨어지기 전 0.1~0.3초에 해당하는 모음이 입력될 수 있다.At this time, a vowel corresponding to 0.1 to 0.3 seconds may be input before falling off the touch screen 10. [

이에 따라, 처음 터치된 자음과 터치스크린(10)에서 떨어지기 전 0.1~0.3초에 해당하는 모음이 결합된 한글이 입력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Korean alphabet combined with the vowel corresponding to 0.1 to 0.3 seconds before falling off from the touch screen 10 can be inputted.

또한, 터치스크린(10) 또는 입력창(20)에는 드래깅 되고 있는 시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Also, the touch screen 10 or the input window 20 may display information on the time being dragged.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드래깅 되고 있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know information about the time currently being dragged.

또한, 터치스크린(10) 또는 입력창(20)에는 드래깅 되고 있는 압력이나 터치 압력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uch screen 10 or the input window 20 may display information on the pressure being applied or the touch pressure.

일 실시 예로, 드래깅 되는 압력이나 터치 압력에 따라 모음이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입력창(20)의 자음입력키를 터치하게 되면, 터치되고 있는 압력에 대한 정보가 터치스크린(10)에 표시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을 강하게 누를수록 표시되는 압력값은 커질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0)을 약하게 누를수록 표시되는 압력값은 작아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owels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pressure or touch pressure being dragged. Specifically, when the user touches the consonant input key of the input window 20, information on the pressure being touched can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 The more strongly the touch screen 10 is pressed, the greater the displayed pressure value. Also, as the touch screen 10 is slightly depressed, the displayed pressure value can be reduced.

이 경우, 각 압력값에 해당하는 각각의 모음이 적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each vowel corresponding to each pressure value can be applied.

이와 같이 입력창(20)의 자음입력키를 누르는 상태의 터치 압력값을 사용자는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모음에 해당하는 압력값에서 손가락이나 터치스크린용 펜을 화면에서 뗄 수 있다.Thus, the user can grasp the touch pressure value in a state of pressing the consonant input key of the input window 20, so that the user can remove the finger or the touch screen pen from the screen at the pressure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vowel.

이 때, 터치스크린(10)에서 떨어지기 전 0.1~0.3초에 해당하는 모음이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vowel corresponding to 0.1 to 0.3 seconds is inputted before dropping from the touch screen 10.

이에 따라, 처음 터치된 자음과 터치스크린(10)에서 떨어지기 전 0.1~0.3초에 해당하는 모음이 결합된 한글이 입력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Korean alphabet combined with the vowel corresponding to 0.1 to 0.3 seconds before falling off from the touch screen 10 can be inputted.

또한, 본 발명은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명령어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composed of instructions for performing a Hangul input method using a swipe gesture is recorded.

여기에서, 기록매체는 CD, 자기테이프, 광데이터 저장장치, 플로피디스크, 하드디스크 및 USB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Here, the recording medium may be in various forms such as a CD, a magnetic tape,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 floppy disk, a hard disk, and a USB.

본 발명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 언어나 코드로서 구현할 수 있다.The Korean input method using the swipe ges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language or a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단말기는 터치스크린, 입력창, 터치검출부, 문자 조합수단, 출력창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ouch screen, an input window, a touch detection unit, a character combination unit, an output window, and a control unit.

입력창은 자음입력키 또는 모음입력키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window may include a consonant input key or a vowel input key.

터치검출부는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터치를 검출하는 수단일 수 있다.The touch detection unit may be means for detecting a touch on the touch screen.

문자조합수단은 터치 및 스와이프 제스처에 의해 선택되는 자음과 모음을 조합할 수 있다. 문자조합수단은 터치검출부로부터 검출된 터치 또는 드래깅 제스처의 수 및 정보에 따라 단모음이나 겹모음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문자조합수단은 그 방향에 따라 추가되는 획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The character combination means can combine consonants and vowels selected by the touch and swipe gestures. The character combination means can determine a short vowel or a double vowel according to the number and information of the touch or dragging gestures detected from the touch detection unit. Further, the character combination means can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stroke added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출력창은 조합된 한글을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The output window can display the combined Hangul characters as external.

제어부는 입력창과 출력창에서의 터치 입력 및 이에 따라 조합된 한글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touch input in the input window and the output window and the output of the combined Korean character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조합수단은 검출된 터치 입력 및 드래깅 제스처를 기반으로, 기설정된 방식으로 문자를 조합하는 일체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aracter combination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y calculation unit that combines characters in a predetermined manner based on the detected touch input and dragging gesture.

본 발명의 스마트 단말기는 중앙처리 장치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 memory device.

문자조합수단은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스마트 단말기의 중앙처리 장치일 수 있다.The character combination means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of a smart terminal for executing a Hangul input method using a swipe gesture.

스마트 단말기는 회로기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부는 메인보드(mainboard) 또는 마더보드(motherboard)의 역할을 수행하는 부품이다. 회로기판부는 CPU나 램과 같은 시스템이 작동되기 위한 주요 부품 장착과 주변 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쇄회로기판(PCB)일 수 있다. 회로기판부는 CPU, 사운드카드, 네트워크 카드, 램 및 저장장치 등이 내장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부는 ASIC회로나 FPGA회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부는 복수의 범용 데이터 입출력 소자와 2개의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mart terminal may include a circuit board portion. The circuit board part is a part that functions as a main board or a motherboard. The circuit board portion may be a printed circuit board (PCB) that provide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major components and peripheral devices for operation of a system such as a CPU or a RAM. The circuit board portion may include a CPU, a sound card, a network card, a RAM, and a storage device. The circuit board portion may be an ASIC circuit or an FPGA circuit. In addition, the circuit board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general-purpose data input / output elements and two UARTs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 transmitters).

또한, 회로기판부는 데이터 버스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부는 복수의 범용 데이터 입출력 소자에 연결되는 범용 데이터 입출력 포트 단자와 UART에 연결되는 UART 접속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ircuit board portion can process data transmitted from the data bus. Further, the circuit board portion may include a general-purpose data input / output port terminal connected to a plurality of general-purpose data input / output elements and a UART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UART.

또한, 회로기판부는 유연인쇄 전자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유연인쇄 전자기술는 필름이나 섬유소재 등에 전도성 전자잉크를 분사해 인쇄하듯이 전자회로를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로기판부는 휘어지면서도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ircuit board portion can be manufactured using flexible printed electronics technology. Flexible printing electronics can produce electronic circuits as if they were printed by spraying conductive electronic ink on film or textile materials. As a result, the circuit board portion can exhibit its function while being warped.

회로기판부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ircuit board portion may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portion.

중앙처리부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순차적으로 논리 처리하고, 그 출력 결과를 이용하여 연결된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entral processing unit sequentially performs logic processing by the set program and controls the connected apparatus using the output result.

중앙처리부는 제어를 위해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배터리 백업 및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an be installed with a program for control. These programs can be stored in battery backup and nonvolatile memory.

또한, 중앙처리부는 입력에 대해 실시간 처리 능력을 가짐으로써, 정해진 시간의 입력 조건에 대해 출력을 정해진 조건에 따라 처리 또는 반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has real-time processing capability for the input, so that the output can be processed or reac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input condition.

중앙처리부는 중앙처리장치(CPU)로 형성될 수 있다. 중앙처리부는 제어장치, 연산장치 및 레지스터들로 구성될 수 있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may be formed by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he central processing unit may be composed of a controller, an arithmetic unit, and registers.

또한, 중앙처리부는 인출(fetch), 해독(decode) 및 실행(execute) 단계로 구성된 일련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명령어를 실행해 나갈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an execute a command by repeating a series of operations including a fetch, a decode, and an execute step.

여기에서, 제어장치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는 해석된 명령에 의미에 따라 연상장치, 주기억장치 및 입출력장치 등에 동작을 지시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device can interpret the program instructions. 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can direct the operation of the associative device, the main storage device, and the input /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meaning of the interpreted command.

연산장치는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산술과 AND, OR, NOT 및 XOR와 같은 논리 연산을 하는 장치이다. 또한, 연산장치는 제어장치의 지시에 따라 연산을 수행한다.The arithmetic unit is a device for performing arithmetic operations of addition, subtraction, multiplication, and division, and logical operations such as AND, OR, NOT, and XOR. Further, the arithmetic unit performs the arithmetic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instruction of the control unit.

레지스터는 주기억장치로부터 읽어온 명령어나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연산된 결과를 저장하는 공간이다.A register is a space in which instructions or data read from main memory are stored or the result of operation is stored.

중앙처리부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부에는 메모리부가 포함될 수 있다. The central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and execution memor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 memory unit.

메모리부는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 프로그램 코드와 통신 데이터세트(DATA SET),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코드, 응용 데이터세트 및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세트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may store a communication program code and a communication data set (DATA SET) for proces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code, an application data set, and a program code and data set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중앙처리부는 배터리, 디스플레이부 및 사운드부 등과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may be connected to a battery, a display unit, a sound unit, and the like.

또한, 중앙처리부는 유연인쇄 전자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Als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an be manufactured using flexible printed electronics technology.

또한, 배터리는 교체 및 충전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는 캐패시터(CAPACITOR)가 사용될 수 있다.Also, the battery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replaced and charged. Also, a capacitor (CAPACITOR) may be used for the battery.

배터리는 유연인쇄 전자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The battery can be manufactured using flexible printed electronics technology.

디스플레이부는 숫자, 문자나 도형이 표시되는 장치이다. The display unit is a device that displays numbers, characters, and graphics.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LEDs).

디스플레이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휘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유연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TFT LCD(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및 OLED(유기발광 다이오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be formed of a flexible display. The display portion may be bent. The display portion can use a flexible material. A TFT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and an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an be used for the display unit.

또한, 본 발명의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에서는 소프트웨어 특성을 이용하여, 버튼의 배치 및 버튼의 크기 등의 입력환경을 사용자에 맞도록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Korean input method using the swipe ges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t the input environment such as the arrangement of the buttons and the size of the buttons to suit the user by using the software characteristics.

본 발명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은 스마트 폰(Smart Phone), 개인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외 기타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Hangeul input method using the swipe ges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2000) terminal,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terminal,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terminal, 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UMTS) terminal,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using a touch screen.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clear to the person.

또한,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상 확대 또는 축소되어 표시될 수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크기나 형상에 본 발명이 구속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can be enlarg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ize and the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 : 제1 지점
2 : 제2 지점
3 : 제3 지점
4 : 제4 지점
5 : 제5 지점
10 : 터치스크린
20 : 입력창
30 : 일정 공간
100 : 자음입력키
200 : 모음입력키
210 : "ㅡ"모음키
220 : "ㅣ"모음키
230 : "ㅙ"모음키
240 : "ㅞ"모음키
250 : ""모음키
300 : b
400 : 추가터치점
1: First point
2: second point
3: Third point
4: fourth point
5: the fifth spot
10: Touch screen
20: Input window
30: Constant space
100: consonant input key
200: Vowel input key
210: "ㅡ" vowel key
220: "ㅣ" vowel key
230: "ㅙ" vowel key
240: "ㅞ" vowel key
250: "" The vowel key
300: b
400: Additional touch points

Claims (12)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
(a)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음입력키를 제1 터치하여 초성 자음을 결정하고 표시하는 단계;
(b) 초성 자음 중 어느 하나가 제1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하는 단계;
(c) 상기 제1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시간 이하일 경우, "ㅏ", 'ㅓ', 'ㅜ' 또는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ㅑ", 'ㅕ', 'ㅠ' 또는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터치된 지점을 교차하는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터치된 지점의 12시 위치를 0°, 3시 위치를 90°, 6시 위치를 180° 및 9시 위치를 270°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A method of inputting a Hangul input of a smart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 determining and displaying a consonant sound by first touching a consonant input ke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b) dragging any one of the consonant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a first touched state;
(c) when the time to be dragged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from the first touched stat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first time, displaying the "a", "ㅓ", "t" or "ㅗ" vowel as neutral; And
(d) when the time to be dragg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rom the first touched state exceeds a predetermined first time, displaying a "ㅑ", "ㅕ", "ㅠ", or "ㅛ" vowel as neutral; Lt; / RTI >
The 12 o'clock position of the first touched point is set to 0 °, the 3 o'clock position is set to 90 °, the 6 o'clock position is set to 180 ° and the 9 o'clock position is set to 270 ° based on the X and Y axes crossing the first touched point Wherein the swing gesture is set to a predetermined value.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
(a)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음입력키를 제1 터치하여 초성 자음을 결정하고 표시하는 단계;
(b) 초성 자음 중 어느 하나가 제1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하는 단계;
(c) 상기 제1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압력이 기설정된 제1 압력 이하일 경우, "ㅏ", 'ㅓ', 'ㅜ' 또는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압력이 기설정된 제1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ㅑ", 'ㅕ', 'ㅠ' 또는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터치된 지점을 교차하는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터치된 지점의 12시 위치를 0°, 3시 위치를 90°, 6시 위치를 180° 및 9시 위치를 270°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A method of inputting a Hangul input of a smart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 determining and displaying a consonant sound by first touching a consonant input ke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b) dragging any one of the consonant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a first touched state;
(c) when the touch is dragg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the first touched state, when a pressure input to the touch screen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first pressure, a combination of "a", "t", " A step marked as neutral; And
(d) when dragg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the first touched state, when the pressure inputted to the touch screen exceeds a predetermined first pressure, Wherein the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The 12 o'clock position of the first touched point is set to 0 °, the 3 o'clock position is set to 90 °, the 6 o'clock position is set to 180 ° and the 9 o'clock position is set to 270 ° based on the X and Y axes crossing the first touched point Wherein the swing gesture is set to a predetermined valu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깅 방향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45°이상부터 13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상기 단계 (c)에서 "ㅏ"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상기 단계 (d)에서 "ㅑ"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f the dragging direction is a direction between 45 degrees and less than 13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irst touched point, the "a"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in the step (c), and in the step (d) Quot; "vowel " is displayed as neutra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깅 방향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135°이상부터 22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상기 단계 (c)에서 "ㅜ"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상기 단계 (d)에서 "ㅠ"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n the dragging direction is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range between 135 degrees and less than 22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irst touched point, the vowel in the step (c) is displayed as neutral, and in the step (d) The method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a swipe ges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vowels are displayed as neutra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깅 방향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225°이상부터 31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상기 단계 (c)에서 "ㅓ"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상기 단계 (d)에서 "ㅕ"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n the dragging direction is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range between more than 225 ° and less than 315 ° based on the first touched point, the "ㅓ"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in the step (c) Quot; "vowel " is displayed as neutra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깅 방향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315°이상부터 4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상기 단계 (c)에서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상기 단계 (d)에서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the step (c), the "ㅗ"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when the dragging direction is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range between more than 315 degrees and less than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irst touched point, Quot; "vowel " is displayed as neutra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입력키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및 "ㅎ"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nsonant input key comprises:
"", "", "", "", "", "", "", "", "", "", "", "", "", """And" he. &Quo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음입력키 이외에 "ㅡ", "ㅣ", "", "ㅙ" 또는 "ㅞ"가 표시된 모음입력키를 더 포함하는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vowel input key displayed in addition to the consonant input ke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wherein the vowel input key is displayed with "?", "?", "?", "?" Or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
(a)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음입력키를 제1 터치하여 초성 자음을 결정하고 표시하는 단계;
(b) 초성 자음 중 어느 하나가 제1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하는 단계;
(c) 상기 제1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시간 이하일 경우, "ㅏ", 'ㅓ', 'ㅜ' 또는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ㅑ", 'ㅕ', 'ㅠ' 또는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터치된 지점을 교차하는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터치된 지점의 12시 위치를 0°, 3시 위치를 90°, 6시 위치를 180° 및 9시 위치를 270°로 설정하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어 드래깅이 끝나는 지점을 제2 지점을 기준으로,
반경 15cm 이내의 일측 방향 또는 왼쪽 방향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을 제1 지점으로 하고, 상기 제1 지점을 터치하는 경우, "" 모음이 추가로 입력되며,
제2 지점을 기준으로, 반경 15cm 이내의 타측 방향 또는 오른쪽 방향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을 제3 지점으로 하고, 상기 제3 지점을 터치하는 경우, "ㅡ" 모음이 추가로 입력되며,
제3 지점을 기준으로, 반경 5cm 이내의 오른쪽 방향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을 제4 지점으로 하고, 상기 제4 지점을 터치하는 경우, "ㅣ" 모음이 추가로 입력되며,
제4 지점을 기준으로, 반경 5cm 이내의 오른쪽 방향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을 제5 지점으로 하고, 상기 제5 지점을 터치하는 경우, 백스페이스(Backspace)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A method of inputting a Hangul input of a smart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 determining and displaying a consonant sound by first touching a consonant input ke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b) dragging any one of the consonant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a first touched state;
(c) when the time to be dragged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from the first touched stat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first time, displaying the "a", "ㅓ", "t" or "ㅗ" vowel as neutral; And
(d) when the time to be dragg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rom the first touched state exceeds a predetermined first time, displaying a "ㅑ", "ㅕ", "ㅠ", or "ㅛ" vowel as neutral; Lt; / RTI >
The 12 o'clock position of the first touched point is set to 0 °, the 3 o'clock position is set to 90 °, the 6 o'clock position is set to 180 ° and the 9 o'clock position is set to 270 ° based on the X and Y axes crossing the first touched point Setting,
A point at which dragging end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second point,
A point where a touch is made in one direction or a left direction within a radius of 15 cm is set as a first point, and when the first point is touched, a ""
A point where a touch is made in the other direction within a radius of 15 cm or in the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point is set as the third point, and when the third point is touched, a "
A point at which a touch is made in the right direction within a radius of 5 cm is set as a fourth point on the basis of the third point, and when the fourth point is touched, a "
Wherein a fifth point is a point where a touch is made in the right direction within a radius of 5 cm on the basis of the fourth point and a backspace operation is performed when the fifth point is touched.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
(e)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음입력키를 제1 터치하여 초성 자음을 결정하고 표시하는 단계;
(f) 초성 자음 중 어느 하나가 제1 터치된 이후, 'ㅡ' 및 'ㅣ'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을 선택하는 제2 터치 단계;
(g) 'ㅡ' 및 'ㅣ'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이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하는 단계;
(h) 제2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시간 이하일 경우, "ㅏ", 'ㅓ', 'ㅜ' 또는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 및
(i) 제2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ㅑ", 'ㅕ', 'ㅠ' 또는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터치된 지점을 교차하는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터치된 지점의 12시 위치를 0°, 3시 위치를 90°, 6시 위치를 180° 및 9시 위치를 270°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A method of inputting a Hangul input of a smart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e) first touching a consonant input ke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o determine and display a consonant consonant;
(f) a second touch step of selecting any one of '?' and '?' after any one of the consonants is touched first;
(g) dragging the vowel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any one of the vowels '?' and '?' is touched;
(h) displaying a "a", "ㅓ", "'", or "ㅗ" vowel as neutral when the time to be dragg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rom the second touched state is not more than a predetermined first time; And
(i) when the time to be dragg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rom the second touched state exceeds a predetermined first time, the step of displaying the "ㅑ", "ㅕ", "ㅠ", or "ㅛ" Including,
The 12 o'clock position of the first touched point is set to 0 °, the 3 o'clock position is set to 90 °, the 6 o'clock position is set to 180 ° and the 9 o'clock position is set to 270 ° based on the X and Y axes crossing the first touched point Wherein the swing gesture is set to a predetermined value.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
(e)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음입력키를 제1 터치하여 초성 자음을 결정하고 표시하는 단계;
(f) 초성 자음 중 어느 하나가 제1 터치된 이후, 'ㅡ' 및 'ㅣ'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을 선택하는 제2 터치 단계;
(g) 'ㅡ' 및 'ㅣ'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이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하는 단계;
(h) 제2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압력이 기설정된 제1 압력 이하일 경우, "ㅏ", 'ㅓ', 'ㅜ' 또는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 및
(i) 제2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압력이 기설정된 제1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ㅑ", 'ㅕ', 'ㅠ' 또는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를 포함하고,
제1 터치된 지점을 교차하는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터치된 지점의 12시 위치를 0°, 3시 위치를 90°, 6시 위치를 180° 및 9시 위치를 270°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A method of inputting a Hangul input of a smart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e) first touching a consonant input ke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o determine and display a consonant consonant;
(f) a second touch step of selecting any one of '?' and '?' after any one of the consonants is touched first;
(g) dragging the vowel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any one of the vowels '?' and '?' is touched;
(h) When the touch screen is dragg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rom the second touched state, when the pressure inputted to the touch screen is equal to or lower than a predetermined first pressure, the 'a', 't', 't'; And
(i) when dragg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rom the second touched state, when the pressure inputted to the touch screen exceeds a predetermined first pressure, Said step being characterized by the steps of:
The 12 o'clock position of the first touched point is set to 0 °, the 3 o'clock position is set to 90 °, the 6 o'clock position is set to 180 ° and the 9 o'clock position is set to 270 ° based on the X and Y axes crossing the first touched point Wherein the swing gesture is set to a predetermined value.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드래깅 방향이 제2 터치된 'ㅡ'(210)을 기준으로 135°이상부터 22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h)단계에서는 "ㅜ"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i)단계에서는 "ㅠ"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또한, 드래깅 방향이 제2 터치된 'ㅡ'(210)을 기준으로 315°이상부터 4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h)단계에서는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i)단계에서는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며,
드래깅 방향이 제2 터치된 'ㅣ'(220)을 기준으로 45°이상부터 13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h)단계에서는 "ㅏ"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i)단계에서는 "ㅑ"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또한, 드래깅 방향이 제2 터치된 'ㅣ'(220)을 기준으로 225°이상부터 31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h)단계에서는 "ㅓ"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i)단계에서는 "ㅕ"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If the dragging direction is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range between 135 degrees and less than 22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touched '210', the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in step (h), and (i) , The vowel is marked as neutral,
If the dragging direction is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range between 315 ° and less than 45 ° based on the second touched '210', the 'ㅗ'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in step (h) ) Step, the "ㅛ"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If the dragging direction is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range between 45 degrees and less than 135 degrees based on the second touched '220', the 'a'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in step (h) The "ㅑ"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If the dragging direction is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range between more than 225 ° and less than 315 ° based on the second touched '220', the 'ㅓ'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in step (h) ) Step, the "ㅕ" vowel is displayed as neutral.
KR1020160140450A 2016-10-26 2016-10-26 Method for hangeul input using swipe gesture KR1018887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450A KR101888754B1 (en) 2016-10-26 2016-10-26 Method for hangeul input using swipe ges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450A KR101888754B1 (en) 2016-10-26 2016-10-26 Method for hangeul input using swipe ges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743A true KR20180045743A (en) 2018-05-04
KR101888754B1 KR101888754B1 (en) 2018-08-14

Family

ID=62199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450A KR101888754B1 (en) 2016-10-26 2016-10-26 Method for hangeul input using swipe ges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75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161B1 (en) * 2007-02-26 2008-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and apparatus thereof
KR20100027329A (en) * 2008-09-02 2010-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inpu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161B1 (en) * 2007-02-26 2008-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and apparatus thereof
KR20100027329A (en) * 2008-09-02 2010-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inp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8754B1 (en) 2018-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588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virtual keyboards on a user interface
US8059101B2 (en) Swipe gestures for touch screen keyboards
KR102120930B1 (en) User input method of portable device and the portable device enabling the method
US9952683B1 (en) Keyboard integrated with trackpad
TWI393045B (en)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viewing multiple application windows
JP6115867B2 (en) Method and computing device for enabling interaction with an electronic device via one or more multi-directional buttons
US10061510B2 (en) Gesture multi-function on a physical keyboard
US11422695B2 (en) Radial based user interface on touch sensitive screen
US20120212420A1 (en) Multi-touch input control system
US20140078063A1 (en) Gesture-initiated keyboard functions
US20150100911A1 (en) Gesture responsive keyboard and interface
JP2006524955A (en) Unambiguous text input method for touch screen and reduced keyboard
JP2013527539A5 (en)
JP7426367B2 (en) dynamic spacebar
US9069391B2 (en) Method and mediu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a touch screen
US20140105664A1 (en) Keyboard Modification to Increase Typing Speed by Gesturing Next Character
JP6057441B2 (en) Portable device and input method thereof
KR101888754B1 (en) Method for hangeul input using swipe gesture
KR20100045617A (en) Korean alphabet input method utilizing a multi-touch sensing touch screen
KR1014828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 and pointing using edge touch
KR10107564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and Syste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inputting device
KR101919515B1 (en) Method for inputting data in terminal having touchscreen and apparatus thereof
TW201039203A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gestures of touch inp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