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3617A - 피드백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피드백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3617A
KR20180043617A KR1020160136550A KR20160136550A KR20180043617A KR 20180043617 A KR20180043617 A KR 20180043617A KR 1020160136550 A KR1020160136550 A KR 1020160136550A KR 20160136550 A KR20160136550 A KR 20160136550A KR 20180043617 A KR20180043617 A KR 20180043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pressure
feedback
processo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6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두석
이요한
전용준
최보근
이정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6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3617A/ko
Priority to US15/789,265 priority patent/US10394328B2/en
Publication of KR20180043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6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r inductance of electrical elements, e.g. by measuring variations of frequency of electrical oscillators
    • G01L1/14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r inductance of electrical elements, e.g. by measuring variations of frequency of electrical oscillators using capaci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r inductance of electrical elements, e.g. by measuring variations of frequency of electrical oscillators
    • G01L1/14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r inductance of electrical elements, e.g. by measuring variations of frequency of electrical oscillators using capacitors
    • G01L1/146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r inductance of electrical elements, e.g. by measuring variations of frequency of electrical oscillators using capacitors for measuring force distributions, e.g. using force ar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2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 G01L5/226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to manipulators, e.g. the force due to gripping
    • G01L5/228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to manipulators, e.g. the force due to gripping using tactile array force 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동작, 상기 객체를 선택하는 지정된 크기 이상의 압력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압력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객체와 연관된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객체와 연관된 정보가 지정된 제1 기준 미만인 경우, 제1 주파수 또는 제1 진폭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고, 상기 객체와 연관된 정보가 지정된 제1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주파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제2 주파수 또는 상기 제1 진폭보다 큰 제2 진폭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를 개시한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피드백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Providing Method for feedback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다양한 실시 예는 압력 입력에 따른 피드백 제공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전자 장치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상술한 휴대용 전자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입력 방식을 제공하고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는 터치 입력 또는 압력 입력 등을 사용자 조작에 따라 수신할 수 있다. 압력 입력의 경우 압력의 세기 등에 기반하여 다양한 형태로 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자신이 가한 압력의 크기가 전자 장치에 있어서 어떠한 상태인지 알기 어렵기 때문에, 압력의 크기 조절이 어렵고,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압력 입력 운용이 어렵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터치 입력과 압력 입력이 가능한 전자 장치에서, 압력 입력의 입력 상황에 따라 직관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압력 입력의 다양한 운용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피드백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면 및 제1 방향과 대향된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제1 면과 제2 면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면을 통하여 노출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제1 면과 제2 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외부 물체의 의한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회로,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고 피드백을 생성하는 액추에이터,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압력 센서, 상기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액추에이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기능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며, 상기 명령어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압력 센서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압력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압력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선택된 주파수에 대응하는 피드백을 생성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검출된 압력이 제1 범위 내인 경우, 선택된 주파수는 제1 주파수이고, 상기 검출된 압력이 상기 제1 범위 보다 큰 제2 범위인 경우 선택된 주파수는 상기 제1 주파수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들은 압력 입력과 관련한 사용자 학습을 최소화하고, 압력 입력과 관련한 직관적이며 손쉬운 사용자 입력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입력 환경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적층 구조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적층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의 형태에 따른 압력 입력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객체 속성에 따른 피드백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택된 객체와 연관된 정보에 따른 피드백 출력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택된 객체와 연관된 정보에 따른 피드백 출력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택된 객체들의 상대적 정보 비교에 따른 피드백 출력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택된 객체들의 상대적 정보 비교에 따른 피드백 출력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관련 피드백 출력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관련 피드백 출력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변화에 대응하여 선택되는 객체 변화량에 따른 피드백 출력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변화에 대응하여 선택되는 객체 변화량에 따른 피드백 출력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입력 변화 및 선택되는 객체 종류 변화에 따른 피드백 출력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입력 변화 및 선택되는 객체 종류 변화에 따른 피드백 출력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입력의 크기 변화에 따른 객체 선택 및 피드백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복 입력되는 압력 입력에 따른 텍스트 선택을 설명하는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력 레벨에 따른 텍스트 선택을 설명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텍스트 영역 선택과 관련한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색 결과에 따른 피드백 출력의 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택된 객체의 수에 따른 피드백 출력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택된 객체와 관련한 추가 기능에 따른 피드백 출력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주얼 기반의 피드백 출력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압력 레벨에 따른 기기 검색 또는 연결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b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압력 레벨에 따른 기기 검색 또는 연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운용 환경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 (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예: Xbox™, PlayStation™),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 (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입력 환경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예컨대, 101 상태에서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객체(161)를 디스플레이(16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0)는 상기 출력된 객체(161)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압력 입력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103 상태에서와 같이, 객체(161)와 관련하여 제1 크기의 제1 압력 입력이 발생하면, 제1 압력 입력에 대응하는 제1 피드백(111)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입력은 예컨대, 제1 크기의 힘(예: 터치 입력과 구분될 수 있는 일정 크기의 압력)을 객체(161)가 배치된 디스플레이(160) 상에서 발생시킴에 따라, 디스플레이(160) 하부에 배치된 전자 장치(100)의 압력 센서는 제1 크기 힘을 검출하는 센서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제1 피드백(111)은 예컨대, 제1 주파수(예: 200Hz)를 가지는 진동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 장치(100)는 햅틱 엑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파수에 대응하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105 상태에서와 같이, 객체(161)와 관련하여 제2 크기(예: 제1 크기보다 큰) 제2 압력 입력이 발생하면, 제2 압력 입력에 대응하는 제2 피드백(113)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크기(예: 상기 제1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힘을 객체(161)가 배치된 디스플레이(160) 상에서 발생시킴에 따라, 디스플레이(160) 하부에 배치된 압력 센서는 상기 제2 크기 힘에 대응하는 센서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제2 피드백(113)은 예컨대, 제2 주파수(예: 150Hz)를 가지는 진동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0)는 상기 햅틱 엑추에이터를 기반으로 제2 주파수에 대응하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압력 입력과 연관된 피드백을 제공하여 자신이 가하는 압력을 전자 장치(100)가 어느 정도 크기의 신호로 인식하는지에 대한 상황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기 피드백은 예컨대 진동, 소리, 빛, 화면(또는 그래픽) 등 다양한 조합으로 가능하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압력 입력에 연관된 객체(161)의 속성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다양한 피드백 또는 서로 다른 피드백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상기 객체의 속성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선택되는 객체의 타입(예: text, image 등), 크기, 사용 빈도, 중요도 등 객체와 연관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압력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감지된 압력 입력의 속성(예: 압력의 크기, 위치, 유지 시간 등)에 기반하여 피드백의 속성(예: 피드백의 종류 또는 피드백의 크기나 효과의 정도)를 결정하여 출력하는 방식과, 입력에 의해 선택되는 객체의 속성(예: 객체의 종류, 객체의 내용, 객체의 이용 빈도 등)에 기반하여 피드백의 속성을 결정하여 출력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기반으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선택된 객체의 사이즈에 따라 서로 다른 무게감을 느낄 수 있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무게감을 표시하는 방법으로 전자 장치(100)는 모터의 진동 주파수를 조절(예: 주파수를 낮추면 터치 시 상대적으로 무거운 느낌을 줄 수 있음) 등의 햅틱 피드백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60),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DI; display driving IC)(165), 터치 센서(180), 터치 센서 IC(185), 압력 센서(190), 압력 센서 IC(195), 햅틱 액추에이터(200), 메모리(130),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전자 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다양한 예시들에서의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60)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DI)(165)로부터 공급받은 영상 구동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상기 영상 구동 신호에 기반하여 다양한 컨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문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160)는 터치 센서(180) 및 압력 센서(190)와 중첩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60) 및 터치 센서(180)가 결합하는 경우, 상기 결합체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로 참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압력 입력의 속성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화면 효과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DI)(165)는 프로세서(120)(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 구동 신호를 미리 설정된 프레임률(frame rate)로 디스플레이(160)에 공급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65)는 그래픽 램, 인터페이스 모듈, 이미지 프로세싱 유닛(image processing unit), 멀티플렉서(multiplexer), 디스플레이 타이밍 컨트롤러(display timing controller; T-con), 소스 드라이버, 게이트 드라이버, 및/또는 발진기(oscilla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180)에서는 사용자로부터의 터치에 의해 지정된 물리량(예: 전압, 광량, 저항, 전하량, 커패시턴스 등)이 변화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 센서(180)는 디스플레이(160)과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 IC(185)는 터치 센서(180)에서의 물리량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물리량(예: 전압, 저항, 커패시턴스 등)의 변화에 기반하여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X, Y)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산출된 위치 (좌표)는 프로세서(120)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전자 펜의 일례) 등이 디스플레이의 글래스(미도시)에 접촉하면, 터치 센서(180)에 포함된 송신단(Tx) 및/또는 수신단(Rx) 사이의 커플링 전압이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플링 전압의 변화는 터치 센서 IC(185)에 의해 감지될 수 있고, 상기 터치 센서 IC(185)는 상기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의 좌표를 프로세서(12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위치 좌표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자 입력에 관한 이벤트로서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 IC(185)는 터치 IC, 터치 스크린 IC, 터치 컨트롤러, 또는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 IC 등으로 참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 센서 IC(185)가 포함되지 않은 전자 장치에서는,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터치 센서 IC(185)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 센서 IC(185)와 상기 프로세서(120)는 일 구성(예: one-chip)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190)에서는, 외부 압력(혹은, 힘)이 감지될 수 있다. 예컨대, 압력 센서(190)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가한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압력 센서(190)에서는, 상기 터치에 의해 송신단(Tx)(예: 제1 전극) 및 수신단(Rx)(예: 제2 전극) 사이의 물리량(예: 정전용량)이 변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 IC(195)는 압력 센서(190)에서의 물리량(예: 정전용량 등)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물리량의 변화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가해진 압력(Z)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압력값은 압력의 크기,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X, Y) 및 유지 시간과 함께 프로세서(120)에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 IC(195)는 포스 터치 컨트롤러, 포스 센서 IC, 또는 압력 패널 IC 등으로 참조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압력 센서 IC(195)는 터치 센서 IC(185)와 일 구성(예: one-chip)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햅틱 액추에이터(200)는 프로세서(120)의 제어 명령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에게 촉각적 피드백(예: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햅틱 액추에이터(20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예: 터치, 호버링, 포스 터치 포함)이 수신될 때, 상기 사용자에게 촉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햅틱 엑추에이터(200)는 프로세서(120) 제어에 대응하여 압력 입력의 속성 또는 압력 입력에 의해 선택되는 객체의 속성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진동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의 동작과 연관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는, 실행 시에, 프로세서(120)가 본 문서에 기재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압력 입력의 속성 또는 객체의 속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출력할 피드백의 형태와 크기를 매핑한 매핑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130, 150-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압력 센서(190)를 이용하여 손가락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가한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감지된 압력 입력의 속성에 따라 서로 다른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60)가 켜져(ON) 있는 상태뿐만 아니라, 꺼진(OFF) 상태에서도, 상기 가해진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압력 입력의 속성 또는 압력 입력에 의해 선택되는 객체의 속성에 기반하여 지정된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60)가 오프(OFF)된 상태(예: 휴지 모드)에서, 입력 센서를 턴-온 상태로 유지하여 압력 발생을 센싱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전자 장치(100)가 휴지 모드(idle mode 또는 sleep mode)로 동작하고 있을 때 오프(OFF)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60)가 온(ON)된 상태에서, 감지된 압력 센싱의 속성 또는 압력 센싱에 의해 선택된 객체의 속성에 따라 지정된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온(ON) 상태에서, 잠금 화면(lock screen), 홈 화면(home screen),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출력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설명된 프로세서(120)의 동작은 일례로서, 전술한 기재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문서의 다른 부분에 기재된 프로세서의 동작도 상기 프로세서(120)의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으로 기재된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120)의 동작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적층 구조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적층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전자 장치(100)는 윈도우(101), 터치 센서(180), 디스플레이(160), 압력 센서(190) 및 햅틱 엑추에이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적층 구조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전자 장치 예시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적층 구조에 있어서, 윈도우(101)는 배치된 전자 장치의 전면(제1 면) 및 하우징의 후면(제2 면; 미도시) 사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101)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제1 면)을 통해 노출되되, 디스플레이(160)에 의해 생성된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 상기 윈도우(101) 상에서 사용자는 신체의 일부(예: 손가락)를 접촉하여 "터치"(전자 펜을 이용한 접촉을 포함함)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101)는, 예컨대, 강화 유리, 강화 플라스틱, 구부러질 수 있는(flexible) 고분자 소재 등으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전자 장치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101)는 글래스 윈도우(glass window) 또는 커버 윈도우(cover window)로도 참조될 수 있다.
터치 센서(180)는, 예를 들어, 윈도우(101)가 배치된 전자 장치의 전면(제1 면) 및 전자 장치의 하우징 후면(제2 면; 미도시) 사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180)에서는, 사용자로부터의 터치에 의해 지정된 물리량(예: 전압, 광량, 저항, 전하량, 커패시턴스 등)이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센서(180)는 정전식 터치 패널, 감압식 터치 패널, 적외선 방식 터치 패널,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 또는 피에조(piezo) 터치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 센서(180)는 구현 형태에 따라서 터치 패널 등 다양한 명칭으로 참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60)는 콘텐트(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위젯, 또는 심볼 등)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터치 센서(또는 터치 패널)(160)와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터치스크린 패널(TSP: touch screen panel), 혹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로도 참조될 수 있다.
압력 센서(190)는, 예를 들어, 윈도우(101)가 배치된 전자 장치의 전면(제1 면) 및 전자 장치의 하우징 후면(제2 면; 미도시) 사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190)는 윈도우(101)에 대한 외부(예: 사용자의 손가락)의 압력(혹은, 힘)을 감지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압력 센서(190)는 제1 전극(191), 제2 전극(193), 및/또는 유전층(dielectric layer)(19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압력 센서(190)는 상기 터치에 의해 변화하는 상기 제1 전극(191) 및 상기 제2 전극(193) 사이의 정전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극(191) 및/또는 제2 전극(193)은 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투명하게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1 전극(191) 및/또는 제2 전극(193)은 구리(Cu), 은(Ag), 마그네슘(Mg), 티타늄(Ti), 불투명한 그래핀(graphene)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투명하게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1 전극(191) 및/또는 제2 전극(193)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은 나노 와이어(Ag nanowire), 메탈 메쉬(metal mesh), 투명 고분자 전도체, 투명 그래핀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극(191) 및/또는 제2 전극(193) 중 하나는 접지(GND)역할을 수행하는 하나의 금속판으로 구현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전술한 부재를 이용하여 반복된 다각형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이른바, self-capacitance 방식). 또 다른 예를 들면, 제1 전극(191) 및 제2 전극(193) 중 하나(예: 송신단(Tx))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예: 수신단(Rx))는 상기 제1 방향과 지정된 각도(예: 직각)으로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이른바, mutual-capacitance 방식).
유전층(192)은 유전물질, 예를 들어, 실리콘 폼(foam), 실리콘 멤브레인(membrane), OCA(optical clean adhesive), 스폰지, 고무, 폴리머(예: PC(polycabonat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햅틱 액추에이터(haptic actuator)(20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터치, 호버링(hovering), "포스 터치" 포함)이 수신될 때, 상기 사용자에게 촉각적 피드백(haptic feedback)(예: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햅틱 액추에이터(200)는 압전부재(Piezoelectric member) 및/또는 진동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햅틱 엑추에이터(200)는 프로세서(120) 제어에 대응하여 압력 입력의 속성 또는 압력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객체의 속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지정된 진동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도 3 또는 도 4의 전자 장치 적층 구조는 일례로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터치 센서(180)은 윈도우(101)의 배면에 직접 형성되거나(이른바, 윈도우 일체형 터치 패널), 별도로 제작되어 윈도우(101)와 디스플레이(160) 사이에 삽입되거나(이른바 애드 온(add-on)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160) 위에 직접 형성되거나(이른바, 온-셀(on-cell)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160)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이른바, 인-셀(in-cell) 터치 패널).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190)의 제1 전극(191)은 회로기판(예: FPCB)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160)에 부착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160)의 배면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 장치 운용 방법과 관련하여, 동작 501에서,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60) 상에서 발생하는 입력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입력과 관련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160)의 일정 지점을 누르는 형태의 사용자 동작에 대응하여, 압력의 크기, 위치, 및 유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503에서, 프로세서(120)는 입력 강도가 터치 범주를 초과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 장치(100)는 터치 입력(또는 터치 입력 정보, 이하 터치 입력)과 압력 입력(또는 압력 입력 정보, 이하 압력 입력)을 구분하는 기준 값을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입력의 크기는 지정된 제1 크기 이상부터 제2 크기 이하의 압력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압력 입력의 크기는 상기 제2 크기를 초과하는 값들로 정의될 수 있다. 압력 입력은 제2 크기 초과의 압력 값들을 복수의 단계로 구분한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입력이 터치 범주를 초과하는 경우, 동작 505에서, 프로세서(120)는 압력의 강도 레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 장치(100)는 복수개의 강도 레벨들을 포함하고, 각 강도 레벨은 일정 압력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507에서, 프로세서(120)는 강도 레벨에 따른 피드백 출력 및 지정된 기능 수행을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지정된 제1 강도 레벨에 해당하는 압력 입력이 발생한 경우, 제1 강도 레벨에 대응하는 제1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제1 강도 레벨의 압력 입력 발생에 따라 지정된 사용자 기능 예컨대, 객체 선택 및 객체 재생을 처리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강도 레벨보다 큰 제2 강도 레벨에 해당하는 압력 입력이 발생한 경우, 제2 강도 레벨에 대응하는 제2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피드백은 예컨대, 제1 피드백보다 더 큰 무게감을 줄 수 있는 피드백(예: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의 진동 패턴 또는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의 오디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2 강도 레벨 발생 시 지정된 기능 예컨대, 객체 선택 및 선택된 객체의 삭제를 처리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의 오디오는 상대적으로 가벼운 느낌 재현(예: 상대적으로 더 작은 무게감을 줄 수 있도록 제1 피드백 출력 시 적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동작에서, 제2 강도 레벨의 경우 제1 강도 레벨을 거치면서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지정된 강도 레벨이 지정된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해당 강도 레벨의 압력 입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압력 입력이 발생한 시작 시점부터 종료된 시점까지의 시간 동안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을 유지한 강도 레벨을 해당 압력 입력의 강도 레벨로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동작 503에서, 입력 강도가 터치 범주 이내인 경우, 동작 509에서, 프로세서(120)는 터치 입력에 따른 기능 실행을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터치가 발생한 지점에서 탭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압력 입의 유지 시간에 따라 두 개 이상의 압력 발생을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압력 입력 유지 시간을 두 개 이상의 시간 입력 단계로 구분하고, 각 구분된 단계에 따라 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 장치 운용 방법과 관련하여, 동작 601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입력 동작에 대응하여 입력을 인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60)를 턴-온시키거나 또는 디스플레이(160)를 항상 턴-온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터치 센서(180)를 턴-온 시키거나 항상 턴-온 상태로 유지한 후, 터치 입력이 발생하면, 압력 센서(190)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터치 센서(180) 활성화 이후, 일정 시간 이상 터치 입력이 유지되면 압력 센서(190)를 활성화할 수 있다.
동작 603에서, 프로세서(120)는 입력 강도 및 위치를 연산할 수 있다. 여기서 압력 입력의 유지 시간은 실제 압력이 특정 위치에 가해진 시간이 될 수 있으며, 최초 압력 검출 이후에 해당 위치에 터치가 유지되는 시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입력 강도 및 위치가 검출되면, 프로세서(120)는 입력 강도 및 위치에 대응하여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입력 강도에 대응하는 피드백의 크기를 결정하고, 입력 위치에 따라, 결정된 피드백을 출력한 지점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60)의 위치별 피드백 출력 형태를 다르게 할 수 있도록 마련된 햅틱 엑추에이터(200)를 포함하고, 상기 햅틱 엑추에이터(200)를 이용하여 입력이 발생한 지점에 상대적으로 진동을 더 크게 느낄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압력 센서(190) 입력 이외에도 터치센서, 가속도 센서, 지문 센서등의 다른 외부 센서 입력 값을 함께 사용하여 단말에 특정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압력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선택되는 객체 및 객체의 속성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객체 및/또는 속성에 기반하여 다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객체의 속성은 객체의 용량, 중요도, 사용 빈도 등과 객체를 통하여 획득할 수 있는 정보 등 객체와 연관된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동작 607에서, 프로세서(120)는 압력이 유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압력이 유지되면, 프로세서(120)는 동작 603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동작을 재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압력 입력의 속성(예: 크기 또는 강도 레벨, 유지 시간, 위치)에 따라 피드백의 속성(예: 피드백의 종류와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는 객체의 속성(예: 객체의 종류, 객체의 크기 등)에 따라, 피드백의 속성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압력 입력의 속성 및 객체의 속성을 복합적으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피드백의 속성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의 형태에 따른 압력 입력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입력의 종류, 입력의 세기, 입력의 유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서로 다른 햅틱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제1 힘(예: 제1 Force)로 제1 압력 세기(L1~L2 사이)의 입력이 발생하면 제1 종류의 햅틱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제2 힘(예: 제2 Force)로 제2 압력 세기(L3 이상)의 입력이 발생하면, 제2 종류의 햅틱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1 힘(예: 제1 Force)로 제1 압력 세기(L1~L2 사이)를 가지면서 5초 동안 압력이 유지되는 경우, 제1 종류의 햅틱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2 힘(예: 제2 Force)로 제2 압력 세기(L3 이상)를 가지면서 10초 동안 압력이 유지되는 경우, 제1 종류와 다른 제2 종류의 햅틱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2 힘(예: 제2 Force)로 제2 압력 세기(L3 이상)를 가지면서 30초 동안 압력이 유지되는 경우, 제2 종류와 다른 제3 종류의 햅틱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객체 속성에 따른 피드백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60)에 출력된 객체는 텍스트, 이미지(예: 스틸 이미지나 사진 등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이미지), 동영상 파일(예: 슬라이드 또는 동영상 등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이미지 파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압력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객체의 종류에 따라 다른 피드백(예: 서로 다른 크기의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압력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객체 타입이 변경되는 경우 다른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선택된 객체가 텍스트인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제1 세기(예: 진폭이 상대적으로 낮은 진동 또는 상대적으로 볼륨이 낮은 오디오, 또는 상대적으로 세기가 작은 빛 등)의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선택된 객체가 이미지인 경우, 제2 세기(예: 상기 제1 세기보다 큰 진동, 큰 볼륨, 큰 조도 값의 빛)의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선택된 객체가 동영상 파일인 경우, 제3 세기(예: 상기 제2 세기보다 큰 진동, 큰 볼륨, 큰 조도 값의 빛)의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텍스트는 가벼운 느낌을 줄 수 있는 피드백, 이미지는 보통 느낌(예: 상기 가벼운 느낌보다는 상대적으로 무거운 느낌)을 줄 수 있는 피드백, 동영상 파일은 무거운 느낌(예: 상기 보통 느낌보다는 상대적으로 무거운 느낌)을 줄 수 있는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선택된 객체들의 내용(예: 고려 요소)에 따라 출력되는 피드백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텍스트 객체에 포함된 텍스트의 수(예: 단어 수, 문장 수, 문단 수 등), 텍스트의 변화(예: 문단 바꾸기 등)에 따라 텍스트 객체에 대응하여 출력할 피드백의 크기(예: 진동의 크기) 또는 종류(또는 다른 패턴의 진동이나 오디오와 같은 다른 피드백)를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120)는 이미지 객체의 크기,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의 수 등에 따라 이미지 객체에 대응하여 출력할 피드백의 크기 또는 종류를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120)는 동영상 파일의 크기, 동영상 파일이 촬영된 시간, 동영상 파일에 포함된 인물의 수 등에 따라 동영상 파일에 대응하여 출력할 피드백의 크기 또는 종류를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압력 입력의 변화(예: 지정된 크기 이상의 압력이 유지되면서 디스플레이(160) 상에서 손가락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드래그 등)에 대응하여 선택되는 객체의 변화량을 분석하고, 분석된 변화량에 따른 피드백의 종류 및/또는 크기를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객체(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파일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상기 객체와 관련한 압력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객체의 종류를 확인하고, 객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대적으로 데이터 양이 많은 객체 종류에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무거운 피드백(예: 상대적으로 더 낮은 주파수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피드백 세기(또는 진동)는 압력 입력의 크기(예: T1, T2, T3)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예를들어, 도7의 피드백의 세기를 참조하면, 압력 입력(예: 곡선 그래프)이 발생할 때 압력 입력의 크기(예: T1, T2, T3)에 대응하는 일정 크기의 진동(예: 막대 그래프)이 발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택된 객체와 연관된 정보에 따른 피드백 출력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801 상태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60)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포함한 폴더들을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801 상태 화면은 예컨대, 폴더 영역(841) 및 이미지 영역(843)들을 포함할 수 있다. 폴더 영역(841)은 복수개의 폴더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영역(843)은 폴더 영역(841)에서 선택된 폴더에 포함된 이미지들이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803 상태에서와 같이 폴더 영역(841)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개수의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제1 폴더(810)가 압력 입력에 의해 선택되면, 프로세서(120)는 선택된 제1 폴더(810)에 포함된 이미지들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포함된 이미지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피드백의 종류 및/또는 크기에 대응하는 제1 피드백(811)(예: 제1 주파수 또는 제1 진폭의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803 상태에서와 같이, 폴더 영역(841)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의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제2 폴더(820)가 압력 입력에 의해 선택되면, 프로세서(120)는 선택된 제2 폴더(820)에 포함된 이미지들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2 폴더(820)에 포함된 이미지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피드백의 종류 및/또는 크기에 대응하는 제2 피드백(813)(예: 제2 주파수 또는 제2 진폭의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피드백(811)의 진폭은 제2 피드백(813)의 진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술한 동작 수행 중에, 프로세서(120)는 압력 입력의 크기 또는 위치, 유지 시간 등에 따라 다른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의 파일 탐색기, 갤러리, 이메일 등의 복수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기능과 관련한 화면을 출력하는 동안, 프로세서(120)는 압력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객체와 관련한 지정된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150MB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1 폴더(810)와 200MB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2 폴더(820)의 압력 입력 선택에 따라 서로 다른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150MB는 상기 제1 폴더(810)에 포함된 이미지들 전체 용량에 해당하고, 상기 200MB는 제2 폴더(820)에 포함된 이미지들 전체 용량에 해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폴더(810)보다 더 큰 사이즈를 가지는 제2 폴더(820) 선택 시 더 강한 햅틱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컨텐츠의 용량이 클수록 더 큰 무거움을 느낄 수 있는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피드백의 형태에 따라 자신의 압력 입력으로 선택된 객체의 컨텐츠 량을 가늠(또는 추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압력 입력에 의해 선택된 이메일의 파일 첨부 여부 또는 첨부된 파일의 용량에 따라 다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첨부 파일이 없는 이메일에 대응하는 객체의 압력 입력 선택 시 출력하는 제1 피드백과, 첨부 파일이 있는 이메일에 대응하는 객체의 압력 입력 선택 시 출력하는 제2 피드백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이메일에 첨부 파일 없는 경우의 제1 피드백은 이메일에 첨부 파일이 있는 경우의 제2 피드백보다 가벼운 느낌의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채팅 등 메신저 기능 운용 중, 첨부 파일이 없는 객체(예: 텍스트만을 포함한 대화창)의 압력 선택 시 출력하는 제1 피드백과 첨부 파일이 있는 객체(예: 사진 첨부를 포함한 대화창)의 압력 선택 시 출력하는 제2 피드백을 다른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제2 피드백에 의해 사용자가 느끼는 감각(예: 햅틱 감각)을 제1 피드백보다 큰 형태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하고, 상기 명령어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 동작, 상기 객체를 선택하는 지정된 크기 이상의 압력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압력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객체와 연관된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객체와 연관된 정보가 지정된 제1 기준 미만인 경우, 제1 주파수 또는 제1 진폭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고, 상기 객체와 연관된 정보가 지정된 제1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주파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제2 주파수 또는 상기 제1 진폭보다 큰 제2 진폭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객체가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상기 객체와 관련한 압력 입력이 발생하면, 압력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객체의 서브 객체(또는 하위 객체)들의 수를 확인하고, 객체들의 수에 따라 지정된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위 객체들의 수가 지정된 제1 개수 미만인 경우, 제1 주파수 또는 제1 진폭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고, 상기 하위 객체들의 수가 지정된 제1 개수 이상인 경우, 제2 주파수(예: 제1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 또는 제2 진폭(제1 진폭보다 큰 진폭)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택된 객체와 연관된 정보에 따른 피드백 출력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지정된 기능 실행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60)에 기능 실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기능 실행 화면은 901 화면에서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객체들이 배치된 화면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901 화면에서, 제1 객체(910)를 선택하는 압력 입력이 발생하면, 발생한 압력 입력의 속성 또는 압력 입력에 의해 선택된 제1 객체(910)의 속성에 따라 지정된 제1 피드백(911)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선택된 제1 객체(910) 내에 포함된 인물의 수에 대응하여 제1 진동 크기를 가지는 제1 피드백(911)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903 화면에서와 같이, 제2 객체(920)를 선택하는 압력 입력이 발생하면, 제2 객체(920)의 인물 수에 대응하여 제2 진동 크기를 가지는 제2 피드백(913)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피드백(913)은 예컨대, 제1 피드백(91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진폭이 큰 주파수를 기반으로 한 진동을 포함할 수 있다. 진폭이 큰 주파수에 의한 진동은 예컨대, 사용자에게 보다 무거운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기능을 기반으로, 사용자는 선택된 사진 객체에 포함된 인물 수를 시각적으로 판단하는 것뿐만 아니라, 촉각적으로도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압력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객체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프로세서(120)는 다른 형태의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압력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객체에 포함된 인물의 나이 또는 몸무게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인물의 나이 또는 몸무게 등은 객체에 포함된 이미지 분석을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인물의 얼굴을 분석하고, 지정된 부위 등에 일정 크기나 개수 이상의 주름 등이 있는지 또는 피부 노화 정도 등을 기 저장된 기준 정보와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인물의 몸체 크기 또는 비율 등 또는 체형을 기반으로 인물의 몸무게를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객체에 포함된 인물의 몸무게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판단된 정보에 따라, 나이 또는 몸무게 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상대적으로 가벼운 느낌의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120)는 판단된 정보에 따라, 나이 또는 몸무게 등이 상대적으로 높거나 큰 경우, 상대적으로 무거운 느낌의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압력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객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객체(예: 이미지)에 포함된 요소들(예: 돌, 빵, 탁자, 이불 등)의 종류를 기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예: 돌, 빵, 탁자나 이불 등을 구분할 수 있도록 마련된 텍스처)를 기반으로 객체에 포함된 요소들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객체(예: 이미지)를 요소 분석 서버에 전송하고, 해당 서버로부터 객체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요소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객체에 돌이 포함된 경우, 딱딱한 느낌(예: 빠르고 진폭이 큰 진동을 일정 주기로 반복하여 발생)을 줄 수 있는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객체에 이불이 포함된 경우, 부드러운 느낌(예: 느리고 진폭이 낮은 진동을 상대적으로 길게 유지시킴)을 줄 수 있는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객체의 태그 정보를 확인하고, 객체의 태그 정보를 기반으로 지정된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객체가 이용 시간이 제한된 객체인 경우, 해당 객체를 이용할 수 있는 유효 기간의 크기 또는 해당 객체가 생성된 생성 시간에 기반으로 서로 다른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유효 기간이 상대적으로 적게 남은 객체를 선택하는 압력 입력 발생 시, 상대적으로 긴박감을 줄 수 있는 피드백(예: 상대적으로 빠른 주파수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생성 시간이 오래된 객체를 선택하는 압력 입력 발생 시, 프로세서(120)는 가벼운 느낌 또는 오래된 느낌(예: 상대적으로 느린 주파수의 진동)의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객체가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상기 객체와 관련한 압력 입력이 발생하면, 압력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객체 내에 포함된 화면 요소(예: 인물)의 수를 확인하고, 화면 요소들의 수에 따라 지정된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화면 요소들의 수가 지정된 제1 개수 미만인 경우, 제1 주파수 또는 제1 진폭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고, 상기 하위 객체들의 수가 지정된 제1 개수 이상인 경우, 제2 주파수(예: 제1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 또는 제2 진폭(제1 진폭보다 큰 진폭)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택된 객체들의 상대적 정보 비교에 따른 피드백 출력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60)는 지정된 기능 실행에 따라, 1001 화면에서와 같이,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160)는 지도 정보 상에 복수의 경로 정보(예: 제1 경로(1010) 및 제2 경로(1030))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160)는 복수의 경로(1010, 1030) 중 어느 하나의 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복수의 경로(1010, 1030) 중 어느 하나의 경로를 디폴트로 선택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선택 버튼에 지정된 제1 압력 입력(1011)이 발생하면, 디스플레이(160)는 1001 화면에서와 같이, 디폴트로 선택된 경로(예: 1010)를 하일라이트 표시할 수 있다. 선택 버튼에 지정된 제2 압력 입력(1013)이 발생하면, 디스플레이(160)는 1003 화면에서와 같이, 디폴트로 선택된 경로(예: 1010)를 변경하여 다른 경로(예: 1030)를 하일라이트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경로(1010)를 선택하는 압력 입력이 발생하면, 프로세서(120)는 제1 경로(1010)에 대응하는 제1 피드백(1021)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피드백(1021)은 예컨대, 제1 크기의 진폭 또는 제1 크기 주파수를 가지는 진동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경로(1010)을 선택하는 압력 입력이 발생하면, 디스플레이(160)는 1005 화면에서와 같이, 지정된 경로(예: 1010)를 하일라이트 표시할 수 있다. 제2 경로(1030)를 선택하는 압력 입력이 발생하면, 프로세서(120)는 다시 1003 화면에서와 같이 제2 경로(1030)에 대응하는 제2 피드백(1023)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피드백(123)은 예컨대, 제2 크기(예: 제1 크기보다 큰) 진폭 또는 제1 크기 주파수(예: 제1 크기 주파수보다 큰 주파수)를 가지는 진동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20)는 경로 선택과 관련한 버튼에 지정된 압력 입력이 발생하면, 제1 경로(1010) 및 제2 경로(1030)을 번갈아 하일라이트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프로세서(120)는 선택되는 경로에 대응하는 지정된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택된 객체들의 상대적 정보 비교에 따른 피드백 출력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경로에 의해 소요되는 시간 차이에 따라 서로 다른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압력 입력에 의해 선택 되는 경로의 소요 시간이 큰 경우 소요시간이 작은 경우보다 더 강한 또는 긴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1101 화면에서와 같이, 제1 경로의 경우 5시간 11분이 소요되고 제2 경로의 경우 9시간 20분이 소요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경로를 선택하는 압력 입력(1110)을 통해 제2 경로가 선택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소요 시간이 긴 것을 사용자가 느낄 수 있도록 설정된 피드백(1111)(예: 상대적으로 큰 진폭의 진동, 또는 상대적으로 긴 진동 발생 시간 또는 상대적으로 더 긴 발광 시간을 가지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1103 화면에서와 같이, 상대적으로 짧은 소요 시간을 가지는 제1 경로를 선택하는 압력 입력(1130)이 발생하면, 프로세서(120)는 소요 시간이 짧은 것을 느낄 수 있도록 설정된 피드백(1113)(예: 상대적으로 작은 진폭의 진동, 또는 상대적으로 짧은 진동 발생 시간 또는 상대적으로 더 짧은 발광 시간을 가지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압력 입력으로 선택되는 객체의 중요도에 따라 피드백을 다르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입력에 의해 선택된 메시지의 송신인에 따라 피드백을 다르게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메시지의 발신자가 가족 또는 회사 등 지정된 그룹에 속해 있는 경우 상대적으로 강하거나 무겁게 느끼도록 설정된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프로세서(120)는 메시지 발신자 추출 및/또는 폰북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메시지가 광고 등인 경우, 상대적으로 약하거나 가볍게 느끼도록 설정된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프로세서(120)는 메시지 내용을 분석하여 “광고” 등의 문구가 포함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기능을 기반으로, 사용자는 특정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고서도, 해당 메시지의 중요도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시지 삭제, 어플리케이션 삭제 등과 같이 사용자의 동의가 필요하며, 복원이 어려운 동작(예: 데이터 삭제 동작)의 경우 압력 입력 시 일반 적인 선택 동작과 다른 피드백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해당 동작의 중요성을 인지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객체가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상기 객체와 관련한 압력 입력이 발생하면, 압력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객체가 지시하는 소요 시간 정보를 확인하고, 소요 시간 정보의 크기에 따라 지정된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요 시간 정보가 제1 시간 미만인 경우, 제1 주파수 또는 제1 진폭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고, 상기 소요 시간 정보가 지정된 제1 시간 이상인 경우, 제2 주파수(예: 제1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 또는 제2 진폭(제1 진폭보다 큰 진폭)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설정된 피드백 1111 또는 1113과 같은 진동 및 압력 입력 등은 앞서 도 7에서 설명한 진동 또는 압력 입력의 한 예가 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관련 피드백 출력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관련 피드백 출력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1201 상태에서와 같이, 지정된 결제 어플리케이션 기능 실행에 따른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결제 어플리케이션 기능 실행 화면에서, 프로세서(120)는 압력 입력 발생 시, 결제 내용과 관련한 지정된 피드백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결제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상태에서 압력 발생 시, 1203 화면에서와 같이, 제1 결제 금액에 대응하여 제1 피드백(1211)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결제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상태에서 압력 발생 시, 1205 화면에서와 같이, 제2 결제 금액에 대응하여 제2 피드백(1213)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피드백(1211)은 예컨대, 제2 피드백(121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진폭의 진동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지정한 결제 금액이 4만원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4만원 미만 결제 시에는 제1 피드백(1211)을 1203 화면에서와 같이 출력하고, 4만원 이상 결제 시에는 제2 피드백(1213)을 1205 화면에서와 같이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결제 금액들을 누적한 누적 금액, 누적 결재 횟수 등을 기준으로 제공되는 피드백을 다르게 설정 할 수 있다. 제2 피드백(1213)의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무게감을 느끼게 하는 피드백일 수 있으며, haptic 피드백 이외에 visual 피드백도 제공 가능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결제 기능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결제 기능 실행 화면을 1301 화면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160)에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결제 기능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160)에 출력된 상태에서 지정된 결제 금액(예: 30000원) 이하의 금액들을 결제하기 위해 지정된 터치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1303 화면 및 1305 화면에서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지정된 피드백(1311)을 동일하게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은 예컨대 지문 센싱을 위한 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결제와 관련한 지문 센싱 수행 중에, 앞서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정된 크기 이상의 결제 금액(예: 30000원 이상)이 서로 다른 경우, 결제 금액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객체가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상기 객체와 관련한 압력 입력이 발생하면, 압력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객체에 의해 결제한 결제 정보를 확인하고, 결제 금액의 크기따라 지정된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제 금액이 지정된 제1 금액 미만인 경우, 제1 주파수 또는 제1 진폭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고, 상기 결제 금액이 지정된 제1 금액 이상인 경우, 제2 주파수(예: 제1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 또는 제2 진폭(제1 진폭보다 큰 진폭)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변화에 대응하여 선택되는 객체 변화량에 따른 피드백 출력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에 대응하여, 1401 화면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화면(예: 문서 작성 화면, 문서 보기 화면, 인터넷 웹 페이지 화면 등)을 디스플레이(160)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을 통하여 화면에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압력 입력에 대응하여 선택되는 텍스트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여 지정된 피드백들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선택된 텍스트 영역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피드백들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1401 화면에서와 같이, t1 시간 동안 제1 압력 입력(1410)(예: 지정된 크기 이상의 압력으로 디스플레이(160)의 일정 영역을 터치한 후 압력이 지정된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또는 압력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해당 압력의 최고점을 기준으로 일정 크기만큼 줄어드는 경우)을 기반으로 제1 텍스트 영역(1431)이 선택되면, 프로세서(120)는 제1 텍스트 영역(1431) 크기에 대응하는 일정 크기의 피드백이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도면(1411a, 1411b)에서, 일정 크기의 피드백은 제11 피드백(1411a의 진동) 또는 제12 피드백(1411b의 진동)일 수 있으며, t1 시간 동안 출력하거나 또는 제1 압력(1410)이 발생한 이후 일정 시점부터 t1 시점까지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압력 입력(1410)은 제11 피드백(1411a) 또는 제12 피드백(1411b)에서와 같이 화면의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드래그 되면서 점진적으로 압력이 증가하다가 일정 지점에서 드래그 이동이 중지되면서 압력이 직전 상태보다 줄어든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제11 피드백(1411a의 진동)은 예컨대 지정된 크기(예: T2) 이상의 제1 압력 입력 발생 이후, 압력 입력 유지에 대응하여 일정 크기의 진동을 발생하는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은 예컨대 t1 시간보다 짧게 출력되거나, 터치가 유지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제1 텍스트 영역(1431)을 주변 영역과 구분되게 표시(예: 반전 표시)할 수 있다.
제12 피드백(1411b의 진동)은 예컨대, 지정된 크기(예: T1) 이상의 제1 압력 입력 발생 이후, 지정된 크기까지 점진적으로 피드백 세기가 증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1403 화면에서와 같이 제1 압력입력(1410) 발생 이후 t2 시간 동안 제2 압력 입력(1430)(예: 제1 압력 입력(1410) 이후 지정된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드래그 입력)이 발생하면, 프로세서(120)는 제2 텍스트 영역(1433) 크기에 대응하는 일정 크기의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압력입력(1430)은 제21 압력 입력(1413a)에서와 같이, 두 번째 변곡점을 가지는 형태의 압력 입력 형태(예:t1~t2사이 압력입력)를 가질 수 있다. 제21 압력 입력(1413a)에서 첫 번째 변곡점을 가지는 형태의 압력입력(예:0~t1까지의 압력입력)은 제1 압력입력(1410)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도시된 도면(1413a, 1413b)에서 일정 크기의 피드백은 제21 피드백(1413a의 진동) 또는 제22 피드백(1413b의 진동)과 같은 정도의 피드백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선택 영역의 크기에 따라, t1구간의 제11 피드백(1411a의 진동) 또는 제12 피드백(1411b의 진동)과 다른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압력 입력(1430)은 예컨대, 제1 압력 입력(1410)이 발생한 이후 연속해서 발생하는 입력이 될 수 있으며, 제 1압력 입력(1410)과 같은 크기이거나 그보다 작은 크기의 입력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피드백의 일부를 t1과 t2사이에 연속해서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피드백은 t1에서 t2 사이 시간 중 적어도 일부 시간 동안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압력 입력(1430)은 제21 압력 입력(1413a)에서와 같이, 두 번의 변곡점을 가지는 형태의 압력 입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1 압력 입력(1413a)은 디스플레이(160) 화면의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입력 물체(예: 사용자의 손가락)가 드래그하는 동안 점진적으로 압력을 증가시키면서 드래그하다가 임의의 지점에서 멈춘 후 다시 점진적으로 압력을 증가시키면서 드래그한 후 압력을 감소시키면서 드래그를 중지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압력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2 압력 입력(1430)은 제22 압력 입력(1413b)에서와 같이, 한 번의 변곡점을 가지는 형태의 압력 입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2 압력 입력(1413b)은 디스플레이(160) 화면의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입력 물체가 드래그 하는 동안 초기에 압력을 증가시키면서 드래그하다가, 일정 거리 이상부터는 압력을 균일하게 유지하면서 드래그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압력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 피드백(1413a의 진동)은 선택영역이 드래그를 통해 확대되면서 추가의 T2이상의 압력입력이 발생할 경우, t1시간에 발생한 일정 크기의 진동보다 큰 크기의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21 피드백(1413a의 진동)은 단계적으로 진동의 크기가 증가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21 피드백(1413a의 진동)은 t1시간에 발생한 일정 크기의 진동과 동일한 크기에 진동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21 피드백(1413a의 진동)은 t1 시간에 발생한 일정 크기의 진동이 t2시간까지 복수회 발생할 수 있다.
제22 피드백(1413b의 진동)은 선택영역이 드래그를 통해 확대되고 T1과 T2사이에 제2 압력입력이 유지되는 경우(예: 특정 위치에 일정시간이상 머무른 경우), 진동을 t1에서 t2사이 구간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22 피드백(1413b의 진동)은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불규칙한 크기를 가지는 진동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제2 텍스트 영역(1433)을 주변 영역과 구분되게 표시(예: 반전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드래그 입력 시, 사용자의 압력 입력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압력 입력의 증가에 따라,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드래그 선택 영역의 증가가 불규칙한 경우, 불규칙 패턴에 대응하여, 세기가 불규칙하게 변경되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1405 화면에서와 같이 t2 시점 이후 제3 압력 입력(1450)(예: 지정된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드래그 압력 입력이 발생한 경우)이 발생하면, 프로세서(120)는 제3 텍스트 영역(1435)을 선택하는 동안 발생한 입력에 대응하는 제31 피드백(1415a) 또는 제32 피드백(1415b)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는, 제3 압력 입력(1450)은 제31 압력 입력(1415a)에서와 같이, 세번째 변곡점을 가지는 형태(예: t2~t3사이의 압력입력)의 압력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제31 압력 입력(1415a)에서 첫 번째와 두번째 변곡점을 가지는 형태의 압력입력(예:0~t2까지의 압력입력)은 제1 압력입력(1410)과 제2 압력입력(1430)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제3 압력 입력(1450)은 제31 압력 입력(1415a)에서와 같이 변곡점이 3개가 되는 형태의 압력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1 압력 입력(1415a)은 디스플레이(160)의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입력 물체가 드래그되는 동안 멈춤 동작이 3회 발생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압력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3 압력 입력(1450)은 제32 압력 입력(1415b)에서와 같이 한번의 변곡점을 포함하고 균일한 압력으로 이동되는 드래그 압력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제31 피드백(1415a)은 예컨대, 드래그를 통해 선택영역이 확대되면서, 점진적으로 진동의 크기가 증가하되, 계단 형태로 진동의 크기가 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압력 입력(1450)이 상대적으로 급격하게 압력이 증가하다가, 일정 시점 이후 압력의 증가가 변곡된 후(예: 최초 t1에 T1이상의 압력입력 발생), 일정 크기로 줄어든 상태에서 해당 압력이 유지되는 압력 입력 상태(예: T2 ~ T3 에 계속적으로 드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압력 입력(1450)에 대응하여 제32 피드백(1415b) 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32 피드백(1415b)은 제3 압력 입력(1450)에 대응하여, 선택 영역이 확대됨에 따라, t1, t2, t3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진동의 크기가 증가하는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디스플레이(160)는 제3 텍스트 영역(1435)을 주변 영역과 구분되게 표시(예: 반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압력 입력(1450)은 제1 압력 입력(1410) 및 제2 압력 입력(1430) 발생 이후 연속해서 발생하는 입력일 수 있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압력 입력(1450)에 대응하는 피드백이 최초 피드백이 출력된 t1 이후 t3 시간까지 피드백의 세기를 변경하면서 출력될 수 있다. 제3 압력 입력(1450) 이후 지속적으로 압력이 유지되는 경우, t3 이후 시간에도 이전 시간 동안 발생한 피드백이 출력될 수 있다. 제3 압력 입력(1450) 이후 압력 발생이 중지되면, t3 이후에는 피드백 출력이 중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지정된 크기 이상의 압력을 기반으로 하는 압력 입력 및 드래그 동작에 대응하여 선택되는 텍스트 영역을 변경하고, 변경된 텍스트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60)는 복수의 문단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포함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문단을 선택하는 제1 압력 입력이 발생하면, 프로세서(120)는 제1 문단 선택에 따른 제1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제1 압력 입력의 이동 또는 제2 압력 입력을 통해 제2 문단을 추가로 선택하는 경우 제1 피드백과 다른 제2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피드백은 제1 피드백 보다 강하거나 무게감을 느낄 수 있는 피드백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압력 입력에 따른 범위 지정 시, 최초 압력 입력 발생 이후, 터치와 압력이 유지되면서 드래그 이벤트에 대응하여 선택되는 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터치 압력이 유지되면서 발생하는 드래그 이벤트의 이동 거리에 따라, 화면의 일정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선택되는 범위의 크기에 따라 지정된 햅틱 피드백(예: 점진적으로 무게감이 증가하는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변화에 대응하여 선택되는 객체 변화량에 따른 피드백 출력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에 대응하여, 1501 화면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객체(예: 텍스트)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160)에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60) 일측에 배치된 압력 센서를 기반으로 수집되는 압력 입력에 대응하여 선택되는 텍스트 영역을 변경하고, 변경된 텍스트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여 지정된 피드백들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1501 화면에서와 같이, 제1 압력 입력(1510)(예: 지정된 크기(T1~T2) 의 압력으로 디스플레이(160)의 일정 영역을 터치한 후 제1 시간(t1) 동안 유지하는 입력)을 기반으로 제1 텍스트 영역(1531)이 선택되면, 프로세서(120)는 제1 텍스트 영역(1531) 크기에 대응하는 제1 피드백(1511의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디스플레이(160)는 제1 텍스트 영역(1531)을 주변 영역과 구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압력 입력(1510)은 제11 압력 입력(1511a) 및 제12 압력 입력(1511b)에서와 같이 터치 이후 점진적으로 압력이 증가하다가 1회의 변곡점을 거친 후 점진적으로 압력이 감소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1 압력 입력(1510)은 제13 압력 입력(1511c)에서와 같이, 압력의 증가 형태가 급격하게 증가한 후 지정된 크기의 압력 상태가 유지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1503 화면에서와 같이 제2 압력 입력(1520)(예: 제1 압력 입력(1510) 이후 지정된 시간(t2) 동안 유지되는 압력 입력 또는 제1 압력 입력(1510)이 발생한 지점에서 지정된 시간 이내 동일한 압력 입력이 반복하여 발생하는 입력)이 발생하면, 프로세서(120)는 제2 텍스트 영역(1520)을 선택하고, 선택된 제2 텍스트 영역(1520) 크기에 대응하는 제21 피드백(1513a의 진동), 제22 피드백(1513b의 진동), 제23 피드백(1513c의 진동) 중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제21 피드백(1513a의 진동)은 제1 피드백(1511의 진동)과 다른 크기의 피드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1 피드백(1513a의 진동)은 제1 피드백(1511)에 비하여 무거운 느낌을 지는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1513a에서 t1까지의 그래프는 제1 압력입력(1510)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도면(1513a)에서, 일정 크기의 압력이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회(예: 더블 탭 발식의 압력 입력) 발생하는 제2 압력 입력(1520)이 발생하면, 전자 장치는 제21 피드백(1513a의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1 피드백(1513a의 진동)는 동일 또는 유사 지점에서 동일 크기의 압력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처음 압력 입력에 대하여 제1 크기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고, 다음 압력 입력에 대하여 제2 크기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는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2 압력 입력(1520)은 제22 압력 입력(1513b)에서와 같이 압력을 가하는 물체를 압력 센서로부터 떼지 않고, 처음 일정 크기의 압력을 제공한 후, 연이어 압력 입력을 제공하는 형태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는 제22 피드백(1513b의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제22 피드백(1513b의 진동)은 한 번의 포물선 압력에 대응하여 일정 크기의 제1 진동을 출력하고, 연이어 배치된 포물선 압력에 대응하여 제1 진동보다 큰 제2 진동을 출력하는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진동의 출력 유지 시간은 제2 진동의 출력 유지 시간과 다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압력 입력(1520)은 제23 압력 입력(1513c)에서와 같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일정 시점부터 증가된 압력이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형태(예: 터치 발생 시점 이후 t2 시간까지)의 압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는 제23 피드백(1513c의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제23 피드백(1513c의 진동)는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이 발생하는 시점 t1부터 t3까지 점진적으로 진동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출력하는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디스플레이(160)는 제2 텍스트 영역(1533)을 주변 영역과 구분되게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1505 화면에서와 같이 제3 압력 입력(1530)은 제31 압력 입력(1515a)에서와 같이 제2 압력 입력(1520) 이후 지정된 시간 동안(t3) 유지되는 압력 입력 또는 제1 압력 입력(1510)이 동일 지점에서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하여 발생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3 압력 입력(1530)은 제32 압력 입력(1515b)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160)의 표면에서 입력 물체가 릴리즈되지 않은 상태로, 압력 증가의 변화가 3회 발생하는 형태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3 압력 입력(1530)은 제33 압력 입력(1515c)에서와 같이 초기 압력 증가 이후, 지정된 크기의 압력이 유지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31 압력 입력(1515a)이 발생하면, 프로세서(120)는 제3 텍스트 영역(1535)을 선택하고, 선택된 제3 텍스트 영역(1535)에 대응하는 제31 피드백(1515a의 진동)(예: 일정 구간 동안 피드백을 출력하되 점진적으로 진동의 세기가 커지는 피드백), 제32 피드백(1515b의 진동)(예: 일정 구간 동안 피드백을 출력하되 점진적으로 변경되는 진동의 세기가 제31 피드백(1515a의 진동)보다 큰 피드백) 또는 제33 피드백(1515c)(초기에 제1 크기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고 연속하여 제2 크기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는 형태)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31 피드백(1515a의 진동)은 제21 피드백(1513a의 진동)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무거운 느낌의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제3 텍스트 영역(1535)을 주변 영역과 구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피드백(1511a의 진동), 제21 피드백(1513a의 진동) 및 제31 피드백(1515a의 진동)는 예컨대, 점진적으로 피드백의 크기가 커지는 형태(예: 진폭이 커지거나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더 낮은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지정된 크기 이상의 압력을 기반으로 하는 압력 입력과 압력의 유지 시간 또는 압력 입력의 반복 횟수에 대응하여 선택되는 텍스트 영역을 변경하고, 변경된 텍스트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20)는 최초 압력 발생 이후,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동일 강도의 압력 또는 다른 강도의 압력에 대응하여 선택되는 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압력 입력의 강도가 증가할수록 화면에서 선택하는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압력 입력 강도 증가에 대응하여 화면 선택 범위가 증가하면, 그에 대응하여 점진적으로 무게감이 증가하는 햅틱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입력 변화 및 선택되는 객체 종류 변화에 따른 피드백 출력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지정된 압력 입력 동작에 따라, 화면의 영역 선택을 변경하고, 이 동작에서 선택되는 객체들의 데이터 변화량에 따라 지정된 피드백들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1601 화면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160)는 제1 텍스트 영역(1661), 이미지 영역(1662)(예: 정지 영상 이미지 또는 동영상 이미지) 및 제2 텍스트 영역(1663)을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동영상 이미지의 경우, 해당 동영상의 대표 프레임 및 가상 재생 제어 버튼이 상기 이미지 영역(1662)에 출력되거나, 이미지 영역(1662)을 통하여 동영상이 재생되는 형태의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압력 입력(1610) 발생에 대응하여, 제1 텍스트 영역(1661)을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텍스트 영역(1661) 선택에 대응하여 제1 피드백(1611)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압력 입력(1610)은 제11 압력 입력(1611a)에서와 같이, 예컨대, 디스플레이(160)의 일정 지점에 압력을 가하여 점진적으로 압력이 증가하는 형태의 압력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1 압력 입력(1610)은 제12 압력 입력(1611c)에서와 같이, 점진적으로 압력의 크기가 증가하다가 일정부터 압력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태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1 피드백(1611a의 진동)은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이 발생한 시점부터 일정 크기 이하로 압력이 줄어들 때까지 제1 크기의 진폭에 해당하는 진동을 출력하는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2 피드백(1611c)은 압력 입력이 발생한 시작점부터 점진적으로 진동의 세기가 증가하는 형태의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다.
1603 화면에서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제2 압력 입력(1630)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압력 입력(1630)은 예컨대, 디스플레이(160)의 일정 지점부터 타 지점까지의 거리를 이동하는 드래그 압력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압력 입력(1630)은 제21 압력 입력(1613a) 또는 제22 압력 입력(1613b)에서와 같이 점진적으로 커지다가, 일정 크기에서부터 압력의 변화가 일정 범위 내에서 진동하면서 유지되는 압력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2 압력 입력(163)은 제23 압력 입력(1613c)에서와 같이 점진적으로 압력이 증가하다가 일정 시점을 기준으로 압력이 일정 크기 감소한 이후, 감소된 일정 압력이 유지되는 형태의 압력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2 압력 입력(1630)에 대응하여, 제1 텍스트 영역(1661) 및 이미지 영역(1662)을 선택하고, 그에 대응하는 제21 피드백(1613a의 진동), 제22 피드백(1613b의 진동), 제23 피드백(1613c의 진동)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제21 피드백(1613a의 진동)은 점진적으로 보다 높은 강도 또는 큰 무게감을 주는 피드백(또는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더 낮거나 진폭이 더 큰 진동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1 피드백(1613a의 진동)은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이 발생한 시점부터 제1 크기의 제1 진동을 t1 시간까지 출력하다가, 압력이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는 경우, 제2 크기(예: 상기 제1 크기보다 큰 진폭)의 제2 진동을 t2 시점에 출력하는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2 피드백(1613b의 진동)은 제21 피드백(1613a의 진동)에 비하여 제2 진동이 더 큰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3 피드백(1613c)은 압력 입력이 발생한 시점부터 지속적으로 진동의 크기가 증가하는 형태의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다.
1605 화면에서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제3 압력 입력(1650)을 수신할 수 있다. 제3 압력 입력(1650)은 예컨대, 디스플레이(160)의 일정 지점부터 타 지점까지의 거리(d2)(상기 제2 압력 입력(1630)에 의해 이동된 거리보다 큰 거리)를 드래그하는 압력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압력 입력(1650)은 예컨대, 제31 압력 입력(1615a) 및 제32 압력 입력(1615b)에서와 같이 점진적으로 압력의 크기가 증가하다가 일정 크기의 압력이 t3 시점까지 유지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3 압력 입력(1650)은 제33 압력 입력(1615c)에서와 같이 점진적으로 압력의 크기가 증가하다 일정 크기로 감소한 이후 감손된 크기의 압력이 t3 시점까지 유지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3 압력 입력(1650)에 대응하여, 제1 텍스트 영역(1661), 이미지 영역(1662), 제2 텍스트 영역(1663)을 선택하고, 그에 대응하는 제31 피드백(1615a의 진동) 또는 제32 피드백(1615b의 진동), 또는 제33 피드백(1615c의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제31 피드백(1615a의 진동)은 점진적으로 보다 높은 강도 또는 큰 무게감을 주는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다. 제32 피드백(1615b의 진동)은 진동의 강도 또는 무게감이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형태의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33 피드백(1615c의 진동)은 진동의 진폭 크기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입력 변화 및 선택되는 객체 종류 변화에 따른 피드백 출력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지정된 압력 입력 동작에 따라, 화면의 영역 선택을 변경하고, 이 동작에서 선택되는 객체들의 데이터 변화량에 따라 지정된 피드백들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1701 화면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160)는 제1 텍스트 영역(1661), 이미지 영역(1662) 및 제2 텍스트 영역(1663)을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압력 입력(1710) 발생에 대응하여, 제1 텍스트 영역(1661)을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텍스트 영역(1661) 선택에 대응하여 제1 피드백(1711의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압력 입력(1710)은 제11 압력 입력(1711)에서와 같이 예컨대, 디스플레이(160)의 일정 지점을 지정된 제1 시간(t1) 내에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감소하여 압력의 변화가 하나의 변곡점을 형성하는 압력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피드백(1711의 진동)은 압력 입력 발생 이후,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예: T1)이 발생하는 시점부터 일정 크기의 진동을 출력하는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다.
1703 화면에서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제2 압력 입력(1730)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압력 입력(1730)은 예컨대, 디스플레이(160)의 일정 지점을 지정된 제2 시간(t2) 동안 유지하는 압력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21 압력 입력(1713)에서와 같이, 제2 압력 입력(1730)은 점진적으로 압력이 증가하다 일정 지점에서 변곡된 후(예: t1 시점 직후 변곡), 일정 크기의 압력이 지점된 시점(예: t2 시점 직후)유지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2 압력 입력(1730)에 대응하여, 제1 텍스트 영역(1661) 및 이미지 영역(1662)을 선택하고, 그에 대응하는 제2 피드백(1713의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피드백(1713의 진동)은 제1 피드백(1711의 진동) 보다 높은 강도 또는 큰 무게감을 주는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피드백(1713의 진동)은 일정 크기의 제1 진동을 제1 시점(예: t1) 출력 후, 휴지 기간을 가지고 제1 진동보다 큰 진폭의 제2 진동을 제2 시점(예: t2)에 출력하는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다.
1705 화면에서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제3 압력 입력(1750)을 수신할 수 있다. 제3 압력 입력(1750)은 예컨대, 디스플레이(160)의 일정 지점을 지정된 제3 시간(t3) 동안 유지하는 압력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3 압력 입력(1750)은 제31 압력 입력(1715)에서와 같이 점진적으로 압력이 증가하다가 일정 크기에서부터 압력의 증가와 감소가 파도형태로 나타나는 압력 입력이 제3 시점(t3)까지 유지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3 압력 입력(1750)에 대응하여, 제1 텍스트 영역(1661), 이미지 영역(1662), 제2 텍스트 영역(1663)을 선택하고, 그에 대응하는 제3 피드백(1715의 진동) 을 출력할 수 있다. 제3 피드백(1715의 진동)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점진적으로 진폭의 크기가 증가하는 제1 진동, 제2 진동, 제3 진동을 출력하는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3 피드백은 순차적으로 보다 높은 강도 또는 큰 무게감을 주는 피드백을 복수회 출력하는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3 피드백은 예컨대, 일정 크기의 제1 진동, 제1 진동보다 큰 진폭의 제2 진동, 상기 제1 진동의 진폭보다는 크지만 상기 제2 진동의 진폭보다는 작은 제3 진동이 일정 간격으로 출력되는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입력의 크기 변화에 따른 객체 선택 및 피드백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60)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에 대응하여 1801 상태에서와 같이, 텍스트를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제1 크기의 압력에 해당하는 제1 압력 입력(1810)이 발생하면, 객체(예: 텍스트들)에서 제1 영역(1811)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프로세서(120)는 제1 영역(1811) 선택에 대응하는 제1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1 압력 입력(1810)이 발생한 지점을 기준으로 일정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1803 상태에서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제2 크기의 압력(예: 제1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큰 압력)에 대응하는 제2 압력 입력(1830)이 발생하면, 텍스트들이 표시된 화면에서 제2 영역(1813)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프로세서(120)는 제2 영역(1813) 선택에 대응하는 제2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2 압력 입력(1830)이 발생한 지점을 기준으로 일정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문장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1805 상태에서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제3 크기의 압력(예: 상기 제2 크기보다 큰 압력)에 해당하는 제3 압력 입력(1850)이 발생하면, 텍스트들에서 제3 영역(1815)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프로세서(120)는 제3 영역(1815) 선택에 대응하는 제3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3 압력 입력(1850)이 발생한 지점을 기준으로 일정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문단을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인가하는 압력 레벨에 따라 텍스트의 선택 영역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문서 편집기 또는 메모장, 이북,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또는 텍스트 뷰어 환경에서 사용자의 압력 입력 레벨에 따라 선택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복 입력되는 압력 입력에 따른 텍스트 선택을 설명하는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반복된 압력 입력에 대해 텍스트의 선택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컨대, 1901 구간에서와 같이, 지정된 압력 레벨 이상(또는 제1 압력 범위 - 제1 압력 레벨보다 크고 제2 압력 레벨 미만)의 압력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텍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프로세서(120)는 압력 입력이 발생한 지점을 확인하고, 발생한 지점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선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서(120)는 1901 구간에서의 압력 입력 발생 이후 터치 레벨 이상의 압력이 유지되다가, 1903 구간에서와 같이 지정된 압력 레벨 이상의 압력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텍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문장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프로세서(120)는 압력 입력이 발생한 지점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문장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1903 구간에서의 압력 입력 발생 이후, 터치 레벨 이상의 압력이 유지되다가 1905 구간에서와 같이 지정된 압력 레벨 이상의 압력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텍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문단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프로세서(120)는 압력 입력 발생 지점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 내의 적어도 하나의 문단을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압력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유지 시간에 비하여 선택되는 문단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터치 레벨 이후 제1 압력 레벨이 1901 구간 유지되는 경우, 단어 선택을 수행하고, 1903 구간만큼의 제2 압력 레벨이 유지되는 경우 문장을 선택하고, 이후 1905 구간만큼의 제2 압력 레벨이 유지되는 경우 문단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다르면, 프로세서(120)는 압력의 유지 시간(또는 구간의 폭)에 따라 단어, 문장, 문단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1901 구간에 해당하는 압력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단어를 선택하고, 1903 구간에 해당하는 압력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문장을 선택하고, 1905 구간에 해당하는 압력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문단을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구간 폭에 따른 단어, 문장, 문단의 종류는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일정한 압력 레벨 이상인 경우 수신되는 횟수 또는 압력이 유지되는 시간에 따라 단어, 문장, 문단 선택을 구분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지정된 압력 레벨 이상인 압력 입력들이 지정된 시간 이내에 반복하여 입력되는 경우, 입력 횟수에 대응하여 단어, 문장 또는 문단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지정된 압력 레벨 이상인 압력의 유지 시간 경과에 따라, 단어, 문장 또는 문단을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1단계의 압력 입력만을 인식하도록 설정된 압력 센서를 포함한 경우,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1회의 압력 (1단계)에 대해서는 해당 압력 입력이 가해진 부분의 단어를 선택하고, 2회의 압력 (2단계)에 대해서는 압력이 가해진 부분을 포함하는 문장을 선택하고, 3회의 압력 (3단계)에 대해서는 해당 압력이 가해진 부분을 포함하는 문단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3번의 압력 입력을 통해 현재 압력이 가해진 위치에 존재하는 문단을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력 레벨에 따른 텍스트 선택을 설명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크기 다른 압력 레벨에 따라 객체 선택 속성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예컨대, 2001 구간에서와 같이, 지정된 제1 압력 레벨 이상 및 제2 압력 레벨 미만의 제1 압력 입력(예: 제1 압력 범위 내의 제1 압력 입력)이 발생하면, 프로세서(120)는 제1 압력 입력에 대응하여 텍스트에 포함된 단어를 선택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 문장, 문단을 포함하는 텍스트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제1 압력 입력이 발생한 경우, 제1 압력 입력이 발생한 지점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2003 구간에서와 같이 제2 압력 레벨보다 크고 제3 압력 레벨보다 작은 제2 압력 입력(예: 제2 압력 범위 내의 제2 압력 입력)이 발생하면, 제2 압력 입력이 발생한 지점을 기준으로 하나의 문장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2005 구간에서와 같이, 제2 압력 입력 발생 이후, 제2 압력 레벨보다 크고 제3 압력 레벨보다 작은 제2 압력 입력이 다시 발생하면, 새로 발생한 제2 압력 입력 지점을 기준으로 추가적인 문장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제2 압력 레벨에 따라 두 개의 문장을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단어 선택 또는 문장 선택 시, 프로세서(120)는 발생된 압력의 구간 길이(예: 압력이 유지되는 시간)에 관계 없이 발생된 압력 레벨의 크기에 따라 단어(예: 제1 압력 레벨)를 선택하거나, 또는 문장(예: 제2 압력 레벨)을 선택할 수 있다.
2005 구간 이후, 2007 구간에서와 같이, 제1 압력 레벨보다 크고 제2 압력 레벨보다 작은 제1 압력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프로세서(120)는 새로 입력된 제1 압력 입력에 대응하여 추가 단어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프로세서(120)는 이전 두 개의 문장 선택 이후, 다음에 배치된 단어를 선택할 수 있다. 2009 구간에서와 같이, 새로운 제3 압력 입력이 발생하면, 프로세서(120)는 새로 입력된 제3 입력에 대응하여 문단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두 개의 문장 선택 이후 문단을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압력의 세기에 따라 선택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1단계 압력을 반복해서 입력할 경우, 프로세서(120)는 입력된 1단계 압력 입력에 대응하는 단어 개수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2단계 압력 입력이 반복해서 발생할 경우 반복된 2단계 압력에 대응하는 문장들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1단계, 2단계, 또는 3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단어, 문장, 문단 등을 확장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텍스트 영역 선택과 관련한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 장치 운용 방법과 관련하여, 압력 입력이 발생하면, 동작 2101에서, 프로세서(120)는 압력 입력이 발생한 위치를 검출하고, 동작 2103에서 압력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위치 및 압력 레벨을 동시 검출하거나, 압력을 검출한 후 지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 위치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2105에서, 프로세서(120)는 압력 레벨이 제1 압력 레벨 이상인지 확인할 수 있다. 제1 압력 레벨 이상이 아닌 경우, 동작 2107에서, 프로세서(120)는 압력 레벨이 제2 압력 레벨 이상인지 확인할 수 있다. 압력 레벨이 제2 압력 레벨 미만인 경우, 동작 2109에서, 프로세서(120)는 단어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압력 레벨이 제2 압력 레벨 이상인 경우, 동작 2111에서, 프로세서(120)는 제3 압력 레벨 이상인지 확인할 수 있다. 압력 레벨이 제3 압력 레벨 미만인 경우, 동작 2113에서, 프로세서(120)는 문장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압력 레벨이 제3 압력 레벨 이상인 경우, 동작 2115에서, 프로세서(120)는 문단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2105에서, 제1 압력 레벨 미만인 경우, 동작 2117에서, 프로세서(120)는 터치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터치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동작 2119에서, 프로세서(120)는 돋보기 기능으로 커서 이동을 처리할 수 있다. 터치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지 않는 경우, 동작 2121에서, 프로세서(120)는 커서 이동을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동작 2119에서, 롱터치 입력에 따른 기능(예: 단어, 문장, 문단 선택을 위한 메뉴 출력)을 실행할 도 있다.
상술한 동작에서, 상기 프로세서(120)는 압력 입력이 발생한 지점을 기준으로, 단어, 문장, 문단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압력 입력에 따라 단어, 문장, 문단 등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되는 영역을 반전시켜 주변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텍스트 선택 동작 이후, 지정된 제스처 동작(예: swipe 동작)에 해당하는 입력이 발생하면, 옵션 메뉴를 디스플레이(16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옵션 메뉴는 예컨대, 복사, 잘라내기 등의 편집 명령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선택 텍스트를 활용과 관련한 인스턴트 메시지 어플리케이션(instant message application), 번역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한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은 전체화면으로 실행될 수도 있으며, 팝업 형태의 작은 화면으로 일시적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객체가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상기 객체와 관련한 압력 입력이 발생하면, 압력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객체의 선택 영역을 확인하고, 선택 영역의 크기에 따라 지정된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는 선택 영역의 크기가 지정된 제1 크기 미만인 경우, 제1 주파수 또는 제1 진폭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고, 상기 선택 영역의 크기가 지정된 제1 크기 이상인 제2 주파수(예: 제1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 또는 제2 진폭(제1 진폭보다 큰 진폭)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는 압력 입력의 압력 레벨에 따라 객체의 선택 범위를 다르게 하고(예: 압력 레벨이 클수록 보다 넓은 영역을 선택), 선택 범위에 대응하여 지정된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는 압력 입력의 횟수에 따라 객체의 선택 범위를 다르게 하고(예: 압력 횟수가 많을수록 보다 넓은 영역을 선택), 선택 범위에 대응하여 지정된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는 선택된 영역에 포함된 객체의 데이터 변화량에 따라 출력되는 피드백을 다르게(예: 데이터 변화량이 클수록 더 큰 강도의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색 결과에 따른 피드백 출력의 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응하여, 2201 화면에서와 같이, 지도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지정된 압력 입력이 발생하면, 압력 입력에 매핑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압력 입력 발생에 따라, 지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 특정 가게(예: 커피숍)을 검색할 수 있다. 압력 입력에 따라 실행된 기능의 종류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검색창을 제공하고, 검색창에 검색어를 입력한 후, 압력 입력이 발생하면, 검색어와 관련한 검색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프로세서(120)는 압력 입력이 발생한 지점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 검색어와 관련한 정보를 검색하고 표시할 수 있다. 2201 화면에서는, 압력 입력이 발생한 지점을 기준으로 커피숍을 검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2201 화면에서와 같이, 하나의 커피숍이 검색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검색된 결과에 대응하여 제1 피드백(2211)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2203 화면에서와 같이 압력 입력이 발생한 지점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 복수의 커피숍이 검색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커피숍에 대응하는 제2 피드백(2213)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피드백(2213)은 제1 피드백(221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무거움 느낌 또는 강한 느낌을 주는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2205 화면에서와 같이 압력 입력이 발생한 지점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 2203 화면보다 많은 수의 커피숍이 검색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대적으로 보다 많은 수의 커피숍에 대응하는 제3 피드백(2215)을 출력할 수 있다. 제3 피드백(2215)은 제2 피드백(221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무거움 느낌 또는 강한 느낌을 주는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압력 입력의 압력 크기 변경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검색하는 검색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2201 화면에서 제1 크기의 압력 입력이 발생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제1 크기 영역에 대해 검색어와 관련한 지형지물을 검색하고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크기의 압력 입력이 발생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2203 화면에서와 같이 상대적으로 넓은 지역에 대해 검색어와 관련한 지형지물을 검색하고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현재 폐이지에서 검색되는 객체의 수에 기반하여 피드백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에서 약국을 검색하는 경우 지정된 거리에 검색되는 약국의 개수에 기반하여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검색결과의 정확도에 따라서 다른 햅틱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검색 결과의 정확도가 지정된 정도 이하인 경우, 상대적으로 가벼운 느낌의 햅틱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검색 결과의 정확도가 지정된 정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무거운 느낌의 햅틱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객체가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상기 객체와 관련한 압력 입력이 발생하면, 압력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객체와 관련한 검색을 수행하고 검색 결과가 지정된 제1 조건(예: 검색 결과의 수가 지정된 제1 개수 미만)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주파수 또는 제1 진폭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고, 상기 검색 결과가 지정된 제2 조건(예: 검색 결과의 수가 지정된 제1 개수 이상)인 경우, 제2 주파수(예: 제1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 또는 제2 진폭(제1 진폭보다 큰 진폭)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압력 레벨에 따라 검색 범위를 다르게 조정(예: 압력 레벨이 클수록 검색 범위를 더 넓게 또는 더 다양하게 처리)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택된 객체의 수에 따른 피드백 출력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60)는 2301 화면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객체들(예: 이미지 객체들 또는 동영상 파일을 포함하는 객체들)을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압력 입력(2310)에 대응하여 제1 개수(예: 4개)의 객체들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1 압력 입력(2310)은 예컨대, 제1 개수의 객체들을 선택하는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유지하는 드래그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동작에 대응하여, 프로세서(120)는 제1 피드백(2311)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제2 압력 입력(2320)에 대응하여 제2 개수(예: 6개)의 객체들을 선택할 수 있다. 제2 압력 입력(2320)은 제1 압력 입력(23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압력을 유지하면서, 제2 개수의 객체들을 선택하기 위한 드래그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동작에 대응하여, 프로세서(120)는 제2 피드백(2313)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피드백(2313)은 예컨대, 제1 피드백(2311)과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의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추가로 선택되는 객체들의 데이터 양이 동일한 경우 선택된 객체들에 대응하여 동일한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제3 압력 입력(2350)에 대응하여 제3 개수(예: 8개)의 객체들을 선택할 수 있다. 제3 압력 입력(2350)은 제1 압력 입력(2310) 또는 제2 압력 입력(233)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압력을 유지하면서, 제3 개수의 객체들을 선택하기 위한 드래그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선택된 객체들의 종류에 대응하여 제3 피드백(2315)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제3 개수의 객체들 중, 이전에 선택된 객체들과 종류가 다르거나 데이터 량이 급격히 증가한 객체 선택(예: 동영상 파일 선택)이 발생하면, 이전 피드백과는 다른 제3 피드백(2315)을 출력할 수 잇다. 제3 피드백(2315)은 예컨대, 제1 피드백(2311) 또는 제2 피드백(231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거나 강한 진동을 가진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선택된 객체의 데이터 사이즈(예: 선택된 동영상의 사이즈)에 따라 피드백의 강도를 다르게(예: 더 크게)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드레그 등과 같은 입력 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객체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 상대적으로 무거운 물건을 끄는 것과 같은 표시 효과(예: 무거운 물건이 끌려가는 UI)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드레그에 의해 선택되는 객체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 상대적으로 가벼운 물건을 끄는 것과 같은 표시 효과(예: 무거운 물건이 끌려가는 UI)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입력 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객체의 양이 증가하거나 감소할수록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중에 표시되는 상기 표시 효과를 변경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택된 객체와 관련한 추가 기능에 따른 피드백 출력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60)는 2401 화면에서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기능 항목들 중 삭제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삭제를 위해 선택된 객체들의 종류나 양 또는 객체의 크기에 따라 다른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하나의 객체 선택 후 삭제를 위한 제1 압력 입력(2410)이 발생하면, 2401 상태에서와 같이 제1 크기 또는 제1 강도의 제1 피드백(2411)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객체 선택 후, 삭제를 위한 제1 압력 입력(241)이 발생하면, 2403 상태에서와 같이, 제2 크기 또는 제2 강도의 제2 피드백(2413)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선택된 객체의 데이터 크기가 제1 크기 미만인 경우, 제1 피드백(2411)을 출력하고, 제1 크기 이상인 경우, 제2 피드백(2413)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피드백 출력 이후, 프로세서(120)는 삭제 확인을 위한 팝업창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갤러리에서 복수개의 사진 또는 동영상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되는 사진 또는 동영상의 누적 사이즈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피드백을 제공 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압력 입력에 의해 선택되는 컨텐츠의 사용빈도, 포함된 객체의 수, 촬영 일자 등의 객체 속성에 기반하여 제공되는 피드백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위의 다양한 예시들은 객체를 선택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선택을 위한 드래그 등의 압력 입력 이후의 이동 시에도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주얼 기반의 피드백 출력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객체 선택 후 드래그 등에 의해 객체가 이동되는 경우, 객체의 속성에 따라 끌려오는 효과를 다르게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응하여, 2501 화면에서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제1 지점(2511)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1 객체(2510)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16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객체(2510)는 예컨대, 제1 크기의 객체이거나 제1 데이터 량을 가지는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 수단(예: 2500)에 의해 제1 객체(2510)를 선택하는 압력 입력이 발생한 후,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이동을 위한 드래그 동작에 따라, 제1 객체(2510)는 제2 지점(2513)으로 이동 표시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손가락(2500) 이동 속도와 유사한 속도로 제1 객체(2510)를 이동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2501 화면에서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제3 지점(2531)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2530)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16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3 객체(2530)는 예컨대, 제2 크기(예: 제1 크기보다 큰 크기)의 객체이거나 제2 데이터 량(예: 상기 제1 데이터 량보다 큰 데이터 량)을 가지는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 수단(예: 2500)에 의해 제2 객체(2530)를 선택하는 압력 입력이 발생한 후,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이동을 위한 드래그 동작에 따라, 제2 객체(2530)는 제4 지점(2533)으로 이동 표시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손가락(2500) 이동 속도와 다르게(예: 이동 속도보다 느리게) 제2 객체(2530)를 이동표시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손가락(2500) 이동 거리와 다르게 제2 객체(2530)를 이동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객체의 사이즈가 큰 경우 잔상이 많이 남으며 천천히 끌려오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프로세서(120)는 무거움을 느끼는 피드백을 같이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압력 입력 이후 Drag 동작 시, UI(User Interface)를 표시해주는 방법에 있어서, 객체의 실제 크기 등에 따른 무게 표시에 기반하여 차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어를 압력 입력 이후 drag 시 드래그되는 지점에 단어를 바로 붙여서 이동 표시할 수 있고, 문장(단어보다 데이터 양이 큰 객체)을 drag 시 드래그되는 지점으로부터 약간 떨어져서 이동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2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압력 레벨에 따른 기기 검색 또는 연결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6b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압력 레벨에 따른 기기 검색 또는 연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a 또는 도 2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 장치(100)는 주변에 다양한 기기들(2601, 2602, 2603, 2604, 2605, 2606, 2607, 2608, 2609, 261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 장치(100)는 압력 입력에 기반한 기기의 연결 및 피드백을 처리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압력 입력의 세기에 기반하여 기기의 선택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검색되는 기기의 수, 소유자 등 다양한 속성에 기반하여 이전 실시 예들에서 설명한 무게감을 느끼게 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검색된 기기의 수, 소유자, 연결의 적합도 등이 맞는 기기가 있거나 많은 경우 상대적으로 더 큰 무게감을 느낄 수 있는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압력 입력에 따른, 연결기기의 범위는 압력의 강도에 따라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이 때 검색되는 기기의 수가 많거나, 연결 가능한 기기가 많은 경우 전자 장치(100)는 상대적으로 더 큰 강도의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6a에서와 같이, 1단계 압력 입력이 감지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범위(2600a)(예: 5M)의 주변 기기(2603, 2606, 2608, 2609) 검색 또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6b에서와 같이, 2단계의 압력 입력이 감지되면, 전자 장치(100)는 제2 범위(2600b)(예: 10M)의 주변 기기(2601, 2602, 2603, 2604, 2605, 2606, 2607, 2608, 2609) 검색 또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1단계 압력 입력 발생 시, 전자 장치(100)가 위치한 방(또는 거실)의 주변 기기를 검색하고, 2단계 압력 입력 발생 시, 전자 장치(100)가 위치한 방을 포함한 집 전체에 배치된 주변 기기를 검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직접 연결과 간접 연결 가능한 기기 구분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1단계 압력 입력 발생 시 무선 통신이 가능한 영역을 중심으로 직접 연결 가능한 범위(예: 집)로 정해질 수 있으며, 2단계 압력 입력 발생시, 서버를 거쳐서 통신 가능한 범위(예: 연결 가능한 통신망 범주)로 정해질 수 있다. 이 경우 검색 대상에는 서버도 포함될 수 있다.
관계 중심의 연결 범위 확장의 경우 기기를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에 따른 범위가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단계 압력 입력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는 본인이 소유하고 있는 기기들(계정 기반 또는 현재 주변에 내 메인 기기와 연결되어 있는 기기 등)이 검색 또는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단계 압력 입력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는 본인 외에 친밀도가 높거나(폰북 등을 기반으로 통화 연결 횟수 등으로 판단) 동일 종류이면서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기기를 검색 또는 연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도 26a 및 도 26b에 나타낸 연결 장치의 연결 가능 범위에 대한 UI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도 26a에서와 같이 제1 단계 압력 입력 발생에 대응하여 제1 범위에 해당하는 제1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검색된 주변 기기들을 상기 제1 가상 이미지 상에 지정된 위치(또는 랜덤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도 26b에서와 같이 제2 단계 압력 입력 발생에 대응하여 제2 범위(예: 제1 범위보다 큰 제2 범위)에 해당하는 제2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검색된 주변 기기들을 상기 제2 가상 이미지 상에 지정된 위치(또는 랜덤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주변 기기 연결과 관련한 객체가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상기 객체와 관련한 압력 입력이 발생하면, 압력 입력의 압력 레벨에 따라 주변 스캔 범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기 압력 레벨이 지정된 제1 크기 미만인 경우, 제1 범위을 스캔하고, 상기 압력 레벨이 지정된 제1 크기 이상인 경우 제2 범위(예: 상기 제1 범위보다 큰 범위)를 스캔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연결된 기기 또는 VR(Virtual Reality) 환경에서의 피드백 처리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피드백 제공 동작에 있어서 연결된 기기가 있는 경우 연결된 기기의 종류 등에 기반하여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VR 장치(또는 헤드마운트 장치)를 통해 보면서, 전자 장치(100)에 표시된 객체를 압력 입력으로 선택하는 경우, 압력 입력에 대응하는 피드백은 전자 장치(100) 및 VR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웨어러블 기기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해당 기기의 속성에 기반하여 무게감을 느낄 수 있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T 헤드셋의 경우, 무게감을 부가할 수 있는 소리를 함께 제공할 수 있고, 팔지형 액세서리의 경우 무게감을 느낄 수 있는 전기적 자극을 제공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햅틱 피드백의 무게감, 질감, 또는 촉감 설정과 관련하여, 전자 장치(100)는 지정된 주파수 제어에 따라, 햅틱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의 피부는 피부 조직을 통해 자극에 반응하며 제공하는 자극을 조정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촉각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르켈 디스크, 마이스너 소체, 파치니언 소체, 루피니 말단, 신경 말단 들을 통해 자극을 인지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체의 메르켈 디스크(Merkel’s Disk)의 경우 피부가까이에 분포하며 크기가 작고 밀도가 높으며 손끝에 특히 많이 분포하며, 0.4~3Hz의 피부 자극에 반응하고 0.4~1Hz에 민감하다. 주로 표면의 미세한 압력분포에 반응하며 무늬나 모양을 지각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스너 소체(Meissner Corpuscle)는 피부 가까이 분포하고 크기가 작고 밀도가 매우 높다. 3~100Hz의 자극에 반응하고 25~40Hz에서 민감하며, 표면 위의 돌출된 부분이나 미세한 모양의 가장자리를 지날 때 반응하며 표면의 무늬 지각 보조적 연관이 있다. 예를 들어, 파치니언 소체(Pacinian Corpuscle) 양파와 같은 모양으로 크기가 크고 진피의 하단부에 낮은 밀도로 분포하며, 35~500Hz 범위의 자극에 반응하고 250~300Hz에 민감하고, 진동을 지각하는 것과 연관이 있다. 특히 역치(threshold)가 기계적 수용기 중에서 가장 낮기 때문에, 사람이 250Hz 진동에서 가장 민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루피니 말단(Ruffini’s Ending)은 진피의 하단부에 낮은 밀도로 분포하며, 0.5~400Hz의 자극에 반응한다. 표면을 문지르는 등 피부가 늘어나는 현상(skin stretch)이 발생할 경우 전기 신호를 발생하고, 주로 지속적인 압력이 유지되는 상황, 즉 마찰이 큰 표면이나 작은 입자 등에 의한 피부의 당김을 지각하는 과정과 연관이 있다. 예를 들어, 신경 말단은 통증과 냉온감의 경우는 수용기가 소체로 존재하지 않고 온도가 낮아질 경우는 CMR1을 통해, 온도가 높아질 경우에는 VR1을 통해, 온도가 매우 높을 경우는 반응이 빠른 VRL1을 통한 채널로서 사람은 절대 온도 값에 반응을 하기 보다는 온도의 변화에 반응을 하는 특성을 가진다. 상기 전자 장치는 메르켈 디스크, 마이스너 소체, 파치니언 소체, 루피니 말단, 신경 말단 등을 자극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진동을 운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자극(예: 무게감, 질감, 촉감)을 느낄 수 있도록 햅틱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압력 입력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촉각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관성형 액추에이터, 압전 액추에이터, 전기활성 폴리머 액추에이터, 정전기력 액추에이터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관성형 액추에이터는 크기가 작고, 전력 소모량이 비교적 작아 휴대폰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진동 모터 방식으로 편심 모터와 선형 공진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편심모터의 동작 전압은 130~160mA, 동작 주파수는 90~200Hz일 수 있다. 선형 공진 액추에이터는 일반적으로 150~200Hz 사이의 공진 주파수로 진동하며, 소비전류는 65~70mA일 수 있다. 압전 액추에이터는 자석이나 코일이 없이 동작하는 액추에이터로서 응답속도가 빠르고 동작 주파수는 150~300Hz로 광범위하며 빔 형이나 디스크형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활성 폴리머 액추에이터는 전기활성 폴리머를 이용한 액추에이터로서 화학적 결합구조가 달라지면서 그 크기나 모양이 순간적으로 변하는 특성이 있다. 구동 주파수는 50~200Hz로 광범위하나 90~125Hz 부근의 공진 주파수를 주로 사용한다. 정전기력 액추에이터는 토치하는 표면이 직접 진동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정전기력 액추에이터는 필름 전체가 진동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국소적인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기는 어려우나 매우 사실적인 버튼 클릭감을 구현할 수 있다. 정전기력 액추에이터는 필름 면적이 클수록 보다 강한 크기의 촉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햅틱 피드백 제공 동작은 위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출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정적인 압력은 피부 천부의 Merkel 세포가 담당하고, 30hz 부근을 중심으로 하는 저주파 영역은 피부 천부의 Meissner 소체가, 200Mhz 부근을 중심으로 하는 고주파 영역은 피부 심부의 Pacini 소체가 담당한다. 수용기를 종류별로 자극하는 경우 그 자극을 조합함으로써 모든 촉각을 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주파 대역으로 구동하는 경우 고주파 구동 대역보다 무거운 느낌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140Hz 대역으로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는 200hz 대역으로 동작하는 것보다 무거운 느낌(빨려들어가는 느낌)을 느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200hz -> 100hz로 변경하는 것이 200hz -> 150hz로 변경하여 동작하는 것보다 무거운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지정된 시간 이상 구동해야 하며 예를 들어 100ms 이상 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진동 피드백과 함께 sound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는 좀 더 무거운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위의 구성 요소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피드백은 사용자가 압력 입력을 하는 경우, 전압 또는 정전력 등을 이용하여 손가락이 촉감을 갖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 사이즈가 큰 이미지를 선택하는 경우, 마찰 계수를 조정하거나, 마찰 저항을 조정하여 무게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이미지 등을 선택할 때 텍스트를 선택할 때보다 자극이 강한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플랙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밀고 당기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상/하로 이동하여 pull/push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Ultrasonic surface friction(USF)를 이용한 햅틱 제공 시 20KHz 또는 이상의 ultrasound range의 경우 마찰력이 감소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앞에서 설명한 동작 및 기능은 단말의 운영 체계(OS)에서 3rd party application을 위해 API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에서 설명한 갤러리의 압력 입력 처리 동작을 3rd party application에 제공하기 위해서, 전자 장치의 OS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정의하여 제공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면 및 제1 방향과 대향된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제1 면과 제2 면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면을 통하여 노출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제1 면과 제2 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외부 물체의 의한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고 피드백을 생성하는 액추에이터,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압력 센서, 상기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액추에이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기능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며, 상기 명령어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압력 센서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압력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압력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선택된 주파수에 대응하는 피드백을 생성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검출된 압력이 제1 범위 내인 경우, 선택된 주파수는 제1 주파수이고, 상기 검출된 압력이 상기 제1 범위 보다 큰 제2 범위인 경우 선택된 주파수는 상기 제1 주파수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피드백은 적어도 하나의 진동, 램프 발광, 오디오,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한 지정된 화면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면 및 제1 방향과 대향된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을 통하여 노출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외부 물체의 의한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회로,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고 피드백을 생성하는 액추에이터,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압력 센서, 상기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액추에이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기능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며, 상기 명령어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압력 센서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압력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압력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다양한 주파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주파수에 대응하는 피드백을 생성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검출된 압력이 제1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선택된 주파수는 1 주파수에서 제2 주파수로 변환되고, 상기 검출된 압력이 상기 제1 범위보다 큰 제2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선택된 주파수는 제3 주파수에서 제4 주파수로 변경되고, 상기 제3 주파수와 상기 제4 주파수 차이는 상기 제1 주파수와 상기 제2 주파수 차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주파수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3 주파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주파수와 제2 주파수 차이는 100Hz ~ 200Hz 사이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주파수와 제4 주파수 차이는 150Hz ~ 200Hz 사이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면 및 제1 방향과 대향된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을 통하여 노출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외부 물체의 의한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회로,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고 피드백을 생성하는 액추에이터,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압력 센서, 상기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액추에이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기능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며, 상기 명령어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제1 객체 또는 제2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제1 객체 및 제2 객체들은 서로 다른 특성(characteristic)을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제1 객체 또는 제2 객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압력 센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안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압력을 검출하고, 상기 선택된 객체의 특성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한 선택된 주파수에 대응하는 피드백을 생성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선택된 객체가 상기 제1 객체이면, 상기 선택된 주파수가 제1 주파수이고, 상기 선택된 객체가 제2 객체이면, 상기 선택된 주파수는 상기 제1 제1 주파수에 비하여 낮은 제2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특성은 상기 객체의 크기, 종류, 속성(property), 색,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 영역의 크기, 내용, 객체의 개수, 객체에 대응하는 데이터 양, 객체 생성 일자, 객체의 유효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면 및 제1 방향과 대향된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을 통하여 노출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외부 물체의 의한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회로,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고 피드백을 생성하는 액추에이터,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압력 센서, 상기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액추에이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기능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며, 상기 명령어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제1 객체 또는 제2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제1 객체 및 제2 객체들은 서로 다른 특성(characteristic)을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제1 객체 또는 제2 객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압력 센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안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압력을 검출하고, 상기 선택된 객체의 특성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한 다양한 주파수 중 선택된 주파수에 대응하는 피드백을 생성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선택된 객체가 상기 제1 객체이면, 상기 선택된 주파수를 제1 주파수에서 제2 주파수로 변경된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객체가 제2 객체이면, 상기 선택된 주파수는 상기 제3 주파수에서 제4 주파수로 변경된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주파수와 제4 주파수 차이는 상기 제1 주파수와 상기 제2 주파수 차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운용 환경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서의, 네트워크 환경(2700) 내의 전자 장치(2701)가 기재된다. 전자 장치(2701)(예: 상기 전자 장치(100))는 버스(2710), 프로세서(2720), 메모리(2730), 입출력 인터페이스(2750), 디스플레이(2760), 및 통신 인터페이스(277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27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2710)는 구성요소들(2720-277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20)(예: 상기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는,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2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27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273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73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27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2730)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2740)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2740)은, 예를 들면, 커널(2741), 미들웨어(2743),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2745),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27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2741), 미들웨어(2743), 또는 API(2745)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커널(2741)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2743), API(27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747))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2710), 프로세서(2720), 또는 메모리(27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2741)은 미들웨어(2743), API(27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747)에서 전자 장치(27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2743)는, 예를 들면, API(27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747)이 커널(274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27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747)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들웨어(27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747) 중 적어도 하나에 전자 장치(2701)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2710), 프로세서(2720), 또는 메모리(27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처리할 수 있다. API(2745)는 어플리케이션(2747)이 커널(2741) 또는 미들웨어(2743)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영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75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2701)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2701)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7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76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및/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76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77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2701)와 외부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702), 제2 외부 전자 장치(2704), 또는 서버(2706))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277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2762)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예: 제2 외부 전자 장치(2704) 또는 서버(2706))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디오 프리퀀시(RF),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GNSS를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일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는, “GPS”는 “GNSS”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2762)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텔레폰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2701)는 근거리 통신(2764)를 기반으로 제1 전자 장치(2702)와 통신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2702, 2704) 각각은 전자 장치(27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7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702,2704), 또는 서버(2706)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7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27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장치(예: 전자 장치(2702, 2704), 또는 서버(2706))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702, 2704), 또는 서버(2706))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27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27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2801)는, 예를 들면, 도 27에 도시된 전자 장치(27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801)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 AP)(2810), 통신 모듈(2820), 가입자 식별 모듈(2829), 메모리(2830), 센서 모듈(2840), 입력 장치(2850), 디스플레이(2860), 인터페이스(2870), 오디오 모듈(2880), 카메라 모듈(2891), 전력 관리 모듈(2895), 배터리(2896), 인디케이터(2897), 및 모터(2898) 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81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28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81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8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810)는 도 2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28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810) 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통신 모듈(2820)(예: 통신 인터페이스(277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통신 모듈(2820)은,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2821), WiFi 모듈(2822), 블루투스 모듈(2823), GNSS 모듈(2824), NFC 모듈(2825), MST 모듈(2826) 및 RF 모듈(2827)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2821)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821)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2829)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2801)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821)은 프로세서(2810)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8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821), WiFi 모듈(2822), 블루투스 모듈(2823), GNSS 모듈(2824) 또는 NFC 모듈(2825), MST 모듈(2826)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2827)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2827)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821), WiFi 모듈(2822), 블루투스 모듈(2823), GNSS 모듈(2824) 또는 NFC 모듈(2825), MST 모듈(2826)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2829)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 또는 임베디드 S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830)(예: 메모리(273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2832) 또는 외장 메모리(283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28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또는 SD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2834)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 Mini-SD,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28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2801)와 기능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모듈(2840)은,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28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28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2840A), 자이로 센서(2840B), 기압 센서(2840C), 마그네틱 센서(2840D), 가속도 센서(2840E), 그립 센서(2840F), 근접 센서(2840G), 컬러(color) 센서(28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2840I), 온/습도 센서(2840J), 조도 센서(28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28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센서 모듈(2840)은, 예를 들면, 후각(e-nose) 센서, 일렉트로마이오그라피(EMG) 센서, 일렉트로엔씨팔로그램(EEG) 센서, 일렉트로카디오그램(ECG) 센서,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28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2801)는 프로세서(2810)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로, 센서 모듈(28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프로세서(2810)가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 모듈(2840)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장치(2850)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2852), (디지털) 펜 센서(2854), 키(2856), 또는 초음파 입력 장치(2858)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28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2852)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285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2854)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를 포함할 수 있다. 키(2856)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 장치(2858)는 마이크(예: 마이크(2888))를 통해, 입력 도구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초음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860)(예: 디스플레이(2760))는 패널(2862), 홀로그램 장치(2864), 프로젝터(2866), 및/또는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28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 투명하게, 또는 착용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패널(2862)은 터치 패널(2852)과 하나 이상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패널(2862)은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또는 포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는 터치 패널(2852)과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터치 패널(2852)과는 별도의 하나 이상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홀로그램 장치(2864)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2866)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28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870)는, 예를 들면, HDMI(2872), USB(28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2876), 또는 D-sub(D-subminiature)(2878)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870)는, 예를 들면, 도 27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2770)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인터페이스(2870)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80)은, 예를 들면,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80)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도 27 에 도시된 입출력 인터페이스(2745)에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80)은, 예를 들면, 스피커(2882), 리시버(2884), 이어폰(2886), 또는 마이크(28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891)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 또는 플래시(예: LED 또는 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2895)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2801)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2895)은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유선 및/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배터리(28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2896)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 및/또는 태양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2897)는 전자 장치(2801) 또는 그 일부(예: 프로세서(28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터(28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진동, 또는 햅틱 효과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2801)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mediaFloTM)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바일 TV 지원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 모듈(2910)(예: 프로그램(2740))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701))에 관련된 자원을 제어하는 운영 체제 및/또는 운영 체제 상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747))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체제는, 예를 들면, AndroidTM, iOSTM, WindowsTM, SymbianTM, TizenTM, 또는 BadaTM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프로그램 모듈(2910)은 커널(2920)(예: 커널(2741)), 미들웨어(2930)(예: 미들웨어(2743)), (API(2960)(예: API(2745)), 및/또는 어플리케이션(297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747))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2910)의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 상에 프리로드 되거나,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702, 2704), 서버(2706) 등)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하다.
커널(2920)은, 예를 들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2921) 및/또는 디바이스 드라이버(2923)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2921)는 시스템 리소스의 제어, 할당, 또는 회수를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2921)는 프로세스 관리부, 메모리 관리부, 또는 파일 시스템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2923)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카메라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공유 메모리 드라이버, USB 드라이버, 키패드 드라이버, WiFi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또는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2930)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2970)이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어플리케이션(2970)이 전자 장치 내부의 제한된 시스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API(2960)를 통해 다양한 기능들을 어플리케이션(2970)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2930) 는 런타임 라이브러리(2935), 어플리케이션 매니저(2941), 윈도우 매니저(2942), 멀티미디어 매니저(2943), 리소스 매니저(2944), 파워 매니저(2945), 데이터베이스 매니저(2946), 패키지 매니저(2947), 커넥티비티 매니저(2948), 노티피케이션 매니저(2949), 로케이션 매니저(2950), 그래픽 매니저(2951), 또는 시큐리티 매니저(2952), 결제 매니저(29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2935)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2970)이 실행되는 동안에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컴파일러가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2935)는 입출력 관리, 메모리 관리, 또는 산술 함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매니저(294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2970)의 생명 주기를 관리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2942)는 화면에서 사용되는 GUI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매니저(2943)는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필요한 포맷을 파악하고, 해당 포맷에 맞는 코덱을 이용하여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 또는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2944)는 어플리케이션(2970)의 소스 코드 또는 메모리의 공간을 관리할 수 있다. 파워 매니저(2945)는, 예를 들면, 배터리의 용량 또는 전원을 관리하고, 전자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파워 매니저(2945)는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와 연동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매니저(2946)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2970)에서 사용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할 수 있다. 패키지 매니저(2947)는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갱신을 관리할 수 있다.
커넥티비티 매니저(2948)는, 예를 들면, 무선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노티피케이션 매니저(2949)는, 예를 들면, 도착 메시지, 약속, 근접성 알림 등의 이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로케이션 매니저(295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그래픽 매니저(2951)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제공될 그래픽 효과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보안 매니저(2952)는, 예를 들면,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2930)는 전자 장치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관리하기 위한 통화(telephony) 매니저 또는 전술된 구성요소들의 기능들의 조합을 형성할 수 있는 하는 미들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2930)는 운영 체제의 종류 별로 특화된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2930)는 동적으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일부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API(2960)는, 예를 들면, API 프로그래밍 함수들의 집합으로, 운영 체제에 따라 다른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드로이드 또는 iOS의 경우, 플랫폼 별로 하나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으며, 타이젠의 경우, 플랫폼 별로 두 개 이상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2970)은, 예를 들면, 홈(2971), 다이얼러(2972), SMS/MMS(2973), IM(instant message)(2974), 브라우저(2975), 카메라(2976), 알람(2977), 컨택트(2978), 음성 다이얼(2979), 이메일(2980), 달력(2981), 미디어 플레이어(2982), 앨범(2983), 와치(2984), 결제(2985), 헬스 케어(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 또는 환경 정보(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2970)은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정보 교환을 지원할 수 있는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에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된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달하거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기능(예: 외부 전자 장치 자체(또는, 일부 구성 부품)의 턴-온/턴-오프 또는 디스플레이의 밝기(또는, 해상도) 조절), 또는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삭제, 또는 갱신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2970)은 외부 전자 장치의 속성에 따라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예: 모바일 의료 기기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2970)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2910)의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예: 프로세서(2710) 또는 (140)),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예: 실행)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 또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40) 또는 (23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2330)가 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 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면 및 제1 방향과 대향된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제1 면과 제2 면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면을 통하여 노출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제1 면과 제2 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외부 물체의 의한 압력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고 피드백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압력 센서, 상기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액추에이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기능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며,
    상기 명령어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압력 센서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압력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압력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선택된 주파수에 대응하는 피드백을 생성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검출된 압력이 제1 범위 내인 경우, 선택된 주파수는 제1 주파수이고, 상기 검출된 압력이 상기 제1 범위 보다 큰 제2 범위인 경우, 선택된 주파수는 상기 제1 주파수보다 낮은 제 2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은 적어도 하나의 진동, 램프 발광, 오디오,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한 지정된 화면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면 및 제1 방향과 대향된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을 통하여 노출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외부 물체의 의한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고 피드백을 생성하는 액추에이터;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압력 센서, 상기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액추에이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기능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며,
    상기 명령어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압력 센서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압력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압력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다양한 주파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주파수에 대응하는 피드백을 생성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검출된 압력이 제1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선택된 주파수는 1 주파수에서 제2 주파수로 변환되고, 상기 검출된 압력이 상기 제1 범위보다 큰 제2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선택된 주파수는 제3 주파수에서 제4 주파수로 변경되고,
    상기 제3 주파수와 상기 제4 주파수 차이는 상기 제1 주파수와 상기 제2 주파수 차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3 주파수와 동일 또는 유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와 제2 주파수 차이는 100Hz ~ 200Hz 사이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주파수와 제4 주파수 차이는 150Hz ~ 200Hz 사이의 범위 내에 포함되데, 상기 제1 주파수와 제2 주파수 차이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면 및 제1 방향과 대향된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을 통하여 노출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외부 물체의 의한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고 피드백을 생성하는 액추에이터;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압력 센서, 상기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액추에이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기능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며,
    상기 명령어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제1 객체 또는 제2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제1 객체 및 제2 객체들은 서로 다른 특성(characteristic)을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제1 객체 또는 제2 객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압력 센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안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압력을 검출하고,
    상기 선택된 객체의 특성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한 선택된 주파수에 대응하는 피드백을 생성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선택된 객체가 상기 제1 객체이면, 상기 선택된 주파수가 제1 주파수이고, 상기 선택된 객체가 제2 객체이면, 상기 선택된 주파수는 상기 제1 제1 주파수에 비하여 낮은 제2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은 상기 객체의 크기, 종류, 속성(property), 색,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 영역의 크기, 내용, 객체의 개수, 객체에 대응하는 데이터 양, 객체 생성 일자, 객체의 유효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면 및 제1 방향과 대향된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을 통하여 노출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외부 물체의 의한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고 피드백을 생성하는 액추에이터;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압력 센서, 상기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액추에이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기능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며,
    상기 명령어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제1 객체 또는 제2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제1 객체 및 제2 객체들은 서로 다른 특성(characteristic)을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제1 객체 또는 제2 객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압력 센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안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압력을 검출하고,
    상기 선택된 객체의 특성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한 다양한 주파수 중 선택된 주파수에 대응하는 피드백을 생성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선택된 객체가 상기 제1 객체이면, 상기 선택된 주파수를 제1 주파수에서 제2 주파수로 변경된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객체가 제2 객체이면, 상기 선택된 주파수는 상기 제3 주파수에서 제4 주파수로 변경된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주파수와 제4 주파수 차이는 상기 제1 주파수와 상기 제2 주파수 차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3 주파수와 동일 또는 유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와 제2 주파수 차이는 100Hz ~ 200Hz 사이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주파수와 제4 주파수 차이는 150Hz ~ 200Hz 사이의 범위 내에 포함되데, 상기 제1 주파수와 제2 주파수 차이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면 및 제1 방향과 대향된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을 통하여 노출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외부 물체의 의한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고 진동에 의한 피드백을 생성하는 액추에이터;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압력 센서, 상기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액추에이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상기 객체 선택과 관련한 지정된 크기 이상의 압력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압력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객체와 연관된 정보의 차이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는
    상기 객체와 연관된 정보가 지정된 제1 데이터 양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주파수 또는 제1 진폭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고,
    상기 객체와 연관된 정보가 상기 제1 데이터 양보다 큰 제2 데이터 양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주파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제2 주파수 또는 상기 제1 진폭보다 큰 제2 진폭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는
    상기 객체와 연관된 정보가 지시하는 유효 기간이 지정된 기간 이내인 경우 제1 주파수 또는 제1 진폭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고,
    상기 객체와 연관된 정보가 지시하는 유효 기간이 지정된 유효 기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제1 주파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제2 주파수 또는 상기 제1 진폭보다 큰 제2 진폭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는
    상기 객체와 연관된 정보가 지정된 개수 미만의 하위 객체들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주파수 또는 제1 진폭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고,
    상기 객체와 연관된 정보가 지정된 개수 이상의 하위 객체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주파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제2 주파수 또는 상기 제1 진폭보다 큰 제2 진폭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는
    상기 객체와 연관된 정보가 지정된 개수 이상의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주파수 또는 제1 진폭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고,
    상기 객체와 연관된 정보가 지정된 개수 미만의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주파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제2 주파수 또는 상기 제1 진폭보다 큰 제2 진폭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는
    상기 압력 입력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객체 선택 영역의 크기가 지정된 제1 크기 미만인 경우 제1 주파수 또는 제1 진폭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고,
    상기 압력 입력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객체 선택 영역의 크기가 지정된 제1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주파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제2 주파수 또는 상기 제1 진폭보다 큰 제2 진폭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는
    상기 객체와 연관된 정보가 지시하는 소요 시간이 지정된 제1 시간 미만인 경우 제1 주파수 또는 제1 진폭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고,
    상기 객체와 연관된 정보가 지시하는 소요 시간이 지정된 제1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주파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제2 주파수 또는 상기 제1 진폭보다 큰 제2 진폭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0.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동작;
    상기 객체를 선택하는 지정된 크기 이상의 압력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압력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객체와 연관된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객체와 연관된 정보가 지정된 제1 기준 미만인 경우, 제1 주파수 또는 제1 진폭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고,
    상기 객체와 연관된 정보가 지정된 제1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주파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제2 주파수 또는 상기 제1 진폭보다 큰 제2 진폭의 진동 피드백을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피드백 제공 방법.
KR1020160136550A 2016-10-20 2016-10-20 피드백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800436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550A KR20180043617A (ko) 2016-10-20 2016-10-20 피드백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5/789,265 US10394328B2 (en) 2016-10-20 2017-10-20 Feedback provid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550A KR20180043617A (ko) 2016-10-20 2016-10-20 피드백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617A true KR20180043617A (ko) 2018-04-30

Family

ID=61969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6550A KR20180043617A (ko) 2016-10-20 2016-10-20 피드백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394328B2 (ko)
KR (1) KR201800436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6285A1 (ko) * 2019-06-19 2020-12-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피드백의 속성을 조정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740727B1 (en) 2011-08-05 2023-08-29 P4Tents1 Ll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2771B2 (en) 2014-11-12 2020-08-04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Fingerprint sensors having in-pixel optical sensors
US10410037B2 (en) 2015-06-18 2019-09-10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Under-screen optical sensor module for on-screen fingerprint sensing implementing imaging lens, extra illumination or optical collimator array
KR101928319B1 (ko) 2015-06-18 2018-12-12 선전 구딕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광 감지 능력을 가지는 다기능 지문 센서
US10437974B2 (en) 2015-06-18 2019-10-08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Optical sensing performance of under-screen optical sensor module for on-screen fingerprint sensing
US10410033B2 (en) 2015-06-18 2019-09-10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Under-LCD screen optical sensor module for on-screen fingerprint sensing
CN107004130B (zh) 2015-06-18 2020-08-28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屏幕上指纹感应的屏幕下光学传感器模块
KR102535793B1 (ko) * 2016-06-15 202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JP7032048B2 (ja) * 2017-02-03 2022-03-08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制御装置、入力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US10614283B2 (en) 2017-03-07 2020-04-07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Devices with peripheral task bar display zone and under-LCD screen optical sensor module for on-screen fingerprint sensing
JP2018194924A (ja) * 2017-05-12 2018-12-0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US10331939B2 (en) * 2017-07-06 2019-06-25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Multi-layer optical designs of under-screen optical sensor module having spaced optical collimator array and optical sensor array for on-screen fingerprint sensing
US10416772B2 (en) 2017-09-06 2019-09-17 Apple Inc. Electrical haptic output array
US10585482B2 (en) * 2017-09-27 2020-03-1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a hybrid conductive coating for electrostatic haptics
US10775890B2 (en) 2017-09-27 2020-09-15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a piezoelectric body for friction haptics
US10248211B1 (en) 2017-09-28 2019-04-02 Apple Inc. Ground-shifted touch input sensor for capacitively driving an electrostatic plate
JP7331697B2 (ja) * 2017-10-30 2023-08-23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振動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388786A (zh) * 2018-02-13 2018-08-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指纹解锁方法及装置
US20190317655A1 (en) * 2018-04-12 2019-10-17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ssisting user interactions with displays
US20190317654A1 (en) * 2018-04-12 2019-10-17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ssisting user interactions with displays
KR102639079B1 (ko) * 2018-08-22 2024-0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조작 제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003274B2 (en) 2018-09-13 2021-05-11 Sense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otive variable impedance touch sensor array
US10871848B2 (en) * 2018-09-13 2020-12-22 Sense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ariable impedence touch sensor array gesture recognition
US10990223B2 (en) 2018-09-13 2021-04-27 Sense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ariable impedence touch sensor array force aware interaction in large surface devices
US10891050B2 (en) 2018-09-13 2021-01-12 Sense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ariable impedance touch sensor arrays in non-planar controls
JP7187267B2 (ja) * 2018-10-31 202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WO2020139815A1 (en) 2018-12-26 2020-07-02 Sense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ariable impedance touch sensor array force aware interaction with handheld display devices
US11194415B2 (en) 2019-01-03 2021-12-07 Sense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rect force aware touch control with variable impedance touch sensor arrays
CN109817674A (zh) * 2019-01-30 2019-05-2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背板及其显示面板
CN113348470A (zh) * 2019-01-31 2021-09-03 兰克森控股公司 芯片卡、用于芯片卡的天线支承件和用于制造用于芯片卡的天线支承件的方法
JP7267764B2 (ja) * 2019-02-08 2023-05-0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WO2020258319A1 (zh) * 2019-06-28 2020-12-30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触感信号生成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US11519806B2 (en) * 2019-12-02 2022-12-06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System and method for indicating air pressure within an enclosed space
JP2021089567A (ja) * 2019-12-04 2021-06-10 アルパイン株式会社 押下検出装置および押下検出方法
CN115176216A (zh) * 2019-12-30 2022-10-11 乔伊森安全系统收购有限责任公司 用于智能波形中断的系统和方法
CN111443800A (zh) * 2020-03-24 2020-07-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设备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22012116A (ja) * 2020-07-01 2022-01-1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764558B (zh) * 2021-01-06 2023-07-18 湖南强智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书写模组、反馈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JP7418377B2 (ja) * 2021-06-14 2024-01-19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静電容量型圧力センサ
EP4250060A1 (en) * 2022-03-25 2023-09-27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transferring sens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62002B2 (en) * 2010-11-03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Force sensing touch screen
WO201316987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content associated with a corresponding affordance
KR101823288B1 (ko) 2012-05-09 2018-01-29 애플 인크. 제스처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상태들 사이를 전이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CN104508618B (zh) 2012-05-09 2018-01-05 苹果公司 用于针对在用户界面中执行的操作提供触觉反馈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JP6182207B2 (ja) 2012-05-09 2017-08-16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オブジェクトのアクティブ化状態を変更するための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KR101946366B1 (ko) * 2012-08-23 2019-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4105277A2 (en) 2012-12-29 2014-07-03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cursor according to a change in an appearance of a control icon with simulated three-dimensional characteristics
KR20170081744A (ko) 2012-12-29 2017-07-12 애플 인크. 다중 접촉 제스처에 대한 촉각적 출력의 발생을 보류하는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JP6351964B2 (ja) * 2013-12-11 2018-07-0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入力装置
KR101722207B1 (ko) 2015-11-09 2017-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브젝트 실행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0727B1 (en) 2011-08-05 2023-08-29 P4Tents1 Ll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WO2020256285A1 (ko) * 2019-06-19 2020-12-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피드백의 속성을 조정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94328B2 (en) 2019-08-27
US20180113512A1 (en) 2018-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4328B2 (en) Feedback provid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CN109564498B (zh) 电子设备和识别电子设备中的触摸的方法
US9904409B2 (en) Touch input processing method that adjusts touch sensitivity based on the state of a touch object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EP3246806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CN109313519A (zh) 包括力传感器的电子设备
KR102485448B1 (ko) 제스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537543B1 (ko) 지능형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29740B1 (ko) 터치 이벤트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616430B1 (ko) 터치의 압력 입력에 기반하여 선택 영역을 결정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398503B1 (ko) 입력의 압력을 감지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26983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802622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170040643A (ko)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46410A (ko)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170122056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적응적 터치 입력 방법
KR102294705B1 (ko) 유저 입력에 기초한 오브젝트 속성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80098080A (ko) 멀티태스킹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KR20170021672A (ko) 콘텐츠 탐색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70013623A (ko)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80081380A (ko) 지문을 감지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80083764A (ko) 전자 장치의 사용 환경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28855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80135727A (ko) 압력 입력에 따라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87188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pressure input of touch
KR20170019879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