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3495A - Angle division-type Mobile handset cradle and Car mobile handset cradle - Google Patents

Angle division-type Mobile handset cradle and Car mobile handset cra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3495A
KR20180043495A KR1020160136232A KR20160136232A KR20180043495A KR 20180043495 A KR20180043495 A KR 20180043495A KR 1020160136232 A KR1020160136232 A KR 1020160136232A KR 20160136232 A KR20160136232 A KR 20160136232A KR 20180043495 A KR20180043495 A KR 20180043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ring
cradle
tilt angle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62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건
Original Assignee
장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건 filed Critical 장건
Priority to KR1020160136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3495A/en
Publication of KR20180043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49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older used by being assembled to a rear surface of a mobile phone protection case or a rear surface of a mobile phone or a tablet PC or by being attached and connected to the same by a double-sided tape and the like. The mobile terminal holder has normal composition of a two-shafts structure having a 180 degrees rotation function of an inclination angle adjusting shaft (30) and a 360 degrees normal and reverse rotation function of a main rotation shaft (10). Also, the mobile terminal holder has an inclination angle control function segmented by effect of combination of a round pin (21) and an angle division stopper (20) formed to be accurately adjusted at various holding angles when an inclination angle of a terminal is adjusted. A U-shaped adjusting shaft ring (40) enclosing the inclination angle adjusting shaft (30) in the mobile terminal holder is formed of a low elasticity material with a low surface drag coefficient, whereas an existing product is convenient as the existing product is too stiff. A structure of an inner circle (41) of the U-shaped adjusting shaft ring (4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adial wave-shaped protrusion unit (42) to have similar function and effect to that of a tolerance ring. The mobile terminal holder can be adjusted at the inclination angle corresponding to a demand of a user without being influenced by usage environment in comparison with an existing product. So, the mobile terminal holder can improve usage convenience and visibility of a terminal screen.

Description

각도분할형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 겸 차량용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 {Angle division-type Mobile handset cradle and Car mobile handset cradle}Angle division-type mobile terminal cradle and mobile mobile terminal cradle {Angle division-type mobile handset cradle and car mobile handset cradle}

본 발명은 모바일 폰. 태블릿PC 등의 배면 또는 모바일 폰 보호케이스의 배면에 조립되거나, 양면테이프 등으로 부착결합되어 사용되는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반적 사용례인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로 사용되는 경우와 차량내부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에 부착 설치되는 경우에는 차량용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로 사용될 수도 있는 것으로서, 회전주축(10)의 360도 정. 역회전 기능과 기울기각도 조정축(30)의 180도 회전기능을 갖는 2축 구조의 일반적 구성에 더하여 단말기의 기울기 각도 조정시 다양한 거치각도로 미세하게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각도분할 스톱퍼(20)과 원형단면핀(21)의 조합의 효과로 세분화된 기울기 각도 제어기능이 있으며, 상기 2축의 회전위치 및 기울기 각도 조정의 편의성에 더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기울기각도 조정축(30)과 일체형인 각도조정축 베이스부(31)과 고정나사로 조립체결되어 단말기를 파지 또는 거치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구성물(50, 51, 52, 55) 또는 볼플런저일체형 고리형태 구성물(70)을 움직여 회전할 때, 본 발명의 구성과는 다르지만 상기 2개의 축을 움직이거나 회전할 때 너무 뻑뻑해서 불편한 종래의 제품과 달리 기울기각도 조정축(30)을 감싸는 U자형 조정축 링(40)의 재질을 표면마찰계수가 낮은 저탄성 재질로 성형하고, 기울기각도 조정축(30)의 원주면과 결합되는 U자형 조정축 링(40)의 내측원(41)의 구조를 톨러런스 링과 유사한 기능과 효과를 갖도록 방사형 파상돌출부(42)의 형태로 구성하므로 거치대 또는 단말기를 움직여 회전할 때 뻑뻑하지 않으면서도 위치결정력이 확실하고 견고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older used on a rear surface of a tablet PC or the like or on a back surface of a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or attached to and coupled with a double-sided tape or the like, And may be used as a mobile terminal holder for a vehicle when mounted on a panel or the like. In addition to a general structure of a two-axis structure having a reverse rotation function and a 180-degree rotation function of the tilt angle adjustment shaft 30, an angle division stopper 20 configured to be finely adjusted at various mounting angles when the tilt angle of the terminal is adjusted, Axis tilt angle control function is finely divided by the effect of the combination of the sectional pins 21. In addition to the convenience of the rotation positions and tilt angle adjustment of the biaxial axis and the tilt angle adjustment shaft 30, 51, 52, 55 or ball plunger integral ring-shaped structure 70 for gripping or mounting the terminal by assembling with the angle adjusting shaft base 31 and the fixing screw, Unlike a conventional product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inconvenient because it is too stiff when moving or rotating the two shafts, a U- The configuration of the inner circle 41 of the U-shaped adjustment shaft ring 40, which is coupled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lt angle adjustment shaft 30, is formed by molding the material of the adjustment shaft ring 40 into a low elastic material having a low surface frictional coefficient, The radial wave projecting portion 42 has a function and an effect similar to those of the tolerance ring. Therefore, when the rotary cradle or the terminal is rotated, the positioning force can be assured and firm when the rotation is not performed.

그러므로 종래의 제품에 비해 사용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기울기각도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화면의 가시성과 사용상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소형액자 등의 거치대로도 사용될 수 있는 각도분할형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 겸 차량용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tilt angle corresponding to the demand of the user regardless of the usage environmen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roduct, so tha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visibility of the terminal screen and the usability of the terminal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gle division type mobile terminal cradle and a vehicle mobile terminal cradle.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개인용 모바일 단말기는 그 기능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어 이동통신 수단으로서의 기본기능은 물론 다양한 부가기능에 더하여 전문적인 업무처리에 필요한 프로그램 기능까지 지원되면서, 개인용 컴퓨터와 견주어도 전혀 손색이 없을 만큼 다양한 제 기능을 제공하게 되었으며, 화면의해상도 면에서도 Full HD의 4배에 이르는 UHD급 해상도의 360도 입체 VR영상은 물론 무안경 입체영상을 지원하는 기기까지 출시될 상황에 이르렀다.Recently released smartphone. Tablet PCs and other personal mobile terminals have been dramatically improved in their functions, so that not only basic functions as mobile communication means but also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as well as program functions necessary for professional business processing, are provided. In addition to 360 degree 3D VR images with UHD resolution, which is four times the resolution of Full HD, we are also launching devices that support stereoscopic images without spectacles.

이에 더하여 개인용 모바일 단말기의 부가기능인 오디오와 카메라의 성능에서도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기술이 적용되어 16비트 디지털 음원을 32비트 수준의 아나로그 음향으로 전환해 원음에 더 가깝게 들릴 정도의 기기가 출시되었으며,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모듈 이미지센서의 크기가 작더라도 이미지 처리기술의 향상으로 카메라의 성능에서도 전문가용 DSLR 장비에 버금갈 정도의 수준에 이르러 누구나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간편하게 촬영. 제작. 저장해서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감상하며 즐길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었다.In addition, the performance of audio and camera, which is an additional function of personal mobile terminal, has been applied to the digital analog converter technology so that a 16 bit digital sound source can be converted to 32 bit analog sound, Camera module embedded in the camera Even though the size of the image sensor is small, the improvement of image processing technology is enough to meet the level of camera performance and professional DSLR equipment so anyone can easily take various multimedia contents. making. The environment for storing and enjoying and enjoying anytime, anywhere is established.

그러나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리형상의 파지부가 구성된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는 단순히 단말기의 파지기능을 제공하며 단말기 기울기 각도가 90도 위치에서 거치각도가 고정되는 제한된 기능의 제품이 주로 사용되는 실정이므로 다양한 거치각도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를 안고 있으며, 사용시 너무 뻑뻑하므로 손가락이 골절될 수도 있는 등 사용자의 편의성을 충족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있으므로, 개인용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빈도가 높아진 현 상황에 맞도록 사용자의 휴대 및 사용상 편의성이 증진된 단말기 거치대의 개발 필요성이 요구되며, 이동 중인 차량내부와 같은 불안정한 환경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단말기의 세밀한 거치 기울기 각도 및 방향 조정이 원활해야 함은 물론 정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일치될 수 있게되어 단말기화면의 가시성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및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의 개발필요성이 요구되는 상황이다.However, since the mobile terminal cradle having a ring-shaped gripper portion which is generally used at present provides a grip function of the terminal simply and a limited function product in which the tilt angle of the terminal tilt angle is fixed at 90 degrees is mainly u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provide the user's convenience. In addition, since there is a limitation in satisfying the user's convenience, for example, the finger may be fractured, It is required to develop a terminal holder with improved convenience. 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is installed in an unstable environment such as the inside of a moving vehicle, it is required not only to smoothly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and direction of the terminal, Can match the direction of the eye It is a situation that demands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portable terminal and a cradle-vehicle device cradle that meets the visibility of the terminal screen.

등록번호 10-1357009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Registration number 10-1357009 Portable electronic device gripping device 등록번호 10-1316210 휴대단말기용 거치대Registration No. 10-1316210 Cradle for mobile terminals 등록번호 10-1316363 휴대단말기용 거치대Registration No. 10-1316363 Holder for mobile terminals 공개번호 10-2015-0124462 휴대단말기용 거치대Public number 10-2015-0124462 Cradle for mobile terminal 등록번호 20-0476134 차량용 모바일 기기의 장착장치Registration number 20-0476134 Mounting device of vehicle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단순한 고리형태의 단말기 거치대의 파지기능과 기울기 각도 조정축의 단면형상이 단순히 원형 또는 사각형상에서 비롯되어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종래의 단말기 거치대 구조상 사용기간이 늘어날 경우에 발생 될 수 있는 기울기각도 조정축과 회전주축의 헐거워짐 등으로 힘의 모멘트 작용방향이 단말기의 자중에 의한 중력방향으로 이완되어 작용하게 되므로, 거치각도가 의도치 않게 변하거나 회전축 또는 기울기각도 조정축이 헛돌게 되어 단말기의 위치와 방향 및 기울기 각도가 사용자가 원하는 제 위치에 고정되지 못하는 현상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울기각도가 세밀하게 조정될 수 있도록 방사형으로 분할된 각도분할 스톱퍼(20)과 원형단면핀(21)과 고무재질 오링(25)의 조합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회전위치 및 기울기각도방향에 맞도록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각도분할형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 겸 차량용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various problems caused by merely circular or rectangular shape of the sectional shape of the gripping function and the tilt angle adjusting shaft of the conventional simple annular terminal holder, The direction of moment acting on the force is relaxed in the gravity direction due to the self weight of the terminal due to the tilting angle adjustment shaft and the rotation main shaft being loosened or the like which may occur when the lifetime of the cradle structure is increased,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or the angle of the tilt angle is set to be idle so that the position, direction and tilt angle of the terminal can not be fixed to the desired position by the user. In order to precisely adjust the tilt angle, The stopper 20, the circular section pin 21, The user can be firmly fixed to match the desired rotary position and the tilt angle direction of a combination of an O-ring (25) dividing an angle which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cradle cum-vehicle mobile terminal crad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울기각도 조정축(30)의 외주면을 감싸주는 U자형 조정축 링(40) 내측원(41)의 구조를 방사형으로 균등분할 함에 있어 U자형 조정축 링(40)의 내측원(41)은 기울기각도 조정축(30)의 외주면과 밀착조립되는 구성이며, U자형 조정축 링(40)의 내측원(41)을 확대해서 살펴보면 금형구조상 내측원(41)은 원형단면형상의 핀 형태로서, 와이어가공으로 제작된 방전용 전극으로 핀의 외경을 방전가공하여 생성되는 방사형 파상돌출부(42)의 표면을 확대하여 관찰하면 방전가공 결과로 인해 미세한 돌기가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있게 되며, 기울기각도 조정축(30)과 조립될 때 밀착되는 부분이 되므로, 기계부품 소재 중 샤프트와 보어 사이에서 키핀(key pin)이나 세트 스크류(set screw)없이 체결력을 강화시켜주는 '톨러런스 링(Tolerance Ring)'과 유사한 구성이 되므로 '톨러런스 링(Tolerance Ring)'의 기능과 효과를 확보할 수 있게 되므로, 기울기각도 조정축(30)과 일체형인 각도조정축 베이스부(31)의 상단내부에 원형단면핀(21)과 고무재질 오링(25)가 조립된 후 핀덮개(32)와 나사구멍에 맞춰 조립되는 고리형태. 캐릭터형태. 단순거치대형태. 자석고리형태 등 여러 형태의 구성물(50. 51. 52. 55) 또는 볼플런저일체형 고리형태 구성물(70)을 붙잡고 회전하거나 거치대 기울기각도를 조정할 때 큰 힘을 들이지 않으면서도 거치대 또는 단말기를 원하는 위치와 기울기각도 및 방향에 맞춰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in order to uniformly divide the structure of the inner circle 41 of the U-shaped adjustment shaft ring 40 radiall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 The inside circle 41 of the U-shaped adjusting shaft ring 40 is closely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lt angle adjusting shaft 30 and the inside circle 41 of the U- ) Is a pin shape of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When the surface of the radial wave projecting portion (42) produced by discharg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pin with the discharge electrode manufactured by wire processing is enlarged and observed, the fine projection is naturally And thus it is a part to be closely contacted when assembled with the tilt angle adjusting shaft 3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shaft and the bore of the mechanical parts without strengthening the key pin or set screw, Tolerance ring (Tol since the function and the effect of the 'Tolerance Ring' can be ensured because the configura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tilt angle adjustment shaft 30 ', the angle adjustment shaft base unit 31, which is integrated with the tilt angle adjustment shaft 30, In the form of a ring which is assembled to the pin cover (32) and the screw hole after the round section pin (21) and the rubber material o-ring (25) are assembled. Character type. Simple cradle form. (50. 51. 52. 55) or ball-plunger integral ring-shaped structure (70), such as a magnet ring shape, or to adjust the tilt angle of the cradle while holding the cradle or terminal at a desired position So that it can be firmly fixed to the inclination angle and direction.

이때 U자형 조정축 링(40)의 내측원(41)에 방전가공 결과로 형성된 방사형 파상돌출부(42) 표면의 미세한 돌기에는 기울기각도 조정축(30)과 밀착되어 조립될 때 압축성 쿠션기능이 내재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조립공정에서 과도한 힘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기울기 각도 조정축(30)과 U자형 조정축 링(40)간 축의 오정렬이 보상되므로 사용시 각도분할 스톱퍼(20)과 원형단면핀(21)의 정확한 면접촉이 이루어져 확실한 위치결정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의도하는 위치 및 기울기각도 및 방향으로 단말기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minute projections of the surface of the radial wave projecting portion 42 formed as a result of the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in the inner circle 41 of the U-shaped adjustment shaft ring 40 are closely fitted to the tilt angle adjusting shaft 30 and assembled, The misalignment of the axis between the tilt angle adjusting shaft 30 and the U-shaped adjusting shaft ring 40 is compensated for even when an excessive force is transmitted in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when the angle-dividing stopper 20 and the circular cross- 21 of the terminal can be surely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terminal can be securely fixed in the position and tilt angle and direction that the user intends.

또한 원형단면핀(21)의 양단에 끼워지는 고무재질 오링(25)의 표면경도를 다소 높히거나 낮춘 재질로 선택하고, 원형단면핀(21)의 직경의 크기 또한 설계상의 규격보다 미세하게 크거나 작은 것으로 선택하여 다양하게 구성하여 조립하면, 단말기 거치대로 사용되며 기울기각도 변경시 각도분할 스톱퍼(20)과 원형단면핀(21)의 면접촉이 이루어질 때 기울기각도의 위치결정력이 더 세거나 또는 조금 약하게 원하는대로 조정할 수 있게 되므로, 본 발명의 사용용도에 맞도록 부품을 선택하여 조립. 생산하면 최종 사용자의 사용용도가 단말기용 거치대로 사용될 때는 부드럽게 조정할 수 있으면서도 거치대로서 단말기 기울기 각도방향은 견고하게 고정되며, 이동 중인 차량 내부에서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로 사용될 때에도 더 세게 고정되어 흔들림없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어 화면의 가시성이 증대된 각도분할형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 겸 차량용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rubber hardness of the rubber material O-ring 25 fitted to both ends of the circular section pin 21 is selected to be slightly higher or lower than the surface hardness of the O-ring 25, and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section pin 21 is finer When the terminal 20 is used as a terminal holder and the angle between the angle-dividing stopper 20 and the circular cross-section pin 21 is made when the tilt angle is changed, the positioning force of the tilt angle is greater or smaller So that the parts can be selected and assembled according to the intended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can be adjusted smoothly when the end use of the end user is used as a terminal for the terminal, but the terminal tilt angle direction is firmly fixed as a cradle, and the terminal is fixed more firmly when used as a terminal for a car terminal in a moving vehicle Division-type mobile terminal cradle and a vehicle mobile terminal cradle with increased visibility of the screen.

그러므로 상기 본 발명에 따르면 공지의 프레스압착방식 또는 나사조립방식으로 고정된 회전주축(10)과 그 내부에 형성된 표면마찰계수가 비교적 낮은 재질의 U자형 조정축 링(40)의 내측원(41)에 방전가공 결과로 자연스럽게 생성된 방사형 파상돌출부(42) 표면의 미세한 돌기와 밀착조립되어 180도 회전되는 기울기각도 조정축(30)이 사용자의 의도에 맞도록 회전주축(10)의 회전위치와 단말기 거치대의 기울기각도 및 방향이 기울기각도 조정축(30)으로 조절되는 경우 비교적 작은 힘으로 고리형태. 캐릭터형태. 단순거치대형태. 자석고리형태 등의 구성물(50. 51. 52. 55) 또는 볼플런저일체형 고리형태 구성물(70)을 잡아 움직이거나 회전할 때 너무 뻑뻑하지 않으면서도 부드러운 동작이 가능해져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됨은 물론 급격한 움직임으로 사용시에도 손가락 골절 등의 부상위험이 해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circle 41 of the U-shaped adjustment axis ring 40 having a relatively low coefficient of surface friction formed inside the rotary spindle 10 fixed by a known press- The tilt angle adjusting shaft 30, which is closely assembled with the fine protrusions on the surface of the radially projected portion 42 naturally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and is rotated by 180 degrees,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rotary spindle 10, When the tilt angle and direction of the tilt angle adjusting shaft 30 is adjusted by the tilt angle adjusting shaft 30. Character type. Simple cradle form. (50. 51. 52. 55), or a ball plunger integral ring-shaped structure (70), it is possible to smoothly move without being too stiff when moving or rotating, thereby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isk of injury such as fracture of the finger can be solved even when using with motion.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거치대의 기울기각도 조정축(30)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조립되는 U자형 조정축 링(40)의 내측원(41)에 형성된 방사형 파상돌출부(42)의 결합구성은 '톨러런스 링'과 유사한 구성 및 효과를 갖게 되므로, 다양한 기울기 각도로 미세하게 조정될 때 각도분할 스톱퍼(20)과 원형단면핀(21)의 면접촉이 확실하게 이루어져 강력한 위치결정력을 확보하게 되므로, 이동중인 차량내부에서와 같이 불안정하게 흔들리는 환경에서 사용될 경우에도 사용자의 의도에 부응하는 기울기각도 및 방향으로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되어 단말기 화면이 사용자의 시선과 일치시켜 줄 수 있게 되므로 화면가시성을 증대시켜주는 효과가 있다.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radial wave-like projecting portion 42 formed on the inner circle 41 of the U-shaped adjustment shaft ring 40, which is assemb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lt angle adjusting shaft 3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surface contact between the angle-dividing stopper 20 and the circular cross-section pin 21 can be securely ensured when the angle-dividing stopper 20 is finely adjusted to various tilt angles, Even when used in an unstable shaking environment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tilt angle and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intention firmly and stably, so that the terminal screen can be aligned with the user's gaze, It is effective.

그에 더하여 본 발명은 기울기각도 조정축(30)과 일체형인 각도조정축 베이스부(31)과 나사조립되는 고리형태 구성물(50), 캐릭터형태 구성물(51), 단순거치대형태 구성물(52), 자석고리형태 구성물(55) 등 여러 형태의 구성물 또는 볼플런저일체형 고리형태의 구성물(70)과 조합함에 있어 다양한 재질 및 형상으로 조합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 거치대 또는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로 사용할 때 사용자가 휴대성을 중시하는 경우에는 금속재, 경질플라스틱 또는 연질의 고무재질로 구성된 고리형태 구성물(50)으로 조합이 가능하고 또한 거치기능을 중시하는 경우에 캐릭터형태 구성물(51) 및 단순거치대형태 구성물(52)과 조합되어 안정적인 거치자세로 거치될 수 있으며, 캐릭터형태 또는 단순거치대형태 구성물의 배면을 알루미늄 증착 거울면으로 성형하여 악세사리 효과를 갖게 되면 특히 여성사용자의 휴대편의성을 증대시켜주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을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로 사용하면서 특히 거치성을 중시하는 경우에는 원형단면핀(21)의 직경 크기와 고무재질 오링(25)의 경도를 달리해 조합하면 매우 센 위치결정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도 19, 도 22와 같이 단말기가 사용자의 편의에 맞도록 가로 또는 세로방향과 적정 기울기각도로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공지의 인장스프링형태 구성물(61)과 조합하여 차량용 단말기전용 거치대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매우 견고한 위치결정력을 확보하여 유지할 수 있으므로, 가로형으로 설치되어 내비게이션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형태에 비해 세로방향으로 견고하게 거치되는 경우의 이점인, 운행하는 차량의 목적지 또는 진로방향에 관련하여 내비게이션에서 제공되는 도로상황 및 주변정보를 먼거리까지 미리 충분히 예측하면서 안전운행할 수 있는데에도 매우 효과적인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한 편의성이 증대된 효과가 있는 각도분할형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 겸 차량용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n annular-shaped component 50, a character-shaped component 51, a simple-mount-shaped component 52, and a magnet assembly 52, which are screwed together with an angular adjustment shaft base portion 31 integral with the tilt- It can be combined with various types of components such as the ring-shaped structure 55 or the ball-plunger-integrated ring-shaped structure 70, so that it can be combined with various materials and shapes. (50) composed of a metal material, a hard plastic material or a soft rubber material can be used, and in the case of emphasizing the mounting function, the combination with the character form composition (51) and the simple restraint form composition (52) So that it can be mounted in a stable mounting posture and the back surface of the character type or simple mount type structure is formed into an aluminum deposition mirror surface, In addition,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terminal holder for a vehicle, particularly when the mounting property is emphasized,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section pin (21) and the size of the rubber material o- It is possible to secure a very precise positioning force by combining the hardness of the terminal 25 and the terminal 25, so that the terminal can be mounted at a proper inclination angle with the transverse or longitudinal direction to suit the user's convenience as shown in Figs. 19 and 22, Also, as shown in FIG. 14, even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 known tension spring type structure 61 as a special stand for a vehicle terminal, a very strong positioning force can be secured and maintained. Therefore,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rigidly mou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compared with the general form,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ery effective standstill even in a safe driving while sufficiently predicting the road situation and the surrounding information provided by the navigation in relation to the road or the direction of the car to a long distance beforeh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ngle division type mobile terminal cradle and a vehicle mobile terminal cradle having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중요부품 칼라 조립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중요부품 조립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순거치대형태 구성물(52)로 조립시 조립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단순거치대형태 구성물(52)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단순거치대형태 구성물(52)와 단말기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거치대 플레이트(15) 상단에 본 발명의 주요구성부인 각도분할스톱퍼(20)과 일체형인 회전주축(10)과 기울기각도 조정축(30)과 일체형인 각도조정축 베이스부(31) 내부에 원형단면핀(21)과 고무재질 오링(25)가 조립된 부분 조립사시도
도 7은 도 6 상단에 단순거치대형태 구성물(52)가 조립된 부분 조립사시도
도 8은 도 7 상단에 핀덮개(32)가 조립된 부분 조립사시도
도 9는 도 도 8의 상단에 고정나사(27)로 조립된 부분 조립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단순거치대형태 구성물(52)와 단말기(80)이 결합된 참고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단순거치대형태 구성물(52)와 단말기(80)이 결합되어 사용시 칼라 참고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소형액자 거치대로 사용시 전면부 칼라 참고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소형액자 거치대로 사용시 후면부 칼라 참고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차량용 단말기전용 거치대로 사용시 참고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원형 고리형태 구성물(50)과 조립된 참고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볼플런저일체형 고리형태 구성물(70)과 조립된 참고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캐릭터형태 구성물(51)과 조립된 참고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자석고리형태 구성물(55)와 조립된 참고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자석고리형태 구성물(55)에 단말기(80)이 가로거치된 참고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자석고리형태 구성물(55)에 단말기(80)이 가로거치된 A-A선 부분단면도 및 부분절개 확대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자석고리형태 구성물(55)와 조립된 참고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자석고리형태 구성물(55)와 단말기(80)이 세로거치된 참고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U자형 조정축 링(40)의 확대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단순거치대형태 구성물(52)과 단말기(80)를 분해한 칼라 분해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회전주축(10)과 기울기각도 조정축(30)의 분해사시도1
도 26은 본 발명의 회전주축(10)과 기울기각도 조정축(30)의 분해사시도2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jor component collar assembly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major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simple cradle-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imple cradle-type structure 5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imple cradle-type structure 5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ngle adjusting shaft base unit (FIG. 6) integrated with a tilt angle adjusting shaft 30 and a rotating main shaft 10 integrated with an angle- 31) having a circular section pin (21) and a rubber material o-ring (25)
FIG. 7 is a partially assembled perspective view in which a simple rest structure 52 is assembled at the top of FIG.
8 is a partially assembled perspective view in which a pin cover 32 is assembled at the top of Fig.
Fig. 9 is a partially assembled perspective view assembled with a fixing screw 27 at the upper end of Fig.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mple cradle-type configuration 52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erminal 80,
Figure 11 is a side elevation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imple cradle-type configuration 52 and a terminal 80 are combined,
Fig. 12 is a side view of the front collar when used as a small-sized fram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side view of a rear view collar when using the small-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circular ring-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assembled with the ball plunger integral annular configuration 70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character form construct 5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perspective view assembled with the magnet rin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gnet ring-shaped structure 55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n AA line and a partial incisio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n which a terminal 80 is transversely mounted on a magnet ring-
Figure 21 is a perspective view assembled with the magnet ring-
2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gnet ring-shaped structure 55 and the terminal 80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U-shaped adjustment shaft ring 40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color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imple rest structure 52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rminal 80,
2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1 (a) of the rotary spindle 10 and the tilt angle adjusting shaft 30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tary spindle 10 and the tilt angle adjusting shaft 30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에 따른 각도분할형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 겸 차량용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의 중요부품의 조립구조. 결합관계 및 여러가지 사용례에 따른 분해 및 사용상태를 도시한 참고사시도 등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해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의 구체적 내용을 제공하는 바이다.The assembling structure of the important parts of the angle division type mobile terminal cradle and the mobile terminal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ecomposition and use state according to various use examp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the extent that it is possible to do so.

도 1은 본 발명의 중요한 기본요소가 조립되어 놓여진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서 시각적 이해를 돕기 위해 임의의 칼라색상으로 표현한 참고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이 단말기 등에 거치되어 사용될 때의 거치대 기울기각도와 유사한 각도로 보여지는 것을 나타낸 참고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더하여 단순거치대형태의 구성물(52)가 본 발명의 기본 요소와 조립되어 사용될 때의 거치대 기울기각도와 유사한 모습을 표현한 참고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을 조립하고 다시 역순으로 분해할 때 아래쪽에서 보여지는 모습을 표현한 참고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와 단말기(80)이 조립되어 다시 분해된 것을 위에서 본 모습으로 표현한 참고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mportant basic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sembled and shown in an arbitrary color hue in order to facilitate visual understandin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imilar to the elevation tilt angle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terminal or the like. 3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ape similar to a tilt angle of a cradle when the simple cradle-type structure 52 i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basic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Fig. 2, and Fig. 3 4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being seen from below when assembling FIG. 3 and disassembling in reverse order,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80 is assembled and disassembled again.

도 1에서 도 5까지의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과 중요부품의 조립 및 결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360도 방향으로 정. 역회전하는 회전주축(10)은 거치대 플레이트(15)와 결합함에 있어 공지의 프레스 압착방식 또는 고정나사로 고정되는 방법 중 본 발명은 회전주축 고정나사(11)을 이용하여 나사체결방식으로 고정되며, 회전주축 고정나사(11)과 거치대 플레이트(15) 하부면의 사이 부분과 거치대 플레이트(15) 상부면과 회전주축(10)의 하단면 사이 부분에는 표면마찰계수가 낮은 재질의 플라스틱 와샤(12)가 각각 조립되어, 거치대가 360도 방향으로 정. 역회전 할 때 미끄럼운동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Referring to FIGS. 1 to 5, th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ssembly and connection of important parts will be described. The rotating spind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by a screw fastening method using a rotary spindle fixing screw 11 among the methods of fixing the rotating spindle 10 with the press plate 15 by a known press- A plastic washer 12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ow surface frictional coefficient is provided at a portion between the rotating spindle fixing screw 11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radle plate 15 an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radle plate 15 and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rotary spindle 10. [ Respectively, and the holder is fixed in the 360-degree direction. And it is configured to be a sliding motion when reversing.

이때 거치대 플레이트(15)의 하단부에 조립된 회전주축 고정나사(11)의 머리를 덮는 하단부에는 본 발명이 단말기(80)의 배면이나 단말기보호케이스의 배면 또는 차량 내부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상단 또는 측벽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공지의 양면테이프(16) 등으로 마감되는 구성으로 되어있으며, 회전주축(10)의 내부구조에는 기울기각도 조정축(30)이 포함되므로, 360도 정. 역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주축(10)과 180도로 회전하며 기울기각도를 조정하는 기울기각도 조정축(30)은 서로 직교되는 2축구성으로 조립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At the lower end of the rotary spindle fixing screw 11 assembled to the lower end of the mount plate 15,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80,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protective case, Side tape 16 or the like, and the tilt angle adjusting shaft 30 is included i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otating main shaft 10,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360 degree angle. The rotary spindle 10 rotating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and the tilt angle adjustment shaft 30 rotating at 180 degrees and adjusting the tilt angle are assembled in a two-axis manner orthogonal to each other.

도 1에서 도 5까지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반구형이며 하단의 일부분이 원통형상인 회전주축(10)의 상부 일정폭의 원주면에는 본 발명이 단말기 거치대로 사용시 기울기각도를 조정할 때 견고한 위치결정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적정 높이와 깊이의 골과 산이 반복되어 균등하게 분할된 각도분할 스톱퍼(20)이 일체형으로 다수개 성형되어 있으며, 하단의 원통형상 부분에는 기울기각도 조정축(30)이 180도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며 내삽되어 조립되는 구성으로서 직교되는 2축구조를 완성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1 to 5,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ry spindle 10, which is hemispherical in shape and has a cylindrical shape at the lower end thereof, In order to maintain the determination force, a plurality of angle-dividing stoppers 20 are integrally formed in which the troughs and the mountains of the appropriate height and depth are repeatedly divided and the tilt angle adjusting shaft 30 is rotated 180 degrees So that the two footballs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상기 회전주축(10) 하단의 원통형상 부분 양단내부에는 U자형 조정축 링 거치홈(45)가 성형되어 U자형 조정축 링(40)이 기울기각도 조정축(30)에 180도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며 내삽되어 조립된 상태로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종래의 거치대 회전축 내부에는 기울기각도 조정축이 뻑뻑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우레탄 등의 표면마찰계수가 높은 재질의 탄성체가 사용된 것에 반하여 본 발명은 기울기각도 조정축(30)을 감싸는 U자형 조정축 링(40)의 재질을 표면마찰계수가 낮은 저탄성 재질로 성형하고, 기울기각도 조정축(30)의 원주면과 결합되는 U자형 조정축 링(40)의 내측원(41)의 구조를 톨러런스 링과 유사한 기능과 효과를 갖도록 균등 분할된 방사형 파상돌출부(42)의 형태로 구성하므로, 거치대 또는 단말기를 움직여 회전할 때 뻑뻑하지 않으면서도 위치결정력이 확실하고 견고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된다.Shaped adjustment ring groove 45 is formed in both ends of the cylindrical portion at the lower end of the rotary spindle 10 so that the U-shaped adjustment shaft ring 40 is opposed to the tilt angle adjustment shaft 30 in the 180- And an elastic body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coefficient of surface friction such as urethane or the like is used so that the tilt angle adjustment shaft can be stab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rotary shaft of the conventional cradle, Shaped adjustment shaft ring 40 that surrounds the tilt angle adjustment shaft 30 is formed of a low elastic material having a low coefficient of surface friction and a U-shaped adjustment shaft ring 40, which is engaged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lt angle adjustment shaft 30, Since the structure of the inner circle 41 of the inner ring 4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the equally divided radial wave protrusions 42 so as to have a similar function and effect to the tolerance ring, This position determination is possible to reliably and exhibit a strong effect.

U자형 조정축 링(40)이 확대되어 표현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각도 조정축(30)의 외주면을 감싸주는 U자형 조정축 링(40) 내측원(41)의 구조를 방사형으로 균등분할하여 형성된 방사형 파상돌출부(42)는 기울기각도 조정축(30)의 외주면과 밀착조립되는 구성으로서, 확대표현된 도면에 나타난 것처럼 방사형 파상돌출부(42)를 자세히 살펴보면 금형구조상 내측원(41)은 원형단면형상의 핀의 형태로서, 와이어가공으로 제작된 방전용 전극으로 핀의 외경을 방전가공하여 생성되는 방사형 파상돌출부(42)의 표면에는 방전가공 결과로 인해 미세한 돌기가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있으며 미세한 돌기에는 비록 작지만 돌기의 높이만큼 압축성 쿠션기능이 내재하게 되므로, 기울기각도 조정축(30)과 조립될 때 밀착조립되므로, 기계부품 소재 중 샤프트와 보어 사이에서 키핀(key pin)이나 세트 스크류(set screw)없이 체결력을 강화시켜주는 '톨러런스 링(Tolerance Ring)'과 유사한 구성이 되므로 '톨러런스 링(Tolerance Ring)'의 기능과 효과를 확보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에서 설명한 것처럼 거치대 또는 단말기를 움직여 회전할 때는 부드럽게 작동이 되지만 기울기각도 조정축(30)과 회전주축(10)과 직교조합 될 때 U자형 조정축 링(40)의 외주연은 회전주축(10) 내부에 성형된 U자형 조정축 링 거치홈(45)에 정확히 안착되고, 요철형상으로 형성된 방사형 파상돌출부(42)의 영향으로 본 발명의 조립공정에서 다소 과도하게 힘이 전달되는 경우에 기울기 각도 조정축(30)과 U자형 조정축 링(40)간 축의 오정렬이 보상되는 효과가 있으므로 위치결정력이 확실하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특징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The configuration of the inner circle 41 of the U-shaped adjustment shaft ring 40 that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lt angle adjustment shaft 30 as shown in Fig. 23 in which the U-shaped adjustment shaft ring 40 is enlarged, As shown in the enlarged drawing, the radial wave projecting portion 42 formed by uniformly dividing is closely adher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lt angle adjusting shaft 30. When the radial wave projecting portion 42 is closely examined, Is a discharge electrode formed by wire processing. The discharge electrode 42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adial wave-shaped projection 42 by discharg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fin, and fine projections are formed naturally on the surface of the radial wave- Since the compressive cushion function is inherent in the projections as small as the height of the projections, the projections are tightly assembled when assembled with the tilt angle adjustment shaft 30. Therefore, The structure is similar to the 'Tolerance Ring' which enhances the fastening force without a key pin or set screw between the ring and the ring, so that the function and effect of the 'Tolerance R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U-shaped adjustment shaft ring 40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spindle 30 when the tilt angle adjustment shaft 30 and the rotary spindle 10 are orthogonally combined, 10 and the radial wave projecting portion 42 formed in the concave-convex shape, the force of the radial wave projecting portion 42 formed in the concave-convex shape of the U- The misalignment of the axis between the angle adjusting shaft 30 and the U-shaped adjusting shaft ring 40 is compensated for, so that the positioning force can be firmly and firmly fixed.

이때 '톨러런스 링(Tolerance Ring)'의 기능과 효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U자형 조정축 링(40) 내측원(41)에 요철형상으로 형성된 방사형 파상돌출부(42)의 깊이 또는 높이는 3/100~ 5/100mm 이내로 방전가공하여 형성한다.The depth or height of the radial wave projecting portion 42 formed in the concave-convex shape in the inner circle 41 of the U-shaped adjusting axis ring 40 is 3/4 in order to secure the functions and effects of the 'Tolerance Ring' 100 to 5/100 mm or less.

이와 같이 가공공차를 관리하며 생산된 중요부품들을 조립하는 공정 중 회전주축 고정나사(11)을 체결할 때는 정확하게 책정된 다소 과한 토르크의 힘으로 체결을 해서 거치대 플레이트(15)에 고정되면 회전주축(10)이 360도 방향으로 정. 역회전 할 때 풀림이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톨러런스 링(Tolerance Ring)'과 유사한 기능을 확보할 수 있어 부드럽게 동작할 수 있는 특징이 나타나게 된다.When the rotary spindle fixing screw 11 is fastened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important parts produced by managing the machining tolerance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astening screw is fastened with a precisely designed force of a slight torque and fixed to the cradle plate 15, 10) is oriented in the 360-degree direction.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loosening during reverse rotation and it has a function similar to the 'Tolerance Ring', so that it can be operated smoothly.

도 6에서 도 9까지의 본 발명의 중요부품들이 순차적으로 조립되는 도면에 대해 자세히 설명을 하면 기울기각도 조정축(30)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각도조정축 베이스부(31)의 상부면에는 오링거치부(26)과 핀거치부(22)가 구성되어 있으며, 먼저 이곳에 원형단면핀(21)과 고무재질 오링(25)가 조립되어 안착된 후 고리형태 구성물(50). 캐릭터형태 구성물(51). 단순거치대형태 구성물(52) 또는 자석고리형태 구성물(55) 등의 구성물이 2개소의 고정나사 너트부분의 홀을 기준으로 덮혀지는 형태로 놓여진 후 핀덮개(32)를 덮고 2개의 고정나사(27)로 나사체결 결합되어 본 발명의 중요 구성품 조립이 완성된다.Referring to FIGS. 6 to 9, the major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quentially assembled. In detail, the upper surface of the angle adjusting shaft base 31, which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tilt angle adjusting shaft 30, Shaped fin 21 and a rubber material O-ring 25 are first assembled and seated thereafter, and then a ring-shaped structure 50 is formed. Character form composition (51). After the components such as the simple cradle-type configuration 52 or the magnetic ring-shaped configuration 55 are placed in a manner to be covered with respect to the holes of the two setscrew nut portions, the pin cover 32 is covered and the two fixing screws 27 ) To complete the assembly of important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도 9까지의 본 발명의 중요부품들이 순차적으로 조립될 때, 원형단면핀(21)의 직경의 크기를 설계상의 정격규격보다 0.1mm 정도 크거나 작은 것으로 선택하고 고무재질 오링(25)의 표면경도 또한 10~20 정도 높히거나 낮춘 재질로 선택하여 다양하게 조합하여 사용자의 요구특성에 맞춰 적용하게 되면, 각도분할 스톱퍼(20)과 원형단면핀(21)이 면접촉 될 때 원형단면핀(21)이 각도분할 스톱퍼(20)의 산과 골을 넘어갈 때 발생하는 공차의 깊이 또는 높이가 미세하게 달라지는데 비해 원형단면핀(21)에서 받게 되는 압력의 세기는 매우 커다란 차이를 나타내는 힘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본 발명이 개인용 단말기 배면에 조합되어 사용될 때는 적정 압력으로 위치결정력이 발생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에 맞도록 부드러운 움직임과 회전이 되면서도 거치대로서의 제기능을 유지하며 원활하게 작동 및 적용될 수 있으며 혹시 급격한 움직임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손가락이 골절되는 등의 부상의 위험이 없는 안전한 효과가 있으며, 본 발명이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로서 이동중인 차량내부에서와 같이 불안정적인 상황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도 상기 각도분할 스톱퍼(20)과 원형단면핀(21)이 면접촉 될 때 매우 센 압력을 발생할 수 있는 구성이 될 수 있도록 원형단면핀(21)의 직경 크기와 고무재질 오링(25)의 표면경도를 정격규격보다 미세하게 높히거나 낮춘 재질로 선택하여 다양하게 조합하여 구성하게 되면 매우 강력한 압력으로 위치결정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커다란 진동이나 흔들림이 있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거치각도와 방향으로 사용자의 시선과 일치하는 거치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When the important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FIGS. 6 to 9 are assembled sequentially,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cross section fin 21 is selected to be 0.1 mm larger or smaller than the design specification standard, and the rubber material o- When the angle-dividing stopper 20 and the circular-section terminal pin 21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circular-section terminal pin 21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circular-section terminal pin 21, The strength of the pressure received by the circular-section fins 21 acts as a force indicating a very large difference, while the depth or height of the tolerance generated when the stator 21 passes over the crests and valleys of the angle-dividing stopper 20 varies slightly Therefore,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personal terminal, a positioning force is generated at an appropriate pressure,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is smoothly moved and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operate and apply smoothly while maintaining its function as a portable terminal, and there is a safe effect that there is no risk of injuries such as fracture of the fingers even if the portable terminal is used in a sudden movement.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cross section pin 21 and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cross section fin 21 can be set so as to be able to generate a very high pressure when the angle crossing stopper 20 and the circular cross section fin 21 are in surface contact even in the unstable situation If the surface hardness of the rubber material o-ring 25 is selected from materials having a slightly higher or lower surface roughness than the rated standard and various combinations are formed, a positioning force is generated with a very strong pressure. Therefore, even when there is a large vibration or fluctu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tationary posture consistent with the user's gaze can be maintained.

도 10은 본 발명의 중요 구성품과 단순거치대형태 구성물(52)가 조합되어 완성된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실시예로서 단말기 배면에 조립되어 놓여진 모습을 표현한 참고사시도이며, 도 11은 단말기 배면에 조합된 본 발명이 각도분할형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로 사용시 사용례로서 시각적 이해를 돕기 위해 칼라로 표현된 참고사시도이며,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중요 구성품과 단순거치대형태 구성물(52)가 조합되어 완성된 본 발명이 소형액자의 거치대로 사용시 전면부와 후면부에서 보이는 칼라 참고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중요 구성품과 차량용거치대 구성물(61)과 조합되어 차량내부 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표면에 부착되어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또는 내비게이션 거치대로 사용되는 일 사용례를 표현한 참고사시도이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imple cradle-type configuration 52 are assembled and assembled on a back surface of a terminal as a bas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12 and 13 illustrate an example of a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important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with a simple cradle-type configuration 52,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lor view seen from the front and rear portions when the invention is used as a cradle of a small-sized frame. FIG. Or a navigation cradle.

도 15에서 도 22까지의 도면은 본 발명의 중요구성품에 단순한 파지기능을 위한 원형의 고리형태 구성물(50). 다양한 형상의 캐릭터형태 구성물(51). 단말기 또는 미니액자 등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단순거치대형태 구성물(52). 차량의 내부 등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자석고리형태 구성물(55) 또는 공지의 인장스프링형태 구성물(61)로 조합된 차량용거치대 구성물(60) 등으로 사용되는 여러가지 사용례를 표현한 참고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기울기각도 조정축(30)과 고리형태의 구성물이 분리된 상태에서 별도로 조립되는 특성이 있으므로, 다양한 사용례가 가능한 확장성이 있는 효과가 있으며, 도 17 캐릭터형태 구성물(51)의 경우에서와 같이 도면에 예시되지는 않았으나 다양한 캐릭터형태를 나타내는 외곽선은 남겨놓고 캐릭터의 얼굴부분은 구멍형상으로 뚫리게 제작해서 손가락을 파지하는 용도로 제작할 수도 있으며, 특별히 도 16의 경우처럼 기울기각도 조정축(30)과 일체형으로 구성된 고리형태의 구성물의 중앙하단부에는 공지의 볼플런저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볼플런저일체형 고리형태 구성물(70)로 구성하여 조합될 수도 있으며 이때 볼플런저일체형 고리형태 구성물(70)의 하단부에는 본 발명의 기울기각도 조정축(30)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U자형 조정축 링(40)과 조립될 수 있는 것이며 캐릭터형태 구성물(51) 또는 단순거치대형태 구성물(52)의 배면을 알루미늄 증착 거울면으로 성형하여 악세사리 효과를 갖게 되면 특히 여성사용자의 휴대편의성을 증대시켜주는 효과도 있다.Figures 15 through 22 illustrate a circular annular configuration 50 for simple gripping functions in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 shape configurations of various shapes (51). A simple cradle-like arrangement 52 for use in a terminal or mini-frame.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showing various uses that are used for a vehicle mount structure 60 or the like that is combined with a magnetic annular-shaped structure 55 or a known tension spring-like structure 61 so as to be used in the interior of a vehicle, Since the shaft 30 is separately assembled in a state in which the ring-shaped componen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re is an effect that a variety of applications can be performed, and the effect is expandable. In the case of the character- 16, the face of the character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ole so as to be grasped by holding the outline representing various character shapes. In particular, as in the case of FIG. 16, A ball plunger having a known ball plunger integrally formed at the center lower end of the configuration Shaped adjustment ring 70. The U-shaped adjustment shaft ring 4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tilt angle adjustment shaft 30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lower end of the ball plunger integral ring-shaped structure 70, And when the rear surface of the character shape component 51 or the simple mount type component 52 is formed into an aluminum deposition mirror surface to have an accessory effect, there is an effect of enhancing the portable convenience, especially for female users.

이상 상기에서 본 발명 각도분할형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 겸 차량용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의 중요부품에 관한 조립구조. 결합관계 및 여러가지 사용례에 따른 분해 및 사용상태를 도시한 참고사시도 등을 도면에 의하여 자세한 설명이 있었으나 도 24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임의의 칼라로 표현된 것으로서 종래 사용되는 일반적인 단말기 거치대가 2축구조의 단순한 형상임에 비해 본 발명은 단말기 거치시 사용자가 원하는 기울기각도로 미세하게 조정이 가능하며 강력한 위치결정력으로 어떤 상태에서도 안정적인 거치각도 및 방향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화면가시성을 높여줄 수 있는 발명으로서 회전주축(10)과 기울기각도 조정축(30)이 단순결합된 직교형 2축구성에 더하여 각도분할 스톱퍼(20)과 원형단면핀(21)이 밀착조립되는 구성으로 위치결정력이 획기적으로 보강되었으며, 특히 사용자의 요구에 맞도록 휴대성과 편리성이 증대된 다양한 구성물과 결합되어 확장성에 특별한 장점이 있는 각도분할형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 겸 차량용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이다.As described above,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angle division type mobile terminal cradle and the important parts of the mobile terminal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assembly and use stat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terminal holder, The present invention can finely adjust the tilt angle desired by the user when the terminal is stationary and can maintain a stable mounting angle and direction in any state due to a strong positioning force so that the user can increase the visibility of the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the angle-dividing stopper 20 and the circular-section terminal pin 21 are closely contacted and assembled together with the orthogonal-type two-spoke property in which the rotary spindle 10 and the tilt angle- And various components that have increased portability and convenience to meet the needs of users. Is an angularly divided mobile terminal cradle and a mobile terminal cradle having a particular merit in expandability.

10:회전주축 11:회전주축 고정나사 12:와샤
15:거치대 플레이트 16:양면테이프
20:각도분할 스톱퍼 21:원형단면핀 22:핀거치부
25:고무재질 오링 26:오링거치부 27:고정나사
30:기울기각도 조정축 31:각도조정축 베이스부 32:핀덮개
40:U자형 조정축 링 41:내측원 42:방사형 파상돌출부
45:U자형 조정축 링 거치홈
50:고리형태 구성물 51:캐릭터형태 구성물 52:단순거치대형태 구성물
55:자석고리형태 구성물 56:요철형고무피복 57:철판
58:원형자석 59:양면테이프
60:차량용거치대 구성물 61:인장스프링형태 구성물
70:볼플런저일체형 고리형태 구성물 71:볼플런저
80:단말기 90:미니액자
10: rotating spindle 11: rotating spindle fixing screw 12: washer
15: cradle plate 16: double-sided tape
20: angle dividing stopper 21: circular cross section pin 22: pin mounting portion
25: Rubber material O-ring 26: O-ringer tooth 27: Fixing screw
30: Tilt adjustment axis 31: Angle adjustment shaft base 32: Pin cover
40: U-shaped adjustment shaft ring 41: Inner circle 42: Radial wave projection
45: U-shaped adjustment ring Ring mounting groove
50: Ring form 51: Character form 52: Simple form
55: magnet ring-shaped structure 56: concave-convex rubber coating 57: steel plate
58: Circular magnet 59: Double-sided tape
60: Vehicle mount structure 61: Tension spring type configuration
70: ball plunger integral ring-shaped structure 71: ball plunger
80: Terminal 90: Mini-frame

Claims (4)

휴대용 단말기 배면 또는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배면에 결합되는 거치대 플레이트;
상기 거치대 플레이트와 나사체결방식으로 조립되는 회전주축은, 상부는 반구형상. 하부는 원통형상이며 회전주축의 상부 일정폭의 원주면에는 적정 높이와 깊이의 골과 산이 반복되어 균등 분할된 각도분할 스톱퍼가 일체형으로 다수 성형된 특징이 있으며, 하단부 원통형상 저면 양단 내부에는 U자형 조정축 링 거치홈이 성형되어 기울기각도 조정축과 조립된 U자형 조정축 링이 안착 결합되어 360도 정. 역회전하는 회전주축; 회전주축과 직교방향으로 180도 회전하는 기울기각도 조정축; 상기의 직교 2축형태의 구성을 이루며, 기울기각도 조정축과 일체형으로 성형된 각도조정축 베이스부 상부면에는 고무재질 오링과 끼워맞춤 조립된 원형단면핀이 조립되어 핀덮개와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된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 상기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로서 사용시 기울기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각도분할형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 겸 차량용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
A cradle plate coupled to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protective case;
The rotating spindle assembled with the cradle plate by the screw fastening method has a hemispherical shape at the top. The lower part is cylindrical,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art of the rotating spindl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angular split stoppers integrally formed by repeatedly dividing the valleys and mountains of the appropriate height and depth. The lower end cylindrical part has a U- The adjustment shaft ring groove is formed and the tilt angle adjustment shaft and the U-shaped adjustment shaft ring are assembled and fixed 360 degrees. A rotating spindle rotating in a reverse direction; A tilt angle adjustment shaft which rotates 180 degree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otation main axis; A circular section pin is assemb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ngle adjusting shaft base unit formed integrally with the tilt angle adjusting shaft and is fitted with a rubber material O ring, Mobile terminal holder; An angle-division-type mobile terminal cradle and a mobile terminal cradl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by being capable of finely adjusting a tilt angle when used as a mobile terminal cra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단면핀에 끼워맞춤 조립된 고무재질 오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원형단면핀이 각도분할 스톱퍼의 산과 골을 넘어가며 회전할 때와 골 위치에서 머무를 때, 원형단면핀과 각도분할 스톱퍼는 선접촉을 이루다 면접촉 상태로 머무르게 되므로, 단말기 거치시 다양한 기울기각도에서 견고한 위치결정력이 확보되어 이동중인 차량내부에서도 안정적인 거치대 기울기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구성; 상기의 구성으로 견고한 위치결정력이 발휘되는 특징이 있으므로,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로 사용시에도 사용자의 시선과 안정적으로 일치시켜 단말기화면의 가시성을 높여줄 수 있는 각도분할형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 겸 차량용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circular cross section pin rotates over the mountains and the valleys of the angle-dividing stopper using the elasticity of the rubber material O-ring fitted to the circular cross-section pin, the circular cross-section pin and the angle- So that a stable positioning force can be secured at various tilt angles when the terminal is mounted, and a stable tilt angle can be maintained even in a moving vehicle.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a strong positioning force is exerted. Therefore, an angle-division type mobile terminal cradle and a mobile terminal cradle for a vehicle, which can stably match the user's sight even when used as a car terminal cradle, thereby enhancing the visibility of the terminal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기울기각도 조정축과 조립되는 U자형 조정축 링의 결합구성은 일반적인 거치대의 탄성체 부품과 달리 표면마찰계수가 낮은 재질로 성형된 U자형 조정축 링;상기 U자형 조정축 링의 내측원을 확대해서 관찰하면, 방전가공의 결과로 생성된 방사형 파상돌출부와 내측원이 교차되는 요철형상의 원주면; 상기 방사형 파상돌출부의 표면에는 미세한 돌기가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있는 특징이 있으며, 미세한 돌기가 성형된 방사형 파상돌출부는 기울기각도 조정축과 조립될 때 밀착되어 조립되는 부분이 되므로, 기계부품 소재 중 샤프트와 보어 사이에서 키핀(key pin)이나 세트 스크류(set screw)없이 체결력을 강화시켜주는 '톨러런스 링(Tolerance Ring)'의 기능과 효과를 나타내게 되므로, 거치대를 회전할 때는 부드럽게 동작이 되면서도 거치대 기울기각도를 맞춘 후 고정이 될 때는 견고한 위치결정력이 발휘되는 특징이 있는 각도분할형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 겸 차량용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haped adjustment shaft ring, which is formed from a material having a low coefficient of surface friction, unlike the elastic body component of a general mounting table, is formed of an inner circle of the U- When viewed in an enlarged manner,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concavo-convex shape in which the inner circle intersects the radial wave projecting portion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Since the radial wave projecting portion formed with fine protrusions is a portion closely attached to the tilt angle adjusting shaft when assembled with the tilt angle adjusting shaft, It shows the function and effect of the 'Tolerance Ring' which strengthens the fastening force without a key pin or set screw between them. Therefore, when the holder is rotated, it is smoothly operated, An angle-division type mobile terminal cradle and a mobile terminal cradle having a characteristic in which a firm positioning force is exerted when the terminal is fixed.
제1항에 있어서,
360도 정. 역회전하는 회전주축과 180도 회전하는 기울기각도 조정축의 직교 2축형태의 기본구성에 고무재질 오링과 끼워맞춤 조립된 원형단면핀이 조립되어 핀덮개와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되어 고무재질 오링의 탄성이 원형단면핀의 스프링효과로 나타나도록 하는 구성;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결합될 때 핀덮개 상부에서 2개의 고정나사로 고정될 때 고정나사의 홀위치에 다양한 형태의 구성물이 최종 조립되어 사용자의 요구에 맞도록 휴대성과 거치성이 향상된 각도분할형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 겸 차량용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360 degrees. Rubber material O-ring and fitting Fitted with circular cross-section pin assembled with pin cover and screwed together Rubber material O-ring elasticity A spring effect of the circular cross-section pin; When combined with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various types of components are finally assembled at the hole position of the fixing screw when the fixing screw is fixed with the two fixing screws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n lid, thereby improving the portability and the stiffness of the mobile terminal Cradle and mobile mobile terminal cradle.
KR1020160136232A 2016-10-20 2016-10-20 Angle division-type Mobile handset cradle and Car mobile handset cradle KR2018004349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232A KR20180043495A (en) 2016-10-20 2016-10-20 Angle division-type Mobile handset cradle and Car mobile handset cra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232A KR20180043495A (en) 2016-10-20 2016-10-20 Angle division-type Mobile handset cradle and Car mobile handset crad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495A true KR20180043495A (en) 2018-04-30

Family

ID=62081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6232A KR20180043495A (en) 2016-10-20 2016-10-20 Angle division-type Mobile handset cradle and Car mobile handset cra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349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654A (en) * 2018-05-10 2019-11-20 (주)유윈씨앤티 Rotary supporting means for smartphone using decoration assembly
CN111693240A (en) * 2020-05-27 2020-09-22 中国科学院西安光学精密机械研究所 Torsional pendulum platform for realizing spatial same-frequency two-dimensional disturban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654A (en) * 2018-05-10 2019-11-20 (주)유윈씨앤티 Rotary supporting means for smartphone using decoration assembly
CN111693240A (en) * 2020-05-27 2020-09-22 中国科学院西安光学精密机械研究所 Torsional pendulum platform for realizing spatial same-frequency two-dimensional disturb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2291B2 (en) Hinge device
US7736071B2 (en) Digital camera pedestal with cable in neck
US6801426B2 (en) Display device with pivotable base
JP4148972B2 (en) Turntable and display device
US20130134284A1 (en) Grasping assembly and support device using the same
US7568261B2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7725989B2 (en) Dual-axis hinge mechanism
US8720837B2 (en) Support frame for electronic device
US11098840B2 (en) Rotating assembly and universal ball joint assembly
CN210128227U (en) Hand-held cloud platform
US9062811B2 (en) Support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JP4639215B2 (en) Desktop charger
US20080078056A1 (en) Swivel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1248648B2 (en) Rotatable ball joint and universal ball joint assembly
KR20180043495A (en) Angle division-type Mobile handset cradle and Car mobile handset cradle
WO2022103790A1 (en) Articulated grip
JP2015050543A (en) Imaging apparatus
KR200479290Y1 (en) Supporter for mobile device
JP3114439U (en) Pan head for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with electronic camera
CN104954693A (en) Separated camera device
CN111684192B (en) Hand-held cloud platform
CN112416056B (en) Display with rotary camera structure
KR20180032805A (en) Supporting device of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JP2938851B1 (en) Shaft locking device
KR101825743B1 (en) Supporter for 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