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1708A - Elevator operation confirmation system and operation confirmation method - Google Patents

Elevator operation confirmation system and operation confirma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1708A
KR20180041708A KR1020187007369A KR20187007369A KR20180041708A KR 20180041708 A KR20180041708 A KR 20180041708A KR 1020187007369 A KR1020187007369 A KR 1020187007369A KR 20187007369 A KR20187007369 A KR 20187007369A KR 20180041708 A KR20180041708 A KR 20180041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information center
operation command
portable terminal
contro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73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21133B1 (en
Inventor
신타로 가네코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41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7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1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시큐리티를 확보한 다음에, 용이하게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을 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 시스템을 얻는다. 구조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와, 작업원이 소지하고,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에 대해서 동작 지령을 송신함으로써, 엘리베이터를 구동시키는 휴대 단말과, 휴대 단말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정보 센터를 구비하고, 휴대 단말은, 정보 센터에 대해서, 동작 지령의 송신 허가를 요구하는 허가 요구부와, 송신 허가가 얻어진 경우에, 제어반에 대해서 동작 지령을 송신하는 지령 송신부를 가지고, 정보 센터는 엘리베이터의 보수 관련 정보를 기억한 기억부와, 송신 허가를 요구받은 경우에, 기억부를 참조하여, 송신 허가를 주어도 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가진다. An elevator operation confirmation system capable of easily confirm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is obtained after securing security. An elevator provided on the structure; and a portable terminal for driving the elevator by transmitting an operation command to a control panel of the elevator with the worker, and an information center for communicating with the portable terminal, An information requesting unit for requesting transmission of an operation command to the information center; and a command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n operation command to the control panel when a transmission permission is obtained, wherein the information center stores, And a judging section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transmission permission is given with reference to the storage section when the transmission permission is requested.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 시스템 및 동작 확인 방법Elevator operation confirmation system and operation confirmation method

본 발명은 실제 기기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을 행하는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 시스템 및 동작 확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operation confirmation system and an operation confirmation method for confirming the operation of an elevator using an actual device.

종래부터, 일상 사용하고 있는 엘리베이터를 모의(模擬)한 가상 공간에 있어서, 체험자가 선택한 엘리베이터의 운전 상태를 가상적으로 연출하여 체험자에게 체험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의 기능 등에 대한 이해를 촉진시키는 엘리베이터 시뮬레이터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An elevator simulator device for promoting an understanding of functions and the like of an elevator is known in the art by simulating a driving state of an elevator selected by an experient in an imaginary space simulating an everyday elevator,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구체적으로는, 이 엘리베이터 시뮬레이션 장치는, 체험자가 탑승하는 케이싱에 마련되고, 선택된 엘리베이터의 관제 운전을 모의하는 관제 운전 제어 장치나, 선택된 엘리베이터의 결함(defect)에 따라 가상적으로 결함 발생 운전을 행하는 결함 발생 운전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케이싱 내부에 관제 운전이나 결함 발생 운전에 따른 영상을 표시함과 아울러, 관제 운전이나 결함 발생 운전에 따라 케이싱을 진동시키고 있다. Specifically, the elevator simulation apparatus is provided in a casing on which an experienced person rides, and is provided with a control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simulating a control operation of a selected elevator, and a faulty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virtually performing a fault occurrence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a defect of a selected elevator And an occurrence operation control device. In the cas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a control operation or a defect occurrence operation is displayed, and the casing is vibrated according to a control operation or a defect occurrence operation.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8-265935호 공보Patent Document 1: JP-A-2008-265935

그렇지만, 종래 기술에는, 이하와 같은 과제가 있다. However, the prior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즉, 특허 문헌 1의 엘리베이터 시뮬레이션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실제 기기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행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를 신설 또는 리뉴얼했을 경우에, 그 건물의 오너나 관리인(이하, 「유저」라고 칭함)에 대해서 당해 엘리베이터의 취급 설명을 할 때의 동작 확인에 적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That is, since the elevator simulation apparatus of Patent Document 1 does not perform the simulation using the actual equipment of the elevator, when the elevator is newly installed or renewed, the owner of the building or the manag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be applied to the operation confirmation at the time of handling the elevator.

또한, 이 엘리베이터가,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원격 감시함과 아울러, 필요에 따라서 원격 제어를 행할 수 있는 정보 센터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정보 센터로부터 엘리베이터를 구동시켜 동작 확인을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엘리베이터의 설치 후, 보수 계약이 체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엘리베이터가 정보 센터와 접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정보 센터로부터 엘리베이터를 구동시킬 수 없다. Further, when the elevator is connected to an information center capable of remotely monitoring the elevator state and, if necessary, remote control, the elevator can be operated to operate the elevator from the information center. However, since the elevator is not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center when the maintenance contract is not concluded after the elevator is installed, the elevator can not be driven from the information center.

그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으로서, 예를 들면 긴급시의 동작 중, 지진시 관제 운전 장치의 동작을 확인하고 싶은 경우에는, 필드 엔지니어 등의 작업원이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지진계(seismometer)를 실제로 작동시켜 지진이 발생한 상태를 만들어 낼 필요가 있어, 대규모적인 준비가 필요하게 된다. Therefore, in order to confirm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urgent operation, in order to confirm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operation device at the time of an earthquake, a worker such as a field engineer actually operates a seismometer provided in the elevator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tate in which an earthquake occurs, and a large-scale preparation is required.

여기서, 작업원이 소지하고 있는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에 대해서 동작 지령을 송신함으로써, 엘리베이터를 구동시켜 동작 확인을 행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경우에는, 용이하게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을 행할 수 있지만, 휴대 단말로부터 무제한으로 엘리베이터를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은, 시큐리티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Here, it is conceivable to operate the elevator to confirm the operation by transmitting an operation command to the control panel of the elevator by using the portable terminal possessed by the worker. However,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easily, but it is not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security that the elevator can be driven unlimitedly from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시큐리티를 확보한 다음, 용이하게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을 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 시스템 및 동작 확인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operation confirmation system and an operation confirmation method capable of easily confirming the operation of an elevator after securing security.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 시스템은, 구조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와, 작업원이 소지하고,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에 대해서 동작 지령을 송신함으로써, 엘리베이터를 구동시키는 휴대 단말과, 휴대 단말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정보 센터를 구비하고, 휴대 단말은, 정보 센터에 대해서, 동작 지령의 송신 허가를 요구하는 허가 요구부와, 송신 허가가 얻어진 경우에, 제어반에 대해서 동작 지령을 송신하는 지령 송신부를 가지고, 정보 센터는 엘리베이터의 보수 관련 정보를 기억한 기억부와, 송신 허가를 요구받은 경우에, 기억부를 참조하여, 송신 허가를 주어도 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가지는 것이다. An elevator operation confi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levator installed in a structure,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operator and driving an elevator by transmitting an operation command to a control board of an elevator,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has a permission requesting section for requesting permission to transmit the operation command to the information center and a command transmitting section for transmitting an operation command to the control panel when the transmission permission is obtained, The center includes a storage section for storing maintenance related information of the elevator and a judging section for judging whether or not transmission permission is given with reference to the storage section when the transmission permission is requested.

또,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 방법은, 구조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와, 작업원이 소지하고,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에 대해서 동작 지령을 송신함으로써, 엘리베이터를 구동시키는 휴대 단말과, 엘리베이터의 보수 관련 정보를 기억한 기억부를 가지고, 휴대 단말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정보 센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 방법으로서, 휴대 단말로부터 정보 센터에 대해서, 동작 지령의 송신 허가를 요구하는 허가 요구 스텝과, 송신 허가를 요구받은 경우에, 기억부를 참조하여, 송신 허가를 주어도 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스텝과, 송신 허가가 얻어진 경우에, 제어반에 대해서 동작 지령을 송신하는 지령 송신 스텝을 가지는 것이다. A method for confirming the operation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confirming the operation of an elevator, comprising a portable terminal for driving an elevator by transmitting an operation command to an elevator control panel, An elevator operation confirmation method executed by an elevator operation confirmation system having an information center that communicates with a portable terminal with a stored storage unit,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requesting permission of transmission of an operation comman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information center; And a command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an operation command to the control panel when the transmission permission is obtained, by referring to the storage section when the transmission permission is requested, .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 시스템 및 동작 확인 방법에 의하면, 휴대 단말은, 정보 센터에 대해서, 동작 지령의 송신 허가를 요구하고, 정보 센터는 송신 허가를 요구받은 경우에, 엘리베이터의 보수 관련 정보를 기억한 기억부를 참조하여, 송신 허가를 주어도 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휴대 단말은 송신 허가가 얻어진 경우에,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에 대해서 동작 지령을 송신하여, 엘리베이터를 구동시킨다.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firmation system and the operation confirmation method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requests permission to transmit an operation command to the information center, and when the information center requests the transmission permission, And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s an operation command to the control panel of the elevator to drive the elevator when the transmission permission is obtained.

그 때문에, 시큐리티를 확보한 다음에, 용이하게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을 행할 수 있다. Therefore, after securing the security, it is possible to easily confirm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표시부에 나타나는 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 시스템의 처리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 시스템의 처리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levator operation confirmation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shown in Fig.
Fig. 3 is a sequence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an elevator operation confirmation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quence diagram showing the processing of the elevator operation confi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 시스템 및 동작 확인 방법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지만,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n operation confirmation system and an operation confirmation method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the same or equivalent parts in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실시 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 시스템(1)은 구조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10)와, 작업원이 소지하고, 엘리베이터(10)의 제어반(15)에 대해서 동작 지령을 송신함으로써, 엘리베이터(10)를 구동시키는 휴대 단말(20)과, 휴대 단말(20)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정보 센터(30)를 구비하고 있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levator operation confirmation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 elevator operation confirmation system 1 includes an elevator 10 installed in a structure, and an elevator 10 having a worker and transmitting an operation command to a control panel 15 of the elevator 10. [ And an information center 30 for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terminal 20. The information terminal 10 is a mobile terminal 20,

여기서, 휴대 단말(20)과 정보 센터(30)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10)와 휴대 단말(20)은,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또, 엘리베이터(10)와 정보 센터(30)는, 아직 보수 계약을 체결하지 않아, 서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또한, 특별히 설명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보수 계약 전에 엘리베이터(10)가 정보 센터(30)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Here, the portable terminal 20 and the information center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network. The elevator 10 and the portable terminal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wire or wireless. In addition, the elevator 10 and the information center 30 have not yet concluded a maintenance contract and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assumed that the elevator 10 is not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center 30 before the maintenance contract, except when specifically explained.

엘리베이터(10)의,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기계실에는, 권상기(11)가 마련되어 있다. 권상기(11)에는, 주 로프(12)가 감겨 있다. 또, 주 로프(12)의 일단에는 엘리베이터 칸(13)이 접속되고, 타단에는 균형추(14)가 접속되어 있다. 권상기(11)는 엘리베이터(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반(15)에 접속되어 있다. In the elevator 10, for example, a machine room (not shown), a hoisting machine 11 is provided. In the hoisting machine 11, the main rope 12 is wound. The elevator car 13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ain rope 12, and the counterbalance 14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The hoisting machine 11 is connected to a control panel 15 which controls the driving of the elevator 10. [

또, 제어반(15)은 지진 발생시에 관제 운전을 행하는 지진시 관제 운전 장치(16)와, 정전 발생시에 자동 착상 운전을 행하는 정전시 자동 착상 장치(17)와, 화재 발생시에 관제 운전을 행하는 화재시 관제 운전 장치(18)를 가지고 있다. 또한, 지진시 관제 운전 장치(16), 정전시 자동 착상 장치(17) 및 화재시 관제 운전 장치(18)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15 includes an earthquake-based control operation device 16 that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an earthquake, an automatic concealment device 17 that performs an automatic concealment operation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a power failure, And a city control operation device 18. Further, specific operations of the control operation device 16 during the earthquake, the automatic conception device 17 during the power failure, and the control operation device 18 during the fire will be described later.

또, 제어반(15)은 지진시 관제 운전 후에 자동적으로 엘리베이터를 복구하기 위한 진단 운전을 행하는 지진 복구 진단 운전 장치, 강풍 발생시에 관제 운전을 행하는 바람 관제 운전 장치, 장(長)주기 지진 발생시에 관제 운전을 행하는 장주기 지진동시 관제 운전 장치 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 제어반(15)은 후술 하는 휴대 단말(20)의 송신 사령부(22)로부터의 동작 지령을 수신하기 위한 무선 또는 유선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15 includes an earthquake restoration diagnostic operation device for performing a diagnosis operation for automatically restoring an elevator after a control operation at the time of an earthquake, a wind control operation device for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a strong wind, A long-period earthquake simultaneous co-ordinate operation device for performing an operation, and the like. The control panel 15 has a communication function (not shown) for receiving an operation command from the transmission command unit 22 of the portable terminal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wireless or wire.

휴대 단말(20)은 허가 요구부(21), 지령 송신부(22), 갇힘(trapping) 모의부(23), 표시부(24), 음성 출력부(25), 조작부(26) 및 음성 입력부(27)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허가 요구부(21), 지령 송신부(22) 및 갇힘 모의부(23)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휴대 단말(20)에 실장되어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20 includes an authorization requesting unit 21, a command transmitting unit 22, a trapping simulating unit 23, a display unit 24, an audio output unit 25, an operating unit 26, ). Here, the permission requesting unit 21, the command transmitting unit 22, and the confidential simulation unit 23 are implemented in the mobile terminal 20 as an application.

허가 요구부(21)는 정보 센터(30)에 대해서, 동작 지령의 송신 허가를 요구한다. 지령 송신부(22)는 송신 허가가 얻어진 경우에, 제어반(15)에 대해서 동작 지령을 송신한다. 갇힘 모의부(23)는 엘리베이터 칸(13) 내에 승객이 갇힌 상태를 모의한다. 또한, 허가 요구부(21), 지령 송신부(22) 및 갇힘 모의부(23)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he permission requesting unit 21 requests the information center 30 to permit transmission of an operation command. The command transmission section 22 transmits an operation command to the control panel 15 when the transmission permission is obtained. The confined simulation portion (23) simulates a state in which the passenger is trapped in the elevator car (13). Specific operations of the permission requesting unit 21, the command transmitting unit 22, and the confidential simulation unit 23 will be described later.

또, 표시부(24)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이며, 음성 출력부(25)는, 예를 들면 스피커이고, 조작부(26)는, 예를 들면 하드웨어 키 또는 터치 패널로 구성된 소프트웨어 키이고, 음성 입력부(27)는, 예를 들면 마이크이다. The display section 24 is a display, the sound output section 25 is, for example, a speaker, and the operation section 26 is a software key composed of, for example, a hardware key or a touch panel, The microphone 27 is, for example, a microphone.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표시부(24)에 나타나는 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에 있어서, 표시부(24)에는,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 시스템의 메뉴로서, 엘리베이터 정보 입력, 지진시 관제 운전, 정전시 자동 착상 운전, 화재시 관제 운전 및 갇힘 구출 운전이 표시되어 있다. 이들 각 메뉴는, 눌러서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정보 센터(30)에 의해서 동작 지령의 송신이 허가될 때까지, 엘리베이터 정보 입력 이외의 메뉴는, 누를 수 없도록 되어 있다. 2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 shown in Fig. 2, the display unit 24 displays elevator information input, control operation at earthquake, automatic conception operation at power failure, control operation at the time of fire, and confinement rescue operation as menus of the elevator operation confirmation system. Each of these menus can be selected by pressing. Until the transmission of the operation command is permitted by the information center 30, the menu other than the elevator information input can not be depressed.

도 1로 돌아가서, 정보 센터(30)는 엘리베이터(10)의 보수 관련 정보를 기억한 기억부(31)와, 송신 허가를 요구받은 경우에, 기억부(31)를 참조하여, 송신 허가를 주어도 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32)를 가지고 있다. 또한, 판정부(32)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1, the information center 30 includes a storage unit 31 that stores maintenance-related information of the elevator 10, and a storage unit 31 that, when a transmission permission is requested, refers to the storage unit 31, And a judging section 32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judging section 32 is judged to be judged. The specific operation of the determining section 32 will be described later.

기억부(31)는 엘리베이터(10)가 설치된 구조물 및 그 구조물에 있어서의 호기(號機) 번호와, 엘리베이터(10)의 보수 관련 정보를 관련지어 기억하고 있다. 여기서, 보수 관련 정보란, 엘리베이터(10)의 보수 계약이 체결되어 있는지 여부, 체결되어 있지 않으면, 엘리베이터(10)의 설치 후, 소정의 애프터서비스 기간인지, 또는 다른 회사와 계약되어 있는지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 기억부(31)는 엘리베이터(10)를 제조한 메이커에서 제조한 다른 엘리베이터와 관련된 보수 관련 정보도 기억하고 있다. The storage unit 31 stores the structure in which the elevator 10 is installed and the number of the facility in the structure and the maintenance related information of the elevator 10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Here, the maintenance-related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repair contract of the elevator 10 is concluded or not, whether the contract is contracted with another company after installation of the elevator 10, a predetermined after-sales service period, . The storage unit 31 also stores maintenance-related information related to other elevators manufactured by the maker of the elevator 10.

또, 보수 계약이 체결되었을 경우에는, 정보 센터(30)가 도시하지 않은 감시 장치를 통해서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엘리베이터(10)와 접속되고, 정보 센터(30)는 보수 계약에 기초하여, 감시 장치를 통해서 엘리베이터(10)의 상태를 원격 감시함과 아울러, 필요에 따라서 감시 장치를 통해서 원격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휴대 단말(20)로부터의 동작 지령을, 정보 센터(30) 경유로 제어반(15)에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계약을 체결하기 전에, 엘리베이터(10)를 일시적으로 정보 센터(30)와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When the maintenance contract is concluded, the information center 30 is connected to the elevator 10 by wire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a monitoring device (not shown), and the information center 30, based on the maintenance contract, The state of the elevator 10 can be monitored remotely through the monitoring device, and remote control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monitoring device as required.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an operation command from the portable terminal 20 to the control panel 15 via the information center 30. It is also possible to temporarily connect the elevator 10 to the information center 30 before entering into a contract.

이하, 도 1, 2와 함께, 도 3의 시퀀스도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 시스템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서는, 지진시 관제 운전, 정전시 자동 착상 운전 및 화재시 관제 운전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있어서, 먼저, 허가 요구부(21)는, 정보 센터(30)에 대해서, 동작 지령의 송신 허가를 요구한다(스텝 S1). 여기서, 이 처리는, 작업원이 도 2에 나타낸 엘리베이터 정보 입력에,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10)와 관련되는 구조물 및 호기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실행된다. Hereinafter, the processing of the elevator operation confi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equence diagram of Fig. 3 together with Figs. 1 and 2. Fig. In Fig. 3, the control operation at earthquake, the automatic conception operation at power failure, and the control operation at the time of fire will be described. 3, first, the permission requesting unit 21 requests the information center 30 to permit transmission of an operation command (step S1). Here, this processing is executed by an operator inputting, for example, a structure and a call number associated with the elevator 10 in the elevator information input shown in Fig.

이어서, 판정부(32)는 송신 허가를 요구받은 경우에, 기억부(31)를 참조하여, 당해 엘리베이터(10)가, 휴대 단말(20)로부터 구동시켜도 되는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2), 구동시켜도 된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동작 지령의 송신을 허가한다(스텝 S3). The judging unit 32 then judges whether or not the elevator 10 can be driven from the portable terminal 20 by referring to the storage unit 31 (step S2) , It is permitted to transmit the operation command (step S3).

구체적으로는, 판정부(32)는 엘리베이터(10)의 보수 계약이 체결되어 있지 않고, 다른 회사와도 계약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동작 지령의 송신을 허가한다. 또, 동작 지령의 허가는, 예를 들면 판정부(32)가 생성한 원 타임 패스워드에 의해서 휴대 단말(20)에 통지된다. 이 경우, 휴대 단말(20)은 통지된 원 타임 패스워드가 미리 규정된 로직에 해당하는 패스워드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인증 기능을 가진다. 여기서, 동작 지령의 허가는, 원 타임 패스워드로 한정되지 않고, 어플리케이션의 기동 자체를 키로 해도 된다. Specifically, the judging section 32 permits the transmission of the operation command when the maintenance contract of the elevator 10 is not concluded and contracted with another company. The permission of the operation command is notified to the portable terminal 20 by the one-time password generated by the determination unit 32, for example. In this case, the portable terminal 20 has an authentication function of determining whether the notified one-time password is a password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logic. Here, the permission of the operation command is not limited to the one time password, and the activation of the application may be the key.

또한, 판정부(32)는 엘리베이터(10)의 보수 계약이 체결되어 있는 경우에도 동작 지령의 송신을 허가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엘리베이터(10)로부터 발행되는 이상 신호가 정보 센터(30)에 입력되게 되므로, 이러한 이상 신호를 무시하는 처리를 함께 행할 필요가 있다. In this case, an abnormal signal issued from the elevator 10 is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center 30 to the elevator 10,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a process for ignoring such an abnormal signal at the same time.

다음에, 동작 지령의 송신이 허가되면, 지령 송신부(22)는, 제어반(15)에 대해서, 동작 지령을 송신한다(스텝 S4). 여기서, 이 처리는, 작업원이 도 2에 나타낸 엘리베이터 정보 입력에, 판정부(32)로부터 수신한 원 타임 패스워드를 이어서 입력하면 원 타임 패스워드의 인증이 행해지고, 인증되면 지진시 관제 운전, 정전시 자동 착상 장치, 화재시 관제 운전 중 어느 메뉴를 누를 수 있게 되고, 누를 수 있게 된 지진시 관제 운전, 정전시 자동 착상 장치, 화재시 관제 운전 중 어느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실행된다. Next, when transmission of the operation command is permitted, the command transmission section 22 transmits an operation command to the control panel 15 (step S4). Here, this process is executed when the worker inputs the one-time password received from the judging unit 32 in succession to the elevator information input shown in Fig. 2, and the one-time password is authenticated. The automatic conception device, and the control operation in case of fire can be pressed, and the user can select any of the menus such as the earthquake control operation, the automatic conception device in case of power failure, and the control operation in case of fire.

이어서, 제어반(15)은 동작 지령에 따라서, 지진시 관제 운전 장치(16), 정전시 자동 착상 장치(17) 또는 화재시 관제 운전 장치(18)를 동작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지진시 관제 운전 장치(16)를 동작시켰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13) 내에 아나운스가 나옴과 아울러, 엘리베이터 칸(13)을 정지시키는 일 없이 가장 가까운 층까지 이동시켜 문을 개방한다. Then, the control panel 15 operates the control operation device 16 at the time of the earthquake, the automatic conception device 17 at the time of power failure, or the control operation device 18 at the time of fir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command. Specifically, when the control operation device 16 is operated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an alarm is issued in the elevator car 13, and the elevator car 13 is moved to the nearest floor without stopping the elevator car 13, do.

또, 정전시 자동 착상 장치(17)를 동작시켰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13)이 일단 정지되고, 엘리베이터 칸(13) 내에 아나운스가 나옴과 아울러, 배터리로 전환하여 엘리베이터 칸(13)을 가장 가까운 층까지 이동시켜 문을 개방한다. 또, 화재시 관제 운전 장치(18)를 동작시켰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13)을 정지시키는 일 없이 소정의 피난층까지 이동시켜 문을 개방한다. When the automatic conception device 17 is operated during a power failure, the elevator car 13 is temporarily stopped, and an analog is output in the elevator car 13. In addition, Move to the nearest floor and open the door. When the control operation device 18 is operated in the event of a fire, the door is opened by moving to the predetermined evacuation floor without stopping the elevator car 13.

이하, 도 1, 2와 함께, 도 4의 시퀀스도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 시스템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서는, 갇힘 구출 운전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먼저, 휴대 단말(20)이 동작 지령의 송신이 허가될 때까지는, 도 3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the processing of the elevator operation confi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equence diagram of Fig. 4 together with Figs. 1 and 2. Fig. In Fig. 4, the confined and rescued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Fig. 4, until the portable terminal 20 is allowed to transmit the operation command, the description is the same as Fig. 3,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어서, 동작 지령의 송신이 허가되면, 지령 송신부(22)는 제어반(15)에 대해서, 엘리베이터 칸(13)을 정지시키는 동작 지령을 송신한다(스텝 S11). 또, 갇힘 모의부(23)는 정보 센터(30)에 대해서, 갇힘 구출 운전을 요구한다(스텝 S12). 여기서, 이 처리는, 작업원이 도 2에 나타낸, 누를 수 있게 된 갇힘 구출 운전의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실행된다. Subsequently, when transmission of the operation command is permitted, the command transmission section 22 transmits an operation command to the control panel 15 to stop the car 13 (step S11). In addition, the trapped simulation unit 23 requests the information center 30 to perform the trapped and rescued operation (step S12). Here, this process is executed by selecting the menu of the locked-and-collision operation in which the operator is allowed to press, as shown in Fig.

다음에, 정보 센터(30)는, 통상의 원격 감시시에 있어서의 갇힘 구출 운전과 마찬가지로 하여, 예를 들면 휴대 단말(20)의 표시부(24)에 정보 센터(30)의 오퍼레이터를 비추거나, 음성 출력부(25) 및 음성 입력부(27)를 이용하거나 하여, 휴대 단말(20)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13) 내와 동등한 환경을 만들어 낸다(스텝 S13). Next, the information center 30 displays the operator of the information center 30 on the display section 24 of the portable terminal 20, for example,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fined rescue operation during normal remote monitoring, The portable terminal 20 creates an environment equivalent to the inside of the car 13 by using the voice output unit 25 and the voice input unit 27 (step S13).

이것에 의해, 휴대 단말(20)을 통해서, 오퍼레이터와 직접 대화를 할 수 있다. 이어서, 오퍼레이터와의 일련의 대화가 종료된 후, 지령 송신부(22)는 제어반(15)에 대해서, 엘리베이터 칸(13)의 동작을 재개시키는 동작 지령을 송신한다(스텝 S14). Thus, the operator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portable terminal 20 via the portable terminal 20. Subsequently, after the series of conversations with the operator is completed, the command transmission section 22 transmits an operation command to the control panel 15 to resume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13 (step S14).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휴대 단말은, 정보 센터에 대해서, 동작 지령의 송신 허가를 요구하고, 정보 센터는 송신 허가를 요구받은 경우에, 엘리베이터의 보수 관련 정보를 기억한 기억부를 참조하여, 송신 허가를 주어도 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휴대 단말은 송신 허가가 얻어진 경우에,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에 대해서 동작 지령을 송신하여, 엘리베이터를 구동시킨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portable terminal requests permission to transmit an operation command to the information center, and when the information center requests the transmission permission, the portable terminal refers to the storage unit storing the maintenance-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ransmission permission can be given. When the portable terminal obtains transmission permission,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s an operation command to the elevator control panel to drive the elevator.

그 때문에, 시큐리티를 확보한 다음, 용이하게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을 행할 수 있다. Therefore, after securing the security, it is possible to easily confirm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또, 신설 또는 리뉴얼한 엘리베이터를 유저에게 인도할 때, 영업 부문의 작업원이더라도, 휴대 단말을 이용함으로써, 유저가 엘리베이터 칸에 탑승한 상태에서, 실제 기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유저에게 동작 확인을 받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유저에게 있어서 충분한 취급 설명을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new or renewed elevator is delivered to a user, even in the case of a worker in a sales department, by using a mobile terminal, the user can easily confirm operation of the elevator with the actual device It is possible to give a sufficient handling explanation to the user.

또, 지금까지는, 보수 계약을 체결함으로써 가능해지고 있던 갇힘 구출 운전을,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칸 내와 동등한 환경을 만들어 냄으로써, 유저에게 설명할 수 있으므로, 유저에 대해서, 보수 계약을 체결하는 것에 의한 메리트를 충분히 어필할 수 있다.In the meantime, until now, it is possible to explain to the user by creating an environment equivalent to that in the elevator car by using the portable terminal, which has become possible by concluding a maintenance contract, The me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appealed.

Claims (6)

구조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와,
작업원이 소지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에 대해서 동작 지령을 송신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를 구동시키는 휴대 단말과,
상기 휴대 단말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정보 센터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정보 센터에 대해서, 상기 동작 지령의 송신 허가를 요구하는 허가 요구부와,
상기 송신 허가가 얻어진 경우에, 상기 제어반에 대해서 상기 동작 지령을 송신하는 지령 송신부를 가지고,
상기 정보 센터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보수 관련 정보를 기억한 기억부와,
상기 송신 허가를 요구받은 경우에, 상기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송신 허가를 주어도 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 시스템.
An elevator installed on the structure,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worker and driving the elevator by transmitting an operation command to the control panel of the elevator;
And an information center for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permission requesting unit for requesting permission to transmit the operation command to the information center;
And a command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the operation command to the control panel when the transmission permission is obtained,
The information center,
A storage unit for storing maintenance-related information of the elevator,
And a judging section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transmission permission can be given with reference to the storage section when the transmission permission is reques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작 지령은, 지진 발생시의 관제 운전, 정전 발생시의 자동 착상 운전 및 화재 발생시의 관제 운전 중 적어도 하나인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command is at least one of a control operation at th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an automatic concealment operation at the occurrence of a power failure, and a control operation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a fir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제어반에 대해서 직접 상기 동작 지령을 송신하는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s the operation command directly to the control panel.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엘리베이터와 상기 정보 센터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정보 센터를 통해서, 상기 제어반에 대해서 상기 동작 지령을 송신하는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s the operation command to the control panel through the information center when the elevator and the information cent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내에 승객이 갇힌 상태를 모의하는 갇힘 모의부를 추가로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further has a pinned simulator for simulating a state in which a passenger is trapped in a car of the elevator.
구조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와, 작업원이 소지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에 대해서 동작 지령을 송신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를 구동시키는 휴대 단말과, 상기 엘리베이터의 보수 관련 정보를 기억한 기억부를 가지고, 상기 휴대 단말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정보 센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정보 센터에 대해서, 상기 동작 지령의 송신 허가를 요구하는 허가 요구 스텝과,
상기 송신 허가를 요구받은 경우에, 상기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송신 허가를 주어도 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스텝과,
상기 송신 허가가 얻어진 경우에, 상기 제어반에 대해서 상기 동작 지령을 송신하는 지령 송신 스텝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 방법.
An elevator installed in the structure,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worker and driving an elevator by transmitting an operation command to a control panel of the elevator, and a storage unit storing information relating to maintenance of the elevator, And an information center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vator and the elevator,
A permission request step of requesting the information center to permit transmission of the operation command from the portable terminal;
A determination step of, when the transmission permission is requested, referring to the storage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transmission permission can be given;
And a command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operation command to the control panel when the transmission permission is obtained.
KR1020187007369A 2015-09-30 2016-09-27 Elevator operation check system and operation check method KR10212113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93030A JP6592826B2 (en) 2015-09-30 2015-09-30 Elevator operation confirmation system and operation confirmation method
JPJP-P-2015-193030 2015-09-30
PCT/JP2016/078498 WO2017057383A1 (en) 2015-09-30 2016-09-27 Elevator operation check system and elevator operation check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708A true KR20180041708A (en) 2018-04-24
KR102121133B1 KR102121133B1 (en) 2020-06-26

Family

ID=58427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7369A KR102121133B1 (en) 2015-09-30 2016-09-27 Elevator operation check system and operation check method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6592826B2 (en)
KR (1) KR102121133B1 (en)
CN (1) CN108025888B (en)
DE (1) DE112016004475T5 (en)
WO (1) WO201705738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11595B2 (en) * 2018-11-29 2022-08-02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Work management system
CN114981193A (en) * 2020-01-31 2022-08-30 三菱电机大楼技术服务株式会社 Disaster training device for elevator for performing training in case of disaster, and elevator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3750A (en) * 2001-08-27 2003-03-05 Toshiba Elevator Co Ltd Security system for elevator maintenance tool, portable terminal loaded on maintenance tool and monitoring center device
JP2006131325A (en) * 2004-11-04 2006-05-25 Mitsubishi Electric Corp Existing elevator remote specification examination system
JP2008517855A (en) * 2004-11-01 2008-05-29 コネ コーポレイション Remote control of elevator
JP2008265935A (en) 2007-04-19 2008-11-06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simulator device and elevator simul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0152A (en) * 2000-08-11 2002-02-26 Toshiba Elevator Co Ltd Remote control system for elevator, content server, and remote control method for elevator
JP2005035759A (en) * 2003-07-17 2005-02-10 Mitsubishi Electric Corp Maintenance system of elevator
JP4668186B2 (en) * 2004-04-06 2011-04-13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equipment
CN1911771B (en) * 2005-08-10 2010-05-12 株式会社日立建筑系统 Elevator mainteinance repair system
JP2010280457A (en) * 2009-06-02 2010-12-16 Toshiba Elevator Co Ltd Console add-on type control device for elev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3750A (en) * 2001-08-27 2003-03-05 Toshiba Elevator Co Ltd Security system for elevator maintenance tool, portable terminal loaded on maintenance tool and monitoring center device
JP2008517855A (en) * 2004-11-01 2008-05-29 コネ コーポレイション Remote control of elevator
JP2006131325A (en) * 2004-11-04 2006-05-25 Mitsubishi Electric Corp Existing elevator remote specification examination system
JP2008265935A (en) 2007-04-19 2008-11-06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simulator device and elevator simul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025888A (en) 2018-05-11
CN108025888B (en) 2020-03-03
WO2017057383A1 (en) 2017-04-06
JPWO2017057383A1 (en) 2018-06-28
JP2018095325A (en) 2018-06-21
DE112016004475T5 (en) 2018-06-21
KR102121133B1 (en) 2020-06-26
JP6592826B2 (en)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70974A1 (en) Elevator device and elevator recovery method
EP3432552B1 (en) Service tool proximity detection
CN107879204B (en) Elevator system with lockout mode
JP2016055981A (en) Emergency respons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elevator
JP7224123B2 (en) Service tool function availability adjustment system and service tool function availability adjustment method
CA2924178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elevator control device
JP2007238202A (en) Maintenance/inspection management system
KR20180041708A (en) Elevator operation confirmation system and operation confirmation method
JP2014181128A (en)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elevator
JP4223252B2 (en) Elevator hibernation certification system
JP2006264810A (en) Emergency communication function inspection system for elevator
JP6765489B2 (en) Elevator operation check system and operation check method
JP6624518B2 (en) Remote monitoring operation confirmation system for lifting equipment
JP7412316B2 (en) Elevator call registration method and elevator system
KR20190109928A (en) System for remotely managing elevator group
CN113044683A (en) Remote operation of an elevator
JP2008120581A (en) Remote monitoring system of elevator
CN112938682A (en) Remote operation of an elevator
US11444937B2 (en) Deployment of a device
JP6987901B2 (en) Remote monitoring support device
KR102469078B1 (en) Passenger rescue system using emergency call device
JP5961538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vailability of remote operation
JP6866961B1 (en) Elevator disaster training equipment and elevator systems that provide training in the event of a disaster
JP2007331876A (en) Telephone call system for elevator
KR20180129004A (en) Method of Recognizing Elevator Car Nomber at Remote Customer Ce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