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1345A - Training device for intensifying laryngeal pressure - Google Patents

Training device for intensifying laryngeal press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1345A
KR20180041345A KR1020160133361A KR20160133361A KR20180041345A KR 20180041345 A KR20180041345 A KR 20180041345A KR 1020160133361 A KR1020160133361 A KR 1020160133361A KR 20160133361 A KR20160133361 A KR 20160133361A KR 20180041345 A KR20180041345 A KR 20180041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pressure
swallowing
tension bar
resistive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33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호춘
이현희
김명춘
원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Priority to KR1020160133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1345A/en
Publication of KR20180041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34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1/00Massage devices for cavities of the body, e.g. nose, ears and anus ; Vibration or percussion related aspects A61H23/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ometry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feedback training device for measuring jaw resistive exercise to strengthen larynx rise by using a resistive exercise tension bar. The training device is lowered below the jaw to induce larynx rise, and resistive exercise is induced. After pressure of a film-type pressure sensor attached to the resistive exercise tension bar is measured and analyzed, bio-feedback is possible through a game. More specifically, after the resistive exercise tension bar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jaw, force of a resistive exercise change for lowering the resistive exercise tension bar is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and is converted into a digital value to recognize a pressure change of the jaw in a control module. The control module measures the pressure and then transfers data in a measuring and displaying program of an android environment. A measuring and evaluating program measures and evaluates the intensity of pressure for lowering the training device below the jaw.

Description

후두 상승 강화 훈련장치{Training device for intensifying laryngeal pressure}{Training device for intensifying laryngeal pressure}

본 발명은 저항운동 텐션바를 이용하여 후두상승 강화를 위한 턱 저항운동 측정 및 바이오피드백 훈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후두상승을 유도하기 위해 턱의 아래로 내리며 저항운동을 유도하며, 저항운동 텐션바에 부착된 필름형 압력센서의 압력을 측정 분석한 후 게임을 통한 바이오피드백 가능한 훈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항운동 텐션바를 턱 밑에 부착한 후 아래로 내리는 저항운동 변화의 힘을 압력센서에서 측정한 후 턱의 압력 변화를 제어모듈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디지털값으로 변환되며, 제어모듈은 압력을 측정한 후 데이터를 안드로이드 환경의 측정 및 표시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측정 및 평가 프로그램은 턱의 아래로 내리는 압력의 세기를 측정 및 평가하며, 또한, 게임을 통한 바이오피드백이 가능한 형태의 후두상승 강화 훈련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aw resistance exercise measurement and biofeedback training apparatus for enhancing the laryngeal elevation by using a resistance exercise tension bar, which induces resistance movement downward from the jaw to induce laryngeal elev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ining device capable of biofeeding through a game after measuring and analyzing pressure of a film type pressure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ining device capable of biofeedback through a game, The control module converts the pressure change into a digital value so that the control module can recognize the pressure change of the rear jaw. The control module measures the pressure and transmits the data in the measurement and display program of the Android environment. The measurement and evaluation program relates to a device for measuring and evaluating the intensity of pressure dropping down the jaw, and also capable of biofeedback through a game.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1-007750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삼킴 장애(dysphagia, 연하장애)는 음식을 먹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포괄적으로 일컫는 용어로서, 뇌졸중, 중추 신경 및 말초 신경의 퇴행성 질환, 외상성 뇌질환, 두경부 종양, 근육 질환 등의 환자들에게 발생한다.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11-0077503, dysphagia is a term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difficulty in eating a food, and includes a stroke, a degenerative disease of the central nervous and peripheral nerves, a traumatic brain Diseases, head and neck tumors, and muscle disorders.

뇌졸중 환자의 경우, 적게는 29%, 많게는 64%에 달하기까지 삼킴장애가 발생하며, 파킨슨 환자의 경우 81%까지 삼킴 장애가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삼킴 장애를 직접적으로 유발하지 않는 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환자의 전반적인 인지 및 몸 상태나, 기도 삽관 또는 기관 절개 시술 등의 외부적인 영향으로 음식을 제대로 못 삼키는 삼킴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같은 경우, 질환 및 원인 별로 정도 차이가 있으나, 삼킴 장애가 있는 경우 흡인, 폐렴, 탈수, 영양실조 등의 원인이 되고, 급기야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사망에 이를 수 있다.In stroke patients, up to 29% and as many as 64% of patients have swallowing difficulties, and Parkinson's patients have up to 81% of swallowing disorders.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diseases that do not directly cause swallowing disorders, swallowing difficulties can occur due to external influences such as general cognition and physical condition of the patient, or airway intubation or tracheostomy. In such cases, there is a degree of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isease and the cause, but in case of swallowing disorder, it causes aspiration, pneumonia, dehydration, malnutrition, etc., and these problems can lead to death.

삼킴 장애는 음식물을 입에 넣고, 씹으며, 침과 섞여 덩어리를 형성하고 이를 인두강으로 밀어 넣는 구강 단계, 인두강으로 유입된 음식물이 연구개 거상 운동, 설골-갑상연골 거상 운동(hyo-laryngeal excursion), 인두강 연동운동 (pharyngeal peristalsis), 상부 식도 괄략근(upper esophageal sphincter) 이완 등 여러 인두강 내부 구조들이 정교하게 협응을 이루는 일련의 움직임을 통해 식도 초입에 이르게 되는 인두강 단계, 마지막으로 상부 식도 괄략근의 이완을 통해서 식도 내로 음식물이 유입되는 유입단계로 구성된다.Dysphagia is an oral phase in which food is put into the mouth, chewed, mixed with acupuncture to form a mass, which is pushed into the mouth of the pharynx, and the food introduced into the pharynx is called the hyo-laryngeal The pharyngeal stage, which leads to the esophagus entry through a series of coordinated movements of the pharyngeal internal structures of the pharynx, including excursions, pharyngeal peristalsis, and upper esophageal sphincter relaxation, And an inflow phase in which the food enters the esophagus through the relaxation of the upper esophageal sphincter.

이 중 구강 단계는 육안으로 관찰 가능한 단계여서 특수 장비 없이 비교적 정확한 평가가 가능하나, 인두강 단계의 경우, 삼키는 동작 중 겉으로 미세하게 보이고 느껴지는 목의 움직임밖에 없어, 특수 검사 장비가 있어야 정확한 구조나 기능을 확인 할 수 있다.In the oral phase, the oral phase can be observed with the naked eye, so that it can be evaluated relatively accurately without special equipment. However, in the case of the pharyngeal phase, there is only the movement of the throat that looks and feels fine on the surface during swallowing. can confirm.

종래의 일반적인 삼킴 장애 측정 장치로는 비디오 투시 조영 검사 장치(Video 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VFSS)와 비디오 내시경 검사 장치(Fiberoptic Endoscopic Evaluation of Swallowing, FEES)가 있다. 비디오 투시 조영 검사 장치는 엑스레이(x-ray)를 이용하여 형광 스크린(fluorescent screen)에 투시되는 영상을 기록하는 것으로, 삼킴에 관여하는 해부학적 구조를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으며, 삼키는 동작을 하면서 기능적인 이상 여부를 평가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비디오 내시경 검사 장치는 유연한 내시경(flexible endoscope)을 코를 통해 삽입하여 음식물을 삼키기 전과 삼킴 후의 인두강 내 구조를 관찰하는 것으로, 실제 삼킴이 이루어질 때의 구강 및 인두강 기능은 확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Conventional general dyspnea measuring devices include Video 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VFSS) and Fiberoptic Endoscopic Evaluation of Swallowing (FEES). The video fluoroscopic examination apparatus records an image that is viewed on a fluorescent screen using an x-ray, and can visually confirm the anatomy involved in swallowing. And is used to evaluate whether or not it is abnormal. Video endoscopy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function of the oral and pharyngeal muscles can not be confirmed when actual swallowing is performed by inserting a flexible endoscope through the nose to observe the structure of the pharyngeal cavity before and after swallowing food .

이러한 종래의 삼킴 장애 측정 장치로는 임상에서 사용하는데 몇 가지 제약점들이 있다. 첫째, 종래의 삼킴 장애 측정 장치는 규모가 크고 상당히 고가이면서, 주 목적이 삼킴 장애만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들이 아니며, 영상의학과, 이비인후과 등의 협력 없이는 장치를 구축하고,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인해, 소규모 병원이나, 삼킴 장애를 다루는 기관들에서 제대로 된 삼킴 장애 검사를 시행하지 못하여, 많은 삼킴 장애 환자들이 간과되거나, 정확한 평가 없이 삼킴장애 치료만 시행하고 있는 경우가 빈번하다.Such a conventional apparatus for measuring swallowing disturbance has some limitations in clinical use. First, the conventional swallowing disturbance measuring device is large in size and extremely expensive, and is not a device for measuring only the swallowing disorder of the main purpose.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and use the device without collaboration with the department of radiology and otorhinolaryngology. Due to the inability to carry out proper swallowing disorder tests in small hospitals or institutions dealing with swallowing disorders, many patients with swallowing disorders are often overlooked or have only swallowing disorder treatment without accurate evaluation.

둘째, 비디오 투시 조영 검사 장치나 비디오 내시경 검사 장치를 활용할 수 있는 여건이 되더라도, 비디오 투시조영 검사 장치의 경우 방사선 노출이 있고, 비디오 내시경 검사 장치의 경우 코로 내시경을 집어넣는 침습적인 방법으로, 비교적 단시간 내에 삼킴 검사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각 환자들의 일상 생활에서의 삼킴 장애 특성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Second, even if it is possible to utilize a video fluoroscopic examination apparatus or a video endoscopic examination apparatus, it is an invasive method in which a video fluoroscopic examination apparatus is exposed to radiation and a video endoscopic examination apparatus is inserted into a nose endoscope, ,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swallowing disorder in daily life of each patient.

한편, 종래의 삼킴 장애 치료 방법으로 설골-후두 거상운동 저하, 식도 이완력 저하 소견을 보이는 삼킴 장애 환자들에게 전기 자극을 주어 치료를 하는 방법으로서, 경피적 전기 자극법(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TES)과 신경근육 전기 자극법(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NES)이 있다.On the other hand,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TES) and neuropsychiatric treatment have been reported as methods of treating electrical disturbance in patients with swallowing impairment with hydrocephalus-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NES).

경피적 전기 자극법은 기능적인 과제(functional task)를 수행하면서 손상된 부위 피부에 전기 자극을 주어 그 아래 신경과 근육을 자극하고자 하는 재활의학과적인 운동 치료방법이다. 이러한 경피적 전기 자극법은 목 표면에 전기 자극을 주며 삼킴을 유도하여 삼킴 장래를 치료하는 것이다. 그러나, 경피적 전기 자극법은 위축되거나 신경 손상된 근육 치료에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근육의 실제적인 수축을 야기하지는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Per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is a rehabilitative medical therapy method that performs functional tasks while stimulating the underlying nerves and muscles by apply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damaged skin. This percutaneous electric stimulation method is to treat swallowing by inducing swallowing by giv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neck surface. However, per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can be used to treat atrophied or nerve injured muscles, but it does not cause actual contraction of these muscles.

신경근육 전기 자극법은 신경학적으로 손상이 있는 근육 중 조금이라도 신경 분포와 그 기능이 남아 있는 근육에 전기 자극이 작용하여 근육 수축을 유발하며, 이를 반복적으로 작용하면서 근육의 힘을 증진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신경근육 전기 자극법은 삼킴 장애 치료에 응용이 되어, 삼킴에 작용하는 목의 외근에 전극을 붙여 삼키는 동작을 반복하며 삼킬때의 근육 운동을 증진 시킨다. 신경근육 전기 자극법으로 삼킴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삼킴과 관여하는 목의 외근 중에 어떠한 근육을 자극할지, 어떠한 패턴으로 자극을 주어야할 지를 고려하여 만든 삼킴 장애 치료 장치로 Chattanooga Vital STim이 있다.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is a method of stimulating muscle contraction by acting on the muscles that have neurologically damaged muscles and the muscles that have some function of nerve distribution and their function. This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method is applied to the treatment of swallowing disorder, and it attaches electrodes to the outer neck of swallowing, and repeats the swallowing action and improves muscle movement when swallowing. Chattanooga Vital STim is a treatment device for swallowing disorders, which is designed to stimulate muscles or stimulate in any pattern in the neck of the throat, which is involved in swallowing for the purpose of treating swallowing disorder by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경피적 전기 자극법과 신경근육 전기 자극법 등의 삼킴 장애 치료 방법은 그 치료 방법의 적절성이나 효과 등을 모니터링을 할 수 없어, 구강 단계에 문제가 있는 환자들의 경우, 치료의 적절성 여부, 환자의 반응, 목표 기능의 호전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으나, 인두강 단계의 장애에 기인한 삼킴 장애 치료의 경우, 치료가 저하된 인두강 기능에 적절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 치료의 효과 등을 치료 과정 중에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conventional percutaneous electric stimulation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treatment methods for treating swallowing disorders can not monitor the adequacy and effect of the treatment method, and thus, in the case of patients having oral phase problems, The patient's response and target function improvement can be visually confirmed. However, in the case of swallowing disorders caused by disorders of the pharyngeal stroma, whether the treatment has a proper effect on the pharyngeal fun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immediately confirmed during the treatment process.

그리고, 또한, 1. 연하곤란이란And, in addition, 1. difficulty in swallowing

- 구강 내의 음식물을 위장관까지 전달하는 일련의 기능으로서 신경계 질환이나, 연부조직들의 구조적인 문제, 정신적인 문제 등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 It is a series of functions to deliver food in the oral cavity to the gastrointestinal tract. It is caused by various causes such as neurological diseases, structural problems of soft tissues, and mental problems.

- 연하 장애 빈도는 재활의학과 입원 환자 중 32%에서 발생- Dysphagia frequency occurred in 32% of hospitalized patients in rehabilitation department

- 뇌졸중 환자의 50∼75% 가량이 연하 장애를 보임- 50 to 75% of stroke patients have dysphagia

- 심각하고 흔한 문제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음- Known as one of the most serious and common problems

2. 연하곤란 환자의 진단을 위해서는 자세한 병력과 침상에서의 이학적 검사가 가장 중요2. For the diagnosis of dysphagia patients, detailed history and physical examination on the bed are most important

3. 어떤 음식물을 섭취하게 하고 어떤 치료를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할 지 등에 관해 보다 객관적이고도 정량적인 검사가 필요3. More objective and quantitative tests are needed to determine which foods are most likely to be ingested and which treatment is most appropriate.

4. 이에 비디오 투시검사, 핵의학적 검사, 내시경 검사, 근전도 검사, 동작분석기를 이용한 검사 등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4. There are various methods such as video surveillance, nuclear medical examination, endoscopy, electromyography, motion analyzer

5. 이들 중 비디오 투시검사가 가장 정확하고 객관적인 검사로 널리 이용5. Of these, video fluoroscopy is the most accurate and objective test widely used

- 검사 시 제반 시설이 필요하고 방사선 피폭에 대한 위험- All facilities need to be inspected and the risk of radiation exposure

-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검사하기 어려운 면이 있음.- Sometimes it is difficult to examine patients who have difficulty in moving.

6. 연하장애는 뇌졸중이나 중추신경의 종양, 염증, 퇴행성 변화 등으로 신경의 이상이 생긴 환자에서 호발함. 6. Swallowing disorders are common in patients with neurological abnormalities due to stroke, central nervous system tumors, inflammation, degenerative changes, and so on.

7. 각종 사고나 대사성 질환, 내분비 계통의 이상 등에 의해 말초신경의 이상이 생긴 환자나, 구강이나 인후부 등 두경부에 생긴 종양으로 인해 수술을 받은 환자에게서 주로 발생. 7. It usually occurs in patients who have peripheral nerve abnormalities due to various accidents, metabolic diseases, endocrine system disorders, or patients who have undergone surgery due to tumors of the head and neck, such as mouth or throat.

8. 다양한 질환의 증가에 따라 연하장애 환자도 증가추세8. Patients with dysphagia also increased with various diseases

9. 연하 과정은 구강기, 인두기, 식도기로 구성9. The swallowing process consists of the oral cavity, the iron, and the esophagus.

10. 인두기는 인두에 있는 음식물을 남기지 않고 식도기로 이동시킴10. The iron moves to the esophagus without leaving food in the pharynx.

- 이때 후두상승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됨- Laryngeal elev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at this time.

11. 후두상승이 저하되어 연하 장애가 있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11. If the laryngeal elevation is reduced and there is a dysphagia, the following problems may occur.

- 뇌졸중 환자들과 같은 중추신경 환자들은 체간과 사지의 마비- Central nervous system patients, such as stroke patients,

- 연하장애가 빈번하게 발생- frequent swallowing disorders

- 후두상승이 감소되는 경우를 자주 관찰- Frequent occasions when decreased laryngeal elevation is observed

- 후두상승 감소는 후두 근육의 약화로 발생- Reduction of laryngeal elevation is caused by weakening of laryngeal muscles.

- 이럴 경우 상부식도괄약근이 열리지 못함- In this case, upper esophageal sphincter could not be opened

- 후두덮개가 닫히지 못함- larynx lid not closed

- 기도 보호의 능력이 저하되어 폐렴의 합병증을 초래- The ability of airway protection to deteriorate resulting in pneumonia complications

- 두경부 암으로 수술을 시행한 대부분의 환자에서 연하장애 증상- In most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head and neck cancer,

- 이들 환자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적으로 장애 상태에 적응- These patients will naturally adapt to the disability over time

- 평생 동안 구강을 통한 식사를 하지 못하고, 관급식을 유지해야 하는 경우도 많다. - In many cases, it is not possible to eat a meal through the mouth for a lifetime, and the tube feed should be maintained.

12. 연하 과정 중 인두기에 폐로 음식물이 흡인되는 것을 막아주는 기도 보호의 기능은 매우 중요하며, 특히 후두상승 움직임이 저하된 경우 역시 폐렴의 합병증을 초래하게 된다.12. The function of airway protection to prevent aspiration of food into the lungs during swallowing is very important, especially when the movement of the laryngeal elevation is decreased, resulting in pneumonia complications.

13. 현재 국내에서는 후두상승 강화 훈련으로 침상에 누워서 실시하는 쉐이커 운동을 주로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 운동은 노인 환자와 중증연하곤란환자(기관절재술환자)들에게 힘든 운동이며 새로운 자세와 운동이 필요하다는 문헌들이 보고된다. 이에 국외에서는 국내에서 실시하는 쉐이커 운동 대신 노인환자와 중증연하곤란환자들도 편리하게 시행할 수 있는 아래턱 저항 운동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진단뿐 아니라 치료에도 적용되어 그 효과를 입증하는 단계로 진행하고 있다. 향후 후두상승 강화 치료기가 국내에서 개발될 경우 아래턱 저항운동을 이용하여 환자들의 후두상승 장애를 진단 및 치료하는 보조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13. Currently, in Korea, the larynx is strengthened and the shaker exercise is carried out by lying on the bed. However, this exercise is a difficult exercise for elderly patients and patients with severe swallowing difficulties (tracheostomy patients) and reports that new posture and exercise are needed. In addition to the shaker movement in Korea, studies on the lower jaw resistance exercise that can be conveniently performed for elderly patients and patients with severe swallowing difficulties have been progressing actively. . When the laryngeal enhancement therapy is developed in Korea, it can be used as an assistant method to diagnose and treat the laryngeal elevation disorder of the patients by using the lower jaw resistance exercise.

14. 현재 국외에서 개발된 아래턱 저항운동을 통한 후두상승 강화 치료기는 저항이 일정하여 중증환자들의 아래턱 저항운동 시행이 어려운 상태이며, 환자 자신이 정확한 아래턱 운동을 유지하고 있는지와 정량적으로 얼마나 호전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없다. 14. Currently developed overseas, the lower extremity strengthening therapy through the lower jaw resistance exercise is difficult to perform the lower jaw resistance exercise for the severe patients with constant resistance, and it is necessary to know whether the patient maintains the correct lower jaw movement and how much it has improved quantitatively Can not confirm.

15. 이에 좀 더 다양한 저항단계를 설정하고 수치적으로 확인 가능한 후두상승 강화 치료기를 제작한다면 환자 본인이 좀 더 쉽고 정확한 방향으로 운동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가용성이 높고 아래턱의 압력을 모니터에 실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할 수 있을 경우 아래턱 압력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생체되먹임 방법을 통해 후두 상승 강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15. It is expected that the patient will be able to perform the exercise more easily and precisely by setting up a more variable resistance stage and producing a numerically ascertainable laryngeal enhancement treatment device. In the future, when a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the pressure of the lower jaw to the monitor in real time can be developed, the laryngeal elevation effect can be achieved through the biofeedback method for visually confirming the lower jaw pressur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요망에 부응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후두상승을 유도하기 위해 턱의 아래로 내리며 저항운동을 유도하며, 저항운동 텐션바에 부착된 필름형 압력센서의 압력을 측정 분석한 후 게임을 통한 바이오피드백 가능한 훈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항운동 텐션바를 턱 밑에 부착한 후 아래로 내리는 저항운동 변화의 힘을 압력센서에서 측정한 후 턱의 압력 변화를 제어모듈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디지털값으로 변환되며, 제어모듈은 압력을 측정한 후 데이터를 안드로이드 환경의 측정 및 표시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측정 및 평가 프로그램은 턱의 아래로 내리는 압력의 세기를 측정 및 평가하며, 또한, 게임을 통한 바이오피드백이 가능한 형태의 후두상승 강화 훈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easuring pressure of a film type pressure sensor attached to a resistance movement tension ba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feedback training apparatus capable of measuring the force of a resistance movement change which is applied to a lower portion of a resistance exercise tension bar, And the control module measures the pressure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measurement and display program of the Android environment. The measurement and evaluation program is for measuring and evaluating the intensity of pressure dropping down the jaw, and also for providing a biofeedback through game.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삼킴반사 촉진자극 장치는, 진동 자극 제어용 본체인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 내의 진동자극 전달축을 매개로 일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 스텐레스 스틸 재질의 구강자극 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wallow reflection stimulating stimul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rised of a handle which is a main body for controlling a vibration stimulation and a mouth stick of stainless steel which is detachably connected to one end via a vibration stimulation transmission shaft in the handle .

상기 손잡이에는 그 내부에 솔레노이드와 솔레노이드 진동축에 의해 8㎐, 16㎐, 24㎐로 진동하도록 하는 진동세기 조절 버튼과,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버튼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andle is provided with a vibration intensity control button for vibrating the solenoid and the solenoid vibration axis at 8 Hz, 16 Hz, and 24 Hz, and a power button for applying power.

상기 구강자극 스틱은, 원뿔 형상의 탈부착부와, 상기 탈부착부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 형성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 연결 형성되어 구강 내의 혀에 터치되는 직경 10㎜ 또는 12㎜의 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ral stimulation stick comprises a conical detachable attachment portion, a wire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inside of the detachable attachment portion, and a ball having a diameter of 10 mm or 12 mm, which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ire and is touched by a tongue in the mouth .

본 발명의 후두 상승 강화 훈련장치에 의하면, 저항운동 텐션바를 턱 밑에 부착한 후 아래로 내리는 저항운동 변화의 힘을 압력센서에서 측정한 후 턱의 압력 변화를 제어모듈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디지털값으로 변환되며, 제어모듈은 압력을 측정한 후 데이터를 안드로이드 환경의 측정 및 표시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측정 및 평가 프로그램은 턱의 아래로 내리는 압력의 세기를 측정 및 평가하며, 또한, 게임을 통한 바이오피드백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larynx-based strengthening trai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pressure of the resistance movement change force which is applied to the lower part of the lower limb after attaching the resistance movement tension bar to the lower limb is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a digital value And the control module measures the pressure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measurement and display program of the Android environment. The measurement and evaluation program measures and evaluates the intensity of the pressure dropping down the jaw, and also enables biofeedback through the game.

도 1은 본 발명의 저항운동 텐션바를 이용하여 후두상승 강화를 위한 턱 저항운동 측정 및 바이오피드백 훈련 장치를 도시한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저항운동 텐션바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사이즈별 텐션바 장치를 도시한 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턱 저항운동 측정을 위한 압력센서의 측정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후두상승 강화를 위한 턱 저항운동 측정 프로그램 및 분석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후두상승 강화를 위한 바이오피드백 훈련장치의 등장성 게임 프로그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후두상승 강화를 위한 바이오피드백 훈련장치의 등척성 게임 프로그램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hotograph showing a jaw resistance exercise measurement and biofeedback training apparatus for strengthening the larynx using the resistance exercise tension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hotograph showing a tension bar device for each size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resistance movement tension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principle of measurement of the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the jaw resistance m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 jaw resistance exercise measurement program and analysis algorithm for enhancing the laryngeal ele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an isochronous game program of the biofeedback training apparatus for enhancing the larynx ele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howing an isometric game program of the biofeedback training apparatus for enhancing the larynx ele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rawing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in other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And certain features shown in the drawings are to be enlarged or reduced or simplified for ease of explanation, and the drawings and their components are not necessarily drawn to scale.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se detail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 and / or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또한, '전면', '후면', '상면', '하면' 등과 같은 도면에 보이는 것을 기준으로 기술된 상대적인 용어들은 '제1', '제2' 등과 같은 서수들로 대체될 수 있다.In addition, relative terms described on the basis of what is shown in the drawings such as 'front', 'rear', 'top', 'under', etc. may be replaced with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제1', '제2' 등의 서수들에 있어서 그 순서는 언급된 순서나 임의로 정해진 것으로서, 그 순서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The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arbitrarily set in the order mentioned, and the order may be arbitrarily changed as necessary.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실시예][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저항운동 텐션바를 이용하여 후두상승 강화를 위한 턱 저항운동 측정 및 바이오피드백 훈련 장치를 도시한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저항운동 텐션바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사이즈별 텐션바 장치를 도시한 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턱 저항운동 측정을 위한 압력센서의 측정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후두상승 강화를 위한 턱 저항운동 측정 프로그램 및 분석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후두상승 강화를 위한 바이오피드백 훈련장치의 등장성 게임 프로그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후두상승 강화를 위한 바이오피드백 훈련장치의 등척성 게임 프로그램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photograph showing a jaw resistance exercise measurement and biofeedback training apparatus for enhancing the laryngeal elevation using the resistance exercise tension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the principle of measurement of the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the jaw resistance m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jaw resistance exercise measurement program and analysis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isochronous game program of a biofeedback training apparatus for enhancing the larynx ele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graph showing an isometric view of the biofeedback training apparatus for enhancing the larynx ele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game program.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후두 상승 강화 훈련장치는,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턱 압력 측정기기와, 상기 턱 압력 측정기기에 장치된 필름압력센서와, 상기 턱 압력 측정기기가 접촉 연결되어 일측은 턱에 접촉되어 턱 압력을 측정하도록 되고, 타측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대략 디귿자형상으로 된 저항운동 텐션바로 이루어진다. 1 to 6, the larynxal strengthening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jaw pressure measurement device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a film pressure sensor provided in the jaw pressure measurement device, The jaw pressure measuring device is in contact with 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jaw to measure the jaw pressure. The other side of the jaw pressure measuring device is made of a resistive motion tension bar having a substantially diagonal shape so as to be held by hand.

상기 저항운동 텐션바는 두께 3㎜, 5㎜, 7㎜로 되어 있다.The resistance movement tension bar has a thickness of 3 mm, 5 mm, and 7 mm.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후두 상승 강화 훈련장치는, 후두상승을 유도하기 위해 턱의 아래로 내리며 저항운동을 유도하며, 저항운동 텐션바에 부착된 필름형 압력센서의 압력을 측정 분석한 후 게임을 통한 바이오피드백 가능한 훈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항운동 텐션바를 턱 밑에 부착한 후 아래로 내리는 저항운동 변화의 힘을 압력센서에서 측정한 후 턱의 압력 변화를 제어모듈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디지털값으로 변환되며, 제어모듈은 압력을 측정한 후 데이터를 안드로이드 환경의 측정 및 표시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측정 및 평가 프로그램은 턱의 아래로 내리는 압력의 세기를 측정 및 평가하며, 또한, 게임을 통한 바이오피드백이 가능하다. The laryngeal strengthening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easures the pressure of the film type pressure sensor attached to the resistance movement tension bar by inducing resistance movement downwardly of the jaw to induce laryngeal ris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feedback capable training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a change in a pressure of a jaw after measuring a force of a resistance movement change which is caused by attaching a resistance movement tension bar under the jaw and then downward, The control module measures the pressure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measurement and display program of the Android environment. The measurement and evaluation program measures and evaluates the intensity of the pressure dropping down the jaw, and also enables biofeedback through the game.

하기 그림 1은 도 3의 알고리즘에 대한 그래프이다.FIG. 1 is a graph of the algorithm of FIG.

[그림 1][Figure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하기 [그림 2]은 도 4의 그래프에 대한 부호의 설명이다. [Figure 2] is a 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for the graph of Figure 4.

[그림 2][Figure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후두 상승 강화 훈련장치를 이용하여 후두 상승 강화를 위한 등장성 게임(도 5)을 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A process of making an isotopic game (FIG. 5) for strengthening the larynx using the above-described laryngeal strengthening trai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즉 설정값은 조절 가능한 목표 횟수(기본 15회)와 목표제시값(%)이다. 그리고 반복 시간은 2초 동안 온(ON)되고, 2초 동안 오프(OFF)되도록 한다. That is, the set value is the number of adjustable targets (default 15) and the target presentation value (%). Then, the repetition time is turned on for 2 seconds and turned off for 2 seconds.

상기의 목표제시값은 80%를 기본으로 하며, 목표 시간까지 100%가 달성되면 자동으로 2%씩 증가하여 최대 120%까지 조절되고, 달성율이 50% 미만일 경우 2%씩 감소한다. The above target value is based on 80%, and when 100% is achieved up to the target time, it is automatically increased by 2% and adjusted up to 120%, and when the achievement rate is less than 50%, it is decreased by 2%.

본 발명의 후두 상승 강화 훈련장치를 이용하여 후두 상승 강화를 위하여 등척성 게임(도 6)을 하는 과정을 설명한다.The process of making an isometric game (FIG. 6) for enhancing the laryngeal elevation using the larynx elevation trai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 설정값 : 목표 시간과 목표제시값으로서, 목표시간은 최소 30초, 최대 120초까지 설정 가능하다. 목표제시값(%)은, 최소 30%, 최대 80%까지 설정 가능하고, 50%를 기본으로 한다. - Set value: Target time and target present value, target time can be set to minimum 30 seconds, maximum 120 seconds. The target presentation value (%) can be set to a minimum of 30% and a maximum of 80%, based on 50%.

설정된 목표제시값, 예를 들어 50%가 달성되면 자동으로 1%씩 증가하여 최대 80%까지 조절되고, 만약 달성하지 못하면 1%씩 감소하여 최소 30%까지 조절된다. If a set target goal value, for example 50%, is achieved, it is automatically increased by 1% to 80%, if not achieved, by 1% decrease to a minimum of 30%.

- 향상도 체크 : 최대 60초를 기준으로 최대값 50%ㅁ10%가 유지되면 성공, 벗어나면 실패, 이를 계산하여 점수화한다. - Improvement check: Maximum value is 50% based on maximum 60 seconds. ㅁ Success is calculated when 10% is maintained, failure is calculated when failure occurs, and scor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will be included in the described technical idea.

Claims (1)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턱 압력 측정기기와, 상기 턱 압력 측정기기에 장치된 필름압력센서와, 상기 턱 압력 측정기기가 접촉 연결되어 일측은 턱에 접촉되어 턱 압력을 측정하도록 되고, 타측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대략 디귿자형상으로 된 저항운동 텐션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 상승 강화 훈련장치.













A jaw pressure measuring device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a film pressure sensor mounted on the jaw pressure measuring device, and the jaw pressure measuring devic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jaw to measure the jaw pressure, Wherein the resistance exercise tension bar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diagonal shape.













KR1020160133361A 2016-10-14 2016-10-14 Training device for intensifying laryngeal pressure KR2018004134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361A KR20180041345A (en) 2016-10-14 2016-10-14 Training device for intensifying laryngeal press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361A KR20180041345A (en) 2016-10-14 2016-10-14 Training device for intensifying laryngeal press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345A true KR20180041345A (en) 2018-04-24

Family

ID=62085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3361A KR20180041345A (en) 2016-10-14 2016-10-14 Training device for intensifying laryngeal press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134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920A (en) 2020-09-10 2022-03-17 (재)예수병원유지재단 Tension type training device to strengthen the larynx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7930A (en) * 2006-12-15 2009-09-16 메드트로닉 좀드 인코퍼레이티드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deglutition
JP2012223605A (en) * 2004-08-05 2012-11-15 Sapporo Breweries Ltd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continuous swallowing mo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3605A (en) * 2004-08-05 2012-11-15 Sapporo Breweries Ltd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continuous swallowing motion
KR20090097930A (en) * 2006-12-15 2009-09-16 메드트로닉 좀드 인코퍼레이티드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deglut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920A (en) 2020-09-10 2022-03-17 (재)예수병원유지재단 Tension type training device to strengthen the laryn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0208B2 (en) Screening devices and methods for obstructive sleep apnea therapy
Wheeler-Hegland et al. Submental sEMG and hyoid movement during Mendelsohn maneuver, effortful swallow, and expiratory muscle strength training
EP2740515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and treating dysphagia
US20120089045A1 (en) Measurement system for evaluating the swallowing process and/or for detecting aspiration
Reddy et al. Measurements of acceleration during videofluorographic evaluation of dysphagic patients
Singh et al. The upper oesophageal sphincter
Steele The blind scientists and the elephant of swallowing: A review of instrumental perspectives on swallowing physiology
Sejdic et al. Computational deglutition: Using signal-and image-processing methods to understand swallowing and associated disorders [life sciences]
Rebrion et al. High-resolution cervical auscultation signal features reflect vertical and horizontal displacements of the hyoid bone during swallowing
Hutcheson et al. Expiratory muscle strength training evaluated with simultaneous high‐resolution manometry and electromyography
Crary et al. Basic concepts of surface electromyographic biofeedback in the treatment of dysphagia: A tutorial
Azola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submental surface electromyography and hyo-laryngeal kinematic measures of Mendelsohn Maneuver duration
Morinière et al. Ultrasound analysis of the upper esophageal sphincter during swallowing in the healthy subject
Hughes et al. Effects of 2 resistive exercises on electrophysiological measures of submandibular muscle activity
Wei et al. Change in excitability of cortical projection after modified catheter balloon dilatation therapy in brainstem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a prospective controlled study
KR20180041345A (en) Training device for intensifying laryngeal pressure
CN108024715A (en) For diagnosing and/or monitoring the apparatus and method of dysphagia
Saqulain et al. Swallowing difficulties with tracheostomy: a neuro-rehabilitation perspective
CA2757894A1 (en) Measurement system for evaluating the swallowing process and/or for detecting aspiration
Siwiec et al. Oropharyngeal Dysphagia
Gaziano Behavioral Treatment of Oropharyngeal and Esophageal Disorders
Ng Clinical classification of strength and skill impairments in neurogenic dysphagia.
Streith The effect of swallowing task and visual feedback on submental muscle activity during swallowing.
Burkhead Effect of jaw and tongue position on suprahyoid muscle function during swallowing
LaGorio Effects of swallowing effort on bolus accommodation in healthy elderly individu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