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0072A - 사용자 친화형 개인 정보 보호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친화형 개인 정보 보호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0072A
KR20180040072A KR1020170106903A KR20170106903A KR20180040072A KR 20180040072 A KR20180040072 A KR 20180040072A KR 1020170106903 A KR1020170106903 A KR 1020170106903A KR 20170106903 A KR20170106903 A KR 20170106903A KR 20180040072 A KR20180040072 A KR 20180040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information
image
visualized
present
image incl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0673B1 (ko
Inventor
한종욱
김건우
진승헌
박소희
오선호
최범석
한승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80040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07File encry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사용자 친화형 개인 정보 보호 처리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개인 정보가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개인 정보를 인식하며, 인식된 개인 정보를 비시각화 처리한다. 그리고 비시각화 처리된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친화형 개인 정보 보호 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본 발명은 사용자 친화형 개인 정보 보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망의 확대로 인하여 개인정보의 부정 유출, 오남용, 수집 등의 문제가 증가하면서, 개인 정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매우 높아졌다. 따라서 국내외 수 많은 나라에서 개인정보가 유출되어 남용되는 것을 근절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인 정보 보호법 등이 제정되었다. 개인 정보 보호법에 따르면 금융권 등의 데이터베이스 내 각종 신분증 사본, 계약서, 신청서 등에 포함되어 있는 비정형 데이터에 대한 암호화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암호화 기술 등이 개발되고 있으나, 공공기관이나 은행 또는 회사, 병원 등에서 개인 정보가 기재된 문서나 사진, 예를 들어, 신분증 사본, 계약서, 신청서, 병원 기록 등에 포함되는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출력물, 팩스, 택배 상자의 송장 등의 오프라인 문서 등을 통해서 개인 정보 유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문서에 대한 정보 보호 처리가 요구되고 있는 상태이다.
현재까지 문서나 사진 등에서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사람이 직접 수작업으로 개인 정보를 비시각화 처리를 하고 있는데, 수작업에 의해 비시각화 처리를 하는 경우에는 다시 원래의 개인정보로 복원이 불가능하여 추후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소셜 미디어나 인터넷을 통해 민감한 개인 정보가 포함된 자료의 유통이 활발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개인 정보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개인 정보 보호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 처리 방법은, 개인 정보가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상으로부터 개인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개인 정보를 비시각화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비시각화 처리된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개인 정보가 포함된 문서나 자료 등에서, 개인 정보만을 자동으로 비시각화 처리하여, 개인 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시각화된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에 대해서, 비시각화된 개인 정보를 시각화처리하여 확인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개인정보가 포함된 문서나 영상 등을 배포하거나 사용하는 경우, 민감한 주요 개인정보만을 마스킹하여 가려줄 수 있으므로, 개인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적인 대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쉽게 주요 개인정보만을 비시각처리하여 가려줄 수 있으며, 추후 비시각화된 개인정보를 합법적으로 확인이 필요한 경우에는 실시간적으로 다시 시각화처리를 하여 개인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 처리 개념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 중 암호화 기술을 사용하여 마스킹한 경우의 개인 정보 복원 개념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 처리 방법에서의 정보 복원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 처리 장치의 구조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 처리 개념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카메라나 스캐너와 같은 장치로부터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거나, 디지털 파일 형태로 입력되는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에서 개인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개인 정보를 비시각화 처리하며, 비시각화 처리된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디지털 파일 형태로 출력하거나 하드카피 출력물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은, 신분증 ·여권·신용카드·명함과 같은 물리적 매체, 병원 기록·서류·택배 상자나 우편물의 운송장 등의 문서, 사진, CCTV나 블랙박스 등의 촬영물 (예를 들어, 자동차 번호 등), 디지털 파일(예를 들어, JPEG 파일, MPEG 파일, 문선 파일 등) 등, 개인 정보가 기재되는 다양한 형태의 대상물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개인 정보는 보호하고자 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첨부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개인 정보가 포함된 영상을 획득한다(S100). 예를 들어, 문서, 신분증, 신용 카드, 사진 등의 개인 정보가 기록된 대상물을 카메라와 같은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하여, 대상물의 영상 즉, 개인 정보가 포함된 영상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핸드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금융권이나 통신사 등에 제출하는 개인 정보가 포함된 서류를 촬영하여 개인 정보가 포함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개인 정보가 포함된 영상을 디지털 영상 파일 형태로 입력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개인 정보가 포함된 영상을 획득한 상태에서, 해당 영상으로부터 개인 정보를 인식한다(S110). 예를 들어, 영상에 대한 에지 정보, 형태 정보, 컬러 분포 정보 등을 토대로, 영상에서 개인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며, 또는 영상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영역을 개인 정보가 해당하는 영상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영상에서 개인 정보를 인식하는 방법은 공지된 영상 인식 기술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개인 정보를 인식하는 방법을 이러한 것에 한정시키지 않는다.
영상으로부터 개인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개인 정보를 비시각화 처리한다(S120). 예를 들어, 검정색 사각형 등 단순히 다른 이미지 등으로 개인 정보를 가리는 방법으로 비시각화하는 마스킹(masking)이나, 개인 정보를 암호화하여 비시각화하는 마스킹 등이 가능하다.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인식된 개인 정보를 암호화하는 경우, 암호화 강도에 따라 개인 정보가 흐릿한 형태부터 완전히 랜덤한 이미지 형태까지 마스킹되도록 할 수 있으며, 추후 동일한 암호화키를 사용하여 원래의 개인 정보를 다시 시각화할 수 있다. 원래의 개인정보를 복원하는 시각화 과정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단순히 검정색 사각형 등 다른 이미지 등으로 개인 정보를 덮어 가려주는 방법을 마스킹 기술로 사용할 수 있다.
이후, 비시각화 처리된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생성한다(S130). 단계(S100)에서 획득된 영상에 대응하면서, 개인 정보만이 마스킹에 의해 비시각화 처리된 영상이 생성된다.
이와 같이, 처리된 영상은 출력된다(S140). 구체적으로, 비시각화된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은 디지털 파일 형태로 저장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치로 전송될 수 있으며, 또는, 하드카피 문서 형태로 출력될 수 있으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개인정보가 포함된 대상물(문서, 신분증, 신용카드, 사진 등)을 스마트폰 등의 카메라로 수동 촬영하여 비시각화 처리를 하고자 하는 경우, 대상물로부터 영상 획득시 개인 정보에 해당하는 영상을 바로 획득하여 비시각화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위치를 조절하여 정확하게 개인정보가 존재하는 영역에 맞추게 되면, 즉, 대상물에 대한 카메라의 초점 위치를 조절하여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이 개인 정보가 존재하는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예를 들어, 신청서 등에서 주민 번호가 기재되는 정사각형 영역의 영상)이면, 획득된 개인 정보의 영역에 대하여 비시각화 처리가 수행된다.
이 경우,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별도의 추출 처리를 수행하여 개인 정보가 존재하는 영역을 추출하는 과정과는 달리, 영상 촬영시 개인 정보가 존재하는 영역의 영상이 획득되면 이를 토대로 바로 비시각화 처리가 수행됨으로써, 보다 빠른 개인 정보의 비시각화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위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 처리 방법에서, 전체 과정을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에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비시각화된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으로부터 개인 정보를 복원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 중 암호화 기술을 사용하여 마스킹한 경우의 개인 정보 복원 개념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비시각화된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파일이나 출력물에서 획득되는 영상으로부터, 비시각화된 개인 정보를 선택적으로 추출 및 인식한 다음에 시각화 처리하여, 원래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복원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 처리 방법에서의 정보 복원 과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체적으로, 첨부한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비시각화된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한다(S300). 구체적으로, 비시각화된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나 신분증이나 신용 카드나 사진 등의 대상물을 카메라와 같은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하여, 비각화된 개인 정보가 포함된 영상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위에 기술된 개인 정보 보호 처리 방법에 따라 처리되어 출력되는 하드카피 문서 등으로부터 비시각화된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한다. 또한, 비시각화된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파일 형태의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비시각화된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파일이나,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되는 비시각화된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파일로부터, 비시각화된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시각화된 개인 정보가 포함된 영상을 획득한 상태에서, 해당 영상으로부터 비시각화된 개인 정보를 인식한다(S310).
그리고 인식된 비시각화된 개인 정보를 시각화 처리한다(S320). 예를 들어, 개인 정보의 비시각화 처리에 사용된 암호화키에 대응하는 복호키를 사용하여 비시각화된 개인 정보를 언마스킹(unmasking)할 수 있다. 흐릿한 형태로 마스킹된 개인 정보를 언마스킹하여 원래의 개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언마스킹된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원래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복원한다(S330). 단계(300)에서 획득한 영상에 언마스킹된 개인 정보를 적용시켜, 원래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복원 처리된 영상은 출력된다(S340). 구체적으로, 시각화된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은 디지털 파일 형태로 저장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치로 전송될 수 있으며, 또는, 하드카피 문서 형태로 출력될 수 있으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복원 과정에서, 전체 과정을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비시각화된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대상물을 스마트 폰 등의 카메라로 촬영하여 개인 정보를 시각화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 대상물로부터 영상 획득시 비시각화된 개인 정보에 해당하는 영상을 바로 획득하여 시각화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위치를 조절하여 정확하게 개인정보가 존재하는 영역을 맞추게 되면, 즉, 대상물에 대한 카메라의 초점 위치를 조절하여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이 비시각화된 개인 정보가 존재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이면, 획득된 개인 정보의 영역에 대하여 시각화 처리가 수행된다. 특히, 위에 기술된 도 1의 방법에 의해 비시각화된 개인 정보를 수동으로 촬영하는 경우, 정확한 위치 정렬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시각화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물에 비시각화된 개인 정보의 영역이 사각형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 촬영된 영상이 사각형 형태의 비시각화된 개인 정보의 영역과 일치하는 형태의 영상으로 되는 위치 정렬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시각화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시각화된 개인 정보가 쉽게 시각화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시각화 처리와 시각화 처리는 각각 암호학적 이론에 근거하여 암호학적 방법에 의한 비시각화와 복호화 처리에 의한 시각화에 대응되며, 암호화 과정에서 사용된 암호화 키 정보만 공유가 된다면 손쉽게 자동적으로 시각화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암호화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검정색 등의 이미지로 개인정보를 가려주는 마스킹 실시 예는, 비시각화가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다양한 분야에서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핸드폰으로 예를 들어, 신분증을 촬영하는 것을 통해, 자동으로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개인 정보만이 비시각화 처리되어 파일로 저장됨으로써, 개인 정보가 노출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금융권, 통신사 등에 제출하는 신분증이나 서류 또는 병원 기록 서류 등에 적용되어, 개인 정보가 노출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CCTV나 블랙박스를 통하여 획득한 영상의 자동차 번호와 같은 개인 정보를 비시각화 처리하여 파일로 저장함으로써, 영상을 통해 개인 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소나 핸드폰 번호와 같은 개인 정보만이 비시각화 처리되어 출력물 형태로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를 예를 들어, 택배 상자나 우편물의 운송장 등에 적용하여, 개인 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택배나 우편물의 운송장에 기입되는 이름이나 주소 등의 개인 정보를 비시각화하고, 택배 배달원이나 우편 배달부의 스마트폰만으로만 비시각화된 개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비시각화된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의 파일이 외부로 유출되어도, 허가된 사용자가 특정 장치에서만 개인 정보를 시각화하여 확인할 수 있으므로, 원천적으로 개인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금융권이나 공공기관 또는 통신사 등에 자신의 개인정보가 포함된 문서나 자료 등을 제출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 처리 방법을 적용하여, 개인 정보만을 비시각화 처리하여 제출하면, 해당 기관의 담당자가 공유하고 있는 암호학적 키를 사용하여 담당자만 디스플레이상으로 개인정보를 확인하고, 제출된 자료는 비시각화처리 된 상태로 저장 및 서류 처리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인 정보외에 사업자가 숨기고 싶은 정보만을 비시각화하여 자료를 고객에 나눠준 후, 고객은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사용해서 촬영을 하거나 아니면 영상 파일을 오픈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숨겨진 정보를 볼 수 있게 하는 복권이나 온라인 문화상품권 등의 비즈니스 분야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의 활용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 처리 장치의 구조도이다.
첨부한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 처리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및 입출력부(13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0)는 위의 도 1 내지 도 4를 토대로 설명한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촬영 장치로부터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거나, 디지털 파일 형태로 입력되는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에서 개인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개인 정보를 비시각화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비시각화된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파일이나 출력물에서 획득되는 영상으로부터, 비시각화된 개인 정보를 선택적으로 추출 및 인식한 다음에 시각화 처리하여, 원래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복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10)와 연결되고 프로세서(110)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10)에서 수행하기 위한 동작을 위한 명령어(instructions)를 저장하고 있거나 저장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명령어를 로드하여 일시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되어 있거나 로드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와 메모리(120)는 버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버스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도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입출력부(130)는 프로세서(110)의 처리 결과에 따른 비시각화된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또는 개인 정보가 시각화된 영상을, 파일 형태로 출력하여 도시하지 않은 저장 장치에 저장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장치로 전송할 수 있거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또는 하드카피 문서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부(130)는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또는 비시각화된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프로세서(11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

  1. 개인 정보가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상으로부터 개인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개인 정보를 비시각화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비시각화 처리된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인 정보 보호 처리 방법.
KR1020170106903A 2016-10-11 2017-08-23 사용자 친화형 개인 정보 보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2406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587 2016-10-11
KR20160131587 2016-10-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072A true KR20180040072A (ko) 2018-04-19
KR102240673B1 KR102240673B1 (ko) 2021-04-15

Family

ID=62088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903A KR102240673B1 (ko) 2016-10-11 2017-08-23 사용자 친화형 개인 정보 보호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6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070B1 (ko) * 2022-04-05 2022-09-19 윤예영 이미지 검열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4275A (ja) * 2005-12-09 2007-06-28 Hitachi Ltd 画像処理装置および監視システム
JP2010000663A (ja) * 2008-06-19 2010-01-07 Canon Inc 画像形成システム
KR20140052243A (ko) * 2012-10-23 2014-05-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데이터 서비스 장치 및 방법, 네트워크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
KR101639258B1 (ko) * 2015-01-19 2016-07-14 주식회사 아이디스 녹화 영상의 개인정보 보호 처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4275A (ja) * 2005-12-09 2007-06-28 Hitachi Ltd 画像処理装置および監視システム
JP2010000663A (ja) * 2008-06-19 2010-01-07 Canon Inc 画像形成システム
KR20140052243A (ko) * 2012-10-23 2014-05-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데이터 서비스 장치 및 방법, 네트워크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
KR101639258B1 (ko) * 2015-01-19 2016-07-14 주식회사 아이디스 녹화 영상의 개인정보 보호 처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0673B1 (ko) 202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su et al. Copyright protection scheme for digital images using visual cryptography and sampling methods
JP4931924B2 (ja) メディアデータ処理装置及びメディアデータ処理方法
EP3481005B1 (en) Data masking system
Asghar et al. Visual surveillance within the EU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A technology perspective
CN110462658A (zh) 用于提供数字身份记录以核实用户的身份的系统和方法
US20100067706A1 (en) Image encrypting device, image decrypting device and method
US9679126B2 (en) Decryption device, method for decrypting and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data transmission
WO2016188154A1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
CN109074496A (zh) 隐藏敏感数据
WO2017026356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復元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復元方法
US20190087602A1 (en) Offline document de-iden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offline document restoration apparatus
WO2015033162A1 (en) Ticket authorisation
KR102240673B1 (ko) 사용자 친화형 개인 정보 보호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06236213A (ja) 認証システム
KR101401028B1 (ko) 이미지 내 개인 정보 보호 방법
JP6541311B2 (ja) 暗号情報コードを利用した復号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方法
Gjomemo et al. Digital check forgery attacks on client check truncation systems
KR102414910B1 (ko) 문서 정보 보안 장치 및 방법
CN114880679A (zh) 一种证件照数据处理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07862210A (zh) 加密处理方法、系统和计算机设备
Iacobici et al. Digital imaging processing and reconstruction for general applications
CN111259407A (zh) 一种图片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JP2018074556A (ja) 機密情報媒介システム
Hilal et al. Forensic Analysis of Images on Online Social Network: A Survey
US11995200B2 (en) Data mask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