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9494A - Motor Controll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tor Controll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9494A
KR20180029494A KR1020160117502A KR20160117502A KR20180029494A KR 20180029494 A KR20180029494 A KR 20180029494A KR 1020160117502 A KR1020160117502 A KR 1020160117502A KR 20160117502 A KR20160117502 A KR 20160117502A KR 20180029494 A KR20180029494 A KR 20180029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output
unit
reference data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5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12239B1 (en
Inventor
허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60117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239B1/en
Publication of KR20180029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4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2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23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from sources with high internal resistance by means of measuring circuits with high input impedance, e.g. OP-ampl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81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 B62D5/048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for reaction to failures, e.g. limp ho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81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 B62D5/048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detecting motor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DC or AC voltage with one thresho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9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to indicate that the value is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wind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 G01R31/343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in ope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02Providing protection against overload without automatic interruption of supply
    • H02P29/024Detecting a fault condition, e.g. short circuit, locked rotor, open circuit or loss of loa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failure of a plurality of amplifiers at the same time so as to cope with the occurrence of the failure. A mo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rrent sensor for detecting a current which a motor driving part supplies to a motor,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driving part, a voltage detection part for detecting a voltage outputted from the current sensor; a reference data generation part for convert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into first reference data, converting the positive output voltage of the motor to second reference data, and converting the negative output voltage of the motor to third reference data, and a control part for determining the generation of a counter electromotive force of the motor based on the first to third reference data and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motor based on a determination result of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of the motor.

Description

모터 제어 장치 및 방법{Motor Controll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or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모토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과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복수의 앰프가 동시에 고장나는 것을 검출(common mode 고장 검출)하여 고장 발생에 대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한 모터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failure of a plurality of amplifiers at the same time (common mode failure detection) so as to cope with the occurrence of a failure.

차량의 조향장치로서 보편화된 전동식 조향 장치는 토크, 차속, 조향각 등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의도와 운행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조향 보조력을 발생시킨 후 이를 조향 컬럼, 렉바 등으로 전달함으로써 쉽고 안전한 운전이 되도록 한다.The electric steering system, which is generally used as a steering device of a vehicle, comprehensively judges the driver's intention and driving situation by using torque, vehicle speed, steering angle, etc., generates steering assist force and transmits it to a steering column, Let it run.

이러한, 전동식 조향장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포함하는데, 이는 외부의 각종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신호를 분석하여 각종 로직에 의해 모터를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ECU는 그 내부에 포함된 MCU(Micro Controller Unit)에서 토크 센서 등을 통해 검출된 조향 토크를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류를 계산하고, 2개 이상의 스위치와 배터리를 이용하여 계산된 구동 전류를 모터에 공급한다. 이 때, 스위치와 배터리 모터 사이에 전류 센서를 연결함으로써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다. 이러한, 모터 전류를 검출하는 수단으로 홀 센서와 같은 IC 소자를 이용할 수 있는데, 제조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 및 고장 등으로 인한 전류 검출의 정밀도 저하의 문제점 있다. 따라서, 션트(Shunt) 저항을 이용한 모터 전류의 검출 수단이 주로 사용된다.Such an electric steering apparatus includes an ECU (Electronic Control Unit), which analyzes electric signals transmitted from various external sensors and controls the motors by various kinds of logic. Generally, the ECU calculates a driving current for driving a motor by using a steering torque detected through a torque sensor or the like in an MCU (Micro Controller Unit) contained therein and calculates the driving current by using two or more switches and batteries And supplies the drive current to the motor. At this time, a current sensor is connected between the switch and the battery motor to detect the current flowing in the motor. Such an IC device such as a Hall sensor can be used as a means for detecting a motor current.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and the precision of current detection is deteriorated due to a failure or the like. Therefore, a means for detecting a motor current using a shunt resistor is mainly used.

션트(Shunt) 저항을 이용한 모터 전류의 검출을 통해 증폭기 또는 오프셋 회로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모터 제어 장치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하나의 앰프의 고장 여부를 검출할 수 있으나, 복수의 앰프가 동시에 고장나는 것(common mode 고장)을 검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A motor control device capable of detecting a failure of an amplifier or an offset circuit by detecting a motor current using a shunt resistor has been proposed. However, although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one amplifier is faulty,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detect that a plurality of amplifiers fail at the same time (common mode failure).

일본 공개특허 2003-107112A(2003. 09. 28)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3-107112A (September 28, 2003)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앰프가 동시에 고장나는 것을 검출(common mode 고장 검출)하여 고장 발생에 대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한 모터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t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failure of a plurality of amplifiers at the same time .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 set forth in the description which follows, or may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and the claims.

앞에서 설명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장치는, 모터 구동부가 모터에 공급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센서와, 상기 모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전류 센서가 출력하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와, 상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제1 기준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모터의 포지티브 출력 전압을 제2 기준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모터의 네거티브 출력 전압을 제3 기준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준 데이터 생성부와, 및 상기 제1 내지 제3 기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역기전력의 발생을 판단하고, 상기 모터의 역기전력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tor control apparatus including a current sensor for detecting a current supplied to a motor by a motor driving unit,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driving unit, And a control unit that converts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to first reference data, converts the positive output voltage of the motor to second reference data, and outputs the negative output voltage of the motor as third reference data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generation of a back electromotive force of the motor based on the first to third reference data and controlling driving of the motor based on a determination result of the back electromotive force of the motor do.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장치의 상기 전압 검출부는, 상기 전류 센서가 출력하는 전압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1 증폭부와 제2 증폭부와, 상기 제1 증폭부와 상기 제2 증폭부에 각각 연결되어 오프셋(Offset) 전압을 출력하는 제1 오프셋부와 제2 오프셋부를 포함한다.The voltage detecting unit of the mo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amplifying unit and a second amplifying unit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a voltage output from the current sensor, And a first offset unit and a second offset unit, each of which outputs an offset voltag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오프셋 전압 범위 내에 상기 제1 오프셋부의 출력 전압과 상기 제2 오프셋부의 출력 전압이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of the mo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output voltage of the first offset unit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second offset unit are included in the set offset voltage rang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장치의 상기 기준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제1 기준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모터의 포지티브 출력 전압을 제2 기준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모터의 네거티브 출력 전압을 제3 기준 데이터로 변환한다.The reference data generator of the mo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into first reference data, converts the positive output voltage of the motor to second reference data, And converts the output voltage into third reference data.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장치의 상기 판단부는, 하기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상기 제2 기준 데이터와 상기 제3 기준데이터의 차이 값의 절대값과 상기 제1 기준 데이터의 크기를 비교한다.The determination unit of the mo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reference data and the third reference data and the size of the first reference data, Compare.

[수학식 1][Equation 1]

제1 기준 데이터 < |제2 기준 데이터 - 제3 기준 데이터|The first reference data < the second reference data - the third reference data &

상기 수학식 1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모터에서 역기전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반대로, 상기 수학식 1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모터에서 역기전력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If the condition of Equation (1) is satisfied, it is determined that a back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motor. Conversely, if the condition of Equation (1) is not satisfied, it is determined that no back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moto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장치의 상기 판단부는, 상기 모터에서 역기전력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증폭기의 출력보다 제1 오프셋부의 출력이 큰(AMP1 < offset1) 경우에 커먼 모드(common mode)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The determination unit of the mo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output of the first offset unit is larger than the output of the first amplifier (AMP1 <offset1) in a state in which no counter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motor, common mode failure is judged to have occurr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장치의 상기 판단부는, 상기 모터에서 역기전력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 증폭기의 출력보다 제2 오프셋부의 출력이 큰(AMP2 < offset2) 경우에 커먼 모드(common mode)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The determination unit of the mo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output of the second offset unit is larger than the output of the second amplifier (AMP2 <offset2) in a state where no counter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motor, common mode failure is judged to have occurr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커먼 모드 고장이 발생한 경우, 상기 모터의 구동을 즉시 중지시키고, 경고음 또는 별도의 경고등을 점등시켜 EPS(electric power steering)의 불능을 표시한다.The controller of the mo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mediately stops driving the motor when a common mode failure occurs and displays an alarm of electric power steering by turning on a warning sound or a separate warning light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증폭기의 출력보다 제1 오프셋부의 출력이 큰(AMP1 < offset1) 경우 및 상기 제2 증폭기의 출력보다 제2 오프셋부의 출력이 큰(AMP2 < offset2) 경우에 고장 발생 카운트 가산 숫자를 증가시키는 카운터를 포함하고, 상기 고장 발생 카운트가 문턱 값 이상인 경우에 커먼 모드(common mode) 고장으로 판단하는 모터 제어장치.The control unit of the mo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output of the first offset unit is larger than the output of the first amplifier (AMP1 <offset1) and when the output of the second offset unit is larger than the output of the second amplifier (AMP2 < offset2), and determines that a common mode failure occurs when the failure occurrence cou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 및 방법은 복수의 앰프가 동시에 고장나는 것을 검출하여(common mode 고장 검출) 고장 발생에 대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 mot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at a plurality of amplifiers fail at the same time (common mode failure detection) and cope with a failure occurrence.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newly understood thr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mo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 1.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to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되지 않는다.If any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part, it may be directly on the other part or may be accompanied by another part therebetween. In contrast, when a section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above" another section, no other section is involved.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and thir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portions, components, regions, layers and / or section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any moiety, element, region, layer or section from another moiety, moiety, region, layer or section. Thus, a first portion,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described below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portion,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include plural forms as long as the phrases do not expressly express the opposite meaning thereto. Means that a particular feature,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 / or component is specified and that the presence or absence of other feature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and / It does not exclude addition.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 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 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Terms indicating relative space such as "below "," above ", and the like may be used to more easily describe the relationship to other portions of a portion shown in the figures. These terms are intended to include other meanings or acts of the apparatus in use, as well as intended meanings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en inverting a device in the figures, certain portions that are described as being "below" other portions are described as being "above " other portions. Thus, an exemplary term "below" includes both up and down directions. The device can be rotated by 90 degrees or rotated at different angles, and terms indicating relative space are interpreted accordingly.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further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relevant technical literature and the present disclosure,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very formal meanings unless defined otherwis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mo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는 전압 검출부(10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압 검출부(100)는 제1 오프셋부(110), 제2 오프셋부(120), 증폭부(130) 및 전류 센서(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복수의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211~217: ADC), 판단부(220), 저장부(230), 제1 전류 산출부(240), 제2 전류 산출부(250), 릴레이 명령 생성부(260) 및 릴레이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커먼 모드(common mode) 고장과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미세한 신호의 오차 또는 이상 신호 발생과 을 구분하기 위해서 카운터를 포함하며, 카운터를 이용하여 고장 발생으로 판단된 경우에 카운트를 1씩 증가시킨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mo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oltage detector 100 and a controller 200. The voltage detector 100 includes a first offset unit 110, a second offset unit 120, an amplification unit 130, and a current sensor 140. The control unit 200 includes a plurality of analog-to-digital converters 211 to 217, a determination unit 220, a storage unit 230, a first current calculation unit 240, a second current calculation unit 250, A relay command generation unit 260 and a relay control unit 270. In addition, the controller 200 includes a counter to distinguish between a common mode failure and an error of a minute signal that is temporarily generated or an abnormal signal generation. When the controller 200 determines that a failure has occurred using the counter, Increase by 1.

제어부(200)는 전압 검출부(100)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모터 구동부(160가 모터(150)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이하,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를 'ADC(analog-digital converter)'라 명칭 하기로 한다.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motor driving unit 160 to supply the driving current to the motor 150 based on the output voltage of the voltage detecting unit 100. Hereinafter the analog digital converter will be referred to as an ' Will be referred to herein.

릴레이(190)는 제어부(200)에서 입력된 릴레이 제어 신호(RCS: relay control signal)에 기초하여 턴온(turn on) 또는 턴오프(turn off)되며, 턴온 시 배터리(170)로부터 공급받은 구동 전류를 모터 구동부(160)에 공급한다. 릴레이(190)의 턴오프 시 모터 구동부(160)로의 구동 전류 공급이 차단된다.The relay 190 is turned on or turned off based on a relay control signal RCS input from the controller 200 and is turned on or off based on a driving current To the motor driving unit 160. The supply of drive current to the motor driver 160 is cut off when the relay 190 is turned off.

모터 구동부(160)는 모터(150)에 구동 전류를 공급한다. 모터 구동부(160)는 배터리(170)로부터 공급받은 구동 전류를 모터 구동 전류로 변환하여 모터(150)에 공급한다. 이때, 모터 구동부(160)는 제어부(200)에 의해 계산된 구동 전류값에 해당하는 구동 전류를 생성하여 모터(150)에 공급한다.The motor driving unit 160 supplies a driving current to the motor 150. The motor driving unit 160 converts the driving current supplied from the battery 170 into a motor driving current and supplies the motor driving current to the motor 150. At this time, the motor driving unit 160 generates a driving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current value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200, and supplies the driving current to the motor 150.

여기서, 모터 구동부(160)는 4개의 FET(A, B, C, D)를 포함하고, FET들의 스위칭에 의해 모터(15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즉, 모터 구동부(160)는 H-브릿지 회로로 구성되어, PWM(Pulse Width Modulation)에 의한 FET를 스위칭함으로써 모터(150)를 구동시킬 수 있다.Here, the motor driving unit 160 includes four FETs A, B, C, and D, and can drive the motor 150 by switching FETs. That is, the motor driving unit 160 is constituted by an H-bridge circuit, and can drive the motor 150 by switching FETs by PWM (Pulse Width Modulation).

레귤레이터(180, regulator)는 배터리(170)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증폭부(130) 및 제어부(200)의 구동에 적합하도록 변환하고, 변환된 전압을 증폭부(130) 및 제어부(200) 각각에 공급한다.The regulator 180 converts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battery 170 to be suitable for driving the amplification unit 130 and the control unit 200 and outputs the converted voltage to the amplification unit 130 and the control unit 200, Supply.

전류 센서(140)는 모터(150)에 흐르는 전류를 센싱한다. 전류 센서(140)는 모터 구동부(160)가 출력하는 션트 전류가 인가되어 션트 전압을 검출하는 것으로 션트 저항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류 센서(140)는 모터 구동부(160)의 부하 전류에 의해 인가되는 션트 전압을 검출한다.The current sensor 140 senses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motor 150. The current sensor 140 may be a shunt resistor for detecting a shunt voltage by applying a shunt current output from the motor driver 160. [ Accordingly, the current sensor 140 detects the shunt voltage applied by the load current of the motor driver 160. [

증폭부(130)는 제1 증폭기(132, AMP 1) 및 제2 증폭기(134, AMP 2)를 포함한다. 도 1에서는 증폭부(130)가 2개의 증폭기(132, 134)를 포함하여 2채널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3채널 이상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The amplifying unit 130 includes a first amplifier 132 and an AMP 1 and a second amplifier 134 and AMP 2. In FIG. 1, the amplifying unit 130 includes two amplifiers 132 and 134 and is composed of two channels. However, the amplifying unit 130 may have three or more channels.

제1 오프셋부(110)는 제1 오프셋 전압을 출력하고, 제2 오프셋부(120)는 제2 오프셋 전압을 로 출력한다. 제1 오프셋부(110)는 제1 증폭기(132)와 연결되어 있고, 제2 오프셋부(120)는 제2 증폭기(134)와 연결되어 있다. 제1 오프셋부(110)에서 출력되는 제1 오프셋 전압은 제1 증폭기(132) 및 제어부(200)에 공급된다. 그리고, 제2 오프셋부(120)에서 출력되는 제2 오프셋 전압은 제2 증폭기(134) 및 제어부(200)에 공급된다.The first offset unit 110 outputs a first offset voltage, and the second offset unit 120 outputs a second offset voltage. The first offset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first amplifier 132 and the second offset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amplifier 134. The first offset voltage output from the first offset unit 110 is supplied to the first amplifier 132 and the control unit 200. The second offset voltage outputted from the second offset unit 120 is supplied to the second amplifier 134 and the control unit 200.

제1 증폭기(132)는 전류 센서(140)에서 출력되는 션트 전압 및 제1 오프셋부(110)에서 출력되는 제1 오프셋 전압을 증폭한 후, 제어부(200)로 출력한다. The first amplifier 132 amplifies the shunt voltage output from the current sensor 140 and the first offset voltage output from the first offset unit 110 and outputs the amplified voltage to the control unit 200.

제2 증폭기(134)는 전류 센서(140)에서 출력되는 션트 전압 및 제2 오프셋부(120)에서 출력되는 제2 오프셋 전압을 증폭한 후, 제어부(200)로 출력한다.The second amplifier 134 amplifies the shunt voltage output from the current sensor 140 and the second offset voltage output from the second offset unit 120 and then outputs the amplified voltage to the control unit 200.

제어부(200)는 구동 전류가 모터(150)에 공급되도록 모터 구동부(160)를 제어하며,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모터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전류를 조절한다.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motor driving unit 160 so that the driving current is supplied to the motor 150 and adjusts the driving current based on the motor current detected by the voltage detecting uni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ECU에서 메인 제어를 담당하는 장치로서, 검출된 모터 전류를 이용하여 구동 전류를 조절하고, 조절된 구동 전류가 모터(150)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데이터 및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MUC(micro controller unit)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control unit 200 is an apparatus for performing main control in the ECU. 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drive current by using the detected motor current and supplies the adjusted drive current to the motor 150 A storage unit for storing data and software for performing control, and a micro controller unit (MUC) for executing the software.

제어부(200)는 ADC부(210), 판단부(220), 저장부(230), 제1 전류 산출부(240), 제2 전류 산출부(250), 릴레이 명령 생성부(260) 및 릴레이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ADC부(210)는 제1 ADC 내지 제7 ADC(211~217)를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200 includes an ADC unit 210, a determination unit 220, a storage unit 230, a first current calculation unit 240, a second current calculation unit 250, a relay instruction generation unit 260, And a control unit 270. The ADC unit 210 includes first to seventh ADCs 211 to 217.

저장부(230)는 제1 오프셋부(110)의 제1 오프셋 전압과 제2 오프셋부(120)의 제2 오프셋 전압이 정상적으로 출력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제1 기준 전압 및 제2 기준 전압을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230 stores a first reference voltage and a second reference voltage for checking whether the first offset voltage of the first offset unit 110 and the second offset voltage of the second offset unit 120 are normally output do.

제어부(200)에 포함된 제1 ADC(211)는 제1 오프셋부(110)에서 출력된 제1 오프셋 전압을 제1 디지털 신호(V1)로 변환하여 판단부(220), 저장부(230) 및 제1 전류 산출부(240)에 공급한다.The first ADC 211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200 converts the first offset voltage output from the first offset unit 110 into the first digital signal V1 and outputs the first digital signal V1 to the determination unit 220, And the first current calculation unit 240. [

제어부(200)에 포함된 제2 ADC(212)는 제2 오프셋부(120)에서 출력된 제2 오프셋 전압을 제2 디지털 신호(V2)로 변환하여 저장부(230) 및 제1 전류 산출부(240)에 공급한다.The second ADC 212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200 converts the second offset voltage output from the second offset unit 120 into a second digital signal V2 and outputs the second digital signal V2 to the storage unit 230 and the first current calculation unit 230. [ (240).

제어부(200)에 포함된 제2 ADC(212)제3 ADC(213)는 제1 증폭기(132)에서 출력된 전압을 제3 디지털 신호(V3)로 변환하여 제1 전류 산출부(240)에 공급한다.The second ADC 212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200 converts the voltage output from the first amplifier 132 into a third digital signal V3 and outputs the third digital signal V3 to the first current calculator 240 Supply.

제어부(200)에 포함된 제4 ADC(214)는 제2 증폭기(134)에서 출력된 전압을 제4 디지털 신호(V4)로 변환하여 제1 전류 산출부(240)에 공급한다.The fourth ADC 214 included in the controller 200 converts the voltage output from the second amplifier 134 into a fourth digital signal V4 and supplies the fourth digital signal V4 to the first current calculator 240. [

제1 전류 산출부(240)는 제1 ADC(211)의 출력, 제2 ADC(212)의 출력, 제3 ADC(213)의 출력 및 제4 ADC(214)의 출력을 입력 받은 후, 제1 ADC(211)의 출력을 제1 오프셋부(110)의 출력 전류로 변환한다. 또한, 제2 ADC(212)의 출력을 제2 오프셋부(120)의 출력 전류로 변환한다. 또한, 제3 ADC(213)의 출력을 제1 증폭기(132)의 출력 전류로 변환한다. 또한, 제4 ADC(214)의 출력을 제2 증폭기(134)의 출력 전류로 변환한다.The first current calculator 240 receives the output of the first ADC 211, the output of the second ADC 212, the output of the third ADC 213 and the output of the fourth ADC 214, 1 ADC 211 to the output current of the first offset unit 110. [ Further, the output of the second ADC 212 is converted into the output current of the second offset unit 120. Further, the output of the third ADC 213 is converted into the output current of the first amplifier 132. Further, the output of the fourth ADC 214 is converted into the output current of the second amplifier 134.

그리고, 제1 전류 산출부(240)는 제1 오프셋부(110)의 출력 전류와 제1 증폭기(132)의 출력 전류의 차이를 제1 션트 전류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2 오프셋부(120)의 출력 전류와 제2 증폭기(134)의 출력 전류의 차이를 제2 션트 전류로 산출할 수 있다.The first current calculator 240 may calcul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current of the first offset unit 110 and the output current of the first amplifier 132 as a first shunt current. Fur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current of the second offset unit 120 and the output current of the second amplifier 134 can be calculated as the second shunt current.

이에 따라, 제1 전류 산출부(240)는 각각의 변환된 출력 전류로써 전류 센서에 흐르는 전류 즉, 션트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션트 전류는 제1 오프셋부(110)의 출력 전류와 제1 증폭기(132)의 출력 전류의 차이 값인 제1 션트 전류일 수 있다. 또한, 션트 전류는 제2 오프셋부(120)의 출력 전류와 제2 증폭기(134)의 출력 전류의 차이 값인 제2 션트 전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션트 전류와 제2 션트 전류 중 어느 하나를 션트 전류로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current calculator 240 can measure the current flowing to the current sensor, that is, the shunt current, with each of the converted output currents. The shunt current may be a first shunt current which is a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current of the first offset unit 110 and the output current of the first amplifier 132. [ The shunt current may be a second shunt current which is a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current of the second offset unit 120 and the output current of the second amplifier 134. In the present invention, either the first shunt current or the second shunt current can be used as the shunt current.

일 예로서, 제어부(200)는 제1 오프셋부(110)에서 출력된 제1 오프셋 전압이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제1 오프셋부(110)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이때, 제2 오프셋부(120)의 출력 전류와 제2 증폭기(134)의 출력 전류의 차이 값에 기초하여 산출된 제2 션트 전류를 모터 제어 장치의 센트 전류로 이용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offset voltage output from the first offset unit 110 is out of the allowable range, the controller 200 stops the operation of the first offset unit 110. At this time, the second shunt current calcul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current of the second offset unit 120 and the output current of the second amplifier 134 can be used as the cent current of the motor control apparatus.

판단부(220)는 허용 오차를 포함하여 제1 오프셋 전압과 제2 오프셋 전압이 정상적으로 출력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1 기준 전압 및 제2 기준 전압이 각각 1[V]이고, 설정된 허용 오차가 10% 내외라면, 제1 오프셋 전압 및 제2 오프셋 전압은 0.9 내지 1.1[V] 내에서 유효하게 동작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offset voltage and the second offset voltage are normally output including the tolerance. For example, if the first reference voltage and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are each 1 [V] and the set tolerance is about 10% or less, the first offset voltage and the second offset voltage are valid within 0.9 to 1.1 [V] Can be operated.

판단부(220)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제1 기준 전압 및 제2 기준 전압을 이용하여 제1 오프셋부(110)에서 출력되는 제1 오프셋 전압 및 제2 오프셋부(120)에서 출력되는 제2 오프셋 전압이 유효한지를 판단한다. 도 2에서는 저장부(230)를 독립된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판단부(220)가 내부에 제1 기준 전압 및 제2 기준 전압을 저장하여 제1 오프셋 전압 및 제2 오프셋 전압이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the first offset voltage output from the first offset unit 110 and the first offset voltage output from the second offset unit 120 using the first reference voltage and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3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econd offset voltage is valid. Although the storage unit 230 is shown as an independent configuration in FIG. 2, the determination unit 220 may store the first reference voltage and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offset voltage and the second offset voltage are valid It is possible.

만약, 제1 오프셋부(110)가 제1 기준 전압의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오프셋 전압을 출력하면 제1 오프셋부(110)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2 오프셋부(120)의 출력 전압이 허용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제1 오프셋부(110)의 동작을 중단시키고, 제2 오프셋부(120)를 계속 동작시킬 수 있다.If the first offset unit 110 outputs an offset voltage that is out of the allowable range of the first reference voltag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first offset unit 110 has failed. At this time, if the output voltage of the second offset unit 120 does not exceed the allowable range, the operation of the first offset unit 110 can be stopped and the second offset unit 120 can be continuously operated.

반대로, 제2 오프셋부(120)가 제2 기준 전압의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오프셋 전압을 출력하면 제1 오프셋부(110)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1 오프셋부(110)의 출력 전압이 허용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제2 오프셋부(120)의 동작을 중단시키고, 제1 오프셋부(110)를 계속 동작시킬 수 있다.In contrast, if the second offset unit 120 outputs an offset voltage that is out of the allowable range of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first offset unit 110 has failed. At this time, if the output voltage of the first offset unit 110 does not exceed the allowable range, the operation of the second offset unit 120 can be stopped and the first offset unit 110 can be continuously operated.

여기서, 판단부(220)는 설정된 증폭 전압차 범위 내에 제1 증폭기(132)의 출력 전압과 제2 증폭기(134)의 출력 전압의 차이가 포함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설정된 증폭 전압차는 제1 증폭기(132) 및 제2 증폭기(134)가 정상적인 전압을 출력하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이고, 이 경우 설정된 증폭 전압차는 제1 증폭기(132) 및 제2 증폭기(134)의 출력 전압차에 대하여 허용되는 오차 범위의 기준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설정된 증폭 전압차가 1[V]이고, 설정된 허용 오차가 10% 내외라면, 제1 증폭기(132)의 출력 전압과 제2 증폭기(134)의 출력 전압의 차이는 0.9 내지 1.1[V] 내에서 유효하게 동작할 수 있다.Here, the determination unit 220 may determine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voltage of the first amplifier 132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second amplifier 134 is within the set amplification voltage difference range. That is, the set amplification voltage difference i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amplifier 132 and the second amplifier 134 output the normal voltage. In this case, the set amplification voltage difference is determin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amplification voltages of the first amplifier 132 and the second amplifier 134 It may indicate a criterion of an acceptable error range for the output voltage differe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voltage of the first amplifier 132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second amplifier 134 is in the range of 0.9 to 1.1 V. If the set amplification voltage difference is 1 [V] and the set tolerance is about 10% As shown in FIG.

만약, 제1 증폭기(132) 및 제2 증폭기(134)의 출력 전압차가 설정된 증폭 전압차 범위를 벗어나는 전압을 출력하면 제1 증폭기(132) 또는 제2 증폭기(134)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오프셋부(110)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된다면 제1 증폭기(132)가 고장인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제1 증폭기(132)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제2 증폭기(134)를 계속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If the output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mplifier 132 and the second amplifier 134 outputs a voltage that is out of the set amplification voltage difference range, either one of the first amplifier 132 or the second amplifier 134 is faulty It can be judged. In this cas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offset unit 110 is malfunctioning, the first amplifier 132 may be regarded as malfunctioning,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first amplifier 132 is stopped and the second amplifier 134 Can continue to operate.

다른 예로서, 제어부(200)는 제2 오프셋부(120)에서 출력된 제2 오프셋 전압이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제2 오프셋부(120)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이때, 제1 오프셋부(110)의 출력 전류와 제1 증폭기(132)의 출력 전류의 차이 값에 기초하여 산출된 제1 션트 전류를 모터 제어 장치의 센트 전류로 이용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second offset voltage output from the second offset unit 120 is out of the allowable range, the controller 200 stop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offset unit 120. [ At this time, the first shunt current calcul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current of the first offset unit 110 and the output current of the first amplifier 132 can be used as the cent current of the motor control apparatus.

만약, 제1 증폭기(132) 및 제2 증폭기(134)의 출력 전압차가 설정된 증폭 전압차 범위를 벗어나는 전압을 출력하면 제1 증폭기(132) 또는 제2 증폭기(134)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오프셋부(120)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된다면 제2 증폭기(134)가 고장인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제2 증폭기(134)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제1 증폭기(132)를 계속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증폭기만 포함할 경우에는 증폭기가 고장날 경우 이를 판단할 수 없었으나, 2개의 증폭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증폭기(132)의 출력 전압과 제2 증폭기(134)의 출력 전압의 차이가 설정된 증폭 전압차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함으로, 제1 오프셋부(110) 및 제2 오프셋부(12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증폭기(132)와 제2 증폭기(134)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증폭기(132)와 제2 증폭기(134) 중 하나가 고장날 경우에는 정상 동작하는 증폭기를 이용하여 모터(150) 및 제어부(2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If the output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mplifier 132 and the second amplifier 134 outputs a voltage that is out of the set amplification voltage difference range, either one of the first amplifier 132 or the second amplifier 134 is faulty It can be judged. In this cas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offset unit 120 is malfunctioning, the second amplifier 134 may be regarded as malfunctioning. Therefore, the operation of the second amplifier 134 is stopped and the first amplifier 132 is continuously operated . Accordingly, in the case of including only one amplifier, it can not be determined if the amplifier fails. 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wo amplifiers, the output voltage of the first amplifier 132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second amplifier 134,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offset unit 110 and the second offset unit 120 operate normally by determining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voltages of the first offset unit 110 and the second offset unit 120 is within the set amplification voltage difference range. Also,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amplifier 132 and the second amplifier 134 operate normally. In addition, when one of the first amplifier 132 and the second amplifier 134 fails, the motor 150 and the controller 200 can operate normally using an amplifier that operates normally.

제1 오프셋부(110)와 제2 오프셋부(120)가 동시에 고장나는 것을 검출 또는 2개의 증폭기가 동시에 고장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방안으로 1채널 증폭기를 2개를 적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다른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종래 기술은 제1 증폭기의 출력과(AMP1 out)과 제2 증폭기의 출력(AMP2 out)이 동일 또는 유사한 경우에 어느 증폭기가 고장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없었다.In order to detect that the first offset unit 110 and the second offset unit 120 fail at the same time or to detect that two amplifiers fail at the same time, two one-channel amplifiers may be applied, Other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cost may occur. In particular, the prior art could not determine which amplifier failed if the output of the first amplifier and (AMP1 out) and the output of the second amplifier (AMP2 out) were the same or simila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는 2채널 증폭기를 포함하는 증폭부(130)를 적용 시, 기준 데이터 생성부(150)를 이용하여 제1 오프셋부(110)와 제2 오프셋부(120)가 동시에 고장나는 경우(common mode 고장)에도 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증폭기(132)와 제2 증폭기(134)가 동시에 고장나는 경우에도 이를 검출할 수 있다.The mo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offset unit 110 and a second offset unit 120 using a reference data generation unit 150 when an amplifier unit 130 including a two- ) Fails at the same time (common mode failure). In addition, even when the first amplifier 132 and the second amplifier 134 fail at the same time, it can be detected.

기준 데이터 생성부(150)의 제2 ADC(154)는 모터(150)의 포지티브 단자의 전압(MOT V+)을 제2 기준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2 기준 데이터를 제어부(200)의 판단부(220)로 공급한다.The second ADC 154 of the reference data generating unit 150 converts the voltage (MOT V +) of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motor 150 into second reference data and outputs the converted second reference data to the control unit 200 (220).

기준 데이터 생성부(150)의 제3 ADC(156)는 모터(150)의 네거티브 단자의 전압(MOT V-)을 제3 기준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3 기준 데이터를 제어부(200)의 판단부(220)로 공급한다.The third ADC 156 of the reference data generator 150 converts the voltage (MOT V-) of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motor 150 into the third reference data and outputs the converted third reference data to the controller 200 And supplies it to the determination unit 220.

제5 ADC(215)는 모터(150)의 네거티브(-) 단자의 전압(MOT V-)을 제1 기준 데이터로 변환하고, 제1 기준 데이터를 판단부(220)에 공급한다.The fifth ADC 215 converts the voltage (MOT V-) of the negative (-) terminal of the motor 150 into the first reference data and supplies the first reference data to the determination unit 220.

제6 ADC(216)는 모터(150)의 포지티브(+) 단자의 전압(MOT V+)을 제2 기준 데이터로 변환하고, 제2 기준 데이터를 판단부(220)에 공급한다.The sixth ADC 216 converts the voltage (MOT V +) of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motor 150 into second reference data and supplies the second reference data to the determination unit 220.

제7 ADC(217)은 배터리(170)의 출력 전압을 제3 기준 데이터로 변환하고, 제3 기준 데이터를 판단부(220)에 공급한다.The seventh ADC 217 converts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170 to third reference data and supplies the third reference data to the determination unit 220. [

판단부(220)는 제5 ADC(215)에서 공급된 제1 기준 데이터, 제6 ADC(216)에서 공급된 제2 기준 데이터, 제7 ADC(217)에서 공급된 제3 기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오프셋부(110)와 제2 오프셋부(120)가 동시에 고장 났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판단부(220)는 제5 ADC(215)에서 공급된 제1 기준 데이터, 제6 ADC(216)에서 공급된 제2 기준 데이터, 제7 ADC(217)에서 공급된 제3 기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증폭기(132)와 제2 증폭기(134)가 동시에 고장 났는지를 판단한다.The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first reference data supplied from the fifth ADC 215, the second reference data supplied from the sixth ADC 216, and the third reference data supplied from the seventh ADC 217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irst offset unit 110 and the second offset unit 120 fail simultaneously. The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first reference data supplied from the fifth ADC 215, the second reference data supplied from the sixth ADC 216, the third reference data supplied from the seventh ADC 217,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irst amplifier 132 and the second amplifier 134 fail at the same time.

제1 오프셋부(110)와 제2 오프셋부(120)의 출력 전압을 1V로 설정한 경우, 제1 증폭기(132) 및 제2 증폭기(134)의 출력 값이 플로팅(floating)되면 제1 증폭기(132)와 제2 증폭기(134)의 출력 값이 동일하거나, 오차 범위 내에서 유사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오프셋부(110) 및 제2 오프셋부(120)가 동시에 고장나는 커먼 모드(common mode) 고장을 검출할 수 없다. 또한, 제1 증폭기(132) 및 제2 증폭기(134)가 동시에 고장나는 커먼 모드(common mode) 고장을 검출할 수 없다.When the output voltages of the first amplifier 132 and the second amplifier 134 are floating when the output voltages of the first offset unit 110 and the second offset unit 120 are set to 1 V, The output values of the first amplifier 132 and the second amplifier 134 are equal to each other or within the error range. Therefore, the first offset unit 110 and the second offset unit 120 can not detect a common mode failure that fails at the same time. Also, the first amplifier 132 and the second amplifier 134 can not detect a common mode failure that fails at the same time.

구체적으로, 제1 증폭기(132)의 출력보다 제1 오프셋부(110)의 출력이 크거나(AMP1 < offset1) 또는 제2 증폭기(134)의 출력보다 제2 오프셋부(120)의 출력이 큰(AMP2 < offset2)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모터(150)의 고속 주행으로 역기전압이 발생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커먼 모드(common mode) 고장을 검출할 수 없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output of the first offset unit 110 is larger than the output of the first amplifier 132 (AMP1 <offset1) or the output of the second offset unit 120 is larger than the output of the second amplifier 134 (AMP2 < offset2) may occur. A common mode failure can not be detected in such a case because a back electromotive voltage may be generated due to the high speed travel of the motor 150. [

본 발명에서는 판단부(220)는 제5 ADC(215)에서 공급된 제1 기준 데이터 및 제6 ADC(216)에서 공급된 제2 기준 데이터를 제7 ADC(217)에서 공급된 제3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모터(150)의 역기전력의 유무를 판단한다. 이후, 모터(150)의 역기전력이 없는 상태에서, 제1 증폭기(132)의 출력보다 제1 오프셋부(110)의 출력이 크거나(AMP1 < offset1) 또는 제2 증폭기(134)의 출력보다 제2 오프셋부(120)의 출력이 큰(AMP2 < offset2) 경우에 커먼 모드(common mode)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The determination unit 220 outputs the first reference data supplied from the fifth ADC 215 and the second reference data supplied from the sixth ADC 216 to the third reference data supplied from the seventh ADC 217,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ounter electromotive force of the motor 150 is determined. If the output of the first offset unit 110 is larger than the output of the first amplifier 132 (AMP1 <offset1) or the output of the second amplifier 134 is smaller than the output of the second amplifier 134 When the output of the 2-offset unit 120 is large (AMP2 <offset2), it is determined that a common mode failure has occurred.

판단부(220)는 배터리(170)의 출력 전압, 모터(150)의 포지티브(+) 단자의 전압(MOT V+), 모터(150)의 네거티브(-) 단자의 전압(MOT V-)을 이용하여 모터(150)의 역기전력의 유무를 판단한다.The determination unit 220 uses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170, the voltage (MOT V +) of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motor 150 and the voltage (MOT V-) of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motor 150 And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counter electromotive force of the motor 150. [

구체적으로, 배터리(170)의 출력 전압, 즉, 제1 기준 데이터와 모터(150)의 출력 전압(MOT V+, MOT V-)의 크기를 비교한다. 이때,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배터리(170)의 출력 전압, 즉, 제3 기준 데이터와, 모터(150)의 포지티브(+) 출력(제1 기준 데이터)과 네거티브(-) 출력(제2 기준 데이터)의 차이의 절대 값(|(MOT+) - (MOT-)|)의 크기를 비교한다.Specifically,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170, that is, the first reference data and the magnitudes of the output voltages (MOT V + and MOT V-) of the motor 150 are compared. In this case,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170, that is, the third reference data, the positive (+) output (first reference data) and the negative (-) output (MOT +) - (MOT-)) of the differenc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values (|

[수학식 1][Equation 1]

제3 기준 데이터 < |제1 기준 데이터 - 제2 기준 데이터|Third reference data < | first reference data - second reference data |

만약, 수학식 1의 조건을 만족하면 배터리(170)의 출력 전압보다 모터(150)의 출력 전압이 더 큰 경우임으로, 이러한 경우 판단부(220)는 모터(150)에서 역기전력이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If the condition of Equation (1) is satisfied, the output voltage of the motor 150 is larger than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170. In this case, the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that a back electromotive force .

반대로, 수학식 1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배터리(170)의 출력 전압과 모터(150)의 출력 전압이 동일하거나, 또는 배터리(170)의 출력 전압이 모터(150)의 출력 전압보다 큰 경우임으로, 이러한 경우 판단부(220)는 모터(150)에서 역기전력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If the condition of Equation (1) is not satisfied,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170 is equal to the output voltage of the motor 150 or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170 is greater than the output voltage of the motor 150 In this case, the determination unit 220 may determine that no counter electromotive force has occurred in the motor 150. [

판단부(220)는 모터(150)에서 역기전력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증폭기(132)의 출력보다 제1 오프셋부(110)의 출력이 큰(AMP1 < offset1) 경우에 커먼 모드(common mode)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The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whether the output of the first offset unit 110 is larger than the output of the first amplifier 132 (AMP1 <offset1) in the state where no counter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motor 150, mode failure occurs.

또한, 판단부(220)는 모터(150)에서 역기전력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증폭기(134)의 출력보다 제2 오프셋부(120)의 출력이 큰(AMP2 < offset2) 경우에 커먼 모드(common mode)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When the output of the second offset unit 120 is larger than the output of the second amplifier 134 (AMP2 <offset2) in the state where the motor 150 does not generate the back electromotive force, the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that the common mode (common mode) failure has occurred.

커먼 모드(common mode)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릴레이 명령 생성부(260)는 모터(150)의 구동을 즉시 중지(off) 시키기 위한 릴레이 오프(relay off) 명령을 생성한다. 릴레이 명령 생성부(260)에서 생성된 릴레이 오프 명령은 릴레이 제어부(270)에 공급된다. 릴레이 제어부(270)는 입력된 릴레이 오프 명령에 따라 릴레이를 오프시켜 배터리(170)의 출력 전압이 모터 구동부(160)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이와 함께, 제어부(200)는 운전자가 EPS(electric power steering) 불능을 인지할 수 있도록, 경고음 또는 별도의 경고등을 점등시켜 EPS가 동작할 수 없음을 표시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a common mode failure has occurred, the relay command generating unit 260 generates a relay off command for immediately stopping the driving of the motor 150. The relay off command generated by the relay command generator 260 is supplied to the relay controller 270. The relay control unit 270 turns off the relay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relay off command and blocks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170 from being supplied to the motor driving unit 160. At the same time, the controller 200 may indicate that the EPS can not be operated by lighting a warning sound or a separate warning light so that the driver can recognize that the electric power steering (EPS) is disabled.

도 2를 참조한 설명에서, 제1 전류 산출부(240)와 제2 전류 산출부(250)가 각각 독립된 구성인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전류 산출부(240)와 제2 전류 산출부(250)가 통합되어 하나의 구성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2, the first current calculating unit 240 and the second current calculating unit 250 are described as being independent of each oth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first current calculating unit 240 and the second current calculating unit 250 may be integrated and applied in one configur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to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커먼 모드(common mode) 고장을 검출하기 위해서, 모터(150)의 출력 전압과 배터리(170)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모터(150)에서 역기전력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S10).Referring to FIG. 3, in order to detect a common mode failure, the output voltage of the motor 150 is compared with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170 to determine whether a back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motor 150 (S10) .

판단부(220)는 제5 ADC(215)에서 공급되는 모터(150)의 네거티브(-) 단자의 전압(제1 기준 데이터)과, 제6 ADC(216)에서 공급되는 모터(150)의 포지티브(+) 단자의 전압(제2 기준 데이터)과, 제7 ADC(217)에서 공급되는 배터리(170)의 전압(제3 기준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터(150)에서 역기전력이 발생했는지 판단한다. 이때, 모터(150)의 네거티브(-) 단자의 전압과 모터(150)의 포지티브(+) 단자의 전압 차이의 절대 값(|제1 기준 데이터 - 제2 기준 데이터| = |모터 전압|)을 산출한다. 이후, 배터리 전압이 모터 전압의 절대 값보다 큰지를 판단한다.The determination unit 220 compares the voltage (first reference data) of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motor 150 supplied from the fifth ADC 215 with the voltage of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motor 150 supplied from the sixth ADC 216 It is determined whether a back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motor 150 using the voltage of the positive terminal (second reference data) of the first ADC 217 and the voltage (third reference data) of the battery 170 supplied from the seventh ADC 217. At this time, the absolute value (| first reference data | second reference data | = | motor voltage |) of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negative (-) terminal of the motor 150 and the positive .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attery voltage is greater than the absolute value of the motor voltage.

배터리 전압이 모터 전압의 절대 값보다 크면 모터(150)에서 역기전력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반대로, 배터리 전압과 모터 전압의 절대 값이 동일하거나, 또는 배터리 전압이 모터 전압의 절대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모터(150)에서 역기전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If the battery voltage is greater than the absolute value of the motor voltage, the motor 150 determines that no counter electromotive force has occurred. On the contrary,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battery voltage is equal to the absolute value of the motor voltage, or when the battery voltage is smaller than the absolute value of the motor voltage, it is determined that the motor 150 generates a counter electromotive force.

구체적으로, 배터리(170)의 출력 전압, 즉, 제3 기준 데이터와 모터(150)의 출력 전압(|제1 기준 데이터 - 제2 기준 데이터|)의 크기를 비교한다. 이때, 상기 수학식 1과 같이, 배터리(170)의 출력 전압, 즉, 제3 기준 데이터와, 모터(150)의 포지티브(+) 출력과 네거티브(-) 출력의 차이의 절대값(|(MOT+) - (MOT-)|)의 크기를 비교한다.Specifically,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170, that is, the magnitude of the third reference data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motor 150 (first reference data - second reference data |) is compared. (MOT +)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170, that is, the third reference data, and the positive (+) and negative (-) outputs of the motor 150, ) - (MOT-) |).

만약, 수학식 1의 조건을 만족하면 배터리(170)의 출력 전압보다 모터(150)의 출력 전압이 더 큰 경우임으로, 이러한 경우 모터(150)에서 역기전력이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If the condition of Equation (1) is satisfied, the output voltage of the motor 150 is greater than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170. In this cas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motor 150 generates a back electromotive force.

반대로, 수학식 1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배터리(170)의 출력 전압과 모터(150)의 출력 전압이 동일하거나, 배터리(170)의 출력 전압이 모터(150)의 출력 전압보다 큰 경우임으로, 이러한 경우 모터(150)에서 역기전력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Conversely, if the condition of Equation (1) is not satisfied,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170 is equal to the output voltage of the motor 150 or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170 is greater than the output voltage of the motor 150, In this cas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motor 150 does not generate the back electromotive force.

이어서, 모터(150)에서 역기전력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판단부(220)는 제1 증폭기(132)의 출력보다 제1 오프셋부(110)의 출력이 큰(AMP1 < offset1)지를 판단한다(S20). 또한, 판단부(220)는 제2 증폭기(134)의 출력보다 제2 오프셋부(120)의 출력이 큰(AMP2 < offset2)지를 판단한다(S20).If no counter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motor 150, the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whether the output of the first offset unit 110 is larger than the output of the first amplifier 132 (AMP1 <offset1) (S20 ). The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whether the output of the second offset unit 120 is greater than the output of the second amplifier 134 (AMP2 <offset2) (S20).

S20의 판단 결과, 제1 증폭기(132)의 출력과 제1 오프셋부(110)의 출력이 동일하거나, 또는 제1 증폭기(132)의 출력이 제1 오프셋부(110)의 출력보다 큰 경우에 판단부(220)는 커먼 모드(common mode) 고장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고장 발생 카운트가 증가되지 않도록, 고장 발생 카운트 가산 숫자를 0으로 설정한다(S3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put of the first amplifier 132 is equal to the output of the first offset unit 110 or the output of the first amplifier 132 is larger than the output of the first offset unit 110 The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that the failure is not a common mode failure. Then, the failure count increment value is set to 0 so as not to increase the failure occurrence count (S30).

이와 동일하게, S20의 판단 결과, 제2 증폭기(134)의 출력과 제2 오프셋부(120)의 출력이 동일하거나, 또는 제2 증폭기(142)의 출력이 제2 오프셋부(120)의 출력보다 큰 경우에 판단부(220)는 커먼 모드(common mode) 고장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고장 발생 카운트가 증가되지 않도록, 고장 발생 카운트 가산 숫자를 0으로 설정한다(S30).Similarly, if the output of the second amplifier 134 is equal to the output of the second offset unit 120 or the output of the second amplifier 142 is the same as the output of the second offset unit 120 The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that the failure is not a common mode failure. Then, the failure count increment value is set to 0 so as not to increase the failure occurrence count (S30).

여기서, 커먼 모드(common mode) 고장 판단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고장 발생 카운트를 적용한 것으로,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미세한 신호의 오차 또는 이상 신호 발생으로 인해 EPS의 정상 동작이 커먼 모드common mode) 고장으로 판단되지 않도록 한다. 즉, 고장 발생 카운트가 일정한 기준 값을 충족하는 경우에 커먼 모드(common mode) 고장이 판단되도록 고장 발생 카운트를 적용하게 된다.Here,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common mode failure judgment, the fault occurrence count is applied, and it is judged that the normal operation of the EPS is a common mode common mode failure due to a minute signal error or an abnormal signal generation . That is, when the failure occurrence count satisfies a certain reference value, the failure occurrence count is applied so that the failure of the common mode is judged.

이어서, S20의 판단 결과, 모터(150)에서 역기전력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판단부(220)는 제1 증폭기(132)의 출력보다 제1 오프셋부(110)의 출력이 큰(AMP1 < offset1) 경우 고장 발생 카운트를 증가 시킨다(S40). 이때, 고장 발생 카운트 가산 숫자를 1로 설정할 수 있다.If the motor 150 does not generate a counter electromotive force, the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that the output of the first offset unit 110 is larger than the output of the first amplifier 132 (AMP1 <offset1) The fault occurrence count is increased (S40). At this time, the fault count increment value can be set to 1.

이와 동일하게, S20의 판단 결과, 모터(150)에서 역기전력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판단부(220)는 제2 증폭기(134)의 출력보다 제2 오프셋부(120)의 출력이 큰(AMP1 < offset1) 경우 고장 발생 카운트를 증가시킨다(S40). 이때, 고장 발생 카운트 가산 숫자를 1로 설정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that the output of the second offset unit 120 is larger than the output of the second amplifier 134 in the case where the back electromotive force is not generated in the motor 150, offset1), the fault occurrence count is increased (S40). At this time, the fault count increment value can be set to 1.

이어서, 고장 발생 카운트가 문턱 값 이상(fail count >= threshold)인지를 판단한다(S50).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ailure cou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fail count> = threshold) (S50).

S50의 판단 결과, 고장 발생 카운트가 문턱 값 미만인 경우에는 커먼 모드(common mode) 고장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정상적으로 EPS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50, when the failure occurrence count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failure is not a common mode failure, and the EPS operation is normally performed.

한편, S50의 판단 결과, 고장 발생 카운트가 문턱 값 이상(fail count >= threshold)이면, 커먼 모드(common mode)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후, 제어부(200)는 릴레이 제어 신호(RCS)를 통해 릴레이(190)를 오프시켜 모터(150)에 구동 전압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이를 통해 모터(150)의 구동을 즉시 중지(off) 시킨다. 이와 함께, 운전자가 EPS 불능을 인지할 수 있도록, 경고음 또는 별도의 경고등을 점등시켜 EPS가 동작할 수 없음을 표시할 수 있다(S60).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0 that the failure cou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fail count> = threshold), it is determined that a common mode failure has occurred. Then, the controller 200 turns off the relay 190 through the relay control signal RCS to block the supply of the driving voltage to the motor 150. Thereby immediately stopping the driving of the motor 150.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indicate that the EPS can not be operated by lighting a warning sound or a separate warning light so that the driver can recognize the EPS failure (S6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 및 방법은 복수의 앰프가 동시에 고장나는 것을 검출하여(common mode 고장 검출) 고장 발생에 대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 mot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at a plurality of amplifiers fail at the same time (common mode failure detection) and cope with a failure occurrenc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Only.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100: 전압 검출부 110: 제1 오프셋부
120: 제2 오프셋부 130: 증폭부
132: 제1 증폭기 134: 제2 증폭기
140: 전류 센서 150: 모터
160: 모터 구동부 170: 배터리
180: 레귤레이터 190: 릴레이
200: 제어부 210: ADC부
211: 제1 ADC 212: 제2 ADC
213: 제3 ADC 214: 제4 ADC
215: 제5 ADC 216: 제6 ADC
217: 제7 ADC 220: 판단부
230: 저장부 240: 제1 전류 산출부
250: 제2 전류 산출부 260: 릴레이 명령 생성부
270: 릴레이 제어부
100: voltage detection unit 110: first offset unit
120: second offset unit 130: amplification unit
132: first amplifier 134: second amplifier
140: current sensor 150: motor
160: motor drive unit 170: battery
180: regulator 190: relay
200: control unit 210: ADC unit
211: first ADC 212: second ADC
213: third ADC 214: fourth ADC
215: fifth ADC 216: sixth ADC
217: seventh ADC 220:
230: storage unit 240: first current calculation unit
250: second current calculator 260: relay command generator
270:

Claims (9)

모터 구동부가 모터에 공급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센서;
상기 모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전류 센서가 출력하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상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제1 기준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모터의 포지티브 출력 전압을 제2 기준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모터의 네거티브 출력 전압을 제3 기준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준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3 기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역기전력의 발생을 판단하고, 상기 모터의 역기전력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터 제어장치.
A current sensor for detecting a current supplied to the motor by the motor driving unit;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driving unit;
A voltage detector for detecting a voltage output from the current sensor;
A reference data generator for convert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into first reference data, converting the positive output voltage of the motor to second reference data, and converting the negative output voltage of the motor to third reference data; And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generation of a counter electromotive force of the motor on the basis of the first to third reference data and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motor based on a determination result of a counter electromotive force of the moto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검출부는,
상기 전류 센서가 출력하는 전압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1 증폭부와 제2 증폭부; 및
상기 제1 증폭부와 상기 제2 증폭부에 각각 연결되어 오프셋(Offset) 전압을 출력하는 제1 오프셋부와 제2 오프셋부;를 포함하는 모터 제어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voltage detector comprises:
A first amplifying unit and a second amplifying unit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a voltage output from the current sensor; And
And a first offset unit and a second offset unit connected to the first amplification unit and the second amplification unit, respectively, for outputting an offset voltag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오프셋 전압 범위 내에 상기 제1 오프셋부의 출력 전압과 상기 제2 오프셋부의 출력 전압이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모터 제어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And a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output voltage of the first offset unit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second offset unit are included in the set offset voltage rang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제1 기준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모터의 포지티브 출력 전압을 제2 기준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모터의 네거티브 출력 전압을 제3 기준 데이터로 변환하는 모터 제어장치.
4. The apparatus of claim 3,
Converts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into first reference data,
Converts the positive output voltage of the motor to second reference data,
And converts the negative output voltage of the motor into third reference data.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하기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상기 제2 기준 데이터와 상기 제3 기준데이터의 차이 값의 절대값과 상기 제1 기준 데이터의 크기를 비교하고,
(수학식 1)
제1 기준 데이터 < |제2 기준 데이터 - 제3 기준 데이터|
상기 수학식 1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모터에서 역기전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반대로, 상기 수학식 1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모터에서 역기전력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모터 제어장치.
5. The apparatus of claim 4,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reference data and the third reference data is compared with the size of the first reference data using Equation 1 below,
(1)
The first reference data < the second reference data - the third reference data &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a back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motor if the condition of Equation (1) is satisfied, and on the contrary, it determines that no back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motor if the condition of Equation (1) is not satisfied.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모터에서 역기전력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증폭기의 출력보다 제1 오프셋부의 출력이 큰(AMP1 < offset1) 경우에 커먼 모드(common mode)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모터 제어장치.
6. The apparatus of claim 5,
And determines that a common mode failure occurs when the output of the first offset unit is larger than the output of the first amplifier (AMP1 <offset1) in a state in which the motor does not generate a counter electromotive forc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모터에서 역기전력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 증폭기의 출력보다 제2 오프셋부의 출력이 큰(AMP2 < offset2) 경우에 커먼 모드(common mode)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모터 제어장치.
6.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when the output of the second offset unit is larger than the output of the second amplifier (AMP2 <offset2), the common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a common mode failure occurs in a state where no counter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motor.
제6 항 또는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커먼 모드 고장이 발생한 경우, 상기 모터의 구동을 즉시 중지시키고, 경고음 또는 별도의 경고등을 점등시켜 EPS(electric power steering)의 불능을 표시하는 모터 제어장치.
7.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6 or 7,
And stops the driving of the motor immediately when a common mode failure occurs and displays a warning sound or another warning light to indicate that EPS (electric power steering) is disabled.
제6 항 또는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증폭기의 출력보다 제1 오프셋부의 출력이 큰(AMP1 < offset1) 경우 및 상기 제2 증폭기의 출력보다 제2 오프셋부의 출력이 큰(AMP2 < offset2) 경우에 고장 발생 카운트 가산 숫자를 증가시키는 카운터를 포함하고,
상기 고장 발생 카운트가 문턱 값 이상인 경우에 커먼 모드(common mode) 고장으로 판단하는 모터 제어장치.
7.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6 or 7,
When the output of the first offset portion is larger than the output of the first amplifier (AMP1 <offset1) and when the output of the second offset portion is larger than the output of the second amplifier (AMP2 <offset2), the fault count increment value is increased A counter,
And determines that a common mode failure occurs when the failure occurrence cou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KR1020160117502A 2016-09-12 2016-09-12 Motor Controll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KR1026122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502A KR102612239B1 (en) 2016-09-12 2016-09-12 Motor Controll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502A KR102612239B1 (en) 2016-09-12 2016-09-12 Motor Controll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494A true KR20180029494A (en) 2018-03-21
KR102612239B1 KR102612239B1 (en) 2023-12-12

Family

ID=61900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502A KR102612239B1 (en) 2016-09-12 2016-09-12 Motor Controll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239B1 (en)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4778A (en) * 1986-12-04 1988-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otor controller
JPH0923675A (en) * 1995-07-03 1997-01-21 Kayaba Ind Co Ltd Fault sensor for motor driving circuit
JPH11217080A (en) * 1998-02-03 1999-08-10 Nippon Seiko Kk Control device of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JP2003107112A (en) 2001-09-28 2003-04-09 Sharp Corp Motor current detection device
WO2003078237A1 (en) * 2002-03-18 2003-09-25 Nsk Lt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control apparatus
KR20070021573A (en) * 2005-08-18 2007-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Motor controler, control method thereof and inverter defect detecting apparatus
KR20110048664A (en) * 2009-11-03 2011-05-12 주식회사 삼현 Control system for fan motor
KR20120071161A (en) * 2010-12-22 2012-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tor controlling apparatus, electronic vehicle having the apparatus, and motor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20130057883A (en) * 2011-11-24 2013-06-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Monitoring apparatus for fail of a motor
KR101357827B1 (en) * 2012-12-07 2014-02-05 전자부품연구원 Fault detection method type of parallel permanent magnet motor and system using the same
KR20150020121A (en) * 2013-08-15 2015-02-25 리니어 테크놀러지 코포레이션 Accurate current sensing in h-bridge applications without amplifier having high common mode rejection ratio
JP2015121474A (en) * 2013-12-24 2015-07-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Current sensor stuck fault diagnostic system and diagnostic method
KR20160097692A (en) * 2015-02-09 201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tor driving device and dish wash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4778A (en) * 1986-12-04 1988-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otor controller
JPH0923675A (en) * 1995-07-03 1997-01-21 Kayaba Ind Co Ltd Fault sensor for motor driving circuit
JPH11217080A (en) * 1998-02-03 1999-08-10 Nippon Seiko Kk Control device of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JP2003107112A (en) 2001-09-28 2003-04-09 Sharp Corp Motor current detection device
WO2003078237A1 (en) * 2002-03-18 2003-09-25 Nsk Lt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control apparatus
KR20070021573A (en) * 2005-08-18 2007-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Motor controler, control method thereof and inverter defect detecting apparatus
KR20110048664A (en) * 2009-11-03 2011-05-12 주식회사 삼현 Control system for fan motor
KR20120071161A (en) * 2010-12-22 2012-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tor controlling apparatus, electronic vehicle having the apparatus, and motor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20130057883A (en) * 2011-11-24 2013-06-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Monitoring apparatus for fail of a motor
KR101357827B1 (en) * 2012-12-07 2014-02-05 전자부품연구원 Fault detection method type of parallel permanent magnet motor and system using the same
KR20150020121A (en) * 2013-08-15 2015-02-25 리니어 테크놀러지 코포레이션 Accurate current sensing in h-bridge applications without amplifier having high common mode rejection ratio
JP2015121474A (en) * 2013-12-24 2015-07-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Current sensor stuck fault diagnostic system and diagnostic method
KR20160097692A (en) * 2015-02-09 201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tor driving device and dish wash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2239B1 (en) 202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9101B2 (en) Motor control device
US8558534B2 (en) Rotational angle detection devic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JP5157429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US8901863B2 (en) Motor control device
US20060066270A1 (en) Controller for motor to be mounted on vehicl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and electric brake device using thereof
WO2013077241A1 (e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US10093346B2 (en) Motor controller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WO2003078237A1 (e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control apparatus
JP2011033632A (en) Stator of rotary electric machine
JP2011057012A (en) Electric power steering control device
KR20180029494A (en) Motor Controll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US10833623B2 (en) Electric power control unit
KR20100090875A (en) Current sensing apparatus using shunt register and electronic control unit using same
KR101372206B1 (en) Motor controll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US10326392B2 (en) Motor control device
JP2008005596A (en) Current detector, motor controller, and method of current detection
WO2012039200A1 (en) Load drive device
JP2006345683A (en) Current detector
KR10184008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electric motor
JP2009090749A (e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JP2016191575A (en) Current detection circuit and vehicular electronic control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08224283A (en) Magnetic type absolute value encoder device
WO2019054089A1 (en) Motor drive device, motor,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KR20130000813A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capable of adjusting offset
KR101195728B1 (en) Torque Sensor for Considering Steering Characteristic According to Vehicle Speed, Electronic Control Unit, Electric Power Steering and Motor Control Method by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