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9022A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9022A
KR20180029022A KR1020180028808A KR20180028808A KR20180029022A KR 20180029022 A KR20180029022 A KR 20180029022A KR 1020180028808 A KR1020180028808 A KR 1020180028808A KR 20180028808 A KR20180028808 A KR 20180028808A KR 20180029022 A KR20180029022 A KR 20180029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put
unit
signal
category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8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04161B1 (en
Inventor
권용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8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161B1/en
Publication of KR20180029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0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1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display device comprises: an image processing unit which processes at least one image among a plurality of content;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the image and a UI item for searching the content; a remote controller unit which is provided remotely from the display unit, and contains a touch input unit for sensing a first touch input of a user; a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ing unit which receives remote controller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ler unit; and a control unit which displays a UI item of the at least one content determined based on a first arrangement order among the plurality of content on the display unit, and converts the UI item of the displayed content into a UI item of content moved by an amount of movem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uch input to display the same. Accordingly, a user can search desirable image content more conveniently and rapidly.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0001]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0002]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모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격으로 복수의 채널을 검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enable a user to remotely search a plurality of channels using a remote controller.

TV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는 방송국으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하거나, DVD플레이어와 같은 영상기기로부터 영상신호(이하, "방송신호" 및 "영상신호"를 통칭하여 "영상신호"라 함)를 입력하여, 이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A display device such as a TV receives a broadcast signal from a broadcast station or inputs a video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video signal" collectively referred to as "video signal") from a video device such as a DVD player, And displays the image on the basis of the image.

영상신호에는 방송컨텐츠, 영화컨텐츠 등 다양한 영상컨텐츠들이 포함될 수 있는데,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가 이들 중 시청하고자 하는 것을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UI메뉴를 제공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는 리모컨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리모컨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보다 편리하게 영상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The video signal may include various video contents such as broadcast contents and movie contents. The display device provides a UI menu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search for the contents to be viewed.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remote controller, and allows a user to remotely select a video content using a remote controller.

그런데, 최근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시청 가능한 영상컨텐츠들은 점점 많아지고 있고, 이렇게 수많은 영상컨텐츠들을 검색하기 쉽도록 UI메뉴를 제공하는 기술이 지금까지 많이 제안되어 오고 있지만, 아직도 그러한 편리하고 유용한 UI메뉴를 제공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일이다. 또한, 통상 디스플레이장치의 리모컨은 버튼방식을 채용하고 있는데, 이같은 리모컨의 버튼을 일일이 눌러가며 수많은 영상컨텐츠들을 검색하는 일은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도 있다. Recently, a number of image contents that can be viewed through a display device have been increasing. Many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so far to provide a UI menu for easily retrieving a large number of image contents. However, such a convenient and useful UI menu is still provided It is still difficult to do. In addition, normally, the remote controller of the display device employs a button system. However, it is very inconvenient to search a large number of image contents by pressing the buttons of the remote controlle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원하는 영상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search desired image contents more conveniently and quickly.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과, 상기 컨텐츠의 탐색을 위한 UI항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원격으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제1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입력부를 포함하는 리모컨부와; 상기 리모컨부로부터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리모컨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신호수신부와;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제1배열순서에 기초하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UI항목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되는 컨텐츠의 UI항목을, 상기 제1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이동량만큼 이동된 컨텐츠의 UI항목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image among a plurality of content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mage and a UI item for searching for the content; A remote control unit provided remotely to the display unit and including a touch input unit for sensing a first touch input of a user; A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remot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Displaying a UI item of at least one content determined based on a first arrangement order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on the display unit and displaying UI items of the displayed content on a display screen of the content UI items of the UI elements of the display device.

상기 제1터치입력은 상기 터치입력부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하는 모션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touch input may include a motion of moving to the touch input unit.

상기 이동량은, 상기 모션의 이동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The movement amount may correspond to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motion.

상기 이동량은, 상기 모션의 속도에 대응할 수 있다.The amount of movement may correspond to the speed of the motion.

상기 이동량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한번에 표시될 수 있는 복수의 컨텐츠로 구성된 페이지 단위일 수 있다.The movement amount may be a page unit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tents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t a time.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상기 UI항목은 격자모양으로 배열될 수 있다.The UI items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may be arranged in a grid shape.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상기 UI항목은 띠모양으로 배열될 수 있다.The UI items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may be arranged in a band shape.

상기 UI항목은 현재 선택된 컨텐츠의 영상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The UI item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image of the currently selected content.

상기 리모컨부는, 상기 터치입력부 상의 제2터치입력을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의 영상 표시 중에 상기 UI항목의 표시를 개시 또는 해제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unit may sense a second touch input on the touch input unit, and the control unit may start or cancel the display of the UI item during video display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uch input.

상기 리모컨부는, 상기 터치입력부 상의 제3터치입력을 감지하며, 상기 복수의 컨텐츠는 복수의 카테고리로 분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중 제2배열순서에 기초하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컨텐츠의 상기 UI항목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되는 컨텐츠의 UI항목을, 상기 제3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이동량만큼 이동된 카테고리에 속하는 컨텐츠의 UI항목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Wherein the remote control unit detects a third touch input on the touch input unit, the plurality of contents ar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and the control unit set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ategories to at least one category determined based on the second arrangement order The UI item of the content to be displayed can be displayed by switching the UI item of the content to be displayed to the UI item of the content belonging to the category moved by the movement amount corresponding to the third touch input.

상기 제1터치입력은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션에 대응하며, 상기 제3터치입력은 상기 제1방향과는 다른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션에 대응할 수 있다.The first touch input corresponds to a motion that moves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third touch input may correspond to a motion that moves in a second direc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중 어느 하나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correspond to any one of a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제어부는, 대각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션의 상기 터치입력에 있는 경우, 당해 모션에 의한 상기 상하방향 및 상기 좌우방향 각각의 이동량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카테고리의 이동을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an determine the movement of the content and the category based on the movement amounts of the up and down directions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motion when the touch input is in the touch input of the motion moving in the diagonal direction.

상기 리모컨부는, 상기 터치입력부의 영역 안에서 상기 영역 밖으로의 모션을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정보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모션에 따라 상기 컨텐츠정보창을 화면 안에서 화면 밖으로 상기 모션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빠져나가듯이 표시를 해제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unit senses a motion outside the area within the area of the touch input unit. The control unit displays a content information window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content on the display unit, and displays the content information window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motion. The display can be released from the screen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motion.

상기 리모컨부는, 상기 터치입력부의 영역 안에서 상기 영역 밖으로의 모션을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정보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모션에 따라 상기 컨텐츠정보창을 화면 안에서 화면 밖으로 상기 모션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빠져나가듯이 표시를 해제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unit senses a motion outside the area within the area of the touch input unit. The control unit displays a content information window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content on the display unit, and displays the content information window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motion. The display can be released from the screen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motion.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리모컨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컨텐츠의 탐색을 위하여 제1배열순서에 기초하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UI항목을 표시하는 단계와; 리모컨에 구비된 터치입력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1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1터치입력에 대응하는 리모컨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되는 컨텐츠의 UI항목을, 상기 제1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이동량만큼 이동된 컨텐츠의 UI항목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for a display device having a remote controller, comprising: displaying a UI item of at least one content determined based on a first arrangement order for searching for a plurality of contents; Detecting a first touch input of a user using a touch input unit provided on a remote control; Receiving a remot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uch input; And displaying the UI item of the displayed content by converting the UI item of the displayed content to the UI item of the moved content by the movement amou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uch input and displaying the converted UI item.

상기 제1터치입력은 상기 터치입력부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하는 모션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touch input may include a motion of moving to the touch input unit.

상기 이동량은, 상기 모션의 이동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The movement amount may correspond to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motion.

상기 이동량은, 상기 모션의 속도에 대응할 수 있다.The amount of movement may correspond to the speed of the motion.

상기 이동량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한번에 표시될 수 있는 복수의 컨텐츠로 구성된 페이지 단위일 수 있다.The movement amount may be a page unit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tents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t a time.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상기 UI항목은 격자모양으로 배열될 수 있다.The UI items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may be arranged in a grid shape.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상기 UI항목은 띠모양으로 배열될 수 있다.The UI items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may be arranged in a band shape.

상기 UI항목은 현재 선택된 컨텐츠의 영상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The UI item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image of the currently selected content.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입력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2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2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 표시 중에 상기 UI항목의 표시를 개시 또는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n image of the content; Sensing a user's second touch input using the touch input uni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arting or releasing the display of the UI item during the video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uch input.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복수의 컨텐츠가 분류되어 속하는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중 제2배열순서에 기초하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컨텐츠의 상기 UI항목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입력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3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되는 컨텐츠의 UI항목을, 상기 제3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이동량만큼 이동된 카테고리에 속하는 컨텐츠의 UI항목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comprises the steps of: displaying the UI item of content belonging to at least one category determined based on a second arrangement order among the plurality of categories to which the plurality of contents belongs; Sensing a user's third touch input using the touch input unit; And displaying the UI item of the displayed content by switching the UI item of the content belonging to the category moved by the movement amount corresponding to the third touch input.

상기 제1터치입력은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션에 대응하며, 상기 제3터치입력은 상기 제1방향과는 다른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션에 대응할 수 있다.The first touch input corresponds to a motion that moves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third touch input may correspond to a motion that moves in a second direc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중 어느 하나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correspond to any one of a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터치입력부를 이용하여 대각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션의 사용자의 제4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모션에 의한 상기 상하방향 및 상기 좌우방향 각각의 이동량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카테고리의 이동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sensing a fourth touch input of a user in a motion that moves in a diagonal direction using the touch input unit; And determining movement of the content and the category based on the movement amounts of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by the motion.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터치입력부의 영역 밖에서 상기 영역 안으로의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모션에 따라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정보창을 화면 밖에서 화면 안으로 상기 모션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진입하듯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sensing a motion of a user into the area outside the area of the touch input unit; And displaying the content information window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content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motion from the outside of the screen to the screen according to the motion.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정보창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입력부의 영역 안에서 영역 밖으로의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모션에 따라 상기 컨텐츠정보창을 화면 안에서 화면 밖으로 상기 모션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빠져나가듯이 표시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 content information window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content; Sensing a motion of the user outside the area within the area of the touch input unit; And canceling the display of the content information window as if the content information window is out of the screen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motion according to the motion.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원하는 영상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ired video contents can be searched more conveniently and quickl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하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리모컨장치의 외관을 상세히 도시하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터치입력부를 이용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의 다양한 예를 도시하며,
도 5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가 표시하는 UI메뉴의 일례를 도시하며,
도 6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가 표시하는 페이지 및/또는 카테고리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터치입력부를 이용하여 페이지 및/또는 카테고리의 이동을 지시하는 사용자의 모션의 일례를 도시하며,
도 8 및 9는 도 7에 도시된 사용자의 모션의 이동거리 및 속도 각각에 대응하는 페이지 및/또는 카테고리의 이동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터치입력부를 이용하여 페이지 및/또는 카테고리의 이동을 지시하는 사용자의 모션의 다른예를 도시하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한 페이지 및/또는 카테고리의 이동을 부연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2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가 표시하는 간이UI메뉴를 도시하며,
도 13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가 표시하는 채널정보창의 예를 도시하며,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채널정보창의 표시의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채널정보창의 표시의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6 내지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shows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FIG. 3 shows details of the appearance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shown in FIGS. 1 and 2,
FIG. 4 shows various examples of a user's touch input using the touch input unit shown in FIG. 3,
Fig. 5 shows an example of a UI menu displayed by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s. 1 and 2,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a page and / or a category displayed by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s. 1 and 2,
7 shows an example of a motion of a user instructing movement of a page and / or a category using the touch input unit shown in Fig. 3,
Figs. 8 and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movement amounts of pages and / or categories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distance and the velocity of the user's motion shown in Fig. 7,
10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motion of the user indicating the movement of the page and / or the category using the touch input unit shown in Fig. 3,
11 is a view for further explaining the movement of a page and / or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motion of the user shown in Fig. 10,
Fig. 12 shows a simplified UI menu displayed by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s. 1 and 2,
13 shows an example of a channel information window displayed by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s. 1 and 2,
Fig. 1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art of display of the channel information window shown in Fig. 13,
FIG. 1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ancellation of the display of the channel information window shown in FIG. 13,
16 to 19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를 도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1)은 TV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본체(1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본체(10)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장치(20)를 포함한다. 리모컨장치(20)는 디스플레이본체(10)와 별도로 마련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리모컨신호를 디스플레이본체(10)에 전송하며, 디스플레이본체(10)는 리모컨장치(20)로부터 리모컨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g. 1 shows a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1 may be implemented as a TV and includes a display main body 10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20 for controlling the display main body 10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display main body 10 and transmits a remot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to the display main body 10. The display main body 10 receives a remote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 And performs the corresponding opera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디스플레이본체(10)는 영상신호수신부(11), 영상처리부(12), 디스플레이부(13), 저장부(14), 리모컨신호수신부(15) 및 본체제어부(16)를 포함한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 shown in Fig. The display main body 10 includes a video signal receiving unit 11, an image processing unit 12, a display unit 13, a storage unit 14, a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15, and a main body control unit 16.

영상신호수신부(11)는 영상컨텐츠가 포함된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영상신호에는 영상컨텐츠뿐만 아니라, 음성컨텐츠 및/또는 데이터컨텐츠도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영상신호수신부(11)에 의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는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방송신호와, 소정의 영상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포함한다. 방송신호의 경우, 영상신호수신부(11)는 복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의 방송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방송신호는 공중파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등 알려져 있는 모든 형태의 방송신호를 포함한다. 또한, 방송신호의 종류는 디지털방송 및 아날로그방송을 포함한다. 영상신호수신부(11)는 수신된 방송신호로부터 영상컨텐츠 등을 얻어내기 위한 신호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처리는 튜닝,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복조, 디지털-아날로그변환 등을 포함한다.The video signal receiving unit 11 receives the video signal including the video content. In addition, the video signal may include not only video content but also audio content and / or data content. The video signal received by the video signal receiving unit 11 includes a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and a signal input from a predetermined video equipment. In the case of a broadcast signal, the video signal receiving unit 11 can selectively receive a broadcast signal of any one of a plurality of channels. The broadcast signal includes all known types of broadcast signals such as over-the-air broadcast, cable broadcast, and satellite broadcast. The types of broadcast signals include digital broadcasting and analog broadcasting. The image signal receiving unit 11 may perform signal processing for obtaining image contents and the like from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Such signal processing includes tuning, analog-to-digital conversion, demodulation, digital-to-analog conversion, and the like.

영상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경우, 영상신호수신부(11)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특성에 대응하여 영상신호를 송신하는 영상기기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은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을 포함하며, 아날로그통신 및 디지털통신을 포함한다. 또한, 통신의 방식에 있어서도, 영상컨텐츠 등의 전송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모든 형태의 통신을 포함한다. 영상신호수신부(11)에 영상신호를 제공하는 영상기기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DVD플레이어, BD(블루레이디스크)플레이어, PC, 휴대전화기, 스마트폰, 다른 TV 등을 포함한다. 영상신호수신부(11)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로부터 영상컨텐츠 등을 얻어내기 위한 신호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신호처리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디지털-아날로그변환 등을 포함한다.In the case of a video signal input from a video apparatus, the video signal receiving unit 11 can perform communication with a video apparatus that transmits a video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an input video signal. Such communications include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s, including analog communications and digital communications. Also, the communication method includes all types of communication known to be available for transmission of image contents and the like.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type of the video apparatus that provides the video signal to the video signal receiving unit 11 and includes a DVD player, a BD (Blu-ray Disc) player, a PC,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nd other TVs. The image signal receiving unit 11 may perform signal processing for obtaining image contents or the like from an input image signal. Such signal processing includes analog-to-digital conversion, digital-to-analog conversion, and the like.

나아가, 영상신호수신부(11)는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의 서버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거나, USB저장매체와 같은 이동식저장장치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각 경우에, 영상신호수신부(11)는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대방장치와 주어진 방식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Further, the video signal receiving unit 11 may receive a video signal from a predetermined server through a network, or may receive a video signal from a portable storage device such as a USB storage medium. In each case, the image signal receiving unit 11 can perform communication in a given manner with the counterpart apparatus in order to receive a video signal.

어느 경우에든지, 영상신호수신부(11)는 본체제어부(16)의 제어에 따라 상기한 영상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any case, the video signal receiving unit 11 can perform the operation of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video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body control unit 16. [

영상처리부(12)는 영상신호수신부(11)에 의해 수신된 영상신호로부터 얻어진 영상컨텐츠 등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영상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영상처리는 디멀티플렉싱, 디코딩, 스케일링, 화질조정처리, 화질개선처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영상처리부(12)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UI메뉴에 관한 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2)는 영상컨텐츠 등에 의한 영상과, UI메뉴에 관한 영상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한 화면에 중첩하거나, 나란히 배치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12 performs predetermined image processing so that the image content obtained from the image signal received by the image signal receiving unit 11 can be displayed. Such image processing includes demultiplexing, decoding, scaling, image quality adjustment processing, image quality improvement processing,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12 can process an image related to a UI menu for interfacing with a user. The image processing unit 12 may perform processing of superimposing at least a part of each of the image based on the image content and the image related to the UI menu on one screen or arranging them side by side.

디스플레이부(13)는 영상처리부(12)에 의해 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3)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며, 알려진 디스플레이방식을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방식의 예로는, LCD, OLED, PDP, 프로젝션, CRT 등이 있을 수 있다.The display unit 13 displays an image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12.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manner in which the display unit 13 displays an image, and includes all known display methods. Examples of such a display method include an LCD, an OLED, a PDP, a projection, a CRT, and the like.

저장부(14)는 디스플레이본체(1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14)는 데이터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의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비휘발성의 메모리는, 예컨대, EEPROM, 플래시메모리, 하드디스크드라이브 등을 들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 stores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main body 10. The storage unit 14 includes all types of nonvolatile memory known to be able to permanently store data. Such nonvolatile memories include, for example, EEPROM, flash memory, hard disk drive, and the like.

리모컨신호수신부(15)는 리모컨장치(20)로부터 전송되는 리모컨신호를 수신한다. 리모컨신호수신부(15)는 리모컨장치(20)로부터 전송되는 리모컨신호에 특성에 맞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모컨신호의 전송방식은, 예컨대, 적외선송신, RF통신 등을 들 수 있으나, 상기한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원격 제어용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모든 형태의 신호전송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리모컨신호수신부(15)는 리모컨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얻기 위한 필요한 신호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리모컨신호수신부(15)는 수신되는 리모컨신호 혹은 얻어낸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본체제어부(16)에 전송한다.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15 receives the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 [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15 may be configured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 [ The transmission method of the remote control signal may include, for example, infrared transmission, RF communication, and the like, but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and may include any type of signal transmission method known to be usable for remote control .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15 can perform necessary signal processing for obtaining user input information from the remote control signal.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15 transmits the received remote control signal or the input information of the obtained user to the main body control unit 16.

본체제어부(16)는 디스플레이본체(1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본체제어부(16)는 리모컨신호수신부(15)가 수신한 리모컨신호로부터 얻어지는 사용자의 입력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본체(10)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본체제어부(16)는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영상신호수신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본체제어부(16)는 영상신호수신부(11)가 수신한 영상신호로부터 얻어지는 영상컨텐츠 및/또는 UI메뉴에 대한 소정의 영상처리가 수행되도록 영상처리부(12)를 제어할 수 있다. 본체제어부(16)는 이와 같은 제어 수행의 필요에 따라 저장부(14)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부(14)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The main body control unit 16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main body 10 as a whole. The main body control unit 16 controls each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main body 10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information of the user obtained from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15. [ The main body control unit 16 can control the video signal receiving unit 11 to receive the video signal desired by the user. The main body control unit 16 may control the image processing unit 12 to perform predetermined image processing on the image content and / or the UI menu obtained from the image signal received by the image signal receiving unit 11. [ The main body control unit 16 may store data in the storage unit 14 or read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 in accordance with the need for such control.

본체제어부(16)는 상기한 제어 수행에 대응하는 컴퓨터프로그램의 실행코드가 저장되는 비휘발성의 메모리와, 비휘발성의 메모리에 저장된 실행코드의 적어도 일부가 로딩되는 휘발성의 메모리와, 휘발성의 메모리에 로딩된 실행코드를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control unit 16 includes a nonvolatile memory for storing an execution code of a computer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above control execution, a volatile memory for loading at least a part of the execution code stored in the nonvolatile memory, And a microprocessor executing the loaded executable code.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디스플레이본체(10)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동작에 필요한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예로서는, 음성신호의 수신, 처리 및 출력을 각각 수행하는 음성신호수신부, 음성신호처리부 및 음성출력부, 리모컨장치(20)와는 별로도 디스플레이본체(10)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지시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패드부, 디스플레이본체(10)의 각 구성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등을 들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display body 10 may further include other structure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1. [ Examples of such a configuration include a voice signal receiving unit, a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an audio output unit, and a remote control unit 20 that respectively perform reception, processing, and output of a voice signal, An input pad for supplying power to the display main body 10, and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each constitution of the display main body 10, and the lik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컨장치(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리모컨장치(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입력부(21), 키입력부(22), 리모컨신호송신부(23) 및 리모컨제어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입력부(21)는 모션 형태의 사용자의 지시를 입력받으며, 키입력부(22)는 사용자의 지시로서 미리 정해진 특정 입력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리모컨제어부(24)는 터치입력부(21) 및 키입력부(22)로부터의 얻어진 사용자의 입력에 관한 정보를 리모컨신호송신부(23)를 통해 리모컨신호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본체(10)로 송신한다. 리모컨신호송신부(23)는 디스플레이본체(10)의 리모컨신호수신부(15)와 대응하는 신호전송방식의 구성을 가진다.Next,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remote control device 20 may include a touch input unit 21, a key input unit 22, a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unit 23 and a remote control unit 24 as shown in FIG. The touch input unit 21 receives an instruction of a user in the form of a motion, and the key input unit 22 confirms whether or not a predetermined specific input is selected as an instruction of the user. The remote control control unit 24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user's input obtained from the touch input unit 21 and the key input unit 22 to the display main body 10 through the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unit 23 in the form of a remote control signal. The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ing unit 23 has a configuration of a signal transmission system corresponding to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15 of the display main body 10. [

도 3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리모컨장치(20)의 터치입력부(21) 및 키입력부(22)의 외관을 상세히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컨장치(20)는 하우징(25)을 더 포함하며, 터치입력부(21)는 하우징(25)의 일영역에, 키입력부(22)는 하우징(25)의 타영역에 각각 노출되도록 마련된다. 키입력부(22)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며, 복수의 버튼 각각은 숫자, 문자 등 미리 정해진 키코드와 매칭된다. 도시되지는 않으나, 키입력부(22)의 복수의 버튼 각각의 표면에는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해당 버튼에 매칭된 숫자, 문자 등의 표지가 형성될 수 있다.FIG. 3 shows details of the touch input unit 21 and the key input unit 22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 shown in FIGS. 1 and 2 in detail. 3, the remote control device 20 further includes a housing 25, the touch input unit 21 is connected to one area of the housing 25, the key input unit 22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housing 25, Respectively. The key input unit 22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buttons is matched with a predetermined key code such as numbers, letters, and the like. Although not shown, the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uttons of the key input unit 22 may be provided with a mark such as a number, a character, etc. matched to the corresponding button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button.

터치입력부(21)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가 접촉될 수 있는 접촉면(211)을 가진다. 도 3에 도시된 접촉면(211)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접촉면(211)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타원형 혹은 다른 형태의 다각형을 모두 포함한다.The touch input unit 21 has a contact surface 211 on which a part of the user's body can be contacted. Although the contact surface 211 shown in FIG. 3 is illustrated as having a rectangular shape, the contact surface 211 is not limited to this, and includes all round, oval, or other types of polygons.

본 실시예에서의 리모컨장치(20)는 사용자의 한쪽 손에 파지될 수 있으며, 그 때 그 손의 엄지손가락이 접촉면(211)에 접촉되는 것을 그 대표적인 예로 들고 있으나(도 3의 부호 30 참조), 접촉면(211)과, 사용자의 신체의 접촉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입력부(21)는 접촉면(211) 상의 사용자의 손가락(30)의 움직임(이하, "터치입력"이라고도 함)을 감지하여, 그 감지 결과를 리모컨제어부(24)에 전송한다.Although the remote control device 20 in this embodiment can be held in one hand of the user and the thumb of the hand contacts the contact surface 211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refer to reference numeral 30 in Fig. 3) The contact surface 211, and the contact of the user's body are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performed. The touch input unit 21 senses the movement of the user's finger 30 on the contact surface 211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touch input") and transmits the detection result to the remote control unit 24.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터치입력부(21)를 이용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마찬가지로, 도 4에 도시된 터치입력은 사용자의 특정 손 및/또는 특정 손가락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IG. 4 shows various examples of a user's touch input using the touch input unit 21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touch input illustrated in FIG. 4 exemplifies the user's specific hand and / or specific fing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입력부(21)를 이용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은, 접촉면(211)의 임의의 지점을 터치하는 것(도 4의 (a)참조), 접촉면(211)을 따라 소정 방향으로 접촉 유지한 채 움직이는 것(도 4의 (b)참조), 둘 이상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접촉된 손가락의 간격을 넓히거나(도 4의 (c)참조), 좁히는 것(도 4의 (d)참조), 어느 하나의 손가락의 접촉이 고정된 지점을 중심으로 다른 손가락의 접촉을 회전하거나(도 4의 (e)참조), 양 손가락의 접촉 지점을 모두 상대적으로 회전시키거나(도 4의 (f)참조), 둘 이상의 손가락의 접촉을 함께 회전시키는 것(도 4의 (g)참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4, the user's touch input using the touch input unit 21 is performed by touching an arbitrary point on the contact surface 211 (see Fig. 4 (a)), (See (b) of FIG. 4), or by moving the finger while keeping it in contact with the finger (see FIG. 4 (See Fig. 4 (e)), or both of the contact points of the two fingers are relatively rotated (see Fig. 4 (see Fig. 4 (f)), and rotating two or more fingers together (see Fig. 4 (g)).

디스플레이본체(10)의 본체제어부(16)는 리모컨장치(20)의 터치입력부(21)를 이용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본체제어부(16)는, 도 4의 (a)와 같은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UI메뉴를 표시를 개시 또는 해제하거나, UI메뉴 상의 어느 항목에 커서 또는 하이라이트를 포커싱하거나, 해당 항목을 선택하는 것, 도 4의 (b) 와 같은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커서 또는 하이라이트를 이동하거나, UI메뉴의 페이지를 전환하거나, 영상 자체를 이동시켜 영상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표시하거나, UI항목을 드래그하여 그 위치를 변경하는 것, 도 4의 (c) 또는 (d)와 같은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영상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것, 도 4의 (e), (f) 또는 (g)와 같은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영상을 회전시키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control unit 16 of the display main body 10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of the user using the touch input unit 21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 [ For example, the main body control unit 16 may start or cancel the display of the UI menu in response to the touch input as shown in FIG. 4A, focus the cursor or highlight on any item on the UI menu, (B) of FIG. 4, moving the cursor or highlight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as shown in FIG. 4 (b), switching the page of the UI menu, moving the image itself to display an invisible part of the image, 4 (c) or 4 (d), enlarging or reducing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or touch input such as (e), (f) Rotating the image correspondingly, and the like.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를 이용한 영상컨텐츠 등의 검색에 관하여 설명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를 통해 검색할 수 있는 영상컨텐츠는, 예컨대, 방송컨텐츠, 영화컨텐츠, 사진, 동영상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검색할 수 있는 컨텐츠는 영상컨텐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성컨텐츠, 데이터컨텐츠 등 다양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1)가 제공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컨텐츠를 통칭하여 간략히 "컨텐츠"라 한다.Hereinafter, retrieval of image contents or the like using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image contents that can be search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1 include, for example, broadcast contents, movie contents, pictures, moving pictures, and the lik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s that the user can search using the display device 1 are not limited to the image contents, but may be various types such as voice contents and data contents. Hereinafter, all types of content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display device 1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contents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는 수신되는 복수의 채널의 방송신호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에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기기가 접속될 수 있으며, 해당 영상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통해서도 별도의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장치(1)는 저장부(14)에 또 다른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부(14)에 저장된 컨텐츠가 제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t is assumed that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contents through broadcast signals of a plurality of received channels. Also, at least one video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1, and additional content may be provided through a video signal input from the video device. Furthermore, the display apparatus 1 may store another content in the storage unit 14, and the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 may be provided.

디스플레이장치(1)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제공될 수 있는 컨텐츠에 대한 편리한 검색을 위해 UI메뉴를 이용한다. 도 5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1)가 표시하는 UI메뉴(131)의 일례를 도시한다. 본체제어부(16)는, 디스플레이부(13)를 통해 UI메뉴(131)가 표시되도록 영상처리부(12)를 제어한다.The display device 1 uses a UI menu for convenient retrieval of contents that can be provided through various paths as described above. Fig. 5 shows an example of a UI menu 131 displayed by the display device 1 shown in Figs. 1 and 2. Fig. The main body control unit 16 controls the image processing unit 12 to display the UI menu 131 through the display unit 13. [

UI메뉴(13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될 수 있는 복수의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UI항목(132)을 포함한다. 도 5에서는 복수의 UI항목(132)이 격자 모양으로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나, 복수의 UI항목(132)의 배치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각 UI항목(132)은 해당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보여줄 수 있며, 예컨대, 컨텐츠에 관한 정보는 해당 컨텐츠의 채널번호(133), 채널명(134), 타이틀(135) 등을 포함한다. 도시되지는 않으나, 컨텐츠에 관한 정보는 해당 컨텐츠의 섬네일이미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의 편의상, 도 5에서 일부 UI항목(132)에 대한 컨텐츠 정보는 도시가 생략되었다.The UI menu 131 includes a plurality of UI items 132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contents that can be provided, as shown in Fig. 5, a plurality of UI items 132 are arranged in a lattice shape, but the arrangement form of the plurality of UI items 132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arrang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information on the content includes the channel number 133, the channel name 134, the title 135, and the like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Although not shown, the information on the content may include a thumbnail image of the content.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the content information for some UI items 132 in FIG. 5 is omitted.

사용자는 복수의 UI항목(132)을 이용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검색 및 선택할 수 있다. 본체제어부(16)는, 사용자가 복수의 UI항목(13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임의의 UI항목(132)을 하이라이트시킨다(도 5의 부호 136 참조). 본체제어부(16)는, 리모컨장치(20)의 키입력부(22) 및/또는 터치입력부(21)를 이용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하이라이트(136)를 다른 UI항목(132)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며, 사용자는 원하는 UI항목(132)이 하이라이트된 때 해당 UI항목(132)의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A user can search for and select a desired content using a plurality of UI items 132. [ Body control 16 highlights any UI item 132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ny of a plurality of UI items 132 (see reference numeral 136 in FIG. 5). The main body control section 16 moves the highlight 136 to another UI item 132 and displays it according to a user's instruction using the key input section 22 and / or the touch input section 21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 The user can select the content of the UI item 132 when the desired UI item 132 is highlighted.

복수의 UI항목(132)을 통해 나타낼 수 있는 컨텐츠는 디스플레이장치(1)가 제공할 수 있는 전체 컨텐츠의 일부이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컨텐츠 전부를 한번에 화면에 다 나타낼 수 없는 상황을 고려하여, 화면에 나타낼 수 있는 만큼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UI항목(132; 이하, 이를 "페이지"라 함)을 한번에 보여준다. UI메뉴(131)는 현재 표시된 UI항목(132)의 컨텐츠가 속한 페이지에 관한 정보(137 및 138)를 포함할 수 있다. 참조부호 137은 전체 7페이지 중에서 현재 2번째 페이지임을 숫자로 나타낸 것이며, 참조부호 138는 바형태의 인디케이터를 이용한 것이다.The content that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plurality of UI items 132 is a part of the entire contents that the display device 1 can provide. The display device 1 displays a UI item 132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age ")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at a time, taking into consideration a situation where all of the contents can not be displayed all at once on the screen. The UI menu 131 may include information 137 and 138 about the page to which the content of the currently displayed UI item 132 belongs. Reference numeral 137 denotes the second page among the 7 pages in total, and numeral 138 denotes a bar-shaped indicator.

나아가, 디스플레이장치(1)는 전체 컨텐츠를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고, 카테고리 별로 컨텐츠의 UI항목(132)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카테고리의 예로서는, 전체 채널, TV, 라디오, 외부입력(영상기기로부터의 컨텐츠에 대응) 등일 수 있다. UI메뉴(131)는 현재 표시되는 UI항목(132)의 컨텐츠가 속한 카테고리의 정보(139)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display device 1 can classify the entire contents into categories and display the UI items 132 of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categories. Examples of such categories may include an entire channel, TV, radio, external input (corresponding to content from a video device), and the like. The UI menu 131 may include information 139 of the category to which the content of the currently displayed UI item 132 belongs.

본체제어부(16)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현재 표시된 UI항목(132)을, 현재 나타낸 페이지 외의 다른 다른 페이지에 속하는 컨텐츠 혹은 현재 나타낸 카테고리 외의 다른 카테고리에 속하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UI항목(132)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페이지 및/또는 카테고리의 전환(이하, "이동"이라고도 함)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지시는, 리모컨장치(20)의 키입력부(22) 및/또는 터치입력부(21)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키입력부(22)는 상하좌우로 배치된 네 개의 버튼을 포함하며, 이들 중 상하로 배치된 버튼이 눌려지면 카테고리 간의 이동이, 좌우로 배치된 버튼이 눌려지면 페이지 간의 이동이 각각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페이지 및/또는 카테고리 간 이동이 이루어질 때 새로이 나타낼 컨텐츠가 결정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장치(1)에는 카테고리의 배열순서 및 하나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컨텐츠들의 배열순서가 소정 기준에 따라 정해져 있다. 따라서, 본체제어부(16)는, 사용자로부터 페이지 및/또는 카테고리 간 이동의 지시가 있으면, 상기 배열순서를 참조하여 새로이 나타낼 컨텐츠를 결정하고, 결정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UI항목(132)을 표시한다. 도 6은 이와 같은 페이지 및/또는 카테고리의 이동을 부연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UI항목(132)은 현재 표시된 페이지 및 카테고리를 나타내며, 점선으로 도시된 UI항목(132)은 이전 또는 다음의 페이지 혹은 이전 또는 다음의 카테고리를 가상적으로 나타낸다. 각 경우의 UI항목(132) 상에 도시된 원 내부의 참조번호는 페이지 또는 카테고리의 배열순서를 나타낸다. 예컨대, 페이지 간 이동의 경우, "21", "22" 및 "23"의 배열순서로, 카테고리 간 이동의 경우, "12", "22" 및 "32"의 배열순서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UI메뉴(131)는 다음 또는 이전의 카테고리가 무엇인지를 미리 알려주는 정보(139a 및 139b)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control unit 16 sets the currently displayed UI item 132 to the UI item 132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belonging to another page other than the currently displayed page or the content belonging to another category other than the currently displayed category, Can be displayed and displayed. The instruction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such switching of the page and / or category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movement") may be made by the key input unit 22 and / or the touch input unit 21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 . For example, the key input unit 22 includes four buttons arranged vertically, horizontally, and vertically. When the upper and lower buttons are pushed, movement between the categories is performed. When the buttons arranged to the left and right are pushed, have. Here, in order that the contents to be newly displayed when the movement between the page and / or the category is made can be determined,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categories and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contents belonging to one category are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criterion in the display device 1. Therefore, when there is an instruction to move between the page and / or the category from the user, the main body control unit 16 determines the content to be newly displayed with reference to the arrangement order, and displays the UI item 132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content. FIG. 6 is a diagram for further illustrating the movement of such pages and / or categories. The UI item 132 shown by the solid line in FIG. 6 represents the currently displayed page and category, and the UI item 132 shown by the dotted line represents virtually the previous or next page or the previous or next category. The reference numbers in the circles shown on the UI items 132 in each case indicate the arrangement order of pages or categories. For example, in the case of inter-page movement, the order of arrangement of " 21 ", "22 ", and" 23 " On the other hand, the UI menu 131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139a and 139b) informing in advance what the next or previous category is.

또한, 페이지 및/또는 카테고리의 이동은 터치입력부(21)를 이용한 사용자의 모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터치입력부(21)를 이용하여 페이지 및/또는 카테고리의 이동을 지시하는 사용자의 모션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7에서는 사용자의 모션으로서 사용자의 손가락(30)의 움직임을 도시하나, 사용자의 모션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movement of the page and / or the category may be performed by the motion of the user using the touch input unit 21. [ 7 shows an example of the motion of the user instructing the movement of the page and / or the category using the touch input unit 21. As shown in Fig. 7 shows the movement of the user's finger 30 as the motion of the user, but the motion of the user is not limited thereto.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가락을 터치입력부(21)의 접촉면(211)에 접촉한 채로 상하좌우 방향(도 7의 화살표 및 참조부호 30a, 30b, 30c 및 30d 참조)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본체제어부(16)는, 접촉면(211) 상에서 이루어진 사용자의 모션의 방향에 따라 다음 또는 이전의 페이지, 혹은 다음 또는 이전의 카테고리로 이동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이에 대응하여 UI항목(132)을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키입력부(22)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원리로, 상하의 모션(참조부호 30c 및 30d)에 대응해서는 카테고리 간 이동이, 좌우의 모션(참조부호 30a 및 30b)에 대응해서는 페이지 간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에 의하면, 터치입력부(21)를 이용한 직관적이고 간이한 조작으로, 수많은 컨텐츠를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다.7, the user can move the finger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see the arrows in FIG. 7 and 30a, 30b, 30c and 30d) while touching the contact surface 211 of the touch input unit 21 . The main body control unit 16 determines to move to the next or previous page or the next or previous category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user's motion on the contact surface 211 and switches the UI item 132 accordingly Can be displayed. In this embodiment, inter-category movement corresponds to the upper and lower motions (reference numerals 30c and 30d), and page-to-category movement corresponds to the left and right motions (reference numerals 30a and 30b) Liver movement can be accomplished, but this is only one example, and can take many forms. Therefore, according to the display device 1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rge number of contents can be retrieved more quickly and conveniently by an intuitive and simple operation using the touch input unit 21. [

본체제어부(16)는 터치입력부(21)의 접촉면(211) 상의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하여 페이지 및/또는 카테고리의 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량을 결정하는 구체적인 인자로는, 예컨대 접촉면(211) 상의 사용자의 모션의 이동거리 및 그 속도를 포함한다. 도 8 및 9는 모션의 이동거리 및 속도 각각에 대응하는 페이지 및/또는 카테고리의 이동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과 유사하게, 도 8 및 9에 있어서도, 실선으로 도시된 UI항목(132)은 현재 표시된 페이지를 나타내며, 점선으로 도시된 두 개의 UI항목(132)은 다음의 페이지들을 가상적으로 나타낸다. 각 경우의 UI항목 상에 도시된 원 내부의 참조번호는 페이지의 배열순서("1", "2" 및 "3"의 순)를 나타낸다. 도 8 및 9을 이용하여 도시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페이지의 이동에 관한 것만을 예시하여 설명하나, 이는 카테고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음을 주지하여야 한다.The main body control unit 16 can determine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page and / or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motion of the user on the contact surface 211 of the touch input unit 21. [ Specific factors for determining this amount of movement include, for example, the distance traveled by the user's motion on the contact surface 211 and its speed. 8 and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amount of movement of a page and / or a category corresponding to a movement distance and a speed of a motion, respectively. Similar to FIG. 6, in FIG. 8 and FIG. 9, the UI item 132 shown by the solid line represents the currently displayed page, and the two UI items 132 shown by the dotted line virtually represent the following pages. The reference numbers in the circles shown on the UI items in each case represent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pages (in order of "1", "2", and "3").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using Figs. 8 and 9, only the movement of the page is illustrated and explained,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an be applied to the category.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하단에는 터치입력부(21) 상을 움직이는 두 가지의 경우의 모션을 나타나며, 두 경우의 모션 모두 우측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즉, 대응하여 UI항목이 다음페이지로 이동됨)를 가정한다. 도 8의 좌하단에 도시된 참조부호 30e 및 30f는 모션이 작은 경우의 모션의 시작점 및 완료점에 각각 대응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를, 우하단에 도시된 참조부호 30g 및 30h는, 모션이 큰 경우의 모션의 시작점 및 완료점에 각각 대응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를 각각 도시한다. 즉, 전자는 모션의 이동거리가 작은 경우에, 후자는 모션의 이동거리가 큰 경우에 각각 해당한다. 본체제어부(16)는, 모션의 이동거리가 작은 경우에 비하여, 모션의 이동거리가 큰 경우에 페이지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동하도록 그 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본체제어부(16)는, 현재 배열순서가 "1"인 페이지의 UI항목(132)이 표시된 상태에서, 모션의 이동거리가 작은 경우에 대응해서는 배열순서가 "2"인 페이지의 UI항목(132)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면, 모션의 이동거리가 큰 경우에 대응해서는 배열순서 "2"보다 더 다음으로 배열되는 배열순서 "3"인 페이지의 UI항목(132)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wo motions of moving the touch input unit 21 are displayed at the lower end. When both of the motions of the two cases are moved to the right (i.e., the corresponding UI item is moved to the next page) . Reference numerals 30e and 30f shown at the lower left of FIG. 8 denote the positions of the user's fingers corresponding to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motion when the motion is small, and reference numerals 30g and 30h, And the positions of the user's fingers corresponding to the start point and the completion point of the motion in the large case, respectively. That is, the former corresponds to a case where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tion is small, and the latter case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tion is large. The main body control section 16 can determine the amount of movement such that the movement of the page is relatively large when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motion is large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motion is small.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UI item 132 of the page with the current arrangement order is "1 " is displayed and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motion is small, the main body control unit 16 sets UI items It is possible to switch to the UI item 132 of the page in the arrangement order "3 " arranged next to the arrangement order" 2 " .

다른 예로서, 도 9를 참조하면, 도 8과 유사하게, 하단에는 터치입력부(21) 상을 움직이는 두 가지의 경우의 모션을 나타나며, 두 경우의 모션 모두 우측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즉, 대응하여 UI항목이 다음페이지로 이동됨)를 가정한다. 도 9의 좌하단에 도시된 참조부호 30i 및 30j는 모션이 느린 경우의 모션의 시작점 및 완료점에 각각 대응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를, 우하단에 도시된 참조부호 30k 및 30l는, 모션이 빠른 경우의 모션의 시작점 및 완료점에 각각 대응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를 각각 도시한다. 즉, 전자는 모션의 속도가 낮은 경우에, 후자는 모션의 속도가 높은 경우에 각각 해당한다. 본체제어부(16)는, 모션의 속도가 낮은 경우에 비하여, 모션의 속도가 높은 경우에 페이지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동하도록 그 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본체제어부(16)는, 현재 배열순서가 "1"인 페이지의 UI항목(132)이 표시된 상태에서, 모션의 속도가 낮은 경우에 대응해서는 배열순서가 "2"인 페이지의 UI항목(132)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면, 모션의 속도가 높은 경우에 대응해서는 배열순서 "2"보다 더 다음으로 배열되는 배열순서 "3"인 페이지의 UI항목(132)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referring to FIG. 9, similarly to FIG. 8, there are two types of motions for moving the touch input unit 21 at the lower end. In the case where both motions are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UI item is moved to the next page). Reference numerals 30i and 30j shown at the bottom left of FIG. 9 denote the positions of the user's fingers corresponding to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motion when the motion is slow, and reference numerals 30k and 30l, And the position of the user's finger corresponding to the start point and the completion point of the motion in the fast case, respectively. That is, the former corresponds to a case in which the speed of the motion is low, and the latter corresponds to the case in which the speed of the motion is high. The main body control section 16 can determine the amount of movement such that the page moves relatively more when the speed of motion is higher than when the speed of motion is low. For example, in the state where the UI item 132 of the page in which the current arrangement order is "1" is displayed, the main body control unit 16 sets the UI item of the page whose arrangement order is "2" 132, it is possible to switch to the UI item 132 of the page in the arrangement order "3 " arranged next to the arrangement order" 2 "

어느 경우에든, 한번의 모션에 대응하는 페이지의 이동량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사용자의 모션의 정도에 따라 한 페이지만 이동될 수도 있고, 수 페이지 이상씩 이동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에 의하면, 터치입력부(21) 상의 사용자의 직관적이고 간이한 모션만으로, 수많은 컨텐츠들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다.In any case,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page corresponding to one motion, and only one page may be moved or several pages more or less depending on the degree of motion of the user. Therefore, according to the display device 1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a large number of contents more conveniently and quickly by only the intuitive and simple motion of the user on the touch input unit 21. [

도 10 및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를 설명한다. 도 10은 터치입력부(21)를 이용하여 페이지 및/또는 카테고리의 이동을 지시하는 사용자의 모션의 다른예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지 및/또는 카테고리의 이동을 지시하는 사용자의 모션은 상하좌우 방향에 한정되지 않으며, 대각선 방향도 가능함을 도시한다(도 10의 화살표 및 부호 30m, 30n, 30o 및 30p 참조). 본체제어부(16)는, 대각선 방향의 사용자의 모션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좌우방향의 모션 및 상하방향의 모션의 조합으로 간주하여, 이에 대응하는 페이지 및 카테고리 각각의 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모션이 우상의 대각방향(부호 30n 참조)이라면, 본체제어부(16)는, 다음 페이지 및 이전 카테고리로 UI항목(132)을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한 페이지 및/또는 카테고리의 이동을 부연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UI항목(132)은 현재 표시된 페이지 및 카테고리를 나타내며, 점선으로 도시된 UI항목(132)은 이전 또는 다음의 페이지 혹은 이전 또는 다음의 카테고리를 가상적으로 나타낸다. 각 경우의 UI항목(132) 상에 도시된 원 내부의 참조번호는 페이지 또는 카테고리의 배열순서를 나타낸다. 예컨대, 페이지 간 이동의 경우, "11" 또는 "31", "22" 및 "13" 또는 "33"의 배열순서로, 카테고리 간 이동의 경우, "11" 또는 "13", "22" 및 "31" 또는 "33"의 배열순서로 이동될 수 있다.10 and 11, a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0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motion of the user instructing the movement of the page and / or the category by using the touch input unit 21. As shown in Fig. 10, the motion of the user indicating the movement of the page and / or the category is not limited to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lso the diagonal direction is possible (the arrows 30m, 30n, 30p).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motion of the user in the diagonal direction, the main body control unit 16 can consider this as a combination of mo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motio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determine the amount of movement of each of the corresponding page and category. For example, if the motion of the user is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upper right (see reference numeral 30n), the main body control section 16 can switch the UI item 132 to the next page and the previous category to display it. FIG.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pages and / or categories corresponding to the motion of the user shown in FIG. 10; FIG. The UI item 132 shown by the solid line in FIG. 11 represents the currently displayed page and category, and the UI item 132 shown by the dotted line represents virtually the previous or next page or the previous or next category. The reference numbers in the circles shown on the UI items 132 in each case indicate the arrangement order of pages or categories. 11, "or " 13 "," 22 ", and "Quot; 31 "or" 33 ".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를 설명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어느 컨텐츠(이하, "채널"이라고도 함)의 시청 중에 다른 채널의 검색을 위한 간이한 UI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간이UI메뉴를 도시한다. 도 12에서 부호 1311은 현재 시청하고 있는 채널의 영상을, 부호 1312는 채널 검색을 위한 간이UI메뉴를 각각 나타낸다. 간이UI메뉴(131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UI항목(1313)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UI항목(1313)은 채널명, 채널번호 등의 채널정보를 보여준다. 복수의 UI항목(1313)은 3차원의 띠모양의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현재 시청 중인 채널에 대응하는 UI항목(1313)은 맨 앞으로 위치한다.Hereinafter, a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display device 1 can provide a simple UI menu for searching for another channel while viewing any content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channel"). 12 shows a simplified UI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reference numeral 1311 denotes an image of a channel currently viewed, and reference numeral 1312 denotes a simplified UI menu for channel search. 12, the simple UI menu 1312 includes a plurality of UI items 1313, and each UI item 1313 shows channel information such as a channel name and a channel number. The plurality of UI items 1313 are arranged in a three-dimensional band shape, and the UI item 1313 corresponding to the channel currently being watched is positioned at the front.

간이UI메뉴(1312)는, 채널의 영상(1311)의 시청 중에 사용자의 지시가 있으면 그 표시가 개시 또는 해제될 수 있다. 예컨대, 채널의 영상(1311)의 시청 중에 터치입력부(21)을 통해 도 3의 (a)와 같은 형태의 터치가 이루어지면, 간이UI메뉴(1312)의 표시를 개시할 수 있다. 또한, 간이UI메뉴(1312)의 표시 중에 도 3의 (a)와 같은 형태의 터치가 다시 이루어지면, 간이UI메뉴(1312)의 표시를 해제할 수 있다.The simple UI menu 1312 can start or cancel the display of the channel image 1311 if the user instructs it to view the channel image 1311. For example, when a touch like the one shown in FIG. 3 (a) is made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21 during viewing of the channel image 1311, the display of the simplified UI menu 1312 can be started. In addition, if a touch of the same type as shown in FIG. 3A is again displayed during the display of the simple UI menu 1312, the display of the simplified UI menu 1312 can be canceled.

한편, 복수의 UI항목(1313)은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전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아래 방향으로 전환하는 경우, 현재 맨 앞에 위치한 채널 "781"은 한 단계 아래로 이동함과 동시에 채널 "412"가 맨 앞으로 이동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동시에 배경 영상(1311)이 채널 "412"로 변경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채널의 전환은 키입력부(22) 및 터치입력부(21)을 이용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체제어부(16)는, 터치입력부(21) 상의 사용자의 모션에 따라 복수의 UI항목(1313)의 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모션은 상하방향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복수의 UI항목(1313)의 이동량에 관하여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이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UI items 1313 can be switch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user's instruction. For example, when switching to the downward direction, the current frontmost channel "781 " moves down one level and the channel" 412 " In this case, the background image 1311 may be changed to the channel "412 " at the same time. The switching of the channel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user's instruction using the key input unit 22 and the touch input unit 21. In particular, the main body control section 16 can determine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UI items 1313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user on the touch input section 21. [ In this case, the motion of the user can be a vertical direction. Since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can be similarly applied to the movement amounts of the plurality of UI items 1313 in this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복수의 UI항목(1313)을 통해 나타나는 채널은 소정의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카테고리가 전환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간이UI메뉴(1312)는, 현재 채널이 속한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정보(1314)를 표시할 수 있다. 본체제어부(16)는, 터치입력부(21) 상의 사용자의 모션에 따라 복수의 UI항목(1313)의 카테고리를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모션은 좌우방향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복수의 UI항목(1313)의 카테고리의 전환 및 그 이동량에 관하여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이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에 의하면, 터치입력부(21) 상의 사용자의 직관적이고 간이한 모션만으로, 시청 중에 다른 채널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nnels appearing through the plurality of UI items 1313 can be classified into predetermined categories, and the categories can be switch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a user's instruction. The simple UI menu 1312 can display information 1314 indicating the category to which the current channel belongs. The main body control unit 16 can switch the categories of the plurality of UI items 1313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user on the touch input unit 21. [ In this case, the motion of the user can be left or right.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can be similarly applied to the conversion of the category of the plurality of UI items 1313 in this embodiment and the amount of movement thereof,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isplay device 1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another channel more conveniently and quickly during viewing by only intuitive and simple motion of the user on the touch input unit 21. [

이하 도 13 내지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를 설명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어느 채널의 영상의 시청 중에 채널 정보의 제공을 위한 채널정보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채널정보창(1315)의 두 가지 예를 도시한다. 채널정보창(1315)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의 형태를 가지며 채널의 영상(1311)의 일부영역에 중첩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채널정보창(1315)은, 현재 시청하고 있는 채널은 물론 다른 채널의 정보, 시청 히스토리 등 다양한 채널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13 to 15, a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display apparatus 1 can provide a channel information window for providing channel information during viewing of a channel image. 13 shows two examples of the channel information window 131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3, the channel information window 1315 has a window shape and can be displayed in a superimposed manner on a partial area of the channel image 1311. The channel information window 1315 may include information on various channels such as information on other channels, viewing history, and the like.

채널정보창(1315)의 표시의 개시 및 해제는 터치입력부(21) 상의 사용자의 모션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채널정보창(1315)의 표시의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는 채널정보창(1315)의 표시의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4를 참조하면, 도 14의 좌하단에는 채널정보창(1315)의 표시를 개시하도록 하는 터치입력부(21) 상의 사용자의 모션을 도시한다. 참조부호 30q 및 30r은, 채널정보창(1315)을 표시하는 경우의 모션의 시작점 및 완료점에 각각 대응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를 각각 도시한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입력부(21)의 우측 가장자리(21a)에서 안쪽으로 진입하듯이 움직이는 것을 나타낸다. 본체제어부(16)는, 채널 영상(1311)의 시청 중에, 도 14의 좌하단에 도시된 것과 같은 사용자의 모션이 있다고 판단되면, 이에 대응하여 채널정보창(1315)을 화면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화면안쪽으로 진입하듯이 표시할 수 있다(도 14의 부호 1315a, 1315b 및 1315c 참조).The start and release of the display of the channel information window 1315 can be made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user on the touch input unit 21. [ FIG. 1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art of display of the channel information window 131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ancellation of display of the channel information window 1315. FIG. Referring first to FIG. 14, the lower left end of FIG. 14 shows a user's motion on the touch input unit 21 to start displaying the channel information window 1315. FIG. Reference numerals 30q and 30r respectively denote positions of the user's fingers corresponding to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motion when the channel information window 1315 is displayed. In this case, as shown in the figure, it is shown that the user's finger moves as if it goes inward from the right edge 21a of the touch input unit 21.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motion of the user as shown at the lower left end of Fig. 14 during the viewing of the channel image 1311, the main body control section 16 sets the channel information window 1315 in the right side of the screen (See 1315a, 1315b and 1315c in Fig. 14).

한편, 도 15를 참조하면, 도 15의 좌하단에는 채널정보창(1315)의 표시를 해제하도록 하는 터치입력부(21) 상의 사용자의 모션을 도시한다. 참조부호 30s 및 30t는, 채널정보창(1315)을 표시 해제하는 경우의 모션의 시작점 및 완료점에 각각 대응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를 각각 도시한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입력부(21)의 안쪽에서 우측 가장자리(21a)로 빠져나가듯이 움직이는 것을 나타낸다. 본체제어부(16)는, 채널정보창(1315)의 표시 중에, 도 15의 좌하단에 도시된 것과 같은 사용자의 모션이 있다고 판단되면, 이에 대응하여 채널정보창(1315)이 화면의 안쪽에서 화면의 우측 가장자리로 빠져나가듯이 그 표시를 해제할 수 있다(도 14의 부호 1315d, 1315e 및 1315f 참조).Referring to FIG. 15, the lower left end of FIG. 15 shows the motion of the user on the touch input unit 21 for canceling the display of the channel information window 1315. FIG. Reference numerals 30s and 30t denote the positions of the user's fingers corresponding to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motion when the channel information window 1315 is released. In this case, as shown in the figure, the finger of the user moves from the inside to the right edge 21a of the touch input unit 21 as show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motion of the user as shown at the lower left end of Fig. 15 during the display of the channel information window 1315, the main body control section 16 displays the channel information window 1315 in the right side The display can be released as if it is escaped to the edge (see 1315d, 1315e and 1315f in Fig. 14).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채널정보창(1315)이 우측 가장자리에서 진입 또는 빠져나가는 것을 예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에 의하면, 터치입력부(21) 상의 사용자의 직관적이고 간이한 모션만으로, 채널정보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channel information window 1315 enters or exits from the right edge. However, the channel information window 1315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isplay device 1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nnel information can be more conveniently used only by intuitive and simple motion of the user on the touch input unit 21. [

이하, 도 16 내지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6을 참조하면, 본체제어부(16)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영상신호가 수신되도록 영상신호수신부(11)를 제어하고, 영상신호수신부(11)에 의해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3)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영상처리부(12)를 제어한다(1601).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 the main body control unit 16 controls the video signal receiving unit 11 to receive the video signal of the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11 based on the video signal received by the video signal receiving unit 11. [ And controls the image processing unit 12 so that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 (1601).

본체제어부(16)는 상기 채널의 영상 시청 중에 터치입력부(21)를 이용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있는지를 확인한다(1602). 만일, 터치입력부(21)를 이용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없는 경우(1602의 No), 본체제어부(16)는 동작1601을 다시 수행한다. 반면, 터치입력부(21)를 이용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1602의 Yes), 본체제어부(16)는 영상 표시 중에 채널 검색을 위한 UI메뉴(도5 의 부호 131 또는 도 12의 부호 1312 참조)를 표시한다(1603). 본체제어부(16)는 사용자의 지시를 따라 UI메뉴(131 또는 1312)를 이용한 채널 검색을 수행한다.The main body control unit 16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touch input of the user using the touch input unit 21 during the video viewing of the channel (1602). If there is no touch input by the user using the touch input unit 21 (No in 1602), the main body control unit 16 performs the operation 1601 again.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a user's touch input using the touch input unit 21 (Yes in 1602), the main body control unit 16 displays a UI menu (refer to reference numeral 131 in FIG. 5 or reference numeral 1312 in FIG. 12) (1603). The main body control unit 16 performs a channel search using the UI menu 131 or 1312 according to a user's instruction.

본체제어부(16)는 UI메뉴(131 또는 1312)의 표시 중에 터치입력부(21)를 이용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있는지를 확인한다(1604). 만일, 터치입력부(21)를 이용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없는 경우(1604의 No), 본체제어부(16)는 동작1603을 다시 수행한다. 반면, 터치입력부(21)를 이용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1604의 Yes), 본체제어부(16)는 UI메뉴(131 또는 1312)의 표시를 해제한다(1605). 본체제어부(16)는 동작을 계속할 것인지를 확인하여(1606), 만일 동작을 계속할 것으로 판단하면(1606의 Yes), 동작1601로 돌아가고, 그렇지 않으면(1606의 No) 동작을 종료한다.The main body control unit 16 confirms whether there is a touch input of the user using the touch input unit 21 during the display of the UI menu 131 or 1312 (1604). If there is no touch input by the user using the touch input unit 21 (No in 1604), the main body control unit 16 performs the operation 1603 again.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touch input of the user using the touch input unit 21 (Yes in 1604), the main body control unit 16 cancels the display of the UI menu 131 or 1312 (1605). The main body control unit 16 confirms whether to continue the operation (1606). If the main body control unit 16 determines that the operation is to be continued (Yes at 1606), the main body control unit 16 returns to the operation 1601, otherwise ends the operation (No at 1606).

도 17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방법에 관하여 계속하여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본체(10)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채널검색을 위한 UI메뉴(131 또는 1312)를 표시한다(1701). 한편, 리모컨장치(20)는 터치입력부(21) 상의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한다(1702). 디스플레이본체(10)는 리모컨장치(20)로부터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하는 리모컨신호를 수신한다(1703). 다음으로, 디스플레이본체(10)는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하는 UI항목(132 또는 1313)의 페이지 및/또는 카테고리의 이동량을 결정하고, 현재 표시된 UI항목(132 또는 1313)을, 결정된 이동량만큼 이동된 페이지 및/또는 이동된 카테고리의 UI항목(132 또는 1313)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1704).The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apparatus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display main body 10 displays a UI menu 131 or 1312 for channel search according to a user's instruction (1701). Meanwhile, the remote controller 20 senses the motion of the user on the touch input unit 21 (1702). The display main body 10 receives a remot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s motion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 (1703). Next, the display main body 10 determines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page and / or the category of the UI item 132 or 1313 corresponding to the motion of the user, and displays the currently displayed UI item 132 or 1313 by the determined movement amount The UI item 132 or 1313 of the page and / or the moved category is displayed (1704).

도 18을 참조하여 도 17의 동작1704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체제어부(16)는 사용자의 모션을 분석하여, 모션의 방향을 확인한다(1801). 동작1801의 결과, 모션의 방향이 좌우방향인 경우(1802의 Yes), 본체제어부(16)는 모션에 대응하는 이동량만큼 UI항목(132 또는 1313)의 페이지를 이동하여 표시한다(1803). 한편, 동작1801의 결과, 모션의 방향이 좌우방향이 아니고(1802의 No), 상하방향인 경우(1804의 Yes), 본체제어부(16)는 모션에 대응하는 이동량만큼 UI항목(132 또는 1313)의 카테고리를 이동하여 표시한다(1805). 만일, 모션의 방향이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이 모두 아닌 경우(1804의 No), 본체제어부(16)는 동작을 계속할 것인지를 확인하여(1806), 동작을 계속할 것으로 판단하면(1806의 Yes), 동작1801로 돌아가고, 그렇지 않으면(1806의 No) 동작을 종료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션의 방향을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만을 고려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10 및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모션의 방향은 대각선방향 등일 수도 있다.Operation 1704 in Fig. 17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The main body control unit 16 analyzes the motion of the user and confirms the direction of the motion (1801). As a result of the operation 1801, when the direction of the motion is the left-right direction (Yes in 1802), the main body control unit 16 moves the page of the UI item 132 or 1313 by the amount of movement corresponding to the motion and displays the moved page.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the operation 1801, when the direction of the motion is not the left-right direction (No of 1802) and the up and down direction (Yes of 1804), the main body control unit 16 displays the UI item 132 or 1313 by the movement amount corresponding to the motion, (1805). If the direction of the motion is neither the horizontal direction nor the vertical direction (No in 1804), the main body control unit 16 confirms whether to continue the operation (1806).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is to be continued (Yes in 1806) The operation returns to the operation 1801, otherwise (No in 1806), the operation is termina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only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up and down direction are considered as the direction of the mo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irection of the motion may be the diagonal directio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17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방법의 다른 예에 관하여 계속하여 설명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1901). 디스플레이장치(1)는 영상의 표시 중에 터치입력부(21)를 이용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한다(1902). 동작1902의 결과, 터치입력이 터치입력부(21)의 가장자리로부터 안쪽으로의 움직임이 아니면(1903의 No), 동작1901이 다시 수행된다. 만일 터치입력이 터치입력부(21)의 가장자리로부터 안쪽으로의 움직임이면(1903의 Yes), 디스플레이장치(1)는 영상 표시 중에 채널정보창(1315)이 화면안으로 진입하듯이 표시한다(1904).Another example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display device 1 displays an image based on a video signal of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1901). The display device 1 senses the touch input of the user using the touch input unit 21 during the display of the image (1902). As a result of the operation 1902, if the touch input is not a movement from the edge of the touch input section 21 inward (No of 1903), the operation 1901 is performed again. If the touch input is a movement from the edge of the touch input unit 21 to the inside (Yes in 1903), the display device 1 displays the channel information window 1315 as if entering the screen during the video display (1904).

디스플레이장치(1)는 채널정보창(1315)의 표시 중에 터치입력부(21)를 이용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한다(1905). 동작1905의 결과, 터치입력이 터치입력부(21)의 안쪽으로부터 가장자리로의 움직임이 아니면(1906의 No), 동작1905가 다시 수행된다. 만일 터치입력이 터치입력부(21)의 안쪽으로부터 가장자리로의 움직임이면(1906의 Yes), 디스플레이장치(1)는 표시된 채널정보창(1315)이 화면밖으로 빠져나가듯이 그 표시를 해제한다(1904). 디스플레이장치(1)는 동작을 계속할 것인지를 확인하여(1908), 동작을 계속할 것으로 판단하면(1908의 Yes), 동작1901로 돌아가고, 그렇지 않으면(1908의 No) 동작을 종료한다.The display device 1 senses the touch input of the user using the touch input unit 21 during the display of the channel information window 1315 (1905). As a result of the operation 1905, if the touch input is not the movement from the inside to the edge of the touch input unit 21 (No of 1906), the operation 1905 is performed again. If the touch input is from the inside to the edge of the touch input unit 21 (Yes in 1906), the display device 1 cancels the display of the displayed channel information window 1315 as if the displayed channel information window 1315 is out of the screen (1904). The display device 1 confirms whether the operation is to be continued (1908).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is to be continued (Yes in 1908), the display device 1 returns to the operation 1901, and otherwise (No in 1908), the operation is terminated.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1: 디스플레이장치
10: 디스플레이본체
20: 리모컨장치
1: Display device
10: Display body
20: Remote control unit

Claims (23)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입력부를 포함하는 리모컨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컨텐츠영상을 표시하도록 컨텐츠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리모컨장치로부터 상기 터치입력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리모컨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신호수신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컨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터치입력부의 제1에지영역으로부터 상기 터치입력부의 내측영역으로 이동하는 제1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제1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1UI항목을 포함하는 제1UI의 제1카테고리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에지에 근접하게 상기 컨텐츠영상 위에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제1UI가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복수의 제1UI항목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을 지시하는 제1하이라이트를 표시하고,
상기 리모컨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터치입력부 상에서 이동하는 제2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제2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키며,
상기 리모컨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터치입력부 상에서 이동하는 제3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제3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UI의 상기 제1카테고리를 상기 제1UI의 제2카테고리로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In a display system,
A remote control unit including a touch input unit for sensing a touch input;
A display device,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unit;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content to display a content image on the display unit;
A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remot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sensed by the touch input unit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a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UI items based on a first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and corresponding to a first touch input moving from a first edge region of the touch input unit to an inner region of the touch input unit To display a first highlight of the first UI indicating a selection of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UI items during the first UI to be displayed on the content image in proximity to a first edge of the display unit Display,
Moves the first highlight based on a second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the second signal corresponding to a second touch input moving on the touch input unit,
And changes the first category of the first UI to the second category of the first UI based on a third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orresponding to a third touch input moving on the touch inpu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신호에 대응하는 이동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1UI의 상기 제2카테고리를 판단하고, 상기 제1UI의 상기 제1카테고리를 상기 제1UI의 상기 제2카테고리로 대체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judges the second category of the first UI based on the movement amount corresponding to the third signal and substitutes the first category of the first UI with the second category of the first UI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신호의 상기 이동량은 상기 제3터치입력의 이동거리 및 상기 제3터치입력의 이동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ovement amount of the third signal is based on at least one of a movement distance of the third touch input and a movement speed of the third touch inp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UI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제1UI항목 중 하나의 선택을 지시하는 커서가 표시되게 하며, 상기 제2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UI항목 상에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causes a cursor indicating a selection of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UI items to be displayed while the first UI is displayed and moves the cursor on the plurality of first UI items based on the second signal Display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신호에 대응하는 이동량에 따라서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unit moves the cursor according to a movement amou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ign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신호의 상기 이동량은 상기 제2터치입력의 이동거리 및 상기 제2터치입력의 이동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ovement amount of the second signal is based on at least one of a movement distance of the second touch input and a movement speed of the second touch inp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하이라이트가 최우측 위치에서 상기 제1UI의 현재 표시된 최우측의 UI항목을 지시하는 동안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제4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리모컨장치로부터의 제4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UI의 현재 표시된 복수의 아이콘을 인접 UI 아이콘으로 대체하고, 상기 최우측 위치에서 새로운 UI 아이콘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at the first highlight is based on a fourth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corresponding to a fourth touch input moving in the right direction while indicating the rightmost UI item currently displayed in the first UI at the rightmost position Thereby replacing a plurality of currently displayed icons of the first UI with adjacent UI icons and displaying a new UI icon at the rightmost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UI의 타 카테고리가 유효한지 여부를 지시하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displays an indicator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other category of the first UI is valid.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입력부를 가진 리모컨장치와; 상기 리모컨장치로부터 상기 터치입력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컨텐츠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입력부의 제1에지영역으로부터 상기 터치입력부의 내측영역으로 이동하는 제1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제1신호를 상기 리모컨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영상 상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에지에 근접하게, 복수의 제1UI항목을 포함하는 제1UI의 제1카테고리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UI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제1UI항목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을 지시하는 제1하이라이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입력부 상에서 이동하는 제2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제2신호를 상기 리모컨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2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하이라이트를 이동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입력부 상에서 이동하는 제3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제3신호를 상기 리모컨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3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UI의 상기 제1카테고리를 상기 제1UI의 제2카테고리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방법.
A remote control unit having a touch input unit for sensing a touch input; And a signal receiving unit receiv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sensed by the touch input unit from the remote controller,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 content image on a display unit of the display device;
Receiving a first signal corresponding to a first touch input moving from a first edge region of the touch input unit to an inner region of the touch input unit from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Displaying a first category of a first UI comprising a plurality of first UI items proximate a first edge of the display section on the content image based on the first signal;
Displaying a first highlight indicating a selection of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UI items while the first UI is displayed;
Receiving a second signal corresponding to a second touch input moving on the touch input unit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Moving the first highlight based on the second signal;
Receiving a third signal corresponding to a third touch input moving on the touch input unit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And changing the first category of the first UI to the second category of the first UI based on the third sig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UI의 상기 제1카테고리를 상기 제1UI의 제2카테고리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1UI의 제2카테고리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3신호에 대응하는 이동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1UI의 상기 제1카테고리를 상기 제1UI의 상기 제2카테고리로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changing the first category of the first UI to the second category of the first UI comprises:
Determining a second category of the first UI;
And replacing the first category of the first UI with the second category of the first UI based on the amount of movement corresponding to the third signa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카테고리는 상기 제3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이동량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제어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second category is determined based on the movement amount corresponding to the third sig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이동량은 상기 제3터치입력의 이동거리 및 상기 제3터치입력의 이동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는 제어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movement amount corresponding to the third signal is based on at least one of a movement distance of the third touch input and a movement speed of the third touch inpu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UI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제1UI항목 중 하나의 선택을 지시하는 커서가 표시되게 하며, 상기 제2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UI항목 상에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Cause a cursor indicating a selection of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UI items to be displayed while the first UI is being displayed, and moving the cursor on the plurality of first UI items based on the second signal Lt; / RTI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신호에 대응하는 이동량에 따라서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tep of moving the cursor includes moving the cursor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moveme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ignal.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신호의 상기 이동량은 상기 제2터치입력의 이동거리 및 상기 제2터치입력의 이동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는 제어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movement amount of the second signal is based on at least one of a movement distance of the second touch input and a movement speed of the second touch input.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화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화면에 컨텐츠영상이 표시되도록 컨텐츠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내측영역 및 복수의 에지영역을 포함하는 터치입력부를 가진 리모컨장치로부터, 상기 터치입력부에 의해 감지되는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입력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입력부의 하측 에지영역으로부터 상기 터치입력부의 내측영역으로 이동하는 제1수직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리모컨장치로부터의 제1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1UI항목을 포함하는 제1UI의 제1카테고리를 상기 화면의 하측 에지에 근접하게 상기 컨텐츠영상 위에 표시하고,
상기 제1UI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제1UI항목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을 지시하는 제1하이라이트를 표시하며,
상기 터치입력부 상에서 이동하는 제2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리모컨장치로부터의 제2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1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키고,
상기 터치입력부 상에서 이동하는 제3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리모컨장치로부터의 제3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UI의 제1카테고리를 상기 제1UI의 제2카테고리로 변경하는 디스플레이장치.
In the display device,
A display unit including a screen;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content so that a content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A signal input unit for receiv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a touch input sensed by the touch input unit, from a remote control device having a touch input unit including an inner region and a plurality of edge regions;
And a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touch panel such that a plurality of first UI items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UI items are displayed based on a first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corresponding to a first vertical touch input moving from a lower edge region of the touch input unit to an inner region of the touch input unit, Displaying a first category of 1 UI on the content image close to a lower edge of the screen,
A first highlight indicating a selection of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UI items while the first UI is displayed,
Moving the first highlight in accordance with a second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corresponding to a second touch input moving on the touch input unit,
And changes a first category of the first UI to a second category of the first UI based on a third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corresponding to a third touch input moving on the touch input uni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부의 내측영역은 상기 복수의 에지영역에 의해 둘러쌓인 디스플레이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inner region of the touch input unit is surrounded by the plurality of edge region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화면은, 상기 터치입력부의 상기 복수의 에지영역에 각기 대응하는 복수의 에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edg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dge regions of the touch input uni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신호의 이동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1UI의 상기 제2카테고리를 판단하며 상기 제1UI의 상기 제1카테고리를 상기 제1UI의 상기 제2카테고리로 대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control unit judges the second category of the first UI based on the movement amount of the third signal and replaces the first category of the first UI with the second category of the first UI.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이동량은 상기 제3터치입력의 이동거리 및 이동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movement amount corresponding to the third signal is based on at least one of a movement distance and a movement speed of the third touch inpu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UI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제1UI항목 중 하나의 선택을 지시하는 커서가 표시되게 하며, 상기 제2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UI항목 상에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controller causes a cursor indicating a selection of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UI items to be displayed while the first UI is displayed and moves the cursor on the plurality of first UI items based on the second signal Display device.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신호에 대응하는 이동량에 따라서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장치.
22. The method of claim 21,
And the control unit moves the cursor according to the movement amou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ignal.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이동량은 상기 제2터치입력의 이동거리 및 상기 제2터치입력의 이동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movement amou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ignal is based on at least one of a movement distance of the second touch input and a movement speed of the second touch input.
KR1020180028808A 2018-03-12 2018-03-12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041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808A KR101904161B1 (en) 2018-03-12 2018-03-12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808A KR101904161B1 (en) 2018-03-12 2018-03-12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154A Division KR20170039639A (en) 2017-03-31 2017-03-31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022A true KR20180029022A (en) 2018-03-19
KR101904161B1 KR101904161B1 (en) 2018-10-04

Family

ID=61910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808A KR101904161B1 (en) 2018-03-12 2018-03-12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4161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485A (en) * 2001-10-11 200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remote controlling graphic user interface
KR20080073389A (en) * 2007-02-06 2008-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creen and input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090029133A (en) * 2007-09-17 2009-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gui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JP2009245012A (en) * 2008-03-28 2009-10-22 Kenwood Corp Selection display device, content reproducing device, program, and selection display method
US20100164959A1 (en) * 2008-12-26 2010-07-01 Brown Craig T Rendering a virtual input device upon detection of a finger movement across a touch-sensitive displa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485A (en) * 2001-10-11 200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remote controlling graphic user interface
KR20080073389A (en) * 2007-02-06 2008-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creen and input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090029133A (en) * 2007-09-17 2009-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gui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JP2009245012A (en) * 2008-03-28 2009-10-22 Kenwood Corp Selection display device, content reproducing device, program, and selection display method
US20100164959A1 (en) * 2008-12-26 2010-07-01 Brown Craig T Rendering a virtual input device upon detection of a finger movement across a touch-sensitive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4161B1 (en)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1949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OF}
KR102403338B1 (en) Mobile terminal
US20060262116A1 (en) Global navigation objects in user interfaces
US20120194428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4572696B2 (en) Control signal input system, control signal input method.
US9277294B2 (en) Method for operating image display apparatus
US9459783B2 (en) Zooming and panning widget for internet browsers
KR20140147112A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for magic remote contro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receiver
US11397513B2 (en) Content transmission device and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transmission of content
KR20110072970A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904161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39639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126271A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8737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ouch screens associated with a display
KR102581857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319680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70102680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pointer thereof
KR20160085662A (en)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11118641A (en) Display method and display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