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8231A - Multi-function helmet supported by internet of things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 helmet supported by internet of thing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8231A
KR20180028231A KR1020160115649A KR20160115649A KR20180028231A KR 20180028231 A KR20180028231 A KR 20180028231A KR 1020160115649 A KR1020160115649 A KR 1020160115649A KR 20160115649 A KR20160115649 A KR 20160115649A KR 20180028231 A KR20180028231 A KR 20180028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mmunication module
helmet
interne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6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성민 마
Original Assignee
성민 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민 마 filed Critical 성민 마
Priority to KR1020160115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8231A/en
Publication of KR20180028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23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2Opt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4Lighting devices, e.g. helmets with lamp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Means for detecting hazards or accid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06K9/00006
    • G06K9/0059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helmet, and specifically, to a technology about a multi-functional safety helmet which is based on internet of things to improve work efficiency of workers and to accumulate big data, wherein the safety helmet comprises: a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ng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 image capturing and transmitting unit mounted on a frame to capture a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ransmit image capturing information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 illumination unit which can be turned on and off by an illumination sensor which recognizes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s; a recording and reproducing unit recording sound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cluding a voice and transmitting sound information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a playback unit informing recep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in a voice or text form.

Description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MULTI-FUNCTION HELMET SUPPORTED BY INTERNET OF THINGS}{MULTI-FUNCTION HELMET SUPPORTED BY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은 안전모와 관련되는 것으로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작업자의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빅데이타의 축적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기능 안전모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helmet, and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safety helmet capable of improving work efficiency of a worker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nd capable of accumulating big data.

산업현장에는 언제, 어디서나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의 작업자나 관리자는 물론이고 일시적인 방문을 하는 사람 조차도 안전모 착용을 의무적해야 한다.Since safety accidents can occur at any time and anywhere in the industrial field, even workers who are on-site workers or managers, as well as temporary visitors, are obliged to wear safety helmets.

일반적인 안전모는 예기치 못한 낙하물에 의한 두부 충격시 머리를 보호하거나 추락시 머리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광산과 같이 어두운 곳에서 작업하는 사람을 위해 안전모에 헤드라이트가 결합된 안전모가 제공되기도 한다.A common helmet is one that protects the head when it is hit by an unexpected fall, or protects the head from falling. For those working in the dark, such as mines, helmets that combine headlights with helmets are also available.

안전모는 산업현장에서 근무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소지해서 착용해야만 하는 필수품이라는 특성이 있으므로, 이러한 안전모는 보다 폭넓게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기에 적당한 물품이다.Since the helmets are a necessity that must be worn by anyone working in the industrial field, these helmets are suitable for a wide variety of applications.

특히, 산업현장을 점검하거나 관리하는 작업자들의 경우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인 정보를 획득하여 보고해야 하므로 카메라, 각종 필기구, 손전등, 녹음기, 지도, 설계도면 등을 소지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다.In particular, workers who inspect or manage industrial sites need to obtain and report more accurate and objective information, so it is common to have a camera, a writing instrument, a flashlight, a sound recorder, a map, and a design drawing.

즉, 현장의 일부 작업자들은 안전모 이외에 많은 물품을 소지하여 필요에 맞게 꺼내어 각 물품을 사용하여야 하고, 이후 획득한 정보를 각 물품의 특성에 맞게 결과물로 준비해야만 한다.In other words, some workers in the field must carry many items in addition to the helmets, take them out according to needs, use each item, and then prepare the obtain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tem.

예를 들어, 휴대용 카메라로 현장의 사진을 촬영한 경우라면 사무실에 돌아와 컴퓨터에 연결하여 파일로 저장하거나 사진으로 인화해서 보고서에 첨부해야 한다. 또는 녹음기를 이용하여 인터뷰를 하거나 현장 상황을 녹음한 경우라면 녹음파일을 따로 저장해야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녹취록을 만들어야 한다.For example, if you took a picture of a scene with a portable camera, you should go back to your office and connect it to your computer, save it as a file, or print it out and attach it to your report. If you are interviewing with a tape recorder or recording a scene, you may need to save the recorded file separately and in some cases make a transcript.

그리고 보통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은 얼마나 빨리 신속히 대처하여 해결책을 찾느냐에 따라 작업공기를 단축할 수도 있고, 반대로 공기지연으로 인해 막대한 손실을 볼 수도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기존의 작업자들은 현장점검 후 보고서를 작성해서 제출을 하여 결정자의 작업지시에 맞게 어떠한 조치를 취하게 되므로 짧게는 며칠 혹은 몇주의 시간이 소요되기도 한다.And the problems that usually occur in the industrial field can shorten the working air depending on how quickly and quickly the solution is sought, or vice versa. As mentioned above, existing workers may take a few days or a few weeks to complete a report after the on-site inspection and submit the report and take some 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work instructions of the decision maker.

물론 모든 문제점들이 문제진단이 되었다고 즉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지만, 현장 상황을 즉시 전달할 수 있다면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Of course, if all the problems are diagnosed, immediate action can not be taken, but if the situation can be immediately communicated, the time and economic losses will be minimized.

한편, 근래 사물인터넷이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며, 많은 사람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ternet of things is becoming popular nowadays, and it is a target of many people.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이란, 우리 주변의 거의 모든 기계나 기구를 인터넷으로 연결되게 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고 정보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Internet of things is a technology that enables almost all machines and devices around u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Internet an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o transmit information.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569880호(2015년 11월 11일 등록)의 "영상 신호 생성을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를 위한 시스템"이라는 기술이 있다.There is a technique called "a wearable device for video signal generation and a system for controlling the same"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69880 (registered on Nov. 11, 2015).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생체 상태측정장치 및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원격으로 관제하는 방법의 흐름을 예시한 예시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low of a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living body state measuring apparatus and a wearable apparatus for generating a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시와 같이 생체 상태 측정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화재 현장 등에 있다고 가정하는 경우, 사용자가 화재에 의해 피해를 입게 되면 생체 상태 측정장치는 사용자의 생체 상태에 이상이 생겼음을 감지하고 알림 신호를 생성하여 영상 신호 생성 장치 및 원격에서 상황을 관제 또는 관리하고 있는 원격 관제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When a user wearing a living body state measuring apparatus as in the case is assumed to be in a fire scene or the like, when a user is injured by a fire, the living body state measuring apparatus detects that the living body state of the user is abnormal and generates a notification signal And can be transmitted to the video signal generating apparatus and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which manages or manages the situation remotely.

즉 알림 신호에 의해 영상 신호 생성 장치는 영상 촬영 및 촬영된 영상을 원격 관제 장치로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위치 측정 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That is, the video signal generation apparatus can transmit the video image and the photographed video to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by the announcement signal, and can also transmit the location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user.

영상 신호 생성 장치로부터 촬영 영상 및 위치 측정 정보를 수신한 원격 관제 장치는 수신된 촬영 영상 및 위치 측정 정보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위와 같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device receiving the photographed image and the position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image signal generation device can display the received photographed image and the position measurement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can store the above information.

또한 원격 관제 장치를 통제하는 사용자는 영상 신호 생성 장치의 사용자에게 음성 신호 및 제어 명령이 포함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Also, a user who controls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can transmit a control signal including a voice signal and a control command to the user of the video signal generating apparatus.

이처럼 종래기술에 의한 "영상 신호 생성을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를 위한 시스템"은 착용가능한 웨어러블 장치의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바탕으로 하여 생체신호의 이상시 영상이 촬영되거나 데이타가 전송되는 것을 기본적인 개념으로 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earable device for video signal generation and the system for controlling the wearabl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based on the user's biological signal of the wearable wearable device, .

하지만 사람의 생체신호라는 것은 주변환경이나 본인의 심리상태, 날씨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므로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개개인마다 다른 감정의 기복이나 생체신호의 세기 등이 다르기 때문에 너무나 주관적인 내용을 객관화하여 보편적인 판단자료로 활용한다는 것은 많은 문제점을 유발시킬 수 있다.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person's bio-signal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user, the weather, and the like, thereby causing a problem in reliability. Since each person has different emotional ups and downs and the strength of his / her bio-signals, objectifying too much subjective content and using it as universal judgment data can cause many problems.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569880호(2015년 11월 11일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569880 (registered on November 11, 2015)

따라서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 누구나 구비하여 착용해야 하는 필수품인 안전모의 기능을 보다 다양화될 수 있도록 안전모에 사물인터넷을 접목하여 작업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를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ultifunctional safety helmet based on the object Internet which can provide convenience to workers by incorporating the internet into the helmet so that the function of the helmet, which is a necessity to be worn by anyone in the industrial field, can be diversified do.

그리고 본 발명은 안전모를 통해 안전모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데이타의 정확한 출처 및 신빙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를 제안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ultifunctional safety helmet based on the object Internet, which enables accurate identification of the identity of the user of the helmet through the helmet, thereby enhancing the accurate source and authenticity of the data.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는, 머리에 씌워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턱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끈으로 이루어지는 안전모에 있어서, 외부기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타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통신모듈;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주변환경을 촬영하여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 촬영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영상촬영전송부; 주변의 밝기를 인식하는 조도센서에 의해 온오프 동작될 수 있는 조명부; 음성을 포함한 주변의 소리를 녹음하여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 소리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녹음전송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되는 수신정보를 음성 또는 문자 형태로 알려주는 재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helmet comprising a frame to be covered with a head and a fixing strap connected to the frame and fixed to the jaw, A communication module for allowing data to be exchan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 image capturing and transmitting unit mounted on the frame and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ransmitting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 illumination unit that can be turned on and off by a light intensity sensor that recognizes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s; A sound recording unit for recording sound of a surrounding area including a sound and transmitting sound information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a reproducing unit for informing the receiving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in voice or text form.

바람직하게 상기 재생부는, 음성 재생을 위한 이어폰으로서 길이가 조정되어 귀에 꽂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거나, 문자로 재생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는 상기 프레임에 탈부착될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layback unit is an earphone for audio playback, the length of the earphone being adjustable to be plugged into the ear, or a display for playing back characters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ame.

바람직하게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는, 상기 프레임에 안전모 착용자의 신분을 확인하여 줄 수 있는 신분확인모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ultifunctional security helmet based on the Internet is provided with an identification module for confirming the identity of the wearer of the safety helmet in the frame.

바람직하게 상기 신분확인모듈은, 지문인식기, 홍채인식기, 음성인식기와 같은 개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것으로 하고, 상기 신분확인모듈을 통한 신분확인이 이루어지면 상기 통신모듈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selected from among those capable of identifying individual users such as a fingerprint recognizer, an iris recognizer, and a voice recognizer,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is activated when the identification is confirmed through the identification module .

바람직하게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는, GPS가 내장되어 위치정보가 포함된 영상 및 녹음된 소리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거나, 위치정보에 따른 지도제공이나 교통 및 날씨 등의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ultifunctional safety helmet based on the Internet is provided with a built-in GPS to transmit a video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a recorded sound, or to provide a map according to location information or to receive information such as traffic and weather .

바람직하게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는, 수신정보 중 상기 영상촬영전송부와 녹음전송부가 기 전송한 데이타에 대한 피드백수신정보인 경우 상기 피드백수신정보는 빅데이타분석을 통해 얻게되는 솔루션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ultifunctional helmet based on the object Internet includes a solution obtained through analysis of a big data when the feedback information is feedback reception information on data transmitted by the image capturing transmission unit and the recording / .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촬영전송부는 전방카메라와 후방카메라를 포함하되, 상기 전방카메라와 후방카메라는 동축상으로 상기 조명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image capturing and transmitting unit includes a front camera and a rear camera, wherein the front camera and the rear camera are coaxial with each other.

본 발명에 의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는 산업현장의 필수품인 안전모에 카메라, 음성녹음, 데이타 전송 등의 기능이 탑재되게 하여 작업자가 별도의 카메라 등을 휴대하지 않아도 언제라도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하며, 즉각적인 데이타 전송으로 현장상황에 대한 보고가 가능하도록 하고, 전송한 정보를 바탕으로 한 분석내용을 신속하게 전달받아 후속조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The multifunctional safety helmet based on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camera, a voice recording function, and a data transmission function in a safety helmet, which is a necessity of an industrial site, so that an operator can acquire and store necessary information at any time without carrying a separate camera And it is possible to report on the situation by immediate data transmission and to transmit the analysis contents based on the transmitted information to enable follow-up ac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안전모에는 신원확인 기능이 내장되어 언제 어디서 누가 각종의 데이타를 전송 또는 보고하였는지를 명확히 할 수 있어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In the helm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ty verification function is built-in, so that it is possible to clarify when and where the user has transmitted or reported various kinds of data, thereby ensuring the reliability of informa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생체 상태측정장치 및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원격으로 관제하는 방법의 흐름을 예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에 대한 개념도.
도 3은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에 대한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의 구현 예시도.
도 5는 카메라와 조명부가 동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low of a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living body measuring apparatus and a wearable apparatus for generating a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ultifunctional security helmet based on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multifunctional safety helmet based on the object Internet.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example of a multifunctional security helmet based on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a camera and an illumination unit are formed coaxially.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예 및 관련 도면을 제시하도록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multifunctional security helmet based on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and related drawings will be presented.

단, 제시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하나의 실시 가능한 예를 보여주는 것인 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하면서도 단지 상이한 명칭을 사용하거나 단순한 구조적 변경 혹은 등가적인 요소로의 치환과 같은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mbodiments shown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at the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but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use of different names or merely structural changes or equivalent elements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에 대한 개념도이며, 도 3은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의 구현 예시도이고, 도 5는 카메라와 조명부가 동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ultifunctional security helmet based on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multifunctional security helmet based on the Internet of objects, FIG. And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camera and the illumination unit are formed in a coaxial shap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는 일반 산업현장에서 낙하물이나 추락시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을 기본적으로 가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안전모는 광의로 해석되어야 하며, 일반적인 안전모 외에 레져활동시 착용하는 안전헬멧도 포함하는 것이다.As shown, the Internet-based multifunctional helme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has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head in falling or falling in a general industrial field. In the meantime, the helmets implied b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roadly and include safety helmets worn during leisure activities in addition to general helmets.

즉,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안전모는 기본적으로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것을 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안전모를 사용하는 사람은 산업현장의 근로자, 감독자, 방문자 외에 자전거를 타거나 인라인스케이트를 즐기는 일반 성인이나 아이들도 해당된다.That is, the helmet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means to wear to protect the head. Therefore, the person using the helm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n ordinary adult or children who ride a bicycle or enjoy inline skating in addition to workers, supervisors, and visitors at industrial sites.

안전모(100)의 기본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110)이 구비되며, 프레임(110)은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할 수 있으며, 경량 소재로 제작됨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인 사용 양태에 맞게 그 형상은 달라질 수 있다.The frame 110 is provided with a basic outer shape of the safety helmet 100. The frame 110 can protect the head from impact and is preferably made of a lightweight material. have.

본 발명에 의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는 주요한 구성요소로서, 통신모듈(200), 영상촬영전송부(300), 조명부(400), 녹음전송부(500) 및 재생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multifunctional security helmet based on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ommunication module 200, the image capturing and transmitting unit 300, the illuminating unit 400, the recording and transmitting unit 500, and the reproducing unit 600 .

통신모듈(200)은 무선통신을 통해 특정한 외부기기(10)와 데이타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을 의미한다.The communication module 200 means to allow data to be exchanged with a specific external device 1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통신모듈(200)은 근거리 혹은 원거리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알려진 통신수단을 의미하며, 근거리 무선통신으로는 블루투스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고, 원거리 무선통신으로는 와이파이(Wifi)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communication module 200 means a known communication means enabling short-range or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Bluetooth may be applied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Fi may be applied for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통신모듈(200)을 통해 기본적으로 양방향으로 데이타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외부기기(10)란 서버, PC, 스마트 폰, 테블릿 PC 등을 의미한다. 그 외 알려진 각종의 사용자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고, 데이타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전송된 데이타 정보를 문자나 사진 등으로 확인할 수 있고, 수신된 정보를 편집 혹은 저장할 수 있는 수단들을 의미한다.Data can be basically exchan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00. The external device 10 refers to a server, a PC,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the like. Means other various known user terminals, mean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verifying transmitted data information by text or photograph, and editing or storing the received information.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에는 영상촬영전송부(300)가 포함되는데, 영상촬영전송부(300)는 안전모(100)를 이루는 프레임(110)에 장착되어 주변환경을 촬영할 수 있고, 촬영정보를 통신모듈(200)을 통해 외부기기(10)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The Internet-based multifunctional safety helmet includes an image capturing and transmitting unit 300. The image capturing and transmitting unit 300 can be mounted on a frame 110 constituting the security catheter 100 to captur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external device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00.

즉, 영상촬영전송부(300)는 촬영을 위한 카메라(310)가 마련되며,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320)가 마련되고, 메모리(320)에 저장된 촬영정보를 통신모듈(200)로 보내기 위한 전송부(330)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image capturing and transmitting unit 300 includes a camera 310 for capturing an image, a memory 320 for storing the captured image, and a communication module 200, And a transmission unit 330 for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mobile station.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안전모(100)를 착용하고 전원을 켜게 되면 자동적으로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외부기기(1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되, 사용자는 경우에 따라 설정을 변경하여 촬영된 영상의 전송여부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Basically, when the user wears the helmet 100 and turns on the power supply, the user can automatically capture a surrounding image and transmit the captured image to the external device 10. However, Or the like.

바람직하게 카메라(310)는 프레임(110)의 전방에 마련되어야 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후방에도 카메라(31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카메라(310)는 동영상 촬영 및 사진촬영이 가능한 것이고, 이 또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Preferably, the camera 310 should be provided in front of the frame 110, and a camera 310 may be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camera. The camera 31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moving picture taking and photographing, and also allows the user to make a selection.

그리고 프레임(110)에는 조명부(400)가 마련되며, 조명부(400)는 스위치를 통한 온오프 동작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조도센서(410)가 구비되어 주변의 밝기를 조도센서(410)가 인식하여 자동적으로 온오프될 수 있도록 한다.The illumination unit 400 is provided on the frame 110. The illuminating unit 400 is capable of on and off operation through a switch and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n illuminance sensor 410 so that the illuminance sensor 410 And can be automatically turned on and off.

따라서 사용자가 안전모(100)를 착용하고 밝은 곳에 있다가 터널이나 어두운 건물 내부로 진입하게 되면 조도센서(410)가 이를 인식하여 조명부(400)가 켜질 수 있도록 자동 제어되게 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user wears the helmet 100 and enters a tunnel or a dark building while being in a bright place, the illuminance sensor 410 can recognize the illuminance and automatically control the lighting unit 400 to be turned on.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녹음전송부(500)가 마련되는데, 녹음전송부(500)에서는 사람의 음성을 포함한 주변의 소리를 녹음하여 통신모듈(200)을 통해 외부기기(10)로 소리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and transmitting unit 500 is provided. In the recording and transmitting unit 500, sound data of a surrounding area including a human voice is recorded and soun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00 .

녹음전송부(500)는 구체적으로 외부 소리를 받아들여 녹음하는 녹음부(510)가 마련되며, 녹음된 소리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520) 및 통신모듈(200)로 소리정보를 전달하여 전송되게 하는 전송부(530)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ecording and transmission unit 500 includes a recording unit 510 for receiving and recording an external sound, a memory 520 for storing the recorded sound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200 And a transfer unit 530 for transferring the image data.

녹음전송부(500)를 활용하면 사용자는 산업현장에서 별도로 메모를 하지 않고 자신의 음성을 녹음되게 하여 현장상황을 기록 및 보고할 수 있을 것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어떠한 현장의 소음정도를 측정할 수 있을 것이고, 교량 등의 점검시에는 교량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녹음하여 분석하는 형태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By using the recording and transmitting unit 500, the user can record his / her own voice without recording a separate note at the industrial site, and can record and report the situation of the site. In some cases, When the bridge is inspected,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bridge can be recorded and analyzed.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에는 재생부(600)가 포함되는데, 재생부(600)에서는 통신모듈(200)을 통해 외부기기(10)로부터 전송되어오는 수신정보를 음성 또는 문자 형태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The multifunctional safety helmet based on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yback unit 600. The playback unit 600 can receiv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00 in a voice or text form To the user.

재생부(600)는 전송받은 데이타를 적합하게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되는데, 음성 재생을 위해서는 이어폰(610)이 마련되어야 하며, 문자나 사진 등의 재생을 위해서는 디스플레이(620)가 마련된다.The reproducing unit 600 appropriately converts the received data and notifies the user of the data. An earphone 610 is required for audio reproduction, and a display 620 is provided for reproducing characters, pictures, and the like.

바람직하게 재생부(600)를 구성하는 이어폰(610)이나 디스플레이(620)는 프레임(110)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어폰(610)은 길이가 조정되어 사용자가 자신의 귀에 꽂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earphone 610 and the display 620 constituting the reproducing unit 600 are preferably provided in a detachable form on the frame 110. The earphone 610 is adjusted in length so that the user can insert Can be configured.

재생부(600)를 통해서는 사용자가 영상촬영전송부(300)나 녹음전송부(500)에 의해 외부기기(10)로 보낸 정보를 바탕으로 한 분석데이타 등이 피드백 형태로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관리자의 지시사항이나 날씨, 교통 등의 다양한 정보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The analysis data or the like based on the information sent by the user to the external device 10 by the image capturing and transmitting unit 300 or the recording and transmitting unit 500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the reproducing unit 600 And various information such as manager's instructions, weather, traffic, etc. may be provided.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에는 신분확인모듈(700)이 구비된다는 특징이 있다. 신분확인모듈(700)은 프레임(110)에 장착되어 안전모 착용자의 신분을 확인하여 줄 수 있도록 한다. 즉, 현재 안전모를 착용하고 있는 사람이 누구인지를 확인해 주는 기능을 한다.In particular, the multifunctional security helmet based on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identity confirmation module 700 is provided. The identification module 700 is mounted on the frame 110 so as to confirm the identity of the wearer of the helmet. In other words, it will identify who is currently wearing the helmet.

본 발명의 안전모(100)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어떠한 정보의 전송을 통해 편리성과 효율성을 제공하도록 하는데, 정보의 신뢰성이 그만큼 중요하고 권한이 있는 사람에게 정보가 전달될 필요가 있다. 특히, 기업의 입장에서는 중요한 기밀사항이 될 수도 있는 각종 자료들의 주고 받음이 안전모를 착용한 사람과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전모 착용자의 신분확인은 매우 중요하게 된다.Since the helme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venience and efficiency through transmission of certain information. Information reliability is important and information must be transmitted to authorized persons. In particular, identification of the wearer of a safety helmet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done with the person wearing the helmet by exchanging various materials which may become important confidential matters.

본 발명의 신분확인모듈(700)로는 지문인식기, 홍채인식기, 음성인식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외 공지의 개개인의 특징을 식별할 수 있는 수단들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As the identification module 700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ngerprint recognizer, an iris recognizer, a voice recognizer, or the like can be used, and means for identifying other known individual features can be selectively used.

바람직하기로는 신분확인모듈(700)을 통해 안전모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이 먼저 본인의 신분을 확인시키면 통신모듈(200)이 활성화되도록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안전모를 사용할 수 있는 사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해 두도록 할 수 있고, 따라서 허가되지 않은 사람이 안전모의 신분확인모듈(700)로 신분을 확인하게 되면 액세스가 거부되며, 통신모듈(200)은 활성화되지 않게 된다.Preferably, the communication module 200 is configured to be activated when a person who intends to use the helmet through the ID verification module 700 first confirms his or her identity. Preferably, the information about the person who can use the helmet can be stored, so that if the unauthorized person confirms the identity with the helmet identification module 700, the access is denied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200 It is not activated.

또한,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에는 GPS가 내장될 수 있으며, GPS에 의해 현재 안전모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위치정보가 제공될 수 있고 영상이나 소리 정보가 전송될 때 위치정보도 함께 전송되게 함으로써 정보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GPS can be embedded in the Internet-based multifunctional security helme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using the current helmet can be provided by the GPS,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when the image or sound information is transmitted So that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 can be further enhanced.

그리고 GPS를 통한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안전모 사용자에게 현재 위치에 따른 지도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고, 그 외 교통 관련정보나 날씨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GPS, the helicopter user will be able to provide a map according to the current position, and can provide other traffic related information and weather related information.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는 사용자에 의해 안전모(100)로부터 외부기기(10)로 전송된 데이타에 대한 피드백수신정보를 받을 수 있는데, 이러한 피드백수신정보는 외부기기에서 이루어진 빅데이타분석을 통해 얻어지는 솔루션이 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multifunctional safety helmet based on the Intern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eive feedback reception information on data transmitted from the safety helmet 100 to the external device 10 by the user, It can be a solution obtained through data analysis.

즉, 영상촬영전송부(300)나 녹음전송부(500)를 통해 어떠한 현장의 정보가 통신모듈(200)을 통해 전송되면, 이 전송된 정보를 받은 외부기기(10)의 관리자가 빅데이타분석을 실행하여 응급조치 사항을 안전모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그 외 선택 가능한 다양한 옵션 중에서 최상의 시나리오에 해당되는 지시사항을 제공할 수 있다.That is, when any sit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00 through the image capturing and transmitting unit 300 or the recording and transmitting unit 500, the manager of the external device 10 receiving the transmitted information performs the big data analysis So that emergency measures can be provided to the helmet user. You can also provide instructions for the best possible scenario among the various options available.

언급한 바와 같이 영상촬영전송부(300)에는 카메라(310)가 포함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전방카메라와 후방카메라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조도센서(410)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조명부(400)도 포함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카메라(310)와 동축상으로 조명부(400)를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mage capturing and transmitting unit 300 includes a camera 310, and in some cases, a front camera and a rear camera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illumination unit 400 may be installed coaxially with the camera 310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카메라(310)와 조명부(400)를 동축상으로 배치하여 협소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카메라(310) 촬영시 조명을 보다 정확히 비출 수 있다. 그리고 조명부(400)이나 카메라(310)는 프레임(110)의 정면이나 후면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카메라(310)와 동축상으로 카메라(310) 보다 외측으로 조명부(400)를 두도록 한다.The camera 310 and the illumination unit 400 can be arranged coaxially so that a narrow space can be efficiently used and illumination can be accurately displayed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the camera 310. [ Since the illumination unit 400 or the camera 310 is preferably directed toward the front or rear of the frame 110, the illumination unit 400 may be positioned outside the camera 310 coaxially with the camera 31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의 전체적인 사용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0053] The overall use of the Internet-based multifunctional safety helme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now be described.

안전모(100)에 신분확인모듈(700)이 탑재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하도록 한다.Assume that the identification module 700 is mounted on the security helmet 100.

어떠한 산업현장에서 안전모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은 먼저 자신의 신분을 확인시키기 위해 신분확인모듈(700)을 통해 신분확인절차를 거치도록 한다.Any person who wishes to use the helmet at an industrial site should first go through the identification process through the identification module 700 to confirm his or her identity.

사용자가 안전모(100) 사용에 대한 허락된 자인 경우 신분확인모듈(700)에서는 현 사용자의 사용을 허가하게 되며, 신분확인을 통해 안전모 사용의 허가가 이루어지면 통신모듈(200)이 활성화되어 데이타 전송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When the user is permitted to use the safety helmet 100, the identification module 700 permits the use of the current user. If the user is allowed to use the safety helmet through the identifica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200 is activated, Is possible.

안전모(100)에 내장되는 조도센서(410)에 의해 주위 밝기에 따라 조명부(400)는 자동으로 온오프 동작되며, 따라서 야간 작업시나 어두운 실내 작업시에 작업자의 시야확보를 위한 충분한 조명을 제공하게 된다.The illumination unit 400 is automatically turned on and off according to the ambient brightness by the illumination sensor 410 incorporated in the hard hat 100. Accordingly, the illumination unit 400 provides sufficient illumination for securing the view of the operator during night work or in a dark indoor work do.

사용자는 업무에 따라 영상촬영전송부(300)를 통해 현장 상황을 촬영할 수 있고, 녹음전송부(500)를 통해 현장의 소리를 녹음하거나 자신의 음성으로 현장 상황에 대한 음성 기록을 할 수도 있다. 영상촬영전송부(300)나 녹음전송부(500)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확보된 데이타는 통신모듈(200)을 통해 곧바로 외부기기(10)로 전송될 수 있다.The user can photograph the scene through the image capturing and transmitting unit 300 according to his or her job, and can record the sound of the scene through the recording and transmitting unit 500 or record the sound of the scene using his or her voice. The user can selectively operate the image pickup transmission unit 300 or the recording transfer unit 500 and the secured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10 directly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00. [

현장 여건이나 업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해야 할 업무를 하는 동안 영상촬영전송부(300)나 녹음전송부(500)를 작동시켜 두고 업무 과정 중의 모든 상황들이 저장 및 전송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user can operate the image capturing and transmitting unit 300 or the recording and transmitting unit 500 during the work to be performed by the user in accordance with the field conditions or tasks so that all the situations during the work process can be stored and transmitted.

외부기기(10)로 전송된 데이타에 대한 피드백수신정보가 있는 경우 재생부(600)를 통해 곧바로 안전모 사용자에게 어떠한 관련자료나 솔루션 혹은 지시사항들이 전달될 수 있다.If there is feedback reception information on data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10, any relevant data, solution, or instructions may be delivered to the helmet user through the playback unit 600 immediately.

본 발명에 의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는 고속도로나 건설현장 혹은 조선소 등의 작업자용 안전모로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소방관용 안전모로도 사용 가능하고, 레저용 안전모로도 활용될 수 있다.The Internet-based multifunctional safety helm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safety helmet for workers such as an expressway, a construction site, or a shipyard, or as a safety helmet for a firefighter, and as a safety helmet for leisure.

고속도로 작업자용 안전모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고속도로의 주요 구조물 점검, 교통안전점검 및 시설물관리를 위한 목적으로 활용되기에 적합하다.When used as safety helm for highway workers, it is suitable to be used for inspection of major structures of highways, inspection of traffic safety, and management of facilities.

그리고 건설현장 작업자용 안전모인 경우 작업여건파악, 작업지시 및 보고 그리고 작업진행보고 등의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In case of helmets for construction site workers, it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grasping working conditions, directing and reporting work, and reporting progress of work.

또한 소방관용 안전모로 사용되는 경우라면 화재현장상황 파악, 화재현장 지형, 지물 파악, 화재 현장 위험요소파악을 위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Also, if it is used as a safety helmet for firefighters, it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grasping the situation of the fire scene, the topography of the fire scene,

그 외 본 발명의 안전모는 실시간 데이타 전송이 가능하므로 블랙박스 역할을 할 수 있고, GPS가 내장되므로 위치정보 전송 및 안내가 가능하여 네비게이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기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한 교통 및 날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t as a black box because it can transmit real-time data, and can carry out a navigation function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because it has a built-in GPS, Weather information can be provided.

특히, 레저용 안전모로 사용되는 경우 아이들의 위치 정보를 보호자가 확인할 수 있고, 아이들의 동선에 따른 주변상황들에 대한 데이타를 확보할 수 있어 어떠한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보호자는 보다 안심하고 아이들이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used as a leisure helmet, the guardian can confir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hildren, and it is possible to acquire data about the surroundings according to the children's movement, so that the user can take prompt action in case of an accident have. In other words, the caregiver can be more relaxed and allow the children to enjoy their leisure activities.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안전모로서 신뢰성 높은 정보의 확보 및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므로 많은 산업현장이나 레저활동시에 필요한 안전모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safety helmet required for many industrial sites and leisure activities because it can secure reliable information and secure the safety of the user as a safety helmet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will be.

100 : 안전모 110 : 프레임
200 : 통신모듈 300 : 영상촬영전송부
310 : 카메라 320 : 메모리
330 : 전송부 400 : 조명부
410 : 조도센서 500 : 녹음전송부
510 : 녹음부 520 : 메모리
530 : 전송부 600 : 재생부
610 : 이어폰 620 : 디스플레이
700 : 신분확인모듈
10 : 외부기기
100: hard hat 110: frame
200: Communication module 300:
310: camera 320: memory
330: Transmission unit 400:
410: illuminance sensor 500: recording transfer unit
510: Recording unit 520: Memory
530: Transmission unit 600:
610: Earphone 620: Display
700: Identification module
10: External device

Claims (7)

안전모에 있어서,
외부기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타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통신모듈;
프레임에 장착되어 주변환경을 촬영하여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 촬영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영상촬영전송부;
주변의 밝기를 인식하는 조도센서에 의해 온오프 동작될 수 있는 조명부;
음성을 포함한 주변의 소리를 녹음하여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 소리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녹음전송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되는 수신정보를 음성 또는 문자 형태로 알려주는 재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
In the helmet,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 image capturing and transmitting unit mounted on the frame and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transmit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 illumination unit that can be turned on and off by a light intensity sensor that recognizes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s;
A sound recording unit for recording sound of a surrounding area including a sound and transmitting sound information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a reproducing unit for informing the recep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in voice or character for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음성 재생을 위한 이어폰으로서 길이가 조정되어 귀에 꽂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거나, 문자로 재생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는 상기 프레임에 탈부착될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the earphone for audio reproduction is adjustable in length so that it can be plugged into the ear, or a display for playing back characters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는,
상기 프레임에 안전모 착용자의 신분을 확인하여 줄 수 있는 신분확인모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ultifunctional safety helmet based on the Internet,
And an identification module for confirming the identity of the wearer of the helmet on the fram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분확인모듈은,
지문인식기, 홍채인식기, 음성인식기와 같은 개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것으로 하고, 상기 신분확인모듈을 통한 신분확인이 이루어지면 상기 통신모듈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dentification module comprises:
A fingerprint recognizer, an iris recognizer, and a voice recognizer, and activates the communication module when an identification is confirmed through the identification module. Helm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는,
GPS가 내장되어 위치정보가 포함된 영상 및 녹음된 소리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거나, 위치정보에 따른 지도제공이나 교통 및 날씨 등의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ultifunctional safety helmet based on the Internet,
A multifunctional safety helmet based on the Internet, which is equipped with a GPS and is capable of transmitting video and recorded sound including positional information, providing guidance according to position information, and receiving information such as traffic and weather.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는,
수신정보 중 상기 영상촬영전송부와 녹음전송부가 기 전송한 데이타에 대한 피드백수신정보인 경우 상기 피드백수신정보는 빅데이타분석을 통해 얻게되는 솔루션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multifunctional safety helmet based on the Internet,
Wherein the feedback receiving information includes a solution obtained through analysis of a big data when the image pickup transmitting unit and the recording and transmitting unit of the receiving information are feedback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data transmitted by the multi-function helmet.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촬영전송부는 전방카메라와 후방카메라를 포함하되, 상기 전방카메라와 후방카메라는 동축상으로 상기 조명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image capturing and transmitting unit includes a front camera and a rear camera, wherein the front camera and the rear camera are coupled with the lighting unit in a coaxial manner.
KR1020160115649A 2016-09-08 2016-09-08 Multi-function helmet supported by internet of things KR2018002823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649A KR20180028231A (en) 2016-09-08 2016-09-08 Multi-function helmet supported by internet of thin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649A KR20180028231A (en) 2016-09-08 2016-09-08 Multi-function helmet supported by internet of thing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231A true KR20180028231A (en) 2018-03-16

Family

ID=61910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649A KR20180028231A (en) 2016-09-08 2016-09-08 Multi-function helmet supported by internet of thing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8231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82454A (en) * 2018-07-20 2018-11-23 佛山科学技术学院 A kind of intelligent sound identification interaction means of illumination and system based on emotion judgment
KR20200021686A (en) * 2018-08-21 2020-03-02 유재성 Smart factory system based on health test room for operating personnel
CN110959948A (en) * 2018-10-01 2020-04-07 富士施乐株式会社 Intelligent hat device interacting with remote device and display
CN110959948B (en) * 2018-10-01 2024-06-07 富士胶片商业创新有限公司 Smart hat device interacting with remote device and displa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82454A (en) * 2018-07-20 2018-11-23 佛山科学技术学院 A kind of intelligent sound identification interaction means of illumination and system based on emotion judgment
CN108882454B (en) * 2018-07-20 2023-09-22 佛山科学技术学院 Intelligent voice recognition interactive light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emotion judgment
KR20200021686A (en) * 2018-08-21 2020-03-02 유재성 Smart factory system based on health test room for operating personnel
CN110959948A (en) * 2018-10-01 2020-04-07 富士施乐株式会社 Intelligent hat device interacting with remote device and display
CN110959948B (en) * 2018-10-01 2024-06-07 富士胶片商业创新有限公司 Smart hat device interacting with remote device and displ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0205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with slidable concealing cover
JP6011833B1 (en) Wearable camera system and person notification method
US20200382749A1 (en) Dual lens camera unit
US20080180537A1 (en) Camera system and methods
US7496140B2 (en) Wireless event authentication system
CN106510081A (en) AR intelligent patrol helmet
US20140037262A1 (en) Data storage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060171539A1 (en) Wireless event authentication system
US20090027499A1 (en) Portable multi-media surveillance device and method for delivering surveilled information
TW201603791A (en) Blind-guide mobile device position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06148842A (en) Wearable monitor camera system
US10083351B2 (e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KR101481051B1 (en) Private black box apparatus and driviing method thereof
JP2008529354A (en) Wireless event authentication system
JP2010185155A (en) Helmet with index-projecting means
KR20180017775A (en) Multi function Smart Helmet
KR20180028231A (en) Multi-function helmet supported by internet of things
KR101844382B1 (en) Wear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898041B1 (en) Attachable and removable wireless camera device
WO2008113846A1 (en) Flash protection
CN206365530U (en) A kind of AR intelligent patrol detections helmet
KR102262325B1 (en) System of safety control service using wearable communication device
JP2000030175A (en) Disaster preventing communication system
CN103888318A (en) Single-pawn information monitoring and transmitting device for environmental disasters and accidents
WO2017208060A1 (en) Spherical device with integrated technology for assisting operations for rescuing missing persons or unreachable victims in disas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