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4235A - Portable sound equipment - Google Patents

Portable sound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4235A
KR20180024235A KR1020160110047A KR20160110047A KR20180024235A KR 20180024235 A KR20180024235 A KR 20180024235A KR 1020160110047 A KR1020160110047 A KR 1020160110047A KR 20160110047 A KR20160110047 A KR 20160110047A KR 20180024235 A KR20180024235 A KR 20180024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hole
wire
main body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0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호재석
서상우
유현선
박준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0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4235A/en
Priority to PCT/KR2017/009363 priority patent/WO2018044011A1/en
Publication of KR20180024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23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1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3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using a passive diaphragm
    • H04R1/2834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using a passive diaphragm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sound device which solves a problem that the weight of the portable sound device is concentrated on a part of the neck of a user due to an increase in weight, and solves a problem of a howling phenomenon occurs in performing call transmitting/receiving functions by using a speaker. To this end, the portable sound device comprises: a neck band wire surrounding at least one region of the neck of a user; a main body including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neck band wire; a microphone for receiving a sound signal through a microphone hole provided in the first body; a speaker module mounted on the second body, and outputting a sound; and a sound guide hole formed on the second body, and provided to be located far from the microphone.

Description

휴대용 음향기기{PORTABLE SOUND EQUIPMENT}[0001] PORTABLE SOUND EQUIPMENT [0002]

본 발명은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단말기와 음향 신호를 송/수신하고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휴대용 음향기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sound signal to / from a terminal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according to a signal input through a user input unit.

음향기기는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마이크를 통해 수집한 음향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음향장치를 의미한다. 종래에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단말기의 이어잭에 단자를 꼽아 음향 신호를 받는 유선 방식을 이용하였으나, 이동성 및 사용의 편의성 측면에서 최근 무선통신방식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A sound device refers to a sound device that receives a sound signal from a terminal and transmits the sound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microphone to the terminal. Conventionally, a wired method has been used in which a terminal is connected to an earphone jack of a terminal to receive an acoustic signal. However, in view of mobility and ease of use, the demand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type portable acoustic device is increasing.

사용자의 몸에 휴대할 수 있도록 머리에 밴드형상으로 끼우는 헤드폰 타입, 귀에다 거는 타입 및 귀에 끼우는 타입 등 휴대성을 고려한 디자인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Portable audio equipment having a design considering portability such as a headphone type in which a user puts his / her head into a band shape so as to be portable to the user's body, an ear-type type and an ear-type type are being developed.

특히 최근에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는 넥밴드 형상의 휴대용 음향기기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넥밴드 형상의 휴대용 음향기기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어버드를 넥밴드 형상의 휴대용 음향기기에 보관할 수 있으며, 하중이 귀나 머리가 아닌 사용자의 어깨 또는 쇄골 쪽에 가해지므로 상대적으로 부담이 덜하다.Particularly, there is an increasing tendency of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in the form of a neckband which can be hung on the user's neck. When the portable acoustic apparatus of the neck band shape is not used, the ear bud can be stored in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of a neck band shape, and the load is less burdened on the shoulder or collarbone side of the user than on the ear or head.

따라서 일정 정도의 무게까지 부담이 가능하여 배터리의 용량을 특정 수준까지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bear the weight to a certain level, so that the capacity of the battery can be increased to a certain level.

하지만 부품을 실장하는 메인 바디의 하중이 가해지면 상대적으로 넥밴드 와이어 영역은 사용자의 목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지 않고 허공에 뜨게 되고 뒷목을 잡아 당기는 힘을 가하게 되어 목에 무리가 가게 된다.However, when the load of the main body that mounts the component is applied, the neckband wire area is not stably fixed to the user's neck but floats in the air, and the force of pulling the neck is applied to the neck.

따라서 휴대용 음향기기가 골고루 사용자의 목 및 쇄골에 안착되어 분산된 하중을 작용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e portable acoustic apparatus is placed evenly on the neck and collarbone of the user to act as a dispersed load.

또한, 휴대용 음향기기는 특정 음향의 출력뿐만 아니라 음향 신호의 입력, 나아가 다른 상대방과의 호 송/수신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다. 호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이어버드를 이용하여 상대방 음성을 들을 수도 있고, 구비된 스피커를 이용하여 들을 수도 있다. 스피커를 이용하여 상대방 음성을 듣는 경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음성이 의도하지 않게 마이크로 다시 유입되어 중복적으로 신호가 울리게 되는 하울링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audio apparatus can perform not only the output of a specific sound but also the input of a sound signal, and furthermore, a call / reception function with another party.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call / reception function, the other party's voice can be heard using the earbud, or it can be heard using the built-in speaker. When the other party's voice is heard by using the speaker,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may unintentionally flow back into the microphones, and a soaring phenomenon may occur that the signal is repeatedly sound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인 휴대용 음향기기가 무게 증가로 인해 사용자의 목 일부분에 집중적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at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is subjected to a heavy load on a part of a neck of a user due to an increase in weight.

또 다른 목적은 스피커를 이용한 호 송/수신 기능 수행에 있어서 하울링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howling phenomenon occurs in performing a call / reception function using a speaker.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목 적어도 일 영역을 감싸는 넥밴드 와이어, 상기 넥밴드 와이어의 양 단에 각각 결합하는 제1 바디 및 제2 바디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구비된 마이크 홀을 통해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마이크, 상기 제2 바디에 실장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모듈 및 상기 제2 바디에 형성되되, 상기 마이크와 먼 쪽에 치우쳐 구비된 음향 가이드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necting a neckband wire to a neckband wire, the neckband wire including a neckband wire surrounding at least one region of a user's neck, a first bod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neckband wire, A speaker module for outputting sound by being mounted on the second body; and a speaker module mounted on the second body, wherein the speaker module is disposed on the far side of the microphone, And a sound guide hol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바디는 제1 방향으로 뻗은 바(Bar)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음향 가이드 홀은 상기 제1방향으로 구비된 슬릿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ody is provided in a bar shape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acoustic guide hole includes a slit shape provided in the first direction. Thereby providing a portable sound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음향 가이드 홀의 내측에 중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음향 가이드 홀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가이드 단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audio apparatus, wherein the portable audio apparatus is further provided with a guide step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ound guide hole and having a width larger than a width of the sound guide hol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는 상기 제1 바디의 전방에 치우쳐 구비되고, 상기 음향 가이드 홀은 상기 제2 바디의 후방에 치우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audio apparatus, wherein the microphone is biased toward the front of the first body, and the acoustic guide hole is biased toward the rear of the second bod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 홀은, 상기 제1 바디의 상면에 구비된 제1 마이크 홀 및 상기 제1 바디의 외측면에 구비된 제2 마이크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이크 홀을 통해 입력된 음향 신호에서 상기 제2 마이크 홀을 통해 입력된 음향 신호를 제거하여 필터링 된 사용자 음성 신호를 형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phone hole includes a first microphone hol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a second microphone hol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a control unit for removing a sound signal input through the second microphone hole from the sound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hole to form a filtered user voice signa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피커 모듈은 출력홀을 포함하는 모듈 하우징, 상기 모듈 하우징 내부에 공명 공간의 일 영역을 형성하는 공명부 및 상기 공명부 경계에 결합하여 상기 공명 공간의 나머지 영역을 형성하는 확장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peaker module including a module housing including an output hole, a resonance part forming a resonance space inside the module housing, and a resonance part coupled to the resonance part boundary, And an extension plate which forms an area.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피커 모듈에 형성된 덕트 홀 및 상기 덕트 홀에 결합하는 메쉬 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audio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duct hole formed in the speaker module and a mesh sheet coupled to the duct hol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넥밴드 와이어는, 상기 메인 바디에 대해 하단 방향으로 특정 각도 경사를 형성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와 상기 메인 바디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ck band wire includes a seating part forming a specific angle inclination in a lowe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nd a connecting part connecting the seating part and the main body. And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만곡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forms a curved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메인 바디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넥밴드 와이어는,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사이에 결합하여 상기 메인바디에 고정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includes an upper case and a lower case, and the neck band wire is provided at both ends to be coupled between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of the main body, And a fastening part to be fixed to the base par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넥밴드 와이어는, 형상기억합금을 포함하는 프레임 와이어, 상기 프레임 와이어를 감싸는 와이어 튜브 및 상기 와이어 튜브의 양단에 결합하는 체결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 케이스 내부에 이중 사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와이어, 와이어 튜브 및 체결 케이스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ck band wire includes a frame wire including a shape memory alloy, a wire tube surrounding the frame wire, and a fastening cas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wire tube, And the frame wire, the wire tube, and the fastening case are fixed by being double-injected inside the fastening case.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ffects of the portable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하울링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henomenon of howling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호 송/수신시 주변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surrounding noise can be removed during a call / recep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소리가 울리기 위한 공명 공간을 최대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lso,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sonance space for sounding can be maximiz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저음 영역이 과도하게 울리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lso,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excessive bass regions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휴대용 음향기기를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lso,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rtable sound device can be stably worn by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넥밴드 와이어와 메인 바디가 뒤틀리거나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강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ckband wire and the main bod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wisted or pulled out to enhance durability.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such as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제1 바디의 측면을, 도 5(b)는 제2 바디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를 착용한 사용자의 모습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의 상면도이다.
도 9는 넥밴드 와이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2 바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피커 모듈의 배면도 이다.
도 15는 도 14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part of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a) shows the side of the first body, and Fig. 5 (b) shows the side of the second body.
6 is a view of a user wearing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of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top view of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neck band wire.
10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an embodiment of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rear view of a speaker modu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휴대용 음향기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30), 출력부(140),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60) 및 전원 공급부(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rtable audio device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sensing unit 130, an output unit 140, an interface unit 150, a control unit 160, and a power supply unit 170 can do.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휴대용 음향기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휴대용 음향기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in implementing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so that the portable acoustic apparatu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can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listed abov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용 음향기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휴대용 음향기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 사이, 또는 휴대용 음향기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용 음향기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portable audio player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portable audio player 100 and another portable terminal or between the portable audio player 100 and the external server Lt; RTI ID = 0.0 > wireless < / RTI >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connecting the portable audio-visual device 100 to one or more networks.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 모듈(111), 위치정보 모듈(1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 이동 통신 모듈 또는 무선 인터넷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ocal communication module 111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2. Or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less Internet module as needed.

근거리 통신 모듈(111)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1 is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includes Bluetooth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Wireless-Fidelity), Wi-Fi Direct, and Wireless 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technology.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1)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휴대용 음향기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휴대용 음향기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 사이, 또는 휴대용 음향기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1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rough the wireless area networks, between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and another mobile terminal, or between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 And a network in which another mobile terminal (or an external server) is locate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 short-rang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 모듈(111)은, 휴대용 음향기기(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단말기 등을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60)는 감지된 단말기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1)을 통해 전송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사용자는,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1 may detect (or recognize) a terminal or the like capable of communicating around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If the detected terminal is a device authenticated to communicate with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60 may transmit at least part of the data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to the local communication module 111 through the local communication module 111 Can be received. Therefore, the user of the portable audio-visual device 100 can use the data processed by the terminal through the 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단말기 등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휴대용 음향기기(100)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according to this, the user can perform a telephone conversation through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when a telephone is received in the terminal or the like.

위치정보 모듈(112)은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휴대용 음향기기(100)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2)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position information module 112 is a module for obtaining the position (or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and representative examples thereof include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or a Wireless Fidelity (WiFi) module.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utilizes the GPS module, it can acquire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us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GPS satellite. As another example, the portable audio-visual device 100 may utilize a Wi-Fi module to provide a portable audio device 100 with a Wi-Fi module, based on information of a wireless access point (AP) Can be obtained. Optionally,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2 may substitute or additionally perform any of the other modul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o obtain data relating to the location of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used to obtain the location (or current location) of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and is not limited to a module that directly calculates or obtains the location of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MIC: microphone, 121),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2,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includes a microphone (MIC) 121 for inputting audio signals or an audio input unit, a user input unit 122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for example, a touch key, key, etc.). The voice data or image data collected by the input unit 120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by a user's control command.

사용자 입력부(122)는 사용자가 휴대용 음향기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통화 버튼, 음량조절 등을 위한 버튼, 전원 버튼 및 음향케이블을 메인 바디 내부로 수납하는 수납버튼 등을 일 예로 들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22 is a unit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audio device 100 by a user. The user input unit 122 may include a call button, a button for volume control, a power button, and a storage button for storing the audio cable into the main body. .

사용자 입력부(122)는 통화 버튼, 한 쌍의 음량조절 버튼 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그 외에 시작/정지(play/stop) 버튼, 곡순서 변경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22 may include a call button, a pair of volume control buttons, and may further include a play / stop button and a music order change button.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크기는 제한되어 있고, 사용자 입력부(122)는 사용자가 직접 보지 않고 입력하는 경우가 많아 버튼의 개수가 많으면 각 버튼의 기능을 구분하기 힘들어 제한된 개수의 버튼을 이용하여 버튼을 누르는 시간 및 횟수 그리고 복수개의 버튼을 조합하여 입력 가능한 제어명령을 확대할 수도 있다.Since the size of the portable audio-visual device 100 is limited, and the user input unit 122 often inputs without looking directly at the user, if the number of buttons is large,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functions of the respective buttons. And a control command that can be input by combining a plurality of buttons may be enlarged.

마이크(121)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휴대용 음향기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활용되거나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서버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1 processes the external acoustic signal into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utilized according to a function (or a running application program) being executed in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or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terminal or an external serv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eanwhile, the microphone 122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for eliminat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센싱부(130)는 휴대용 음향기기 내 정보, 휴대용 음향기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30)는 근접센서(13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3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마이크(microphone, 121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음향기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a portable audio player, surrounding information surrounding the portable audio player, and use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3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31, an illumination sensor 132, a touch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 G-sensor, a gyroscope sensor, a motion sensor, an RGB sensor, an infrared sensor, a finger scan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 optical sensor, a microphone (see 121), a battery gauge, an environmental sensor (for example, a barometer, a hygrometer, a thermometer, a radiation sensor, a heat sensor, A chemical sensor (e. G., An electronic nose, a healthcare sensor, a biometric sensor, etc.). Meanwhile, the portable sound device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combine and use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f the sensors.

특히, 후술하는 이어폰이 홀더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센서는 상기 자기 센서 등이 대표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In particular, it may include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an earphon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located in the holder, and the magnetic sensor and the like may be typically applied to such a sensor.

출력부(14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음향 출력부(141), 햅틱 모듈(142), 광 출력부(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coustic output unit 141, a haptic module 142, and a light output unit 143 to generate an output related to a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음향 출력부(141)는 음향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로서, 대표적인 예로 사용자의 귀에 끼워서 소리를 전달하는 이어폰 및 이어폰을 끼지 않은 상태에서 음향이 출력되는 스피커가 있을 수 있다.The sound output unit 141 is a device for outputting sound according to a sound signal. As a typical example, there may be an earphone for transmitting sound through a user's ear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without an earphone.

인터페이스부(150)는 휴대용 음향기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50)는,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음향기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5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50 serves as a channel with various kind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The interface unit 15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xternal charger port and a wired / wireless data port. In the portable audio-visual device 100,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of the external device to the interface unit 150, it is possible to perform appropriate control related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제어부(16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s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 unit 16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audio-visual device 100. The controller 160 may process signals, data, information, and the like that are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전원 공급부(170)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휴대용 음향기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17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7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and supplies power to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portable audio player 100. The power supply unit 170 includes a battery, which may be an internal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one another to implement a method of operating, controlling, or controlling a portable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사시도를,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휴대용 음향기기(100)는 크게 넥밴드 와이어(210) 및 메인 바디(22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넥밴드 와이어(210)가 사용자의 목 일 영역을 감싸 휴대용 음향기기(100)가 사용자의 목에 거치될 수 있다.The portable audio-visual device 100 may largely include the configuration of the neck band wire 210 and the main body 220. [ The neckband wire 210 may wrap around the neck area of the user and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may be mounted on the user's neck.

메인 바디(220) 및 넥밴드 와이어(210)는 결합하여 'U'자 형태를 형성할 수 있고, 또는 필요에 따라 양단이 착탈되어 선택적으로 'O'자 형태를 형성할 수도 있다.The main body 220 and the neck band wire 210 can be combined to form a U-shape, or both ends can be optionally detached to form an 'O' shape.

메인 바디(220)는 넥백드 와이어의 양 단에 각각 결합할 수 있다. 메인 바디(220)는 넥밴드 와이어(210)의 일단에 결합하는 제1 바디(220a) 및 넥밴드 와이어(210)의 타단에 결합하는 제2 바디(220b)로 구분될 수 있다.The main body 220 can b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neck backing wire, respectively. The main body 22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body 220a coupled to one end of the neckband wire 210 and a second body 220b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neckband wire 210. [

메인 바디(220)는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부품 실장의 목적 등을 위해 상부 케이스(2201)와 하부 케이스(2202)의 결합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측면 케이스(2203)은 상부 케이스(2201) 및 하부 케이스(2202)의 결합 상태에서 측면에 결합하여 메인 바디(22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main body 220 may be integrally formed, but may be provided in a form of a combination of an upper case 2201 and a lower case 2202 for the purpose of component mounting. The side case 2203 may be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upper case 2201 and the lower case 2202 to form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220.

휴대용 음향기기(100)는 땀과 같은 수분에 노출되기 쉬우므로 방수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2201)와 하부 케이스(2202) 사이의 틈을 커버하는 리브를 형성하거나 방수부재를 개재하여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portable audio-visual device 100 is easily exposed to moisture such as sweat, it can have a waterproof function. It is possible to form a rib that covers the gap between the upper case 2201 and the lower case 2202 or to prevent water from penetrating through the waterproof member.

메인 바디(220)는 폴리머(Polymer) 재질을 사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PS: Polystryrene)과 같은 강도가 있는 플라스틱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부분적으로 금속이나, 유리, 가죽 등을 포함하는 이형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main body 220 may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a polymer material. For example, a plastic product having strength such as polystyrene (PS) can be used. However, it may be partially composed of a release material including metal, glass, leather, and the like.

메인 바디(220)는 내부 부품을 보호하며 동시에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되도록 메인 바디(220) 표면에 폴리우레탄 코팅을 할 수 있다. 메인 바디(220) 표면에 폴리우레탄 코팅을 하면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일체감 있는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메인 바디(220)가 사용자의 피부와 밀착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흔들리지 않아 착용감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The main body 220 may be coated with a polyurethane coating o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220 so that the main body 220 protects internal components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body. When the polyurethane coating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220, a unified appearance of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can be formed. The main body 22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skin, There are advantages.

메인 바디(220)는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대부분의 부품을 실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바디(220)에는 전술한 메인기판, 무선통신부, 배터리 및 회수 모듈(284)과 같은 각종 부품이 삽입될 수 있다.The main body 220 can mount most parts capable of performing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various components such as the main boar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battery and the collection module 284 may b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220.

메인기판은 무선통신부, 마이크(270) 등이 구비되며, 배터리, 사용자 입력부, 음향출력부 등과 연결된다. 메인 바디(220)에 실장되는 부품은 양측의 바디, 즉 제1 바디(220a) 및 제2 바디(220b)에 대칭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고, 일측만 구비될 수도 있다.The main board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microphone 270, and the like, and is connected to a battery, a user input unit, and an audio output unit. The components mounted on the main body 220 may be symmetrical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dy, that is, the first body 220a and the second body 220b, or may be provided on only one side.

넥밴드 와이어(210)는 탄성의 성질을 가져 힘을 가하면 소정 범위 내에서 탄성 변형 되었다가 힘이 제거되면 원래 형상으로 복원 될 수 있다. 탄성의 성질을 갖는 대표적인 형태로 형상기억합금이 있을 수 있다.The neck band wire 210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it is applied with a force, and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when the force is removed. There may be a shape memory alloy in a representative form having elastic properties.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Fig. 4 shows a part of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어버드(281)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소리를 전달하며, 이어버드(281)는 음향케이블(285)을 통해 상기 메인기판과 연결된다.The ear bud 281 is inserted into a user's ear to transmit sound, and the ear bud 281 is connected to the main board through an acoustic cable 285.

본 발명의 메인 바디(220)는 양측에 각각 이어버드(281)가 안착되는 홀더(282)를 구비한다. 홀더(282)는 사용자가 휴대용 음향기기(100)를 착용 시에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부 케이스(2202)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22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lder 282 on both sides of which an earbud 281 is seated. The holder 282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lower case 2202 so that the user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is worn.

홀더(282)는 이어버드(281)의 형상에 상응하여 오목하게 인입된 리세스부를 포함하며, 홀더(282)에 형성된 케이블 홀(283)을 통해 이어버드(281)와 메인기판을 연결하는 음향케이블(285)이 통과할 수 있다.The holder 282 includes a recessed portion recess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arbud 281. The holder 282 has an acoustic portion for connecting the earbud 281 to the main board through a cable hole 283 formed in the holder 282, Cable 285 can pass.

메인 바디(220)에 실장된 회전부재의 탄성에 의해 음향케이블(285)이 회수 모듈(284)의 둘레에 감기면서 이어버드(281)는 자동으로 홀더(282)에 안착될 수 있다.The ear bud 281 can be automatically seated in the holder 282 while the acoustic cable 285 is wound around the collection module 284 by the elasticity of the rotating member mounted on the main body 220. [

이어버드(281)가 홀더(282)에 안정적으로 안착 및 결합하기 위해 홀더(282)의 내측과 이어버드(281)에는 서로 인력을 발생하는 자성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inside of the holder 282 and the earbud 281 may be provided with magnetic portions that generate attraction forc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earbud 281 stably seats and engages with the holder 282. [

도 5(a)는 제1 바디(220a)의 측면을, 도 5(b)는 제2 바디(220b)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5 (a) is a side view of the first body 220a, and Fig. 5 (b)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body 220b.

메인 바디(220)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입력을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2) 및 외부 장치와의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부(150)로서의 입/출력 포트(226, I/O port)를 구비할 수 있다.The main body 220 is provided with a user input part 122 for receiving input of a user interface and an input / output port 226 as an interface part 150 for sending / receiving an electric signal to / from an external device .

전원을 ON/OFF하는 전원버튼(224), 음악을 재생/정지하거나 수신 호를 받기 위한 버튼(221), 음량을 조절하는 버튼(222), 재생곡을 선택하는 버튼(223) 등을 포함할 수 있다.A power button 224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a button 221 for playing / stopping the music or receiving an incoming call, a button 222 for adjusting the volume, a button 223 for selecting a reproduced music, and the like .

또한 본 발명과 같이 출력되는 음향을 이어버드(281) 또는 스피커(230)로 선택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이를 선택하기 위한 출력 경로 선택 버튼(225)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sound output a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lected by the ear bud 281 or the speaker 230, an output path selection button 225 for selecting the ear bud 281 or the speaker 23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상기 버튼은 물리적으로 가압되는 돔 키(dome key)를 이용할 수도 있고, 정전용량 변화로 감지하는 터치 키(touch key)를 이용할 수도 있다.The button may be a dome key that is physically pressed, or may be a touch key that senses a change in capacitance.

또는 눌리는 방식의 상기 버튼과 달리 일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여 입력하는 토글 버튼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Or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oggle button for sliding in one direc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button of the depressed type.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모습이고,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측면도이다.FIG. 6 is a view of a user wearing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ide view of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의 편의를 위해 휴대용 음향기기(100)를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상하전후 방향에 대응하여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방향을 정의하도록 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when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is worn, the direction of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is defined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user.

제1 바디(220a) 및 제2 바디(220b)의 구체적인 형상은 내부 부품의 실장 형태 및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제1 바디(220a) 및 제2 바디(220b)는 전방 하단으로 뻗은 바(bar)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pecific shapes of the first body 220a and the second body 220b may vary depending on the mounting type and type of internal parts. In particular, the first body 220a and the second body 220b may be provided in a bar shape extending to the lower front end.

사용자의 쇄골 부근 영역에 안착되는 제1 바디(220a) 및 제2 바디(220b)는 전방 하단으로 기울어져 구비된다.The first body 220a and the second body 220b that are seated in the vicinity of the collarbone of the user are inclined toward the front lower end.

특히 제1 바디(220a)는 제1 방향으로, 제2 바디(220b)는 제2 방향으로 뻗을 수 있다.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은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전방 하단 방향의 평면에 포함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first body 220a may extend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body 220b may extend in a second directio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be included in a plane in the front lower end direction of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as described above.

넥밴드 와이어(210)는 제1 바디(220a) 및 제2 바디(220b)에 대해 특정 각도 A만큼 꺾여 형성될 수 있다.The neck band wire 210 may be bent at a specific angle A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220a and the second body 220b.

스피커 모듈(260) 및 이어버드(281)를 이용한 선택적인 음향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음향 기기에서는 메인 바디(220)에 실장되는 부품의 무게 증가로 인해 본체가 아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내려가고,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벼운 넥밴드 와이어(210) 영역이 위로 뜰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음향기기(100)가 사용자의 목 전체에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In a portable audio apparatus capable of selectively outputting sound using the speaker module 260 and the ear bud 281, the main body 220 is relatively lowered in the downward direction due to an increase in the weight of components mounted on the main body 220, The area of the lightweight neckband wire 210 can be raised. Therefore, a structure is required in which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can be stably mounted on the entire neck of the user.

휴대용 음향기기(100)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제1 바디(220a) 및 제2 바디(220b)가 사용자의 쇄골에 안착하여 전방 하단으로 기울어진 경우 넥밴드 와이어(210)는 지면과 평행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의 목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first body 220a and the second body 220b are seated on the collarbone of the user and are inclined forward and downward while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is worn by the user, the neckband wire 210 is parallel to the ground So as to surround the neckline of the user.

넥밴드 와이어(210)가 사용자의 목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경우 하중이 쇄골 영역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neckband wire 210 is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neckline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ad from concentrating on the clavicle area.

즉, 넥밴드 와이어(210) 및 메인 바디(220)가 사용자의 목 및 쇄골 전체 영역에 골고루 하중을 가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피로를 최소화 할 수 있다.That is, the neck band wire 210 and the main body 220 apply a uniform load to the entire region of the user's neck and collarbone, thereby minimizing the fatigue felt by the user.

또한 넥밴드 와이어(210)가 사용자의 목을 비스듬히 감지 않고 최단거리로 감아 돌아올 수 있으므로 짧은 길이로 구비되어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소형화가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neck band wire 210 can be rolled up in the shortest distance without obliquely sensing the neck of the user, it is provided in a short length, which enables downsizing of the portable audio-visual device 100.

구체적으로, 넥밴드 와이어(210)에서 사용자의 목에 직접적으로 안착되는 영역인 안착부(2102)는 메인 바디에 대해 하단 방향으로 A 각도 경사를 형성하고, 연결부(2101)는 안착부(2102)와 메인 바디(22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연결부(2101)는 안착부(2102)와 메인 바디(220)를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만곡부 형상이 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ating portion 2102, which is an area directly attached to the user's neck in the neckband wire 210, forms an A-angle inclination in the lowe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220. The connection part 2101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that naturally connects the seating part 2102 and the main body 220. [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상면도이다.8 is a top view of a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넥밴드 와이어(210)는 도 7과 같이 측면뿐만 아니라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상면을 기준으로 해서도 일정 각도 꺾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2102)는 사용자 목 둘레를 따라 완만하게 형성되나 연결부(2101)에서 일정 각도만큼 가파르게 꺾여 메인 바디(220)가 특정 각도 이상으로 벌어지지 않고 사용자의 쇄골에 적절히 안착될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neckband wire 210 may include a shape bent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ortable audio-visual device 100 as well as the side surface as shown in FIG. The seat 2102 is formed gent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ser's neck but is folded steeply at a predetermined angle at the connecting portion 2101 so that the main body 220 does not extend beyond a certain angle and can be appropriately seated on the collarbone of the user. Lt; / RTI >

도 9는 넥밴드 와이어(210)의 분해 사시도이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neck band wire 210. FIG.

프레임 와이어(213)는 넥밴드 와이어(210)의 전체 강성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프레임 와이어(213)는 형상기억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wire 213 serves to maintain the overall rigidity of the neckband wire 210. The frame wire 213 may comprise a shape memory alloy.

특히 연결부(2101)에 해당하는 프레임 와이어(213)는 입체형상(3-Dimensional)의 형상기억합금 가공 기술을 사용하여 가공할 수 있다.Particularly, the frame wire 213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ortion 2101 can be processed using a three-dimensional shape memory alloy processing technique.

도전 케이블(211)은 제1 바디(220a)와 제2 바디(220b)에 각각 구비된 전자적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ductive cable 211 may serve to electrically connect electronic components provided in the first body 220a and the second body 220b, respectively.

와이어 튜브(212)는 프레임 와이어(213) 및 도전 케이블(211)을 실장하여 프레임 와이어(213) 및 도전 케이블(211)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wire tube 212 may serve to protect the frame wire 213 and the conductive cable 211 from the outside by mounting the frame wire 213 and the conductive cable 211.

넥밴드 와이어(210)의 제조 과정을 살펴 보면, 우선 프레임 와이어(213) 및 도전 케이블(211)을 와이어 튜브(212)에 삽입한다. 프레임 와이어(213) 및 도전 케이블(211)이 삽입된 와이어 튜브(212) 양쪽에 체결 케이스(214)를 결합한다. 이때 와이어 튜브(212)는 체결 케이스(214)와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neck band wire 210 will be described. First, the frame wire 213 and the conductive cable 211 are inserted into the wire tube 212. The fastening case 214 is engaged with both the frame wire 213 and the wire tube 212 into which the conductive cable 211 is inserted. At this time, the wire tube 212 can be engaged with the fastening case 214.

체결부(240)는 체결 케이스(214)의 내부를 채우면서 프레임 와이어(213) 및 도전 케이블(211)과 결합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240 can be engaged with the frame wire 213 and the conductive cable 211 while filling the inside of the fastening case 214.

체결부(240)는 체결 케이스(214) 내부에 이중 사출, 특히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주입되어 체결 케이스(214)와 결합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240 may be injected into the fastening case 214 in a double injection manner, in particular, an insert injection method so as to be combined with the fastening case 214.

이중 사출로 형성되는 체결부(240)는 프레임 와이어(213), 도전 케이블(211), 와이어 튜브(212) 및 체결 케이스(214)를 서로 고정시킬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240 formed by the double injection can fix the frame wire 213, the conductive cable 211, the wire tube 212 and the fastening case 214 to each other.

체결부(240)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된 넥밴드 와이어(210)는 디자인적 일체감이 향상되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neckband wire 210 integrally formed by the fastening part 240 can improve the sense of unity of design and improve the durability.

와이어 튜브(212)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 Urethane)을 이용할 수 있다. 열로 녹여 제작 가능하고, 경화되면 내유성 및 내마모성이 있고 고무와 같은 탄성이 있는 재질이 될 수 있다.The wire tube 212 may be made of thermoplastic polyurethane. It can be made by dissolving in heat. When hardened, it has oil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and can be made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와이어 튜브(212)는 사용자의 목에 직접적으로 닿는 영역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 튜브(212)는 표면의 마찰계수가 높아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되어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wire tube 212 may be an area that directly contacts the user ' s neck. Therefore, the wire tube 212 has a high coefficient of friction on the surface, so that it can be prevented from slipping easily b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user's body.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10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넥밴드 와이어(210)의 양단에 형성된 체결부(240)는 메인 바디(220)와 체결 된다. 체결부(240)는 넥밴드 와이어(210)를 메인 바디(220)에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The fastening portions 240 formed at both ends of the neck band wire 210 are fastened to the main body 220. The fastening part 240 fixes the neck band wire 210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20.

체결부(240)는 하부 케이스(2202)에 안착될 수 있다. 체결부(240)의 체결홀은 안착되는 하부 케이스(2202)의 돌출부(251)에 끼워 맞춰 결합될 수 있다.The fastening portion 240 can be seated in the lower case 2202. The fastening holes of the fastening part 240 can be fitted to the projecting parts 251 of the lower case 2202 to be seated.

하부 케이스(2202)에 안착된 체결부(240)에 상부 케이스(2201)가 끼워져 결합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2202), 체결부(240) 및 상부 케이스(2201)의 결합은 스크류로 고정시킬 수 있다.The upper case 2201 can be fitted and coupled to the fastening part 240 that is seated in the lower case 2202. The coupling of the lower case 2202, the coupling part 240 and the upper case 2201 can be fixed with a screw.

체결홀과 돌출부(251)의 결합 이외에, 체결부(240)의 가이드홀(2402)을 따라 하부 케이스(2202)의 걸림부(252)가 끼워 맞춰 결합되어 이중의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체결홀과 돌출부(251)의 결합 및 가이드홀(2402)과 걸림부(252)의 이중 결합 형태는 넥밴드 와이어(210) 및 메인 바디(22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The engaging portion 252 of the lower case 2202 may be fitted and engaged along the guide hole 2402 of the fastening portion 240 in addition to the fastening hole and the protrusion 251. The coupling between the fastening hole and the projection 251 and the double coupling between the guide hole 2402 and the fastening part 252 can stably fix the neck band wire 210 and the main body 220.

체결부(240)와 메인 바디(220)의 상기 결합 구조에 의해 넥밴드 와이어(210)가 메인 바디(220)에 대해 의도하지 않게 회전하거나 길이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oupling part 240 and the main body 220 prevents the neck band wire 210 from rotating unintentionally or flow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220.

본 실시 예의 경우 하부 케이스(2202)에 체결부(240)가 안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반대로 상부 케이스(2201)에 체결부(240)가 안착되고, 이후 하부 케이스(2202)가 상부 케이스(2201)에 결합될 수도 있다.The fastening portion 240 is seated in the upper case 2201 and the lower case 2202 is then inserted into the upper case 2201. In this case, 2201 < / RTI >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11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휴대용 음향기기(100)는 스피커 모듈(260)을 구비할 수 있다. 휴대용 음향기기(100)는 스피커 모듈(260) 또는 별도의 이어버드(281)를 통해서 선택적으로 음향을 출력시킬 수 있다.The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may include a speaker module 260.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may selectively output sound through the speaker module 260 or a separate ear bud 281. [

마이크(270)는 제1 바디(220a)에 구비되어 외부의 음향을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이크 홀(271)은 제1 바디(220a)에 형성되어 외부 소리가 마이크(270)에 도달하도록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 microphone 270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body 220a to input external sounds. A microphone hole 271 may be formed in the first body 220a to provide a path for external sound to reach the microphone 270. [

마이크 홀(271)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마이크 홀(271)은 제1 마이크 홀(271a) 및 제2 마이크 홀(271b)을 구비할 수 있다.A plurality of microphone holes 271 may be provided. In particular, the microphone hole 271 may include a first microphone hole 271a and a second microphone hole 271b.

제1 마이크 홀(271a)은 사용자의 음성을 주로 입력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제2 마이크 홀(271b)은 주변 노이즈가 주로 입력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first microphone hole 271a mainly serves to input the user's voice and the second microphone hole 271b mainly serves to input ambient noise.

제1 마이크 홀(271a) 및 제2 마이크 홀(271b)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마이크가 구비될 수 있고, 또는 각 마이크 홀을 통해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구분할 수 있는 하나의 마이크로 구비될 수도 있다.제어부는 제1 마이크 홀(271a)을 통해 입력된 음향 신호, 즉 사용자 음성 신호에서 제2 마이크 홀(271b)을 통해 입력된 음향 신호, 즉 외부 노이즈를 제거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필터링 된 사용자 음성 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A plurality of microphon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microphone hole 271a and the second microphone hole 271b may be provided or one microphone may be provided to distinguish the acoustic signals inputted through the respective microphone holes. An algorithm for removing an external noise, that is, an acoustic signal input through the second microphone hole 271b from a user's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first microphone hole 271a,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 마이크 홀(271a)은 제1 바디(220a)의 상면에, 제2 마이크 홀(271b)은 제1 바디(220a)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바디(220a)의 상면은 사용자가 휴대용 음향기기(100)를 착용한 경우 사용자의 입과 가깝고, 제1 바디(220a)의 측면은 외부의 노이즈가 효과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The first microphone hole 271a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220a and the second microphone hole 271b may b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body 220a.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220a is close to the user's mouth when the user wears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noise can be effectively input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body 220a.

스피커 모듈(260) 또는 이어버드(281)는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음향 출력을, 마이크(270)는 반대 기능을 수행하여 휴대용 음향기기(100) 전체가 이어셋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The speaker module 260 or the ear bud 281 may function as an acoustic output of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and the microphone 270 may function as an earset of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as a whole.

이어셋의 역할로서 대표적인 것으로 통화기능을 예로 들 수 있다. 사용자는 이어버드(281)를 착용하여 이어버드(281) 및 마이크(270)를 통해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어버드(281)를 착용하지 않고 스피커 모듈(260) 및 마이크(270)를 통해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An example of a role of an earset is a call function. The user can make a call through the earbud 281 and the microphone 270 by wearing the earbud 281 or can make a call through the speaker module 260 and the microphone 270 without wearing the earbud 281 Can be performed.

이어버드(281)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이어버드(281) 착용자만이 출력되는 음향을 들을 수 있고, 이어버드(281)를 착용하지 않고 스피커 모듈(260)을 사용한 경우에는 출력되는 음향이 차폐되지 않고 개방적으로 나올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ear bud 281 is worn, only the wearer of the ear bud 281 can hear the output sound. In the case of using the speaker module 260 without wearing the ear bud 281, It can come out openly.

스피커 모듈(260)을 사용하여 통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스피커(230) 모드에서는, 스피커 모듈(260)로부터 출력된 음향이 마이크(270)에 다시 유입되는 하울링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There is a fear that a howling phenomenon in which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module 260 flows back into the microphone 270 may occur in the speaker 230 mode in which the speaker module 260 performs a function such as a call.

스피커 모듈(260) 및 마이크(270)의 배치를 통해 하울링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The arrangement of the speaker module 260 and the microphone 270 can minimize the hauling phenomenon.

이를 위한 한 가지 방안은 마이크(270)와 스피커 모듈(260)을 서로 다른 바디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마이크(270)는 제1 바디(220a)에, 스피커 모듈(260)은 제2 바디(220b)에 실장 시켜 마이크(270)와 스피커 모듈(260)의 이격 거리를 극대화 할 수 있다.One way to do this is to provide the microphone 270 and the speaker module 260 in different bodies.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microphone 270 and the speaker module 260 can be maximized by mounting the microphone 270 on the first body 220a and the speaker module 260 on the second body 220b.

특히, 마이크(270)는 제1 바디(220a)의 전방에 치우쳐 구비되고, 스피커 모듈(260)은 제2 바디(220b)의 후방에 치우쳐 구비되어 상호 거리를 최대한 이격 시킬 수 있다.Particularly, the microphone 270 is biased toward the front of the first body 220a, and the speaker module 260 is biased toward the rear of the second body 220b to maximize the distance therebetween.

스피커 모듈(260)은 사용자가 휴대용 음향기기(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귀에 최대한 가까운 위치인 후방으로, 마이크(270)는 사용자가 휴대용 음향기기(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입에 최대한 가까운 위치인 전방으로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peaker module 260 is positioned at a position as close as possible to the ear while the user wears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and the microphone 270 is positioned at a position as close as possible to the mouth while the user wears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 As shown in FIG.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2 바디(220b)의 분해 사시도이다.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body 220b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스피커 모듈(260)은 제2 바디(220b)에 실장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하나의 독립적인 모듈로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speaker module 260 may function as an independent module mounted on the second body 220b to output sound.

음향 가이드 홀(291)은 스피커 모듈(260)로부터 출력된 음향을 제2 바디(220b)의 외부로 나가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sound guide hole 291 may guide the sound outputted from the speaker module 260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body 220b.

음향 가이드 홀(291)은 스피커 모듈(260)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위치하므로, 음향 가이드 홀(291)이 제2 바디(220b)에 구비되는 위치적 특성은 전술한 스피커 모듈(260)의 위치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Since the acoustic guide hole 291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speaker module 260, the positional characteristic of the acoustic guide hole 291 in the second body 220b is determined by the position of the speaker module 260 The same can be applied.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일부 단면도이다.1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음향 가이드 홀(291)은 제2 바디(220b) 상에서 제1 바디(220a)의 마이크(270)로부터 먼 쪽에 치우쳐 구비될 수 있다.The acoustic guide hole 291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body 220b so as to be located away from the microphone 270 of the first body 220a.

즉, 음향 가이드 홀(291)은 메인 바디(200)의 상면 영역 중에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측면 외측 방향으로 치우쳐 구비될 수 있다.음향 가이드 홀(291)의 위치와 스피커 모듈(260)의 출력홀(261)의 위치는 대응될 수 있다. 출력홀(261)은 스피커 모듈(260) 상에서 소리가 나오는 통로를 의미한다. 진동판의 울림을 통해 형성된 소리는 출력홀(261)을 따라 스피커 모듈(260)에서 소리가 나올 수 있다.That is, the acoustic guide holes 291 may be offset from the upper surface area of the main body 200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The position of the acoustic guide hole 291 and the position of the speaker module 260 The position of the output hole 261 can be matched. The output hole 261 is a passage through which sound is output from the speaker module 260. Sounds generated through the sounding of the diaphragm may sound in the speaker module 260 along the output hole 261.

따라서 스피커 모듈(260)의 출력홀(261) 또한 스피커 모듈(260) 상에서 마이크(270)로부터 먼 쪽에 치우치도록 구비될수 있다.Therefore, the output hole 261 of the speaker module 260 may be provided on the speaker module 260 to be away from the microphone 270.

상부 케이스(2201)의 내측면에는 스피커 모듈(260)에서 발생한 음향이 음향 가이드 홀(291)로 효과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단차를 형성하는 가이드 단차부(291a)를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A guide step 291a may be additional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ase 2201 so as to form a step so that the sound generated by the speaker module 260 can pass through the sound guide hole 291 effectively.

가이드 단차부(291a)는 음향 가이드 홀(291)의 내측에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단차부(291a)의 폭은 음향 가이드 홀(291)의 폭보다 크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guide step 291a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acoustic guide hole 291. The width of the guide stepped portion 291a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acoustic guide hole 291. [

다시 도 12을 참조하면, 음향 가이드 홀(291)은 슬릿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음향의 최소 출력을 보장하기 위해 일정 크기 이상의 개구부가 필요하며, 슬릿 형상의 음향 가이드 홀(291)은 이러한 요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12, the acoustic guide hole 291 may be provided in a slit shape. An opening larger than a predetermined size is required to ensure a minimum output of sound, and a slit-shaped acoustic guide hole 291 can satisfy this requirement.

음향 가이드 홀(291)의 슬릿은 제2 바디(220b)의 길이 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slit of the acoustic guide hole 291 may be formed along a first direction which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220b.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 형상의 음향 가이드 홀(291)은 제1 바디(220a)에 구비된 마이크 홀(271)에 최대한 간섭하지 않는 방향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어 하울링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The slit-shaped acoustic guide hole 291 formed along the first direction can output sound in a direc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icrophone hole 271 provided in the first body 220a as much as possible, thereby minimizing the hauling phenomenon .

또한 제2 바디(220b)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슬릿 형상의 음향 가이드 홀(291)은 제2 바디(220b)와 함께 디자인적 일체감을 줄 수 있으며, 너비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에 비해 상부 케이스(2201)의 강성이 약화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t-shaped acoustic guide hole 291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220b can provide a design-like feeling together with the second body 220b, 2201 can be minimized.

스피커 모듈(260)은 음향을 출력하는 최소한의 장치의 집합체의 개념을 가리킨다. 스피커 모듈(260)은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바디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Speaker module 260 refers to the concept of a collection of minimal devices that output sound. The speaker module 260 may be provided inside the body of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휴대용 음향기기(100)에 실장되는 스피커 모듈(260)은 휴대성에 초점을 맞추어 마이크(270)로 스피커(230)의 형태를 띨 수 있다.The speaker module 260 mounted on the portable audio device 100 may take the form of a speaker 230 with the microphone 270 focused on portability.

스피커 모듈(26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은 바(bar) 형상의 바디에 실장되기 용이하도록 길이가 긴형태를 띨 수 있다.The housing form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speaker module 260 may have a long shape so as to be easily mounted on a bar-shaped body.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피커 모듈(260)의 배면도 이다.14 is a rear view of a speaker module 26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스피커 모듈(260)은 자체적으로 공명 공간(265)을 형성하여 발생된 음향의 크기가 극대화 되도록 할 수 있다.The speaker module 260 itself may form a resonance space 265 to maximize the size of the generated sound.

공명 공간(265)을 스피커 모듈(260)의 외관 하우징이 만드는 일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 하우징 중 공명부(266)는 공명 공간(265)의 일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The resonant space 265 may include an interior space formed by the exterior housing of the speaker module 260. The resonance portion 266 of the module housing can form one region of the resonance space 265.

확장 플레이트(262)는 공명부(266)의 경계에 결합하여 공명 공간(265)의 나머지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The extension plate 262 may be coupled to the boundary of the resonance unit 266 to form the remaining area of the resonance space 265.

스피커 모듈(260)의 외관을 형성하는 스피커 하우징(2601)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아미드와 같은 소재로 형성되어 경도와 경량성의 이점을 가질 수 있다.The speaker housing 2601, which forms the appearance of the speaker module 26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polycarbonate or polyamide, and may have advantages of hardness and light weight.

반면 확장 플레이트(262)는 얇은 시트 형상의 금속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xtension plate 262 may be made of a thin sheet-like metal material.

도 15는 도 14의 A-A' 방향 단면도이다.1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확장 플레이트(262)는 공명 공간(265)의 크기를 극대화 하되,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등의 스피커 모듈(260) 대부분의 외관 소재와 동일한 경우 파손 또는 크랙의 위험이 있어 두께를 얇게 하는 데 한계가 있다.The extension plate 262 maximizes the size of the resonance space 265, and there is a risk of breakage or cracking when it is the same as the appearance material of most of the speaker modules 260 such as polycarbonate or polyamide, have.

따라서 확장 플레이트(262)를 통해 외관 두께를 최소화 하여 공명 공간(265)을 최대로 만드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effect of making the resonance space 265 maximized by minimizing the thickness of the outer tube through the extension plate 262 is obtained.

다시 도 14를 참조하면, 덕트 홀(263)은 스피커 모듈(260) 내부와 외부에 공기가 출입될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하여 특정 주파수 영역대의 출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14, the duct hole 263 may form a path through which air can flow into and out of the speaker module 260, thereby adjusting the output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메쉬 시트(264)는 덕트 홀(263)을 막아 공기의 출입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덕트 홀(263)을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적을수록 저음역대의 출력이 감소하게 된다. 메쉬 시트(264)는 덕트 홀(263)을 막아 저음역대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mesh sheet 264 can block the duct hole 263 and control the amount of air flowing in and out. The lower the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the duct hole 263, the lower the output of the low sound. The mesh sheet 264 can block the duct hole 263 and serve to reduce the output of the low sound region.

스피커 모듈(260)을 통해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메쉬 시트(264)는 출력되는 음성의 저음 영역을 최소화 하여 명료한 음성이 들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When performing the call function through the speaker module 260, the mesh sheet 264 can minimize the bass region of the output voice so that a clear voice can be heard.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ll aspects as limiting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휴대용 음향기기 210: 넥밴드 와이어
2101: 만곡부 2102: 안착부
211: 도전 케이블 212: 와이어 튜브
213: 프레임 와이어 214: 체결 케이스
220: 메인 바디 220a: 제1 바디
220b: 제2 바디 2201: 상부 케이스
2202: 하부 케이스 2203: 측면 케이스
230: 스피커 240: 체결부
2401: 체결홀 2402: 가이드홀
251: 돌출부 252: 걸림부
260: 스피커 모듈 2601: 스피커 하우징
261: 출력홀 262: 확장 플레이트
263: 덕트 홀 264: 메쉬 시트
265: 공명 공간 266: 공명부
270: 마이크 271: 마이크 홀
271a: 제1 마이크 홀 271b: 제2 마이크 홀
281: 이어버드 282: 홀더
283: 케이블 홀 284: 회수 모듈
285: 음향케이블 291: 음향 가이드 홀
291a: 가이드 단차부
100: Portable audio device 210: Neck band wire
2101: Curved portion 2102:
211: conductive cable 212: wire tube
213: frame wire 214: fastening case
220: main body 220a: first body
220b: second body 2201: upper case
2202: lower case 2203: side case
230: speaker 240: fastening portion
2401: fastening hole 2402: guide hole
251: protrusion 252:
260: Speaker module 2601: Speaker housing
261: output hole 262: extension plate
263: Duct hole 264: Mesh sheet
265: resonance space 266: resonance section
270: microphone 271: microphone hole
271a: first microphone hole 271b: second microphone hole
281: ear bud 282: holder
283: Cable hole 284: Recovery module
285: Sound cable 291: Sound guide hole
291a: guide stepped portion

Claims (11)

사용자의 목 적어도 일 영역을 감싸는 넥밴드 와이어;
상기 넥밴드 와이어의 양 단에 각각 결합하는 제1 바디 및 제2 바디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구비된 마이크 홀을 통해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마이크;
상기 제2 바디에 실장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모듈; 및
상기 제2 바디에 형성되되, 상기 마이크와 먼 쪽에 치우쳐 구비된 음향 가이드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A neck band wire surrounding at least one region of the user's neck;
A main body including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neck band wire;
A microphone for receiving a sound signal through a microphone hole provided in the first body;
A speaker module mounted on the second body to output sound; And
And an acoustic guide hole formed on the second body and being offset away from the microphon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제1 방향으로 뻗은 바(Bar)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음향 가이드 홀은 상기 제1방향으로 구비된 슬릿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body is provided in a bar shape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acoustic guide hole includes a slit shape provided in the first directio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가이드 홀의 내측에 중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음향 가이드 홀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가이드 단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guide stepped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acoustic guide hole and having a width larger than a width of the acoustic guide ho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상기 제1 바디의 전방에 치우쳐 구비되고, 상기 음향 가이드 홀은 상기 제2 바디의 후방에 치우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icrophone is biased toward the front of the first body, and the acoustic guide hole is biased toward the rear of the second bod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홀은,
상기 제1 바디의 상면에 구비된 제1 마이크 홀; 및
상기 제1 바디의 외측면에 구비된 제2 마이크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이크 홀을 통해 입력된 음향 신호에서 상기 제2 마이크 홀을 통해 입력된 음향 신호를 제거하여 필터링 된 사용자 음성 신호를 형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icrophone hole
A first microphone hol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And a second microphone hol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for removing a sound signal input through the second microphone hole from the acoustic signal input through the first microphone hole to form a filtered user voice sign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모듈은 출력홀을 포함하는 모듈 하우징;
상기 모듈 하우징 내부에 공명 공간의 일 영역을 형성하는 공명부; 및
상기 공명부 경계에 결합하여 상기 공명 공간의 나머지 영역을 형성하는 확장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eaker module comprising: a module housing including an output hole;
A resonance unit forming a resonance space within the module housing; And
And an extension plate coupled to the resonance boundary to form a remaining region of the resonance spa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모듈에 형성된 덕트 홀; 및
상기 덕트 홀에 결합하는 메쉬 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uct hole formed in the speaker module; And
And a mesh sheet coupled to the duct ho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넥밴드 와이어는,
상기 메인 바디에 대해 하단 방향으로 특정 각도 경사를 형성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와 상기 메인 바디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eck band wire comprises:
A seating part forming a specific angle inclination in the lowe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nd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seating part to the main body.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만곡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connecting portion forms a curved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넥밴드 와이어는,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사이에 결합하여 상기 메인바디에 고정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n upper case and a lower case,
Wherein the neck band wire comprises:
And a fastening part provided at both ends and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cases of the main body to be fixed to the main body.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넥밴드 와이어는,
형상기억합금을 포함하는 프레임 와이어;
상기 프레임 와이어를 감싸는 와이어 튜브; 및
상기 와이어 튜브의 양단에 결합하는 체결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 케이스 내부에 이중 사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와이어, 와이어 튜브 및 체결 케이스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neck band wire comprises:
A frame wire including a shape memory alloy;
A wire tube surrounding the frame wire; And
And a fastening cas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wire tube,
Wherein the fastening portion is formed in the fastening case so that the frame wire, the wire tube, and the fastening case are fixed.
KR1020160110047A 2016-08-29 2016-08-29 Portable sound equipment KR20180024235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047A KR20180024235A (en) 2016-08-29 2016-08-29 Portable sound equipment
PCT/KR2017/009363 WO2018044011A1 (en) 2016-08-29 2017-08-28 Portable sound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047A KR20180024235A (en) 2016-08-29 2016-08-29 Portable sound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235A true KR20180024235A (en) 2018-03-08

Family

ID=61301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047A KR20180024235A (en) 2016-08-29 2016-08-29 Portable sound equipmen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24235A (en)
WO (1) WO2018044011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320A (en) * 2020-07-17 2022-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Mask apparatus
KR20240014322A (en) * 2022-07-25 2024-02-01 김정규 Wireless neck microphone device and public address system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339Y1 (en) * 2007-06-01 2009-02-06 크레신 주식회사 Rear neck hanger type earphone
US20130329903A1 (en) * 2012-06-07 2013-12-12 Shao-Chieh Ting Multifunctional bluetooth earphone device with neck speakers
KR101498087B1 (en) * 2013-02-21 201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Bluetooth headset
KR101542598B1 (en) * 2014-08-06 2015-08-07 주식회사 블루콤 Bluetooth Earphone Equipped with Changeable Tension Bar
JP6204312B2 (en) * 2014-08-28 2017-09-2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Sound colle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320A (en) * 2020-07-17 2022-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Mask apparatus
KR20240014322A (en) * 2022-07-25 2024-02-01 김정규 Wireless neck microphone device and public address system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44011A1 (en)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86922B (en) Portable sound equipment
KR101805535B1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US10841682B2 (en) Communication network of in-ear utility devices having sensors
US10356506B2 (en) Portable sound equipment
CN103125125B (en) Communication headset and ambient sound is relayed the method for headphone wearer
US9838771B1 (en) In-ear utility device having a humidity sensor
TW202243486A (en) A type of headphone
US10045130B2 (en) In-ear utility device having voice recognition
US20170347179A1 (en) In-Ear Utility Device Having Tap Detector
KR101861689B1 (en) Ear unit and portable sound equipment
US20170347183A1 (en) In-Ear Utility Device Having Dual Microphones
WO2017205558A1 (en) In-ear utility device having dual microphones
US11445284B2 (en) Portable audio equipment
KR101943329B1 (en) Portable sound equipment
KR20180024235A (en) Portable sound equipment
KR101832776B1 (en) Portable sound equipment
KR101919801B1 (en) Portable sound equipment
KR20170081549A (en) Portable sound equipment
KR102034595B1 (en) Portable sound equipment
CN106899906A (en) Earphone including heart rate measurement unit
KR101790527B1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KR101884355B1 (en) Portable sound equipment
KR20190016845A (en) Portable sound equipment
KR20190014978A (en) Rotation module and portable sound equipment
KR20190014979A (en) Portable sound equi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