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507A - Face positioning method, face photographing method, Iris recognizing method using virtual image of plane mirror, and face photographing system - Google Patents

Face positioning method, face photographing method, Iris recognizing method using virtual image of plane mirror, and face photograph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507A
KR20180021507A KR1020160106161A KR20160106161A KR20180021507A KR 20180021507 A KR20180021507 A KR 20180021507A KR 1020160106161 A KR1020160106161 A KR 1020160106161A KR 20160106161 A KR20160106161 A KR 20160106161A KR 20180021507 A KR20180021507 A KR 20180021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hotographing
face
mobile terminal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1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준욱
Original Assignee
이준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욱 filed Critical 이준욱
Priority to KR1020160106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1507A/en
Publication of KR20180021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50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04N5/23219
    • G06K9/00221
    • G06K9/00288
    • G06K9/0061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06V40/197Matching; Class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04N5/2257
    • H04N5/232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easily and accurately confirm a face change of a user by photographing a face of the user in the same condition, pose, and position at each photographing process because the position of the face is accurately guided by using the virtual image principle of a mirror. Als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mmend a product such as cosmetics according to the face change of the user because the face change of the user can be accurately confirmed. Also, the mirror is fitted into a mobile terminal and is used, thereby improving portability and usability for anyone. Also, the user can perform iris recognition while the user looks at himself or herself displayed on a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by using the virtual image principle of the mirror formed on a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when an iris is recognized by using the mobile terminal, thereby not only removing an aversion to the iris recognition but also more accurately recognizing the iris.

Description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얼굴의 위치 결정 방법, 얼굴 촬영 방법, 홍채 인식 방법 및 얼굴 촬영 시스템{Face positioning method, face photographing method, Iris recognizing method using virtual image of plane mirror, and face photographing system}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e positioning method, a face photographing method, an iris recognition method, and a facial photographing system using a virtual image principle of a mirror,

본 발명은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얼굴의 위치 결정 방법, 얼굴 촬영 방법, 홍채 인식 방법 및 얼굴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면 거울에서 나타나는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을 통해 사용자에게 촬영 기준 위치를 안내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위치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는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얼굴의 위치 결정 방법, 얼굴 촬영 방법, 홍채 인식 방법 및 얼굴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e positioning method, a face photographing method, an iris recognition method, and a face photographing system using a virtual image principle of a mirror. More particularly, A facial photographing method, an iris recognition method, and a facial photographing system using a virtual image principle of a mirror capable of always photographing a face at a certain position by guiding the face.

최근에는 사람의 생체 정보나 행동 특성을 이용해 개인을 식별하는 바이오 인식 또는 생체 인식 기술에 대한 연구 및 적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인식 기술은, 얼굴, 홍채, 지문, 망막 등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특징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본인임을 인증함으로써, 보안 시스템에 주로 적용될 수 있다.In recent years, research and application of biometrics or biometrics technology for identifying individuals using biometric information or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a person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his recognition technology can be applied mainly to a security system by extracting unique features such as a face, an iris, a fingerprint, and a retina and extracting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extracted features and comparing them with the established database to authenticate the user.

한편, 얼굴 인식 방법은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촬영된 얼굴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얼굴 이미지와 새로 촬영한 얼굴 이미지를 비교하는 방법이다. Meanwhile, the face recognition method is a method of photographing a user's face, storing the captured face image in a database, and then comparing the face image constructed in the database with the newly captured face image.

그러나, 사용자가 인증시마다 미리 등록한 얼굴 이미지의 각도, 포즈와 유사 또는 동일하게 얼굴의 각도와 포즈를 맞추어 인식시키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조명, 환경 및 얼굴의 각도, 포즈 등에 따라 얼굴의 인식률의 변화가 심하므로 사용이 까다로우며 오류가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user to recognize the angle and pose of the face similar to or similar to the angle and pose of the face image previously registered at the time of authentication. That is, since the recognition rate of the face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illumination, the environment, the angle of the face, the pose, and the like, it is difficult to use and many errors occur.

한국등록특허 10-0577745Korean Patent No. 10-0577745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촬영 기준 위치를 보다 쉽고 간편하게 얼굴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는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얼굴의 위치 결정 방법, 얼굴 촬영 방법, 홍채 인식 방법 및 얼굴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ce positioning method, a face photographing method, an iris recognition method, and a facial photographing system using a virtual image principle of a mirror, which enables a user to more easily and easily recognize a change in a face.

본 발명에 따른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얼굴의 위치 결정 방법은, 촬영 기준 마크가 표시되며, 얼굴이 비춰 보이는 대상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대상물과 상기 사용자의 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대상물에 육안으로 나타나는 상기 촬영 기준 마크의 두 개의 허상들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두 개의 허상들의 위치를 상기 사용자의 얼굴의 특정 위치들에 각각 맞추는 매칭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positioning a face using a virtual image principle of a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reparing an object on which a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is displayed and in which a face is seen;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the object and the user's eyes to identify two virtual images of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appearing on the object by the user; And matching the position of the two virtual images to specific positions of the face of the user,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른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얼굴 촬영 방법은, 사용자는 거울에 표시된 촬영 기준 마크에 의해 상기 거울 속에 나타나는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에 자신의 얼굴 중에서 미리 설정된 부분의 위치를 맞추는 매칭단계와; 상기 거울의 후방에 위치한 카메라가 상기 얼굴을 촬영하는 촬영단계와; 상기 사용자나 제어부가 상기 촬영단계에서 촬영한 얼굴 영상과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얼굴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 변화를 판단하는 비교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photographing a face using a virtual image principle of a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matching a position of a predetermined part of the face of a user to a virtual image of a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appearing in the mirror by a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displayed on the mirror; A photographing step of photographing the face by a camera positioned behind the mirror; And a comparison step of comparing the face image taken by the user or the control unit in the photographing step with the face image of the user stored in advance in the database to determine the face change of the user.

본 발명에 따른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은, 사용자가 거울이 화면에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에 미리 설치된 홍채 인식 앱을 실행시키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적외선 램프와 홍채 인식 카메라가 활성화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화면에 촬영 기준 마크를 표시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거울을 보고 상기 화면 속에 나타나는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에 상기 사용자의 눈의 위치를 맞추는 매칭단계와; 상기 홍채 인식 카메라가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촬영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촬영단계에서 촬영한 얼굴 영상에서 추출한 홍채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홍채 정보와 비교하는 비교단계를 포함한다.The iris recognition method using the virtual image principle of a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tivates an iris recognition camera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when a user executes an iris recognition application installed in advance in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mirror, Wherein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a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on a screen; A matching step of matching the position of the eye of the user to a virtual image of a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appearing in the screen when the user views the mirror; An imaging step of the iris recognition camera photographing the face of the user; And comparing the iris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face image taken by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iris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본 발명에 따른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얼굴 촬영 시스템은, 표면에 촬영 기준 마크가 표시되고, 상기 쵤영 기준 마크를 2개의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들로 나타내는 거울과; 상기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에 맞춰진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얼굴 영상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얼굴 영상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얼굴 영상을 비교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 facial photographing system using a virtual image principle of a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irror for displaying a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on a surface thereof and representing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as virtual images of two photographing reference marks; A camera for photographing a user's face fitted to a virtual image of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A database for storing face images taken by the camera; And a controller for comparing the face image stored in advance in the database with the fac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본 발명은,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하여 얼굴의 위치를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기 때문에, 촬영시마다 동일한 조건, 포즈, 위치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얼굴 변화를 보다 쉽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Since the position of the face can be accurately guided using the virtual image principle of the mirror, the user's face can be photographed at the same condition, pose, and position at each photographing, so that the user's face change can be more easily and accurately confirmed .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얼굴 변화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얼굴 변화에 따른 화장품 등의 상품을 추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urately confirm the user's face change, it is possible to recommend a product such as cosmetics according to the user's face change.

또한, 거울을 모바일 단말기에 끼워 사용할 수 있으므로, 휴대가 간편하고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irror can be inserted into the mobile terminal, it is easy to carry and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used by anyone.

또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홍채 인식시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구비된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비춰지는 자신을 모습을 그대로 보면서 홍채 인식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홍채 인식에 대한 거부감이 해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정확한 홍채 인식이 가능해질 수 있다. In addition, by using the virtual image principle of the mirror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in the iris recognition using the mobile terminal, the user can perform the iris recognition while observing the self, which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solve irrelevance to the iris, and more accurate iris recognition become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면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얼굴 촬영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면 거울에 표시된 촬영 기준 마크와 상기 평면 거울에 나타난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을 비교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면 거울의 허상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면 거울과 얼굴의 정면이 평행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면 거울과 얼굴의 정면이 평행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면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얼굴 촬영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평면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얼굴 촬영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얼굴 촬영 시스템의 배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평면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홍채 인식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평면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평면 거울에 표시되는 촬영 기준 마크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평면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face photographing system using a virtual image principle of a plane mirr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omparison between a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displayed on a plane mirr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irtual image of a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appearing on the plane mirror.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irtual image of a plane mirr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ront face of a face is parallel to a plane mirr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face of the face mirror is parallel to the plane mirr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showing a face photographing method using a virtual image principle of a plane mirr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face photographing system using a virtual image principle of a plane mirr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back side of the face photographing system shown in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ris recognition system using a virtual image principle of a plane mirr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ris recognition method using a virtual image principle of a plane mirr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displayed on a plane mirr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showing an iris recognition method using a virtual image principle of a plane mirr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면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얼굴 촬영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면 거울에 표시된 촬영 기준 마크와 상기 평면 거울에 나타난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을 비교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face photographing system using a virtual image principle of a plane mirr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omparison between a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displayed on a plane mirr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irtual image of a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appearing on the plane mirror.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면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얼굴 촬영 시스템은, 얼굴이 비춰 보이는 대상물인 거울, 하우징(12), 카메라(14), 근거리 무선통신기기(16), 데이터베이스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facial photographing system using a virtual image principle of a plane mirr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rror as an object whose face is viewed, a housing 12, a camera 14, A communication device 16, a database, and a control unit.

상기 거울은, 표면이 평평하고 매끈한 유리인 평면 거울(10)이다. 상기 평면 거울(10)의 뒷면은 은과 같은 금속 물질로 도금되되, 상기 카메라(14)의 렌즈에 대향되는 부분은 촬영을 위해 도금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거울은 상기 평면 거울(10)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소정의 굴곡이 있거나 적어도 일부분이 굴곡되거나 약간의 오목한 형상이나 볼록한 형상인 것도 물론 가능하다. The mirror is a flat mirror 10 whose surface is flat and smooth glass. The rear surface of the planar mirror 10 is plated with a metal material such as silver, and a portion of the camera 14 facing the lens is not plated for photographing.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irror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planar mirror 10, but it is of course possible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at least a part of which is curved, or a slightly concave or convex shape.

상기 평면 거울(10)에는 후술하는 촬영 기준 마크(20)가 미리 표시된다. 상기 촬영 기준 마크(20)는, 인쇄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스티커 등이 부착되어 표시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촬영 기준 마크(20)는 한 개가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개가 표시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촬영 기준 마크(20)는, 상기 사용자의 눈을 맞추기 위한 눈 기준마크와, 상기 사용자의 코를 맞추기 위한 코 기준마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눈, 코 이외에 다른 부분을 매칭하도록 표시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촬영 기준 마크(20)은, 도 11을 참조하면, 다양한 형태의 도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촬영 기준 마크(20)를 나타내는 도형의 형상은 매칭시키고자 하는 사용자의 얼굴의 부분들 형상이나 크기와 유사한 것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 기준 마크(20)를 나타내는 도형은 내부가 색으로 채워지는 것도 가능하고 가장자리만 표시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On the plane mirror 10, a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20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layed in advance. The photographing fiducial mark 20 may be printed or displayed with a sticker or the like attached thereto. One of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s 20 may be displayed, and a plurality of photographing reference marks 20 may be displayed.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20 includes at least one of an eye reference mark for aligning the eyes of the user and a nose reference mark for aligning the nose of the user. Al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of course possible to display other parts other than the eyes and nose of the user. Referring to FIG. 11,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20 can be displayed in various shapes. The shape of the figure indicating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20 can be selected to be similar to the shapes and sizes of the parts of the user's face to be match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igure indicating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20 can be filled in with colors and only the edges are displayed.

상기 하우징(12)은, 상기 평면 거울(10)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사용자가 잡고 들 수 있는 손잡이부(12a)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2)은, 상기 평면 거울(10)의 후방에 상기 카메라(14)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기기(16)가 내장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2)의 내부에는 조명 램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명 램프는 LED 조명 램프를 사용한다.The housing 12 includes a handle 12a that is formed to surround the plane mirror 10 and can be grasped by the user. The housing 12 is formed with a space in which the camera 14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6 can be embedded in the rear of the plane mirror 10. In addition, an illumination lamp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2. The illumination lamp uses an LED illumination lamp.

상기 손잡이부(12a)에는 상기 카메라(14)와 상기 조명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12b)이 구비된다. 상기 버튼(12b)은 한 개가 구비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며, 상기 버튼(12b)의 누름 횟수나 누름 정도에 따라 상기 카메라(14)와 상기 조명 램프의 작동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카메라(14)를 작동하는 버튼과 상기 조명 램프를 작동하는 버튼이 별도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handle 12a is provided with a button 12b for operating at least one of the camera 14 and the illumination lamp. The operation of the camera 14 and the illumination lamp can be controll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button 12b is depressed or depressed, for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button for operating the camera 14 and a button for operating the illumination lamp may be separately provided.

상기 카메라(14)는, 상기 하우징(12)에서 상기 평면 거울(10)의 후방에 구비된다. 상기 카메라(14)는, 상기 평면 거울(10)을 보고 있는 사용자의 정면 얼굴을 촬영한다. The camera 14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plane mirror 10 in the housing 12. The camera 14 photographs the front face of the user looking at the plane mirror 10.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기기(16)는, 상기 하우징(12)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14)가 촬영한 얼굴 영상을 미리 설정된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의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다.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6 is provided in the housing 12 and transmits a fac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4 to a predetermined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can be used as any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of a user.

상기 데이터베이스(미도시)는, 상기 카메라(14)에서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이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카메라(14), 상기 모바일 단말기(미도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앱, 상기 앱과 통신하거나 상기 앱을 제공하는 서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미도시)에 구비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The database (not shown) is a storage unit for storing images photographed by the camera 14. The database may be provided in any one of the camera 14, the mobile terminal (not shown),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a server communicating with the application, or a server providing the application. Hereinaf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atabase is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not shown), for example.

상기 앱은,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얼굴 변화를 비교, 분석해주는 어플리케이션이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스마트 폰이고, 상기 스마트 폰에서 앱 스토어를 통해 상기 앱을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앱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현된다. 또한, 상기 앱은, 상기 사용자의 얼굴 변화를 분석한 후, 얼굴 변화를 미리 설정된 기준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에 필요한 특정 상품을 추천해주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의 얼굴 중에서 눈가에 주름 발생률이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높다면, 눈가의 주름을 개선할 수 있는 화장품을 추천해주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추천 정보는 상기 앱과 통신하거나 상기 앱을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The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fo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ace change by photographing the face of the user. The mobile terminal is a smart phone, and the smart phone can install the app through an application store, and the application is implemented in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he app may analyze a face change of the user, compare the face change with a preset reference, and recommend the specific product necessary for the face of the user. For example, if the incidence of wrinkles in the eyes of the user is higher than a preset reference, it is possible to recommend cosmetics that can improve wrinkles in the eyes. The recommend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application or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from a server providing the application.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얼굴 영상과 상기 카메라(14)에서 촬영한 얼굴 영상을 비교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초기 얼굴 영상과 상기 카메라(14)에서 새로 촬영한 얼굴 영상을 비교하여, 복수회 촬영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얼굴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얼굴 변화는 주름, 모공, 기미, 색소 침착 등의 변화를 포함한다. The control unit (not shown) compares a face image stored in advance in the database with a fac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4. [ The control unit (not shown) may analyze the face change of the user by comparing the initial face image stored in advance in the database with the face image newly photographed by the camera 14. The face change of the user includes changes such as wrinkles, pores, stains, pigmentation, and the like.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하우징(12), 상기 카메라(14)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구비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구비되어 상기 앱을 구현하며, 상기 앱을 이용해 상기 사용자의 얼굴 변화를 비교하고 분석할 수 있다.The controller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any one of the housing 12, the camera 14, and the mobile terminal. Hereinaf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ler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not shown) may be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to implement the application, and may compare and analyze the face change of the user using the application.

상기 하우징(12)에는 거리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리센서(미도시)는, 사용자와 상기 평면 거울(10)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상기 거리센서(미도시)에서 측정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에 들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카메라(13)가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housing 12 may be provided with a distance sensor (not shown). The distance sensor (not shown) is a sensor for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plane mirror 10. When the distance measured by the distance sensor (not shown) fall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the controller 13 may control the camera 13 to shoot the image.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면 거울의 허상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irtual image of a plane mirr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반적으로 평면 거울에서 허상이 생기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빛은 평면 거울의 표면에서 반사하여 사람의 눈으로 들어오는 것이다. 이 때, 반사 광선을 평면 거울 속까지 연장하면, 연장선들이 만나는 한 점에 실물과 같은 크기의 실물에 대한 허상이 생긴다. 사람의 눈은 평면 거울 속의 허상을 보게 되고, 평면 거울 속의 허상에서 나온 빛이 눈에 들어왔다고 느끼게 된다. 이를 평면 거울의 허상 원리라고 한다.Generally, the principle of a virtual image in a plane mirror is as follows. Light reflects from the surface of the plane mirror and enters the human eye. At this time, when the reflected ray is extended into the plane mirror, a virtual image of the same size as the real one is formed at a point where the extension lines meet. The human eye sees the illusion in the plane mirror, and the light from the illusion in the plane mirror comes into the eye. This is called the virtual image principle of a plane mirror.

도 3a는 한 쪽 눈을 가리고 평면 거울에 표시된 촬영 기준 마크을 본 상태를 나타낸다. 3A shows a state in which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displayed on the flat mirror is covered with one eye.

도 3a를 참조하면, 한 쪽 눈을 가리고 상기 평면 거울(10)의 표면에 표시된 1개의 촬영 기준 마크(20)를 보게 되면, 가리지 않은 눈은 상기 촬영 기준 마크(20)를 중심으로 대각선 방향에 상기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20')을 보게 된다. Referring to FIG. 3A, when one eye is covered and on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20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he plane mirror 10 is viewed, unobserved eyes are observed in the diagonal direction about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20 The virtual image 20 'of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is seen.

도 3b를 참조하면, 양 쪽 눈을 가리지 않고 상기 평면 거울(10)의 표면에 표시된 1개의 촬영 기준 마크(20)를 보는 상태를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3B, there is shown a state in which one photographing fiducial mark 20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he plane mirror 10 is seen without selecting the eyes.

도 3b를 참조하면, 1개의 촬영 기준 마크(20)에서 반사된 빛은 사용자의 눈을 통해 뇌에서 인지하지만, 뇌는 빛이 직진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1개의 촬영 기준 마크(20)에서 반사된 빛을 상기 평면 거울(10) 속으로 연장시켜 2개의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20')으로 인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평면 거울(10)의 표면에는 1개의 상기 촬영 기준 마크(20)만 있지만, 사용자에게는 상기 평면 거울(10) 속에서 2개의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20')으로 보이게 된다. 이것은, 사람의 뇌가 상기 평면 거울(10)의 표면에 표시된 1개의 촬영 기준 마크에서 반사된 빛을 뇌에서 인지한 후, 상기 평면 거울(10) 속에 비쳐지는 자신의 얼굴에 눈의 시점을 맞출 경우 사람의 뇌는 빛이 직진한다고 생각하여 시점의 연장선상에서 빛이 눈에 들어왔다고 느끼게 되므로 상기 평면 거울(10)속에 상기 촬영 기준 마크이 있다고 착각하게 되는 원리이다. Referring to FIG. 3B, the light reflected by on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20 is recognized by the brain through the user's eyes, but the brain thinks that the light is going straight, so that light reflected from on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20 Extends into the plane mirror 10 and is perceived as a virtual image 20 'of two photographing reference marks. Therefore, only one of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s 20 is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plane mirror 10, but the user is seen as a virtual image 20 'of two photographing reference marks in the plane mirror 10. This is because the human's brain perceives in the brain light reflected at one shooting reference mark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he plane mirror 10 and then focuses the viewpoint of the eye on his face reflected in the plane mirror 10 The human's brain thinks that the light is going straight, and the light is felt on the extension line of the viewpoint, so that it is mistaken for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to be in the plane mirror 10.

도 3c는 평면 거울에 2개의 촬영 기준 마크를 표시한 상태를 나타낸다.3C shows a state in which two shooting reference marks are displayed on the plane mirror.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평면 거울(10)에 2개의 촬영 기준 마크(A1,A2)를 표시하면, 사용자의 한 쪽 눈에서 2개의 허상(B1,B2)이 보이고 다른 쪽 눈에서 2개의 허상(B2,B3)이 보이게 되고, 양쪽 눈에서 동시에 보이는 허상(B2)은 동일한 것이므로, 총 3개의 허상(B1,B2,B3)이 보이게 된다. Referring to FIG. 3C, when two shooting reference marks A1 and A2 are displayed on the plane mirror 10, two virtual images B1 and B2 are seen from one eye of the user and two virtual images (B2, B3) are visible. Since the virtual image B2 seen at both eyes is the same, a total of three virtual images B1, B2, B3 are visible.

도 3d는 도 3c에 표시된 촬영 기준 마크간 거리를 달리하여 표시한 상태를 나타낸다.FIG. 3D shows a state in which the distances between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s shown in FIG. 3C are different.

즉, 도 3d에서는 2개의 촬영 기준 마크(A1,A2) 사이의 거리를 상기 도 3c의 2개의 촬영 기준 마크(A1,A2) 사이의 거리보다 멀게 표시하였다. 따라서 상기 평면 거울(10)속에는 총 4개의 허상(B1,B2,B3,B4)이 나타난다. That is, in FIG. 3D, the distances between the two photographing reference marks A1 and A2 are shown to be longer than the distances between the two photographing reference marks A1 and A2 in FIG. 3C. Therefore, a total of four virtual images B1, B2, B3 and B4 appear in the plane mirror 10.

따라서, 상기 평면 거울(10)에 표시된 촬영 기준 마크들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면, 상기 평면 거울(10) 속에 나타나는 허상들의 개수와 허상들의 (B2,B3)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ly,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s displayed on the plane mirror 10, the number of virtual images and the distances between virtual images B2 and B3 in the plane mirror 10 can be adjusted.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면 거울과 얼굴의 정면이 평행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면 거울과 얼굴의 정면이 평행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ront face of a face is parallel to a plane mirr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face of the face mirror is parallel to the plane mirr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사용자의 얼굴 중에서 코를 상기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에 맞추는 것을 나타내고, 도 5는 사용자의 얼굴 중에서 눈을 상기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에 맞추는 것을 나타낸다.Fig. 4 shows that the nose of the user's face is adjusted to the virtual image of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and Fig. 5 shows the photographing of the user's face to the virtual image of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얼굴 중에서 미리 정해진 부분을 상기 평면 거울(10)속에 나타나는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에 매칭시키면, 상기 카메라(14)가 얼굴의 정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카메라(14)를 이용하여 항상 정면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다.
4 and 5, when the user matches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ace to the virtual image of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appearing in the plane mirror 10, the camera 14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ront face of the face, The front face can always be photographed by using the camera 14. [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면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얼굴 촬영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showing a face photographing method using a virtual image principle of a plane mirr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면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얼굴 촬영 방법은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S. 2 and 6, a face photographing method using a virtual image principle of a plane mirr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촬영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상기 평면 거울(10)을 응시하고 상기 평면 거울(10)과 상기 사용자의 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평면 거울(10) 속에 육안으로 나타나는 상기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들(20')을 확인한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평면 거울(10)에 표시된 촬영 기준 마크(20)에 의해 상기 평면 거울(10)속에 나타나는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들(20')에 자신의 얼굴 중 미리 설정된 부분의 위치를 맞추는 매칭단계를 수행한다.(S1) First, the user who wishes to take a picture stares the plane mirror 10 and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 plane mirror 10 and the eye of the user, Identify the virtual images 20 '. The user can adjust the position of a predetermined part of his / her face to the virtual images 20 'of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appearing in the plane mirror 10 by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20 displayed on the plane mirror 10 The matching step is performed. (S1)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평면 거울(10)의 표면에는 1개의 촬영 기준 마크(20)가 표시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촬영 기준 마크(20)는, 사용자의 눈을 매칭시키기 위한 눈 기준마크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2c와 같이, 상기 평면 거울(10)의 표면에는 복수의 촬영 기준 마크들(20)이 표시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의 얼굴 중에서 눈 이외에 코, 귀 등 다른 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매칭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2A, one reference mark 20 is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he plane mirror 10, for example. 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20 is an eye reference mark for matching the user's eyes, for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s shown in FIG. 2C, it is of course possible to display a plurality of photographing reference marks 20 on the surface of the plane mirror 10.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match at least one or more other parts of the user's face, such as nose, ears and the like.

도 2b는 사용자에게 상기 평면 거울(10)을 통해 보여지는 모습을 나타낸다. FIG. 2B shows a view through the plane mirror 10 to the user.

도 2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평면 거울(10)속에 비춰지는 자신의 얼굴을 보면서 2개의 상기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20')을 인지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상기 평면 거울(10)에 소정의 거리만큼 근접해야 상기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20')을 인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B, the user can recognize the virtual image 20 'of the two photographing reference marks while looking at his / her face reflected in the plane mirror 10. At this time, the user must recognize the virtual image 20 'of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lane mirror 10.

사용자는 상기 2개의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20')에 자신의 두 눈의 위치를 맞출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두 눈 사이의 간격은 세월이나 다른 원인 등에 의한 변화가 거의 없으므로, 2개의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20')에 두 눈의 위치를 맞추게 되면, 항상 일정한 포즈나 위치에서 촬영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두 눈을 상기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20')에 매칭시키면, 상기 카메라(14)가 얼굴의 정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카메라(14)를 이용하여 항상 정면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다. The user can align the position of his or her two eyes with the virtual image 20 'of the two photographing reference marks. Generally, since the interval between two eyes of a person is almost unchanged due to years or other reasons, if the two eyes are positioned on the virtual image 20 'of the two photographing reference marks, the photographing is always performed at a certain pose or position . If the user's two eyes are matched to the virtual image 20 'of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the camera 14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ront face of the face. Therefore, You can shoot.

상기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20')에 상기 사용자의 두 눈을 매칭시키고 나면, 상기 평면 거울(10)의 후방에서 상기 카메라(14)가 상기 사용자의 얼굴의 정면을 촬영하는 촬영단계가 수행된다. (S2)After the user's two eyes are matched to the virtual image 20 'of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a photographing step is performed in which the camera 14 photographs the front face of the user's face behind the plane mirror 10 . (S2)

상기 촬영시, 상기 사용자는 상기 버튼(12b)을 작동시켜 상기 카메라(14)를 작동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20')과 상기 사용자의 눈의 위치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자동으로 촬영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12b)을 작동시키거나 상기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20')과 상기 사용자의 눈의 위치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 이후에 촬영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상기 거리센서(미도시)가 상기 사용자와 상기 평면 거울(10)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사용자와 상기 평면 거울(10)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설정 거리 범위내에 들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카메라(14)가 촬영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조명 램프의 작동도 제어한다.  The user can operate the camera 14 by activating the button 12b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virtual image 20 'of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and the position of the user's eye is set in a predetermined rang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photographing is performed automatically. Also, if the user operates the button 12b or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virtual image 20 'of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and the position of the user's eye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t is of course possible to be performed. Also, when the distance sensor (not shown)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plane mirror 1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plane mirror 10 is within a predetermined set distance range, (Not shown) can control the camera 14 to perform shooting. The control unit (not shown) also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illumination lamp.

따라서, 상기 조명 램프와 상기 거리센서(미도시)를 이용하게 되면, 동일한 조명 상태와 동일한 거리 조건에서 동일한 위치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illumination lamp and the distance sensor (not shown) are used, the face at the same position can be photographed under the same illumination condition and the same distance condition.

상기 촬영단계 이후,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기기(16)는 촬영된 얼굴 영상을 미리 설정된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한다. (S3)After the photographing step,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6 transmits the photographed face image to the user's mobile terminal set in advance. (S3)

상기 촬영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단계에서 촬영한 얼굴 영상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초기 얼굴 영상을 비교한다.(S4) After the photographing step, the user or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face image photographed in the photographing step with the initial face image of the user stored in advance in the database (S4)

상기 사용자의 초기 얼굴 영상은, 최초 사용시 상기 사용자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촬영하여 저장된 영상이다. The user's initial face image is an image captured and stored by the user in the same manner as the user at the time of initial us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앱에 내장된 영상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촬영단계에서 촬영한 얼굴 영상과 상기 초기 얼굴 영상을 비교 분석한다.The controller compares and analyzes the face image photographed in the photographing step and the initial face image through an image analysis program embedded in the app.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얼굴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가의 화장품의 사용 전,후를 비교하거나, 시간 경과에 따른 얼굴의 주름, 모공, 기미, 여드름, 색소침착, 피부의 노화, 피지 상태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ace change of the user can be confirmed. For example, you can compare before and after use of expensive cosmetics, or check for changes in wrinkles, pores, stains, acne, pigmentation, skin aging, and sebaceous status of the face over tim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단계에서 촬영한 얼굴 영상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초기 얼굴 영상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가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Also, the controller may display the facial image photographed in the photographing step and the initial facial image of the user stored in advance in the database through th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the facial imag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 변화를 상기 영상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수치나 그래프 등의 데이터로 표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user's face change with data such as a numerical value or a graph through the image analysis program.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단계에서 판단한 상기 사용자의 얼굴 변화를 미리 설정된 기준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 변화를 개선할 수 있는 특정 상품을 상기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compare a face change of the user determined in the comparing step with a preset reference, and recommend a specific product, which can improve the user's face change, to the user through the application.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의 얼굴 중에서 눈가에 주름 발생률이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높으면, 눈가의 주름을 개선할 수 있는 화장품을 추천해주거나, 사용자의 얼굴의 색소 침착 변화가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높으면, 화이트닝 제품을 추천해주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추천은 상기 앱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따라서 화장품 등의 상품 광고 서비스에 활용이 가능하다. For example, if the rate of occurrence of wrinkles in the eyes of the user is higher than a preset reference, a cosmetic that can improve the wrinkles of the eyes is recommended, or if the change in pigmentation of the user's face is higher than a preset reference, It is possible to recommend. The recommendation may be displayed to the user at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application. Therefore, it can be used for product advertising services such as cosmetics.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 변화를 미리 설정된 기준과 비교하여, 얼굴 변화에 따른 이상 현상을 판단하여 병원 치료나 개선 방법을 추천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controller may compare the face change of the user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to determine an abnormal phenomenon according to a face change to recommend a hospital treatment or an improvement method.

또한, 상기 제어부는, 화장품의 사용 전,후 상기 사용자의 얼굴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화장품의 효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compares and analyzes the face change of the user before and after use of the cosmetic,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efficacy of the cosmetic.

상기와 같은 얼굴 촬영 방법은, 항상 동일한 조건, 포즈,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보다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얼굴 변화를 보다 쉽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The face photograph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can more accurately photograph the face of the user at the same condition, pose, and position all the time, so that the face change of the user can be more easily and accurately confirmed.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평면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얼굴 촬영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얼굴 촬영 시스템의 배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a face photographing system using a virtual image principle of a plane mirr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back side of the face photographing system shown in Fig.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얼굴 촬영 시스템은, 평면 거울(50)을 모바일 단말기(60)에 착탈가능토록 결합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60)에 설치된 카메라와 조명 램프를 이용하는 것이 상기 제1실시예와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유사하므로, 유사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7 and 8, a facial photographing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ce mirror 50,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obile terminal 60, And the illumination lamp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re similar, so a description of the similar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and different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평면 거울(50)의 후방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60)에 착탈가능토록 끼워져 결합되는 클립(54)이 형성된다. 상기 클립(54)은, 상기 평면 거울(50)을 둘러싼 하우징(52)의 후방에 설치된다. A clip 54,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obile terminal 60,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plane mirror 50. The clip 54 is mounted behind the housing 52 surrounding the plane mirror 50.

상기 평면 거울(5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60)에 구비된 카메라(62)와 조명 램프(64)의 전방에 배치되게 끼워진다. The plane mirror 50 is fitted in front of the camera 62 and the illumination lamp 64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60.

상기 평면 거울(50)에는 3개의 촬영 기준 마크(20)가 미리 표시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평면 거울(50)에서는 상기 카메라(62)의 렌즈에 대향되는 부분은 상기 카메라(62)의 촬영을 방해하지 않도록 도금되지 않는다. In the plane mirror 50, for example, three shooting reference marks 20 are displayed in advance. In the plane mirror 50, a portion of the camera 62 opposed to the lens is not plat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hooting of the camera 62.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얼굴 촬영 시스템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원리를 이용하여 촬영하되,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60)에 구비된 카메라(62)와 조명 램프(64)를 이용할 수 있다. The face photographing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hotographed using the same principle as in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camera 62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60 of the user, (64) can be used.

상기 평면 거울(5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60)에 끼워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얼굴 변화를 비교, 분석해주는 앱이나 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기라면 어느 것에나 사용이 가능하다.
Since the plane mirror 50 can be fitted to the mobile terminal 60, the plane mirror 50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simple to carry and easy to us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terminal equipped with an app or a program for comparing and analyzing a face change of a user's face.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평면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홍채 인식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평면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ris recognition system using a virtual image principle of a plane mirr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ris recognition method using a virtual image principle of a plane mirr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홍채 인식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100)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의 화면에 부착된 평면 거울(110)을 포함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와 상기 평면 거울(110)의 허상 원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상기 사용자의 홍채를 인식하는 것이 상기 제1실시예와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유사하므로 유사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9, the iris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terminal 100 and a plane mirror 110 attached to a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face of the user is photographed using the virtual image principle of the plane mirror 110 and the iris of the user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remaining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are similar to each othe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different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스마트 폰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나 사용자 확인이 필요한 단말기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하다.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a smart phone of a us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는 화면과 동일한 면에 배치된 홍채 인식 카메라(Iris camera)(101)와 조명 램프(102)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 램프(102)는 사람의 홍채 인식을 위해 적외선 램프(Iris lamp)가 사용된다.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n iris recognition camera (Iris camera) 101 and an illumination lamp 102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screen. An infrared lamp (Iris lamp) is used for the iris recognition of the human being.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 기준 마크가 표시되고 사용자의 얼굴이 비춰지는 대상물이 모바일 단말기에 해당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의 화면에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비춰지도록 상기 평면 거울(110)이 구비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object on which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is displayed and the face of the user is illuminated corresponds to the mobile terminal. The plane mirror 110 is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so that the face of the user is illuminated.

상기 평면 거울(11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110)의 화면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평면 거울(11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의 화면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화면에 부착하는 미러 효과를 내는 보호 필름인 것도 가능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의 화면에 장착된 미러 글래스인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평면 거울(110)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비춰지는 거울이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또한, 소정의 굴곡을 가지거나 적어도 일부분이 굴곡지는 형상도 물론 가능하다. The plane mirror 11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or may be attached to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10. In other words, the plane mirror 110 may be a protective film that gives a mirror effect to be attached to the screen to protect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mirror glass 110 mount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t is also possib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ane mirror 110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any mirror can be used as long as the user's face is mirrored. It is also possible of course that a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or at least a part of curvature is also possible.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에는 앱이나 프로그램이 미리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에는 상기 홍채 인식 앱이 설치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홍채 인식 앱은, 촬영시 미리 설정된 촬영 기준 마크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해주고,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며,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홍채 정보를 추출하고, 미리 저장된 홍채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를 일치 여부를 확인해 주는 어플리케이션이다. An application or a program is installed in advance in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ris recognition app is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iris recognition app displays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set in advance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photographs the user's face, extracts the iris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photographed image, And it is an application that confirms whether or not the user is matched.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의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앱의 실행, 상기 홍채 인식 카메라(101)와 상기 조명 램프(102)의 작동 제어, 상기 앱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홍채 정보들을 비교, 분석한다. The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mobile terminal 1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iris recognition camera 101 and the illumination lamp 102, and compares and analyzes iris informa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do.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에는 상기 홍채 인식 카메라(101)가 촬영한 영상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가 구비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에 설치된 앱과 통신하거나 상기 앱을 제공하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The mobile terminal 100 is provided with a database (not shown) for storing images taken by the iris recognition camera 10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database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a server communicating with an app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or a server providing the app.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평면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2 is a flowchart showing an iris recognition method using a virtual image principle of a plane mirr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평면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얼굴 촬영 방법은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12, a face photographing method using a virtual image principle of a plane mirr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사용자가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100)의 잠금 화면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에 구비된 복수의 버튼들(103)(104) 중에서 미리 설정된 버튼을 누르면 상기 홍채 인식 앱이 실행되는 준비단계가 수행된다.(S11) First, when a user presses a predetermined button among a plurality of buttons 103 (104)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in a locked screen state of his or her mobile terminal 100, Is performed. (S11)

상기 복수의 버튼들(103)(104)은, 홈 버튼(103)이나 종료 버튼(104) 등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버튼들(103)(104)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홍채 인식 앱을 실행시키기 위한 버튼으로 미리 설정된다. The plurality of buttons 103 and 104 may include a home button 103 or an end button 104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uttons 103 and 104 may execute the iris recognition app As shown in Fig.

상기 준비단계에서는, 상기 홍채 인식 앱이 실행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의 제어부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에 설치된 적외선 램프와 홍채 인식 카메라가 활성화되고, 상기 화면에 촬영 기준 마크(120)를 표시한다. In the preparation step, when the iris recognition application is executed, the controll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tivates the infrared lamp and the iris recognition camera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displays a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120 on the screen Display.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버튼들(103)(104) 중에서 미리 설정된 버튼을 누르면 상기 홍채 인식 앱이 실행되어 상기 화면에 촬영 기준 마크(120)가 표시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복수의 버튼들(103)(104) 중에서 미리 설정된 버튼을 누르면 상기 화면에 상기 촬영 기준 마크(120)와 함께 비밀번호 입력 화면이나 비밀패턴 입력 화면이 표시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의 화면 상부에는 상기 촬영 기준 마크(120)가 표시되고, 화면 하부에는 비밀번호 입력 화면이나 비밀패턴 입력 화면이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화면에 상기 촬영 기준 마크(120)와 지문 입력 화면이 함께 표시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ris recognition app is executed when a predetermined button among the plurality of buttons 103 and 104 is pressed and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120 is displayed on the screen, It is also possible that a password input screen or a secret pattern input screen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120 on the screen when a button set in the plurality of buttons 103 and 104 is pressed. For example,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120 may be display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password input screen or a secret pattern input screen may be displayed below the screen.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120 and the fingerprint input screen are displayed together on the screen.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의 화면에 상기 촬영 기준 마크(120)가 표시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촬영 기준 마크(120)는 다양한 형태 및 색상의 도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 기준 마크(120)는 숫자나 문자 등으로 표시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촬영 기준 마크(120)로 표시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촬영 기준 마크들을 표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1개의 촬영 기준 마크(120)는 사용자의 눈을 맞추기 위한 눈 기준마크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0B,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120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Referring to FIG. 11,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120 may have various shapes and colors. Also,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120 may be displayed in numbers or letters.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of course possible to display a plurality of photographed reference marks without limitation, for example, by being represented by one photographed reference mark 120. Also,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ne photographing fiducial mark 120 is an eye fiducial mark for aligning the user's eyes, for example.

도 10c를 참조하면, 상기 촬영 기준 마크(120)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의 화면에 비춰지는 자신의 얼굴을 보면서 자신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의 화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평면 거울(110)속에 나타나는 2개의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120')을 인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C, when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120 is displayed, the user can adjust the distance between himself and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while viewing his or her fac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reby recognizing the virtual image 120 'of the two photographing reference marks appearing in the plane mirror 110.

사용자는 상기 2개의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120')에 자신의 두 눈의 위치를 맞추어 매칭시키는 매칭단계를 수행한다.(S12) 2개의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120')에 두 눈의 위치를 맞추게 되면, 항상 일정한 포즈나 위치에서 촬영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두 눈을 상기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120')에 매칭시키면, 상기 홍채 인식 카메라(101)가 얼굴의 정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항상 정면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다. The user performs a matching step of matching the positions of the two eyes of the user with the virtual images 120 'of the two shooting reference marks (S12). It is possible to always take a picture in a certain pose or position. Further, if the user's two eyes are matched to the virtual image 120 'of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the iris recognition camera 101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ront face of the face, so that the front face can always be photographed.

이 때, 사용자는 상기 평면 거울(110)에 비춰지는 자신의 모습을 그대로 보면서 촬영하기 때문에, 종래의 홍채 인식을 위한 촬영시 나타나는 흑백 영상에 대한 거부감이 해소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user takes a picture of himself / herself as viewed on the plane mirror 110 as it is, the sense of rejection of the monochrome image appearing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for the conventional iris recognition can be solved.

상기와 같이 상기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120')에 상기 사용자의 두 눈을 매칭시키고 나면, 상기 홍채 인식 카메라(101)가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촬영 단계를 수행한다.(S13) After matching the two eyes of the user to the virtual image 120 'of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as described above, the iris recognition camera 101 performs photographing of photographing the face of the user (S13)

이 때, 상기 홍채 인식 카메라(101)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 전체를 촬영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사용자의 얼굴 중에서 눈 또는 눈동자만을 촬영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iris recognition camera 101 can capture the entire face of the user, and it is also possible to photograph only the eyes or the pupil of the face of the user.

또한, 상기 촬영단계에서는, 상기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120')과 상기 사용자의 눈의 위치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자동으로 촬영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의 버튼을 작동시켜 촬영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가 상기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120')과 상기 사용자의 눈의 위치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 이후에 촬영이 자동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의 화면과 상기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이내이면, 촬영이 자동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의 화면과 상기 사용자 사이의 거리는 거리 센서(미도시)에 의해 감지된다. In addition, in the photographing step,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virtual image 120 'of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and the position of the user's eye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photographing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also possible to photograph a user by operating a butt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detects the virtual image 120 ' It is of course possible to control the photographing to be automatically performed after a predetermined set time if the difference is within a preset range.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photographing to be automatically performe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user is within a preset distance range. The distance betwee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user is detected by a distance sensor (not shown).

상기 촬영이 완료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의 제어부는, 상기 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얼굴 영상에서 홍채 영역을 추출하고 홍채 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홍채 정보와 비교하는 비교단계를 수행한다.(S14) 상기 홍채 정보는 디지털 정보로 변환되어 암호화된다. When the photographing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of the mobile terminal 100 extracts the iris region from the face image photographed in the photographing step, analyzes the iris information, and compares the iris information with the iris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S14) The iris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digital information and encrypted.

상기 비교단계에서 상기 촬영을 통해 구한 홍채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홍채 정보의 비교는 상기 앱을 통해 이루어진다.The comparison between the iris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photographing in the comparison step and the iris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is performed through the application.

상기 비교단계에서 상기 촬영을 통해 구한 홍채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홍채 정보가 일치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의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의 잠금을 해제한다.(S15)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ris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photographing matches the iris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in the comparison step, the controll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releases the lock of the mobile terminal 100 (S15)

한편, 도 10d를 참조하면, 상기 비교단계에서 상기 촬영을 통해 구한 홍채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홍채 정보가 일치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의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의 잠금 화면을 다시 나타내거나 비밀번호나 비밀패턴 입력 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10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ris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photographing and the iris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do not match in the comparison step, the controll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determines whether the iris information You can display the lock screen again or display the password or secret pattern input screen.

또한, 상기와 같은 얼굴 촬영을 원치 않을 경우,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의 화면을 클릭하거나 손가락으로 좌 또는 우 방향으로 밀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의 잠금 화면, 비밀번호 입력 화면, 비밀패턴 입력 화면이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user does not want to take the face, the user may click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or push the screen to the left or right using a finger to input a lock screen, a password input screen, a secret pattern input Screen can be display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홍채 인식 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평면 거울(110)에 비춰진 자신의 모습을 그대로 보면서 촬영하기 때문에, 종래의 홍채 인식을 위한 촬영시 나타나는 흑백 영상 등에 대한 거부감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면 거울(110)에 나타나는 상기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120')에 사용자의 눈의 위치를 맞추어 매칭시킴으로써, 매번 촬영시마다 일정한 자세와 위치에서 촬영이 가능하여, 영상의 비교시 오류가 최소화될 수 있다.
In the iris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user takes a picture of himself or herself shining on the plane mirror 110 as it is, The sense of rejection can be resolved. In addition, by matching the position of the user's eye with the virtual image 120 'of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appearing in the plane mirror 110, the photographing can be performed at a constant attitude and position every time of photographing, Can be minimiz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110: 평면 거울 14: 카메라
16: 근거리 무선통신기기 20,120: 촬영 기준 마크
20',120':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 100: 모바일 단말기
101: 홍채 인식 카메라 102: 적외선 램프
10,110: plane mirror 14: camera
16: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120: Marking standard
20 ', 120': a virtual image 100 of a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100:
101: iris recognition camera 102: infrared lamp

Claims (23)

촬영 기준 마크가 표시되며, 얼굴이 비춰 보이는 대상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대상물과 상기 사용자의 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대상물에 육안으로 나타나는 상기 촬영 기준 마크의 두 개의 허상들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두 개의 허상들의 위치를 상기 사용자의 얼굴의 특정 위치들에 각각 맞추는 매칭단계를 포함하는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얼굴의 위치 결정 방법.
Preparing an object on which a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is displayed and in which a face is seen to be illuminated;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the object and the user's eyes to identify two virtual images of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appearing on the object by the user; And
And matching the positions of the two virtual images to specific positions of the user's face, respectively.
사용자는 거울에 표시된 촬영 기준 마크에 의해 상기 거울 속에 나타나는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에 자신의 얼굴 중에서 미리 설정된 부분의 위치를 맞추는 매칭단계와;
상기 거울의 후방에 위치한 카메라가 상기 얼굴을 촬영하는 촬영단계와;
상기 사용자나 제어부가 상기 촬영단계에서 촬영한 얼굴 영상과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얼굴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 변화를 판단하는 비교단계를 포함하는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얼굴 촬영 방법.
A matching step of matching a position of a predetermined portion among the faces of the user to a virtual image of a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appearing in the mirror by a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displayed on a mirror;
A photographing step of photographing the face by a camera positioned behind the mirror;
And a comparison step of comparing the face image photographed by the user or the control unit in the photographing step with a face image of a user stored in advance in the database to determine a change in the face of the us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거울은 평면 거울이고,
상기 촬영 기준 마크는, 상기 평면 거울에 미리 표시된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얼굴 촬영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mirror is a flat mirror,
Wherein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is a virtual image of a mirror displayed in advance on the plane mirro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촬영 기준 마크는 한 개이고, 상기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은 두 개이며,
상기 매칭단계에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2개의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들에 상기 사용자의 눈을 맞추는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얼굴 촬영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hooting reference mark is one, the shooting reference mark has two virtual images,
Wherein the user uses the virtual image principle of the mirror to match the user's eyes to the virtual images of the two photographing reference marks in the matching step.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촬영 기준 마크는, 상기 사용자의 눈을 맞추기 위한 눈 기준마크와, 상기 사용자의 코를 맞추기 위한 코 기준마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얼굴 촬영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includes at least one of an eye reference mark for aligning the eyes of the user and a nose reference mark for aligning the nose of the us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촬영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거울 주변에 설치된 버튼을 작동시키면 수행되는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얼굴 촬영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hotographing step is performed when the user operates a button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mirro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촬영단계는,
상기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과 상기 사용자의 눈의 위치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자동으로 촬영이 수행되는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얼굴 촬영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photographing step,
Wherein the photographing is performed automatically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virtual image of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and the position of the user's eye is within a preset rang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촬영단계 이후, 상기 촬영한 얼굴 영상은 상기 거울과 상기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통신기기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하는 통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얼굴 촬영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And a communication step of, after the photographing step, transmitting the photographed face image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mirror and the camera.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카메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앱과 통신하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얼굴 촬영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atabase includes at least one of a camera, a mobile terminal, and a server communicating wit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앱, 상기 앱과 통신하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얼굴 촬영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rises at least one of a camera,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a mobile terminal, and a server communicating with the applicatio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단계에서 판단한 상기 사용자의 얼굴 변화를 미리 설정된 기준과 비교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앱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얼굴 변화를 개선할 수 있는 상품을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얼굴 촬영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face change of the user determined in the comparing step with a preset reference,
And recommending a product that can improve the face change of the user through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to the user.
사용자가 거울이 화면에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에 미리 설치된 홍채 인식 앱을 실행시키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적외선 램프와 홍채 인식 카메라가 활성화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화면에 촬영 기준 마크를 표시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거울을 보고 상기 화면 속에 나타나는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에 상기 사용자의 눈의 위치를 맞추는 매칭단계와;
상기 홍채 인식 카메라가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촬영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촬영단계에서 촬영한 얼굴 영상에서 추출한 홍채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홍채 정보와 비교하는 비교단계를 포함하는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
The infrared lamp and the iris recognition camera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are activated when the user executes the iris recognition application installed in advance in the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mirror and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on the screen ;
A matching step of matching the position of the eye of the user to a virtual image of a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appearing in the screen when the user views the mirror;
An imaging step of the iris recognition camera photographing the face of the user;
And comparing the iris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face image photographed by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iris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준비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잠금 화면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구비된 복수의 버튼들 중에서 미리 설정된 버튼을 눌러서 상기 홍채 인식 앱을 실행시키는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In the preparation step,
Wherein the user operates the iris recognition app by pressing a predetermined button among a plurality of buttons provided on the mobile terminal in a lock scree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비교단계에서 상기 촬영을 통해 얻은 홍채 정보와 상기 저장된 홍채 정보가 일치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잠금을 해제하는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ris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photographing and the stored iris information match,
Wherein the controller of the mobile terminal uses the virtual image principle of the mirror to unlock the mobile terminal.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거울은 평면 거울이고,
상기 촬영 기준 마크는 한 개이고, 상기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은 두 개이며,
상기 매칭단계에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2개의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들에 상기 사용자의 눈을 각각 맞추는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mirror is a flat mirror,
Wherein the shooting reference mark is one, the shooting reference mark has two virtual images,
Wherein the user uses the virtual image principle of the mirror to match the eyes of the user to the virtual images of the two photographing reference marks in the matching step.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촬영단계는,
상기 거울과 상기 사용자의 거리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자동으로 촬영이 수행되는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In the photographing step,
Wherein the image is automatically photographe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stance from the mirror and the user is within a preset rang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촬영단계는,
상기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과 상기 사용자의 눈의 위치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자동으로 촬영이 수행되는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In the photographing step,
Wherein the photographing is performed automatically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virtual image of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and the position of the user's eye is within a preset rang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앱과 통신하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database includes at least one of a mobile terminal and a server communicating with an app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표면에 촬영 기준 마크가 표시되고, 상기 쵤영 기준 마크를 2개의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들로 나타내는 거울과;
상기 촬영 기준 마크의 허상에 맞춰진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얼굴 영상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얼굴 영상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얼굴 영상을 비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얼굴 촬영 시스템.
A mirror on which a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is displayed on a surface and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is represented by virtual images of two photographing reference marks;
A camera for photographing a user's face fitted to a virtual image of the photographing reference mark;
A database for storing face images taken by the camera;
And a controller for comparing the facial image stored in advance in the database with the facial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모바일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이고,
상기 거울은 상기 카메라의 전방에 배치되는 평면 거울을 포함하는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얼굴 촬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9,
The camera is a camera built in a mobile terminal,
Wherein the mirror comprises a planar mirror disposed in front of the camera.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거울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클립을 더 포함하는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얼굴 촬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0,
And a clip coupled to the rear of the mirror and adapted to fit into the mobile terminal.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얼굴 영상을 미리 설정된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통신기기를 더 포함하는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얼굴 촬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9,
And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a face image taken by the camera to a predetermined mobile terminal.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거울은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부착된 것이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내장된 홍채 인식 카메라이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내장된 적외선 램프를 더 포함하는 거울의 허상 원리를 이용한 얼굴 촬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9,
The mirror is attached to a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Wherein the camera is an iris recognition camera built in the mobile terminal,
A facial photographing system using a virtual image principle of a mirror further including an infrared lamp built in the mobile terminal.
KR1020160106161A 2016-08-22 2016-08-22 Face positioning method, face photographing method, Iris recognizing method using virtual image of plane mirror, and face photographing system KR2018002150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161A KR20180021507A (en) 2016-08-22 2016-08-22 Face positioning method, face photographing method, Iris recognizing method using virtual image of plane mirror, and face photograph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161A KR20180021507A (en) 2016-08-22 2016-08-22 Face positioning method, face photographing method, Iris recognizing method using virtual image of plane mirror, and face photograph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507A true KR20180021507A (en) 2018-03-05

Family

ID=61726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161A KR20180021507A (en) 2016-08-22 2016-08-22 Face positioning method, face photographing method, Iris recognizing method using virtual image of plane mirror, and face photograph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150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94964A (en) * 2019-10-22 2020-02-14 深圳追一科技有限公司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for virtual robot,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94964A (en) * 2019-10-22 2020-02-14 深圳追一科技有限公司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for virtual robot,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4315B2 (en) Authentication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and use based on heartbeat shape
KR102538405B1 (en) Biometric authentication system, biometric authentication method and program
US9224057B2 (en) Biometric identification
US1061730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6849200B2 (en) Non-contact multi-biometric recognition method and multi-biometric recognition device using multi-biometric data
KR101645084B1 (en) Hand attached -type wearable device for iris recognition in outdoors and/or indoors
JP5169257B2 (en) Automatic transaction apparatus and automatic transaction system
KR101939696B1 (en) Multi-midal access control system Operating in user's unconciousness state
EP2953057A1 (en) Iris recognition terminal and method
JP2007135149A (en) Mobile portable terminal
CN204791017U (en) Mobile terminal users authentication device based on many biological characteristics mode
JP2017151556A (en) Electronic device, authentication method, and authentication program
KR101640014B1 (en) Iris recognition apparatus for detecting false face image
KR101231068B1 (en) An apparatus for collecting biometrics and a method thereof
CN103678971B (en) User information extracting method and user information extraction element
US10819894B2 (en) Human machine interfac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guidance and instruction for iris recognition on mobile terminal
KR20150139183A (en) Wrist-type wearable device for vein recognition
CN103631503B (en) Information interacting method and information interactive device
CN114387629A (en) Biometric authentication device and biometric authentication method
JP5796523B2 (en) Biological information acquisition apparatus, biological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nd biological information acquisition control program
KR20180021507A (en) Face positioning method, face photographing method, Iris recognizing method using virtual image of plane mirror, and face photographing system
JP6793363B2 (en) Personal authentication method and personal authentication system
JP7428675B2 (en) Biometric authentication system, authentication terminal, and authentication method
JP2001215109A (en) Iris image input apparatus
TWI827155B (en) Unlocking methods using augmented re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