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556A - The Method For Dictation Using Electronic Pen - Google Patents

The Method For Dictation Using Electronic P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7556A
KR20180017556A KR1020160101571A KR20160101571A KR20180017556A KR 20180017556 A KR20180017556 A KR 20180017556A KR 1020160101571 A KR1020160101571 A KR 1020160101571A KR 20160101571 A KR20160101571 A KR 20160101571A KR 20180017556 A KR20180017556 A KR 20180017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ctation
electronic pen
code
learner
pr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5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철회
Original Assignee
김철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회 filed Critical 김철회
Priority to KR1020160101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7556A/en
Publication of KR20180017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55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2Combinations of audio and printed presentations, e.g. magnetically striped cards, talking books, magnetic tapes with printed texts there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llowing a learner to take dictation by himself/herself without a questioner using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questioner or a learner can record and store a voice in a storage area. The learner can listen questions by recognizing a play area using an electronic pen or repeatedly listen the questions, can receive hints with respect to correct answers by recognizing a hint area using the electronic pen and can take dictation by writing the correct answers on a dictation area or storing the same.

Description

전자펜을 이용한 받아쓰기 방법{The Method For Dictation Using Electronic Pen}[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ctation method using an electronic pen,

본 발명은 전자펜을 이용한 받아쓰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펜을 이용하여 학습자가 문제 출제자 없이 스스로 받아쓰기 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ctation method using an electronic pe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by which a learner can dictate himself / herself without using a questioner using an electronic pen.

인쇄매체에 인쇄된 표식을 인식하고 표식과 관련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들이 있다.There are devices that recognize markers printed on a print medium and output data related to markers.

바코드 리더가 이러한 대표적인 장치로서, 바코드 리더는 인쇄매체에 인쇄된 바코드들을 읽어들인 후 해당 바코드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출력한다.A bar code reader reads such bar codes printed on a printing medium, and then outputs data corresponding to the bar code to a display device or the like.

최근에는 책과 같은 인쇄매체에 인쇄된 특정 코드를 인식하고 이러한 코드에 대응되는 음성을 출력하는 전자펜이 다수 개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many electronic pens have been developed that recognize specific codes printed on a print medium such as a book and output voices corresponding to these codes.

이러한 전자펜은 코드 리더 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면서 책과 같은 인쇄매체에 인쇄된 특정 코드를 읽어들인 후 해당 코드에 대응되는 음성을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한다.Such an electronic pen includes a code reader device, reads a specific code printed on a printing medium such as a book, and outputs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code through a speaker or the like.

통상적으로 책과 같은 인쇄매체에는 텍스트만 표시되기 때문에 독자에게 활자 정보만 제공하게 되는데, 이러한 전자펜을 이용하면 활자 정보 이외에 음성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독자의 사용자 경험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Typically, only text is displayed on a print medium such as a book. Therefore, only the user is provided with the type information. If such an electronic pen is used, the user's experience of the reader can be enhanced since the user can also provide voice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type information .

특히, 인쇄매체에 수록된 텍스트가 외국어인 경우, 활자 정보보다는 발음과 같은 음성 정보가 더 유익한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전자펜은 외국어 텍스트와 더불어 외국어 발음까지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독자의 호응도가 더 높은 편이다.Especially, when the text contained in the print medium is a foreign language, the voice information such as pronunciation is more advantageous than the type information. In this case, since the electronic pen can provid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in addition to foreign language text, It is high.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전자펜을 이용하여 학습자를 학습시키는 다양한 활용방안이 제시될 수 있는데, 이러한 활용방안에 대한 기술적 내용이 제시되고 있지 않으며, 이에 따라 학습자의 학습에 효율적으로 도움이 될 수 없고, 사용자마다의 각기 다른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re are various ways of utilizing the conventional electronic pen to learn the learner. However, there is no technical description about the utilization method, and thus it can not be helpful for the learner's learning efficient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different needs of each user are not satisfied.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펜을 이용하여 학습자가 문제 출제자 없이 스스로 받아쓰기할 수 있으며, 문제의 반복 재생이 용이하여 효율적으로 받아쓰기를 할 수 있고, 바로 정답확인을 할 수 있는 전자펜을 이용한 받아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view of the foregoing,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nic pen capable of writing a note by himself / herself without using a question maker by using an electronic pen, To provide a dictation using.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복수의 녹음, 재생, 힌트, 받아쓰기 영역이 구비된 받아쓰기 인쇄물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ctation printed matt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cording, reproducing, hinting and dictation areas.

받아쓰기 인쇄물에 인쇄되어 있는 패턴이미지는 전자펜에 의해 인식되어 특정 코드로 변환된다. 그리고, 이러한 특정 코드는 사용자의 음성에 매칭되어 저장된다.The pattern image printed on the dictation print is recognized by the electronic pen and converted into a specific code. Then, the specific code is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voice of the user.

받아쓰기 인쇄물에는 문제 또는 메모 등을 녹음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저장영역, 녹음된 문제 또는 메모 등을 재생시키는 복수의 재생영역, 학습자가 문제를 듣고 정답을 적는 받아쓰기 영역, 문제에 대한 힌트를 제공하는 힌트영역이 구비된다.The dictation printed matter includes a plurality of storage areas for recording a problem or memo, a plurality of reproduction areas for reproducing recorded problems or memos, a dictation area for the learner to listen to a problem and write a correct answer, and a hint Region.

전자펜은 저장모드와 재생모드로 작동될 수 있는데, 전자펜이 저장영역에 인쇄되어 있는 패턴이미지를 인식하면 저장모드가 될 수 있다.The electronic pen can be operated in the storage mode and the reproduction mode, and when the electronic pen recognizes the pattern image printed on the storage area, it can be in the storage mode.

저장모드에서 문제 출제자 또는 학습자의 음성을 녹음파일로 저장하고, 저장된 녹음파일을 받아쓰기 인쇄물에 인쇄되어 있는 복수의 녹음영역의 패턴이미지와 매칭시킨다. 여기서, 전자펜이 패턴이미지를 분석하여 특정 코드로 변환하므로 실질적으로는 특정 코드와 녹음파일을 매칭시킨다.In the storage mode, the voice of the question maker or learner is recorded as a recording file, and the stored recording file is matched with the pattern image of a plurality of recording areas printed on the dictation print. Here, since the electronic pen analyzes the pattern image and converts it into a specific code, it actually matches the specific code with the recorded file.

전자펜에 저장된 녹음파일은 다시 전자펜이 복수의 재생영역에 인쇄되어 있는 복수의 패턴이미지를 인식할 때, 음성재생장치에 의해 음성으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The recording file stored in the electronic pen can be converted into a sound and output by the sound reproducing apparatus when the electronic pen again recognizes a plurality of pattern images printed on the plurality of reproducing regions.

학습자는 이렇게 출력되는 음성을 듣고 받아쓰기 영역에 정답을 적을 수 있으며, 다시 듣고싶을 경우 복수의 재생영역에 인쇄되어 있는 복수의 패턴이미지를 전자펜으로 인식시켜 음성을 다시 들을 수 있게 된다.The learner can listen to the output voice and write the correct answer in the dictation area. If the learner desires to listen again, the learner recognizes the pattern images printed on the plurality of reproduction areas with the electronic pen and can hear the voice again.

또한, 학습자가 문제에 대한 힌트를 듣고싶을 경우, 힌트영역에 인쇄되어 있는 복수의 패턴이미지를 전자펜으로 인식하면 전자펜은 패턴이미지와 대응되는 코드, 코드와 대응되는 힌트 음성을 출력하여 학습자가 힌트를 제공받는다.When a learner wants to hear a hint about a problem, the electronic pen recognizes a plurality of pattern images printed in the hint area by outputting a hint voice corresponding to a code and a code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image, Hints are provided.

예를 들어, 받아쓰기 인쇄물에 문제 출제자가 문제를 녹음하여 저장하고, 학습자가 저장된 음성을 청취하여 받아쓰기 할 수 있다.For example, a problem taker can record and record a problem in a dictation print, and the learner can listen to the recorded voice and dictate.

다른 예로, 학습자가 녹음된 문제 음성을 청취한 후 받아쓰기 인쇄물에 학습자의 발음을 녹음하여 저장하고, 녹음된 문제 음성과 학습자의 발음 음성을 비교하여 청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fter the learner has listened to the recorded problem voice, the learner's pronunciation is recorded and stored in the dictation print, and the recorded problem voice and the learner's pronunciation voice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heard.

또 다른 예로, 학습자 또는 문제 출제자가 일 시점에서 간단한 전달사항 등의 메모를 받아쓰기 인쇄물에 녹음하여 저장하고, 동일한 사람 또는 다른 사람이 다른 일 시점에서 받아쓰기 인쇄물에 녹음된 음성을 청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 learner or a question-taker can record a note such as a brief message at a point in time on a dictation print, and listen to a voice recorded in the dictation print by the same person or another person at another point in time.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복수의 녹음, 재생, 힌트, 받아쓰기 영역이 구비된 받아쓰기 인쇄물과 영어 알파벳과 각각의 서로다른 알파벳의 패턴이미지가 인쇄되어 있는 키보드 인쇄물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eyboard printed matter in which a dictation printed matter having a plurality of recording, reproducing, hinting and dictation areas, a English alphabet and a pattern image of each different alphabet are printed.

이에 따라 복수의 저장영역에 문제 출제자 또는 학습자가 별도의 키보드 인쇄물을 이용하여 문제 또는 메모 등을 음원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question maker or the learner can store a problem, a memo, or the like as a sound source file using a separate keyboard printed matter in a plurality of storage areas.

또한, 학습자는 문제에 대한 정답을 키보드 인쇄물을 이용하여 받아쓰기 영역에 입력할 수 있고, 전자펜은 정답의 스펠링 코드들과 학습자가 입력하는 스펠링의 코드들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정답임을 알려주는 정답음성을 출력하며, 불일치하는 경우 오답임을 알려주는 오답음성을 출력한다.The learner can input the correct answer to the question in the dictation area using the keyboard print. The electronic pen compares the correct spelling codes with the spelling codes inputted by the learner, And outputs a wrong answer voice indicating that the answer is wrong when there is a discrepancy.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복수의 녹음, 재생, 힌트, 받아쓰기 영역이 구비된 받아쓰기 인쇄물과 복수의 서로 다른 받아쓰기 문제들과 그 서로 다른 패턴이미지들이 인쇄되어 있는 예시문제 인쇄물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ctation print with a plurality of recording, playback, hints, and dictation areas, and an example problem print with a plurality of different dictation problems and their different pattern images printed.

이에 따라 복수의 저장영역에 문제 출제자 또는 학습자가 별도의 예시문제 인쇄물을 이용하여 문제를 음원파일로 저장하거나, 문제에 대한 정답을 입력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question maker or the learner can store the problem as a sound source file or input the correct answer to the problem using a separate example problem printout in a plurality of storage areas.

이때, 예시문제 인쇄물에 인쇄되는 서로 다른 받아쓰기 문제들은 그림형태로, 또는 글형태로 인쇄될 수 있으며, 수준별로 나누어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fferent dictation problems printed on the illustrative problem print may be printed in the form of a picture, or in a form of a letter, and can be divided into level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펜을 이용하여 학습자가 문제 출제자 없이 스스로 받아쓰기할 수 있으며, 문제의 반복 재생이 용이하여 효율적으로 받아쓰기를 할 수 있고, 바로 정답확인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the electronic pen to dictate the learner's self without questioner, to easily reproduce the problem repeatedly, and to effectively write the dictation, hav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프로세서와 메모리에 대한 세부 구성의 일 예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받아쓰기 인쇄물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을 이용한 받아쓰기 방법을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을 이용한 받아쓰기 방법을 제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processor and memory of FIG.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ictation pri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4 to 5 are diagrams illustrating a dictation method using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ctation method using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디지털프로세서와 메모리에 대한 세부 구성의 일 예시 도면이다.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 is an exemplary view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processor and the memory of FIG.

도 1을 참조하면, 전자펜(100)은 이미지센서(110), 디지털프로세서(120), 메모리(130) 및 스피커(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electronic pen 100 may include an image sensor 110, a digital processor 120, a memory 130, a speaker 140, and the like.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프로세서(120)는 코드변환부(122), 제어부(124) 및 북마크저장부(126)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130)는 음성데이터 DB(132) 및 북마크 DB(134)가 포함될 수 있다.2, the digital processor 120 may include a code conversion unit 122, a control unit 124, and a bookmark storage unit 126, and the memory 130 may include a voice data DB 132 and a bookmark DB (134) may be included.

이미지센서(110)는 인쇄매체에 인쇄된 이미지를 인식한다.The image sensor 110 recognizes the image printed on the print medium.

인쇄매체는 이미지가 인쇄되는 다양한 종류의 매체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인쇄매체는 책, 카드, 신문, 잡지, 전단, 팜플릿 및 포스트 등의 종이매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인쇄매체는 책상, 필통, 연필, 지우개 등의 학용품일 수 있다. 이외에도 이미지의 인쇄가 가능한 매체는 모두 일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인쇄매체일 수 있다.Print media refers to various types of media on which images are printed. For example, the print media may be paper, such as books, cards, newspapers, magazines, flyers, brochures, and post. As another example, the print medium may be a school article such as a desk, a pencil case, a pencil, and an eraser. In addition, the medium capable of printing an image may be a printing medium to which one embodiment is applicable.

이미지센서(110)는 인쇄매체에 인쇄된 패턴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The image sensor 110 can recognize the pattern image printed on the print medium.

패턴이미지는 일정한 패턴을 가지는 이미지로서 특정 정보를 특정 패턴의 형태로 표시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로 다른 패턴으로 형상화된 두 개의 패턴이미지는 서로 다른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패턴으로 형상화된 제1패턴이미지는 제1정보에 대응되고 제2패턴으로 형상화된 제2패턴이미지는 제2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The pattern image may be an image having a certain pattern and an image for displaying specific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specific pattern. Specifically, two pattern images formed in different patterns can correspond to different information. For example, the first pattern image formed in the first pattern corresponds to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pattern image formed in the second pattern corresponds to the second information.

패턴이미지는 인쇄매체에 인쇄되는 도트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도트패턴은 가시성이 낮은 일정 크기 이하의 도트로 패터닝될 수 있다.The pattern image may be formed as a dot pattern printed on a print medium. Such a dot pattern can be patterned into dots of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having low visibility.

패턴이미지가 이러한 가시성이 낮은 도트패턴으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패턴이미지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이미지센서(110)는 패턴이미지를 인식하고 패턴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패턴-예를 들어, 도트패턴-을 구별할 수 있다.If the pattern image is formed with such a low-visibility dot pattern, the user may not be able to recognize the pattern image.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image sensor 110 can recognize a pattern image and distinguish a pattern included in the pattern image, for example, a dot pattern.

코드변환부(122)는 이미지센서(110)에서 인식된 패턴이미지를 분석하고 분석된 패턴이미지에 대응되는 코드를 확인한다. 다른 측면에서, 코드변환부(122)는 인쇄매체에 인쇄된 패턴이미지를 코드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인쇄매체에 제1패턴이미지가 인쇄되어 있는 경우, 코드변환부(122)는 제1패턴이미지를 분석하여 제1코드를 확인할 수 있고, 인쇄매체에 제2패턴이미지가 인쇄되어 있는 경우, 코드변환부(122)는 제2패턴이미지를 분석하여 제2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코드변환부(122)는 인쇄매체에 인쇄된 제1패턴이미지를 제1코드로 변환하고 인쇄매체에 인쇄된 제2패턴이미지를 제2코드로 변환할 수 있다.The code conversion unit 122 analyzes the pattern image recognized by the image sensor 110 and confirms a code corresponding to the analyzed pattern image. In another aspect, the code conversion unit 122 converts the pattern image printed on the print medium into a code. For example, when the first pattern image is printed on the print medium, the code conversion unit 122 can analyze the first pattern image to check the first code, and if the second pattern image is printed on the print medium The code conversion unit 122 can analyze the second pattern image to confirm the second code. In another aspect, the code conversion unit 122 may convert the first pattern image printed on the print medium into a first code and convert the second pattern image printed on the print medium to a second code.

코드변환부(122)에서 확인된 코드는 제어부(124)로 전달되고 제어부(124)는 이러한 코드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de confirmed by the code conversion unit 122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24, and the control unit 124 can perform a specific function according to the code.

코드에는 다양한 분류가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분류는 임의로 변경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내용을 적용함에 있어서 변형이 가능하다.A variety of classifications can be applied to the code. Of course, such classification may be arbitrarily changed, and variations may be made in applying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코드는 캐릭터코드, 특수키코드, 명령코드, 콘텐츠코드, 북마크코드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The code can be classified into a character code, a special key code, an instruction code, a content code, a bookmark code, and the like.

캐릭터코드는 문자입력을 위한 코드이다. 구체적으로, 키보드자판에 대응되는 캐릭터코드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보드에서 알파벳 'c'에 해당되는 캐릭터코드가 있을 수 있고, 한글자음 'ㄱ'에 해당되는 캐릭터코드가 있을 수 있다.The character code is a code for entering characters. Specifically, there may be a character code corresponding to the keyboard layout. For example, there may be a character code corresponding to the alphabet 'c' on the keyboard, and a character code corresponding to the Korean consonant 'A'.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100)은 캐릭터코드를 이용하여 단어를 형성할 수 있다.The electronic pe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form a word using a character code.

특수키코드는 키보드자판에서 특수 기능을 나타내는 키에 대응되는 코드이다. 특수키코드의 예로서는, 엔터키에 대응되는 엔터키코드가 있을 수 있고, ESC키에 대응되는 ESC키보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백스페이스키에 대응되는 백스페이스키코드가 있을 수 있다.A special key code is a code corresponding to a key representing a special function in a keyboard keyboard. As an example of the special key code, there may be an enter key code corresponding to the enter key, and there may be an ESC keyboard corresponding to the ESC key. There may also be a backspace key code corresponding to the backspace key.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100)은 이러한 특수키코드를 이용하여 단어를 편집하거나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electronic pen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can edit a word or perform other functions using the special key code.

명령코드는 전자펜(100)이 특정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코드이다. 명령코드의 예로서, 저장명령코드, 녹음명령코드, 재생명령코드, 삭제명령코드 등이 있을 수 있는데, 전자펜(100)은 명령코드가 인지되면 각각의 명령코드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mand code is a code for causing the electronic pen 100 to perform a specified function. Examples of the command code include a storage command code, a recording command code, a playback command code, and a deletion command code. When the command code is recognized, the electronic pen 100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corresponding to each command code .

콘텐츠코드는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인쇄매체에 대응되는 코드이다. 인쇄매체에는 콘텐츠에 대응되는 디지털 파일이 실제로 저장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콘텐츠코드는 실제로는 해당 인쇄매체에 인쇄된 패턴이미지에 대응되는 코드이다. 전자펜(100)에는 콘텐츠코드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데, 전자펜(100)은 인쇄매체에 대한 스캔을 통해 이러한 콘텐츠코드가 인지되면 콘텐츠코드에 매칭되어 있는 콘텐츠를 출력하게 된다.The content code is a code corresponding to the print medium in which the content is stored. Since the digital file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s not actually stored in the print medium, the content code is actually a code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image printed on the print medium.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code is stored in the electronic pen 100, and the electronic pen 100 scans the print medium to output the content matched to the content code if the content code is recognized.

북마크코드는 콘텐츠가 저장될 인쇄매체에 대응되는 코드이다. 다른 용도로 활용되는 코드도 콘텐츠 저장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면 이러한 북마크코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에 이미 매칭되어 있는 콘텐츠코드도 실시예에 따라서는 새로운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북마크코드가 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는 콘텐츠코드에 새로운 콘텐츠가 덮어 씌워지지 않도록 콘텐츠코드와 북마크코드를 분리하는 기능이 전자펜(100)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The bookmark code is a code corresponding to the print medium in which the content is to be stored. If the code used for other purposes can also be used to store the content, this can be the bookmark code. For example, the content code already matched to the content may be a bookmark code for storing new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cour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unction of separating the content code and the bookmark code may be included in the electronic pen 100 so that the new content is not overwritten in the content code.

코드변환부(122)는 이러한 여러 분류의 코드들을 인식한 후 인식된 코드를 제어부(124)로 전달하게 되는데, 제어부(124)는 전달된 각 코드의 특성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24)는 전자펜(100)에 포함된 여러 구성들에 대한 제어신호들을 발생시키면서 전자펜(100)의 제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de conversion unit 122 recognizes the codes of various classes and transmits the recognized codes to the control unit 124. The control unit 124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de transmitted. The control unit 124 may control the various functions of the electronic pen 100 while generating control signals for various configurations included in the electronic pen 100.

북마크저장부(126)는 인쇄매체에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인쇄매체에 콘텐츠 파일이 직접 저장되는 것을 아니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북마크저장부(126)는 북마크코드가 인쇄된 인쇄매체에 대하여 해당 북마크코드와 콘텐츠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매칭 후에 전자펜(100)은 해당 북마크코드를 스캔하고 북마크코드에 매칭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코드가 인쇄된 인쇄매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데, 여기서 "코드가 인쇄된 인쇄매체"는 해당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이미지가 인쇄된 인쇄매체로 이해할 수 있다.The bookmark storage unit 126 may store the content on the print medium. Since the content file is not directly stored in the print medium, the bookmark storage unit 126 can technically store the bookmark code and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int medium on which the bookmark code is printed. After this matching, the electronic pen 100 can scan the bookmark code and output the content matched to the bookmark cod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expression "print medium on which codes are printed" is used. Here, "print medium on which codes are printed" can be understood as print media on which pattern images corresponding to the codes are printed.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받아쓰기 인쇄물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ictation pri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도 3을 참조하면, 받아쓰기 인쇄물(200)에는 제1저장영역(290), 제2저장영역(210), 제3저장영역(250), 제1재생영역(220), 제2재생영역(240), 제3재생영역(260), 전체재생영역(270), 받아쓰기 영역(230), 힌트영역(280)이 구비되어 있으며, 각 영역에 서로 다른 패턴이미지가 인쇄된다.3, the dictation print 200 includes a first storage area 290, a second storage area 210, a third storage area 250, a first reproduction area 220, a second reproduction area 240 A third reproduction area 260, a total reproduction area 270, a dictation area 230, and a hint area 280, and a different pattern image is printed in each area.

받아쓰기 인쇄물(200)에 인쇄되어 있는 패턴이미지는 전자펜(100)에 의해 인식되어 특정 코드로 변환된다. 그리고, 이러한 특정 코드는 사용자의 음성에 매칭되어 저장된다.The pattern image printed on the dictation printed matter 200 is recognized by the electronic pen 100 and converted into a specific code. Then, the specific code is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voice of the user.

제1저장영역(290)은 일예로, 출제자가 받아쓰기 문제를 녹음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전자펜(100)이 제1저장영역(290)을 인식하면 저장모드가 되어 전자펜(100)이 다시 복수의 제1재생영역(220)을 인식한 후 출제자의 음성 녹음하여 녹음파일로 저장한다.For example, the applicant may record and record a problem of dictation. When the electronic pen 100 recognizes the first storage area 290, the electronic pen 100 becomes a storage mode, Recognizes the first reproduction area 220 of the user and then records the voice of the applicant as a recording file.

복수의 제1재생영역(220)은 이러한 제1저장영역(290)의 저장모드에서 저장된 녹음파일을 재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자펜(100)이 복수의 제1재생영역(220)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하면 저장된 녹음파일을 출력한다.The plurality of first playback regions 220 are for reproducing the recorded files stored in the storage mode of the first storage region 290. When the electronic pen 100 is used to reproduce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playback regions 220 When it recognizes, it outputs the recorded recording file.

복수의 제2저장영역(210)은 일예로, 학습자가 받아쓰기 문제를 듣고 발음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펜(100)이 복수의 제2저장영역(210)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한 후 학습자가 음성 녹음하여 녹음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펜(100)으로 제1재생영역(220)과 제2재생영역(240)을 인식하여 문제 발음과 학습자의 발음을 비교하며 교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second storage areas 210 are for the learner to hear the dictation problem and confirm the pronunciation. After the electronic pen 100 recognize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storage areas 210, You can record and save it as a recording file. The electronic pen 100 recognizes the first reproduction area 220 and the second reproduction area 240 and compares the problem pronunciation with the pronunciation of the learner.

또한, 제2저장영역(210)에 출제가가 받아쓰기 문제를 녹음하여 저장하거나, 추가 문제를 녹음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torage area 210 may record and record the problem of dictation, or may record and record additional problems.

복수의 제2재생영역(240)은 이러한 제2저장영역(210)에 저장된 녹음파일을 재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자펜(100)이 복수의 제2재생영역(240)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하면 저장된 녹음파일을 출력한다.The plurality of second playback regions 240 are for reproducing the recorded files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region 210. When the electronic pen 100 recognize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playback regions 240, Output the recording file.

제3저장영역(250)은 학습자 또는 문제 출제자가 일 시점에서 간단한 전달사항 등의 메모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펜(100)이 제3저장영역(250)을 인식한 후 학습자 또는 문제 출제자가 일 시점에서 간단한 전달사항 등의 메모를 음성 녹음하여 녹음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사람 또는 다른 사람이 다른 일 시점에서 받아쓰기 인쇄물(200)에 녹음된 음성을 청취할 수 있다.The third storage area 250 is for storing a note such as a simple delivery note at a point of time by a learner or a question taker. After the electronic pen 100 recognizes the third storage area 250, the learner or the question taker A note such as a brief message can be recorded as a voice recording and recorded as a recording file. Then, the same person or another person can listen to the recorded voice in the dictation print 200 at another point in time.

제3재생영역(260)은 이러한 제3저장영역(250)에 저장된 녹음파일을 재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자펜(100)이 제3재생영역(260)을 인식하면 저장된 녹음파일을 출력한다.The third reproduction area 260 is for reproducing the recorded file stored in the third storage area 250. When the electronic pen 100 recognizes the third reproduction area 260, the recorded file is output.

전체재생영역(270)은, 받아쓰기 인쇄물(200)에 저장된 녹음파일을 차례로 재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자펜(100)이 전체재생영역(270)의 패턴이미지를 인식하면 제1저장영역(290), 제2저장영역(210), 제3저장영역(250)의 녹음파일을 출력한다.The entire reproduction area 270 is for sequentially reproducing the recorded files stored in the dictation printed material 200. When the electronic pen 100 recognizes the pattern image of the entire reproduction area 270, The second storage area 210, and the third storage area 250, as shown in FIG.

이때, 전자펜(100)에서 출력하는 제1저장영역(290), 제2저장영역(210), 제3저장영역(250)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rder of the first storage area 290, the second storage area 210, and the third storage area 250 output from the electronic pen 100 may be changed.

또한, 전자펜(100)은 제1저장영역(290)의 녹음파일만 차례로 출력하거나, 제2저장영역(210)의 녹음파일만 차례로 출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pen 100 may sequentially output only the recorded files of the first storage area 290 or only the recorded files of the second storage area 210 sequentially.

또한, 전자펜(100)은 제1저장영역(290)의 녹음파일을 출력할 때, 학습자의 받아쓰기 영역(230)에 답안을 작성하는 시간을 고려하여 복수의 녹음파일 사이에 시간간격을 두고 차례로 출력할 수도 있다.When the electronic pen 100 outputs a recorded file in the first storage area 290, the electronic pen 100 takes a time to create an answer in the learner's dictation area 230, Output.

힌트영역(280)은 학습자에게 문제의 힌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펜(100)이 힌트영역(280)을 인식하면 정답에 대한 힌트와 관련된 음성파일이 출력된다.The hint area 280 is provided to provide a hint to the learner. When the electronic pen 100 recognizes the hint area 280, a voice file related to the hint for the correct answer is output.

일예로, 정답의 힌트와 관련된 음성파일은 정답의 스펠링을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다른 형태의 음성파일일 수 있다.For example, a speech file associated with a hint of the correct answer may be spelled out as a speech of the correct answer, or it may be another type of speech file.

받아쓰기 영역(230)은 학습자가 문제의 녹음파일을 청취한 후 정답을 작성하는 영역이며, 받아쓰기 영역(230)에도 패턴이미지가 인쇄되어 있어서 학습자는 손으로 작성하거나, 스펠링을 녹음파일로 저장해둘 수도 있다.The dictation area 230 is an area in which a learner creates a correct answer after listening to a recording file in question, and a pattern image is also printed in the dictation area 230 so that a learner can create it manually or store the spelling as a recording file have.

즉, 전자펜(100)이 받아쓰기 영역(230)을 인식한 후 학습자가 스펠링을 음성으로 녹음하여 녹음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That is, after the electronic pen 100 recognizes the dictation area 230, the learner can record the spelling by voice and save it as a recording file.

한편, 전자펜(100)은 저장모드와 재생모드로 작동될 수 있는데, 전자펜(100)이 저장영역(210,250,290)에 인쇄되어 있는 패턴이미지를 인식하면 저장모드가 될 수 있다.Meanwhile, the electronic pen 100 can be operated in a storage mode and a reproduction mode. When the electronic pen 100 recognizes a pattern image printed on the storage areas 210, 250, and 290, the electronic pen 100 can be in a storage mode.

저장모드에서 문제 출제자 또는 학습자의 음성을 녹음파일로 저장하고, 저장된 녹음파일을 받아쓰기 인쇄물(200)에 인쇄되어 있는 복수의 저장영역(210,250,290)의 패턴이미지와 매칭시킨다. 여기서, 전자펜(100)이 패턴이미지를 분석하여 특정 코드로 변환하므로 실질적으로는 특정 코드와 녹음파일을 매칭시킨다.In the storage mode, a voice of a question maker or a learner is recorded as a recording file, and the stored recording file is matched with a pattern image of a plurality of storage areas 210, 250, and 290 printed on the dictation print 200. Here, since the electronic pen 100 analyzes the pattern image and converts it into a specific code, substantially matching the specific code with the recorded file.

전자펜(100)에 저장된 녹음파일은 다시 전자펜(100)이 복수의 재생영역(220,240,260)에 인쇄되어 있는 복수의 패턴이미지를 인식할 때, 음성재생장치에 의해 음성으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The recording file stored in the electronic pen 100 can be converted into a sound and output by th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when the electronic pen 100 recognizes a plurality of pattern images printed on the plurality of reproducing regions 220, .

학습자는 이렇게 출력되는 음성을 듣고 받아쓰기 영역(230)에 정답을 적을 수 있으며, 다시 듣고싶을 경우 복수의 재생영역(220,240,260)에 인쇄되어 있는 복수의 패턴이미지를 전자펜(100)으로 인식시켜 음성을 다시 들을 수 있게 된다.The learner can listen to the output sound and write the correct answer in the dictation area 230. If the learner desires to listen again, the learner recognizes the plurality of pattern images printed on the plurality of reproduction areas 220, 240 and 260 as the electronic pen 100, I can hear again.

또한, 학습자가 문제에 대한 힌트를 듣고싶을 경우, 힌트영역(280)에 인쇄되어 있는 복수의 패턴이미지를 전자펜(100)으로 인식하면 전자펜(100)은 패턴이미지와 대응되는 코드, 코드와 대응되는 힌트 음성을 출력하여 학습자가 힌트를 제공받는다.When the learner wants to hear a hint about the problem, the electronic pen 100 recognizes a plurality of pattern images printed in the hint area 280 as a code image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image, The corresponding hint voice is outputted and the learner is provided with the hint.

예를 들어, 받아쓰기 인쇄물(200)에 문제 출제자가 문제를 녹음하여 저장하고, 학습자가 저장된 음성을 청취하여 받아쓰기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question taker can record the problem in the dictation print 200 and store the problem, and the learner can listen to the recorded voice and write it down.

다른 예로, 학습자가 녹음된 문제 음성을 청취한 후 받아쓰기 인쇄물(200)에 학습자의 발음을 녹음하여 저장하고, 녹음된 문제 음성과 학습자의 발음 음성을 비교하여 청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fter the learner has listened to the recorded question voice, the learner's pronunciation is recorded and stored in the dictation print 200, and the recorded question voice is compared with the pronunciation voice of the learner.

또 다른 예로, 학습자 또는 문제 출제자가 일 시점에서 간단한 전달사항 등의 메모를 받아쓰기 인쇄물(200)에 녹음하여 저장하고, 동일한 사람 또는 다른 사람이 다른 일 시점에서 받아쓰기 인쇄물(200)에 녹음된 음성을 청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 learner or a question-taker may record a note such as a brief message at a point in time in the dictation print 200 and store the voice recorded in the dictation print 200 at the same point of time You can listen.

도 4 내지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100)을 이용한 받아쓰기 방법을 제시하는 도면이다.FIGS. 4 to 5 are diagrams illustrating a dictation method using the electronic pen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영어 알파벳과 각각의 서로다른 알파벳의 패턴이미지가 인쇄되어 있는 키보드 인쇄물(300)을 이용하여 문제 또는 정답을 저장할 수도 있다.4 to 5, a problem or a correct answer may be stored using the keyboard print 300 in which the English alphabet and the pattern image of each of the different alphabets are print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 인쇄물(300)에는 각 알파벳들과 각 패턴이미지가 인쇄되어 있어서, 전자펜(100)이 일 단어의 알파벳을 순서대로 인식하면, 각 알파벳들의 패턴이미지가 코드로 변환되어 전자펜(100)에 입력되고, 전자펜(100)이 엔터를 인식하면 전자펜(100)에 입력된 코드들로 이루어지는 단어를 단어 데이터베이스에서 찾아 음성으로 변환하여 저장하거나 비교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4, each alphabet and each pattern image is printed on the keyboard print 300, so that when the electronic pen 100 recognizes one letter of the alphabet in order, Converted into the electronic pen 100, and when the electronic pen 100 recognizes the enter, the word consisting of the codes input to the electronic pen 100 can be found in the word database and converted into speech and stored or compared.

다시 말해서, 전자펜(100)으로 제1저장영역(290)을 인식하여 저장모드가 된 후, 제1재생영역(220)을 인식한 다음 출제할 문제의 단어의 알파벳을 키보드 인쇄물(300)에서 순서대로 인식한 후 엔터를 인식하면 녹음파일로 저장된다.In other words, after recognizing the first storage area 290 with the electronic pen 100 and entering the storage mode, the first reproduction area 220 is recognized and then the alphabet of the word of the question to be issued is displayed on the keyboard print 300 After recognizing the sequence and recognizing the enter, it is saved as a recorded file.

그리고, 학습자는 제1재생영역(220)을 전자펜(100)으로 인식하여 문제를 청취할 수 있다.Then, the learner can recognize the first reproduction area 220 as the electronic pen 100 and listen to the problem.

이에 따라 복수의 저장영역(210,250,290)에 문제 출제자 또는 학습자가 별도의 키보드 인쇄물(300)을 이용하여 문제 또는 메모 등을 음원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ly, a problem maker or a learner can store a problem, a memo, or the like as a sound source file by using a separate keyboard print 300 in a plurality of storage areas 210, 250, and 290.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는 문제에 대한 정답을 키보드 인쇄물(300)을 이용하여 받아쓰기 영역(230)에 입력할 수 있고, 전자펜(100)은 정답의 스펠링 코드들과 학습자가 입력하는 스펠링의 코드들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정답임을 알려주는 정답음성을 출력하며, 불일치하는 경우 오답임을 알려주는 오답음성을 출력한다.5, the learner can input the correct answer to the question in the dictation area 230 by using the keyboard print 300, and the electronic pen 100 has the correct spelling codes and the learner Compares the codes of spelling to be input, outputs a correct answer voice indicating that the answer is correct, and outputs an incorrect answer saying that the answer is incorrect.

다시 말해서, 학습자가 전자펜(100)을 이용하여 받아쓰기 영역(230)을 인식한 후, 키보드 인쇄물(300)에서 정답으로 생각되는 단어의 알파벳을 순서대로 인식하면 각 알파벳들의 코드가 입력되고 엔터를 인식하면, 문제의 정답에 대한 알파벳들의 코드와 비교되어 일치/불일치를 학습자에게 알려준다.In other words, if the learner recognizes the dictation area 230 by using the electronic pen 100 and then sequentially recognizes the alphabets of the words thought to be correct in the keyboard print 300, the codes of the respective alphabets are inputted, If they are recognized, they are compared with the alphabet codes for the correct answer, and the learners are informed of the match / discrepancy.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100)을 이용한 받아쓰기 방법을 제시하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showing a dictation method using the electronic pen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서로 다른 받아쓰기 문제들과 그 서로 다른 패턴이미지들이 인쇄되어 있는 예시문제 인쇄물(400)을 이용하여 문제 또는 정답을 저장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6, an example problem print 400 in which a plurality of different dictation problems and their different pattern images are printed may be used to store the problem or correct answer.

예시문제 인쇄물(400)에는 미리 음원파일로 저장된 받아쓰기 문제들과 패턴이미지들이 인쇄되어 있으며, 전자펜(100)이 이러한 받아쓰기 문제들과 패턴이미지들을 인식하면 코드를 복사하여 각각의 문제로 저장한다.When the electronic pen 100 recognizes such dictation problems and pattern images, it copies the codes and stores them as the respective problems.

다시 말해서, 문제 출제자의 경우, 일예로 전자펜(100)이 예시문제 인쇄물(400)에서 받아쓰기 문제들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복사하고, 제1저장영역(290)을 인식하여 저장모드가 된 후, 복사시킬 복수의 제1재생영역(220)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한다.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question maker, for example, the electronic pen 100 recognizes and copies any of the dictation problems in the example problem print 400, recognizes the first storage area 290, , And recognizes any one of a plurality of first reproduction regions 220 to be copied.

그러면 전자펜(100)이 다시 제1재생영역(220)을 인식했을 때, 예시문제 인쇄물(400)에서 복사해온 음원파일이 재생된다.Then, when the electronic pen 100 again recognizes the first reproduction area 220, the sound source file copied in the example problem print 400 is reproduced.

또한, 학습자의 경우, 일예로 전자펜(100)으로 받아쓰기 영역(230)을 인식한 후 예시문제 인쇄물(400)에서 정답으로 생각되는 받아쓰기 문제들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선택한다.Further, in the case of a learner, after recognizing the dictation area 230 with the electronic pen 100 as an example, one of the dictation problems considered to be correct in the example problem printout 400 is recognized and selected.

그러면 전자펜(100)에서는 정답과 학습자의 선택한 받아쓰기 문제를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정답음성을 출력하며 불일치할 경우 오답음성을 출력한다.Then, the electronic pen 100 compares the correct answer with the selected dictation problem of the learner, and outputs the correct answer voice if it is matched, and outputs the wrong answer voice if the discrepancy is found.

이에 따라 복수의 저장영역(210,250,290)에 문제 출제자 또는 학습자가 별도의 예시문제 인쇄물(400)을 이용하여 문제를 음원파일로 저장하거나, 문제에 대한 정답을 입력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question maker or the learner can store the problem as a sound source file or input the correct answer to the problem using the separate example problem prints 400 in the plurality of storage areas 210, 250, and 290.

이때, 예시문제 인쇄물(400)에 인쇄되는 서로 다른 받아쓰기 문제들은 그림형태로, 또는 글형태로 인쇄될 수 있으며, 수준별로 나누어 제공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different dictation problems printed on the example problem prints 400 may be printed in a picture form or a text form, and may be divided into level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펜을 이용하여 학습자가 문제 출제자 없이 스스로 받아쓰기할 수 있으며, 문제의 반복 재생이 용이하여 효율적으로 받아쓰기를 할 수 있고, 바로 정답확인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the electronic pen to dictate the learner's self without questioner, to easily reproduce the problem repeatedly, and to effectively write the dictation, have.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or "having" as used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mean that the constituent elem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further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

복수의 녹음, 재생, 힌트, 받아쓰기 영역이 구비된 받아쓰기 인쇄물로서, 받아쓰기 인쇄물에 인쇄되어 있는 패턴이미지는 전자펜에 의해 인식되어 특정 코드로 변환되고, 이러한 특정 코드는 사용자의 음성에 매칭되어 저장되며, 받아쓰기 인쇄물에는 문제 또는 메모 등을 녹음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저장영역, 녹음된 문제 또는 메모 등을 재생시키는 복수의 재생영역, 학습자가 문제를 듣고 정답을 적는 받아쓰기 영역, 문제에 대한 힌트를 제공하는 힌트영역이 구비되는 받아쓰기 인쇄물.A dictation printed matter having a plurality of recording, reproduction, hint and dictation areas, a pattern image printed on the dictation print is recognized by the electronic pen and converted into a specific code, and the specific code is matched to the user's voice and stored A dictation printed matter has a plurality of storage areas for recording a problem or a memo or the like, a plurality of reproduction areas for reproducing recorded problems or memos, a dictation area for the learner to listen to a problem and write a correct answer, A dictation print comprising a hint area.
KR1020160101571A 2016-08-10 2016-08-10 The Method For Dictation Using Electronic Pen KR2018001755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571A KR20180017556A (en) 2016-08-10 2016-08-10 The Method For Dictation Using Electronic P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571A KR20180017556A (en) 2016-08-10 2016-08-10 The Method For Dictation Using Electronic P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556A true KR20180017556A (en) 2018-02-21

Family

ID=61524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571A KR20180017556A (en) 2016-08-10 2016-08-10 The Method For Dictation Using Electronic P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7556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3999A (en) * 2019-03-28 2019-07-09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It is a kind of based on write progress intelligence enter for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156180B1 (en) * 2019-12-13 2020-09-15 주식회사 에스제이더블유인터내셔널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 using electronic p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3999A (en) * 2019-03-28 2019-07-09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It is a kind of based on write progress intelligence enter for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156180B1 (en) * 2019-12-13 2020-09-15 주식회사 에스제이더블유인터내셔널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 using electronic p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72466A1 (en) Document interpreting systems.
JPS62296265A (en) Reading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308259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aching a language
Masten et al. Language machines
Wald Creating accessible educational multimedia through editing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captioning in real time
JP4914808B2 (en) Word learning device, interactive learning system, and word learning program
KR20180017556A (en) The Method For Dictation Using Electronic Pen
JP2007524128A (en) A system to code alphabet pronunciation
KR20180119100A (en) Learning system and learning device for forming and reading hangul syllables
US20200105263A1 (en) Method for graphical speech representation
KR20180017558A (en) The Electronic Pen Supplying Different Voice
CN201383234Y (en) Phonetic teaching equipment
KR200265464Y1 (en) Studying system of recording medium printed a digital index code
Fujiyoshi et al. Development of multimodal textbooks with invisible 2-dimensional codes for students with print disabilities
KR20180010649A (en) The Method For Stepwise Supplying Explanation Content of Question Using Electronic Pen
KR102077712B1 (en) English study paper
KR20180008101A (en) The Method For Supplying Game Content Using Electronic Pen
JP4799604B2 (en) Document structure template paper and document information reproduction system
KR20180004623A (en) Adhesive memo paper for voice recording using electronic pen
JP6262424B2 (en) Reading sound playback system
KR102098839B1 (en) Multi purpose educational system using contents card identification
Rahimi et al. A computing environment for the blind
Fujiyoshi et al. Development of new auditory testing media with invisible 2-dimensional codes for test-takers with print disabilities
KR20180017557A (en) The Method For Supplying Explanation Content of Paper Using Electronic Pen
Smith USING TECHNOLOGY TO SUPPORT EFFECTIVE LEARNERS: ASSISTIVE TECHNOLOGY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