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5521A - Shooting game apparatus using the drone - Google Patents

Shooting game apparatus using the dr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5521A
KR20180015521A KR1020160099155A KR20160099155A KR20180015521A KR 20180015521 A KR20180015521 A KR 20180015521A KR 1020160099155 A KR1020160099155 A KR 1020160099155A KR 20160099155 A KR20160099155 A KR 20160099155A KR 20180015521 A KR20180015521 A KR 20180015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shooting
image
uni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1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해명
Original Assignee
이해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명 filed Critical 이해명
Priority to KR1020160099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5521A/en
Publication of KR20180015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52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37Shooting of targ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03Driving vehicles or craft, e.g. cars, airplanes, ships, robot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64C2201/12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oting game device using a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oting game device using the drone includes: a projector outputting a game image; a screen displaying the game image; a coordinate recognition unit outputting an image for coordinate recognition, which is generated by photographing only spot light by a laser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on the screen; a drone driven in a preset flight battle space unit and shooting the laser toward a target in the game image on the screen, wherein the drone outputs a signal corresponding to impact by sensing the impact due to shooting from the target;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one in the flight battle space unit and generating vibration corresponding to shooting when shooting to the target of the game image and the vibration corresponding to the impact due to the shooting from the target in the game image; and a game server displaying the game image by the projector and the screen and continuously receiving the image for the coordinate recognition from the coordinate recognition unit, wherein the game server also detects the coordinate of the spot light by the laser in the image for the coordinate recognition in a moment when a shoot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and reflects a shooting position on the screen based on the detected coordinate to procession of the shooting game. The game server also generates the game image to which the shooting position is reflected on the projector and the screen and displays a current position of the dron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when the game starts. The game server also displays the laser radiated from the target in the game image on the screen.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한 사격 게임 장치{Shooting game apparatus using the dron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oting game apparatus using the drone,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한 사격 게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게임 영상에 표시되는 타겟에 대해 드론을 이용하여 사격할 수 있도록 하는 사격 게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oting game apparatus using a dr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oting game apparatus capable of shooting a target displayed on a game image using a drones.

오락의 발전으로 다양한 형태의 게임과 게임도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 들어서는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게임용 총을 이용한 사격 게임이 애용되고 있다.Various types of game and game tool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due to the development of entertainment, and in recent years, shooting games using game guns have been used to relieve stress.

이러한 사격게임은 테이블에 고정되는 거치대에 상,하 방향과 좌, 우 방향으로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총을 연결하고, 총은 몸체와 몸체의 전방에 돌출되는 총신으로 크게 구성된다.The shooting game is composed of a gun barrel which is attached to the table so as to be free to move upward, downward, leftward and rightward, and a gun barrel protruding in front of the body and the body.

총이 고정된 테이블의 전방에는 영상을 제공하는 스크린을 구비하여 이용자가 총으로 스크린의 영상을 보고 총알을 발사하여 게임을 수행하게 되며, 제어수단을 통하여 게임의 형태와 난이도를 선택하여 자신의 취향에 맞게 게임을 수행하면서 즐기면서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 screen for providing an image is provided in front of a table on which a gun is fixed so that a user views the screen of the gun as a gun and shoots a bullet to perform a game. Through the control means, the user can select the shape and difficulty of the game, So that they can enjoy stress and play while playing games.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사격 게임은 비교적 단순하여 사용자들이 쉽게 싫증을 느끼기 때문에 보다 새롭고 흥미로운 사격게임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요구되어 왔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shooting game as described above is relatively simple, users are easily disgusted, and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developing a new and exciting shooting game.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9218호(영상 사격 게임 장치 및 영상 사격 게임 제공 방법)Prior Art 1: Korean Patent No. 10-1179218 (Video shooting game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video shooting game)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9341호(증강 현실을 이용한 사격 게임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모바일 기기와 시스템)Prior Art 2; Korean Patent No. 10-1429341 (Shooting Game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and Mobile Devices and Systems Using the Same) 선행기술 3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2956호(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Prior Art 3: Korean Patent No. 10-1642956 (Shooting Simulation Game System) 선행기술 4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86807호(가상 현실을 이용한 사격 게임 시스템 및 그 방법)Prior Art 4;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1-0086807 (Shooting Game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게임 영상에 표시되는 타겟을 향해 드론을 이용하여 사격할 수 있고 타겟으로부터의 사격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 드론을 이용한 사격 게임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provides a shooting game apparatus using a dron It has its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사격 게임 장치는, 드론을 이용한 사격 게임을 진행하는 게임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 상기 프로젝터에서 출력하는 게임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 상에서 소정 주파수의 레이저에 의한 스폿광만을 촬영하여 생성한 좌표 인식용 영상을 출력하는 좌표 인식부; 설정된 비행 전투 공간부 내에서 구동되고, 상기 스크린상의 게임 영상내의 타겟을 향해 가시 주파수의 레이저 또는 비가시 레이저를 발사하고, 상기 타겟으로부터의 사격에 의한 충격을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드론; 상기 비행 전투 공간부내에서 상기 드론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게임 영상의 타겟에 대한 사격시 사격에 상응하는 진동 및 상기 게임 영상내의 타겟으로부터의 사격에 의한 충격에 상응하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조작부; 및 상기 프로젝터 및 상기 스크린에 의해 게임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좌표 인식부로부터 좌표 인식용 영상을 지속적으로 입력받으며, 상기 조작부로부터 사격 신호를 입력받은 순간에 좌표 인식용 영상에서 레이저에 의한 스폿광의 좌표를 검출하고 검출된 좌표에 근거한 스크린 상의 사격 위치를 사격 게임의 진행에 반영하고, 사격 위치가 반영된 게임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프로젝터 및 상기 스크린으로 출력하고, 게임 시작과 함께 상기 조작부에 의해 조작되는 드론의 현재 위치를 스크린상에 표시시키고, 상기 스크린상의 게임 영상내의 타겟에서 발사되는 가시 주파수 레이저를 화면표시하는 게임 서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hooting game apparatus using a drone, the game apparatus comprising: a projector for outputting a game image for performing a shooting game using a drones; A screen for displaying a game image output from the projector; A coordinate recognizing unit for photographing only the spot light by the laser of the predetermined frequency on the screen and outputting the coordinate recognition image; A drones that are driven in a set flight space and fire a laser or an invisible laser of a visible frequency toward a target in the game image on the screen and detect a shock due to shooting from the target and output a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 An operating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drones in the flight combat space and generating vibration corresponding to a shot corresponding to a shot of the target of the game image and an impact caused by a shot from the target in the game image; And a controller for displaying a game image by the projector and the screen, continuously receiving an image for coordinate recognition from the coordinate recognizing unit, and, at the moment when a shooting signal is inputted from the operating unit, Detects the coordinates, reflects the shooting position on the screen based on the detected coordinates to the progress of the shooting game, generates a game image reflecting the shooting position, and outputs the generated game image to the projector and the screen, And a game server for display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drones on a screen and displaying a visible frequency laser emitted from a target in the game image on the screen.

상기 게임 서버는, 상기 조작부로부터의 사격 신호를 수신하는 사격 신호 수신부; 상기 좌표 인식부로부터의 좌표 인식용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사격 신호 수신부에서 사격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좌표 인식용 영상에서 촬영한 스폿광의 좌표를 산출하여 상기 드론으로 스크린을 사격한 위치를 나타내는 사격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사격 위치 인식부; 드론을 이용한 사격 게임을 진행하는 사격 게임 구동용 소프트웨어를 내장하고 게임의 진행을 보여주기 위한 게임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되, 상기 사격 위치 인식부로부터의 사격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사격 위치를 게임에 반영하고 대응하는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을 출력하는 게임 진행부; 상기 게임 진행부에서 제공하는 게임 영상을 상기 프로젝터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스크린에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하는 영상 출력부; 및 상기 사격 신호 수신부가 사격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햅틱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작부에게로 제공하고, 상기 게임 영상내의 타겟으로부터의 사격에 의한 충격에 상응하는 햅틱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작부에게로 제공하는 햅틱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game server includes: a shooting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shooting signal from the operation unit; Wherein when the shoot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hooting signal receiving unit, coordinates of the spot light photographed in the coordinate recognizing image are calculated, and a shot indicating the shooting position of the screen with the dragon A shooting position recognizing unit for generating position information; And a game image for displaying the progress of the game is generated and output, and the shooting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shooting position recognition unit is received, and the shooting position is stored in the game A game progress unit for generating a corresponding image by reflecting and outputting the generated image; A video output unit for displaying a game image provided by the game progress unit on the screen by outputting the game image to the projector; And generating a haptic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hooting signal received by the shooting signal receiving unit and providing the generated haptic signal to the operation unit, generating a haptic signal corresponding to an impact caused by shooting from the target in the game image, And a haptic part for providing the haptic part.

상기 게임 서버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조작부와 연결될 수 있다.The game server may be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by wire or wirelessly.

상기 드론과 상기 조작부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The drones and the operating portion may be interconnected wirelessly or by wire.

상기 비행 전투 공간부는, 상기 드론이 비행 전투를 수행하는 공간으로, 게임자가 비행 전투 과정을 볼 수 있도록 그물망 형태의 사면체, 육면체, 원통형, 구형 또는 기하학적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light combat space may be a tetrahedral, hexahedral, cylindrical, spherical, or geometric space in which the drones perform flight combat and may be in the form of a mesh so that the player can view the flight combat process.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게임 영상에 표시되는 타겟을 향해 드론을 이용하여 사격할 수 있다. 그리고, 게임 영상내의 타겟으로부터의 드론에 대한 사격을 피하도록 드론을 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hoot using a drones toward a target displayed on a game image. The drones can then be adjusted to avoid shooting against the drones from the target in the game image.

이와 같이 드론을 이용하여 게임 컨텐츠와 연동시켜서 화면상에 표현되는 타겟(목표물)에 대해 드론에 장착된 비가시 레이저에서 나오는 신호를 발사해서 게임을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색다른 사격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보다 새롭고 흥미로움을 제공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ron can be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game contents and the target (target) displayed on the screen can be played by emitting signals from the non-visible laser mounted on the drones, the user can enjoy a different shooting game But also provide users with new and exciting experiences.

다시 말해서, 프로젝터와 스크린 화면에 구현되는 각종의 컨텐츠에서 유무선의 드론에 장착된 비가시 레이저를 통해서 화면에 구현되는 게임을 사용자가 진동모터가 장착된 조작부로 드론을 조정하여 계절과 날씨의 영향을 받지 않고 비교적 조정이 어려운 드론의 비행 기술을 숙달함과 동시에 게임을 즐길 수 있다.In other words, a game implemented on a screen through an invisible laser mounted on a drones of wired and wireless in a projector and a variety of contents displayed on a screen screen allows the user to adjust the drones to a control unit equipped with a vibration motor, You can enjoy the game at the same time as mastering the drones' flight skills, which are relatively uncommon and difficult to adjus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사격 게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게임 서버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사격 게임 장치의 작용 설명에 채용되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hooting game apparatus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game server shown in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 shooting game apparatus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사격 게임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게임 서버의 내부 구성도이다.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hooting game apparatus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game server shown in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사격 게임 장치는, 프로젝터(10), 스크린(20), 좌표 인식부(30), 드론(40), 비행 전투 공간부(50), 조작부(60), 및 게임 서버(70)를 포함한다.The shooting game apparatus using the dr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jector 10, a screen 20, a coordinate recognition unit 30, a drones 40, a flight combat space unit 50, an operation unit 60, And a game server (70).

프로젝터(10)는 드론(40)을 이용한 사격 게임을 진행하는 게임 영상을 시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빔을 출력한다.The projector 10 outputs a beam for visually outputting a game image for performing a shooting game using the drones 40.

스크린(20)은 게임자의 전방에 배치되며 프로젝터(10)에서 출력하는 빔에 의한 게임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The screen 2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player and visually displays a game image by the beam outputted from the projector 10. [

여기서, 프로젝터(10)와 스크린(20)은 게임 영상 표시 수단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게임 영상 표시 수단으로 프로젝터(10)와 스크린(20)을 적용하였으나, 시각적인 표시가 가능한 표시 수단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즉, PDP/LCD 디스플레이어, 반사경을 이용한 대형 브라운관 등이 이용될 수도 있으며, 특정의 표시 수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후술하는 포인팅용 레이저의 상이 맺혀 스폿광을 생성할 수 있는 형태의 디스플레이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Here, the projector 10 and the screen 20 may be game video display mean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jector 10 and the screen 20 are applied to the game video display means, but any display means capable of visual display can be used. That is, a PDP / LCD display language, a large CRT using a reflector, or the like may be us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display means. However, it would be preferable to use a displayer that is capable of generating a spot light by forming an image of a pointing las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좌표 인식부(30)는 게임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스크린(20) 상에서 특정의 주파수를 갖는 레이저에 의한 스폿광을 촬영하여 좌표 인식용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레이저로는 스크린(20)에 의해 광의 진행이 차단되어 생성되는 스폿광이 게임자의 육안에 보여지는 가시 주파수의 레이저가 적용될 수도 있고, 육안으로 볼 수 없는 파장이 600 내지 1100 nm 대역의 비가시 레이저가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실제와 동일한 임장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비가시 레이저를 포인팅용 레이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ordinate recognizing unit 30 can generate an image for coordinate recognition by photographing spot light by a laser having a specific frequency on a screen 20 on which a game image is displayed. At this time, as the laser, a laser having a visible frequency at which spot light generated by blocking the progress of light by the screen 20 is visible to the naked eye of a game player may be applied, and a laser beam having a wavelength of 600 to 1100 nm A laser may be appli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n invisible laser as a pointing laser in order to give the same feeling as the actual one.

예를 들어, 좌표 인식부(30)는 적용된 레이저의 주파수에 대응하여 영상 처리 또는 입사광 필터링 등을 수행함으로써, 스크린(20)상에 형성되는 프로젝터(10)에 의한 게임 영상을 제거하고 레이저에 의한 스폿광만을 촬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게임 영상을 포함하지 않고, 단지 스폿광만을 촬영한 영상을 좌표 인식용 영상이라고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ordinate recognizing unit 30 removes the game image by the projector 10 formed on the screen 20 by performing image processing or incident light filtering in accordance with the applied laser frequency, Only the spot light can be photographed. As described above, an image in which only a spot light is captured without including a game image can be regarded as a coordinate recognition image.

또한, 좌표 인식부(30)는 촬영되는 좌표 인식용 영상과 드론(40)을 이용한 사격 게임을 진행하는 사격 영상과의 포인팅 위치를 일치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좌표 인식부(30)는 스크린(20)의 소정 위치를 기준 위치로 하기 위한 특정의 기준점을 촬영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스크린(20)의 일측에는 좌표 인식부(30)를 향하여 기준점이 되는 레이저 등을 배출하는 기준점 표시 수단(도시 생략)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드론을 이용한 사격 게임을 진행하기 전에 좌표 인식부(30)를 스크린(20)에 표시되는 게임 영상에 대하여 기준 위치로 위치 조정 및 고정시킴으로써 촬영된 좌표 인식용 영상과 게임 영상의 포인팅 위치가 일치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rdinate recognizing unit 30 should match the pointing positions of the captured coordinate image for shooting and the shooting image for the shooting game using the drones 40. For this purpose, the coordinate recognizing unit 30 may photograph a specific reference point for setting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creen 20 as a reference position. To this end, a reference point display means (not shown) for discharging a laser or the like serving as a reference point toward the coordinate recognition unit 30 may be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creen 20. Alternatively, before proceeding with the shooting game using the drone, the coordinate recognizing unit 30 is adjusted and fixed to the referenc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gam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20, So that the pointing positions can be matched.

한편, 좌표 인식부(30)는 드론(40)을 이용한 사격 게임이 진행되는 동안 게임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스크린(20)을 지속적으로 촬영하여 좌표 인식용 영상을 연속적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ordinate recognition unit 30 continuously photographs the screen 20 on which the game image is being displayed while the shooting game using the drones 40 is performed, so that the coordinate recognition image is successively outputted.

상술한 좌표 인식부(30)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ordinate recognition unit 30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 camera.

드론(40)은 설정된 비행 전투 공간부(50) 내에서 비행 전투 방식에 따라 구동하도록 제작된다. 예를 들어, 드론(40)은 몸체부, 몸체부에 설치되고 IR 신호를 송수신하는 IR 송수신부, 몸체부에 설치되고 외부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 센서, 및 몸체부내에 구비되며 조작부(60)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를 수신한 후 제어신호에 따라 IR 송수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드론(40)은 스크린(20)상의 게임 영상내의 타겟을 향해 가시 주파수의 레이저 또는 비가시 레이저를 발사할 수 있다. 그리고, 드론(40)은 외부 충격(예컨대, 게임 영상내의 타겟으로부터의 가시 주파수 레이저에 의한 충격)을 감지하여 조작부(60)에게로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The drone 40 is designed to be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flight combat method within the set flight combat space 50. [ For example, the drones 40 include an IR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installed in the body part and the body part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IR signal, a shock sensor installed in the body part and sensing an external impac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R transceiver uni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ccordingly, the drones 40 can emit visible or non-visible lasers toward the target in the game image on the screen 20. Then, the drones 40 can sense an external impact (for example, a shock due to the visible-frequency laser from the target in the game image) and provide the operation unit 60 with a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또한, 드론(40)은 초소형 CCD 카메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어, 해당 드론(40)이 바라보는 1인칭 시점의 비행 전투 영상을 게임 서버(70)로 출력할 수도 있다.Also, the drones 40 may be equipped with an ultra-small CCD camera (not shown) to output the first-person view of the battle combat image to the game server 70.

여기서, 드론(40)은 다양한 형태의 멀티콥터형 비행 로봇이 될 수 있다.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멀티콥터형 비행 로봇에 대해 주지의 기술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고 본다.Here, the drones 40 may be various types of multi-copter flying robots. If you are in the same industry, I think you can understand the multi-copter type flying robot with well-known technology.

비행 전투 공간부(50)는 드론(40)이 비행 전투를 수행하는 공간으로, 외부의 게임자가 비행 전투 과정을 볼 수 있도록 그물망 형태의 사면체, 육면체, 원통형, 구형 또는 기하학적 공간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flight combat space 50 is a space in which the drone 40 performs flight combat, and may be produced as a tetragonal, hexahedral, cylindrical, spherical, or geometric space in the form of a mesh so that an external game player can view the flight combat process .

조작부(60)는 비행 전투 공간부(50)내에서의 드론(40)의 구동을 유선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작부(60)는 유선으로 드론(40)과 연결된 조이스틱 또는 조이패드를 구비한 전자장치일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60 functions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drones 40 in the flight combat space unit 50 by wire. More specifically, the operating portion 60 may be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joystick or joypad connected to the drones 40 by wire.

그리고, 조작부(60)는 진동모터(도시 생략)를 내부에 장착하고 있어서, 게임 영상의 타겟에 대한 사격시 사격에 상응하는 진동 및 외부 충격(예컨대, 게임 영상내의 타겟으로부터의 가시 주파수 레이저에 의한 충격)에 상응하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게임자는 보다 충실한 현실감을 느낄 수 있다. 즉, 조작부(60)는 통상의 2.4GHz의 제품을 사용하고, 조작부(60)의 내부에 진동모터를 장착하여 게임과 연동된 신호를 게임내용과 싱크를 맞춰서 몰입도를 배가하게 해 준다.The operation unit 60 is equipped with a vibration motor (not shown) inside, so that the vibration and the external shock corresponding to the shooting at the shooting of the target of the game image (for example, Shock) can be generated. As a result, the player can feel a more realistic sense of reality. That is, the operation unit 60 uses a normal 2.4 GHz product, and a vibration motor is mounted inside the operation unit 60 to synchronize the game with the game signal to increase the immersion level.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무선으로 조작부(60)와 드론(40)을 상호 연결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조작부(60)는 드론(40)에게로 무선 명령신호를 보낼 수 있다. 결국, 드론(40)은 유선과 무선을 동시에 쓸 수 있게 설계되어 비행에 필요한 동력을 직접 전달받게 되어 있다. 예컨대, 드론(40)에 장착된 비가시 레이저도 유무선에서 전달되는 동력을 받게 된다. 다시 말해서, 드론(40)의 동력은 무선에서는 밧데리와 유선 SMPS를 통해서 DC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f necessary, the operating unit 60 and the drone 40 can be interconnected by radio. Accordingly, the operating unit 60 can send a wireless command signal to the drones 40. [ As a result, the drones 40 are designed to be able to use both wired and wireless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power required for the flight is directly received. For example, an invisible laser mounted on the drones 40 receives power transmitted from wired and wireless. In other words, the power of the drones 40 can be used simultaneously in a wireless manner through a battery and a wired SMPS.

게임 서버(70)는 프로젝터(10) 및 스크린(20)에 의해 게임 영상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The game server 70 can display the game image by the projector 10 and the screen 20. [

게임 서버(70)는 좌표 인식부(30)로부터 좌표 인식용 영상을 지속적으로 입력받으며, 조작부(60)로부터 사격 신호를 입력받은 순간에 좌표 인식용 영상에서 레이저에 의한 스폿광의 좌표를 검출하고 검출된 좌표에 근거한 스크린(20) 상의 사격 위치를 사격 게임의 진행에 반영하고, 사격 위치가 반영된 게임 영상을 생성하여 프로젝터(10) 및 스크린(20)으로 출력할 수 있다.The game server 70 continuously receives the coordinate recognition image from the coordinate recognition unit 30 and detects the coordinates of the spot light by the laser in the coordinate recognition image at the moment when the shooting signal is input from the operation unit 60, A game image reflecting the shooting position can be generated and output to the projector 10 and the screen 20 by reflecting the shooting position on the screen 20 based on the coordinates of the shooting position in the progress of the shooting game.

한편, 게임 서버(70)는 게임 시작과 함께 조작부(60)에 의해 조작되는 드론(40)의 현재 위치를 스크린(20)상에 표시되게 할 수 있고, 스크린(20)상의 게임 영상내의 타겟에서 발사되는 가시 주파수 레이저를 화면표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게임자는 타겟으로부터 발사되는 가시 주파수 레이저가 드론(40)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해 조작부(60)를 조작하여 드론(40)의 비행을 조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game server 70 can caus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drones 40 operated by the operating unit 60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20 at the start of the game, The visible frequency laser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ly, the game player can manipulate the operation portion 60 to adjust the flight of the drones 40 so that the visible-frequency laser emitted from the target does not touch the drones 40. [

상술한 게임 서버(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조작부(6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게임 서버(70)와 조작부(60)는 유선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으로 하였다. 도난 방지를 위해 유선 연결을 한 것이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무선으로 연결시켜도 무방하다.The game server 70 may be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60 by wire or wireless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me server 70 and the operation unit 6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wire. In order to prevent theft, the wired connection is made, but it may be connected wirelessly if necessary.

그리고, 게임 서버(70)는 도 2에서와 같이, 사격 신호 수신부(71), 사격 위치 인식부(72), 게임 진행부(73), 영상 출력부(74), 및 햅틱부(75)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game server 70 includes a shooting signal receiving unit 71, a shooting position recognizing unit 72, a game proceeding unit 73, a video output unit 74, and a haptic unit 75 .

사격 신호 수신부(71)는 조작부(60)에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되어 오는 사격 신호를 수신하고, 사격 신호의 수신을 사격 위치 인식부(72)에 알린다.The shooting signal receiving unit 71 receives the shoot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perating unit 6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and informs the shooting position recognizing unit 72 of the reception of the shooting signal.

사격 위치 인식부(72)는 좌표 인식부(30)에서 촬영하여 출력하는 좌표 인식용 영상을 수신한다. 또한, 사격 위치 인식부(72)는 사격 신호 수신부(71)에서 사격 신호를 수신한 경우 수신한 좌표 인식용 영상에서 촬영한 스폿광의 좌표를 산출하여 게임자가 드론(40)으로 스크린(20)을 사격한 위치를 나타내는 사격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사격 위치 인식부(72)는 생성한 사격 위치 정보를 게임 진행부(73)에 제공한다.The shooting position recognition unit 72 receives a coordinate recognition image shot by the coordinate recognition unit 30 and outputting the captured image. When the shooting signal receiving unit 71 receives the shooting signal, the shooting position recognizing unit 72 calculates the coordinates of the spot light captured in the received coordinate recognizing image, And generates shot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shot position. The shooting position recognition unit 72 provides the generated shooting position information to the game progress unit 73. [

게임 진행부(73)는 드론(40)을 이용한 사격 게임 장치에서 진행하는 사격 게임 구동용 소프트웨어를 내장하고, 게임의 진행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게임 영상을 생성하여 영상 출력부(74)에 제공한다.The game progress unit 73 includes software for driving the shooting game that proceeds from the shooting game apparatus using the drones 40 and generates a game image for visually showing the progress of the game and provides the game image to the video output unit 74 do.

또한, 게임 진행부(73)는 사격 위치 인식부(72)로부터의 사격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사격 위치를 게임에 반영하고 대응하는 음향 또는 영상을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음향은 별도의 음향 출력 수단(도시 생략)을 통해 출력되고, 생성된 영상은 게임 영상으로서 영상 출력부(74)에 제공된다.In addition, the game progress unit 73 receives shooting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shooting position recognizing unit 72, reflects the shooting position to the game, and generates a corresponding sound or image. At this time, the generated sound is output through a separate sound output means (not shown), and the generated image is provided to the video output unit 74 as a game image.

영상 출력부(74)는 게임 진행부(73)에서 제공하는 게임 영상을 프로젝터(10) 등으로 출력함으로써 스크린(20)에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The video output unit 74 outputs the game image provided by the game progress unit 73 to the projector 10 or the like so that the game image can be visually displayed on the screen 20. [

햅틱부(75)는 사격 신호 수신부(71)가 사격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햅틱 신호(즉, 진동 등)를 생성하여 조작부(60)에게로 제공할 수 있다.The haptic unit 75 may generate a haptic signal corresponding to the hitting signal received by the shooting signal receiving unit 71 and provide the generated haptic signal to the operation unit 60.

또한, 햅틱부(75)는 외부 충격(예컨대, 게임 영상내의 타겟으로부터의 가시 주파수 레이저에 의한 충격)에 상응하는 햅틱 신호(즉, 진동 등)를 생성하여 조작부(60)에게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ptic portion 75 may generate a haptic signal (i.e., vibration, etc.)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impact (for example, a shock caused by a visible frequency laser from a target in the game image) .

이번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사격 게임 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사격 게임 장치의 작용 설명에 채용되는 도면이다.Now, the operation of the shooting game apparatus using the dr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 shooting game apparatus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용자(게임자)가 조작부(60)를 조작하여 게임 시작을 선택함에 따라, 게임 서버(70)는 프로젝터(10) 및 스크린(20)에 의해 소정의 게임 영상을 표시시킨다.First, the game server 70 displays a predetermined game image by the projector 10 and the screen 20 as a user (game player) operates the operation unit 60 to select a game start.

이어, 사용자(게임자)는 조작부(60)에 의해 드론(40)을 조정하여 스크린(20)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게임 영상의 타겟(T; 도 3 참조)에 대해 가시 주파수의 레이저 또는 비가시 레이저를 발사한다. 또한, 게임 영상의 타겟에서 발사되는 가시 주파수 레이저를 피하도록 드론(40)을 조정한다. 이때, 드론(40)는 비행 전투 공간부(50)내에서만 비행하는 것으로 한다.3) of the gam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20 by adjusting the drones 40 by the operating unit 60. The laser or visible laser of the visible frequency Lt; / RTI > Further, the drones 40 are adjusted so as to avoid the visible frequency laser emitted from the target of the game image. At this time, it is assumed that the drone 40 is flying only in the flight combat space 50.

이와 같이, 게임 서버(70)는 스크린(20)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게임 영상을 실시간적으로 변화하도록 한다.In this manner, the game server 70 allows the gam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20 to change in real time.

게임이 종료될 때까지, 사용자(게임자)는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게임 영상내의 타겟에 대해 가시 주파수의 레이저 또는 비가시 레이저를 발사하고, 게임 영상의 타겟에서 발사되는 가시 주파수 레이저를 피하도록 드론(40)을 조정한다.Until the game is over, the user (the player) fires a laser of a visible frequency or a non-visible laser for a target in the game image that changes in real time, 40).

한편, 상술한 드론 이외로 전자 탱크를 채용하여도 무방하다. 즉, 드론을 이용하여 사격 게임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전차 탱크를 이용하여 사격 게임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electronic tank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drones may be employed. That is, instead of performing the shooting game using the drones, the shooting game can be performed using the tank tank.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 장치는 장소에 상관없이 온라인으로 연결할 수 있어서 여러 사용자가 게임을 동시에 즐길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는 중간에 관리자 서버(미도시)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원격지에 있는 다수의 사용자가 게임기를 매개로 혹은 게임단말(이에 제한되지 않음)에 연결하여 온라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후 관리자 서버에 의해 제시된 특정 공간(미도시)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게임을 즐길 수 있고, 게임결과 순위도 표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device can be connected online regardless of the location, so that multiple users can simultaneously enjoy the game. Of course, in this case, a manager server (not shown) is connected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o that a plurality of users at a remote location can be connected to a game terminal or a game terminal (not limited thereto) Then, in a specific space (not shown) 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server, a plurality of users can simultaneously enjoy the game, and the game result ranking can also be displayed.

또한, 게임기 즉 비행 전투 공간부(50)의 측면에 포그통(연기 발생용 통)이 연결되어 있어서, 게임 장르와 장면(scene)에 따라서 적절하게 포기(연기)가 분출되어서 5D게임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 fog box (smoke generating canister)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game machine, that is, the flight combat space 50, so that the effect of the 5D game is appropriately discharged according to the game genre and scene It can be done.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 optimal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While specific terms have been employed herein, they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invention only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 프로젝터
20 : 스크린
30 : 좌표 인식부
40 : 드론
50 : 비행 전투 공간
60 : 조작부
70 : 게임 서버
71 : 사격 신호 수신부
72 : 사격 위치 인식부
73 : 게임 진행부
74 : 영상 출력부
75 : 햅틱부
10: Projector
20: Screen
30: Coordinate recognition unit
40: Drones
50: Flight Combat Space
60:
70: Game server
71: shooting signal receiver
72: shooting position recognition unit
73:
74: Video output section
75: Haptic part

Claims (5)

드론을 이용한 사격 게임을 진행하는 게임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
상기 프로젝터에서 출력하는 게임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 상에서 소정 주파수의 레이저에 의한 스폿광만을 촬영하여 생성한 좌표 인식용 영상을 출력하는 좌표 인식부;
설정된 비행 전투 공간부 내에서 구동되고, 상기 스크린상의 게임 영상내의 타겟을 향해 가시 주파수의 레이저 또는 비가시 레이저를 발사하고, 상기 타겟으로부터의 사격에 의한 충격을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드론;
상기 비행 전투 공간부내에서 상기 드론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게임 영상의 타겟에 대한 사격시 사격에 상응하는 진동 및 상기 게임 영상내의 타겟으로부터의 사격에 의한 충격에 상응하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조작부; 및
상기 프로젝터 및 상기 스크린에 의해 게임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좌표 인식부로부터 좌표 인식용 영상을 지속적으로 입력받으며, 상기 조작부로부터 사격 신호를 입력받은 순간에 좌표 인식용 영상에서 레이저에 의한 스폿광의 좌표를 검출하고 검출된 좌표에 근거한 스크린 상의 사격 위치를 사격 게임의 진행에 반영하고, 사격 위치가 반영된 게임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프로젝터 및 상기 스크린으로 출력하고, 게임 시작과 함께 상기 조작부에 의해 조작되는 드론의 현재 위치를 스크린상에 표시시키고, 상기 스크린상의 게임 영상내의 타겟에서 발사되는 가시 주파수 레이저를 화면표시하는 게임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사격 게임 장치.
A projector for outputting a game image for a shooting game using a drones;
A screen for displaying a game image output from the projector;
A coordinate recognizing unit for photographing only the spot light by the laser of the predetermined frequency on the screen and outputting the coordinate recognition image;
A drones that are driven in a set flight space and fire a laser or an invisible laser of a visible frequency toward a target in the game image on the screen and detect a shock due to shooting from the target and output a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
An operating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drones in the flight combat space and generating vibration corresponding to a shot corresponding to a shot of the target of the game image and an impact caused by a shot from the target in the game image; And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game image by the projector and the screen and continuously receiving an image for coordinate recognition from the coordinate recognition unit, and when the shooting signal is inputted from the operation unit, coordinates And outputs the game image reflecting the shooting position to the projector and the screen. The drones, which are operated by the operating unit together with the game start, And a game server for displaying on the scree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game, and for displaying a visible frequency laser emitted from a target in the game image on the scree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게임 서버는,
상기 조작부로부터의 사격 신호를 수신하는 사격 신호 수신부;
상기 좌표 인식부로부터의 좌표 인식용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사격 신호 수신부에서 사격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좌표 인식용 영상에서 촬영한 스폿광의 좌표를 산출하여 상기 드론으로 스크린을 사격한 위치를 나타내는 사격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사격 위치 인식부;
드론을 이용한 사격 게임을 진행하는 사격 게임 구동용 소프트웨어를 내장하고 게임의 진행을 보여주기 위한 게임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되, 상기 사격 위치 인식부로부터의 사격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사격 위치를 게임에 반영하고 대응하는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을 출력하는 게임 진행부;
상기 게임 진행부에서 제공하는 게임 영상을 상기 프로젝터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스크린에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하는 영상 출력부; 및
상기 사격 신호 수신부가 사격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햅틱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작부에게로 제공하고, 상기 게임 영상내의 타겟으로부터의 사격에 의한 충격에 상응하는 햅틱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작부에게로 제공하는 햅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사격 게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ame server includes:
A shooting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shooting signal from the operation unit;
Wherein when the shoot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hooting signal receiving unit, coordinates of the spot light photographed in the coordinate recognizing image are calculated, and a shot indicating the shooting position of the screen with the dragon A shooting position recognizing unit for generating position information;
And a game image for displaying the progress of the game is generated and output, and the shooting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shooting position recognition unit is received, and the shooting position is stored in the game A game progress unit for generating a corresponding image by reflecting and outputting the generated image;
A video output unit for displaying a game image provided by the game progress unit on the screen by outputting the game image to the projector; And
The shooting signal receiving unit generates a haptic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hooting signal and provides the generated haptic signal to the operation unit, generates a haptic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mpact caused by shooting from the target in the game image, And a haptic part for playing the gam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게임 서버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사격 게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ame server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via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론과 상기 조작부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사격 게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ones and the operating un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relessly or by wi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행 전투 공간부는,
상기 드론이 비행 전투를 수행하는 공간으로, 게임자가 비행 전투 과정을 볼 수 있도록 그물망 형태의 사면체, 육면체, 원통형, 구형 또는 기하학적 공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사격 게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light combat space unit includes:
Wherein the dragon is a space for performing a flying battle, and is configured by a tetrahedron, a hexahedron, a cylinder, a sphere, or a geometric space in the form of a mesh so that a game player can view a flight combat process.
KR1020160099155A 2016-08-03 2016-08-03 Shooting game apparatus using the drone KR2018001552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155A KR20180015521A (en) 2016-08-03 2016-08-03 Shooting game apparatus using the dr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155A KR20180015521A (en) 2016-08-03 2016-08-03 Shooting game apparatus using the dr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521A true KR20180015521A (en) 2018-02-13

Family

ID=61231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155A KR20180015521A (en) 2016-08-03 2016-08-03 Shooting game apparatus using the dr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5521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584A (en) * 2018-06-18 2019-12-27 이해명 Shooting game apparatus using the drone
CN110665235A (en) * 2019-11-05 2020-01-10 淮安鱼鹰航空科技有限公司 Unmanned aerial vehicle amusement system that targets
CN110772782A (en) * 2019-11-05 2020-02-11 淮安鱼鹰航空科技有限公司 Virtual air combat entertainment system of unmanned aerial vehic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584A (en) * 2018-06-18 2019-12-27 이해명 Shooting game apparatus using the drone
CN110665235A (en) * 2019-11-05 2020-01-10 淮安鱼鹰航空科技有限公司 Unmanned aerial vehicle amusement system that targets
CN110772782A (en) * 2019-11-05 2020-02-11 淮安鱼鹰航空科技有限公司 Virtual air combat entertainment system of unmanned aerial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5159B2 (en) Tactile feedback systems and methods for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systems
US8366510B2 (en) Shooting toy
US10569165B2 (en) Tactile feedback systems and methods for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systems
EP1585063B1 (en) Image generation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program product
JP417916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game device, image generation method, and game image generation method
CN111475573B (en) Data synchroniz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10039975B2 (en) Techniques for representing imaginary participants in an immersive play environment
KR101366444B1 (en) Virtual reality shooting system for real time interaction
US10928915B2 (en) Distributed storytelling environment
CN110772782A (en) Virtual air combat entertainment system of unmanned aerial vehicle
JP2010072768A (en) Program,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game device
KR20180015521A (en) Shooting game apparatus using the drone
KR100415046B1 (en) Shooting video game system and image displaying method in shooting video game
CN112933601A (en) Virtual throwing object oper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JP2022118720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actical support to player in shooting video game
KR20170112052A (en) Vr multiple fire training systems
KR20180051135A (en) Multiple Integrated Laser Engagement System for UAS
JP2000116946A (en) Shooting game device
US10369487B2 (en) Storytelling environment: mapping virtual settings to physical locations
KR20090088045A (en) Remote control airplane system with combat function
KR102583169B1 (en) Shooting game apparatus using the drone
JP2018171319A (en) Simulation system and program
WO2013111119A1 (en) Simulating interaction with a three-dimensional environment
EP1086730A2 (en) Image displaying device and method, and shooting video game system
CN114130031A (en) Using method, device, equipment, medium and program product of virtual prop